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5541A - 정류 격자를 구비한 컨테이너선 덕트 장치 - Google Patents

정류 격자를 구비한 컨테이너선 덕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5541A
KR20180045541A KR1020160140002A KR20160140002A KR20180045541A KR 20180045541 A KR20180045541 A KR 20180045541A KR 1020160140002 A KR1020160140002 A KR 1020160140002A KR 20160140002 A KR20160140002 A KR 20160140002A KR 20180045541 A KR20180045541 A KR 20180045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er
air
duct
ship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0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3608B1 (ko
Inventor
김범성
조민경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0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3608B1/ko
Publication of KR20180045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5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3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3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65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fan combined with single duct; mounting arrangements of a fan in a duct
    • Y02T70/72

Abstract

선박의 공조 시스템에 구비되는 덕트 장치가 개시된다.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공조 시스템에 구비되는 덕트 장치는, 덕트에 배치되고, 회전 블레이드, 상기 회전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 및 상기 구동 모터가 고정 설치되는 송풍기 케이싱을 포함하는 송풍기; 상기 송풍기에 배출되는 공기 흐름을 상기 선박의 외부로 유도하기 위한 통풍관; 및 상기 송풍기와 상기 통풍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통풍관에 구비된 복수의 취출구 별로 배출되는 풍량의 오차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는 정류 격자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류 격자를 구비한 컨테이너선 덕트 장치{DUCT ARRANGEMENT INCLUDING A STRAIGHTENER IN CARGO HOLD FOR CONTAINERSHIP}
본원 발명은 컨테이너선의 덕트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송풍기의 후단과 통풍관 사이에 정류 격자를 배치함으로써 송풍기 후단 이후에 형성된 난류를 층류로 변경하여 각 취출구 별 배출되는 풍량을 일정하게 하여 해당 선급의 규정(rule)을 충족시킬 수 있는 컨테이너선의 덕트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이나 시추선 등에는 기관실 내부에 설치되는 내연기관에 연소공기를 공급하거나 냉각용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송풍기(supply fan)가 설치된다. 참고로, 상기 송풍기는 기관실 내부에 필요한 공기, 즉 연소공기와 냉각공기를 포함하는 공기량에 따라 팬의 용량이나 수량이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송풍기의 후단부에는 상기 송풍기에서 배출되는 공기 흐름을 선박의 외부로 유도하기 위한 통풍관(Ventilation duct)이 배치되고, 상기 통풍관에는 복수의 취출구(Air outlet)가 설치된다. 하지만, 송풍기의 후단부에서 난류(turbulence)가 발생할 경우 각 취출구 별 배출되는 풍량 값이 상이하게 되고, 이는 각 취출구 별로 배출되는 풍량(air volume)의 오차 및 편차를 증가시키게 되어 선급 규칙(예컨대, BG-V, RCP Notation, 등)을 충족시키기 어렵게 만든다.
