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5855A - 수술대에 액세서리를 고정하기 위한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수술대에 액세서리를 고정하기 위한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5855A
KR20180045855A KR1020177018023A KR20177018023A KR20180045855A KR 20180045855 A KR20180045855 A KR 20180045855A KR 1020177018023 A KR1020177018023 A KR 1020177018023A KR 20177018023 A KR20177018023 A KR 20177018023A KR 20180045855 A KR20180045855 A KR 20180045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rods
square
profile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8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베른하르트 카첸슈타인
Original Assignee
마쿠에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쿠에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마쿠에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80045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58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3/00Operating tables; Auxiliary appliances therefor
    • A61G13/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13/101Clamping means for connecting accessories to the operating 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50Supports for surgical instruments, e.g. articulated arms
    • A61B90/57Accessory c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1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liding ja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16M13/02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reposition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술대에 액세서리를 고정하기 위한 디바이스(10, 80, 90)와 관련되고, 디바이스는 수술대에 디바이스(10, 80, 90)를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부(12) 및 디바이스(10, 80, 90)에 상기 액세서리의 로드(100 내지 110)을 고정하기 위한 제2 고정부(30)를 포함한다. 제2 고정부(30)는 로드(100 내지 110)를 수납하기 위한 홀을 포함하고 상기 홀의 단면은 적어도 2개의 상이한 타입들의 프로파일을 갖는 로드들(100 내지 110)이 상기 홀 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Description

수술대에 액세서리를 고정하기 위한 디바이스{DEVICE FOR SECURING AN ACCESSORY TO AN OPERATING TABLE}
본 발명은 수술대에 액세서리를 고정하기 위한 디바이스와 관련되고, 디바이스는 베이스 바디, 디바이스를 수술대에, 특히, 수술대의 레일 상에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부 및 디바이스에 액세서리의 로드를 고정하기 위한 제2 고정부를 포함한다.
환자들은 수술들 동안의 침습에 따라 상이한 위치들에서 배치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이는 신장 수술의 경우에는 측면 위치일 수 있다. 환자는 이러한 위치들에서는 안정적으로 놓여질 수 없으므로, 위치에 있어서 환자를 지지하고 안정화하기 위한 디바이스가 요구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소위 바디 지지부(supports)이 수술대 상에서의 소정의 위치에서 환자를 안정화하기 위해 사용된다. 바디 지지부는 수술대의 측부들 상에 위치된 레일들에 고정된다. 상이한 바디 타입의 환자들을 지지하기 위해, 바디 지지부의 높이는 조절 가능하게 되어야 하고 이는 설정된 높이에서 바디 지지부를 고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야 한다. 따라서, 고정 디바이스들을 통해 수술대로 도입되는 힘들은 외부로부터 이러한 바디 지지부에 작용한다. 액세서리들을 패스닝하기 위한 이러한 디바이스들은 일반적으로 또한 브라켓들로서 참조된다.
도입되는 힘들은 수술대에 평행한 축에 대해 도입되는 토크들이다. 레일들은 완전한 눕힘 표면(resting surface)을 따라 형성되지 않으므로, 레일이 즉각적으로 아래에 배치되지 않는 구역들에서 환자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가 또한 필요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들에 있어서, 토크들은 수술대의 표면에 수직하는 축에 대해 브라켓들을 사용하여 레일들로 도입되어야 한다.
도입되는 힘들은, 수평 평면에 대해 기울어진 곳에서의 지지 표면의 설정의 경우에 있어서, 예컨대, 트렌델버그 자세(Trendelenburg position)의 경우에 있어서, 그/그녀가 눕힘 표면에서 미끄러져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방식으로 환자를 지지하는 힘들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소위 어께 지지부 또는 발 지지부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이는 또한 수술대의 슬라이드 레일에 브라켓을 통해 연결되며, 측 상에 부착된다. 여기서, 지지되어야 하는 토크들은 따라서 눕힘 표면의 표면에 대해 평행하고 그 종방향에 대해 90도로 배치되는 축에 대한 토크들이다.
한편으로는, 눕힘 표면은 종방향으로 및 눕힘 표면의 종방향의 축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는 축에 대하여 동시에 기울어지는 것에 의해 공간 내에서 또한 지향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액세서리들은 브라켓들을 통해 부착될 수 있기 때문에, 기구 랙들, 인퓨전 스탠드들 및 나르코틱 보우들과 같은, 즉, 환자를 지지하지는 않지만 일반적인 작업을 위해 또는 커버링 재료, 튜브들, 라인들 또는 수술 중 약물 투여를 위한 장치들, 토크들 및 힘들의 여하한 조합들을 안정적으로 고정되어야 하는 브라켓들 상으로 고정하기 위한 악세서리들이 가능하게 된다.
브라켓들을 통한 힘들 및 토크들의 가능한 한 가장 안정적인 도입을 보장하는 한 가지의 가능성은 브라켓들에 대한 단단한 결합에 의해 바디 지지부를 접속시키는 것이다. 이는 브라켓이 액세서리에 단단하게 고정되고, 액세서리의 큰 총 중량을 결과로서 낳는다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각 액세서리에 대해, 하나의 브라켓이 상기 액세서리에 대해 또한 고정될 필요가 있고, 이는 비용 및 요구되는 저장 공간을 증가시키므로, 불리하다.
