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0648A -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 및 치료물질 운반키트 - Google Patents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 및 치료물질 운반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0648A
KR20180050648A KR1020187004291A KR20187004291A KR20180050648A KR 20180050648 A KR20180050648 A KR 20180050648A KR 1020187004291 A KR1020187004291 A KR 1020187004291A KR 20187004291 A KR20187004291 A KR 20187004291A KR 20180050648 A KR20180050648 A KR 20180050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apeutic substance
tube
therapeutic
fixing nut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4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9368B1 (ko
Inventor
마사노리 마에다
노부오 카나이
유스케 후지이
마사유키 야마토
마코토 아베
Original Assignee
각코우 호우진 도쿄 죠시 이카다이가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각코우 호우진 도쿄 죠시 이카다이가꾸 filed Critical 각코우 호우진 도쿄 죠시 이카다이가꾸
Publication of KR20180050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0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9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9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02Balloon catheters characterised by balloon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61F2/958Inflatable balloons for placing stents or stent-graf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61K9/0024Solid, semi-solid or solidifying implants, which are implanted or injected in body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87Galenical forms not covered by A61K9/02 - A61K9/7023
    • A61K9/0092Hollow drug-filled fibres, tubes of the core-shell type, coated fibres, coated rods, microtubules or nano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18Balloon inflating or inflation-control devices
    • A61M25/10184Means for controlling or monitoring inflation or def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9/00Dilators with or without means for introducing media, e.g. remedies
    • A61M29/02Dilators made of swell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69Devices for implanting pellets, e.g. markers or solid medic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29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mounted on an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3Steerable
    • A61B2017/00305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flexibl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969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used for transpla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217/00General characteristics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217/002Auxiliary appliance
    • A61B2217/005Auxiliary appliance with suction drainag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217/00General characteristics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217/002Auxiliary appliance
    • A61B2217/007Auxiliary appliance with irrigation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74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openable, closable, expandable or deformable
    • A61M2025/0079Separate user-activated means, e.g. guidewires, guide tubes, balloon catheters or sheaths, for sealing off an orifice, e.g. a lumen or side holes, of a cath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82Catheter tip comprising a tool
    • A61M2025/0096Catheter tip comprising a tool being laterally outward extensions or tools, e.g. hooks or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025/104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 A61M2025/105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having a balloon suitable for drug delivery, e.g. by using holes for delivery, drug coating or membr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025/104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 A61M2025/1054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having detachable or disposable ballo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025/104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 A61M2025/1077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having a system for expelling the air out of the balloon before inflation and 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anotechn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료물질을 생체관 내의 원하는 위치에 운반하기 위한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로서, 치료물질 재치부와, 상기 치료물질 재치부에 접속된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에 접속된 송배기관을 구비하고, 상기 치료물질 재치부가, 오목부가 형성된 본체부, 탄성막, 및 접속관을 가지며, 상기 커넥터가, 이음매 본체, 상기 이음매 본체의 타단부측에 고정된 플랜지부 그리고 상기 이음매 본체가 삽입통과된 고정용 너트를 구비하고, 상기 이음매 본체가 튜브 저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용 너트의 내벽의 적어도 일부가 암나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 및 치료물질 운반키트
본 발명은,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치료물질 운반키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재생의료분야의 발전이 현저하여, 질환을 가지는 다양한 장기나 조직을 재생시키는 방법이 모색되고 있다. 질환이나 창상을 가지는 장기나 조직에 대하여, 치료물질을 부착함으로써, 그 장기나 조직의 재생을 촉진시키는 시도가 행하여지고 있다. 재생의료기술의 하나로서, 온도응답성 고분자를 피복한 배양접시를 사용하여, 세포를 시트형상으로 배양하여 회수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고, 그것을 환부에 부착하는 치료법이 개발되어 있다(특허문헌 1~3). 이러한 기술에 의하여, 세포 자체를 시트 형상으로 하여 이식하는 것이 가능해져, 재생의료가 비약적으로 진보하였다.
초기 식도암을 절제하는 내시경적 점막하박리술(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ESD)을 행한 후에 일어나는 식도협착을 방지하기 위한 치료법의 하나로서 세포시트가 사용되고 있다. 식도의 광범위한 부위에 병변이 인정되는 증례에 있어서 ESD가 행하여지면, 병변을 절제한 부위에 광범위한 궤양이 발생하고, 그것이 원인으로 협착이 일어난다. 종래, 협착이 발생한 환자에 대하여는, 벌룬을 협착부위에 삽입하여, 물리적으로 확장하는 치료법이 채용되고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치료법은, 벌룬으로 협착부위를 확장할 때에 강렬한 통증을 주는 것, 특히 그 치료를 일반적으로 20~30회, 많을 때에는 50회 정도 실시하는 경우가 있어, 환자에게 막대한 부담을 강요한다는 과제를 안고 있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자기의 구강점막으로부터 조직편을 채취하고, 온도반응성 배양접시를 사용하여 구강점막 상피세포시트를 제작하여, 내시경하에서 ESD 후의 식도궤양면에 이식하는 치료법이 개발되었다. 이에 따라, ESD 후의 식도협착이 방지되어, 환자의 부담경감에 크게 기여하게 되었다(비특허문헌 1).
세포시트는, 세포층이 1층 또는 복수층으로 이루어지는 매우 얇은 막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취급이 매우 어렵다. 세포시트에 의한 치료효과가 얻어지도록 하기 위하여는, 원하는 부위로 세포시트를 확실하게 운반하고, 게다가 정확하게 부착하는 숙련된 기술이 필요하다. 하지만, 세포시트에 의한 치료기술을 보급시키기 위하여는, 일반적인 기술을 가지는 시술자라도 간편하고 재현하기 쉽게 원하는 부위에 세포시트를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디바이스가 필요하며, 그 개발이 요망되고 있었다. 특히, 환부가 식도나 장관(腸管) 등의 생체관 내인 경우에는, 관강(管腔) 내측에 세포시트를 부착할 필요가 있어, 보다 난이도가 높아진다. 이와 같은 과제에 대응하기 위한 운반용지그(운반용기구)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4에는, 통형상부와, 그 통형상부의 외주면에 팽창수축 가능하게 설치한 벌룬과, 그 벌룬을 팽창수축시키는 팽창수축수단을 구비하고, 벌룬을 수축시킨 상태에서 생체관로에 삽입되어, 팽창수축수단에 의하여 벌룬을 팽창시켜 생체관로 내벽에 압접시키고, 세포시트를 생체관로 내에 유치하는 생체관로내 처치디바이스가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4를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공보 평02-211865호 특허문헌 2: 일본공개특허공보 평05-192138호 특허문헌 3: 일본재공표특허공보 02-008387호 특허문헌 4: 일본공개특허공보 2008-148887호
비특허문헌 1: Ohki T, Yamato M, Murakami D, Takagi R, Yang J, Namiki H, et al. Treatment of oesophageal ulcerations using endoscopic transplantation of tissue-engineered autologous oral mucosal epithelial cell sheets in a canine model. Gut. 2006;55(12):1704-10.
하지만, 상술한 특허문헌 4에 개시되는 생체관로내 처치디바이스(처치디바이스)는, 내시경과는 별개로 사용되는 디바이스이고, 그 처치디바이스를 환부에 정확하게 도달시켜 치료물질을 부착시키기 위하여는, 그 디바이스의 조작과 내시경 조작의 양자를 숙련할 필요가 있었다. 만일, 내시경의 겸자채널에 송기튜브를 통과시키고, 겸자채널의 출구로부터 나온 그 송기튜브에 그 처리디바이스를 압입에 의하여 접속하여 내시경과 일체화시킨 형태로 사용하였다고 하여도, 그 디바이스와 그 송기튜브는 접속력이 약하므로, 생체관로의 요철에 걸려서, 생체관로 내로 탈락할 가능성이 있었다.
또한, 그 처리디바이스는, 벌룬을 수축에 의하여 통형상부의 둘레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치료용물질을 재치하고, 생체관로 내에 배치된 시스를 통과하여 생체관로 내에 삽입되며, 그 처리디바이스를 시스의 선단부로부터 돌출시켜 환부에 도달시키는 디바이스이다. 생체관로는, 만곡되거나 요철이 많아, 처치디바이스를 시스로부터 돌출시켰을 때, 처치디바이스의 선단이 생체관로 내벽의 압력을 받아 처치디바이스가 돌출전 상태에서 자세를 바꾸어 버려, 시스의 선단이나 생체관 내벽이 치료물질과 접촉할 가능성이 있었다. 특히, 치료물질이 세포시트인 경우, 세포시트는 얇고 부드러운 물질이므로, 시스 선단이나 생체관과의 접촉에 의하여 수축하거나 비틀리거나 하면, 환부로의 부착에 적합하지 않은 상태가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치료물질이 생체관로에서 다른 물체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치료물질 재치부가 생체관로 내에서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게다가 치료물질 재치부가 송배기관으로부터 탈착 가능한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개시된 기술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하의 수단을 채용한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는,
치료물질을 생체관 내의 원하는 위치에 운반 및/또는 부착하기 위한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로서,
치료물질 재치부와,
상기 치료물질 재치부에 접속된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에 접속된 송배기관을 구비하고,
상기 치료물질 재치부가, 오목부가 형성된 본체부, 적어도 상기 오목부를 피복하여 상기 본체부와의 사이에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탄성막, 및 상기 내부공간에 연통하여 그 적어도 단부가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접속관을 가지며,
상기 커넥터가, 유체가 통과하는 관통구멍, 상기 접속관에 삽입하기 위한 일단부 및 상기 송배기관에 접속되는 타단부를 가지는 이음매 본체, 상기 이음매 본체의 타단부측에 고정된 플랜지부 그리고 상기 이음매 본체가 삽입통과된 고정용 너트를 구비하고,
상기 이음매 본체가, 상기 이음매 본체의 외경보다 큰 직경, 및 상기 고정용 너트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인 튜브 저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용 너트의 내벽의 적어도 일부가 암나사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용 너트가 나사 진행함으로써, 상기 고정용 너트와 상기 이음매 본체에 협지된 상기 접속관에 상기 암나사가 잠식하여, 상기 치료물질 재치부가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이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르면, 치료물질이 재치된 치료물질 재치부가 생체관로 내에서 탈락하는 것이 방지되고, 게다가 치료물질 재치부에 재치된 치료물질이 다른 물질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를 제공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는, 상기 송배기관이, 내시경의 겸자채널에 삽입통과되어, 상기 내시경과 함께 사용되는 제 1 실시형태에 기재된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이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르면, 내시경의 겸자채널을 통과하여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는, 상기 고정용 너트가, 통형상 나사결합부와, 상기 이음매 본체가 삽입통과하는 삽입통과구멍을 가지는 차양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통과구멍의 직경이, 상기 튜브 접속관 저장부의 외경보다 작은 직경인 제1 또는 제2 실시형태에 기재된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이다.
