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2101A - 펌뱅킹과 연동되는 STEPS 주문계좌를 이용한 One-Stop 금융거래방법 - Google Patents

펌뱅킹과 연동되는 STEPS 주문계좌를 이용한 One-Stop 금융거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2101A
KR20180042101A KR1020170037554A KR20170037554A KR20180042101A KR 20180042101 A KR20180042101 A KR 20180042101A KR 1020170037554 A KR1020170037554 A KR 1020170037554A KR 20170037554 A KR20170037554 A KR 20170037554A KR 20180042101 A KR20180042101 A KR 20180042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ount
server
financial institution
investor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7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7829B1 (ko
Inventor
이정우
박양수
양수영
Original Assignee
한화투자증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투자증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투자증권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042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2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7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7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085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remote charge determination or related payme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06Q20/102Bill distribution or pay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4Billing or invoi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금융상품 구매방법으로서, 투자자로부터 투자상품의 구매를 요청받은 경우, 상기 투자자의 증권사계좌의 잔액이 상기 투자상품의 가액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증권사서버에서, 상기 투자상품의 구매를 위하여 추가적으로 필요한 차액 이상의 금액에 대한 계좌이체를 타금융기관서버에게 요청하고, 상기 타금융기관서버로부터 상기 차액의 이체에 성공하였다는 이체결과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증권사서버가 접근 가능한 회계처리DB 내에 제공되는 상기 투자자를 위한 지급요청금액 필드의 값에 상기 차액에 대응하는 값을 추가함으로써 상기 지급요청금액 필드의 값을 갱신하며, 상기 증권사계좌의 잔액과 상기 지급요청금액 필드의 값에 대응하는 금액의 합이 상기 투자상품의 가액 이상인 경우 상기 투자상품의 구매를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Description

펌뱅킹과 연동되는 STEPS 주문계좌를 이용한 One-Stop 금융거래방법{Method for One-Stop financial transaction using a STEPS order account interworked with firm banking}
본 발명은 서버장치에서 수행되는 기술로서, 증권 상품 구매 시 필요한 금액을 은행서버로부터 증권사로 이체하는 펌뱅킹을 이용한 증권 거래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투자자가 투자를 하기 위해서는 증권사에 증권사계좌의 개설을 요청하여 상기 증권사계좌를 개설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자자는 타금융기관에 타금융계좌를 개설하여 상기 타금융계좌에 돈을 예치할 수 있다. 상기 투자자는 상기 타금융계좌에 예치한 돈 중 상기 투자를 위해 필요한 투자금액을 직접 상기 증권사계좌에 이체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투자자는 상기 투자 또는 투자금 회수를 위해 제공되는 상기 증권사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투자는 예컨대 주식거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타금융기관은 예컨대 은행 또는 저축은행일 수 있다.
상기 투자자는 상기 타금융기관에서 제공하는 온/오프라인 금융이체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타금융계좌로부터 상기 증권사계좌로 상기 투자금을 이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자자는, 상기 증권사계좌에 예치된 금액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온/오프라인 금융이체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증권사계좌로부터 상기 타금융계좌에 이체할 수 있다. 상기 증권사계좌에 예치된 금액 중 적어도 일부는 미투자금액 또는 투자종료에 따른 잉여자금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투자를 위한 투자자의 투자금액 조달의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실행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자상품의 구매를 위한 프로세스를 나타낸 것이다. 제1증권사에는 상기 제1투자자의 제1증권사계좌가 개설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프로세스는, 상기 제1증권사계좌에 잔금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단계(S100)에서, 제1투자자가 사용하는 제1단말기(10)는 제1증권사의 서버인 제1증권사서버(20)에게 특정 투자상품의 구매를 요청할 수 있다. 예컨대, 200만원 상당의 주식의 구매를 요청할 수 있다.
단계(S101)에서, 제1증권사서버(20)는 상기 제1증권사계좌의 잔금이 충분한지 확인할 수 있다.
단계(S102)에서, 상기 제1증권사계좌의 잔금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제1증권사서버(20)는 제1단말기(10)에게 상기 투자상품의 구매에 실패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제, 제1타금융기관에는 상기 제1투자자의 제1타금융계좌가 개설되어 있을 수 있다.
단계(S103)에서, 제1단말기(10)는 상기 제1타금융기관의 서버인 제1타금융기관서버(30)에게 상기 제1타금융계좌로부터 상기 제1증권사계좌로 돈을 이체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단계(S104)에서, 제1타금융기관서버(30)는 상기 제1타금융계좌로부터 상기 제1증권사계좌로 돈을 이체할 수 있다.