또한, 바디 지지부가 특수한 브라켓들을 통해 포지티브 잠금 접속에 의해 접속되는 시스템들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알려진 시스템들에서는, 특정한 바디 지지부 또는 바디 지지부 시리즈에 대해 적합한 단 하나의 브라켓이 항상 존재한다. 바디 지지부의 로드들은 공통적으로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또는 둥근 프로파일들을 가진다. 육각형 또는 팔각형 프로파일들 또한 알려져 있다. 알려진 브라켓들에 있어서, 각 프로파일 타입에 대해, 특수한 브라켓들이 사용되어야 하며, 이는 복수의 상이한 브라켓들이 스토리지에 보관될 필요가 있고, 먼저 잘못된 브라켓을 사용하게 되는 시도가 쉽게 일어날 수 있다는 점에서 불리하다.
또한, 이러한 브라켓들을 사용하여, 예컨대, 나르코틱 보우들이 또한 수술대의 레일들에 고정된다. 나르코틱 보우는 환자의 목과 환자의 가슴 사에의 영역에서 눕힘 표면의 슬라이드 레일들의 측부 상에 부착되는 로드 어셈블리이다.
이러한 로드 어셈블리들에 대해, 한편으로는, 환자들을 커버하는 살균 시트들이, 환자의 머리에 대한 가능한 한 최적의 접근을 마취 전문의에게 제공하기 위해 부착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환자의 팔이 로드 어셈블리에, 수술팀을 위한 수술 필드에의 접근을 간략화하기 위해 고정될 수 있다. 나르코틱 보우들의 경우에도 또한, 많은 상이한 프로파일들이 알려져 있고, 여기에서도 역시, 각 프로파일 타입에 대해 특수한 브라켓들이 사용된다.
또한, 환자의 팔의 수술 중(interoperative) 받침을 위한 암 레스트가 브라켓들을 통해 레일들에 부착된다.
추가적으로 액세서리 로드들을 수술대들에 접속시키기 위한 소위 레이디얼 세팅(radial setting) 클램프들이 알려져있다. 이들은 액세서리 로드들이, 한편으로는, 수술대의 표면에 대해 평행한 평면에서, 다른 한편으로는, 수술대의 종방향의 방위(orientation)에 대해 직각에서 지향되는 축에 대해 추가적으로 회전될 수 있고, 수술대의 표면에 대한 일 각도에서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로드들의 고정 및 각도 설정은 수동으로 조작되는 작동 요소를 사용하여 일어나고, 이러한 목적을 위해, 토미 스크류가 수동으로 작동되는 고정 요소로서 공통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레이디얼 세팅 클램프들은 둥근(round) 프로파일들을 갖는 로드들을 수납하기 위해 배타적으로 설계된다. 직사각형 프로파일의 로드들을 갖는 액세서리들은 이러한 레이디얼 세팅 클램프들을 사용하여 레일들에 대해 고정될 수 없다. 또한, 여기에서는, 토미 스크류의 텐셔닝을 느슨하게 하는 것으로, 모든 자유도가 동시에 릴리즈되고, 따라서, 레이디얼 세팅 클램프를 통해 고정된 액세서리들의 위치의 미세한 설정이 불가능하게 된다는 점에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술대에 액세서리들을 고정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것이며, 이를 사용하여 많은 상이한 액세서리들이 그 프로파일에 독립적으로 간단하고 신뢰성 있게 수술대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들을 갖는 디바이스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개발물들은 종속항들에서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패스닝부는 액세서리의 로드를 수납하기 위한 홀 및 홀 내에 수납된 로드를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부를 갖는다. 홀의 단면은 여기에서, 홀 내에 제1 프로파일 타입을 갖는 로드들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프로파일 타입을 갖는 로드들 둘 다가 클램핑부를 사용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특히, 제1 프로파일 타입의 로드들 및 제2 프로파일 타입의 로드들은 홀 내에서 포지티브 잠금 접속(positive locking connection)으로 수용될 수 있다.
전술된 디바이스로, 적어도 제1 및 제2 프로파일을 갖는 로드들이 동일한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수술대에 고정될 수 있다. 종래 기술과는 달리, 특수한 디바이스가 각 프로파일 형상에 대한 프로세스에서 사용될 필요가 없고, 그 수용 영역이 대응하는 프로파일 형상으로 조절된다(adapted). 따라서, 믹스-업(혼동)이 방지되고, 취급이 간편하게 된다. 또한, 저장되어야 하는 부품들의 수가 더 작아지고, 이는 비용 및 요구되는 저장 공간을 감소시킨다.
본원의 맥락에서, 프로파일은 특히, 로드 각각의 단면의 외측 형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로드는 따라서, 특히, 직사각형, 동그라미(round) 또는 정사각형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고, 본원의 맥락에서, 직사각형 프로파일은 특히, 이러한 프로파일이 정사각형이 아닌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특히, 홀은 여기에서 그 벽의 형상이 제1 프로파일 타입 및 또한 제2 프로파일 타입 둘 다에 대해 조절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프로파일 타입은 단면의 타입 각각을, 즉, 예컨대, 둥근 로드들, 직사각형 로드들 등을 나타낸다. 상이한 프로파일 타입들은, 예컨대, 상이한 직경을 갖는 2개의 둥근 프로파일들과 같은 상이한 치수들을 갖는 로드들이라기 보다는, 동일한 형상이 아닌 로드들인 것으로 이해된다.
