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5110A - 산악철도차량의 연결통로용 발판 구조 - Google Patents
산악철도차량의 연결통로용 발판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45110A KR20180045110A KR1020160138660A KR20160138660A KR20180045110A KR 20180045110 A KR20180045110 A KR 20180045110A KR 1020160138660 A KR1020160138660 A KR 1020160138660A KR 20160138660 A KR20160138660 A KR 20160138660A KR 20180045110 A KR20180045110 A KR 2018004511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hinge
- plates
- mountain railway
- railway vehic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3/00—Construction of steps for railway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5/00—Gangways for coupled vehicles, e.g. of concertina type
- B60D5/006—Passages between articulated vehicles, e.g. bridges or rotating pl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2—Running boar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61D17/04—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with bodies of metal; with composite, e.g. metal and wood body structures
- B61D17/20—Communication passages between coaches; Adaptation of coach end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악철도차량의 연결통로용 발판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방 차체와 후방 차체의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통로에 설치되어 산악철도차량의 선회주행, 경사주행 및 선회경사주행에 의한 차체 사이의 굴절이 발생되는 경우 그 설치 형상이 자유롭게 변형되도록 하여 발판에 가해지는 하중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산악철도차량의 연결통로용 발판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방 차체의 후단 및 후방 차체의 전단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제1 및 제2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제1 및 제2고정 플레이트의 단부에 각각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및 제2힌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및 제2힌지 플레이트의 사이에 연결되도록 하여 연결기의 상부에 설치되는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방 차체의 후단 및 후방 차체의 전단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제1 및 제2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제1 및 제2고정 플레이트의 단부에 각각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및 제2힌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및 제2힌지 플레이트의 사이에 연결되도록 하여 연결기의 상부에 설치되는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산악철도차량의 연결통로용 발판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방 차체와 후방 차체의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통로에 설치되어 산악철도차량의 선회주행, 경사주행 및 선회경사주행에 의한 차체 사이의 굴절이 발생되는 경우 그 설치 형상이 자유롭게 변형되도록 하여 발판에 가해지는 하중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산악철도차량의 연결통로용 발판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의 각 끝부분에 해당하는 차량과 차량 사이에는 연결통로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통로의 바닥부분에는 승객 및 승무원의 용이한 이동을 위한 발판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철도차량의 연결통로용 발판은, 상호 마주하는 각각의 객차의 단부측에 고정되는 한 쌍의 발판 일부분이 겹쳐진 상태로 구성되는 한편, 일측 발판은 힌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유지보수 작업 등을 위해 선택적으로 바닥면을 개방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즉,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철도차량의 연결통로에 구비되는 발판은 일측 객차의 베이스부재에 제2발판(3)이 고정되고, 타측 객차의 베이스부재(1)에 고정 설치된 브라켓트(4)에 제1발판(2)이 힌지부를 통해 회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발판 구조는 제1발판(2)과 제2발판(3)이 힌지 결합되어 철도차량이 곡선 주로를 주행하는 경우 제1발판(2)과 제2발판(3)의 힌지 결합부가 상,하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고, 겹쳐진 상태로 좌,우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는 하지만, 발판이 두 개의 피스로 분리 구성되어 안정감이 떨어지고, 힌지 결합부에서의 회동시 및 겹쳐진 상태로 좌,우 방향으로 회동하는 경우 소음이 심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발판 구조는 철도차량의 주행시 발생되는 좌,우 방향으로의 회전에 대해서는 적응이 가능하지만 