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7081B1 - O2o 서비스를 통한 b2c 상거래 확장 융합 플랫폼 시스템 - Google Patents

O2o 서비스를 통한 b2c 상거래 확장 융합 플랫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7081B1
KR102257081B1 KR1020200136735A KR20200136735A KR102257081B1 KR 102257081 B1 KR102257081 B1 KR 102257081B1 KR 1020200136735 A KR1020200136735 A KR 1020200136735A KR 20200136735 A KR20200136735 A KR 20200136735A KR 102257081 B1 KR102257081 B1 KR 102257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ny
management server
delivery
commerce
ord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6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경호
장정일
Original Assignee
조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경호 filed Critical 조경호
Priority to KR1020200136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70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7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7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50/28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거래 확장 융합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존에 구축된 B2C(business to consumer) 상거래를 O2O(Online to Offline)으로 확장을 목적으로 하는 B2C 및 O2O가 융합된 플랫폼을 통해 기존 B2C 상거래에서의 물품 이동 및 배송에 대한 시간을 1시간 이내로 크게 감소시키며, B2C 상거래 환경만을 벗어나 O2O 서비스에 연결된 오프라인 업체의 매출 증가로 인한 새로운 수익이 창출될 수 있도록 하는 이른바 O2O 서비스를 통한 B2C 상거래 확장 융합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온라인 및 오프라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업체를 통해 주문되는 품목 및 배송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주문정보에 대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기초로 주문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기 위한 주문 모니터링 서버와, 상기 주문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수신된 주문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한 식별코드 생성모듈과, 생성된 식별코드를 실시간으로 데이터 전처리하여 관리하기 위한 전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데이터 관리서버와, 상기 데이터 관리서버로부터 식별되어 관리되는 실시간 주문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하기 업체 관리서버와, 상기 업체 관리서버로부터 관리되는 주문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주문자 단말기 및 업체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O2O 서비스를 통한 B2C 상거래 확장 융합 플랫폼 시스템{B2C COMMERCE EXPANSION CONVERGENCE PLATFORM SYSTEM THROUGH O2O SERVICE}
본 발명은 상거래 융합 확장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존에 구축된 B2C(business to consumer) 상거래를 O2O(Online to Offline)으로 확장을 목적으로 하는 B2C 및 O2O가 확장되어 융합된 플랫폼을 통해 기존 B2C 상거래에서의 물품 이동 및 배송에 대한 시간을 1시간 이내로 크게 감소시키며, B2C 상거래 환경만을 벗어나 O2O 서비스에 연결된 오프라인 업체의 매출 증가로 인한 새로운 수익이 창출될 수 있도록 하는 이른바 O2O 서비스를 통한 B2C 상거래 확장 융합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O2O(Online to Offline)는 단어 그대로 온라인이 오프라인으로 옮겨온다는 뜻으로서, 오프라인에서 판매되는 서비스 및 재화를 온라인으로 구매하게 할 수 있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즉, O2O 서비스는 오프라인 상에 존재하는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온라인상에서의 접근성이 편리하도록 서로 연결해 주는 서비스를 말한다. 과거 인터넷이 없을 때 오프라인 상점이 고객을 모으려면 TV나 신문에 광고를 내거나 전단지를 뿌려야 하는 돈이 많이 드는 마케팅 방식을 추구했으며, 더 나아가, 소규모 오프라인 업체는 광고를 실은 광고 전단을 주변에 행인들에게 나누어 주거나, 지역 광고지에 광고 또는 이벤트를 게재하는 방법들이 이용되고 있었다.
오늘날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환경이 조성되고 이를 이용한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기반으로 오프라인 판매를 온라인 판매로 전환하기 위한 웹사이트를 만들거나 판매되는 물품 및 서비스에 대한 SNS 마케팅을 벌이는 등 돈이 훨씬 적게 드는 방식으로 마케팅 및 판매 활동을 하여 고객들도 비슷한 상품의 품질과 가격을 비교해보는 과정이 기존보다 매우 간편해져 마음에 드는 신발 한 켤레를 고르려 몇 시간씩 발품을 팔던 일을 온라인상에서는 클릭 몇 번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온라인 환경을 통한 상거래 비즈니스 등장 초기에는 모든 상거래를 온라인 상거래 비즈니스 모델이 대체할 것처럼 보였다. 하지만, 인터넷이 나타난지 20년, 전자상거래가 나온지 10여년지 지났지만 여전히 사람들은 오프라인에서 더 많은 돈을 소비하고 있다. 국내 전자상거래 규모는 44조원 정도인 반면, 오프라인 상거래는 320조원 규모로 7배 이상 크다. 이러한 이유는 궁극적으로 고객들이 오프라인 세상에 존재하는 이상 온라인이 대체할 수 없는 부분이 있기 때문이다.
실질적으로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을 온라인에서 구매를 하더라도 단시간 내에 해당 물품을 바로 소유하는 어려움은 항상 온라인 상거래에 내재되어 있어, 이 같은 이유로 아직도 전자상거래 시장과 오프라인 상거래 간의 시장규모는 지속적인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한, 아직도 O2O는 자본규모가 큰 기업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소규모 오프라인 업체들은 자본적 한계로 인해 자체적인 O2O 서비스를 구축하고 이에 대한 활용을 통해 수익창출을 기대하기는 실질적으로 어렵다.