특히, 홀은 그것이 제1 프로파일 타입에 대해 일 서브섹션(subsection)에서 보완적이고 제2 서브섹션에서 제2 프로파일에 대해 보완적이게 되도록 설계되는 방식으로 형상이 정해진다. 결과적으로, 제1 프로파일 타입의 로드들 및 또한 제2 프로파일 타입의 로드들 둘 다가, 이들이 가능한 한 가장 넓은 영역을 통해 홀의 벽과 접촉하므로, 안정적으로 클램프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홀의 단면은, 홀 내에서, 제3 프로파일 타입을 갖는 로드들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이로 인해, 훨씬 더 많은 수의 상이한 프로파일들이 수용될 수 있음이 달성되고, 따라서, 단지 하나의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수술대에 대해 모든 공통 프로파일 타입들을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홀은 원형 프로파일을 갖는 로드들, 평면 표면들을 갖는 원형 프로파일을 갖는 로드들, 직사각형 프로파일을 갖는 로드들 및/또는 n각형 축-대칭 프로파일을 갖는 로드들이 소정의 치수 범위 내에서 각각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이로 인해, 공통 치수 범위들 내의 모든 공통 프로파일들이 디바이스를 통해 수술대에 고정될 수 있음이 달성된다. n각형 축-대칭 프로파일은 예컨대, 대칭 육각형 또는 대칭 팔각형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또한, 홀의 단면이 제1 프로파일 타입의 로드들 및 또한 제2 프로파일 타입의 로드들 둘 다가 홀과, 클램핑부와 마주보는(face) 측 상에서, 적어도 3개의 포인트 접촉들 또는 2개의 선들을 따라,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설계되면 유리하다. 특히, 이러한 2개의 선들은 공통의 축 상에 놓이지 않고, 대신에,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2개의 선들 또는 3개의 포인트 접촉들을 통해, 제1 프로파일 타입의 로드들 및 또한 제2 프로파일 타입의 로드들 둘 다의 홀 내에서의 신뢰성 있는 고정이 보장된다. 특히, 하나 이상(more than one)의 선에서의 접촉을 통해, 로드 각각의 트위스팅 또는 틸팅이 신뢰성 있게 방지된다.
홀의 단면이 적어도 제1 프로파일 타입의 로드들이 홀과, 클램핑부와 마주보는 측 상에서 평편 접촉(flat contact)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설계되면 특히 유리하다. 평편 접촉을 통해, 특히 신뢰성 있는 유지(hold)가 보장된다. 특히, 이러한 방식으로는, 특히, 비어있는(hollow) 프로파일들의 경우에 있어서, 디바이스 및/또는 로드들을 손상시키는 것 없이 더 큰 힘들을 보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2 프로파일 타입의 로드들이, 이들이 홀 내에 수용될 때, 또한 클램핑부를 마주보는 벽과 평편 접촉하면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홀의 단면은, 제2 프로파일 타입의 로드들이, 수용된 로드들의 측방향 슬립핑(lateral slipping)이 홀의 벽 상에서의 접촉을 통해 방지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홀 내에서 클램프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홀은, 특히, 로드들이 그 프로파일 타입에 독립적으로 적어도 2개의 측들 상에서 접촉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형상이 정해지고, 따라서 슬립핑 및 트위스팅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홀의 단면은 정사각형 및 직사각형의 중첩으로부터 비롯되고, 정사각형은 직사각형에 대해, 특히, 45도만큼 회전된다. 이는 특히, 중심들이 일치하고 대각선들이 서로에 대해 45도만큼 회전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형상의 결정의 결과로서, 직사각형, 정사각형, 동그라미 및 또한 n 각형 축-대칭 프로파일들은, 클램핑부와 마주보는 측에서, 이들은 각 경우에 있어서, 로드들의 슬립핑, 트위스팅 및/또는 틸팅이 신뢰성 있게 방지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여러(several) 구역들에서 접촉하거나, 홀의 벽과 평편 접촉하므로, 신뢰성 있게 클램프될 수 있다.
홀의 단면이 부분적으로는 정사각형에 의해 부분적으로는 직사각형에 의해 형성되면 특히 유리하다. 특히, 정사각형의 대각선은 직사각형의 더 긴 변(side)보다 더 길고, 따라서, 직사각형의 짧은 변들 상에서 또한, 정사각형의 돌출하는 코너들에 의해 V-형상의 노치가 형성된다. 이러한 노치를 사용하여, 특히, 정사각형 프로파일의 에지가 대응하여 마주하는(facing) V-형상의 노치에 배치된다는 점에서, 정사각형 프로파일들이 트위스트-방지 및 틸트-방지 방식으로 클램프될 수 있음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홀의 단면은 정사각형 및 2개의 직사각형들의 중첩으로부터 또한 비롯될 수 있고, 직사각형들은 서로에 대해 90도만큼 회전되고, 정사각형은 직사각형들 각각에 대해 45도만큼 회전된다. 직사각형들은 특히, 중심들이 일치하고 2개의 직사각형들의 더 긴 변들이 서로에 대해 직교하게 배치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단면의 이러한 형상 결정에 의해, 디바이스를 통해 수술대에 신뢰성 있게 고정될 수 있는 가능한 프로파일들의 수가 더 많이 증가될 수 있다. 특히, 직사각형 프로파일들은 90도만큼 회전된 2개의 상이한 방위들에서 따라서 수용될 수 있다.
