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9596A - 복공판 구조체 - Google Patents

복공판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9596A
KR20180049596A KR1020160145701A KR20160145701A KR20180049596A KR 20180049596 A KR20180049596 A KR 20180049596A KR 1020160145701 A KR1020160145701 A KR 1020160145701A KR 20160145701 A KR20160145701 A KR 20160145701A KR 20180049596 A KR20180049596 A KR 201800495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upper plate
lower plate
corrugated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5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해곤
Original Assignee
최해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해곤 filed Critical 최해곤
Priority to KR1020160145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9596A/ko
Publication of KR20180049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95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8Temporary pavings
    • E01C9/083Temporary pavings made of metal, e.g. plates, net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16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metallic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판과 하판 사이에 파형의 주름판이 개재되도록 결합되어 중량을 경감하면서 강성을 보강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판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효율적으로 분산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복공판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각 플레이트 형상의 상판과, 상기 상판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상판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하판과,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개재되며 복수의 산과 골로 이루어진 주름이 형성되고 산과 골 부위가 상기 상판과 하판에 접촉되는 주름판과, 상기 주름판의 산과 골 부위를 상판과 하판중 적어도 하나에 용접하도록 상기 상판과 하판 중 적어도 하나에 천공 형성되는 용접공과, 상기 상판과 하판의 테두리를 연결하도록 결합되는 연결부재와, 수직 형강재의 테두리 부위에 결합되도록 상기 하판의 테두리 부위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가이드앵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복공판 구조체{DECK PLATE STRUCTURE}
본 발명은 복공판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판과 하판 사이에 파형의 주름판이 개재되도록 결합되어 중량을 경감하면서 상판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효율적으로 분산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복공판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공판은 지하철 건설과 같은 지하 시설 공사를 위해 도로를 파헤치는 경우, 교통량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면을 복개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복공판은 평평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수십 내지 수백 개가 평평하게 배열되어 그 위로 차량이 지나다니게 된다.
또한 이러한 복공판은 노후 교량의 보수시 우회 도로를 건설하는데도 사용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복공판은 일정한 두께를 가진 평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통과하는 차량들의 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굽힘모멘트와 충격 등을 견딜 수 있는 굽힘강도를 가져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종래의 복공판은 주로 ㄷ형강 또는 Н형상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기존 복공판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12740호 "H형강과 T형강을 이용한 복공판"(공개일자 : 2009.12.15)에 개시된 바와 같이, 평행한 상하 한 쌍의 수평부 및 그 사이에 수직으로 연결된 수직부로 이루어진 다수의 Н형강 부재; Н형강의 웨브 중앙을 절단하여 형성되며, 상부면이 평면을 이루도록 상기 Н형강들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수평부의 양 측단부가 양쪽 수평부의 각 측단부에 용접되는 다수의 Τ형강 부재; 양쪽의 Н형강 부재와 중앙의 Τ형강 부재 하부에 수평부들과 수직부들로 이루어지는 공간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상기 공간 내에 일정간격마다 수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수직보강재;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Н형강 부재의 개방된 측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단부가 상기 수평부의 측단부에 용접되는 한 쌍의 측면 부재; 상기 양측 가장자리의 Н형강 부재와 측면 부재 사이에 일정간격마다 설치되며, 상하 단부가 수평부의 내면에 각각 용접되고 측면이 측면 부재의 내면에 용접되는 다수의 수직앵글; 상기 Н형강 부재들의 하부측 수평부들이 이루는 하부면의 중앙에 횡으로 용접되는 저판; 및 상기 Н형강 부재들의 하부측 수평부들이 이루는 하부면의 전후방 양측에 미끄럼방지를 위하여 횡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ㄱ형강 스토퍼; 를 포함하는 H형강과 T형강을 이용한 복공판으로 구성된 것이다.
