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5484A - 각도 유지 및 조절형 암레스트 장치 - Google Patents

각도 유지 및 조절형 암레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5484A
KR20180045484A KR1020160139885A KR20160139885A KR20180045484A KR 20180045484 A KR20180045484 A KR 20180045484A KR 1020160139885 A KR1020160139885 A KR 1020160139885A KR 20160139885 A KR20160139885 A KR 20160139885A KR 20180045484 A KR20180045484 A KR 20180045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rest
mounting bracket
slot
stopper
lower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9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9216B1 (ko
Inventor
김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160139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9216B1/ko
Publication of KR20180045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5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9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60N2/767Angle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 백의 리클라이닝 조절과 무관하게 암레스트의 경사각도를 그대로 유지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경사각도를 다단으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리클라이닝 이전의 상태로 경사각도를 재조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사용자의 편의를 도울 수 있는 각도 유지 및 조절형 암레스트 장치를 개시한다.
전술한 각도 유지 및 조절형 암레스트 장치는 시트의 백 프레임(16)에 고정되는 마운팅 브래킷(18); 상기 마운팅 브래킷(18)에 고정되는 힌지 핀(20)을 매개로 힌지 결합되는 암레스트(14); 상기 힌지 핀(20)이 설정하는 상기 마운팅 브래킷(18)의 축 지지점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상부 스토퍼(22)와 하부 스토퍼(24); 상기 암레스트(14)의 선회지점으로부터 동심원 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상부 스토퍼(22)와 상기 하부 스토퍼(24)를 가이드하는 원형 슬롯(14b); 및 상기 마운팅 브래킷(18)의 축 지지점과 상기 백 프레임(16)의 하단부 사이에 힌지 결합되는 2절 링크(28)를 구비하고, 상기 원형 슬롯(14b)은 상기 상부 스토퍼(22) 또는 상기 하부 스토퍼(24)와의 접촉을 통해 상기 암레스트(14)의 경사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폐단면부(14c)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각도 유지 및 조절형 암레스트 장치{Armrest device with angle maintaining and adjusting function}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의 암레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 백의 리클라이닝 조절과 무관하게 암레스트의 경사각도를 그대로 유지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경사각도를 다단으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각도 유지 및 조절형 암레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에 구비되는 암레스트는 탑승자의 편의를 위해 수납위치에서 전방으로 펼쳐지는 사용위치로 접철 가능한 구조로 구성된다. 이 경우, 암레스트의 선회는 주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수동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종래 시트의 암레스트는 시트 백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리클라이닝시 시트 백과 함께 선회하기 때문에 리클라이닝 이전 시점에서 설정된 경사각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없는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 공개특허 제10-2005-0006821호의 리어시트 암레스트 각도조절장치에서는 리어시트의 암레스트에 대한 각도를 인위적으로 조절하여 탑승자의 안락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킨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종래 리어시트 암레스트 각도조절장치는 리어시트의 등받이에 형성된 오목홈에 설치된 암레스트, 상기 암레스트의 뒤쪽에 형성된 종동기어, 상기 종동기어와 결합된 구동기어를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스위칭회로를 포함하고서, 리어시트에 대해 암레스트의 사용 각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구조에서는 리어시트에 대한 암레스트의 회전 각도를 사용자의 임의대로 조절하기 위해 모터와 구동기어, 종동기어, 및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회로 등이 함께 구비되어야 하므로 제조비용이 과다할 뿐만 아니라, 시트 백의 리클라이닝시 경사각도의 변화와 연동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고 있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의 요구 조건을 완벽하게 만족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06821호 리어시트 암레스트 각도조절장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시트 백의 리클라이닝 조절과 무관하게 암레스트의 경사각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리클라이닝 이전의 상태로 경사각도를 