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5066A -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5066A
KR20180045066A KR1020187011718A KR20187011718A KR20180045066A KR 20180045066 A KR20180045066 A KR 20180045066A KR 1020187011718 A KR1020187011718 A KR 1020187011718A KR 20187011718 A KR20187011718 A KR 20187011718A KR 20180045066 A KR20180045066 A KR 20180045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oblique
guide plate
light guide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1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이지 기노시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쿠라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쿠라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쿠라레
Publication of KR20180045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50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1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using 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5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specially adapted for changing the characteristics or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g. by adjustment of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3Ceiling bases, e.g. ceiling r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8Linear indentations or grooves, e.g. arc-shaped grooves or meandering grooves, extending over the full length or width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being coupled to the light guide
    • G02B6/0073Light emitting diode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높은 직하 조도를 얻을 수 있고, 또한 비스듬히 보았을 경우에 있어서의 출사면의 명암 얼룩을 해소할 수 있는 엣지 라이트 방식의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도광판(2)의 입사 단면에 발광 유닛(3a,3b)이 설치된 엣지 라이트 방식의 조명 장치(1)로서, 도광판(2)의 저면(2c)에 형성된 오목조(6)는 내측의 제 1 경사면(6a)과, 이 제 1 경사면(6a)과 연속하여 외측에 개구하는 제 2 경사면(6b)을 갖고, 마주 보는 제 1 경사면(6a)에서 형성되는 정각(θ1)을 95° 내지 110°내로 설정하고, 마주 보는 제 2 경사면(6b)에서 형성되는 외견상의 정각(θ2)을 60° 내지 75°내로 설정한 단 부착의 V자 형상이고, 제 1 경사면(6a)의 한 변을 제 1 사변(6a')으로 하고, 제 2 경사면(6b)의 한 변을 제 2 사변(6b')으로 하여, 연속하는 제 1 사변(6a')과 제 2 사변(6b')의 전체 길이를 전체 사변 길이라고 정의했을 때에, 이 전체 사변 길이에 대한 제 2 사변(6b')의 사변 길이의 비율이 40 내지 65%로 설정되어 있다.

Description

조명 장치{ILLUMIN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도광판의 적어도 한쪽의 측면측에 배치한 LED 등의 1차 광원으로부터 광을 도광판 내로 입사하여, 상기 도광판의 한쪽 주면(출사면)으로부터 광을 출사하는 엣지 라이트 방식의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피스나 주택 등의 천정면 등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조명 기구로서 적합한 엣지 라이트 방식의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텔레비전이나 PC 등에 있어서의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로서, 엣지 라이트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엣지 라이트 방식의 백라이트는 도광판의 적어도 한쪽의 측면측에 배치한 1차 광원(LED 등)으로부터 광을 도광판 내로 입사하고, 상기 도광판의 한쪽 주면(출사면) 전체로부터 광을 출사시킴으로써 면상(面狀)의 광으로서 출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엣지 라이트 방식의 백라이트를 오피스나 주택 등의 천정면 등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조명 기구에 적용하게 되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최근에는 LED의 발광 효율의 향상과 가격의 저하에 의해, LED를 광원으로 하는 조명 기구에 있어서는 박형화에 의한 조명 장치의 경량화가 가능해지고, LED의 특징인 조광 기능에 의한 생활 양식에 맞춘 연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LED를 광원으로 하는 엣지 라이트 방식의 조명 장치가 보급되어 왔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또한, 도광판에 의한 광 이용 효율을 보다 높이기 위해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3에는 도광판의 출사면에 단면 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의 볼록조 패턴을 소정 피치로 다수 형성하고, 도광판의 출사면과 반대측의 면인 저면에 단면 형상이 V자형(V홈 형상)의 오목조 패턴을 소정 피치로 다수 형성한 도광판이 제안되고 있다.
특허문헌 3의 발명에 의하면, 입사 단면에서 도광판 내로 입사한 광을 저면에 형성된 단면 형상이 V자형(V홈 형상)인 오목조 패턴의 경사면에서 출사면측에 효율적으로 반사시키고, 이 반사광이 도광판의 출사면에 형성된 단면 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의 볼록조 패턴을 투과하여, 출사면의 정면 방향으로 면상의 광으로서 출사할 수 있다.
또한, 도광판의 출사면의 볼록조 패턴은 입사 단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도광판의 저면(출사면과 반대측의 면)의 오목조 패턴은 입사 단면과 평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03-81907호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3-30279호 특허문헌 3: 국제공개 2006/013969 공보
특허문헌 3에 기재된 도광판을 갖는 엣지 라이트 방식의 조명 장치를 오피스나 주택 등의 천정면 등에 부착하여 조명 기구로서 사용할 경우, 출사면에서 출사되는 면상의 광으로 조명 장치의 직하(直下) 바닥면 및 그 주변을 대략 균등하게 비출수 있다. 그렇지만, 천정면에 부착된 이 조명 장치의 면상의 출사면을 쳐다본 경우에는, 이 출사면 전체가 대략 균일한 휘도 분포로 되어 있지 않다.
특히, 이 조명 장치의 출사면의 직하 방향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떨어져, 특히 도광판의 입사 단면측으로부터 소정의 경사 각도(이하, 「비스듬히 본 각도」라고 함)에서 사용자가 출사면을 쳐다본(이하, 「비스듬히 보다」라고 함) 경우에, 도광판의 입사 단면과 평행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저면의 V자형인 오목조 패턴(단면 형상이 V자형)의 영향에 의해, 출사면의 중앙 영역에서 휘도가 크게 변화되기 때문에, 이 중앙 영역이 어둡게 보이고, 명암 얼룩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출사면을 비스듬히 보았을 때에 명암 얼룩이 발생함으로써, 외관상의 돋보임이 나빠지고, 상품 가치가 저하한다.