이에 따라, O2O 서비스에서 주문된 물품을 단시간 내에 고객들이 바로 소유할 수 없는 환경 및 B2C 상거래에서 다수의 고객들이 접근하기 힘든 환경 모두를 벗어나, O2O 서비스 및 B2C 상거래 각각의 단점을 상쇄하여, 주문된 물품 이동 및 배송에 대한 시간을 1시간 이내로 크게 감소시키고, 상품의 상태(신선도 등)을 최상으로 유지하여 다양한 고객들의 접근성을 극대화하는 상거래 환경을 구축하여 O2O 서비스에 연결된 오프라인 업체의 매출 증가로 인한 새로운 수익이 창출될 수 있도록 하는 O2O 서비스를 통한 B2C 상거래 확장 융합 플랫폼 시스템으로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4779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65607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 O2O 서비스에서 주문된 물품을 단시간 내에 고객들이 바로 소유할 수 없는 환경 및 B2C 상거래에서 다수의 고객들이 접근하기 힘든 환경 모두를 벗어나, O2O 서비스 및 B2C 상거래 각각의 단점을 상쇄하여, 주문된 물품 이동 및 배송에 대한 시간을 1시간 이내로 크게 감소시키고, 상품의 상태(신선도 등)을 최상으로 유지하여 다양한 고객들의 접근성을 극대화하는 상거래 환경을 구축하여 O2O 서비스에 연결된 오프라인 업체의 매출 증가로 인한 새로운 수익이 창출될 수 있도록 하는 O2O 서비스를 통한 B2C 상거래 확장 융합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온라인 및 오프라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업체를 통해 주문되는 품목 및 배송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주문정보에 대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기초로 주문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기 위한 주문 모니터링 서버와; 상기 주문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수신된 주문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한 식별코드 생성모듈과, 생성된 식별코드를 실시간으로 데이터 전처리하여 관리하기 위한 전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데이터 관리서버와; 상기 데이터 관리서버로부터 식별되어 관리되는 실시간 주문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하기 업체 관리서버와; 상기 업체 관리서버로부터 관리되는 주문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주문자 단말기 및 업체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관리서버는 식별되어 관리되는 주문정보를 기초로 주문된 품목을 소유하고 있는 업체를 매칭하기 위한 업체 매칭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업체 매칭모듈은 식별되어 관리되는 주문정보를 기초로 주문된 배송 주소지를 형태소별로 분리하여 해당 형태소를 기초로 주문된 품목을 소유하고 있는 업체를 매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관리서버는 업체 매칭모듈에 의해 매칭된 업체 중 거리를 기준으로 배송지와 인접한 업체로 분류하기 위한 업체 분류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관리서버는 업체 분류모듈에 의해 분류된 업체 중 실시간 교통상황을 반영하여 주문된 배송지까지 가장 빠른 배송이 가능한 업체를 선정하기 위한 업체 선정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로, 상기 업체 관리서버로 주문된 물품을 소유하는 업체를 제외한 제3자를 배송자로 등록하기 위한 배송 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관리서버는 배송 단말기와 주문된 물품을 소유하는 업체 단말기를 중계하기 위한 배송 중계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업체 관리서버는 업체 단말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변경되는 오프라인 품목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품목정보 업데이트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업체 관리서버는 관리되는 주문정보를 자동으로 출력하기 위한 주문정보 출력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주문정보 출력모듈은 업체관리 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주문정보를 문자, 그림, 영상 및 음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로 출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업체 관리서버는 식별되어 관리되는 실시간 주문정보를 기초로 주문자 단말기에 포인트를 적립하기 위한 포인트 관리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O2O 서비스를 통한 B2C 상거래 확장 융합 플랫폼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1. 기존 B2C 상거래를 O2O 서비스로 플랫폼 변환시 이에 따른 구축 개발시간 및 비용을 절감함
2. O2O 서비스를 통한 기존 오프라인 업체의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매출 증가로 인해 새로운 수익이 발생함
3. 고객 인접 오프라인 업체를 통한 주문된 물품을 1시간 이내로 배송하여 고객들의 유휴시간이 증가함
4. 실질적으로 24시간 운영되어 B2C 상거래로 인한 기존의 오프라인 업체 업무 종료시간 이후에 유휴시간이 감소함
5. 위치기반 서비스를 사용하지 않고 식별된 고객정보를 통해 배송지 매칭정보를 AI가 분석하여 제공함으로써, 고객의 위치기반 정보 수집이 불필요하여 개인정보를 보호하여 원천적으로 누출을 차단함
- 기존 B2C 및 O2O 서비스가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개인정보가 노출될 위험이 존재하지만 본 발명은 식별된 고객정보를 통해 배송지를 AI가 매칭하여 주문된 물품이 배송됨으로 위치기반 서비스를 사용하여 발생되는 기존 서비스와 같은 개인정보 노출에 대한 위험성이 존재하지 않음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O2O 서비스를 통한 B2C 상거래 확장 융합 플랫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O2O 서비스를 통한 B2C 상거래 확장 융합 플랫폼 시스템 중 주문 모니터링 서버, 데이터 관리서버 및 업체 관리서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O2O 서비스를 통한 B2C 상거래 확장 융합 플랫폼 시스템의 S/W 및 H/W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O2O 서비스를 통한 B2C 상거래 확장 융합 플랫폼 흐름을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O2O 서비스를 통한 B2C 상거래 확장 융합 플랫폼 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O2O 서비스를 통한 B2C 상거래 확장 융합 플랫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O2O 서비스를 통한 B2C 상거래 확장 융합 플랫폼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주문 모니터링 서버, 데이터 관리서버, 업체 관리서버, 주문자 단말기 및 업체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을 참조로 하면,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온라인 및 오프라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업체를 통해 주문되는 품목 및 배송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주문정보에 대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기초로 주문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기 위한 주문 모니터링 서버와, 상기 주문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수신된 주문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한 식별코드 생성모듈과, 생성된 식별코드를 실시간으로 데이터 전처리하여 관리하기 위한 전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데이터 관리서버와, 상기 데이터 관리서버로부터 식별되어 관리되는 실시간 주문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하기 업체 관리서버와, 상기 업체 관리서버로부터 관리되는 주문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주문자 단말기 및 업체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 업체 관리서버로 주문된 물품을 소유하는 업체를 제외한 제3자를 배송자로 등록하기 위한 배송 단말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 질 수도 있다.
