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4634B1 - 내하중이 강화된 플라스틱 봉지 카트리지 및 그것이 내장된 쓰레기통 - Google Patents

내하중이 강화된 플라스틱 봉지 카트리지 및 그것이 내장된 쓰레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4634B1
KR101784634B1 KR1020160147397A KR20160147397A KR101784634B1 KR 101784634 B1 KR101784634 B1 KR 101784634B1 KR 1020160147397 A KR1020160147397 A KR 1020160147397A KR 20160147397 A KR20160147397 A KR 20160147397A KR 101784634 B1 KR101784634 B1 KR 101784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ic bag
line
unit
unit plastic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7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정학
Original Assignee
장정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정학 filed Critical 장정학
Priority to KR1020160147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46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4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4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02Rolls, strips or like assemblies of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6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 B65F1/062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having means for storing or dispensing spare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B65F1/1415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for flexible receptables, e.g. bags, s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 플라스틱 봉지, 플라스틱 봉지 카트리지, 플라스틱 봉지 카트리지가 설치된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서 연속 플라스틱 봉지는, 길이방향을 따라 양쪽 측부에는 상호 대칭의 눕힌 M자 형태의 접힘부(M1, M2)가 있으며, 길이방향의 중앙부분을 따라 한쪽 측부를 다른 쪽 측부로 180도 개킨 상태에서, 입구 단부의 반대쪽 단부에는 밀봉 라인이 설치되어 있는 단위 플라스틱 봉지를 포함하고, 이 단위 플라스틱 봉지가 같은 규격으로 연속으로 이어지면서 롤 팩으로 감겨 있으며, 어떤 단위 플라스틱 봉지의 상기 밀봉 라인과 다음 이어지는 단위 플라스틱 봉지 사이에 절개 라인이 설치되며, 이 절개 라인이 절개됨으로써 단위 플라스틱 봉지가 분리될 때 다음 단위 플라스틱 봉지의 입구 단부가 개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하중이 강화된 플라스틱 봉지 카트리지 및 그것이 내장된 쓰레기통{PLASTIC BAG CARTRIDGE WITH LOAD-BEARING CAPACITY AND WASTEBASKE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플라스틱 봉지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쓰레기통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봉지, 다른 관점으로는 플라스틱 봉지를 사용한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쓰레기는 언제나 발생한다. 그러므로 사람들이 생활하는 곳마다 쓰레기통이 있다. 사람들은 쓰레기통에 플라스틱 봉지를 씌우고, 그 플라스틱 봉지 안에 쓰레기를 버린다. 그런 다음에 플라스틱 봉지를 쓰레기통에서 분리해서 그 안에 있는 쓰레기와 함께 처분한다. 플라스틱 봉지가 없다면 쓰레기로 말미암아 쓰레기통이 더러워져서 위생적으로 좋지 못하다. 또한 쓰레기를 버릴 때 불편하다. 이런 점 때문에 사람들은 사용하기 충분한 플라스틱 봉지를 원하며, 이런 니즈에 부응한 비닐팩 제품들이 시장에서 공급되고 있다.
그런데 쓰레기통용 플라스틱 봉지를 구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때의 당혹감은 아마도 만인의 경험일 것이다. 그래서 만약 쓰레기통 안에 플라스틱 봉지가 내장되어 있다면 훨씬 편하지 않을까라는 발상이 자연스럽게 생겼다. 예컨대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20-443070호(특허문헌 1)와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468598호(특허문헌 2)가 그런 아이디어이다.
특허문헌 1의 도 5(본 명세서의 도면이 아니다)과 특허문헌 2의 도 3(본 명세서의 도면이 아니다)의 플라스틱 봉지 롤팩을 쓰레기통에 내장해서 사용한다면, 사용자가 플라스틱 봉지를 찾기 위해서 노력할 필요가 없다는 해결책을 종래기술은 제안했다.