그래서, 본 발명은 높은 직하 조도를 얻을 수 있고, 또한 비스듬히 보았을 경우에 있어서의 출사면의 명암 얼룩을 해소할 수 있는 엣지 라이트 방식의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 1 항에 기재된 조명 장치는 도광판의 적어도 한쪽의 측면측에 1차 광원이 설치되고, 상기 도광판은 출사면, 상기 출사면에 대향하는 저면, 및 적어도 일측면에 설치된 상기 1차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입사시키는 입사 단면을 갖는 엣지 라이트 방식의 조명 장치로서, X축과, X축에 직교하는 Y축으로 구성되는 X-Y 평면의 법선을 Z축으로서, 상기 1차 광원은 X축에 평행하게 배치하고 있고, 상기 도광판은 상기 X-Y 평면에 평행하게 배치하고 있고, 상기 도광판의 입사 단면은 X-Z 평면에 평행하고, 상기 도광판은 상기 저면에 소정 피치로 형성된 X축 방향으로 평행한 복수의 오목조 패턴과, 상기 출사면에 소정 피치로 형성된 Y축 방향으로 평행한 복수의 볼록조 패턴을 갖고 있고,
상기 오목조 패턴은 Y-Z 평면에 평행한 단면에 있어서, 내측의 제 1 경사면과, 이 제 1 경사면과 연속하여 외측에 개구하는 제 2 경사면을 갖고, 마주 보는 상기 제 1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정각(頂角)을 95° 내지 110°내로 설정하고, 마주 보는 상기 제 2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외견상의 정각을 60° 내지 75°내로 설정한 단(段) 부착의 V자 형상이고,
Y-Z 평면에 평행한 단면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사면의 한 변을 제 1 사변으로 하고, 상기 제 2 경사면의 한 변을 제 2 사변으로 하여, 연속하는 상기 제 1 사변과 상기 제 2 사변의 전체 길이를 전체 사변 길이라고 정의했을 때에, 이 전체 사변 길이에 대한 상기 제 2 사변의 사변 길이의 비율이 40 내지 65%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2 항에 기재된 조명 장치는 상기 도광판의 출사면에 형성된 상기 볼록조 패턴이,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 또는 렌티큘러렌즈 형상 또는 포물선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3 항에 기재된 조명 장치는 상기 도광판의 저면측에는 광을 반사하는 반사 시트를 갖고, 상기 도광판의 출사면측에는 광을 균일하게 확산하는 확산 시트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4 항에 기재된 조명 장치는 상기 도광판의 저면측에 광을 반사하는 반사 시트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에 의하면, 도광판의 저면의 오목조 패턴은 Y-Z 평면에 평행한 단면에 있어서, 내측의 제 1 경사면과, 이 제 1 경사면과 연속하여 외측에 개구하는 제 2 경사면을 갖고, 마주 보는 상기 제 1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정각을 95° 내지 110°내로 설정하고, 마주 보는 제 2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외견상의 정각을 60° 내지 75°내로 설정한 단 부착의 V자 형상이고, Y-Z 평면에 평행한 단면에 있어서, 제 1 경사면의 한 변을 제 1 사변으로 하고, 제 2 경사면의 한 변을 제 2 사변으로 하여, 연속하는 제 1 사변과 제 2 사변의 전체 길이를 전체 사변 길이라고 정의했을 때에, 이 전체 사변 길이에 대한 제 2 사변의 사변 길이의 비율이 40 내지 65%로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출사면에서 출사되는 광으로 조명 장치의 직하를 높은 조도로 비출 수 있고, 또한 비스듬히 보았을 경우에 있어서의 출사면의 명암 얼룩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엣지 라이트 방식의 조명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를 천정면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의 도광판의 저면에 형성한 단면이 V자형인 오목조를 도시한 확대도.
도 5는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의 도광판의 저면에 형성한 단면이 V자형인 오목조의 경사면에 광이 입사하여 출사면측에 반사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효과를 나타내는 설명에 사용한 조명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7은 도 6의 조명 장치(도광판의 저면에 단면 형상이 단순한 V자형이고, 정각이 100°의 오목조를 형성한 구성)로, 출사면에서 출사된 광의 광도 분포의 측정 결과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광판의 저면에 형성한 단면 형상이 단순한 V자형이고, 정각이 100°의 오목조를 갖는 조명 장치를 사용하여 비스듬히 본 경우에 있어서의 출사면의 휘도 분포의 측정 결과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광판의 저면에 단면 형상이 단순한 V자형이고, 정각이 70°의 오목조를 형성했을 때의 출사면에서 출사된 광의 광도 분포의 측정 결과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광판의 저면에 형성한 단면 형상이 단순한 V자형이고, 정각이 70°의 오목조를 갖는 조명 장치를 사용하여 비스듬히 본 경우에 있어서의 출사면의 휘도 분포의 측정 결과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조명 장치의 도광판의 저면에 형성한 V자형의 오목조에 있어서, 전체 사변 길이(제 1 사변+제 2 사변의 사변 길이)에 대한 제 2 사변의 사변 길이의 비율(사변 길이 비율)을 변화시켰을 때의, 비스듬히 본 각도 10°로 비스듬히 본 경우의 출사면의 휘도 분포의 측정 결과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조명 장치의 도광판의 저면에 형성한 V자형의 오목조에 있어서, 전체 사변 길이(제 1 사변+제 2 사변의 사변 길이)에 대한 제 2 사변의 사변 길이의 비율(사변 길이 비율)을 변화시켰을 때의, 비스듬히 본 각도 20°로 비스듬히 본 경우의 출사면의 휘도 분포의 측정 결과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광판의 저면에 형성한 단면 형상이 단순한 V자형이고, 정각이 110°의 오목조를 갖는 조명 장치를 사용하여 비스듬히 본 경우에 있어서의 출사면의 휘도 분포의 측정 결과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도광판의 저면에 형성한 단면 형상이 단순한 V자형이고, 정각이 60°의 오목조를 갖는 조명 장치를 사용하여 비스듬히 본 경우에 있어서의 출사면의 휘도 분포의 측정 결과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실시형태 2에 따른 조명 장치의 도광판의 저면에 형성한 V자형의 오목조에 있어서, 전체 사변 길이(제 1 사변+제 2 사변의 사변 길이)에 대한 제 2 사변의 사변 길이의 비율(사변 길이 비율)을 변화시켰을 때의, 비스듬히 본 각도 10°로 비스듬히 본 경우의 출사면의 휘도 분포의 측정 결과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실시형태 2에 따른 조명 장치의 도광판의 저면에 형성한 V자형의 오목조에 있어서, 전체 사변 길이(제 1 사변+제 2 사변의 사변 길이)에 대한 제 2 사변의 사변 길이의 비율(사변 길이 비율)을 변화시켰을 때의, 비스듬히 본 각도 20°로 비스듬히 본 경우의 출사면의 휘도 분포의 측정 결과를 도시한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에 따른 엣지 라이트 방식의 조명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엣지 라이트 방식의 조명 장치(1)에서는 X축과, X축에 직교하는 Y축으로 구성되는 X-Y 평면의 법선을 Z축으로 하고, Z축 방향이 광의 출사 방향으로 하고 있다.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엣지 라이트 방식의 조명 장치(1)는 투명 수지(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 등으로 형성된 투명 구조체인 도광판(2), 이 도광판(2)의 Y축 방향의 양측 단면(이하, 「입사 단면」이라고 함)(2a,2b)측에 각각 배치된 발광 유닛(3a,3b), 도광판(2)의 배면(이하, 「저면」이라고 함)(2c)측에 설치된 반사 시트(4), 도광판(2)의 전면(이하, 「출사면」이라고 함)(2d)측에 설치된 광학 시트로서의 확산 시트(5)를 주된 구성 부재로서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조명 장치(1)를 오피스나 주택 등의 천정면에 설치한 경우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 시트(4)측이 천정면(10)에 위치하고, 확산 시트(5)측(출사면(2d)측)으로부터 아래쪽(바닥면측)을 향하여 광이 출사된다.