산악철도의 경우 급경사 지역이나 선회경사 지역이 빈번하게 발생되어 제1발판과 제2발판 사이의 연결부에 좌,우 방향으로의 변형은 물론, 상,하 방향의 변형이나 비틀림 변형 등이 복합적으로 발생되므로 단순 힌지 결합만으로는 제1발판(2)과 제2발판(3) 사이의 연결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탱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러한 상황이 장기간동안 반복될 경우 연결부분이 파손될 우려도 있어 자칫 인명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과 차량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 통로에 설치되어 산악철도차량의 선회주행, 경사주행 및 선회경사주행에 의한 차량 간의 굴절시 그 설치 형상이 자유롭게 변형되도록 하여 발판에 가해지는 하중을 최소화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산악철도차량의 연결통로용 발판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방 차체의 후단 및 후방 차체의 전단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제1 및 제2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제1 및 제2고정 플레이트의 단부에 각각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및 제2힌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및 제2힌지 플레이트의 사이에 연결되도록 하여 연결기의 상부에 설치되는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고정 플레이트에는 다수 개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힌지 플레이트는 상기 결합홈에 힌지 결합되는 다수 개의 단위체들로 분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위체에는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의 단부에는 연결플레이트의 상부에 안착되는 안착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하부 중심부에는 가이드베어링이 설치되고, 상기 연결기의 상부에는 가이드베어링이 결합되는 가이드레일이 연결 플레이트의 폭방향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하부 가장자리에는 링 형상의 마모 플레이트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양 측면 하부와 통로 연결막의 사이에는 링크장치가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산악철도차량의 선회주행, 경사주행 및 선회경사주행에 의해 전방 차체와 후방 차체 사이에 굴절각이 발생되는 경우 그 설치 형상이 자유롭게 변형되도록 하여 발판 구조에 가해지는 하중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발판 구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철도차량의 연결통로용 발판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산악철도차량의 연결통로용 발판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제1힌지플레이트와 연결플레이트 사이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산악철도차량의 연결통로용 발판 구조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산악철도차량의 연결통로용 발판 구조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정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산악철도차량의 연결통로용 발판 구조의 하부 모습을 나타낸 하부 사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산악철도차량의 연결통로용 발판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제1힌지플레이트와 연결플레이트 사이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산악철도차량의 연결통로용 발판 구조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산악철도차량의 연결통로용 발판 구조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정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산악철도차량의 연결통로용 발판 구조의 하부 모습을 나타낸 하부 사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산악철도차량의 연결통로용 발판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산악철도차량의 연결통로용 발판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제1힌지플레이트와 연결플레이트 사이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산악철도차량의 연결통로용 발판 구조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산악철도차량의 연결통로용 발판 구조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정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산악철도차량의 연결통로용 발판 구조의 하부 모습을 나타낸 하부 사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전방 차체와 후방 차체의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통로에 설치되어 산악철도차량의 선회주행, 경사주행 및 선회경사주행에 의한 차체 사이의 굴절이 발생되는 경우 그 설치 형상이 자유롭게 변형되도록 하여 발판에 가해지는 하중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산악철도차량의 연결통로용 발판 구조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제1 및 제2고정플레이트(110a,110b), 제1 및 제2힌지플레이트(120a,120b) 및 연결플레이트(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 및 제2고정플레이트(110a,110b)는 전방 차체(10a)의 후단 통로 및 후방 차체(10b)의 전단 통로 상에 고정 설치되어 발판 구조가 차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방 차체(10a)의 후단에 제1고정플레이트(110a)가 고정 설치되고, 후방 차체(10b)의 전단에 제2고정플레이트(110b)가 고정 설치된다.
