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2134A -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 및 복합 성형체 - Google Patents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 및 복합 성형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2134A
KR20180042134A KR1020170133988A KR20170133988A KR20180042134A KR 20180042134 A KR20180042134 A KR 20180042134A KR 1020170133988 A KR1020170133988 A KR 1020170133988A KR 20170133988 A KR20170133988 A KR 20170133988A KR 20180042134 A KR20180042134 A KR 201800421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wirings
cavity
group
addi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3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아키 다카노
규이치로 데루이
다쿠미 이타가키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42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21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2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by affixing prefabricated conductor pattern
    • H05K3/20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by affixing prefabricated conductor pattern using self-supporting metal foil patter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63High current adaptations, e.g. printed high current conductors or using auxiliary non-printed means; Fine and coarse circuit patterns on one circuit board
    • H05K1/0265High current adaptations, e.g. printed high current conductors or using auxiliary non-printed means; Fine and coarse circuit patterns on one circuit board characterized by the lay-out of or details of the printed conductors, e.g. reinforced conductors, redundant conductors, conductors having different cross-sec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0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by casting or moulding of condu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3Conductive materials
    • H05K2201/0332Structure of the conductor
    • H05K2201/0335Layered conductors or fo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Encapsulation Of And Coatings For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AREA)

Abstract

금형의 캐비티 내에 복수의 배선이 배치된 경우라도 배선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려운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제 1 배선 및 제 2 배선을 구비하는 일군의 배선을, 금형의 캐비티 내에 배치하는 제 1 단계, 상기 일군의 배선이 배치되어 있는 상기 캐비티 내에 수지계 원재료를 공급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캐비티 내에 공급된 상기 수지계 원재료로 성형체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일군의 배선을 상기 성형체에 대해 고정하여, 복합 성형체를 얻는 제 3 단계를 구비하는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제 2 단계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 내를 상기 수지계 원재료가 가압 상태에서 유동했을 때에, 상기 캐비티를 구획 형성하는 내면으로부터 상기 캐비티 내로 돌출되는 돌출부의 기저부측에 위치하는 제 1 유지부에 의해 상기 제 1 배선이 유지되도록, 상기 제 1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선은 배치되고, 상기 제 1 배선보다 상기 돌출부의 돌출 단부측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선과는 이간된 상태에 있는 상기 제 2 배선이, 당해 상기 돌출부가 구비하는 제 2 유지부에 의해 유지되도록, 상기 제 1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 2 배선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

Description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 및 복합 성형체{METHOD FOR MANUFACTURE COMPOSITE MOLDED BODY AND COMPOSITE MOLDED BODY}
본 발명은, 일군(一群)의 배선과 성형체를 구비하는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 및 복합 성형체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에는, 도전성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배선 멤버를 형성하고, 그것을 조합하여 배선 구조체를 구성하면서, 그것을 인서트로서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성형체를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 특개평8-64916호 공보
금속 등의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배선과 수지 등의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성형체를 구비하는 복합 성형체는, 특허 문헌 1에 기재되는 것 같은, 이른바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인서트 성형에서는, 복수의 배선이 배치된 금형 내에, 점도가 저하된 상태에 있는 수지가 가압 상태에서 공급된다. 이 때에, 수지의 유동에 의해 배선의 위치가 어긋나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배선의 위치 어긋남은, 배선의 도전성의 저하나, 배선의 단선, 나아가서는 복수의 배선의 단락 등, 복합 성형체에 있어서 치명적인 문제를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복수의 배선의 단락은, 금형 내에서 배선이 교차된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특히 발생하기 쉽다.
본 발명은, 금형의 캐비티 내에 복수의 배선이 배치된 경우라도 배선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려운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배선의 교차부를 가지고 있어도, 교차부 근방에서의 단락이 발생하기 어려운 복합 성형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은, 일 양태에 있어서, 제 1 배선 및 제 2 배선을 구비하는 일군의 배선을, 금형의 캐비티 내에 배치하는 제 1 단계, 상기 일군의 배선이 배치되어 있는 상기 캐비티 내에 수지계 원재료를 공급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캐비티 내에 공급된 상기 수지계 원재료로 성형체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일군의 배선을 상기 성형체에 대해 고정하여, 복합 성형체를 얻는 제 3 단계를 구비하는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제 2 단계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 내를 상기 수지계 원재료가 가압 상태에서 유동했을 때에, 상기 캐비티를 구획 형성하는 내면으로부터 상기 캐비티 내로 돌출되는 돌출부의 기저부(基底部)측에 위치하는 제 1 유지부에 의해 상기 제 1 배선이 유지되도록, 상기 제 1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선은 배치되고, 상기 제 1 배선보다 상기 돌출부의 돌출 단부(端部)측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선과는 이간된 상태에 있는 상기 제 2 배선이, 당해 상기 돌출부가 구비하는 제 2 유지부에 의해 유지되도록, 상기 제 1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 2 배선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이다.
금형 내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이용하여 유지되도록 복수의 배선을 배치함으로써, 제 2 단계에 있어서 금형 내에 가압 상태에서 유동해도, 배선의 이동이 발생하기 어렵다. 따라서, 제 2 단계에 있어서 배선이 소정의 위치로부터 크게 이동해버리는 것에 의거한 문제가 억제된다.
상기 복합 성형체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선과 상기 제 2 배선은 교차부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교차부를 가지는 경우에는, 제 2 단계 중에 이들 배선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면 교차부에 있어서 이들 배선의 접촉이 발생하기 쉽고, 그 상태에서 제 3 단계에 이르면, 배선의 단락이 발생해 버린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돌출부를 이용하여 유지된 상태에서 교차시킴으로써, 배선의 단락이 발생할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 1 유지부나 제 2 유지부의 돌출부에 있어서의 배치는 한정되지 않고, 다음과 같은 다양한 배치가 가능하다.
상기 제 2 유지부는 상기 돌출 단부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제 1 유지부는, 상기 내면에 있어서의 상기 기저부의 주위에 위치하는 제 1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단계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 내를 상기 수지계 원재료가 가압 상태에서 유동했을 때에, 상기 제 1 배선은 상기 제 1 영역에 대해 가압되어도 된다.
상기 일군의 배선은, 상기 제 1 배선 및 상기 제 2 배선에 더해 적어도 1개의 추가 배선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 내를 상기 수지계 원재료가 가압 상태에서 유동했을 때에, 상기 돌출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유지부와 상기 제 2 유지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추가 유지부에 의해 상기 추가 배선이 개별적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제 1 단계에 있어서 상기 추가 배선은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돌출부에 의해 유지되는 배선은 3개 이상이어도 되고, 그 경우여도, 돌출부의 형상을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이들 배선의 단락을 적절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일군의 배선 중 적어도 1개의 배선은 환(環) 형상 부분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 내를 상기 수지계 원재료가 가압 상태에서 유동했을 때에, 상기 돌출부 중 어느 부분에 의해 상기 환 형상 부분이 유지되도록, 상기 제 1 단계에 있어서 상기 환 형상 부분을 가지는 배선은 배치되어도 된다. 환 형상 부분에 있어서 돌출부에 유지되는 경우에는, 제 2 단계에서 수지와 접촉해도, 돌출부에 의해 배선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의 경우(일군의 배선 중 적어도 1개의 배선이 환 형상 부분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일군의 배선 중 상기 환 형상 부분을 가지는 배선은 2개 이상 있으며, 상기 2개 이상의 환 형상 부분은, 상기 돌출부의 돌출 방향에서 볼 때, 무게 중심이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환 형상 부분의 움직임이 돌출부에 의해 적절하게 제한되어, 배선의 단락의 방지가 더 안정적으로 실현된다.
