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3636A - 도어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개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3636A
KR20180043636A KR1020160136595A KR20160136595A KR20180043636A KR 20180043636 A KR20180043636 A KR 20180043636A KR 1020160136595 A KR1020160136595 A KR 1020160136595A KR 20160136595 A KR20160136595 A KR 20160136595A KR 20180043636 A KR20180043636 A KR 20180043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oor
unit
door opening
rf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6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동용
조대한
Original Assignee
정동용
조대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동용, 조대한 filed Critical 정동용
Priority to KR1020160136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3636A/ko
Publication of KR20180043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36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bell or annunciator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using wireless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04M1/72533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84Key or electric means; Emergency relea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 E05B2047/0095Mechanical aspects of locks controlled by telephone signals, e.g. by mobile 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단말기에 방문자 호출 여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도어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설물의 도어를 개폐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도어 개폐 장치에 있어서, 시설물 내에 위치한 각 호실의 ID나, 비밀 번호를 포함한 문자 및 기호를 입력 가능하게 형성되는 키입력부, 상기 키입력부에 입력되는 문자를 포함한 문자 및 기호를 포함한 표시하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 외부와 통신 가능한 통신망과 연결되는 통신부, 및 상기 키입력부에 시설물 내에 위치한 특정 호실의 ID가 입력시, 상기 키입력부에서 입력된 ID에 대응되어 기 저장된 통신 가능한 특정 단말기에 개폐 여부에 대한 신호를 보내도록, 상기 통신부에 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도어 개폐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도어 개폐 장치{OPENING AND CLOSING APPRATUS}
본 발명은 도어 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부 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단말기에 방문자 호출 여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도어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시설물의 출입을 제어하는 도어를 개폐 하는 도어 개폐 장치는 일반적으로 인터폰과 연계된다. 도어 개폐 장치는 접촉식 도어 개폐 장치와, 비접촉식 도어 개폐 장치로 구별될 수 있다.
접촉식 도어 개폐 장치 중 비밀번호 입력식 도어 개폐 장치는 도어 개폐 장치에 비밀 번호를 입력하여, 기 저장된 비밀 번호와 일치 여부를 확인한 후 비밀 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도어가 개방된다. 비접촉식 도어 개폐 장치는 스마트폰 등을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 또는 상용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도어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실내에 거주자가 없는 경우 이동통신사의 연결서버에 의해 원거리에 위치한 거주자의 휴대폰과 도어 개폐 장치를 연결할 수 있는 도어 개폐 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발되고 있다.
그런데, 접촉식 도어 개폐 장치는 비밀 번호가 오픈되어 비밀성을 잃어버리는 경우, 외부인의 출입이 쉬워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비접촉식 도어 개폐 장치는 근거리 통신 또는 상용 무선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폰 등을 항상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다. 나아가, 이동통신사의 연결서버와 연결되는 도어 개폐 장치의 경우, 통신사 서버와 연결됨에 따라 관리비가 증가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기존에는 시설물을 건축할 때, 실내 도어폰과 실외 도어폰을 연결하는 건물 내에 내선라인이 필요했으며, 여기에 상당한 비용이 투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필요를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접촉식, 비접촉식 도어 개폐 장치에서 사용되는 도어 개방을 위한 방식을 유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도어 개폐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이동통신사의 연결서버와 연결되지 않고도 원거리에 위치한 거주자의 휴대폰 등으로 신호를 송출할 수 있는 도어 개폐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실내 도어폰 및 실외 도어폰을 연결하는 건물 내의 라인을 배선하지 않고도 도어 개폐 장치 및 거주자가 소지하는 단말기를 연결할 수 있는 도어 개폐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도어 개폐 장치는, 시설물의 도어를 개폐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도어 개폐 장치에 있어서, 시설물 내에 위치한 각 호실의 ID나, 비밀 번호를 포함한 문자 및 기호를 입력 가능하게 형성되는 키입력부, 상기 키입력부에 입력되는 문자를 포함한 문자 및 기호를 포함한 표시하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 외부와 통신 가능한 통신망과 연결되는 통신부, 및 상기 키입력부에 시설물 내에 위치한 특정 호실의 ID가 입력시, 상기 키입력부에서 입력된 ID에 대응되어 기 저장된 통신 가능한 특정 단말기에 개폐 여부에 대한 신호를 보내도록, 상기 통신부에 