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0189A - 그래핀을 이용한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그래핀을 이용한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제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0189A
KR20180050189A KR1020170006972A KR20170006972A KR20180050189A KR 20180050189 A KR20180050189 A KR 20180050189A KR 1020170006972 A KR1020170006972 A KR 1020170006972A KR 20170006972 A KR20170006972 A KR 20170006972A KR 20180050189 A KR20180050189 A KR 201800501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phene
film
carrier plate
oled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6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용덕
김찬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온인터내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온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온인터내셔널
Publication of KR20180050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01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01L51/5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0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one layer of ceramic material, e.g. porcelain, ceramic tile
    • B32B9/007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one layer of ceramic material, e.g. porcelain, ceramic tile comprising carbon, e.g. graphite, composite carbon
    • H01L51/003
    • H01L51/0097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8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using temporary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6Organic displays, e.g. OLED
    • H01L2227/326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개시된 그래핀을 이용한 OLED 제작 방법은, 구리가 코팅된 포일(foil) 상에 그래핀을 합성하는 그래핀 합성 단계, 합성된 그래핀 상에 캐리어 필름을 라미네이팅하는 단계, 구리가 코팅된 포일을 에칭 및 도핑처리하여 그래핀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그래핀 부재의 그래핀을 캐리어 플레이트에 전사 및 열처리하는 단계, 전사된 그래핀 상에 PI 용액을 도포하여 건조시켜 PI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PI 필름 상에 OLED를 형성하는 단계, 및 캐리어 플레이트와 상기 전사된 그래핀 막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로써, 기존에 캐리어 플레이트상 접착층으로 PI를 접착후 OLED가 형성된 후 캐리어 플레이트와 PI층을 분리할 때 접착층을 떼어낼 때 불량률이 높았던 문제를 해결하여 거의 100% 수율로 분리가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그래핀을 이용한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제작 방법 {METHOD FOR MANUFACTURING OLED USING GRAPHENE}
본 발명은 그래핀을 이용한 OLED 제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TFT 및 OLED를 형성한 후 캐리어 플레이트(carrier plate)를 쉽게 분리할 수 있는 그래핀을 이용한 OLED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 기술이 발달하면서 휘어질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술이 많이 제안되고 있으며, 이 중 OLED를 이용한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OLED를 제작하는 방법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글라스로 형성된 캐리어 플레이트(10)상에 접착층(11)을 형성하고, 접착층(11) 상에 PI(polyimide)를 코팅하여 PI 코팅층(12)을 형성하는 공정이 이루어진다.
이후 PI 코팅층(12)의 두께가 매우 얇으므로 투습, 투산소 문제 및 평탄화 등을 위해 PI 코팅층(12) 성막 후 배리어 코팅층(13)을 형성하는 절차를 진행하고, 배리어 코팅층(13) 상에 TFT(14) 형성후 OLED(15)를 증착한다.
OLED(15) 증착 후 이들을 인캡슐레이션 시켜 OLED(15)를 보호할 수 있게 한다.
이어서, 캐리어 플레이트(11)를 PI 코팅층(12)과 분리하여 OLED의 제작을 완성하게 되는데, 캐리어 플레이트(11)와 PI 코팅층(12)은 접착층(11)에 의하여 물리적으로 강하게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을 레이저로 분리시키게 되는데 그 분리 공정시 PI 코팅층(12)에 손상이 발생되어 불량률이 높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OLED를 형성한 후 캐리어 플레이트와 PI 코팅층을 쉽게 분리할 수 있는 그래핀을 이용한 OLED 제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그래핀을 이용한 OLED 제작 방법은, 기판 상에 그래핀을 합성하는 그래핀 합성 단계; 상기 합성된 그래핀 상에 캐리어 필름을 라미네이팅하는 단계; 상기 캐리어 필름이 라미네이팅된 기판을 에칭 및 도핑처리하여 그래핀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그래핀 부재의 그래핀을 캐리어 플레이트에 전사 및 열처리하는 단계; 상기 전사된 그래핀 상에 PI 용액을 도포하여 건조시켜 PI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PI 필름 상에 OLED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와 상기 전사된 그래핀 막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그래핀 막을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와 그래핀 막 간에 작용하는 반데르발스 힘보다 강한 압력으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기존에 캐리어 플레이트상 접착층으로 PI를 접착후 OLED가 형성된 후 캐리어 플레이트와 PI층을 분리할 때 접착층을 떼어낼 때 불량률이 높았던 문제를 해결하여 거의 100% 수율로 분리가 가능할 수 있다.