상기 환 형상 부분은 원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 형상 부분이 원환 형상인 경우에는, 제 2 단계에 있어서 수지가 다양한 방향으로부터 환 형상 부분에 대하여 압력을 가하는 경우라도, 돌출 부분을 이용한 유지가 행해지기 쉽다. 또한, 돌출부를 환 형상부에 삽입하기 쉽기 때문에, 제 1 단계에 있어서 배선을 금형의 캐비티 내에 배치할 때에 배선을 변형시키기 어렵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돌출 단부측일수록 얇아지는 단차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제 2 단계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 내를 상기 수지계 원재료가 가압 상태에서 유동했을 때에, 상기 일군의 배선 중 적어도 1개의 배선은, 상기 단차 구조에 있어서의 상기 돌출부의 상기 돌출 단부측을 향한 면에 대해 가압되어도 된다. 이러한 단차 구조를 가짐으로써, 배선의 유지가 보다 안정적으로 행해진다.
상기 일군의 배선 중, 상기 제 2 단계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 내를 상기 수지계 원재료가 가압 상태에서 유동했을 때에 상기 돌출부에 의해 유지되도록 배치된 배선은, 상기 복합 성형체에 있어서 서로 전기적으로 독립이어도 된다. 돌출부를 이용함으로써 배선의 유지가 적절하게 행해지기 때문에, 배선의 단락이 발생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다른 일 양태로서, 제 1 배선 및 제 2 배선을 구비하는 일군의 배선과, 성형체를 구비하는 복합 성형체이다. 이러한 복합 성형체에 있어서는, 상기 성형체는 제 1 개구부를 가지는 요함부(凹陷部)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배선은, 상기 요함부의 바닥부 이외의 부분에 노출부를 가지도록 위치하며, 상기 제 2 배선은, 상기 요함부 내의 상기 제 1 배선보다 상기 바닥부측에 노출부를 가지도록 위치하고, 상기 제 1 배선과 상기 제 2 배선은 교차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복합 성형체는, 상기 서술의 본 발명과 관련된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금형에 설치된 돌출부에 대응한 요함부를 구비하고, 이 요함부의 내부나 주위에 제 1 배선 및 제 2 배선이 위치한다. 이들 제 1 배선 및 제 2 배선은, 요함부에 대응한 돌출부를 이용하여 제조 중에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교차부를 가지고 있으면서, 배선의 단락이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이 충분히 저감되고 있다.
요함부의 내부나 주위에 있어서의 제 1 배선 및 제 2 배선의 배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 1 배선은, 상기 제 1 개구부의 주연부에 노출부를 가지도록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요함부는, 상기 제 1 개구부와 상기 바닥부의 사이에, 상기 제 1 개구부보다 개구 직경을 작게 하는 제 2 단차부를 가지고, 상기 제 2 배선은 상기 제 2 단차부에 노출부를 가지도록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혹은, 상기 요함부는, 상기 제 1 개구부와 상기 바닥부의 사이에, 상기 제 1 개구부보다 개구 직경을 작게 하는 제 1 단차부를 가지고, 상기 제 1 배선은 상기 제 1 단차부에 노출부를 가지도록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요함부는, 상기 제 1 단차부와 상기 바닥부의 사이에, 상기 제 1 단차부보다 개구 직경을 작게 하는 제 2 단차부를 가지고, 상기 제 2 배선은 상기 제 2 단차부에 노출부를 가지도록 위치해도 된다.
상기 제 2 배선은, 상기 요함부의 바닥부에 노출부를 가지도록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일군의 배선은, 상기 제 1 배선과 상기 제 2 배선의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1개의 추가 배선을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추가 배선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3개 이상의 배선이 교차된 복합 성형체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요함부는, 상기 제 1 배선의 노출부와 상기 제 2 배선의 노출부의 사이에, 상기 추가 배선의 개수와 동등한 수의 추가 단차부를 가지고, 상기 추가 단차부의 각각에서는, 상기 요함부의 개구 직경이 상기 제 1 개구부측으로부터 상기 바닥부측으로 작아지며, 상기 추가 배선의 각각은, 대응하는 상기 추가 단차부의 1개에 노출부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상기 일군의 배선 중 상기 노출부를 가지는 배선 중 적어도 1개는 환 형상 부분을 가지고, 상기 환 형상 부분은 상기 노출부 중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환 형상 부분을 가지는 배선을 2개 이상 구비하고, 상기 2개 이상의 환 형상 부분은, 상기 요함부의 오목 방향에서 볼 때, 무게 중심이 겹치도록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환 형상 부분은 원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일군의 배선 중, 상기 요함부 내 또는 그 주위에 위치하는 배선은, 서로 전기적으로 독립이어도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된 복합 성형체는 배선의 단락이 발생하기 어려우므로, 요함부 내 또는 그 주위에 위치하는 배선은 전기적으로 독립이면, 그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용이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금형의 캐비티 내에 복수의 배선이 배치된 경우라도 배선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려운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배선의 교차부를 가지고 있어도, 교차부 근방에서의 단락이 발생하기 어려운 복합 성형체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와 관련된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에 이용되는 금형의 캐비티 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와 관련된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의 제 1 단계(제 1 금형 상에 일군의 배선이 배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와 관련된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의 제 1 단계(제 1 금형과 제 2 금형이 맞닿아 캐비티가 형성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II-II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와 관련된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의 제 2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와 관련된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의 제 3 단계를 거쳐 얻어진 복합 성형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III-III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와 관련된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에 이용되는 금형의 캐비티 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와 관련된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의 제 1 단계(제 1 금형 상에 일군의 배선이 배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와 관련된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의 제 1 단계(제 1 금형과 제 2 금형이 맞닿아 캐비티가 형성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IV-IV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와 관련된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의 제 2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와 관련된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의 제 3 단계를 거쳐 얻어진 복합 성형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V-V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와 관련된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의 제 1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와 관련된 금형의 돌출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VI-VI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와 관련된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의 제 2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와 관련된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의 제 3 단계를 거쳐 얻어진 복합 성형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사용될 수 있는 금형의 일례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상세한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와 관련된 복합 성형체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와 관련된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에 이용되는 금형의 캐비티 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와 관련된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의 제 1 단계(제 1 금형 상에 일군의 배선이 배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와 관련된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의 제 1 단계(제 1 금형과 제 2 금형이 맞닿아 캐비티가 구성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II-II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와 관련된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의 제 2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와 관련된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의 제 3 단계를 거쳐 얻어진 복합 성형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III-III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은, 제 1 단계, 제 2 단계 및 제 3 단계를 구비한다.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와 관련된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사용되는 금형(10)에서는, 제 1 금형(11) 및 제 2 금형(12)에 의해 형성되는 캐비티(10C)에 있어서, 제 1 금형(11)에 의한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돌출부(20)가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나는 돌출부(20)의 기저부(20A)의 주위에 위치하는 주연(周緣) 영역(R1)은,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캐비티(10C)를 구성하는 내면으로부터 캐비티(10C) 내로 돌출되는 돌출부(20)의 기저부(20A) 측에 위치하는 제 1 유지부에 상당한다.
돌출부(20)는, 기저부(20A)측에 위치하는 원기둥과, 이 원기둥보다 얇은 직경으로서 돌출 단부(20B)측에 위치하는 원기둥의 동축(同軸) 연결체의 형상을 가지고, 이들 원기둥의 연결부에 제 2 배선용 단차부(22)가 구성되어 있다. 제 2 배선용 단차부(22)에는, 돌출 단부(20B)측을 향한 제 2 면(22S)이 설치되어 있다. 제 1 단계에 있어서 제 2 면(22S) 상에 제 2 배선(EP2)이 배치되기 때문에, 제 2 면(22S)이 제 2 유지부에 상당한다. 제 1 금형(11)과 제 2 금형(12)의 맞댐부 근방에는, 제 1 금형(11)과 제 2 금형(12)에 의하여 배선을 유지하기 위한 부분(제 1 배선 유지부(121), 제 2 배선 유지부(122))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캐비티 구성을 가지는 금형(10)을 이용하여, 복합 성형체의 제조가 행해진다.