그러나 쓰레기통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서 위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예견하지 못한 문제가 발견되었다. 쓰레기통의 용량이 커지면 자연스럽게 쓰레기통에 사용하는 플라스틱 봉지의 용량도 커진다. 그러면 그 플라스틱 봉지가 견뎌야 하는 쓰레기의 하중도 커질 수밖에 없다. 내하중이 문제가 된다. 종래기술의 플라스틱 봉지는 하중이 커질수록 쉽게 찢어지고 만다. 특히 병이나 캔 등의 무거운 쓰레기들이 투입돼서 그 양이 많아지면 아랫부분이 터진다. 아래쪽 밀봉라인은 매우 취약하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특별한 조치를 사용자에게 요구할 수는 없다. 예컨대 플라스틱 봉지 두 개를 동시에 사용하든가 혹은 무거운 쓰레기는 쓰레기통에 넣지 말도록 사용자에게 요구하는 것이다. 하지만 사용자의 관심은 가능한 한 간편하게 쓰레기 봉지를 사용하려는 것이지 조심해서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재질의 강도를 강하게 하는 것도 하나의 방편이 되겠다. 그러나 그러면 가격이 올라간다. 쓰레기 봉지도 쓰레기다. 쓰레기에 더 큰 비용을 지불하려는 사용자는 필경 없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심하고 시행착오를 반복한 끝에 이제까지의 플라스틱 봉지 개념과 쓰레기통 개념을 뛰어넘어 근본적으로 다른 접근을 해야만 한다는 사실을 깨달으면서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쓰레기통에 내장되어 사용하는 새로운 개념의 플라스틱 봉지 카트리지를 제안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에 없던 신규한 플라스틱 봉지 카트리지를 내장한 쓰레기통을 제안함에 있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을 설명한다면, 다음과 같은 플라스틱 봉지를 제안하려는 것이다:
첫째, 본 발명은 용적이 커졌음에도 내하중은 오히려 강화된 플라스틱 봉지를 구현하고자 한다. 펼쳤을 때 길이가 500~1,000mm이고, 지름이 200~500mm 크기의 플라스틱 봉지 제작을 염두에 두었다.
둘째, 제조 단가가 저렴해야 한다. 플라스틱 봉지 재료의 조성물의 선택과 변경은 제조 단가의 상승을 불러올 우려가 있으므로, 구조적 개선만으로 내하중을 강화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로써 플라스틱 봉지가 내장된 쓰레기통의 대중화를 더욱 도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국면은, 연속 플라스틱 봉지로서:
길이방향을 따라 양쪽 측부에는 상호 대칭의 눕힌 M자 형태의 접힘부(M1, M2)가 있으며, 길이방향의 중앙부분을 따라 한쪽 측부를 다른 쪽 측부로 180도 개킨 상태에서, 입구 단부의 반대쪽 단부에는 밀봉 라인이 설치되어 있는 단위 플라스틱 봉지를 포함하고, 이 단위 플라스틱 봉지가 같은 규격으로 연속으로 이어지면서 롤 팩으로 감겨 있으며, 어떤 단위 플라스틱 봉지의 상기 밀봉 라인과 다음 이어지는 단위 플라스틱 봉지 사이에 절개 라인이 설치되며, 이 절개 라인이 절개됨으로써 단위 플라스틱 봉지가 분리될 때 다음 단위 플라스틱 봉지의 입구 단부가 개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국면은 연속 플라스틱 봉지로서:
길이방향을 따라 양쪽 측부에는 상호 대칭의 눕힌 M자 형태의 접힘부(M1, M2)가 있으며, 길이방향의 중앙부분을 따라 한쪽 측부를 다른 쪽 측부로 180도 개킨 상태에서, 입구 단부의 반대쪽 단부에는 밀봉 라인이 설치되어 있는 단위 플라스틱 봉지를 포함하고, 이 단위 플라스틱 봉지가 같은 규격으로 연속으로 이어지면서 상기 밀봉 라인의 위치가 180도씩 바뀌면서 개켜져 있으며, 어떤 단위 플라스틱 봉지의 상기 밀봉 라인과 다음 이어지는 단위 플라스틱 봉지 사이에 절개 라인이 설치되며, 이 절개 라인이 절개됨으로써 단위 플라스틱 봉지가 분리될 때 다음 단위 플라스틱 봉지의 입구 단부가 개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국면은 연속 플라스틱 봉지 카트리지에 관한다. 본 발명은 길이방향을 따라 양쪽 측부에는 상호 대칭의 눕힌 M자 형태의 접힘부(M1, M2)가 있으며, 길이방향의 중앙부분을 따라 한쪽 측부를 다른 쪽 측부로 180도 개킨 상태에서, 입구 단부의 반대쪽 단부에는 밀봉 라인이 설치되어 있는 단위 플라스틱 봉지를 포함하고, 이 단위 플라스틱 봉지가 같은 규격으로 연속으로 이어지면서 롤 팩으로 감겨 있거나, 상기 밀봉 라인의 위치가 180도씩 바뀌면서 개켜져 있는 상태의 연속 플라스틱 봉지카트리지로서,
