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7716A - 이송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송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7716A
KR20180047716A KR1020160144370A KR20160144370A KR20180047716A KR 20180047716 A KR20180047716 A KR 20180047716A KR 1020160144370 A KR1020160144370 A KR 1020160144370A KR 20160144370 A KR20160144370 A KR 20160144370A KR 20180047716 A KR20180047716 A KR 201800477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unit
fire
shutter
pivot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4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4067B1 (ko
Inventor
이상봉
이강호
김명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160144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4067B1/ko
Publication of KR20180047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7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4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4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65G21/12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to allow adjustment of position of load-carrier or traction element as a wh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1/00Supporting frames or bases for conveyors as a whole, e.g. 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 B65G41/001Supporting frames or bases for conveyors as a whole, e.g. 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with the conveyor adjustably mounted on the supporting frame or base
    • B65G41/002Pivotably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22Heat or fire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이송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시스템은, 화물을 이송하는 제1 이송장치; 제1 이송장치와 인접하게 이격 배치되는 제2 이송장치; 제1 이송장치 및 제2 이송장치 사이에 배치되며, 방화(防火) 시 제1 이송장치 및 제2 이송장치 사이를 차단하는 차단위치와 화물의 이송 시 위치인 정상위치를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방화셔터; 및 제1 이송장치 및 제2 이송장치 사이에 마련되되 차단위치로 이동하는 방화셔터의 접촉에 연동하여, 방화셔터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방화셔터 간섭 회피공간으로 기구적으로 회피하는 방화셔터 구간용 이송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송시스템{Transport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화셔터의 간섭을 받지 않고 화물을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는 이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물류란 원래 물적 유통의 줄임말이었으나 그 의미가 확장되어 화물의 시간적 가치와 공간적 가치를 창출하는 제반 활동을 의미한다.
최근 온라인 유통이 급증하면서, 각 화물들의 물동량이 증대되고 있으며, 화물유통 산업의 활성화에 따라서 효율적인 이송시스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즉 화물의 시간적 가치와 공간적 가치를 증대시키는 것이 기업 경영의 경쟁력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기업 경영에 있어 물류관리는 비용절감의 수단뿐만 아니라, 고객서비스 극대화를 통한 경쟁력 향상의 차별화된 전략적 방법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이송시스템의 효율화를 통한 물류처리 속도의 고속화 및 안정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과, 건축법 및 건축법 시행령에 따라,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용도 및 규모의 건축물은,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 화재가 건축 전체에 번지지 않도록, 화재에 견딜 수 있는 성능을 가진 구조인 내화구조의 바닥, 벽, 방화문 또는 방화셔터 등으로 만들어지는 구획인 방화구획을 마련하여야 한다.
여기서 방화셔터는 방화 성능을 갖는 셔터를 의미한다.
또한,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서, 방화구획 및 방화시설을 폐쇄하거나 훼손하는 등의 행위와, 방화구획 및 방화시설의 주위에 물건을 쌓아두거나 장애물을 설치하는 행위와, 방화구획 및 방화시설의 용도에 장애를 주거나 소방활동에 지장을 주는 행위와, 그 밖에 방화구획 및 방화시설을 변경하는 행위는 제한된다.
