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6452A - 차량용 언더커버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언더커버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6452A
KR20180046452A KR1020160141565A KR20160141565A KR20180046452A KR 20180046452 A KR20180046452 A KR 20180046452A KR 1020160141565 A KR1020160141565 A KR 1020160141565A KR 20160141565 A KR20160141565 A KR 20160141565A KR 20180046452 A KR20180046452 A KR 20180046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temperature
sound absorbing
absorbing material
layer
substrat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1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병철
김동효
이병훈
최대한
강민성
이기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기인터모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기인터모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기인터모빌
Priority to KR1020160141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6452A/ko
Publication of KR20180046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64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36Heat treatment
    • B32B38/004Heat treatment by physically contacting the layers, e.g. by the use of heated platen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72Floor protection, e.g. from corrosion or scra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0Symmetrical or sandwich layers, e.g. ABA, ABCBA, ABCCB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8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제적이면서 생산성이 높은 차량용 언더커버 제조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언더커버 제조방법은, 평판 형상으로 합성수지재 기재층(10)을 고온상태로 압출 성형하는 압출 과정(S 110)과, 흡음재층을 압착하여 일체화될 수 있는 고온 상태의 기재층에 대하여 기재층의 양측면에 흡음재층(12,14)을 고온의 롤러를 이용하여 압착하는 열간 압착 과정(S 112)을 포함하고 있다. 그 이후에는, 기재층이 양측면에 흡음재층이 압착된 반제품을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는 커팅공정(S 114)이 진행되고, 이어서 오븐 프레스 과정(S 116)이 진행된다. 오븐 프레스 과정은, 커팅된 반제품을 기재층이 소성 변형 가능한 고온 상태로 가열한 상태에서, 금형 사이에 투입하여 가압 성형 및 트리밍이 동시에 수행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언더커버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floor under covers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언더커버(Under cover)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충분한 경량화를 이룰 수 있음과 같이 간단한 제조 공정에 기초한 생산성 향상을 달성할 수 있는 차량용 언더커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언더커버는, 엔진 및 트랜스미션 등이 설치되는 엔진룸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언더커버는, 외부에서 가해질 수 있는 외력에 대하여 엔진룸 내부의 중요 부품을 보호함과 같이 엔진 등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흡수하기도 하며, 이물질 등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언더커버는 기본적인 평면에 대하여 차량의 기본적인 구조에 대응하도록 돌출된 부분 및 오목한 부분이 다수 성형되어 있다.
이와 같은 언더커버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써, 기본적인 언더커버의 형상을 가질 수 있도록 합성수지재를 사출 성형하고, 이렇게 사출 성형된 기재의 양면에 흡음패드(부직포 또는 폼 형태의 쉬트)를 접착하는 것이 가장 전통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기술의 발전에 따라서 강도 및 제조 공정에서의 편의성 등을 위하여, 글래스 파이버가 혼합된 소재를 부직포에 대신하여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사출 성형된 합성수지재의 기재에 니들 펀칭으로 글래스 파이버가 혼합된 쉬트를 고정하기도 한다.