도광판(2)의 저면(2c)에는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면 형상이 V자형(V홈 형상)의 오목조(6)가 소정의 피치로 복수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광판(2)의 출사면(2d)에는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면 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의 볼록조(7)가 소정의 피치로 복수 형성되어 있다(도광판(2)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함).
1차 광원으로서의 발광 유닛(3a,3b)은 도광판(2)의 Y축 방향의 양측 단면(입사 단면(2a,2b))에 X축 방향을 따라 각각 배치되어 있고, 발광 유닛(3a,3b) 내에는 도광판(2)의 X축 방향을 따라 직선 형상에 소정 간격으로 광원으로서의 LED(발광 다이오드)(8)가 복수 배치되어 있다. LED(8)의 배치 간격은 예를 들면 수mm 내지 20mm 정도이다. 또한, 광원으로서는 LED 이외에도 냉음극관 등의 연속적인 광원이라도 좋다.
발광 유닛(3a,3b)의 각 LED(8)로부터 발사된 광은 도광판(2)의 양측 입사 단면(2a,2b)으로부터 도광판(2) 내의 Y축 방향으로 입사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광판(2)의 Y축 방향의 양측 단면(입사 단면(2a,2b))에 발광 유닛(3a,3b)을 배치한 구성이었지만, 어느 한쪽 측의 단면에 발광 유닛을 배치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반사 시트(4)는 도광판(2)의 입사 단면(2a,2b)으로부터 입사된 광 중 도광판(2)의 저면(2c)에서 밖으로 출사한 광을 다시 도광판(2)에 입사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 반사 시트(4)는 반사율 95% 이상인 것이 광의 이용 효율이 높아 바람직하다. 반사 시트(4)의 재질로서는 알루미늄, 은,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박이나, 백색도장, 발포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도광판(2)의 전면측(정면측)인 출사면(2d)측에 설치된 확산 시트(5)는 도광판(2)의 출사면(2d)에서 출사된 광을 적절하게 균일화시켜서, 명암 얼룩을 억제하여 외관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다.
오피스나 주택 등의 천정면에 사용되는 조명 장치는 직접 조명 장치의 발광면(출사면)이 시인되므로 외관 품위가 중시되기 때문에, 확산 시트를 1장 내지는 복수장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 확산 시트(5)는 확산성을 갖는 수지로 제작된 판상물(板狀物)(예를 들면 PMMA, PC 등)이라도 좋고, 이들의 판을 열 성형하여 3차원 형상으로 가공한 보호 커버상이라도 좋다. 또한, 도광판(2)의 출사면(2d)측으로의 확산 시트(5)의 설치는 필수가 아니고, 조명 장치(1)의 설치 장소나 용도 등에 따라서 확산 시트(5)를 생략하여도 좋다.
(도광판(2)의 저면(2c)의 구성)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광판(2)의 저면(2c)에는 소정의 피치로 형성된 오목조(6)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오목조(6)는 단면 형상이 V자 형상(V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X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 4의 확대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조(6)는 단면 형상이 단 부착의 V자형(이하, 단지 「V자형」이라고 함)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단면 형상이 V자형의 오목조(6)는 정각(θ1)이 95° 내지 110°내에서 예를 들면 100°로 설정되어 있는 내측의 제 1 경사면(6a)과, 이 제 1 경사면(6a)과 연속하는 외견상의 정각(θ2)이 60° 내지 75°내에서 예를 들면 70°로 설정된 외측에 개구한 제 2 경사면(6b)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오목조(6)를 형성하는 제 1 경사면(6a)과 제 2 경사면(6b)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함).
또한, 도 4에 도시한 단면 형상이 V자 형상의 오목조(6)에 있어서, 제 1 경사면(6a)의 한 변을 제 1 사변(6a’)으로 하고, 제 2 경사면(6b)의 한 변을 제 2 사변(6b’)으로 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속하는 이 제 1 사변(6a’)과 제 2 사변(6b’)의 전체 길이를 전체 사변 길이라고 정의했을 때에, 이 전체 사변 길이(제 1 사변(6a’)+제 2 사변(6b’)의 사변 길이)에 대한 제 2 사변(6b’)의 사변 길이의 비율(이하, 「사변 길이 비율」이라고 함)이 40 내지 65%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도광판(2)의 출사면(2d)의 구성)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광판(2)의 출사면(2d)에는 소정의 피치로 복수 형성된 X-Z 평면에 평행한 단면 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의 볼록조(7)가 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사다리꼴 형상의 볼록조(7)의 일반적인 높이는, 예를 들면 0.001 내지 0.1mm의 범위 내로 설정되어 있고,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의 볼록조(7)의 일반적인 경사 각도는, 예를 들면 30 내지 60°의 범위 내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광판(2)의 출사면(2d)에 형성한 볼록조(7)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면 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이었지만, 그 이외에도 단면이 원호상, 쌍곡선상 또는 포물선상인 소위 렌티큘러렌즈 형상이라도 좋다.
다음에, 도광판(2)의 저면(2c)에 단면이 V자형의 오목조(제 1 경사면(6a)의 정각(θ1)이 100°)(6)가 형성되고, 도광판(2)의 출사면(2d)에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의 볼록조(7)(단면을 구성하는 사변과 출사면(2d)이 이루는 경사 각도가 55°)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정면 방향(Z축 방향)의 휘도가 향상되는 원리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단면이 V자형인 오목조(6)의 제 2 경사면(6b)(외견상의 정각(θ2)이 70°)에 있어서도 대략 같다.
도 1에 도시한 조명 장치(1)에 있어서, 도광판(2)의 입사 단면(2a,2b)으로부터 입사한 광은 도광판(2)의 저면(2c)에 형성된 V자형의 오목조(6)로 소정의 방향으로 반사되어 출사면(2d)으로부터 출사하거나, V자형의 오목조(6)를 투과하여 일단 도광판(2)의 저면(2c)으로부터 나와,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반사 시트(4)로 확산되고, 다시 도광판(2)에 입사하여 출사면(2d)으로부터 출사하거나 하지만, 정면 방향으로 출사하는 광은 저면(2c)의 V자형인 오목조(6)로 소정의 방향으로 반사된 것이 주된 것이다.