기존 복공판과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54200호 "복공판"(등록일자 : 2010.04.14)에 개시된 바와 같이, 수직면들 사이에 수평면이 상하로 번갈아 연결되는 형상으로 절곡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복부재; 상기 복부재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복부재들을 상호 연결하는 하부재, 및 상기 복부재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복부재들을 상호 연결하는 강판으로, 상기 복수의 복부재가 내측에 포함되도록 상기 복수의 복부재의 상면과 측면을 덮는 일체의 판형상으로 형성하는 상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그런데, 기존 복공판은 상판과 하판의 중간에 복부재 등의 중간부재가 배치되고 있으나, 중간부재가 강재인 경우에는 중량이 많이 나가게 될 뿐만 아니라, 상판을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키지 못하게 되어 내구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12740호 "H형강과 T형강을 이용한 복공판"(공개일자 : 2009.12.15)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54200호 "복공판"(등록일자 : 2010.04.14)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상판과 하판 사이에 파형의 주름판이 개재되도록 결합되어 중량을 경감하면서 강성을 보강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판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효율적으로 분산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복공판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형 트럭 등의 큰 하중을 자주 받는 현장 진입로 등에 별도로 적용될 수 있는 강성이 더 보강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복공판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각 플레이트 형상의 상판과, 상기 상판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상판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하판과,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개재되며 복수의 산과 골로 이루어진 주름이 형성되고 산과 골 부위가 상기 상판과 하판에 접촉되는 주름판과, 상기 주름판의 산과 골 부위를 상판과 하판중 적어도 하나에 용접하도록 상기 상판과 하판 중 적어도 하나에 천공 형성되는 용접공과, 상기 상판과 하판의 테두리를 연결하도록 결합되는 연결부재와, 수직 형강재의 테두리 부위에 결합되도록 상기 하판의 테두리 부위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가이드앵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접공은 상기 주름판의 산과 골 부위가 접촉되는 부위의 상판과 하판에 천공 형성되며,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앵글에 결합되고 상기 수직 형강재에 접촉되는 쿠션부재가 더 구비된다.
상기 주름판에 횡방향으로 산과 골 부위를 관통하도록 결합되고, 관통된 부위에 용접으로 일체화되는 보강바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은 상판과 하판 사이에 주름판이 개재되고 용접되는 단순 구조로 구성되고 파형의 강판으로 구성된 주름판의 구조적 특성상 일체형 구조에 비해 중량을 경감시킬 수 있으며, 강성을 보강하고 상판을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효율적으로 분산시켜 복공판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판과 하판에 천공된 용접공을 통해 주름판을 상판과 하판에 간편하게 용접할 수 있으므로, 볼트 등의 체결부재없이 결합이 가능하므로 볼트의 풀림현상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으며 작업 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주름판에 보강바가 결합된 경우, 큰 하중이 지속적으로 전달되는 곳에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 본 발명의 주름판은 치수 사이즈가 다른 상판과 하판을 갖는 복공판에도 적용할 수 있으므로, 폭과 길이 조절이 용이하고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공판 구조체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복공판이 수직 형강재에 연속적으로 안착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공판 구조체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본 발명에 따른 복공판 구조체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판(110)과, 상기 상판(110)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상판(110)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하판(120)과, 상기 상판(110)과 하판(120) 사이에 개재되며 복수의 산(132)과 골(134)로 이루어진 주름이 형성되고 산(132) 부위가 상기 상판(110)과 하판(120)에 접촉되는 주름판(130)과, 상기 주름판(130)의 산(132)과 골(134) 부위를 상판(110)과 하판(120)중 적어도 하나에 용접하도록 상기 상판(110)과 하판(120) 중 적어도 하나에 천공 형성되는 용접공(115)과, 상기 상판(110)과 하판(120)의 테두리를 연결하도록 결합되는 연결부재(140)와, 수직 형강재(10)의 테두리 부위에 결합되도록 상기 하판(120)의 양단 테두리 부위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가이드앵글(150)로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판(110)과 하판(120)은 사각 플레이트 형상의 강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140)를 매개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연결부재(140)는 대략 "ㄷ"자 찬넬이나 "ㄷ"자 형강으로 구성되고 일단부가 하판(120)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하판(120)과 서로 마주보는 상판(110)의 일면에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주름판(130)은 상판(110)과 하판(120) 사이에 개재되도록 배치되고 파형의 주름을 갖도록 복수의 산(132)과 골(134)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주름판(130)은 강판을 파형으로 성형한 강재 소재로 구성되고, 산(132) 부위를 통해 상판(110)으로부터 하중이 전달될 경우 산(132) 부위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으로 하중을 분산시켜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상기 용접공(115)은 상판(110), 하판(120) 중 하나에 형성되거나, 혹은 상판(110)과 하판(120) 양측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판(110)과 하판(120) 양측에 형성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용접공(115)은 주름판(130)의 산(132)과 골(134) 부위가 접촉되는 상판(110)과 하판(120)의 접촉부위에 천공 형성되며, 주름판(130)의 산(132)과 골(134) 부위가 위치한 부위를 따라 직선 상에서 서로 이격된 복수개가 일정간격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앵글(150)은 하판(120)의 길이방향인 일단과 타단의 테두리 부위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직 형강재(10)의 상부 테두리에 밀착되도록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가이드앵글(150)에는 쿠션부재(160)가 더 구비된다.
