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4664A - 판스프링용 조립식 클립 - Google Patents

판스프링용 조립식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4664A
KR20180044664A KR1020160138461A KR20160138461A KR20180044664A KR 20180044664 A KR20180044664 A KR 20180044664A KR 1020160138461 A KR1020160138461 A KR 1020160138461A KR 20160138461 A KR20160138461 A KR 20160138461A KR 20180044664 A KR20180044664 A KR 20180044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lip
spring plate
binding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8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만승
김하윤
민계홍
Original Assignee
대원강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강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강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8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4664A/ko
Publication of KR20180044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46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1Mounting of leaf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4Centering or positioning means
    • B60G2204/4402Spacers or shi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90Maintenance
    • B60G2206/91Assembly proced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스프링용 조립식 클립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리벳을 사용하지 않고 스프링 판재와 안정적인 결속구조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판스프링용 조립식 클립을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판스프링을 구성하기 위하여 적층된 구조로 배치된 여러 스프링 판재의 한 쪽 측면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상단부와 하단부가 스프링 판재 방향으로 절곡되며, 상단 제1관통홀과 하단 제1관통홀이 높이차를 두고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 제1조립식 클립; 상기 스프링 판재를 사이에 두고 제1조립식 클립과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단부와 하단부가 스프링 판재 방향으로 절곡되며, 상기 상단 제1관통홀과 하단 제2관통홀에 각각 대응하여 마주하는 상단 제2관통홀과 하단 제2관통홀이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 제2조립식 클립; 및 상기 스프링 판재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도록 배치된 제1,2조립식 클립의 제1,2관통홀을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제1,2조립식 클립을 결속하는 결속밴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스프링용 조립식 클립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판스프링용 조립식 클립{Sectional clip for leap spring}
본 발명은 판스프링을 구성하는 스프링 판재를 서로 결속하여 고정하는 클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리벳을 이용하지 않고도 스프링 판재와 클립을 안정적으로 결속할 수 있도록 한 한 판스프링용 조립식 클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현가장치는 차체의 중량을 지지하면서 주행 중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차체 및 운전자에게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화시킴으로써, 승차감 및 주행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차체와 휠 사이에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현가장치는 구조에 따라 여러 종류가 사용되고 있으며, 일반 승용차의 경우 맥퍼슨 스트럿 방식과 더블 위시본 방식의 현가장치가 주로 사용되고 있고, 화물차나 중/대형 버스와 같은 대형차에는 판스프링 방식의 현가장치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판스프링 방식의 현가장치는, 다수의 스프링 판재를 적층시킨 것으로 이루어지며, 적층된 다수의 스프링 판재는 결속하기 위해 클립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클립에 의해 다수의 스프링 판재가 결속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종래 스프링 판재를 결속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클립(10)은 밑판(11)의 양단에 측판(12,13)이 대략 90°의 각도로 절곡된 구조로 형성되어 그 내부로 다수의 스프링 판재(SP)를 적층된 구조로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밑판(11)이 스프링 판재(SP)와 리벳(R)에 의해 결속되고, 상기 두 측판(12,13)의 상단이 볼트 및 너트의 결합에 의해 상호 결속되어 스프링 판재(SP)를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클립은 리벳에 의해 스프링 판재와 결속되는 구조를 갖고 있으므로, 리벳을 체결하기 위한 리벳홀을 스프링 판재에 가공해야만 하고, 리벳의 시공을 위해 별도의 장비가 요구됨에 따라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프링 판재에 형성된 리벳 홀은 판스프링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요소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20-1997-0028510(1997.07.24.