즉, 상기 제1 및 제2고정플레이트(110a,110b)는 일측 단부가 전방 차체(10a)의 후단 통로 및 후방 차체(10b)의 전단 통로 상에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전방 차체(10a) 및 후방 차체(10b)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그 타측 단부에는 후술할 힌지핀(124)이 삽입 결합되는 관통공(114)이 제1 및 제2고정플레이트(110a,110b)의 폭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제1 및 제2힌지플레이트(120a,120b)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홈(112)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홈(112)은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하여 다수 개로 분리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 상기 제1 및 제2힌지플레이트(120a,120b)는 제1 및 제2고정플레이트(110a,110b)의 타측 단부에 각각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 제1 및 제2고정플레이트(110a,110b)에 형성된 결합홈(112)에 삽입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1 및 제2힌지플레이트(120a,120b)는 결합홈(112)에 삽입 설치되는 그 일측 단부에 힌지핀(124)이 체결되는 힌지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112)에 제1 및 제2힌지플레이트(120a,120b)의 일측 단부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제1 및 제2고정플레이트(110a,110b)에 형성된 관통공(114) 및 힌지공을 통해 힌지핀(124)을 체결함으로써 제1 및 제2힌지플레이트(120a,120b)가 힌지핀(124)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힌지플레이트(120a,120b)는 다수 개의 단위체(122)들로 분리 구성되어 각각의 단위체(122)들이 개별적으로 회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는 산악철도차량이 선회경사구간을 주행하여 전방 차체(10a)와 후방 차체(10b) 사이에 비틀림이 발생되는 경우, 제1 및 제2힌지플레이트(120a,120b)의 단위체(122)들이 개별적으로 회동함으로써 비틀림 하중에 의한 충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산악철도차량의 경우 일반 철도차량과는 달리 주행구간에 급경사구간이나 선회경사구간이 빈번하게 발생되는데, 제1 및 제2힌지플레이트(120a,120b)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산악철도차량의 선회경사구간 주행시 후술할 연결플레이트(130)가 기울어지게 되면 제1 및 제2힌지플레이트(120a,120b)에 비틀림이 발생되는 등 반복하중의 발생에 의해 내구성이 떨어지게 되거나, 탑승객들의 통과시 제1 및 제2힌지플레이트(120a,120b)와 연결플레이트(130) 사이의 변위차에 의한 안전사고가 발생될 위험이 있는 것임에 비해, 본 발명에서와 같이 제1 및 제2힌지플레이트(120a,120b)가 다수 개의 단위체(122)들로 분리 구성되는 경우 각각의 단위체(122)들이 개별적으로 회동하여 제1 및 제2힌지플레이트(120a,120b)에서 받게 되는 하중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전방 차체(10a)와 후방 차체(10b) 사이의 연결 부분, 즉 후술할 연결플레이트(130)에 수평, 수직 또는 트위스트 방향의 변위가 발생될 때에도 각각의 단위체(122)들이 개별적으로 회동하여 제1 및 제2힌지플레이트(120a,120b)가 연결플레이트(130)에 밀착될 수 있으므로 탑승객들이 최대한 안전하게 통로를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힌지플레이트(120a,120b)를 구성하는 단위체(122)들은 결합홈(112)에 삽입 설치되는 그 일측 단부의 폭이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어 독립적인 상,하 방향으로의 회동이 보다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제1 및 제2고정플레이트(110a,110b)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각각의 단위체(122)들이 측면이 서로 밀착될 수 있도록 하여 각 단위체(122)들 사이에 변위차가 발생되더라도 안전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힌지플레이트(120a,120b)를 구성하는 단위체(122)들은 제1 및 제2고정플레이트(110a,110b)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에 연결플레이트(130) 방향으로 하향 기울기가 형성되는 절곡부(126)가 형성되는데, 상기 절곡부(126)는 단위체(122)들의 개별 회동에 의해 단위체(122)들 사이에 발생되는 변위차를 최소화시킴으로써 탑승객들이 보다 안전하게 통로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절곡부(126)의 단부에는 연결플레이트(130)의 상면에 안착되는 안착면(128)을 형성하여 제1 및 제2힌지플레이트(120a,120b)가 연결플레이트(130)에 의해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절곡부(126)의 상부에 보강부재를 설치하여 탑승객들의 통과에 따른 반복 하중에 의한 제1 및 제2힌지플레이트(120a,120b)의 변형 발생을 줄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탑승객들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 상기 연결플레이트(130)는 제1 및 제2힌지플레이트(120a,120b)의 사이에 설치되어 제1 및 제2힌지플레이트(120a,120b)의 하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방 차체(10a)와 후방 차체(10b)를 연결하는 연결기(20)의 상부에 설치된다.
