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4798A - 복수의 적외선 윈도우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복수의 적외선 윈도우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4798A
KR20180044798A KR1020170106156A KR20170106156A KR20180044798A KR 20180044798 A KR20180044798 A KR 20180044798A KR 1020170106156 A KR1020170106156 A KR 1020170106156A KR 20170106156 A KR20170106156 A KR 20170106156A KR 20180044798 A KR20180044798 A KR 20180044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window button
window
hole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6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2672B1 (ko
Inventor
현상민
이길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70030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9674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780060950.5A priority patent/CN109804640B/zh
Priority to EP17864902.6A priority patent/EP3491834B1/en
Priority to PCT/KR2017/011677 priority patent/WO2018080114A1/en
Priority to US15/792,117 priority patent/US10244195B2/en
Publication of KR20180044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4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2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2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1Transmission circuitry, e.g. infrared [IR] or radio frequency [R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문서는 원격 제어 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는, 제 1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의 제 1 면이 향하는 방향으로 적외선을 조사하는 제 1 송신 회로; 상기 제 1 하우징의 제 2 면이 향하는 방향으로 적외선을 조사하는 제 2 송신 회로; 상기 제 1 송신 회로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cover), 상기 제 1 송신 회로로부터 조사된 적외선이 투과되는 윈도우; 상기 제 2 송신 회로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상기 제 2 송신 회로로부터 조사된 적외선이 투과되는 윈도우 버튼; 및 제 2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윈도우 버튼과 결합되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 버튼이 상기 홀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하우징의 지정된 영역을 덮고, 상기 윈도우 버튼이 상기 홀과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하우징의 지정된 영역을 상기 제 2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수의 적외선 윈도우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Remote Control Device comprising plurality of infrared light window and the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원격 제어 장치의 적외선 송신 영역을 확대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원격 제어 장치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대응하여 적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는 상단에 적외선 윈도우를 구비하고, 적외선 윈도우를 통해서 원격 제어 장치의 상단 방향의 일정 영역에 대하여 적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최근, 원격 제어 장치는 복수의 외부 장치를 통합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외부 장치가 구비된 좀더 넓은 영역을 향하여 적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원격 제어 장치는 적외선 송신부를 복수 개 구비하거나, 적외선 윈도우의 크기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적외선 윈도우는 반투명 소재이므로, 적외선 윈도우의 크기가 커지면, 적외선 윈도우의 내부에 구비된 회로 부재들이 일부 노출되어, 원격 제어 장치의 미관을 해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적외선 윈도우로 인하여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는, 제 1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의 제 1 면이 향하는 방향으로 적외선을 조사하는 제 1 송신 회로; 상기 제 1 하우징의 제 2 면이 향하는 방향으로 적외선을 조사하는 제 2 송신 회로; 상기 제 1 송신 회로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cover), 상기 제 1 송신 회로로부터 조사된 적외선이 투과되는 윈도우; 상기 제 2 송신 회로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상기 제 2 송신 회로로부터 조사된 적외선이 투과되는 윈도우 버튼; 및 제 2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윈도우 버튼과 결합되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 버튼이 상기 홀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하우징의 지정된 영역을 덮고, 상기 윈도우 버튼이 상기 홀과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하우징의 지정된 영역을 상기 제 2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제 1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의 제 1 면을 통해 적외선을 조사하는 제 1 송신 회로; 상기 제 1 하우징의 제 2 면을 통해 적외선을 조사하는 제 2 송신 회로; 상기 제 1 송신 회로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cover), 상기 제 1 송신 회로로부터 조사된 적외선이 투과되는 윈도우; 상기 제 2 송신 회로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상기 제 2 송신 회로로부터 조사된 적외선이 투과되는 윈도우 버튼; 및 제 2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윈도우 버튼과 결합되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 버튼이 상기 홀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하우징의 지정된 영역을 덮고, 상기 윈도우 버튼이 상기 홀과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하우징의 지정된 영역을 상기 제 2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적외선 윈도우로 인하여 원격 제어 장치의 미관을 해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하우징의 지정된 영역이 제 2 하우징에 의해 가려진 상태에서 원격 제어 장치의 전면과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하우징의 지정된 영역이 제 2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원격 제어 장치의 전면과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하우징의 