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리벳을 사용하지 않고 스프링 판재와 안정적인 결속구조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판스프링용 조립식 클립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판스프링을 구성하기 위하여 적층된 구조로 배치된 여러 스프링 판재의 한 쪽 측면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상단부와 하단부가 스프링 판재 방향으로 절곡되며, 상단 제1관통홀과 하단 제1관통홀이 높이차를 두고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 제1조립식 클립; 상기 스프링 판재를 사이에 두고 제1조립식 클립과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단부와 하단부가 스프링 판재 방향으로 절곡되며, 상기 상단 제1관통홀과 하단 제2관통홀에 각각 대응하여 마주하는 상단 제2관통홀과 하단 제2관통홀이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 제2조립식 클립; 및 상기 스프링 판재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도록 배치된 제1,2조립식 클립의 제1,2관통홀을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제1,2조립식 클립을 결속하는 결속밴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스프링용 조립식 클립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판스프링용 조립식 클립에 있어서, 상기 결속밴드는, 상기 상단 제1관통홀을 통해 두 스프링 판재의 사이로 삽입된 후 상기 상단 제2관통홀을 통해 돌출되는 제1결속부; 상기 제1결속부와 평행한 채로 높이차를 갖도록 배치되며, 상기 하단 제1관통홀을 통해 삽입된 후 하단 제2관통홀을 통해 돌출되는 제2결속부; 및 상기 제1결속부와 제2결속부의 일측단을 상호 연결하여 일체화시키는 연결부;로 구성되며, 상기 상단 제2관통홀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제1결속부의 끝단과, 상기 하단 제1관통홀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제2결속부의 끝단이 제2조립식 클립에 밀착되게 접혀지면서 제1,2조립식 클립을 결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판스프링용 조립식 클립에 있어서, 상기 제1조립식 클립과 스프링 판재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제1조립식 클립과 스프링 판재의 접촉을 방지하는 제1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로부터 스프링 판재의 사이나 스프링 판재와 제1조립식 클립의 사이로 삽입되도록 돌출되게 형성된 제1삽입부로 이루어진 제1스페이서; 상기 제2조립식 클립과 스프링 판재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제2조립식 클립과 스프링 판재의 접촉을 방지하는 제2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로부터 스프링 판재의 사이나 스프링 판재와 제2조립식 클립의 사이로 삽입되도록 돌출되게 형성된 제2삽입부로 이루어진 제2스페이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판스프링용 조립식 클립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부는 상단 제1삽입부와 하단 제1삽입부로 구성되고, 상기 상단 제1삽입부는 상단 제1관통홀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하단 제1삽입부는 하단 제1관통홀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상단 제1삽입부와 하단 제1삽입부에는 결속밴드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것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삽입부는 상단 제2삽입부와 하단 제2삽입부로 구성되고, 상기 상단 제2삽입부는 상단 제2관통홀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하단 제2삽입부는 하단 제2관통홀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상단 제2삽입부와 하단 제2삽입부에는 결속밴드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판스프링용 조립식 클립에 있어서, 상기 제1스페이서의 측면 중, 제1조립식 클립과 마주하여 접촉하는 외측면과 저면에는 제1조립식 클립의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조립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2스페이서의 측면 중, 제2조립식 클립과 마주하여 접촉하는 외측면과 저면에는 제2조립식 클립의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2조립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스프링 판재와 클립의 결속을 위한 리벳의 사용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판스프링을 제조함에 있어서, 스프링 판재에 리벳 홀을 가공하는 공정 및 리벳을 시공하는 공정을 배제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프링 판재에 리벳 홀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판스프링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클립에 의해 다수의 스프링 판재가 결속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클립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클립의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클립의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조립식 클립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결속밴드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제1,2스페이서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클립에 의해 스프링 판재가 결속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클립의 사시도를,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클립의 정면도를,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클립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클립은 제1조립식 클립(110), 제2조립식 클립(120), 결속밴드(130), 제1스페이서(140), 제2스페이서(150)로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조립식 클립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1조립식 