따라서, 화물이송을 위한 이송시스템의 설치에 있어, 방화 구획을 회피하여 이송시스템을 설치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 경우 이송시스템 설치의 공간적 제약으로 인하여 화물 이송의 고속화 및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방화구획에 별도의 전기적 제어장치를 설치하고, 상위 신호 또는 센서를 통하여, 방화셔터 작동 시 방화셔터를 회피하는 방식의 이송시스템의 경우, 이송시스템에 비상전원 공급장치 및 전기적 제어 장치 등 별도의 방화셔터 회피 장비를 구비하여야 하며, 화재 발생 시 전기적 장치의 오류 발생요인이 존재하였고, 별도의 방화셔터 회피 장비와 방화셔터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여, 방화셔터 회피 장비가 정상 동작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617454호 (주식회사 인아텍), 2006.09.05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방화셔터의 간섭을 받지 않고 화물을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으며, 별도의 전원 공급장치 및 전기적 제어 장치 없이 방화셔터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이송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화물을 이송하는 제1 이송장치; 상기 제1 이송장치와 인접하게 이격 배치되는 제2 이송장치; 상기 제1 이송장치 및 상기 제2 이송장치 사이에 배치되며, 방화(防火) 시 상기 제1 이송장치 및 상기 제2 이송장치 사이를 차단하는 차단위치와 상기 화물의 이송 시 위치인 정상위치를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방화셔터; 및 상기 제1 이송장치 및 상기 제2 이송장치 사이에 마련되되 상기 차단위치로 이동하는 상기 방화셔터의 접촉에 연동하여, 상기 방화셔터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방화셔터 간섭 회피공간으로 기구적으로 회피하는 방화셔터 구간용 이송장치를 포함하는 이송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화셔터 구간용 이송장치는 적어도 일단부가 상기 차단위치로 이동하는 상기 방화셔터의 접촉에 연동하여 상기 방화셔터 간섭 회피공간으로 회동하여 회피할 수 있다.
상기 방화셔터 구간용 이송장치는, 상기 방화셔터 간섭 회피공간의 상부에 배치되는 고정이송유닛; 및 상기 고정이송유닛에 상기 방화셔터 간섭 회피공간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이송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동이송유닛은, 상기 고정이송유닛에 결합되는 회동이송유닛 프레임부; 상기 회동이송유닛 프레임부에 마련되는 회동이송유닛 이송부; 및 상기 회동이송유닛 프레임부와 결합되는 회동이송유닛 링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동이송유닛 프레임부는, 상기 고정이송유닛에 결합되는 회동이송유닛 지지 프레임; 상기 회동이송유닛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되 상기 방화셔터가 상기 차단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방화셔터와 상기 회동이송유닛 이송부의 충돌을 방지하도록 상기 회동이송유닛 이송부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대향되게 마련되는 충돌방지프레임; 및 상기 회동이송유닛 지지 프레임을 상기 고정이송유닛에 힌지 결합시키는 힌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동이송유닛 링크부는, 상기 회동이송유닛 프레임부에서 상기 방화셔터 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되어, 상기 방화셔터가 상기 차단위치로 이동 시 터치되는 터치블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블럭은, 원추 형상으로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회동이송유닛 링크부는, 상기 방화셔터의 상기 정상위치 시 상기 고정이송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이송유닛 프레임부의 위치를 유지시키고 상기 방화셔터의 상기 차단위치 시 상기 고정이송유닛에 결합 해제되는 위치유지 가이드핀; 및 상기 위치유지 가이드핀에 결합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동이송유닛 링크부는,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바; 상기 스프링 지지바에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터치블럭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가이드핀 링크; 및 일단부가 상기 터치블럭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회동이송유닛 프레임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프레임 링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링크는 상기 터치블럭에 다수 개가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회동이송유닛 링크부는, 상기 고정이송유닛에 결합되되 상기 위치유지 가이드핀을 지지하는 가이드핀 고정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동이송유닛 이송부는 롤러 컨베이어 및 벨트 컨베이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고정이송유닛은, 고정이송유닛 지지 프레임; 및 상기 고정이송유닛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고정이송유닛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는 스토퍼 프레임; 및 상기 스토퍼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쇠는 상기 방화셔터가 상기 차단위치로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회동이송유닛이 상기 방화셔터 간섭 회피공간으로 회동된 때 상기 회동이송유닛을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회동이송유닛은 한 쌍으로 마련되되 상기 고정이송유닛을 기준으로 상호 반대측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화셔터의 간섭을 받지 않고 화물을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으며, 별도의 전원 공급장치 및 전기적 제어 장치 없이 방화셔터의 간섭을 방지하고, 기구적으로 방화셔터를 회피하여, 화물 이송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다른 사용예에 따른 이송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의 B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의 방화셔터 구간용 이송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C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의 회동이송유닛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회동이송유닛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스토퍼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송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다른 사용예에 따른 이송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D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E에 대한 확대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 및 첨부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화물(g)은 운반할 수 있는 유형의 재화나 물품을 통틀어 이르는 말로써, 이하에서는 별도의 구분 없이 운반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재화나 물품을 화물(g)로 지칭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시스템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대한 다른 사용예에 따른 이송시스템의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시스템(1000)은, 제1 이송장치(1100)와, 제2 이송장치(1200)와, 방화셔터(1300)와, 방화셔터 구간용 이송장치(1400)를 포함한다.
