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7794A -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 행동 패턴에 기반한 o2o 마케팅 플랫폼 시스템 및 그 구축 방법 - Google Patents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 행동 패턴에 기반한 o2o 마케팅 플랫폼 시스템 및 그 구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7794A
KR20180047794A KR1020160144525A KR20160144525A KR20180047794A KR 20180047794 A KR20180047794 A KR 20180047794A KR 1020160144525 A KR1020160144525 A KR 1020160144525A KR 20160144525 A KR20160144525 A KR 20160144525A KR 20180047794 A KR20180047794 A KR 201800477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itor
offline store
behavior pattern
information
mobi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4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3107B1 (ko
Inventor
김준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60144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3107B1/ko
Publication of KR20180047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7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3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3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G06K9/0033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06Q30/0271Personalized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3Determination of fees for advert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sychia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 행동 패턴에 기반한 O2O 마케팅 플랫폼 시스템은, 오프라인 매장 내에서 적어도 한 명의 방문자가 휴대하고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위치 측위 장치; 및 상기 위치 측위 장치에 의해 획득된 상기 방문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방문자의 행동 패턴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동작, 상기 수집된 방문자의 행동 패턴에 관한 정보를 정량화하는 동작, 상기 정량화된 방문자의 행동 패턴에 관한 정보를 광고주에게 제공하는 동작, 상기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한 방문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타깃으로 하여 상기 광고주의 광고를 제공하는 동작, 및 광고주로부터 받은 광고료의 일정 비율을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제공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O2O 마케팅 플랫폼을 포함하여, 방문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오프라인 정밀 타깃팅형 광고 채널로 활용 가능하기 때문에 정량화된 데이터를 광고주에 제공하여 광고를 유치함으로써 광고 수익을 획득할 수 있어, 오프라인 매장은 전통적인 매출과 더불어 O2O 타깃 광고 인벤토리 기반으로 광고 매출을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 행동 패턴에 기반한 O2O 마케팅 플랫폼 시스템 및 그 구축 방법{O2O MARKETING PLATFORM SYSTEM BASED ON BEHAVIOR PATTERN OF VISITOR OF OFFLINE STORE AND BUILD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 행동 패턴에 기반한 O2O 마케팅 플랫폼 시스템 및 그 구축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하는 방문자의 오프라인 매장 방문 횟수 및 진열 상품에 머무르는 시간 정보와 같은 방문자의 행동 패턴을 정량화하여 해당 당사자들의 광고 수요를 분석하여 판매하는 차세대 O2O 플랫폼의 설계 원리와 구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라인 마켓과 오프라인 마켓의 비즈니스 수익 모델은 기본적인 부분은 동일하다. 상점(오프라인/온라인)은 소비자에게 재화/서비스를 제공하고 그에 대한 비용을 받아 이익을 추구한다. 그러나 온라인 마켓은 추가적으로 광고 수익을 오프라인 시장과 달리 추가적으로 유발한다. 홈페이지 방문자 수를 기반으로 홈페이지를 방문하는 사용자들의 취향과 성향을 분석하여 배너 광고를 유치하여 광고 채널로서 수익을 발생시킨다.