상기 주문자 단말기, 업체 단말기 및 배송 단말기 각각은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주문 모니터링 서버, 데이터 관리서버 및 업체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주문된 물품정보(예: 배송지 주소, 원하는 배송시간, 배송까지 소요되는 시간 등), 업체정보(예: 업체 위치, 연혁, 취급하는 물품/재료, 업종, 영업 시간 등) 및 업체가 보유하고 있는 상품정보(예: 가격, 취급하는 물품, 품목의 원산지, 유통기한 등)를 모두 포함하고 있는 주문정보를 송수신하거나, 상기 업체 단말기로부터 통해 실시간으로 변경되는 오프라인 품목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으로, 태블릿, 넷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스마트폰, 웨어러블 스마트 기기, POS(point of sales) 등의 다양한 통신 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제조사 서버 및 클라우드 서버에서 제공하는 각종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주문 모니터링 서버, 데이터 관리서버 및 업체 관리서버는 일종의 웹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모바일 서버로서 역할을 하도록 구축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처리된 결과를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웹페이지 상에서 보여주거나 필요한 입력 데이터를 웹페이지를 통해 전송받을 수 있고, 여기서 웹페이지는 같은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또한 데스크탑,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PC, POS 등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과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축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온라인 네트워크라 함은 유선 공중망, 무선 이동 통신망, 또는 휴대 인터넷 등과 통합된 코어 망일 수도 있고,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 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HTTPS(Hyper 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등을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 통신망을 포괄적으로 의미하는 것이다.
추가로, 상기 주문 모니터링 서버에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는 일반적으로 운영체제와 응용프로그램 사이의 통신에 사용되는 언어나 메시지 형식을 말하며, API는 프로그램 실행을 위해 특정 서브루틴에 연결을 제공하는 함수를 호출하는 것으로 구현된다. 그러므로, 하나의 API는 함수의 호출에 의해 요청되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이미 존재하거나 또는 연결되어 있는 몇 개의 프로그램 모듈, 루틴을 구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구성요소 중 하나인 주문 모니터링 서버에는 상기와 같은 API가 하나 이상 저장되어 있어 언제든지 조회 및 호출이 가능하며, 나아가 모든 API에 대한 빌딩 블록(building block)을 제공함으로써 온라인 및 오프라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업체 서버 등을 통해 적용되는 주문정보를 외부와 연계하여 모니터링하는 것을 보다 쉽게 할 수 있게 해 준다. 또한, 'API를 기초로 주문을 실시간 모니터링'이란 실시간 주문정보를 모니터링 되는 것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급 언어(High- level language), 예를 들어 Dephi, PHP, JavaScript, CSS 등 모든 종류의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API를 일컫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주문자 단말기, 업체 단말기 및 배송 단말기와 관련된 구체적인 사항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주문자 단말기, 업체 단말기 및 배송 단말기의 주요 구성요소, 기능 및 효과>
* 입력 모듈
- 주문자 단말기 및 업체/배송 단말기는 문자입력 방식, 터치입력 방식 및 음성입력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입력 방식을 통해 주문 및 배송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하고자 하는 물품에 대응되는 내용을 입력할 수도 있음
- 상기 입력 모듈은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하고, 입력 모듈은 주문자 단말기 및 업체/배송 단말기의 기능 제어와 관련한 키 신호를 생성하여 주문자 단말기 및 업체/배송 단말기로 전달할 수도 있음
- 쿼티 키패드, 3*4 키패드, 4*3 키패드, 볼 조이스틱(Ball Joystick), 옵티컬 조이스틱(Optical Joystick), 휠 키(Wheel Key), 터치 키(Touch key), 터치 패드(Touch Pad) 및 터치스크린(Touch-screen) 등과 같은 입력 수단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할 수도 있음
- 일례로, 주문자 단말기 및 업체/배송 단말기가 풀 터치스크린을 지원하는 경우, 해당 단말기의 케이스 측면에 형성되는 볼륨 조절을 위한 볼륨 키, 화면 온/오프 및 휴대단말기 온/오프를 위한 전원 키 만을 포함할 수도 있고, 특히, 데이터 관리서버 및 업체 관리서버 접속을 지시하는 입력 신호, 인증 정보입력에 해당하는 입력 신호, 특정 샌드 박스 선택을 지시하는 입력 신호, 콘텐츠의 색상, 투명도 변경을 지시하는 입력 신호 등과 같은 다양한 입력 신호 등을 생성하고, 이를 데이터 관리서버 및 업체 관리서버에 전달할 수도 있음