쿠션부재(160)는 일 예로 자체 탄성이 있는 고무 소재를 채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가이드앵글(150)과 수직 형강재(10) 사이에 개재되어 복공판(100)을 통해 수직 형강재(10)로 전달되는 하중에 대한 감쇠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상판(110)과 하판(120)에 복수의 용접공(115)을 천공시킨 후에, 상판(110)과 하판(120) 사이에 파형 강판으로 구성된 주름판(130)을 개재시키고, 용접공(115)을 통해 주름판(130)의 산(132)과 골(134) 부위를 상판(110)과 하판(120)에 용접으로 각각 고정시킨다.
또한, 상판(110)과 하판(120)의 서로 접하는 면의 테두리에는 연결부재(140)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용접으로 일체로 연결된다.
이때, 하판(120)의 하측면에는 "ㄱ"자 형태로 절곡된 가이드앵글(150)이 좌,우 양측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h빔 등의 수직 형강재(10)의 상부 테두리 부위에 밀착되도록 안착된다.
상기 가이드앵글(150)은 서로 접하는 복공판(100)들이 연속적으로 수직 형강재(10) 상에 안착될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형강재(10)의 상부 좌,우 양측에 서로 대칭되는 구조로 수직 형강재(10)의 상부 테두리에 간섭되도록 지지되어 복공판(100)의 횡방향 유동을 억제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복공판(100)이 수직 형강재(10)에 안착됨에 따라, 복수의 복공판(100)들이 연속적으로 차량의 운행이 가능하도록 복개된 현장에 부설된다.
상기한 부설된 복공판(100)에 차량이 왕래됨에 따라 통행하는 차량의 하중이 상판(110)을 통해 주름판(130)에 전달되는 과정에서, 상판(110)의 하중이 주름판(130)의 산(132) 부위에 먼저 전달되고 산(132) 부위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으로 하중이 분산된다.
이로 인해 주름판(130)은 상판(110)을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복공판(100)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주름판(130)은 사이즈가 다른 상판(110)과 하판(120)을 갖는 복공판(100)에도 적용할 수 있으므로, 폭과 길이 조절이 용이하고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5는 본 발명 복공판 구조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선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가지되, 상기 주름판(130)에 횡방향으로 복수의 주름 부위를 관통하도록 결합되고, 관통된 부위에 용접으로 일체화되는 보강바(200)를 더 구비한 것이다.