즉, 그래핀과 캐리어 플레이트간 접착제에 의한 강한 접착력이 아니라 반데르발스 힘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으므로 이 힘보다 약간 강한 힘으로 이들을 분리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접착층을 물리적으로 분리할 때 발생하던 불량률을 없앨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그래핀 합성단계는, 촉매층으로 활용할 구리를 기판 위에 증착하는 단계; 상기 구리를 증착한 기판을 고온에서 메탄 및 수소 혼합가스와 반응시켜 탄소가 상기 촉매층에 녹아들거나 흡착되게 하는 단계; 및 상기 촉매층에 포함되어 있는 탄소원자들이 표면에서 결정화되면서 그래핀 결정구조를 형성하도록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 상의 그래핀 막을 비파괴 검사를 통해 이상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로써, 비정상적으로 형성된 그래핀 부재를 추려내서 처리하고, 정상적인 그래핀 막이 형성된 그래핀 부재만을 사용하여 OLED 디바이스의 수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래핀부재 형성단계는, 상기 촉매층 및 기판을 에칭 및 도핑처리하여 제거하여 PI 필름 상에 그래핀결정구조만을 남기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에 캐리어 플레이트상 접착층으로 PI를 접착하여 OLED가 형성된 후, 캐리어 플레이트와 PI층을 분리하기 위해 접착층을 떼어낼 때 불량률이 높았던 문제를 해결하여 거의 100% 수율로 분리가 가능할 수 있다.
즉, 그래핀과 캐리어 플레이트 간 접착제에 의한 강한 접착력이 아니라 반데르발스 힘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으므로, 이 힘보다 약간 강한 힘으로 이들을 분리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접착층을 물리적으로 분리할 때 발생하던 불량률을 없앨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OLED 제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그래핀을 이용한 OLED 제작 방법 중 전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단계에서 제작된 그래핀 필름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그래핀을 이용한 OLED 제작 방법 중 후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후단계 이후 캐리어 플레이트를 크래핀 막과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그래핀을 이용한 OLED 제작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그래핀을 이용한 OLED 제작 방법 중 전단계에서 그래핀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단계에서 제작된 그래핀이 전사된 캐리어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OLED 제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2를 참조하면, 구리가 코팅된 포일(101)을 일정 사이즈로 커팅한 후에 그래핀을 합성하는 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은 그래핀을 합성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기계적 박리법, 화학증착법, 에피텍셜 합성법 또는 화학적 박리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 중에서 화학증착법은 촉매의 종류와 두께, 반응시간, 냉각속도, 반응가스의 농도 등을 조절하여 그래핀 층수를 조절할 수 있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화학증착법으로 그래핀을 합성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방식으로 그래핀을 합성하여도 무방하다.
화학증착법에 의한 방법을 간단하게 살펴보면, 촉매층으로 활용할 구리 등을 기판 위에 증착하고 약 1000℃ 의 고온에서 메탄 및 수소 혼합가스와 반응시켜 적절한 양의 탄소가 촉매층에 녹아들거나 흡착되도록 한다. 이후, 냉각을 하게 되면 촉매층에 포함되어 있던 탄소원자들이 표면에서 결정화되면서 그래핀 결정구조를 형성하게 되어 그래핀 합성 공정이 완료된다.
이후, 그래핀 결정구조가 형성된 층(102)에 캐리어 필름(103)을 라미네이팅한다.
다음으로, Cu, 촉매층 및 기판을 에칭 및 도핑 처리하여 제거한 후 이를 건조공정을 거쳐서 그래핀 부재(110)를 형성한다.
이어서, 그래핀 부재(110)상에 형성된 그래핀(102)을 캐리어 플레이트(121)에 전사 및 열처리하여 캐리어 플레이트(121)에 그래핀 층(102)을 적층시킨다.