어떤 단위 플라스틱 봉지의 상기 밀봉 라인과 다음 이어지는 단위 플라스틱 봉지 사이에 절개라인이 설치되며, 이 절개라인이 절개됨으로써 단위 플라스틱 봉지가 분리될 때 다음 단위 플라스틱 봉지의 입구 단부가 개봉되도록 포장되어 있으며, 쓰레기통에 교체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단위 플라스틱 봉지가 쓰레기통에서 분리될 때 다음 플라스틱 봉지가 개봉되어 쓰레기통에 설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 국면은 하나 이상의 플라스틱 봉지 카트리지가 수납되어 있는 쓰레기통으로서:
길이방향을 따라 양쪽 측부에는 상호 대칭의 눕힌 M자 형태의 접힘부(M1, M2)가 있으며, 길이방향의 중앙부분을 따라 한쪽 측부를 다른 쪽 측부로 180도 개킨 상태에서, 입구 단부의 반대쪽 단부에는 밀봉 라인이 설치되어 있는 단위 플라스틱 봉지를 포함하고, 이 단위 플라스틱 봉지가 같은 규격으로 연속으로 이어지면서, 어떤 단위 플라스틱 봉지의 상기 밀봉 라인과 다음 이어지는 단위 플라스틱 봉지 사이에 절개 라인이 설치되며, 이 절개 라인이 절개됨으로써 단위 플라스틱 봉지가 분리될 때 다음 단위 플라스틱 봉지의 입구 단부가 개봉되도록 포장되어 있는 플라스틱 봉지 카트리지가 쓰레기통 하부에 교체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쓰레기통 상부 입구의 대향하는 양 사이드에는 상기 플라스틱 봉지 카트리지로부터 공급되는 단위 플라스틱 봉지의 입구를 고정할 수 있는 복수의 돌출부들로 구성된 돌출부 라인이 설치되어 있는, 플라스틱 봉지 카트리지가 수납되어 있는 쓰레기통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있어서 쓰레기통은, 상기 플라스틱 봉지 카트리지는 단위 플라스틱 봉지가 롤 팩으로 감겨 있거나, 상기 밀봉 라인의 위치가 180도씩 바뀌면서 개켜져 있는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통 상부 입구의 대향하는 양 사이드의 돌출부 라인 평면에는 상기 단위 플라스틱 봉지의 입구를 고정하는 힘을 강화하기 위한 점착제 필름이 부착되어 있는 것이 좋다.
위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해서 본 발명의 목적이 용이하게 달성되었다. 플라스틱 봉지의 용적이 커졌음에도 내하중은 오히려 강화되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롤 팩으로 이루어진 연속 플라스틱 봉지(3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단위 플라스틱 봉지(10)의 접힌 상태의 평면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연속 플라스틱 봉지(30)를 구성하는 단위 플라스틱 봉지(10)의 입구 쪽 구성과 접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접힌 상태의 단위 플라스틱 봉지(10)의 입구라인(11)의 특징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밀봉라인(18)에 의해서 분리된 단위 플라스틱 봉지(10) 내부의 하부 중앙에 생기는 지지 파티션(14, 15, 16, 17)의 구성을 대략적으로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쓰레기통의 상부 입구에 서로 대향하여 사이드에 설치되는 돌출부라인(200)의 구성 예를 나타낸다.
도 9는 쓰레기통(100)에서 본 발명의 플라스틱 봉지 카트리지의 단위 쓰레기통 봉지(131, 132, 133, 134)의 사용 상태도이다.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플라스틱 봉지 카트리지는 그것만으로 독립된 제품으로 포장되어 판매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쓰레기통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봉지 카트리지의 롤 팩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하고 있다.