전면 사시도와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2 하우징의 전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윈도우 버튼이 조작되지 않은 때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의 결합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윈도우 버튼이 조작된 상황에서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의 결합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하우징의 배터리 수납 공간이 제 2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빠져 나온 경우의 원격 제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배터리 수납 공간의 분리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하우징의 지정된 영역이 제 2 하우징에 의해 가려진 상태에서 원격 제어 장치의 전면과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는 제 1 하우징의 지정된 영역이 제 2 하우징에 의해 가려진 상태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d100)는 제 1 송신 회로(도 5의 c50), 제 2 송신 회로(도 5의 c55), 윈도우(w40), 키패드(k10), 윈도우 버튼(b30), 제 1 하우징(h10) 및 제 2 하우징(h20)을 포함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d100)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송신 회로(c50)는 제 1 하우징(h10)의 제 1 면이 향하는 방향으로 적외선을 조사(emit)할 수 있다. 제 1 송신 회로(c50)는 프로세서(미도시)의 지시에 따라 적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제 1 송신 회로(c50)는 예를 들어, 제 1 하우징(h10)에 내장 또는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하우징(h10)의 제 1 면은 예를 들어, 제 1 하우징(h10)의 상측면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2 송신 회로(c55)는 제 1 하우징(h10)의 제 2 면이 향하는 방향으로 적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제 2 송신 회로(c55)는 프로세서(미도시)의 지시에 따라 적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제 2 송신 회로(c55)는 예를 들어, 제 1 하우징(h10)에 내장 또는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하우징(h10)의 제 2 면은 예를 들어, 제 1 하우징(h10)의 후면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윈도우(w40)는 적외선을 투과하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w40)는 적외선 투과 유리로 구성될 수 있다. 윈도우(w40)는 제 1 송신 회로(c50)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제 1 하우징(h10)의 제 1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w40)는 제 1 송신 회로(c50)로부터 조사되는 적외선을 투과할 수 있다. 제 1 하우징(h10)과 제 2 하우징(h20)이 결합된 상태에서, 윈도우(w40)는 원격 제어 장치(d1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윈도우는 예를 들어, 원격 제어 장치(d100)의 제 1 면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윈도우 버튼(b30)은 적외선을 투과하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 버튼(b40)는 적외선 투과 유리로 구성될 수 있다. 윈도우 버튼(b30)은 제 2 송신 회로(c55)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제 1 하우징(h10)의 제 2 면에 결합될 수 있다. 윈도우 버튼(b30)은 제 2 송신 회로(c55)로부터 조사되는 적외선이 투과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윈도우 버튼(b30)은 예를 들어, 제 1 하우징(h10)의 제 2 면에서 제 1 하우징(h10)의 제 1 면과 근접한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윈도우 버튼(b30)은 예를 들어, 압력에 의하여 눌러지는 푸시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버튼(b30)의 적어도 일부(예: 윈도우 버튼의 외면 돌출부)는 제 1 하우징(h10)의 제 2 면(예: 후면)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고, 제 2 하우징(h20)의 제 2 면(예: 후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 버튼(b30)의 적어도 일부는, 제 1 하우징(h10)의 홀(ho10)과 제 2 하우징(h20)의 홀(ho20)을 통해서 제 2 하우징(h2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에, 윈도우 버튼(b30)이 제 2 하우징(h20)의 홀(ho20)을 통해 제 2 하우징(h20)과 결합될 수 있다. 윈도우 버튼(b30)이 외력에 의하여 눌러지면, 윈도우 버튼(b30)은 제 2 하우징(h20)의 홀(ho20)과 분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키패드(k10)는 제 1 하우징(h10)의 제 3 면(예: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키패드(k1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도록 원격 제어 장치(d1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키패드(k10)는 키패드 부재 및 키 패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 패드 부재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적어도 하나의 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 패드 회로는 키 패드 부재의 하부에 구비되어 키 패드 부재의 조작에 따른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된 사용자 입력은 프로세서(미도시)로 전달되고, 프로세서(미도시)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제 1 및 제 2 송신 회로(c50, c55)를 통해 적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하우징(h10)은 제 1 면 내지 제 3 면을 포함하는 복수의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하우징(h10)의 각 면은 각기 평면 또는 곡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하우징(h10)의 복수의 면으로 보호되는 제 1 하우징(h10)의 내부 공간에는 회로 부재들이 수납될 수 있다. 상기 회로 부재들은 예를 들어, 제 1 송신 회로(c50), 제 2 송신 회로(c55), 프로세서(미도시) 및 인쇄회로기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 1 하우징(h10)의 제 2 면과 제 3 면(예: 전면) 사이에 구비되어, 제 1 송신 회로(c50), 제 2 송신 회로(c55), 프로세서(미도시) 또는 키패드 회로 등을 실장할 수 있다.