제3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의 고정용 너트가 이음매 본체의 일단부측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용 너트를 나사 진행하여 접속관을 고정할 때에 고정용 너트와 튜브 접속관 저장부와의 접촉면이 지점으로 작용하여, 접속관이 튜브 저장부로 압접되는 힘이 집중되어서, 보다 강고한 접속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는, 상기 플랜지부의 외경이, 상기 고정용 너트의 외경보다 작은 직경, 및 상기 차양부의 상기 삽입통과구멍의 직경보다 큰 직경인 제3 실시형태에 기재된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이다.
제4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의 고정용 너트가 이음매 본체의 타단부측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는, 상기 커넥터의 외경이, 5.0mm 미만인 제1 내지 제4 실시형태에 기재된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이다.
제5 실시형태에 따르면, 내시경의 겸자채널을 통과 가능한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는, 상기 튜브 저장부가, 상기 이음매 본체의 일단부측으로부터 타단부측을 향하여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 내지 제5 실시형태에 기재된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이다.
제6 실시형태에 따르면, 튜브 저장부의 테이퍼 형상을 따라서 치료물질 재치부의 접속관이 확산되면서 삽입되게 되어, 유체가 커넥터와 접속관과의 사이로부터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는, 상기 송배기관에, 상기 치료물질 재치부의 상기 내부공간에 유체를 유입 및 배출시키기 위한 팽창수축수단이 더 접속된 제1 내지 제6 실시형태에 기재된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이다.
제7 실시형태에 따르면, 팽창수축수단에 의하여 치료물질 재치부의 탄성막을 팽창수축하는 것이 가능해져, 오목하게 한 치료물질 재치부에 치료물질을 재치하여 운반할 수 있어, 치료물질이 생체관 내의 내벽에 의하여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탄성막을 팽창시킴으로써 치료물질을 생체관 관내의 환부에 눌러 부착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8 실시형태는, 상기 치료물질 재치부가, 싱글 유스(single-use)인 제1 내지 제7 실시형태에 기재된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이다.
제8 실시형태에 따르면, 치료물질 재치부를 멸균완료 치료물질 재치부와 교환 가능하여, 필요한 치료물질의 수 또는 양에 따라서, 항상 멸균 완료의 치료물질 재치부를 준비하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9 실시형태는, 상기 치료물질 재치부의 상기 본체부가, 둘레면의 일부가 제거된 대략 반타원 통형상인 제1 내지 제8 실시형태에 기재된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이다.
제9 실시형태에 따르면, 내시경의 겸자채널을 통하여 본 발명의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를 사용한 경우, 내시경의 치료물질이 재치되어 있는 탄성막 부분 및 환부가 내시경 선단으로부터 시인되기 쉬워져, 확실하게 치료물질을 부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10 실시형태는, 상기 치료물질 재치부가,
적어도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 오목부가 형성된 중간부를 가지는 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막이, 2개의 단부를 가지는 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간부의 주위를 둘러싸는 상태로 상기 탄성막의 상기 일단부 및 상기 타단부를 상기 중간부에 밀착시켜 고정되어 있는 제1 내지 제9 실시형태에 기재된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이다.
제10 실시형태에 따르면, 치료물질 재치부의 본체부를 둘러싸는 탄성막이 불룩한 통형으로 팽창되어, 생체관 내를 전체 주위로부터 압박하여 치료물질을 고정하여 부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11 실시형태는, 상기 치료물질 재치부의 상기 본체부가, 오목부가 형성된 대략 반회전 타원체 형상 또는 대략 반계란형 형상으로서, 상기 탄성막이, 상기 본체부의 둘레부에 밀착 고정되어 있는 제1 내지 제8 실시형태에 기재된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이다.
제11 실시형태에 따르면, 치료물질 재치부의 반면을 덮는 탄성막만을 팽창시킬 수 있으므로, 생체관 내의 전체 둘레를 막지 않고, 내시경으로부터의 시인성을 확보한 상태로 치료물질을 고정하여 부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12 실시형태는, 상기 본체부가, 흑색 또는 암색의 착색을 가지는 제1 내지 제10 실시형태에 기재된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이다.
제12 실시형태에 따르면, 치료물질 재치부의 본체부가 흑색 또는 암색이므로, 내시경의 선단부 발광체로부터의 빛을 반사하는 역할이 낮아져, 치료물질 재치부에 재치된 치료물질의 시인성이 높아진다.
본 발명의 제13 실시형태는, 치료물질을 생체관 내의 원하는 위치에 운반 및/또는 부착하기 위한 치료물질 운반키트로서,
치료물질 재치부와,
상기 치료물질 재치부에 접속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에 접속되는 송배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치료물질 재치부가, 오목부가 형성된 본체부, 적어도 상기 오목부를 피복하여 상기 본체부와의 사이에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탄성막, 및 상기 내부공간에 연통하여 그 적어도 단부가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접속관을 가지며,
상기 커넥터가, 유체가 통과하는 관통구멍, 상기 접속관에 삽입하기 위한 일단부 및 상기 송배기관에 접속되는 타단부를 가지는 이음매 본체, 상기 이음매 본체의 타단부측에 고정된 플랜지부 그리고 상기 이음매 본체가 삽입통과된 고정용 너트를 구비하고,
상기 이음매 본체가, 상기 이음매 본체의 외경보다 큰 직경, 및 상기 고정용 너트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인 튜브 저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용 너트의 내벽의 적어도 일부가 암나사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용 너트가 나사 진행함으로써, 상기 고정용 너트와 상기 이음매 본체에 협지된 상기 접속관에 상기 암나사가 잠식하여, 상기 치료물질 재치부가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물질 운반키트이다.
제13 실시형태에 따르면, 치료물질 재치부, 커넥터, 및 송배기관이 포함되는 키트로서 제공되므로, 예를 들어 치료물질 재치부, 커넥터, 송배기관이 각각 제공되는 경우여도, 조합함으로써 본 발명의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4 실시형태는, 상기 송배기관에 접속되는 상기 치료물질 재치부의 상기 내부공간에 유체를 유입 및 배출시키는 팽창수축수단을 더 구비한 제13 실시형태에 기재된 치료물질 운반키트이다.
제14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치료물질 재치부의 탄성막을 팽창수축시키는 수단을 더 구비하고, 이들을 조합함으로써, 본 발명의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15 실시형태는, 상기 치료물질 재치부에, 치료물질이 더 재치된 제13 또는 제14 실시형태에 기재된 치료물질 운반키트이다.
제15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치료물질 재치부에 미리 치료물질이 재치된 치료물질 운반키트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의한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치료물질이 생체관로에서 다른 물체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치료물질 재치부가 생체관로 내에서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치료물질 재치부가 송배기관으로부터 탈착 가능한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 및 치료물질 재치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b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의 이음매 본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c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의 고정용 너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d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 및 치료물질 재치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e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 및 치료물질 재치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치료물질 재치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a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치료물질 재치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b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치료물질 재치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c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치료물질 재치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와 송배기관과의 접속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a) 커넥터와 송배기관과의 접속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b) (a)의 D-D'에 있어서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와 내시경 시스템과의 조합에 있어서의 사용설명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치료물질의 운반용지그의 본체를 타원형으로 형성하고 있는 이유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의 구성은 예시이고, 본 발명의 구성은 실시형태의 구체적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형태]
<치료물질의 운반용지그의 구성예>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치료물질의 운반용 디바이스(단순히,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1)라고도 함)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1)는, 치료물질을 재치하기 위한 치료물질 재치부(10), 치료물질 재치부(10)에 유체를 송배기하기 위한 송배기관(30), 및 치료물질 재치부(10)와 송배기관(30)을 접속하는 접속관 커넥터(단순히, 커넥터(20)라고도 함)를 포함한다.
치료물질 재치부(10)는, 길이방향으로 일단부(110), 중간부(120) 및 타단부(130)가 배치된 본체부(100)와, 중간부(120)의 주위를 둘러싸는 상태로 본체부(100)를 피복하는 벌룬(140)('탄성막'의 일례)을 포함한다. 치료물질 재치부(10)의 본체부(100)의 타단부(130)의 끝면에는 접속관(150)이 접착되어 있다. 치료물질 재치부(10)는, 본체부(100)와 벌룬(140)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대한 송기 및 배기, 그리고 본체부(100)에 대한 둘레방향의 회전력(토크) 부여에 사용되는 송배기관(30)에 대하여, 커넥터(20)를 통하여 자유롭게 탈착할 수 있다.