상하가 개방된 종이재 원통(40)을 중심으로 이하에서 설명하는 단위 플라스틱 봉지(10)가 연속으로 이어져서 감긴 형태이다. 그리고 스티커(50)로 최초 단위 플라스틱 봉지(10)가 롤 팩(30)에 고정되어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봉지 롤 팩(30)은 두루마리 휴지(toilet paper roll)와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플라스틱 봉지 카트리지는 클리넥스(Kleenex) 티슈처럼 단위 플라스틱 봉지(10)가 연속으로 개켜져서 하나씩 뽑아서 사용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두 가지 실시예의 플라스틱 봉지 카트리지는 단위 플라스틱 봉지(10) 연속되는 플라스틱 봉지로서 단위 플라스틱 봉지(10)의 구성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므로 단위 플라스틱 봉지(1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단위 플라스틱 봉지(10)의 평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단위 플라스틱 봉지(10)는 대략 직사각형의 구조를 갖는다는 점, 길이방향의 양쪽 단부, 즉 입구와 절취 단부(end)는 사실상 같은 구성이라는 점, 이들 단부와 평행하게 밀봉되는 밀봉라인이 있다는 구성은 종래의 플라스틱 봉지와 실질적으로 차이가 없다. 그러나 이하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길이방향의 양쪽 측부에 접힘부가 형성되며, 이중/삼중 개킴 구성을 이룬 상태에서 연속되는 플라스틱 부재에 밀봉라인과 절개라인을 순차적으로 설치하는 본원의 특유의 구성은 종래기술에서는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기술이었다.
분리수거 용도의 쓰레기 봉지로서 그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500~1000mm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700mm의 길이를 택해서 제작해 보았다. 펼쳤을 때의 입구 너비는 450mm로 제작하였다. 그러나 도 2는 너비 방향으로 여러 번 포개져 있는 상태이며, 이 상태의 너비는 110~120mm 정도 되도록 하였다. 더 작을 수도 있고 더 클 수도 있다.
도 2에 나타난 것처럼, 단위 플라스틱 봉지(10)의 입구 라인(11)은 개방되어 있으며, 그 반대 쪽은 밀봉라인(18)에 의해서 밀봉되어 있다. 그런데 이 단위 플라스틱 봉지(10)가 너비 방향으로 여러 번 포개져 있기 때문에 입구 라인(11)은 거의 지그재그 형태(정확하게는 도 3 내지 도 5를 통해서 다시 설명할 것이다)를 갖는다. 반면 밀봉라인(18)에 대해서는 도 6을 통해서 언급되겠으나, 밀봉라인(18)으로 말미암아 복수의 지지 파티션이 설치된다.
단위 플라스틱 봉지(10)의 엔드 라인(end line)(19)는 도시되지 않은 절개라인 한 편을 구성한다. 절개라인의 다른 편은 이어지는 다른 단위 플라스틱 봉지(10)의 입구 라인(11)을 구성한다. 즉 제 1 단위 플라스틱 봉지의 엔드 라인(19)는 그것과 이어지는 제 2 단위 플라스틱 봉지의 입구 라인(11)이며, 이것이 절개돼서 분리되기 전에는 절개라인으로 이어져 있다. 연속 플라스틱 봉지 형태로 이루어지는 플라스틱 봉지 카트리지의 모든 단위 플라스틱 봉지(10)의 구성은 동일하다. 또한 입구 라인(11)의 구성을 우리가 이해할 수 있다면, 플라스틱 봉지 카트리지의 구성 전체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거나 분석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보자. 도 3은 단위 플라스틱 봉지(10)의 입구 라인(11) 부근 구성을 확대해서 나타내었다. 단위 플라스틱 봉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쪽 측부에는 접힘부(M1, M2)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접힘부(M1, M2)는,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입구를 조금 벌려 놓고서 위에서 바라보는 평면이 대략 M자 형태를 이룬다. 한 쌍의 접힘부(M1, M2)의 형태는 대칭적이다. 그러므로 우측의 접힘부(M2)가 M자 형태라면 좌측의 접힘부(M1)은 반전된 M자 형태를 이룬다. 여기서 M자 형태라 함은, 알파벳 M과의 정확히 일치를 뜻하는 것은 아니며, 플라스틱 봉지 시트가 길이방향을 따라 양쪽 측부에서 접혀 있다는 구성을 언어로 표현하기 위해 차용한 것이다. 사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것처럼, 플라스틱 봉지는 형상유지력이 없고 포개진 상태로 포장되기 때문에 부재는 밀착되어 있다. 손으로 입구를 살짝 벌려놓고 관찰하여야만 M자 형태가 됨을, 당연하지만 첨언한다.