제1 이송장치(1100)는 화물(g)을 이송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또한, 제2 이송장치(1200)는 제1 이송장치(1100)와 인접하게 이격 배치되며, 화물(g)을 이송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방화셔터(1300)는 제1 이송장치(1100) 및 제2 이송장치(1200) 사이에 배치되며, 방화(防火) 시 제1 이송장치(1100) 및 제2 이송장치(1200) 사이를 차단하는 차단위치(Fire Comportment Position, FCP)와 화물(g)의 이송 시 위치인 정상위치(Normal Position, NP)를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즉, 방화셔터(1300)는 방화(防火) 성능을 갖는 셔터를 의미하고, 차단위치(FCP)는 방화 시 방화셔터(1300)의 위치를 의미하며, 정상위치(NP)는 이송시스템(1000)의 화물(g) 이송 시 방화셔터(1300)의 위치를 의미한다.
방화셔터 구간용 이송장치(1400)는 제1 이송장치(1100) 및 제2 이송장치(1200) 사이에 마련되되 차단위치(FCP)로 이동하는 방화셔터(1300)의 접촉에 연동하여, 방화셔터(1300)와 간섭을 회피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방화셔터 간섭 회피공간(Avoidance Space, AS)으로 기구적으로 회피한다.
방화셔터 간섭 회피공간(AS)은, 방화 시 방화셔터(1300)가 차단위치(FCP)에 위치하는 경우, 방화셔터 구간용 이송장치(1400)와 방화셔터(1300)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공간을 의미한다.
방화셔터 구간용 이송장치(1400)가 방화셔터 간섭 회피공간(AS)으로 기구적으로 회피하는 것은, 방화셔터 구간용 이송장치(1400)에 별도의 전기적 제어장치 설치 없이 방화셔터 구간용 이송장치(1400)의 자중(自重)에 의하여 방화셔터 간섭 회피공간(AS)으로 회피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방화셔터 구간용 이송장치(1400)는 적어도 일단부가 차단위치(FCP)로 이동하는 방화셔터(1300)의 접촉에 연동하여, 방화셔터(1300)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방화셔터 간섭 회피공간(AS)으로 기구적으로 회동하여 회피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화셔터 구간용 이송장치(1400)는, 별도의 전기적 제어장치 설치가 없어, 방화셔터 구간용 이송장치(1400)의 구조가 간결해지고, 화재 발생 시 전기적 제어장치의 오작동으로 인한 문제 발생요인이 없어지며, 이송시스템(1000)의 안정성 및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3은 도 1의 A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2의 B에 대한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1의 방화셔터 구간용 이송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C에 대한 확대도이며, 도 7은 도 6의 회동이송유닛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회동이송유닛에 대한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방화셔터 구간용 이송장치(1400)는 고정이송유닛(1410)과, 회동이송유닛(1420)을 포함한다.
고정이송유닛(1410)은 방화셔터 간섭 회피공간(AS)의 상부에 배치되며, 회동이송유닛(1420)은 고정이송유닛(1410)에 방화셔터 간섭 회피공간(AS)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송시스템(1000)의 공간 활용도가 높아지며, 물류의 공간적 가치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물류란 화물(g) 이송의 효과적 흐름을 의미한다.
회동이송유닛(1420)은, 회동이송유닛 프레임부(1421)와, 회동이송유닛 이송부(1422)와, 회동이송유닛 링크부(1423)를 포함한다.
회동이송유닛 프레임부(1421)는 고정이송유닛에 결합되고, 회동이송유닛 이송부(1422)는 회동이송유닛 프레임부(1421)에 마련되며, 회동이송유닛 링크부(1423)는 회동이송유닛 프레임부(1421)와 결합된다.
회동이송유닛 프레임부(1421)는 회동이송유닛 지지 프레임(1421a)과, 충돌방지프레임(1421b)과, 힌지(1421c)를 포함한다.
