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2666A - 가공변압기 이동용기, 가공변압기 누유방지 어셈블리 및 가공변압기 이동방법 - Google Patents

가공변압기 이동용기, 가공변압기 누유방지 어셈블리 및 가공변압기 이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2666A
KR20180042666A KR1020160135137A KR20160135137A KR20180042666A KR 20180042666 A KR20180042666 A KR 20180042666A KR 1020160135137 A KR1020160135137 A KR 1020160135137A KR 20160135137 A KR20160135137 A KR 20160135137A KR 20180042666 A KR20180042666 A KR 20180042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ormer
container
leakage
center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5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3804B1 (ko
Inventor
이재헌
양현식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60135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3804B1/ko
Publication of KR20180042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2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3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3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8Cooling; Ventilating
    • H01F27/10Liquid cooling
    • H01F27/12Oil 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ousings And Mounting Of Transformer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압기의 하면을 받치기 위한 바닥부와 상기 변압기의 둘레보다 큰 둘레를 가지는 측부로 구성된 바디를 갖는 받침대 및 상기 바디 중앙에 형성되는 흡착 홈에 안착되어 상기 변압기로부터의 누유를 흡착시키는 흡착 부재를 포함하는 가공변압기 이동 용기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폐기 처리가 필요한 변압기를 철거 및 이동시 누유가 외부로 유출되어 인체나 환경에 해를 끼치지 않도록 한다.

Description

가공변압기 이동용기, 가공변압기 누유방지 어셈블리 및 가공변압기 이동방법{CONTAINER FOR TRANSFORMER, ASSEMBLY OF PREVENTING FROM LEAKING OIL OF TRANSFORMER AND MOVING METHOD OF TRANSFORMER}
본 발명은 폐기 처리가 필요한 변압기를 이동하기 위한 이동용기 및 누유방지 어셈블리 등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변압기 이동시 누유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이동용기 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압기는 케이스 내부에 상호 유도를 가지는 다수의 권선코일과 이 권선코일이 감긴 철심이 구비되고, 전압에 의해 권선코일과 철심에 발생된 열을 냉각시키는 절연유가 케이스 내부에 충전된다.
이와 같은 변압기는 내구 연한이 만료되거나 과부하 또는 기타 원인으로 인해 변압기가 소손되는 등 수명이 종료되면 폐기 처리된다.
폐기되는 변압기는 산업폐기물로서 코일, 철심, 절연유 등 소재별로 분리하여 처리 및 재활용된다.
이러한 변압기는 과부하 및 내부 코일 열화에 의해 변압기 내부에 충전되어 있는 절연유가 외부로 분출되거나 변압기 전체를 소손시키게 된다.
또한, 이 과정에서 분출된 절연유는 고객의 재산 손실은 물론이고, 주변 환경을 오염시킴으로써 환경 피해를 야기시키는 원인이 된다.
특히, 변압기 내부에 충전되어 있는 절연유에는 다이옥신과 함께 인체와 환경에 유해한 물질로 알려진 PCBs(Poly Chlorinated Biphenyls)를 포함하고 있다.
전국적으로 매년 다량의 소손 및 누유 변압기가 발생하고 있지만, 누유 및 소손된 변압기를 철거 및 운반하면서 누유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대책은 없는 실정이다.
또한, 바닥에 설치된 포장이나 방유벽 정도가 그 대책인데, 철거된 변압기를 야적장에 보관시에도 바닥 포장이나 방유벽 설치 외에는 누유된 절연유를 방지하거나 소손된 변압기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근본적인 대책이 없다.
