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2676A -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2676A
KR20180042676A KR1020160135149A KR20160135149A KR20180042676A KR 20180042676 A KR20180042676 A KR 20180042676A KR 1020160135149 A KR1020160135149 A KR 1020160135149A KR 20160135149 A KR20160135149 A KR 20160135149A KR 20180042676 A KR20180042676 A KR 20180042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ibration
cut
cutting
body portion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5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5586B1 (ko
Inventor
노성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60135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5586B1/ko
Publication of KR20180042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2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5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5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6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8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remo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22D11/20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removing cast sto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처리물의 이송 경로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개의 절단부, 상기 몸체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주행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절단부가 각각 지지되는 작동부, 및 상기 몸체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절단부의 외측에서 상기 몸체부에 각각 지지되는 교정부를 포함하고, 처리물의 절단면에 단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교정부를 이용하여 상기 절단부의 정렬상태를 교정할 수 있는 절단장치가 제시된다.

Description

절단장치{Cutting machine}
본 발명은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처리물의 절단 시 처리물의 절단면에 단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절단부의 정렬상태를 교정할 수 있는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슬래브는 일관제철소의 연주설비에서 연속으로 인발되며 소정의 온도로 냉각되고, 토치 절단기에서 수요자의 주문에 맞춰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다.
토치 절단기는 두 개의 토치를 구비하고, 두 개의 토치는 한 쌍을 이루어 슬래브를 폭 방향으로 절단하는데, 이 두 개의 토치는 슬래브의 폭 방향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슬래브의 중심 측으로 이동하면서 하측으로 고압의 산소와 화염을 분사하여 슬래브의 절단면을 산화 용융시켜 폭 방향으로 수직 절단한다.
한편, 토치가 장착 고정된 토치 절단기의 클램프 부분이 열에 의해 변형되거나 외력에 의해 기계적으로 풀어지는 등의 이유로, 슬래브의 연장 방향(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토치의 자세나 위치가 최초 설정된 자세나 위치와 달라질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두 개의 토치가 슬래브의 절단 방향(폭 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정렬되지 않고 틀어질 수 있다.
두 개의 토치를 슬래브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중심 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슬래브를 폭 방향으로 수직 절단하는 토치 절단기의 특성상, 두 개의 토치가 폭 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정렬되지 않고 틀어진 상태로 슬래브를 절단하게 되면, 슬래브의 절단면에 단차가 발생한다.
슬래브의 절단면에 단차가 발생하면 후속 공정인 압연 공정에서 슬래브의 절단면 단차 부분이 비정형으로 압연되어 슬래브의 헤드부나 테일부 부근에 요철이나 흠과 같은 결함이 생기는 등 압연 공정의 실수율이 저하된다. 이는 결국 전체 공정의 생산 비용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종래에는 연주설비나 토치 절단기 등의 정비를 위해 토치 절단기의 작동이 정지되었을 때 작업자가 토치 절단기가 설치된 장소로 이동하여 직접 토치 간의 정렬을 교정하였다.
KR 10-0601198 B1
본 발명은 단순한 구조를 이용한 간단한 방식으로 절단부의 자세 또는 위치를 신속하게 교정할 수 있는 절단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설비의 작동 중 절단부의 자세 또는 위치를 교정할 수 있는 절단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절단부의 교정과 처리물의 절단을 대기 시간 없이 연속하여 실시할 수 있는 절단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절단장치는, 처리물의 이송 경로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이격 배치되되, 작동부를 매개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복수개의 절단부; 및 상기 몸체부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절단부의 외측에서 상기 몸체부에 각각 지지되는 교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작동부는 상기 몸체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주행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절단부가 각각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이송 경로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절단부는 상기 몸체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몸체부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작동부에 장착되며, 상기 교정부는 상기 몸체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이송 경로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일직선상에 정렬되어 상기 작동부의 주행 시 상기 절단부가 접촉 가능하고, 상기 교정부와 절단부의 접촉에 의해 절단부의 정렬상태가 폭 방향의 일직선 상에 틀어짐 없이 교정될 수 있다.
상기 교정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처리물의 절단 시작위치 상에 정렬된 상기 절단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교정부는, 상기 이송 경로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교정부재; 및 상기 절단부를 마주보는 상기 교정부재의 단부를 상기 몸체부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교정부재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교정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정부는, 상기 교정홈의 내벽 사이의 너비가 상기 교정홈의 입구측으로 갈수록 커지도록 형성되는 가이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정홈의 내벽 사이의 너비는 오차 범위 내에서 상기 절단부의 외경 크기에 일치할 수 있다.
상기 교정홈은 교정 종료위치 상에 정렬된 상기 절단부에서 이격될 수 있는 깊이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단순한 구조를 이용한 간단한 방식으로 절단부의 자세 또는 위치를 신속하게 교정하여 절단부의 폭 방향의 정렬상태를 교정할 수 있다. 또한, 절단장치가 설치된 처리설비의 작동 중 절단부의 자세 또는 위치를 교정하여 절단부의 폭 방향의 정렬상태를 교정할 수 있다. 또한, 절단부의 교정과 처리물의 절단을 대기 시간 없이 연속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제철소의 연속주조 공정에 적용되면, 연속으로 인발되는 주편을 절단장치에서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과정이 반복되는 중에, 절단장치의 토치(절단부)를 폭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주편의 폭 방향 외측에 각각 마련된 교정부의 교정홈 내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토치의 자세 또는 위치를 정자세 또는 정위치로 신속하게 교정한 이후 주편의 절단을 대기 시간 없이 연속하여 실시할 수 있다.