회동이송유닛 지지 프레임(1421a)은 고정이송유닛(1410)과 결합된다.
충돌방지프레임(1421b)은 회동이송유닛 지지 프레임(1421a)에 결합되되 방화셔터(1300)가 차단위치(FCP)로 이동할 때 방화셔터(1300)와 회동이송유닛 이송부(1422)의 충돌을 방지하도록 회동이송유닛 이송부(1422)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대향되게 마련된 것이다.
따라서 충돌방지프레임(1421b)은, 방화 시 방화셔터(1300)가 차단위치(FCP)로 이동할 때, 방화셔터(1300)와 회동이송유닛 이송부(1422)의 충돌을 방지하여 회동이송유닛 이송부(1422)의 손상을 막을 수 있다.
즉, 방화 시 방화셔터(1300)가 차단위치(FCP)로 이동할 때, 방화셔터 구간용 이송장치(1400)는 방화셔터(1300)의 접촉에 연동하여 방화셔터(1300)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방화셔터 간섭 회피공간(AS)으로 기구적으로 회피하고, 충돌방지프레임(1421b)은 회동이송유닛 이송부(1422)를 보호하여 이송시스템(1000)의 안정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힌지(1421c)는 회동이송유닛 지지 프레임(1421a)을 고정이송유닛(1410)에 힌지 결합시킨다. 따라서 회동유닛(1420)은 자중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이송시스템(1000)의 공간활용도가 높아진다.
회동이송유닛 링크부(1423)는, 터치블럭(1423a)과, 위치유지 가이드핀(1423b)과, 위치유지 가이드핀(1423b)에 결합되는 스프링(1423c)과, 스프링(1423c)을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바(1423d)와, 가이드핀 링크(1423e)와, 프레임 링크(1423f)와, 가이드핀 고정브라켓(1423g)을 포함한다.
터치블럭(1423a)은, 회동이송유닛 프레임부(1421)에서 방화셔터(1300) 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되어, 방화셔터(1300)가 차단위치(FCP)로 이동 시 방화셔터(1300)에 의하여 터치된다.
터치블럭(1423c)은 원추 형상으로 돌출되게 마련된다.
즉, 터치블럭(1423a)은 회동이송유닛 프레임부(1421)에서 방화셔터(1300) 측으로 원추 형상으로 돌출되게 마련되어, 회동이송유닛(1420)은 회동이송유닛 이송부(1422)의 손상 없이 방화셔터 간섭 회피공간으로 회피하게 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위치유지 가이드핀(1423b)은, 방화셔터(1300)의 정상위치(NP) 시 고정이송유닛(1410)에 결합되어 회동이송유닛 프레임부(1421)의 위치를 유지시키고, 방화셔터(1300)의 차단위치(FCP) 시 고정이송유닛(1410)에 결합 해제된다.
가이드핀 링크(1423e)는 스피링 지지블럭(1423d)에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부는 터치블럭(1423c)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프레임 링크(1423f)는 일단부가 터치블럭(1423d)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부는 회동이송유닛 프레임부(1421)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방화셔터(1300)가 차단위치(FCP)와 정상위치(NP)를 이동하는 경우, 방화셔터(1300)는 직선운동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가이드핀 링크(1423e)와 프레임 링크(1423f)는, 양 단부가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므로, 방화셔터(1300)에 의해 발생된 직선운동 구동력을 회전운동 구동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송시스템(1000)의 공간활용도가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프레임 링크(1423f)는 터치블럭(1423a)에 다수 개가 이격되어 마련된다. 따라서 프레임 링크(1423f)는, 방화셔터(1300)가 차단위치(CFP)로 이동 시 터치블럭(1423a)에 터치되어 전달되는 직선운동 구동력을 분산시키고, 회동이송유닛 링크부(1423)의 안정성을 높인다.