한편, 송배기관(30)의 타단에는 암형 루어커넥터(미도시)가 접착되어 있다. 루어커넥터는, 상기 내부공간에 대한 송기 및 배기를 행하고, 벌룬(140)을 팽창수축시키는 팽창수축수단(400)이 구비하는 수형 커넥터와 접속된다. 팽창수축수단(400)은, 예를 들어 주사기나 펌프이다. 루어커넥터는, 커넥터(20)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가지는 커넥터여도 좋다.
1.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
이하,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1)의 각 구성요소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커넥터의 구성예>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2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커넥터(20)는, 길이방향으로 일단부(201), 타단부(202)를 가지고, 축심부에는 일단부(201)와 타단부(202)의 중심을 관통하는 관통구멍(203)을 구비한 이음매 본체(200)를 포함한다. 관통구멍(203)은, 유체(예를 들어 물 등의 액체, 공기 등의 기체를 포함)가 유입 및/또는 배출된다. 더욱이, 이음매 본체(200)에는 튜브 저장부(204)를 포함하고, 이것은 일단부(201)를 치료물질 재치부(10)의 접속관(150)에 삽입하였을 때, 접속관(150)이 과잉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후술하는 고정용 너트(210)를 나사 진행하여 접속관(150)을 고정할 때, 접속관(150)의 단부(152)가 튜브 저장부(204)의 일단부(204a)에 접하여, 압접되는 힘을 받아, 접속관(150)과 이음매 본체(200)가 밀착하여서, 기밀성을 유지지는 역할을 한다. 일단부(204a)가 이음매 본체(200)의 일단부(201)측으로부터 타단부(202)측을 향하여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에 따라, 튜브 저장부(204)의 테이퍼 형상을 따라서 접속관(150)이 확장되면서 삽입됨으로써, 접속관(150)이 이음매 본체(200)에 밀착하여, 유체가 커넥터(20)와 접속관(150) 사이로부터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커넥터(20)는, 이음매 본체(200)가 삽입통과되는 고정용 너트(210)를 포함하고, 고정용 너트(210)의 적어도 일부에는, 암나사(215)를 가지고 있다. 고정용 너트(210)는, 통형상 나사결합부(211)와, 통형상 나사결합부의 편측부를 덮는 차양부(213)를 포함한다. 차양부(213)는, 그 중심에 이음매 본체(200)가 삽입통과되기 위한 삽입통과구멍(214)을 가진다. 고정용 너트(210)가 나사 진행함으로써, 고정용 너트(210)와 이음매 본체(200)에 협지되는 접속관(150)에 암나사(215)가 잠식하여, 접속관(150)에 나사를 깎으면서 고정된다. 접속관(150)에 고정된 커넥터(20)의 고정을 해제하면, 도 2e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치료물질 재치부(10)의 접속관(150)에는 암나사자국(151)이 남는다. 암나사자국(151)이 남음으로써, 치료물질 재치부(10)가 적어도 한번 사용된 것이 시인되게 되므로, 안전성면에서 치료물질 재치부(10)가 다시 이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더욱이, 이음매 본체(200)에는, 타단부(202)측에 플랜지부(220)가 설치되어 있다. 플랜지부(220)의 외경은, 고정용 너트(210)의 외경과 같거나 또는 그것보다 작은 직경이고, 또한 차양부(213)에 설치된 삽입통과구멍(214)의 직경보다 크다. 이에 따라, 고정용 너트(210)가 이음매 본체(200)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플랜지부(220)는 이음매 본체(200)에 직접 접착되어도 좋고, 너트스토퍼플랜지(230)와 같이 이음매 본체(200)의 타단부측에 압입함으로써 고정된 것이어도 좋으며, 고정용 너트(210)가 이음매 본체로부터 탈락되지 않는 구성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플랜지부(220)의 두께는 한정되지 않는다. 이음매 본체(200)의 재질은, 의료용에 적용 가능한 한, 금속 또는 수지(플라스틱)를 적용할 수 있다.
고정용 너트(210)에는, 회전시의 손가락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널링 구조(212)가 실시되어 있다. 고정용 너트(210)의 재질은, 의료용에 적용 가능한 한, 금속 또는 수지(플라스틱)를 적용할 수 있는데, 암나사(215)에 의하여 접속관(150)에 대하여 나사를 깎으면서 고정할 필요가 있으므로, 경도를 가지는 금속인 것이 바람직하다.
커넥터(20)의 길이방향의 길이나 직경은,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1)가 내시경(1000)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에, 겸자채널(1100)의 굴곡부(1103)를 통과 가능한 길이 및 직경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상세는 후술).
본 발명의 구성의 일부인 커넥터(20)는, 종래의 이음매 구조가 가지는 수나사 구조를 가지지 않고, 게다가 부품수가 이음매 본체(200), 고정용 너트(210) 및 플랜지부(220)의 3개를 포함하는 심플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 때문에, 내시경(1000)의 겸자채널(110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커넥터(20)를 제공할 수 있어, 생체관 내에서 사용할 때에 치료물질 재치부(10)가 탈락하지 않고, 자유롭게 탈착할 수 있는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1)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치료물질 재치부>>
도 3은,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1)의 치료물질 재치부(10)에 있어서의 본체부(100) 및 벌룬(14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에 있어서, 본체부(100)는, 길이방향(도 3의 X방향)으로 배치된 일단부(110)(전단부)와, 타단부(130)(후단부)와, 일단부(110)와 타단부(130)의 사이에 형성된 오목부(A)를 가지는 중간부(120)를 포함한다. 일단부(110), 중간부(120) 및 타단부(130)의 중심축은 동축으로 되어 있다. 일단부(110)와 중간부(120)의 사이에는, 본체부(100)의 둘레방향으로 일주하는 홈(112)이 형성되고, 타단부(130)와 중간부(120)의 사이에는, 본체부(100)의 둘레방향으로 일주하는 홈(134)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단부(110), 중간부(120) 및 타단부(130)의 폭방향(도 3의 Y방향)의 단면 형상이 각각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타원형의 긴축은 본체부(100)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며, 짧은축은 본체부(100)의 높이(두께)방향(도 3의 Z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체부(100)의 높이방향의 치수가 폭방향의 치수보다 짧아져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간부(120)가 개구부를 가지는 통형상으로 형상됨으로써, 오목부(A)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간부(120)는 내부가 중공의 타원기둥으로부터 상반부의 둘레면이 제거된 것과 같은 형상을 가지는 대략 반타원 통형상의 반타원 통형상부(120a)와, 반타원 통형상부(120a)의 양단에 설치된 타원형의 측벽(120b),및 타원형의 측벽(120c)을 가지고 있다. 측벽(120b)은, 일단부(110)측에서 반타원 통형상부(120a)의 일단측에 설치되어 있고, 측벽(120c)은 타단부(130)측에서 반타원 통형상부(120a)의 타단측에 설치되어 있다(도 4를 참조). 이에 따라, 중간부(120)의 상측(높이방향)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반타원 통형상부(120a)의 내측이 오목부(A)를 이루는 상태로 되어 있다. 단, 중간부(120)의 오목부의 내면 형상 및 외면 형상은 예시이며, 타원둘레면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일단부(110)는, 선단측이 모따기된 타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일단부(110)의 선단이 모따기됨으로써, 치료물질 재치부(10)가 생체관 내에 삽입될 때에 있어서의 본체부(100)와 생체관 등과의 마찰저감, 및 생체관 내벽의 손상회피가 도모된다.
타단부(130)는, 끝면 형상이 타원의 평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타단부(130)에는 타단부(130)의 후단면에서 측벽(120c)까지 관통한 통기구멍(132)('유체로', '유체구멍'의 일례)이 형성되어 있고, 타단부(130)의 중심축은 통기구멍(132)을 통과한다(도 4를 참조). 도 1에 나타낸 접속관(150)의 일단(전단)은, 통기구멍(132)에 삽입되었을 때에 통기구멍(132)의 내벽에 밀착함으로써, 접속관(150)이 본체부(100)에 연결된 상태가 되어, 내부공간(S)에 연통된 상태가 된다. 접속관(150)은 가요성 재료를 그 일부에 포함한다. 상술한 커넥터(20)와 접속할 때, 접속관(150)은 커넥터(20)에 의하여 나사가 깎이면서 고정될 필요가 있으므로, 가요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또한, 접속관(150)이 가요성을 가짐으로써, 치료물질 재치부(10)가 생체관 내에 도입되어도, 그 만곡부나 요철부에 걸리지 않고 삽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접속관(150)의 재료는, 가요성을 가지고, 의료용으로서 적합한 소재라면 한정되지 않는데, 예를 들어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 실리콘고무 등을 들 수 있다.
통기구멍(132)은, 타단부(130)의 후단면에서 소정의 위치까지, 접속관(150)의 외경과 같은 직경으로 비워진다. 또한, 통기구멍(132)은 그 소정의 위치에서 측벽(120c)은, 접속관(150)의 외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비워진다. 통기구멍의 후단면에서 접속관(150)이 그 소정의 위치까지, 삽입되어 고정된다. 접속관(150)과 통기구멍(132)의 내면은, 접착제 등에 의하여 고정되어도 좋다(도 4를 참조).
타단부(130)의 후단면에는, 중간부(120)의 오목부(A)의 위치를 나타내는 지표(136)가 설치되어 있다. 지표(136)는, 예를 들어 타단부(130)의 끝면(타원)에 있어서, 타원의 짧은축상에서 오목부(A)가 설치된 측(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측)에, 펜 등으로 표식을 부여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표(136)는, 소정 위치가 일부 삭제됨으로써 형성되어도 좋다. 또는, 지표(136)는, 본체부(100)의 형성시에 형성되어도 좋다. 지표(136)가 설치됨으로써, 본체부(100)를 바로 뒤에서 보았을 때(오목부(A)를 시인할 수 없는 상태)라도, 오목부(A)의 위치를 쉽게 인식할 수 있다.