연속 플라스틱 봉지의 규격은 모두 동일하기 때문에, 도 3과 같은 구성은 길이방향으로 이어지는 모든 플라스틱 봉지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입구 라인에 특징점 8개를 표시하였다. 좌측의 접힘부(M1)의 입구 라인(11)에서는 5, 9, 8, 7, 5로 이어진다. 우측의 접힘부(M2)의 입구 라인(11)에서는 5, 1, 2, 3, 5로 이어진다. 특징점 2와 특징점 8 사이의 거리의 크기는 M자 형태에 영향을 미치며, 또한 쓰레기 봉지의 용적에도 영향을 미친다. 더 큰 용적을 원한다면 특징점 2와 특징점 8 사이의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0~10mm인 것이 좋다. 사이 거리가 0이어도 형태유지력이 없는 재료 특성 때문에 포개지는 데에는 문제가 없다.
한편, 이들 특징점 중에서 특징점 5는 두 개의 특징점에 부여되어 있다. 그 까닭이 아래와 같다.
도 3의 상태에서 길이방향의 중앙부분(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을 기준으로 접어서, 부재의 우측 부분(10b)을 좌측 부분(10a)으로 180° 포개서 개킨다. 이렇게 되면 두 개의 특징점(5, 5)이 하나의 특징점(5)이 된다.
도 5는 입구 라인(11)을 확대해서 조금 더 자연스럽게 표현하였다. 단위 플라스틱 봉지(10)의 완전히 접혀 있는 입구 라인(11)을 특징점 3에서 살짝 잡아서 벌린 상태를 나타낸다. 특징점(5(미도시), 9, 8, 7, 5로 이어지는 입구 라인 부분이 도 3의 부재의 좌측 부분(10a)에 해당한다. 그리고 특징점(5(미도시), 3, 2, 1)로 이어지는 입구 라인 부분이 도 3에서 나타난 부재의 우측 부분(10b)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단위 플라스틱 봉지(10)를 플라스틱 봉지 카트리지인 롤 팩(30)에서 분리해서 사용한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절개라인(도 2의 19)을 따라 단위 플라스틱 봉지(10)를 롤 팩(30)에서 분리하게 된다. 밀봉라인(18)에 의해서 한쪽은 막혀 있고, 다른 한 쪽은 입구라인(11)으로 개방되어 있다. 쓰레기 봉지가 만들어진 것이다. 입구라인(11)은 이미 설명했다. 밀봉라인(18)의 내부 구성은 어떻게 되어 있는지가 중요하다. 왜냐하면 플라스틱 봉지 안으로 투입되는 쓰레기에 대한 하중은 입구쪽 의 문제가 아니라 밀봉라인(18)이 있는 플라스틱 봉지의 하부 구성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다시 한 번 설명하자. 단위 플라스틱 봉지(10)의 부재 양쪽에 M자 형태의 접힙부(M1, M2)를 형성한다. 도3 내지 도 5의 관점으로 말하자면, 특징점 8의 길이방향 라인과 특징점 2의 길이방향 라인이 생기도록 안쪽으로 접어 넣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2개의 접힘부가 만들어졌다. 이런 상태에서 도 3에서 보는 것처럼 중앙부분에서 180° 포개서 접는다. 그러면 2×2, 4개의 접힘부가 만들어지게 된다. 이런 접힘 상태는 플라스틱 봉지 부재 전체에 적용된다. 그런 다음에 미리 정해진 간격마다 밀봉라인과 절개라인을 부여한다. 절개라인에 의해서 발생하는 입구 구조에 관해서는 도 3 내지 도 5에서 충분히 설명했다. 밀봉라인에 의해서 생기는 내부 구조는 어떻게 될까
도 6은 이에 대해서 답변한다. 4개의 접힘부가 있는 상태에서 부재에 밀봉라인을 설치했기 때문에, 단위 플라스틱 봉지(10)의 하부에는 4개의 지지 파티션(14, 15, 16, 17)이 설치된다. 그리고 사이사이에 4개의 계곡(o, p, q, r)이 형성된다. 이 지지 파티션의 높이는 밀봉라인의 길이를 뜻한다. 또한 그것은 상기 단위 플라스틱 봉지(10)가 롤 팩에 감긴 상태, 즉 포개진 상태의 너비에 대응한다. 대략 110~120mm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 파티션(14, 15, 16, 17)이 플라스틱 봉지(10) 하부 중앙에 산처럼 솟아 있는 구조이다. 4개의 방향에서 밀봉라인이 수직 방향으로 솟아 있고, 이런 부분이 투입되는 쓰레기의 하중에 대한 저항력을 향상시킨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밀봉라인이 4개의 내하중 부재를 만든 것이다. 더욱이 플라스틱 봉지 하부 중앙에 형성된 4개의 지지 파티션(14, 15, 16, 17)으로 말미암아, 플라스틱 봉지 아랫 쪽 중앙에 형태 유지력이 부여되었다. 소량의 가벼운 쓰레기를 버릴 때에 도움이 된다.