정사각형 및 직사각형들은, 특히, 이들이 각 경우에 있어서 서로 넘어서 투사되고, 따라서, 상기 홀의 단면은 부분적으로는 정사각형에 의해, 부분적으로는 하나의 직사각형에 의해, 부분적으로는 나머지 직사각형에 의해, 범위가 정해지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직사각형들은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정사각형의 대각선은 직사각형들의 더 긴 변들보다 더 길다. 결과적으로, 직사각형들의 짧은 변들에서, 정사각형 프로파일들의 에지들을 수용하기 위한 V-형상의 노치들이 마련됨이 다시 달성된다.
또한, 클램핑부가 텐셔닝 스크류, 특히, 토미 스크류로서 설계되면 유리하다. 따라서, 간단한 방식으로, 클램핑 및 또한 로드의 고정을 느슨하게 하는 것이 달성될 수 있다. 텐셔닝 스크류는, 특히, 클램프되는 로드들을 접촉시키기 위한 평편 접촉 표면을 포함한다. 이로 인해, 접촉이 선 및/또는 심지어는 평면을 따라서 마련된다는 점에서, 동그라미, 직사각형 및 또한 정사각형 로드들이 신뢰성 있게 클램프 됨이 달성된다.
디바이스의 제1 패스닝부는 바람직하게는 수술대의 레일 상에 디바이스를 단단하게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부가 되도록 설계된다. 특히, 클램핑부는 제1 후크를 가지고, 이로 인해 디바이스는 레일의 상부 에지 상에 마운트될 수 있다. 또한, 제2 후크가 마련되고, 제2 후크는 수동으로 작동되는 레버를 사용하여 이동될 수 있고 아래쪽으로부터 레일을 에워쌀(enclose) 수 있다. 따라서, 소기의 위치에서 신뢰성 있는 단단한 클램핑이 가능하게 된다. 이로 인해, 디바이스는 레일로부터 떨어지는 것이 방지되고 또는/추가적으로 원치 않는 측방향의 슬라이딩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 및 이점들은 실시 예시들과 부수된 도면들을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자세하게 설명하는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비롯된다.
도 1은 수술대에 액세서리를 고정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도식적인 투시도 표현을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디바이스의 다른 도식적인 투시도 표현을 나타낸다;
도 3은 도 1에 따른 디바이스의 다른 도식적인 투시도 표현을 나타낸다;
도 4는 도 1에 따른 디바이스의 다른 도식적인 투시도 표현을 나타낸다;
도 5는 둥근 프로파일을 갖는 로드의 수용의 경우에 있어서의 도 1 내지 도 4에 따른 디바이스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직사각형 프로파일을 갖는 로드의 수용의 경우에 있어서의 도 1 내지 도 4에 따른 디바이스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은 추가적인 직사각형 로드의 수용의 경우에 있어서의 도 1 내지 도 4에 따른 디바이스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도 8은 정사각형 프로파일을 갖는 로드의 수용의 경우에 있어서의 도 1 내지 도 4에 따른 디바이스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도 9는 팔각형 프로파일을 갖는 로드의 수용의 경우에 있어서의 도 1 내지 도 4에 따른 디바이스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육각형 프로파일을 갖는 로드의 수용의 경우에 있어서의 도 1 내지 도 4에 따른 디바이스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술대에 액세서리를 고정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도식적인 표현을 나타낸다;
도 12는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술대에 액세서리를 고정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도식적인 표현을 나타낸다.
도 1 및 도 2에서, 각 경우에 있어서, 수술대의 레일들에 액세서리들을 고정하기 위한 디바이스(10)의 제1 실시예의 도식적인 투시도 표현이 도시된다. 디바이스(10)는 브라켓으로서 또한 참조된다.
디바이스(10)는 수술대의 레일들에 디바이스(10)를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부(12)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 고정부(12)는 제1 후크(14)를 포함하고, 이는 디바이스(10)의 베이스 바디(16)의 일부가 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후크(14)는 수술대의 레일의 상부 측에 걸릴 수 있고, 따라서, 레일은 오목부(18) 내에 수납된다.
또한, 제1 패스닝부(12)는 추가적인 후크(20)를 포함하고, 이는 레버(22)를 통해 수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 디바이스(10)가 레일 상으로 위에서부터 놓여지자마자, 레버(22)는 화살표(P1)의 방향으로 도 2에서 도시된 위치 밖으로 이동되고, 그 결과로서 제2 후크(20)는 화살표(P1) 방향으로 이동되며, 따라서, 후크는 아래에서부터 수술대의 레일을 에워싸고 클램핑 접속을 이루게 된다. 결과적으로, 수술대 상에서의 신뢰성 있는 고정이 달성된다. 특히, 레일 상에서의 축 방향의 슬라이딩이 또한 방지된다. 레버(22)는, 도 2에서는 보여지지 않는, 스냅-인 요소를 포함하고, 이는 레버(22) 및 따라서 제2 후크(20)가 소기의 위치에서 유지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보완적인 디텐트(24)에서 체결할 수 있다.