홈(112) 및 홈(134)은, 중간부(120)를 피복하는 벌룬(140)의 일단부(141) 및 타단부(142)를 수용하기 위하여 형성되어 있다(상세는 후술). 오목부(A)의 바닥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홈(12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A)의 바닥면의 거의 중앙에는, 오목부(A)의 바닥면과 중간부(120)의 바깥면을 관통하는 관통구멍(124)이 형성되어 있다. 홈(122) 및 관통구멍(124)은, 본체부(100)와 벌룬(140)으로 형성되는 내부공간(S)(도 4)으로부터의 배기를 적절하게 행하기 위하여 형성되어 있다(상세는 후술).
본체부(100)의 재질은, 의료용에 적용 가능한 한, 금속 또는 수지(플라스틱)를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체부(100)는, 복수의 부품의 접합에 의하여 형성되어도 좋은데, 수지재료에 의하여 일체 성형할 수 있다. 또는, 의료용의 3D 프린터용 재료를 이용하여, 3D 프린터에 의하여 본체부(100)를 일체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벌룬(140)은, 탄성부재(예를 들어, 라텍스와 같은 의료용 고무)를 사용한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일단부(141), 타단부(142)는, 탄성부재가 감겨 링형상으로 되어 있다. 벌룬(140)의 길이방향의 치수는, 본체부(100)의 길이방향의 치수보다 짧고, 벌룬(140)은 본체부(100)가 벌룬(140)의 내부를 통과하여 일단부(110) 및 타단부(130)가 벌룬(140)의 일단부(141), 타단부(142)의 각각으로부터 튀어나온(비져나온) 상태로 본체부(100)에 씌워진다.
벌룬(140)의 일단부(141)는 홈(112)에 수용되고, 타단부(142)는 홈(134)에 수용된다. 이에 따라, 벌룬(140)이 오목부(A)를 포함하는 중간부(120)를 덮는 상태가 된다. 또한, 일단부(141), 타단부(142)가 홈(112, 134)에 수용됨으로써, 일단부(141), 타단부(142)가 생체관 내에 있어서의 치료물질 재치부(10)의 이동을 방해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예를 들어, 생체관 내벽에 걸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일단부(141), 타단부(142)가 생체관 등과 접촉함으로써, 벌룬(140)의 본체부(100)에 대한 고정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더욱이, 홈(112, 134)의 깊이는, 일단부(141), 타단부(142)의 두께에 맞추어진다. 홈(112, 134)의 깊이와 일단부(141), 타단부(142)의 두께(탄성부재가 감긴 부분의 두께)가 맞추어짐으로써, 홈(112, 134)에 수용된 일단부(141), 타단부(142)와, 홈(112, 134)의 주위에서 단차가 발생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일단부(141), 타단부(142)가 생체관 내에 있어서의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1)의 이동을 방해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을 보다 회피할 수 있다.
벌룬(140)의 일단부(141)보다 내측 부분은, 접착제 등에 의하여 본체부(100)(홈(112)의 바닥면)에 밀착 고정되고, 타단부(142)보다 내측 부분이 접착제 등에 의하여 본체부(100)(홈(134)의 바닥면)에 밀착 고정된다. 벌룬(140)을 접착하는 수단은 접착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의료용실(예를 들어, 봉합실)이나, 실 이외의 고정구, O링을 적용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본체부(100)에 벌룬(140)을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 본체부(100)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높이방향(Z방향)의 평면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을 나타내는 동시에, 송배기관(30)을 치료물질 재치부(10)의 접속관(150)에 접속하기 전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접속관(150)과 송배기관(30)을 커넥터(20)를 통하여 접속하고, 내부공간의 배기를 행한 상태로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벌룬(140)의 일단부(141) 및 타단부(142)가 본체부(100)에 밀착하는 상태로 고정됨으로써, 벌룬(140)의 양단이 폐색되고, 벌룬(140)의 내측에 내부공간(S)이 형성되어 있다. 내부공간(S) 내의 압력은, 송배기관(30) 및 통기구멍(132)을 통하여 공기('유체'의 일례)를 도입 또는 배출함으로써(송기 또는 배기를 행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내부공간(S) 내로의 송기도 배기도 행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는, 벌룬(140)의 오목부(A)를 덮는 부분은, 스스로의 탄성(가요성)에 의하여, 오목부(A)의 위쪽에 위치한 상태가 된다. 이에 대하여, 송배기관(30)에 주사기(팽창수축수단(400))를 접속하고, 주사기의 피스톤을 당기면, 내부공간(S)으로부터 공기가 배출됨으로써 오목부(A) 내에 부압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벌룬(140)의 오목부(A)를 덮고 있는 부분이 오목부(A) 내에 들어가, 최종적으로 오목부(A)의 바닥면에 접촉하는 상태가 된다.
여기에서, 홈(122)이 형성되어 있는 이유에 대하여 설명한다. 내부공간(S)의 배기에 의하여 벌룬(140)이 오목부(A) 내에 들어가거나, 또는 부분이 오목부(A)의 바닥부에 밀착하면, 그 밀착부분보다 전단측에 있는 내부공간(S1) 내의 공기가 통기구멍(132)까지 이동할 수 없는 상태가 일어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홈(122)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내부공간(S1)에 존재하는 공기는, 홈(122), 후단측의 내부공간(S2)을 통과하여 통기구멍(132)까지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부공간(S) 내의 공기를 적절하게 배기할 수 있어, 배기완료시에 오목부(A)에 있어서 벌룬(140)을 평탄하게 할 수 있다. 단, 홈(122)의 형성은 옵션이다.
상기와 같이 하여서, 벌룬(140)의 일부가 오목부(A) 내에 들어가 형성된 치료물질 재치부(10)의 오목부(A1)는, 치료물질(700)을 재치하는 재치부로서 사용된다(도 5a를 참조). 여기에서, 치료물질(700)은, 예를 들어 시트형상 치료물질이고, 예를 들어 세포시트, 약제가 도포된 시트, 또는 점성을 가지는 치료물질 등이다. 치료물질(700)에는, 시트형상 이외의 형상을 한 치료물질(예를 들어, 약제)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통구멍(124)이 형성되어 있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내부공간(S)에 공기가 계속 보내짐에 따라서, 벌룬(140)은 팽창을 시작하고, 내부공간(S) 내의 공기가 중간부(120)의 외면측에 돌아 들어감으로써, 벌룬(140)은 중간부(120)의 외면으로부터 이간되어, 최종적으로는 불룩한 통형상으로 부푼다(도 5b를 참조). 그때, 벌룬(140)의 팽창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디바이스 선단측 쪽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내부공간(S)으로부터의 공기의 배출을 하면, 벌룬(140)은 수축한다. 여기에서, 관통구멍(124)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러한 가정에서는, 내부공간(S)에 있어서, 중간부(120)의 하측(외면측)에 존재하는 공기는, 오목부(A)(개구부)를 경유하여 통기구멍(132)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문에, 벌룬(140)의 수축시에 벌룬(140)의 내면이 개구부(오목부(A))를 덮는 상태가 되면, 중간부(120)의 외면측(하측)에 남은 공기는 도피처를 잃는다.
이 상태에서는, 벌룬(140)이 하측으로 팽창되어 있는 만큼, 벌룬(140)의 상측(오목부(A)측)이 당겨져 있는 상태가 되므로, 상황에 따라서는, 내부공간(S)으로부터의 배기를 계속하여도, 벌룬(140)의 일부가 충분히 오목부(A) 내에 들어가지 않은 상태가 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관통구멍(124)이 형성되어 있으면, 중간부(120)의 외면측에 돌아 들어간 공기는, 관통구멍(124)을 통과하여 통기구멍(132)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벌룬(140)의 내부공간(S)으로부터 적절하게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단, 관통구멍(124)은 옵션이다.
<<치료물질 재치부(변형예)>>
도 6은 도 1의 치료물질 재치부(10)의 변형예(치료물질 재치부(10a)라고도 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치료물질 재치부(10a)의 본체부(100a)의 형상이, 중공의 대략 회전타원체를 절반으로 한 대략 반회전타원체 형상, 또는 중공의 대략 계란형 형상을 길이방향으로 절반으로 한 대략 반계란형 형상으로서, 그 내부는 오목부(A')를 가지는 형상이다. 대략 회전타원체란, 타원을 그 긴축 또는 짧은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얻어지는 회전체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는, 타원의 회전체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대략 계란형 형상과 같은 기울어진 구체를 절반으로 하여 얻어지는 대략 반계란형 형상도 포함한다. 본체부(100a)의 개구부 주변의 둘레부(100b)에는, 평면의 탄성막(140a)이 밀착하여 고정되어 있고, 그에 따라서 본체부(100a)의 오목부(A')가 피복되고, 오목부(A')와 탄성막(140a)에 의하여 내부공간(S3)이 형성된다. 오목부(A')의 바닥면부(100c)는 만곡되어 있어도 좋고, 평면이어도 좋다. 탄성막(140a)은 탄성부재(예를 들어, 라텍스와 같은 의료용 고무)이다. 또한, 본체부(100a)의 일부는, 통기구멍(132a)이 설치되어 있고, 접속관(150a)이 접속되며, 내부공간(S3)에 대하여 유체가 송배기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의 치료물질 재치부(10)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치료물질 재치부(10a)도 접속관(150a)에 상술한 커넥터(20)를 통하여 송배기관(30)과 접속시킴으로써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미도시)가 얻어진다. 도 6b는, 도 6a의 긴축방향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팽창수축수단(400)을 송배기관(30)과 더 접속하고(미도시), 공기(유체의 일 실시형태)를 내부공간(S3)으로 보내어, 탄성막(140a)을 팽창시킨 예(도 6b의 140a' 점선)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탄성막(140a)에 재치한 치료물질(700)을 생체관의 환부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6c는, 상술한 도 5a와 마찬가지로, 접속된 팽창수축수단(400)에 의하여 내부공간(S3)으로부터 공기를 배기한 경우의 탄성막(140a)의 형태를 나타낸다. 내부공간(S3)이 음압이 됨으로써 탄성막(140a)이 본체부(100a)의 오목부(A')의 내벽을 따라서 밀착된다. 이에 따라, 탄성막(140a)의 상부에 재치된 치료물질(700)이 생체관의 내벽에 접촉하지 않고, 환부로 운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탄성막(140a)이 본체부(100a)의 개구부만을 피복하고 있으므로, 치료물질 재치부(10a)의 편측 탄성막(140a)만이 팽창수축한다. 그 때문에, 생체관 내에 있어서 탄성막(140a)을 팽창시킨 경우에, 시야를 확보하기 쉽다.