즉, 주편의 폭 방향 외측에 단순한 구조로 마련된 교정부에 토치들을 폭 방향으로 이동시켜 삽입하는 간단한 방식으로, 연속주조 공정 중에 토치들을 정자세 또는 정위치로 신속하게 교정하여 토치들을 폭 방향으로 연장된 일직선상에 정확하게 정렬시킬 수 있기에, 주편의 절단 시 절단면에 단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교정홈의 입구측에서 교정홈의 내부 중심측으로 갈수록 그 너비가 좁아지도록 교정부의 입구측 내벽에 경사진 가이드면을 설치하여 교정홈의 내부로 토치를 삽입하는 동안 가이드면을 따라 슬립시켜 원활하게 토치를 삽입 및 교정할 수 있다.
또한, 토치가 폭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교정홈의 내부로 삽입되는 동안 광학부와 센서부에 의해 토치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그 결과에 따라 타격부로 토치를 길이 방향으로 가압하거나 타격하여 토치의 틀어짐이 심할 경우에도 토치를 교정홈의 내부로 원활하게 안내하여 교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단장치 및 처리설비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단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단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단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정부의 개략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정부의 작동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교정부 및 타격부의 작동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비교 예 및 실시 예에 따른 절단장치로 처리물을 절단하여 그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처리물의 절단 시 절단면에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절단부의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철소의 연속주조 공정에서 사용되는 토치 절단기(Torch Cutting Machine; TCM)를 기준으로 하여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물론, 본 발명은 토치나 버너 등의 다양한 절단수단을 이용하여 각종 처리물을 절단하는 여러 산업 분야의 각종 처리설비 등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단장치 및 처리설비의 개략도이다.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처리설비를 설명한다. 처리설비는 예컨대 연속주조 설비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설비가 연속주조 설비일 경우, 처리설비는 용강이 담기는 래들(10), 래들(10)의 용강을 공급받아 임시저장하는 턴디시(20), 턴디시(20)의 용강을 지속적으로 공급받으며 이를 처리물 예컨대 주편(S)으로 1차 응고시키는 몰드(30), 몰드(30)에서 지속적으로 인발되는 주편(S)을 2차 냉각시키면서 일련의 성형 작업을 수행하는 냉각대(40), 냉각대(40)의 후단에 연결되어 길이 방향(X)의 이송 경로를 형성하고, 이송 경로 상의 롤러(50)들을 이용하여 주편(S)을 이송하는 이송대, 및 이송대 상에 설치되고, 절단부 예컨대 토치를 이용하여 주편(S)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장치(600)를 포함한다. 처리설비의 구성은 상기 구성에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단장치(600)는 이송대에 연계되도록 이송 경로상에 설치되어 이송대 상의 처리물 예컨대 주편(S)을 폭 방향으로 절단할 수 있다. 이때, 절단장치(600)는 후술하는 교정부를 이용하여 장치의 작동 중에 절단부의 위치 또는 자세를 정위치 또는 정자세로 교정할 수 있고, 이에, 절단부를 항상 폭 방향의 일직선 상에 자동 정렬시킬 수 있어, 주편(S)의 절단면에 단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주편(S)의 절단면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폭 방향의 일직선은 예컨대 절단부의 정렬을 위한 기준선으로, 두 개의 절단부가 각각 정상 위치에 수직으로 배치되었을 때, 이들 절단부는 상기 폭 방향의 일직선 상에 어긋남 없이 수직으로 정렬될 수 있다. 따라서, 교정부의 후술하는 교정홈이 폭 방향(Y)의 중심선이 상술한 기준선인 폭 방향의 일직선에 일치하도록 설치되고, 절단부는 교정홈을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기준선 상에 위치하도록 가이드되어 정렬 상태가 교정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단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단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단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단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절단장치(600)는 처리물을 절단하는 장치로서, 몸체부(610), 작동부(620), 절단부(630) 및 교정부(640)를 포함하고,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물은 주편(S)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처리물은 다양할 수 있으며, 예컨대 길이 방향(X), 폭 방향(Y) 및 높이 방향(Z)으로 연장된 다양한 형상의 입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처리물은 이송대에 구비되어 이송 경로를 형성하는 롤러(50)들의 외주면에 지지되어 길이 방향(X)으로 이송될 수 있고, 절단장치(600)에 의해 일정한 길이로 절단될 수 있다.
몸체부(610)는 처리물 예컨대 주편(S)의 이송 경로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이송 경로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주편(S)의 이송 경로에 교차하는 방향은 주편(S)의 이송 경로에 수평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을 의미하며, 이 방향은 예컨대 폭 방향(Y)일 수 있다.
