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7874A -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전동 프레임 - Google Patents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전동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7874A
KR20180047874A KR1020160144681A KR20160144681A KR20180047874A KR 20180047874 A KR20180047874 A KR 20180047874A KR 1020160144681 A KR1020160144681 A KR 1020160144681A KR 20160144681 A KR20160144681 A KR 20160144681A KR 20180047874 A KR20180047874 A KR 201800478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lind
safety device
electric
recl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4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5731B1 (ko
Inventor
강민규
안중근
한창희
박진원
이찬용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4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5731B1/ko
Publication of KR20180047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7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5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5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4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0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tiltable around transverse horizontal axis, e.g. for Trendelenbur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divided into different adjustable sections, e.g. for Gatch posi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전동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리클라이닝 가능한 제 1 프레임(110); 상기 제 1 프레임 (110)과 연결되며, 상기 제 1 프레임 (110)을 리클라이닝 시키는 구동장치(121)가 위치하는 제 2 프레임(120); 및 상기 제 1 프레임(110)과 상기 제 2 프레임(120) 사이에 위치하는 안전장치(200)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장치(200)는 상기 제 1 프레임(110)이 리클라이닝되며 발생하는 상기 제 2 프레임(120)과의 이격 공간을 폐쇄하는 전동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전동 프레임{vibrate frame comprising the safety device}
리클라이닝이 가능한 전동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전동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종래의 전동 프레임을 설명한다.
종래의 전동 프레임은 일반적으로 제 1 프레임(110) 및 제 1 프레임(110)을 리클라이닝 시키는 구동장치(121)가 위치하는 제 2 프레임(120)을 포함한다.
제 1 프레임(110)이 제 2 프레임(120)의 구동장치(121)에 의해 리클라이닝 될 경우, 제 1 프레임(110)은 제 2 프레임(120)과 이격되며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공간에 인체 부위나, 애완동물 등이 끼이는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자바라 방식과 센서 방식이 개시되었고, 이를 포함하는 전동 프레임들이 개발되어 현재까지 사용되어왔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1-095872호는 마사지기의 안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적외선 센서를 설치하여, 적외선 센서에 물체가 감지되면 동작이 정지되도록 하여 사고를 방지하는 리클라이닝 시트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소정 범위 내의 물체를 감지하여 의자에 설치되는 프레임의 동작을 제어하는 경우, 실질적으로 사고의 위험이 없는 경우, 프레임의 가동 범위 내가 아닌, 센서 범위 내로 물체의 움직임 감지되는 경우에도, 장치의 동작이 정지하게 되며, 이는 결국 오작동의 범주 내에 있는 것으로서 불필요한 장치의 정지 및 재동작 과정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48257호는 의료용 욕창방지 침대에 관한 것으로, 굴절 매트의 다양한 형상변형에 대응하여 탄력적으로 신축될 수 있는 안전커버를 포함하는 의료용 욕창방지 침대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 안전커버는 자바라 방식이기 때문에, 사용자나 물건들이 일정 힘 이상으로 안전커버를 가압하게 되면 끼이게 되어 이에 대한 안전 사고가 여전히 발생했다.
JP 2001-095872 A KR 2012-0048257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센서 방식의 리클라이닝 프레임과 달리 별도의 센서를 설치하지 않아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전동 프레임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종래의 자바라 방식이 적용된 리클라이닝 프레임의 문제점을 개선한 전동 프레임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리클라이닝 가능한 제 1 프레임(110); 상기 제 1 프레임 (110)과 연결되며, 상기 제 1 프레임 (110)을 리클라이닝 시키는 구동장치(121)가 위치하는 제 2 프레임(120); 및 상기 제 1 프레임(110)과 상기 제 2 프레임(120) 사이에 위치하는 안전장치(200)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장치(200)는 상기 제 1 프레임(110)이 리클라이닝되며 발생하는 상기 제 2 프레임(120)과의 이격 공간을 폐쇄하는 전동 프레임 안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안전장치(200)는 메모리폼(300)이며, 상기 메모리폼(300)은, 상기 제 1 프레임(110)이 리클라이닝될 경우 팽창되어 상기 이격 공간을 폐쇄시키고, 상기 제 1 프레임(110)이 리클라이닝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 1 프레임(110)에 의해 압축되어 그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모리폼(300)은 후크(211)를 포함하며, 상기 후크(211)가 