그러므로, 컨테이너선 내부 공조 시스템의 공조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송풍기 후단의 통풍관의 각 취출구별 배출되는 풍량의 오차를 줄일 수 있고, 그에 따라 해당 선급의 규칙을 충족시킬 수 있는 개선된 컨테이너선 덕트 장치에 관한 필요성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허 문헌 1): 대한민국실용신안출원공개번호 제20-2015-0001328호(발명의 명칭: "저소음 구조의 댐퍼 사일렌서")
본원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원 발명은 컨테이너선 화물창 내부 공조 시스템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송풍기 후단의 통풍관의 각 취출구별 배출되는 풍량의 오차를 줄일 수 있고, 그에 따라 해당 선급의 규칙을 충족시킬 수 있는 개선된 컨테이너선 덕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원 발명은 송풍기 후단 이후에 형성된 난류를 층류로 변경하여 각 취출구 별 배출되는 풍량을 일정하게 하여 해당 선급의 규정을 충족시킬 수 있는 컨테이너선 덕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공조 시스템에 구비되는 덕트 장치는, 덕트에 배치되고, 회전 블레이드, 상기 회전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 및 상기 구동 모터가 고정 설치되는 송풍기 케이싱을 포함하는 송풍기; 상기 송풍기에 배출되는 공기 흐름을 상기 선박의 외부로 유도하기 위한 통풍관; 및 상기 송풍기와 상기 통풍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통풍관에 구비된 복수의 취출구 별로 배출되는 풍량의 오차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는 정류 격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기의 후단과 상기 정류 격자 사이의 이격 거리는 0.5L 이상이고, 상기 정류 격자와 상기 통풍관의 제1 취출구 사이의 이격 거리는 3D 이상이며, 여기서, L은 상기 송풍기의 길이에 해당하고, D는 상기 덕트의 직경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박은 컨테이너선일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공조 시스템에 구비되는 덕트 장치는, 송풍기 후단 이후의 와류 및 난류의 형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공조 시스템에 구비되는 덕트 장치는, 송풍기 후단의 층류를 원활하게 형성하여 통풍관 내부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공조 시스템에 구비되는 덕트 장치는, 각 취출구 별 배출되는 풍량 값에 대한 편차를 ±10% 이내로 만들어 선급 및 기관의 규칙을 충족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 장치(1)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송풍기(10)의 세부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3a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류 격자(20)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정류 격자(20)의 치수를 도시하며, 도 3c는 도 3a에 도시된 정류 격자(20)의 직선 그릴 플레이트(21)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원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에 따른 정류 격자(20)의 사시도를 각각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구체적인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본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 장치(1)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덕트 장치(1)는 선박의 공조 시스템에 배치될 수 있고, 여기서 선박은 예컨대 컨테이너선(containership)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선박 공조 시스템은 난방(heating), 환기(ventilation), 냉방(air conditioning system) 등을 통해 선박의 실내를 쾌적하게 유지하여 주는 공기 조절 시스템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선박 공조 시스템은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고 실외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함으로써 기본적으로 환기의 기능을 수행하며, 실외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에어 콘덴서 또는 핸들링 유닛을 이용하여 열교환시켜 실내로 공급함으로써 냉난방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선박의 선실 내에 설치되는 공조 시스템은 사양에 따라 상이하지만, 통상적으로 선박의 실외에 설치되는 중앙공급식 공조기를 통해 실내에 요구되는 공조 요건을 충족시키고 있다. 이러한 중앙공급식 공조기에 따르면, 선박의 외부 일측에 공기유입구가 설치되고, 이 공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공조기를 통해 열교환시킨 후 공급하여 선실 내의 냉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선박 공조 시스템 중에서, 도 1에서는 선박 내의 공기를 외부로 유출하는 공조 시스템 영역을 부분적으로 도시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공조 시스템에 구비되는 덕트 장치(1)는 송풍기(10)와, 통풍관(40)과, 정류 격자(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기(fan, 10)는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는 기계 장치로서, 송풍기(10)는 크게 축류형 송풍기(axial-flow fan), 반경류형 송풍기(radial-flow fan), 혼합류형 송풍기(mixed-flow fan)로 분류될 수 있다.
축류형 송풍기의 경우, 공기의 유동이 날개차의 회전축과 평행 방향으로 발생하고, 이때 날개차 입구와 출구의 유동 방향이 모두 회전축과 일치한다. 상기 축류형 송풍기는 인가된 에너지가 주로 유체의 속도를 증가시키는데 사용된다.
또한, 반경류형 송풍기는 날개차 입구 유동이 회전축 방향이지만 출구 유동이 회전축의 직각 방향이 되도록 나선형의 케이싱을 사용하는 경우, 및 날개차 입구 유동과 출구 유동 모두가 회전축 방향이 되는 튜브형 케이싱을 사용하는 경우로 크게 분류될 수 있다. 또한, 혼합류형 송풍기는 날개차 내에서 축 방향과 반경 방향의 유동이 함께 존재하고, 유량과 압력의 증가가 동시에 요구될 때에 사용된다.
