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5423B1 - 의자 등받이 각도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의자 등받이 각도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5423B1
KR102085423B1 KR1020180055806A KR20180055806A KR102085423B1 KR 102085423 B1 KR102085423 B1 KR 102085423B1 KR 1020180055806 A KR1020180055806 A KR 1020180055806A KR 20180055806 A KR20180055806 A KR 20180055806A KR 102085423 B1 KR102085423 B1 KR 102085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wer transmission
string
transmission unit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5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1215A (ko
Inventor
유지환
이성준
가포노프 이고르
Original Assignee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55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5423B1/ko
Publication of KR20190131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1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5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5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47C1/024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by electric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47C1/0248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by chains, ropes or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7/00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7/02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radial load on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7/00Chairs and seats
    • Y10S297/07Rocker/recliner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 등받이 각도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리클라이너(200)의 회전축에는 연결바(310) 및 상기 연결바(310)의 일단이 끼워지는 작동레버(320)로 구성되는 리클라이너 작동 부재(310)가 설치된다. 시트 프레임(110)의 일측에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400)가 설치된다. 상기 작동레버(310)의 타단에는 동력전달부(500)의 일측이 연결된다. 상기 동력전달부(500)의 타측은 상기 구동부(400)에 연결된다. 상기 동력전달부(500)는 상기 구동부(400)의 회전 방향에 따라 길이가 신축하면서 상기 작동레버(310)를 작동시킨다. 상기 구동부(400)에는 제어부가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400)를 제어하여 상기 동력전달부(500)를 구동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편리하게 자동으로 시트백 프레임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종래에 비해 간단한 구조로 제어 가능하므로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것과 동시에 비용절감이 있으며, 높은 구동력을 가지면서도 부피 및 중량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의자 등받이 각도 고정장치{Apparatus to lock angle for the back of a chair}
본 발명은 의자 등받이 각도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꼬거나 풀어져 길이가 가변되는 스트링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록킹 어셈블리가 고정되거나 해제 가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의자 등받이 각도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실내에는 탑승자가 편안한 자세로 앉을 수 있도록 의자가 설치되는데, 상기 의자는 탑승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각각 편안한 상태를 갖기 위해 등받이 각도를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의자는, 탑승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시트부와 시트부 후방에서 상부로 수직되게 설치되어 탑승자의 등부위를 지지하는 시트백부로 구성되고, 시트부와 시트백부의 접부 측면에 시트백부가 회동되게 하는 리클라이닝 장치가 장착된다.
이러한 리클라이닝 장치의 예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369682호(이하 '선행기술'이라 칭함)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시트백 프레임과, 시트쿠션 프레임을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시트용 리클라이너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의 일측에 지지되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에 고정되는 고정축과, 일 영역에 외치차가 형성된 제1치차부를 가지며 상기 시트백 프레임을 지지하며 상기 고정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리클라이너와, 일 영역에 상기 리클라이너의 제1치차부와 맞물리는 외치차가 형성된 제2치차부를 가지며 상기 브래킷에 고정되는 보조리클라이너와, 상기 보조리클라이너에 대해 상기 리클라이너를 상대 회동시키며 상기 각 치차부를 맞물림 및 맞물림 해제하여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한다.
또한, 각도조절부는 보조리클라이너에 형성된 가이드홈과 가이드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를 가지며 고정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리클라이너를 회동시키는 작동레버를 포함한다.