* 단말기 제어모듈
- 주문자 단말기 및 업체/배송 단말기의 전송받고자 하는 상거래 확장 융합 플랫폼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 및 주문자 단말기 및 업체/배송 단말기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음
- 예를 들어, 단말기 제어모듈은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등 및 주문자 단말기 및 업체/배송 단말기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반의 측정 센서가 구비될 수도 있음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O2O 서비스를 통한 B2C 상거래 확장 융합 플랫폼 시스템 중 주문 모니터링 서버, 데이터 관리서버 및 업체 관리서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주문 모니터링 서버, 데이터 관리서버 및 업체 관리서버와 관련된 구체적인 사항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주문 모니터링 서버, 데이터 관리서버 및 업체 관리서버의 주요 구성요소, 기능 및 효과>
* 식별코드 생성모듈
- 주문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수신된 주문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함으로써, 주문정보를 직관적이고 효율적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정보에 대해 개별로 데이터 관리가 가능하도록 함
- 위치기반 서비스를 사용하지 않고 식별된 코드를 통해 배송지 인접정보를 확보하여, 주문에 대한 배송을 요청하는 고객의 위치기반 수집이 불필요하여 고객들의 개인정보를 보호함
- 식별되어 생성된 코드는 배송지와 인접한 업체 매칭/분류/선정 과정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토대가 될 수도 있음
- 추가로, 주문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수신된 주문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생성된 코드 중에서 온라인 및 오프라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업체마다 부여된 코드에 따라 처음 주문된 사용자 단말기를 특정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기의 이력을 업체별로 관리하기 위한 이력관리 코드를 생성할 수도 있음
- 주문이력이 있는 사용자 단말기에 생성된 이력관리 코드를 통해, 데이터 관리서버에 의해 매칭/분류/선정된 업체에 오프라인 방문하기 전에 미리 원하는 상품을 주문하여 결제하도록 지원함으로써, 해당 업체 방문과 동시에 바로 원하는 물품을 픽업할 수도 있음
* 전처리 모듈
- 생성된 식별코드를 실시간으로 데이터 전처리하여 관리함으로써, 업체 매칭/분류/선정에 더 도움이 되는 데이터로서 관리가 가능하도록 함
- 일례로, 생성된 식별코드를 데이터로서 가공하여, 업체 매칭/분류/선정에 더 도움이 되는 정보를 이끌어 내고, 더욱 상세하게는 가공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경향성 및 변화 추이 반영, 주기함수의 결합 변환을 통한 연속적 데이터의 패턴을 분석, 시계열 데이터를 문자열 형태로 변환하여 패턴을 분석하는 과정 등을 포함할 수도 있음
- 추가로, 데이터 전처리는 상기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가공하고, 가공된 데이터를 알고리즘에 활용할 수 있는 형태로 데이터를 변환하며, 더욱 상세하게는 해당 데이터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평활화(Smoothing), 해당 데이터를 더 작은 범위에 들어가게 하기 위해 다듬는 정규화(Normalization), 해당 데이터 값을 다른 범위나 상위 레벨의 개념으로 대체하는 이산화(Discretization) 등을 포함될 수도 있음
- 더 나아가, 전처리된 데이터를 통해 단일 분석 알고리즘인 의사 결정 트리(Decision Tree)를 기반으로 주문된 배송 주소지를 형태소별로 분리, 매칭된 업체 중 거리를 기준으로 배송지와 인접한 업체로 분류 및 분류된 업체 중 실시간 교통상황을 반영하여 주문된 배송지까지 가장 빠른 배송이 가능한 업체를 선정하기 위한 모델을 구성한 다음, 상이한 단일 분석 알고리즘을 병렬로 배치하여, 복수의 단일 분석 알고리즘의 결합 조합 형태인 부스팅(Boosting) 기법을 활용하여, 부스티드 트리(Boosted Tree) 형태로 모델을 업데이트할 수도 있음
- 더욱이, 단일 분석 알고리즘 중 불량 단일 분석 알고리즘이 반복되어 발생되는 패턴을 분석하여, 복수의 단일 분석 알고리즘 형태로 모델 업데이트 시 불량 단일 분석 알고리즘을 제외할 수도 있음
- 상기 알고리즘 형태의 모델은 업체 매칭/분류/선정 시 기초가 되는 모델이 될 수도 있음
* 업체 매칭모듈
- 식별되어 관리되는 주문정보를 기초로 주문된 품목을 소유하고 있는 업체를 매칭함
- 식별되어 관리되는 주문정보를 기초로 주문된 배송 주소지를 형태소별로 분리하여 해당 형태소를 기초로 주문된 품목을 소유하고 있는 업체를 매칭함으로써, 매칭되는 주소를 가장 작은 의미단위 형태로서 단순화하여 신속한 매칭이 가능하도록 함
- 일례로, 형태소는 언어의 형태론적 수준에서 의미의 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이며, 주문된 배송 주소지를 자립성의 유무에 따른 형태소인 자립 형태소(다른 형태소와 결합하지 않고 홀로 자립하여 쓰일 수 있는 형태소) 및 의존 형태소(자립형태소와는 반대로 혼자서는 쓰일 수 없는 형태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소로서 분리될 수도 있음
