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6317A - 오프라인 매장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 Google Patents

오프라인 매장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6317A
KR20140116317A KR1020130030890A KR20130030890A KR20140116317A KR 20140116317 A KR20140116317 A KR 20140116317A KR 1020130030890 A KR1020130030890 A KR 1020130030890A KR 20130030890 A KR20130030890 A KR 20130030890A KR 20140116317 A KR20140116317 A KR 20140116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keting
store
service
offline
offline st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0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5379B1 (ko
Inventor
신지훈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0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5379B1/ko
Publication of KR20140116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6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5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5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36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 G06K7/103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being moveable
    • G06K7/1038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being moveable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of the portable or hand-handheld type, e.g. incorporated in ubiquitous hand-held devices such as PDA or mobile phone, or in the form of a portable dedicated RFID read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프라인 매장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를 개시한다. 즉,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된 방문객의 태깅정보를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방문객 입장이 확인되면, 마케팅 서비스에서 상기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하여 설정된 키워드를 기초로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마케팅컨텐츠에 접근하도록 함으로써, 오프라인 매장을 효과적으로 홍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프라인 매장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MARKETING SERVICE SYSTEM FOR OFFLINE RETAILED STORE ADVERTISEMENT DELIVERY SYSTEM AND METHOD THEREOF, AND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본 발명은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된 태깅정보를 기초로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방문객 입장이 확인되면,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된 실시간 정보를 마케팅 서비스에서 서비스하도록 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온라인으로 사용자의 주변이나 관심지역의 오프라인 매장 정보를 제공하는 마케팅 서비스가 상용화되었으며, 이러한 마케팅 서비스의 경우 오프라인 매장 운영자 입장에서도 효과적인 매장 홍보 수단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술한 마케팅 서비스에서 중요한 요소는 실제로 영업하고 있는 매장의 실시간 정보를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정확하게 수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마케팅 서비스들은 매장의 정보를 수동적인 방식으로 수집하거나 행정상 등록된 기본정보를 이용하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변동되는 매장의 실시간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서비스하기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된 방문객의 태깅정보를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방문객 입장이 확인되면, 마케팅 서비스에서 상기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하여 설정된 키워드를 기초로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마케팅컨텐츠에 접근하도록 함으로써, 오프라인 매장을 효과적으로 홍보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마케팅장치는, 방문객이 소지한 단말장치로부터 오프라인 매장에 비치된 태그에 대한 태깅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태깅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 마케팅 서비스에서 상기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하여 설정된 키워드를 기초로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마케팅컨텐츠에 접근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케팅장치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된 상기 키워드를 설정하는 설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케팅 서비스에서 상기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하여 지정된 상기 키워드가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상기 마케팅컨텐츠에 접근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케팅장치는, 상기 태깅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방문객 수를 누적하여 갱신하는 갱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워드와 관련된 상기 오프라인 매장이 2 이상인 경우, 상기 마케팅 서비스에서 상기 2 이상의 오프라인 매장 각각의 방문객 수를 기초로 상기 2 이상의 오프라인 매장 각각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상기 마케팅컨텐츠에 접근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케팅 서비스에서 상기 2 이상의 오프라인 매장 중 상기 방문객 수가 가장 많은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상기 마케팅컨텐츠에 우선적으로 접근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케팅장치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상기 마케팅컨텐츠를 상기 마케팅 서비스와 관련된 서비스장치에 제공하는 제공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된 상기 태깅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상기 마케팅컨텐츠를 상기 서비스장치에 제공하도록 하여 상기 마케팅 서비스에서 상기 마케팅컨텐츠에 접근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케팅장치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상기 마케팅컨텐츠를 등록하는 등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상기 마케팅컨텐츠가 이전에 제공된 마케팅컨텐츠와 상이한 경우에만,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상기 마케팅컨텐츠를 상기 서비스장치에 제공하도록 하여 상기 마케팅 서비스에서 상기 마케팅컨텐츠에 접근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하여 지정된 상기 키워드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도록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 마케팅 서비스 방법은 단말장치가 오프라인 매장에 비치된 태그에 대한 태깅정보를 마케팅장치에 전송하는 전송단계; 상기 