즉, 상기 연결플레이트(130)는 탑승객들이 전방 차체(10a)와 후방 차체(10b)의 사이를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통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연결기(20)의 상부에 설치되어 탑승객들의 하중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연결플레이트(130)의 하부 중심부에는 가이드베어링(132)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기(20)의 상부에는 가이드베어링(132)이 결합되는 가이드레일(134)이 연결플레이트(130)의 폭 방향으로 설치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산악철도차량의 경우 급곡선 구간이나 선회경사구간을 주행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는데, 산악철도차량이 곡선구간을 주행하여 전방 차체(10a)와 후방 차체(10b) 사이에 연결 설치된 연결기(20)가 굴절되는 경우 가이드레일(134)에 결합된 가이드베어링(132)에 의해 연결플레이트(130)가 횡방향으로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134)에 의해 지지되는 가이드베어링(132)에 의해 연결플레이트(130)는 가이드베어링(132)을 중심으로 한 좌,우 방향으로의 회전 또한 가능하게 되므로 급곡선구간이나 선회경사구간 등에서 전방 차체(10a)와 후방 차체(10b) 사이에 발생되는 굴절각에 의해 연결플레이트(130)가 받게 되는 하중을 최소화 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연결플레이트(130)의 하부 가장자리에는 링 형상의 마모 플레이트(136)가 설치되는데, 상기 마모 플레이트(136)는 고무 등의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산악철도차량의 주행 도중 연결플레이트(130)로부터 연결기(20) 상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흡수함과 동시에 가이드베어링(132)을 중심으로 한 연결플레이트(130)의 회전 및 횡방향 이동시 연결플레이트(130)가 마찰에 의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연결플레이트(130)는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기(20)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므로, 산악철도차량이 급경사구간이나 선회경사구간을 주행하는 경우 연결플레이트(130)가 연결기(20)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연결플레이트(130)의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이 그대로 연결기(20)로 전달되거나, 연결플레이트(130)의 하부와 연결기(20)의 상부의 마찰에 의해 연결플레이트(130)의 하부가 마모될 수 있으므로, 연결플레이트(130)의 하부 가장자리에 연결기(20)의 상면에 의해 지지되는 링 형상의 마모 플레이트(136)를 설치함으로써 연결기(2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함은 물론 연결플레이트(13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플레이트(130)의 양 측면 하부에는 링크장치(138)가 각각 연결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링크장치(138)는 유압 또는 공압으로 구동되는 실린더와 같은 장치로 이루어져 그 일측 단부가 연결플레이트(130)의 측면 하부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전방 차체(10a)와 후방 차체(10b)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통로 연결막(30)의 사이에 결합되어 연결플레이트(130)의 사행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산악철도차량이 급곡선구간이나 선회경사구간을 주행하는 경우 전방 차체(10a)와 후방 차체(10b)의 사이에 연결 설치된 연결기(20)의 이동 또는 회전에 의해 연결플레이트(130)의 이동 또는 회전이 심하게 이루어지거나 연결플레이트(130)가 사행동을 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는데, 상기 링크장치(138)는 연결플레이트(130)의 양 측면 하부와 통로 연결막(30)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와 같은 연결플레이트(130)의 심한 이동 또는 회전이나, 사행동을 제한함으로써 탑승객들이 보다 안전하게 통로를 통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산악철도차량의 연결통로용 발판 구조에 의하면, 산악철도차량의 선회주행, 경사주행 및 선회경사주행에 의해 전방 차체(10a)와 후방 차체(10b) 사이에 굴절각이 발생되는 경우 그 설치 형상이 자유롭게 변형되도록 하여 발판 구조에 가해지는 하중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발판 구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갖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산악철도차량의 연결통로용 발판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방 차체와 후방 차체의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통로에 설치되어 산악철도차량의 선회주행, 경사주행 및 선회경사주행에 의한 차체 사이의 굴절이 발생되는 경우 그 설치 형상이 자유롭게 변형되도록 하여 발판에 가해지는 하중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산악철도차량의 연결통로용 발판 구조에 관한 것이다.