이상의 배경기술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폐기 처리가 필요한 변압기를 철거 및 이동시 누유가 외부로 유출되어 인체나 환경에 해를 끼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가공변압기 이동용기, 가공변압기 누유방지 어셈블리 및 가공변압기 이동방법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한 가공변압기 이동 용기는, 변압기의 하면을 받치기 위한 바닥부와 상기 변압기의 둘레보다 큰 둘레를 가지는 측부로 구성된 바디를 갖는 받침대 및 상기 바디 중앙에 형성되는 흡착 홈에 안착되어 상기 변압기로부터의 누유를 흡착시키는 흡착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의 바닥부의 상면은 중앙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의 상면에는 외곽으로부터 중앙에 이르는 누유 유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상기 누유 유로는 동일한 간격으로 방사상으로 복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의 상면에는 중앙으로부터 일정한 반경을 가지는 둘레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디의 측부에는 복수의 나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를 상기 변압기에 고정 결합시키기 위한 조임 부재가 상기 나사공을 통해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한 가공변압기 누유방지 어셈블리는, 변압기의 하면을 받치고 흡착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변압기로부터의 누유를 흡착시키기 위해 상기 변압기에 결합되는 이동 용기 및 상기 이동 용기를 상기 변압기에 2차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변압기의 상부커버에 마련되는 결합 고리에 결합되는 제1 고정부재, 상기 이동 용기에 결합되는 제2 고정부재 및 상기 제1 고정부재와 상기 제2 고정부재를 연결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고정부재는 와이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고정부재는 탄성력을 가지는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 용기는, 상기 변압기의 하면을 받치기 위한 바닥부와 상기 변압기의 둘레보다 큰 둘레를 가지는 측부로 구성된 바디를 갖는 받침대 및 상기 바디 중앙에 형성되는 흡착 홈에 안착되어 상기 변압기로부터의 누유를 흡착시키는 흡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디의 바닥부의 상면은 중앙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의 상면에는 외곽으로부터 중앙에 이르는 누유 유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누유 유로는 동일한 간격으로 방사상으로 복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한 가공변압기 이동방법은, 이동 용기에 철거를 위한 변압기의 하면을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변압기와 상기 이동 용기를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이동 용기를 상기 변압기에 2차적으로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용기는 상면 중앙에 흡착 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변압기로부터의 누유가 상기 흡착 부재에 흡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 용기의 상면은 중앙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어 이동 중에 발생하는 상기 변압기로부터의 누유가 상기 이동 용기의 상면 중앙으로 흘러서 상기 흡착 부재에 흡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 용기의 상면에는 외곽으로부터 중앙에 이르는 누유 유로가 형성되어 이동 중에 발생하는 상기 변압기로부터의 누유가 상기 누유 유로를 따라 상기 이동 용기의 상면 중앙으로 흐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 용기를 상기 변압기에 2차적으로 고정시키는 단계는, 상기 변압기의 상부커버에 마련되는 결합 고리에 제1 고정부재를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이동 용기에 제2 고정부재를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제1 고정부재와 상기 제2 고정부재를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가공변압기 이동용기에 의하면, 폐기되는 변압기에서 발생되는 누유를 흡착 부재에 흡착되게 하여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인체나 환경에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나아가, 용기의 중앙에 배치되는 흡착 부재에 누유가 쉽게 흡착이 되어 누유가 용기 바닥에 고임으로써 이동 중에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 우려를 예방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가공변압기 누유방지 어셈블리는 이동용기를 안전하게 고정시킴으로써 이동 중에 이동용기가 훼손되거나 이탈될 수 있는 우려를 에방하여, 변압기로부터 누유없이 안전하게 변압기를 철거 및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가공변압기 이동용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가공변압기 누유방지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의 기술이나 반복적인 설명은 그 설명을 줄이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가공변압기 이동용기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가공변압기 누유방지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공변압기 이동용기 및 가공변압기 누유방지 어셈블리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가공변압기 누유방지 어셈블리는 폐기 대상인 변압기를 철거 및 이동하는 데 있어서 변압기로부터의 누유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변압기 이동을 위해 변압기에 장착되는 것이다.
이를 위한 가공변압기 누유방지 어셈블리는 가공변압기 이동 용기와 고정수단으로 구성된다.