그러나 합성수지재의 사출물 및 부직포를 접착하는 전통적인 기술에 의하면, 사출 성형이라는 상대적으로 복잡한 과정을 거침으로써, 복잡한 단계 및 중량의 증가라는 단점이 제기되기도 하였다. 그리고 글래스 파이버가 혼합된 쉬트를 사용하는 것은, 현재 우리나라의 자동차 조립 환경 하에서는, 작업 환경의 열화라는 단점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자동차용 언더커버에 대한 종래 기술 중의 하나로, 한국 특허 공개 제10-2013-0040292호를 들 수 있는데,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하면 언더커버의 제조에 복합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중량의 줄이고 흡음 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하고 있으나, 복합 소재 자체에 기인하는 제조의 복잡함과 이러한 복잡함에 대비하는 성능의 향상에 한계가 있다고 판단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감안한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대량 생산에 적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생산성을 충분히 높일 수 있는 차량용 언더커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목적을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경제적인 부품의 선택 및 공정의 단순화를 통하여 경제적인 효율성을 최대화시킬 수 있는 언더커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플레이트 상태의 합성수지를 이용함으로써 상대적으로 경량으로 구현 가능한 언더커버를 제조할 수 있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언더커버 제조 방법은, 평판 형상으로 합성수지재 기재층을 고온상태로 압출 성형하는 압출 과정과; 흡음재층을 압착하여 일체화될 수 있는 고온 상태의 기재층에 대하여, 기재층의 양측면에 흡음재층을 고온의 롤러를 이용하여 압착하는 열간 압착 과정; 기재층이 양측면에 흡음재층이 압착된 반제품을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는 커팅공정; 그리고 커팅된 반제품을 기재층이 소성 변형 가능한 고온 상태로 가열한 상태에서, 금형 사이에 투입하여 가압 성형 및 트리밍이 동시에 수행되는 오븐 프레스 과정으로 구성되고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는 기재층이 고온 상태인 동안 부직포를 양측면에 결합시킨 후, 금형을 이용한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완제품 상태의 언더커버를 제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기재층을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한 후, 양측면에 흡음재를 부착하는 종래의 공정에 비하여 현저하게 단순해지는 잇점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고, 이는 실질적으로 제조 경비를 포함하는 경제적인 측면 및 대량 생산과 같은 생산 효율성의 측면에서도 가장 유리한 장점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정을, 종래의 과정(실제로 기재를 사출 성형한 후, 그 양측면에 흡음재층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하거나 체결 요소를 이용하여 부착하는 과정)과 대비하여 보면, 현저하게 과정이 단순화됨은 물론이고, 이에 기초하여 생산성도 높아질 것은 당연히 예견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압출되는 합성수지재 기재층의 고온 상태에서 롤러를 이용하여 흡음재(부직포)를 접착시켜 일체화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것은 실질적으로 합성수지로 압출 성형되는 기재층의 경량화에 기초하는 장점, 그리고 흡음재의 부착 과정에 기초하는 생산 공정에서의 단순화 및 생산성 향상의 장점도 기대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점은 실질적으로는 언더커버로써 필요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전체적인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어서, 경량화에 의한 다양한 장점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언더커버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언더커버 제조방법을 보인 공정 설명도.
다음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보이는 도 1 및 도 2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언더커버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더욱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언더커버는, 기본적인 형상을 가지는 기재층(10)과, 이러한 기재층(10)의 양측면에 부착되는 흡음재층(12,14)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흡음재층(12,14)은 상술한 바와 같이, 소음을 흡수하기 위한 것이고, 가능하면 생산성이 좋고 경제적인 것으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측면에서는 부직포가 바람직한 하나의 선택일 수 있다.
그리고 기재층(10)은 실질적으로 언더커버의 전체적인 프레임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합성수지재로 성형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재층(10)은, 평판 형상으로 압출된 합성수지로 성형되고 양측면에는 흡음재층(12,14)이 부착된 후, 금형을 이용한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평면 부분 및 평면에서 오목 또는 볼록하게 성형되는 다양한 부분이 구비된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언더커버의 제조공정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언더커버 제조방법에는, 합성수지재의 기재층(10)을 평판 형상으로 압출 성형하는 것으로 시작된다(제110과정). 합성수지를 압출 성형하게 되면 실질적으로는 고온 상태인데, 이와 같이 합성수지재 기재층(10)이 고온 상태(예를 들면 150~220℃)에서 부직포로 성형되는 흡음재층(12,14)을 기재층(10)의 양측면에 부착하여 고정하게 된다.