- 일례로, 주문된 배송 주소지를 의미와 기능에 따른 형태소인 실질 형태소(구체적인 대상이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형태소로서 실제 의미를 담고 있는 형태소), 형식 형태소(실질 형태소에 붙어 주로 말과 말 사이의 관계를 표시하는 형태소) 및 유일 형태소( 단어의 구성에서 한 형태소가 그 경계는 분명하나 그 형태소가 결합한 다른 예를 찾을 수 없는 형태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소로서 분리될 수도 있음
- 또한, 자립 형태소는 체언/수식언/독립언 등이 속할 수도 있고, 의존 형태소는 어간/어미/접사/조사 등이 속할 수도 있고, 형식 형태소는 어간/어미/접사/조사 등이 속할 수도 있고, 유일 형태소의 일례로, '안간힘'은 '안간-힘'으로 분석 된다면, '힘'은 무엇인지 알 수 있어도 '안간'은 다른 예를 찾을 수 없어 정확한 의미를 알기 어려워 '안간'은 유일 형태소로 분리되는 예가 되지만, '안-간힘'으로 분석 된다면, 명사'안'과 명사 '간힘'이 결합된 합성어로 보아 명사'안'과 명사 '간힘'모두 분석하기에 유일 형태소가 아닐 수도 있음
* 업체 분류모듈
- 업체 매칭모듈에 의해 매칭된 업체 중 거리를 기준으로 배송지와 인접한 업체로 분류함
- 일례로, 업체 매칭모듈에 의해 매칭된 업체 중 배송지 주소와 가까운 거리에 있는 다수의 업체를 거리 기준으로 리스트화하여 분류할 수도 있음
- 또한, 상기 분류되는 업체는 국내 전역 업체, 특정 지역(예: 도, 시, 구, 동 등) 업체, 특정 업체(예: 프랜차이즈 등) 등을 대상으로 할 수도 있음
- 예를 들어 서대문구, 은평구, 마포구, 용산구, 종로구, 남대문 시장, 동대문 시장, 광장시장 등이나 임의적으로 규정한 존(Zone)(예: 강남존, 역삼존, 선릉존 등)과 같이 분류되는 지역을 한정하여 설정할 수도 있음
- 일례로, 주문된 물품이 맞춤 제작이 필요한 물품이어서, 업체 매칭모듈에 의해 매칭된 업체 중 인접한 업체가 없을 경우, 업체 분류모듈에서 분류되는 업체의 범위를 국내 전역 업체, 특정 지역(예: 도, 시, 구, 동 등) 업체, 특정 업체(예: 업계에서 해당 맞춤 제작으로 유명한 지역에 밀집된 업체) 등과 같은 지역으로서 한정하여 거리를 기준으로 배송지와 인접한 업체가 분류될 수도 있음
* 업체 선정모듈
- 업체 분류모듈에 의해 분류된 업체 중 실시간 교통상황을 반영하여 주문된 배송지까지 가장 빠른 배송이 가능한 업체를 선정함으로써, 주문된 물품의 배송지까지 배송이 가장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
- 일례로, 실시간 교통상황은 한국도로공사교통방송 서버를 통해서 실시간 교통상황 데이터를 업체 선정모듈이 수신 받을 수도 있으며, 한국도로공사교통방송 서버를 통해 확인 가능한 CCTV 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실시간 교통상황 데이터를 업체 선정모듈이 수신 받을 수도 있음
* 배송 중계모듈
- 배송 단말기와 주문된 물품을 소유하는 업체 단말기를 중계함
- 일례로, 업체 매칭/분류/선정모듈에 의해 주문된 물품을 소유하고 있는 업체지만 업체 자체적으로 배송이 불가능하여 매칭, 분류 및 선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포함되지 않은 업체와, 업체 매칭/분류/선정모듈에 의해 매칭, 분류 및 선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포함된 업체를 배송지와 인접한 거리를 기준으로 비교하여 가장 인접한 업체를 특정하고, 해당 특정된 업체가 주문된 물품을 소유하고 있는 업체지만 업체 자체적으로 배송이 불가능한 업체일 경우, 해당 업체 단말기와 배송 단말기를 중계하여 주문된 물품 배송이 단시간(예: 1시간 이내)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
- 또한, 상기 업체 단말기는 배송 단말기가 미리 설정한 배송 가능 조건 및 배송 이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업체 단말기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도 있음
- 일례로, 배송만을 하는 제3자는 자전거, 오토바이, 승용차, 트럭 등 운송수단을 가진 자로서 오배송 및 다수의 지연배송 경력이 없는 자를 대상으로 함
- 상기 제3자에 대한 운송 요건(예: 과거 절도죄 여부, 오배송 경력 여부, 지연배송 경력 여부, 본인의 과실에 의한 교통사고 여부 등)을 기반으로 배송자로 적합한지에 대한 여부가 판단되도록 지원될 수도 있음
- 상기 배송 단말기가 미리 설정한 배송 가능 조건이란, 발송지와 도착지 사이의 배송 가능 거리, 배송 업무가 수행 가능한 시간, 배송 가능한 물품의 중량 및 크기 또는 성질(예: 고체, 액체, 분말 등) 등을 대상으로 함
- 일례로, 전문적인 배송업에 종사하고 있지 않은 제3가 동 단위의 운송거리 및 운송 가능한 중량의 물품에 대해 알바형식의 운송 업무를 수행하도록 하여, 단기 일자리 창출 및 전문적인 배송 공급자를 통하지 않고 신속하게 동 단위의 거리에 대한 배송 업무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함
* 품목정보 업데이트 모듈
- 업체 단말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변경되는 오프라인 품목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함으로써, 오프라인을 통해 취급되는 품목에 대한 정보가 변경되면 실시간으로 변경된 정보를 데이터 관리서버로 전송하여 바로 업체 매칭/분류/선정에 적용 가능하도록 지원될 수 있음
- 또한,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된 사용자 SNS 계정을 통하여, 매칭/분류/선정된 업체의 물품 정보를 게시하여 해당 업체를 홍보하도록 지원될 수도 있음에 따라 업체에 대한 자발적인 마케팅 활동이 이루어질 수도 있음
- 일례로, 사용자 SNS 계정을 통해 물품 정보가 게시된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기에 해당 업체의 할인 쿠폰, 무료 쿠폰, 해당 업체에서 현금처럼 사용 가능한 포인트를 지급하도록 지원될 수도 있음에 따라 해당 사용자가 업체 홍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할 수도 있음
- 다국어 업데이트를 통해 국가 언어에 맞는 물품정보를 업데이트할 수도 있음
