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1324A - 매립식 스마트 신속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매립식 스마트 신속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1324A
KR20220161324A KR1020227033607A KR20227033607A KR20220161324A KR 20220161324 A KR20220161324 A KR 20220161324A KR 1020227033607 A KR1020227033607 A KR 1020227033607A KR 20227033607 A KR20227033607 A KR 20227033607A KR 20220161324 A KR20220161324 A KR 20220161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plug
fixture
junction box
elect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3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랜 롤랜드 코헨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와이엑스 플랫폼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와이엑스 플랫폼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에스케이와이엑스 플랫폼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20161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13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20Two-pole devices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33/205Two-pole devices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ecured to structure or printed circuit boar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21S8/02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intended to be recessed in a ceiling or like overhead structure, e.g. suspended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6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coupling devices, e.g.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6Snap or like fastening comprising one or more balls engaging in a hole or a groo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5/00Planar light sources
    • F21Y2105/10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21Y2105/12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light-generating elements, e.g. arranging light-generating elements in differing patterns or dens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Handcart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고정구는 소켓을 갖는 전기 접속함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이다. 고정구는 소켓에 연결된 전기 신호에 고정구를 연결하기 위해 소켓과 쌍을 이어 결합할 수 있는 도전성 단자가 있는 플러그를 갖는다. 플러그를 갖는 고정구의 단부는 소켓과 T쌍을 이루어 결합하도록 접속함 내부로 삽입된다. 릴리스 래치는 래치의 일 단부가 접속함 내에 매립되지 않도록 플러그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분리를 위해 플러그와 고정구를 해제하도록 눌려질 수 있다. 소켓은 접속함에 부착할 수 있는 연장 아암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소켓은 삽입 후 고정구의 플러그와 적절하게 짝을 이루어 결합하도록 접속함 내의 정확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매립식 스마트 신속 연결 장치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 및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매립식 또는 함몰식(recessed) 조명용 전기 고정구의 신속한 연결 및 장착을 가능하게 하는 전기 플러그 및 소켓 조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전기 플러그 및 소켓 조합을 이용하는 매립식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관련 특허 및 출원
본 발명은, 2020년 2월 20일 출원된 PCT 국제 특허출원 PCT/US20/19010 (WO 2020/172390 A1로 공개); 2018년 4월 17일 출원된 PCT 국제 특허출원 PCT/US18/27956 (WO 2018/195068 A1로 공개); 2018년 3월 12일 출원된 PCT 국제 특허출원 PCT/US18/21919 (WO 2018/165646 A1로 공개); 2018년 3월 5일 출원된 PCT 국제 특허출원 PCT/US18/20987 (WO 2018/165058 A1로 공개); 2016년 5월 12일 출원된 PCT 국제 특허출원 PCT/US2016/032170 (WO 2016/183354 A1로 공개); 2007년 3월 20일 출원된 미국 특허 7,462,066; 2004년 12월 2일 출원된 미국 특허 7,192,303; 2001년 12월 12일 출원된 미국 특허 6,962,498; 및 2005년 12월 2일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공개 2009/0280673에 관한 것으로, 이들 내용 전체는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벽이나 천장에 조명 고정구(lighting fixture) 및 선풍기와 같은 전기 고정구 및 전기 기기를 설치하는 전통적인 기술에서는 일반적으로 전기 유자격자의 도움과 다양한 도구 및 특수 하드웨어의 사용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기구를 설치하거나 제거하는 절차는 또한 숙련된 설치자가 수행하더라도 비교적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있다. 조명 기구와 전원 공급 배선 사이에 필요한 전기 연결을 손으로 하는 것 외에도, 설치자는 기구를 제자리에 지지하거나 매달기 위해 별도의 기계적 연결을 해야 한다.
관련 특허 및 출원 섹션에 열거된 특허에서는, 이러한 문제 및 기타 문제에 대한 해결책에 대해 기재하고 있다. 이들 관련 특허 및 출원에서는, 벽 또는 천장의 전기 접속함(junction box)에서 전기 고정구 또는 기기의 신속한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플러그 및 소켓 조합의 다양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다. 소켓은 전원 배선 근처의 벽이나 천장에 고정되며 플러그에 장착된(carried on) 수형(male) 전기 프롱(prong)을 수용하는 암형(female) 소켓을 포함한다. 전기 고정구는 플러그에 고정된다. 이 플러그와 소켓 조합에 의해 제공되는 신속한 전기 연결 외에도, 플러그와 소켓 사이의 기계적 연결은 전기 고정구의 기계적 부하를 담당한다.
본 발명은, 매립식 조명이 요구될 때 사용하기 위한 관련 특허 및 출원에서 플러그 및 소켓 조합의 다양한 실시형태와 관련된 개선 사항을 설명한다. 플러그 및 소켓 조합을 이용하는 매립식 조명 시스템이 또한 설명된다.
매립식 조명은 가정, 사무실 또는 원하는 공간의 거의 모든 영역에 주변 및 태스크(task) 조명을 모두 제공하는 다용도 수단이다. 포트(pot) 조명, 캔(can) 조명 또는 다운라이트라고도 하는 이 조명들은 벽이나 천장에 설치된 표면이 아닌 천장이나 벽(대부분 천장)에 설치한다.
매립식 조명에는 하우징과 트림의 두 가지 주요 구성 요소가 포함되며 둘 모두 별도로 선택(및 종종 판매)된다. 하우징은 천장 위에 있는 것으로, 광원 및 고정구 장착 수단과 같은 모든 전기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트림은 트림 스타일이나 빛을 비추는 부품과 같이 천장 아래에 보이는 것을 지칭한다.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다양한 매립식 조명 옵션의 기능적 차이점 외에도 미적 조명 옵션도 있다. 둥근 흰색 조명 고정구의 외관이 특정 용도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 다른 이용 가능한 선택이 있다. 다양한 색상 또는 금속 마감의 트림 링이 있는 매립식 조명을 사용할 수 있다. 둥근 스타일이 너무 평범하거나 기존 형태인 경우, 정사각형 조명뿐만 아니라 다양한 모양과 크기를 이용할 수 있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전기 접속함의 면이 표면과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가 되도록 위치된 상기 전기 접속함 또는 그 근처에 배치된 전원 공급 배선과 전기 고정구를 연결하고, 상기 전기 접속함 위에 상기 고정구를 장착하기 위한 장치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내부 공동을 갖는 소켓 본체를 포함하는 소켓으로서, 상기 소켓은 전기 접속함에 위치되고 상기 전기 접속함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치수가 정해진 소켓; 상기 전원 공급 배선과 소켓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공동 내에 배치된 전기 전도성 접촉 단자; 상기 고정구에 고정되고 상기 소켓 내로 삽입될 수 있는 플러그로서, 상기 전기 고정구와 상기 전력 배선 사이의 회로를 설정하기 위해, 상기 고정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소켓 내의 접촉 단자와 결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수형 커넥터를 갖는 플러그; 및 상기 플러그를 소켓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상기 플러그와 상기 소켓의 조합에 장착되는 해제 가능한 래치로서, 상기 플러그와 소켓은, 상기 고정구가 매립된 조명 하우징 내에 위치되지 않고, 상기 전기 접속함의 표면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측에 위치되도록 구성되고 치수가 정해지는 해제 가능 래치를 포함한다.