몸체부(610)는 이송 경로의 상측에 배치된 작동부(620)를 폭 방향(Y)으로 주행 가능하게 지지하는 각종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이 구조를 특별하게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몸체부(610)는, 수직바(611), 수평바(612) 및 지지바(617)를 구비하고, 이들이 서로 결합되어 몸체부(610)의 하부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또한, 몸체부(610)는, 수평판(613), 수직판(615), 주행레일(614) 및 지지레일(616)을 더 구비하고, 이들이 상술한 하부 구조의 상부에 결합되어 몸체부(610)의 상부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수직바(611)는 복수개 예컨대 네 개 구비될 수 있다. 이들 수직바(611)는 각각 높이 방향(Z)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길이 방향(X) 및 폭 방향(Y)으로 각각 이격되어, 이송 경로의 폭 방향(Y)의 외측을 둘러 설치될 수 있다. 수평바(612)는 복수개 예컨대 두 개 구비될 수 있다. 이들 수평바(612)는 각각 길이 방향(X)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폭 방향(Y)으로 각각 이격되어 이송 경로의 폭 방향(Y)의 외측에서 수직바(611)들의 상측 단부들을 길이 방향(X)으로 연결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즉, 길이 방향(X)으로 이격된 두 개의 수직바(611)들 사이마다 하나의 수평바(612)가 장착될 수 있다.
지지바(617)는 복수개 예컨대 두 개 구비될 수 있다. 이들 지지바(617)는 각각 길이 방향(X)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수평바(612)들의 하측에서 폭 방향(Y)으로 이격되며, 이송 경로의 폭 방향(Y)의 외측에서 수직바(611)들을 길이 방향(X)으로 연결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즉, 길이 방향(X)으로 이격된 두 개의 수직바(611)들 사이마다 하나의 지지바(617)가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지지바(617)들은 절단부(630)의 단부를 마주보도록 장착될 수 있다. 즉, 지지바(617)들의 높이는 절단부(630)의 단부 높이에 대응할 수 있고, 예컨대 절단부(630)의 단부 높이와 같거나, 절단부(630)의 단부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이 지지바(617)들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교정부(640)가 폭 방향(Y)으로 장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수평판(613)은 길이 방향(X) 및 폭 방향(Y)으로 연장된 소정 면적의 상부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예컨대 사각 판 형상일 수 있다. 수평판(613)은 수평바(612)들의 길이 방향(X)의 일측에서, 이들을 폭 방향(Y)으로 연결하여 장착될 수 있다. 수평판(613)의 길이 방향(X)의 너비는 몸체부(610)의 하부 구조의 상면의 길이 방향(X)의 너비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몸체부(610)의 하부 구조의 상면이 일부 개방되어 개구가 형성되고, 이 개구를 높이 방향(Z)으로 관통하여 몸체부(610)의 하부 구조의 내측에 작동부(620) 및 절단부(630)가 배치될 수 있다.
수직판(615)은 수평판(613)의 길이 방향(X)의 양측 가장자리 중 몸체부(610)의 하부 구조의 상면 개구에서 먼 쪽인 일측 가장자리에 장착되고, 수평판(613)의 상부면을 따라 폭 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 주행레일(614)은 수평판(613)의 길이 방향(X)의 양측 가장자리 중 몸체부(610)의 하부 구조의 상면 개구에서 가까운 쪽인 타측 가장자리에 장착되고, 수평판(613)의 상부면을 따라 폭 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 지지레일(616)은 수직판(615)의 상측 단부에서 주행레일(614) 측을 향해 길이 방향(X)으로 돌출되어 수직판(615)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한편, 몸체부(610)는 길이 방향(X)으로 주행 가능하도록 이송대 상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몸체부(610)의 하부 구조에는 복수개의 휠(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예컨대 수직바(611)들의 하측 단부에 각각 휠이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이송대의 폭 방향(Y)의 양측 가장자리에 레일(미도시)이 마련되어 길이 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다. 몸체부(610)의 휠은 이송대의 레일에 주행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휠 구동부(미도시)에 연결되어 구동될 수 있다.
작동부(620)는 절단부(630)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개 예컨대 두 개 구비될 수 있고, 몸체부(610)의 연장 방향 예컨대 폭 방향(Y)을 따라 이격된 위치에서 서로 폭 방향(Y)으로 마주보면서, 주행레일(614)과 지지레일(616)을 따라 폭 방향(Y)으로 주행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작동부(620)에 절단부(630)들이 각각 지지될 수 있다. 작동부(620)는 폭 방향(Y)의 주행을 위한 주행 구조를 가지고, 절단부(63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를 가진다. 이를 하기에 예시하나, 이 구조들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도 있다.
예컨대 작동부(620)는 왕복대(621), 주행휠(622), 지지휠(623) 및 모터(624)를 구비하는데, 이들이 결합되어 작동부(620)의 주행 구조를 이루고, 이 주행 구조가 몸체부(610)에 주행 가능하게 장착되어 작동부(620)가 몸체부(610)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작동부(620)는 암(625) 및 클램프(626)를 구비하고, 이들이 상술한 주행 구조의 왕복대(620)에 결합되어 작동부(620)의 지지 구조를 이루며, 이 지지 구조에 절단부(630)가 장착되어 절단부(630)가 작동부(630)에 지지될 수 있다.
