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3265B1 - 판재 간의 마찰방지기능을 갖는 판스프링 클립 - Google Patents

판재 간의 마찰방지기능을 갖는 판스프링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3265B1
KR101783265B1 KR1020150190554A KR20150190554A KR101783265B1 KR 101783265 B1 KR101783265 B1 KR 101783265B1 KR 1020150190554 A KR1020150190554 A KR 1020150190554A KR 20150190554 A KR20150190554 A KR 20150190554A KR 101783265 B1 KR101783265 B1 KR 101783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plate
vertical
leaf spring
friction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90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0901A (ko
Inventor
한진규
김태환
Original Assignee
대원강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강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강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90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3265B1/ko
Publication of KR20170080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0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3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3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 B60G11/1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characterised b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the spring to axle or sprung part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 B60G11/0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18Leaf springs
    • F16F1/26Attachments or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1Leaf spring
    • B60G2202/112Leaf spring longitudinally arran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1Mounting of leaf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ring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재 간의 마찰방지기능을 갖는 판스프링 클립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판스프링을 구성하는 판재들을 결속하도록 설치되는 클립을 이용하여 판재와 판재의 마찰이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판재 간의 마찰방지기능을 갖는 판스프링 클립을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양단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2개의 수직부로 이루어지며, 판스프링을 구성하는 판재들을 결속하는 클립몸체; 상기 두 수직부의 상단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클립볼트; 상기 클립볼트에 체결되어 클립볼트를 클립몸체에 고정하는 클립너트; 및 상기 클립볼트와 다른 위치에서 두 수직부를 관통하되, 두 판재의 사이를 지나면서 두 수직부를 관통하도록 클립몸체에 설치되는 마찰방지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각 수직부에는 수직부의 상부 끝단으로부터 아래쪽 방향으로 연장됨과 더불어 수직부를 관통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어 마찰방지부재가 수직부를 관통한 채로 상하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장방형의 제2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마찰방지부재는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판스프링을 구성하는 두 판재의 사이를 지나며 양단이 제2구멍에 결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좌우 양끝단에서 몸체부의 둘레로부터 확장된 구조로 형성되어 수직부의 바깥면에 걸리는 걸림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간의 마찰방지기능을 갖는 판스프링 클립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판재 간의 마찰방지기능을 갖는 판스프링 클립{Leaf spring clip with friction preventing function}
본 발명은 판스프링을 구성하는 여러 판재를 결속하는 판스프링 클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판재와 판재의 사이로 삽입되어 판재 간의 접촉을 방지하는 마찰방지부재를 포함하여 판재 간의 마찰방지기능을 갖는 판스프링 클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현가장치는 차체의 중량을 지지하면서 주행 중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차체 및 운전자에게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화시킴으로써, 승차감 및 주행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차체와 휠 사이에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현가장치는 구조에 따라 여러 종류가 사용되고 있으며, 일반 승용차의 경우 맥퍼슨 스트럿 방식과 더블 위시본 방식의 현가장치가 주로 사용되고 있고, 화물차나 중/대형 버스와 같은 대형차에는 판스프링 방식의 현가장치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판스프링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판스프링은 활모양으로 굽어지게 형성된 띠모양의 여러 판재가 겹쳐진 것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여러 판재 중, 가장 긴 길이를 갖는 판재를 메인으로 하여 그 하부로 순차적으로 길이가 짧은 판재들이 겹쳐진 구조를 갖도록 배치되며, 이처럼 배치되는 여러 판재들은 유볼트(20)와 클립(30)에 의해 결속된다.
참고로, 상기 유볼트(20)는 판재들의 중앙부를 결속하고, 상기 클립(30)은 보조 판재의 단부에서 판재들을 결속하도록 설치되어 판재들이 상호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클립은 ㄷ-자형으로 절곡된 구조를 가지며, 그 내부로 여러 판재들이 삽입되도록 배치되되, 개방된 부분이 위쪽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이러한 배치가 완료된 후, 상단부에 위치한 두 끝단을 볼트와 너트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판스프링은 메인 스프링의 양끝단부에 형성된 아이부가 차체에 조립되는 방식으로 차량에 장착되며, 차량의 주행과정에서 차체 또는 바퀴 측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에 의해 일직선의 형태로 펴지면서 진동이나 충격을 완화하게 되며, 하중이 없어지는 경우 축적된 탄성에너지에 의해 활모양으로 굽어진 형태로 복원되며, 이러한 판스프링의 변형은 차량의 주행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처럼 판스프링이 변형되는 과정에서 판재 간의 마찰이나 충돌이 발생할 경우, 판재의 손상 및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판재 간의 마찰이나 충돌에 의한 판재의 손상이나 소음 발생을 예방하고자 고무나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진 사이렌서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사이렌서는 판재와 판재의 사이, 즉 보조 판재의 끝단 위치에서 판재와 판재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판재 간의 마찰이나 충돌을 방지하게 된다.