.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100)의 구성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320은 손잡이이며, 330은 쓰레기통 걸이이다.
도 7은 이 쓰레기통 바디(110) 아래쪽에는 카트리지 수용대(310)가 설치된다. 카트리지 수용대(310)에는 4개의 홈으로 이루어진 수용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수용부에 도 1의 롤 팩 플라스틱 봉지(30) 4개가 플라스틱 봉지 카트리지로서 교체 가능하게 각각 설치된다. 롤 팩을 여기에 설치한 다음에 첫 번째 단위 플라스틱 봉지를 롤 팩에서 인출한 다음에 "다음 단위 플라스틱 봉지와 이어진 상태에서" 쓰레기통(100) 상부의 형성된 돌출부 라인(200)의 돌출부(230)에 단위 플라스틱 봉지의 입구를 걸어 고정한다.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돌출부(230)는 대략 사선으로 아래쪽을 향하고 있고, 그럼으로써 쓰레기통 바디(110와 돌출부(230) 사이의 홈에 플라스틱 봉지의 입구라인이 걸리도록 한다. 또한 상기 쓰레기통(100) 상부 입구의 대향하는 양 사이드의 돌출부 라인(200) 평면(220)에는 상기 단위 플라스틱 봉지의 입구를 고정하는 힘을 강화하기 위한 점착제 필름(120)을 부착한다. 이 점착제 필름(120)에 플라스틱 봉지가 점착됨과 동시에, 입구라인이 돌출부(230)에 걸리도록 이중화함으로써 쓰레기 하중에 의해서 플라스틱 봉지가 쓰레기통(100) 안으로 밀리지 않도록 한다.
그렇게 해서 4개의 플라스틱 봉지 카트리지로부터 공급되는 4개의 단위 플라스틱 봉지(131, 132, 133, 134)가 설치된 상태를 도 9가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의 플라스틱 봉지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단위 플라스틱 봉지마다 입구라인 근방에 하나 이상의 손잡이부를 설치할 수도 있다. 연속 플라스틱 봉지를 제작할 때에 단위 플라스틱 봉지마다 하나 이상의 손가락이 들어갈 수 있는 구멍을 내서 하나 이상의 손잡이부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완전히 구멍을 내는 것이 아니라, 손잡이부에 해당하는 절개라인를 부여해서 사용 시에 사용자가 절개라인을 따라 부재를 떼어내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손잡이부를 단위 플라스틱 봉지마다 설치함으로써 도 9와 같이 단위 플라스틱 봉지(131, 132, 133, 134)를 쓰레기통에 고정할 때에 그 손잡이부를 돌출부(230)에 걸어놓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손잡이부를 파지해서 쓰레기를 옮기기에도 편리하다.
.
한편, 플라스틱 봉지의 구체적인 조성과 공정 프로세스에 의해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Claims (6)

  1. 길이방향을 따라 양쪽 측부에는 상호 대칭의 눕힌 M자 형태의 접힘부(M1, M2)가 있으며, 길이방향의 중앙부분을 따라 한쪽 측부를 다른 쪽 측부로 180도 개킨 상태에서, 입구 단부의 반대쪽 단부에는 밀봉 라인이 설치되어 있는 단위 플라스틱 봉지를 포함하고, 이 단위 플라스틱 봉지가 같은 규격으로 연속으로 이어지면서 롤 팩으로 감겨 있으며, 어떤 단위 플라스틱 봉지의 상기 밀봉 라인과 다음 이어지는 단위 플라스틱 봉지 사이에 절개 라인이 설치되며, 이 절개 라인이 절개됨으로써 단위 플라스틱 봉지가 분리될 때 다음 단위 플라스틱 봉지의 입구 단부가 개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플라스틱 봉지.