단계(S105)에서, 제1타금융기관서버(30)는 제1단말기(10)에게 이체가 성공했음을 확인하는 확인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S106)에서, 제1단말기(10)은 제1증권사서버(20)에게 상기 투자상품의 구매를 다시 요청할 수 있다.
단계(S107)에서, 제1증권사서버(20)는 상기 제1증권사계좌의 잔금이 충분한지 여부를 다시 확인할 수 있다.
단계(S108)에서, 제1증권사서버(20)는, 제1증권사계좌의 잔금이 충분한 경우, 상기 투자상품의 구매를 완료한 후 상기 제1단말기(10)에게 상기 투자상품의 구매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완료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증권사계좌에 예치된 돈이 상기 투자금액보다 적은 경우, 상기 투자자가 직접 상기 증권사계좌로 모자라는 돈을 이체하고, 그 다음에 다시 증권사서버에게 투자상품의 구매를 다시 요청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이와 반대로 상기 투자자가 상기 투자상품의 거래를 완료한 후, 남은 금액을 회수하고자 할 때에, 상기 증권사계좌에 남아 있는 돈을 직접 상기 타금융계좌로 송금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한편 관련 특허문헌으로서,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의 공개특허 '10-2005-0120514'(이하, 특허1), 및 비즈모델라인 주식회사의 등록특허 '10-0867733'(이하, 특허2)이 있다.
특허1은 간편하게 증권매수를 주문할 수 있게 하는 IC칩이 장착된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증권매수 주문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1의 도 2를 참조하면, 단말기가 증권사서버로 매수를 요청한 후, 단말기가 은행서버로 계좌이체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는 계좌이체 메시지를 생성하여 은행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은행서버에서 증권사서버의 증권계좌로 계좌이체를 진행한 후, 증권사서버에서 주문을 완료할 수 있다. 이후, 증권사서버는 단말기로 매수완료를 통보할 수 있으며, 은행서버는 단말기로 이체결과를 통보할 수 있다. 특허1에 의하면, 별도의 계좌이체 없이, 증권매수 주문과 동시에 자동으로 증권매수에 필요한 자금이 증권계좌로 이체되어, 보다 간편하게 증권매수를 주문할 수 있다.
특허2는 무선 단말기와 연동되는 IC칩을 이용한 투자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허2의 도 2를 참조하면, 투자서버가 IC칩이 구비된 휴대폰의 접속을 인지하여, 상기 IC칩 내의 인증정보를 참조하여 클라이언트 인증을 확인하고, 투자서버가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투자할 금액 데이터를 수신한 후, 상기 IC칩 내에 저장된 포인트 또는 지급요청금액과 상기 수신한 투자금액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다. 비교결과, 상기 IC칩 내에 저장된 포인트 또는 지급요청금액이 투자하고자 하는 금액보다 적을 경우, 투자 서버가 상기 IC칩 내에 포함된 전자화폐, 신용카드, 은행계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체 투자수단과 연계하여 부족한 투자금액을 자동으로 포함시켜 투자를 실시하여, 투자 내역을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비교결과 포인트가 부족한 경우, 투자 서버는 단말기로 타 투자수단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타 투자수단정보는 상기 대체투자수단일 수 있다.
상기 특허1 및 특허2는 단말기에 구비된 IC칩을 이용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상기 IC칩을 이용하면, 투자자가 직접 은행을 통해 계좌이체를 하지 않고, 자동으로 부족한 투자금액을 포함시켜 투자를 진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단말기에 IC칩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IC칩이 구비되었을 경우에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으며, 투자자가 직접 투자금액을 이체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투자금액의 이체, 투자거래, 잉여자금의 회수에 따른 번거로움을 없애고, 촌각을 다투는 투자환경에서 신속하게 투자를 완료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금융상품 구매방법으로서, 증권사서버에서 투자상품의 구매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금융상품 구매방법은, 투자자의 단말기로부터 투자상품의 구매를 요청받는 단계, 상기 투자자의 증권사계좌의 잔액이 상기 투자상품의 가액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투자상품의 구매를 위하여 추가적으로 필요한 차액 이상의 금액에 대한 계좌이체를 타금융기관서버에게 요청하는 단계, 상기 타금융기관서버로부터 상기 차액의 이체에 성공하였다는 이체결과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증권사서버가 접근 가능한 회계처리DB 내에 제공되는 상기 투자자를 위한 지급요청금액 필드의 값에 상기 차액에 대응하는 값을 추가함으로써 상기 지급요청금액 필드의 값을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증권사계좌의 잔액과 상기 지급요청금액 필드의 값에 대응하는 금액의 합이 상기 투자상품의 가액 이상인 경우 상기 투자상품의 구매를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계좌이체를 위한 출금계좌는, 상기 타금융기관에 개설되어 있는 상기 투자자 명의의 투자자연계계좌이며, 상기 계좌이체를 위한 입금계좌는, 상기 타금융기관에 개설되어 있는 계좌로서, 상기 증권사서버를 관리하거나 소유하는 자 명의의 증권사연계계좌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금융기관서버에게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투자상품의 구매를 위하여 추가적으로 