오프라인 매장은 방문자에 대한 데이터를 정량화하지 못하여 분석이 되지 않기 때문에 오프라인 광고 채널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한다. 또한 광고를 전달할 최종 디바이스(End Device)는 기존에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형태로 제공되고 있으나, 정밀 타깃팅이 되지 않기 때문에 광고 전단지 수준으로 제공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하는 방문자의 행동 패턴을 분석하여 데이터를 정량화한 후 이를 바탕으로 방문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오프라인 정밀 타깃팅형 광고 채널로 활용 가능함으로써 오프라인 매장의 매출을 증대시킬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KR 10-2014-0116317 A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하는 방문자의 행동 패턴을 분석하여 데이터를 정량화한 후 이를 바탕으로 방문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오프라인 정밀 타깃팅형 광고 채널로 활용 가능함으로써 오프라인 매장의 매출을 증대시킬 수 있는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 행동 패턴에 기반한 O2O 마케팅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하는 방문자의 행동 패턴을 분석하여 데이터를 정량화한 후 이를 바탕으로 방문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오프라인 정밀 타깃팅형 광고 채널로 활용 가능함으로써 오프라인 매장의 매출을 증대시킬 수 있는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 행동 패턴에 기반한 O2O 마케팅 플랫폼 구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 행동 패턴에 기반한 O2O 마케팅 플랫폼 시스템은,
오프라인 매장 내에서 적어도 한 명의 방문자가 휴대하고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위치 측위 장치; 및
상기 위치 측위 장치에 의해 획득된 상기 방문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방문자의 행동 패턴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동작, 상기 수집된 방문자의 행동 패턴에 관한 정보를 정량화하는 동작, 상기 정량화된 방문자의 행동 패턴에 관한 정보를 광고주에게 제공하는 동작, 상기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한 방문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타깃으로 하여 상기 광고주의 광고를 제공하는 동작, 및 광고주로부터 받은 광고료의 일정 비율을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제공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O2O 마케팅 플랫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 행동 패턴에 기반한 O2O 마케팅 플랫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방문자의 행동 패턴에 관한 정보는 상기 방문자의 오프라인 매장 방문 횟수,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을 구매하려는 의사 및 구매 이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 행동 패턴에 기반한 O2O 마케팅 플랫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을 구매하려는 의사는, 상기 방문자의 방문 횟수 및 상기 상품에의 머무른 시간에 기반하여, 인지 단계, 관심 단계 및 고려 단계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 행동 패턴에 기반한 O2O 마케팅 플랫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방문자의 행동 패턴에 관한 정보를 정량화하는 동작은, 상기 인지 단계, 관심 단계 및 고려 단계에 각각 소정의 점수를 부여하고, 부여된 점수에 기반하여, 상기 방문자 및 상기 방문자가 관심을 보인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정량화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 행동 패턴에 기반한 O2O 마케팅 플랫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하는 적어도 한 명의 방문자의 행동 패턴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동작은, 상기 방문자가 휴대하고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소정의 상품에 부착되거나 근처에 존재하는 인식 장치에 근접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를 추적함으로써 상기 방문자의 행동 패턴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 행동 패턴에 기반한 O2O 마케팅 플랫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는, 와이파이(WiFi) 및 비콘(beacon)을 포함하는 위치 측위 장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 행동 패턴에 기반한 O2O 마케팅 플랫폼 구축 방법은,
오프라인 매장 내에서 적어도 한 명의 방문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방문자의 행동 패턴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방문자의 행동 패턴에 관한 정보를 정량화하는 단계;
상기 정량화된 방문자의 행동 패턴에 관한 정보를 광고주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방문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타깃으로 하여 상기 광고주의 광고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광고주로부터 받은 광고료의 일정 비율을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 행동 패턴에 기반한 O2O 마케팅 플랫폼 구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문자의 행동 패턴에 관한 정보는 상기 방문자의 오프라인 매장 방문 횟수,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을 구매하려는 의사 및 구매 이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 행동 패턴에 기반한 O2O 마케팅 플랫폼 구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을 구매하려는 의사는, 상기 방문자의 방문 횟수 및 상기 상품에의 머무른 시간에 기반하여, 인지 단계, 관심 단계 및 고려 단계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 행동 패턴에 기반한 O2O 마케팅 플랫폼 구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문자의 행동 패턴에 관한 정보를 정량화하는 단계는, 상기 인지 단계, 관심 단계 및 고려 단계에 각각 소정의 점수를 부여하고, 부여된 점수에 기반하여, 상기 방문자 및 상기 방문자가 관심을 보인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정량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 행동 패턴에 기반한 O2O 마케팅 플랫폼 구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하는 적어도 한 명의 방문자의 행동 패턴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방문자가 휴대하고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소정의 상품에 부착되거나 근처에 존재하는 인식 장치에 근접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를 추적함으로써 상기 방문자의 행동 패턴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 행동 패턴에 기반한 O2O 마케팅 플랫폼 구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는, 와이파이(WiFi) 및 비콘(beacon)을 포함하는 위치 측위 장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 행동 패턴에 기반한 O2O 마케팅 플랫폼 시스템 및 그 구축 방법에 의하면,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하는 방문자의 오프라인 매장 방문 횟수 및 진열 상품에 머무르는 시간 정보와 같은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의 행동 패턴을 분석하여 데이터를 정량화 한 후 이를 바탕으로 방문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오프라인 정밀 타깃팅형 광고 채널로 활용 가능하기 때문에 정량화된 데이터를 광고주에 제공하여 광고를 유치함으로써 광고 수익을 획득할 수 있어, 오프라인 매장은 전통적인 매출과 더불어 O2O 타깃 광고 인벤토리 기반으로 광고 매출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 행동 패턴에 기반한 O2O 마케팅 플랫폼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는 통합 O2O 위치 측위 플랫폼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소비자의 잠재 구매 니즈 분석을 위한 빅데이터 시스템 구축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 행동 패턴에 기반한 O2O 마케팅 플랫폼 시스템의 개념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 행동 패턴에 기반한 O2O 마케팅 플랫폼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 행동 패턴에 기반한 O2O 마케팅 플랫폼 구축 방법의 흐름도.