도 2는 판스프링의 내구시험과정을 촬영한 사진이다.
상기 도 2는 3개의 판재가 겹쳐진 것으로 이루어진 판스프링의 내구성을 시험하는 과정에서 판스프링에 하중이 가해짐에 따라 변형된 상태를 촬영한 것으로, 해당 판스프링을 구성하는 판재와 판재의 사이에는 3㎜ 두께의 사이렌서가 설치되어 있다.
이처럼 시험대상 판스프링에는 사이렌서가 설치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판스프링이 변형되는 과정에서 A위치에 판재와 판재가 접촉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02-0030405 (2002.04.25.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판스프링을 구성하는 판재들을 결속하도록 설치되는 클립을 이용하여 판재와 판재의 마찰이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판재 간의 마찰방지기능을 갖는 판스프링 클립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양단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2개의 수직부로 이루어지며, 판스프링을 구성하도록 적층되는 여러 판재의 측면부를 일부 감싸 적층된 판재들을 결속하는 클립몸체; 상기 두 수직부의 상단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클립볼트; 상기 클립볼트에 체결되어 클립볼트를 클립몸체에 고정하는 클립너트; 및 상기 클립볼트와 다른 위치에서 두 수직부를 관통하되, 상기 클립몸체의 내부에 위치한 두 판재의 사이를 지나면서 두 수직부를 관통하도록 클립몸체에 설치되는 마찰방지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각 수직부에는 수직부의 상부 끝단으로부터 아래쪽 방향으로 연장됨과 더불어 수직부를 관통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어 마찰방지부재가 수직부를 관통한 채로 상하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장방형의 제2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마찰방지부재는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판스프링을 구성하는 두 판재의 사이를 지나며 양단이 제2구멍에 결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좌우 양끝단에서 몸체부의 둘레로부터 확장된 구조로 형성되어 수직부의 바깥면에 걸리는 걸림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간의 마찰방지기능을 갖는 판스프링 클립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판스프링의 구성하는 판재들의 상호 접촉이나 충돌을 보다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판재 간의 접촉을 방지하는 마찰방지부재가 판스프링 클립에 포함되어 함께 구성됨에 따라 판재 간의 접촉방지구조를 구현함에 있어서 수반되는 판스프링의 부피 증가를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 판스프링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 2 는 판스프링의 내구시험과정을 촬영한 사진,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판스프링 클립의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립몸체의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립몸체의 측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찰방지부재의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판스프링 클립이 판스프링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판스프링 클립의 사시도를,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립몸체의 사시도를,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립몸체의 측면도를,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찰방지부재의 사시도를,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판스프링 클립이 판스프링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판스프링 클립은 판스프링을 구성하는 판재(101,102,103)들을 결속하는 기능과 함께 판재 간의 접촉을 방지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으로, 클립몸체(110), 클립볼트(120), 클립너트(130), 마찰방지부재(140)로 구성된다.
상기 클립몸체(110)는 1개의 수평부(111)와 2개의 수직부(112,112`)로 이루어지며, 수평부(111)의 양단에 수직부(112,112`)가 일체형의 구조로 형성되되, 수평부(111)의 양끝단에서 각각의 수직부(112,112`)가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클립몸체(110)는 일부분이 개방된 ㄷ자형의 형상을 가지며, 하나의 밴드를 ㄷ자형의 절곡 성형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평부(111)에는 클립몸체(110)를 판스프링에 고정하도록 체결되는 볼트가 관통하는 홀(113)이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클립몸체(110)의 기본적인 구조는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는 판스프링 클립과 같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판스프링 클립은 클립몸체(110)를 구성하는 각각의 수직부(112,112`)에 클립볼트(120)가 설치되는 제1구멍(114)과 더불어 마찰방지부재(140)가 설치되는 제2구멍(115)이 형성된다.