10a : 전방 차체
10b : 후방 차체
20 : 연결기 30 : 연결막
110a : 제1고정플레이트 110b : 제2고정플레이트
112 : 결합홈 114 : 관통공
120a : 제1힌지플레이트 120b : 제2힌지플레이트
122 : 단위체 124 : 힌지핀
126 : 절곡부 128 : 안착면
130 : 연결플레이트 132 : 가이드베어링
134 : 가이드레일 136 : 마모플레이트
138 : 링크장치
20 : 연결기 30 : 연결막
110a : 제1고정플레이트 110b : 제2고정플레이트
112 : 결합홈 114 : 관통공
120a : 제1힌지플레이트 120b : 제2힌지플레이트
122 : 단위체 124 : 힌지핀
126 : 절곡부 128 : 안착면
130 : 연결플레이트 132 : 가이드베어링
134 : 가이드레일 136 : 마모플레이트
138 : 링크장치
Claims (6)
- 전방 차체의 후단 및 후방 차체의 전단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제1 및 제2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제1 및 제2고정 플레이트의 단부에 각각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및 제2힌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및 제2힌지 플레이트의 사이에 연결되도록 하여 연결기의 상부에 설치되는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악철도차량의 연결통로용 발판 구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고정 플레이트에는 다수 개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힌지 플레이트는 상기 결합홈에 힌지 결합되는 다수 개의 단위체들로 분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악철도차량의 연결통로용 발판 구조.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체에는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의 단부에는 연결플레이트의 상부에 안착되는 안착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악철도차량의 연결통로용 발판 구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하부 중심부에는 가이드베어링이 설치되고, 상기 연결기의 상부에는 가이드베어링이 결합되는 가이드레일이 연결 플레이트의 폭방향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악철도차량의 연결통로용 발판 구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하부 가장자리에는 링 형상의 마모 플레이트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악철도차량의 연결통로용 발판 구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양 측면 하부와 통로 연결막의 사이에는 링크장치가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악철도차량의 연결통로용 발판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38660A KR101856590B1 (ko) | 2016-10-24 | 2016-10-24 | 산악철도차량의 연결통로용 발판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38660A KR101856590B1 (ko) | 2016-10-24 | 2016-10-24 | 산악철도차량의 연결통로용 발판 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45110A true KR20180045110A (ko) | 2018-05-04 |
KR101856590B1 KR101856590B1 (ko) | 2018-05-14 |
Family
ID=62188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38660A KR101856590B1 (ko) | 2016-10-24 | 2016-10-24 | 산악철도차량의 연결통로용 발판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56590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422209A (zh) * | 2020-04-10 | 2020-07-17 | 株洲创新轨道交通电气设备有限公司 | 一种高强度万向柔性渡板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66516B1 (ko) * | 2019-07-18 | 2020-01-15 | 인천교통공사 | 발판 일체형 궤도차량용 연결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70524Y1 (ko) * | 2004-09-14 | 2004-12-14 | 정연숙 | 철도 차량의 논슬립 연결 발판 |
JP4420350B2 (ja) * | 2005-07-13 | 2010-02-24 | 近畿車輌株式会社 | 鉄道車両の渡り板装置 |
-
2016
- 2016-10-24 KR KR1020160138660A patent/KR101856590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422209A (zh) * | 2020-04-10 | 2020-07-17 | 株洲创新轨道交通电气设备有限公司 | 一种高强度万向柔性渡板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56590B1 (ko) | 2018-05-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718552B2 (en) | Passenger seat frame | |
CN103619745B (zh) | 电梯装置和滚子引导组件 | |
KR101856590B1 (ko) | 산악철도차량의 연결통로용 발판 구조 | |
JPH10194627A (ja) | エレベータのガイドローラ装置 | |
CN110552287B (zh) | 桥梁用柔性伸缩机构和桥梁伸缩装置 | |
KR102090065B1 (ko) | 엘리베이터용 가이드롤러장치 | |
KR101847860B1 (ko) | 철도차량의 연결통로용 발판구조 | |
CN108367763B (zh) | 铁道车辆用导向转向架 | |
CN110939241B (zh) | 一种装配式楼梯减震结构 | |
SU1243614A3 (ru) | Кронштейн дл подвески колеса автомобил | |
EP1942071A2 (en) | Flotation means for the correct wedging of a safety device for life | |
EP3527464A1 (en) | Vehicle body connecting base and suspension system having same | |
CN212245850U (zh) | 轿底结构和轿厢 | |
US20220009746A1 (en) | Buffer device for an elevator system | |
CN112046515B (zh) | 贯通道地板与铰接装置连接结构及方法 | |
KR101830690B1 (ko) | 산악철도차량용 차체 상부 연결 구조 | |
WO2016063382A1 (ja) | 鉄道車両 | |
KR101859945B1 (ko) | 산악철도차량용 차체 상부 연결 구조 | |
CN113502739B (zh) | 一种公路桥梁伸缩缝 | |
CN215714597U (zh) | 一种公路桥梁伸缩缝结构 | |
JP7426308B2 (ja) | レール接合体 | |
CN218175443U (zh) | 吊挂式轨道车及吊挂式轨道系统 | |
KR101910998B1 (ko) | 철도차량의 객차간 통로 바닥 연결 장치 | |
CN218907218U (zh) | 吊挂式轨道车及轨道系统 | |
JP4208479B2 (ja) | エレベータのガイド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