KR20240048396A -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 Google Patents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8396A
KR20240048396A KR1020220128124A KR20220128124A KR20240048396A KR 20240048396 A KR20240048396 A KR 20240048396A KR 1020220128124 A KR1020220128124 A KR 1020220128124A KR 20220128124 A KR20220128124 A KR 20220128124A KR 20240048396 A KR20240048396 A KR 20240048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ortion
fold line
trash
support bars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8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규호
Original Assignee
최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규호 filed Critical 최규호
Priority to KR1020220128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8396A/ko
Publication of KR20240048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83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B65F1/0053Combination of several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Suspen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20/00Properties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20/108Properties of refuse receptacles connec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고, 유연한 소재로 형성된 쓰레기통 본체의 배부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분리수거용 쓰레기통이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분리수거용 쓰레기통은, 사각통 형상의 유연한 쓰레기통 본체와, 상기 쓰레기통 본체의 상단 고리부를 관통하여 수평으로 배치되는 4개의 상부 수평 지지 바와, 상기 쓰레기통 본체의 하단 고리부를 관통하여 수평으로 배치되는 4개의 하부 수평 지지 바와, 상기 쓰레기통 본체의 사이드 고리부를 각각 관통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는 4개의 사이드 수직 지지 바와, 상기 4개의 상부 수평 지지 바 각각의 끝단부를 각각 연결하고 상기 4개의 사이드 수직 지지 바 각각의 상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4개의 상부 연결구와, 상기 4개의 하부 수평 지지 바 각각의 끝단부를 각각 연결하고 상기 4개의 사이드 수직 지지 바 각각의 하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4개의 하부 연결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분리수거용 쓰레기통{GARBAGE BIN FOR SEPARATE COLLECTION}
본 발명은 분리수거용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재활용 쓰레기를 담는 용도로 사용되는 분리수거용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쓰레기통은 쓰레기를 수용하는 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쓰레기통의 내부에 분리수거용 봉투를 설치하여 상기 분리수거용 봉투에 쓰레기를 담을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35102호(2019.01.04.)(이하, '종래 기술'이라 함)에는 '복수의 분리수거용 봉투를 거치할 수 있으며, 개별 분리수거용 봉투를 거치하는 폭을 조절할 수 있는 분리수거용 쓰레기통'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은, 몸통부와, 좌우 한 쌍의 봉투걸이부를 포함한다.
상기 몸통부는, 직사각형 모양의 바닥부, 상기 바닥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측면부를 포함하며, 복수의 측면부로 둘러싸인 내부공간에 복수의 분리수거용 쓰레기봉투를 수납한다.
상기 좌우 한 쌍의 봉투걸이부는, 상기 몸통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부의 긴 변에 접한 한 쌍의 측면부의 길이방향의 좌우 상단에 각각 형성되어 쓰레기봉투가 벗겨지지 않도록 고정한다.
상기 좌우 한 쌍의 봉투걸이부는 상기 측면부의 상단에서 절곡되는 수평부, 상기 수평부로부터 미리 정해진 각도로 지면을 향해 연장되며 점착레이어를 보호하는 이형지가 부착되어 있는 봉투점착부, 상기 봉투점착부로부터 경사지게 지면을 향하면서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줄지어 연장되는 돌기부를 포함한다.
상기 돌기부는 상기 봉투점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돌기부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돌기부 사이에는 쓰레기봉투의 말단을 끼울 수 있는 홈부가 형성된다.
상기 바닥부의 상면에는 복수의 쓰레기봉투가 연이어 붙어있는 쓰레기봉투롤을 적어도 하나 이상 거치할 수 있는 롤수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쓰레기봉투의 말단이 상기 봉투점착부에 부착된 점착부재에 반접착되어 미끄러지지 않게 고정되는 상기 봉투점착부의 길이방향 너비 및 걸쳐지는 돌기부의 개수에 따라 쓰레기봉투가 걸쳐지는 폭을 조절한다.
그런데, 상기 종래 기술은 상기 몸통부가 플라스틱과 같은 단단한 소재로 형성되어 고정된 부피를 가지고 있어서 배송 또는 이송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한정된 내부공간을 가지고 있어서 부피가 큰 재활용쓰레기를 담는 것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35102호(2019.01.04.)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쓰레기통 본체를 합성섬유재의 천과 같은 유연한 재질로 형성하여, 배송 또는 이송이 편하게 분해 및 조립을 쉽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피가 큰 재활용쓰레기를 쉽게 담아둘 수 있는 분리수거용 쓰레기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상기 유연한 재질의 쓰레기통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는 재활용쓰레기로 인한 상기 쓰레기통 본체의 배부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분리수거용 쓰레기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리수거용 쓰레기통은, 쓰레기통 본체, 4개의 상부 수평 지지 바, 4개의 하부 수평 지지 바, 4개의 사이드 수직 지지 바, 4개의 상부 연결구 및 4개의 하부 연결구로 구성된다. 상기 쓰레기통 본체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쓰레기통 본체는 상면이 개구된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쓰레기통 본체의 상기 상면 네 가장자리에는 각각 수평으로 통하는 상단 고리부가 형성된다. 상기 쓰레기통 본체의 하면 네 가장자리에는 각각 수평으로 통하는 하단 고리부가 형성된다. 상기 쓰레기통 본체의 측면들 사이의 네 모서리에는 각각 수직으로 통하는 사이드 고리부가 형성된다. 상기 4개의 상부 수평 지지 바는 각각의 상기 상단 고리부를 각각 관통하여 수평으로 배치된다. 상기 4개의 하부 수평 지지 바는 각각의 상기 하단 고리부를 각각 관통하여 수평으로 배치된다. 상기 4개의 사이드 수직 지지 바는 각각의 상기 사이드 고리부를 각각 관통하여 수직으로 배치된다. 상기 4개의 상부 연결구는 상기 4개의 상부 수평 지지 바 각각의 끝단부를 각각 연결한다. 상기 4개의 상부 연결구는 상기 4개의 사이드 수직 지지 바 각각의 상단부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4개의 하부 연결구는 상기 4개의 하부 수평 지지 바 각각의 끝단부를 각각 연결한다. 상기 4개의 하부 연결구는 상기 4개의 사이드 수직 지지 바 각각의 하단부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4개의 상부 수평 지지 바, 상기 4개의 하부 수평 지지 바 및 상기 4개의 사이드 수직 지지 바는 휘어졌다 복원되는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4개의 상부 수평 지지 바, 상기 4개의 하부 수평 지지 바 및 상기 4개의 사이드 수직 지지 바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4개의 상부 연결구 각각의 상측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상부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4개의 하부 연결구 각각의 하측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하부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돌출부에는 상기 쓰레기통 본체 내에 설치되는 분리수거용 봉투가 걸림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돌출부는 상기 쓰레기통 본체를 상기 쓰레기통 본체가 설치되는 장소의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시킬 수 있다.