재조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각도 유지형 암레스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시트 백의 리클라이닝 조절과 무관하게 암레스트의 경사각도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단으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울 수 있는 각도 조절형 암레스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트의 백 프레임에 고정되는 마운팅 브래킷, 상기 마운팅 브래킷에 고정되는 힌지 핀을 매개로 힌지 결합되는 암레스트, 상기 힌지 핀일 설정하는 상기 마운팅 브래킷의 축 지지점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상부 스토퍼와 하부 스토퍼, 상기 암레스트의 선회지점으로부터 동심원 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상부 스토퍼와 상기 하부 스토퍼를 가이드하는 원형 슬롯, 및 상기 마운팅 브래킷의 축 지지점과 상기 백 프레임의 하단부 사이에 힌지 결합되는 2절 링크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스토퍼는 상기 마운팅 브래킷의 축 지지점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원형 슬롯은 상기 상부 스토퍼 또는 상기 하부 스토퍼와의 접촉을 통해 상기 암레스트의 경사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폐단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힌지 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하부 스토퍼를 선회 가능하게 설치하는 서포트 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원형 슬롯은 상기 하부 스토퍼와의 결합을 통해 상기 암레스트의 경사각도를 다단으로 조절하기 위한 다수의 수용홈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홈은 상기 암레스트의 선회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원형 슬롯 내에서 동심원 상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마운팅 브래킷은 상기 힌지 핀과의 결합을 위한 관통홀, 상기 관통홀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상부 스토퍼의 고정을 위한 체결홀, 및 상기 관통홀을 중심으로 상기 체결홀과 대향하는 위치로 이격되고 상기 하부 스토퍼의 선회를 가이드하는 호형 슬롯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하부 스토퍼는 상기 서포트 브래킷에 고정되는 중공형 몸체부, 상기 중공형 몸체부에 대해 압축 스프링을 매개로 외부를 향해 탄발 지지되어 상기 수용홈 내에 삽입되는 이동 몸체부, 및 상기 중공형 몸체부에 대해 상기 이동 몸체부를 일정 구간에 한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체결핀을 구비하고, 상기 중공형 몸체부는 상기 이동 몸체부의 변위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체결핀의 축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직선형 슬롯을 형성하며, 상기 이동 몸체부는 상기 체결핀의 삽입을 위한 관통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직선형 슬롯은 상기 체결핀의 축방향 조립을 위한 트임 슬롯, 및 상기 트임 슬롯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직선형 슬롯과 교통하는 원주형 슬롯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2절 링크는 상기 마운팅 브래킷의 축 지지점과 일단부가 힌지 결합되는 제1링크아암, 및 상기 제1링크아암의 타단부와 상기 백 프레임의 하단부 사이에 힌지 결합되는 제2링크아암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암레스트를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마운팅 브래킷의 축 지지점과 시트의 백 프레임 사이에 힌지 결합되는 2절 링크를 매개로 시트 백의 리클라이닝 조절과 무관하게 암레스트의 경사각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종래 암레스트에서와 같이 리클라이닝 이후에 이전의 상태로 경사각도를 재조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암레스트의 선회지점에 대해 동심원 상으로 배치되는 원형의 슬롯과, 이 슬롯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부 스토퍼와 하부 스토퍼를 매개로 암레스트의 경사각도를 제한할 수 있고, 원형의 슬롯에 형성되는 다수의 수용홈과 스토퍼 사이의 탄력적인 접촉을 통해 암레스트의 경사각도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단으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도 유지 및 조절형 암레스트 장치가 적용되는 부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도 유지 및 조절형 암레스트 장치에서 외장재를 제거한 상태에서 발명의 주요부위만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도 유지 및 조절형 암레스트 장치에서 백 프레임을 제거한 상태에서 발명의 주요부위만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도 유지 및 조절형 암레스트 장치에서 주요 구성부위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발명의 주요 구성부위에 대한 분해 상태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암레스트가 상방향 제한각도로 선회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3의 대응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도 유지 및 조절형 암레스트 장치에서 시트 백의 리클라이닝 이전과 이후의 상태에서 암레스트의 경사각도가 유지되는 기능과 암레스트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 장치는 시트 백(10)의 측부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외장재(12)에 의해 내장되는 형태의 암레스트 지지체(14, 이하 암레스트로 기재함)로 구성된다.