왕복대(621) 예컨대 캐리지(carriage)는 수평판(613)의 상측에 배치되고, 주행레일(614)과 지지레일(616)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왕복대(621)의 측면들 중 몸체부(610) 하부 구조의 상면 개구를 향하는 왕복대(621)의 일측면 하부에는 복수개의 주행휠(622)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 주행휠(622)의 외주면이 몸체부(610)의 주행레일(614)의 상면에 폭 방향(Y)으로 주행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왕복대(621)의 내부에는 모터(624)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 모터(624)에 복수개의 주행휠(622) 중 어느 하나가 연결되어 회전력을 인가받을 수 있고, 이 회전력에 의해 왕복대(621)가 폭 방향(Y)으로 주행 가능하다.
왕복대(621)의 측면들 중 몸체부(610)의 상부 구조의 수직판(615)을 향하는 왕복대(621)의 타측면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휠(623)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이 지지휠(623)의 외주면이 몸체부(610)의 지지레일(616)의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지지휠(623)은 왕복대(621)가 주행휠(622)에 의해 폭 방향(Y)으로 왕복 주행하는 동안, 왕복대(621)의 길이 방향(X)의 움직임이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암(625)은 몸체부(610)에 폭 방향(Y)으로 주행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고, 이송 경로상에 지지된 처리물을 향하여 하향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암(625)은 일측 단부가 왕복대(621)의 측면들 중 몸체부(610) 하부 구조의 상면 개구를 향하는 왕복대(621)의 일측면 상부에 장착되어, 몸체부(610)에 폭 방향(Y)으로 주행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암(625)은 타측 단부가 몸체부(610) 하부 구조의 상면 개구를 높이 방향으로 통과하여 하향 연장되고, 수직바(611)들의 내측에서 이송 경로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클램프(626)는 암(625)의 타측 단부에 장착될 수 있다. 클램프(626)는 절단부(630)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그 내부 또는 외부에 각종 기계적이나 유압적인 구조가 마련될 수 있고, 이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클램프(626)는 복수개의 클램프부재를 구비하고, 이들 중 일 클램프부재가 암(625)의 타측 단부에 장착되고, 타 클램프부재가 일 클램프부재를 폭 방향(Y)으로 마주보는 위치에서 일 클램프부재에 예컨대 볼트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클램프부재들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높이 방향(Z)으로 오목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고, 이 오목홈에 절단부(630)의 외주면이 밀착 고정될 수 있다.
절단부(630)는 예컨대 연속주조 공정에서 주편(S)의 절단에 사용되는 토치나 버너를 포함할 수 있다. 절단부(630)는 예컨대 원통체 형상일 수 있고, 복수개 예컨대 두 개 구비되어 몸체부(610)의 연장 방향인 폭 방향(Y)을 따라 이격될 수 있으며, 이송 경로의 폭 방향(Y)의 양측 가장자리의 상측에 각각 배치되어 높이 방향(Z)으로 하향연장될 수 있다. 절단부(630)들은 몸체부(610)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작동부(620)들의 클램프(626)를 각각 관통하여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몸체부(610)에 교차하는 방향은 몸체부(610)에 수직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는데, 이 방향은 예컨대 높이 방향(Z)일 수 있다.
절단부(630)의 하측 단부는 수직바(611)들의 내측에서 이송 경로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직바(611)들의 내측은 서로 이격된 수직바(611)들 사이에 위치하는 소정의 공간을 의미하며, 보다 상세하게는, 폭 방향(Y)으로 서로 이격된 수직바(611)들 사이의 소정 공간을 의미한다. 절단부(630)의 하측 단부는 몸체부(610)의 내측에서 지지바(617)들을 마주보는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절단부(630)의 하측 단부의 높이는 지지바(617)들의 설치 높이에 대응할 수 있다. 예컨대 절단부(630)의 하측 단부의 높이는 지지바(617)의 높이와 같거나, 지지바(617)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이 절단부(630)의 하측 단부에 노즐이 형성될 수 있고, 이 노즐에서 화염과 고압의 산소가 하측으로 분사되며 처리물을 절단할 수 있다.
절단부(630)는 두 개가 한 쌍을 이루어 처리물 예컨대 주편(S)을 폭 방향(Y)으로 절단하는데, 이들 절단부(630)는 처리물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에서 처리물의 중심 측으로 이동하면서 하측으로 고압의 산소와 화염을 분사하여 처리물의 절단면을 산화 용융시켜 폭 방향(Y)으로 수직 절단한다.
한편, 절단부(630)는 절단부(630)가 장착 고정된 작동부(620)의 클램프(626)가 열에 의해 변형되거나 외력에 의해 기계적으로 풀어지는 등의 이유로 위치나 자세가 길이 방향(X)으로 틀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두 개의 절단부(630)는 처리물의 절단 방향인 폭 방향(Y)으로 일직선 상에 정렬되지 않고 틀어지게 된다.
절단부(63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편(S)의 폭 방향(Y)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주편(S)의 중심측으로 이동하면서 주편(S)을 폭 방향(Y)으로 수직 절단하는데, 두 개의 절단부(630) 간의 자세 또는 위치가 폭 방향(Y)으로 일직선 상에 정렬되지 않고 틀어지는 경우, 주편(S)의 절단면에 단차가 발생하게 된다.
주편(S)의 절단면에 단차가 발생하면, 후속 공정인 압연 공정에서 주편(S)의 절단면 단차 부분이 비정형으로 압연되고, 주편(S)의 헤드부나 테일부 부근에 요철이나 흠과 같은 결함이 생기는 등 압연 공정의 실수율이 저하된다. 이는 결국 전체 연속주조 공정의 생산 비용을 증가시킨다.