탄성막(140a)을 본체부(100a)의 둘레부(100b)에 고정시키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접착제 등에 의하여 접착시킬 수 있다.
<<송배기관>>
도 7은, 송배기관(30)과 커넥터(20)의 접속부위를 나타낸다. 송배기관(30)은, 상기와 같이, 내부공간(S)의 압력제어용 공기의 송기 및 배기에 사용된다. 또한, 송배기관(30)은, 치료물질 재치부(10)에 둘레방향의 회전력(토크)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 때문에, 송배기관(30)은, 커넥터(20)를 통하여 접속된 치료물질 재치부(10)에 효율적으로 토크를 전달하기 위하여, 가요성을 가지는 한편으로 어느 정도의 강성을 가지는 소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치료물질 재치부(10)에 둘레방향의 회전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송배기관(30)의 일부에 토크와이어(320)를 적용하고 있다. 토크와이어(320)는, 카테터의 가이드와이어로서 사용되는 것을 적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금속제의 것을 적용할 수 있다. 토크와이어(320)는 중공구조를 가지는 것이어도 좋고, 중공구조를 가지지 않아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토크와이어(320)는 중공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것을 적용하고 있으며, 직경은 커넥터(20)의 이음매 본체(200)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이며, 이음매 본체(200)의 관통구멍(203)을 유체가 충분히 통과할 수 있는 직경이면 좋다.
본 실시형태의 토크와이어(320)의 말단부(321)를 이음매 본체(200)의 타단부(202)측의 관통구멍(203)에 삽입하고, 이음매 본체(200)의 일부를 누른다(도 7의 (b)를 참조). 이에 따라, 이음매 본체(200)의 일부가 변형되고, 토크와이어(320)가 협지되어 고정된다. 이때, 눌려 고정된 토크와이어(320)의 양측(편측이어도 좋음)은, 유체가 통과 가능한 유로구멍(205)(통기구멍(132)의 일부)이 형성된다. 유체는 이러한 유로구멍(205)을 출입구로써 통과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토크와이어(320)는 중공구조를 가지지 않기 때문에, 그 내부를 유체가 통과할 수 없으므로, 토크와이어(320)가 삽입통과된 송배기튜브(310)가 필요해진다. 그래서, 토크와이어(320)의 외측에는, 가요성을 가지고, 토크와이어(320)의 둘레방향의 회전조작을 방해하지 않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송배기튜브(310)가 적용된다. 송배기튜브(310)의 송배기튜브 말단부(311)는, 송배기튜브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가 누출되지 않도록, 송배기튜브(310)의 내경보다 작고 커넥터(20)의 이음매 본체(200)의 외경보다 큰 시일용 튜브재(330)를 접착제 등에 의하여 시일한다. 시일용 튜브재(330)의 대용으로서 O링 등을 사용하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송배기튜브(310) 및 시일용 튜브재(330)의 재료는, 의료용도로 이용 가능한 소재로서 가요성을 가지고, 또한 겸자채널(1100)을 통과할 때에 마찰이 적은 재료라면 좋으며, 수지관, 예를 들어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관 등을 들 수 있다. 단, PTFE관은 예시이고 PTFE 이외의 수지 등을 적용할 수 있다.
후술하는 팽창수축수단(400)과 접속하는 송배기관(30)의 선단측에서도, 송배기관(30)과 이음매 본체(200)의 접속과 마찬가지의 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미도시). 예를 들어, 팽창수축수단(400)으로서 주사기를 이용하는 경우, 논베벨(non-bevel) 바늘의 선단부에 토크와이어(320)의 선단부를 삽입하고, 말단부(321)와 마찬가지로 눌러 토크와이어(320)의 선단부를 고정하여, 송배기튜브(310)의 선단부와 논베벨 바늘 사이를 시일용 튜브재(330)로 시일한다. 이에 따라, 유체가 누출되지 않고, 토크를 부여 가능한 송배기관(30)을 제공할 수 있다.
<<송배기관(변형예)>>
여기에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송배기관(30)은 금속관의 일례인 중공구조를 가지는 스테인리스튜브를 적용할 수도 있다. 단, 원하는 가요성 및 강성이 얻어지는 한, 송배기관(30)의 재질은 상관없다(금속 이외여도 좋음). 이 경우, 스테인리스튜브는 중공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그 말단부를 이음매 본체(200)의 관통구멍(203)에 직접 삽입하고, 압입함으로써 고정할 수 있다. 스테인리스튜브의 외측에는, 스테인리스튜브의 외경이 통상의 내시경 수술에서 이용되는 와이어 구동식 겸자의 와이어의 외경보다 작은(얇은) 경우,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1)의 유저(의사)에 대하여 양호한 사용감(의사가 가지는 와이어직경의 감각)을 제공하기(위화감을 해소하여 조작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커버관을 설치하여도 좋다. 즉, 커버관은 스테인리스튜브를 수용 가능한 내경치수와, 내시경(1000)의 겸자채널(1100)을 통과 가능한 외경치수를 가진다.
본 변형예에서는, 스테인리스튜브로서, 외경 0.6mm~0.9mm의 것을 이용하고, 커버관으로서는 외경 2.5mm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커버관의 외경치수는, 일반 내시경 수술에서 사용되는 겸자와이어의 외경과 거의 같다. 한편, 커버관의 외경치수로서 바람직한 범위는 내시경의 겸자채널에 따라 다른데, 예를 들어 2.8mm의 겸자채널을 가지는 내시경용으로는 2.0mm~2.6mm이다. 커버관의 재료는, 의료용도로 이용 가능한 소재로 가요성을 가지고, 또한 겸자채널(1100)을 통과할 때에 마찰이 적은 재료라면 좋으며, 수지관, 예를 들어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관 등을 들 수 있다. 단, PTFE관은 예시이며 PTFE 이외의 수지관을 적용할 수 있다.
<사용예>
다음으로,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1)의 사용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치료물질 재치부(10)는, 내시경 시스템과의 조합에 있어서 사용된다. 도 8은, 치료물질 재치부(10)와 내시경 시스템의 조합에 있어서의 사용설명도이다.
도 8에 있어서, 내시경(1000)(비디오스코프)은, 의사가 술식에 있어서 조작하는 앵글노브나 버튼 등이 설치된 조작부(1001)와, 환자의 체내에 삽입되는 삽입부(1002)와, 접속부(1003)(유니버셜코드)를 포함한다. 삽입부(1002)의 선단면에는, 조명광을 조사하는 조사렌즈와, 조사광의 반사광을 집광하여 삽입부(1002) 내의 이미지센서(CCD, CMOS: 미도시)에 전달하는 대물렌즈가 설치되어 있다.
접속부(1003)는, 이미지센서로 포착된 전기신호를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장치(미도시)에 표시하는 비디오프로세서(미도시)와,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삽입부(1002)의 선단(조명렌즈)에 전달하는 광원장치(미도시)와 접속되어 있다.
더욱이, 내시경(1000)의 내부에는, 조작부(1001)로부터 삽입부(1002)에 걸쳐서 겸자(와이어)를 통과하기 위한 겸자채널(1100)이 형성되어 있다. 겸자채널입구(1101)는, 조작부(1001)의 외면에 형성되고, 겸자채널출구(1102)(겸자구)는, 삽입부(1002) 선단면에 형성되어 있다.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1)는, 치료물질 재치부(10)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송배기관(30)(선단부에는 커넥터(20)가 접합되어 있음)의 선단(커넥터(20))을 겸자채널입구(1101)에 삽입하고, 그 선단을 겸자채널출구(1102)까지 보낸다. 여기에서, 커넥터(20)의 직경 및 길이는, 겸자채널의 굴곡부(1103)를 통과 가능한 직경 및 길이일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직경이 2.6mm이고, 길이는 18mm이다.
송배기관(30)의 선단(커넥터(20))이 겸자채널출구(1102)로부터 돌출된 상태가 되면, 커넥터(20)와 접속관(150)을 접속함으로써, 치료물질 재치부(10)를 송배기관(30)에 장착할 수 있다(치료물질 재치부(10)가 송배기관(30)의 선단에 고정된 상태로 함).