제 1 하우징(h10)의 제 1 면(예: 상측면)은 윈도우(w40)와 결합되거나, 제 1 하우징(h10)의 제 1 면은 윈도우(w40)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하우징(h10)의 제 2 면(예: 후면)에는 홀(ho20)이 구비되어, 홀(ho20)은 윈도우 버튼(b30)과 결합될 수 있다. 제 1 하우징(h10)의 제 3 면에는 배터리 수납 공간(s10)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하우징(h10)의 제 3 면에는 키패드(k10)가 배치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s10)은 배터리가 수납되는 공간일 수 있다. 배터리는 배터리 수납 공간(s10)에 장착되면, 회로 부재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 회로 부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 1 하우징(h10)의 적어도 일부는 제 2 하우징(h20)의 내부 공간에 끼워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2 하우징(h20)은, 윈도우(w40), 키패드(k10) 또는 윈도우 버튼(b30)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제 1 하우징(h10)과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하우징(h20)은 제 1 하우징(h10)의 제 1 면을 제외한 면을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2 하우징(h20)은 개구부를 포함하고, 개구부를 통하여 제 1 하우징(h10)의 제 1 면(또는, 윈도우(w40)), 키패드(k10)를 노출할 수 있다. 제 2 하우징(h20)의 제 2 면에는 홀(ho20)이 형성되고, 홀(ho20)은 윈도우 버튼(b30)과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윈도우 버튼(b30)이 제 2 하우징(h20)의 홀(ho20)과 결합된 상태에서, 제 1 하우징(h10)의 지정된 영역은 제 2 하우징(h20)에 의하여 가려질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영역은 예를 들어, 배터리 수납 공간(s10)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 버튼(b30)이 제 2 하우징(h20)의 홀(ho20)과 결합된 상태에서, 제 1 하우징(h10)의 배터리 수납 공간(s10)은 폐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하우징(h10)과 제 2 하우징(h20)은 윈도우 버튼(b30)과 홀(ho20) 이외에도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g10, g20)를 이용하여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g10, g20)에 대해서는 도 2와 함께 후술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d100)는 복수의 적외선 송신 회로를 구비하고, 복수의 적외선 윈도우를 구비하여 적외선 송신 반경을 확대시키면서, 복수의 적외선 윈도우 중 하나를 버튼(예: 윈도우 버튼(b30))과 통합함에 따라 적외선 윈도우 구현을 위한 공간을 절감하고, 원격 제어 장치(d100)의 미관을 해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d100)는 배터리 수납 공간의 개방 또는 폐쇄를 유도하는 버튼을 구비하되, 버튼을 적외선 윈도우로 구성함에 따라 버튼 적용을 위한 공간을 절감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하우징의 지정된 영역이 제 2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원격 제어 장치의 전면과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윈도우 버튼(b30)이 홀(ho20)과 결합된 상태에서, 윈도우 버튼(b30)이 외력에 의하여 눌러지면, 윈도우 버튼(b30)의 적어도 일부가 제 2 하우징(h20)의 홀(ho20)로부터 빠져나옴에 따라 윈도우 버튼(b30)은 제 2 하우징(h20)의 홀(ho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하우징(h10)의 제 6 면(예: 하 측면) 또는 제 1 하우징(h10)의 제 6 면에 대응하는 제 2 하우징의 내면(이하, '제 2 하우징(h20)의 내면'이라 함)에는, 푸시 부재(p1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푸시 부재(p10)가 제 1 하우징(h10)의 제 6 면에 구비된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이하의 문서에서는 푸시 부재(p10)가 제 1 하우징의 제 6 면에 구비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푸시 부재(p10)는 제 1 하우징(h10)의 제 6 면과 마주하는 제 2 하우징의 내면이 향하는 방향으로 미는 힘을 가할 수 있다. 푸시 부재(p10)는 탄성력을 갖도록 구성되고, 제 1 하우징(h10)의 제 1 면이 향하는 방향으로 눌러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푸시 부재(p10)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푸시 부재(p10)의 미는 힘은 윈도우 버튼(b30)이 제 2 하우징(h20)을 고정하는 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음에 따라, 제 1 하우징(h10)이 제 2 하우징(h20)의 내부 공간에 끼워지고 윈도우 버튼(b30)이 제 2 하우징(h20)의 홀(ho20)에 결합되면, 푸시 부재(p10)는 제 2 하우징(h20)의 내면에 의하여 눌러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반면, 윈도우 버튼(b30)이 조작됨에 따라 윈도우 버튼(b30)이 제 2 하우징(h20)의 홀(ho20)로부터 분리되면, 푸시 부재(p10)는 푸시 부재(p10)와 마주하는 제 2 하우징(h20)의 내면을 향하여 미는 힘을 가할 수 있다.
윈도우 버튼(b30)이 홀(ho20)로부터 분리되면, 푸시 부재(p10)의 미는 힘의 반작용으로 인해 제 1 하우징(h10)의 지정된 영역은 제 1 하우징(h10)의 제 1 면이 향하는 방향으로 제 2 하우징(h2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빠져나와, 제 2 하우징(h2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영역은 예를 들어, 배터리 수납 공간(s10)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 버튼(b30)이 제 2 하우징(h20)의 홀(ho20)과 분리된 상태에서, 제 1 하우징(h10)의 배터리 수납 공간(s10)의 적어도 일부는 제 2 하우징(h2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제 2 하우징(h20)의 외부로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제 1 하우징(h10)의 일부 영역(예: 키패드의 상부 영역)은 제 2 하우징(h20)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제 1 하우징(h10)의 제 1 면을 누름에 따라 제 1 하우징(h10)의 제 1 면에서 제 6 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면, 제 1 하우징(h10)은 제 2 하우징(h20)의 내부 공간에 다시 끼워질 수 있다. 그러면, 푸시 부재(p10)는 제 2 하우징(h20)의 내면으로 인해 눌러져, 제 1 하우징(h10)의 일면이 향하는 방향으로 눌러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하우징(h10)과 제 2 하우징(h20)은 윈도우 버튼(b30)과 홀(ho20) 이외에도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g10, g20)를 이용하여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 1 가이드 부재(도 2 참조)(g10)는 제 2 하우징(h20)과 연접하는 제 1 하우징(h10)의 제 4 면(예: 우측면)과 제 5 면(예: 좌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제 2 가이드 부재(이하, 제 2 참조)는 제 1 하우징(h10)의 제 4 면과 제 5 면에 각기 연접하는 제 2 하우징(h20)의 제 4 면과 제 5 면에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제 1 가이드 부재(g10)와 복수의 제 2 가이드 부재(g20)는 제 1 하우징(h10)의 제 4 면과 제 5 면 및 제 2 하우징(h20)의 제 4 면과 제 5 면의 적어도 일부를 상호 결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g10, g20)는 윈도우 버튼(b30)이 홀(ho20)로부터 분리되어, 제 1 하우징(h10)의 지정된 영역이 제 2 하우징(h2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제 1 가이드 부재(g10)는 제 1 방향으로 지정된 길이로 홈이고, 해당 홈의 제 1 단은 개방되고 제 2 단은 폐쇄될 수 있다. 각 제 2 가이드 부재(g20)는 홈에 대응되도록 제 1 방향으로형성되는 돌출부일 수 있다. 상기 제 1 방향은 예를 들어, 제 1 하우징(h10)의 제 1 면으로부터 제 1 하우징(h10)의 제 6 면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지정된 길이는 제 1 하우징(h10)이 제 2 하우징(h20)으로부터 빠져 나오는 길이에 대응할 수 있다.
