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8564A - 가구 시스템의 3차원 지지 튜브 구조체의 튜브 내로 삽입을 위한 로드 모듈 - Google Patents

가구 시스템의 3차원 지지 튜브 구조체의 튜브 내로 삽입을 위한 로드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8564A
KR20180048564A KR1020187000959A KR20187000959A KR20180048564A KR 20180048564 A KR20180048564 A KR 20180048564A KR 1020187000959 A KR1020187000959 A KR 1020187000959A KR 20187000959 A KR20187000959 A KR 20187000959A KR 20180048564 A KR20180048564 A KR 201800485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load module
contact
module
contact ele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0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1124B1 (ko
Inventor
알렉산더 쉐러
토마스 디네스
슈테판 크렌거
Original Assignee
우에스엠 홀딩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에스엠 홀딩 아게 filed Critical 우에스엠 홀딩 아게
Publication of KR20180048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8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1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1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33Hollow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 F21S4/2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 F21S4/2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 F21S4/28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rigid, e.g. LED b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12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75Lighting
    • A47B2220/0077Lighting for furniture, e.g. cupboards and r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15Fastening arrangements intended to retain light sources
    • F21V19/0025Fastening arrangements intended to retain light sources the fastening means engaging the conductors of the light source, i.e. providing simultaneous fastening of the light sources and their electric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083Array of reflectors for a cluster of light sources, e.g. arrangement of multiple light sources in one pl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30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 F21W2131/301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for furni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3/0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 F21Y2103/1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comprising a linear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가구 시스템의 3차원 하중 지탱 튜브 구조체의 튜브 내로의 삽입을 위한 로드 모듈(300)은 세장형 하우징을 포함한다. 로드 모듈(300)과 전기 접촉을 행하기 위한 2개의 접촉 요소(351, 352)가 하우징의 외부측에 배열되고, 이 접촉 요소는 상이한 극성을 갖는다. 접촉 요소(351, 352)는, 로드 모듈(300)이 삽입된 상태에 있을 때, 이들이 튜브의 내부에 배열된 상이한 극성의 2개의 접촉 영역과 실질적으로 반경방향에서 접촉을 행하는 이러한 방식으로 배열된다. 하우징은 종방향에서 중심에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돌출 요소(340)를 갖는 구역, 및 또한 종방향에서 외부에 있는 구역을 갖고, 로드 모듈은 튜브 구조체의 튜브 내로 삽입될 수 있고, 튜브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 요소가 절결부의 에지와 상호작용하는 이러한 방식으로 세장형 절결부를 구비하고, 외부 구역은 절결부에 인접하는 구역에서 튜브의 내부 케이싱을 지탱한다. 여기서, 접촉 요소(351, 352) 중 제1 접촉 요소는 외부 구역 중 하나 내에 제1 둘레방향 위치에 배열된다.

Description

가구 시스템의 3차원 지지 튜브 구조체의 튜브 내로 삽입을 위한 로드 모듈
본 발명은 가구 시스템의 3차원 하중 지탱(load-bearing) 튜브 구조체의 튜브 내로 삽입하기 위한 로드 모듈(load module)에 관한 것으로서, 로드 모듈은 세장형 하우징(elongate housing)을 포함하고, 로드 모듈과 전기적 접촉을 행하기 위한 2개의 접촉 요소가 하우징의 외부측에 배열되어 있고, 접촉 요소는 상이한 극성을 갖는다. 본 발명은 또한 3차원 하중 지탱 튜브 구조체 및 상기 종류의 적어도 하나의 로드 모듈을 갖는 가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튜브 및 복수의 3차원 노드 요소를 포함하고, 2개 이상의 튜브는 3차원 노드 요소 중 하나의 연결점에 체결될 수 있는, 3차원 하중 지탱 튜브 구조체를 갖는 가구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예로서, CH 429 317호(U. SchaererSoehne)는, 튜브 단부를 서로 탈착식으로 연결하기 위해, 각각의 경우에 각각의 튜브 단부를 위한 하나의 나사산 형성 보어를 갖는 연결 헤드가 제공되어 있는 프레임 제조를 위한 튜브 연결부를 개시하고 있다. 나사산 형성 보어는 각각의 축방향으로 연장한다. 튜브 내로 돌출하는 캡 나사(cap screw)가 상기 나사산 형성 보어 내로 나사결합될 수 있고, 상기 캡 나사는 웨지면을 거쳐 서로 그리고 상기 웨지면으로부터 전환되는 단부측을 거쳐 연결 헤드 또는 나사 캡과 정렬되고 나사가 조여질 때 내부에 튜브 단부를 고정하는 2개의 웨지 슬리브를 그 샤프트 상에 갖는다.
가구 및 가구 시스템의 아이템 내에 또는 상에 로드, 예를 들어 발광체를 배열하고 그리고/또는 상기 로드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할 필요가 있다. 발광체와 같은 로드는 튜브 구조체에 예를 들어, 기계적으로 체결될 수 있고, 공급 케이블은 후방으로부터 가구의 개구를 통해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종류의 공급 케이블이 눈에 띄지 않게 또는 비가시적 방식으로 안내될 수 있는 덕트가 마찬가지로 통상적이다.
예를 들어 튜브 구조체에 체결되어 있는 발광체와 같은 로드 및 상기 로드로의 공급 라인은 종종 가구 시스템의 외관에 악영향을 미치고 때때로 또한 예를 들어, 튜브 구조체에 의해 형성된 수용 공간의 부분이 로드를 수용하기 위해 요구되거나 또는 로드가 상기 수용 공간 또는 액세스 영역 내로 돌출할 때 사용을 방해한다.
따라서, 로드 또는 적어도 상기 로드의 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가구 시스템의 튜브를 사용하는 접근법이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WO 94/21961 A1호(Planlicht-Handelsgesellschaft mbH & Co. KG)는 가구, 디스플레이 캐비넷, 선반 장치 등의 아이템을 구성하기 위한 캐리어 프로파일을 갖는 조명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는데, 이 조명 시스템은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보어를 갖는다. 발광체는 각각의 경우에 캐리어 프로파일의 하나의 보어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전기 커넥터가 캐리어 프로파일 내에 배열되고, 삽입된 발광체의 핀형 접촉부는 상기 전기 커넥터와 전기 접촉을 행한다. 발광체 자체는 프로파일 외부에 배열된다.
튜브의 절결부 내로 삽입될 수 있는 리세스 형성 발광체가 EP 1 963 734 A1호(Dreisewerd)에 개시되어 있고, 이 절결부는 세장형 구멍의 방식으로 성형된다. 리세스 형성 발광체는, 양 측면에 제공되고 리세스 형성 발광체의 위치설정 후에, 상기 리세스 형성 발광체의 플랜지 단부로서 튜브의 벽 뒤에 결합되는 노치를 포함한다. 전도체 트랙 및 LED가 플러그인 설형부(tongue)를 거쳐 2개의 접속 플러그에 접속되는 데, 이는 LED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전기 접속부가 외부에 설정되게 한다. 접속 플러그는 LED의 단부면으로부터 전환되어 있는 LED 인쇄 회로 기판의 측면에 제공되어 있다. 이 경우에, 플러그인 설형부는 자동차 전기 장치로부터 공지되어 있는 대응 플러그인 커넥터와 공급 라인의 접속을 허용한다.
DE 20 2012 003 663 U1호(Horst Lettenmayer)는 시스템 튜브 및 상기 시스템 튜브를 연결하는 나사산 형성 노드를 포함하는 선반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선반 장치는 조명 디바이스를 갖고, 시스템 튜브의 적어도 하나는 나사산 형성 노드까지 연장하지 않는 중앙 세장형 부분 홈을 갖고, LED 조명 본체는 시스템 튜브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전력은 시스템 튜브 내의 LED 조명 본체에 공급되고, 시스템 튜브, LED 조명 본체 및 나사산 형성 노드는 서로에 대해 떠받쳐지고 시스템 튜브 내에 배열되어 있는 인장 로드를 인장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부분 홈의 구역에 위치되어 있는 LED 조명 본체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접촉 버튼이 제공될 수 있고, 이 접촉 버튼은 LED 조명 본체의 종방향 단부에 배열되어 있고 와이어를 거쳐 전력을 공급받는 접촉부에 대해 탄성 방식으로 지지되어 있다. 동일한 측면에 2개의 접촉부를 갖는 LED 조명 본체 및 또한 이들의 대향 종방향 단부에 2개의 접촉부를 갖는 LED 조명 본체의 모두가 가능하다.