그러나 시트백 프레임을 회동시키기 위한 작동레버는 시트쿠션 프레임의 저부측에 설치될 수 밖에 없어 탑승자가 시트백 프레임을 고정된 상태에서 회동시키려면 의자의 측부 아래로 몸을 숙여 작동레버를 당겨야 하기 때문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탑승자가 거의 누워 있는 상태에서 손을 뻗어 작동레버를 파지하는 경우 상부측으로 작동레버를 당겨야 하기 때문에 힘이 많이 드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편리하게 작동레버를 작동시켜 등받이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의자 등받이 각도 고정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작동레버를 자동으로 작동시켜 편리하게 등받이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의자 등받이 각도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 각도 고정장치에 따르면, 리클라이너의 회전축을 매개로 시트 프레임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결합된 시트백 프레임의 경사 각도를 고정하는 의자 등받이 각도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클라이너의 회전축에 연장설치되는 연결바 및 상기 연결바에 일단이 끼워지는 작동레버로 구성되는 리클라이너 작동 부재; 상기 시트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고,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일측이 상기 작동레버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회전 방향에 따라 길이가 신축하면서 상기 작동레버를 작동시키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동력전달부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길이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끈으로 이루어져 양단부가 각각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작동레버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부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꼬여 길이가 수축되면서 상기 작동레버를 회전시키는 스트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스트링의 외측에 상기 스트링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스트링의 길이가 변하는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 부재는 복수 개의 주름이 형성되어 탄성력을 가지는 주름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 부재는 복원력을 가지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시트 프레임 일측에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모터, 상기 스트링의 일단이 일측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트링은, 상기 모터의 토크 및 상기 작동레버희 회전 각도에 따라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모터와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재는 스러스트 베어링(thrust bearing)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력전달부에는 텐션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텐션센서로부터 검출된 회전각 변위값 또는 직선 변위값을 전달받아 기설정값과 비교하여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각 변위값 또는 직선 변위값이 기설정값보다 큰 경우 상기 구동부를 정지시키거나 상기 동력전달부가 원상태로 복원되는 방향으로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 각도 고정장치에 따르면, 구동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꼬거나 풀어져 길이가 가변되는 스트링을 이용하여 스트링과 연결된 리클라이너 작동 부재를 작동 또는 고정시켜 시트백 프레임의 각도를 조절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자동으로 시트백 프레임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종래에 비해 간단한 구조로 제어 가능하므로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것과 동시에 비용절감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 각도 고정장치에 따르면, 소형 모터 및 복수 개의 연결끈을 이용하여 리클라이너 작동 부재를 해제 또는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높은 구동력을 가지면서도 부피 및 중량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 각도 고정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 각도 고정장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 각도 고정장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 각도 고정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 각도 고정장치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 등받이 각도 고정장치(100)는, 리클라이너(200)의 회전축(미도시)을 매개로 시트 프레임(110)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결합된 시트백 프레임(120)의 경사 각도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시트 프레임(110), 시트백 프레임(120) 및 리클라이너(200)는 각도 조절 가능한 의자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구성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에는 리클라이너 작동 부재(300)가 결합된다. 상기 리클라이너 작동 부재(300)는 상기 리클라이너(200)의 회전축에 연장설치되는 연결바(310) 및 상기 연결바(310)에 일단이 끼워지는 작동레버(320)로 구성된다.
상기 작동레버(410)의 일단은 상기 연결바(310)가 관통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바(31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작동레버(410)는 아래에서 설명될 동력전달부(500)의 구동에 따라 회전된다.
상기 작동레버(320)는 상기 리클라이너(200)를 회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작동레버(32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연결바(310)와 연결된 상기 리클라이너(200)가 회동되면서 상기 시트백 프레임(120)의 회동 각도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작동레버(320)의 회전 각도 및 길이는 아래에서 설명될 모터(420)의 토크 및 스트링(510)의 길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 프레임(110)의 일측에는 구동부(400)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부(400)는 아래에서 설명될 동력전달부(20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동부(400)는 하우징 브래킷(410)에 의해 상기 시트 프레임(110)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브래킷(410)은 상기 구동부(400)의 외면 일부를 감싼 상태로 볼트(미도시) 등에 의해 상기 시트 프레임(110)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부(400)은 시트 프레임(110)의 외측에 설치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구동부(440)는 시트 프레임(110)의 내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400)에는 모터(420)가 구비된다. 