가이드핀 고정브라켓(1423g)은 고정이송유닛(1410)에 결합되되 위치유지 가이드핀(1423b)을 지지한다. 즉, 방화셔터(1300)의 정상위치(NP) 시, 위치유지 가이드핀(1423b)은 가이드핀 고정브라켓(1423g)에 의하여 지지되고, 힌지(1421c)는 회동이송유닛 지지 프레임(1421a)을 고정이송유닛(1410)에 힌지 결합시키므로, 회동이송유닛(1420)은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회동이송유닛 이송부(1422)는 롤러 컨베이어(1422)로 마련된 것이다. 그러나 회동이송유닛 이송부(1422)는 롤러 컨베이어(1422) 및 벨트 컨베이어(미도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회동이송유닛 이송부(1422)는, 롤러 컨베이어(1422)로 마련되며, 롤러 컨베이어(1422)는 롤러와 롤러 사이의 이격 간격(d)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회동이송유닛 이송부(1422)는, 롤러 컨베이어(1422)에 존재하는 롤러와 롤러 사이의 이격 간격(d)을 활용하여, 화물(g)을 회동이송유닛 이송부(1422)에 로딩시키기 위한 외부장치의 인입 또는 도피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다만, 이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고, 회동이송유닛 이송부(1422)는 벨트 컨베이어(미도시)로 마련될 수 있다.
고정이송유닛(1410)은, 고정이송유닛 지지 프레임(1411)과, 고정이송유닛 지지프레임(1411)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1412)를 포함한다.
도 9는 도 1의 스토퍼에 대한 평면도이며, 도 9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1412)는, 고정이송유닛 지지 프레임(1411)에 결합되는 스토퍼 프레임(1412a)과, 걸림쇠(1412b)를 포함한다.
걸림쇠(1412b)는, 스토퍼 프레임(1412a)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동이송유닛(1420)이 방화셔터 간섭 회피공간(AS)으로 회동된 때, 회동이송유닛(1420)을 고정한다.
따라서 걸림쇠(1412b)는, 방화셔터(1300)가 차단위치(FCP)로 이동한 때 회동이송유닛(1420)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방화셔터(1300)와 회동이송유닛(1420)의 충돌을 방지하여, 이송시스템(1000)의 안정성을 높인다.
걸림쇠(1412b)는, 도 9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 프레임(1412a)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되, 회동이송유닛(1420)이 방화셔터 간섭 회피공간(AS)으로 회동된 때, 도 9의 (b)와 같이 스토퍼 프레임(1412a)로 부터 돌출되어 회동이송유닛(1420)을 고정한다.
즉, 걸림쇠(1412b)는, 도 9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돌출 상태에서, 회동이송유닛(1420)이 방화셔터 간섭 회피공간(AS)으로 회동되는 때, 도9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돌출 상태로 회동하여 회동이송유닛(1420)을 고정한다.
한편, 걸림쇠(1412b)는 스프링(미도시)으로 마련되는 체결구(1412c)로 스토퍼 프레임(1412a)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이송시스템(100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의 이송시스템(1000)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방화셔터(1300)는 화물(g)의 이송 시 위치인 정상위치(Normal Position, NP)를 유지한다. 위치유지 가이드핀(1423b)은 방화셔터(1300)의 정상위치(NP) 시 고정이송유닛(1410)에 결합되어 회동이송유닛 프레임부(1421)의 위치를 유지시킨다. 따라서 이송시스템(1000)은, 방화셔터(1300)의 정상위치(NP) 시 안정적으로 화물(g)을 이송할 수 있으며, 원활한 화물(g)의 이송으로 물류의 시간적 가치 및 공간적 가치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방화셔터(1300)는 방화(防火)를 위하여 제1 이송장치(1100) 및 제2 이송장치(1200) 사이를 차단하는 차단위치(Fire Comportment Position, FCP)로 이동한다. 이 경우 방화셔터 구간용 이송장치(1400)는, 방화셔터(1300)가 차단위치(FCP)로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방화셔터(1300)와의 간섭을 회피하여야 한다.
방화셔터 구간용 이송장치(1400)의 방화셔터(1300) 회피 방식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방화셔터(1300)는 방화 시 차단위치(FCP)로 이동하며, 회동이송유닛(1420)은 방화셔터(1300)의 접촉에 연동하여, 방화셔터(1300)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방화셔터 간섭 회피공간(AS)으로 이동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방화셔터 구간용 이송장치(1400)는, 고정이송유닛(1410)과, 회동이송유닛(1420)을 포함하는데, 방화셔터(1300)가 차단위치(FCP)로 이동하는 경우, 회동이송유닛(1420)은 방화셔터(1300)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하여 방화셔터 간섭 회피공간(AS)으로 회동한다.