도광판(2)의 출사면(2d)(볼록조(7))과 저면(2c)(오목조(6))에 있어서, X-Y 평면에 평행한 면에서 전체 반사하면서 전파하고 있는 광 중에는, 도 5에 도시한 광선(C)과 같이, 도광판(2)의 저면(2c)에 설치된 V자형인 오목조(6)의 경사면에 입사할 경우가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광선(C)의 오목조(6)의 경사면에 대한 앙각은 10°이고, Y축과 이루는 각도가 23°이다.
상기 광선(C)은 V자형인 오목조(6)의 경사면으로, 입사 단면(X-Z 평면)과 평행한 면 위에서 Z축과 이루는 각도가 22°인 방향으로 반사광(C')으로서 전체 반사된다. 이 반사광의 일부는 출사면(2d)에 형성되어 있는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의 볼록조(도 5에서는 볼록조(7'))의 경사면으로부터 출사한 경우에는, 정면 방향(Z축 방향)으로 출사된다. 이 때문에, 정면 방향으로 출사하는 광의 광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광판(2)의 내부를 전파하고 있는 광 중, 광선(D)은 출사면(2d)에 형성되어 있는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의 볼록조(도 5에서는 볼록조(7))의 경사면에서 전체 반사됨으로써, 광선(C)에 편향된다. 즉, 출사면(2d)에 형성되어 있는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의 볼록조(도 5에서는 볼록조(7))의 경사면에 의해, 광선(C)이 배증(倍增)됨으로써, 정면 방향으로 출사하는 광의 광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광선(D)은 X-Y 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19°이고, Y축과 이루는 각도가 16°이다.
본 실시형태의 조명 장치(1)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도광판(2)의 저면(2c)에 형성한 단면 형상이 V자형인 오목조(6)를, 정각(θ1)이 95° 내지 110°내로 설정된 제 1 경사면(6a)과, 상기 제 1 경사면(6a)과 연속하는 외견상의 정각(θ2)이 60° 내지 75°내로 설정된 제 2 경사면(6b)으로 형성하여, 출사면(2d)을 비스듬히 보았을 때에 부분적으로 휘도가 크게 변화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하였다.
θ1이 95° 미만이면, 도광판(2)의 출사면(2d)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각도의존성이 강하고, 화면 품위를 갖추기 위해서 확산성이 높은 확산 시트(5)가 필요해져, 에너지 효율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θ1이 110°를 초과하면, 도광판(2)의 Y축 방향에 따른 중심 부근의 휘도 구배(句配)가 강해져, 제 2 경사면(6b)의 편향 작용에 의해 없앨 수 없게 된다.
θ2가 60°미만에서는 도광판을 제작할 때에, 금형으로부터 이형시키는 것이 어렵게 된다. θ2가 75°를 초과한 경우, 출사면(2d)으로부터 출사되는 최대 출사 각도는 법선 방향이 되기 때문에, 도광판(2)의 발광 유닛(3b)측의 아래쪽에서 비스듬히 보면, 도광판(2)의 입사 단면(2a)(발광 유닛(3a))측을 낮게, 입사 단면(2b)(발광 유닛(3b))측을 높게 하는 효과가 약해진다.
이하, 도광판(2)의 저면(2c)에 형성한 단면이 V자형인 오목조(6)를, 정각(θ1)이 95° 내지 110°내로 설정된 제 1 경사면(6a)과, 상기 제 1 경사면(6a)과 연속하는 외견상의 정각(θ2)이 60° 내지 75°내로 설정된 제 2 경사면(6b)으로 형성함으로써, 출사면(2d)을 비스듬히 보았을 때에 부분적으로 휘도가 크게 변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이유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설명에 사용하는 조명 장치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이고, 도광판(2)은 한 변이 600mm의 정방형상이고, 두께가 3mm, 대향하는 2개의 입사 단면(2a,2b), 출사면(2d) 및 저면(2c)을 갖는다. 도 6 도시한 조명 장치(1)의 구성은 도 1에 도시한 조명 장치(1)와 같다. 또한, 도광판(2)의 출사면(2d)에는 도 1에 도시한 조명 장치(1)의 사다리꼴 형상의 볼록조(7)로 바꾸어, 종횡비가 20%의 단면 형상이 원호인 렌티큘러렌즈를 51μm의 일정 피치로 형성된 것으로 하였다.
이 종횡비는 렌티큘러렌즈의 수직 단면을 트레이스하는 원의 반경을 R로 하고, 렌티큘러렌즈를 형성하는 원호의 정점에서 현까지의 거리를 r로 하면, r/2R(%)로 정의된다. 또한, 출사면(2d) 위에는 가부시키가이샤 쯔지덴 제조의 확산 시트(5)(상품명:D124)를 갖는 구성으로 하였다.
그리고, 도광판(2)의 저면(2c)에 형성한 단면이 V자형인 오목조(6)를, 정각(θ1)이 100°로 설정된 제 1 경사면(6a)과, 상기 제 1 경사면(6a)과 연속하는 외견상의 정각(θ2)이 70°로 설정된 제 2 경사면(6b)으로 형성하고, 깊이 7μm, 피치는 입광 단면측 570μm으로부터 도광판(2)의 중앙 100μm을 향하여 완만한 분포를 갖게 한 것(실시형태 1), 또는 정각(θ1)이 110°로 설정된 제 1 경사면(6a)과, 상기 제 1 경사면(6a)과 연속하는 외견상의 정각(θ2)이 60°로 설정된 제 2 경사면(6b)으로 형성하고, 깊이 7μm, 피치는 입광 단면측 840μm으로부터 도광판(2)의 중앙 120μm을 향하여 완만한 분포를 갖게 한 것(실시형태 2)으로 하였다.
우선 비교를 위해, 도광판(2)의 저면(2c)에 단면 형상이 단순한 V자형이고, 정각이 100°의 오목조(도 4에 도시한 본 실시형태의 오목조(6)의 제 1 경사면(6a)에 상당)를 형성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도광판(2)의 저면(2c)에 단면 형상이 단순한 V자형이고 정각이 100°의 오목조를 형성했을 때의, 발광 유닛(3a)측의 입사 단면(2a)으로부터 60mm 들어간 위치에서의 출사면(2d)으로부터 출사된 광(출사광)의 광도 분포(실선)의 측정 결과이다.
도 7에 도시한 광도 분포의 측정 결과에서, 도광판(2)의 출사면(2d)의 정면 방향(Z축 방향)을 출사 각도 0°로 하고, Z-Y평면에 있어서, 입사 단면(2a)(발광 유닛(3a))측이 -90°, 입사 단면(2b)(발광 유닛(3b))측이 +90°이다.
또한, 도 6, 도 7에 있어서, 화살표 A방향은 발광 유닛(3a)측의 입사 단면(2a)으로부터 60mm 들어간 위치에서의 출사면(2d)으로부터 출사된 광(출사광)의 출사 방향이다.