마케팅장치가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태깅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단계; 및 상기 마케팅장치가 상기 태깅정보가 수신되면, 마케팅 서비스에서 상기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하여 설정된 키워드를 기초로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마케팅컨텐츠에 접근하도록 하는 접근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마케팅장치의 동작 방법은, 방문객이 소지한 단말장치로부터 오프라인 매장에 비치된 태그에 대한 태깅정보를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단계; 및 상기 태깅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 마케팅 서비스에서 상기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하여 설정된 키워드를 기초로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마케팅컨텐츠에 접근하도록 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된 상기 키워드를 설정하는 설정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마케팅 서비스에서 상기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하여 지정된 상기 키워드가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상기 마케팅컨텐츠에 접근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태깅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방문객 수를 누적하여 갱신하는 갱신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키워드와 관련된 상기 오프라인 매장이 2 이상인 경우, 상기 마케팅 서비스에서 상기 2 이상의 오프라인 매장 각각의 방문객 수를 기초로 상기 2 이상의 오프라인 매장 각각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상기 마케팅컨텐츠에 접근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마케팅 서비스에서 상기 2 이상의 오프라인 매장 중 상기 방문객 수가 가장 많은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상기 마케팅컨텐츠에 우선적으로 접근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상기 마케팅컨텐츠를 상기 마케팅 서비스와 관련된 서비스장치에 제공하는 제공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된 상기 태깅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상기 마케팅컨텐츠를 상기 서비스장치에 제공하도록 하여 상기 마케팅 서비스에서 상기 마케팅컨텐츠에 대한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상기 마케팅컨텐츠를 등록하는 등록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상기 마케팅컨텐츠가 이전에 제공된 마케팅컨텐츠와 상이한 경우에만,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상기 마케팅컨텐츠를 상기 서비스장치에 제공하여 상기 마케팅 서비스에서 상기 마케팅컨텐츠에 대한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하여 지정된 상기 키워드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도록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은,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장치; 오프라인 매장에 비치된 태그에 대한 태깅정보를 전송하는 단말장치; 및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태깅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마케팅 서비스에서 상기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하여 설정된 키워드를 기초로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마케팅컨텐츠에 접근하도록 하는 마케팅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의 오프라인 매장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에 의하면,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된 태깅정보를 기초로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방문객 입장이 확인되면,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된 실시간 정보를 마케팅 서비스에 제공하여 서비스하도록 함으로써, 오프라인 매장을 효과적으로 홍보할 수 있으며, 또한, 마케팅 서비스 입장에서도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는 현장 정보를 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므로, 서비스 만족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케팅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케팅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케팅 서비스의 서비스화면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은,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된 방문객의 태깅정보를 전송하는 단말장치(100), 마케팅 서비스에서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하여 등록된 마케팅컨텐츠에 접근하도록 하는 마케팅장치(200), 및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장치(3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단말장치(100)는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객이 소지한 사용자 디바이스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스마트폰, 테블릿 PC, 및 PDA,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오프라인 매장에 비치된 태그(tag)에 대한 태깅 동작이 가능하며, 해당 태깅정보를 마케팅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는 장치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오프라인 매장에 비치된 태그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를 지칭하는 것으로, 오프라인 매장을 구분하기 위한 고유의 태그식별정보(ID)가 부여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태그가 오프라인 매장에 비치된 구성만을 한정하고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오프라인 매장뿐만이 아니라 옥외 특정 장소(예: 방문객들이 많은 도로/거리)에 비치되는 구성 또한 가능하다.
아울러, 마케팅장치(200)는 오프라인 매장을 홍보하기 위해 등록된 마케팅컨텐츠를 관리하기 위한 서버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오프라인 매장 운영자로부터 등록된 마케팅컨텐츠를 마케팅 서비스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서비스장치(300)에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서비스장치(300)는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마케팅컨텐츠를 마케팅장치(200)로부터 수신하여 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마케팅 서비스는 인터넷/모바일 환경에서,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하여 이미지/위치/전화번호/메뉴/쿠폰정보 등의 다양한 마케팅컨텐츠를 제공 가능한 서비스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웹 사이트 또는 모바일 응용프로그램(예: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포털 검색 서비스 및 광고 서비스 등이 해당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장치(300)가 제공하는 마케팅 서비스를 통해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홍보가 이루어지도록 동작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기존 마케팅 서비스에서는 오프라인 매장의 정보를 수집하는데 있어서,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가 수동적으로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된 정보를 조사하거나, 오프라인 매장 관계자가 직접 자신을 홍보하기 위한 마케팅컨텐츠를 마케팅 서비스에 등록하는 방법 또는, 행정상 등록된 업체의 기본정보를 이용하는 수동적인 방식을 이용하게 된다.