상기 보강바(200)는 복수의 주름을 횡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판(110)으로부터 산(132) 부위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횡방향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선 실시예와는 달리, 대형 차량(트럭) 등이 자주 왕래하는 진입로 등의 큰 하중이 전달되는 곳에 별도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판(110)과 하판(120) 사이에 주름판(130)이 개재되고 용접되는 단순 구조로 구성되고 파형의 강판으로 구성된 주름판(130)의 구조적 특성상 일체형 구조에 비해 중량을 경감시킬 수 있으며, 강성을 보강하고 상판(110)을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효율적으로 분산시켜 복공판(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판(110)과 하판(120)에 천공된 용접공(115)을 통해 주름판(130)을 상판(110)과 하판(120)에 간편하게 용접할 수 있으므로, 볼트 등의 체결부재없이 결합이 가능하므로 볼트의 풀림현상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으며 작업 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주름판(130)에 보강바(200)가 결합된 경우, 큰 하중이 지속적으로 전달되는 곳에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10 : 수직 형강재 100 : 복공판
110 : 상판 115 : 용접공
120 : 하판 130 : 주름판
132 : (주름판의)산 134 : (주름판의)골
140 : 연결부재 150 : 가이드앵글
160 : 쿠션부재 200 : 보강바

Claims (4)

  1. 사각 플레이트 형상의 상판(110)과,
    상기 상판(110)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상판(110)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하판(120)과,
    상기 상판(110)과 하판(120) 사이에 개재되며 복수의 산(132)과 골(134)로 이루어진 주름이 형성되고 산(132)과 골(134) 부위가 상기 상판(110)과 하판(120)에 접촉되는 주름판(130)과,
    상기 주름판(130)의 산(132)과 골(134) 부위를 상판(110)과 하판(120)중 적어도 하나에 용접하도록 상기 상판(110)과 하판(120) 중 적어도 하나에 천공 형성되는 용접공(115)과,
    상기 상판(110)과 하판(120)의 테두리를 연결하도록 결합되는 연결부재(140)와,
    수직 형강재(10)의 테두리 부위에 결합되도록 상기 하판(120)의 테두리 부위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가이드앵글(15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접공(115)은 상기 주름판(130)의 산(132)과 골(134) 부위가 접촉되는 부위의 상판(110)과 하판(120)에 천공 형성되며,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구조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앵글(150)에 결합되고 상기 수직 형강재(10)에 접촉되는 쿠션부재(16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구조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름판(130)에 횡방향으로 복수의 주름 부위를 관통하도록 결합되고, 관통된 부위에 용접으로 일체화되는 보강바(20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구조체.
KR1020160145701A 2016-11-03 2016-11-03 복공판 구조체 KR201800495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701A KR20180049596A (ko) 2016-11-03 2016-11-03 복공판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701A KR20180049596A (ko) 2016-11-03 2016-11-03 복공판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9596A true KR20180049596A (ko) 2018-05-11

Family

ID=62185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5701A KR20180049596A (ko) 2016-11-03 2016-11-03 복공판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959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8439A (ko) * 2018-06-26 2021-01-21 생-고뱅 퍼포먼스 플라스틱스 코포레이션 압축가능한 시트
KR20230149442A (ko) 2022-04-20 2023-10-27 주식회사 스틸코리아 복공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8439A (ko) * 2018-06-26 2021-01-21 생-고뱅 퍼포먼스 플라스틱스 코포레이션 압축가능한 시트
KR20230149442A (ko) 2022-04-20 2023-10-27 주식회사 스틸코리아 복공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93196A1 (en) Ground cover mats with rectangular ends
KR101329635B1 (ko) 고강도 스틸 그레이팅
CN103890292A (zh) 大跨度静定结构
KR100980067B1 (ko) 가로빔에 얹어져 종방향으로 서로 접하도록 설치되는 복공판을 이용한 가설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20180049596A (ko) 복공판 구조체
CA2632498A1 (en) Vehicle frame with stress relief feature
JP2009102826A (ja) 鉄筋コンクリート合成鋼床版桁橋
JP4650255B2 (ja) 鋼床版の補強構造及び既設鋼床版の補強方法
JP4287755B2 (ja) 鋼桁と合成床版の結合構造
JP2004263366A (ja) 柱と梁との接合構造及び補強構造
JP4344488B2 (ja) 上下部複合部材の剛結構造
KR20080099100A (ko) 복공판 구조체
KR101889472B1 (ko) 복공판
JP2018058441A (ja) 鉄道車両の骨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側構体
CN106948262B (zh) 一种带有横向系梁的正交异性钢桥面板结构
JPH05287713A (ja) 道路用バリケード
US11332198B2 (en) Structure of joined channel-shaped plates
JP2009190880A (ja) クレーンガーダの補強構造
KR102111613B1 (ko) 미끄럼방지와 중하중에 대한 응력을 보강시킨 스틸그레이팅용 보강빔
KR200487324Y1 (ko) 트레일러용 메인 비임
KR101732719B1 (ko) 튜브형 플랜지를 갖는 하이브리드보
CN103711073A (zh) 钢管拱肋与钢箱梁固结结构
JP3125857U (ja) 貯水槽用可動式覆蓋及び貯水槽の可動覆蓋装置
CN207331456U (zh) 一种带有横向系梁的正交异性钢桥面板结构
CN206070342U (zh) 一种大跨度施工便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