클립(110)은 판스프링을 구성하기 위하여 적층된 구조로 배치된 여러 스프링 판재(SP1,SP2,SP3)의 한 쪽 측면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스프링 판재(SP1,SP2,SP3)들을 결속하기 위한 기초구조를 형성하는 부재로써, 상단부와 하단부가 스프링 판재(SP1,SP2,SP3) 방향으로 절곡되어 ㄷ자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2개의 제1관통홀(111,112)이 높이차를 두고 형성된 것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1조립식 클립(110)에 형성된 두 절곡부(113,114) 중, 아래쪽에 위치한 하단 절곡부(114)는 판스프링의 저면 즉, 적층된 스프링 판재(SP1,SP2,SP3)들 중 가장 아래쪽에 배치된 스프링 판재(SP1)의 저면에 밀착되어 스프링 판재(SP1)를 지지하도록 형성되고, 위쪽에 위치한 상단 절곡부(113)는 적층된 스프링 판재(SP1,SP2,SP3)들 중 가장 위쪽에 배치된 스프링 판재(SP3)의 상면에 마주하여 밀착되거나 이격된 채로 상면과 평행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2개의 제1관통홀(111,112)은 그 위치에 따라 상단 제1관통홀(111)과 하단 제1관통홀(112)로 구분되며, 상기 상단 제1관통홀(111)과 하단 제1관통홀(112)은 스프링 판재(SP1,SP2,SP3)의 두께에 상응하는 높이차를 갖도록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단 제1관통홀(111)은 가장 아래쪽에 배치된 두 스프링 판재(SP1,SP2)의 사이, 즉 제1스프링 판재(SP1)와 제2스프링 판재(SP2)의 사이틈새에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단 제1관통홀(112)은 제1스프링 판재(SP1)의 바로 아래쪽에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결국, 상기 상단 제1관통홀(111)과 하단 제1관통홀(112)은 적층된 스프링 판재(SP1,SP2,SP3)들 중, 가장 아래쪽에 배치된 제1스프링 판재(SP1)의 두께에 상응하는 높이차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1조립식 클립(110)은 SS400과 같은 일반구조용 강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조립식 클립(120)은 스프링 판재(SP1,SP2,SP3)를 사이에 두고 제1조립식 클립(110)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제2조립식 클립(120)과 결속되면서 적층된 스프링 판재(SP1,SP2,SP3)를 고정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부재로써, 상단부와 하단부에 스프링 판재(SP1,SP2,SP3)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123,124)가 형성되어 ㄷ자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2개의 제2관통홀(121,122)이 높이차를 두고 형성된 것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2개의 제2관통홀(121,122)은 그 위치에 따라 상단 제2관통홀(121)과 하단 제2관통홀(122)로 구분되며, 상기 상단 제2관통홀(121)은 상단 제1관통홀(111)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단 제2관통홀(122)은 하단 제1관통홀(112)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2조립식 클립(120)은 배치되는 위치와 자세에 있어서 제1조립식 클립(110)과 차이가 있을 뿐, 실질적인 구조는 제1조립식 클립(110)과 동일하므로, 제2조립식 클립(120)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결속밴드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결속밴드(130)는 스프링 판재(SP1,SP2,SP3)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도록 배치된 제1,2조립식 클립(110,120)의 제1,2관통홀(111,112,121,122)을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제1,2조립식 클립(110,120)을 결속하는 것으로, 제1결속부(131), 제2결속부(132), 연결부(133)로 구성되며, 상기 제1결속부(131)와 제2결속부(132) 및 연결부(133)는 ㄷ자형으로 구조로 일체화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결속부(131)는 제1조립식 클립(110)의 외측에서 상단 제1관통홀(111)을 통해 삽입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두 스프링 판재(SP1,SP2)의 사이를 지난 후, 상단 제2관통홀(121)을 통해 제2조립식 클립(12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갖도록 길게 연장되는 판재로 구성된다.
상기 제2결속부(132)는 제1결속부(131)와 평행한 채로 높이차를 갖도록 형성된 판재로써, 제1조립식 클립(110)의 외측에서 하단 제1관통홀(112)을 통해 삽입된 후 최하단 스프링 판재(SP1)의 저면을 경유하여 하단 제2관통홀(122)을 통해 제2조립식 클립(12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갖도록 길게 연장된 판재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133)는 제1결속부(131)의 일측단과 제2결속부(132)의 일측단을 서로 연결하여 제1,2결속부(131,132)를 일체로 연결하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연결부(133)는 결속밴드(130)에 의해 제1,2조립식 클립(110,120)이 결속될 때, 제1조립식 클립(110)의 외측면에 밀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결속밴드(130)는 일반 강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2조립식 클립(110,120)과 결속밴드(130)만으로도 판스프링용 조립식 클립이 구성될 수 있으나, 스프링 판재(SP1,SP2,SP3)와 제1,2조립식 클립(110,120)이 직접적으로 접촉할 경우, 강재와 강재의 접촉에 의해 큰 소음과 충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상기 제1,2스페이서(140,150)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2스페이서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1스페이서(140)는 스프링 판재(SP1,SP2,SP3)와 제1조립식 클립(110)의 사이에 배치되어 스프링 판재(SP1,SP2,SP3)와 제1조립식 클립(110)의 접촉을 방지하는 부재로서, 제1몸체부(141)와 제1삽입부(142,143)로 구성된다.