이어서, 송배기관(30)의 단부에 접속한 팽창수축수단(400)(주사기)의 피스톤을 당겨, 내부공간(S)의 배기를 행한다. 이에 따라, 오목부(A)에 들어간 벌룬(140)의 표면에, 재치부로서 사용되는 오목부(A1)가 형성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도 9에 나타내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의사 또는 의사의 보조자는 적절한 치료물질(700)을 오목부(A1)에 재치한다. 본 실시형태는, 치료물질(700)이 세포시트('시트형상 치료물질'의 일례)라고 가정한다. 치료물질(700)은, 오목부(A1)의 표면상에서 확산된 상태로 재치된다(도 10을 참조). 단, 치료물질(700)의 재치는, 내부공간(S)으로부터의 배기 전에 행하고, 치료물질(700)이 내부공간(S)의 배기에 의하여 오목부(A) 내에 들어가도록 하여도 좋다. 다만, 내부공간(S)으로부터의 배기에 의하여 오목부(A1)를 형성하고나서 치료물질(700)을 재치함으로써, 재치장소의 목측을 잘못하여, 치료물질(700)이 오목부(A1)로부터 비져나오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의사는, 환자의 생체관 내에 미리 세팅한 시스(가이드관: 미도시)에, 본체부(100) 및 삽입부(1002)를 삽입하고, 삽입부(1002)(본체부(100))를 시스의 선단 근방까지 보낸다. 이 시점에서, 조명광의 조사 및 디스플레이 장치로의 영상표시는 계속적으로 행하여지고 있다고 가정한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본체부(100)를 후방에서 본 영상이 이미지센서에 의하여 촬상되어, 표시되고 있다고 가정한다.
다음으로, 의사가 송배기관(30)(이하, '조작관'이라고 함)을 쥐고, 조작관을 겸자채널(1100)로 더욱 보냄으로써, 본체부(100)는, 삽입부(1002)의 선단부(1004)로부터 이간되어, 곧 시스의 밖으로 나온다.
도 11은, 생체관(C) 내에 놓인(시스로부터 나온) 치료물질 재치부(10)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는, 치료물질 재치부(10)가 생체관(C) 내에서 치료물질(700)(세포시트)의 운반중 상태를 나타낸다. 치료물질(700)은, 벌룬(140)의 끌려 들어감에 의하여 형성된 오목부(A1)의 바닥면에 재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오목부(A1)의 주위에 있는 생체관(C)의 내벽이나 시스의 선단은, 중간부(120)의 윗둘레부분(120d)에 접촉하는 것에 그치고, 오목부(A1) 내의 치료물질(700)과 접촉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치료물질이 생체관 등과 접촉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도 12는,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1)를 내시경 시스템과 함께 사용하였을 때에 있어서의 생체관(C)의 굴곡진 부위를 통과할 때의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치료물질 재치부(10)의 접속관(150)이 가요성 재료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생체관(C)의 굴곡진 부위(또는 요철이 있는 부위)를 통과할 때에도 매끄럽게 통과 가능하다.
그 후, 치료물질(700)이 재치된 치료물질 재치부(10)가, 환부(AP)(도 14를 참조) 근방에 도달하면, 의사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을 참조하면서, 오목부(A1)(치료물질(700))가 환부(AP)와 대향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 이때, 치료물질(700)이 환부(AP)와 대향하고 있을 때에는, 의사는 조작관(송배기튜브(310)가 장착된 송배기관(30))을 잡고, 조작관을 비트는 것에 의하여 조작관에 토크를 주어 본체부(100)를 그 둘레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치료물질(700)이 환부(AP)와 대향하는 상태가 되면, 의사는 팽창수축수단(400)(주사기)의 피스톤을 눌러, 내부공간(S)으로 공기를 도입한다.
이에 따라,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벌룬(140)과 본체부(100)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공간(S)에 공기가 도입되어, 벌룬(140)이 팽창한다. 이때,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구멍(124)에 의하여 오목부(A)의 바닥면과 중간부(120)의 외주면이 연락되고 있다. 이 때문에, 통기구멍(132)으로부터 보내지는 공기는, 관통구멍(124)을 통과하여 중간부(120)의 외주면을 향할 수 있으므로, 공기의 중간부(120)의 외측으로의 도입이 원활하게 행하여진다.
도 14는, 본체에 밀착되는 벌룬을 팽창시킨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팽창 전에 있어서 치료물질(700)과 접촉하고 있던 벌룬(140)의 부분은, 벌룬(140)의 팽창에 의하여 확장되므로, 확장 전보다 벌룬(140)의 표면으로부터 박리되기 쉬운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치료물질(700)이 환부(AP)에 맞닿으면, 환부(AP)는 액체에 의하여 습윤 상태에 있으므로, 표면장력에 의하여 치료물질(700)은 벌룬(140)으로부터 떨어져, 환부(AP)에 부착된 상태가 된다. 치료물질(700)이 환부(AP)에 유치된 후, 팽창수축수단(400)에 의하여 내부공간(S)의 공기를 배출함으로써, 벌룬(140)은 수축한다. 벌룬(140)이 시스 내에 수용 가능한 정도로 수축한 것이 확인되면, 치료물질 재치부(10)는, 내시경(1000)의 삽입부(1002)와 함께 체외로 운반되어 회수된다.
치료물질(700)을 적용하는 부위가 광범위한 경우, 치료물질(700)은 수매(경우에 따라서는 수십매) 사용할 필요가 있다. 한번 팽창시킨 치료물질 재치부(10)는, 생체관 내외의 다양한 부위에 접촉하여, 오염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치료물질을 미리 벌룬(140) 상에 재치한 치료물질 재치부(10)를 복수 준비해 두면, 커넥터(20)의 탈착조작에만 의하여 치료물질 재치부(10)를 교환 가능하다. 더욱이, 치료물질 재치부(10)를 사용하고 버릴 수 있는 싱글 유스 형태로 사용하면, 항상 청결한 상태로 치료할 수 있게 되어, 감염 등의 방지 관점에서도 환자에게 있어서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커넥터(20)에 의하여 접속관(150)과 접속하는 것에 의하여, 접속관(150)에 암나사자국(151)(도 2e)이 형성되므로, 암사나자국(151)이 형성된 치료물질 재치부(10)의 재사용이 방지되어, 안전성이 담보된다.
상기 사용예에서는, 시스(가이드 부재)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는데, 시스(가이드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치료물질 재치부(10) 및 삽입부(1002)를 생체관 내에 삽입하는 것은 있을 수 있다.
<실시형태의 작용효과>
실시형태에 따르면, 치료물질이 생체관로에서 다른 물체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치료물질 재치부가 생체관로 내에서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며, 게다가 치료물질 재치부가 송배기관으로부터 탈착 가능한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본체부(100)의 오목부(A)에 벌룬(140)의 일부를 넣음으로써 형성된 오목부(A1)에 치료물질(700)을 재치하고, 생체관 내를 운반한다. 이 때문에, 생체관의 내벽 등이 오목부(A1) 내의 치료물질(700)에 접촉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즉, 치료물질(700)과 다른 물체와의 접촉을 실질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치료물질(700)을 적합한 상태로 환부에 누를 수 있으므로(예를 들어, 세포시트를 환부에 부착할 수 있으므로), 적합한 처치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치료물질 재치부(10)가 커넥터(20)에 의하여 확실하게 고정되므로, 생체관로에 본 발명의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1)를 적용한 경우, 치료물질 재치부(10)를 송배기관(30)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이 방지 가능해진다. 또한, 치료물질 재치부(10)가 송배기관(30)으로부터 탈착하는 것이 가능해져,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1)의 치료물질 재치부(10)만을 교환할 수 있게 되어, 치료시간의 단축 및 안전성(무균성)의 담보로도 이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타단부(130)의 후단면에 지표(136)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부(100)를 후방으로부터 촬상한 영상에 있어서 오목부(A1)를 시인할 수 없을 때에도, 오목부(A)가 형성되어 있는 방향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홈(122)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내부공간(S)으로부터의 공기배출을 적합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관통구멍(124)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내부공간(S)으로부터의 공기배출을 적합하게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벌룬(140)을 본체부(100)의 둘레방향으로 같은 압력으로 확장시키는(도 13, 14) 것에 관하여는, 이하의 이점이 있다고 생각된다. 즉, 치료물질(700)이 환부(AP)에 접촉한 후에도 벌룬(140)(내부공간(S))으로의 송기를 계속하여, 생체관(C)에 가득 벌룬(140)을 팽창시킴으로써, 환부(AP)에 대하여 치료물질(700)을 보다 적합하게 누를 수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체부(100)를 타원형으로 형성하고 있는 이유에 대하여 도 1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5의 (a)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치료물질 재치부(10)를 삽입부(1002)의 선단으로부터 거리 D1만큼 전방으로 이동시켰을 때에 대물렌즈(1210)로 집광되는 범위(이미지센서의 촬상범위(AS))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15의 (b)는, 비교예에 있어서의 치료물질 재치부(10A)를, 도 15의 (a)와 마찬가지로 거리 D1만큼 전방으로 이동시켰을 때의 대물렌즈(1210)로 집광되는 범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치료물질 재치부(10)의 본체부(100)의 단면 형상(타단부(130)의 후단면 형상)의 장반경(긴축의 길이의 절반)이 r1이고, 단반경(짧은축의 길이의 절반)이 r2(r1>r2)인 타원형인 것에 대하여, 치료물질 재치부(10A)의 본체의 단면 형상(타단부의 후단면 형상)은 반경 r1의 원형이라고 가정한다. 치료물질 재치부(10)와 치료물질 재치부(10A)가 같은 거리 D1에 놓일 때, 대물렌즈(1210)의 중심축(이미지센서(1220)의 시축(視軸))(L)과 치료물질 재치부(10)의 오목부(A1)와의 거리 d1(도 15의 (a))은, 치료물질 재치부(10A)의 오목부(A1)와의 거리 d2보다 길어진다. 겸자채널(1100)의 겸자채널출구(1102)의 위치는 바꿀 수 없기 때문이다. 본체의 둘레면이 시축(L)에 가까워질수록, 본체의 둘레면은 타단부의 후단면에 숨어 보이지 않게 된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긴축과 짧은축을 가지는 본체부(100)를 채용하여, 짧은축 방향으로 오목부(A1)가 형성되도록 하여서, 본체부(100)의 후방에 위치하는 이미지센서로 촬상되는 영상에, 본체부(100)의 둘레면(오목부(A1)에 수용된 치료물질(700))이 반영되어, 의사의 위치맞춤조작의 부담 경감이 도모되도록 하고 있다.