필요한 차액 이상의 금액에 대한 계좌이체를 상기 타금융기관서버와는 다른 제1타금융기관서버에게 요청하는 경우, 상기 제1타금융기관서버에 대한 요청이 실패할 것이라는 것을 확인하거나 또는 실패했다는 것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실패할 것이라는 것을 확인하거나 또는 실패했다는 것을 확인한 이후에, 상기 투자상품의 구매를 위하여 추가적으로 필요한 차액 이상의 금액에 대한 계좌이체를 상기 타금융기관서버에게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증권사서버는 상기 타금융기관서버에 대한 요청과 상기 제1타금융기관서버에 대한 요청 간의 우선순위를 저장해둔 회계처리DB에 접근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금융상품 구매방법으로서, 증권사서버에서 투자상품의 구매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금융상품 구매방법은, 통신부를 통해, 투자자의 단말기로부터 투자상품의 구매를 요청받는 단계, 펌뱅킹 요청부에서, 상기 투자자의 증권사계좌의 잔액이 상기 투자상품의 가액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투자상품의 구매를 위하여 추가적으로 필요한 차액 이상의 금액에 대한 계좌이체를 타금융기관서버에게 요청하는 단계, 지급요청금액 처리부에서, 상기 타금융기관서버로부터 상기 차액의 이체에 성공하였다는 이체결과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증권사서버가 접근 가능한 회계처리DB 내에 제공되는 상기 투자자를 위한 지급요청금액 필드의 값에 상기 차액에 대응하는 값을 추가함으로써 상기 지급요청금액 필드의 값을 갱신하는 단계, 및 투자상품 구매처리부에서, 상기 증권사계좌의 잔액과 상기 지급요청금액 필드의 값에 대응하는 금액의 합이 상기 투자상품의 가액 이상인 경우 상기 투자상품의 구매를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증권사서버로서, 투자자의 단말기로부터 투자상품의 구매를 요청받은 경우, 상기 투자자의 증권사계좌의 잔액이 상기 투자상품의 가액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투자상품의 구매를 위하여 추가적으로 필요한 차액 이상의 금액에 대한 계좌이체를 타금융기관서버에게 요청하는 펌뱅킹 요청부(250), 상기 타금융기관서버로부터 상기 차액의 이체에 성공하였다는 이체결과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증권사서버가 접근할 수 있는 회계처리DB에 포함된 지급요청금액 필드의 값에 상기 차액에 대응하는 값을 추가함으로써 상기 지급요청금액 필드의 값을 갱신하는 지급요청금액 처리부(230), 및 상기 증권사계좌의 잔액과 상기 지급요청금액 필드의 값에 대응하는 금액의 합이 상기 투자상품의 가액 이상인 경우 상기 투자상품의 구매를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투자상품 구매처리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상품 또는 서비스 구매방법으로서, 중계사서버에서 상품 또는 서비스의 구매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 구매방법은, 구매자의 단말기로부터 상품 또는 서비스의 구매를 요청받는 단계, 상기 구매자의 중계사계좌의 잔액이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의 가액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의 구매를 위하여 추가적으로 필요한 차액 이상의 금액에 대한 계좌이체를 타금융기관서버에게 요청하는 단계, 상기 타금융기관서버로부터 상기 차액의 이체에 성공하였다는 이체결과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중계사서버가 접근 가능한 회계처리DB 내에 제공되는 상기 구매자를 위한 지급요청금액 필드의 값에 상기 차액에 대응하는 값을 추가함으로써 상기 지급요청금액 필드의 값을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중계사계좌의 잔액과 상기 지급요청금액 필드의 값에 대응하는 금액의 합이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의 가액 이상인 경우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의 구매를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계좌이체를 위한 출금계좌는, 상기 타금융기관에 개설되어 있는 상기 구매자 명의의 구매자연계계좌이며, 상기 계좌이체를 위한 입금계좌는, 상기 타금융기관에 개설되어 있는 계좌로서, 상기 중계사서버를 관리하거나 소유하는 자 명의의 중계사연계계좌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금융기관서버에게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의 구매를 위하여 추가적으로 필요한 차액 이상의 금액에 대한 계좌이체를 상기 타금융기관서버와는 다른 제1타금융기관서버에게 요청하는 경우, 상기 제1타금융기관서버에 대한 요청이 실패할 것이라는 것을 확인하거나 또는 실패했다는 것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실패할 것이라는 것을 확인하거나 또는 실패했다는 것을 확인한 이후에,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의 구매를 위하여 추가적으로 필요한 차액 이상의 금액에 대한 계좌이체를 상기 타금융기관서버에게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중계사서버는 상기 타금융기관서버에 대한 요청과 상기 제1타금융기관서버에 대한 요청 간의 우선순위를 저장해둔 회계처리DB에 접근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투자금액의 이체, 투자거래, 잉여자금의 회수에 따른 번거로움 없이 원 스톱으로 이용할 수 있는 증권 거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자상품 구매를 위한 프로세스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거래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거래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계(S10) 이전에 수행되는 금융거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식 