도 7에 도시한 출사광의 광도 분포(실선)에 있어서, 발광 유닛(3a)측의 입사 단면(2a)으로부터 60mm 들어간 위치에서는 도광판(2)의 출사면(2d)의 법선 방향인 Z축에 대하여, 도광판(2)의 중심측으로의 출광(出光)이 많다.
또한, 도광판(2)의 출사면(2d)으로부터 보다 큰 광을 취출하기 위해서, 도광판(2)의 저면(2c)에는 단면 형상이 V자형인 오목조(6)를 다수 형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입사 단면(2a)으로부터 입사하여 도광판(2)의 내부를 전파하는 광 에너지는 도광판(2)의 중심부 부근을 투과하는 근처까지, 도광판(2)의 출사면으로부터 출사되기 때문에, A방향에 대표되는 출사광과 같이 도광판(2)의 중심측으로 출사하는 출사광이 많이 존재한다.
그렇지만, 입사 단면(2a)으로부터 입사하여 도광판(2)의 내부를 전파하는 광 에너지는 도광판(2)의 중심부 부근을 투과한, 또는 앞의 영역에서는 매우 작아진다. 이 때문에, 입사 단면(2a)에서 도광판(2)의 중심부까지의 영역에 있어서의 A방향에 대표되는 출사광은 도광판(2)의 중심을 초과한 영역에서는, 입사 단면(2a)으로부터 입사한 전파광으로 발생시키려고 하여도 상당히 약해진다.
반대로, 이 영역은 입사 단면(2b)으로부터의 전파광이 많이 존재하지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전파광에 의한 A’방향의 출광 분포(점선)가 강해지기 때문에, 아무리 입사 단면(2b)으로부터의 전파광이 많이 존재하여도 A방향으로의 출사를 늘릴 수 없다.
이 때문에, 도광판(2)의 입사 단면(2b)(발광 유닛(3b))측의 아래쪽에서 비스듬히 본 경우, 도광판(2)의 입사 단면(2a)을 Y축 원점으로서, Y축 방향에 따른 휘도 분포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사 단면(2a)에서 도광판(2)의 중심부까지의 휘도는 높고, 중심부로부터 입사 단면(2b)측의 휘도는 낮고, 도광판(2)의 중심부 부근에서 휘도 구배가 커져 있다.
도 8은 비스듬히 본 각도(α)(도 3 참조)가 10°와 20°일 때의 휘도 분포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가로축은 도광판(2)의 Y축 방향에 따른 중앙부의 한쪽 단면(0mm:입사 단면(2a)(발광 유닛(3a))측의 단면)으로부터 다른 쪽 단면(600mm:입사 단면(2b)(발광 유닛(3b))측의 단면) 사이에서의 위치(mm)이고, 세로축은 휘도이다.
이와 같이, 도광판(2)의 저면(2c)에 정각이 100°의 오목조(6)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도광판(2)의 발광 유닛(3b)측의 아래쪽에서 비스듬히 보면, 도광판(2)의 Y축 방향에 따른 중심부 부근에서의 휘도 구배가 크다. 이 때문에, 도광판(2)의 발광 유닛(3b)측의 아래쪽에서 비스듬히 본 경우, 도광판(2)의 중심부 부근에서 휘도가 크게 변화되기 때문에, 유저는 도광판(2)의 Y축 방향에 따른 중심부 부근이 그 주위보다도 어둡게 보인다(명암 얼룩으로 보인다).
다음에, 도광판(2)의 저면(2c)에 단면 형상이 단순한 V자형이고, 정각이 70°의 오목조(도 4에 도시한 본 실시형태의 오목조(6)의 제 2 경사면(6b)에 상당)를 형성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도광판(2)의 저면(2c)에 단면 형상이 단순한 V자형이고, 정각이 70°의 오목조를 형성했을 때의, 발광 유닛(3a)측의 입사 단면(2a)으로부터 60mm 들어간 위치에서의 출사면(2d)으로부터 출사된 광(출사광)의 광도 분포(실선)의 측정 결과이다.
도 9에 도시한 광도 분포(실선)의 측정 결과에 있어서, 도 6의 도광판(2)의 출사면(2d)의 정면 방향(Z축 방향)을 출사 각도 0°로 하고, Z-Y평면에 있어서, 입사 단면(2a)(발광 유닛(3a))측이 -90°, 입사 단면(2b)(발광 유닛(3b))측이 +90°이다.
이 측정에서는 도광판(2)의 저면(2c)에 정각이 70°의 오목조(6)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도 9에 있어서, 화살표 B방향은 발광 유닛(3a)측의 입사 단면(2a)으로부터 60mm 들어간 위치에서의 출사면(2d)으로부터 출사된 광(출사광)의 출사 방향이다.
도 9에 도시된 출사광의 광도 분포(실선)에 있어서, 도광판(2)의 출사면(2d)의 법선 방향인 Z축에 대하여, 상기의 정각이 100°의 오목조(6)의 경우보다도 입사 단면(2a)(발광 유닛(3a))측으로의 출광이 많다. 이것은, 출사면(2d)으로부터 출사하는 광 중, 입사 단면(2a)(발광 유닛(3a))측에 출광하는 광 에너지가 큰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때문에, 입사 단면(2a)측의 발광 유닛(3a)(LED(8))으로부터 출사되어 도광판(2)의 내부로 들어간 광은 도광판(2)의 중심부 부근까지는 전파광이 많이 존재하고 있지만, 도 9와 같이 출사면(2d)으로부터 B방향으로 광을 출사하기 위해서, 도광판(2)의 입사 단면(2b)(발광 유닛(3b))측의 아래쪽에서 비스듬히 본 경우에서는 도광판(2)의 중심부 부근까지는 휘도가 오르지 않는다.
그리고, 도광판(2)의 Y축 방향을 따라 중심부 부근을 초과하면, 도광판(2) 내의 Y축 방향을 따라 입사 단면(2b)측에 전파하는 광의 양이 매우 적어지지만, 입사 단면(2b)측의 발광 유닛(3b)으로부터 도광판(2) 내로 입사한 전파광에 의해, 출사면(2d)으로부터 B’방향으로 광(점선으로 표시한 출사광의 광도 분포)을 출사할 수 있다.
따라서, 도광판(2)의 입사 단면(2b)(발광 유닛(3b))측의 아래쪽에서 비스듬히 본 경우,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광판(2)의 입사 단면(2a)을 Y축 원점으로서, 도광판(2)의 입사 단면(2a)(발광 유닛(3a))측이 낮고, 입사 단면(2b)(발광 유닛(3b))측이 높아지는 단순한 휘도 구배로 되어 있다.