로드 모듈을 형성하는 조명 본체는 따라서 시스템 튜브 내에 수용될 수 있다. 그러나, 조명 본체를 기계적으로 유지하고 접촉하는 것은 복잡하다.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되는 문제점은 서두에 언급된 기술 분야에 적합한 로드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고, 이 로드 모듈은 유지될 수 있고, 3차원 하중 지탱 튜브 구조체의 튜브 내에서 간단하고 신뢰적인 방식으로 접촉 모듈이 이 로드 모듈과 접촉을 행할 수 있다.
문제의 해결책은 청구항 1의 특징에 의해 규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촉 요소는, 로드 모듈이 삽입된 상태에 있을 때, 이들이 튜브의 내부에 배열된 상이한 극성의 2개의 접촉 영역과 실질적으로 반경방향에서 접촉을 행하록 하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이 경우에, 하우징은 종방향에서 중심에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돌출 요소를 갖는 구역과, 또한 종방향에서 외부에 있는 구역을 갖고, 로드 모듈은 튜브 구조체의 튜브 내로 삽입될 수 있고, 이 튜브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 요소가 절결부의 에지와 상호작용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세장형 절결부가 마련되고, 외부 구역은 절결부에 인접하는 구역에서 튜브의 내부 케이싱을 지탱한다. 접촉 요소 중 제1 접촉 요소는 외부 구역 중 하나 내에서 제1 둘레방향 위치에 배열된다.
본 발명에 따른 로드 모듈은 튜브 내에 실질적으로 완전히 수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개별 요소가 튜브에 의해 형성된 단면 외부로 돌출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로드 모듈의 하우징은 세장형이고, 따라서 튜브의 기하학 형상에 정합된다. 종방향(즉, 설치된 상태에서 튜브의 종축에 평행함)에서의 범위는 예를 들어, 횡방향(즉, 튜브에 관하여 반경방향)에서의 범위보다 적어도 4배 더 크고, 특히 적어도 6배 더 크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기술과는 대조적으로, 2개의 접촉 요소는 튜브 내로 연장하는 전도체와 실질적으로 반경방향에서 접촉을 행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즉, 로드 모듈이 설치된 상태에 있을 때 튜브의 내부의 접촉 영역 및 접촉 요소에 의해 형성된 접촉 구역은 하우징의 케이싱 표면과 튜브의 내부 케이싱 사이에 위치되고 하우징의 단부면 상에 대략 축방향으로 있지 않다.
이 배열은 상당히 더 간단한 방식으로 로드 모듈과 전기 접촉이 행해질 수 있게 한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동시에, 로드 모듈은 튜브 내에 용이하게 단단히 기계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제1 접촉 요소는 절결부에 인접하는 구역에서 튜브의 접촉 요소, 예를 들어 도전성 재료 자체로부터 제조되는 튜브 요소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절결부와 상호작용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로드 모듈의 하우징은 종방향에서 중심에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돌출 요소를 갖는 구역과, 또한 종방향에서 외부에 있는 구역을 갖는다. 로드 모듈은 이어서 튜브 구조체의 튜브 내로 삽입될 수 있고, 이 튜브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 요소가 절결부의 에지와 상호작용하는 이러한 방식으로 세장형 절결부를 구비하고, 외부 구역은 절결부에 인접하는 구역에서 튜브의 내부 케이싱을 지탱한다. 로드 모듈은 단단한 방식으로 이 방식으로 튜브 상의 규정된 위치에 유지된다.
적어도 하나의 돌출 요소는 절결부의 기하학 형상에 정합하는 편평한 구조체 또는 정합 방식으로 절결부의 에지를 복제하는 구조체 또는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점에서 절결부의 에지와 상호작용하는 복수의 구조체일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돌출 요소와 절결부의 에지 사이의 상호작용은 따라서, 튜브 구조체의 튜브 내의 로드 모듈의 하우징의 위치의 명백한 규정을 유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촉 요소 중 제1 접촉 요소는 로드 모듈의 하우징의 외부 구역 중 하나 내에서 제1 둘레방향 위치에 배열된다. 접촉 요소는, 로드 모듈이 삽입된 상태로, 바람직하게는 로드 모듈의 구역 내에 배열되고, 구역은 절결부에 인접한다. 즉, 제1 둘레방향 위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 요소를 갖는 중앙 구역의 둘레방향 위치에 실질적으로 대응한다. 제1 접촉 요소는 따라서, 절결부에 인접하는 구역에서 튜브의 접촉 요소, 예를 들어 도전성 재료 자체로부터 제조되는 튜브 요소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3차원 하중 지탱 튜브 구조체에 관한 것이고, 이 가구 시스템은:
a) 복수의 튜브로서, 튜브 중 적어도 하나는 튜브의 내부에 배열된 상이한 극성의 2개의 접촉 영역을 갖는 것인, 복수의 튜브;
b) 2개 이상의 튜브를 서로 기계적으로 체결하기 위한 복수의 3차원 노드 요소; 및
c) 가구 시스템의 3차원 하중 지탱 튜브 구조체의 적어도 하나의 튜브 내로 삽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로드 모듈로서, 로드 모듈은 세장형 하우징을 포함하고, 로드 모듈과 전기적 접촉을 행하기 위한 2개의 접촉 요소가 하우징의 외부측에 배열되어 있고, 접촉 요소는 상이한 극성을 갖고, 접촉 요소는, 로드 모듈이 삽입된 상태에 있을 때, 이들이 튜브의 내부에 배열된 상이한 극성의 2개의 접촉 영역과 실질적으로 반경방향에서 접촉을 행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배열되는 것인, 적어도 하나의 로드 모듈을 포함한다.
가구 시스템은 예를 들어, 선반 시스템, 캐비넷 시스템, 서랍 시스템 또는 상기 구성요소들 중으로부터 상이한 구성요소를 갖는 시스템일 수도 있다. 가구 시스템은 특히 모듈형 구성을 갖는다. 이는 다수의 상이한 구성이 사실상 제한된 수의 기본 요소(튜브, 노드 요소 및 빌트인 및 빌트온 구성요소)를 갖는 제한 없이 구성될 수 있다.
튜브의 단면은 상이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예로서, 이는 원 또는 규칙적 다각형의 외부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불규칙적 폐쇄 또는 심지어 개방 형상이 또한 가능하다.
3차원 노드 요소는 체결된 상태에서, 동일한 평면 라인 상에 또는 동일한 평면 내에 모두 필수적으로 놓일 필요는 없는 복수의 튜브의 연결을 허용한다. 가상 입방체의 외부측에 배열된 6개의 연결점을 갖는 노드 요소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그 구조적 요소(튜브)가 3차원 직사각형 격자를 따라 연장하는 가구가 이 종류의 튜브 및 노드 요소를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노드 요소 자체는 이에 따라 입방체형일 수 있고 또는 상이한 적합한 형상, 예를 들어 구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노드 요소는 전기 접속부가 동일한 노드 요소에 체결되어 있는 튜브 사이에 바람직하게는 2개의 극을 사용하여 생성되는 이러한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이 종류의 가구 시스템은 특히 본 출원인에 의해 2013년 12월 13일자로 출원된 계류중인 유럽 특허 출원 13 405 139.0호에 설명되어 있다.
모든 튜브 및 모든 노드 요소가 상기 접촉 영역 또는 전류 전도 특성을 갖는 것은 의무적이지 않다. 전류를 운반하지 않는 튜브 및 노드 요소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 시스템의 범주 내에서 전류를 운반하는 요소와 조합될 수 있다.