매매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자계좌에 잔액이 부족할 경우 증권 거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권 거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거래의 수행 절차에 대한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품 거래의 수행 절차에 대한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융거래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거래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융거래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의도된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거래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금융거래시스템은 단말기(100), 증권사서버(200), 및 타금융기관이 관리하는 타금융기관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100), 증권사서버(200), 및 타금융기관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증권사서버(200)는 통신부(210), 회계처리DB(220), 지급요청금액 처리부(230), 및 투자상품 구매처리부(240), 및 펌뱅킹 요청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단말기(100)로부터 투자상품 구매요청에 대한 메시지를 수신하고, 단말기(100)에게 투자상품 구매완료/구매실패에 대한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0)는, 타금융기관서버(300)와 이체요청/이체결과에 대한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회계처리DB(220)는 투자자 계좌원장 테이블(221), 펌뱅킹 연계계좌 테이블(222, 및 지급요청금액 테이블(223)을 포함할 수 있다.
투자자 계좌원장 테이블(221)은 투자자, 투자자가 소유한 증권사계좌의 번호인 증권사계좌번호, 및 상기 증권사계좌의 잔액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증권사계좌번호는 상기 증권사서버(200)를 운영하는 증권사를 통해 개설한 계좌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투자자 계좌원장 테이블(221)은 투자자 필드, 증권사계좌번호 필드, 및 잔액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투자자A의 증권사계좌번호는 '1111' 이며, '1111' 계좌의 잔액은 100만원일 수 있고, 투자자B의 증권사계좌번호는 '2222' 이며, '2222' 계좌의 잔액은 200만원일 수 있고, 그리고 투자자C의 증권사계좌번호는 '3333' 이며, '3333' 계좌의 잔액은 300만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증권사계좌번호에 연계된 연계계좌들의 개념을 도입한다.
첫째, 상기 연계계좌들은 상기 투자자가 타금융기관에 개설한 상기 투자자의 타금융계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투자자의 타금융계좌는 '투자자연계계좌'라고 지칭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투자자의 타금융계좌의 번호는 '투자자연계계좌번호'라고 지칭할 수 있다.
둘째, 상기 증권사를 나타내는 법인 역시, 여러 은행들에 대해서는 고객으로서 간주될 수 있으므로, 상기 증권사는 서로 다른 은행들에 각각 계좌를 개설할 수 있으며, 상기 증권사는 이들 계좌들 중 일부를 상술한 증권사연계계좌로 삼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계계좌들은 상기 증권사가 상기 타금융기관에 개설한 상기 증권사의 타금융계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증권사의 타금융계좌는 '증권사연계계좌'라고 지칭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증권사의 타금융계좌의 번호는 '증권자연계계좌번호'라고 지칭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투자자연계계좌번호 및 상기 증권사연계계좌번호를 포괄하여 연계계좌번호들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펌뱅킹 연계계좌 테이블(222는 상기 투자자, 상기 증권사계좌번호, 상기 투자자연계계좌번호, 및 상기 증권사연계계좌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펌뱅킹 요청부(250)는 투자자가 소유한 증권사계좌의 잔액이 상기 투자자가 구매요청한 투자상품의 가액보다 작은 경우, 그 차액을 상기 투자자연계계좌로부터 상기 증권사연계계좌로 이체할 것을 통신부(210) 및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타금융기관서버(300)에게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위하여, 증권사서버(200)는, 상기 이체할 상기 차액, 상기 투자자의 증권사계좌번호에 연계된 상기 투자자연계계좌번호를 포함하는 출금계좌정보, 및 상기 투자자의 증권사계좌번호에 연계된 상기 증권사연계계좌번호를 포함하는 입금계좌정보를 타금융기관서버(3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타금융기관서버(300)는 상기 차액을 상기 투자자연계계좌로부터 상기 증권사연계계좌로 이체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타금융기관서버(300)는 상기 투자자연계계좌로부터 상기 증권사연계계좌로 상기 차액이 이체된 사실을 상기 증권사서버(200)에게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증권사서버(200)는, 상기 투자자연계계좌로부터 상기 증권사연계계좌로 상기 차액이 이체된 것이 확인되면, 상기 투자상품의 구매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지급요청금액 테이블(220)은 상기 각 투자자에 연계되어 있는 지급요청금액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지급요청금액 필드는 각 투자자에 대하여 1:1로 대응될 수도 있다.