이를 방지하고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단장치(600)는 절단부(630)의 위치나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교정부(640)를 이용하여 주편(S)을 절단하는 공정이 반복되는 동안 절단부(630)의 위치 및 자세를 교정하여 정렬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정부의 개략도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정부의 작동도이다.
이때, 도 6의 (a)는 도 2의 A 부분을 기준으로, 절단부가 틀어진 상태에서 처리물의 절단 시작위치 상에 위치해 있을 때 교정부의 작동 모습을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6의 (b)는 도 6의 (a)의 평면도이다. 도 7의 (a)는 도 2의 A 부분을 기준으로, 절단부가 교정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교정된 후 교정 종료위치 상에 도달했을 때 교정부의 작동 모습을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7의 (b)는 도 7의 (a)의 평면도이다. 도 8의 (a)는 도 2의 A 부분을 기준으로, 교정 종료위치에서 교정이 완료된 절단부가 처리물의 절단 시작위치로 복귀했을 때 교정부의 모습을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8의 (b)는 도 8의 (a)의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정부(640)를 상세하게 설명하면서 교정부가 절단부를 교정하는 방식을 함께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교정부(640)는 몸체부(61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폭 방향(Y)으로 이격된 절단부(630)들의 외측에서 지지바(617)들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장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교정부(640)는 절단부(630)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개 예컨대 두 개 구비되고, 절단부(630)를 향하여 폭 방향(Y)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교정부(640)는, 이송 경로에 교차하는 방향 예컨대 폭 방향(Y)으로 연장되는 교정부재(641), 절단부(630)를 마주보는 교정부재(641)의 일측 단부를 몸체부(610)에 교차하는 방향 예컨대 높이 방향(Z)으로 관통하고, 교정부재(64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교정홈(642), 교정홈(642)의 내벽 사이의 너비가 교정홈(642)의 입구측으로 갈수록 커지도록 적어도 교정홈(642)의 입구측 내벽에 각각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면(643), 교정부재(641)의 타측 단부에 장착되는 브라켓(64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브라켓(644)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교정부재와 지지바(617)를 연결하여 장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교정부(640)는 이송 경로에 교차하는 방향 예컨대 폭 방향(Y)으로 연장된 일직선(L)상에 정렬될 수 있고, 적어도 일부 예컨대 단부가 처리물의 절단 시작위치 상에 정렬된 절단부(630)의 외주면을 폭 방향(Y)으로 가로지르며 절단부(630)의 외측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교정홈(642)의 입구측 내에 처리물의 절단 시작위치 상에 정렬된 절단부(630)가 위치할 수 있고, 처리물의 절단을 완료하고 폭 방향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Y)으로 이동하여 처리물의 절단 시작위치로 복귀한 절단부(630)와 접촉하면서 절단부(630)의 위치나 자세가 폭 방향(Y)으로 연장된 일직선상을 벗어나며 정상 위치나 자세에서 틀어지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즉, 길이 방향(X)으로 틀어진 절단부의 중심축(C')이 폭 방향(Y)으로 연장된 일직선(L)에서 벗어나더라도 교정홈(642)의 입구측의 가이드면(643)에 밀착되면서 안내되어 일정 간격(e) 이상 틀어지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처리물의 절단 시작위치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절단부(630)가 처리물의 폭 방향(Y)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처리물의 모서리 상측 또는 이의 외측에 놓이는 위치를 의미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처리물을 중심으로 하여 폭 방향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Y)으로 작동부(620)가 주행 시, 교정부(640)는 교정홈(642)의 내측으로 절단부(630)의 하부가 진입할 수 있다. 이때, 절단부(630)가 틀어져 있으면 교정홈(642)의 내벽에 절단부(630)의 하부가 접촉될 수 있고, 이 접촉에 의하여 절단부(630)가 길이 방향(X)으로 힘을 받아 길이 방향(X)으로 슬립되면서 자세나 위치가 정상으로 교정될 수 있다. 즉, 작동부(620)의 폭 방향(Y)의 주행에 의하여 교정홈(642)의 내측으로 절단부(630)가 안내되면서, 절단부(630)가 폭 방향(Y)으로 연장된 일직선상에 자동 정렬되어 정상 위치 및 정상 자세로 교정될 수 있고, 절단부의 교정된 중심축(C)이 폭 방향의 일직선(L) 상에 정렬될 수 있다.
이때, 교정홈(642)의 내측으로 절단부(630)가 삽입되면서 그 위치나 자세가 교정될 수 있도록, 교정홈(642)의 내벽 사이의 너비(W)는 오차 범위 내에서 절단부의 외경 크기(D)에 일치할 수 있다. 여기서, 오차 범위는 절단부(630)가 폭 방향의 일직선(L)에서 벗어나서 어느 정도 틀어지더라도 처리물의 절단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처리물의 절단면에 단차가 발생되지 않을 수 있는 소정의 거리로서, 예컨대 길이 방향(X)으로의 절단부(630)의 틀어짐 허용거리일 수 있다.