그 변형에서, 상기 고정구는 LED PCB 광원이고; 상기 LED PCB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고정구가 위치하는 상기 접속함의 개방 단부의 최대 폭보다 넓은 크기의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의 본체는 투명하거나 반투명하고, 림은 불투명하고; 상기 커버는 조명 효과를 내기 위해 렌즈, 필터, 또는 기타 광학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 및 커버 모두는 평평한 프로파일을 갖고; 상기 광원 및 커버 중 적어도 하나는 돔형 프로파일을 갖고; 상기 소켓은 상기 소켓을 상기 전기 접속함에 고정하기 위해 소켓 본체에 부착된 장착 스트랩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 스트랩은 일반적으로 2개의 다리가 있는 U자형이고; 상기 다리의 길이는 소켓 본체의 높이의 적어도 2배이고; 상기 다리의 길이는 소켓 본체의 높이와 거의 동일하고; 상기 전기 접속함은 수직으로 이격된 일련의 제1 홀 및 수직으로 이격된 일련의 제2 홀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으로 이격된 일련의 제1 및 제2 홀은 상기 전기 접속함의 대향 표면 상에 있고; 및/또는 상기 다리의 길이는 조정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전기 접속함의 면이 표면과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에 있도록 위치한 전기 접속함 또는 그 근처에 배치된 전원 공급 배선과 전기 고정구를 연결하기 위한 장치를 형성하기 위해 소켓과 결합하고, 그리고 상기 전기 접속함에 상기 고정구를 장착하기 위한 플러그는, 상기 고정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소켓 내의 접촉 단자와 결합할 수 있어 상기 전기 고정구와 전원 공급 배선 사이에 회로를 설정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수형 커넥터; 및 지지체에 상기 고정구를 해제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해 상기 플러그와 상기 소켓의 조합에 장착되는 해제 가능 래치로서, 상기 플러그 및 소켓은 상기 고정구가 매립식 조명 하우징 없이 표면에 대해 위치되도록 구성되고 치수가 정해진 래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개방된 면을 갖고 전기 접속함 내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접속함이 작업 면 아래에 매립되고, 상기 개방된 면이 작업 면에서 개방되어 있는 장치는, 전기 접속함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외부 주변부를 갖는 하우징; (a) 본체를 갖고, (b) 상기 본체가 상기 하우징의 삽입 가능한 외주의 원위 단부에 고정되고, (c) 플러그의 삽입 면을 규정하기 위해 상기 본체 상에 위치된 복수의 동심 링형 전기 커넥터를 갖고, (d) 중앙에 배치된 세장형(elongate) 배럴은 종축을 규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채널을 가지며, (e) 상기 배럴 내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는 핀은 적어도 하나의 방사상 리세스를 갖고, 그리고 (f) 적어도 하나의 볼이 상기 횡방향 채널 내에 배치되고 상기 핀에 의해 접촉 가능하고, 상기 핀이 방사상 리세스에 인접하거나 인접하지 않게 상기 볼을 교대로 위치시키도록 슬라이딩 가능한 플러그; 및 (i) 횡축을 따라 플러그 내에서 배럴의 종축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고, (ii) 상기 핀의 단부에 위치하고, (iii) 방사상 리세스를 볼에 인접하게 그리고 방사상 리세스가 볼에 인접하지 않은 위치로 위치시키기 위해 핀을 교대로 밀고, 그에 의해 횡방향 채널을 따라 볼을 밀도록 상기 핀의 단부와 캠 표면을 접촉시킬 수 있고, (iv) 상기 플러그 본체의 외측을 상기 본체로부터 멀어지도록 거리를 연장하고, 상기 플러그의 삽입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플러그로부터 멀리 더 연장되도록 회전하고, (v) 레버는 상기 핀의 단부에 대해 상기 캠 표면을 구동하도록 밀 수 있고, 그리고 (vi) 상기 레버가 상기 작업 면 위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이 접속함 내부로 삽입될 때, 밀 수 있는 레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변형에서, 시스템은 플러그 삽입 면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동심 링형 개구가 있는 내부 공동을 갖는 소켓 본체를 포함하는 전기 소켓으로서, 상기 개구는 상기 플러그의 링형 전기 접촉기와 쌍을 이루어 결합 가능하고, 각 개구는 상기 링형 전기 접촉기와의 전기 접촉과 관련되고, 상기 소켓 본체는 플러그 삽입 면을 규정하는 전기 소켓; 및 상기 소켓이 고정되는 세장형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반대쪽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플러그 삽입면으로부터 멀어지는 2개의 연장 아암을 포함하는 브래킷으로서, 상기 연장 아암은 상기 소켓을 접속함의 개구 아래에 위치시켜 상기 장치의 플러그와 짝을 이루어 결합하도록 상기 접속함에 연결 가능한 브래킷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에서, 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상기 접속함의 개방 면의 폭보다 더 큰 폭을 갖도록 크기가 정해진 플랜지를 추가로 포함하고;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회로 기판을 추가로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플러그에 고정된 전기 고정구를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결합하기 위해 매립된 조명 하우징용 소켓은, 제1 단부에 에디슨 유형 베이스 및 제2 단부에 소켓 본체를 갖는 연장부로서, 상기 에디슨 유형 베이스는 하우징에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결합하기 위해 하우징의 나사산에 나사식으로 연결 가능한 연장부; 연장부의 제2 단부에 있는 소켓 본체로서,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내부 공동 및 상기 하우징과 소켓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공동 내에 배치된 전기 전도성 접촉 단자를 갖는 소켓 본체; 및 플러그를 소켓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플러그와 소켓의 조합에 장착된 해제 가능 래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변형에서, 연장부는 고정된 길이를 갖거나 조정 가능한 길이를 갖는다.
본 발명의 보다 완전한 이해, 및 그에 수반되는 이점 및 특징은 첨부 도면과 함께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속 연결 장치의 일부로서 사용되거나 변형될 수 있는 종래의 소켓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속 연결 장치의 플러그에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종래의 플러그를 도시한다.
도 3은 90도 오프셋 볼을 포함하고 본 발명에 따른 신속 연결 장치의 플러그에 통합될 수 있는 플러그 스핀들의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브래킷에 도 1의 소켓이 부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여기서 어셈블리는 전기 접속함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도 5는 전기 접속함 내에 설치된 도 4의 어셈블리의 중심을 통한 사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플러그의 기능을 갖는 플러그의 사시 단면도이고, 도 1의 소켓의 기능을 갖는 소켓으로부터 플러그의 해제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핀을 이동시키는 릴리스 레버를 포함하도록 변경되며, 플러그를 소켓에 잠그는 위치에 있는 핀을 나타낸다.
도 7은 소켓으로부터 플러그를 해제할 수 있는 위치로 레버에 의해 이동된 도 6의 플러그를 도시한다.
도 8은 릴리스 레버에 부착되고 플러그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연장 아암을 포함하도록 본 발명에 따라 변경된 도 6의 플러그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고정구 내에 있는 도 8의 플러그를 도식적으로 도시하며, 여기서 고정구의 본체는 본 발명에 따라 도 4의 소켓이 부착된 전기 접속함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어셈블리의 중심을 통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14는 천장에 설치된 도 9의 어셈블리의 사시도로서,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교체 가능한 고정구 커버만이 보이고, 고정구를 해제하기 위해 누를 수 있는 릴리스 레버의 단부도 보일 수 있고, 도 12 내지 14는 얕은 볼록형, 높은 볼록형, 및 각진 커버 스타일을 각각 도시한다.
도 15는 도 9와 유사한 본 발명의 어셈블리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LED 조명을 추가로 도시하고, 본 발명의 교체 가능한 커버, 특히 도 12의 얕은 커버를 도시한다.
도 16은 도 9의 어셈블리와 유사한 본 발명의 어셈블리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9의 연장된 릴리스 레버에 추가하여 중앙 릴리스 레버를 더 도시하고, 도 13의 높은 볼록 커버를 도시한다.
도 17은 도 16의 장치를 도시하고, 도 14의 각진 커버를 도시한다.
도 18은 전기적으로 연결된 보조 고정구를 제어하는 리드 고정구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고정구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9는 접속함이 있는 공간을 최대화하기 위해 제거된 부분을 포함하는 대안적인 소켓 장착 브래킷을 도시한다.
도 20은 조정 가능한, 두 부분으로 된 연장 아암을 구비한 본 발명의 대안적인 소켓 장착 브래킷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1은 접속함 연장 링 내에 장착된 본 발명의 장착 브래킷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센서를 추가로 포함하는, 도 10의 것과 유사한 장치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대안적인 브래킷 및 접속함을 도시하며, 여기서 브래킷은 접속함에 형성된 구멍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4는 에디슨 스타일 플러그에 고정된, 본 발명의 연장된 레버를 갖는 소켓을 도시하고, 여기서 어셈블리는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 개시된 바와 같은 매립식 접속함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설명은 최선의 형태를 포함하는 실시형태를 개시하기 위해, 또한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 및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를 사용한다. 특허 가능한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며, 당업자가 생각해 내는 다른 예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예는 청구항의 문언과 다르지 않은 구조적 요소를 갖는 경우, 또는 청구항의 문언과 실질적으로 차이가 없는 동등한 구조적 요소를 포함하는 경우, 청구항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의도하고 있다.