상기 쓰레기통 본체에는, 각각의 상기 상단 고리부의 끝단과 각각의 상기 사이드 고리부의 상단을 잇는 부분과, 각각의 상기 하단 고리부의 끝단과 각각의 상기 사이드 고리부의 하단을 잇는 부분에,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쓰레기통 본체의 하면은 각각의 상기 하단 고리부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쓰레기통 본체의 개구된 상면을 뚜껑이 덮을 수 있다. 상기 뚜껑은, 상면부, 제1 측면부, 제2 측면부, 제3 측면부 및 제4 측면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측면부는 상기 제1 측면부와 대향할 수 있다. 상기 제3 측면부는 상기 제1 측면부의 일단 및 상기 제2 측면부의 일단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4 측면부는 상기 제1 측면부의 타단 및 상기 제2 측면부의 타단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4 측면부는 상기 제3 측면부와 대향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부는 전개된 상태에서, 상기 상면부와 상기 제1 측면부 사이에 배치된 제1 접힘선을 기준으로 90도(DEG)로 접혀져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측면부는 전개된 상태에서, 상기 상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 사이에 상기 제1 접힘선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2 접힘선을 기준으로 90도(DEG)로 접혀져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측면부는 전개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접힘선 및 상기 제2 접힘선과 직교되게 배치된 제3 접힘선을 기준으로 반으로 포개진 후, 상기 상면부와 상기 제3 측면부 사이에 상기 제1 접힘선의 일단 및 상기 제2 접힘선의 일단을 연결하여 배치된 제4 접힘선을 기준으로 90도(DEG)로 접혀져서 형성되되, 상기 제3 측면부의 외측변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1 고정돌기가, 상기 제4 접힘선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1 절단선에 각각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4 측면부는 전개된 상태에서, 상기 제3 접힘선과 평행되게 배치된 제5 접힘선을 기준으로 반으로 포개진 후, 상기 상면부와 상기 제4 측면부 사이에 상기 제1 접힘선의 타단 및 상기 제2 접힘선의 타단을 연결하여 배치된 제6 접힘선을 기준으로 90도(DEG)로 접혀져서 형성되되, 상기 제4 측면부의 외측변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2 고정돌기가, 상기 제6 접힘선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2 절단선에 각각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부의 일단에 상기 제3 측면부와 분리되어 형성된 제1 날개부는, 상기 제4 접힘선의 일단에서 곧게 연장되는 제7 접힘선을 기준으로 90도(DEG)로 접혀져서, 상기 제3 측면부가 반으로 포개질 때 상기 제3 측면부의 내부로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부의 타단에 상기 제4 측면부와 분리되어 형성된 제2 날개부는, 상기 제6 접힘선의 일단에서 곧게 연장되는 제8 접힘선을 기준으로 90도(DEG)로 접혀져서, 상기 제4 측면부가 반으로 포개질 때 상기 제4 측면부의 내부로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측면부의 일단에 상기 제3 측면부와 분리되어 형성된 제3 날개부는, 상기 제4 접힘선의 타단에서 곧게 연장되는 제9 접힘선을 기준으로 90도(DEG)로 접혀져서, 상기 제3 측면부가 반으로 포개질 때 상기 제3 측면부의 내부로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측면부의 타단에 상기 제4 측면부와 분리되어 형성된 제4 날개부는, 상기 제6 접힘선의 타단에서 곧게 연장되는 제10 접힘선을 기준으로 90도(DEG)로 접혀져서, 상기 제4 측면부가 반으로 포개질 때 상기 제4 측면부의 내부로 삽입 배치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수거용 쓰레기통은, 유연한 재질의 쓰레기통 본체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지지 바를 복수개의 연결구로 연결하여 상기 복수개의 지지 바를 통해 상기 쓰레기통 본체를 지지함으로써, 배송 또는 이송이 편하게 분해 및 조립을 쉽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활용쓰레기의 부피가 크더라도 유연한 재질의 쓰레기통 본체에 담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리수거용 쓰레기통은, 상기 복수개의 지지 바가 휘어졌다 복원되는 탄성력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유연한 재질의 쓰레기통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는 재활용쓰레기로 인한 상기 쓰레기통 본체의 배부름 현상을, 상기 탄성력을 이용하여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분리수거용 쓰레기통에 뚜껑이 씌워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뚜껑을 제거하고 분리수거용 쓰레기통에 분리수거용 봉투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뚜껑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후방 저면 사시도,
도 5는 도 3에서 쓰레기통 본체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상부 연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반대편 저면 사시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뚜껑을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뚜껑의 전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분리수거용 쓰레기통을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분리수거용 쓰레기통에 뚜껑이 씌워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뚜껑을 제거하고 분리수거용 쓰레기통에 분리수거용 봉투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설명에서 전, 후, 상, 하, 좌, 우와 같은 방향과 관련된 용어는 도 1에 표시된 전, 후, 상, 하, 좌, 우와 동일한 방향을 의미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분리수거용 쓰레기통(1)은, 상면이 개구된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개구된 상면을 통해 내부공간에 쓰레기를 담을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내부공간에 분리수거용 봉투(3)를 설치한 후 상기 분리수거용 봉투(3) 내에 쓰레기를 담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분리수거용 쓰레기통(1)의 내부공간에 분리수거용 봉투(3)를 설치하는 경우, 4개의 상부 연결구(310, 320, 330, 340, 도 3 내지 도 5 참조)에 각각 형성된 상부 돌출부(315)에 분리수거용 봉투(3)를 걸어 고정할 수 있다.