우선, 제 1 단계에서는, 서로 전기적으로 독립한 일군의 배선(제 1 실시 형태에서는 일군의 배선은 제 1 배선(EP1) 및 제 2 배선(EP2)으로 이루어진다.)을, 금형(10)의 캐비티(10C) 내에 배치한다(S101).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 2 배선(EP2)은, 제 1 배선(EP1)보다 돌출부(20)의 돌출 단부(20B)측에 있어서 제 1 배선(EP1)과는 이간된 상태에 있다.
제 1 배선(EP1)은, 제 1 유지부에 상당하는 주변 영역(R1) 상에 재치(載置)된 제 1 환 형상 부분(C1)과, 제 1 환 형상 부분(C1)으로부터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배선부(W11) 및 제 2 배선부(W12)로 구성된다. 제 1 배선부(W11) 및 제 2 배선부(W12)의 제 1 환 형상 부분(C1)측과는 반대측의 단부를 포함하는 부분은, 제 1 금형(11)의 위에 재치된다.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 1 환 형상 부분(C1)은 원환 형상을 가진다. 이 때문에, 원환 형상의 내주 내에 돌출부(20)를 삽입하기 쉽다. 그러므로, 제 1 단계에 있어서 제 1 배선(EP1)을 배치할 때에 배선이 변형될 문제가 발생하기 어렵다.
제 2 배선(EP2)은, 제 2 배선용 단차부(22)의 돌출 단부(20B)측을 향하는 제 2 면(22S) 상에 재치된 제 2 환 형상 부분(C2)과, 제 2 환 형상 부분(C2)으로부터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배선부(W21) 및 제 2 배선부(W22)로 구성된다. 제 1 배선부(W21) 및 제 2 배선부(W22)의 제 2 환 형상 부분(C2)측과는 반대측의 단부를 포함하는 부분은, 제 1 금형(11) 상에 재치된다.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 2 환 형상 부분(C2)도 제 1 환 형상 부분(C1)과 마찬가지로 원환 형상을 가진다. 이 때문에, 원환 형상의 내주 내에 돌출부(20)의 돌출 단부(20B)측의 부분을 삽입하기 쉽다. 그러므로, 제 1 단계에 있어서 제 2 배선(EP2)을 배치할 때에 배선이 변형되는 문제가 발생하기 어렵다.
그 후, 제 1 금형(11)과 제 2 금형(12)을 맞닿게 하여 캐비티(10C)를 형성한다(도 4 및 도 5). 이 때, 제 1 배선 유지부(121)에 의해 제 1 배선(EP1)이 유지되고, 제 2 배선 유지부(122)에 의해 제 2 배선(EP2)이 유지된다. 이 단계에서는, 제 1 환 형상 부분(C1)은 주변 영역(R1)과 접촉하고 있어도 되고, 비접촉부가 있어도 된다. 제 2 환 형상 부분(C2)도 제 2 면(22S)와 접촉하고 있어도 되고, 비접촉부가 있어도 된다.
제 2 단계에서는, 전기적으로 서로 독립한 일군의 배선(제 1 실시 형태에서는, 일군의 배선은 제 1 배선(EP1) 및 제 2 배선(EP2)으로 이루어진다.)이 배치되어 있는 캐비티(10C) 내에 수지계 원재료(RM)를 공급한다(S102). 도 6에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도입부로부터 수지계 원재료(RM)가 캐비티(10C) 내에 공급되어, 캐비티(10C) 내에 충전되면, 도 6에 화살표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 1 환 형상 부분(C1)이 주변 영역(R1)에 눌려진다. 이에 따라, 제 1 환 형상 부분(C1)은 주변 영역(R1) 및 기저부(20A)에 의해 유지되기 때문에, 제 1 환 형상 부분(C1)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특히, 제 1 환 형상 부분(C1)은 돌출부(20)의 기저부(20A)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수지계 원재료(RM)가 캐비티(10C) 내를 유동함으로써 다양한 각도로부터의 힘이 제 1 환 형상 부분(C1)에 대해 가해져도, 제 1 환 형상 부분(C1)의 위치 어긋남은 발생하기 어렵다.
마찬가지로, 도 6에 화살표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 2 환 형상 부분(C2)이 제 2 면(22S)에 눌려진다. 이에 따라, 제 2 환 형상 부분(C2)은 제 2 면(22S)에 의해 유지되기 때문에, 제 2 환 형상 부분(C2)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특히, 제 2 환 형상 부분(C2)은 돌출부(20)의 제 2 배선용 단차부(22)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수지계 원재료(RM)가 캐비티(10C) 내를 유동함으로써 다양한 각도로부터의 힘이 제 2 환 형상 부분(C2)에 대해 가해져도, 제 2 환 형상 부분(C2)의 위치 어긋남은 발생하기 어렵다. 제 2 배선(EP2)에 의한 제 1 배선(EP1)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 2 배선용 단차부(22)에 의해 규제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배선(EP1)과 제 2 배선(EP2)의 단락은 발생하기 어렵다.
여기서, 환 형상 부분을 가지는 2개의 배선(제 1 배선(EP1), 제 2 배선(EP2))에 있어서의 2개의 환 형상 부분(제 1 환 형상 부분(C1), 제 2 환 형상 부분(C2))은, 돌출부(20)의 돌출 방향에서 볼 때, 무게 중심이 겹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배치됨으로써, 2개의 환 형상 부분(제 1 환 형상 부분(C1), 제 2 환 형상 부분(C2))은 서로 가장 떨어진 상태로 위치한다. 이 때문에, 제 2 단계에 있어서 2개의 환 형상 부분(제 1 환 형상 부분(C1), 제 2 환 형상 부분(C2))의 일부가 접촉할 가능성을 보다 안정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제 3 단계에서는, 캐비티(10C) 내에 공급된 수지계 원재료(RM)로 성형체(210)를 형성함과 함께, 일군의 배선(제 1 실시 형태에서는, 일군의 배선은 제 1 배선(EP1) 및 제 2 배선(EP2)으로 이루어진다.)을 성형체(210)에 대해 고정하여, 도 7 및 도 8에 나타나는 복합 성형체(200)를 얻는다(S103). 또한, 도 7은, 제 1 배선(EP1)이 제 2 배선(EP2)보다 지면(紙面) 상방에 위치하도록 보이는 사시도이며, 도 8은, 제 3 단계와의 관계가 이해되기 쉽도록, 제 1 배선(EP1)이 제 2 배선(EP2)보다 지면 하방에 위치하도록 보이는 단면도이다.