일반적인 설명이나 예에서 위에 설명된 모든 작동이 필요한 것은 아니며, 특정 작동의 일부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으며, 설명된 것 외에 하나 이상의 추가 작동이 수행될 수 있음을 주목하여야 한다. 또한, 작동이 나열된 순서가 반드시 수행되는 순서는 아니다.
전술한 명세서에서, 특정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개념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당업자는 하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명세서 및 도면은 제한적인 의미가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며, 이러한 모든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사용된 특정 단어 및 문구의 정의를 설명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통신하다(communicate)"라는 용어와 그 파생어는 직접 및 간접적인 연통을 모두 포함한다. "포함하다(include)" 및 "포함하다(comprise)"라는 용어와 그 파생어는 제한 없이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는"이라는 용어는 포괄적이고, '및/또는'을 의미한다. "~와 관련된(associated)"이라는 문구 및 그 파생어는, "포함한다, ~내에 포함된다, ~과 상호 연결된다, ~을 함유한다, ~내에 함유된다, ~에 또는 ~과 연결된다, ~에 또는 ~과 결합된다, ~과 연통된다, ~과 협동한다, ~을 삽입한다, ~과 병치한다, ~에 근접하다, ~에 또는 ~과 결합된다, ~을 갖는다, ~특성을 갖는다, ~에 또는 ~과 관계를 갖는다" 등을 의미할 수 있다. 항목 목록과 함께 사용될 때 "적어도 하나"라는 문구는 나열된 항목 중 하나 이상을 서로 다른 조합으로 사용할 수 있고, 목록에서 하나의 항목만 필요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는 A, B 또는 C; A 및 B; A 및 C; B 및 C; 및 A, B 및 C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a" 또는 "an"의 사용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요소 및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이것은 단지 편의를 위해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에 대한 일반적인 의미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설명은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하며, 달리 의미하는 것이 분명하지 않는 한 단수는 복수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설명은 임의의 특정 요소, 단계 또는 기능이 청구 범위에 포함되어야 하는 필수 또는 중요한 요소임을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특허된 발명 대상의 범위는 허용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의된다. 더욱이, "~을 위한 수단" 또는 "~을 위한 단계"라는 정확한 단어가 특정 청구범위에서 명시적으로 사용된 다음 기능을 확인하는 분사구가 뒤에 오지 않는 한, 청구범위의 어떤 것도, 첨부된 청구범위 또는 청구범위 요소의 어느 것과 관련하여 35 U.S.C.§112(f)를 인용하지 않는다.
이점, 다른 이점, 및 문제에 대한 해결책은 특정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점, 장점, 문제의 해결책, 및 이점, 장점 또는 해결책을 발생하거나 더 현저하게 할 수 있는 기능은, 항구항의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서 중요한, 필요한, 신성한, 또는 본질적인 기능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명세서를 읽은 후, 숙련된 기술자는 별도의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명료함을 위해 설명된 어떤 특징이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되어 제공될 수도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간결함을 위해 설명된 다양한 기능은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하위 조합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범위에 명시된 값에 대한 참조에는 해당 범위 내의 모든 값이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약" 또는 "대략"은 명시적으로 표시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모든 수치에 적용된다. 이들 용어는 일반적으로 당업자가 인용된 값(즉, 동일한 기능 또는 결과를 가짐)과 동등하다고 간주할 수 있는 범위의 숫자를 지칭한다. 많은 경우, 이들 용어에는 가장 가까운 유효 숫자로 반올림된 숫자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실질적인" 및 "실질적으로"는 다양한 부품을 서로 비교할 때, 비교되는 부품이 당해 분야의 숙련자가 동일하다고 간주할 정도로 치수가 동일하거나 너무 가깝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실질적인" 및 "실질적으로"라는 것은 단일 치수로 제한되지 않고, 특히 비교되는 부분에 대한 값의 범위를 포함한다. 위 및 아래 모두의 값의 범위(예를 들어, "+/-" 또는 더 많은/더 적은 또는 더 큰/작은)는 언급된 부품의 타당한 공차인 것이 당업자가 알 수 있는 차이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설명은 본 발명의 원리 및 다양한 실시형태를 예시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상기 설명된 개시내용이 충분히 이해되면, 당업자는 수많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다음 청구범위는 이러한 모든 변형 및 변경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제목은 편의를 위해 제공되며, 어떤 식으로든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명세서의 개시 내용은 관련 특허 및 출원 섹션에서 확인된 문서에서 위에 설명된 것과 같은 발명자의 이전 연구에 관한 것이며, 각 내용은 그 전체가 참조로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플러그 및/또는 소켓은, 2016년 5월 12일 출원된 PCT 국제 특허출원 PCT/US2016/032170호 및 2018년 3월 5일 출원된 PCT 국제 특허출원 PCT/US2018/020987에 개시된 바와 같이, 감지된 상태를 무선으로 통신하고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감지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 고정구를 설치하기 위한 "신속 연결 장치"는 플러그와 리셉터클이라고도 하는, 그와 짝을 이루는 소켓의 조합을 포함한다. 장치의 플러그와 짝을 이루는 소켓은 전기 고정구와 전원 배선 사이에 전기 연결을 설정하고, 표면이나 바닥, 일반적으로 벽, 천장 또는 마루바닥 표면에 고정구를 기계적으로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고정구" 또는 "전기 고정구"라는 용어는 조명 고정구, 천장 팬, 텔레비전 카메라, 보안 장치 또는 전기 배선에 의해 공급되는 전기로 작동되고 고정구를 지지하거나 매달기 위한 기계적 연결을 요하는 기타 장치와 같은 모든 고정구 또는 기기를 의미한다. 플러그는 전기 고정구에 견고하게 고정됨과 동시에, 소켓은 고정구가 장착될 표면(예를 들어, 벽, 천장 또는 바닥) 또는 전기 접속함에 고정된다. 일반적으로, 플러그 및 그와 짝을 이루는 소켓의 구조, 기능, 및 작동은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 특허 및 출원에서 이미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예를 들어 WO 2016/183354 A1 및 WO 2018/165058 A1(총칭하여 '스마트 신속 연결 공보물')으로 공개된 통합 참조를 참조하면, 전기 고정구를 설치하기 위한 신속 연결 장치(22)는 플러그(30)와 짝을 이루는 소켓(20)의 조합을 포함한다. 소켓(20), 플러그(30), 및 스핀들 어셈블리(24)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스마트 신속 연결 공보물 및 기타 통합 참고문헌에 제공된다. 스마트 신속 연결 공보물에서와 같이, 하나 이상의 센서 또는 기타 수신/입력 또는 전송/출력 전자 또는 전기 장치(48,50)(이하 '센서')는 플러그(30) 또는 소켓(20)과 관련될 수 있다. 소켓(20)은 인용된 참고문헌에 기재된 바와 같이 또한 미국 전기공사 규정에 명문화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공지되어 있다.
스마트 신속 연결 공보물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고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더 자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에는 전자 센서 및/또는 프로세서,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 및 기타 전자 회로가 제공되거나 부착될 수 있으며, 이는 '스마트' 장치로 간주될 수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의 장치는 조명 또는 선풍기와 같은 전력 소비 장치와 관련될 수 있고, '스마트' 전자 장치 또는 구성 요소, 또는 장치 자체의 작동과 관련이 없는 기타 전자 장치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플러그 및 소켓
예시적인 종래의 소켓(20)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소켓(20)은 본 발명에 따른 신속 연결 장치의 일부를 형성하는 소켓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속 연결 장치의 일부를 형성하는 플러그에 공통적인 기능을 갖는 종래의 플러그(30)를 도시한다. 대안적인 스핀들 어셈블리(24A)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소켓(20), 플러그(30), 및 대안적인 스핀들 어셈블리(24A)는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신속 연결 장치의 구조, 기능 및 작동의 일부를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기술된다.