회동이송유닛(1420)과 관련하여, 방화셔터(1300)는, 차단위치(FCP)로 이동 시 직진운동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진진운동 구동력을 방화셔터(1300)와 터치되는 터치블럭(1423a)으로 전달시키며, 터치블럭(1423a)은 직진운동 구동력을 가이드핀 링크(1423e)와 프레임 링크(1423f)에 전달 시키고, 가이드핀 링크(1423e)와 프레임 링크(1423f)는 직진운동 구동력을 회전운동 구동력으로 변환하여 공간활용도를 높인다.
가이드핀 링크(1423e)는 스프링지지바(1423d)로 회전운동 구동력을 전달시키며, 스프링지지바(1423d)는 회전운동 구동력을 직진운동 구동력으로 변환하여 위치유지 가이드핀(1423b)으로 전달시킨다.
따라서 위치유지 가이드핀(1423b)은, 방화셔터(1300)의 정상위치(NP) 시 고정이송유닛(1410)에 결합되어 회동이송유닛 프레임부(1421)의 위치를 유지시키나, 방화셔터(1300)의 차단위치(FCP) 시 고정이송유닛(1410)에 결합 해제된다.
위치유지 가이드핀(1423b)이 고정이송유닛(1410)에 결합 해제 시, 회동이송유닛(1420)은 힌지(1421c)를 중심으로 자중에 의하여 회동하게 된다. 즉, 별도의 전기적 제어장치의 설치 없이 방화셔터(1300)를 회피 가능하게 한다.
또한 걸림쇠(1412b)는 방화셔터(1300)가 차단위치(FCP)로의 이동에 의하여 회동이송유닛(1420)이 방화셔터 간섭 회피공간(AS)으로 회동된 때 회동이송유닛(1420)을 고정하여 회동이송유닛(1420)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안정성을 높인다.
한편,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터치블럭(1423a)은 원추 형상으로 회동이송유닛 프레임부(1421)에서 방화셔터(1300) 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되어 방화셔터(1300)가 차단위치(FCP)로 이동 시 터치되고, 충돌방지프레임(1421b)은 방화셔터(1300)가 차단위치(FCP)로 이동할 때 방화셔터(1300)와 회동이송유닛 이송부(1422)의 충돌을 방지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송시스템의 측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다른 사용예에 따른 이송시스템의 측면도이며, 도 12는 도 10의 D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13은 도 11의 E에 대한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다른 부분만을 설명하고 동일한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경사구간은 화물(g) 이송 시 방화셔터(2300)로 인하여 발생하는 이송장치 미설치 구간이 수평구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그 폭이 더 크다. 또한 하단 공간의 부족 등으로 별도의 장치를 구성하여 경사시스템을 구성하기에는 너무나 협소한 공간이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이송시스템(2000)은, 제1 이송장치(2100)와, 제2 이송장치(2200)와, 방화셔터(2300)와, 방화셔터 구간용 이송장치(2400)를 포함하고, 방화셔터 구간용 이송장치(2400)는, 고정이송유닛(2410)과, 회동이송유닛(2420)을 포함함은 전술한 일 실시예와 동일하되,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회동이송유닛(2420)이 한 쌍으로 마련되어 고정이송유닛(2410)을 기준으로 상호 반대측에 결합되는 것이 전술한 일 실시예와 다르다.