상기 모터(420)는 아래에서 설명될 동력전달부(50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모터(420)에는 회전축(미도시)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은 아래에서설명될 연결부재(430)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모터(420)의 최대 토크값은 아래에서 설명될 스트링(510)의 길이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모터(420)의 회전에 의해 원상태의 스트링(510)이 꼬이기 시작한 후 최대로 꼬여 더 이상 길이가 수축되지 못할 때 까지만 구동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모터(420)는 소형 DC 모터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420)에는 연결부재(430)가 설치된다. 상기 연결부재(430)는 상기 모터(420)의 회전축과 결합된다. 상기 연결부재(430)는 아래에서 설명될 스트링(510)의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430)는 연결고리(4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고리(432)는 스트링(510)의 일단이 묶여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연결부재(430)에는 연결공(433)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연결공(433)의 직경은 스트링(51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스트링(510)의 일단이 원활하게 삽입되도록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420)와 연결부재(430) 사이에는 지지부재(44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440)는 상기 모터(420)의 회전축 길이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재(440)는 스러스트 베어링(thrust bearing)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재(440)는 스러스트 베어링이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예를 들어, 저널 베어링 또는 앵귤러 베어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앵귤러 베어링은 경방향과 축방향 하중을 받을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420)에는 보호커버(46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보호커버(460)는 상기 연결부재(430), 지지부재(440) 및 스트링(510)의 일부를 감싼 상태로 상기 모터(420)에 결합된다. 상기 보호커버(460)는 내부의 부품이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자 등받이 각도 고정장치(100)에는 동력전달부(500)가 구비된다. 상기 동력전달부(500)는 상기 작동레버(320)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동력전달부(500)에는 스트링(51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트링(510)은 길이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끈으로 이루어져 양단부가 각각 상기 작동레버(320) 및 연결부재(430)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트링(5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연결끈으로 이루어져 서로 꼬여 길이가 수축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트링(5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420)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서로 꼬여 길이가 수축되면서 상기 작동레버(32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작동레버(320)가 회전되면서 상기 리클라이너(200)가 작동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트링(510)은 원사 또는 직조 직물 또는 합사된 꼬임-스펀(spun) 원사를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된 연결끈으로 이루어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트링(510)은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탄소나노튜브(CNTs)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스트링(510)은 구동부(40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꼬이거나 풀어져 길이가 가변됨으로써 상기 스트링(510)과 연결된 작동레버(3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높은 구동력을 가지면서도 부피 및 중량을 최소화할 수 있고, 간단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므로 오작동 가능성이 줄어들 수 있다.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트링(510)의 외측에는 상기 스트링(510)을 감싸도록 가이드 부재(520)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 부재(520)는 상기 스트링(510)의 길이가 변하는 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부재(520)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주름이 형성되는 주름관이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부재(520)는 복원력을 가지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부재(520)는 상기 모터(420)의 반대방향 회전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모터(420)의 구동이 정지되면, 즉, 상기 모터(420)에 인가된 전원이 꺼지게 되면, 모터(420)의 회전축이 회전에 대하여 구속된 상태에서 자유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모터(420)가 정지된 상태에서 작동레버(320)를 당겨 원위치로 작동시키게 되면, 모터(420)의 회전축이 자유회전하면서 꼬여 있던 스트링(510)이 풀리고, 이로써 스트링(510)의 길이가 증가하여 시트백 프레임(120)이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스트링(510)의 길이가 기 설정된 값에 도달하면, 모터(420)는 구동을 멈출 수 있다. 여기서, 모터(420)의 회전축의 회전이 구속되면 상기 작동레버(320)가 고정되고, 모터(420)의 회전축이 자유 상태가 되면 스트링(510)이 풀어지면서 스트링(510)이 풀어지면서 작동레버(32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스트링(510)은 모터(420)의 토크 및 작동레버(320)의 회전 각도에 따라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좌석용 위치 조절장치(100)에는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400)와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는 아래에서 설명될 조작부로부터 입력된 설정값을 저장하고, 상기 구동부(400)를 제어하여 상기 동력전달부(500)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어부는 아래에서 설명될 텐션센서(600)로부터 감지된 회전각 변위값 또는 직선 변위값을 전달받아 기설정값과 비교하여 상기 모터(4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각 변위값 또는 직선 변위값이 기설정값보다 큰 경우 상기 모터(420)의 구동을 정지시키거나 상기 동력전달부(500)가 원상태로 복원되는 방향으로 구동시킨다.