특히, 전기 고정구를 설치하기 위한 종래의 신속 연결 장치(22)의 소켓(20)은 플러그(30)를 수용함으로써 소켓(20)과 플러그(30) 사이에 전기적 연결을 형성한다. 도 1에서, 소켓(20)은 브래킷(36), 또는 표준 전기 접속함 또는 건물의 다른 구조적 부재에 장착하도록 구성된 기타 구조물에 부착될 수 있다. 도 2 내지 5 및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핀들 어셈블리(24)는 플러그(30)를 소켓(20)에 기계적으로 해제 가능하게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수형 커넥터 링(32)은 플러그(30)의 공동(138) 내에 제공되고, 본체(26)가 비 도전성 재료로 성형되는 경우, 플러그(30)의 본체(26) 내에 일체로 성형됨으로써 지지될 수 있다. 링(32)은 그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기에 충분한 방사상 간격을 그들 사이에 갖는다. 수형 커넥터 링의 직경 및 간격은, 소켓(20) 내의 대응하는 암형 리세스(34)와 정렬 가능하고 수용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소켓(20) 내에서 짝을 이루어 결합하는 소켓 도체(38)와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참조로 포함된 특허 공보물에 자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이 정렬은 플러그(30)를 소켓(2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전기 고정구와 전기 공급 배선 사이의 전기 연결을 설정하고, 또 표면 또는 바닥, 일반적으로 벽, 천장 또는 마루바닥 표면에 고정구를 기계적으로 지지하는 데 사용된다.
링의 수는 필요한 전기 연결 수와 일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연결에는 회로 차단기로 보호되는 소스 또는 '핫' 도체, 리턴 또는 '중성' 도체, 안전 또는 '접지' 도체가 포함될 수 있다. 3방향 스위치 다리 또는 트래블러(traveler) 도체를 위한 추가 도체, 2상 연결을 위한 제2 '핫' 도체,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데이터용 신호 도체를 원하는 임의의 수만큼 추가할 수 있다.
도 3은 하나 이상의 볼(72)이 스핀들(24A)을 따라 일정 거리에서 축방향으로 이격된 다른 볼(72)에 대해 방사상으로 90도 배향된 대안적인 스핀들(24A)을 도시한다. 도 2 및 3의 두 실시형태에 공통적으로, 스프링(76)(도 3에 도시됨)은 배럴(70/70A) 내에서 슬라이딩하여 래치 핀(74)의 리세스(78)를 볼(72)로부터 멀리 위치시켜 배럴(70) 내의 구멍(114) 내부에 트랩되어 연장되는 볼(72)을 유지하는 래치 핀(74)을 편향시키고, 그에 의해 소켓(20)에 고정된 배럴(68) 내부에서 짝을 이루는 홈 또는 돌출부(66)(도 7)와 볼(72) 사이의 간섭으로 인해 소켓(20)의 배럴(68)로부터 배럴(70)이 인출(withdrawal)되는 것을 방지한다. 래치 핀(74)이 스프링(76)의 편향에 대해 축방향으로 밀리면, 래치 핀(74)이 이동되어 리세스(78)를 볼(72)과 정렬함으로써 볼(72)이 배럴(68)과의 간섭을 벗어나 이동할 수 있게 하여 배럴(70)을 배럴(68)로부터 인출할 수 있게 하고, 이에 의해 소켓(20)으로부터 플러그(30)를 분리하게 된다.
바닥용 소켓(20)을 사용하는 선택은 잠재적으로 위험한 고전압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전기 도체가 매립되어야 하고 사람이 접촉할 수 없어야 한다는 것을 반영한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나 저전압/저전력 신호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플러그와 소켓의 위치를 반대로 하거나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매립식 플러그 및 소켓
도 4 및 5를 참조하면, 소켓(20)은 페놀 수지와 같은 비 도전성 재료로 형성된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본체(112)를 포함한다. 동심의 링 형상인 암형 리세스 또는 슬롯(34)은 소켓(20)의 한 면에 형성되고 플러그(30)와 소켓(2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플러그(30)의 수형 커넥터 링(32)과 짝을 이루어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소켓(20)은 스핀들(24)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 구멍을 형성하는 소켓(20)에 고정된 부싱(116)을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부싱(116)은 용접, 리벳팅, 나사형 패스너, 또는 다른 부착 수단에 의해 세장형 장착 브래킷(36A)을 통과하여 확고하게 고정된다. 부싱(116) 및 브래킷(36A)은 대안적으로 주조, 기계가공 또는 기타 금속 가공 공정에 의해 금속과 같은 고강도 재료의 단일 피스로 형성된 단일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브래킷(36A)은, 예를 들어 전기 접속함(108) 내에 설치될 때, 전기 장치 통합 장치(20)가 매립식 조명과 같은 매립식 전기 고정구의 모양과 효과를 갖도록 선택된 길이를 갖는 일반적으로 연장 아암(120)이 있는 U자형이다. 오목하거나 숨겨져야 하는 전기 장치 부분의 길이에 따라 달라지지만, 아암(120)은 예를 들어 소켓 본체(112) 높이의 적어도 2배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브래킷(36A)에는 서로 멀리 연장되는 아암(120)의 각 단부에 위치된 외향 연장 장착 플랜지(124)가 제공되며, 각 플랜지(124)는 브래킷(36A)이 예를 들어 나사(110)에 의해 전기 접속함(108)에 부착될 수 있는 구멍(122)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장치(20)는 접속함(108)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브래킷(36A)의 길이(120) 및 U자형 구성으로 인해, 소켓(20)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접속함 내에서 매립될 수 있게 한다. 특정 길이(120)를 선택함으로써, 특정 스타일의 전기 접속함 내의 높이가 미리 결정될 수 있다.
통합된 참조 문헌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연장 아암(120)은 조정 가능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아암(120)에는 더 많거나 더 적은 정도로 중첩될 수 있는 2개의 상호 부착 가능한 길이가 제공된다. 두 개의 부착 가능한 길이는, 예를 들어 나사식 패스너로 서로 고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부착 가능한 길이는 복수의 이격된 구멍을 가질 수 있고, 다른 부착 가능한 길이는 패스너가 연장되어 이격된 구멍 중 선택된 하나를 통과하여 2개의 부착 가능한 길이를 포함하는 아암(120)의 길이를 결정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소켓 본체(112)에는 플러그(30) 상의 대응하는 면과 결합하도록 의도되고 소켓(20)으로의 플러그(30)의 진입을 제한하는 정지부(stop)로서 작용하는 환형 면(128)을 규정하는 원주방향 노치(126)가 제공될 수 있다. 플러그(30) 및 소켓(20)에는 각각 소켓(20)의 주변 및 플러그(30)의 짝을 이루는 주변에 복수의 치(teeth, 130)가 제공된다. 치(130)는 대안적으로 면(128) 및 플러그(30)의 짝을 이루는 면에 제공될 수 있다. 플러그(30)와 소켓(20)의 치(130)는, 서로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플러그(30)와 소켓(20)이 쌍을 이루어 서로 결합한다. 플러그(104)와 소켓(106)의 치(130)가 결합되기 전에, 플러그(104)와 소켓(106)은 서로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하므로, 소켓(20)과 플러그(30)와 관련된 전기 장치와의 사이의 원하는 방사상 정렬이 선택될 수 있다.
소켓 본체(112)는 연결 탭(132)을 가지며, 각각의 탭(132)은 예를 들어 나사 단자, 신속 릴리스 연결, 또는 기타 적절한 전기 연결에 의해 전기 공급 전선을 수용하고 고정하기 위한 전기 접점/커넥터(134)를 갖는다. 커넥터(134)의 정확한 크기는 예상되는 용도에 필요한 전기 배선의 최대 게이지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전선 단부를 커넥터(134) 중 하나에 삽입함으로써 전기 공급 전선의 벗겨진 단부가 소켓(20)에 연결된다. 각각의 탭(132)은, 참조로 포함된 특허 문헌에 상세히 개시된 바와 같이, 도체(38) 중 대응하는 것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탭(132)이 본체(112)의 측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일부 용도에서는 접속함이 천장에 설치될 때, 상부 또는 상부 표면에 대응하는 소켓 본체(112)의 후면으로 전기 공급 전선을 공급하는 것이 더 편리하거나 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전기 공급 전선은 소켓 본체(112)의 상부에 위치한 접근 개구를 통해 배치될 수 있으며, 여기서 소켓 도체(38)에 대한 전기 연결도 마찬가지로 설정된다.