상기 제1몸체부(141)는 스프링 판재(SP1,SP2,SP3)의 측면과 제1조립식 클립(110)의 사이에 위치하면서 스프링 판재(SP1,SP2,SP3)와 제1조립식 클립(110)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수직한 판재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1삽입부(142,143)는 제1몸체부(141)의 측면 중, 스프링 판재(SP1,SP2,SP3)와 마주하는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어 스프링 판재(SP1)와 스프링 판재(SP2)의 사이 그리고 스프링 판재(SP1)와 제1조립식 클립(11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삽입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삽입부(142,143)는 상단 제1삽입부(142)와 하단 제1삽입부(143)로 구성되며, 상기 상단 제1삽입부(142)와 하단 제2삽입부(153)는 상호 높이차를 두고 제1몸체부(141)로부터 돌출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상단 제1삽입부(142)는 상단 제1관통홀(111)과 동일한 높이에서 제1몸체부(141)로부터 돌출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어 두 스프링 판재(SP1,SP2)의 사이틈새로 삽입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단 제1삽입부(143)는 하단 제1관통홀(112)과 동일한 높이에서 제1몸체부(141)로부터 돌출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어 스프링 판재(SP1)의 저면과 제1조립식 클립(110)의 사이로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단 제1삽입부(142)에는 상단 제1관통홀(111)을 통해 삽입되는 제1결속부(131)가 관통하는 관통홀(1421)이 형성되고,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하단 제1삽입부(143)에는 하단 제1관통홀(112)을 통해 삽입되는 제2결속부(132)가 관통하는 관통홀(143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몸체부(141)에 상단 제1삽입부(142)와 하단 제1삽입부(143)가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 제1스페이서(140)에 있어서, 제1조립식 클립(110)과 마주하여 접촉하는 외측면과 저면에는 제1조립식 클립(110)의 내측면부가 삽입되면서 제1스페이서(140)와 제1조립식 클립(110)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는 제1조립홈(144)이 더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스페이서(140)는 스프링 판재(SP1,SP2,SP3)와 제1조립식 클립(11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스프링 판재(SP1,SP2,SP3)와 제1조립식 클립(110)의 접촉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바, 강재 보다는 합성수지 예컨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스페이서(150)는 스프링 판재(SP1,SP2,SP3)와 제2조립식 클립(120)의 사이에 배치되어 스프링 판재(SP1,SP2,SP3)와 제2조립식 클립(120)의 접촉을 방지하는 부재로서, 제2몸체부(151)와 제2삽입부(152,153)로 구성된다.
상기 제2몸체부(151)는 스프링 판재(SP1,SP2,SP3)의 측면과 제2조립식 클립(120)의 사이에 위치하면서 스프링 판재(SP1,SP2,SP3)와 제2조립식 클립(120)의 접촉을 방지하는 수직한 판재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삽입부(152,153)는 제2몸체부(151)로부터 스프링 판재(SP1,SP2,SP3)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두 스프링 판재(SP1,SP2,SP3)의 사이로 삽입되거나 스프링 판재(SP1,SP2,SP3)와 제2조립식 클립(120)의 사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2삽입부(152,153)는 상단 제2삽입부(152)와 하단 제2삽입부(153)로 구성되며, 상기 상단 제2삽입부(152)는 상단 제2관통홀(121)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단 삽입부는 하단 제2관통홀(122)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단 제2삽입부(152)와 하단 제2삽입부(153)에는 제1결속부(131)와 제1결속부(131)가 각각 관통하는 관통홀(1521,153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스페이서(150)의 외측면과 저면에는 제2조립식 클립(120)과 결합되어 제2스페이서(150)와 제2조립식 클립(120)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는 제2조립홈(15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2스페이서(150)는 설치되는 위치 및 자세에 있어서 제1스페이서(140)와 차이가 있을 뿐, 실질적인 구조는 제1스페이서(140)와 동일하므로, 제2스페이서(150)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클립에 의해 스프링 판재가 결속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판스프링용 조립식 클립을 이용하여 다수의 스프링 판재(SP1,SP2,SP3)를 결속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1조립식 클립(110)의 내측에 제1스페이서(140)를 조립하고, 제2조립식 클립(120)에 제2스페이서(150)를 조립한다.