도 6은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한 방문자의 행동 패턴을 정량화하는 단계들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일면", "타면"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 행동 패턴에 기반한 O2O 마케팅 플랫폼 시스템 및 그 구축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첫째, 위치 정보 제공을 통한 O2O 위치 측위 플랫폼 구축, 둘째, 소비자 잠재 구매 니즈 분석을 위한 빅데이터 시스템 구축, 셋째, O2O 기반 타깃 광고 마케팅 플랫폼 구축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첫째, 위치 정보 제공을 통한 O2O 위치 측위 플랫폼 구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위치 측위 기술(WiFi Check in Service, Cell Broadcasting System, GPS, Beacon) 등을 통합하여 정밀한 측위를 제공한다.
둘째, 소비자의 잠재 구매 니즈 분석을 위한 빅데이터 시스템 구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객 정보와 구매 정보를 분석하여 잠재 수요를 예측한다. 온/오프라인 구매 정보 분석 및 공공 정보(날씨, 교통, SNS)를 활용한 복합 분석을 통한 정밀 수요를 예측한다.
셋째, O2O 기반 타깃 광고 마케팅 플랫폼(DSP, DMP) 구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객별로 매장의 어디를 봤는지, 진열 제품 구매 이력 및 오프라인 매장 방문 횟수 등을 토대로 광고, DM, 푸시 알림 등 고객별 마케팅에 이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 행동 패턴에 기반한 O2O 마케팅 플랫폼 시스템의 개념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 행동 패턴에 기반한 O2O 마케팅 플랫폼 시스템은, 오프라인 매장(302)을 방문하는 적어도 한 명의 방문자가 휴대하고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301)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위치 측위 장치(도 3에 도시되지 않음, 도 4의 비콘(BC1 내지 BC12), 데이터 수집부(402)를 포함함), 및 O2O 마케팅 플랫폼(300)을 포함한다.
상기 위치 측위 장치는 오프라인 매장(302)에 진열되어 있는 상품에 부착되거나 진열 상품 근처에 존재할 수 있고, 비콘, 와이파이, GPS 등을 이용하여 방문자가 휴대하고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301)의 위치를 추적한다.
상기 O2O 마케팅 플랫폼(300)은, 상기 위치 측위 장치에 의해 획득된 방문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방문자의 행동 패턴에 관한 정보(행동 정보)를 수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데이터 관리 플랫폼(DMP: data management platform, 306), 및 상기 수집된 방문자의 행동 정보를 정량화하는 동작, 상기 정량화된 방문자의 행동 정보를 광고주(304)에게 제공하는 동작, 상기 광고주(304)로부터 광고 및 광고료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방문자의 모바일 디바이스(301)를 타깃으로 하여 상기 광고주(304)의 광고를 제공하는 동작, 및 상기 광고료의 일정 비율을 상기 오프라인 매장(302)에 제공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수요 분석 플랫폼(DSP: Demand side Platform, 308)을 포함한다.
모바일 디바이스(301)를 휴대하고 있는 방문자가 오프라인 매장(302)을 방문하는 경우, 방문자의 위치는 위치 측위 장치에 의해 획득된다.