수지계 원재료(RM)의 조성은, 성형체(210)를 형성할 수 있는 한 임의이다. 성형체(21)를 구성하는 수지로서, 에폭시 수지, 액정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등이 예시된다. 수지계 원재료(RM)는, 실리카, 알루미나 등의 필러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복합 성형체(200)는, 제 1 개구부(220A) 및 바닥부(220B)를 가지는 요함부(220)를 구비한다. 제 1 실시 형태와 관련된 복합 성형체(200)에서는, 제 1 배선(EP1)은, 요함부(220)의 제 1 개구부(220A)의 주변(PA)에 원환 형상의 제 1 환 형상 부분(C1)을 노출부(E1)로서 구비하고, 제 1 환 형상 부분(C1)으로부터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배선부(W11) 및 제 2 배선부(W12)를 더 구비한다. 제 1 배선(EP1)의 제 1 배선부(W11) 및 제 2 배선부(W12)에 있어서의 제 1 환 형상 부분(C1)에 연결 설치되는 단부를 포함하는 부분은 노출되어 있다. 또한, 제 1 배선(EP1)의 제 1 배선부(W11) 및 제 2 배선부(W12)에 있어서의 제 1 환 형상 부분(C1)에 연결 설치되는 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를 포함하는 부분은 성형체(210)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요함부(220)는, 제 1 개구부(220A)와 바닥부(220B)의 사이에, 제 1 개구부(220A)보다 개구 직경을 작게 하는 제 2 단차부(222)를 가진다. 이 제 2 단차부(222)는 제 1 개구부(220A)측을 향하는 면(222S)을 가지고, 이 면(222S)에 제 2 환 형상 부분(C2)이 제 2 배선(EP2)의 노출부(E2)로서 위치한다. 따라서, 제 2 배선(EP2)은, 제 1 배선(EP1)보다 바닥부(220B)측의 요함부(220) 내에 노출부(E2)를 가지도록 위치한다. 제 2 배선(EP2)은, 제 1 배선(EP1)의 제 1 환 형상 부분(C1)으로부터 제 1 배선(W11) 및 제 2 배선(W12)이 연장되는 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 2 환 형상 부분(C2)으로부터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배선(W21) 및 제 2 배선(W22)을 가진다. 제 2 배선(EP2)의 제 1 배선부(W21) 및 제 2 배선부(W22)의 제 2 환 형상 부분(C2)에 연결 설치되는 단부측의 부분은 매설되어 있다. 또한, 제 2 배선(EP2)의 제 1 배선부(W21) 및 제 2 배선부(W22)에 있어서의 제 2 환 형상 부분(C2)에 연결 설치되는 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를 포함하는 부분이 성형체(210)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제 1 배선(EP1)의 제 1 배선(W11) 및 제 2 배선(W12)과 제 2 배선(EP2)의 제 1 배선(W21) 및 제 2 배선(W22)이 상기와 같은 배치 관계를 가지는 점에서, 복합 성형체(200)에 있어서, 제 1 배선(EP1) 및 제 2 배선(EP2)은, 적어도 일부가 성형체(210) 내에 위치하여 성형체(210)에 대해 고정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독립이면서 교차부를 가진다.
도 9 내지 도 15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와 관련된 복합 성형체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와 관련된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에 이용되는 금형의 캐비티 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와 관련된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의 제 1 단계(제 1 금형 상에 일군의 배선이 배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와 관련된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의 제 1 단계(제 1 금형과 제 2 금형이 맞닿아 캐비티가 형성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IV-IV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와 관련된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의 제 2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와 관련된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의 제 3 단계를 거쳐 얻어진 복합 성형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V-V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와 관련된 금형(10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와 관련된 금형(10)과 마찬가지로, 제 1 금형(11) 및 제 2 금형(12)을 구비하고, 제 1 배선 유지부(121) 및 제 2 배선 유지부(122)도 구비한다. 제 1 금형(11)은, 캐비티(10C) 내로 돌출되는 돌출부(20)를 구비한다. 이 돌출부(20)의 형상이, 제 1 실시 형태의 경우와는 상이하다.
도 9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돌출부(20)는, 외경이 상이한 3개의 원기둥이 기저부(20A)측으로부터 돌출 단부(20B)측을 향해 외형이 얇아지도록 동축으로 연결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돌출부(20)는 2개의 단차(제 1 배선용 단차부(21), 제 2 배선용 단차부(22))를 가지고, 어느 단차도 기저부(20A)측으로부터 돌출 단부(20B)측을 향한 면(제 1 면(21S), 제 2 면(22S))을 가진다.
제 1 단계에서는, 먼저, 도 1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 1 유지부에 상당하는 제 1 면(21S) 상에 제 1 환 형상 부분(C1)이 위치하도록, 제 1 배선(EP1)을 제 1 금형(11)에 재치한다. 이어서, 제 2 유지부에 상당하는 제 2 면(22S) 상에 제 2 환 형상 부분(C2)이 위치하도록, 제 2 배선(EP2)을 제 1 금형(11)에 재치한다. 계속해서, 도 11이나 도 1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 2 금형(12)을 제 1 금형(11)에 맞닿게 하여, 금형(101)의 캐비티(10C)를 형성한다(S101).
제 2 단계에서는, 서로 전기적으로 독립한 일군의 배선(제 2 실시 형태에서는, 일군의 배선은 제 1 배선(EP1) 및 제 2 배선(EP2)으로 이루어진다.)이 배치되어 있는 캐비티(10C) 내에 수지계 원재료(RM)를 공급한다(S102). 도 13에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도입부로부터 수지계 원재료(RM)가 캐비티(10C) 내에 공급되어, 캐비티(10C) 내에 충전되면, 도 13에 화살표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 1 환 형상 부분(C1)이 제 1 면(21S)에 눌려진다. 이에 따라, 제 1 환 형상 부분(C1)은 제 1 면(21S)에 의해 유지되기 때문에,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특히, 제 1 환 형상 부분(C1)은 돌출부(20)의 제 1 배선용 단차부(21)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수지계 원재료(RM)가 캐비티(10C) 내를 유동함으로써 다양한 각도로부터의 힘이 제 1 환 형상 부분(C1)에 대해 가해져도, 제 1 환 형상 부분(C1)의 위치 어긋남은 발생하기 어렵다.
마찬가지로, 도 13에 화살표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 2 환 형상 부분(C2)이 제 2 면(22S)에 눌려진다. 이에 따라, 제 2 환 형상 부분(C2)은 제 2 면(22S)에 의해 유지되기 때문에,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특히, 제 2 환 형상 부분(C2)은 돌출부(20)의 제 2 배선용 단차부(22)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수지계 원재료(RM)가 캐비티(10C) 내를 유동함으로써 다양한 각도로부터의 힘이 제 2 환 형상 부분(C2)에 대해 가해져도, 제 2 환 형상 부분(C2)의 위치 어긋남은 발생하기 어렵다. 제 2 배선(EP2)에 의한 제 1 배선(EP1)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 2 배선용 단차부(22)에 의해 규제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배선(EP1)과 제 2 배선(EP2)의 단락은 발생하기 어렵다.
제 3 단계에서는, 캐비티(10C) 내에 공급된 수지계 원재료(RM)로 성형체(210)를 형성함과 함께, 일군의 배선(제 2 실시 형태에서는 일군의 배선은 제 1 배선(EP1) 및 제 2 배선(EP2)으로 이루어진다.)을 성형체(210)에 대해 고정하여,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나는 복합 성형체(201)를 얻는다(S103). 또한, 도 14는, 제 1 배선(EP1)이 제 2 배선(EP2)보다 지면 상방에 위치하도록 보이는 사시도이며, 도 15는, 제 3 단계와의 관계가 이해되기 쉽도록, 제 1 배선(EP1)이 제 2 배선(EP2)보다 지면 하방에 위치하도록 보이는 단면도이다.