이는, 일부 대형매장을 제외한 대부분의 오프라인 매장들이 자신의 홈페이지를 가지고 있지 않아 웹 문서 수집기(crawler)를 통한 정보수집 방식으로 매장의 정보를 수집할 수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그러나, 마케팅 서비스 사업자가 수시로 변화하는 많은 수의 오프라인 매장의 실시간 정보를 모두 조사하고 관리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고 오프라인 매장 관계자가 자신의 마케팅컨텐츠를 여러 마케팅 서비스에 일일이 등록하는 것 또한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
이렇듯, 오프라인 매장의 홍보와 관련된 마케팅 서비스에서 오프라인 매장의 정보를 수동적인 방식으로 수집하거나 행정상 등록된 기본정보를 이용하는 경우, 실시간으로 변동되는 매장의 실시간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서비스하기가 어렵다 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된 태깅정보를 기초로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방문객 입장이 확인되면,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된 실시간 정보를 마케팅 서비스에서 서비스하도록 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단말장치(100)는 태깅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00)는 오프라인 매장에 배치된 태그를 태깅하여 태그식별정보를 획득하고, 태그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태깅정보를 마케팅장치(200)에 전송함으로써, 이를 수신한 마케팅장치(200)로 하여금 오프라인 매장에 방문객이 입장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단말장치(100)는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된 마케팅컨텐츠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00)는 태깅정보를 수신한 마케팅장치(200)로부터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마케팅컨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하거나, 표시하게 된다.
여기서, 마케팅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마케팅컨텐츠의 경우 해당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된 정보로서, 쿠폰, 할인권, 사진, 이미지, 매장/상품 안내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오프라인 매장에서 방문객의 태깅 동작을 유도하기 위한 정보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마케팅장치(200)는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된 마케팅컨텐츠를 등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마케팅장치(200)는 오프라인 매장의 운영자로부터 수신되는 마케팅컨텐츠를 해당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등록하게 된다.
이때, 마케팅장치(200)는 오프라인 매장 고유의 매장식별정보를 부여하며, 이를 오프라인 매장에 배치된 태그의 태그식별정보와 맵핑하고, 맵핑정보에 대응하도록 마케팅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방식을 통해 다수의 오프라인 매장의 운영자로부터 수신되는 마케팅컨텐츠를 각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는 각각의 마케팅컨텐츠로서 등록하게 된다.
또한, 마케팅장치(200)는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키워드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마케팅장치(200)는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설정함으로써, 서비스장치(300)에서 제공하는 마케팅 서비스에서 설정된 키워드를 통한 검색을 통해 해당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는 마케팅컨텐츠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마케팅장치(200)는 오프라인 매장의 위치정보, 업태, 업종, 연관 검색어 등의 다양한 기준으로 키워드를 설정하게 되며, 이에, 하나의 오프라인 매장에 복수의 키워드를 중복 설정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하나의 키워드에는 복수의 오프라인 매장이 포함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마케팅장치(200)는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방문객 입장을 인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마케팅장치(2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태깅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태깅정보에 포함된 태그식별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태그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에 방문객이 입장하였음을 인지하게 된다.
이때, 마케팅장치(2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태깅정보가 수신되어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방문객 입장이 인지되면, 해당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객 수를 누적하여 갱신함과 동시에, 태깅정보가 수신된 시간, 즉, 방문객이 입장한 시점정보를 오프라인 매장의 실시간 정보로서 함께 저장하게 된다.