도 10은 비스듬히 본 각도(α)(도 3 참조)가 10°와 20°일 때의 휘도 분포의 측정 결과이다. 가로축은 도광판(2)의 Y축 방향에 따른 중심부의 한쪽 단면(0mm:입사 단면(2a)(발광 유닛(3a))측의 단면)으로부터 다른 쪽 단면(600mm:입사 단면(2b)(발광 유닛(3b))측의 단면) 사이에서의 위치(mm)이고, 세로축은 휘도이다.
이와 같이, 도광판(2)의 저면(2c)에 정각이 70°의 오목조(6)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도광판(2)의 발광 유닛(3b)측의 아래쪽에서 비스듬히 보면, 도광판(2)의 입사 단면(2a)(발광 유닛(3a))측이 낮고, 입사 단면(2b)(발광 유닛(3b))측이 높아지는 단순한 휘도 구배가 된다.
따라서, 도 8과 도 10에 도시한 각 휘도 분포를 합성함으로써, 비스듬히 본 경우의 도광판(2)의 Y축 방향에 따른 입사 단면(2a)(발광 유닛(3a))으로부터 입사 단면(2b)(발광 유닛(3b)) 사이에서의 휘도 구배를, 비스듬히 본 측의 휘도를 높게, 이와 대향하는 측의 휘도를 낮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국소적으로 휘도가 크게 변화되지 않는 단조로운 휘도 구배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유저(시인자)가 출사면(2d)을 비스듬히 보았을 때의 휘도 편차가 저감되어, 외관상의 돋보임을 좋게 할 수 있다.
즉,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광판(2)의 저면(2c)에 형성한 단면 형상이 V자형인 오목조(6)를, 정각(θ1)이 100°로 설정된 제 1 경사면(6a)과, 상기 제 1 경사면(6a)과 연속하는 외견상의 정각(θ2)이 70°로 설정된 제 2 경사면(6b)으로 형성하도록 한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출사면(2d)을 비스듬히 본 경우에서의, 도광판(2)의 Y축 방향에 따른 중심 부근의 입사 단면(2b)(발광 유닛(3b))으로부터 입사 단면(2a)(발광 유닛(3a)) 사이에서의 휘도 분포의 변화를 작게 할 수 있다.
다음에, 실시형태 1에 따른 도광판(2)을 갖는 조명 장치(1)에 대하여, 도광판(2)의 입사 단면(2b)(발광 유닛(3b))측의 아래쪽에서 비스듬히 본 경우에 있어서의, 도광판(2)의 Y축 방향에 따른 휘도 분포를 측정하였다.
도 11은 비스듬히 본 각도(α)(도 3 참조)가 10°이고, 발광 유닛(3b)측에서 비스듬히 보았을 때의 출사면(2d)의 휘도 분포의 측정 결과이며, 도 12는 비스듬히 본 각도(α)(도 3 참조)가 20°이고 발광 유닛(3b)측에서 비스듬히 보았을 때의 출사면(2d)의 휘도 분포의 측정 결과이다.
또한, 도 11, 도 12에 있어서, 가로축은 도광판(2)의 Y축 방향에 따른 중앙부의 한쪽 단면(0mm:입사 단면(2a)(발광 유닛(3a))측의 단면)으로부터 다른 쪽 단면(600mm:입사 단면(2b)(발광 유닛(3b))측의 단면) 사이에서의 위치(mm)이고, 세로축은 휘도이다.
이 측정에 사용한 도광판(2)은 한 변이 600mm의 정방형상이고, 두께가 3mm, 저면(2c)에 단면이 V자형인 오목조(제 1 경사면(6a)의 정각(θ1)이 100°, 제 2 경사면(6b)의 외견상의 정각(θ2)이 70°)(6)를 형성하고, 도광판(2)의 출사면(2d)에 단면이 렌티큘러렌즈 형상(종횡비:20%)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 종횡비는 렌티큘러렌즈의 수직 단면을 트레이스하는 원의 반경을 R로 하고, 렌티큘러렌즈를 형성하는 원호의 정점에서 현까지의 거리를 r로 하면, r/2R(%)로 정의된다.
도 11, 도 12의 측정 결과로 명확해진 바와 같이, 비스듬히 본 각도(α)(도 3 참조)가 10°와 20°인 경우에 있어서, 사변 길이 비율(전체 사변 길이에 대한 제 2 경사면(6b)의 사변 길이의 비율(%))이 44%, 50%, 65%(도 11, 도 12의 d, c, b)로 설정되어 있을 때에는, 휘도 분포의 변화가 작고(특히, 중심부 부근(도 11, 도 12의 가로축의 200mm 내지 400mm 부근)에서의 휘도 구배가 작고), 출사면(2d)의 휘도 분포의 균일성은 실용상 문제가 없는 레벨이었다.
또한, 비스듬히 본 각도(α)가 10°와 20°인 경우에 있어서, 사변 길이 비율(전체 사변 길이에 대한 제 2 경사면(6b)의 사변 길이의 비율(%))이 40% 정도로 설정되어 있을 때라도, 출사면(2d)의 휘도 분포의 균일성은 실용상 문제가 없는 레벨이었다.
도 11, 도 12의 측정 결과에 있어서, 사변 길이 비율(전체 사변 길이에 대한 제 2 경사면(6b)의 사변 길이의 비율(%))이 65%인 경우(도 11, 도 12의 b)에는 비스듬히 본 측에서 그 반대측을 향하여 휘도가 조금씩 저하됨으로써, 휘도 분포의 겉보기상의 불균일성은 눈에 띄지 않는 레벨이었다.