이동 용기는 변압기 하부에 결합되는 받침대와, 흡착 부재(120) 및 조임 부재(130)로 구성된다.
받침대는 바닥부와 측부를 포함하는 바디(111)를 포함하여 바닥부에 의해 변압기의 하면을 받칠 수 있게 마련되고, 측부는 변압기의 둘레보다 큰 둘레를 가져서 누유(leak oil)가 이동 용기를 벗어나 흐르지 못하도록 한다.
바디(111)의 바닥부 상면의 중앙에는 흡착 홈(112)이 형성되어 후술할 흡착 부재(120)가 안착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누유가 흡착부재(120)에 잘 흡착이 될 수 있도록 바닥부의 상면은 중앙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바닥부 상면의 외곽에서 중앙으로 누유 유로(113)이 형성됨으로써 누유가 바닥부의 중앙으로 흐르게 유도되어 누유가 흡착 부재(120)에 잘 흡착될 수 있게 하고, 바닥부에 누유가 고이게 되어 측부를 넘어서 외부로 유출되지 않을 수 있게 한다.
흡착 부재(120)는 받침대 중앙의 흡착 홈(112)에 안착되어 변압기로부터 발생되는 누유를 흡착시켜 이동 중에 누유가 받침대에 고이지 않게 함으로써, 누유에 의한 피해를 방지한다.
조임 부재(130)는 이동 용기를 변압기에 결합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바디(111)의 측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나사공이 형성되고, 나사공을 통해서 조임 부재(130)가 관통하여 변압기 외벽과 측부를 조여서 결합되게 한다.
다음으로, 고정수단은 이동 중에 이동 용기를 변압기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서 2차적으로 구비되는 수단이다.
또한, 이러한 고정수단은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여야 한다.
그래서, 고정수단은 변압기 측에 결합되는 제1 고정부재와 이동 용기 측에 결합되는 제2 고정부재가 각각 마련되고, 이들을 연결부재(230)에 의해 연결시켜서 고정시킨다.
제1 고정부재는 변압기(10) 상부커버에 마련되는 결합 고리(11)에 걸어서 체결되는 와이어(210)로 구성된다.
제2 고정부재는 이동용기를 변압기에 결합시키는 조임 부재(130)에 연결되고, 제2 고정부재는 탄성력을 가지는 부재로 마련된다.
그래서, 탄성 변형되어 연결부재와 결합됨으로써 일정한 탄성력에 의해서 결합력을 강화시키게 된다.
연결부재(230)는 제1 고정부재(210)와 제2 고정부재(220)를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는 비너(biner)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이동용기 및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변압기를 철거 및 이동시키는 방법은 우선 변압기를 안착수단을 이용하여 이동용기에 안착을 시키고, 조임 부재(130)를 이용하여 이동용기를 변압기에 고정시킨다.
이동용기가 변압기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고정수단에 의해서 2차적으로 이동용기를 변압기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킨 후 변압기를 이동시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1 고정부재의 후크(211)를 변압기 상부에 마련되는 결합 고리(11)에 걸고, 제2 고정부재(220)를 조임 부재(130)에 연결시킨다.
이 후, 탄성력을 지닌 제2 고정부재(220)를 당겨서 연결부재(230)에 제1 고정부재의 와이어(212)와 제2 고정부재(220)를 결합시켜서 고정을 완료한다.