제1 고정부(12)로부터 멀어지는(facing away from) 베이스 바디(16)의 측 상에서, 디바이스(10) 및 따라서 수술대에 액세서리의 로드를 고정하기 위한 제2 고정부(30)가 마련된다. 이러한 액세서리는, 예컨대, 바디 지지부, 암 지지부 및/또는 마취(anesthesia) 보우일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들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방식으로 디바이스(10)를 통해 수술대에 수직으로 연장하여 고정되는 로드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갖는다. 이는 매우 많은 수의 상이한 소정의 로드의 프로파일들에 대해 아래에서 더 자세하게 설명되는 것과 같은 것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제2 고정부(30)는 통로 홀(40)을 갖고, 이를 통해, 디바이스(10)에 고정되는 액세서리의 로드들이 유도된다(led). 홀(40)은 특히, 정사각형 프로파일을 갖는 로드들, 직사각형(비-정사각형) 프로파일을 갖는 로드들 및 또한 평면 표면을 갖거나 갖지 않는 둥근 프로파일을 갖는 로드들, 6각형 프로파일을 갖는 로드들 및 또한 팔각형 프로파일을 갖는 로드들이, 최소 및 최대 사이즈 사이의 각 경우에 있어서, 유도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이와 관련하여, 홀(40)은, 특히, 토미 스크류(36)와 마주보는 측 상에서, 측벽으로서 평편 표면(42)을 가지고, V-형상의 노치(44)가 중간에 마련된다.
제2 고정부(30)는 홀(40)까지 및 홀(40)으로 연장하는 홀(52)을 포함한다. 홀(52) 내에는 스레드(threading)가 마련되고, 거기에서 텐셔닝 스크류가 체결한다. 텐셔닝 스크류(36)의 레버(54)를 돌림으로써, 래터(latter)가 홀(52)의 축 방향으로 홀(40) 내로 및 래터의 밖으로 이동될 수 있고, 그 결과로서, 수용된 로드들이, 아래에서 더 정확하게 설명될 것처럼, 클램프된다.
홀(40)은 그 종방향의 축이, 계획(plan)에 따른 디바이스(10)의 설치의 경우에 있어서, 수술대의 수평으로 연장하는 레일 상에서 수직으로 지향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도 3에서, 디바이스(10)의 추가적인 도식적인 투시도 표현이 도시되고, 여기에서는, 특히, 뷰는 홀(40)으로 지시된다. 홀(40)은 여기에서는 둥근 프로파일을 갖는 로드들, 직사각형, 비-정사각형 프로파일을 갖는 로드들, 정사각형 프로파일을 갖는 로드들, 육각형 프로파일을 갖는 로드들 및 또한 팔각형 프로파일을 갖는 로드들이 홀 내에서 신뢰성 있게 클램프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형상이 정해진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홀(40)의 단면은, 홀(40)의 마주보는 측 상에서, 앞서-전술된 모든 프로파일 타입들이 평편 접촉 또는 적어도 2개의 접촉 선들을 따라 홀의 벽과 인접하는 방식으로 선택될 수 있고, 따라서, 슬립핑 및 또한 트위스팅이 신뢰성 있게 방지된다. 전술된 상이한 프로파일 타입들에 대한 대응하는 접촉은 도 5 내지 10에서 특히 잘 보여진다.
도 4에서, 도 1 내지 3에 따른 디바이스(10)의 추가적인 도식적인 투시도 표현이 도시되고, 홀(40)의 형상 결정을 설명하기 위해, 홀(40) 내의 기하학적 형상들이 점선들 또는 파선들을 사용하여 나타내어졌다.
홀(40)의 단면은 2개의 직사각형들(74, 76) 뿐만아니라 정사각형(72)의 중접으로부터 비롯된다. 직사각형들은 동일한 형상이 되고 서로에 대해 90도로 회전되어 배치된다. 정사각형(72)은 2개의 직사각형들에 대해 45도만큼 회전되어 배치되고, 정사각형(72)의 중심과 직사각형들(74, 76)의 중심들은 한 점에서 일치한다. 정사각형(72)의 대각선들은 직사각형들(74, 76)의 긴 변들보다 더 길고, 그 결과로서, 정사각형은 직사각형들의 직사각형의 짧은 변들 상에서 상기 직사각형들을 넘어 투사되고, 따라서 이들은 홀(40)의 둘레(contour)에서 V-형상의 노치들을 결과로서 낳는다. 특히, 전제적으로 보면, 홀(40)의 둘레는 정사각형(72)에 의한 일부 부분들 상에서, 직사각형(74)에 의한 일부 부분들 상에서, 직사각형(76)에 의한 일부 부분들 상에서 형성된다.
도 5 내지 10과 관련하여 아래에서 더 자세하게 설명되는 것처럼, 이러한 홀(40)의 특별한 형상 결정을 통해, 모든 공통의 프로파일 타입들이 디바이스(10)을 통해 신뢰성 있게 클램프될 수 있고 따라서 수술대에 고정될 수 있다.
도 5에서, 둥근 프로파일을 갖는 로드(100)의 수용이 도시된다. 이러한 로드는 2개의 접촉 선들을 통해 텐셔닝 스크류(36)을 마주보는 측 상에서 홀(40)의 벽과 인접한다.