또한, 교정홈(642)은 입구측을 마주보는 단부의 내벽이 교정 종료위치 상에 정렬된 절단부(630)에서 이격될 수 있는 깊이로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처리물의 절단 시작위치 상의 절단부(630)가 위치한 교정홈(642)의 입구측 경사면(643)을 제외한 교정홈(642)의 연장 길이(d)는 교정홈(642)의 입구측에서 절단부의 교정 종료위치까지의 교정 길이(d0)보다 클 수 있다. 이에 처리물을 중심으로 하여 폭 방향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Y)으로 절단부(630)가 주행하는 동안 절단부(630)와 교정홈(642)이 폭 방향(Y)으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불필요한 충격이 절단부(630)에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교정 종료위치는 도 7의 (b)에 도시된 것처럼, 절단부(630)가 폭 방향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Y)으로 이동하며 교정홈 내에서 교정을 완료한 후 다시 폭 방향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Y)으로 이동하기 직전에 절단부(630)의 위치를 의미한다. 달리 말하면 작동부(620)가 폭 방향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Y)으로 최대한 이동하였을 때의 절단부(630)의 위치가 절단부(630)의 교정 종료위치일 수 있다.
한편, 교정홈(642)의 입구측에서 내측으로 절단부(630)가 안내될 때, 교정홈(642)의 입구측 내벽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면(643)에 의해 절단부(630)가 원활하게 슬립되면서 안내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면(643)은 그 경사가 일정한 직선형의 가이드면일 수 있고, 그 경사가 변하는 곡선형의 가이드면일 수도 있다. 물론, 가이드면(643)의 타입은 상술한 직선형과 곡선형 외에 다양할 수 있고, 예컨대 그 단차가 절단부(630)의 외경 크기보다 작은 계단형의 가이드면이거나, 비정형 가이드면일 수도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절단 시작위치에서 교정 종료위치를 거쳐 절단 시작위치로 왕복 주행하면서 길이 방향(X)으로 위치 및 자세의 교정을 완료한 절단부(630)는 절단부(630)의 교정된 중심축(C)이 폭 방향의 일직선(L)상에 정렬된 상태에서 폭 방향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Y)으로 이동하면서 주편(S)을 절단할 수 있고, 이에 주편(S)의 절단면에 단차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절단부(630)의 교정 과정은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는 이전 주편 절단 작업이 완료되면 절단부(630)를 교정부(640)측으로 이동시키고, 절단부(630)가 교정홈(642)에 의해 교정이 완료되면 절단부(630)를 주편 측으로 이동시켜 다음번 주편 절단 작업을 개시한다. 이 제어부에 의해 전체 주편 절단 과정에서 절단부(630)가 상시 자동으로 교정되면서 정렬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에 주편(S)의 절단면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단장치(600)는 연속으로 인발되는 주편(S)을 절단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중에 원하는 시점마다 주편(S)의 폭 방향(Y)의 외측으로 절단부(630)를 이동시키면 주편(S)의 폭 방향(Y)의 외측에 각각 마련된 교정부(640)의 교정홈(642) 내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절단부(630)의 자세 또는 위치를 정자세 또는 정위치로 신속하게 교정한 후, 다음 번 주편의 절단을 대기 시간 없이 연속 실시할 수 있다. 즉, 주편(S)의 폭 방향(Y) 외측에 단순한 구조로 마련된 교정부(640)에 절단부(630)들을 폭 방향(Y)으로 삽입하는 간단한 방식으로, 연속주조 공정 중에 절단부(630)들을 정자세 또는 정위치로 신속하게 교정하여 폭 방향으로 연장된 일직선상에 정확하게 정렬시킬 수 있고, 이에 주편(S) 절단 시 절단면에 단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교정홈(642)의 입구측에서 내부 중심측으로 갈수록 너비가 좁아지도록 교정부(640)의 입구측의 내벽에 가이드면(643)을 설치하여, 교정홈(642)의 내부로 절단부(630)를 삽입하는 동안, 절단부(630)를 가이드면(643)을 따라 슬립시켜 원활하게 교정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하기의 변형 예를 포함하여 다양한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교정부, 광학부, 센서부 및 타격부의 작동도이다. 이때, 도 9의 (a)는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교정부, 광학부, 센서부 및 타격부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9의 (b)는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교정부, 광학부, 센서부 및 타격부의 작동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절단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절단장치는 몸체부, 작동부, 절단부, 교정부, 제어부를 포함하고, 광학부(650), 센서부(660), 타격부(670) 및 분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절단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단장치의 구성에 더하여, 광학부(650), 센서부(660), 타격부(670) 및 분사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절단장치의 몸체부, 작동부, 절단부 및 교정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단장치의 몸체부(610), 작동부(620), 절단부(630) 및 교정부(640)와 동일하거나 상응한 기술적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절단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단장치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광학부(650)는 교정부(640)의 연장 방향에 정렬되도록 교정부(640) 상에 마련되어 절단부(630)를 관찰할 수 있고, 절단부(630)가 폭 방향의 외측(-Y)으로 이동하며 교정되는 동안, 교정부(640)의 폭 방향 중심축에 대한 절단부(630)의 길이 방향의 위치를 광학적으로 관찰하여 제어부(미도시)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로 실시간 전달되는 절단부(630)의 길이 방향 위치는 화면에 출력되거나 절단부(630)의 위치 판독 및 이동 상태 판독에 사용될 수 있다. 광학부(650)는 예컨대 카메라나 이미지센서 등 각종 광학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660)는 교정부(640)의 연장 방향에 정렬되도록 교정부(640) 상에 마련되어 절단부(630)를 관찰할 수 있고, 절단부(630)가 폭 방향의 외측(-Y)으로 이동하며 교정되는 동안, 교정부(640)의 폭 방향 중심축에 대한 절단부(630)의 폭 방향의 위치를 측정하여 이를 제어부(미도시)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로 실시간 전달되는 절단부(630)의 폭 방향 위치는 절단부(630)의 이동 상태의 판독에 사용될 수 있다. 센서부(660)는 예컨대 레이저 변위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절단부(630)의 폭 방향 이동 거리를 비접촉 방식으로 측정할 수 있는 것을 만족하는 범주 내에서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타격부(670)는 교정부(640)의 연장 방향에 정렬되도록 교정부(640) 상에 마련되는데, 광학부(650) 및 센서부(660)와의 간섭을 피하도록 교정부(640)를 중심으로 하여, 광학부(650) 및 센서부(660)의 반대측에 마련될 수 있다. 광학부(650) 및 센서부(660)가 교정부(640)의 상면에 마련되면, 타격부(670)는 교정부(640)의 하면에 마련될 수 있고, 반대로, 광학부(650) 및 센서부(660)가 교정부(640)의 하면에 마련되면, 타격부(670)는 교정부(640)의 상면에 마련될 수 있다.