물론, 4개의 하부 연결구(350, 360, 370, 380, 도 3 내지 도 5 참조)에 각각 형성된 하부 돌출부(355)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쓰레기통 본체(100, 도 3 및 도 4 참조)를 쓰레기통 본체(100)가 설치되는 장소의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시켜서, 상기 장소의 바닥면에 의한 쓰레기통 본체(100)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분리수거용 쓰레기통(1)의 개구된 상면은 뚜껑(2)이 덮을 수 있다. 뚜껑(2)은 하면이 개구된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분리수거용 쓰레기통(1)의 상부에 씌워질 수 있다. 뚜껑(2)은 사각판 형상의 상면부(410, 도 8 및 도 9 참조)와, 상면부(410)의 네 변에서 각각 하측으로 연장되는 4개의 측면부(420, 430, 440, 450, 도 8 및 도 9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뚜껑(2)이 분리수거용 쓰레기통(1)의 상부에 씌워진 상태일 때, 뚜껑(2)의 상면부(410)는 분리수거용 쓰레기통(1)의 개구된 상면을 덮을 수 있고, 뚜껑(2)의 4개의 측면부(420, 430, 440, 450) 각각은 분리수거용 쓰레기통(1)의 상부 네 변 각각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뚜껑(2)의 상면부(410) 중심에는 손잡이용 홀(2A)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손잡이용 홀(2A)은 타원형으로 형성되나,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삼각형, 사각형 등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분리수거용 쓰레기통(1)에 대해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도 1에서 뚜껑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후방 저면 사시도, 도 5는 도 3에서 쓰레기통 본체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분리수거용 쓰레기통(1)은, 유연한 재질의 쓰레기통 본체(100)와, 쓰레기통 본체(100)가 사각통 형상을 유지하도록 쓰레기통 본체(100)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 바(211, 212, 213, 214, 221, 222, 223, 224, 231, 232, 233, 234)와, 복수개의 지지 바(211, 212, 213, 214, 221, 222, 223, 224, 231, 232, 233, 234)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구(310, 320, 330, 340, 350, 360, 370, 380)를 포함할 수 있다.
쓰레기통 본체(100)는 상면이 개구된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면이 개구된 내부공간(105)에 재활용쓰레기를 담거나, 내부공간(105)에 분리수거용 봉투(3)를 넣은 후 분리수거용 봉투(3) 내에 재활용쓰레기를 담을 수 있다. 즉, 쓰레기통 본체(100)는 4개의 측면들(110, 120, 130, 140)과, 하면(150)을 포함할 수 있다.
쓰레기통 본체(100)의 4개의 측면들(110, 120, 130, 140)은, 전면(110)과, 후면(120)과, 좌측면(130)과, 우측면(140)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110), 후면(120), 좌측면(130), 우측면(140) 및 하면(150)은 각각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면(110)은 쓰레기통 본체(100)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고, 후면(110)은 쓰레기통 본체(100)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좌측면(130)은 쓰레기통 본체(100)의 좌측면을 형성할 수 있고, 우측면(140)은 쓰레기통 본체(100)의 우측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하면(150)은 쓰레기통 본체(100)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
쓰레기통 본체(100)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쓰레기통 본체(100)는 천과 같은 합성섬유재로 형성되나, 복수개의 지지 바(211, 212, 213, 214, 221, 222, 223, 224, 231, 232, 233, 234) 없이는 사각통 형상을 유지할 수 없는 유연한 재질이라면 쓰레기통 본체(100)의 소재가 될 수 있다.
복수개의 지지 바(211, 212, 213, 214, 221, 222, 223, 224, 231, 232, 233, 234)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된 쓰레기통 본체(100)를 사각통 형상을 유지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쓰레기통 본체(100)에는 복수개의 지지 바(211, 212, 213, 214, 221, 222, 223, 224, 231, 232, 233, 234)가 각각 관통 배치되는 복수개의 고리부(161, 162, 163, 164, 171, 172, 173, 174, 181, 182, 183, 184)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지지 바(211, 212, 213, 214, 221, 222, 223, 224, 231, 232, 233, 234)는 쓰레기통 본체(100)에 형성된 복수개의 고리부(161, 162, 163, 164, 171, 172, 173, 174, 181, 182, 183, 184)에 각각 관통 배치되어, 쓰레기통 본체(100)를 사각통 형상을 유지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복수개의 고리부(161, 162, 163, 164, 171, 172, 173, 174, 181, 182, 183, 184)는, 쓰레기통 본체(100)의 개구된 상면 네 가장자리에 각각 수평으로 통하게 형성된 상단 고리부(161, 162, 163, 164)와, 쓰레기통 본체(100)의 하면(140) 네 가장자리에 각각 수평으로 통하게 형성된 하단 고리부(171, 172, 173, 174)와, 쓰레기통 본체(100)의 측면들(110, 120, 130, 140) 사이의 네 모서리에 각각 수직으로 통하게 형성된 사이드 고리부(181, 182, 183, 184)를 포함할 수 있다.