도 2와 도 3을 참조로 하면, 상기 암레스트(14)는 시트의 백 프레임(16)에 대해 마운팅 브래킷(18)을 매개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마운팅 브래킷(18)은 상기 암레스트(14)를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힌지 핀(20)을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힌지 핀(20)은 상기 암레스트(14)를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축 지지점을 설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축 지지점은 상기 힌지 핀(20)에 대한 상기 암레스트(14)의 선회지점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이를 위해, 상기 암레스트(14)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단부에 상기 힌지 핀(20)과의 조립을 위한 관통홀(14a)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홀(14a)이 상기 힌지 핀(20)과의 결합을 통해 상기 암레스트(14)의 선회지점을 설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암레스트(14)는 관통홀(14a)에 의해 설정되는 선회지점으로부터 동심원 상으로 배치되는 오목한 형태의 원형 슬롯(14b)을 구비하고, 상기 원형 슬롯(14b)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에는 상기 암레스트(14)의 경사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슬롯을 마감하는 형태의 폐단면부(14c)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원형 슬롯(14b)은 상기 암레스트(14)의 경사각도를 다단으로 조절하기 위한 다수의 수용홈(14d)을 구비하는 바, 상기 수용홈(14d)은 상기 암레스트(14)의 관통홀(14a)이 설정하는 선회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원형 슬롯(14b) 내에서 동심원 상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마운팅 브래킷(18)은 상기 백 프레임(16)에 고정되는 것으로, 중앙부위에 상기 힌지 핀(20)과의 조립을 위한 관통홀(18a)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홀(18a)이 마운팅 브래킷(18)의 축 지지점을 설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마운팅 브래킷(18)은 상기 관통홀(18a)에 의해 설정되는 축 지지점으로부터 상부로 이격되는 위치에 상기 암레스트(14)의 선회를 가이드하는 상부 스토퍼(22)의 설치를 위한 체결홀(18b)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마운팅 브래킷(18)은 상기 관통홀(18a)로부터 하부로 이격되는 위치에 상기 암레스트(14)의 선회를 가이드함과 동시에 경사각도를 다단으로 조절하는 하부 스토퍼(24)의 설치를 위해 동일한 곡률로 이루어지는 호형 슬롯(18c)을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마운팅 브래킷(18)의 축 지지점과 상기 호형 슬롯(18c) 사이의 거리는 상기 암레스트(14)의 선회지점과 상기 원형 슬롯(14b)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게 설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힌지 핀(20)은 상기 암레스트(14)의 관통홀(14a)과 상기 마운팅 브래킷(18)의 관통홀(18a) 사이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암레스트(14)의 외측에서 나사 결합되는 체결나사(20a)를 더 포함한다. 즉, 상기 힌지 핀(20)과 상기 체결나사(20a) 사이의 결합을 통해 상기 암레스트(14)는 상기 힌지 핀(20)으로부터 축방향의 외부로 이탈이 제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부 스토퍼(22)는 일단부가 상기 마운팅 브래킷(18)의 관통홀(18a)에 대해 체결나사(22a)와 너트(22b)에 의한 결합을 매개로 고정되어 타단에 위치한 자유단부가 상기 암레스트(14)의 원형 슬롯(14b) 내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암레스트(14)의 경사각도 조절시 암레스트(14)의 선회를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특히 상기 암레스트(14)의 선회시 상기 폐단면부(14c)와의 접촉을 통해 상방향의 선회 한계를 부여하게 된다.
상기 하부 스토퍼(24)는 상기 마운팅 브래킷(18)의 호형 슬롯(18c)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고 자유단부가 상기 암레스트(14)의 원형 슬롯(14b) 내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암레스트(14)의 경사각도 조절시 상기 상부 스토퍼(22)와 함께 암레스트(14)의 선회를 안내하게 되고, 특히 상기 암레스트(14)의 선회시 상기 폐단면부(14c)와의 접촉을 통해 하방향의 선회 한계를 부여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 스토퍼(24)는 상기 암레스트(14)의 경사각도를 다단으로 조절할 때 상기 마운팅 브래킷(18)의 호형 슬롯(18c)을 따라 선회 이동하면서 상기 원형 슬롯(14b)에 형성되는 다수의 수용홈(14d) 중 어느 하나와의 결합을 통해 변화된 상기 암레스트(14)의 경사각도를 일정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상기 하부 스토퍼(24)는 상기 서포트 브래킷(26)의 하부 조립홀(26b)에 고정되고 일측부위만 개구되는 중공형 몸체부(24a), 상기 중공형 몸체부(24a)의 기저면에 대해 지지되도록 삽입되는 압축 스프링(24b), 상기 중공형 몸체부(24a) 내에 결합되어 상기 압축 스프링(24b)을 매개로 외부를 향해 탄발 지지되어 상기 