한편, 상기 의자 등받이 각도 고정장치(100)에는 조작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시트 프레임(110)의 일측 또는 차량 내부 일정 위치등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온/오프 스위치는 상기 구동부(400)의 동작을 임의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의자 등받이 각도 고정장치(100)에는 텐션센서(6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텐션센서(600)는 상기 보호커버(460) 내에 설치되어 상기 스트링(510)의 회전각 변위 또는 직선 변위를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텐션센서(600)로부터 검출된 회전각 변위값 또는 직선 변위값은 상기 제어부로 전송된다.
한편, 상기 의자 등받이 각도 고정장치(100)에는 탄성식 압력 센서(mechanical-type pressure sensor)(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식 압력 센서는 상기 스트링(510)의 탄성률을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탄성식 압력 센서로부터 탄성률 값을 전달받아 기설정값과 비교하여 상기 모터(420)를 제어한다. 이는 스트링(510)이 끊어지거나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 각도 고정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의자 등받이 각도 고정장치(100)가 작동 전 상태에서는 작동레버(320)가 작동되지 않은 상태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트링(510)이 꼬이기 전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의자에 안착한 후, 상기 조작부를 조작하여 상기 구동부(400)를 구동시킨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모터(420)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모터(420)의 구동에 따라 도 상기 스트링(510)이 꼬이기 시작한다. 이와 같이 되면, 도 4에 도시된 화살표 A 방향으로 상기 스트링(510)의 길이가 수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작동레버(320)는 상기 연결바(310)를 중심으로 상기 구동부(400)를 향해 회전하게 되고, 상기 작동레버(320)와 연결된 리클라이너(200)가 작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시트백 프레임(120)를 밀게 되면, 상기 시트백 프레임(120)의 각도가 조절된다.
상기 시트백 프레임(120)이 원하는 각도로 조절되면, 상기 조작부를 조작하여 상기 구동부(400)를 다시 구동시킨다.
이때, 상기 모터(420)는 역회전, 즉, 상기 스트링(510)이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스트링(510)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작동레버(320)도 원위치로 복원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리클라이너(200)의 작동도 멈춰 상기 시트백 프레임(120)의 각도가 조절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의자 등받이 각도 고정장치(100)에 의하면, 상기 구동부(40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꼬거나 풀어져 길이가 가변되는 상기 스트링(510)을 이용하여 상기 스트링(510)과 연결된 작동레버(320)를 작동 또는 고정시켜 상기 시트백 프레임(120)의 각도를 조절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시트백 프레임(120)의 각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종래에 비해 간단한 구조로 제어 가능하므로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것과 동시에 비용절감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400)는 소형 모터(420) 및 무게가 가벼운 복수 개의 연결 끈으로 이루어진 스트링(510)으로 구성되므로, 높은 구동력을 가지면서도 부피 및 중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의자 등받이 각도 고정장치 110: 시트 프레임
120: 시트백 프레임 200: 리클라이너
300: 리클라이너 록킹 부재 310: 연결바
320: 작동레버 400: 구동부
410: 하우징 브래킷 420: 모터
430: 연결부재 432: 연결고리
433: 연결공 440: 지지부재
460: 보호커버 500: 동력전달부
510: 스트링 520: 가이드 부재
600: 텐션센서

Claims (11)

  1. 리클라이너의 회전축을 매개로 시트 프레임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결합된 시트백 프레임의 경사 각도를 고정하는 의자 등받이 각도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클라이너의 회전축에 연장설치되는 연결바 및 상기 연결바에 일단이 끼워지는 작동레버로 구성되는 리클라이너 작동 부재;
    상기 시트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고,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일측이 상기 작동레버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회전 방향에 따라 길이가 신축하면서 상기 작동레버를 회전시키는 동력전달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동력전달부를 구동시키는 제어부;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임의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온/오프 스위치를 구비하는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는,
    상기 구동부를 동작시켜 상기 동력전달부가 신축하면서 상기 리클라이너가 작동하면, 사용자가 상기 시트백 프레임을 밀어 각도를 조절하거나 상기 동력전달부를 복원시켜 상기 리클라이너가 복원되면서 각도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등받이 각도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길이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끈으로 이루어져 양단부가 각각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작동레버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부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꼬여 길이가 수축되면서 상기 작동레버를 회전시키는 스트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등받이 각도 고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스트링의 외측에 상기 스트링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스트링의 길이가 변하는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등받이 각도 고정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복수 개의 주름이 형성되어 탄성력을 가지는 주름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등받이 각도 고정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복원력을 가지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등받이 각도 고정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시트 프레임 일측에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모터, 및