데이터 관리 플랫폼(306)은, 오프라인 매장(302)으로부터 수신되는 방문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방문자의 오프라인 매장 방문 횟수 및 진열 상품에 머무르는 시간과 같은 방문자의 행동 정보를 획득한다.
수요 분석 플랫폼(308)은, 데이터 관리 플랫폼(306)으로부터 수신되는 방문자의 행동 정보를 정량화한 후, 정량화된 방문자의 행동 정보를 광고주(304)에게 제공한다.
광고주(304)가 상기 정량화된 방문자의 행동 정보를 검토한 후 광고 효과가 있다고 판단하여 광고 및 광고료를 수요 분석 플랫폼(308)에 제공하는 경우, 수요 분석 플랫폼(308)은, 방문자의 모바일 디바이스(301)를 타깃으로 하여 광고주(304)의 광고를 제공하고, 상기 광고료의 일정 비율을 오프라인 매장(302)에 제공한다.
따라서,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하는 방문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정밀 타깃팅형 광고 채널로 활용함으로써 오프라인 매장(302)은 전통적인 매출과 더불어 O2O 타깃 광고 인벤토리 기반으로 광고 매출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O2O 마케팅 플랫폼(300)을 운영하는 주체도 상기 광고료의 일부를 수수료로 획득하여, 이익을 창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 행동 패턴에 기반한 O2O 마케팅 플랫폼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 행동 패턴에 기반한 O2O 마케팅 플랫폼 구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 행동 패턴에 기반한 O2O 마케팅 플랫폼 시스템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 행동 패턴에 기반한 O2O 마케팅 플랫폼 구축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 행동 패턴에 기반한 O2O 마케팅 플랫폼 시스템은, 모바일 디바이스(MD_1 내지 MD_n)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위치 측정 장치인 비콘(BC1 내지 BC12)과 데이터 수집부(402), 및 O2O 마케팅 플랫폼(400)을 포함한다.
상기 비콘(BC1 내지 BC12)은 모바일 디바이스(MD_1 내지 MD_n)를 휴대하고 있는 방문자가 오프라인 매장에 진열되어 있는 상품에 머무른 시간 등을 획득하기 위하여 오프라인 매장(403)의 진열 상품에 부착되거나 진열 상품 바로 근처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O2O 마케팅 플랫폼(400)은 데이터 관리 플랫폼(406) 및 수요 분석 플랫폼(408)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관리 플랫폼(406)은 상기 비콘(BC1 내지 BC12)으로부터 방문자의 위치를 획득하여 방문자의 행동 정보를 수집한다.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MD_1 내지 MD_n)의 위치는, 와이파이(WiFi), 비콘(beacon) 등과 같은 실내 위치 측위 장치를 이용하여 획득된다.
상기 수요 분석 플랫폼(408)은, 상기 수집된 방문자의 행동 패턴에 관한 정보, 즉 행동 정보를 정량화하고, 상기 정량화된 방문자의 행동 정보를 광고주(404)에게 제공한다.
광고주(404)가 상기 정량화된 방문자의 행동 정보를 검토한 후 광고 효과가 있다고 판단하여 광고 및 광고료를 수요 분석 플랫폼(408)에 제공하는 경우, 수요 분석 플랫폼(408)은, 방문자의 모바일 디바이스(MD_1 내지 MD_n)를 타깃으로 하여 광고주(404)의 광고를 제공하고, 상기 광고료의 일정 비율을 오프라인 매장(403)에 제공한다.
데이터 수집부(402)는 상기 비콘(BC1 내지 BC12)과 데이터 수집부(402)에 의해 획득된 방문자의 위치를 수집하여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관리 플랫폼(406)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제1 모바일 디바이스(MD_1)를 휴대하고 있는 제1 방문자가 오프라인 매장(403)을 방문한다고 가정하자.
제1 모바일 디바이스(MD_1)를 휴대하고 있는 제1 방문자가 제6 비콘(BC6)이 부착되어 있는 진열 상품에 관심이 있어 상기 진열 상품에 소정 시간 이상 머무르고 있는 경우, 단계 S500에서, 제1 모바일 디바이스(MD_1)를 휴대하고 있는 제1 방문자의 위치가 제6 비콘(BC6)에 의해 수집되어 데이터 수집부(402)로 전송되고, 데이터 수집부(402)는 제1 방문자의 위치 및 제1 방문자가 제6 비콘(BC6)이 부착되어 있는 진열 상품에 머물러 있는 시간과 같은 방문자의 행동 패턴에 관한 정보인 방문자의 행동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관리 플랫폼(406)으로 전송한다.