- 일례로, 업체 단말기를 통해 다국어 언어에 맞는 물품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모션이 가능하게 지원될 수도 있음에 따라 언어적 불편함에 상관없는 실용적인 홍보를 할 수도 있음
- 일례로, 오프라인을 통해 외국인이 해당 업체를 방문하는 경우, 업체 입장에서 물품에 대해 설명할 때, 외국인이 사용하는 언어에 따라 업체 입장에서도 대응하기 쉽지가 않고, 외국인도 단순히 설명 없이 그림을 보고 물품을 주문할 수밖에 없는데, 다국어가 적용된 물품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해당 외국인 사용자의 오프라인 방문율을 높일 수도 있음
* 주문정보 출력모듈
- 관리되는 주문정보를 자동으로 출력함으로써, 업체 입장에서 주문정보를 직관적으로 인식 가능하도록 함
- 업체관리 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주문정보를 문자, 그림, 영상 및 음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로 출력이 가능함
- 또한, 사용자 단말기가 매칭/분류/선정된 업체에게 주문된 배송 품목으로 특정된 실제 품목에 대한 이미지, 동영상 및 음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을 이용한 추가 설명을 요청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 시 상세 설명(예: 배송 품목으로 특정된 실제 상품에 대한 동영상을 통한 직관적인 안내, 이미지를 통한 다양한 접근, 배송 품목으로 특정된 실제 품목이 농수산물인 경우 해당 품목의 유통기한 및 원산지 경로의 설명 등)을 제공하여, 최종적으로 배송 품목으로 특정된 실제 품목에 대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도 있음
* 포인트 관리모듈
- 식별되어 관리되는 실시간 주문정보를 기초로 주문자 단말기에 포인트를 적립함으로써, 매칭/분류/선정된 업체에 대한 누적된 포인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실용적인 고객 유치가 가능하도록 함
- 사용자 단말기에 매칭/분류/선정된 업체마다 별도로 운영되는 이벤트를 안내하면서, 이벤트 안내 시 해당 업체의 위치, 연락처, 새로운 판매목록, 적용되는 할인율 및 가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업체 정보를 함께 전송될 수도 있음에 따라 해당 고객의 오프라인 방문율을 높일 수도 있음
- 사용자 단말기에 매칭/분류/선정된 업체마다 별도로 운영되는 이벤트를 안내하면서, 이벤트 안내 시 해당 업체의 위치, 연락처, 새로운 판매목록, 적용되는 할인율 및 가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업체 정보를 함께 전송될 수도 있음에 따라 중소형 업체의 효율적인 마케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음
- 또한, 누적된 포인트 정보를 기반으로 한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의해 해당 사용자의 포인트를 현금 및 모바일 쿠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전환될 수도 있음에 따라 적립된 포인트를 다양하게 활용도록 할 수도 있음
- 일례로, 사용자 단말기가 누적된 포인트를 현금으로 전환 요청하게 되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은행계좌를 수신한 다음으로 사용자 인증과정을 거쳐 현금을 사용자 은행계좌로 송금하고 현금 전환 대비 누적 고객 포인트가 차감되도록 지원될 수도 있음
- 또한, 사용자 단말기가 누적된 포인트 중 일부 포인트만을 현금으로 전환하도록 지원할 수도 있음
- 제3자가 포인트 관리모듈에 사용자로 등록되어 있는 경우, 제3자는 포인트를 선물 받아 제3자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누적된 포인트를 모바일 쿠폰이나 현금으로 전환 요청하여 수령하도록 지원할 수도 있음
- 제3자가 포인트 관리모듈에 사용자로 등록되어 있지 않는 경우, 제3자는 포인트 관리모듈의 요청 하에 사용자 아이디, 사용자 연락처 등을 전송하여 사용자로 등록한 다음 포인트를 선물 받도록 지원할 수도 있음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O2O 서비스를 통한 B2C 상거래 확장 융합 플랫폼 시스템의 S/W 및 H/W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기존 구축되어 사용되고 있는 B2C SERVER 혹은 구축된 B2C SERVER를 통해 실시간으로 주문되는 정보에 대한 API 기능을 기초로 주문을 체크 및 모니터링하고, 해당 주문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해당 코드 및 주문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는 있는 S/W 및 H/W 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식별코드를 기초로 업체와의 매칭 데이터를 통해 배송지와 인접한 업체를 검색하며, 검색된 업체는 실시간 주문정보 관리 서버 또는 프로그램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무인 자동출력기기를 통해 해당 주문 및 배송지 정보 등과 같은 주문과 관련된 종합적인 정보가 확인 가능하며, 해당 정보는 배송 관리용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되며, 해당 스마트폰은 다시 데이터를 실시간 주문정보 관리 서버 또는 프로그램으로 전송하고, 실시간 주문정보 관리 서버 또는 프로그램은 주문된 품목에 대한 배송결과를 B2C SERVER로 전송하는 S/W 및 H/W 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O2O 서비스를 통한 B2C 상거래 확장 융합 플랫폼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온라인 및 오프라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업체를 통해 주문되는 B2C 상거래에 대해 API 기능을 기초로 실시간 주문을 모니터링하고, 해당 모니터링된 정보 기반의 분석을 통해 해당 주문의 배송지 인접 업체를 매칭하며, 매칭된 결과값을 외부 storage 및 클라우드로서 저장되어 관리될 수도 있다.