제 1 하우징(h10)의 지정된 영역이 제 2 하우징(h2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빠져 나오는 과정에서, 각 제 1 가이드 부재(g10)는 각 제 2 가이드 부재(g20)에 끼워진 상태로 제 1 하우징(h10)의 제 1 면이 향하는 방향으로 미끄러지며 이동하고, 그 결과 각 제 1 가이드 부재(g20)의 일부는 제 2 하우징(h2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 1 하우징(h10)의 지정된 영역이 제 2 하우징(h20)의 내부 공간으로 끼워지는 과정에서 각 제 1 가이드 부재(g20)는 각 제 2 가이드 부재(g10)에 끼워진 상태로 제 2 하우징(h20)의 제 6 면이 향하는 방향으로 미끄러져 이동하고, 그 결과 각 제 1 가이드 부재(g20)는 제 2 하우징(h20)의 내부 공간에 의하여 가려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하우징(h10)과 제 2 하우징(h20) 중 적어도 하나는 걸림 부재(ha10, ha20)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 부재(ha10, h20)는 제 1 하우징(h10)이 지정된 거리 이내로 미끄러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걸림 부재(ha10, ha20)는 윈도우 버튼(b30)이 제 2 하우징(h20)의 홀(ho20)로부터 분리되어, 푸시 부재(p10)의 미는 힘으로 인하여 제 1 하우징(h10)의 지정된 영역이 제 2 하우징(h20)의 외부로 노출되는 과정에서, 제 1 하우징(h10)의 지정된 영역이 제 2 하우징(h20)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거리를 지정된 거리 이내로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하우징(h10)은 제 1 걸림 부재(ha10)를 포함하고, 제 2 하우징(h20)은 제 2 걸림 부재(ha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걸림 부재(ha20)는 소정 형상(예: 사각형)의 홈이고, 제 1 걸림 부재(ha10)는 해당 홈에 끼워지는 소정(예: 'ㄷ'자) 형상의 돌출부일 수 있다. 제 1 걸림 부재(ha10)는 제 2 걸림 부재(ha20)와 결합되어, 제 1 하우징(h10)이 제 2 하우징(h20)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거리를 제한함에 따라 제 1 하우징(h10)이 제 2 하우징(h20)을 완전히 분리되지 않도록 지원할 수 있다. 제 1 걸림 부재(ha10)는 탄성력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제 1 하우징(h10)이 지정된 거리까지는 제 2 하우징(h20)으로부터 빠져 나오도록 지원할 수 있다. 제 1 걸림 부재(ha10)는 제 1 하우징(h10)의 지정된 영역이 제 2 하우징(h20)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제 1 길이를 갖고, 제 1 하우징(h10)의 지정된 영역이 제 2 하우징(h20)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는 늘어나 제 2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길이는 제 1 길이를 초과하는 길이로서, 예를 들어, 지정된 거리일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 복수의 제 1 가이드 부재(g10), 복수의 제 2 가이드 부재(g20) 및 적어도 하나의 걸림 부재(ha10, ha20)는 배터리 수납 공간(s10)이 충분히 개방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 1 가이드 부재(g10), 복수의 제 2 가이드 부재(g20) 및 적어도 하나의 걸림 부재(ha10)는 배터리 수납 공간(s10)이 배터리를 장착 가능한 정도로 개방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윈도우 버튼(b30)이 배터리 수납 공간(s10)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버튼에 통합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와 달리, 윈도우 버튼(b30)은 배터리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회로 부재들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 공간(예: 제 1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제 2 하우징(h20)이 제 1 하우징(h10)의 제 1 면을 제외한 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와 달리, 제 2 하우징(h20)은 제 1 하우징(h10)의 제 2 면만을 감싸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배터리 수납 공간(s10)은 제 1 하우징(h10)의 제 2 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푸시 부재(p10)와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g10, g20)는 제 2 하우징(h20)의 제 2 면과 제 1 하우징(h10)의 사이에 구비되되, 전술한 기능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하우징의 전면 사시도와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에서는 설명의 용이성을 위하여 제 1 하우징(h10)이 제 2 하우징(h20)과 완전히 분리된 형태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하우징(h10)의 제 1 면에는 윈도우(w4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w40)는 제 1 하우징(h10)의 제 1 면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하우징(h10)의 제 2 면에는 윈도우 버튼(b30)이 구비될 수 있다. 적어도 윈도우 버튼(b30)의 조작 영역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도록 제 2 하우징(h2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윈도우 버튼(b30)은 예를 들어, 제 1 하우징(h10)의 제 2 면에서 제 1 하우징(h10)의 제 1 면과 근접한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하우징(h10)의 제 3 면에는 배터리가 수납되는 배터리 수납 공간(s10)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하우징(h10)의 제 3 면에는 키패드(k1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 1 가이드 부재(g10)는 제 1 하우징(h10)의 제 4 면과 제 5 면(예: 양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각 제 1 가이드 부재(g10)는 길다랗게 형성된 홈이고, 홈의 제 1 단은 개방되고 제 2 단은 폐쇄될 수 있다. 각 제 1 가이드 부재(g10)는 각 제 2 가이드 부재(g20)와 결합되어, 제 1 하우징(h10)의 일부 영역이 제 2 하우징(h20)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안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하우징(h10)은 걸림 부재(ha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걸림 부재(ha10)는 윈도우 버튼(b30)이 조작됨에 따라 윈도우 버튼(b30)이 제 2 하우징(h20)의 홀(ho2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제 1 하우징(h10)이 제 2 하우징(h20)으로부터 지정된 거리 이내로 미끄러지도록 제 1 하우징(h10)이 제 2 하우징(h20)으로부터 분리되는 정도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걸림 부재(ha10)는 복수의 제 1 가이드 부재(g10)의 제 2 단을 폐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푸시 부재(p10)는 제 1 하우징(h10)의 제 6 면에 결합되어, 제 1 하우징(h10)의 제 6 면이 향하는 방향으로 미는 힘을 가할 수 있다. 푸시 부재(p10)는 탄성력을 갖도록 구성되고, 제 1 하우징(h10)의 제 1 면이 향하는 방향으로 눌러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푸시 부재(p10)의 미는 힘은 윈도우 버튼(b30)이 하우징(h20)을 고정하는(hold) 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아, 윈도우 버튼(b30)이 홀(ho2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윈도우 버튼(b30)이 하우징(h20)을 고정하는(hold) 힘으로 인해 상쇄될 수 있다. 이에, 윈도우 버튼(b30)이 홀(ho20)에 결합된 상태에서, 푸시 부재(p10)는 제 2 하우징(h20)의 내면에 의하여 눌러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하우징(h10)의 배터리 수납 공간(s10)은 제 2 하우징(h20)에 의하여 가려질 수 있다.