도 6은 도 1 내지 4에 따른 디바이스(10)의 상면도를 나타내고, 직사각형 프로파일을 갖는 로드(102)가 클램프되었다. 로드(102)는 직사각형(76)에 의해 형성되는 홀(40)의 둘레(periphery)의 서브섹션에 대해 편평하게 놓이고, 따라서, 로드(102)는 또한 신뢰성 있게 고정될 수 있다.
도 7은 도 1 내지 도 4에 따른 디바이스의 상면도를 나타내고, 직사각형 프로파일을 갖는 로드(104)가 수용되었다. 그러나, 도 6에서의 로드(102)와 비교하여, 이러한 로드(104)는 90도만큼 회전되어 배치된다. 이러한 로드는 텐셔닝 스크류(36)를 통해 직사각형(74)에 의해 형성된 표면들에 대해 눌러지고, 따라서, 로드(104)는 슬라이드-방지 및 트위스트-방지 방식으로 클램프될 수 있다.
도 8에서, 디바이스(10)의 상면도가 도시되고, 정사각형 프로파일을 갖는 로드(106)가 홀(40) 내에 수용되었다. 여기에서, 정사각형 프로파일의 에지들은 정사각형(72)에 의해 형성된 V-형상의 노치들 내에서 수용되고, 따라서, 신뢰성 있는 유지가 보장된다.
도 9에서, 디바이스(10)의 추가적인 상면도가 도시되고, 팔각형 프로파일을 갖는 로드(108)가 수용되었다.
도 10은 도 1 내지 4에 따른 디바이스(10)의 상면도를 나타내고, 육각형 프로파일을 갖는 로드(104)가 홀 내에 수용되고 신뢰성 있게 클램프되었다.
도 11에서,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술대에 액세서리를 부착하기 위한 디바이스(80)의 도식적인 표현이 도시된다. 이러한 제2 실시예에서, 홀(40)은 상이하게, 즉, 홀이 단지 정사각형(72) 및 직사각형(74)의 중첩으로만 구성되도록 형상이 정해진다.
이러한 형상 결정은 또한, 전술한 것처럼, 많은 수의 상이한 프로파일 타입들 - 제1 실시예에서만큼 많은 프로파일 타입들은 아님 -이 수용될 수 있다. 특히, 도 6에서의 로드(102)에 따라 배치되는 직사각형 프로파일들이 수용될 수 없다.
도 12에서, 제3 실시예에 따른 수술대에 액세서리를 고정하기 위한 디바이스(90)의 상면도가 도시된다. 이러한 제3 실시예에서, 홀(40)은 그 단면이 정사각형(72) 및 직사각형(76)의 중첩으로부터 비롯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형상이 정해진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도 7에 따른 로드(104)에 따라 배치되는 로드들은 수용될 수 없다.
전반적으로, 전술한 디바이스(10)를 사용하여, 많은 상이한 소정의 프로파일들을 갖는 로드들(100 내지 108)이 디바이스(10)를 통해 수술대에 고정될 수 있음이 달성된다. 또한, 여하한 경우에 있어서, 잘못된 로드들이 설정 조작 상태(set operating state)에 각각 도입되는 것이 방지되고, 이는 신뢰성 있는 고정을 보장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많은 수의 액세서리들에 대해 사용되는 단 하나의 디바이스(10) 만을 필요로 한다. 추가적으로, 디바이스(10)는 결합 접속(bonding connection)을 통해 액세서리들 각각에 영구적으로 고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디바이스(10)는 수술대를 넘어 투사하지(project beyond) 않고 이송을 방해하지 않으므로, 디바이스(10)는 환자가 다른 베드로 이송될 때에도 수술대 상에 남아 있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디바이스(10)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모든 액세서리들이 동일한 손잡이(handhold)들에 의해 고정될 수 있고 개별적인 고정 디바이스들에 따라 각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조절될 필요가 없으므로, 취급이 전반적으로 간단해진다. 추가적으로, 레이디얼 세팅 클램프들의 경우와는 달리, 고정이 릴리즈될 때, 디바이스(10)의 틸팅 어웨이(tilting away)가 방지된다.
또한, 정사각형 프로파일들은 에지들 상에 클램프되는 것이 유리하고, 이로 인해, 평편 클램핑의 경우와는 달리, 비어있는 프로파일들의 경우에 있어서의 변형이 회피된다.