로드 모듈은 특히 조명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로드 모듈이 가구 시스템의 튜브에 의해 형성된 단면 내에 실질적으로 완전히 수용되는 이러한 방식으로 로드 모듈 내에 배열된다. 그 결과, 유리한 간단한 외관이 성취될 수 있고, 가구 시스템에 의해 제공된 수용 공간 또는 상기 수용 공간으로의 액세스가 악영향을 받지 않는다. 특히 단일의, 점모양 또는 편평한 광원 또는 복수의 광원을 갖는 것들, 광을 확산하는 것들 및 타겟화된 광을 발생하는 것들과 같은 다양한 조명 요소가 가능하다. 조명 요소는 확산기, 반사기 및/또는 스크린을 갖고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조명 요소는 밝기 및/또는 색 또는 색온도가 조정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광은 LED 또는 OLED 모듈에 기초하여 발생할 수 있지만, 다른 기술이 마찬가지로 적용 가능하다.
다른 기능을 갖는 로드 모듈이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포함된다. 상기 로드 모듈은 따라서, 예를 들어 로드를 연결하기 위한 소켓 및/또는 플러그와 같은 연결 요소, 또는 냉각, 가열 또는 환기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로드 모듈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어 모듈 또는 센서 모듈은 튜브 구조체의 튜브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 또는 센서 모듈은 예를 들어, 동일한 모듈, 다른 로드 모듈 및/또는 외부 디바이스 내에 일체화된 로드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센서는 특히 모션, 존재, 광 또는 온도 센서일 수도 있다. 다른 센서가 가구 시스템과 구체적으로 상호작용하고, 예를 들어 도어의 개구를 검출할 수 있다. 예로서, 로드 모듈의 조명 요소는 튜브 구조체의 내부 공간을 폐쇄하는 도어가 개방될 때 선택적으로 스위칭 온될 수 있고, 이 내부 공간은 조명 요소에 의해 조명된다. 단일 모듈이 다수의 기능(로드, 제어 장치, 센서 시스템)을 수행할 수 있다.
삽입 모듈 사이의 통신은 바람직하게는 가구 시스템의 전력 전송 라인 상에서 변조되는 데이터에 의해 전력 라인 통신(powerline communication: PLC)에 의해 수행된다. 대응 전자기기가 삽입 모듈(센서, 제어 및 로드 모듈) 내에 내장된다. 예를 들어 개별 제어 라인을 거친, 또는 적합한 프로토콜, 예를 들어 블루투스에 의해 무선방식의 다른 유형의 전송이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모듈은 고유 번호에 의해 식별되는데; 할당은 중앙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또는 개별 모듈 내의 세팅에 의해 로컬식으로 수행된다. 할당의 설정은 외부 제어 디바이스의 보조에 의해 또는 모듈의 조작자 제어에 의해서만 개시될 수 있는 "페어링" 방법에 의해 수행된다.
튜브의 적어도 하나는 바람직하게는 튜브를 따라 제1 극성 및 제2 극성의 전류를 운반하기 위한, 튜브를 따라 연장하고 서로로부터 절연되어 있는 2개의 전류 전도체를 갖는다. 따라서, 전류는 가구 시스템의 튜브에 의해 직접 운반될 수 있는데; 개별 공급 라인은 여분이다.
전류를 운반하기 위한, 서로로부터 절연되어 있는 2개의 전류 전도체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튜브 내에서 서로 동축적으로 배열된다. 이 배열은 비용 효과적인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고, 작은 반경방향 단면을 갖는 충분히 높은 전류 강도를 허용한다. 더욱이, 대응적으로 장착된 튜브는 예를 들어, 이미 언급되어 있는 EP 13 405 139.0호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2개의 극성이 튜브 사이에서 동축 방향으로 마찬가지로 전송되는 노드 요소와 간단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이는 이어서 수반된 가구 시스템의 모든 구조적 요소 내에 특히 간단한 전도체 배열을 야기한다.
적어도 하나의 튜브는 바람직하게는, 도전성 재료로 구성되고 제1 극성을 운반하는 역할을 하는 구조적 튜브 요소, 및 구조적 튜브 요소 내에 절연 방식으로 수용되어 있는, 제2 극성을 운반하기 위한 내부 전도체를 포함한다. 제1 극성은 특히 중성 전도체(접지)이다. 따라서, 튜브의 구성은 특히 간단하다.
내부 전도체는 튜브 내로 삽입되고 일 단부에서 절연되어 있는 도전성 포일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전도체를 구비한 튜브의 간단한 구성을 야기한다. 다른 변형예가 가능한데; 예를 들어 내부 전도체는 제1 극성을 운반하는 역할을 하는 도전성 재료로부터 절연층에 의해 분리되어 있는 대응 코팅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전도체가 또한 적어도 하나의 튜브 내에서 상이하게 연장될 수 있다. 예로서, 이들은 서로에 관하여 평행한 선형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튜브는 유리하게는 세장형 절결부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로드 모듈은 유리하게는 세장형 절결부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튜브 내로 삽입될 수 있는 이러한 방식으로 설계된다. 로드 모듈은 따라서 튜브 구조체가 이미 완성되어 있을 때, 즉 튜브가 이미 노드 요소에 연결되어 있을 때 튜브 내로 또한 삽입될 수 있다. 로드 모듈은 바람직하게는 또한 튜브가 노드 요소로부터 탈착될 필요 없이, 튜브로부터 재차 즉시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구성은 기존의 요구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정합될 수 있다. 스크린이 절결부를 폐쇄하기 위해, 절결부를 구비하지만 로드 모듈을 수용하도록 현재 의도되지 않은 튜브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절결부는 유리하게는 튜브의 단부까지 연장하지 않는 이러한 방식으로 튜브 내에 배열된다. 이는 튜브의 고도의 안정성을 보장하고, 노드 요소 또는 연결 기구와의 상호작용의 이벤트에서 문제점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로드 모듈의 하우징의 외부 구역 중 하나 내의 접촉 요소 중 제1 접촉 요소는 제1 둘레방향 위치에 배열된다. 접촉 요소는, 로드 모듈이 삽입된 상태로, 바람직하게는 로드 모듈의 구역 내에 배열되고, 구역은 절결부에 인접한다. 즉, 제1 둘레방향 위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 요소를 갖는 중앙 구역의 둘레방향 위치에 실질적으로 대응한다. 제1 접촉 요소는 따라서, 절결부에 인접하는 구역에서 튜브의 접촉 요소, 예를 들어 도전성 재료 자체로부터 제조되는 튜브 요소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제2 접촉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제1 둘레방향 위치와 적어도 6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35°의 각도를 이루는 제2 둘레방향 위치에 배열된다. 이는 접촉 요소의 양호한 지지를 야기하고, 결함이 있는 접촉 수행 동작이 신뢰적으로 회피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접촉 요소는 중앙 구역에서 중심선의 연장부 내에 실질적으로 배열되고, 반면에 제2 접촉 요소는 그 둘레방향 위치에서, 180°를 통해 오프셋된 방식으로, 하우징의 후방측에 배열된다. 적어도 하나의 로드 모듈의 접촉 요소 중 제2 접촉 요소는, 로드 모듈이 삽입된 상태로, 따라서 로드 모듈의 구역 내에 배열되고, 이 구역은 절결부에 관하여 후방에 있다.
접촉 요소 중 적어도 하나, 특히 중앙 구역의 둘레방향 위치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둘레방향 위치에 위치된 접촉 요소는 유리하게는 탄성 디자인을 갖는다. 양 접촉 요소가 탄성 디자인을 갖게 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전기 접촉 수행 동작의 신뢰성이 이 방식으로 증가된다. 탄성 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는 바람직하게는, 전기 접촉을 행하는 것에 추가하여, 모듈을 튜브에 기계적으로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탄성 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 구체적으로 절결부로부터 전환되어 있는 로드 모듈의 그 측면 상에 배열된 접촉부가 비교적 큰 스프링 이동을 갖고 설계되면, 튜브 내의 단단한 지지 및 위치설정은 하우징의 비교적 낮은 깊이에 의해서도 성취될 수 있다. 동시에, 절결부를 통한 로드 모듈의 삽입 및 제거는 낮은 깊이에 기인하여 상당히 간단화된다.