타격부(670)는 높이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그 단부가 길이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교정부(640)의 입구측에 위치한 절단부(630)를 가압하거나 타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타격부(670)는 타격 패드(671), 링크(672) 및 작동블록(673)을 포함할 수 있다. 타격 패드(671)는 절단부(630)와의 접촉 시 과한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작동부(720)와 절단부(630)의 허용 하중 범위 내에서 절단부(630)를 진동시키기 용이하도록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예컨대 내열 고무나 내열 수지나 내열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링크(672)는 교정부(640)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며, 예컨대 교정부(640)의 하면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링크(672)의 일측 단부에는 타격 패드(671)가 장착되고, 타측 단부는 작동블록(673)에 장착될 수 있다. 작동블록(673)은 내부에 기어나 모터 등이 구비될 수 있고, 교정부(640)의 입구측에서 폭 방향의 외측으로 이격되어 교정부(640)의 하면에 장착될 수 있다. 작동블록(673)에는 링크(672)의 타측 단부가 장착될 수 있다. 작동블록(673)은 링크(672)의 타측 단부를 중심으로 일측 단부를 소정의 각도(θ)만큼 회전시키도록 작동할 수 있다.
분사부(미도시)는 광학부(650)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고, 유체 예컨대 공기를 교정부(640)의 연장 방향을 따라 교정부(640)의 입구측으로 분사할 수 있고, 이에, 광학부(650)의 관측과 센서부(660)의 센싱이 원활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광학부(650), 센서부(660), 타격부(670) 및 분사부에 연결되고, 이들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광학부(650)에서 관측된 이미지를 판독하여 폭 방향의 일직선(L)을 중심으로 절단부(630)의 길이 방향 위치를 산출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해서, 타격 패드(671)를 두 개의 가이드면(643) 중 절단부(630)와 더 가까운 가이드면측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후, 제어부는 센서부(660)를 이용하여 절단부(630)의 폭 방향 위치를 감지하면서 절단부(630)가 폭 방향의 외측(-Y)으로 원활하게 이동하지 못하는 경우, 즉, 절단부(630)가 교정부(640)의 입구측에서 교정홈 내로 진입 시 딜레이가 생기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교정부(640)의 입구측 가이드면(643)에 걸려있는 상태로 판단하고, 이 경우, 도 9의 (b)에 도시된 것처럼 타격부(670)의 타격 패드(671)로 절단부(630)를 폭 방향의 일직선(L)측으로 가압하거나 타격할 수 있다. 이 가압 또는 타격에 의하여 절단부(630)가 교정부(640)의 교정홈 내측으로 원활하게 슬라이드되며 교정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변형 예에서는 절단부(630)가 폭 방향(Y)으로 이동하면서 교정홈(642)의 내부로 삽입되는 동안 광학부(650)와 센서부(660)에 의해 절단부(630)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그 결과에 따라 타격부(670)로 절단부(630)를 길이 방향(X)으로 가압하거나 타격하여 절단부(630)의 틀어짐이 심하여 절단부(630)가 교정홈 내로 진입하지 못하고 입구측에 결려있는 경우에도 절단부(630)를 교정홈(642) 내로 원활하게 안내하여 교정할 수 있다.
도 10의 (a)는 본 발명의 비교 예에 따른 절단장치로 처리물을 절단하여 그 결과를 도시한 평면도 이고, 도 10의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단장치로 처리물을 절단하여 그 결과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때, 본 발명의 비교 예에 따른 절단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절단장치에서 교정부가 제외된 절단장치로서 예컨대 종래의 토치 절단기에 해당한다. 즉, 본 발명의 비교 예에서는 토치(60)들이 폭 방향의 일직선상에 정렬되도록 위치를 교정할 수 있는 구조가 없으므로 절단장치의 작동 중에 토치(60)들의 정렬 상태가 틀어지면 이를 정상 상태로 교정할 수 없다.