도 5에서, 고정구(102)는 도 5에 블랭크 커버로 도시된 플러그(30)에 고정된다. 고정구(102)가 블랭크 커버인 경우, 소켓(20)을 덮는 이점을 제공하고 전기 고정구(102)가 필요하지 않거나 아직 선택되지 않은 경우 완성된 외관을 제공한다. 고정구(102)가 블랭크 커버인 경우, 커넥터 링(32)이 없을 수 있거나, 또는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비 도전성 재료일 수 있다. 고정구(102)의 해제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푸시 버튼(150)은 고정구(102) 내에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고, 래치 핀(74)과 접촉하거나 연결되어, 이에 의해 설명된 바와 같이, 핀(74)이 눌려져 스핀들(24)을 해제할 수 있다. 푸시 버튼(150)은 손가락이나 도구로 눌러 블랭크 커버(102)를 해제할 수 있다. 고정구(102)가 조명 또는 기타 전기 고정구일 때, 버튼(150)이 접근 가능하다면 유사한 방식으로 해제될 수 있다. 전기 고정구(102)가 푸시 버튼(150)의 영역을 덮는 경우, 로드 또는 기타 구조물이 래치 핀(74)에 연결될 수 있고, 고정구를 해제하기 위해 눌러질 수 있는 곳까지 고정구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고정구(102)는 다양한 방식 중 어느 하나로 플러그(30)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구(102)는 배럴(70)의 하부 섹션에 고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구(102)는 배럴(70)에 부착된 커버(152)를 포함하고, 고정구(102)는 커버(152)에 부착된다. 고정구(102)의 중량은 배럴(144), 리테이닝 볼(72), 및 소켓 배럴(68)을 통해 장착 스트랩(36A)으로 전달되고, 이는 차례로 전기 접속함(108)에 고정된다.
고정구(102)는 전통적인 매립식 조명 고정구에서 발견되는 트림의 외관을 생성하기 위해 림(154)이 제공될 수 있는 커버(152)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152)는 조명 고정구(102)로부터의 빛의 조명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한 플라스틱 또는 유리일 수 있다. 커버(152)는 원하는 조명 효과를 내기 위해 렌즈, 필터, 또는 기타 광학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 릴리스 플러그 및 소켓
특히, 도 6 및 7을 참조하면, 플러그(30A)는 채널(104)에서 릴리스 레버(148)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수용하는 본체(26)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본체(26)는 소켓(20) 상의 상보적 치(130)와 짝을 이루는 원주형 치(123)를 포함하여, 플러그(100)가 소켓(20)에 삽입될 때, 소켓(20) 및 플러그(100)의 특정 방사상 정렬을 설정하고 짝을 이루어 결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6에서, 레버(148)는 제1 위치에 있으며, 탄성 부재에 의해 압박되는 캠 팔로워(110)는 캠 팔로워(110)와 캠 표면(158) 사이의 접촉 영역을 증가시키기 위해 캠 표면(158)을 따라 이동한다. 이 위치에서, 래치 핀(74)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 낮은 위치에 있으며, 그 결과 래치 핀(74)은 리세스(78)를 볼(72)에 인접하게 위치시키지 않고, 볼(72)을 소켓 배럴(68)과 결합하도록 잠근다. 래치 핀(74)은, 이 실시형태에서, 스핀들(24) 내의 돌출부(118)와 팔로워(110) 사이에 위치된 핀 스프링(76)에 의해 제1 위치로 압박된다. 스프링(76)은 대안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복귀 스프링(106)인 별도의 탄성 부재는 레버(148)를 제1 위치로 더 편향시킨다.
도 7을 참조하면, 레버(148)는, 도 7의 예에서는 우측의 복귀 스프링(106)의 편향력에 대항하여 채널(104) 내에서, 잠금 해제/릴리스 위치를 나타내는 제2 위치로 밀려 있다. 레버(148)가 제2 위치를 향해 이동함에 따라, 캠 팔로워(110)는,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캠 팔로워(110)를 위로 밀어 레버(148)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핀 스프링(76)을 압축하는 캠 표면(158)에 대항하여 슬라이딩한다. 따라서, 래치 핀(74)은 위로 이동하여 볼(72)과 리세스(78)를 정렬하여 볼(72)이 배럴(68)과의 결합으로부터 벗어나 이동할 수 있게 하고, 이에 따라 플러그(30)는 소켓(20)과 기계적으로 결합 해제될 수 있다. 도 7에서, 팔로워(110)는 캠 표면(158)과의 결합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났다. 그러나 팔로워(110) 및 리세스(78)는 플러그(100) 및 소켓(20)을 잠금 해제 및 릴리스하기 위한 볼(72) 및 리세스(78)를 정렬하기 위해 팔로워(110)가 표면(158)과 부분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위치될 수 있다.
캠 팔로워(1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 핀(74)에 부착된 별도의 부품으로 형성되거나 래치 핀(74)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캠 팔로워(110)는 금속, 플라스틱, 합성 또는 합성 재료와 같은 충분히 내구성이 있고 견고한 재료, 또는 나무와 같은 천연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별도의 부품으로 부착된 경우, 팔로워는 억지 끼워맞춤 및/또는 접착제, 스레딩(threading), 브레이징(brazing), 납땜 또는 내구성 부착을 보장하는 기타 방법을 이용하여 부착될 수 있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레버(148)는 팔로워(110)의 운동 범위를 제한하고, 따라서 제1(잠금) 위치 또는 제2(잠금 해제/릴리스) 위치 사이의 래치 핀(74)의 위치를 제한한다.
레버(148)는 채널(104)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속되며, 레버(148) 내에 형성된 유지 슬롯(146)을 통과하는 유지 포스트(144)에 의해, 스프링(106) 또는 중력의 힘으로 인해, 채널(104) 밖으로 밀려나는 것이 방지된다. 레버(148)의 자유 단부에는 도 5의 실시형태에 제공된 것과 같은 릴리스 버튼(150)이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캠 표면(158) 및 팔로워(110)는 프로파일이 원추형이지만, 캠 표면(158) 및 팔로워(110) 표면은 원주 방향일 필요는 없지만, 평평하거나 V-형 또는 기타 형상일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레버(102)의 이동을 해제하는 방향을 따라서만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릴리스 레버(148), 채널(104), 캠 표면(158), 캠 팔로워(110), 및 관련 구조는 레버 릴리스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측면 릴리스 매립식 플러그 및 소켓
도 8 및 9를 참조하면, 레버(148A)가 도 6 및 7의 레버(148)와 유사하지만, 레버(148A)의 원위 단부(164)를 플러그 본체(26)로부터 일정 거리에 위치시키는 레버 연장부(162)를 포함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플러그(30A)는 소켓(30)으로부터 플러그(30A)를 해제하기 위해 레버(148A)의 작동을 가능하게 하면서 전기 접속함(108) 내에 매립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9의 우측을 참조하면, 플러그(30A)는 전기 고정구(300) 내에 장착된 바와 같이, 도식적으로 나타나 있다. 버튼(150)은 주변 플랜지(164) 상에서 볼 수 있다. 또한, 도 9의 좌측은 도 4 및 5에 도시된 소켓(30)의 실시형태이다. 전기 고정구(300)는 접속함(108) 내에 끼워지도록 크기가 조정된 본체 하우징(302)을 가지며, 여기서 플랜지(320)는 접속함(108)의 외부에 있고 그 위에 놓인다. 이러한 방식으로, 플러그(30A)는 소켓(30)에 정합될 수 있는 반면, 버튼(150)은 레버(148A)를 눌러 고정구(300)를 해제하도록 압박 가능하게 유지된다.
고정구(300)가 조명 고정구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접속함(108)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립될 수 있는 임의의 유형의 고정구가 플러그(30A)와 통합되거나 플러그(30A)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해야 한다.
측면 릴리스 매립식 스마트 플러그 및 소켓
본체(202)가 하우징 플러그(30A)에 필요한 것보다 더 많은 내부 공간을 제공한다는 것은 도 9의 플러그(30A)의 개략도로부터 명백하다. 도 10을 참조하면, 고정구(300)의 일 실시형태가 단면으로 제시되며, 여기서 추가 내부 공간의 일부는 전자 장치를 수용하는 데 사용된다.
도 10 및 11에서, 접속함(108)은 천장(200) 내부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고정구(300)가 매립식 조명 고정구인 경우, 고정구는 일반적으로 천장과 같은 높이 또는 거의 같은 높이로 설치되고 접속함(108)의 전면을 덮으므로, 접속함(108)의 어떤 부분도 보이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소켓(20)은 접속함(108)의 개구로부터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고정구 하우징(302)을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것은 또한 전기 배선에 대한 연결을 용이하게 하고, 전기 배선을 고정구 하우징(302)과의 간섭으로부터 멀리 및 그 밖에 위치시킨다. 원으로 표시된 영역(324)은 커버(312)로부터 일정 거리에 위치된 캠 팔로워(110) 및 캠 표면(158)의 위치를 나타낸다.