반면, 윈도우 버튼(b30)이 홀(ho20)으로부터 분리되면, 푸시 부재(p10)의 미는 힘은 제 2 하우징(h20)의 내면을 향하여 작용할 수 있다. 푸시 부재(p10)의 미는 힘이 제 2 하우징(h20)의 내면을 향하여 작용하면, 제 2 하우징(h20)이 제 1 하우징(h10)의 제 6 면(예: 하측면)이 향하는 방향으로 밀리거나, 제 1 하우징(h10)이 제 1 하우징(h10)의 제 1 면(예: 상측면)이 향하는 방향으로 밀릴 수 있다. 제 2 하우징(h20)은 사용자에 의하여 휴대되거나, 지면 등에 놓여질 것이므로, 푸시 부재(p10)의 미는 힘은 제 1 하우징(h10)의 배터리 수납 공간(s10)이 제 2 하우징(h2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제 1 하우징(h10)의 제 1 면이 향하는 방향(화살표 방향)으로 빠져나오도록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하우징(h10)이 푸시 부재(p10)의 미는 힘으로 인해 제 1 하우징(h10)의 제 1 면이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배터리 수납 공간(s10)은 제 2 하우징(h2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푸시 부재(p10)는 제 2 하우징(h20)의 내면에 골고루 미는 힘이 작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푸시 부재(p10)는 제 2 하우징(h20)의 내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성되고, 제 2 하우징(h20)의 내면의 절반 이상의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푸시 부재(p10)는 제 1 하우징(h10)의 제 6 면의 절반 이상의 크기로 구성되어, 제 2 하우징(h20)의 내면의 절반 이상에 미는 힘을 가할 수 있다. 푸시 부재(p10)는 탄성력을 갖도록 구성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 2 하우징(h20)의 내면에 미는 힘을 가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2 하우징의 전면의 사시도이다. 도 4에서는 설명의 용이성을 위하여 제 2 하우징(h20)에 제 1 하우징(h10)에 결합되지 않은 형태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2 하우징(h20)은 개구부(ho25) 및 홀(ho2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2 하우징(h20)은 제 1 하우징(h10)의 제 1 면(상측면)을 제외한 면을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하우징(h20)은 제 1 하우징(예: 하 측면)의 제 6 면, 제 1 하우징(h10)의 제 3 면(예: 전면)의 일부 영역, 제 1 하우징(h10)의 제 4 면(예: 좌 측면)과 제 5 면(우 측면) 및 제 1 하우징(h10)의 제 2 면에서 윈도우 버튼(b30)의 적어도 일부를 제외한 영역을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2 하우징(h20)이 제 1 면을 노출함에 따라 제 1 하우징(h10)은 제 2 하우징(h2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제 1 하우징(h10)의 제 1 면이 향하는 방향으로 빠져나올 수 있다.
제 2 하우징(h20)은 개구부(ho25)를 포함하고, 개구부(ho25)를 통하여 윈도우(w40)의 적어도 일부 및 제 1 하우징(h10)의 키패드(k10)의 조작 영역을 제 2 하우징(h20)의 외부로 노출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ho25)는 제 2 하우징(h20)이 제 1 하우징(h10)을 노출하는 영역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홀(ho20)은 윈도우 버튼(b30)에 대응되는 형상과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홀(ho20)은 윈도우 버튼(b30)의 조작 이전에 윈도우 버튼(b30)과 결합되고 윈도우 버튼(b30)의 조작 시에 윈도우 버튼(b3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윈도우 버튼(b30)이 제 2 하우징(h20)의 홀(ho20)로부터 분리되어, 제 1 하우징(h10)의 지정된 영역이 제 2 하우징(h2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빠져나오면, 배터리 수납 공간(s10)은 개구부(ho25)를 통해 개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2 하우징(h20)은 제 1 하우징(h10)에 구비된 복수의 제 1 가이드 부재(g10)에 대응하는 영역에 복수의 제 2 가이드 부재(g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 2 가이드 부재(g20)는 제 2 하우징(h20)의 양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각 제 2 가이드 부재(g20)는 키패드(k10)의 양 측면과 연접하는 영역에 제 1 방향으로 형성되는 돌출부일 수 있다. 각 제 1 가이드 부재(g20)는 각 제 2 가이드 부재(g10)에 끼워진 상태로 이동함에 따라, 제 1 하우징(h10)이 제 2 하우징(h2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분리되거나, 제 2 하우징(h20)의 내부 공간에 끼워지는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일 실시 예에 따른 윈도우 버튼의 조작 여부에 따른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의 결합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에서는 딱딱한 재질로 구성되는 윈도우 버튼(b30)이 외력에 의하여 눌러짐에 따라 홀(ho20)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구조와 푸시 부재(p10)의 미는 힘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윈도우 버튼이 조작되지 않은 때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의 결합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윈도우 버튼(b30)은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b31, b3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는 윈도우 버튼(b30)이 제 1 돌출부(b31)와 제 2 돌출부(b32)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돌출부(b31)와 제 2 돌출부(b32)는 윈도우 버튼(b30)의 내면에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 1 돌출부(b31)는 예를 들면, 제 2 돌출부(b32)보다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돌출부(b31)와 제 2 돌출부(b32)는 예를 들어, 원통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돌출부(b31)의 제 1 단은 윈도우 버튼(b30)의 내면에 연접하고, 제 1 돌출부(b31)의 제 2 단은 제 1 하우징(h10)의 제 3 면(h12)의 내부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제 1 돌출부(b31)는 인쇄회로기판(pcb50)의 홀(ph50)을 관통하여 지지 부재(sp20)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pcb50)은 제 1 하우징(h10)의 제 2 면(h11)과 제 3 면(h12) 사이에 위치하고, 제 1 송신 회로(c50)와 제 2 송신 회로(c55)를 실장할 수 있다. 