조명 요소의 경우에, 출광(出光) 영역은 특히 돌출 요소의 부분으로서, 하우징의 중앙 구역 내에 유리하게 배열된다. 방출된 광은 따라서 실질적으로 주위 튜브에 의해 방해되지 않고 조명될 입체각 구역에 도달할 수 있다. 음영 손실이 회피된다. 더욱이, 유리한 외관이 조명 요소가 스위칭 온 상태에서 생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요소는 따라서 제1 측면 상의 중앙 구역에(또는 제1 둘레방향 구역에) 돌출 요소를 갖는 세장형 하우징을 갖고, 이 돌출 요소는 출광 영역을 형성하고, 그 기하학 형상은 조명 요소가 그 내로 삽입될 수 있는 튜브의 절결부에 대응한다. 제1 극성을 갖는 제1 접촉 요소가 중앙 구역의 옆에 배열된다. 제2 극성을 갖는 제2 접촉 요소가 하우징의 후방측에 배열되고(즉, 제1 접촉 요소에 관하여 180°를 통해 실질적으로 오프셋되는 둘레방향 위치를 갖고) 탄성 디자인을 갖는다. 2개의 접촉 요소는 조명 요소와 전기 접촉을 행하는 것, 뿐만 아니라 또한 튜브의 절결부 내에 상기 조명 요소를 기계적으로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실시예 및 특징의 조합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모든 청구범위로부터 수집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데 사용된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 시스템의 튜브로의 노드 요소의 연결부를 통한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2a 내지 도 2c는 로드 모듈을 수용하기 위한 절결부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 시스템의 튜브를 통한 사시도 및 2개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체 모듈의 사시도 및 분해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체 모듈을 통한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5는 발광체 모듈이 삽입되어 있는 튜브를 통한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6은 2개의 플러그 소켓을 갖는 로드 모듈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7은 스위칭 요소를 갖는 삽입 모듈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원리적으로, 동일한 부분은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구 시스템의 일 실시예는 3차원 하중 지탱 튜브 구조체에 노드 요소에 의해 연결될 수 있는 둥근 단면을 갖는 튜브를 포함한다. 특히, 선반, 커버, 측면부, 도어, 플랩, 서랍 및 유사한 요소가 튜브 구조체에 체결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 가구 시스템의 튜브로의 노드 요소의 연결부를 통한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노드 요소(100)는 구형 연결 헤드로서 설계된다. 노드 요소는 3개의 나사산 형성 보어(110, 120, 130)를 포함하고, 이들 보어의 축은 각각의 경우에 서로 수직으로 그리고 구의 중심점을 통해 대각선으로 연장한다. 이에 따라, 노드 요소(100)의 외부면은 나사산(111, 121)과 상호작용하는 나사가 그를 통해 삽입될 수 있는 6개의 개구를 갖는다. 따라서, 2개 내지 6개의 튜브가 요구되는 바와 같이 노드 요소(100)의 도움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노드 요소(100)는 일체형 외부 부분(101), 일체형 내부 부분(102) 및 이들 사이에 배열되어 있는 전기 절연층(103)으로 이루어진다. 나사산 형성 보어(110, 120, 130)는 내부 부분(102)을 통해서만 연장한다. 외부 부분(101) 및 내부 부분(102)은 크롬 도금 황동으로부터 제조되고, 절연층(103)은 적합한 플라스틱으로 구성된다.
단지 그 단부측 섹션만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튜브(200)는 크롬 도금강으로 구성된 외부 케이싱(201)을 포함한다. 절연 재료, 예를 들어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외부층(211) 및 도전성 재료, 예를 들어 구리로 구성된 내부층(212)을 갖는 내부 튜브(210)가 외부 케이싱 내에 수용된다. 내부 튜브(210)는 튜브(200)의 단부까지 연장하지 않고, 오히려 예를 들어 대략 10 cm의 미리 지정된 거리에서 종료한다. 체결된 상태에서, 외부 케이싱(201)은 그 자유 단부를 거쳐, 그 외부 부분(101)의 구역에서 노드 요소(100)와 접촉을 행한다. 접촉 영역의 크기를 증가시키기 위해, 외부 케이싱(201)은 도시되어 있는 예시적인 실시예로서부터 이탈에서, 구형 표면에 정합되는 기하학 형상을 단부측에 가질 수 있다.
튜브(200)를 노드 요소(100)에 체결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 2개의 웨지 슬리브(221, 222), 및 전기 도전성 재료로 구성된 캡 나사(230)가 튜브(200) 내에 수용되고, 캡 나사(230)는 2개의 웨지 슬리브(221, 222)를 통해 삽입되고, 그 나사산 형성 샤프트(231)의 단부를 거쳐, 노드 요소(100)의 연계된 나사산 형성 보어(120) 내로 나사결합된다. 노드 요소(100)에 대면하는 전방 웨지 슬리브(221)는 전기 비도전성 재료로부터 제조되고 또는 튜브(200), 캡 나사(230) 및/또는 노드 요소(100)와의 접촉 영역의 구역에 전기 절연부를 갖는다. 전기 절연 재료, 예를 들어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절연체 링(241), 및 전기 도전성 재료, 예를 들어 시트 구리로 구성된 접촉 링(242)은 나사(230)의 캡(232)과 노드 요소(100)로부터 전환되어 있는 웨지 슬리브(222)의 단부측 사이에 배열된다. 접촉 링(242)은 환형 주요부(243) 및 외부에 둘레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탄성 접촉부(244)를 포함한다.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접촉부는 내부 튜브(210)의 내부층(212)과 접촉을 행한다.
웨지 슬리브(221, 222)는, 슬리브 축에 관하여 경사져 있고 노드 요소(100)로부터 전환되어 있는 그 단부측을 거쳐 나사(230)의 캡(232)과 정렬되어 있는 그 웨지면을 거쳐 서로에 대해 지지된다. 웨지 슬리브(221, 222)의 외경은 단지 유극(play)만큼만 튜브 단부의 내경보다 작은데, 이는 튜브 단부가 상기 웨지 슬리브 상에 약간 압박되게 한다. 튜브(200)가 웨지 슬리브(221, 222) 상에 압박된 후에 캡 나사(230)가 조여지면, 웨지 슬리브(221, 222)는 튜브 단부의 내부측에 대해 가압되고 상기 튜브 단부를 고정한다. 나사 캡과 정렬된 웨지 슬리브의 변위는 또한 노드 요소(100)에 대해 지향되고 노드 요소(100)를 향해 튜브(200)를 따라 운반하려고 시도하는 변위 성분을 더 갖고, 그 결과 튜브(200)의 외부 케이싱(201)과 노드 요소(100)의 외부 부분(101) 사이에 확실한 접촉이 이루어지는 것을 보장한다.
캡 나사(230)를 조이고 풀리게 하기 위해, 상기 캡 나사의 캡(232)은 다각형 삽입 구멍(233)을 구비하다(또는 대안적으로 스크류드라이버의 결합을 위한 슬롯을 구비함). 캡(232)에 대향하는 나사(230)의 나사산 형성 샤프트(231)의 단부는 키이를 삽입하기 위한 다각형 삽입 구멍(234)을 또한 갖는다.