상기 제1구멍(114)은 수직부(112,112`)의 상단부에서 수직부(112,112`)를 관통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클립볼트(120)의 일부가 두 수직부(112,112`)를 관통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제2구멍(115)은 제1구멍(114)과 다른 위치에서 수직부(112,112`)를 관통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어 마찰방지부재(140)의 일부가 두 수직부(112,112`)를 관통하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형성되되, 마찰방지부재(140)가 판스프링의 변형에 대응하여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직부(112,112`)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장방향의 구조로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구멍(115)은 각 수직부(112,112`)의 상부 끝단으로부터 제1구멍(114)을 경유하여 수직부(112,112`)의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수직부(112,112`)를 수직한 방향으로 절개하는 구조로 형성되며, 이때 제2구멍(115)의 폭(W)은 제1구멍(114)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절개구조의 제2구멍(115)에 따르면 클립몸체(110)의 상단부로부터 마찰방지부재(140)를 끼워 넣는 방식으로 마찰방지부재(140)와 클립몸체(110)의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클립볼트(120)는 판스프링을 구성하도록 적층된 판재의 측면부를 일부 감싸도록 클립몸체(110)의 배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두 수직부(112,112`)에 형성된 제1구멍(114)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이처럼 배치된 클립볼트(120)의 끝단에 클립너트(130)가 체결된다.
한편, 상기 클립볼트(120)와 클립너트(130)의 체결에 의해 두 수직부(112,112`)가 과도하게 모여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페이서(150)가 두 수직부(112,112`)의 사이에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스페이서(150)는 두 수직부(112,112`)의 사이에 위치하면서 두 수직부(112,112`)가 적정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더불어 그 내부로 클립볼트(120)의 일부가 관통하도록 원통형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찰방지부재(140)는 클립볼트(120)와 다른 위치에서 두 수직부(112,112`)를 관통하되, 상기 클립몸체(110)의 내부에 위치한 두 판재의 사이를 지나면서 두 수직부(112,112`)를 관통하도록 클립몸체(110)에 설치되며, 이러한 마찰방지부재(140)는 양단이 두 수직부(112,112`)에 형성된 제2구멍(115)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찰방지부재(140)는 몸체부(141)와 걸림부(142)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141)는 두 판재(101,102)의 사이에 배치되며, 클립몸체(110)를 구성하는 두 수직부(112,112`)를 관통하는 부분으로, 원형의 단면을 갖는 바-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몸체부(141)의 단면은 다각형의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마찰방지부재(140)와 판재의 접촉을 최소활 수 있도록 몸체부(141)의 단면은 원형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부(142)는 몸체부(141)의 좌우 양끝단에서 몸체부(141)와 일체형의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되, 몸체부(141)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몸체부(141)의 둘레로부터 확장된 구조로 형성되며, 이러한 걸림부(142)는 마찰방지부재(140)와 클립몸체(110)의 결합시 제2구멍(115)의 주변에서 수직부(112,112`)의 바깥면에 밀착된다.
결국, 상기와 같은 구조의 걸림부(142)가 몸체부(141)의 좌우 양끝단에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 마찰방지부재(140)가 클립몸체(110)에 결합된 경우, 두 걸림부(142)는 각 수직부(112,112`)의 바깥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마찰방지부재(140)가 길이방향으로 유동하거나 제2구멍(115)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몸체부(141)와 걸림부(142)로 구성되는 마찰방지부재(140)는 고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판스프링 클립은 일반적인 판스프링 클립과 마찬가지로 설치된다.
예컨대, 도 7에는 판스프링을 구성하는 3개의 판재(101,102,103)가 클립몸체(11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판스프링 클립이 배치되고, 최하부에 위치한 판재(103)에 수평부(111)가 볼트에 의해 고정되며, 판스프링의 상부로 돌출된 두 수직부(112,112`)가 클립볼트(120)와 클립너트(130) 체결에 의해 결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아울러, 도 7에는 마찰방지부재(140)가 메인 판재(101)와 보조 판재(102)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클립몸체(110)에 설치되어 메인 판재(101)와 보조 판재(102)의 접촉을 방지하도록 설치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처럼 메인 판재(101)와 보조 판재(102)의 사이에 위치한 마찰방지부재(140)는 메인 판재(101)와 보조 판재(102)가 상호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판재의 손상이나 소음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마찰방지부재(140)의 설치는 판스프링에 클립몸체(110)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메인 판재(101)와 보조 판재(102)의 사이에 마찰방지부재(140)를 먼저 배치하여 두고, 클립몸체(110)를 판스프링 조립하는 과정에서 마찰방지부재(140)의 양단이 제2구멍(115)으로 삽입도록 함으로써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구멍(115)은 장방형의 슬롯 구조로 형성되므로, 마찰방지부재(140)를 특정 위치에 국한되지 않고 판스프링의 형상이나 규격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게 되며, 또한 판스프링의 변형에 대응하여 마찰방지부재(140)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그 위치가 조절되게 함으로써 판스프링의 변형에 따른 마찰방지부재(140)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마찰방지부재(140)가 제2구멍(115)에 고정되어 움직임이 구속된 경우, 판스프링의 변형시 마찰방지부재(140)가 휘거나 늘어나면서 손상되는 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2구멍(115)을 장방형의 슬릿 구조로 형성하게 되면, 판스프링 변형에 대응하여 마찰방지부재(140)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그 위치가 자동으로 조절되므로, 마찰방지부재(14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클립몸체 111: 수평부