<변형예>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체부(100)의 중간부(120)의 주위를 피복하도록 벌룬(140)을 설치하고 있다. 벌룬(140)이 통형상인 것은 필수는 아니며, 벌룬(140)이 적어도 오목부(A)를 폐색하도록 본체부(100)에 설치되고, 오목부(A) 내가 내부공간(S)을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단, 이 경우에는, 관통구멍(124)의 형성은 불필요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타원기둥형상의 일단부(110)에 대하여 설명하였는데, 일단부(110)는, 중간부(120)보다 큰 직경의 타원기둥형상이나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생체관 내에 있어서 일단부(110)가 생체관을 확장하도록 진행되어, 후방의 중간부(120)(오목부(A))와 생체관 내벽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서, 오목부(A) 내에 수용된 치료물질(세포시트)이 생체관 등과 접촉할 가능성이 저감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일단부(110)의 선단은 모따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내부공간(S)에 도입하는 유체의 예로서, 공기를 예시하였는데, 공기 이외의 기체나 액체(예를 들어, 물)를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벌룬(140)의 오목부(A)에 들어간 부분에 대하여, 착색이나 표식을 주어, 내부공간(S)으로부터의 배기 전에 치료물질(700)을 재치할 때에 목측을 잘못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체부(100) 또는 본체부(100a)는 그 착색에 대하여는 한정하지 않고 예시하였지만, 본체부(100) 또는 본체부(100a)는 투명하여도 불투명하여도 좋으며, 운반하는 치료물질을 보기 쉽게 하기 위하여, 본체부(100) 또는 본체부(100a)는 불투명한 것이 바람직하고, 짙은색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짙은색이란, 흑색 또는 암색의 착색을 말한다. 본체부(100) 또는 본체부(100a)가 짙은색을 가짐으로써, 내시경(1000)과 함께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 내시경(1000)의 선단부의 발광체의 빛이 반사되는 비율이 낮아져, 치료물질 재치부(10) 또는 치료물질 재치부(10a)에 재치된 치료물질이 시인되기 쉬워진다. 여기에서, 암색이란 명도가 50% 미만의 색을 말하며, 발광체의 빛의 반사를 억제하거나, 또는 치료물질이 시인되기 쉬운 효과를 주는 착색이라면 한정되지 않는다. 착색하는 방법에 대하여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2. 치료물질 운반키트
본 발명은, 더욱이, 치료물질을 생체관 내의 원하는 위치에 운반 및/또는 부착하기 위한 치료물질 운반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치료물질 운반키트는,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치료물질 재치부와,
상기 치료물질 재치부에 접속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에 접속되는 송배기관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치료물질 재치부가, 오목부가 형성된 본체부, 적어도 상기 오목부를 피복하여 상기 본체부와의 사이에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탄성막, 및 상기 내부공간에 연통하여 그 적어도 단부가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접속관을 가지고,
상기 커넥터가, 유체가 통과하는 관통구멍, 상기 접속관에 삽입하기 위한 일단부 및 상기 송배기관에 접속되는 타단부를 가지는 이음매 본체, 상기 이음매 본체의 타단부측에 고정된 플랜지부 그리고 상기 이음매 본체가 삽입통과된 고정용 너트를 구비하며,
상기 이음매 본체가, 상기 이음매 본체의 외경보다 큰 직경, 및 상기 고정용 너트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인 튜브저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용 너트의 내벽의 적어도 일부가 암나사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용 너트가 나사 진행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고정용 너트와 상기 이음매 본체에 협지된 상기 접속관에 상기 암나사가 잠식하여, 상기 치료물질 재치부가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치료물질 운반키트에 따르면, 치료물질 재치부, 커넥터 및 송배기관이 포함되는 키트로서 제공되므로, 예를 들어 의사 등이 수술현장에서 치료물질 운반키트에 포함되는 치료물질 재치부, 커넥터, 송배기관을 필요에 따라서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치료물질 운반키트는, 예를 들어 치료물질 재치부만이 복수개 필요한 경우, 미리 필요한 개수의 치료물질 재치부를 준비할 수 있어, 커넥터에 의하여 치료물질 재치부만 교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치료물질 운반키트에 포함되는 그 치료물질 재치부, 그 커넥터 및 그 송배기관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패키지로 봉입되어도 좋다. 그 패키지에 봉입된 그 치료물질 재치부, 그 커넥터 및 그 송배기관은, 임의의 멸균수단, 예를 들어 감마선멸균, 자외선조사멸균, 에틸렌옥사이드가스멸균, 과산화수소가스멸균 등에 의하여 멸균되어 패키지에 봉입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멸균수단은, 치료물질 운반키트에 포함되는 각 구성요소의 기능을 손상하지 않는 수단이라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치료물질 운반키트는,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그 치료물질 재치부의 내부공간에 유체를 유입 및 배출시키는 팽창수축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그 팽창수축수단은, 예를 들어 주사기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 팽창수축수단은, 상술한 그 치료물질 재치부, 그 커넥터 및 그 송배기관과, 각각 단독으로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패키지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치료물질 운반키트는,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그 치료물질 재치부가, 치료물질이 미리 재치된 치료물질 재치부여도 좋다. 미리 치료물질이 재치된 그 치료물질 재치부는, 단독으로 패키지된 것이어도 좋고, 상술한 그 커넥터, 그 송배기관 및 팽창수축수단과, 각각 단독으로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패키지되어도 좋은데, 독립하여 단독으로 패키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치료물질이 미리 재치된 치료물질 재치부라면, 수술현장에서 치료물질을 재치하는 작업이 삭감되어, 수술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
10: 치료물질 재치부
10a: 치료물질 재치부(변형예)
10A: 치료물질 재치부
20: 커넥터
30: 송배기관
100: 본체부
100a: 본체부(변형예)
100b: 둘레부(변형예)
110: 일단부
112: 홈
120: 중간부
122: 홈
124: 관통구멍
130: 타단부
132: 통기구멍
132a: 통기구멍(변형예)
134: 홈
136: 지표
140: 벌룬(탄성막)
140a: 탄성막(변형예)
140a': 탄성막(변형예)
141: 일단부
142: 타단부
150: 접속관
150a: 접속관(변형예)
151: 암나사자국
152: 단부
200: 이음매 본체
201: 일단부
202: 타단부
203: 관통구멍
204: 튜브저장부
204a: 일단부
204b: 타단부
205: 유로구멍(통기구멍(132)의 일부)
210: 고정용 너트
211: 통형상 나사결합부
212: 널링구조
213: 차양부
214: 삽입통과구멍
215: 암나사
220: 플랜지부
230: 너트스토퍼플랜지
310: 송배기튜브
311: 송배기튜브 말단부
320: 토크와이어
321: 말단부
330: 시일용 튜브재
400: 팽창수축수단
700: 치료물질
700a: 치료물질(변형예)
700a': 치료물질(변형예)
1000: 내시경
1001: 조작부
1002: 삽입부
1003: 접속부
1004: 선단부
1100: 겸자채널
1101: 겸자채널입구
1102: 겸자채널출구
1103: 굴곡부
1210: 대물렌즈
1220: 이미지센서
A: 오목부
A': 오목부(변형예)
A1: 오목부
AP: 환부
AS: 이미지센서의 촬상범위
C: 생체관
L: 시축
S: 내부공간
S1: 내부공간
S2: 내부공간
S3: 내부공간(변형예)

Claims (15)

  1. 치료물질을 생체관 내의 원하는 위치에 운반 및/또는 부착하기 위한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로서,
    치료물질 재치부와,
    상기 치료물질 재치부에 접속된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에 접속된 송배기관을 구비하고,
    상기 치료물질 재치부가, 오목부가 형성된 본체부, 적어도 상기 오목부를 피복하여 상기 본체부와의 사이에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탄성막, 및 상기 내부공간에 연통하여 그 적어도 단부가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접속관을 가지며,
    상기 커넥터가, 유체가 통과하는 관통구멍, 상기 접속관에 삽입하기 위한 일단부 및 상기 송배기관에 접속되는 타단부를 가지는 이음매 본체, 상기 이음매 본체의 타단부측에 고정된 플랜지부 그리고 상기 이음매 본체가 삽입통과된 고정용 너트를 구비하고,
    상기 이음매 본체가, 상기 이음매 본체의 외경보다 큰 직경, 및 상기 고정용 너트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인 튜브 저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용 너트의 내벽의 적어도 일부가 암나사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용 너트가 나사 진행함으로써, 상기 고정용 너트와 상기 이음매 본체에 협지된 상기 접속관에 상기 암나사가 잠식하여, 상기 치료물질 재치부가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배기관이, 내시경의 겸자채널에 삽입통과되어, 상기 내시경과 함께 사용되는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너트가, 통형상 나사결합부와, 상기 이음매 본체가 삽입통과하는 삽입통과구멍을 가지는 차양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통과구멍의 직경이, 상기 튜브 저장부의 외경보다 작은 직경인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의 외경이, 상기 고정용 너트의 외경보다 작은 직경, 및 상기 차양부의 상기 삽입통과구멍의 직경보다 큰 직경인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외경이, 5.0mm 미만인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저장부가, 상기 이음매 본체의 일단부측으로부터 타단부측을 향하여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배기관에, 상기 치료물질 재치부의 상기 내부공간에 유체를 유입 및 배출시키기 위한 팽창수축수단이 더 접속된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물질 재치부가, 싱글 유스인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물질 재치부의 상기 본체부가, 둘레면의 일부가 제거된 대략 반타원 통형상인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물질 재치부가,
    적어도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 오목부가 형성된 중간부를 가지는 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막이, 2개의 단부를 가지는 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간부의 주위를 둘러싸는 상태로 상기 탄성막의 상기 일단부 및 상기 타단부를 상기 중간부에 밀착시켜 고정되어 있는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
  11.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물질 재치부의 상기 본체부가, 오목부가 형성된 대략 반계란형 형상으로서,
    상기 탄성막이, 상기 본체부의 둘레부에 밀착 고정되어 있는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가, 흑색 또는 암색의 착색을 가지는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
  13. 치료물질을 생체관 내의 원하는 위치에 운반 및/또는 부착하기 위한 치료물질 운반키트로서,
    치료물질 재치부와,
    상기 치료물질 재치부에 접속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에 접속되는 송배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치료물질 재치부가, 오목부가 형성된 본체부, 적어도 상기 오목부를 피복하여 상기 본체부와의 사이에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탄성막, 및 상기 내부공간에 연통하여 그 적어도 단부가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접속관을 가지며,
    상기 커넥터가, 유체가 통과하는 관통구멍, 상기 접속관에 삽입하기 위한 일단부 및 상기 송배기관에 접속되는 타단부를 가지는 이음매 본체, 상기 이음매 본체의 타단부측에 고정된 플랜지부 그리고 상기 이음매 본체가 삽입통과된 고정용 너트를 구비하고,
    상기 이음매 본체가, 상기 이음매 본체의 외경보다 큰 직경, 및 상기 고정용 너트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인 튜브 저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용 너트의 내벽의 적어도 일부가 암나사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용 너트가 나사 진행함으로써, 상기 고정용 너트와 상기 이음매 본체에 협지된 상기 접속관에 상기 암나사가 잠식하여, 상기 치료물질 재치부가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물질 운반키트.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송배기관에 접속되는 상기 치료물질 재치부의 상기 내부공간에 유체를 유입 및 배출시키는 팽창수축수단을 더 구비한 치료물질 운반키트.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물질 재치부에, 치료물질이 더 재치된 치료물질 운반키트.