상기 제 1 송신 회로(c50)는 예를 들어, 제 1 하우징(h10)의 제 1 면에 근접하는 인쇄회로기판(pcb50)의 제 1 영역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송신 회로(c55)는 예를 들어, 제 1 돌출부(b31)와 제 2 돌출부(b32)의 사이의 인쇄회로기판(pcb50)의 제 2 영역에 실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2 돌출부(b32)의 제 1 단은 윈도우 버튼(b30)의 내면에 연접하고, 제 2 돌출부(b32)의 제 2 단은 인쇄회로기판(pcb50)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돌출부(b31)와 제 2 돌출부(b32)에는 각기 제 1 탄성 부재(sp61)와 제 2 탄성 부재(sp62)가 끼워질 수 있다. 제 1 탄성 부재(sp61)와 제 2 탄성 부재(sp62)는 윈도우 버튼(b30)이 제 2 하우징(h20)의 홀(ho20)에 결합된 상태에서, 탄성력에 의하여 윈도우 버튼(b30)의 하부를 지지함에 따라 윈도우 버튼(b30)의 적어도 일부가 제 2 하우징(h20)의 홀(ho20)에 끼워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제 1 탄성 부재(sp61)와 제 2 탄성 부재(sp62)는 각기 제 1 돌출부(b31)와 제 2 돌출부(b3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탄성 부재(sp61)와 제 2 탄성 부재(sp62)는 각기 나선형 스프링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지 부재(sp20)는 제 1 하우징(h10)의 제 3 면의 내부에 형성되어, 제 1 돌출부(b31) 또는 제 1 탄성 부재(sp61)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부재(sp20)는 제 1 돌출부(b31)의 둘레의 복수의 부위와 맞닿아, 제 1 돌출부(b31)의 둘레의 복수의 부위를 지지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지지 부재(sp20)는 제 1 탄성 부재(sp61)의 둘레의 복수의 부위와 맞닿아, 제 1 탄성 부재(sp61)의 둘레의 복수의 부위를 지지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지지 부재(sp20)가 제 1 돌출부(b31)를 지지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이에, 지지 부재(sp20)는 제 1 돌출부(b31) 또는 제 1 탄성 부재(sp61) 중 적어도 하나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 부재(sp20)는 예를 들어, 도넛 형상으로 구성되어, 가운데 부분에 제 1 돌출부(b31)에 대응하는 형상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윈도우 버튼이 조작된 상황에서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의 결합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윈도우 버튼(b30)이 눌러지면, 제 1 탄성 부재(sp61)와 제 2 탄성 부재(sp62)는 윈도우 버튼(b30)의 하부 방향으로 압축됨에 따라, 윈도우 버튼(b30)의 적어도 일부가 제 2 하우징(h20)의 홀(ho20)로부터 분리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윈도우 버튼(b30)이 제 2 하우징(h20)의 홀(ho20)로부터 분리되면, 푸시 부재(p10)의 미는 힘이 제 1 하우징(h10)의 제 6 면이 향하는 방향으로 작용(양방향 화살표 참고)할 수 있다. 푸시 부재(p10)의 미는 힘의 반작용으로 인해, 제 1 하우징(h10)은 전체적으로 제 1 하우징(h10)의 제 1 면이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결과 제 1 하우징(h10)의 지정된 영역은 제 2 하우징(h2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하우징의 배터리 수납 공간이 제 2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빠져 나온 경우의 원격 제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푸시 부재(p10)의 미는 힘으로 인해 제 1 하우징(h10)의 지정된 영역이 제 2 하우징(h2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빠져 나오면, 배터리 수납 공간(s10)의 적어도 일부는 제 2 하우징(h2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 1 하우징(h10)의 지정된 영역이 제 2 하우징(h2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빠져나오면, 윈도우 버튼(b30)은 제 1 탄성 부재(sp61)와 제 2 탄성 부재(sp62)의 탄성력으로 인해 제 1 하우징(h10)의 홀(ho10)의 외부로 다시 돌출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서는 제 1 돌출부(b31)와 제 2 돌출부(b32)가 서로 다른 형상으로 구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제 1 돌출부(b31)와 제 2 돌출부(b32)는 동일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돌출부(b32)는 전술한 제 1 돌출부(b31)의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배터리 수납 공간의 분리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810> 상태에서, 윈도우 버튼(b30)이 사용자의 조작(누르는 조작)에 따라 눌러질 수 있다.
<820> 상태에서, 윈도우 버튼(b30)이 눌러지면, 윈도우 버튼(b30)은 홀(ho20)로부터 분리되고, 푸시 부재(p10)가 제 2 하우징(h20)의 내면을 미는 힘으로 인하여 제 1 하우징(h10)의 지정된 영역은 제 1 하우징(h10)의 제 1 면이 향하는 방향으로 빠져나올 수 있다. 이 경우, 배터리 수납 공간(s10)의 적어도 일부는 개방될 수 있다. 그런데, 제 1 하우징(h10)이 푸시 부재(p10)의 미는 힘으로 인해 제 2 하우징(h2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빠져 나오는 정도는 제한적일 수 있다. 이 경우, 배터리 수납 공간(s10)은 배터리를 장착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개방되지 않을 수 있다.