쓰레기통 본체(100)의 하면(150)은 각각의 하단 고리부(171, 172, 173, 174)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쓰레기통 본체(100)의 하면(150)은, 반드시 하단 고리부(171, 172, 173, 174)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하단 고리부(171, 172, 173, 174)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단 고리부(161, 162, 163, 164)는, 전면 상단 고리부(161)와, 후면 상단 고리부(162)와, 좌측면 상단 고리부(163)와, 우측면 상단 고리부(164)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 상단 고리부(161)는 쓰레기통 본체(100)의 전면(110) 상단에 좌우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좌우로 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후면 상단 고리부(162)는 쓰레기통 본체(100)의 후면(120) 상단에 좌우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좌우로 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좌측면 상단 고리부(163)는 쓰레기통 본체(100)의 좌측면(130) 상단에 전후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전후로 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우측면 상단 고리부(164)는 쓰레기통 본체(100)의 우측면(140) 상단에 전후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전후로 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하단 고리부(171, 172, 173, 174)는, 전면 하단 고리부(171)와, 후면 하단 고리부(172)와, 좌측면 하단 고리부(173)와, 우측면 하단 고리부(174)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 하단 고리부(171)는 쓰레기통 본체(100)의 전면(110) 하단에 좌우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좌우로 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후면 하단 고리부(172)는 쓰레기통 본체(100)의 후면(120) 하단에 좌우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좌우로 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좌측면 하단 고리부(173)는 쓰레기통 본체(100)의 좌측면(130) 하단에 전후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전후로 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우측면 하단 고리부(174)는 쓰레기통 본체(100)의 우측면(140) 하단에 전후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전후로 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 고리부(181, 182, 183, 184)는, 제1 사이드 고리부(181)와, 제2 사이드 고리부(182)와, 제3 사이드 고리부(183)와, 제4 사이드 고리부(18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이드 고리부(181)는 쓰레기통 본체(100)의 전면(110)과 쓰레기통 본체(100)의 좌측면(130) 사이에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상하로 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사이드 고리부(182)는 쓰레기통 본체(100)의 전면(110)과 쓰레기통 본체(100)의 우측면(140) 사이에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상하로 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3 사이드 고리부(183)는 쓰레기통 본체(100)의 후면(120)과 쓰레기통 본체(100)의 좌측면(130) 사이에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상하로 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4 사이드 고리부(184)는 쓰레기통 본체(100)의 후면(120)과 쓰레기통 본체(100)의 우측면(140) 사이에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상하로 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지지 바(211, 212, 213, 214, 221, 222, 223, 224, 231, 232, 233, 234)는 원형 바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지지 바(211, 212, 213, 214, 221, 222, 223, 224, 231, 232, 233, 234)는, 4개의 상부 수평 지지 바(211, 212, 213, 214)와, 4개의 하부 수평 지지 바(221, 222, 223, 224)와, 4개의 사이드 수직 지지 바(231, 232, 233, 234)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지지 바(211, 212, 213, 214, 221, 222, 223, 224, 231, 232, 233, 234)는 휘어졌다 복원되는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즉, 4개의 상부 수평 지지 바(211, 212, 213, 214)와, 4개의 하부 수평 지지 바(221, 222, 223, 224)와, 4개의 사이드 수직 지지 바(231, 232, 233, 234)는 휘어졌다 복원되는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4개의 상부 수평 지지 바(211, 212, 213, 214)와, 4개의 하부 수평 지지 바(221, 222, 223, 224)와, 4개의 사이드 수직 지지 바(231, 232, 233, 234)는, 탄성 복원력이 우수한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형성되나, 반드시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고, 휘어졌다 복원되는 탄성력을 가지는 바로 형성된다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수평 지지 바(211, 212, 213, 214)와, 4개의 하부 수평 지지 바(221, 222, 223, 224)와, 4개의 사이드 수직 지지 바(231, 232, 233, 234)는,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스프링 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본 실시예와 같이 상부 수평 지지 바(211, 212, 213, 214)와, 4개의 하부 수평 지지 바(221, 222, 223, 224)와, 4개의 사이드 수직 지지 바(231, 232, 233, 234)가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경우, 가벼우면서도 높은 탄성 복원력을 가질 수 있다.
4개의 상부 수평 지지 바(211, 212, 213, 214)는, 전방 상부 수평 지지 바(211)와, 후방 상부 수평 지지 바(212)와, 좌측 상부 수평 지지 바(213)와, 우측 상부 수평 지지 바(214)를 포함할 수 있다.
4개의 상부 수평 지지 바(211, 212, 213, 214)는 각각의 상단 고리부(161, 162, 163, 164)를 각각 관통하여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전방 상부 수평 지지 바(211)는 전면 상단 고리부(161)를 좌우로 관통하여 좌우로 길게 배치될 수 있고, 후방 상부 수평 지지 바(212)는 후면 상단 고리부(162)를 좌우로 관통하여 좌우로 길게 배치될 수 있으며, 좌측 상부 수평 지지 바(213)는 좌측면 상단 고리부(163)를 전후로 관통하여 전후로 길게 배치될 수 있고, 우측 상부 수평 지지 바(214)는 우측면 상단 고리부(164)를 전후로 관통하여 전후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4개의 하부 수평 지지 바(221, 222, 223, 224)는, 전방 하부 수평 지지 바(221)와, 후방 하부 수평 지지 바(222)와, 좌측 하부 수평 지지 바(223)와, 우측 하부 수평 지지 바(224)를 포함할 수 있다.
4개의 하부 수평 지지 바(221, 222, 223, 224)는 각각의 하단 고리부(171, 172, 173, 174)를 각각 관통하여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전방 하부 수평 지지 바(221)는 전면 하단 고리부(171)를 좌우로 관통하여 좌우로 길게 배치될 수 있고, 후방 하부 수평 지지 바(222)는 후면 하단 고리부(172)를 좌우로 관통하여 좌우로 길게 배치될 수 있으며, 좌측 하부 수평 지지 바(223)는 좌측면 하단 고리부(173)를 전후로 관통하여 전후로 길게 배치될 수 있고, 우측 하부 수평 지지 바(224)는 우측면 하단 고리부(174)를 전후로 관통하여 전후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4개의 사이드 수직 지지 바(231, 232, 233, 234)는, 제1 사이드 수직 지지 바(231)와, 제2 사이드 수직 지지 바(232)와, 제3 사이드 수직 지지 바(233)와, 제4 사이드 수직 지지 바(234)를 포함할 수 있다.
4개의 사이드 수직 지지 바(231, 232, 233, 234)는 각각의 사이드 고리부(181, 182, 183, 184)를 각각 관통하여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사이드 수직 지지 바(231)는 제1 사이드 고리부(181)를 상하로 관통하게 상하로 길게 배치될 수 있고, 제2 사이드 수직 지지 바(232)는 제2 사이드 고리부(182)를 상하로 관통하여 상하로 길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제3 사이드 수직 지지 바(233)는 제3 사이드 고리부(183)를 상하로 관통하여 상하로 길게 배치될 수 있고, 제4 사이드 수직 지지 바(234)는 제4 사이드 고리부(184)를 상하로 관통하여 상하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연결구(310, 320, 330, 340, 350, 360, 370, 380)는, 4개의 상부 연결구(310, 320, 330, 340)와, 4개의 하부 연결구(350, 360, 370, 380)를 포함할 수 있다.
4개의 상부 연결구(310, 320, 330, 340)는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4개의 하부 연결구(350, 360, 370, 380)는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4개의 하부 연결구(350, 360, 370, 380)는 4개의 상부 연결구(310, 320, 330, 340)를 상하로 뒤집은 형상일 수 있다.
4개의 상부 연결구(310, 320, 330, 340)는, 제1 상부 연결구(310)와, 제2 상부 연결구(320)와, 제3 상부 연결구(330)와, 제4 상부 연결구(340)를 포함할 수 있다.
4개의 상부 연결구(310, 320, 330, 340)는 4개의 상부 수평 지지 바(211, 212, 213, 214) 각각의 끝단부를 각각 연결할 수 있다. 4개의 상부 연결구(310, 320, 330, 340)는 4개의 사이드 수직 지지 바(231, 232, 233, 234) 각각의 상단부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4개의 하부 연결구(350, 360, 370, 380)는, 제1 하부 연결구(350)와, 제2 하부 연결구(360)와, 제3 하부 연결구(370)와, 제4 하부 연결구(380)를 포함할 수 있다.