10, 80, 90 디바이스
12 제1 고정부
14 후크
16 베이스 바디
18 오목부
20 후크
22 레버
24 디텐트
30 제2 고정부
36 텐셔닝 스크류
40 홀
42 표면
44 V-형상의 노치
52 홀
54 레버
56 접촉 표면
72 정사각형
74, 76 직사각형
100 내지 110 로드
P1 방향

Claims (18)

  1. 수술대에 액세서리를 고정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수술대에, 특히 상기 수술대의 레일에 상기 디바이스(10, 80, 90)를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부(12) 및
    상기 디바이스(10, 80, 90)에 상기 액세서리의 로드(100 내지 110)을 고정하기 위한 제2 고정부(30)를 갖고,
    상기 제2 고정부(30)는 상기 액세서리의 로드(100 내지 110)를 수납하기 위한 홀(40)을 갖고,
    상기 제2 고정부(30)는 상기 홀(40) 내에 수용된 로드(100 내지 110)을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부(36)를 포함하고,
    상기 홀(40)의 단면은 제1 프로파일 타입을 갖는 로드들(100 내지 110) 및 또한 적어도 제2 프로파일 타입을 갖는 로드들(100 내지 110)이 상기 클램핑부(36)를 사용하여, 특히, 포지티브 잠금 접속(positive locking connection)에 의해 홀 내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대에 액세서리를 고정하기 위한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40)의 단면은 적어도 제3 프로파일 타입의 로드들(100 내지 110)이 또한 홀(40) 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대에 액세서리를 고정하기 위한 디바이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40)의 단면은 원형 프로파일을 갖는 로드들(100 내지 110), 평면 표면들을 갖는 원형 프로파일을 갖는 로드들(100 내지 110), 직사각형 프로파일을 갖는 로드들(100 내지 110), 정사각형 프로파일을 갖는 로드들(100 내지 110) 및/또는 n각형, 축-대칭 프로파일을 갖는 로드들(100 내지 110)이 홀(40) 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대에 액세서리를 고정하기 위한 디바이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40)의 단면은 상기 제1 프로파일 타입의 로드들(100 내지 110) 및 또한 상기 제2 프로파일 타입의 로드들(100 내지 110)이 상기 홀(40)과 상기 클램핑부(36)와 마주보는(face) 상기 홀(40)의 측 상에서, 적어도 3개의 포인트-형상의 영역들에서, 접촉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대에 액세서리를 고정하기 위한 디바이스.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40)의 단면은 상기 제1 프로파일 타입의 로드들(100 내지 110) 및 또한 상기 제2 프로파일 타입의 로드들(100 내지 110)이 상기 홀(40)과 상기 클램핑부(36)와 마주보는 상기 홀(40)의 측 상에서, 적어도 2개의 접촉 선들을 따라, 접촉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대에 액세서리를 고정하기 위한 디바이스.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40)의 단면은 상기 제1 프로파일 타입의 로드들(100 내지 110)이 상기 홀(40)과 상기 클램핑부(36)와 마주보는 상기 홀(40)의 측 상에서 평편 접촉(flat contact)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대에 액세서리를 고정하기 위한 디바이스.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40)의 단면은 상기 제1 프로파일 타입의 로드들(100 내지 110) 및 또한 상기 제2 프로파일 타입의 로드들(100 내지 110)이 상기 홀(40)과 상기 클램핑부(36)와 마주보는 상기 홀(40)의 측 상에서 평편 접촉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대에 액세서리를 고정하기 위한 디바이스.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40)의 단면은, 상기 제1 프로파일 타입의 로드들(100 내지 110) 및 또한 상기 제2 프로파일 타입의 로드들(100 내지 110)의 경우에 있어서(in the case of), 대응하여 수용된 로드(100 내지 110)의 측방향 슬립핑(lateral slipping)이 상기 홀(40)의 벽 상에서의 접촉에 의해 방지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대에 액세서리를 고정하기 위한 디바이스.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40)의 단면은 정사각형(72) 및 직사각형(74, 76)의 중첩으로부터 비롯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대에 액세서리를 고정하기 위한 디바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사각형(72)은 상기 직사각형(74, 76)에 대해 45도만큼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대에 액세서리를 고정하기 위한 디바이스.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정사각형(72) 및 상기 직사각형(74, 76)은 서로 넘어서 투사되고(project beyond), 따라서, 상기 홀(40)의 단면은 부분적으로는 상기 정사각형(72)에 의해 부분적으로는 상기 직사각형(74, 76)에 의해 범위가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대에 액세서리를 고정하기 위한 디바이스.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사각형(72)의 대각선은 상기 직사각형(74, 76)의 더 긴 변(side)보다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대에 액세서리를 고정하기 위한 디바이스.
  13.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40)의 단면은 정사각형(72) 및 2개의 직사각형들(74, 76)의 중첩으로부터 비롯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대에 액세서리를 고정하기 위한 디바이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직사각형들(74, 76)은 서로에 대해 90도만큼 회전되고, 상기 정사각형(72)은 상기 직사각형들(74, 76)에 대해 45도만큼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대에 액세서리를 고정하기 위한 디바이스.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정사각형(72) 및 상기 직사각형들(74, 76)은 각 경우에 있어서 서로 넘어서 투사되고(project beyond), 따라서, 상기 홀(40)의 단면은 부분적으로는 상기 정사각형(72)에 의해, 부분적으로는 하나의 직사각형(74)에 의해, 부분적으로는 나머지 직사각형(76)에 의해, 범위가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대에 액세서리를 고정하기 위한 디바이스.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사각형들(74, 76)은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정사각형(72)의 대각선은 상기 직사각형들(74, 76)의 더 긴 변보다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대에 액세서리를 고정하기 위한 디바이스.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36)는 텐셔닝 스크류, 특히, 토미 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대에 액세서리를 고정하기 위한 디바이스.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텐셔닝 스크류(36)는 클램프되는 상기 로드들(100 내지 110)을 접촉시키기 위한 평면 접촉 표면(5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대에 액세서리를 고정하기 위한 디바이스.