<830>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 1 하우징(h10)의 제 1 면에 당기는 힘을 더 가하면, 배터리 수납 공간(s10)은 배터리를 수납할 수 있을 정도로 개방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d500) 및 원격 제어 장치(d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d500)는 수신부(미도시), 디스플레이(510) 및 프로세서(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미도시)는 원격 제어 장치(d100)에 포함된 제 1 송신 회로(c50) 또는 제 2 송신 회로(c55)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51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510)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각종 컨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및/또는 심볼 등)를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미도시)는 디스플레이 장치(d5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원격 제어 장치(d100)는 제 1 하우징(h10), 복수의 송신 회로(예: 도 5의 c50, c55), 윈도우(예: 도 5의 w40), 윈도우 버튼(예: 도 5의 b30) 및 제 2 하우징(예: 도 5의 h20)을 포함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d100)는 복수의 송신 회로(예: 도 5의 c50, c55)를 통해 적외선 조사 영역(area 1, area2)를 확대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d100)에 대해서는 전술하였으므로, 세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d100)는 사용자가 음성 인식 등을 위하여 원격 제어 장치(d100)를 수직으로 세워서 원격 제어 장치(d100)의 키 패드를 조작한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장치(d500)를 향하여 적외선을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문서에서 기재된 기술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문서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원격 제어 장치에 있어서,
    제 1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의 제 1 면이 향하는 방향으로 적외선을 조사하는 제 1 송신 회로;
    상기 제 1 하우징의 제 2 면이 향하는 방향으로 적외선을 조사하는 제 2 송신 회로;
    상기 제 1 송신 회로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cover), 상기 제 1 송신 회로로부터 조사된 적외선이 투과되는 윈도우;
    상기 제 2 송신 회로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상기 제 2 송신 회로로부터 조사된 적외선이 투과되는 윈도우 버튼; 및
    제 2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윈도우 버튼과 결합되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 버튼이 상기 홀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하우징의 지정된 영역을 덮고,
    상기 윈도우 버튼이 상기 홀과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하우징의 지정된 영역을 상기 제 2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하도록 설정된 원격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우징의 내부 또는 상기 제 1 하우징의 제 3 면에는, 푸시 부재가 더 배치되고,
    상기 윈도우는, 상기 제 1 하우징의 제 1 면에 결합되고,
    상기 윈도우 버튼은, 상기 제 1 하우징의 제 2 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윈도우 및 상기 윈도우 버튼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 2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하도록 설정된 원격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영역은, 상기 배터리가 수납되는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 버튼이 상기 홀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공간은 폐쇄되고,
    상기 윈도우 버튼이 상기 홀과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공간의 적어도 일부는 개방되는 원격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제 1 하우징의 제 1 면을 제외한 면을 감싸고,
    상기 제 1 하우징의 지정된 영역은, 상기 제 1 하우징의 제 1 면을 제외한 영역에 형성되도록 설정된 원격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의 제 3 면과 결합되는 키패드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면은, 상기 제 1 하우징의 제 1 측면이고,
    상기 제 2 면은, 상기 제 1 하우징의 후면이고,
    상기 제 3 면은, 상기 제 1 하우징의 전면인 원격 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버튼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하우징의 제 2 면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 2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윈도우 버튼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홀에 끼워지면,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제 1 하우징의 지정된 영역을 덮고,
    상기 윈도우 버튼의 적어도 일부가 눌러지면, 상기 윈도우 버튼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홀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제 1 하우징의 지정된 영역을 외부로 노출하도록 설정된 원격 제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버튼은, 상기 윈도우 버튼의 내면에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상기 각 돌출부에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 탄성 부재는,
    상기 윈도우 버튼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홀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윈도우 버튼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홀에 끼워지도록 지지하고,
    상기 윈도우 버튼의 적어도 일부가 눌러진 상태에서는 압축되어, 상기 윈도우 버튼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2 하우징의 홀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원격 제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제 1 하우징의 내부에는 지지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설정된 원격 제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의 제 3 면에는, 푸시 부재가 더 배치되고, 상기 푸시 부재는,
    상기 제 1 하우징의 제 3 면과 마주하는 상기 제 2 하우징의 내면이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 2 하우징을 밀도록(push) 설정된 원격 제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의 적어도 한 면에는 제 1 가이드 부재가 더 배치되고,
    상기 제 2 하우징의 적어도 한 면에는 제 2 가이드 부재가 더 배치되고,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와 제 2 가이드 부재 중 하나는, 제 1 방향으로 형성되는 홈이고,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와 제 2 가이드 부재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형성되는 돌출부이고,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와 상기 제 2 가이드 부재는,
    상기 윈도우 버튼이 상기 홀로부터 분리된 상황에서, 상기 제 1 하우징이 상기 제 1 하우징의 제 1 면이 향하는 방향으로 미끄러지도록(slide) 안내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원격 제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 또는 상기 제 2 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에는, 걸림 부재가 더 배치되고, 상기 걸림 부재는,
    상기 제 1 하우징이 지정된 거리 이내로 미끄러지도록 설정된 원격 제어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제 1 하우징의 제 2 면을 감싸고,
    상기 제 1 하우징의 지정된 영역은, 상기 제 1 하우징의 제 2 면에 형성되도록 설정된 원격 제어 장치.