또는, 각 투자자가 복수 개의 증권사계좌를 갖는 경우 상기 각 지급요청금액 필드는 각각의 증권사계좌에 대하여 1:1로 대응될 수도 있다.
지급요청금액 처리부(230)는, 상기 투자자연계계좌로부터 상기 증권사연계계좌로 상기 차액이 이체된 것이 확인되면, 상기 이체된 금액에 대응하는 지급요청금액을 상기 지급요청금액 테이블(223)의 해당하는 상기 지급요청금액 필드의 값에 가산할 수 있다. 상기 지급요청금액은 상기 이체된 금액에 비례할 수 있다.
상기 투자상품 구매처리부(240)는, 상기 증권사계좌에 예치된 금액과 상기 지급요청금액에 대응하는 금액을 합산하고, 상기 합산된 금액이 상기 투자상품의 가액 이상인 경우 상기 투자상품의 구매를 진행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증권사계좌에 예치된 금액이 투자상품의 가액보다 작은 경에도, 지급요청금액이 충분하다면 상기 투자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지급요청금액 처리부(230)는, 우선 회계처리DB(220)에게 해당 지급요청금액을 갱신할 것으로 요청하고, 그 후에 투자상품 구매처리부(240)에게 투자상품의 구매를 처리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증권사계좌에 실제로 돈이 입금되지 않더라도, 상기 지급요청금액의 개념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증권사계좌에 가상으로 돈이 입금된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증권사계좌에 가상으로 돈이 입금된 것으로 처리증권사계좌에 가상을 돈이 입금된 것으로 처리하여 투자상품을 구매하는 것'을 본 발명에서는 '회계처리를 이용하여 하여 투자상품을 구매하는 것'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상기 회계처리를 위하여 위 실시예서는 '지급요청금액'이라는 용어를 이용한 개념을 도입하였는데 본 발명이 이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투자자연계계좌로부터 상기 증권사연계계좌로 상기 차액이 이체된 경우, 상기 차액에 비례하는 포인트 또는 기타 어떠한 용어로 불리는 것이라도 상기 지급요청금액이라는 용어를 대신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투자자A의 증권사계좌번호 'A1' 에 연계되는 제1순위의 투자자연계계좌번호는 S은행의 '1234', 투자자A의 제1순위의 증권사연계계좌번호는 S은행의 '1235' 일 수 있다. 그리고 투자자A의 증권사계좌번호 'A1' 에 연계되는 제2순위의 투자자연계계좌번호는 K은행의 '2346', 투자자A의 제2순위의 증권사연계계좌번호는 K은행의 '2347' 일 수 있다. 그리고 투자자A의 증권사계좌번호 'A1' 에 연계되는 제3순위의 투자자연계계좌번호는 H은행의 '6535', 투자자A의 제3순위의 증권사연계계좌번호는 H은행의 '6536' 일 수 있다.
투자자A의 예와 같이, [투자자연계계좌, 증권사연계계좌] 쌍은 한 명의 투자자에 대하여 복수 개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각 쌍에 대한 우선순위가 적용될 수 있으며, 우선순위가 높은 투자자연계계좌로부터 증권사연계계좌에게 모자라는 비용이 먼저 입금될 수 있다.
투자자B의 증권사계좌번호 'B1' 에 연계되는 투자자연계계좌번호는 K은행의 '3456', 투자자B의 증권사연계계좌번호는 K은행의 '3457' 일 수 있다.
투자자C의 증권사계좌번호 'C1' 에 연계되는 투자자연계계좌번호는 H은행의 '4567', 투자자C의 증권사연계계좌번호는 H은행의 '4568' 일 수 있다.
투자자B 및 투자자C의 예와 같이, [투자자연계계좌, 증권사연계계좌] 쌍은 한 명의 투자자에 대하여 한 개만 설정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거래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단계(S10)에서, 증권사서버(200)는 투자자A의 단말기(101)로부터 투자상품의 구매요청 받을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투자상품 구매요청의 내용은 100만원어치의 투자상품을 구매하는 요청일 수 있다.