비교적 짧은 튜브에서, 스크류(230)의 캡(232)은 스크류드라이버 또는 렌치에 의해 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너 연결부를 생성할 때와 같이 다수의 경우에, 나사(230)의 나사산 형성 샤프트(231)의 삽입 구멍(234)은 나사산 형성 보어(120)의 미사용 개구를 통해 액세스가능하고, 이 미사용 개구는 대응 다각형 소켓 렌치에 의해 노드 요소(100)에 정대향하여 개방되어 있다. 더욱이, 우선 튜브 내부측에 대해 약간 가볍게 지탱하는 웨지 슬리브의 경우에, 나사(230)의 완전한 조임 또는 풀림이 또한 그 축 둘레로 튜브(200)를 대응적으로 회전함으로써 가능하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튜브 연결부에 미사용된 개구인 나사산 형성 보어(110, 120)의 개구는 유리하게는 나사(230)가 조여진 후에 각각의 경우에 하나의 그러브 나사(grub screw)에 의해 폐쇄된다.
연결된 상태에서, 전류가 2개의 극을 사용하여 튜브(200)와 노드 요소(100) 사이에 전송될 수 있다. 제1 극성(중성 전도체)과 접촉을 행하기 위해, 튜브(200)의 외부 케이싱(201)은 노드 요소(100)의 외부 부분(101)과 직접 접촉을 행한다. 제2 극성(위상)은 튜브(200)의 구역에서 내부 튜브(210)의 내부층(212) 내에 안내된다. 거기서, 전류는 접촉링(242)의 탄성 접촉부(244)에 의해 분기되고(tapped off) 주요부(243)에 의해 나사(230)의 캡(232)에 전송된다. 나사(230)의 나사산 형성 샤프트(231)와 노드 요소(100)의 나사산 형성 보어(120)의 나사산(121)에 의해 노드(100)의 내부 부분(102)과 접촉이 이어서 이루어진다. 동일한 방식으로 노드(100)에 연결되는 다른 튜브는 따라서 외부 부분(101) 및 내부 부분(102)에 의해, 2개의 극을 사용하여 튜브(200)의 대응 전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전력이 노드 요소(100) 중 하나에 체결될 수 있는 접촉 수행 요소에 의해 가구 시스템에 공급된다. 접촉 수행 요소는 유지 나사를 위한 수용 보어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더욱이, 2극 접속 케이블을 위한 2개의 접속점이 하우징 내에 수용된다. 접촉 요소가 각각의 경우에 접속점에 도전 접속된다. 접촉 수행 요소는 노드 요소의 나사산 형성 보어의 임의의 원하는 개구 내로 유지 나사를 간단히 나사결합함으로써 체결될 수 있다. 접촉 요소는 이어서 노드 요소(100)의 외부 부분(101) 또는 내부 부분(102)과 접촉을 행한다.
안전 이유로, 가구 시스템 내에 운반된 전압은 48 V를 초과하지 않아야 하고; 매우 적합한 전압값은 24 V이다.
도 2a는 로드 모듈을 수용하기 위한 절결부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 시스템의 튜브를 통한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2b, 도 2c는 2개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b는 절결부에 의해 형성된 영역에 평행한 튜브의 중심축을 통해 연장하는 평면을 따른 단면도, 및 또한 절결부가 없는 튜브의 섹션에서 중심축에 수직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c는 튜브의 중심축을 통해 연장하고 절결부에 의해 형성된 영역에 수직인 평면을 따른 단면도, 및 또한 절결부를 갖는 튜브의 섹션에서 중심축에 수직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튜브(200)는 균일하게 이격되어 있는 동일한 길이의 3개의 절결부(250.1, 250.2, 250.3)를 포함한다. 절결부는 반원의 방식으로 라운딩된 종방향 단부를 갖는 세장형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튜브는 19 mm의 외경을 갖고, 절결부의 폭은 각각의 경우에 8.2 mm이고; 길이는 163 mm이다. 각각의 튜브 단부로부터 외부 절결부(250.1, 250.3)의 거리는 68 mm이고; 절결부(250.1, 250.2, 250.3) 사이의 상호 거리는 각각의 경우에 53 mm이다.
내부 튜브(210)(도 1 참조)는 절결부(250.1 ... 250.3)를 둘러싸는 구역에서 절결되고, 따라서 튜브(200)의 외부 케이싱은 직접 액세스가능하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체 모듈(300)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3b는 분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발광체는 평면형 방식으로 광을 방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발광체 모듈은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세장형 캐리어 레일(310), 상기 캐리어 레일의 상부측에 체결되고 복수의 LED 조명 요소를 갖는 인쇄 회로 기판(320), 인쇄 회로 기판(320)의 상부측에 배열된 반사기(330), 및 내부측에 확산기 필름(341)을 구비하고 캐리어 레일(310)에 체결되고 체결된 상태에서 인쇄 회로 기판(320) 및 반사기(330)를 둘러싸는 렌즈 프로파일(340)을 포함한다.
캐리어 레일(310)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편평한 기부 플레이트(311)를 포함한다. 2개의 스프링 섹션(312, 313)은 상기 기부 플레이트의 저부측 상에 기부 플레이트(311)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 섹션은 기부 플레이트(311)로부터 시작하여, 기부 플레이트(311)의 자유 단부의 방향에서, 외부로 하향으로 경사지게 연장한다. 종방향에서 상기 스프링 섹션의 범위는 각각의 경우에 발광체 모듈의 종방향 범위의 대략 1/5에 대응한다. 상기 스프링 섹션이 정합면 상에 놓일 때, 스프링 섹션(312, 313)은 기부 플레이트와 정합 표면 사이의 거리가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는 저항을 갖고 기부 플레이트(311)의 주 평면에 수직인 수직 이동에 대향한다. 스프링 이동은, 적어도 그 단부 구역에서 튜브 단면에 완전히 수용되는 이러한 정도로 발광체 모듈(300)이 튜브 내로 일시적으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동시에, 스프링 섹션(312, 313)은, 발광체(300)를 제위치에 신뢰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발광체 요소(300)가 설치된 상태에 있을 때 또한 부분적으로 압축된다.
유지 요소(314)는 마찬가지로 캐리어 레일(310)과 일체로 형성되고, 이 유지 요소는 캐리어 레일(310)의 자유 단부 중 하나의 구역에서 캐리어 레일(310)의 주 영역에 수직으로 상향으로 연장한다. 말단부(315)가 캐리어 레일(310)의 대향 자유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복수의 세장형 섹션(316)이 상부 주 영역 아래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된다.
인쇄 회로 기판(320)은 그 단부 중 하나에서, 유지 요소(314)에 기계적으로 체결된다. 2개의 접촉부(321)가 유지 요소(314)의 대응 리셉터클 내로 돌출하고, 따라서 2개의 극을 사용하여 인쇄 회로 기판(320)과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다. LED 조명 요소(322)는 인쇄 회로 기판(320)의 상부측에 균일한 거리(18)에서 장착되고, LED 조명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 전자기기 및 구성요소가 저부측에 배열되어 있다(가시화되어 있지 않음). 제어 전자기기는 다른 모듈 또는 외부 제어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스프링 접촉부가 마찬가지로 유지 요소(314)에 기계적으로 체결된다. 제1 스프링 접촉부(351)는 Z형 디자인을 갖고, 캐리어 레일(310)의 저부측으로 연장하고, 더욱이 또한 대응 스프링 섹션(313)에 기계적으로 체결된다. 제1 스프링 접촉부(351)는 그 저부측에 제1 접촉 영역(351a)을 형성한다. 제1 스프링 접촉부(351)는 대향 단부에 제2 접촉 영역(351b)을 형성한다.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접촉 영역은 인쇄 회로 기판(320)의 접촉부(321) 중 하나와 직접 상호작용한다. 제2 스프링 접촉부(352)는 U형 디자인을 갖는다. 장착된 상태에서, 제1 가지부(limb)(352a)가 인쇄 회로 기판(320)의 접촉부(321) 중 다른 하나와 직접 상호작용한다. 제2 가지부(352b)는 유지 요소(314)의 상부측 상으로 제2 스프링 접촉부(352)의 기부에 의해 안내되고, 거기서 발광체 모듈(300)의 하우징의 상부 외부측을 넘어, 렌즈 프로파일(340) 내의 개구(342)를 통해 통과한다.