이와 관련하여,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10)에는 상술한 타입의 송풍기 중 임의의 타입의 송풍기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송풍기(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30)의 일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덕트(30)의 대략 중간부에 송풍기(10)가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본원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따라서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10)는 덕트(30) 내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또한, 상기 송풍기(10)는 회전 블레이드(rotating blade), 구동 모터(driving motor), 및 송풍기 케이싱(fan casing)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송풍기(10)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 2에서 상술하기로 한다.
상기 통풍관(40)은 상기 송풍기(10)의 후단에 배치되어, 상기 송풍기(1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흐름을 선박의 외부로 유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통풍관(40)은 입구의 냉각용 공기를 기계로 유도하거나 또는 배출되는 공기를 기계 밖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그 기계에 장착하도록 설계된 구조물을 지칭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풍관(40)은 송풍기(10)의 후단에 배치되고, 복수의 취출구(41-46)를 통해 공기 흐름을 외부로 유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정류 격자(straightener, 20)는 송풍기(10)와 통풍관(4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통풍관(40)에 구비된 복수의 취출구(41-46) 별로 배출되는 풍량의 오차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류 격자(20)를 송풍기(10) 후단과 통풍관(40)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송풍기(10) 후단에 형성되는 난류(turbulent flow)를 층류(laminar flow)로 변경하여 각 취출구(41-46) 별 배출되는 풍량을 균일하게 하여 해당 선급 규칙을 충족시킬 수 있다.
여기서, 송풍기(10)의 후단과 정류 격자(20) 사이의 이격 거리는 0.5L 이상이고, 정류 격자(20)와 통풍관(40)의 첫번째 취출구(41, 이하에서 '제1 취출구'로 지칭함) 사이의 이격 거리는 3D 이상이며, 여기서 L은 송풍기(20)의 길이에 해당하고 D는 덕트(40)의 직경에 해당한다.
참고로, 송풍기(10) 후단에 정류 격자(20)를 매우 근접하게 배치하거나 또는 정류 격자(20)와 제1 취출구(41) 사이의 거리가 짧으면, 정류 격자(20)를 통과한 공기가 충분하게 층류로 변경되지 아니한 채 취출구에서 풍량의 측정이 수행되므로, 난류 및 와류의 발생으로 인해 선급에서 요구하는 풍량 편차 ±10%를 충족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송풍기(10)의 후단과 정류 격자(20) 사이의 이격 거리가 '0.5L 이상'이고 정류 격자(20)와 제1 취출구 사이의 이격 거리는 '3D 이상'인 조건들은 본원 출원의 발명자들이 여러 차례의 다양한 테스트를 직접 실시함으로써 획득한 최적의 수치에 해당한다.
이하의 표 1은 도 1에 도시된 덕트 장치(1)의 배치를 이용하여 취출구(41-46) 별 풍량 값에 대한 실험 데이터를 기록한다.
메인
Q1
메인
Q2
브랜치
Q3
브랜치
Q4
브랜치
Q5
브랜치
Q6
브랜치
Q7
브랜치
Q8
직경(mm) 910 910 350 350 350 350 350 350
면적(m2) 0.65 0.65 0.10 0.10 0.10 0.10 0.10 0.10
설계풍량
(m2/h)
27,000 27,000 4,500 4,500 4,500 4,500 4,500 4,500
실제풍량
(m 2 /h)
27,137 27,393 4,810 4,835 4,750 4,725 4,719 4,857
위 표와 같이,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 장치(1)에 따르면, 송풍기(10)의 후단과 통풍관(40) 사이에 정류 격자(20)를 배치함으로써 송풍기(10) 후단에 형성되는 난류를 층류로 변경하여 각 취출구(41-46)(브랜치Q3-Q8)별 배출되는 풍량을 고르게 하고, 그 결과 풍량 값에 대한 편차가 ±10% 이내가 되어 해당 선급의 규칙(예컨대, BG-V, RCP Notation, 등)을 충족시킬 수 있다.
참고로, 일반적으로 통풍관(40)에 배치되는 취출구는 6개 내지 8개 구비되며, 도 1에서는 6개의 취출구(41-46)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송풍기(10)의 세부 구성도를 도시한다.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10)는 회전 블레이드(11)와, 상기 회전 블레이드(11)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12)와, 상기 구동 모터(12)가 고정 설치되는 송풍기 케이싱(1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기(10)는 "L"의 길이를 갖고, 도 1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송풍기(10)의 후단과 정류 격자(20) 사이의 이격 거리는 0.5L 이상이다.