4개의 하부 연결구(350, 360, 370, 380)는 4개의 하부 수평 지지 바(221, 222, 223, 224) 각각의 끝단부를 각각 연결할 수 있다. 4개의 하부 연결구(350, 360, 370, 380)는 4개의 사이드 수직 지지 바(231, 232, 233, 234) 각각의 하단부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쓰레기통 본체(100)에는, 각각의 상단 고리부(161, 162, 163, 164)의 끝단과 각각의 사이드 고리부(181, 182, 183, 184)의 상단을 잇는 부분과, 각각의 하단 고리부(171, 172, 173, 174)의 끝단과 각각의 사이드 고리부(181, 182, 183, 184)의 하단을 잇는 부분에, 경사부(191, 192)가 형성될 수 있다.
경사부(191, 192)는 제1 경사부(191) 및 제2 경사부(19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경사부(191)는 각각의 상단 고리부(161, 162, 163, 164)의 끝단과 각각의 사이드 고리부(181, 182, 183, 184)의 상단을 잇는 부분에 형성되어, 4개의 상부 연결구(310, 320, 330, 340)가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경사부(192)는 각각의 하단 고리부(171, 172, 173, 174)의 끝단과 각각의 사이드 고리부(181, 182, 183, 184)의 하단을 잇는 부분에 형성되어, 4개의 하부 연결구(350, 360, 370, 380)가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4개의 상부 연결구(310, 320, 330, 340) 및 4개의 하부 연결구(350, 360, 370, 380)에 대해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4개의 상부 연결구(310, 320, 330, 340)는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4개의 하부 연결구(350, 360, 370, 380)는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4개의 하부 연결구(350, 360, 370, 380)는 4개의 상부 연결구(310, 320, 330, 340)를 상하로 뒤집은 형상이기 때문에, 도 6 및 도 7에서는 4개의 상부 연결구(310, 320, 330, 340) 중 제1 상부 연결구(310)만을 도시하였고, 4개의 하부 연결구(350, 360, 370, 380)는 제1 하부 연결구(350)만 예로 들되 제1 상부 연결구(310)의 구성의 도면부호 뒤에 괄호를 기재하고 그 괄호 안에 도면부호만 기재하였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상부 연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반대편 저면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4개의 상부 연결구(310, 320, 330, 340) 각각의 상측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상부 돌출부(315)가 형성될 수 있다. 4개의 하부 연결구(350, 360, 370, 380) 각각의 하측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하부 돌출부(355)가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돌출부(315)에는 쓰레기통 본체(100) 내에 설치되는 분리수거용 봉투(3)가 걸림될 수 있다. 하부 돌출부(355)는 쓰레기통 본체(100)를 쓰레기통 본체(100)가 설치되는 장소의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시킬 수 있다.
상부 돌출부(315)의 외주면에는 분리수거용 봉투(3)가 걸림되는 링형 홈(315A)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돌출부(355)의 외주면에는 링형 홈(355A)이 형성될 수 있다. 4개의 상부 연결구(310, 320, 330, 340) 및 4개의 하부 연결구(350, 360, 370, 380)는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분리수거용 쓰레기통(1)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4개의 상부 연결구(310, 320, 330, 340) 각각은 제1 연결부(311)와, 제2 연결부(312)와, 제3 연결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311)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부 수평 지지 바(211, 212, 213, 214) 각각의 끝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부(312)는 제1 연결부(311)와 직교되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부 수평 지지 바(211, 212, 213, 214) 각각의 끝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연결부(313)는 제1 연결부(311) 및 제2 연결부(312)와 직교되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사이드 수직 지지 바(231, 232, 233, 234) 각각의 상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부 돌출부(315)는 제3 연결부(313)와 반대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연결부(311)의 끝단에는 상부 수평 지지 바(211, 212, 213, 214) 각각의 끝단부가 삽입되는 제1 삽입홈(311A)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연결부(312)의 끝단에는 상부 수평 지지 바(211, 212, 213, 214) 각각의 끝단부가 삽입되는 제2 삽입홈(312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3 연결부(313)의 끝단에는 사이드 수직 지지 바(231, 232, 233, 234) 각각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제3 삽입홈(313A)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상부 연결구(310)의 제1 연결부(311)에 형성된 제1 삽입홈(311A)에 전방 상부 수평 지지 바(211)의 좌측단부가 삽입되어 제1 상부 연결구(310)의 제1 연결부(311)에 연결될 수 있고, 제1 상부 연결구(310)의 제2 연결부(312)에 형성된 제2 삽입홈(312A)에 좌측 상부 수평 지지 바(213)의 전단부가 삽입되어 제1 상부 연결구(310)의 제2 연결부(312)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상부 연결구(310)의 제3 연결부(313)에 형성된 제3 삽입홈(313A)에 제1 사이드 수직 지지 바(231)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제1 상부 연결구(310)의 제3 연결부(313)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상부 연결구(320)의 제1 연결부(311)에 형성된 제1 삽입홈(311A)에 전방 상부 수평 지지 바(211)의 우측단부가 삽입되어 제2 상부 연결구(320)의 제1 연결부(311)에 연결될 수 있고, 제2 상부 연결구(320)의 제2 연결부(312)에 형성된 제2 삽입홈(312A)에 우측 상부 수평 지지 바(214)의 전단부가 삽입되어 제2 상부 연결구(320)의 제2 연결부(311)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상부 연결구(320)의 제3 연결부(313)에 형성된 제3 삽입홈(313A)에 제2 사이드 수직 지지 바(232)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제2 상부 연결구(320)의 제3 연결부(313)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3 상부 연결구(330)의 제1 연결부(311)에 형성된 제1 삽입홈(311A)에 좌측 상부 수평 지지 바(213)의 후단부가 삽입되어 제3 상부 연결구(330)의 제1 연결부(311)에 연결될 수 있고, 제3 상부 연결구(330)의 제2 연결부(312)에 형성된 제2 삽입홈(312A)에 후방 상부 수평 지지 바(212)의 좌측단부가 삽입되어 제3 상부 연결구(330)의 제2 연결부(312)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3 상부 연결구(330)의 제3 연결부(313)에 형성된 제3 삽입홈(313A)에 제3 사이드 수직 지지 바(233)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제3 상부 연결구(330)의 제3 연결부(313)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4 상부 연결구(340)의 제1 연결부(311)에 형성된 제1 삽입홈(311A)에 우측 상부 수평 지지 바(214)의 후단부가 삽입되어 제4 상부 연결구(340)의 제1 연결부(311)에 연결될 수 있고, 제4 상부 연결구(340)의 제2 연결부(312)에 형성된 제2 삽입홈(312A)에 후방 상부 수평 지지 바(212)의 우측단부가 삽입되어 제4 상부 연결구(340)의 제2 연결부(312)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4 상부 연결구(340)의 제3 연결부(313)에 형성된 제3 삽입홈(313A)에 제4 사이드 수직 지지 바(234)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제4 상부 연결구(340)의 제3 연결부(313)에 연결될 수 있다.