전기 고정구(300)는 광원, 이 실시형태에서 LED(322)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광원(322)이 전자 회로 기판(308) 상의 LED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임의의 적절한 발광 장치의 사용을 고려한다. 본 명세서에서 전자 회로 기판은 인쇄 회로 기판(PCB)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임의의 유형의 전자 기판이 본 발명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여러 회로 기판이 있는 경우, 적절한 전기 커넥터(표시되지 않음)에 의해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접속함으로부터의 전력은 예를 들어 링(32)의 방식으로 내장될 수 있는 전기 커넥터(134)와 전자 기판(308) 사이에 연결된 전선, 또는 그 사이에 통합된 도전성 경로에 의해 필요에 따라 플러그(30A)와 기판(308) 사이에 연결된다. 렌즈(314)는 LED(322)를 보호하고, 원하는 조명 효과를 낼 수 있는 광 필터링 기능, 광 집속 기능, 또는 다른 광 적응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렌즈 브래킷(316)은 렌즈(314)를 커버(312) 및/또는 하우징(302)에 고정할 수 있다. 보드(308)는 플러그(30/30A)에 고정되는 하우징(302) 또는 커버(312)에 고정될 수 있거나, 또는 플러그 본체(26) 또는 스핀들 어셈블리(24/24A)에 직접 고정될 수 있다.
도 10에는 3개의 회로 기판(308)이 도시되어 있지만, 임의의 수의 기판(308)이 제공될 수 있다. 가장 아래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 보드는 LED(322)를 지원하고 전원을 공급한다. 보드 중 어느 것이든 통합 참고문헌에 개시된 다양한 전자 장치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예로는 조명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는 장치 또는 장치용 지원 전자 장치; 무선 주파수, WiFi, 블루투스, 근거리 교환, 인덕턴스 충전, 셀룰러, 저전력 광역 네트워크(LPWAN), LTE, LTE-M, NarrowBand IoT(NB-IoT(사물 인터넷)), LoRa, Zigbee, Z-Wave 또는 기타 알려지거나 향후 개발되는 신호 전송: 온도, 습도, 연기, 움직임, 열 신호, 초음파, 소리, 스피커, 마이크, 프로판, 일산화탄소(CO) 또는 기타 가스용 센서; 보안 카메라(동작 감지 포함 또는 제외), 유리 파손, 유무선 침입 감지 루프(자체 모니터링 포함 또는 미포함), 압력 센서 또는 스트레인 게이지와 같은 보안 장치가 있다. 다른 유형의 전자 장치가 본 발명의 고정구에 포함될 수 있으므로, 이것은 반드시 제한된 목록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 10에서, 신호 송신기/수신기(310)는, 예시적인 예로서, 커버(312) 근처에 도시되어 있다. 배터리(324)(도 11)는, 전기 공급이 차단된 경우, 전력을 유지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배터리(324)를 위한 충전 시스템(도시되지 않음)은 배터리(324)가 재충전되도록 의도된 회로 기판(308) 상에 제공될 수 있다. 편의상, 전술한 장치는 모두 본 명세서에서 '센서'로 지정되며 일반적으로 참조 번호 48 또는 50으로 지정된다. 참조 번호 48로 지정된 센서는, 일반적으로 신호 또는 기타 방사(emission)를 전송하는 경우, 송신기를 지칭하고, 참조 번호 50으로 지정된 센서는 신호 또는 기타 방사를 수신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수신기를 지칭한다.
도 12 내지 14는, 고정구(300)를 위한 3개의 상이한 형상의 커버(312)를 도시하고, 각각 얕은 볼록형, 높은 볼록형 및 각진 형태를 포함한다. 덮개 부분만 볼 수 있기 때문에, 고정구(300)의 장식은 원하는 모양으로 용이하게 변경된다. 또한 릴리스 버튼(150)이 그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커버(312)가 더 큰 높이를 갖는 곳에 추가적인 내부 공간이 생성될 수 있음을 또한 알 수 있다. 커버(312)는 접속함(108)을 덮기에 충분한 폭을 가질 수 있거나 장식 스타일을 수용하거나 추가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더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도 1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랜지(320)와 커버(312)는 동일한 폭을 가지며, 3차원인 단일 플랜지/커버를 형성하도록 짝을 이루며, 레버 연장부(162)와 버튼(150)을 상호 지지한다.
따라서 커버(312)는 장치가 매립되는 천장의 표면 아래로 연장되도록 의도된 트림 부분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모든 구조는, 아암(120)의 정확한 길이와 하우징(302)의 상응하는 높이에 의해 달성되는 바와 같이, 천장 표면 위에 놓이도록 의도된 플랜지(320)를 제외하고(제공되는 경우), 천장 표면 위에 놓이도록 위치될 수 있다. 궁극적으로, 장소에 대한 장식이 선택될 때, 장식과 가장 잘 조화되는 커버(312)가 선택될 수 있다. 커버(312)는, 매립된 구성요소를 분리할 필요 없이, 장식과 더 잘 조화되도록 페인트, 직물 또는 인쇄물로 추가 처리될 수 있다. 선택된 커버(312)와 일치하는 버튼(150)이 선택될 수 있고, 버튼(150)은 접착제, 억지 끼워맞춤(interference fit), 나사산, 클립 또는 다른 패스너 유형과 같은 임의의 알려진 수단에 의해 레버 연장부(162)의 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5는 도 10 및 11의 고정구(300)와 유사한 고정구(330)의 횡단면 렌더링과 함께 도 12의 커버(312) 구성을 도시하고, LED(322)가 인입(incoming) 라인 전압에서 동작할 수 있기 때문에, 보드(308)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다르다. 접속함(108) 내에 추가 공간이 있거나 더 작은 접속함이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6은 고정구(330)와 유사한 고정구(340)를 도시하지만, 도 13의 커버 구성을 도시한다. 또한, 레버 연장부(162)에 의해 제공되는 푸시 버튼 해제 외에 중앙 푸시 버튼 해제가 제공된다. 그러나 고정구(340)가 렌즈 커버를 포함하지 않거나 다른 구성을 갖지 않는 한, 푸시 버튼 해제에 접근하기 위해 렌즈(314)를 제거해야 할 수도 있다. 도 17은 도 14의 커버 구성을 포함하는 고정구(340)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18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되고 설명된 것과 같은 복수의 실시형태를 활용하고 전기적으로 조정되는 매립식 조명 시스템(400)의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각 고정구(300)는 브래킷(36A)에 의해 접속함에서 지지되지만, 접속함(108)은 명료함을 위해 도시되지 않는다. 매립식 조명 시스템(400)은 제1 매립식 조명 고정구(300A), 제2 매립식 조명 고정구(300B), 및 제3 매립식 조명 고정구(300C)를 포함한다. 3개의 매립식 조명 고정구가 도시되어 있지만, 시스템(400)은 임의의 적절한 수의 고정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구(300A)는, 도 10 및 11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센서(48/50)를 갖는 소위 스마트 고정구일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3개의 조명 고정구가 조정되고, 그에 의해 고정구(300A)의 센서(48/50)가 원격 제어 또는 기타 제어 장치용 수신기, 및 3개의 고정구를 켜고 끄거나 흐리게 하거나 하나 이상의 색상을 변경하기 위한 관련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고정구(300A)만이 회로 기판(308) 또는 센서(48/50)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고정구(300B, 300C)는 또한 고정구(300A)와 비교하여 동일하거나 상이한 목적을 위해 이러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구(300A)는 라인 1에 연결된 전선 'L1' 또는 건물의 배선과 같은 전기 공급 장치의 핫 커넥터에 연결된다. 전선 'G'는 L1에 대해 접지에 연결되고, 전선 'W'는 L1과 관련된 중성선에 연결된다. 고정구(300B, 300C)는 L1에 연결되지 않지만, 대신에 고정구(300A)에 의해 제어되는 'L2'에 연결된다. 고정구는 고정구(300A)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고정구(300A, 300B)에 대한 원하는 조명 효과에 대응하는 신호를 L2에 방출한다. L2에 대한 신호는 고정구(300A)의 보드(308)에 장착된 전자 장치에 의해 변형된다. L2는 고정구(300A)로부터 고정구(300B, 300C)로 상이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복수의 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L2는 이더넷 또는 광섬유 연결을 나타내며, IP 기반 또는 직렬 데이터와 같은 다른 네트워크 트래픽을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L2는 PoE(Power over Ethernet)를 나타낸다. 추가 실시형태에서, L2는 별도의 전력 및 데이터 라인을 나타낸다.