이러한 전사 및 열처리에 의하여 그래핀 층(102)은 캐리어 플레이트(121)와 반데르발스 힘에 의하여 상호 끌어당겨져서 고정됨으로써 원하는 용도에 맞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캐리어 플레이트(121) 상에 그래핀 막(102')이 제대로 형성되어 있는지 알아볼 수 있도록 검사가 진행될 수 있다. 즉, 상기 그래핀 막(102')에 대한 비파괴 검사 등을 통해 그래핀 막(102')이 정상적으로 형성되었는지 확인하고, 정상적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다음 공정을 진행한다. 반대로, 그래핀 막(102')을 검사한 결과 비정상적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다음 공정을 진행하지 않고 처리한다.
상기 검사과장을 거친 이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플레이트(121) 상에 전사된 그래핀 막(102') 위에 PI 용액을 도포하여 PI 필름(130)을 형성하고, PI 필름(130) 상에 TFT 공정을 거쳐 OLED(140)를 증착시키는 공정이 진행된다.
이때, TFT 공정에 있어서, OLED용 TFT는 LCD와 같은 공정을 이용하여 비정질 실리콘(a-Si)으로 기판을 구성한 이후에 ELA(Eximer Laser Annealing) 장비로 레이저를 조사해 LI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TFT로 만들어 쓰는 것이 일반적이나, ELA 레이저 빔 폭이 제한적이라 4.5세대 이상의 패널에서는 멀티스캔이 필요하므로 대면적으로 갈수록 LTPS 공정을 도입하기에는 투자부담이 존재하기 때문에 Oxide TFT 기판을 채용할 수 있다.
이어서, OLED 증착공정은 유기물질을 마스크에 뿌리면서 승화시키는 증착 공정을 거치게 되는데, 주로 FMM(Fine Metal Mask) 방식이 사용되고 있으나, FMM은 재료를 마스크 전면에 뿌리는 방식이라 재료의 낭비가 많고 패널 면적이 커지면 마스크의 휨 현상이 일어나 대형화에 한계가 있다.
그 대안으로서 고분자 필름에 유기물질들을 진공 증착한 도너 필름을 만들고 이를 레이저를 통해 전사시키는 LITI(Laser Induced Thermal Imaging) 방식, FMM과 LITI를 복합하는 방식, W-OLED 방식이나 잉크젯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있으며, 이들 중 어느 방법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OLED(140)가 증착된 후 즉, 애노드(anode; 141), 캐소드(cathod; 142) 및 OLED층(143)이 형성된 후에, 이를 보호하도록 보호층(150)을 형성하는 인캡슐레이팅 작업이 진행되다. 인캡슐레이팅 작업 이후, 캐리어 플레이트(121)와 전사된 그래핀 막(102')을 서로 분리하는 공정이 진행된다.
여기서, 캐리어 플레이트(121)와 그래핀 막(102')은 상기 전사단계에서 전사되면서 반데르발스 힘에 의하여 결합되게 되는데, 이러한 결합력인 반데르발스 힘보다 약간 강한 압력으로 캐리어 플레이트(121)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공정들을 단계적으로 거쳐서 최종적으로 OLED 디바이스(100)를 제작할 수 있게 되는데, 종래에 접착층을 매개로 PI 층을 분리할 때 접착층의 접착력에 의하여 PI 층에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최종적인 OLED 디바이스(100)의 생산수율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기판 상에 그래핀을 합성하는 그래핀 합성 단계;
    상기 합성된 그래핀 상에 캐리어 필름을 라미네이팅하는 단계;
    상기 캐리어 필름이 라미네이팅된 기판을 에칭 및 도핑처리하여 그래핀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그래핀 부재의 그래핀을 캐리어 플레이트에 전사 및 열처리하는 단계;
    상기 전사된 그래핀 상에 PI 용액을 도포하여 건조시켜 PI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PI 필름 상에 OLED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와 상기 전사된 그래핀 막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핀을 이용한 OLED 제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핀 막을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와 그래핀 막 간에 작용하는 반데르발스 힘보다 강한 압력으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핀을 이용한 OLED 제작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핀 합성단계는,
    촉매층으로 활용할 구리를 기판 위에 증착하는 단계;
    상기 구리를 증착한 기판을 고온에서 메탄 및 수소 혼합가스와 반응시켜 탄소가 상기 촉매층에 녹아들거나 흡착되게 하는 단계; 및
    상기 촉매층에 포함되어 있는 탄소원자들이 표면에서 결정화되면서 그래핀 결정구조를 형성하도록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핀을 이용한 OLED 제작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 상의 그래핀 막을 비파괴 검사를 통해 이상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핀을 이용한 OLED 제작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핀부재 형성단계는,
    상기 촉매층 및 기판을 에칭 및 도핑처리하여 제거하여 PI 필름 상에 그래핀결정구조만을 남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핀을 이용한 OLED 제작 방법.