복합 성형체(201)는, 제 1 개구부(220A) 및 바닥부(220B)를 가지는 요함부(220)를 구비한다. 요함부(220)는, 제 1 개구부(220A)와 바닥부(220B)의 사이에, 제 1 개구부(220A)보다 개구 직경을 작게 하는 제 1 단차부(221)를 가진다. 이 제 1 단차부(221)는 제 1 개구부(220A)측을 향하는 면(221S)을 가지고, 이 면(221S)에 제 1 환 형상 부분(C1)이 제 1 배선(EP1)의 노출부(E1)로서 위치한다. 제 1 배선(EP1)은, 제 1 환 형상 부분(C1)으로부터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배선부(W11) 및 제 2 배선부(W12)를 더 구비한다. 제 1 배선(EP1)의 제 1 배선부(W11) 및 제 2 배선부(W12)에 있어서의 제 1 환 형상 부분(C1)에 연결 설치되는 측의 부분은 성형체(210) 내에 매설되어 있다. 또한, 제 1 배선(EP1)의 제 1 배선부(W11) 및 제 2 배선부(W12)에 있어서의 제 1 환 형상 부분(C1)에 연결 설치되는 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를 포함하는 부분은 성형체(210)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요함부(220)는, 제 1 단차부(221)에 더해, 제 1 단차부(221)와 바닥부(220B)의 사이에, 제 1 단차부(221)보다 요함부(220)의 개구 직경을 작게 하는 제 2 단차부(222)를 가진다. 이 제 2 단차부(222)는 제 1 개구부(220A)측을 향하는 면(222S)을 가지고, 이 면(222S)에 제 2 환 형상 부분(C2)이 제 2 배선(EP2)의 노출부(E2)로서 위치한다. 따라서, 제 2 배선(EP2)은, 제 1 배선(EP1)보다 바닥부(220B)측의 요함부(220) 내에 노출부(E2)를 가지도록 위치한다. 제 2 배선(EP2)은, 제 1 배선(EP1)의 제 1 환 형상 부분(C1)으로부터 제 1 배선(W11) 및 제 2 배선(W12)이 연장되는 반대 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 2 환 형상 부분(C2)으로부터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배선(W21) 및 제 2 배선(W22)을 가진다. 제 2 배선(EP2)의 제 1 배선부(W21) 및 제 2 배선부(W22)에 있어서의 제 2 환 형상 부분(C2)에 연결 설치되는 측의 부분은 매설되어 있다. 또한, 제 2 배선(EP2)의 제 1 배선부(W21) 및 제 2 배선부(W22)에 있어서의 제 2 환 형상 부분(C2)에 연결 설치되는 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를 포함하는 부분은 성형체(210)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제 1 배선(EP1)의 제 1 배선(W11) 및 제 2 배선(W12)과 제 2 배선(EP2)의 제 1 배선(W21) 및 제 2 배선(W22)이 상기와 같은 배치 관계를 가지는 점에서, 복합 성형체(201)에 있어서, 제 1 배선(EP1) 및 제 2 배선(EP2)은, 적어도 일부가 성형체(210) 내에 위치하여 성형체(210)에 대해 고정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독립이면서 교차부를 가진다.
도 16 내지 도 20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와 관련된 복합 성형체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와 관련된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의 제 1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와 관련된 금형의 돌출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VI-VI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와 관련된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의 제 2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와 관련된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의 제 3 단계를 거쳐 얻어진 복합 성형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와 관련된 금형(102)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와 관련된 금형(101)과 마찬가지로, 제 1 금형(11) 및 제 2 금형(12)을 구비하고, 제 1 배선 유지부(121) 및 제 2 배선 유지부(122)도 구비한다. 제 1 금형(10)은 캐비티(10C) 내로 돌출되는 돌출부(20)를 구비한다. 이 돌출부(20)의 형상이, 제 2 실시 형태의 경우와는 상이하다.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돌출부(20)는, 외경이 상이한 3개의 원기둥이 기저부(20A)측으로부터 돌출 단부(20B)측을 향해 외형이 얇아지도록 동축으로 연결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돌출부(20)는 2개의 단차(제 1 배선용 단차부(21), 추가 배선용 단차부(2A))를 가지고, 어느 단차에도 기저부(20A)측으로부터 돌출 단부(20B)측을 향한 면(제 1 면(21S), 제 3 면(2AS))을 가진다. 제 3 실시 형태와 관련된 금형(102)의 돌출부(20)는, 제 2 실시 형태의 경우와의 대비이며, 돌출 단부(20B)에 제 2 배선(EP2)을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 구조(2D)를 더 가진다. 오목부 구조(2D)의 바닥부는, 기저부(20A)측으로부터 돌출 단부(20B)측을 향한 면을 가지고, 이 면이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돌출부(20)의 제 2 면(22S)이 된다.
제 1 단계에서는, 도 16 내지 도 1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 1 유지부에 상당하는 제 1 면(21S) 상에 제 1 환 형상 부분(C1)이 위치하도록, 제 1 배선(EP1)을 제 1 금형(11)에 재치한다. 제 1 배선(EP1)은, 제 1 환 형상 부분(C1)과, 제 1 환 형상 부분(C1)으로부터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배선부(W11) 및 제 2 배선부(W12)를 구비한다.
이어서, 추가 유지부에 상당하는 제 3 면(2AS) 상에 추가 환 형상 부분(CA)이 위치하도록, 추가 배선(EPA)을 제 1 금형(11)에 재치한다. 추가 배선(EPA)은, 추가 환 형상 부분(CA)과, 추가 환 형상 부분(CA)으로부터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배선부(WA1) 및 제 2 배선부(WA2)를 구비한다.
계속해서, 제 2 유지부에 상당하는 돌출 단부(20B)의 오목부 구조(2D)에 제 2 환 형상 부분(C2)이 수용되도록, 제 2 배선(EP2)을 제 1 금형(11)에 재치한다. 제 2 배선(EP2)은, 제 2 환 형상 부분(C2)과, 제 2 환 형상 부분(C2)으로부터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배선부(W21) 및 제 2 배선부(W22)를 구비한다. 또한, 제 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 2 환 형상 부분(C2)은, 내주측이 충전되어, 실질적으로 원반 형상의 형상을 가진다.
또한, 제 2 금형(12)을 제 1 금형(11)에 맞닿게 하여, 금형(102)의 캐비티(10C)를 형성한다(S101).
제 2 단계에서는, 도 19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전기적으로 서로 독립한 일군의 배선(제 3 실시 형태에서는 일군의 배선은 제 1 배선(EP1), 제 2 배선(EP2) 및 추가 배선(EPA)으로 이루어진다.)이 배치되어 있는 캐비티(10C) 내에 수지계 원재료(RM)를 공급한다(S102). 수지계 원재료(RM)가 캐비티(10C) 내에 공급되어, 캐비티(10C) 내에 충전되면, 제 1 환 형상 부분(C1)이 제 1 면(21S)에 눌려진다. 이에 따라, 제 1 환 형상 부분(C1)은 제 1 면(21S)에 의해 유지되기 때문에,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특히, 제 1 환 형상 부분(C1)은 돌출부(20)의 제 1 배선용 단차부(21)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수지계 원재료(RM)가 캐비티(10C) 내를 유동함으로써 다양한 각도로부터의 힘이 제 1 환 형상 부분(C1)에 대해 가해져도, 제 1 환 형상 부분(C1)의 위치 어긋남은 발생하기 어렵다.
마찬가지로, 추가 환 형상 부분(CA)이 제 3 면(2AS)에 눌려진다. 이에 따라, 추가 환 형상 부분(CA)은 제 3 면(2AS)에 의해 유지되기 때문에,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특히, 추가 환 형상 부분(CA)은 돌출부(20)의 추가 배선용 단차부(2A)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수지계 원재료(RM)가 캐비티(10C) 내를 유동함으로써 다양한 각도로부터의 힘이 추가 환 형상 부분(CA)에 대해 가해져도, 추가 환 형상 부분(CA)의 위치 어긋남은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제 2 환 형상 부분(C2)이 돌출 단부(20B)의 제 2 면(22S)에 눌려진다. 이에 따라, 제 2 환 형상 부분(C2)은 돌출 단부(20B)에 의해 유지되기 때문에,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제 3 단계에서는, 캐비티(10C) 내에 공급된 수지계 원재료(RM)로 성형체(210)를 형성함과 함께, 일군의 배선(제 3 실시 형태에서는 일군의 배선은 제 1 배선(EP1), 제 2 배선(EP2) 및 추가 배선(EPA)으로 이루어진다.)을 성형체(210)에 대해 고정하여, 도 19에 나타나는 복합 성형체(202)를 얻는다(S103).