또한, 마케팅장치(200)는 마케팅컨텐츠를 서비스장치(30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마케팅장치(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장치(100)로부터 태깅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마케팅컨텐츠를 서비스장치(300)에 제공함으로써 마케팅 서비스에서 서비스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마케팅장치(200)는 누적 갱신된 방문객 수와 방문객이 입장한 시점정보에 해당하는 오프라인 매장의 실시간 정보를 등록된 마케팅컨텐츠와 함께 서비스장치(300)에 제공함으로써, 서비스장치(300)로 하여금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된 키워드가 서비스 이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경우, 오프라인 매장의 실시간 정보에 기초한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케팅장치(200)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케팅장치(200)는 마케팅컨텐츠를 등록하기 위한 등록부(210),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키워드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부(220), 태깅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230),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객 수를 누적 갱신하기 위한 갱신부(240), 마케팅컨텐츠를 서비스장치(300)에 제공하기 위한 제공부(250) 및, 마케팅장치(200)의 전술한 구성 모두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6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전술한 등록부(210), 설정부(220), 수신부(230), 갱신부(240), 제공부(250), 및 제어부(260)를 포함하는 마케팅장치(200)의 각 구성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등록부(210)는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된 마케팅컨텐츠를 등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등록부(210)는 오프라인 매장의 운영자로부터 수신되는 마케팅컨텐츠를 해당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등록하게 된다.
이때, 등록부(210)는 오프라인 매장 고유의 매장식별정보를 부여하며, 이를 오프라인 매장에 배치된 태그의 태그식별정보와 맵핑하고, 맵핑정보에 대응하도록 마케팅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방식을 통해 다수의 오프라인 매장의 운영자로부터 수신되는 마케팅컨텐츠를 각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는 각각의 마케팅컨텐츠로서 등록하게 된다.
여기서, 마케팅컨텐츠는 태깅 동작이 이루어진 단말장치(100)에 제공됨과 아울러,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장치(300)에 함께 제공되게 된다.
이에, 마케팅장치(200)는 단말장치(100) 및 서비스장치(300) 모두에 동일한 마케팅컨텐츠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오프라인 매장 운영자로부터 상이한 마케팅컨텐츠 제공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등록부(210)는 단말장치(100) 및 서비스장치(300) 각각에 대응하는 마케팅컨텐츠를 구분하여 등록할 수 있다.
설정부(220)는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키워드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정부(220)는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설정함으로써, 서비스장치(300)에서 제공하는 마케팅 서비스에서 설정된 키워드를 통한 검색을 통해 해당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는 마케팅컨텐츠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설정부(220)는 오프라인 매장의 위치정보, 업태, 업종, 연관 검색어 등의 다양한 기준으로 키워드를 설정하게 되며, 이에, 하나의 오프라인 매장에 복수의 키워드를 중복 설정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하나의 키워드에는 복수의 오프라인 매장이 포함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오프라인 매장의 키워드는 다양한 기준으로 설정 가능하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하는 키워드를 설정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의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명동에 위치하는 커피전문점 A의 키워드로서, '명동', '커피샵'이 설정할 수 있으며, '명동', '커피샵'이란 키워드의 경우 상기 커피전문점 A뿐만 아니라, 명동에 위치하는 다수의 커피전문점의 키워드로서도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설정부(220)는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키워드 설정이 완료되면, 설정된 키워드를 아래 [표1]과 같이 매장식별정보, 태그식별정보, 그리고 마케팅컨텐츠와 함께 맵핑하여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게 된다.
매장식별정보 태그식별정보 마케팅컨텐츠(URI or URL) 키워드
매장 A TAG0001 XXX 명동, 커피샵
매장 B TAG0002 YYY 명동, 커피샵
매장 C TAF0003 ZZZ 명동, 커피샵
한편,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키워드 설정이 완료되면, 설정된 키워드를 서비스장치(300)에 제공함으로써, 이후 제공된 키워드 기반으로 마케팅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수신부(230)는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방문객 입장을 인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신부(23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태깅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태깅정보에 포함된 태그식별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태그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에 방문객이 입장하였음을 인지하게 된다.