또한, 업체 각각은 주문되어 매칭되는 실시간 주문정보를 S/W 및 단말기를 통해 전송받아 모니터링하며, 해당 주문정보는 무인 자동출력기기를 통해 모니터 화면을 통한 출력, 인쇄, 스피커를 통한 음성 등으로 출력될 수도 있으며, 각각의 매칭된 주문의 배송에 따라 일례로, 1시간 이내 배송완료, 1시간 이내 근접 배송완료 등과 같은 배송결과를 배송 관리용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 가능하며, 더 나아가, 배송결과를 온라인 및 오프라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업체를 통해 주문되는 B2C 상거래 서버에 전송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온라인 및 오프라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업체를 통해 주문되는 품목 및 배송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주문정보에 대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기초로 주문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기 위한 주문 모니터링 서버와;
    상기 주문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수신된 주문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한 식별코드 생성모듈과, 생성된 식별코드를 실시간으로 데이터 전처리하여 관리하기 위한 전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데이터 관리서버와;
    상기 데이터 관리서버로부터 식별되어 관리되는 실시간 주문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하기 업체 관리서버와;
    상기 업체 관리서버로부터 관리되는 주문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주문자 단말기 및 업체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 관리서버는 식별되어 관리되는 주문정보를 기초로 주문된 품목을 소유하고 있는 업체를 매칭하기 위한 업체 매칭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업체 매칭모듈은 식별되어 관리되는 주문정보를 기초로 주문된 배송 주소지를 자립 형태소, 의존 형태소, 실질 형태소, 형식 형태소 및 유일 형태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소별로 분리하여 해당 형태소를 기초로 주문된 품목을 소유하고 있는 업체를 매칭하며,
    상기 데이터 관리서버는 업체 매칭모듈에 의해 매칭된 업체 중 거리를 기준으로 배송지와 인접한 업체로 분류하기 위한 업체 분류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관리서버는 업체 분류모듈에 의해 분류된 업체 중 실시간 교통상황을 반영하여 주문된 배송지까지 가장 빠른 배송이 가능한 업체를 선정하기 위한 업체 선정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전처리 모듈은 상기 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전처리하여, 전처리된 데이터를 통해 단일 분석 알고리즘인 의사 결정 트리(Decision Tree)를 기반으로 주문된 배송 주소지를 형태소별로 분리하고, 매칭된 업체 중 거리를 기준으로 배송지와 인접한 업체로 분류 및 분류된 업체 중 실시간 교통상황을 반영하여 주문된 배송지까지 가장 빠른 배송이 가능한 업체를 선정하기 위한 모델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2O 서비스를 통한 B2C 상거래 확장 융합 플랫폼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업체 관리서버로 주문된 물품을 소유하는 업체를 제외한 제3자를 배송자로 등록하기 위한 배송 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관리서버는 배송 단말기와 주문된 물품을 소유하는 업체 단말기를 중계하기 위한 배송 중계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2O 서비스를 통한 B2C 상거래 확장 융합 플랫폼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업체 관리서버는 업체 단말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변경되는 오프라인 품목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품목정보 업데이트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2O 서비스를 통한 B2C 상거래 확장 융합 플랫폼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업체 관리서버는 관리되는 주문정보를 자동으로 출력하기 위한 주문정보 출력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2O 서비스를 통한 B2C 상거래 확장 융합 플랫폼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주문정보 출력모듈은 업체관리 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주문정보를 문자, 그림, 영상 및 음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로 출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O2O 서비스를 통한 B2C 상거래 확장 융합 플랫폼 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업체 관리서버는 식별되어 관리되는 실시간 주문정보를 기초로 주문자 단말기에 포인트를 적립하기 위한 포인트 관리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2O 서비스를 통한 B2C 상거래 확장 융합 플랫폼 시스템.