복합 성형체(202)는, 제 1 개구부(220A) 및 바닥부(220B)을 가지는 요함부(220)를 구비한다. 요함부(220)는, 제 1 개구부(220A)와 바닥부(220B)의 사이에, 제 1 개구부(220A)보다 개구 직경을 작게 하는 제 1 단차부(221)를 가진다. 이 제 1 단차부(221)는 제 1 개구부(220A)측을 향하는 면(221S)을 가지고, 이 면(221S)에 제 1 환 형상 부분(C1)이 제 1 배선(EP1)의 노출부(E1)로서 위치한다.
요함부(220)의 바닥부(220B)에는, 제 2 환 형상 부분(C2)이 제 2 배선(EP2)의 노출부(E2)로서 위치한다. 따라서, 제 2 배선(EP2)은, 제 1 배선(EP1)보다 바닥부(220B)측의 요함부(220) 내에 노출부(E2)를 가지도록 위치한다.
요함부(220)는, 제 1 단차부(221)에 더해, 제 1 단차부(221)와 바닥부(220B)의 사이에, 제 1 단차부(221)보다 요함부(220)의 개구 직경을 작게 하는 추가 단차부(22A)를 가진다. 이 추가 단차부(22A)는 제 1 개구부(220A)측을 향하는 면(22AS)을 가지고, 이 면(22AS)에 추가 환 형상 부분(CA)이 추가 배선(EPA)의 노출부(EA)로서 위치한다. 따라서, 추가 배선(EPA)은, 제 1 배선(EP1)과 제 2 배선(EP2)의 사이에 노출부(EA)를 가지도록 위치한다.
제 1 배선(EP1), 제 2 배선(EP2), 및 추가 배선(EPA)의 상기의 배치 관계로부터, 복합 성형체(202)에 있어서, 제 1 배선(EP1), 제 2 배선(EP2) 및 추가 배선(EPA)은, 적어도 일부가 성형체(210) 내에 위치하여 성형체(210)에 대해 고정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독립이면서 교차부를 가진다.
상기에 본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서술한 각 실시 형태 또는 그 적용예에 대해, 당업자가 적절히, 구성 요소의 추가, 삭제, 설계 변경을 행한 것이나, 각 실시 형태의 특징을 적절히 조합시킨 것도, 본 발명의 요지를 구비하고 있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함유된다.
예를 들면, 제 1 실시 형태나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 2 배선이 돌출 단부(20B)에 의해 유지되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제 3실시 형태에 있어서 1개였던 추가 배선(EPA)이 복수이며, 각각이 돌출부(20)에 의해 유지되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돌출부(20)의 형상은 원기둥의 동축 연결체에 한정되지 않는다. 주연 영역(R1)에 제 1 배선(EP1)이 위치하고, 바닥부(220B)에 제 2 배선(EP2)이 위치하는 경우에는, 원기둥, 각기둥, 원뿔대, 각뿔대 등의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돌출부(20)는, 원기둥에 한정되지 않고, 각기둥, 원뿔대, 각뿔대 등의 동축 연결체의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돌출부(20)의 형상을 구성하는 각 형상(원기둥) 등이 비동축으로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유지부(제 1 유지부, 제 2 유지부, 추가 유지부)의 형상은 환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단계에 있어서 유지부가 돌출부(20)의 일부에 접함으로써, 유지부를 구비하는 배선(제 1 배선(EP1), 제 2 배선(EP2), 추가 배선(EPA))의 위치 어긋남이 억제되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돌출부(20)의 돌출 방향에서 볼 때 C형(개방된 환 형상), 혹은 L형을 가지는 경우가 예시된다. 제 3 실시 형태의 제 2 환 형상 부분(C2)과 같이, 돌출부(20)의 돌출 방향에서 볼 때 원반 형상이어도 된다.
배선(제 1 배선(EP1) 등)의 금형에 대한 유지 방법도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2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 1 금형(11V)의 캐비티에 배선을 수용하는 구멍부로 이루어지는 제 1 배선 유지부(121) 및 제 2 배선 유지부(122)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제 1 단계에 있어서, 배선(제 1 배선(EP1), 제 2 배선(EP2))의 단부를 이들 배선 유지부에 삽입하고, 제 2 단계에 있어서, 이 삽입된 단부에 의해 이들 배선은 유지된다. 그리고, 이들 배선 유지부에 삽입되어 있던 배선의 단부는, 제 3 단계 후에 얻어진 복합 성형체에 있어서의 배선의 노출부(다른 부품과의 전기적 접속을 행하는 부분)을 구성한다.
S101 제 1 단계
S102 제 2 단계
S103 제 3 단계
10, 101, 102 금형
11, 11V 제 1 금형
12 제 2 금형
10C 캐비티
20 돌출부
20A 기저부
R1 주연 영역
20B 돌출 단부
22 제 2 배선용 단차부
22S 제 2 면
121 제 1 배선 유지부
122 제 2 배선 유지부
EP1 제 1 배선
EP2 제 2 배선
C1 제 1 환 형상 부분
W11, W21, WA1 제 1 배선부
W12, W22, WA2 제 2 배선부
C2 제 2 환 형상 부분
RM 수지계 원재료
200, 201, 202 복합 성형체
220 요함부
220A 제 1 개구부
220B 바닥부
PA 제 1 개구부(220A)의 주변
E1, E2, EA 노출부
222 제 2 단차부
222S 면
210 성형체
21 제 1 배선용 단차부
21S 제 1 면
2AS 제 3 면
221 제 1 단차부
221S 면
22A 추가 단차부
2A 추가 배선용 단차부
22AS 제 3 면
CA 추가 환 형상 부분
EPA 추가 배선
2D 오목부 구조

Claims (57)

  1. 제 1 배선 및 제 2 배선을 구비하는 일군의 배선을, 금형의 캐비티 내에 배치하는 제 1 단계,
    상기 일군의 배선이 배치되어 있는 상기 캐비티 내에 수지계 원재료를 공급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캐비티 내에 공급된 상기 수지계 원재료로 성형체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일군의 배선을 상기 성형체에 대해 고정하여, 복합 성형체를 얻는 제 3 단계를 구비하는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제 2 단계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 내를 상기 수지계 원재료가 가압 상태에서 유동했을 때에,
    상기 캐비티를 구획 형성하는 내면으로부터 상기 캐비티 내로 돌출되는 돌출부의 기저부측에 위치하는 제 1 유지부에 의해 상기 제 1 배선이 유지되도록, 상기 제 1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선은 배치되고,
    상기 제 1 배선보다 상기 돌출부의 돌출 단부측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선과는 이간된 상태에 있는 상기 제 2 배선이, 당해 상기 돌출부가 구비하는 제 2 유지부에 의해 유지되도록, 상기 제 1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 2 배선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성형체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선과 상기 제 2 배선은 교차부를 가지는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지부는 상기 돌출 단부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설치되는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지부는 상기 돌출 단부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설치되는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지부는, 상기 내면에 있어서의 상기 기저부의 주위에 위치하는 제 1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단계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 내를 상기 수지계 원재료가 가압 상태에서 유동했을 때에, 상기 제 1 배선은 상기 제 1 영역에 대해 가압되는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지부는, 상기 내면에 있어서의 상기 기저부의 주위에 위치하는 제 1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단계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 내를 상기 수지계 원재료가 가압 상태에서 유동했을 때에, 상기 제 1 배선은 상기 제 1 영역에 대해 가압되는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지부는, 상기 내면에 있어서의 상기 기저부의 주위에 위치하는 제 1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단계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 내를 상기 수지계 원재료가 가압 상태에서 유동했을 때에, 상기 제 1 배선은 상기 제 1 영역에 대해 가압되는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지부는, 상기 내면에 있어서의 상기 기저부의 주위에 위치하는 제 1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단계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 내를 상기 수지계 원재료가 가압 상태에서 유동했을 때에, 상기 제 1 배선은 상기 제 1 영역에 대해 가압되는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군의 배선은, 상기 제 1 배선 및 상기 제 2 배선에 더해 적어도 1개의 추가 배선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단계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 내를 상기 수지계 원재료가 가압 상태에서 유동했을 때에, 상기 돌출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유지부와 상기 제 2 유지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추가 유지부에 의해 상기 추가 배선이 개별적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제 1 단계에 있어서 상기 추가 배선이 배치되는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일군의 배선은, 상기 제 1 배선 및 상기 제 2 배선에 더해 적어도 1개의 추가 배선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단계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 내를 상기 수지계 원재료가 가압 상태에서 유동했을 때에, 상기 돌출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유지부와 상기 제 2 유지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추가 유지부에 의해 상기 추가 배선이 개별적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제 1 단계에 있어서 상기 추가 배선이 배치되는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일군의 배선은, 상기 제 1 배선 및 상기 제 2 배선에 더해 적어도 1개의 추가 배선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단계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 내를 상기 수지계 원재료가 가압 상태에서 유동했을 때에, 상기 돌출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유지부와 상기 제 2 유지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추가 유지부에 의해 상기 추가 배선이 개별적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제 1 단계에 있어서 상기 추가 배선이 배치되는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