KR1020177018023A 2015-08-28 2015-12-07 수술대에 액세서리를 고정하기 위한 디바이스 KR201800458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114402 2015-08-28
DE102015114402.6 2015-08-28
PCT/EP2015/078789 WO2017036567A1 (de) 2015-08-28 2015-12-07 Vorrichtung zum befestigen eines zubehörteils an einem operationstisc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855A true KR20180045855A (ko) 2018-05-04

Family

ID=58186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8023A KR20180045855A (ko) 2015-08-28 2015-12-07 수술대에 액세서리를 고정하기 위한 디바이스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617586B2 (ko)
EP (1) EP3340958B1 (ko)
JP (1) JP2018528791A (ko)
KR (1) KR20180045855A (ko)
CN (1) CN107969113B (ko)
BR (1) BR112017010552A2 (ko)
PL (1) PL3340958T3 (ko)
RU (1) RU2017122747A (ko)
WO (1) WO20170365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93824B2 (en) * 2016-10-20 2019-12-03 Sportech, Inc. Clamp for vehicle accessory
US10952914B1 (en) * 2017-02-17 2021-03-23 Kyra Medical, Inc Clamp apparatus for attaching a surgical accessory to a mounting rail
US10874571B2 (en) * 2017-07-25 2020-12-29 Smith & Nephew, Inc. Universal rail clamp
DE102019114352B4 (de) * 2019-05-28 2022-02-24 Karl Storz Se & Co. Kg System zur Positionierung
CN110301949B (zh) * 2019-07-09 2021-04-27 南阳市中心医院 普外科用协助拆线装置
DE102022117523A1 (de) 2022-07-13 2024-01-18 Bellicon Ag Stangenhalterung für Trampolin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4772A (en) * 1907-06-13 1908-04-14 Charles M Sorensen Clamp.
US3565380A (en) * 1969-04-09 1971-02-23 Gilbert Hyde Chick Co Frame structure
JPH0316926U (ko) * 1989-06-30 1991-02-20
DE19652057A1 (de) * 1996-12-13 1998-06-18 Clamp International Pty Ltd V Spannzwinge mit drehbaren und verschiebbaren Spannelementen
US5836559A (en) * 1997-05-23 1998-11-17 Ronci; Samuel Clamp for securing a pole to a stationary object
US8051515B1 (en) * 2008-08-12 2011-11-08 Bob Kring Surgical bed clamp apparatus
DE202010005327U1 (de) * 2010-04-29 2011-08-26 Stabila-Meßgeräte Gustav Ullrich GmbH Einrichtung zum Erfassen eines Laserstrahls
US9615987B2 (en) * 2011-07-22 2017-04-11 Stryker Corporation Multi-position limb holder
GB201115391D0 (en) * 2011-09-06 2011-10-19 Wootton Malcolm Operating tables and accessories
DE102012211438B4 (de) * 2012-07-02 2016-02-18 Trumpf Medizin Systeme Gmbh + Co. Kg Befestigungseinrichtung zum Befestigen von Zubehörteilen an medizinischen Einrichtungen
US9022334B1 (en) * 2013-04-01 2015-05-05 Innovative Medical Products, Inc. Operating table quick release clamp
USD759474S1 (en) * 2015-03-19 2016-06-21 Craig Allen Pittman Hanger clip for stairway spindles and balust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7010552A2 (pt) 2017-12-26
EP3340958B1 (de) 2020-10-14
JP2018528791A (ja) 2018-10-04
US10617586B2 (en) 2020-04-14
EP3340958A1 (de) 2018-07-04
CN107969113B (zh) 2021-03-30
WO2017036567A1 (de) 2017-03-09
PL3340958T3 (pl) 2021-03-08
CN107969113A (zh) 2018-04-27
US20170258659A1 (en) 2017-09-14
RU2017122747A (ru) 201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45855A (ko) 수술대에 액세서리를 고정하기 위한 디바이스
US7100225B1 (en) Modular surgical patient positioner
US9850924B2 (en) Adapter device for an operating table
US7832035B2 (en) Surgical support for patient limb
US8827088B1 (en) Wedge-lock bracket fixation
US6079678A (en) Intravenous stand support assembly
US6708935B2 (en) Device for upper extremity elevation
US20150005822A1 (en) Transverse Connector
JP4887147B2 (ja) 多軸ヘッドを有する骨固定インプラントおよびインプラントを装着する方法
US6622324B2 (en) Hip brace apparatus
US7415741B1 (en) Surgical patient positioner extension unit
US20090199339A1 (en) Medical examination table and system for mounting accessories to the table
US9283133B2 (en) Positioning device for use in surgical procedures
JP2015519159A (ja) 腰部の内部人工装具に大腿部を固定するための装置
US5197975A (en) Radiolucent spine support frame
US20150327937A1 (en) Skull Clamp
US9254179B2 (en) Surgical support system
US20190133862A1 (en) Upper extremity surgical platform
US5320049A (en) Tubular pedestal assembly
US8793826B2 (en) Surgical operating table
US20060277682A1 (en) Attachment for operating table
EP3009050B1 (en) Coupling device
US20190021813A1 (en) Offset support bar and mounting sleeve
KR100612613B1 (ko) 뼈 고정 장치 및 그 장치내의 로드를 연결하기 위한트랜스커넥터
CN218792875U (zh) 一种医护护理患者肢体固定辅助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