4개의 하부 연결구(350, 360, 370, 380) 각각은 제4 연결부(351)와, 제5 연결부(352)와, 제6 연결부(3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연결부(351)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하부 수평 지지 바(221, 222, 223, 224) 각각의 끝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5 연결부(352)는 제4 연결부(351)와 직교되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하부 수평 지지 바(221, 222, 223, 224) 각각의 끝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6 연결부(353)는 제4 연결부(351) 및 제5 연결부(352)와 직교되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사이드 수직 지지 바(231, 232, 233, 234) 각각의 하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하부 돌출부(355)는 제6 연결부(353)와 반대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4 연결부(351)의 끝단에는 하부 수평 지지 바(221, 222, 223, 224) 각각의 끝단부가 삽입되는 제4 삽입홈(351A)이 형성될 수 있고, 제5 연결부(352)의 끝단에는 하부 수평 지지 바(221, 222, 223, 224) 각각의 끝단부가 삽입되는 제5 삽입홈(352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6 연결부(353)의 끝단에는 사이드 수직 지지 바(231, 232, 233, 234) 각각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제6 삽입홈(353A)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하부 연결구(350)의 제4 연결부(351)에 형성된 제4 삽입홈(351A)에 전방 하부 수평 지지 바(221)의 좌측단부가 삽입되어 제1 하부 연결구(350)의 제4 연결부(351)에 연결될 수 있고, 제1 하부 연결구(350)의 제5 연결부(352)에 형성된 제5 삽입홈(352A)에 좌측 하부 수평 지지 바(223)의 전단부가 삽입되어 제1 하부 연결구(350)의 제5 연결부(352)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하부 연결구(350)의 제6 연결부(353)에 형성된 제6 삽입홈(353A)에 제1 사이드 수직 지지 바(231)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제1 하부 연결구(350)의 제6 연결부(353)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하부 연결구(360)의 제4 연결부(351)에 형성된 제4 삽입홈(351A)에 전방 하부 수평 지지 바(221)의 우측단부가 삽입되어 제2 하부 연결구(360)의 제4 연결부(351)에 연결될 수 있고, 제2 하부 연결구(360)의 제5 연결부(352)에 형성된 제5 삽입홈(352A)에 우측 하부 수평 지지 바(224)의 전단부가 삽입되어 제2 하부 연결구(360)의 제5 연결부(352)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하부 연결구(360)의 제6 연결부(353)에 형성된 제6 삽입홈(353A)에 제2 사이드 수직 지지 바(232)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제2 하부 연결구(360)의 제6 연결부(353)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3 하부 연결구(370)의 제4 연결부(351)에 형성된 제4 삽입홈(351A)에 좌측 하부 수평 지지 바(223)의 후단부가 삽입되어 제3 하부 연결구(370)의 제4 연결부(351)에 연결될 수 있고, 제3 하부 연결구(370)의 제5 연결부(352)에 형성된 제5 삽입홈(352A)에 후방 하부 수평 지지 바(222)의 좌측단부가 삽입되어 제3 하부 연결구(370)의 제5 연결부(352)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3 하부 연결구(370)의 제6 연결부(353)에 형성된 제6 삽입홈(353A)에 제3 사이드 수직 지지 바(233)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제3 하부 연결구(370)의 제6 연결부(353)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4 하부 연결구(380)의 제4 연결부(351)에 형성된 제4 삽입홈(351A)에 우측 하부 수평 지지 바(224)의 후단부가 삽입되어 제4 하부 연결구(380)의 제4 연결부(351)에 연결될 수 있고, 제4 하부 연결구(380)의 제5 연결부(352)에 형성된 제5 삽입홈(352A)에 후방 하부 수평 지지 바(222)의 우측단부가 삽입되어 제4 하부 연결구(380)의 제5 연결부(352)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4 하부 연결구(380)의 제6 연결부(353)에 형성된 제6 삽입홈(353A)에 제4 사이드 수직 지지 바(234)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제4 하부 연결구(380)의 제6 연결부(353)에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뚜껑(2)에 대해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뚜껑을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뚜껑의 전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뚜껑(2)은 쓰레기통 본체(100)의 개구된 상면을 덮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사각판형의 유연한 플라스틱을 접어서 조립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뚜껑(2)은 도 9와 같이 전개된 상태에서 접힘선들(FL1, FL2, FL3, FL4, FL5, FL6, FL7, FL8, FL9, FL10)을 기준으로 접어서 조립함으로써, 도 8과 같이 조립된 뚜껑(2)이 제작될 수 있다.
뚜껑(2)은 하면이 개구된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면부(410)와, 제1 측면부(420)와, 제2 측면부(430)와, 제3 측면부(440)와, 제4 측면부(450)를 가질 수 있다.
제1 측면부(420) 및 제2 측면부(430)는 서로 대향 배치될 수 있고, 제3 측면부(440) 및 제4 측면부(450)는 서로 대향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측면부(430)는 제1 측면부(420)와 대향할 수 있고, 제4 측면부(450)는 제3 측면부(440)와 대향할 수 있다.
제3 측면부(440)는 제1 측면부(420)의 일단 및 제2 측면부(430)의 일단을 연결할 수 있고, 제4 측면부(450)는 제1 측면부(420)의 타단 및 제2 측면부(430)의 타단을 연결할 수 있다.
제1 측면부(420)는 전개된 상태에서, 상면부(410)와 제1 측면부(420) 사이에 배치된 제1 접힘선(FL1)을 기준으로 90도(DEG)로 접혀져서 형성될 수 있다.
제2 측면부(430)는 전개된 상태에서, 상면부(410)와 제2 측면부(430) 사이에 제1 접힘선(FL1)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2 접힘선(FL2)을 기준으로 90도(DEG)로 접혀져서 형성될 수 있다.