112, 112`: 수직부 113: 홀
114: 제1구멍 115: 제2구멍
120: 클립볼트 130: 클립너트
140: 마찰방지부재 141: 몸체부
142: 걸림부 150: 스페이서

Claims (5)

  1.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양단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2개의 수직부로 이루어지며, 판스프링을 구성하도록 적층되는 여러 판재의 측면부를 일부 감싸 적층된 판재들을 결속하는 클립몸체;
    상기 두 수직부의 상단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클립볼트;
    상기 클립볼트에 체결되어 클립볼트를 클립몸체에 고정하는 클립너트; 및
    상기 클립볼트와 다른 위치에서 두 수직부를 관통하되, 상기 클립몸체의 내부에 위치한 두 판재의 사이를 지나면서 두 수직부를 관통하도록 클립몸체에 설치되는 마찰방지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각 수직부에는 수직부의 상부 끝단으로부터 아래쪽 방향으로 연장됨과 더불어 수직부를 관통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어 마찰방지부재가 수직부를 관통한 채로 상하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장방형의 제2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마찰방지부재는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판스프링을 구성하는 두 판재의 사이를 지나며 양단이 제2구멍에 결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좌우 양끝단에서 몸체부의 둘레로부터 확장된 구조로 형성되어 수직부의 바깥면에 걸리는 걸림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간의 마찰방지기능을 갖는 판스프링 클립.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50190554A 2015-12-31 2015-12-31 판재 간의 마찰방지기능을 갖는 판스프링 클립 KR101783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554A KR101783265B1 (ko) 2015-12-31 2015-12-31 판재 간의 마찰방지기능을 갖는 판스프링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554A KR101783265B1 (ko) 2015-12-31 2015-12-31 판재 간의 마찰방지기능을 갖는 판스프링 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0901A KR20170080901A (ko) 2017-07-11
KR101783265B1 true KR101783265B1 (ko) 2017-10-10

Family

ID=59354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0554A KR101783265B1 (ko) 2015-12-31 2015-12-31 판재 간의 마찰방지기능을 갖는 판스프링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32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7419B1 (ko) * 2018-04-05 2019-09-02 이치선 각관을 원터치 방식의 연결관으로 연결하는 집성 원목 결합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3471Y1 (ko) * 1994-07-18 1999-08-02 정몽규 리프스프링
US20090039611A1 (en) * 2007-08-07 2009-02-12 Johns Stephen J Suspension System Shackle Link with Shock Absorb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3471Y1 (ko) * 1994-07-18 1999-08-02 정몽규 리프스프링
US20090039611A1 (en) * 2007-08-07 2009-02-12 Johns Stephen J Suspension System Shackle Link with Shock Absor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0901A (ko) 2017-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3891B2 (en) Suspension system shackle link with shock absorber
KR101783265B1 (ko) 판재 간의 마찰방지기능을 갖는 판스프링 클립
CN106114107B (zh) 用于车辆的耦接扭力梁轴
KR20070005087A (ko) 판 스프링 구조
JP2015093621A (ja) 板バネ式サスペンションを補助する補助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1724479B1 (ko) 차량용 리프 스프링
CN203186017U (zh) 一种汽车双横臂独立悬架机构
US3028156A (en) Vehicle helper and stabilizing spring
US9016705B2 (en) Leaf spring and mount
KR101526709B1 (ko) 상용차량의 현가장치
WO2007073285A1 (en) Support structure for mounting on a frame of a vehicle
JPH0319626Y2 (ko)
KR101490734B1 (ko) 판스프링용 다기능 사이렌서
KR20180043482A (ko) 겹판스프링 비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 센터 라이너
KR20100045797A (ko) 차량용 리프 스프링 마운팅 유닛
CN219277175U (zh) 具有板簧导向臂的空气弹簧悬架系统
KR102579356B1 (ko) 복합재 스프링을 구비한 차량용 현가장치
US1603597A (en) Shock absorber
KR102298969B1 (ko) 진동 감쇠용 마운트
US1631222A (en) Shock absorber
JP2023032428A (ja) リーフスプリング
KR101497914B1 (ko) 판스프링용 h형 사이렌서
KR20180044664A (ko) 판스프링용 조립식 클립
EP2743158A1 (en) Structure for supporting suspension devices for vehicle
KR19990043287A (ko) 스프링상수 증대를 위한 버스의 현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