도 3a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류 격자(20)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정류 격자(20)의 치수를 도시하며, 도 3c는 도 3a에 도시된 정류 격자(20)의 직선 그릴 플레이트(21)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3a를 함께 참조하면,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류 격자(20)는 사각형의 격자가 규칙적으로 배열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정류 격자(20)를 이용한 덕트 장치(1)는 사각형 그릴 격자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을 유도하고, 그 공기 흐름의 직진성을 증가시킨다.
도 3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사각형 그릴 격자의 양단이 정류 격자(20)의 외측 가장자리(22)에 결합된 직선 그릴 플레이트(21)를 서로 직교로 교차시킴으로써 사각형 격자가 형성된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정류 격자(20)의 치수를 도시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류 격자(20)는 직경 D와 폭 I를 갖고, 여기서 정류 격자(20)는 덕트(30) 내에 배치되므로 정류 격자(20)의 직경 D는 덕트의 직경 D와 일치한다.
참고로, 정류 격자(20)의 설계 예로서 I = 0.45 * D이고, 또한 인접한 직선 그릴 플레이트(21) 사이의 폭 w = 0.075D ± 0.005D일 수 있으나, 이는 정류 격자(20)의 일 설계 예에 불과하며, 따라서 다른 설계 치수들이 사용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도 3c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류 격자(20)에서 직선 그릴 플레이트(21)가 서로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그릴 격자를 형성하기 위한 직선 그릴 플레이트(21) 각각은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는 판 부재로서 다른 직선 그릴 플레이트와 교차되는 위치에 폭 방향으로 일정 깊이로 절개된 결합 슬릿(21b)이 형성되며, 서로 교차되는 직선 그릴 플레이트(21)는 그 교차되는 위치에서 결합 슬릿(21b)이 서로 끼워져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4a 및 도 4b는 본원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에 따른 정류 격자(20)의 사시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에 따른 정류 격자(20')는 그릴 격자가 원형 그릴 플레이트(23)와 복수의 반경 방향 그릴 플레이트(24)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그릴 격자는 중앙에 원형 그릴 플레이트(23)가 배치되고, 반경 방향 그릴 플레이트(24) 복수 개가 방사상으로 배열되며, 각각의 반경 방향 그릴 플레이트(24)의 일단은 원형 그릴 플레이트(23)에 연결되고 타단은 정류 격자(20')의 외측 가장자리(25)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류 격자(20")는 삼각형 격자 및 육각형 격자가 규칙적으로 배열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류 격자(20")는 그릴 격자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을 유도하여 그 공기 흐름의 직진성을 증가시킨다. 특히, 도 4b에 도시되는 정류 격자(20")의 구조는 등방성 구조이고, 따라서 다양한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가압, 비틀림)에 대해 충분한 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정류 격자(20")에 따르면, 양단이 정류 격자(20")의 외측 가장자리(27)에 결합된 직선 그릴 플레이트(26)를 서로 60°로 교차시킴으로써 그릴 격자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참고로, 도 3a에 도시된 정류 격자(20)의 구조, 도 4a에 도시된 정류 격자(20')의 구조, 도 4b에 도시된 정류 격자(20")의 구조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류 격자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예에 불과하며, 따라서 이러한 구조들에 제한되지 않음은 명백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공조 시스템에 구비되는 덕트 장치는, 송풍기 후단 이후의 와류 및 난류의 형성을 방지할 수 있고, 송풍기 후단의 층류를 원활하게 형성하여 통풍관 내부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각 취출구 별 배출되는 풍량 값에 대한 편차를 ±10% 이내로 만들어 선급 및 기관의 규칙을 충족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덕트 장치 10: 송풍기
11: 회전 블레이드 12: 구동 모터
13: 송풍기 케이싱 20,20',20": 정류 격자
21,26: 직선 그릴 플레이트 21b: 결합 슬릿
22,25,27: 정류격자 외측 가장자리
23: 원형 그릴 플레이트 24: 반경 방향 그릴 플레이트
30: 덕트 40: 통풍관
41-46: 취출구

Claims (3)

  1. 선박의 공조 시스템에 구비되는 덕트 장치로서,
    덕트에 배치되고, 회전 블레이드, 상기 회전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 및 상기 구동 모터가 고정 설치되는 송풍기 케이싱을 포함하는 송풍기;
    상기 송풍기에서 배출되는 공기 흐름을 상기 선박의 외부로 유도하기 위한 통풍관; 및
    상기 송풍기와 상기 통풍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통풍관에 구비된 복수의 취출구 별로 배출되는 풍량의 오차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는 정류 격자
    를 포함하는,
    덕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의 후단과 상기 정류 격자 사이의 이격 거리는 0.5L 이상이고, 상기 정류 격자와 상기 통풍관의 제1 취출구 사이의 이격 거리는 3D 이상이며,
    여기서, L은 상기 송풍기의 길이에 해당하고, D는 상기 덕트의 직경에 해당하는,
    덕트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은 컨테이너선인,
    덕트 장치.