이때, 갱신부(240)는 설정부(230)에서 단말장치(100)로부터 태깅정보를 수신하여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방문객 입장이 인지되면, 해당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객 수를 누적하여 갱신함과 동시에, 태깅정보가 수신된 시간, 즉, 방문객이 입장한 시점정보를 오프라인 매장의 실시간 정보로서 함께 저장하게 된다.
제공부(250)는 마케팅컨텐츠를 서비스장치(30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공부(250)는 수신부(230)에서 단말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태깅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 해당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마케팅컨텐츠를 서비스장치(300)에 제공함으로써 마케팅 서비스에서 서비스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마케팅컨텐츠의 제공 방식의 경우, 등록된 마케팅컨텐츠를 추출하여 서비스장치(300)에 직접 제공하는 방식과, 서비스장치(300)의 접속을 유도하여 등록된 컨텐츠를 가져가도록 하는 방식 모두 가능하다.
이때, 제공부(250)는 누적 갱신된 방문객 수와 방문객이 입장한 시점정보에 해당하는 오프라인 매장의 실시간 정보를 등록된 마케팅컨텐츠와 함께 서비스장치(300)에 제공함으로써, 서비스장치(300)로 하여금 오프라인 매장의 실시간 정보에 기초한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마케팅 서비스에서 검색어로서, '명동', '커피샵'이 입력되고, 해당 키워드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이 다수인 경우, 각 오프라인 매장의 실시간 정보 즉, 누적 갱신된 방문객 수와 방문객이 입장한 시점정보를 기초로, 현재 방문객이 가장 많은 오프라인 매장, 지난 일주일 동안 방문객이 가장 많이 이용한 매장 등의 다양한 기준으로 오프라인 매장 목록을 나열할 수 있으며, 이를 확인한 마케팅 서비스 이용자는 오프라인 매장 목록 중 특정 오프라인 매장을 선택함으로써, 해당 오프라인 매장의 운영자가 직접 등록한 마케팅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60)는 제공부(250)에서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는 마케팅컨텐츠를 서비스장치(300)에 전송하기 전에 현재 등록된 마케팅컨텐츠를 확인하게 되며, 오프라인 매장 운영자로부터 새로운 마케팅컨텐츠가 등록된 것이 확인되는 경우에만, 제공부(250)로 하여금 마케팅컨텐츠를 서비스장치(300)에 제공하도록 한다.
이는, 동일한 컨텐츠가 서비스장치(300)에 중복 제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경우에는, 오프라인 매장의 실시간 정보만을 서비스장치(300)에 제공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에 따르면,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된 태깅정보를 기초로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방문객 입장이 확인되면,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된 실시간 정보를 마케팅 서비스에 제공하여 서비스하도록 함으로써, 오프라인 매장을 효과적으로 홍보할 수 있으며, 또한, 마케팅 서비스 입장에서도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는 현장 정보를 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므로, 서비스 만족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우선,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마케팅장치(200)는 오프라인 매장의 운영자로부터 수신되는 마케팅컨텐츠를 해당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등록하게 된다(S110).
이때, 마케팅장치(200)는 오프라인 매장 고유의 매장식별정보를 부여하며, 이를 오프라인 매장에 배치된 태그의 태그식별정보와 맵핑하고, 맵핑정보에 대응하도록 마케팅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방식을 통해 다수의 오프라인 매장의 운영자로부터 수신되는 마케팅컨텐츠를 각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는 각각의 마케팅컨텐츠로서 등록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마케팅장치(200)는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설정함으로써, 서비스장치(300)에서 제공하는 마케팅 서비스에서 설정된 키워드를 통한 검색을 통해 해당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는 마케팅컨텐츠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S120).
이때, 마케팅장치(200)는 오프라인 매장의 위치정보, 업태, 업종, 연관 검색어 등의 다양한 기준으로 키워드를 설정하게 되며, 이에, 하나의 오프라인 매장에 복수의 키워드를 중복 설정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하나의 키워드에는 복수의 오프라인 매장이 포함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단말장치(100)는 오프라인 매장에 배치된 태그를 태깅하여 태그식별정보를 획득하고, 태그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태깅정보를 마케팅장치(200)에 전송함으로써, 이를 수신한 마케팅장치(200)로 하여금 오프라인 매장에 방문객이 입장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S130-S140).