  1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일군의 배선은, 상기 제 1 배선 및 상기 제 2 배선에 더해 적어도 1개의 추가 배선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단계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 내를 상기 수지계 원재료가 가압 상태에서 유동했을 때에, 상기 돌출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유지부와 상기 제 2 유지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추가 유지부에 의해 상기 추가 배선이 개별적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제 1 단계에 있어서 상기 추가 배선이 배치되는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
  1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일군의 배선은, 상기 제 1 배선 및 상기 제 2 배선에 더해 적어도 1개의 추가 배선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단계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 내를 상기 수지계 원재료가 가압 상태에서 유동했을 때에, 상기 돌출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유지부와 상기 제 2 유지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추가 유지부에 의해 상기 추가 배선이 개별적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제 1 단계에 있어서 상기 추가 배선이 배치되는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
  1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일군의 배선은, 상기 제 1 배선 및 상기 제 2 배선에 더해 적어도 1개의 추가 배선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단계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 내를 상기 수지계 원재료가 가압 상태에서 유동했을 때에, 상기 돌출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유지부와 상기 제 2 유지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추가 유지부에 의해 상기 추가 배선이 개별적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제 1 단계에 있어서 상기 추가 배선이 배치되는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
  15.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일군의 배선은, 상기 제 1 배선 및 상기 제 2 배선에 더해 적어도 1개의 추가 배선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단계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 내를 상기 수지계 원재료가 가압 상태에서 유동했을 때에, 상기 돌출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유지부와 상기 제 2 유지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추가 유지부에 의해 상기 추가 배선이 개별적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제 1 단계에 있어서 상기 추가 배선이 배치되는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
  16.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일군의 배선은, 상기 제 1 배선 및 상기 제 2 배선에 더해 적어도 1개의 추가 배선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단계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 내를 상기 수지계 원재료가 가압 상태에서 유동했을 때에, 상기 돌출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유지부와 상기 제 2 유지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추가 유지부에 의해 상기 추가 배선이 개별적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제 1 단계에 있어서 상기 추가 배선이 배치되는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군의 배선 중 적어도 1개의 배선은 환 형상 부분을 가지고, 상기 제 2 단계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 내를 상기 수지계 원재료가 가압 상태에서 유동했을 때에, 상기 돌출부 중 어느 부분에 의해 상기 환 형상 부분이 유지되도록, 상기 제 1 단계에 있어서 상기 환 형상 부분을 가지는 배선이 배치되는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일군의 배선 중 상기 환 형상 부분을 가지는 배선은 2개 이상 있으며, 상기 2개 이상의 환 형상 부분은, 상기 돌출부의 돌출 방향에서 볼 때, 무게 중심이 겹치도록 배치되는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환 형상 부분은 원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포함하는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환 형상 부분은 원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포함하는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
  21.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돌출 단부측일수록 얇아지는 단차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제 2 단계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 내를 상기 수지계 원재료가 가압 상태에서 유동했을 때에, 상기 일군의 배선 중 적어도 1개의 배선은, 상기 단차 구조에 있어서의 상기 돌출부의 상기 돌출 단부측을 향한 면에 대해 가압되는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돌출 단부측일수록 얇아지는 단차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제 2 단계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 내를 상기 수지계 원재료가 가압 상태에서 유동했을 때에, 상기 일군의 배선 중 적어도 1개의 배선은, 상기 단차 구조에 있어서의 상기 돌출부의 상기 돌출 단부측을 향한 면에 대해 가압되는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돌출 단부측일수록 얇아지는 단차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제 2 단계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 내를 상기 수지계 원재료가 가압 상태에서 유동했을 때에, 상기 일군의 배선 중 적어도 1개의 배선은, 상기 단차 구조에 있어서의 상기 돌출부의 상기 돌출 단부측을 향한 면에 대해 가압되는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
  24.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돌출 단부측일수록 얇아지는 단차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제 2 단계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 내를 상기 수지계 원재료가 가압 상태에서 유동했을 때에, 상기 일군의 배선 중 적어도 1개의 배선은, 상기 단차 구조에 있어서의 상기 돌출부의 상기 돌출 단부측을 향한 면에 대해 가압되는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
  25.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돌출 단부측일수록 얇아지는 단차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제 2 단계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 내를 상기 수지계 원재료가 가압 상태에서 유동했을 때에, 상기 일군의 배선 중 적어도 1개의 배선은, 상기 단차 구조에 있어서의 상기 돌출부의 상기 돌출 단부측을 향한 면에 대해 가압되는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
  26.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군의 배선 중, 상기 제 2 단계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 내를 상기 수지계 원재료가 가압 상태에서 유동했을 때에 상기 돌출부에 의해 유지되도록 배치된 배선은, 상기 복합 성형체에 있어서 서로 전기적으로 독립인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
  27.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일군의 배선 중, 상기 제 2 단계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 내를 상기 수지계 원재료가 가압 상태에서 유동했을 때에 상기 돌출부에 의해 유지되도록 배치된 배선은, 상기 복합 성형체에 있어서 서로 전기적으로 독립인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
  28. 제 18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군의 배선 중, 상기 제 2 단계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 내를 상기 수지계 원재료가 가압 상태에서 유동했을 때에 상기 돌출부에 의해 유지되도록 배치된 배선은, 상기 복합 성형체에 있어서 서로 전기적으로 독립인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
  29.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일군의 배선 중, 상기 제 2 단계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 내를 상기 수지계 원재료가 가압 상태에서 유동했을 때에 상기 돌출부에 의해 유지되도록 배치된 배선은, 상기 복합 성형체에 있어서 서로 전기적으로 독립인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
  30. 제 22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군의 배선 중, 상기 제 2 단계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 내를 상기 수지계 원재료가 가압 상태에서 유동했을 때에 상기 돌출부에 의해 유지되도록 배치된 배선은, 상기 복합 성형체에 있어서 서로 전기적으로 독립인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
  31. 제 1 배선 및 제 2 배선을 구비하는 일군의 배선과, 성형체를 구비하는 복합 성형체로서,
    상기 성형체는 제 1 개구부를 가지는 요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배선은, 상기 요함부의 바닥부 이외의 부분에 노출부를 가지도록 위치하며,
    상기 제 2 배선은, 상기 요함부 내의 상기 제 1 배선보다 상기 바닥부측에 노출부를 가지도록 위치하고,
    상기 제 1 배선과 상기 제 2 배선은 교차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성형체.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선은, 상기 제 1 개구부의 주연부에 노출부를 가지도록 위치하는 복합 성형체.