상기 흡음재층(12,14)은 적어도 한 쌍 이상의 롤러를 이용하여, 기재층(10)의 양측면에 압착함으로써, 기재층(10)의 양측면에 고정된다. 이러한 흡음재 열간 압착 과정(제112과정)은, 기재층(10)이 고온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진행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기재층(10)의 고온 상태에서, 부직포 흡음재층(12,14)을 기재층(10)의 양측면에 압착시키기 위한 한 쌍의 롤러도 고온상태(예를 들면 70~110℃)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고온 상태의 롤러를 이용하여 흡음재층(12,14)을 기재층(10)의 양측면에 밀착 및 가압시키는 것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기재층(10)과 흡음재층(12,14)이 일체화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흡음재층(12,14)이 기재층(10)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로 가열되면 흡음재층(12,14)이 기재층(10)의 내부로 깊숙하게 침투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흡음 성능 및 전체적인 성형 상태에서 볼 때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흡음재층(12,14)을 기재층(10)에 가압하는 한 쌍의 롤러는 상대적으로 기재층(10)보다 저온 상태를 가지면서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평판 형상으로 압출 성형되어 공급되는 기재층(10)의 양측면에, 가열된 롤러를 이용하여 흡음재층(12,14)을 압착하는 부분에 대한 기술적 구성 자체는 실질적으로 여러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어서, 이 부분에 대한 롤러 등의 구성 자체에 대해서는 도시 및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흡음재의 열간 압착 과정(제112과정)이 완료되면, 실질적으로는 언더커버를 성형할 수 있는 기본적인 구성을 완료한 것이라고 할 수 있고, 이후에는 이러한 평판 상태의 반제품에서 언더커버로써 요구되는 형상으로 가공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상술한 열간 압착 과정 이후에는 커팅 과정(제114과정) 및 오븐 프레스 가공 과정(제116과정)이 진행된다.
여기서 커팅 과정(제114과정)은 정해진 규격의 언더커버가 될 수 있도록 열간 압착 과정이 완료된 반제품을 절단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반제품이라고 함은, 기재층(10)의 양측면에 흡음재층(12,14)이 압착된 상태의 제품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렇게 커팅 과정이 완료된 후에는, 프레스 가공 과정(제116과정)이 진행된다.
이러한 커팅 과정이 완료되면, 오븐 프레스 가공 과정(제116과정)이 진행되는데, 이러한 오븐 프레스 가공 과정은 상술한 반제품을 소정 온도까지 가열한 후 한 쌍의 금형 사이에 넣고 가압함으로써, 설계된 언더커버의 형상을 가지도록 가공되는 과정이다. 이러한 오븐 프레스 가공 과정은 실질적으로 합성수지재인 기재층(10)이 소성 변형되는 과정이라고도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프레스 가공 과정은, 기재층(10)의 소성 변형이 용이하도록, 어느 정도의 고온 분위기에서 진행된다.
예를 들면 상술한 열간 압착 과정(제112과정)에서, 기재층(10)의 온도는 100~200℃임은 상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열간 압착 과정이 완료된 후, 커팅 과정(제114과정)을 거치면서 기재층(10)은 어느 정도 냉각될 것임은 당연하다. 따라서 원활한 프레스 가공을 위하여, 상술한 반제품을 오븐을 이용하거나 다른 가열장치를 이용하여 소정의 온도(예를 들면 150~180℃)까지 가열한다.
기재층(10)과 흡음재층(12,14)으로 구성되는 반제품이 소정의 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다수의 금형 사이에 투입한 후 가압하는 프레스 가공 과정(제116과정)이 진행된다. 본 발명에서의 오븐 프레스 과정은, 평면 상태의 반제품을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형상으로 가압 성형하는 과정임과 동시에 원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트리밍(Trimming)하는 것도 포함한다. 이러한 트리밍은 실질적으로는 투입되는 금형의 형상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오븐 프레스 과정을 통하여, 고온으로 가열된 반제품은 냉각될 것임은 당연하다. 따라서 프레스(가압 성형) 과정이 완료되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오목 및 볼록한 부분이 각각 성형됨과 같이 원하는 사이즈로 트리밍된 상태의 완제품 언더커버가 만들어지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평판 형상으로 압출 성형되는 기재층(10)을 고온 상태부터 가공(제112과정)하여, 원하는 형상으로 절단(제114과정)한 후, 소성 가공에 적당한 온도까지 가열한 후 프레스(가압 성형) 가공에 의하여 원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언더커버를 완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사출 성형이 아니라, 합성수지재를 평판 형상으로 압출 성형함과 같이 압출 성형 시 뒤따르는 기재층의 고온 상태를 이용하면서 흡음재의 열간 압착 및 커팅, 그리고 오븐 프레스 가공을 수행함으로써, 원하는 형상을 가지는 언더커버를 완성하는 것에 착안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임도 당연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10 .... 합성수지재 기재층
12, 14 ..... 흡음재층
S 110 .... 기재층 압출 과정
S 112 .... 흡음재 열간 압착 과정
S 114 ..... 커팅 과정
S 116 ..... 프레스 가공 과정

Claims (1)

  1. 평판 형상으로 합성수지재 기재층을 고온상태로 압출 성형하는 압출 과정과;
    흡음재층을 압착하여 일체화될 수 있는 고온 상태의 기재층에 대하여, 기재층의 양측면에 흡음재층을 고온의 롤러를 이용하여 압착하는 열간 압착 과정;
    기재층이 양측면에 흡음재층이 압착된 반제품을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는 커팅공정; 그리고
    커팅된 반제품을 기재층이 소성 변형 가능한 고온 상태로 가열한 상태에서, 금형 사이에 투입하여 가압 성형 및 트리밍이 동시에 수행되는 오븐 프레스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언더커버의 제조방법.