이와 같이 이동용기 및 고정수단을 장착하여 변압기를 이동하게 되면 이동용기 상의 흡착 부재(120)에 의해 변압기로부터의 누유가 흡착됨으로써 이동 중에 누유가 이동용기를 벗어나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이동된 변압기들은 여러 형태의 변압기 야적장에 보관되게 되는데, 비 또는 눈 등 외부 환경에 의한 절연유가 유출되거나 소손된 상태로 외부에 노출됨으로써 보관 불량에 대한 지적 등을 예방하기 위하여 방수 재질의 상부 방수커버를 추가로 구비한다. 그리고, 상부 방수커버는 변압기의 변압기 붓싱을 덮도록 하는 제1 방수부와 연결되어 변압기 몸체와 누유 방지를 위한 이동용기를 동시에 덮도록 하는 제2 방수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1 : 바디
112 : 흡착 홈
113 : 누유 유로
120 : 흡착 부재
130 : 조임 부재
210 : 제1 고정부재이어
220 : 제2 고정부재
230 : 연결부재

Claims (18)

  1. 변압기의 하면을 받치기 위한 바닥부와 상기 변압기의 둘레보다 큰 둘레를 가지는 측부로 구성된 바디를 갖는 받침대; 및
    상기 바디 중앙에 형성되는 흡착 홈에 안착되어 상기 변압기로부터의 누유를 흡착시키는 흡착 부재를 포함하는,
    가공변압기 이동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바닥부의 상면은 중앙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변압기 이동 용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상면에는 외곽으로부터 중앙에 이르는 누유 유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변압기 이동 용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누유 유로는 동일한 간격으로 방사상으로 복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변압기 이동 용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상면에는 중앙으로부터 일정한 반경을 가지는 누유 유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변압기 이동 용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측부에는 복수의 나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를 상기 변압기에 고정 결합시키기 위한 조임 부재가 상기 나사공을 통해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변압기 이동 용기.
  7. 변압기의 하면을 받치고 흡착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변압기로부터의 누유를 흡착시키기 위해 상기 변압기에 결합되는 이동 용기; 및
    상기 이동 용기를 상기 변압기에 2차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가공변압기 누유방지 어셈블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변압기의 상부커버에 마련되는 결합 고리에 결합되는 제1 고정부재;
    상기 이동 용기에 결합되는 제2 고정부재; 및
    상기 제1 고정부재와 상기 제2 고정부재를 연결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변압기 누유방지 어셈블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재는 와이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변압기 누유방지 어셈블리.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재는 탄성력을 가지는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변압기 누유방지 어셈블리.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이동 용기는,
    상기 변압기의 하면을 받치기 위한 바닥부와 상기 변압기의 둘레보다 큰 둘레를 가지는 측부로 구성된 바디를 갖는 받침대; 및
    상기 바디 중앙에 형성되는 흡착 홈에 안착되어 상기 변압기로부터의 누유를 흡착시키는 흡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변압기 누유방지 어셈블리.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바닥부의 상면은 중앙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변압기 누유방지 어셈블리.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상면에는 외곽으로부터 중앙에 이르는 누유 유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변압기 누유방지 어셈블리.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누유 유로는 동일한 간격으로 방사상으로 복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변압기 누유방지 어셈블리.
  15. 이동 용기에 철거를 위한 변압기의 하면을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변압기와 상기 이동 용기를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이동 용기를 상기 변압기에 2차적으로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용기는 상면 중앙에 흡착 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변압기로부터의 누유가 상기 흡착 부재에 흡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변압기 이동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이동 용기의 상면은 중앙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어 이동 중에 발생하는 상기 변압기로부터의 누유가 상기 이동 용기의 상면 중앙으로 흘러서 상기 흡착 부재에 흡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변압기 이동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이동 용기의 상면에는 외곽으로부터 중앙에 이르는 누유 유로가 형성되어 이동 중에 발생하는 상기 변압기로부터의 누유가 상기 누유 유로를 따라 상기 이동 용기의 상면 중앙으로 흐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변압기 이동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이동 용기를 상기 변압기에 2차적으로 고정시키는 단계는,
    상기 변압기의 상부커버에 마련되는 결합 고리에 제1 고정부재를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이동 용기에 제2 고정부재를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제1 고정부재와 상기 제2 고정부재를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변압기 이동방법.