도 19를 참조하면, 브래킷(36B)의 베이스(324)는 예로서 나사식 패스너, 리벳, 몰딩, 핀, 클립 또는 용접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플러그(20)에 고정된다. 연장 아암(120A)은 베이스(324)로부터 소켓 면(128)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베이스(324)는 접속함(108)의 대향 측면(326)의 내부 표면에 인접하여 연장 아암(120A)을 위치시키도록 선택된 폭을 갖는다. 또한, 연장 아암은 접속함(108)의 접속함 나사 탭(318)의 통과를 허용하는 크기의 채널(328)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브래킷(36B)은 접속함(108)의 내부로 가능한 최소로, 특히 연장 아암(120A)의 두께만큼 최소로 침입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324) 및 연장 아암(120A)은 채널(328)을 형성하도록 재료를 제거하기 위해 스탬핑되거나 절단되는 단일 플레이트로 형성된다. 채널(328)의 원위 단부에 슬릿이 형성되고, 그에 의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 아암(120A)의 원위 단부를 단순히 구부림으로써 탭(124A)이 형성될 수 있다. 추가 굽힘은 베이스(324)에 수직인 연장 아암을 배치하여 브래킷 탭(338)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탭 구멍(332)가 형성되고, 이에 의해 장착 나사는 탭 구멍(332)을 통과하여 접속함 나사 탭(318) 내로 들어갈 수 있다. 연장 아암(120A)은 최대 공간이 요구되는 접속함(108)의 바닥 표면에 대해 베이스(324)를 위치시키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연장 아암(120A)의 길이는 접속함(108)의 개구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에 플러그(20)를 위치시킬 수 있다. 연장 아암(120)(도 4 및 5)과 관련하여 설명되고,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 아암(120A)은 서로 다른 길이를 형성하도록 함께 고정될 수 있는 2개의 섹션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연장 아암(120A)은 현장에서 조정될 수 있다.
도 20에서, 도 19의 실시형태는 연장 아암 연장부(334)가 단축된 연장 아암(120B)에 부착되는, 2 부분 연장 아암(120A)을 갖는 것을 도식적으로 도시한다. 아암 연장부(334) 및 단축된 연장 아암(120B)은 나사형 패스너, 클립, 클램프, 또는 다른 연결을 포함하는 임의의 공지된 수단에 의해 상호 부착될 수 있다. 연장부(334) 또는 아암(120B)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패스너를 위한 다중 개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자주 사용되는 접속함(108) 크기에 대응하는 복수의 결합된 길이를 가능하게 한다. 도 21은 개방된 베이스를 갖는 접속함과 유사한 연장 링 스타일 전기 인클로저 내에서 도 19 또는 20의 실시형태의 전개를 예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선 및 커넥터를 위한 추가 공간이 있지만, 플러그(20)는 플러그(30)를 포함하는 고정구의 설치를 위한 정확한 높이에 있다.
도 23에서, 접속함(148)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는 접속함(108B)의 대향하는 내부 측면에 배치된 복수의 수직 정렬된 구멍(336)이 제공된다. 브래킷(36C) 연장 아암(120C)은 나사가 통과하여 구멍(148) 중 선택된 하나에 끼워질 수 있는 간극을 형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소켓(20)의 정확한 수직 정렬이 수행될 수 있다. 브래킷(36C)이 구멍(336)을 통해 고정될 때, 탭(338)은 도시된 바와 같이 없을 수 있거나, 추가 또는 대안적인 부착을 위해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슬롯형 연장 아암(120C)에 대한 대안으로서, 하나 이상의 구멍이 연장 아암(120 또는 120A)에 제공될 수 있다.
도 24에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소켓(20A)은 에디슨형 베이스에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조합된 장치(22A)는 기계적 및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표준적인 비변형 매립식 조명 고정구(미도시)에 나사 고정될 수 있다. 소켓 도체(38)는 에디슨 커넥터의 중성 및 핫 접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렇지 않으면, 소켓(20A)은 도 8의 소켓(20) 또는 릴리스 레버(148/148A)가 있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른 소켓과 동일하며, 이는 장치(22A)가 표준 매립식 고정구 내에 매립될 때 소켓(20A)의 해제를 용이하게 한다. 목부(neck)(344)는 장치(22A)의 원하는 전체 높이를 가능하게 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유사하게, 레버 연장부(162)의 높이는, 사용자에 의해 눌러질 수 있는 레버의 원위 단부를 위치시키기 위해, 특정 용도의 필요에 따라, 예를 들어 나사산에 의해 크기가 정해질 수 있거나 조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인용된 모든 참고 문헌은 그 전체 내용이 참고로서 명시적으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많은 상이한 특징이 있고, 이들 특징이 함께 또는 개별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위에서 반대로 언급하지 않는 한, 첨부된 모든 도면은 동일 축척이 아님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능들의 임의의 특정 조합 또는 본 발명의 특정 용도로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변형 및 변경이 일어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개시내용으로부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는 모든 적절한 변형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형태로서 포함되어야 한다.
20,20A: 소켓 22, 22A: 신속 연결 장치
24,24A: 스핀들 어셈블리 26: 플러그 본체
30,30A: 플러그 32: 플러그 커넥터 링
34: 소켓 리세스 36,36A,36B,36C: 브래킷
38: 소켓 도체 48: 센서/입력
50: 센서/출력 68: 소켓 배럴
70/70A: 플러그 배럴 72: 래치 볼
74: 래치 핀 76: 핀 스프링
78: 핀 리세스 102: 전기 고정구
104: 레버 채널 106: 복귀 스프링
108,108A: 접속함 110: 캠 팔로워
112: 소켓 본체 114: 구멍
116: 소켓 부싱 118: 스핀들 돌출부
120,120A,120B,120C: 연장 아암 122: 플랜지 구멍
123: 플러그 치 124,124A: 브래킷 플랜지
126: 소켓 노치 128: 소켓 면
130: 소켓 치 132: 연결 탭
134: 전기 커넥터 138: 플러그 공동
144: 유지 포스트 146: 유지 슬롯
148: 릴리스 레버 150: 해제 버튼
156: 래치 핀 단부 158: 캠 표면
160: 측면 릴리스 플러그 162: 레버 연장부
200: 천장 300,300A-C: 전기 고정구
302: 고정구 하우징 308: 전자회로기판
310: 신호 송신기/수신기 312: 고정구 커버
314: 렌즈 316: 렌즈 브래킷
318: 접속함 나사 탭 320: 고정구 플랜지
322: LED 324: 브래킷 베이스
326: 함 측면 328: 브래킷 채널
330: 대체 고정구 332: 탭 구멍
334: 아암 연장부 336: 접속함 구멍
338: 브래킷 탭 340: 대체 고정구
342 : 에디슨 베이스 344 : 연장 목부

Claims (20)

  1. 전기 접속함의 면이 표면과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가 되도록 위치된 상기 전기 접속함 또는 그 근처에 배치된 전원 공급 배선과 전기 고정구를 연결하고, 상기 전기 접속함 위에 상기 고정구를 장착하기 위한 장치로서,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내부 공동을 갖는 소켓 본체를 포함하는 소켓으로서, 상기 소켓은 상기 전기 접속함에 위치되고 상기 전기 접속함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치수가 정해진 소켓;
    상기 전원 공급 배선과 상기 소켓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공동 내에 위치된 전기 전도성 접촉 단자;
    상기 고정구에 고정되고 상기 소켓 내로 삽입될 수 있는 플러그로서, 상기 전기 고정구와 상기 전원 공급 배선 사이의 회로를 설정하기 위해, 상기 고정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소켓 내의 접촉 단자와 결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수형 커넥터를 갖는 플러그; 및
    상기 플러그를 상기 소켓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상기 플러그와 상기 소켓의 조합에 장착되는 해제 가능한 래치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와 상기 소켓은, 상기 고정구가 함몰 배치된 조명 하우징 내에 위치되지 않고, 상기 전기 접속함의 표면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측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LED PCB 광원인 것인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LED PCB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인 장치.