단계 S502에서, 데이터 관리 플랫폼(406)은 제1 모바일 디바이스(MD_1)를 휴대하고 있는 제1 방문자가 오프라인 매장(403)을 방문한 횟수 및 상기 제6 비콘(BC6)이 부착되어 있는 진열 상품에 머물러 있는 시간과 같은 방문자의 행동 정보를 수집하여 수요 분석 플랫폼(408)으로 전송한다. 상기 방문자의 행동 정보는 상기 방문자의 오프라인 매장 방문 횟수, 오프라인 매장의 물건을 구매하려는 의도 및 구매 이력을 포함한다.
단계 S504에서, 수요 분석 플랫폼(408)은 제1 방문자가 오프라인 매장(403)을 방문한 횟수 및 상기 제6 비콘(BC6)이 부착되어 있는 진열 상품에 머물러 있는 시간과 같은 방문자들의 행동 정보를 소정의 규칙에 따라 정량화한다. 방문자들의 행동 정보를 정량화하는 것과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추후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하기로 한다.
단계 S506에서, 수요 분석 플랫폼(408)은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한 방문자들의 행동 정보를 정량화된 데이터를 광고주(404)에게 제공하고, 단계 S508에서, 수요 분석 플랫폼(408)은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한 모바일 디바이스(MD_1 내지 MD_n)를 타깃으로 하여 통신망을 통해 광고주(404)의 모바일 타깃 광고를 제공한다.
단계 S508에서, 수요 분석 플랫폼(408)은 광고주(404)로부터 광고 및 광고료를 수신한 경우에 한하여,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한 모바일 디바이스(MD_1 내지 MD_n)를 타깃으로 하여 통신망을 통해 광고주(404)의 모바일 타깃 광고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6은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한 방문자의 행동 패턴을 정량화하는 단계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 행동 패턴에 기반한 O2O 마케팅 플랫폼 시스템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 행동 패턴에 기반한 O2O 마케팅 플랫폼 구축 방법에 있어서, O2O 마케팅 플랫폼(4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문자의 오프라인 매장 방문 횟수, 오프라인 매장에 진열된 상품에 머무른 시간, 및 구매 이력 등을 포함하는 방문자의 행동 정보를 소정의 규칙에 따라 정량화한다.
오프라인 매장에 방문하는 방문자의 행동 패턴은, 방문자의 방문 횟수 및 특정 상품에의 머무른 시간에 기반하여, 인지 단계, 관심 단계 및 고려 단계로 분류되어 방문자의 상품에 대한 구매하려는 의사, 즉 수요로서 등록된다.
예를 들어, 상기 방문자의 행동 정보를 정량화하는 단계는, 상기 인지 단계, 관심 단계 및 고려 단계에 각각 1점, 3점, 5점과 같이 소정의 점수를 부여하고, 각각의 방문자별 진열 상품에 부여된 점수에 기반하여, 상기 방문자 및 상기 방문자가 관심을 보인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정량화하여 메타 데이터로서 구축한다.
상기 과정들을 통해 오프라인 매장(403)에서 방문자의 상품에 대한 인지-관신-고려의 단계를 온라인 쇼핑몰과 같이 관심 상품, 구매 의사 등의 비정량 데이터를 정량화하여 오프라인 매장(403)에 진열된 상품에 대한 수요를 예측할 수 있다.
도 6은 방문자가 방문 시점부터 구매 의사 단계까지의 단계들을 정량화하는 것을 도시한 것으로, 오프라인 매장의 오프라인 행동 정보 수집 장치들에 의해 각방문자별 및 상품별 메타 데이터가 파악되어 정량화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단계 S600에서 방문자가 오프라인 매장에 처음 방문하여 특정 상품에 최초로 머무르는 것이 인지되고, 단계 S502에서 매장 방문 대비 방문자가 상품 앞에 머무른 시간이 조회된다.