단계(S20)에서, 증권사서버(200)는 투자자A의 증권사계좌의 잔액을 확인하여 상기 잔액이 상기 투자상품의 구매에 충분한지 계산할 수 있다. 즉, 투자자A의 증권사계좌(A1)의 잔액이 구매요청금액보다 같거나 큰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투자자A의 증권사계좌(A1)의 잔액이 구매요청금액보다 같거나 크다면 투자상품의 구매를 진행하며, 상품 구매 프로세스를 완료할 수 있다(단계(S21)). 이와 달리, 투자자A의 증권사계좌(A1)의 잔액이 구매요청금액보다 작다면 단계(S30)로 진행할 수 있다.
단계(S21)는 구매진행 및 구매완료 프로세스로서 단계(S20) 또는 후술하는 단계(S90)로부터 구매승인 신호를 받으면 수행될 수 있다.
단계(S30)에서, 투자자A의 증권사계좌(A1)의 부족한 금액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증권사계좌의 잔액을 확인하여 상기 잔액이 상기 투자상품의 구매에 충분하지 않은 경우, 상기 투자상품 구매를 위하여 추가적으로 필요한 비용을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현재 투자자A의 증권사계좌(A1)의 잔액이 60만원이라면, 부족하다고 판단된 산출 비용은 40만원일 수 있다.
단계(S40)에서, 증권사서버(200)는 타금융기관(예컨대, 은행)가 관리하는 타금융기관서버(300)에게, '펌뱅킹신청'을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펌뱀킹신청이란 상기 투자자연계계좌로부터 상기 증권사연계계좌로 요청한 금액을 이체해달라는 신청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단계(S40)에서, 상기 필요한 비용을 상기 타금융기관의 투자자연계계좌(A2)로부터 미리 결정된 증권사연계계좌(Z2)로 이체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증권사서버(200)가 타금융기관서버(300)에 상기 요청에 대한 요청메시지(M1)를 송신할 때에, 상기 요청메시지(M1)에는 이체요청금액(예컨대, 40만원), 출금계좌정보, 및 입금계좌정보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도 3의 예에서 상기 출금계좌정보는 상기 투자자A의 투자자연계계좌번호인 A2이고, 상기 입금계좌정보는 상기 증권사의 증권사연계계좌번호인 Z2일 수 있다.
단계(S50)에서, 증권사서버(200)가 타금융기관서버(300)로부터 이체결과메시지(M2)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이체가 성공한 경우, 상기 이체결과메시지는 이체성공금액(예컨대, 40만원), 출금계좌정보(A2), 및 입금계좌정보(Z2)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단계(S60)에서, 이체결과메시지(M2)에 포함된 입금계좌정보(Z2)가 상기 요청메시지(M1)에 포함된 입금계좌정보와 동일한지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단계(S60)에서, 이체결과메시지(M2)에 포함된 입금계좌정보(Z2)가 상기 증권사의 증권사연계계좌번호와 동일한지 판단할 수 있다.
단계(S70)에서, 상기 이체결과메시지(M2)의 입금계좌정보가 상기 요청메시지(M1)에 포함된 입금계좌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는, 또는 이체결과메시지(M2)에 포함된 입금계좌정보(Z2)가 상기 증권사의 증권사연계계좌번호와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이체결과메시지(M2)의 출금계좌정보(A2)를 펌뱅킹 연계계좌 테이블(222)로부터 조회할 수 있다. 그리고 조회된 출금계좌정보(A2)에 매칭되는 증권사계좌번호(A1)를 펌뱅킹 연계계좌 테이블(222)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이체결과메시지(M2)에 포함된 입금계좌정보(Z2)가 상기 증권사의 증권사연계계좌번호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펌뱅킹 연계계좌 테이블(222)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 개의 증권사연계계좌번호들 중 상기 이체결과메시지(M2)에 포함된 입금계좌정보(Z2)와 동일한 것이 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단계(S80)에서, 상기 이체결과메시지(M2)에 포함된 이체성공금액(예컨대, 40만원)을 상기 확인된 증권사계좌(A1)에 연계된 지급요청금액 필드의 값에 가산할 수 있다.