이때, 마케팅장치(200)에서는 단말장치(100)로부터 태깅정보가 수신되어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방문객 입장이 인지되면, 해당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객 수를 누적하여 갱신함과 동시에, 태깅정보가 수신된 시간, 즉, 방문객이 입장한 시점정보를 오프라인 매장의 실시간 정보로서 함께 저장하게 된다.
이후, 마케팅장치(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장치(100)로부터 태깅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마케팅컨텐츠를 서비스장치(300)에 제공함으로써 마케팅 서비스에서 서비스될 수 있도록 한다(S150-S190).
이때, 마케팅장치(200)는 누적 갱신된 방문객 수와 방문객이 입장한 시점정보에 해당하는 오프라인 매장의 실시간 정보를 등록된 마케팅컨텐츠와 함께 서비스장치(300)에 제공함으로써, 서비스장치(300)로 하여금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된 키워드가 마케팅 서비스 이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경우, 오프라인 매장의 실시간 정보에 기초한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케팅장치(20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등록부(210)는 오프라인 매장의 운영자로부터 수신되는 마케팅컨텐츠를 해당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등록하게 된다(S210).
이때, 등록부(210)는 오프라인 매장 고유의 매장식별정보를 부여하며, 이를 오프라인 매장에 배치된 태그의 태그식별정보와 맵핑하고, 맵핑정보에 대응하도록 마케팅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방식을 통해 다수의 오프라인 매장의 운영자로부터 수신되는 마케팅컨텐츠를 각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는 각각의 마케팅컨텐츠로서 등록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설정부(220)는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설정함으로써, 서비스장치(300)에서 제공하는 마케팅 서비스에서 설정된 키워드를 통한 검색을 통해 해당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는 마케팅컨텐츠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S220).
이때, 설정부(220)는 오프라인 매장의 위치정보, 업태, 업종, 연관 검색어 등의 다양한 기준으로 키워드를 설정하게 되며, 이에, 하나의 오프라인 매장에 복수의 키워드를 중복 설정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하나의 키워드에는 복수의 오프라인 매장이 포함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나아가, 확인부(23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태깅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태깅정보에 포함된 태그식별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태그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에 방문객이 입장하였음을 인지하게 된다(S230).
이때, 갱신부(240)는 설정부(230)에서 단말장치(100)로부터 태깅정보를 수신하여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방문객 입장이 인지되면, 해당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객 수를 누적하여 갱신함과 동시에, 태깅정보가 수신된 시간, 즉, 방문객이 입장한 시점정보를 오프라인 매장의 실시간 정보로서 함께 저장하게 된다.
이후, 제공부(250)는 수신부(230)에서 단말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태깅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 해당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마케팅컨텐츠를 서비스장치(300)에 제공함으로써 마케팅 서비스에서 서비스될 수 있도록 한다(S250-S270).
이때, 제공부(250)는 설정된 키워드를 기반으로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서비스장치(300)를 선택하고, 누적 갱신된 방문객 수와 방문객이 입장한 시점정보에 해당하는 오프라인 매장의 실시간 정보를 등록된 마케팅컨텐츠와 함께 해당 서비스장치(300)에 제공함으로써, 서비스장치(300)로 하여금 오프라인 매장의 실시간 정보에 기초한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홍대"를 방문한 방문객들이 "홍대" 근처에 위치하는 오프라인 매장(예: 식당)에 방문하여 태깅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각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는 태깅정보는 마케팅장치(200)로 전달되고, 이는 각 오프라인 매장의 실시간 정보로서 기 등록된 마케팅컨텐츠와 함께 서비스장치(300)에 제공되게 된다.