반사기(330)는 세장형이고, LED 조명 요소(322)의 수 및 위치에 대응하고 반사기 구역에 의해 둘러싸인 개구를 갖는다. 장착된 상태에서, 반사기는 캐리어 레일(310)의 말단부(315)와 유지 요소(314)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끼워맞춤 방식으로 유지된다.
투명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된 렌즈 프로파일(340)은 그 외부 기하학 형상이 도 2에 따른 튜브 내의 절결부(250)의 형상에 정합되는 출광 영역(343)을 갖고; 따라서 표면은 약간 만곡되고 라운딩된 코너를 갖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출광 영역(343)은 LED 조명 요소에 의해 방출된 광을 적합하게 집광하거나 분배하는 일체로 형성된 렌즈 프로파일을 포함한다. 리세스 형성 영역(344)이 출광 영역(343)의 제1 측에 위치되고, 상기 개구(342)는 상기 리세스 형성 영역에 배열되고, 상기 스프링 접촉부(352)의 상부 가지부(352b)는 상기 개구를 통해 통과한다. 다른 리세스 형성 영역(345)이 출광 영역(343)의 대향측에 위치된다. 출광 영역(343)의 축방향 길이는 - 절결부(250)의 경우에서와 같이 - 163 mm이다. 개구(342)를 구비한 리세스 형성 영역(344)은 9.2 mm의 축방향 길이를 갖고; 다른 리세스 형성 영역(345)은 2 mm의 축방향 길이를 갖는다.
렌즈 프로파일(340)의 측면은 그 기하학 형상이 캐리어 레일(310)의 세장형 돌출부(316)에 대응하는 절결부(346)를 구비한다. 렌즈 프로파일(340)은 돌출부(316)와 절결부(346)의 상호작용에 의해 캐리어 레일(310)에 기계적으로 단단히 체결될 수 있다. 동시에, 발광체 모듈(300)의 다른 요소가 상기 2개의 구성요소 사이에 고정된다.
발광체 모듈(300)은 도 3a에 장착된 상태로 그리고 도 4에 또한 도시되어 있다. 도 4a는 출광 영역(343)에 관하여 그리고 캐리어 레일(310)의 주 영역에 관하여 수직인 발광체 모듈(300)의 중심축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b는 확장된 스케일의 발광체 모듈(300)의 2개의 단부 구역에서의 동일한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발광체 모듈(300)이 삽입되어 있는 튜브(200)를 통한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스프링 섹션(313)은 부분적으로 압축된다. 발광체 모듈(300)은 스프링 접촉부(351)의 접촉 영역(351a) 및 스프링 섹션(312)의 하부면에 의해 저부측에서 튜브(200)와 접촉한다. 상부측에서, 발광체 모듈(300)은 출광 영역(343)의 측면에 대한 2개의 리세스 형성 영역(344, 345)의 구역에서 튜브(200)와 접촉한다. 부분적으로 압축된 스프링 섹션(313)에 기인하여, 이들 4개의 접촉점은 제1 반경방향에서 그리고 튜브(200) 내에 명백하게 규정된 위치에 발광체 모듈(300)을 단단히 유지한다.
축방향 고정 및 제1 반경방향에 수직인 제2 반경방향에서의 고정은 절결부(250) 내에 정확한 끼워맞춤에 의해 수용되는 출광 영역(343)에 의해 생성된다. 제2 스프링 접촉부(352)의 상부 가지부(352b)는 튜브(200)의 내부 케이싱과 도전 접촉을 행하고, 제1 스프링 접촉부(351)의 하부 가지부(351a)는 튜브(200) 내에 안내되는 내부 전도체(212)와 도전 접촉을 행한다. 따라서, 2개의 극을 사용하여 튜브(200) 내로 삽입되는 발광체 모듈(300)과 전기 접촉이 이루어진다.
발광체 모듈(300)은 전방부에서 단부 중 하나로 절결부를 통해 튜브(200) 내로 삽입되는 상기 발광체 모듈에 의해 튜브(200)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대응 스프링 섹션(312, 313)을 압축함으로써, 발광체 모듈(300)은 튜브(200) 내로 매우 깊이 이동될 수 있어 심지어 출광 영역(343)이 각각의 리세스 형성 영역(344, 345)에 인접한 구역에서, 절결부에 인접하는 튜브 내부벽 후방으로 일시적으로 통과하게 된다. 발광체 모듈(300)은 이어서 대향 단부를 거쳐, 마찬가지로 튜브(200) 내로 삽입될 수 있다. 그 후에, 발광체 모듈(300)은 출광 영역(343)이 끼워맞춤 방식으로 절결부 내에 수용될 때까지 축방향으로 변위된다.
제거 목적으로, 발광체 모듈(300)은 일방향에서 축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을 때까지, 스프링 섹션(312, 313)의 힘에 대해 약간 내향으로 압박된다. 출광 영역(343)은 각각의 리세스 형성 영역(344, 345)에 인접하는 구역에서 절결부에 인접하는 튜브 내부벽 후방으로 재차 일시적으로 통과한다. 발광체 모듈(300)의 각각의 다른 단부는 이어서 대응 스프링 섹션(312, 313)의 스프링력에 기인하여 외향으로 압박되고, 따라서 발광체 모듈(300)이 파지되고 제거될 수 있다.
도 6은 2개의 플러그 소켓을 갖는 로드 모듈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로드 모듈(410)의 기하학 형상은 도 2 내지 도 5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발광체 모듈(300)의 것에 실질적으로 대응한다. USB 표준에 따른 2개의 플러그 소켓(411.1, 411.2)이 상부 영역의 중앙 섹션(발광체 모듈의 출광 영역에 대응함)에 배열된다. 상기 플러그 소켓은 상기 접촉부에 의해 튜브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전력은 로드 모듈(410)의 하우징 내에 수용된 대응 전자 요소에 의해 변환되고, 따라서 USB 표준에 따른 전력 접속이 2개의 플러그 소켓(411.1, 411.2)에서 이용가능하다. 디바이스는 USB 플러그 소켓에 의해 전력 공급되거나 충전될 수 있다. USB 플러그 소켓에 의한 데이터 전송이 또한 원리적으로 가능하다.
도 7은 스위칭 요소를 갖는 삽입 모듈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삽입 모듈(420)의 기하학 형상은 도 2 내지 도 5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발광체 모듈(300)의 것에 재차 실질적으로 대응한다. 조작자 제어 요소, 구체적으로 3개의 센서 버튼(421.1, 421.2, 421.3)이 상부 영역의 중앙 섹션(발광체 모듈의 출광 영역에 대응함)에 형성된다. 로드, 예를 들어 발광체는 제1 센서 버튼(421.1)을 경유하여 스위칭 온 및 오프될 수 있다. 로드의 파라미터, 예를 들어 발광체의 밝기는 2개의 다른 센서 버튼(421.1, 421.3)을 경유하여 증가되거나 저하될 수 있다. 로드는 동일한 삽입 모듈에 수용될 수 있다. 만일 그렇지 않으면, 라인(전력 라인 통신, PLC) 상에서 변조되는 제어 펄스에 의해 자체로 공지된 방식으로 전력 공급 라인에 의해 대응 로드 모듈에 제어 펄스가 전송된다. 대응 전자기기가 삽입 모듈 내에 그리고 로드 모듈 내에 내장된다.
유사한 방식으로, 일련의 제어 및 로드 모듈 및 또한 예를 들어, 센서 모듈과 같은 다른 모듈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각각의 모듈은 고유 번호에 의해 식별된다. 모듈의 할당은 쌍으로 수행될 수 있지만, 더 복잡한 관계가 또한 실현될 수 있다. 할당은 외부 제어 디바이스의 보조에 의해 또는 모듈의 조작자 제어에 의해서만 개시될 수 있는 "페어링" 방법에 의해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범주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삽입 모듈은 완전히 상이한 제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가장 간단한 경우에, 단지 하나의 제어 요소만이 존재하고; 더 복잡한 경우에, 일련의 제어 요소가 제공될 수 있다. 제어 요소에 의해 사용되지 않는 상부 영역의 중앙 섹션이 그 부분, 즉 절결부를 통해 가시화되어 있는 영역은 튜브 외부측에 대응하는 코팅을 구비할 수 있어, 주로 제어 요소가 외부로부터 가시화되게 된다.