KR1020200136735A 2020-10-21 2020-10-21 O2o 서비스를 통한 b2c 상거래 확장 융합 플랫폼 시스템 KR102257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735A KR102257081B1 (ko) 2020-10-21 2020-10-21 O2o 서비스를 통한 b2c 상거래 확장 융합 플랫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735A KR102257081B1 (ko) 2020-10-21 2020-10-21 O2o 서비스를 통한 b2c 상거래 확장 융합 플랫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7081B1 true KR102257081B1 (ko) 2021-05-26

Family

ID=76137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6735A KR102257081B1 (ko) 2020-10-21 2020-10-21 O2o 서비스를 통한 b2c 상거래 확장 융합 플랫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708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3678A (ko) * 2003-07-03 2005-01-12 종 해 김 지역별 셔틀택배 시스템을 구비한 인터넷 b2c 상거래시스템과 방법
KR20060118152A (ko) * 2005-05-16 2006-11-23 주식회사 케이티 전자거래코드를 이용한 공급체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60122043A (ko) * 2005-05-25 2006-11-30 배상혁 온라인 구매 물품의 배송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101735018B1 (ko) * 2015-11-09 2017-05-12 쿠팡 주식회사 배송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80047794A (ko) 2016-11-01 2018-05-10 주식회사 케이티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 행동 패턴에 기반한 o2o 마케팅 플랫폼 시스템 및 그 구축 방법
KR20200065607A (ko) 2018-11-30 2020-06-0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기술 거래를 위한 o2o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기술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3678A (ko) * 2003-07-03 2005-01-12 종 해 김 지역별 셔틀택배 시스템을 구비한 인터넷 b2c 상거래시스템과 방법
KR20060118152A (ko) * 2005-05-16 2006-11-23 주식회사 케이티 전자거래코드를 이용한 공급체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60122043A (ko) * 2005-05-25 2006-11-30 배상혁 온라인 구매 물품의 배송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101735018B1 (ko) * 2015-11-09 2017-05-12 쿠팡 주식회사 배송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80047794A (ko) 2016-11-01 2018-05-10 주식회사 케이티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 행동 패턴에 기반한 o2o 마케팅 플랫폼 시스템 및 그 구축 방법
KR20200065607A (ko) 2018-11-30 2020-06-0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기술 거래를 위한 o2o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기술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7368B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ractive product merchandizing
US20120296682A1 (en) Real time e-commerce user interface for monitoring and interacting with consumers
US10387861B2 (en) Electronic receipt management system
US201002992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net based advertising in a retail environment
KR20110032878A (ko) Sns 프로그램에서 구현되는 키워드 광고방법 및 시스템
US20220351219A1 (en) Store use information distribution device, store use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equipped with same, and store use information distribution method
KR102221980B1 (ko) 고객 세분화를 이용한 고객 맞춤형 캠페인 관리 시스템
CN109155041A (zh) 提供与社交图相关联的基于旅行或促销的推荐
KR102244112B1 (ko) 스마트 주문 기반의 비대면 매장 주문 관리 시스템
KR101602106B1 (ko)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150102266A (ko) 빅데이터를 이용한 여행 컨텐츠 제공 시스템
KR101405622B1 (ko) 상호작용형 네트워크 기반 정보 객체들의 화폐화
JP2004295267A (ja) 広告方法,及び、広告プログラム
KR20150018737A (ko) 광고주와 가맹점을 매칭하여 소비자에게 이벤트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257081B1 (ko) O2o 서비스를 통한 b2c 상거래 확장 융합 플랫폼 시스템
KR20220051501A (ko) 인플루언서 활동 분석을 통한 광고주 매칭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8107898A (ja) 電子クーポン流通システム
WO2017126707A1 (ja) 商品購入支援システム
JPWO2005008550A1 (ja) 情報提供方法、プログラム及びサーバ
KR20080052963A (ko) 판매콘텐츠를 이용한 인터넷 판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1014028A2 (ko) 상품 거래 중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상품 거래 중개 방법
KR102207735B1 (ko) Nfc 기반의 매장 주문 관리 시스템
KR20220015322A (ko) 디지털 메시지로부터 정보를 획득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12784021A (zh) 用于使用从评论提取的关键字的系统和方法
JP6853029B2 (ja) 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