제3 측면부(440)는 전개된 상태에서, 제1 접힘선(FL1) 및 제2 접힘선(FL2)과 직교되게 배치된 제3 접힘선(FL3)을 기준으로 반으로 포개진 후, 상면부(410)와 제3 측면부(440) 사이에 제1 접힘선(FL1)의 일단 및 제2 접힘선(FL2)의 일단을 연결하여 배치된 제4 접힘선(FL4)을 기준으로 90도(DEG)로 접혀져서 형성되되, 제3 측면부(440)의 외측변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1 고정돌기(441)가, 제4 접힘선(F4)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1 절단선(442)에 각각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제4 측면부(450)는 전개된 상태에서, 제3 접힘선(FL3)과 평행되게 배치된 제5 접힘선(FL5)을 기준으로 반으로 포개진 후, 상면부(410)와 제4 측면부(450) 사이에 제1 접힘선(FL1)의 타단 및 제2 접힘선(FL2)의 타단을 연결하여 배치된 제6 접힘선(FL6)을 기준으로 90도(DEG)로 접혀져서 형성되되, 제4 측면부(450)의 외측변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2 고정돌기(451)가, 제6 접힘선(FL6)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2 절단선(452)에 각각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제1 측면부(420)의 일단에 제3 측면부(440)와 분리되어 형성된 제1 날개부(421)는, 제4 접힘선(FL4)의 일단에서 곧게 연장되는 제7 접힘선(FL7)을 기준으로 90도(DEG)로 접혀져서, 제3 측면부(440)가 반으로 포개질 때 제3 측면부(440)의 내부로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제1 측면부(420)의 타단에 제4 측면부(450)와 분리되어 형성된 제2 날개부(422)는, 제6 접힘선(FL6)의 일단에서 곧게 연장되는 제8 접힘선(FL8)을 기준으로 90도(DEG)로 접혀져서, 제4 측면부(450)가 반으로 포개질 때 제4 측면부(450)의 내부로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제2 측면부(430)의 일단에 제3 측면부(440)와 분리되어 형성된 제3 날개부(431)는, 제4 접힘선(FL4)의 타단에서 곧게 연장되는 제9 접힘선(FL9)을 기준으로 90도(DEG)로 접혀져서, 제3 측면부(440)가 반으로 포개질 때 제3 측면부(440)의 내부로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제2 측면부(430)의 타단에 제4 측면부(450)와 분리되어 형성된 제4 날개부(432)는, 제6 접힘선(FL6)의 타단에서 곧게 연장되는 제10 접힘선(FL10)을 기준으로 90도(DEG)로 접혀져서, 제4 측면부(450)가 반으로 포개질 때 제4 측면부(450)의 내부로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분리수거용 쓰레기통(1)은, 유연한 재질의 쓰레기통 본체(100)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지지 바(211, 212, 213, 214, 221, 222, 223, 224, 231, 232, 233, 234)를 복수개의 연결구(310, 320, 330, 340, 350, 360, 370, 380)로 연결하여 복수개의 지지 바(211, 212, 213, 214, 221, 222, 223, 224, 231, 232, 233, 234)를 통해 쓰레기통 본체(100)를 지지함으로써, 배송 또는 이송이 편하게 분해 및 조립을 쉽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활용쓰레기의 부피가 크더라도 유연한 재질의 쓰레기통 본체(100)에 담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분리수거용 쓰레기통(1)은, 복수개의 지지 바(211, 212, 213, 214, 221, 222, 223, 224, 231, 232, 233, 234)가 휘어졌다 복원되는 탄성력을 가지기 때문에, 유연한 재질의 쓰레기통 본체(100)의 내부에 수용되는 재활용쓰레기로 인한 쓰레기통 본체(100)의 배부름 현상을, 상기 탄성력을 이용하여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2 : 뚜껑
3 : 분리수거용 봉투 100 : 쓰레기통 본체
161, 162, 163, 164 : 상단 고리부
171, 172, 173, 174 : 하단 고리부
181, 182, 183, 184 : 사이드 고리부 191, 192 : 경사부
211, 212, 213, 214 : 상부 수평 지지 바
221, 222, 223, 224 : 하부 수평 지지 바
231, 232, 233, 234 : 사이드 수직 지지 바
310, 320, 330, 340 : 상부 연결구
350, 360, 370, 380 : 하부 연결구
315 : 상부 돌출부 355 : 하부 돌출부
410 : 상면부 420 : 제1 측면부
421 : 제1 날개부 422 : 제2 날개부
430 : 제2 측면부 431 : 제3 날개부
432 : 제4 날개부 440 : 제3 측면부
441 : 제1 고정돌기 442 : 제1 절단선
450 : 제4 측면부 451 : 제2 고정돌기
452 : 제2 절단선 FL1 : 제1 접힘선
FL2 : 제2 접힘선 FL3 : 제3 접힘선
FL4 : 제4 접힘선 FL5 : 제5 접힘선
FL6 : 제6 접힘선 FL7 : 제7 접힘선
FL8 : 제8 접힘선 FL9 : 제9 접힘선
FL10 : 제10 접힘선

Claims (7)

  1. 상면이 개구된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면 네 가장자리에 각각 수평으로 통하는 상단 고리부와, 하면 네 가장자리에 각각 수평으로 통하는 하단 고리부와, 측면들 사이의 네 모서리에 각각 수직으로 통하는 사이드 고리부가 형성되며, 유연한 재질의 쓰레기통 본체;
    각각의 상기 상단 고리부를 각각 관통하여, 수평으로 배치되는 4개의 상부 수평 지지 바;
    각각의 상기 하단 고리부를 각각 관통하여, 수평으로 배치되는 4개의 하부 수평 지지 바;
    각각의 상기 사이드 고리부를 각각 관통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는 4개의 사이드 수직 지지 바;
    상기 4개의 상부 수평 지지 바 각각의 끝단부를 각각 연결하고, 상기 4개의 사이드 수직 지지 바 각각의 상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4개의 상부 연결구; 및
    상기 4개의 하부 수평 지지 바 각각의 끝단부를 각각 연결하고, 상기 4개의 사이드 수직 지지 바 각각의 하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4개의 하부 연결구;를 포함하는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4개의 상부 수평 지지 바, 상기 4개의 하부 수평 지지 바 및 상기 4개의 사이드 수직 지지 바는 휘어졌다 복원되는 탄성력을 가지는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4개의 상부 수평 지지 바, 상기 4개의 하부 수평 지지 바 및 상기 4개의 사이드 수직 지지 바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4개의 상부 연결구 각각의 상측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상부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4개의 하부 연결구 각각의 하측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하부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돌출부에는 상기 쓰레기통 본체 내에 설치되는 분리수거용 봉투가 걸림되고,