상기 제 2 프레임(12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전장치(200)는 블라인드(400)이며, 상기 블라인드(400)는, 상기 제 2 프레임(120)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 1 블라인드(410); 및 상기 제 2 프레임(120)의 상기 일측의 양측 말단에서 연장되는 프레임에 각각 위치하는 한 쌍의 제 2 블라인드(4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블라인드(410)는 체결부(415)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415)가 상기 제 1 프레임(110)의 일측에 체결되고, 상기 제 2 블라인드(420)는 체결부(425)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425)가 상기 제 1 프레임(110)의 상기 일측의 양측 말단에서 연장되는 프레임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블라인드(410)는 상기 제 1 프레임(110)의 리클라이닝에 따라 인출될 경우, 상기 제 1 블라인드(410)의 로드(412)가 상기 제 1 블라인드(410)의 권취축(411)과 평행하게 인출되며, 상기 제 2 블라인드(420)는 상기 제 1 프레임(110)의 리클라이닝에 따라 인출될 경우, 상기 제 2 블라인드(420)의 로드(422)의 일 말단만 상기 제 2 블라인드(420)의 권취축(421)에서 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블라인드(410)의 상기 권취축(411)과 상기 제 1 블라인드(410)의 로드가 인출되며 형성된 제 1 블라인드 막(419)은 사각형상이며, 상기 제 2 블라인드(420)의 상기 권취축(421)과 상기 제 2 블라인드(420)의 로드가 인출되며 형성된 제 2 블라인드 막(429)은 부채꼴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블라인드 막(419)과 상기 제 2 블라인드 막(429)의 사이 각각에는 고무패킹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 프레임에 의해 전동 프레임을 사용하는 리클라이닝 침대 또는 쇼파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동 프레임의 측면과 후면에 발생할 수 있는 이격 공간을 폐쇄하여 사용자의 신체부위가 끼일 수 있는 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는 교체 가능하여, 안전장치의 수명 또는 파손으로 인한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도 간단히 교체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전동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에 따른 전동 프레임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동 프레임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동 프레임의 A-A'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정장치인 메모리폼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동 프레임의 제 2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동 프레임의 제 1 블라인드의 작동 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동 프레임의 제 2 블라인드의 작동 예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동 프레임을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을 이루는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사용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형태 및 구성요소의 개수에 있어서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동 프레임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동 프레임을 설명한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동 프레임은 안전장치(200)가 메모리폼(300)인 경우이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동 프레임은 제 1 프레임(110), 제 2 프레임(120) 및 안전장치(200)를 포함한다.
제 1 프레임(110)은 제 2 프레임(120)과 연결되며, 제 2 프레임(120)의 구동장치(121)에 의해 리클라이닝 된다.
제 2 프레임(120)은 제 1 프레임(110)을 리클라이닝 시키며, 제 2 프레임(120)에 구동장치(121)가 위치한다.
안전장치(200)는 제 1 프레임(110)과 제 2 프레임(120) 사이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안전장치(200)는 제 1 프레임(110)이 리클라이닝될 때 발생하는 제 2 프레임(120)과의 이격 공간을 폐쇄한다.
메모리폼(300)은 제 1 프레임(110)이 리클라이닝될 경우 팽창되어 제 1 프레임(110)과 제 2 프레임(120)과의 이격 공간을 폐쇄시키고, 제 1 프레임(110)이 리클라이닝되지 않을 경우 제 1 프레임(110)에 의해 메모리폼(300)이 압축되어 제 1 프레임(110)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 1 프레임(110)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때 제 1 프레임(110)의 하부에 의해 메모리폼(300)이 압축된다.
또한, 메모리폼(300)은 구동장치 관통 홀(310) 및 후크(320)를 포함한다.
구동장치 삽입 홀(310)은 제 2 프레임(120)에 위치하는 구동장치(121)가 삽입되는 구멍이다. 구동장치 삽입 홀(310)로 인해, 제 1 프레임(110)과 제 2 프레임(120)의 사이에 메모리폼(300)이 위치해도 구동장치(212)가 제 1 프레임(110)의 리클라이닝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후크(320)는 메모리폼(300)을 제 2 프레임(12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후크(320)로 인해, 안전장치인 메모리폼(300)의 수명이 다해 교체해야 할 경우 또는 파손으로 인해 교체해야할 경우 간단히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메모리폼(300)에 포함되어있는 후크(320)가 제 2 프레임(120)에 결합됨으로써 메모리폼(300)이 제 2 프레임(120) 내에서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동 프레임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동 프레임을 설명한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동 프레임은 포함되는 안전장치(200)가 블라인드(400)인 경우이다.
제 1 실시예와의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블라인드(400)는 제 1 블라인드(410) 및 제 2 블라인드(420)를 포함한다.