KR1020160141565A 2016-10-28 2016-10-28 차량용 언더커버의 제조방법 KR201800464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1565A KR20180046452A (ko) 2016-10-28 2016-10-28 차량용 언더커버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1565A KR20180046452A (ko) 2016-10-28 2016-10-28 차량용 언더커버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452A true KR20180046452A (ko) 2018-05-09

Family

ID=62200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1565A KR20180046452A (ko) 2016-10-28 2016-10-28 차량용 언더커버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645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7483A (ko) 2021-07-28 2023-02-06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의 언더 커버용 클립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2884B1 (ko) * 2013-05-29 2014-12-17 원풍물산주식회사 엔진 언더 커버 소재 및 이로부터 제조된 엔진 언더 커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2884B1 (ko) * 2013-05-29 2014-12-17 원풍물산주식회사 엔진 언더 커버 소재 및 이로부터 제조된 엔진 언더 커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7483A (ko) 2021-07-28 2023-02-06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의 언더 커버용 클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05246B2 (en) Methods for making interior panels for motor vehicles
US9770849B2 (en) Method of making a sandwich-type, compression-molded, composite component having improved surface appearance
US10279512B2 (en) Method of making a laminated trim component at a molding station
US9409332B2 (en) Method for producing support structures in motor vehicles
US9114761B2 (en) Interior lining for a motor vehicle, which comprises a roof liner and a stiffening frame,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same
CN100522575C (zh) 乘用车内饰顶棚的生产工艺
KR20180046452A (ko) 차량용 언더커버의 제조방법
CN107666998B (zh) 用于制造机动车用隔音内饰板的方法和所获的隔音内饰板
KR20190059687A (ko) 차량용 언더커버
US20150321396A1 (en) Method of making a trimmed, laminated trim component
CN108724602B (zh) 树脂成形体及其制造方法
MXPA04004896A (es) Metodo para fabricar una pieza compuesta, en particular, una pieza de vehiculo, asim como un panel de cuerpo de auto montado.
KR0185495B1 (ko) 차량의 내장용 트림부품 및 그 제조방법
US10166704B2 (en) Method of making a laminated trim component at a pair of spaced first and second molding stations
KR101421951B1 (ko) 사이드인슐레이터 및 그 제조방법
CN107433723B (zh) 零配件的制造方法
KR102338065B1 (ko) 기능화된 3차원 성형체의 제조 방법
US10532499B2 (en) Method of making a laminated trim component
CN105015114A (zh) 一种用聚合物天然纤维复合材料制造汽车门内饰板的方法
CN105235118A (zh) 冷模法加工汽车内饰顶棚生产技术
CN112622778A (zh) 用于车辆的内部装饰面板和形成内部装饰面板的方法
EP1682321B1 (de) Herstellung einer fahrzeug-innenverkleidung
KR100779850B1 (ko) 자동차용 흡음재 제조방법
JPH1148221A (ja) 自動車内装用芯材並びにそれを使用した自動車用内装部品
GB2387139A (en) Manufacturing a composite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