    상기 하부 돌출부는 상기 쓰레기통 본체를 상기 쓰레기통 본체가 설치되는 장소의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시키는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통 본체에는, 각각의 상기 상단 고리부의 끝단과 각각의 상기 사이드 고리부의 상단을 잇는 부분과, 각각의 상기 하단 고리부의 끝단과 각각의 상기 사이드 고리부의 하단을 잇는 부분에, 경사부가 형성되는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통 본체의 하면은 각각의 상기 하단 고리부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면부와, 제1 측면부와, 상기 제1 측면부와 대향하는 제2 측면부와, 상기 제1 측면부의 일단 및 상기 제2 측면부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3 측면부와, 상기 제1 측면부의 타단 및 상기 제2 측면부의 타단을 연결하고 상기 제3 측면부와 대향하는 제4 측면부를 가져서, 상기 쓰레기통 본체의 개구된 상면을 덮는 뚜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부는 전개된 상태에서, 상기 상면부와 상기 제1 측면부 사이에 배치된 제1 접힘선을 기준으로 90도(DEG)로 접혀져서 형성되고,
    상기 제2 측면부는 전개된 상태에서, 상기 상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 사이에 상기 제1 접힘선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2 접힘선을 기준으로 90도(DEG)로 접혀져서 형성되며,
    상기 제3 측면부는 전개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접힘선 및 상기 제2 접힘선과 직교되게 배치된 제3 접힘선을 기준으로 반으로 포개진 후, 상기 상면부와 상기 제3 측면부 사이에 상기 제1 접힘선의 일단 및 상기 제2 접힘선의 일단을 연결하여 배치된 제4 접힘선을 기준으로 90도(DEG)로 접혀져서 형성되되, 상기 제3 측면부의 외측변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1 고정돌기가, 상기 제4 접힘선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1 절단선에 각각 삽입 고정되고,
    상기 제4 측면부는 전개된 상태에서, 상기 제3 접힘선과 평행되게 배치된 제5 접힘선을 기준으로 반으로 포개진 후, 상기 상면부와 상기 제4 측면부 사이에 상기 제1 접힘선의 타단 및 상기 제2 접힘선의 타단을 연결하여 배치된 제6 접힘선을 기준으로 90도(DEG)로 접혀져서 형성되되, 상기 제4 측면부의 외측변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2 고정돌기가, 상기 제6 접힘선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2 절단선에 각각 삽입 고정되며,
    상기 제1 측면부의 일단에 상기 제3 측면부와 분리되어 형성된 제1 날개부는, 상기 제4 접힘선의 일단에서 곧게 연장되는 제7 접힘선을 기준으로 90도(DEG)로 접혀져서, 상기 제3 측면부가 반으로 포개질 때 상기 제3 측면부의 내부로 삽입 배치되고,
    상기 제1 측면부의 타단에 상기 제4 측면부와 분리되어 형성된 제2 날개부는, 상기 제6 접힘선의 일단에서 곧게 연장되는 제8 접힘선을 기준으로 90도(DEG)로 접혀져서, 상기 제4 측면부가 반으로 포개질 때 상기 제4 측면부의 내부로 삽입 배치되며,
    상기 제2 측면부의 일단에 상기 제3 측면부와 분리되어 형성된 제3 날개부는, 상기 제4 접힘선의 타단에서 곧게 연장되는 제9 접힘선을 기준으로 90도(DEG)로 접혀져서, 상기 제3 측면부가 반으로 포개질 때 상기 제3 측면부의 내부로 삽입 배치되고,
    상기 제2 측면부의 타단에 상기 제4 측면부와 분리되어 형성된 제4 날개부는, 상기 제6 접힘선의 타단에서 곧게 연장되는 제10 접힘선을 기준으로 90도(DEG)로 접혀져서, 상기 제4 측면부가 반으로 포개질 때 상기 제4 측면부의 내부로 삽입 배치되는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KR1020220128124A 2022-10-06 2022-10-06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KR202400483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8124A KR20240048396A (ko) 2022-10-06 2022-10-06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8124A KR20240048396A (ko) 2022-10-06 2022-10-06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8396A true KR20240048396A (ko) 2024-04-15

Family

ID=90715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8124A KR20240048396A (ko) 2022-10-06 2022-10-06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839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5102B1 (ko) 2016-11-07 2019-01-04 김보경 복수의 분리수거용 봉투를 거치할 수 있으며, 개별 분리수거용 봉투를 거치하는 폭을 조절할 수 있는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5102B1 (ko) 2016-11-07 2019-01-04 김보경 복수의 분리수거용 봉투를 거치할 수 있으며, 개별 분리수거용 봉투를 거치하는 폭을 조절할 수 있는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15903A (en) Packaging system
US20050029260A1 (en) Soft storage bin
EP0940351A2 (en) Suspension package
US6497542B1 (en) Device for safe-keeping and transporting piece goods
US6920993B2 (en) Soft storage container with zip-fastened bottom
US20020003098A1 (en) Utility apron
US20100032328A1 (en) Deployable container for bottles or the like
US20060151583A1 (en) Folding collapsible rectangular storage box
WO2006065490A1 (en) Collapsible crate
US20120145709A1 (en) Collapsing Garbage Can
CN103946118A (zh) 用于袋子递送的系统和方法
KR20240048396A (ko)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KR20110007541U (ko) 접이식 수납함
US6789711B2 (en) Stable product holding and transporting system
US20160255954A1 (en) Authority controlled clothing locker for retaining and quickly exchanging inmate civilian and incarceration (jump suit) clothing such as prior to and following court appearances
KR200452223Y1 (ko) 접이형 상자
KR20190002315U (ko) 상품포장용 상자
US20040084448A1 (en) Collapsible container for storage
JP3117788U (ja) 袋保持具
US20090212097A1 (en) Nested Storage Box And Retrofit For Hanging File Folders
JP2020100430A (ja) 梱包材
JPH035588Y2 (ko)
JP7346814B2 (ja) 包装容器
CN219668730U (zh) 一种曲面屏显示器前端纸卡缓冲包装
KR101277459B1 (ko) 접이식 수납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