즉, 도 10과 도 11에 자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이송장치(2100)와 제2 이송장치(2200)의 높이 차이가 있고, 회동이송유닛(2420)은 한 쌍으로 마련되어 고정이송유닛(2410)을 기준으로 상호 반대측에 결합되어 수평구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그 폭이 더 큰 경사구간에 방화셔터 구간용 이송장치(2400)가 설치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0 : 이송시스템 1100 : 제1 이송장치
1200 : 제2 이송장치 1300 : 방화셔터
1400 : 방화셔터 구간용 이송장치 1410 : 고정이송유닛
1411 : 고정이송유닛 지지 프레임 1412 : 스토퍼
1412a: 스토퍼 프레임 1412b: 걸림쇠
1420 : 회동이송유닛 1421 : 회동이송유닛 프레임부
1421a: 회동이송유닛 지지 프레임 1421b: 충돌방지 프레임
1421c: 힌지 1422 : 회동이송유닛 이송부
1423 : 회동이송유닛 링크부 1432a: 터치블럭
1423b: 위치유지 가이드핀 1423c: 스프링
1423d: 스프링 지지바 1423e: 가이드핀 링크
1423f: 프레임 링크 1423g: 가이드핀 고정브라켓

Claims (16)

  1. 화물을 이송하는 제1 이송장치;
    상기 제1 이송장치와 인접하게 이격 배치되는 제2 이송장치;
    상기 제1 이송장치 및 상기 제2 이송장치 사이에 배치되며, 방화(防火) 시 상기 제1 이송장치 및 상기 제2 이송장치 사이를 차단하는 차단위치와 상기 화물의 이송 시 위치인 정상위치를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방화셔터; 및
    상기 제1 이송장치 및 상기 제2 이송장치 사이에 마련되되 상기 차단위치로 이동하는 상기 방화셔터의 접촉에 연동하여, 상기 방화셔터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방화셔터 간섭 회피공간으로 기구적으로 회피하는 방화셔터 구간용 이송장치를 포함하는 이송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셔터 구간용 이송장치는 적어도 일단부가 상기 차단위치로 이동하는 상기 방화셔터의 접촉에 연동하여 상기 방화셔터 간섭 회피공간으로 회동하여 회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셔터 구간용 이송장치는,
    상기 방화셔터 간섭 회피공간의 상부에 배치되는 고정이송유닛; 및
    상기 고정이송유닛에 상기 방화셔터 간섭 회피공간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이송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이송유닛은,
    상기 고정이송유닛에 결합되는 회동이송유닛 프레임부;
    상기 회동이송유닛 프레임부에 마련되는 회동이송유닛 이송부; 및
    상기 회동이송유닛 프레임부와 결합되는 회동이송유닛 링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이송유닛 프레임부는,
    상기 고정이송유닛에 결합되는 회동이송유닛 지지 프레임;
    상기 회동이송유닛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되 상기 방화셔터가 상기 차단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방화셔터와 상기 회동이송유닛 이송부의 충돌을 방지하도록 상기 회동이송유닛 이송부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대향되게 마련되는 충돌방지프레임; 및
    상기 회동이송유닛 지지 프레임을 상기 고정이송유닛에 힌지 결합시키는 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이송유닛 링크부는,
    상기 회동이송유닛 프레임부에서 상기 방화셔터 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되어, 상기 방화셔터가 상기 차단위치로 이동 시 터치되는 터치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블럭은, 원추 형상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이송유닛 링크부는,
    상기 방화셔터의 상기 정상위치 시 상기 고정이송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이송유닛 프레임부의 위치를 유지시키고 상기 방화셔터의 상기 차단위치 시 상기 고정이송유닛에 결합 해제되는 위치유지 가이드핀; 및
    상기 위치유지 가이드핀에 결합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이송유닛 링크부는,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바;
    상기 스프링 지지바에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터치블럭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가이드핀 링크; 및
    일단부가 상기 터치블럭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회동이송유닛 프레임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프레임 링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링크는 상기 터치블럭에 다수 개가 이격되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이송유닛 링크부는,
    상기 고정이송유닛에 결합되되 상기 위치유지 가이드핀을 지지하는 가이드핀 고정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시스템.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이송유닛 이송부는 롤러 컨베이어 및 벨트 컨베이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시스템.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이송유닛은,
    고정이송유닛 지지 프레임; 및
    상기 고정이송유닛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고정이송유닛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는 스토퍼 프레임; 및
    상기 스토퍼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쇠는 상기 방화셔터가 상기 차단위치로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회동이송유닛이 상기 방화셔터 간섭 회피공간으로 회동된 때 상기 회동이송유닛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시스템.
  1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이송유닛은 한 쌍으로 마련되되 상기 고정이송유닛을 기준으로 상호 반대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시스템.