제 1 블라인드(410)는 제 2 프레임(120)의 일측에 설치되며, 권취축(411), 로드(412), 체결부(415) 및 제 1 블라인드 막(419)을 포함한다.
권취축(411)은 제 1 블라인드(410)의 제 1 블라인드 막(419)이 인출될 때 회전하는 축이다.
로드(412)는 제 1 블라인드(410)의 인출된 말단에 위치하는 봉이다.
체결부(415)는 로드(412)에 위치하며, 체결부(315)가 제 1 프레임(110)의 일측에 체결됨으로써 제 1 블라인드(410)가 제 1 프레임(110)의 리클라이닝에 따라 작동된다.
구체적으로, 제 1 블라인드(410)는 제 1 프레임(110)의 리클라이닝에 따라 인출될 경우, 로드(412)가 상기 제 1 블라인드(410)의 권취축(411)과 평행하게 인출된다.
제 1 블라인드(410)의 권취축(411)과 제 1 블라인드의 로드(412)가 인출되며 형성된 제 1 블라인드 막(419)는 사각형상이다.
제 2 블라인드(420)는 제 2 프레임(120)의 상기 일측의 양측 말단에서 연장되는 프레임에 각각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즉, 제 2 블라인드(420)는 제 2 프레임(120)의 상기 일측의 양측 말단에 한 쌍으로 위치된다.
또한, 제 2 블라인드(420)는 권취축(421), 로드(422), 체결부(425) 및 제 1 블라인드 막(419)을 포함한다.
제 1 블라인드(410)와 마찬가지로, 제 2 블라인드(420)의 로드(422)에 위치하는 체결부(425)가 제 1 프레임(110)의 상기 일측의 양측 말단에서 연장되는 프레임에 체결됨으로써 제 2 블라인드(420)가 제 1 프레임(110)의 리클라이닝에 따라 작동된다.
제 1 블라인드(410)와 달리, 제 2 블라인드(420)가 제 1 프레임(110)의 리클라이닝에 따라 인출될 경우, 제 2 블라인드(420)의 로드(422)의 일 말단만 상기 제 2 블라인드(420)의 권취축(421)에서 인출된다.
제 2 블라인드(420)의 권취축(421)과 제 2 블라인드의 로드(422)가 인출되며 형성된 제 2 블라인드 막(429)은 부채꼴형상이다.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동 프레임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동 프레임은,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 모두를 포함하는 전동 프레임이다.
즉, 제 1 프레임(110)과 제 2 프레임(120) 사이에 위치하는 안전장치(200)가 메모리폼(300) 및 블라인드(400) 둘 다인 경우이다.
이 경우, 메모리폼(300)가 설치되고, 메모리폼(300)의 외측으로 제 1 블라인드(410) 및 제 2 블라인드(420)가 설치될 수 있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전동 프레임
110: 제 1 프레임
120: 제 2 프레임
121: 구동장치
200: 안전장치
300: 메모리폼
310: 구동장치 홈
320: 후크
400: 블라인드
410: 제 1 블라인드
411: 권취축
412: 로드
415: 체결부
419: 제 1 블라인드 막
420: 제 2 블라인드
421: 권취축
422: 로드
425: 체결부
429: 제 2 블라인드 막

Claims (8)

  1. 리클라이닝 가능한 제 1 프레임(110);
    상기 제 1 프레임 (110)과 연결되며, 상기 제 1 프레임 (110)을 리클라이닝 시키는 구동장치(121)가 위치하는 제 2 프레임(120); 및
    상기 제 1 프레임(110)과 상기 제 2 프레임(120) 사이에 위치하는 안전장치(200)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장치(200)는 상기 제 1 프레임(110)이 리클라이닝되며 발생하는 상기 제 2 프레임(120)과의 이격 공간을 폐쇄하는,
    전동 프레임 안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장치(200)는 메모리폼(300)이며,
    상기 메모리폼(300)은,
    상기 제 1 프레임(110)이 리클라이닝될 경우 팽창되어 상기 이격 공간을 폐쇄시키고,
    상기 제 1 프레임(110)이 리클라이닝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 1 프레임(110)에 의해 압축되어 그 하부에 위치하는,
    전동 프레임 안전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폼(300)은 후크(211)를 포함하며, 상기 후크(211)가 상기 제 2 프레임(120)에 결합되는,
    전동 프레임 안전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장치(200)는 블라인드(400)이며,
    상기 블라인드(400)는,
    상기 제 2 프레임(120)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 1 블라인드(410); 및
    상기 제 2 프레임(120)의 상기 일측의 양측 말단에서 연장되는 프레임에 각각 위치하는 한 쌍의 제 2 블라인드(420)를 포함하는,
    전동 프레임 안전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블라인드(410)는 체결부(415)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415)가 상기 제 1 프레임(110)의 일측에 체결되고,
    상기 제 2 블라인드(420)는 체결부(425)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425)가 상기 제 1 프레임(110)의 상기 일측의 양측 말단에서 연장되는 프레임에 체결되는,
    전동 프레임 안전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블라인드(410)는 상기 제 1 프레임(110)의 리클라이닝에 따라 인출될 경우, 상기 제 1 블라인드(410)의 로드(412)가 상기 제 1 블라인드(410)의 권취축(411)과 평행하게 인출되며,