이에, "홍대"에 위치하거나, 방문 예정인 특정 사용자가 서비스장치(300)가 제공하는 마케팅 서비스에 접속하여, 키워드(예: 홍대, 식당)를 입력하는 경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현재시점에 "홍대"에서 방문객들이 선호하는 식당들의 순위를 나열한 서비스화면을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마케팅 서비스 이용자는 해당 서비스화면을 통해 현재시점에 "홍대"에서 방문객들이 가장 선호하는 "오프라인 매장 A"를 확인함으로써, 이를 참고하여 실제로 "오프라인 매장 A"를 방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260)는 제공부(250)에서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는 마케팅컨텐츠를 서비스장치(300)에 전송하기 전에 현재 등록된 마케팅컨텐츠를 확인하게 되며, 오프라인 매장 운영자로부터 새로운 마케팅컨텐츠가 등록된 것이 확인되는 경우에만, 제공부(250)로 하여금 마케팅컨텐츠를 서비스장치(300)에 제공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 마케팅 서비스 방법에 따르면,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된 태깅정보를 기초로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방문객 입장이 확인되면,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된 실시간 정보를 마케팅 서비스에 제공하여 서비스하도록 함으로써, 오프라인 매장을 효과적으로 홍보할 수 있으며, 또한, 마케팅 서비스 입장에서도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는 현장 정보를 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므로, 서비스 만족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오프라인 매장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에 따르면,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된 태깅정보를 기초로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방문객 입장이 확인되면,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된 실시간 정보를 마케팅 서비스에서 확인하여 서비스하도록 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단말장치
200: 마케팅장치
210: 등록부 220: 설정부
230: 수신부 240: 갱신부
250: 제공부 260: 제어부
300: 서비스장치

Claims (14)

  1. 방문객이 소지한 단말장치로부터 오프라인 매장에 비치된 태그에 대한 태깅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태깅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 마케팅 서비스에서 상기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하여 설정된 키워드를 기초로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마케팅컨텐츠에 접근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케팅장치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된 상기 키워드를 설정하는 설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케팅 서비스에서 상기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하여 지정된 상기 키워드가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상기 마케팅컨텐츠에 접근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케팅장치는,
    상기 태깅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방문객 수를 누적하여 갱신하는 갱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워드와 관련된 상기 오프라인 매장이 2 이상인 경우, 상기 마케팅 서비스에서 상기 2 이상의 오프라인 매장 각각의 방문객 수를 기초로 상기 2 이상의 오프라인 매장 각각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상기 마케팅컨텐츠에 접근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케팅 서비스에서 상기 2 이상의 오프라인 매장 중 상기 방문객 수가 가장 많은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상기 마케팅컨텐츠에 우선적으로 접근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케팅장치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상기 마케팅컨텐츠를 상기 마케팅 서비스와 관련된 서비스장치에 제공하는 제공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된 상기 태깅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상기 마케팅컨텐츠를 상기 서비스장치에 제공하도록 하여 상기 마케팅 서비스에서 상기 마케팅컨텐츠에 접근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마케팅장치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상기 마케팅컨텐츠를 등록하는 등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상기 마케팅컨텐츠가 이전에 제공된 마케팅컨텐츠와 상이한 경우에만,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상기 마케팅컨텐츠를 상기 서비스장치에 제공하도록 하여 상기 마케팅 서비스에서 상기 마케팅컨텐츠에 접근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장치.
  7. 단말장치가 오프라인 매장에 비치된 태그에 대한 태깅정보를 마케팅장치에 전송하는 전송단계;
    상기 마케팅장치가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태깅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단계; 및
    상기 마케팅장치가 상기 태깅정보가 수신되면, 마케팅 서비스에서 상기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하여 설정된 키워드를 기초로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마케팅컨텐츠에 접근하도록 하는 접근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매장 마케팅 서비스 방법.