단계(S90)에서, 상기 투자자A의 지급요청금액에 대응하는 금액과 상기 투자자A의 증권사계좌의 잔액의 합계가 상기 투자상품의 가액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이상인 경우 상기 구매진행 및 구매완료 프로세스(S21)를 진행할 수 있다. 더 작은 경우 프로세스를 종료하거나 또는 다시 단계(S30)으로 진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계(S10) 이전에 수행되는 금융거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단계(S210) 내지 단계(S240)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품의 구매를 요청받는 단계(S10)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단계(S210)에서, 단말기(101)와 증권사서버(200) 간에 상기 단말기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S220)에서, 상기 증권사서버(200)가, 상기 단말기(101)로부터, 펌뱅킹계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펌뱅킹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펌뱅킹계좌에 관한 정보는 상술한 증권사계좌번호, 투자자연계계좌번호, 및 증권사연계계좌번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단계(S230)에서, 상기 펌뱅킹계좌에 관한 정보를, 상기 증권사서버(200)가 관리하는 증권사계좌들 중 상기 단말기(101)를 통해 인증된 상기 투자자의 상기 증권사계좌에 매칭시켜, 펌뱅킹 연계계좌DB(예컨대, 도 2의 230)에 저장할 수 있다.
단계(S240)에서, 상기 펌뱅킹계좌에 관한 정보를, 상기 타금융기관서버(3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식 매매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5a 및 도 5b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예컨대, 투자자(=투자자)이 제1은행(400)에 찾아가서 모계좌(P1계좌)(펌뱅킹계좌)(411)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증권사(500)에 자계좌(P계좌)(증권사계좌)(511)가 생성되도록 연계계좌 신청을 할 수 있다. 이때, 생성된 자계좌(P계좌)(511)는 모계좌(P1계좌)(411)와 일대일 매칭만 가능하다. 즉, 다른 은행은 자계좌(P계좌)(511)를 사용할 수 없고, 상기 신청한 모계좌(P1계좌)(411)의 제1은행(400)만이 자계좌를 사용할 수 있다.
증권사 사이트(550)를 통해, 예컨대 증권매수를 진행할 경우 먼저 주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단계(S310)). 이때, 자계좌(P계좌)(511)에 잔액이 부족하면(단계(S320)) 상기 모계좌(P1계좌)(411)에서 자계좌(P계좌)(511)로 이체를 실행해야 한다. 이때, 상기 이체를 실행하기 위한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되어 있다(단계(S330)). 이후, 예컨대 공인인증서를 통한 인증이 수행될 수 있다(단계(S340)). 이때, 단계(S340)에서는 공인인증서를 통한 인증 외에도 OTP 수단을 이용한 인증이 수행될 수도 있다.
증권 거래의 경우, 주가가 급락하는 장에서는 시간이 매우 소중하다. 따라서 상술한 단계(S330) 및 단계(S340)와 같은 단계들을 진행하는 시간이 소요됨에 따라 투자자의 이익 및 불이익이 달라질 수 있다. 즉, 단계(S330) 및 단계(S340)와 같은 단계들이 시간을 지연시키는 요소들이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증권 거래 시에 시간을 단축시키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자계좌에 잔액이 부족할 경우 증권 거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투자자(=투자자)가 특정 은행의 상기 제1투자자의 모계좌(펌뱅킹계좌)에서 증권사의 상기 제1투자자의 자계좌(증권사계좌)로 직접 이체를 하지 않을 수 있다.
단계(S410)에서, 자계좌(P계좌)(증권사계좌)(511)에 잔액이 부족할 경우, 투자자는 제1은행(400)의 모계좌(P1계좌)로부터 증권사의 제1타금융계좌(S1)(421)로 이체를 신청할 수 있다.
단계(S420)에서, 증권사(500)에서 상기 제1은행의 서버(금융서버)로부터 상기 이체신청에 대한 확인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다.
단계(S430)에서, 증권사(500) 서버의 회계처리부(520)에서 상기 제1투자자의 자계좌(P계좌)(511)로 거래 허가를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거래 허가의 방법은 다양할 수 있으며, 예컨대, 미리 결정된 금액대별로 그에 상응하는 대체값을 자계좌(P계좌)(511)에 부여하는 방법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권 거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생성된 자계좌(P계좌)(511)가 모계좌(P1계좌)(411)와 일대일 매칭만 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특정 은행의 투자자 계좌와 증권사의 투자자 계좌가 일대일(1:1) 연계가 아닌 다대일(n:1) 연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대일(n:1) 연계의 시스템이 갖춰지면, 첫 번째로 각 은행별 제1투자자의 계좌의 잔고가 서로 다를 경우 필요한 금액과 같거나 많은 잔액이 존재하는 은행을 결정하여 단계(S410)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일대일 연계 시스템의 경우, 제1투자자의 자계좌(P계좌)에 연결된 특정 은행의 모계좌(411)와만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특정 은행의 모계좌(411)에 잔액이 부족할 경우, 이체를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대일(n:1) 연계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두 번째로, 각 은행별 계좌에 필요한 금액에 상응하는 잔액이 모두 준비되어 있더라도 은행별로 점검시간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제1투자자가 원하는 시간에 이체 신청을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은행(400)의 제1투자자의 모계좌(P1계좌)에서 증권사의 제1타금융계좌(S1)(421)로 이체신청을 하려고 하였으나, 계좌부족으로 이체신청이 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제2은행(401)에 필요한 금액에 상응하는 잔액이 예치되어 있다면, 제2은행(401)을 통해 이체신청을 할 수 있다.