  2. 길이방향을 따라 양쪽 측부에는 상호 대칭의 눕힌 M자 형태의 접힘부(M1, M2)가 있으며, 길이방향의 중앙부분을 따라 한쪽 측부를 다른 쪽 측부로 180도 개킨 상태에서, 입구 단부의 반대쪽 단부에는 밀봉 라인이 설치되어 있는 단위 플라스틱 봉지를 포함하고, 이 단위 플라스틱 봉지가 같은 규격으로 연속으로 이어지면서 상기 밀봉 라인의 위치가 180도씩 바뀌면서 개켜져 있으며, 어떤 단위 플라스틱 봉지의 상기 밀봉 라인과 다음 이어지는 단위 플라스틱 봉지 사이에 절개 라인이 설치되며, 이 절개 라인이 절개됨으로써 단위 플라스틱 봉지가 분리될 때 다음 단위 플라스틱 봉지의 입구 단부가 개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플라스틱 봉지.
  3. 길이방향을 따라 양쪽 측부에는 상호 대칭의 눕힌 M자 형태의 접힘부(M1, M2)가 있으며, 길이방향의 중앙부분을 따라 한쪽 측부를 다른 쪽 측부로 180도 개킨 상태에서, 입구 단부의 반대쪽 단부에는 밀봉 라인이 설치되어 있는 단위 플라스틱 봉지를 포함하고, 이 단위 플라스틱 봉지가 같은 규격으로 연속으로 이어지면서 롤 팩으로 감겨 있거나, 상기 밀봉 라인의 위치가 180도씩 바뀌면서 개켜져 있는 상태의 연속 플라스틱 봉지카트리지로서,
    어떤 단위 플라스틱 봉지의 상기 밀봉 라인과 다음 이어지는 단위 플라스틱 봉지 사이에 절개라인이 설치되며, 이 절개라인이 절개됨으로써 단위 플라스틱 봉지가 분리될 때 다음 단위 플라스틱 봉지의 입구 단부가 개봉되도록 포장되어 있으며, 쓰레기통에 교체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단위 플라스틱 봉지가 쓰레기통에서 분리될 때 다음 플라스틱 봉지가 개봉되어 쓰레기통에 설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봉지 카트리지.
  4. 하나 이상의 플라스틱 봉지 카트리지가 수납되어 있는 쓰레기통으로서:
    길이방향을 따라 양쪽 측부에는 상호 대칭의 눕힌 M자 형태의 접힘부(M1, M2)가 있으며, 길이방향의 중앙부분을 따라 한쪽 측부를 다른 쪽 측부로 180도 개킨 상태에서, 입구 단부의 반대쪽 단부에는 밀봉 라인이 설치되어 있는 단위 플라스틱 봉지를 포함하고, 이 단위 플라스틱 봉지가 같은 규격으로 연속으로 이어지면서, 어떤 단위 플라스틱 봉지의 상기 밀봉 라인과 다음 이어지는 단위 플라스틱 봉지 사이에 절개 라인이 설치되며, 이 절개 라인이 절개됨으로써 단위 플라스틱 봉지가 분리될 때 다음 단위 플라스틱 봉지의 입구 단부가 개봉되도록 포장되어 있는 플라스틱 봉지 카트리지가 쓰레기통 하부에 교체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쓰레기통 상부 입구의 대향하는 양 사이드에는 상기 플라스틱 봉지 카트리지로부터 공급되는 단위 플라스틱 봉지의 입구를 고정할 수 있는 복수의 돌출부들로 구성된 돌출부 라인이 설치되어 있는,
    플라스틱 봉지 카트리지가 수납되어 있는 쓰레기통.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봉지 카트리지는 단위 플라스틱 봉지가 롤 팩으로 감겨 있거나, 상기 밀봉 라인의 위치가 180도씩 바뀌면서 개켜져 있는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봉지 카트리지가 수납되어 있는 쓰레기통.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통 상부 입구의 대향하는 양 사이드의 돌출부 라인 평면에는 상기 단위 플라스틱 봉지의 입구를 고정하는 힘을 강화하기 위한 점착제 필름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KR1020160147397A 2016-11-07 2016-11-07 내하중이 강화된 플라스틱 봉지 카트리지 및 그것이 내장된 쓰레기통 KR101784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397A KR101784634B1 (ko) 2016-11-07 2016-11-07 내하중이 강화된 플라스틱 봉지 카트리지 및 그것이 내장된 쓰레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397A KR101784634B1 (ko) 2016-11-07 2016-11-07 내하중이 강화된 플라스틱 봉지 카트리지 및 그것이 내장된 쓰레기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4634B1 true KR101784634B1 (ko) 2017-10-12

Family

ID=60139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7397A KR101784634B1 (ko) 2016-11-07 2016-11-07 내하중이 강화된 플라스틱 봉지 카트리지 및 그것이 내장된 쓰레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463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5102B1 (ko) 2016-11-07 2019-01-04 김보경 복수의 분리수거용 봉투를 거치할 수 있으며, 개별 분리수거용 봉투를 거치하는 폭을 조절할 수 있는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KR20190036128A (ko) * 2017-09-27 2019-04-04 장정학 위생성이 강화된 쓰레기통