KR1020160135137A 2016-10-18 2016-10-18 가공변압기 누유방지 어셈블리 및 가공변압기 이동방법 KR101983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137A KR101983804B1 (ko) 2016-10-18 2016-10-18 가공변압기 누유방지 어셈블리 및 가공변압기 이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137A KR101983804B1 (ko) 2016-10-18 2016-10-18 가공변압기 누유방지 어셈블리 및 가공변압기 이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666A true KR20180042666A (ko) 2018-04-26
KR101983804B1 KR101983804B1 (ko) 2019-09-03

Family

ID=62082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5137A KR101983804B1 (ko) 2016-10-18 2016-10-18 가공변압기 누유방지 어셈블리 및 가공변압기 이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380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0914B1 (ko) * 2019-04-18 2020-09-29 한국전력공사 변압기용 보관장치
KR102248210B1 (ko) * 2020-06-15 2021-05-03 김연호 변압기 내부 부착물 고정용 절연 와셔
KR20230001335A (ko) * 2021-06-28 2023-01-04 한국에너지산업기술 주식회사 변압기 절연유 누출 방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8293Y1 (ko) * 1999-11-09 2000-04-15 장창희 착유기용 흡유안내판
JP2009277886A (ja) * 2008-05-15 2009-11-26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漏油滴下防止装置及びその取付方法
JP2011146617A (ja) * 2010-01-18 2011-07-28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柱上変圧器の漏油受け具
KR101795267B1 (ko) * 2016-06-07 2017-11-09 (주)월드이엔씨 변압기 누유 받이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8293Y1 (ko) * 1999-11-09 2000-04-15 장창희 착유기용 흡유안내판
JP2009277886A (ja) * 2008-05-15 2009-11-26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漏油滴下防止装置及びその取付方法
JP2011146617A (ja) * 2010-01-18 2011-07-28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柱上変圧器の漏油受け具
KR101795267B1 (ko) * 2016-06-07 2017-11-09 (주)월드이엔씨 변압기 누유 받이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0914B1 (ko) * 2019-04-18 2020-09-29 한국전력공사 변압기용 보관장치
KR102248210B1 (ko) * 2020-06-15 2021-05-03 김연호 변압기 내부 부착물 고정용 절연 와셔
KR20230001335A (ko) * 2021-06-28 2023-01-04 한국에너지산업기술 주식회사 변압기 절연유 누출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3804B1 (ko) 2019-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42666A (ko) 가공변압기 이동용기, 가공변압기 누유방지 어셈블리 및 가공변압기 이동방법
KR101530347B1 (ko) 변전소 변압기의 방진 지지장치
KR20160115193A (ko) 면진장치
CN103003610A (zh) 用于在孔中提供密封系统的组件和方法
US878577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upling busway components
BRPI0924023A8 (pt) Transformador elétrico com um sistema de refrigeração melhorado
KR20150121405A (ko) 수변전 및 배전설비용 내진장치
RU2697585C2 (ru) Уплот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1795267B1 (ko) 변압기 누유 받이구
KR20110052539A (ko) 통 결합 및 개방 장치
JP4276234B2 (ja) ケーブル挿入及びパイプ貫通用スリーブ
KR101448176B1 (ko) 가공 배전선로의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절연장치
US20160133382A1 (en) Stationary Induction Apparatus
KR101964032B1 (ko) 지상변압기용 단자장치
KR100787472B1 (ko) 지상변압기에서의 순간압력저감장치 설치방법
JP2008118072A (ja) 変圧器コイル輸送装置および変圧器コイル輸送方法
KR200462698Y1 (ko) 주상변압기용 부싱
JP2007092538A (ja) 圧縮機の取付装置
CN212161510U (zh) 一种油浸式变压器
KR20140037623A (ko) 변압기용 외함
KR20170044315A (ko) 누유방지장치
KR102141230B1 (ko) 이중 슬립마찰면을 이용하여 지진충격을 감쇄시키는 면진 장치
KR20180126659A (ko) 내진행거
KR20170003925U (ko) 가스절연 개폐장치
KR101016056B1 (ko) 송전, 변전, 배전 지중 전력케이블 매설용 고압선 지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