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특정 단말기는 스마트폰이며, 개폐 여부에 대해서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설물 내에 위치한 각 호실의 ID와, 도어를 개폐 가능하게 비밀 번호 및 상기 각 호실의 각 ID와 대응되는 단말기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 가능한 메모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각 호실의 각 ID와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기 중 기 설정된 순번에 따라 순차적으로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의 전면을 향하는 영상을 촬영가능한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기 저장된 통신 가능한 특정 단말기에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 중 어느 하나를 보내는 것을 선택하기 위한 표시를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입력부에 입력되는 선택에 의해, 선택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기 저정된 통신 가능한 특정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키입력부에 시설물 내에 위치한 특정 호실의 ID가 입력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 가능한, 시설물 내에 위치한 각 호실의 ID에 대응되는 사진이나 그림 정보를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 호실의 ID에 대응되는 사진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RFID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RFID 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부는 입력 신호에 따라 새로운 RFID의 신호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저장된 RFID의 신호가 상기 RFID 수신부에 수신되면 도어를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된 RFID의 신호가 상기 RFID 수신부에 수신되어 도어가 개폐되는 경우, 기 저장된 통신 가능한 특정 단말기에 도어 개방에 대한 알림을 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어 개폐 장치에 따르면, 비밀 번호 입력, RFID 카드의 터치 및 안면 인식 등 다양한 방식 중에서 유동적으로 선택하여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어, 거주자가 가장 편한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나아가, 각 세대의 거주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어, 도어 개폐 장치의 보안성이 더 높아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어 개폐 장치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는 외부 통신망에 연결되고, 외부 통신망에서는 무선으로 스마트폰 등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푸쉬(PUSH)알림 방식을 이용하여 이동 통신사의 연결서버와 연결되지 않고도 원거리에 위치한 거주자의 휴대폰 등으로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어 개폐 장치에 따르면, 외부 통신망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도어 개폐 장치로부터 외부 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가 휴대하거나 사용자의 세대 내에 배치된 단말기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으므로, 실내 도어폰 및 실외 도어 개폐 장치를 연결하는 라인을 건물 내에 배선하지 않아도 되므로, 건축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장치가 시설물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장치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나타나는 UI(User Interface)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 장치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장치가 시설물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장치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도어 개폐 장치(100)는 아파트나 빌라와 같은 여러 세대가 분리되어 있는 시설물(10)의 도어(20)를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20)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장치이다. 상술하였던 바와 같이 기존의 도어 개폐 장치(100)는 시설물(10) 내부에 배선이 필요하며, 상기 배선은 각 세대로 연결되어야 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도어 개폐 장치(100)는 외부의 통신망(200)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각 세대의 통신 가능한 단말기(300)로 신호를 연결하여, 배선에 들어가는 설치비를 저감시킬 수 있으며, 무선으로 도어(20) 개폐 신호를 전달하여 각 세대 내에서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도 방문자의 출입을 확인할 수 있는 보다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어 개폐 장치(100)는 키입력부(110), 디스플레이부(120), 통신부(130), 제어부(140), 메모리부(150), 카메라(160),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수신부(170), 및 스피커(182)와 마이크(184)를 포함하는 음향부(180)를 포함한다.
키입력부(110)는 시설물(10) 내에 위치한 각 호실의 ID나, 비밀 번호를 포함한 문자 및 기호를 입력가능하게 형성된다. 키입력부(110)는 숫자 키, * 키, # 키, 승인(OK)키, 좌 선택키, 우 선택키 및 호출 키를 포함한다. 다만,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키버튼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20)와의 연동을 통해 디스플레이부(120)에 나타난 키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다양한 입력이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부(120)는 키입력부(110)에 입력되는 문자를 포함한 문자 및 기호를 포함한 표시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0)는 기 저장된 통신 가능한 특정 단말기(300)에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 중 어느 하나를 보내는 것을 선택하기 위한 표시를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에 자세하게 기술한다.