  3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요함부는, 상기 제 1 개구부와 상기 바닥부의 사이에, 상기 제 1 개구부보다 개구 직경을 작게 하는 제 1 단차부를 가지고, 상기 제 1 배선은 상기 제 1 단차부에 노출부를 가지도록 위치하는 복합 성형체.
  34.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배선은, 상기 요함부의 바닥부에 노출부를 가지도록 위치하는 복합 성형체.
  35.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배선은, 상기 요함부의 바닥부에 노출부를 가지도록 위치하는 복합 성형체.
  36.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배선은, 상기 요함부의 바닥부에 노출부를 가지도록 위치하는 복합 성형체.
  37.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요함부는, 상기 제 1 개구부와 상기 바닥부의 사이에, 상기 제 1 개구부보다 개구 직경을 작게 하는 제 2 단차부를 가지고, 상기 제 2 배선은 상기 제 2 단차부에 노출부를 가지도록 위치하는 복합 성형체.
  38.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요함부는, 상기 제 1 단차부와 상기 바닥부의 사이에, 상기 제 1 단차부보다 개구 직경을 작게 하는 제 2 단차부를 가지고, 상기 제 2 배선은 상기 제 2 단차부에 노출부를 가지도록 위치하는 복합 성형체.
  39. 제 31 항 내지 제 3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군의 배선은, 상기 제 1 배선과 상기 제 2 배선의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1개의 추가 배선을 더 구비하고,
    상기 요함부는, 상기 제 1 배선의 노출부와 상기 제 2 배선의 노출부의 사이에, 상기 추가 배선의 개수와 동등한 수의 추가 단차부를 가지며,
    상기 추가 단차부의 각각에서는 상기 요함부의 개구 직경이 상기 제 1 개구부측으로부터 상기 바닥부측으로 작아지고,
    상기 추가 배선의 각각은, 대응하는 상기 추가 단차부의 1개에 노출부를 가지는 복합 성형체.
  40. 제 31 항 내지 제 3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군의 배선 중 상기 노출부를 가지는 배선 중 적어도 1개는 환 형상 부분을 가지고, 상기 환 형상 부분은 상기 노출부 중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복합 성형체.
  41.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일군의 배선 중 상기 노출부를 가지는 배선 중 적어도 1개는 환 형상 부분을 가지고, 상기 환 형상 부분은 상기 노출부 중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복합 성형체.
  42.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환 형상 부분을 가지는 배선을 2개 이상 구비하고, 상기 2개 이상의 환 형상 부분은, 상기 요함부의 오목 방향에서 볼 때, 무게 중심이 겹치도록 위치하는 복합 성형체.
  43.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환 형상 부분을 가지는 배선을 2개 이상 구비하고, 상기 2개 이상의 환 형상 부분은, 상기 요함부의 오목 방향에서 볼 때, 무게 중심이 겹치도록 위치하는 복합 성형체.
  44.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환 형상 부분은 원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포함하는 복합 성형체.
  45.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환 형상 부분은 원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포함하는 복합 성형체.
  46.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환 형상 부분은 원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포함하는 복합 성형체.
  47.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환 형상 부분은 원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포함하는 복합 성형체.
  48. 제 31 항 내지 제 3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군의 배선 중, 상기 요함부 내 또는 그 주위에 위치하는 배선은, 서로 전기적으로 독립인 복합 성형체.
  49.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일군의 배선 중, 상기 요함부 내 또는 그 주위에 위치하는 배선은, 서로 전기적으로 독립인 복합 성형체.
  50.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일군의 배선 중, 상기 요함부 내 또는 그 주위에 위치하는 배선은, 서로 전기적으로 독립인 복합 성형체.
  51.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일군의 배선 중, 상기 요함부 내 또는 그 주위에 위치하는 배선은, 서로 전기적으로 독립인 복합 성형체.
  52.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일군의 배선 중, 상기 요함부 내 또는 그 주위에 위치하는 배선은, 서로 전기적으로 독립인 복합 성형체.
  53.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일군의 배선 중, 상기 요함부 내 또는 그 주위에 위치하는 배선은, 서로 전기적으로 독립인 복합 성형체.
  54.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일군의 배선 중, 상기 요함부 내 또는 그 주위에 위치하는 배선은, 서로 전기적으로 독립인 복합 성형체.
  55.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일군의 배선 중, 상기 요함부 내 또는 그 주위에 위치하는 배선은, 서로 전기적으로 독립인 복합 성형체.
  56.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일군의 배선 중, 상기 요함부 내 또는 그 주위에 위치하는 배선은, 서로 전기적으로 독립인 복합 성형체.
  57.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일군의 배선 중, 상기 요함부 내 또는 그 주위에 위치하는 배선은, 서로 전기적으로 독립인 복합 성형체.
KR1020170133988A 2016-10-17 2017-10-16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 및 복합 성형체 KR201800421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03820A JP2018065263A (ja) 2016-10-17 2016-10-17 複合成形体の製造方法および複合成形体
JPJP-P-2016-203820 2016-10-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134A true KR20180042134A (ko) 2018-04-25

Family

ID=62085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3988A KR20180042134A (ko) 2016-10-17 2017-10-16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 및 복합 성형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8065263A (ko)
KR (1) KR2018004213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36731A (zh) * 2021-02-05 2021-06-11 深圳市凯中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金具定位机构及注塑模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065263A (ja) 2018-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61031B2 (en)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CN103430306B (zh) 半导体模块及其制造方法
CN204046939U (zh) 具有电路板的电子单元
WO2019102977A1 (ja) 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CN103367178A (zh) 堆叠半导体封装
US9296142B2 (e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JP2011035354A (ja) パワーモジュール
JP7202866B2 (ja) 基板接続コネクタ向けの端子、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製造方法
JP2008288448A (ja) 電子装置及びその成形金型
KR20180042134A (ko) 복합 성형체의 제조 방법 및 복합 성형체
CN116631971B (zh) 功率模块
US11276962B2 (en)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16631972A (zh) 功率模块和具有其的电子设备
CN101345226B (zh) Ic器件和制造该ic器件的方法
US10797430B2 (en) Connector
CN103281858A (zh) 印刷电路板及其制造方法、倒装芯片封装件及其制造方法
JP7173503B2 (ja) 端子、端子を備えたパワーモジュール用射出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9102284A (ja) 電子部品及び電子部品の製造方法
CN104121849A (zh) 旋转角检测装置
JP2012164447A (ja) 配線ユニット
JP2001230520A (ja) 配線基板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より得られた配線基板
KR102392249B1 (ko) 가공 가능한 공구의 최소 규격보다 협소한 스페이싱을 가지는 금형
US20230197468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power semiconductor module and power semiconductor module
US20190305624A1 (en) Stator for motor
US9876306B2 (en) Method for producing a modular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a control unit in a mot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