    상기 스트링의 일단이 일측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등받이 각도 고정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링은,
    상기 모터의 토크 및 상기 작동레버의 회전 각도에 따라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등받이 각도 고정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모터와 상기 연결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등받이 각도 고정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스러스트 베어링(thrust bear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등받이 각도 고정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에는 텐션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텐션센서로부터 검출된 회전각 변위값 또는 직선 변위값을 전달받아 기설정값과 비교하여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등받이 각도 고정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각 변위값 또는 직선 변위값이 기설정값보다 큰 경우 상기 구동부를 정지시키거나 상기 동력전달부가 원상태로 복원되는 방향으로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등받이 각도 고정장치.
KR1020180055806A 2018-05-16 2018-05-16 의자 등받이 각도 고정장치 KR102085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806A KR102085423B1 (ko) 2018-05-16 2018-05-16 의자 등받이 각도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806A KR102085423B1 (ko) 2018-05-16 2018-05-16 의자 등받이 각도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215A KR20190131215A (ko) 2019-11-26
KR102085423B1 true KR102085423B1 (ko) 2020-03-05

Family

ID=68731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5806A KR102085423B1 (ko) 2018-05-16 2018-05-16 의자 등받이 각도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54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29428A (zh) * 2021-05-27 2021-12-03 广东联友办公家具有限公司 一种电控底盘及座椅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2620A (ja) * 2000-02-14 2003-07-29 フィッシャー ダイナミッ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プラスチックハウジングを有する直線駆動型リクライニング装置
WO2017065476A1 (ko) * 2015-10-12 2017-04-2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구조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2620A (ja) * 2000-02-14 2003-07-29 フィッシャー ダイナミッ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プラスチックハウジングを有する直線駆動型リクライニング装置
WO2017065476A1 (ko) * 2015-10-12 2017-04-2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215A (ko) 201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51584A (en) Lumbar support structure for automotive vehicle
US9022474B2 (en) Adjustable foundation for a seating unit
JP2001275784A (ja) ランバーサポート装置
US20080079300A1 (en) Seat device for vehicle
US20050231018A1 (en) Headrest height adjustment device
JP2015020739A (ja) 折り畳み式オットマン装置
US10343573B2 (en) Vehicle seat assembly having a reset device
KR101809147B1 (ko) 등받이와 머리 받침대의 조절을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
KR102085423B1 (ko) 의자 등받이 각도 고정장치
CN110352145A (zh) 具有可调节座椅靠背和/或可调节座垫的车辆座椅
KR101825909B1 (ko) 독립적으로 구동되면서 시트커버가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 시트용 전동식 레그 레스트
CN100406300C (zh) 车辆的座椅靠背斜度调节装置
JP2008534363A (ja) シートの側面部の調整装置及び側面部の製造方法
JPH0819452A (ja) 車両用シートにおける背部支持装置
JP2010017345A (ja) シート装置
KR102133635B1 (ko) 좌석용 위치 조절장치
KR20020043111A (ko)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JP5107181B2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
KR20210016886A (ko) 단일 구동부로 풋레스트 작동이 가능한 리클라이너 시트
JP4611070B2 (ja) 身体支持装置
EP3534753B1 (en) Motorized adjustable back support for recliner
KR200492441Y1 (ko) 중심 이동추를 갖는 흔들의자
CN219109887U (zh) 一种肢体拉伸器和按摩椅
KR20200002072A (ko) 수평 유지 암레스트 장치
JP2011130935A (ja) シートのリクライニ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