수용홈(14d) 내에 삽입되는 이동 몸체부(24c), 및 상기 중공형 몸체부(24a)에 대해 상기 이동 몸체부(24c)를 일정 구간에 한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체결핀(24d)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중공형 몸체부(24a)는 상기 이동 몸체부(24c)의 변위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체결핀(24d)의 축방향 이동을 한정된 구간 내에서 가이드하는 직선형 슬롯(24e)을 형성하고, 상기 이동 몸체부(24c)는 상기 체결핀(24d)의 삽입을 위한 관통홀(24f)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직선형 슬롯(24e)은 상기 체결핀(24d)의 축방향 조립을 허용하도록 상기 중공형 몸체부(24a)의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트임 슬롯(24g), 및 상기 트임 슬롯(24g)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직선형 슬롯(24e)과 교통함으로써 상기 체결핀(24d)이 원주방향 이동을 통해 상기 직선형 슬롯(24e) 내에 위치될 수 있게 하는 원주형 슬롯(24h)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체결핀(24d)이 트임 슬롯(24g)과 원주형 슬롯(24h)을 거쳐 직선형 슬롯(24e) 내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하부 스토퍼(24)의 중공형 몸체부(24a) 내에 상기 이동 몸체부(24c)의 조립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중공형 몸체부(24a)로부터 상기 이동 몸체부(24c)의 이탈을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 스토퍼(24)의 이동 몸체부(24c)는 체결핀(24d)이 상기 직선형 슬롯(24e)의 형성구간 내에서만 이동할 수 있으므로, 상기 이동 몸체부(24c)의 자유단부는 상기 암레스트(14)의 원형 슬롯(14b) 중에서 다수의 수용홈(14d) 내에 탄력적으로 삽입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암레스트(14)의 경사각도는 상기 하부 스토퍼(24)의 이동 몸체부(24c)와 상기 원형 슬롯(14b)의 수용홈(14d) 중 어느 하나와의 결합을 통해 다단으로 조절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중공형 몸체부(24a)는 일측에 상기 마운팅 브래킷(18)의 호형 슬롯(18c)과의 결합을 위해 외부로 돌출되는 나사부(24i)를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나사부(24i)는 와셔(24j)를 사이에 두고 체결되는 너트(24k)를 매개로 상기 호형 슬롯(18c)으로부터 이탈이 억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힌지 핀(20)은 상기 암레스트(14)의 관통홀(14a)과 상기 마운팅 브래킷(18)의 관통홀(18a) 사이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암레스트(14)의 외측에서 나사 결합되는 체결나사(20a)를 더 포함한다. 즉, 상기 힌지 핀(20)과 상기 체결나사(20a) 사이의 결합을 통해 상기 암레스트(14)는 상기 힌지 핀(20)으로부터 축방향의 외부로 이탈이 제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힌지 핀(20)은 외부에 상기 하부 스토퍼(24)를 선회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서포트 브래킷(26)을 장착하는 바, 상기 서포트 브래킷(26)의 일단부는 상기 힌지 핀(20)에 의해 설정되는 상기 마운팅 브래킷(18)의 축 지지점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하부 스토퍼(24)를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서포트 브래킷(26)은 양단부에 상기 힌지 핀(20)과 상기 하부 스토퍼(24)의 설치를 위해 각각 조립홀(26a, 26b)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백 프레임(16)의 하단부와 상기 마운팅 브래킷(18)의 축 지지점 사이에는 2절 링크(28)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백 프레임(16)의 리클라이닝시 상기 2절 링크(28)도 함께 연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2절 링크(28)는 상기 마운팅 브래킷(18)의 관통홀(18a)이 설정하는 축 지지점과 일단부가 힌지 결합되는 제1링크아암(28a), 및 상기 제1링크아암의 타단부와 상기 백 프레임(16)의 하단부 사이에 힌지 결합되는 제2링크아암(28b)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2절 링크(28)는 상기 시트 백(10)의 리클라이닝시 백 프레임(16)의 경사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제1링크아암(28a)과 상기 제2링크아암(28b) 사이의 힌지 결합부위에서 설정되는 각도가 둔각에서 예각의 상태로 전환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제2링크아암(28b)과 힌지 결합되는 상기 힌지 핀(20)의 경사각도는 리클라이닝 이전의 상태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 백(10)의 리클라이닝시 상기 백 프레임(16)의 경사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2절 링크(28)의 제1링크아암(28a)과 제2링크아암(28b) 사이의 힌지 결합부위에서 설정되는 각도가 둔각에서 예각의 상태로 종속적으로 전환됨과 더불어, 상기 힌지 핀(20)에 대해 상기 서포트 브래킷(26)을 매개로 설치되는 상기 하부 스토퍼(24)가 상기 마운팅 브래킷(18)의 호형 슬롯(18c)을 따라 종속적으로 선회할 수 있으므로, 상기 암레스트(14)의 경사각도는 상기 시트 백(10)의 리클라이닝 조절과 