통신부(130)는 외부와 통신 가능한 통신망(200)과 연결된다. 통신부(130)는 후술한 제어부(140)의 신호를 받아 각 세대의 ID에 대응되는 통신 가능한 단말기(300)로 방문자의 호출을 알리는 신호를 보내도록 외부와 통신 가능한 통신망(200)과 연결된다. 통신부(130)와 외부 통신망(200)과의 연결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가능하다. 다만, 외부 통신망(200)과 각 세대의 ID에 대응되는 통신 가능한 단말기(300)는 신호를 무선으로 주고 받도록 이루어진다.
제어부(140)는 키입력부(110)에 시설물(10) 내에 위치한 특정 호실의 ID가 입력 시, 키입력부(110)에서 입력된 ID에 대응되어 기 저장된 통신 가능한 특정 단말기(300)에 개폐 여부에 대한 신호를 보내도록, 통신부(130)에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방문자가 도어 개폐 장치(100)에 해당 호실의 ID를 입력한 후 호출 키를 누르게 되면, 제어부(140)는 입력된 해당 호실의 ID에 대응되는 특정 단말기(300)에 개폐 여부에 대한 신호를 보내게 된다.
제어부(140)는 키입력부(110)에 입력되는 선택에 의해, 선택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 중 어느 하나를 기 저정된 통신 가능한 특정 단말기(3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에 자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통신 가능한 특정 단말기(300)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또한, 도어(20)의 개폐 여부에 대해서는 해당 스마트폰이 다운로드 받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내에서 구동될 수 있다. 특정 어플리케이션은 해당 시설물(10)에 입주한 구성원들이 다운로드 받아 인증을 거친 뒤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통신망에서 상술한 특정 어플리케이션으로 신호를 보내면, 어플리케이션에서 스마트폰으로 푸시(PUSH)형태의 알림이 나타나며 사용자가 이를 수신하여 신호에 응답할 수 있다.
메모리부(150)는 시설물(10) 내에 위치한 각 호실의 ID와, 도어(20)를 개폐 가능하게 비밀 번호 및 각 호실의 각 ID와 대응되는 단말기(300)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메모리부(150)에는 각 호실의 각 ID와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300)의 정보가 저장된다. 메모리부(150)는 키입력부(110)에 시설물(10) 내에 위치한 특정 호실의 ID가 입력시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표시 가능한, 시설물(10) 내에 위치한 각 호실의 ID에 대응되는 사진이나 그림 정보를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160)는 도어(20)의 전면을 향하는 영상을 촬영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메라(160)는 도어 개폐 장치(100) 앞 쪽의 영상을 촬영 가능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카메라(160)는 도어 개폐 장치(100)를 작동 시키는 방문자를 촬영하고, 제어부는 이러한 영상 정보를 방문자가 누르는 특정 ID에 대응되는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RFID 수신부(170)는 RFID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RFID 수신부(170)는 RFID가 포함된 카드 등을 인식하여 도어(20)를 개폐할 수 있다. 메모리부(150)에는 특정 RFID를 저장하여 도어(20)의 개폐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설물(10)에 거주하고 있는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버스카드나 신용카드 등에 담긴 RIFD 카드를 메모리부(150)에 저장하고, 저장된 버스카드나 신용카드 등을 이용하여 도어(20)를 개폐하게 할 수 있다.
음향부(180)는 스피커(182)와 마이크(184)를 포함한다. 스피커(182)는 사용자의 단말기(300)로부터 나오는 음성 및 도어 개폐 장치(100)로부터 안내되는 음성을 포함하는 소리가 나올 수 있다. 마이크(184)는 스피커(182)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184)는 도어 개폐 장치(100)를 조작하는 방문자의 음성이 통신 가능한 단말기(300)로 전송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도어 개폐 장치(100)의 구동에 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어 개폐 장치(100)가 키입력부(110)를 통해 각 세대의 ID를 입력받아 호출되면, 제어부(140)는 각 세대의 ID에 대응되는 통신 가능한 단말기(300)로 알람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외부 통신망(200)으로 신호를 해당 신호를 전달한다. 제어부(140)는 각 세대의 ID에 해당하는 순번이 앞선 사용자 단말기(300)에 해당하는 단말기(300)로 신호를 보내므로, 외부 통신망(200)은 도어 개폐 장치(100)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 1(310)에 전달하게 된다.