KR1020170006972A 2016-11-04 2017-01-16 그래핀을 이용한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제작 방법 KR201800501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46665 2016-11-04
KR1020160146665 2016-11-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0189A true KR20180050189A (ko) 2018-05-14

Family

ID=62187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6972A KR20180050189A (ko) 2016-11-04 2017-01-16 그래핀을 이용한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제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018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86551A (zh) * 2019-01-04 2019-05-21 无锡第六元素电子薄膜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制备柔性oled的基板及柔性oled的制备方法
KR101982477B1 (ko) 2018-11-16 2019-05-27 ㈜ 엘에이티 그래핀을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기판 분리 방법
KR102195967B1 (ko) 2019-11-14 2020-12-28 ㈜ 엘에이티 플렉서블 oled 디스플레이 기판용 논 레이저 리프트오프 장치
CN113675293A (zh) * 2021-08-10 2021-11-19 东北师范大学 n型氧化物/p型石墨烯异质pn结紫外光电探测器制备方法
KR20220121733A (ko) * 2021-02-25 2022-09-0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엘이디 조명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2477B1 (ko) 2018-11-16 2019-05-27 ㈜ 엘에이티 그래핀을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기판 분리 방법
CN109786551A (zh) * 2019-01-04 2019-05-21 无锡第六元素电子薄膜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制备柔性oled的基板及柔性oled的制备方法
KR102195967B1 (ko) 2019-11-14 2020-12-28 ㈜ 엘에이티 플렉서블 oled 디스플레이 기판용 논 레이저 리프트오프 장치
KR20220121733A (ko) * 2021-02-25 2022-09-0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엘이디 조명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WO2022182167A3 (ko) * 2021-02-25 2022-11-2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엘이디 조명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13675293A (zh) * 2021-08-10 2021-11-19 东北师范大学 n型氧化物/p型石墨烯异质pn结紫外光电探测器制备方法
CN113675293B (zh) * 2021-08-10 2024-04-12 东北师范大学 n型氧化物/p型石墨烯异质pn结紫外光电探测器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50189A (ko) 그래핀을 이용한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제작 방법
KR101120139B1 (ko) 레이저 리프트 오프를 이용한 플렉서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CN103299448B (zh) 使用辊形状母基板的柔性电子器件的制造方法、柔性电子器件及柔性基板
TWI692898B (zh) 柔性顯示幕的製備方法及製備柔性顯示幕用複合基板
US8376017B2 (en) Flexible substrate bonding and debonding apparatus
US9166191B2 (en) Display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isplay device and carrier substrate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CN101179092B (zh) 有机发光显示器的制造方法
US10186674B2 (en) Thin-film device having barrier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262464B1 (ko) 레이저를 이용한 플렉서블 전자소자의 제조방법
CN103531715B (zh) 柔性光电器件衬底、柔性光电器件及制备方法
JP2015116694A (ja) 樹脂層付き支持基板の製造方法、ガラス積層体の製造方法、電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
WO2013021560A1 (ja) フレキシブルデバイスの製造方法
AU2003247130A1 (en) Method of transferring of a layer of strained semiconductor material
US10147901B2 (en) Packaging method,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US11307688B2 (en) Thermal transfer substrate, touch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nd display device
US9607854B2 (en) Methods to reduce debonding forces on flexible semiconductor films disposed on vapor-releasing adhesives
JP2010118638A (ja) 薄膜素子の製造方法
KR101947070B1 (ko) 플렉서블 필름을 이용한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JP2010062526A (ja) 薄膜素子の製造方法
TW202246175A (zh) 用於製造經改善的石墨烯基板的方法及其應用
US20190081178A1 (en) Thin film transistor, array substrat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11515513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including bonding first mother substrate and second mother substrate with buffer sheet
KR101982477B1 (ko) 그래핀을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기판 분리 방법
US8747598B2 (en) Method of forming a permanently supported lamina
CN109713168B (zh) 一种柔性显示器件、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