무관하게 리클라이닝 이전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암레스트(14)의 선회지점에 대해 동심원 상으로 배치되는 원형 슬롯(14b)에 형성되는 폐단면부(14c)와, 상기 원형 슬롯(14b)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부 스토퍼(22)와 하부 스토퍼(24)를 매개로 상기 암레스트(14)의 경사각도를 상한의 범위와 하한의 범위로 각각 제한할 수 있게 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원형 슬롯(14b)에 형성되는 다수의 수용홈(14d)에 대한 상기 하부 스토퍼(24)의 탄력적인 삽입을 통해 상기 암레스트(14)의 경사각도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단의 상태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시트백 12-외장재
14-암레스트 16-백 프레임
18-마운팅 브래킷 20-힌지핀
22-상부 스토퍼 24-하부 스토퍼
26-서포트 브래킷 28-2절 링크

Claims (7)

  1. 시트의 백 프레임(16)에 고정되는 마운팅 브래킷(18);
    상기 마운팅 브래킷(18)에 고정되는 힌지 핀(20)을 매개로 힌지 결합되는 암레스트(14);
    상기 힌지 핀(20)이 설정하는 상기 마운팅 브래킷(18)의 축 지지점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상부 스토퍼(22)와 하부 스토퍼(24);
    상기 암레스트(14)의 선회지점으로부터 동심원 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상부 스토퍼(22)와 상기 하부 스토퍼(24)를 가이드하는 원형 슬롯(14b); 및
    상기 마운팅 브래킷(18)의 축 지지점과 상기 백 프레임(16)의 하단부 사이에 힌지 결합되는 2절 링크(28)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스토퍼(24)는 상기 마운팅 브래킷(18)의 축 지지점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원형 슬롯(14b)은 상기 상부 스토퍼(22) 또는 상기 하부 스토퍼(24)와의 접촉을 통해 상기 암레스트(14)의 경사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폐단면부(14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유지 및 조절형 암레스트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 핀(20)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하부 스토퍼(24)를 선회 가능하게 설치하는 서포트 브래킷(2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유지 및 조절형 암레스트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형 슬롯(14b)은 상기 하부 스토퍼(24)와의 결합을 통해 상기 암레스트(14)의 경사각도를 다단으로 조절하기 위한 다수의 수용홈(14d)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홈(14d)은 상기 암레스트(14)의 선회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원형 슬롯(14b) 내에서 동심원 상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유지 및 조절형 암레스트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브래킷(18)은,
    상기 힌지 핀(20)과의 결합을 위한 관통홀(18a);
    상기 관통홀(18a)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상부 스토퍼(22)의 고정을 위한 체결홀(18b); 및
    상기 관통홀(18a)을 중심으로 상기 체결홀(18b)과 대향하는 위치로 이격되고 상기 하부 스토퍼(24)의 선회를 가이드하는 호형 슬롯(18c)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유지 및 조절형 암레스트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부 스토퍼(24)는,
    상기 서포트 브래킷(26)에 고정되는 중공형 몸체부(24a);
    상기 중공형 몸체부(24a)에 대해 압축 스프링(24b)을 매개로 외부를 향해 탄발 지지되는 이동 몸체부(24c); 및
    상기 중공형 몸체부(24a)에 대해 상기 이동 몸체부(24c)를 일정 구간에 한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체결핀(24d)을 구비하고,
    상기 중공형 몸체부(24a)는 상기 이동 몸체부(24c)의 변위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체결핀(24d)의 축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직선형 슬롯(24e)을 형성하며,
    상기 이동 몸체부(24c)는 상기 체결핀(24d)의 삽입을 위한 관통홀(24f)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유지 및 조절형 암레스트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직선형 슬롯(24e)은,
    상기 체결핀(24d)의 축방향 조립을 위한 트임 슬롯(24g); 및
    상기 트임 슬롯(24g)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직선형 슬롯(24e)과 교통하는 원주형 슬롯(24h)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유지 및 조절형 암레스트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절 링크(28)는 상기 마운팅 브래킷(18)의 축 지지점과 일단부가 힌지 결합되는 제1링크아암(28a), 및 상기 제1링크아암(28a)의 타단부와 상기 백 프레임(16)의 하단부 사이에 힌지 결합되는 제2링크아암(28b)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유지 및 조절형 암레스트 장치.