이후, 판스프링을 구성하도록 적층된 다수의 스프링 판재(SP1,SP2,SP3)를 사이에 두고 제1조립식 클립(110)과 제2조립식 클립(120)이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하되, 제1,2스페이서(140,150)에 형성된 상단 제1,2삽입부(142,152)가 두 스프링 판재(SP1,SP2)의 사이에 삽입되고, 하단 제1,2삽입부(143,153)는 가장 아래쪽에 배치된 스프링 판재(SP13)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제1,2조립식 클립(110,120)을 배치하게 된다.
이후, 제1조립식 클립(110)의 외측에서 결속밴드(130)의 제1결속부(131)가 상단 제1관통홀(111)을 통해 삽입되고, 제2결속부(132)가 하단 제1관통홀(112)을 통해 삽입되도록 결속밴드(130)를 배치한 상태에서 결속밴드(130)를 밀어 넣게 되면, 상기 제1결속부(131)는 상단 제1관통홀(111), 상단 제1삽입부(142)의 관통홀(1421) , 스프링 판재(SP1,SP2)의 사이틈새, 상단 제2삽입부(152)의 관통홀(1521), 상단 제2관통홀(121)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후 제2조립식 클립(120)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제2결속부(132)는 하단 제1관통홀(112), 하단 제1삽입부(143)의 관통홀(1431), 스프링 판재(SP1)와 제1조립식 클립(110)의 틈새, 하단 제2삽입부(153)의 관통홀(1531), 하단 제2관통홀(122)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후 제2조립식 클립(12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와 같이 제2조립식 클립(120)을 관통하여 돌출된 제1결속부(131)와 제2결속부(132)가 제2조립식 클립(120)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제1결속부(131)의 끝단 및 제2결속부(132)의 끝단을 접어주게 되면, 결속밴드(130)는 제1,2조립식 클립(110,120)과 스프링 판재(SP1,SP2,SP3)를 결속한 채로 고정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클립에 의하면, 리벳이 사용이 전혀 요구되지 않으므로, 스프링 판재(SP1,SP2,SP3)에 리벳 홀을 가공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어 판스프링의 생산공정을 보다 단순화시킬 수 있고, 특히 리벳 홀의 배제를 통해 판스프링의 내구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제1조립식 클립 111: 상단 제1관통홀
112: 하단 제1관통홀 120: 제2조립식 클립
121: 상단 제2관통홀 122: 하단 제2관통홀
130: 결속밴드 131: 제1결속부
132: 제2결속부 133: 연결부
140: 제1스페이서 141: 제1몸체부
142: 상단 제1삽입부 143: 하단 제1삽입부
144: 제1조립홈 150: 제2스페이서
151: 제2몸체부 152: 상단 제2삽입부
153: 하단 제2삽입부 154: 제2조립홈

Claims (5)

  1. 판스프링을 구성하기 위하여 적층된 구조로 배치된 여러 스프링 판재의 한 쪽 측면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상단부와 하단부가 스프링 판재 방향으로 절곡되며, 상단 제1관통홀과 하단 제1관통홀이 높이차를 두고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 제1조립식 클립;
    상기 스프링 판재를 사이에 두고 제1조립식 클립과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단부와 하단부가 스프링 판재 방향으로 절곡되며, 상기 상단 제1관통홀과 하단 제2관통홀에 각각 대응하여 마주하는 상단 제2관통홀과 하단 제2관통홀이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 제2조립식 클립; 및
    상기 스프링 판재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도록 배치된 제1,2조립식 클립의 제1,2관통홀을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제1,2조립식 클립을 결속하는 결속밴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스프링용 조립식 클립.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속밴드는,
    상기 상단 제1관통홀을 통해 두 스프링 판재의 사이로 삽입된 후 상기 상단 제2관통홀을 통해 돌출되는 제1결속부;
    상기 제1결속부와 평행한 채로 높이차를 갖도록 배치되며, 상기 하단 제1관통홀을 통해 삽입된 후 하단 제2관통홀을 통해 돌출되는 제2결속부; 및
    상기 제1결속부와 제2결속부의 일측단을 상호 연결하여 일체화시키는 연결부;로 구성되며,
    상기 상단 제2관통홀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제1결속부의 끝단과, 상기 하단 제1관통홀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제2결속부의 끝단이 제2조립식 클립에 밀착되게 접혀지면서 제1,2조립식 클립을 결속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스프링용 조립식 클립.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조립식 클립과 스프링 판재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제1조립식 클립과 스프링 판재의 접촉을 방지하는 제1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로부터 스프링 판재의 사이나 스프링 판재와 제1조립식 클립의 사이로 삽입되도록 돌출되게 형성된 제1삽입부로 이루어진 제1스페이서;