이 때, 사용자 단말기 1(310)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신호를 받게 되면 도어(20) 개폐를 위한 신호를 다시 외부 통신망(200)을 통해 전달할 수 있다. 도어(20)를 열기 위한 신호가 외부 통신망(200)을 통하여 도어 개폐 장치(100)에 도달하게 되면, 도어 개폐 장치(100)는 도어(20)를 열게 된다.
제어부(140)는 하나 이상의 단말기(300) 중 기 설정된 순번에 따라 순차적으로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 1(310)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신호에 응답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기 1(310)에 신호를 보낸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도어 개폐 장치(100)의 제어부(140)는 사용자 단말기 1(310)로 보내는 신호를 중지하고, 세대의 ID에 대응되는 통신 가능한 단말기 2(320)로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기 2(320)에서 신호에 대한 응답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제어부(140)는 사용자 단말기 3(330)으로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제어부(140)는 메모리부(150)에 저장된 해당 세대 ID에 대응되는 통신 가능한 단말기(300)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신호를 보낼 수 있다. 그리고, 저장된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응답 신호가 도달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40)는 다시 순차적으로 사용자 단말기 1(310)로 신호를 보낼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설정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300)들로 보내는 신호의 횟수나 시간 등이 조절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20)에 나타나는 UI(User Interface)를 나타낸 개념도들이다.
도 4a는 메모리부(150)에 각 세대 ID에 대응되는 특정 단말기(300)의 번호를 저장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도어 개폐 장치(100)에서 특정 단말기(300)에 영상 신호를 보낼지, 음성 신호를 보낼지 선택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c는 도어 개폐 장치(100)를 이용하여 특정 세대 ID를 호출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20)에 나타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d는 도어 개폐 장치(100)를 이용하여 특정 세대 ID에 RFID를 등록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4e는 카메라(160)를 이용하여 특정 세대 ID에 해당하는 사진을 저장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어 개폐 장치(100)를 관리할 수 있는 모드로 들어가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40)에서 각 단말기(300)에 신호를 전달하는 순서, 반복하는 횟수 또는 반복하는 시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모드에서는 도어 개폐 장치(100)의 메모리부(150)에 사용자 단말기(300) 정보, 세대 ID에 따른 사진 정보, 세대 ID에 따른 RFID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도어 개폐 장치(100)의 관리자 모드는 마스터 RFID 키나, 마스터 비밀번호 등으로 조작할 수 있다.
먼저 도 4a를 참조하면, 관리자 모드에서 각 세대 ID에 따른 단말기(300) 번호를 입력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203호라는 세대 ID에 1번 단말기(300)의 번호, 2번 단말기(300)의 번호 및 3번 단말기(300)의 번호가 입력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동 단말기(300) 번호의 경우, 스마트폰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인증을 통한 후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이동 단말기(300)의 통신사의 회선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인터넷을 통한 외부 통신망(200)에서 스마트폰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300)에 알림을 보낼 수 있다. 또한, 지역번호를 포함하는 전화번호의 경우, 인터넷을 이용하여 신호를 보낼 수 있는 서버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3개의 번호를 저장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 개폐 장치(100)의 제어부(140)는 1번 단말기(310), 2번 단말기(320), 3번 단말기(330)로 순차적으로 일정시간 동안 신호를 보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b를 참조하면, 방문자가 도어 개폐 장치(100)를 이용하여 특정 세대 ID를 입력하여 호출하는 경우, 해당 단말기(300)로 영상 신호를 보낼지 음성 신호를 보낼지 선택할 수 있다. 방문자는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는 모양을 보고, 1번을 누르는 경우 영상과 음성을 함께 단말기(300)에 보낼 수 있으며, 음성을 선택하는 경우 음성만 보낼 수 있다. 한편, 선택하지 않는 경우 기본적으로 영상 신호를 보낼지 음성 신호를 보낼지에 대해서 관리자 모드에서 각 세대 ID 별로 설정이 가능하다. 나아가, 수신받을 단말기(300)에서 영상 신호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도어 개폐 장치(100)의 제어부(140)는 자동으로 영상 신호를 선택하더라도 음성 신호만을 송신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4c를 참조하면, 방문자가 도어 개폐 장치(100)를 이용하여 특정 세대 ID를 입력하여 호출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120)에 나타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방문자가 선택한 특정 세대 ID(320호) 가 표시되며, 해당 세대 ID에서 저장해 놓은 사진이 디스플레이부(120)의 한 쪽에 표시될 수 있다. 