KR1020160144370A 2016-11-01 2016-11-01 이송시스템 KR101904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370A KR101904067B1 (ko) 2016-11-01 2016-11-01 이송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370A KR101904067B1 (ko) 2016-11-01 2016-11-01 이송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716A true KR20180047716A (ko) 2018-05-10
KR101904067B1 KR101904067B1 (ko) 2018-10-04

Family

ID=62185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4370A KR101904067B1 (ko) 2016-11-01 2016-11-01 이송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406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43153A (zh) * 2019-04-28 2019-07-23 上海广求机电设备有限公司 轨道物流小车系统配套用电动门
KR20220105697A (ko) * 2021-01-20 2022-07-28 롯데쇼핑주식회사 상품의 피킹, 패킹, 배송 방법 및 시스템
CN110043153B (zh) * 2019-04-28 2024-06-07 上海广求机电设备有限公司 轨道物流小车系统配套用电动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2047U (ja) * 1993-04-30 1994-11-25 株式会社岡村製作所 シャッターが通過し得るコンベヤ装置
JPH07172570A (ja) * 1993-12-16 1995-07-11 Toyo Kanetsu Kk 搬送装置間における中継ユニット
JP2005145704A (ja) * 2003-11-20 2005-06-09 Daifuku Co Ltd 搬送設備
JP2007254085A (ja) * 2006-03-23 2007-10-04 Daifuku Co Ltd コンベヤ設備
KR101602357B1 (ko) * 2014-10-22 2016-03-10 남희대 방화셔터 하강 안내장치를 갖춘 물류 이송용 레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2047U (ja) * 1993-04-30 1994-11-25 株式会社岡村製作所 シャッターが通過し得るコンベヤ装置
JPH07172570A (ja) * 1993-12-16 1995-07-11 Toyo Kanetsu Kk 搬送装置間における中継ユニット
JP2005145704A (ja) * 2003-11-20 2005-06-09 Daifuku Co Ltd 搬送設備
JP2007254085A (ja) * 2006-03-23 2007-10-04 Daifuku Co Ltd コンベヤ設備
KR101602357B1 (ko) * 2014-10-22 2016-03-10 남희대 방화셔터 하강 안내장치를 갖춘 물류 이송용 레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43153A (zh) * 2019-04-28 2019-07-23 上海广求机电设备有限公司 轨道物流小车系统配套用电动门
CN110043153B (zh) * 2019-04-28 2024-06-07 上海广求机电设备有限公司 轨道物流小车系统配套用电动门
KR20220105697A (ko) * 2021-01-20 2022-07-28 롯데쇼핑주식회사 상품의 피킹, 패킹, 배송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4067B1 (ko) 2018-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24389B2 (en) Elevator car door interlock
ES2968008T3 (es) Enclavamiento de puerta de cabina con bloqueo de umbral
JP6232503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ロック装置並びに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KR101904067B1 (ko) 이송시스템
JP2009113976A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7206087B2 (ja) 機械式昇降路アクセス制御装置
KR102441449B1 (ko) 슬라이딩식 방화 도어
CN114206754B (zh) 搬运输送机
CN109319642B (zh) 机械井道进入控制装置
JP6485667B2 (ja) エレベータ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KR20100016848A (ko) 3도어 접철문의 슬라이드식 이동장치
JP6423499B1 (ja) 搬送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WO2017117969A1 (zh) 传送装置
KR102252389B1 (ko) 방화구획용 컨베이어 시스템
JP5568371B2 (ja) 架設構造及び架設構造を用いた電算機室用空調システム
JP6441444B1 (ja) エレベータの戸開走行防止装置
CN109562918B (zh) 电梯门装置
KR20150085615A (ko) 방화문 자동폐쇄장치
KR20150049053A (ko) 셔터 장치
CN107341910B (zh) 金融智能设备及其防撬装置
JP4354266B2 (ja) エレベータの乗場装置
JP6281350B2 (ja) セキュリティ機器
KR102303720B1 (ko) 벨트 구동 자동문의 케이블 베어 구조
KR20240052328A (ko) 수평 방화셔터 및 그를 구비한 리프터 화재 차단시스템
JP2010068946A (ja) 吊下げ式引戸用防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