본 발명은 설명된 로드 및 삽입 모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로서, 발광체 모듈은 구별된 조명 방향을 갖는 하나 이상의 스포트라이트 소스를 또한 가질 수 있다. 스폿은 조정가능할 수 있다. 유사하게, 모듈의 장착된 상태에서 튜브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가동 요소의, 예를 들어 구즈넥(gooseneck)의 자유 단부에 광원이 배열되어 있는 모듈이 실현 가능하다.
광원은 이들의 색 또는 색온도가 제어될 수 있는 이러한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동일한 것이 밝기에도 적용된다. 모듈은 예를 들어, 특정 레벨의 주위 밝기가 언더슛(undershot)될 때 광을 자동으로 스위칭 온하기 위해 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근접도, 모션 또는 존재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가구 시스템의 요소, 예를 들어 도어 또는 플랩의 상태가 센서에 의해 모니터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방 센서가 사용될 수 있고, 이 개방 센서는 적외선 LED 및 반사된 광을 검출하기 위한 포토트랜지스터의 보조로, 플랩 또는 도어가 개방되어 있는지 폐쇄되어 있는지 여부를 설정한다. 예로서, 광원은 결과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스위칭 온 또는 오프될 수 있다.
요약하면, 본 발명은 3차원 하중 지탱 튜브 구조체의 튜브 내에서 간단하고 신뢰적인 방식으로 접촉이 행해질 수 있고 유지될 수 있는 로드 모듈을 제공하는 것으로 판정될 수 있다.
100: 노드 요소 101: 외부 부분
102: 내부 부분 103: 절연층
110, 120, 130: 나사산 형성 보어 111, 121: 나사산
200: 튜브 201: 외부 케이싱
211: 외부층 212: 내부층
221, 222: 웨지 슬리브 230: 캡 나사

Claims (13)

  1. 가구 시스템의 3차원 하중 지탱 튜브 구조체의 튜브 내로의 삽입을 위한 로드 모듈로서, 상기 로드 모듈은 세장형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로드 모듈과 전기 접촉을 행하기 위한 2개의 접촉 요소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측에 배열되고, 상기 접촉 요소는 상이한 극성을 갖고, 상기 접촉 요소는, 상기 로드 모듈이 삽입된 상태에 있을 때, 이들이 상기 튜브의 내부에 배열된 상이한 극성의 2개의 접촉 영역과 실질적으로 반경방향에서 접촉을 행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배열되고, 상기 하우징은 종방향에서 중심에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돌출 요소를 갖는 구역, 및 또한 종방향에서 외부에 있는 구역을 갖고, 상기 로드 모듈은 상기 튜브 구조체의 튜브 내로 삽입될 수 있고, 상기 튜브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 요소가 절결부의 에지와 상호작용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세장형 절결부가 마련되고, 상기 외부 구역은 상기 절결부에 인접하는 구역에서 상기 튜브의 내부 케이싱을 지탱하는 것인 로드 모듈에 있어서,
    상기 접촉 요소 중 제1 접촉 요소는 상기 외부 구역 중 하나 내에서 제1 둘레방향 위치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요소 중 제2 접촉 요소는 상기 제1 둘레방향 위치와 적어도 6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35°의 각도를 이루는 제2 둘레방향 위치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 모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요소 중 적어도 하나는 탄성 디자인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 모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명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요소의 출광(出光) 영역은 상기 하우징의 중앙 영역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 모듈.
  6. 3차원 하중 지탱 튜브 구조체를 갖는 가구 시스템으로서,
    a) 복수의 튜브로서, 튜브 중 적어도 하나는 튜브의 내부에 배열된 상이한 극성의 2개의 접촉 영역을 갖는 것인, 복수의 튜브;
    b) 2개 이상의 튜브를 서로 기계적으로 체결하기 위한 복수의 3차원 노드 요소; 및
    c) 상기 가구 시스템의 3차원 하중 지탱 튜브 구조체의 적어도 하나의 튜브 내로 삽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로드 모듈로서, 상기 로드 모듈은 세장형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로드 모듈과 전기적 접촉을 행하기 위한 2개의 접촉 요소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측에 배열되어 있고, 상기 접촉 요소는 상이한 극성을 갖고, 상기 접촉 요소는, 상기 로드 모듈이 삽입된 상태에 있을 때, 이들이 상기 튜브의 내부에 배열된 상이한 극성의 2개의 접촉 영역과 실질적으로 반경방향에서 접촉을 행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배열되는 것인, 적어도 하나의 로드 모듈
    을 포함하는 가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튜브를 따라 제1 극성 및 제2 극성의 전류를 운반하기 위한, 상기 튜브를 따라 연장하고 서로로부터 절연되어 있는 2개의 전류 전도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전류를 운반하기 위한, 서로로부터 절연되어 있는 상기 2개의 전류 전도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튜브 내에서 서로 동축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튜브는, 도전성 재료로 구성되고 제1 극성을 운반하는 역할을 하는 구조적 튜브 요소와, 상기 구조적 튜브 요소 내에 절연 방식으로 수용되어 있는, 제2 극성을 운반하기 위한 내부 전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전도체는 상기 튜브 내에 삽입되고 일 단부에서 절연되어 있는 도전성 포일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시스템.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튜브는 세장형 절결부를 갖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드 모듈은 상기 세장형 절결부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튜브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드 모듈의 접촉 요소 중 제1 접촉 요소는, 상기 로드 모듈이 삽입된 상태로, 상기 로드 모듈의 구역 내에 배열되고, 상기 구역은 상기 절결부에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드 모듈의 접촉 요소 중 제2 접촉 요소는, 상기 로드 모듈이 삽입된 상태로, 상기 로드 모듈의 구역 내에 배열되고, 상기 구역은 상기 절결부에 관하여 후방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시스템.
KR1020187000959A 2015-06-23 2016-06-13 가구 시스템의 3차원 지지 튜브 구조체의 튜브 내로 삽입을 위한 로드 모듈 KR1024411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405042.1 2015-06-23
EP15405042.1A EP3109535B1 (de) 2015-06-23 2015-06-23 Möbelsystems mit einem verbrauchermodul zum einsetzen in ein rohr einer dreidimensionalen tragenden rohrstruktur
PCT/EP2016/063498 WO2016207008A1 (de) 2015-06-23 2016-06-13 Verbrauchermodul zum einsetzen in ein rohr einer dreidimensionalen tragenden rohrstruktur eines möbelsystem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8564A true KR20180048564A (ko) 2018-05-10
KR102441124B1 KR102441124B1 (ko) 2022-09-06

Family

ID=53524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0959A KR102441124B1 (ko) 2015-06-23 2016-06-13 가구 시스템의 3차원 지지 튜브 구조체의 튜브 내로 삽입을 위한 로드 모듈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10368640B2 (ko)
EP (2) EP3109535B1 (ko)
JP (1) JP6722705B2 (ko)
KR (1) KR102441124B1 (ko)
CN (1) CN108027120B (ko)
AU (1) AU2016284722B2 (ko)
CA (1) CA2988867C (ko)
DK (2) DK3109535T3 (ko)
ES (2) ES2664132T3 (ko)
NO (1) NO3109535T3 (ko)
PL (2) PL3109535T3 (ko)
PT (2) PT3109535T (ko)
WO (1) WO20162070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59235B2 (en) * 2016-06-02 2020-12-08 Federal Signal Corporation Warning devices with oscillating light patterns
IT201700113437A1 (it) * 2017-10-10 2019-04-10 Sergio Macchioni Dispositivo di illuminazione.