    상기 제2조립식 클립과 스프링 판재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제2조립식 클립과 스프링 판재의 접촉을 방지하는 제2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로부터 스프링 판재의 사이나 스프링 판재와 제2조립식 클립의 사이로 삽입되도록 돌출되게 형성된 제2삽입부로 이루어진 제2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스프링용 조립식 클립.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부는 상단 제1삽입부와 하단 제1삽입부로 구성되고, 상기 상단 제1삽입부는 상단 제1관통홀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하단 제1삽입부는 하단 제1관통홀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상단 제1삽입부와 하단 제1삽입부에는 결속밴드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것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삽입부는 상단 제2삽입부와 하단 제2삽입부로 구성되고, 상기 상단 제2삽입부는 상단 제2관통홀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하단 제2삽입부는 하단 제2관통홀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상단 제2삽입부와 하단 제2삽입부에는 결속밴드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것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스프링용 조립식 클립.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스페이서의 측면 중, 제1조립식 클립과 마주하여 접촉하는 외측면과 저면에는 제1조립식 클립의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조립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2스페이서의 측면 중, 제2조립식 클립과 마주하여 접촉하는 외측면과 저면에는 제2조립식 클립의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2조립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스프링용 조립식 클립.
KR1020160138461A 2016-10-24 2016-10-24 판스프링용 조립식 클립 KR201800446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461A KR20180044664A (ko) 2016-10-24 2016-10-24 판스프링용 조립식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461A KR20180044664A (ko) 2016-10-24 2016-10-24 판스프링용 조립식 클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4664A true KR20180044664A (ko) 2018-05-03

Family

ID=62245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8461A KR20180044664A (ko) 2016-10-24 2016-10-24 판스프링용 조립식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466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4380B1 (ko) * 1993-06-16 1996-04-02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탄소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560Y1 (ko) * 2005-06-17 2005-11-08 이근배 자동차용 판스프링 가로장착형 독립현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4380B1 (ko) * 1993-06-16 1996-04-02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탄소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560Y1 (ko) * 2005-06-17 2005-11-08 이근배 자동차용 판스프링 가로장착형 독립현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70763B (zh) 用于车辆的悬架系统
US8403097B2 (en) Movement limiting anti-vibration assembly
US11254335B2 (en) Bogie of a rail vehicle with at least two wheelsets mounted in axleboxes and at least one transverse member
WO1987000252A1 (en) Spring assemblies
US20160107593A1 (en) Structure for reinforcing shock absorber housing
US7025428B2 (en) Axle for vehicles, in particular commercial vehicles
KR20180044664A (ko) 판스프링용 조립식 클립
KR100518431B1 (ko) 현가 장치
KR20090039084A (ko) 이중 판상 부재를 이용한 어퍼 암
US20120187670A1 (en) Suspension system
KR102633960B1 (ko) Ctba 서스펜션의 쇽업소버 마운팅 장치
JP2016511196A (ja) 車両運転台(vehiclecab)サスペンション
CN116573048A (zh) 模块化底盘和车辆
KR101783265B1 (ko) 판재 간의 마찰방지기능을 갖는 판스프링 클립
JP2003341331A (ja) サスペンション
JP2003194147A (ja) スプリング支柱支持ベアリング
KR101526709B1 (ko) 상용차량의 현가장치
JP6477537B2 (ja) ストッパ取付構造
KR20180043482A (ko) 겹판스프링 비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 센터 라이너
US8342487B2 (en) Anti-roll leaf spring suspension
KR102579356B1 (ko) 복합재 스프링을 구비한 차량용 현가장치
JPS6236682Y2 (ko)
JPH0244112Y2 (ko)
JP6148658B2 (ja) 車体構造
WO2017110708A1 (ja) バンプストッ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