도어 개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20)에 이러한 사진 등을 표시함으로써, 방문자가 호출 세대 ID를 잘못 입력하는 경우 취소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만, 특정 세대 ID에 해당하는 사진 등이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디스플레이부(120)에는 다른 그림 등이 표시되거나 아무런 표시가 되지 않을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4d를 참조하면, 도어 개폐 장치(100)를 이용하여 특정 세대 ID에 RFID를 등록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메모리부(150)는 입력 신호에 따라 새로운 RFID의 신호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제어부(140)는 저장된 RFID의 신호가 RFID 수신부(170)에 수신되면 도어(20)를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어 개폐 장치(100)의 관리자 모드에서는 특정 세대 ID에 해당하는 RFID를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명의 사용자가 하나의 특정 세대에 거주하는 경우, 2명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버스카드나 신용카드에 등록된 RFID를 도어 개폐 장치(100)에 등록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711호에 1번 카드 및 2번 카드가 등록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르는 도어 개폐 장치(100)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자신이 평소에 사용하는 RFID 카드를 통하여 쉽게 도어(20)를 개폐 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RFID 카드를 통한 도어(20) 개폐는 RFID 카드를 분실함으로써, 도어(20) 개폐의 보안에 위험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40)는 저장된 RFID의 신호가 RFID 수신부(170)에 수신되어 도어(20)가 개폐되는 경우, 기 저장된 통신 가능한 특정 단말기(300)에 도어(20) 개방에 대한 알림을 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RFID 카드로 도어(20)가 개폐되는 경우 상술한 기 저장된 특정 단말기(300)의 1번 단말기(300)로 해당 도어(20) 개폐 내용에 대한 사실이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RFID 카드를 이용하여 도어(20)가 개폐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전송 여부 및 전송되는 단말기(300)를 제어부(140)를 통해 지정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4e를 참조하면, 카메라(160)를 이용하여 특정 세대 ID에 해당하는 사진을 저장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카메라(160)는 각 호실의 ID에 대응되는 사진을 촬영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관리자 모드에서는 카메라(160)를 이용하여 특정 세대 ID에 거주하는 사용자의 얼굴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메모리부(150)는 촬영된 사진을 저장할 수 있다. 관리자 모드에서는 저장된 사진의 활용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된 사진을 도어(20)를 개폐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방문자 또는 거주자는 도어 개폐 장치(100)에 특정 버튼을 누르거나, 관리자 모드에서 자동으로 사용자가 도어 개폐 장치(100)에 가까이 오는 경우 카메라(160)가 작동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작동된 카메라(160)는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게 되고, 인식된 얼굴이 도어(20) 개폐를 승인받은 기 저장된 사진과 일치하는 경우 제어부(140)는 도어(20)를 열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얼굴 인식으로 도어(20)가 개폐되는 경우, 상술한 RFID를 이용하여 도어(20)를 여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특정 단말기(300)에 해당 내용이 전송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저장된 사진은 방문자가 해당 특정 세대 ID를 호출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20)에 나타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 특정 세대 ID를 임의로 호출하여 거주자의 개인정보가 노출될 수 있으므로, 특정 세대 ID가 호출되는 경우에도 사진이 나타나지 않도록 제어부(140)를 조작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
한편, 카메라(160)는 사람의 얼굴을 인식하는 것에서 나아가 사용자의 홍채를 인식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메모리부(150)는 사용자의 홍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된 홍채 정보는 도어 개폐 장치(100)에 가까이 다가오는 사용자의 홍채 정보와의 일치 여부를 통하여 도어(20)를 개폐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시설물
20 : 도어
100 : 도어개폐장치
110 : 키입력부
120 : 디스플레이부
130 : 통신부
140 : 제어부
150 : 메모리부
160 : 카메라
170 : RFID 수신부
180 : 음향부
200 : 외부 통신망
300 : 사용자 단말기

Claims (11)

  1. 시설물의 도어를 개폐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도어 개폐 장치에 있어서,
    시설물 내에 위치한 각 호실의 ID나, 비밀 번호를 포함한 문자 및 기호를 입력가능하게 형성되는 키입력부;
    상기 키입력부에 입력되는 문자를 포함한 문자 및 기호를 포함한 표시하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
    외부와 통신 가능한 통신망과 연결되는 통신부; 및