단계 S604에서 방문자가 진열 상품 앞에 머무른 시간이 소정 시간 이상인 경우 방문자가 관심 단계 사용자로 등록되고, 방문자가 진열 상품 앞에 머무른 시간이 소정 시간 미만인 경우 단계 S606에서 방문자는 인지 단계 수요로서 등록된다.
단계 S608에서 관심 단계에 있는 사용자의 재방문으로 인지되고, 단계 S610에서 재방문한 관심 단계에 있는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로 관심 상품 및 할인 쿠폰과 같은 할일 이벤트가 푸시된다.
단계 S612에서 재방문한 관심 단계에 있는 사용자가 진열 상품에 머무른 시간이 소정 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사용자 및 진열 상품은 고려 단계 사용자 및 고려 단계 상품으로 등록되고, 단계 S614에서 재방문한 관심 단계에 있는 사용자가 진열 상품에 머무른 시간이 소정 시간 미만인 경우, 상기 사용자 및 상품은 관심 단계 수요로서 등록된다.
단계 S616에서 방문자가 고려 단계 사용자 재방문으로 인지된다.
단계 S618에서 방문자의 방문이 매장 상담원에게 공지되고, 단계 S620에서 방문자가 구매한 경우, 구매가 완료되며, 단계 S624에서 방문자의 상품 구매 후 만족도 조사가 수행된다.
단계 S622에서는 방문자가 상품을 구매하지 않은 경우, 방문자 및 상품은 고려 단계 수요로서 등록된다.
도 6의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정량화를 거친 데이터는 수요 분석 플랫폼(406)을 통해 오프라인 매장(403)의 상품에 대한 수요를 실시간으로 반영하게 되고, 이러한 정량화된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광고주(404)에게 광고 인벤토리로서 제공되므로, 오프라인 매장(403)을 방문한 방문자들의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광고 채널로서 활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 행동 패턴에 기반한 O2O 마케팅 플랫폼 시스템 및 그 구축 방법에 의하면,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하는 방문자의 오프라인 매장 방문 횟수 및 진열 상품에 머무르는 시간 정보와 같은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의 행동 패턴을 분석하여 데이터를 정량화한 후 이를 바탕으로 방문자들의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오프라인 정밀 타깃팅형 광고 채널로 활용 가능하기 때문에 정량화된 데이터를 광고주에 제공하여 광고를 유치함으로써 광고 수익을 획득할 수 있어, 오프라인 매장은 전통적인 매출과 더불어 O2O 타깃 광고 인벤토리 기반으로 광고 매출을 기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300, 400 : O2O 마케팅 플랫폼 302, 403 : 오프라인 매장
304 : 광고주 306, 406 : 데이터 관리 플랫폼
308, 408 : 수요 분석 플랫폼 402 : 데이터 수집부
BC1 내지 BC12 : 비콘 MD_1 내지 MD_n : 모바일 디바이스

Claims (12)

  1. 오프라인 매장 내에서 적어도 한 명의 방문자가 휴대하고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위치 측위 장치; 및
    상기 위치 측위 장치에 의해 획득된 상기 방문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방문자의 행동 패턴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동작, 상기 수집된 방문자의 행동 패턴에 관한 정보를 정량화하는 동작, 상기 정량화된 방문자의 행동 패턴에 관한 정보를 광고주에게 제공하는 동작, 상기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한 방문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타깃으로 하여 상기 광고주의 광고를 제공하는 동작, 및 광고주로부터 받은 광고료의 일정 비율을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제공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O2O 마케팅 플랫폼을 포함하는,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 행동 패턴에 기반한 O2O 마케팅 플랫폼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문자의 행동 패턴에 관한 정보는 상기 방문자의 오프라인 매장 방문 횟수,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을 구매하려는 의사 및 구매 이력을 포함하는,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 행동 패턴에 기반한 O2O 마케팅 플랫폼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을 구매하려는 의사는, 상기 방문자의 방문 횟수 및 상기 상품에의 머무른 시간에 기반하여, 인지 단계, 관심 단계 및 고려 단계로 분류되는,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 행동 패턴에 기반한 O2O 마케팅 플랫폼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방문자의 행동 패턴에 관한 정보를 정량화하는 동작은,
    상기 인지 단계, 관심 단계 및 고려 단계에 각각 소정의 점수를 부여하고, 부여된 점수에 기반하여, 상기 방문자 및 상기 방문자가 관심을 보인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정량화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 행동 패턴에 기반한 O2O 마케팅 플랫폼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하는 적어도 한 명의 방문자의 행동 패턴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동작은,
    상기 방문자가 휴대하고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소정의 상품에 부착되거나 근처에 존재하는 인식 장치에 근접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를 추적함으로써 상기 방문자의 행동 패턴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 행동 패턴에 기반한 O2O 마케팅 플랫폼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는, 와이파이(WiFi) 및 비콘(beacon)을 포함하는 위치 측위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 행동 패턴에 기반한 O2O 마케팅 플랫폼 시스템.