또한, 도 11, 도 12의 측정 결과에 있어서, 사변 길이 비율(전체 사변 길이에 대한 제 2 경사면(6b)의 사변 길이의 비율(%))이 30%, 0%(도 11, 도 12의 e, f)로 설정되어 있을 때에는, 출사면(2d)의 중앙 영역에서 휘도가 크게 변화되고, 명암 얼룩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도 11, 도 12의 측정 결과에 있어서, 사변 길이 비율(전체 사변 길이에 대한 제 2 경사면(6b)의 사변 길이의 비율(%))이 100%(도 11, 도 12의 a)로 설정되어 있을 때에는, 출사면(2d)의 양단에서의 휘도차가 커지고, 외견상 입사 단면(2a)측의 휘도가 어둡게 느껴졌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 1에 따른 도광판(2)을 갖는 조명 장치(1)에 의하면, 도광판(2)의 저면(2c)에 형성한 단면이 V자형인 오목조(제 1 경사면(6a)의 정각(θ1)이 100°, 제 2 경사면(6b)의 외견상의 정각(θ2)이 70°)(6)에 있어서, 전체 사변 길이(제 1 사변(6a’)+제 2 사변(6b’)의 사변 길이)에 대한 제 2 사변(6b’)의 사변 길이의 비율(사변 길이 비율)을 40 내지 65%로 설정함으로써, 비스듬히 보았을 때에 있어서의 출사면(2d)의 휘도 분포의 큰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출사면(2d)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으로 조명 장치(1)의 직하를 높은 조도로 비출 수 있고, 또한 비스듬히 보았을 때에 있어서의 출사면의 명암 얼룩을 해소하여, 외관상의 돋보임이 나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실시형태 2에 따른 도광판(2)을 갖는 조명 장치(1)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조명 장치(1)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 1의 조명 장치(1)(도 6)와 같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형태 2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도광판(2)의 저면(2c)에 형성한 단면 형상이 V자형인 오목조(6)를, 정각(θ1)이 110°로 설정된 제 1 경사면(6a)과, 상기 제 1 경사면(6a)과 연속하는 외견상의 정각(θ2)이 60°로 설정된 제 2 경사면(6b)으로 형성하고 있다. 그 이외에는 상기한 실시형태 1과 같은 형태이고, 출사면(2d)을 비스듬히 보았을 때에 부분적으로 휘도가 크게 변화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도 13은 도광판(2)의 저면(2c)에 단면 형상이 단순한 V자형이고, 정각이 110°의 오목조(6)를 형성했을 때, 도 14는 정각이 60°의 오목조(6)를 형성했을 때에 있어서, 비스듬히 본 각도(α)(도 3 참조)가 10°와 20°일 때의 휘도 분포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도 13, 도 14에 있어서, 가로축은 도광판(2)의 Y축 방향에 따른 중앙부의 한쪽 단면(0mm:입사 단면(2a)(발광 유닛(3a))측의 단면)으로부터 다른 쪽 단면(600mm:입사 단면(2b)(발광 유닛(3b))측의 단면) 사이에서의 위치(mm)이고, 세로축은 휘도이다.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도 13과 도 14에 도시한 각 휘도 분포를 합성함으로써, 비스듬히 본 경우의 도광판(2)의 Y축 방향에 따른 입사 단면(2a)(발광 유닛(3a))으로부터 입사 단면(2b)(발광 유닛(3b)) 사이에서의 휘도 구배를 단조 증가에서 단조 감소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국소적으로 휘도가 크게 변화되지 않는 휘도 구배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유저(시인자)가 출사면(2d)을 비스듬히 보았을 때의 휘도 편차가 저감되어, 외관상의 돋보임을 좋게 할 수 있다.
다음에, 실시형태 2에 따른 도광판(2)을 갖는 조명 장치(1)에 대하여, 도광판(2)의 입사 단면(2b)(발광 유닛(3b))측의 아래쪽에서 비스듬히 본 경우에 있어서의, 도광판(2)의 Y축 방향에 따른 휘도 분포를 측정하였다.
도 15는 비스듬히 본 각도(α)(도 3 참조)가 10°이고, 발광 유닛(3b)측에서 비스듬히 보았을 때의 출사면(2d)의 휘도 분포의 측정 결과이며, 도 16은 비스듬히 본 각도(α)(도 3 참조)가 20°이고, 발광 유닛(3b)측에서 비스듬히 보았을 때의 출사면(2d)의 휘도 분포의 측정 결과이다.
도 15, 도 16의 측정 결과로 명확해진 바와 같이, 비스듬히 본 각도(α)가 10°와 20°인 경우에 있어서, 사변 길이 비율(전체 사변 길이에 대한 제 2 경사면(6b)의 사변 길이의 비율(%))이 40%, 50%, 65%(도 15, 도 16의 d, c, b)로 설정되어 있을 때에는, 휘도 분포의 변화가 작고(특히, 중심부 부근(도 15, 도 16의 가로축의 200mm 내지 400mm 부근)에서의 휘도 구배가 작고), 출사면(2d)의 휘도 분포의 균일성은 실용상 문제가 없는 레벨이었다.
또한, 도 15, 도 16의 측정 결과에 있어서, 사변 길이 비율(전체 사변 길이에 대한 제 2 경사면(6b)의 사변 길이의 비율(%))이 30%, 0%(도 15, 도 16의 e, f)로 설정되어 있을 때에는, 출사면(2d)의 중앙 영역에서 휘도가 크게 변화되고, 명암 얼룩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도 15, 도 16의 측정 결과에 있어서, 사변 길이 비율(전체 사변 길이에 대한 제 2 경사면(6b)의 사변 길이의 비율(%))이 100%(도 15, 도 16의 a)로 설정되어 있을 때에는, 출사면(2d)의 양단에서의 휘도차가 커지고, 외견상 입사 단면(2a)측의 휘도가 어둡게 느껴졌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 2에 따른 도광판(2)을 갖는 조명 장치(1)에 있어서도, 출사면(2d)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으로 조명 장치(1)의 직하를 높은 조도로 비출 수 있고, 또한 비스듬히 보았을 경우에 있어서의 출사면의 명암 얼룩을 해소하여, 외관상의 돋보임이 나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관련 출원의 상호참조
본원은 2013년 6월 13일에 일본국 특허청에 출원된 특원2013-124441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모든 개시는 완전하게 본 명세서에서 참조에 의해 구성된다.
1: 조명 장치
2: 도광판
2a,2b: 입사 단면
2c: 저면
2d: 출사면
3a,3b: 발광 유닛
4: 반사 시트
5: 확산 시트
6: 오목조(오목조 패턴)
6a: 제 1 경사면
6a’: 제 1 사변
7: 볼록조(볼록조 패턴)
6b: 제 2 경사면
6b’: 제 2 사변
8: LED(1차 광원)

Claims (4)

  1. 도광판의 적어도 한쪽의 측면측에 1차 광원이 설치되고, 상기 도광판은 출사면, 상기 출사면에 대향하는 저면, 및 적어도 일측면에 설치된 상기 1차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입사시키는 입사 단면을 갖는 엣지 라이트 방식의 조명 장치의 용도로서,
    X축과, X축에 직교하는 Y축으로 구성되는 X-Y 평면의 법선을 Z축으로서, 상기 1차 광원은 X축에 평행하게 배치하고 있고, 상기 도광판은 상기 X-Y 평면에 평행하게 배치하고 있고, 상기 도광판의 입사 단면은 X-Z 평면에 평행하고,
    상기 도광판은 상기 저면에 소정 피치로 형성된 X축 방향으로 평행한 복수의 오목조 패턴과, 상기 출사면에 소정 피치로 형성된 Y축 방향으로 평행한 복수의 볼록조 패턴을 갖고 있고,
    상기 오목조 패턴은 Y-Z 평면에 평행한 단면에 있어서, 내측의 제 1 경사면과, 이 제 1 경사면과 연속하여 외측에 개구하는 제 2 경사면을 갖고, 마주 보는 상기 제 1 경사면에서 형성되는 정각을 95° 내지 110°내로 설정하고, 마주 보는 상기 제 2 경사면에서 형성되는 외견상의 정각을 60° 내지 75°내로 설정한 단 부착의 V자 형상이고,
    Y-Z 평면에 평행한 단면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사면의 한 변을 제 1 사변으로 하고, 상기 제 2 경사면의 한 변을 제 2 사변으로 하여, 연속하는 상기 제 1 사변과 상기 제 2 사변의 전체 길이를 전체 사변 길이라고 정의했을 때에, 이 전체 사변 길이에 대한 상기 제 2 사변의 사변 길이의 비율이 40 내지 65%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의 용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출사면에 형성된 상기 볼록조 패턴은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 또는 렌티큘러렌즈 형상 또는 포물선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의 용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저면측에는 광을 반사하는 반사 시트를 갖고, 상기 도광판의 출사면측에는 광을 균일하게 확산하는 확산 시트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의 용도.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저면측에 광을 반사하는 반사 시트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의 용도.