도 10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비교 예에서는 절단장치의 작동 중에 토치(60)들의 폭 방향 정렬 상태가 틀어져서 토치(60)들이 서로 어긋날 경우, 처리물의 절단면이 폭 방향의 일직선을 따라 곧게 형성되지 못하고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절단면에 단차나 불연속점(절단면 상의 어긋난 부분)이 발생하게 되어, 처리물 예컨대 주편(S)의 절단면 품질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절단장치의 작동 중에 절단부(630)의 정렬 상태가 틀어지더라도 교정부를 이용하여 절단부(630)를 즉시 교정할 수 있다. 이에, 절단부(630)가 항상 폭 방향의 일직선 상에 정렬될 수 있다. 도 10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절단부(630)가 폭 방향의 일직선 상에 항상 정렬될 수 있기 때문에,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처리물 예컨대 주편(S)이 폭 방향의 일직선을 따라 곧게 절단될 수 있어, 처리물의 절단면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 예에 제시된 구성과 방식들은 서로 결합하거나 교차 적용되어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것이고, 이의 변형 예들을 본 발명의 범주로 볼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 결국, 본 발명은 청구범위 및 이와 균등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해당하는 기술 분야의 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600: 절단장치 610: 몸체부
620: 작동부 630: 절단부
640: 교정부 650: 광학부
660: 센서부 670: 타격부

Claims (7)

  1. 처리물의 이송 경로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이격 배치되되, 작동부를 매개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복수개의 절단부; 및
    상기 몸체부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절단부의 외측에서 상기 몸체부에 각각 지지되는 교정부;를 포함하는 절단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이송 경로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절단부는 상기 몸체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몸체부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작동부에 장착되며,
    상기 교정부는 상기 몸체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이송 경로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일직선상에 정렬되어 상기 작동부의 주행 시 상기 절단부가 접촉 가능한 절단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정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처리물의 절단 시작위치 상에 정렬된 상기 절단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절단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부는,
    상기 이송 경로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교정부재; 및
    상기 절단부를 마주보는 상기 교정부재의 단부를 상기 몸체부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교정부재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교정홈;을 포함하는 절단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교정부는,
    상기 교정홈의 내벽 사이의 너비가 상기 교정홈의 입구측으로 갈수록 커지도록 형성되는 가이드면;을 포함하는 절단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교정홈의 내벽 사이의 너비는 오차 범위 내에서 상기 절단부의 외경 크기에 일치하는 절단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교정홈은 교정 종료위치 상에 정렬된 상기 절단부에서 이격될 수 있는 깊이로 연장되는 절단장치.
KR1020160135149A 2016-10-18 2016-10-18 절단장치 KR101955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149A KR101955586B1 (ko) 2016-10-18 2016-10-18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149A KR101955586B1 (ko) 2016-10-18 2016-10-18 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676A true KR20180042676A (ko) 2018-04-26
KR101955586B1 KR101955586B1 (ko) 2019-03-07

Family

ID=62082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5149A KR101955586B1 (ko) 2016-10-18 2016-10-18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558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7345A (ja) * 1991-11-18 1993-07-20 Hitachi Zosen Corp 切断方法及び切断装置
KR20100117352A (ko) * 2009-04-24 2010-11-03 주식회사 포스코 절단토치의 정렬선 조정장치
KR20130034353A (ko) * 2011-09-28 2013-04-05 주식회사 포스코 기계 위치 조정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7345A (ja) * 1991-11-18 1993-07-20 Hitachi Zosen Corp 切断方法及び切断装置
KR20100117352A (ko) * 2009-04-24 2010-11-03 주식회사 포스코 절단토치의 정렬선 조정장치
KR20130034353A (ko) * 2011-09-28 2013-04-05 주식회사 포스코 기계 위치 조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5586B1 (ko) 2019-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32796B2 (ja) ガラス板製造装置及び方法
US10239143B2 (en) Slab scarf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411872B1 (ko) 소재 형상 측정장치
KR101344333B1 (ko) 소재 상향 방지 장치
KR101955586B1 (ko) 절단장치
KR20140054817A (ko) 소재 정렬장치
KR100398374B1 (ko) 수직로의스트립인입위치교정장치
KR20210001788U (ko) 유리판의 제조 장치
KR20150109856A (ko) 플라즈마 절단기
KR101974100B1 (ko) 크롭이송장치
KR102001987B1 (ko) 슬래브 형상 측정장치
KR101883381B1 (ko) 감지 장치 및 절단 장치
KR20110010492A (ko) 슬라브용 스카핑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298709B1 (ko) 소재 상향 방지 장치
KR101008034B1 (ko) 바 센터링 교정장치
KR101536907B1 (ko) 노즐 검사 장치
KR100783080B1 (ko) 슬라브 정렬장치
KR101818513B1 (ko) 측정장치 및 절단기 정비방법
KR102173171B1 (ko) 절단 장치 및 그 방법
KR101510264B1 (ko) 피처리물 이송장치
JP2008212988A (ja) スラブスカーフィング設備のジェット水装置
KR101755385B1 (ko) 주편 스카핑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25408B1 (ko) 냉각설비의 주수 마스킹 장치를 이용한 소재 냉각 방법
KR101549658B1 (ko) 열간 성형용 금형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간 성형 장치
KR20170068640A (ko) 연속주조설비의 더미바 안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