  7. 오프라인 매장 내에서 적어도 한 명의 방문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방문자의 행동 패턴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방문자의 행동 패턴에 관한 정보를 정량화하는 단계;
    상기 정량화된 방문자의 행동 패턴에 관한 정보를 광고주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방문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타깃으로 하여 상기 광고주의 광고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광고주로부터 받은 광고료의 일정 비율을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 행동 패턴에 기반한 O2O 마케팅 플랫폼 구축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방문자의 행동 패턴에 관한 정보는 상기 방문자의 오프라인 매장 방문 횟수,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을 구매하려는 의사 및 구매 이력을 포함하는,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 행동 패턴에 기반한 O2O 마케팅 플랫폼 구축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을 구매하려는 의사는, 상기 방문자의 방문 횟수 및 상기 상품에의 머무른 시간에 기반하여, 인지 단계, 관심 단계 및 고려 단계로 분류되는,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 행동 패턴에 기반한 O2O 마케팅 플랫폼 구축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방문자의 행동 패턴에 관한 정보를 정량화하는 단계는,
    상기 인지 단계, 관심 단계 및 고려 단계에 각각 소정의 점수를 부여하고, 부여된 점수에 기반하여, 상기 방문자 및 상기 방문자가 관심을 보인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정량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 행동 패턴에 기반한 O2O 마케팅 플랫폼 구축 방법.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하는 적어도 한 명의 방문자의 행동 패턴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방문자가 휴대하고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소정의 상품에 부착되거나 근처에 존재하는 인식 장치에 근접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를 추적함으로써 상기 방문자의 행동 패턴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 행동 패턴에 기반한 O2O 마케팅 플랫폼 구축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는, 와이파이(WiFi) 및 비콘(beacon)을 포함하는 위치 측위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 행동 패턴에 기반한 O2O 마케팅 플랫폼 구축 방법.
KR1020160144525A 2016-11-01 2016-11-01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 행동 패턴에 기반한 o2o 마케팅 플랫폼 시스템 및 그 구축 방법 KR102213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525A KR102213107B1 (ko) 2016-11-01 2016-11-01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 행동 패턴에 기반한 o2o 마케팅 플랫폼 시스템 및 그 구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525A KR102213107B1 (ko) 2016-11-01 2016-11-01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 행동 패턴에 기반한 o2o 마케팅 플랫폼 시스템 및 그 구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794A true KR20180047794A (ko) 2018-05-10
KR102213107B1 KR102213107B1 (ko) 2021-02-08

Family

ID=62185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4525A KR102213107B1 (ko) 2016-11-01 2016-11-01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 행동 패턴에 기반한 o2o 마케팅 플랫폼 시스템 및 그 구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310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1291A (ko) 2019-01-22 2020-07-30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구매 의도를 식별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210032691A (ko) * 2019-09-17 2021-03-25 인하공업전문대학산학협력단 네트워크 기반 상품 추천 방법 및 장치
KR102257081B1 (ko) 2020-10-21 2021-05-26 조경호 O2o 서비스를 통한 b2c 상거래 확장 융합 플랫폼 시스템
KR102294071B1 (ko) 2020-07-21 2021-08-26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 현실에 기반한 o2o 카메라 솔루션에서의 객체 위치 표시 변환 및 id 부여 방법
KR20210113807A (ko) 2020-03-09 2021-09-17 (주)텐씨씨 버스 승객 정보에 기반한 맞춤형 제품 샘플 마케팅 중개를 위한 o2o 서비스 플랫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3444A (ko) * 2001-06-08 2002-12-16 가람엔지니어링주식회사 가맹점포 내방고객정보 분류에 의한 차별화된광고컨텐츠의 분배방법