    상기 제 2 블라인드(420)는 상기 제 1 프레임(110)의 리클라이닝에 따라 인출될 경우, 상기 제 2 블라인드(420)의 로드(422)의 일 말단만 상기 제 2 블라인드(420)의 권취축(421)에서 인출되는,
    전동 프레임 안전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블라인드(410)의 상기 권취축(411)과 상기 제 1 블라인드(410)의 로드가 인출되며 형성된 제 1 블라인드 막(419)은 사각형상이며,
    상기 제 2 블라인드(420)의 상기 권취축(421)과 상기 제 2 블라인드(420)의 로드가 인출되며 형성된 제 2 블라인드 막(429)은 부채꼴형상인,
    전동 프레임 안전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블라인드 막(419)과 상기 제 2 블라인드 막(429)의 사이 각각에는 고무패킹이 위치하는,
    전동 프레임 안전장치.
KR1020160144681A 2016-11-01 2016-11-01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전동 프레임 KR102615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681A KR102615731B1 (ko) 2016-11-01 2016-11-01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전동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681A KR102615731B1 (ko) 2016-11-01 2016-11-01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전동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874A true KR20180047874A (ko) 2018-05-10
KR102615731B1 KR102615731B1 (ko) 2023-12-18

Family

ID=62184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4681A KR102615731B1 (ko) 2016-11-01 2016-11-01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전동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573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8960U (ja) * 1992-11-02 1994-05-24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床部起伏機構を備えたベッドにおける身体挟み込み防止機構
JP2001095872A (ja) 1999-09-28 2001-04-10 Fuji Iryoki:Kk マッサージ機の安全装置
KR200247621Y1 (ko) * 2001-06-21 2001-10-31 김용배 가변식 침대의 비노출커버구조
KR20120048257A (ko) 2010-11-05 2012-05-1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욕창방지 침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8960U (ja) * 1992-11-02 1994-05-24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床部起伏機構を備えたベッドにおける身体挟み込み防止機構
JP2001095872A (ja) 1999-09-28 2001-04-10 Fuji Iryoki:Kk マッサージ機の安全装置
KR200247621Y1 (ko) * 2001-06-21 2001-10-31 김용배 가변식 침대의 비노출커버구조
KR20120048257A (ko) 2010-11-05 2012-05-1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욕창방지 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5731B1 (ko) 202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89928B2 (en) Mattress with adjustable firmness
US11679048B2 (en) Patient support apparatus and method
JP2019523072A5 (ko)
KR20140071447A (ko) 건축물 개구부 덮개의 컨트롤
US8794296B2 (en) Window blind without using a lift cord
KR20180047874A (ko)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전동 프레임
JP2016013315A (ja) エアマットレス
US10498192B2 (en) Actuator
KR101988061B1 (ko) 차량용 도어 커튼 어셈블리
GB2512415A (en) Safety Rope Assembly for Roman Shade
JP4231015B2 (ja) 電気掃除機
JP6383644B2 (ja) 開閉体の操作装置
JP5484873B2 (ja) 張地の角部あるいは端部の固定構造
US11432979B2 (en) Smart sling device using pneumatically driven growth mechanism
KR102085423B1 (ko) 의자 등받이 각도 고정장치
KR102287887B1 (ko) 그물에서 물고기를 분리하는 장치
CN115281485B (zh) 智能床用设备
JP4611070B2 (ja) 身体支持装置
KR101173430B1 (ko) 자동 높이조절 기능을 갖는 공기압식 베개
WO2016138082A1 (en) Mattress with adjustable firmness
GB2581781A (en) Infant sleep aid system
KR102650112B1 (ko) 프레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JP5882112B2 (ja) 車両用シート
KR101567609B1 (ko) 졸음 방지를 위한 차량용 버클 장치
KR101938676B1 (ko) 당김줄 수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