  8. 방문객이 소지한 단말장치로부터 오프라인 매장에 비치된 태그에 대한 태깅정보를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단계; 및
    상기 태깅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 마케팅 서비스에서 상기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하여 설정된 키워드를 기초로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마케팅컨텐츠에 접근하도록 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장치의 동작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된 상기 키워드를 설정하는 설정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마케팅 서비스에서 상기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하여 지정된 상기 키워드가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상기 마케팅컨텐츠에 접근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태깅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방문객 수를 누적하여 갱신하는 갱신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키워드와 관련된 상기 오프라인 매장이 2 이상인 경우, 상기 마케팅 서비스에서 상기 2 이상의 오프라인 매장 각각의 방문객 수를 기초로 상기 2 이상의 오프라인 매장 각각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상기 마케팅컨텐츠에 접근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마케팅 서비스에서 상기 2 이상의 오프라인 매장 중 상기 방문객 수가 가장 많은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상기 마케팅컨텐츠에 우선적으로 접근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상기 마케팅컨텐츠를 상기 마케팅 서비스와 관련된 서비스장치에 제공하는 제공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된 상기 태깅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상기 마케팅컨텐츠를 상기 서비스장치에 제공하도록 하여 상기 마케팅 서비스에서 상기 마케팅컨텐츠에 대한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장치의 동작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상기 마케팅컨텐츠를 등록하는 등록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상기 마케팅컨텐츠가 이전에 제공된 마케팅컨텐츠와 상이한 경우에만,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상기 마케팅컨텐츠를 상기 서비스장치에 제공하여 상기 마케팅 서비스에서 상기 마케팅컨텐츠에 대한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장치의 동작 방법.
  14.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장치;
    오프라인 매장에 비치된 태그에 대한 태깅정보를 전송하는 단말장치; 및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태깅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마케팅 서비스에서 상기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하여 설정된 키워드를 기초로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마케팅컨텐츠에 접근하도록 하는 마케팅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매장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
KR1020130030890A 2013-03-22 2013-03-22 오프라인 매장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2045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0890A KR102045379B1 (ko) 2013-03-22 2013-03-22 오프라인 매장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0890A KR102045379B1 (ko) 2013-03-22 2013-03-22 오프라인 매장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6317A true KR20140116317A (ko) 2014-10-02
KR102045379B1 KR102045379B1 (ko) 2019-12-02

Family

ID=51990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0890A KR102045379B1 (ko) 2013-03-22 2013-03-22 오프라인 매장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53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7794A (ko) 2016-11-01 2018-05-10 주식회사 케이티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 행동 패턴에 기반한 o2o 마케팅 플랫폼 시스템 및 그 구축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2134A (ja) * 2004-05-19 2005-12-02 Nec Corp 店舗情報提供システム、店舗情報提供および店舗情報の提供を受けるためのプログラム
KR20110027240A (ko) * 2009-09-10 2011-03-16 비씨카드(주) 구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2134A (ja) * 2004-05-19 2005-12-02 Nec Corp 店舗情報提供システム、店舗情報提供および店舗情報の提供を受けるためのプログラム
KR20110027240A (ko) * 2009-09-10 2011-03-16 비씨카드(주) 구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7794A (ko) 2016-11-01 2018-05-10 주식회사 케이티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 행동 패턴에 기반한 o2o 마케팅 플랫폼 시스템 및 그 구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5379B1 (ko) 2019-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34891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de scanning result information
CN106856572A (zh) 基于与多个在线设备联系的概况的目标电视广告
US2014014380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ement service
CN107483522A (zh) 业务访问的方法和装置
EP263713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for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recording medium
KR20130011257A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반 상품 정보 추천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101610883B1 (ko)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CN101212793A (zh) 业务处理系统及处理方法
US20140257963A1 (en) Techniques for delivering hotel services
EP3528194A1 (en) Cross-boundary interactive transac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KR20230175166A (ko) 인공 지능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3797504A (zh) 用于计划和预订旅程的方法和系统
KR102199002B1 (ko) 오프라인 매장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20140116317A (ko) 오프라인 매장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20170066270A (ko) 사업자 메시지 통합 시스템 및 그 사용 방법
US10698966B2 (en) Search result prioritization based on device location
KR101711283B1 (ko) 온라인 상에서의 고객의 행동양태에 기초하는 실시간 타겟팅정보제공방법
KR101229130B1 (ko) 웹브라우저 분석을 이용한 실시간 맞춤형 정보제공 방법
KR102067971B1 (ko) 오프라인 매장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JP2014078246A (ja) 情報検索装置、及び情報検索プログラム
KR101074244B1 (ko) 위치기반 포스팅 광고 시스템 및 방법, 그 이동단말
US20170278123A1 (en) System for managing membership, method for managing membership using registration of membership by user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JP5892195B2 (ja) プログラム
KR20120135179A (ko) 쇼핑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7043378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