KR20140116317A (ko) 2013-03-22 2014-10-0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오프라인 매장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501032B1 (ko) * 2014-06-16 2015-03-13 변상현 비콘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50092431A (ko) * 2014-02-04 2015-08-13 구미에이테크솔루션주식회사 비컨 센서를 이용한 고객관리 시스템
WO2015162723A1 (ja) * 2014-04-23 2015-10-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行動分析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3444A (ko) * 2001-06-08 2002-12-16 가람엔지니어링주식회사 가맹점포 내방고객정보 분류에 의한 차별화된광고컨텐츠의 분배방법
KR20140116317A (ko) 2013-03-22 2014-10-0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오프라인 매장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20150092431A (ko) * 2014-02-04 2015-08-13 구미에이테크솔루션주식회사 비컨 센서를 이용한 고객관리 시스템
WO2015162723A1 (ja) * 2014-04-23 2015-10-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行動分析装置
KR101501032B1 (ko) * 2014-06-16 2015-03-13 변상현 비콘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1291A (ko) 2019-01-22 2020-07-30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구매 의도를 식별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210032691A (ko) * 2019-09-17 2021-03-25 인하공업전문대학산학협력단 네트워크 기반 상품 추천 방법 및 장치
KR20210113807A (ko) 2020-03-09 2021-09-17 (주)텐씨씨 버스 승객 정보에 기반한 맞춤형 제품 샘플 마케팅 중개를 위한 o2o 서비스 플랫폼
KR102294071B1 (ko) 2020-07-21 2021-08-26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 현실에 기반한 o2o 카메라 솔루션에서의 객체 위치 표시 변환 및 id 부여 방법
KR102257081B1 (ko) 2020-10-21 2021-05-26 조경호 O2o 서비스를 통한 b2c 상거래 확장 융합 플랫폼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3107B1 (ko) 2021-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hose et al. Mobile targeting using customer trajectory patterns
US9576295B2 (en) Adjusting a process for visit detection based on location data
EP337176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ance driven dynamic geo-fence based targeting
KR102213107B1 (ko)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 행동 패턴에 기반한 o2o 마케팅 플랫폼 시스템 및 그 구축 방법
WO2020008938A1 (ja) 販売促進システムおよび販売促進方法
US8036930B2 (en) Market segmentation analyses in virtual universes
US20120158508A1 (en) Mobile advertising including localized advertiser bidding
AU2024203135A1 (en) System and method for message targeting using geofencing
JP7357244B2 (ja) 店舗利用情報配信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店舗利用情報配信システム並びに店舗利用情報配信方法
US9424590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al time targeted advertising in a retail environment
US10157388B2 (en) Generating promotions to a targeted audience
CA2939301A1 (en) Location-based directed product and service suggestions
US20150012358A1 (en) Personalized, real time, offer or promotion, news, and general information delivery system, to a user or client, using precise geo-localizing technologies
JP2015197689A (ja) 販売支援システム
KR20200097571A (ko) 오프라인 매장 방문자의 행동 패턴을 데이터로 한 o2o 마케팅 플랫폼 시스템
US20190005530A1 (en) Determining brand loyalty based on consumer location
KR101323253B1 (ko) 마케팅 방법 및 시스템
KR102598258B1 (ko) 빅데이터 기반 상품 및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US11783367B2 (en) Linking a transaction with a merchant to an interaction with an augmented reality advertisement
KR20180058525A (ko) 매장내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in et al. Retail location modeling of supermarket chains in Taipei city
WO2003019444A1 (en) Method and system for placement, monitoring and measurement of interactive advertising
Ganev REVOLUTIONARY MARKETING TOOL FOR RETAILERS BASED ON THE LATEST IT TECHNOLOGIES
AU2013203556A1 (en) Location based systems and methods
KR20130046743A (ko) 상품 인증을 이용한 광고시스템 및 그 광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