KR1020187011718A 2013-06-13 2014-06-13 조명 장치 KR201800450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24441 2013-06-13
JP2013124441 2013-06-13
PCT/JP2014/065791 WO2014200096A1 (ja) 2013-06-13 2014-06-13 照明装置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6222A Division KR20160013127A (ko) 2013-06-13 2014-06-13 조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066A true KR20180045066A (ko) 2018-05-03

Family

ID=5202238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6222A KR20160013127A (ko) 2013-06-13 2014-06-13 조명 장치
KR1020187011718A KR20180045066A (ko) 2013-06-13 2014-06-13 조명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6222A KR20160013127A (ko) 2013-06-13 2014-06-13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645300B2 (ko)
EP (1) EP3012519B1 (ko)
JP (1) JP6238250B2 (ko)
KR (2) KR20160013127A (ko)
CN (1) CN105324604A (ko)
CA (1) CA2917851C (ko)
HK (1) HK1217985A1 (ko)
TW (1) TWI655463B (ko)
WO (1) WO20142000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43570A (ja) * 2015-02-03 2016-08-08 株式会社クラレ 面状発光モジュール
TWM514536U (zh) * 2015-07-01 2015-12-21 Lextar Electronics Corp 平板燈
CN107179627B (zh) * 2016-03-09 2020-10-23 台湾扬昕股份有限公司 光源模块以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1907A (ja) 1989-05-31 1991-04-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丸型蛍光灯照明器具
US5506924A (en) * 1994-08-23 1996-04-09 Inoue Denki Co., Inc. Light guiding plate
TW594108B (en) * 2002-06-24 2004-06-21 Mitsubishi Rayon Co Light source device and light deflection element
CN1816719B (zh) * 2003-07-15 2011-08-10 三菱丽阳株式会社 光源装置以及光偏转元件
US7072092B2 (en) * 2003-12-31 2006-07-04 General Electric Company Optical substrate with modulated structure
KR20050093612A (ko) * 2004-03-20 2005-09-23 주식회사 두산 오목 5각형 구조의 프리즘 패턴을 갖는 도광판
JP2005300775A (ja) 2004-04-08 2005-10-27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及び面光源
JP4432039B2 (ja) * 2004-04-30 2010-03-17 ミネベア株式会社 面状照明装置
CN100514150C (zh) * 2004-05-20 2009-07-15 精工电子有限公司 照明装置以及使用其的显示装置
CN1993582B (zh) 2004-08-06 2010-11-03 可乐丽股份有限公司 导光板及其制造方法、以及具有导光板的面光源装置
KR100844763B1 (ko) 2006-07-04 2008-07-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 유니트
JP2009251122A (ja) 2008-04-02 2009-10-29 Harison Toshiba Lighting Corp 導光板及びバックライト装置
KR20130117645A (ko) * 2010-05-31 2013-10-28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도광판, 면 광원 장치 및 표시 장치
JP5685099B2 (ja) 2011-02-03 2015-03-18 株式会社クラレ 面光源素子及び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
TWI452359B (zh) 2011-04-29 2014-09-11 Coretronic Corp 導光板與光源模組
JP2013030279A (ja) 2011-07-26 2013-02-07 Asahi Glass Co Ltd 面状照明装置
US8797480B2 (en) * 2011-10-18 2014-08-05 Dai Nippon Printing Co., Ltd. Light guide plat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12519A1 (en) 2016-04-27
CA2917851A1 (en) 2014-12-18
US20160109638A1 (en) 2016-04-21
JP6238250B2 (ja) 2017-11-29
JPWO2014200096A1 (ja) 2017-02-23
HK1217985A1 (zh) 2017-01-27
WO2014200096A1 (ja) 2014-12-18
EP3012519B1 (en) 2017-11-29
CN105324604A (zh) 2016-02-10
TWI655463B (zh) 2019-04-01
US9645300B2 (en) 2017-05-09
EP3012519A4 (en) 2017-02-08
TW201510592A (zh) 2015-03-16
CA2917851C (en) 2017-07-11
KR20160013127A (ko) 2016-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7025B2 (en) Backlight unit
US5608550A (en) Front-lit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brightness enhancing film with microridges which directs light through the display to a reflector
US9212796B2 (en) Optical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brightness contrasts between high brightness light sources and surrounding surfaces
US9121982B2 (en) Light-emitting device for emitting diffuse light
RU2011153395A (ru) Осве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и телевизионный приемник
JP2011509500A (ja) 照明システム、照明器具及び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CN100405165C (zh) 背光系统及其反光罩
JP4274239B2 (ja) 面状光源装置、表示装置及び面状照明方法
KR20080031573A (ko) 점광원을 사용한 선광원
TW201508357A (zh) 單面發光式之透明導光板,及使用該導光板之面發光裝置
JP2019184635A (ja) 表示装置
JP2006040710A (ja) 導光板および該導光板を用いた面型照明装置
RU2611688C2 (ru) Жидкокристаллическое дисплей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180045066A (ko) 조명 장치
JP2009070589A (ja) 液晶ディスプレイ機器
JP2009140905A (ja) 導光板及びバックライト
JP2007080800A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の導光板
KR20090016100A (ko) 면 광원 장치
JP2006202559A (ja) 面光源装置
JP2010245005A (ja) 面光源
KR20100009827A (ko) 다각형 프리즘 확산패턴을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백라이트유닛용 도광판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유닛
JP2009158468A (ja) バックライト
JP2004241137A (ja) 照明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7165875B2 (ja) 照明用導光板及び照明装置
KR20160059552A (ko) 측면 조광형 백라이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