  13.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제 1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의 제 1 면을 통해 적외선을 조사하는 제 1 송신 회로;
    상기 제 1 하우징의 제 2 면을 통해 적외선을 조사하는 제 2 송신 회로;
    상기 제 1 송신 회로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cover), 상기 제 1 송신 회로로부터 조사된 적외선이 투과되는 윈도우;
    상기 제 2 송신 회로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상기 제 2 송신 회로로부터 조사된 적외선이 투과되는 윈도우 버튼; 및
    제 2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윈도우 버튼과 결합되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 버튼이 상기 홀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하우징의 지정된 영역을 덮고,
    상기 윈도우 버튼이 상기 홀과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하우징의 지정된 영역을 상기 제 2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하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우징의 내부 또는 상기 제 1 하우징의 제 3 면에는, 푸시 부재가 더 배치되고,
    상기 윈도우는, 상기 제 1 하우징의 제 1 면에 결합되고,
    상기 윈도우 버튼은, 상기 제 1 하우징의 제 2 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윈도우 및 상기 윈도우 버튼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 노출하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영역은, 상기 배터리가 수납되는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 버튼이 상기 홀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공간은 폐쇄되고,
    상기 윈도우 버튼이 상기 홀과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공간의 적어도 일부는 개방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의 제 3 면과 결합되는 키패드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면은, 상기 제 1 하우징의 제 1 측면이고,
    상기 제 2 면은, 상기 제 1 하우징의 후면이고,
    상기 제 3 면은, 상기 제 1 하우징의 전면인 디스플레이 시스템.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버튼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하우징의 제 2 면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 2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윈도우 버튼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홀에 끼워지면,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제 1 하우징의 지정된 영역을 덮고,
    상기 윈도우 버튼이 눌러지면, 상기 윈도우 버튼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홀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제 1 하우징의 지정된 영역을 노출하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버튼은, 상기 윈도우 버튼의 내면에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상기 각 돌출부에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윈도우 버튼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홀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윈도우 버튼의 제 1 돌출부가 상기 홀에 끼워지도록 지지하고,
    상기 윈도우 버튼이 눌러진 상태에서는 압축되어, 상기 윈도우 버튼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2 하우징의 홀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원격 제어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제 1 하우징의 내부에는 지지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설정된 원격 제어 장치.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의 제 3 면에는, 푸시 부재가 더 배치되고, 상기 푸시 부재는,
    상기 제 1 하우징의 제 3 면과 마주하는 상기 제 2 하우징의 내면이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 2 하우징을 밀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0170106156A 2016-10-24 2017-08-22 복수의 적외선 윈도우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32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185A KR102339674B1 (ko) 2016-12-23 2017-03-09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CN201780060950.5A CN109804640B (zh) 2016-10-24 2017-10-20 包括多个红外窗口的遥控装置和显示系统
EP17864902.6A EP3491834B1 (en) 2016-10-24 2017-10-20 Remote control device including plurality of infrared windows, and display system
PCT/KR2017/011677 WO2018080114A1 (en) 2016-10-24 2017-10-20 Remote control device including plurality of infrared windows, and display system
US15/792,117 US10244195B2 (en) 2016-10-24 2017-10-24 Remote control device including plurality of infrared windows, and display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411885P 2016-10-24 2016-10-24
US62/411,885 2016-10-24
US201662438775P 2016-12-23 2016-12-23
US62/438,775 2016-12-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4798A true KR20180044798A (ko) 2018-05-03
KR102232672B1 KR102232672B1 (ko) 2021-03-29

Family

ID=62244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6156A KR102232672B1 (ko) 2016-10-24 2017-08-22 복수의 적외선 윈도우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491834B1 (ko)
KR (1) KR102232672B1 (ko)
CN (1) CN109804640B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90618A1 (en) * 2006-10-13 2008-04-1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output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00219977A1 (en) * 2004-02-02 2010-09-02 Scenewise, Inc. Multiple transmitter remote control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74565A2 (en) * 2004-02-02 2005-08-18 Scope Seven Inc. Simplified control system for electronic media
JP2008277874A (ja) * 2007-04-25 2008-11-13 Sony Corp 携帯型電子機器
US8508482B2 (en) * 2009-11-30 2013-08-13 Neil Van der Byl Programmable remote control
CN102157286A (zh) * 2010-04-19 2011-08-17 苹果公司 用于电子设备的输入输出系统
KR101885764B1 (ko) * 2011-03-10 2018-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제어 장치
CN204442594U (zh) * 2015-03-27 2015-07-01 江苏理工学院 滑轨式电视遥控器
CN205541410U (zh) * 2016-01-18 2016-08-31 东莞市帝品电子有限公司 一种多角度遥控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19977A1 (en) * 2004-02-02 2010-09-02 Scenewise, Inc. Multiple transmitter remote control system
US20080090618A1 (en) * 2006-10-13 2008-04-1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output controll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91834A1 (en) 2019-06-05
EP3491834B1 (en) 2020-06-10
EP3491834A4 (en) 2019-08-14
CN109804640B (zh) 2021-08-03
CN109804640A (zh) 2019-05-24
KR102232672B1 (ko) 2021-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44195B2 (en) Remote control device including plurality of infrared windows, and display system
JP4586982B2 (ja) ポータブルコンピュータのラッチ装置
ES2557583T3 (es) Terminal móvil
US20090253472A1 (en) Case for a hand held device
JP2005025273A (ja) 電子機器
US10470326B2 (en) Watertight cap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1716433B1 (ko) 전자 키
JP2008104145A (ja) 携帯端末機
KR20180044798A (ko) 복수의 적외선 윈도우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6050602A (ja) マルチメディアプレーヤ
JP5058577B2 (ja) ドアハンドル
KR100946173B1 (ko) 리플렉터
JP6303441B2 (ja) プロジェクター
KR102056373B1 (ko) 이동 단말기
CN101361361B (zh) 用于移动通信设备的数码相机模块
JP6490165B2 (ja) リモコン受光装置
JP6622935B2 (ja) リモコン受光装置
WO2019163769A1 (ja) 負荷制御装置
US11164708B2 (en) Backlit switches
CN107817873B (zh) 便携设备
JP2021068597A (ja) 遠隔操作装置
KR100652723B1 (ko) 휴대 단말기의 보안 장치
KR200392310Y1 (ko) 전자기기의 버튼 스위치장치
JP2021032946A (ja) 遠隔操作装置
JP6394949B2 (ja) ベルト取付構造およ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