WO2019066322A1 (ko) * 2017-09-27 2019-04-04 장정학 내하중이 강화된 쓰레기통
KR20190036127A (ko) * 2017-09-27 2019-04-04 장정학 내하중이 강화된 쓰레기통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868Y1 (ko) 2002-01-12 2002-03-23 김영화 비닐봉투
JP2015054761A (ja) 2013-09-12 2015-03-23 株式会社ケミカルジャパン 切り取り式袋テープ、袋ロールおよび袋ロールの使用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868Y1 (ko) 2002-01-12 2002-03-23 김영화 비닐봉투
JP2015054761A (ja) 2013-09-12 2015-03-23 株式会社ケミカルジャパン 切り取り式袋テープ、袋ロールおよび袋ロールの使用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5102B1 (ko) 2016-11-07 2019-01-04 김보경 복수의 분리수거용 봉투를 거치할 수 있으며, 개별 분리수거용 봉투를 거치하는 폭을 조절할 수 있는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KR20190036128A (ko) * 2017-09-27 2019-04-04 장정학 위생성이 강화된 쓰레기통
WO2019066322A1 (ko) * 2017-09-27 2019-04-04 장정학 내하중이 강화된 쓰레기통
KR20190036127A (ko) * 2017-09-27 2019-04-04 장정학 내하중이 강화된 쓰레기통
KR102049921B1 (ko) 2017-09-27 2019-11-28 장정학 위생성이 강화된 쓰레기통
KR102049920B1 (ko) 2017-09-27 2019-11-28 장정학 내하중이 강화된 쓰레기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4634B1 (ko) 내하중이 강화된 플라스틱 봉지 카트리지 및 그것이 내장된 쓰레기통
US6543642B1 (en) Disposable glove dispenser system
CA2746822C (en) Disposable storage bags
JPH0398848A (ja) 簡易開放型可撓性箱
CA2374695A1 (en) Flexible bags having enhanced capacity and enhanced stability in use
CN106414260A (zh) 用于堆叠的湿润擦拭物的具有柄部的可再填充、柔性分配器
KR101935102B1 (ko) 복수의 분리수거용 봉투를 거치할 수 있으며, 개별 분리수거용 봉투를 거치하는 폭을 조절할 수 있는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RU2288153C2 (ru) Упаковка для одноразовых предметов
JP5858682B2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包装体
WO2017188979A2 (en) Flexible dispenser for compact stack of folded tissues
JP2021500284A (ja) バッグロールカセットおよび使用方法
US20070239127A1 (en) Disposal wrapper for used feminine products
KR20170106729A (ko) 편리한 입구 고정과 확대된 용적을 갖는 비닐봉지 카트리지 및 그것이 내장된 쓰레기통
US20150023614A1 (en) Flexible Pouches for Goods on a Roll
KR102049920B1 (ko) 내하중이 강화된 쓰레기통
JP2005088970A (ja) シート状物の収容製品
JP2001058650A (ja) 衛生用品等の包装袋
KR20190036128A (ko) 위생성이 강화된 쓰레기통
KR20120102407A (ko) 사각 바닥구조의 포장상자 수납형 비닐봉지
US20200277136A1 (en) Wastebasket with enhanced load-bearing capacity
CN214325619U (zh) 一种茶叶包装盒
JP3093738U (ja) ポリ袋用ポリエチレン製パッケージ
KR200319234Y1 (ko) 내용물 배출이 용이한 파우치 구조
US2011017483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disposable cup
KR200338879Y1 (ko) 직육면체형 포장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