FR3074565B1 (fr) * 2017-12-06 2019-11-01 Societe Financiere Veron (Sofive) Dispositif d’eclairage interieur d’un meuble ou placard a diodes electroluminescentes
US11137128B2 (en) 2019-04-01 2021-10-05 Federal Signal Corporation Warning devices with oscillating light patterns
USD925107S1 (en) * 2019-08-28 2021-07-13 Zhongshan City Kinglong Lighting Factory Co., Ltd Lamp
USD925108S1 (en) * 2019-08-28 2021-07-13 Zhongshan City Kinglong Lighting Factory Co., Ltd Lamp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98656A2 (de) * 2003-07-14 2005-01-19 Elektro Pro Light KG des Bergmeister Markus & Co. Beleuchtungsvorrichtung, insbesondere Tunnelbeleuchtung
WO2007071746A1 (de) * 2005-12-21 2007-06-28 Antonius Dreisewerd Einbauleuchte als innen- und aussenleuchte
JP2007193982A (ja) * 2006-01-17 2007-08-02 Zhuxuan Lin 投射光の方向を調整可能なledライト
DE202012003663U1 (de) * 2012-04-12 2012-07-25 Horst Lettenmayer Regal mit Leuchtmittel
US20130188338A1 (en) * 2010-09-13 2013-07-25 Oliver Melhaff Electrical supply system for lighting furniture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429317A (de) 1965-08-16 1967-01-31 Schaerer S Soehne U Rohrverbindung für den Gestellbau
WO1994021961A1 (de) 1993-03-24 1994-09-29 Planlicht-Handelsgesellschaft Mbh & Co. Kg Konstruktionselement und beleuchtungssystem
DE69401420T2 (de) * 1993-11-08 1997-04-24 Branka Agabekov Leuchtleiste
EP0927660A3 (de) * 1998-01-03 2000-05-17 Dipl.-Ing. Henryk Bury GmbH Zigarettenanzünder-Stecker
CN2532748Y (zh) * 2002-02-05 2003-01-29 李孝明 一种家具支撑机构
US6773138B2 (en) * 2002-04-09 2004-08-10 Osram Sylvania Inc. Snap together automotive led lamp assembly
CN2812632Y (zh) * 2005-05-12 2006-09-06 Usm有限公司 一种可移动的多层式烘箱
US7351927B1 (en) * 2006-10-13 2008-04-01 Eaton Corporation Electrical switch, conductor assembly, and independent flexible conductive elements therefor
CN201053598Y (zh) * 2007-04-30 2008-04-30 刘昌贵 塑料霓虹灯
AT507241B1 (de) * 2008-09-03 2013-05-15 Blum Gmbh Julius Möbel mit schublade und stromverbraucher
IT1391435B1 (it) * 2008-09-26 2011-12-23 Effegi Brevetti Srl Sistema d'inserimento e fissaggio di un ripiano ad inserimento frontale in un mobile componibile
KR100993059B1 (ko) * 2008-09-29 2010-11-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장치
CN101387373A (zh) * 2008-10-21 2009-03-18 田德华 薄型发光二极管柔性变色霓虹灯
KR100898931B1 (ko) * 2008-12-31 2009-05-21 주식회사 누리플랜 라인형 엘이디 조명등
US8178801B2 (en) * 2010-03-29 2012-05-15 Eaton Corporatio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including a carrier, and pole for the same
IT1399569B1 (it) * 2010-04-22 2013-04-19 Tyco Electronics Amp Italia Srl Connettore elettrico per una guarnizione a striscia flessibile porta-led
DE102011084814A1 (de) * 2011-10-19 2013-04-25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Halterungselement zum halten mindestens einer flachen flächenlichtlampe, satz aus einer mehrzahl von fassungen und einer mehrzahl von langgestreckten haltekörpern und leuchte
CN203453887U (zh) * 2013-07-13 2014-02-26 许有谋 一种加闪烁发光元件串联灯串
DE202014101674U1 (de) * 2014-04-09 2014-04-15 Nitz Engineering Gmbh Energiespeicher für Möbel sowie Möbel mit Energiespeicher
DE102015000733A1 (de) * 2014-07-29 2016-02-04 Seifert Mtmsystems (Malta) Ltd. Schaltschrankleuchte mit Leuchtmitteln auf der Basis von lichtemittierenden Diode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98656A2 (de) * 2003-07-14 2005-01-19 Elektro Pro Light KG des Bergmeister Markus & Co. Beleuchtungsvorrichtung, insbesondere Tunnelbeleuchtung
WO2007071746A1 (de) * 2005-12-21 2007-06-28 Antonius Dreisewerd Einbauleuchte als innen- und aussenleuchte
JP2007193982A (ja) * 2006-01-17 2007-08-02 Zhuxuan Lin 投射光の方向を調整可能なledライト
US20130188338A1 (en) * 2010-09-13 2013-07-25 Oliver Melhaff Electrical supply system for lighting furniture
DE202012003663U1 (de) * 2012-04-12 2012-07-25 Horst Lettenmayer Regal mit Leuchtmitt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027120A (zh) 2018-05-11
EP3109535A1 (de) 2016-12-28
AU2016284722B2 (en) 2021-01-21
CN108027120B (zh) 2020-12-08
EP3314162A1 (de) 2018-05-02
EP3314162B1 (de) 2019-03-13
JP2018527696A (ja) 2018-09-20
ES2727555T3 (es) 2019-10-17
DK3109535T3 (en) 2018-04-16
KR102441124B1 (ko) 2022-09-06
ES2664132T3 (es) 2018-04-18
NZ738201A (en) 2021-08-27
AU2016284722A1 (en) 2018-01-18
WO2016207008A1 (de) 2016-12-29
NO3109535T3 (ko) 2018-05-26
JP6722705B2 (ja) 2020-07-15
US20190069677A1 (en) 2019-03-07
PL3314162T3 (pl) 2019-07-31
PT3109535T (pt) 2018-03-22
EP3109535B1 (de) 2017-12-27
PT3314162T (pt) 2019-05-29
CA2988867A1 (en) 2016-12-29
CA2988867C (en) 2023-06-13
US10368640B2 (en) 2019-08-06
DK3314162T3 (da) 2019-06-03
PL3109535T3 (pl) 2018-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1124B1 (ko) 가구 시스템의 3차원 지지 튜브 구조체의 튜브 내로 삽입을 위한 로드 모듈
US9318860B2 (en) Light source, lamp socket and illumination device using the lamp socket
US9402498B2 (en) Safety grounded tree
US6384735B1 (en) Device for signaling conditions for electrical machines
KR101678108B1 (ko) 레일 콘센트용 플러그 및 이를 이용한 레일 콘센트용 조명기구
US20150109721A1 (en) Cord-mounted remote control device
US11916333B2 (en) Quick connect device with transverse release
CN101782199A (zh) 照明装置,尤其是壁挂照明装置
WO2017153394A1 (en) Socket assembly, light emitter module, and lighting system
ES2603980T3 (es) Interruptor o pulsador de instalación dotado de un balancín con una salida de luz para un dispositivo de iluminación
US20160150881A1 (en) Drawer
US20090029583A1 (en) Touch-Safe Socket
ES2353980T3 (es) Dispositivo de inserción, objeto de inserción así como disposición constituida por un dispositivo de inserción y un objeto de inserción .
US20130155662A1 (en) Modular Lighting System
JP2013045546A (ja) 照明器具
NZ738201B2 (en) Load module for inserting into a tube of a three-dimensional supporting tube structure of a furniture system
US9512967B2 (en) Straight type lamp
KR20160069223A (ko) 선반의 조명등장치
AU2021107525A4 (en) A housing assembly for an emergency light and an emergency light including the same
KR101195845B1 (ko) 엘이디 형광등용 소켓
KR100978520B1 (ko) 상품진열을 겸할 수 있는 포인트 부착식 조명장치
JP2012014967A (ja) 端子装置、電気装置、電気機器および照明器具
JP2008004450A (ja) Hidランプ用ソケット及び照明器具
TWM601312U (zh) 供電燈座
KR20220161324A (ko) 매립식 스마트 신속 연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