    상기 키입력부에 시설물 내에 위치한 특정 호실의 ID가 입력시, 상기 키입력부에서 입력된 ID에 대응되어 기 저장된 통신 가능한 특정 단말기에 개폐 여부에 대한 신호를 보내도록, 상기 통신부에 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도어 개폐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단말기는 스마트폰이며, 개폐 여부에 대해서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루어지는, 도어 개폐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물 내에 위치한 각 호실의 ID와, 도어를 개폐 가능하게 비밀 번호 및 상기 각 호실의 각 ID와 대응되는 단말기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 가능한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는, 도어 개폐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각 호실의 각 ID와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기 중 기 설정된 순번에 따라 순차적으로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도어 개폐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도어의 전면을 향하는 영상을 촬영가능한 카메라를 포함하는, 도어 개폐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기 저장된 통신 가능한 특정 단말기에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 중 어느 하나를 보내는 것을 선택하기 위한 표시를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입력부에 입력되는 선택에 의해, 선택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기 저정된 통신 가능한 특정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도어 개폐 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키입력부에 시설물 내에 위치한 특정 호실의 ID가 입력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 가능한, 시설물 내에 위치한 각 호실의 ID에 대응되는 사진이나 그림 정보를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도어 개폐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호실의 ID에 대응되는 사진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도어 개폐 장치.
  9. 제3 항에 있어서,
    RFID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RFID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도어 개폐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입력 신호에 따라 새로운 RFID의 신호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저장된 RFID의 신호가 상기 RFID 수신부에 수신되면 도어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도어 개폐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된 RFID의 신호가 상기 RFID 수신부에 수신되어 도어가 개폐되는 경우, 기 저장된 통신 가능한 특정 단말기에 도어 개방에 대한 알림을 보내도록 구성되는, 도어 개폐 장치.
KR1020160136595A 2016-10-20 2016-10-20 도어 개폐 장치 KR201800436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6595A KR20180043636A (ko) 2016-10-20 2016-10-20 도어 개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6595A KR20180043636A (ko) 2016-10-20 2016-10-20 도어 개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636A true KR20180043636A (ko) 2018-04-30

Family

ID=62080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6595A KR20180043636A (ko) 2016-10-20 2016-10-20 도어 개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363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0817B2 (en) Remote guest access to a secured premises
KR100373449B1 (ko) 원격 출입 보안 시스템
KR101490583B1 (ko)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KR101801200B1 (ko) 스마트 초인종 시스템
KR101725083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841938B1 (ko) 스마트 폰을 이용한 자동 출입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53760A (ko)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도어폰 원격제어 방법 및 장치
JP5140623B2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6795833B2 (ja) 集合住宅用通話管理システム
JP2015074938A (ja) 集合用インターホン装置及びオートロック扉用の無線認証装置
JP4945356B2 (ja) 電気錠システム
KR101706041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어락 제어방법 및 그의 도어락 장치
JP2011097381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09182638A (ja)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CN103974377B (zh) 无线网络连接方法及装置
KR20180043636A (ko) 도어 개폐 장치
KR200192740Y1 (ko) 원격 출입 보안 시스템
KR20160131676A (ko) 가정 보안 시스템
JP2019193124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9193095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20140122993A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도어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어제어방법
JP2012205040A (ja) ホテル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20030042479A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원격도어개폐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20030082672A (ko) 외부의 이동통신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도어폰 시스템
KR20010108894A (ko) 지능형 도어비디오폰 및 이를 이용한 도어원격개방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