  4. 청구항 3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고정구가 위치하는 상기 접속함의 개방 단부의 최대 폭보다 넓은 크기의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인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본체는 투명하거나 반투명하고, 림(rim)은 불투명한 것인 장치.
  6.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조명 효과를 내기 위해 렌즈, 필터 또는 기타 광학 요소를 포함하는 것인 장치.
  7.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및 커버 모두가 평평한 프로파일을 가지는 것인 장치.
  8.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및 커버 중 적어도 하나는 돔형 프로파일을 가지는 것인 장치.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소켓은 상기 소켓을 상기 전기 접속함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소켓 본체에 부착된 장착 스트랩을 포함하는 것인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장착 스트랩은 일반적으로 2개의 다리가 있는 U자형인 것인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다리의 길이는 상기 소켓 본체의 높이의 적어도 2배인 것인 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다리의 길이는 상기 소켓 본체의 높이와 거의 동일한 것인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접속함은 수직으로 이격된 일련의 제1 홀 및 수직으로 이격된 일련의 제2 홀을 포함하고, 수직으로 이격된 상기 제1 및 제2 홀은 상기 전기 접속함의 대향 표면 상에 있는 것인 장치.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다리의 길이는 조정 가능한 것인 장치.
  15. 전기 접속함의 면이 표면과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에 있도록 위치한 상기 전기 접속함 또는 그 근처에 배치된 전원 공급 배선과 전기 고정구를 연결하기 위한 장치를 형성하기 위해 소켓과 결합하고, 그리고 상기 전기 접속함에 상기 고정구를 장착하기 위한 플러그로서,
    상기 고정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소켓 내의 접촉 단자와 결합할 수 있어 상기 전기 고정구와 전원 공급 배선 사이에 회로를 설정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수형 커넥터; 및
    지지체에 상기 고정구를 해제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해 상기 플러그와 상기 소켓의 조합에 장착되는 해제 가능한 래치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및 소켓은 상기 고정구가 매립식 조명 하우징 없이 표면에 대해 위치되도록 구성되고 치수가 정해진 것인 플러그.
  16. 장치로서, 개방된 면을 가지는 전기 접속함 내에 위치가능하고, 상기 접속함이 작업 면 아래에 함몰 배치되며, 상기 개방된 면은 작업 면에서 개방되고, 상기 장치는,
    상기 전기 접속함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 가능한 크기의 외부 주변부를 갖는 하우징;
    플러그로서,
    (a) 본체를 갖고,
    (b) 상기 본체가 상기 하우징의 삽입 가능한 외부 주변부의 원위 단부에 고정되고,
    (c) 상기 플러그의 삽입 면을 규정하기 위해 상기 본체 상에 위치되는 복수의 동심 링형 전기 커넥터를 갖고,
    (d) 중앙에 배치된 세장형 배럴은 종축을 규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채널을 가지며,
    (e) 상기 배럴 내에서 슬라이드 가능한 핀은 적어도 하나의 방사상 리세스를 갖고, 그리고
    (f) 적어도 하나의 볼이 상기 횡방향 채널 내에 배치되고 상기 핀에 의해 접촉 가능하고, 상기 핀이 방사상 리세스에 인접하거나 인접하지 않게 상기 볼을 교대로 위치시키도록 슬라이드 가능한 플러그; 및
    레버로서,
    (i) 상기 플러그 내에서 상기 배럴의 종축을 가로지르는 축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고,
    (ii) 상기 핀의 단부에 위치하고,
    (iii) 방사상 리세스를 상기 볼에 인접하게 그리고 상기 방사상 리세스가 상기 볼에 인접하지 않은 위치로 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핀을 교대로 밀고, 그에 의해 상기 횡방향 채널을 따라 상기 볼을 밀도록 상기 핀의 단부와 캠 표면을 접촉시킬 수 있고,
    (iv)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플러그 본체의 외측으로 일정 거리 연장하고, 상기 플러그의 삽입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플러그로부터 멀리 더 연장되도록 회전하고,
    (v) 레버는 상기 핀의 단부에 대해 상기 캠 표면을 구동하도록 밀 수 있고,
    (vi) 상기 레버가 상기 작업 면보다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이 접속함 내부로 삽입될 때, 밀 수 있는 레버;
    를 포함하는 것인 장치.
  17. 플러그 삽입 면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동심 링형 개구가 있는 내부 공동을 갖는 소켓 본체를 포함하는 전기 소켓으로서, 상기 개구는 상기 플러그의 링형 전기 접촉기와 쌍을 이루어 결합 가능하고, 각 개구는 상기 링형 전기 접촉기와 접촉가능한 전기 접촉기와 관련되고, 상기 소켓 본체는 플러그 삽입 면을 규정하는 전기 소켓; 및
    상기 소켓이 고정되는 세장형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반대쪽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플러그 삽입 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하는 2개의 연장 아암을 포함하는 브래킷으로서, 상기 연장 아암은 상기 접속함의 상기 개구 아래의 위치에 상기 소켓을 위치시키도록 상기 접속함과 연결가능하여 상기 장치의 플러그와 메이팅가능한 상기 브래킷;
    을 더 포함하는, 청구항 16에 따른 장치를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상기 접속함의 개방 면의 폭보다 더 큰 폭을 갖도록 크기가 정해진 플랜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장치.
  19. 청구항 16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전자 회로 기판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장치.
  20.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장치.
KR1020227033607A 2020-02-28 2021-03-01 매립식 스마트 신속 연결 장치 KR202201613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2983055P 2020-02-28 2020-02-28
US62/983,055 2020-02-28
PCT/US2021/020233 WO2021174187A1 (en) 2020-02-28 2021-03-01 Recessing smart quick connect devic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1324A true KR20220161324A (ko) 2022-12-06

Family

ID=77491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3607A KR20220161324A (ko) 2020-02-28 2021-03-01 매립식 스마트 신속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30204200A1 (ko)
EP (1) EP4111552A4 (ko)
KR (1) KR20220161324A (ko)
CN (1) CN115668663A (ko)
AU (1) AU2021226896A1 (ko)
BR (1) BR112022017091A2 (ko)
CA (1) CA3169781A1 (ko)
MX (1) MX2022010635A (ko)
WO (1) WO2021174187A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549756A1 (en) * 2006-06-09 2007-12-09 Canarm Ltd. Improved safety quick lock for mounting electrical fixtures
US7614769B2 (en) * 2007-11-23 2009-11-10 Sell Timothy L LED conversion system for recessed lighting
US8235549B2 (en) * 2009-12-09 2012-08-0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Solid state lighting assembly
US8854796B2 (en) * 2011-05-09 2014-10-07 Hubbell Incorporated Recessed lighting fixture and flexibly attached compact junction box
US8888326B2 (en) * 2013-03-14 2014-11-18 Hatch Transformers, Inc. Recessed LED lighting fixture
KR102574839B1 (ko) * 2015-05-12 2023-09-06 에스케이와이엑스 플랫폼 코포레이션 전기설비용 스마트 퀵 연결장치
JP7332476B2 (ja) * 2017-03-10 2023-08-23 スカイエックス プラットフォームズ コーポレーション 埋め込み式電気器具のためのクイック接続装置
MX2021010076A (es) * 2019-02-20 2021-11-17 Skyx Platforms Corp Dispositivo de conexion rapida con liberacion transvers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74187A1 (en) 2021-09-02
CN115668663A (zh) 2023-01-31
BR112022017091A2 (pt) 2023-02-14
AU2021226896A1 (en) 2022-10-20
MX2022010635A (es) 2022-11-30
CA3169781A1 (en) 2021-09-02
EP4111552A1 (en) 2023-01-04
US20230204200A1 (en) 2023-06-29
EP4111552A4 (en) 2024-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603690B (zh) 用于嵌入式电气设施的快速连接设备
US11025023B2 (en) Smart quick connect device for electrical fixtures
US11916333B2 (en) Quick connect device with transverse release
US11196216B2 (en) Disconnecting and supporting quick release electrical fixtures
CN108027120B (zh) 用于插入家具系统的三维支撑管结构的管中的负载模块
KR20220161324A (ko) 매립식 스마트 신속 연결 장치
KR20230141792A (ko) 와이어 커버를 구비한 신속 접속 장치
CA3206255A1 (en) Lighting quick disconnect devices
US20170365966A1 (en) Interchangeable Lamp Fixt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