KR1020160139885A 2016-10-26 2016-10-26 각도 유지 및 조절형 암레스트 장치 KR102409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9885A KR102409216B1 (ko) 2016-10-26 2016-10-26 각도 유지 및 조절형 암레스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9885A KR102409216B1 (ko) 2016-10-26 2016-10-26 각도 유지 및 조절형 암레스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484A true KR20180045484A (ko) 2018-05-04
KR102409216B1 KR102409216B1 (ko) 2022-06-16

Family

ID=62199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9885A KR102409216B1 (ko) 2016-10-26 2016-10-26 각도 유지 및 조절형 암레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92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072A (ko) * 2018-06-29 2020-01-08 주식회사다스 수평 유지 암레스트 장치
KR102596516B1 (ko) * 2023-07-24 2023-11-01 주식회사 서연이화 노브리스 암레스트 어셈블리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862U (ja) * 1991-07-26 1993-02-19 アラコ株式会社 アームレストの支持構造
JPH09135747A (ja) * 1995-11-14 1997-05-27 Ikeda Bussan Co Ltd アームレストスルーリッドの簡易ロック装置
JPH10295490A (ja) * 1997-04-25 1998-11-10 Ikeda Bussan Co Ltd アームレスト装置
KR20050006821A (ko) 2003-07-10 2005-01-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리어시트 암레스트 각도조절장치
JP2005153836A (ja) * 2003-11-28 2005-06-16 Bizen Hatsujo Kk アームレスト装置
KR20090018268A (ko) * 2007-08-17 2009-02-20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차량 시트 암 레스트의 수평 유지 장치
JP2013001292A (ja) * 2011-06-18 2013-01-07 Delta Tooling Co Ltd アームレスト及びシート
KR20150072547A (ko) * 2013-12-20 2015-06-30 한일이화 주식회사 차량용 암레스트 어셈블리
KR20150002658U (ko) * 2013-12-29 2015-07-08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암레스트 조립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862U (ja) * 1991-07-26 1993-02-19 アラコ株式会社 アームレストの支持構造
JPH09135747A (ja) * 1995-11-14 1997-05-27 Ikeda Bussan Co Ltd アームレストスルーリッドの簡易ロック装置
JPH10295490A (ja) * 1997-04-25 1998-11-10 Ikeda Bussan Co Ltd アームレスト装置
KR20050006821A (ko) 2003-07-10 2005-01-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리어시트 암레스트 각도조절장치
JP2005153836A (ja) * 2003-11-28 2005-06-16 Bizen Hatsujo Kk アームレスト装置
KR20090018268A (ko) * 2007-08-17 2009-02-20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차량 시트 암 레스트의 수평 유지 장치
JP2013001292A (ja) * 2011-06-18 2013-01-07 Delta Tooling Co Ltd アームレスト及びシート
KR20150072547A (ko) * 2013-12-20 2015-06-30 한일이화 주식회사 차량용 암레스트 어셈블리
KR20150002658U (ko) * 2013-12-29 2015-07-08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암레스트 조립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072A (ko) * 2018-06-29 2020-01-08 주식회사다스 수평 유지 암레스트 장치
KR102596516B1 (ko) * 2023-07-24 2023-11-01 주식회사 서연이화 노브리스 암레스트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9216B1 (ko) 2022-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7270B2 (en) Seat position adjustment apparatus for vehicle
EP3391783B1 (en) Furniture member having flexible seatback
US9108549B2 (en) Self-adjustable arm rest assembly
EP3197320B1 (en) Chair with headrest tilt mechanism
JP2003291696A (ja) 乗物用座席、特に航空機乗客用座席
US6471297B1 (en) Pivotal and retractable armrest assembly
US20160367033A1 (en) Reversible headrest tilt, lumbar mechanism
KR101818055B1 (ko) 의자의 등받이 조립체
RU2685486C2 (ru) Узел подголовника (варианты)
KR101662390B1 (ko) 시트 쿠션 익스텐션 장치
EP1765634B1 (en) Rotating armrest mechanism
KR20180045484A (ko) 각도 유지 및 조절형 암레스트 장치
US8746799B2 (en) Headrest support rod
KR20160025219A (ko)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
CN107788737B (zh) 可翻转的头枕倾斜和腰部机构
KR101885306B1 (ko) 자동차용 시트 쿠션의 틸팅장치
KR102546264B1 (ko) 자동차의 암레스트 장치
KR101994880B1 (ko) 시트 쿠션 듀얼 익스텐션 장치
EP3383699B1 (en) Vehicle seat
KR102444534B1 (ko) 사무용 의자
JPH0418429Y2 (ko)
KR102444533B1 (ko) 사무용 의자
CN214179866U (zh) 餐椅的铰链结构
JP6731830B2 (ja) 回動操作部材の取付部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什器
WO2016130336A1 (en) Headrest tilt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