KR1020187004291A 2015-09-09 2016-09-08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 및 치료물질 운반키트 KR1026293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77993 2015-09-09
JPJP-P-2015-177993 2015-09-09
PCT/JP2016/076511 WO2017043600A1 (ja) 2015-09-09 2016-09-08 治療物質運搬デバイス、及び治療物質運搬キ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0648A true KR20180050648A (ko) 2018-05-15
KR102629368B1 KR102629368B1 (ko) 2024-01-25

Family

ID=58239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4291A KR102629368B1 (ko) 2015-09-09 2016-09-08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 및 치료물질 운반키트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730460B2 (ko)
EP (1) EP3348206A4 (ko)
JP (1) JP6762035B2 (ko)
KR (1) KR102629368B1 (ko)
CN (1) CN107949332B (ko)
AU (1) AU2016320987B2 (ko)
CA (1) CA2998102C (ko)
SG (1) SG11201801981UA (ko)
WO (1) WO20170436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046024A1 (en) * 2017-08-10 2019-02-14 Ethicon, Inc. Volume expanders for endoscopes
US10814027B2 (en) 2017-12-07 2020-10-27 Asp Global Manufacturing Gmbh Sterilization-assistance device
EP3725869A4 (en) 2017-12-11 2021-08-04 Tokyo Women's Medical University TUBULAR TISSUE PREPARATION DEVICE, TUBULAR TISSUE PREPARATION KIT, AND TUBULAR TISSUE PREPARATION METHOD
US10967084B2 (en) 2017-12-15 2021-04-06 Asp Global Manufacturing Gmbh Flow restrictor
CN110448343A (zh) * 2019-08-26 2019-11-15 星奇点(武汉)医疗科技有限公司 上消化道细胞采集装置
US11583664B2 (en) * 2019-11-07 2023-02-21 Stryker Corporation Balloon catheter assembly for insertion and positioning therapeutic devices within a vascular system
WO2022080459A1 (ja) * 2020-10-15 2022-04-21 国立大学法人京都大学 シート状物質を生体内に貼付するためのデバイス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8387A (ja) 1988-03-02 1990-01-11 Otsuka Chem Co Ltd アセチレンアルコール誘導体の製造法
JPH02211865A (ja) 1989-02-10 1990-08-23 Kao Corp 細胞培養支持体材料
JPH05192138A (ja) 1992-01-22 1993-08-03 Kao Corp 皮膚細胞培養法及び培養皮膚
JP2008079783A (ja) * 2006-09-27 2008-04-10 Pentax Corp 生体管路内処置デバイス
JP2008148887A (ja) 2006-12-18 2008-07-03 Pentax Corp 生体管路内処置デバイス
WO2014069292A1 (ja) * 2012-10-31 2014-05-08 学校法人東京女子医科大学 シート状治療用物質搬送器具、シート状治療用物質の貼付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7820A (en) * 1986-04-09 1988-05-31 Cooper Lasersonics, Inc. Irrigation/aspiration manifold and fittings for ultrasonic surgical aspiration system
US5451204A (en) * 1988-07-22 1995-09-19 Yoon; Inbae Multifunctional devices for endoscopic surgical procedures
WO1994017856A1 (en) * 1993-02-02 1994-08-18 Vidamed, Inc. Transurethral needle ablation device and method
US20050228434A1 (en) 2004-03-19 2005-10-13 Aga Medical Corporation Multi-layer braided structures for occluding vascular defects
US20110004057A1 (en) * 2004-04-21 2011-01-06 Acclarent,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nasal dilation of passageways in the ear, nose or throat
CN2912817Y (zh) * 2006-04-07 2007-06-20 何旭润 两相流切割式内雾化喷枪
US20080078802A1 (en) 2006-09-29 2008-04-03 Hess Christopher J Surgical staples and stapling instruments
US20120065674A1 (en) * 2010-08-16 2012-03-15 Levy Michael J Methods and materials for closing an opening
JP5259783B2 (ja) * 2011-07-21 2013-08-0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内視鏡の栓体
WO2013081005A1 (ja) * 2011-11-30 2013-06-06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医療機器
WO2013168498A1 (ja) * 2012-05-10 2013-11-14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視鏡用処置具
US9078662B2 (en) * 2012-07-03 2015-07-14 Ethicon Endo-Surgery, Inc. Endoscopic cap electrod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10004863B2 (en) * 2012-12-04 2018-06-26 Endoclear Llc Closed suction clean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JP5838189B2 (ja) * 2013-09-06 2016-01-0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内視鏡システム
US9694163B2 (en) * 2013-12-17 2017-07-04 Biovision Technologies, Llc Surgical device for performing a sphenopalatine ganglion block procedure
GB2557500B8 (en) * 2015-07-29 2021-02-17 Actuated Medical Inc Devices for clearing blockages in artificial and natural lumen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8387A (ja) 1988-03-02 1990-01-11 Otsuka Chem Co Ltd アセチレンアルコール誘導体の製造法
JPH02211865A (ja) 1989-02-10 1990-08-23 Kao Corp 細胞培養支持体材料
JPH05192138A (ja) 1992-01-22 1993-08-03 Kao Corp 皮膚細胞培養法及び培養皮膚
JP2008079783A (ja) * 2006-09-27 2008-04-10 Pentax Corp 生体管路内処置デバイス
JP2008148887A (ja) 2006-12-18 2008-07-03 Pentax Corp 生体管路内処置デバイス
WO2014069292A1 (ja) * 2012-10-31 2014-05-08 学校法人東京女子医科大学 シート状治療用物質搬送器具、シート状治療用物質の貼付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1: Ohki T, Yamato M, Murakami D, Takagi R, Yang J, Namiki H, et al. Treatment of oesophageal ulcerations using endoscopic transplantation of tissue-engineered autologous oral mucosal epithelial cell sheets in a canine model. Gut. 2006;55(12):1704-1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43600A1 (ja) 2017-03-16
EP3348206A4 (en) 2019-05-01
EP3348206A1 (en) 2018-07-18
SG11201801981UA (en) 2018-04-27
AU2016320987A1 (en) 2018-03-22
AU2016320987B2 (en) 2020-07-16
CA2998102C (en) 2023-09-19
KR102629368B1 (ko) 2024-01-25
US11730460B2 (en) 2023-08-22
CN107949332A (zh) 2018-04-20
JP6762035B2 (ja) 2020-09-30
CA2998102A1 (en) 2017-03-16
US20200352550A1 (en) 2020-11-12
JPWO2017043600A1 (ja) 2018-07-05
CN107949332B (zh) 202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50648A (ko)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 및 치료물질 운반키트
US11844498B2 (en) Handheld surgical endoscope
US10076232B2 (en) Endoscopic sheath assembly
CA2814738C (en) A universal cap
JP2019141635A (ja) バルーン内視鏡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および使用方法
WO2016137838A1 (en) Handheld surgical endoscope
US20100261967A1 (en) Video laryngoscope system and devices
US8679002B2 (en) Endoscope system for gastrostomy catheter placement
US9179824B2 (en) Endoscopic sheath assembly
JP2012523855A (ja) 医用器具シース
ES2356125T3 (es) Dispositivo para examinar el útero.
AU2010363102A1 (en) Detection indicator
EP2627236B1 (en) Endoscopic sheath assembly
JP2009153764A (ja) 内視鏡用挿入補助具
KR20160065258A (ko) 일회용 내시경 커버 본체와 그 커버 본체를 사용하는 내시경
JP2008079783A (ja) 生体管路内処置デバイス
CN112969439A (zh) 胃管
JP6355368B2 (ja) 治療物質の運搬用治具
DK2345450T3 (en) Application set, comprising an applicator and a hose-sheathing to the applicator, and implantationsinstrumenter
TWI738734B (zh) 治療物質輸送設備、及治療物質輸送套組
CN117378984A (zh) 一种内窥镜护套导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