KR1020160140002A 2016-10-26 2016-10-26 정류 격자를 구비한 컨테이너선 덕트 장치 KR102573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002A KR102573608B1 (ko) 2016-10-26 2016-10-26 정류 격자를 구비한 컨테이너선 덕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002A KR102573608B1 (ko) 2016-10-26 2016-10-26 정류 격자를 구비한 컨테이너선 덕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541A true KR20180045541A (ko) 2018-05-04
KR102573608B1 KR102573608B1 (ko) 2023-08-31

Family

ID=62199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0002A KR102573608B1 (ko) 2016-10-26 2016-10-26 정류 격자를 구비한 컨테이너선 덕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360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07573A (ja) * 2010-06-28 2012-01-12 Dmw Corp 送風機又は圧縮機
KR20120089503A (ko) * 2010-12-10 2012-08-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퓨리파이어 룸 환기구조
KR101185628B1 (ko) * 2011-10-12 2012-09-24 (주)동서그린산업 폐열을 회수하는 축사의 환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기 방법
KR20150001328U (ko) 2013-09-26 2015-04-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저소음 구조의 댐퍼 사일렌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07573A (ja) * 2010-06-28 2012-01-12 Dmw Corp 送風機又は圧縮機
KR20120089503A (ko) * 2010-12-10 2012-08-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퓨리파이어 룸 환기구조
KR101185628B1 (ko) * 2011-10-12 2012-09-24 (주)동서그린산업 폐열을 회수하는 축사의 환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기 방법
KR20150001328U (ko) 2013-09-26 2015-04-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저소음 구조의 댐퍼 사일렌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3608B1 (ko) 2023-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0817B2 (en) Duct-type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US10274222B2 (en) Fan unit and air conditioner
JP4906555B2 (ja) シロッコファン及び空気調和装置
US7604043B2 (en) Air conditioner
US10052931B2 (en) Outdoor cooling unit in vehicle air-conditioning apparatus
JP2706222B2 (ja) 案内羽根入りエルボ
EP1691140B1 (en) Ventil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150285523A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US9328939B2 (en) Air handling unit with mixed-flow blower
JP2015124986A (ja) 空調室内機
AU2002236276B2 (en) Air Conditioner
CN104197429A (zh) 空调室外机
KR20180045541A (ko) 정류 격자를 구비한 컨테이너선 덕트 장치
EP3088806B1 (en) Indoor air conditioner
EP3130860B1 (en) Air conditioner
CN210399238U (zh) 一种空调器室外机以及空调器
JP3059683B2 (ja) セントラル換気装置
JP2012017896A (ja) 空気調和機
JP2018028417A (ja) 空調システム
JP2022167258A (ja) 空気浄化ユニット
US20210172644A1 (en) Compact diffuser
JP6370406B2 (ja) 空気調和機
JPH08535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5932966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CN215336772U (zh) 空调外机机壳及空调外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