세 번째로, 은행별로 예상치 못한 서버 장애가 발생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문제에 대비할 수 있다.
이때, 다대일(n:1) 연계 시스템을 위해서 투자자가 직접 증권사서버에 투자자가 보유하고 있는(사용할) 타금융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투자자가 직접 결정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타금융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상술한 바에 따르면, 제1은행의 우선순위가 제2은행의 우선순위보다 높을 수 있으며, 증권사서버에서는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이체를 시도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거래의 수행 절차에 대한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단계(S510)에서, 증권사 서버(200)에서, 투자자 A(101)로부터 상품구매요청을 수신받을 수 있다.
단계(S520)에서, 증권사 서버(200)에서, 투자자 A(101)의 증권사의 자계좌의 잔액이 구매요청금액보다 같거나 큰지 판단할 수 있다.
단계(S530)에서, 상기 자계좌의 잔액이 구매요청금액보다 작다고 판단된 경우, 투자자 A의 보유 은행 모계좌들 중 구매요청금액보다 같거나 큰 잔액을 보유하고 있는 은행 모계좌를 검색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매요청금액과 같거나 구매요청금액보다 큰 잔액을 보유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구매요청금액에서 부족한 잔액을 판단하여 상기 부족한 잔액과 같거나 상기 부족한 잔액보다 큰 잔액을 보유하고 있는 은행계좌를 검색할 수도 있다.
단계(S540)에서, 증권사 서버(200)에서, 상기 검색된 은행 모계좌들 중 제1은행의 상기 투자자 A의 모계좌에서 상기 제1은행의 증권사의 계좌로 이체를 제1타금융기관서버(600)에 신청할 수 있다.
단계(S550)에서, 증권사 서버(200)에서, 제1타금융기관서버(600)로부터 상기 이체신청 확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S560)에서, 증권사 서버(200)의 회계처리부에서 상기 확인 정보를 바탕으로 투자자 A의 자계좌에 거래 허가를 의미하는 대체값을 부여할 수 있다.
단계(S570)에서, 증권사 서버(200)에서, 투자자 A의 상품 거래를 계속해서 진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품 거래의 수행 절차에 대한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단계(S610)에서, 증권사 서버(200)에서, 투자자 A(101)로부터 상품구매요청을 수신받을 수 있다.
단계(S620)에서, 증권사 서버(200)에서, 투자자 A(101)의 증권사의 자계좌의 잔액이 구매요청금액보다 같거나 큰지 판단할 수 있다.
단계(S630)에서, 증권사 서버(200)에 등록된 상기 투자자A의 복수 개의 은행서버 중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 판단할 수 있다.
단계(S640)에서, 증권사 서버(200)에서, 제1우선순위를 갖는 제1은행의 상기 투자자 A의 모계좌에서 상기 제1은행의 증권사의 계좌로 이체를 제1타금융기관서버(600)에 신청할 수 있다.
단계(S650)에서, 증권사 서버(200)에서, 제1타금융기관서버(600)로부터 상기 이체신청 확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S660)에서, 증권사 서버(200)의 회계처리부에서 상기 확인 정보를 바탕으로 투자자 A의 자계좌에 거래 허가에 대한 미리 결정된 대체값을 부여할 수 있다.
단계(S670)에서, 증권사 서버(200)에서, 투자자 A의 상품 거래를 계속해서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금융거래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
증권사의 증권사서버에서, 투자자의 단말기로부터 상품의 구매를 요청받아 상기 투자자의 증권사계좌의 잔액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증권사에 대한 상기 투자자의 증권사계좌의 잔액이 부족하다고 판단된 경우, 제1타금융기관의 제1타금융기관서버에게, 상기 투자자의 제1펌뱅킹계좌로부터 상기 제1타금융기관의 제1증권사계좌로 부족한 금액에 대한 이체를 신청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체를 신청할 때에, 상기 제1타금융기관서버의 이체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타금융기관의 상기 제1펌뱅킹계좌의 잔액이 상기 부족한 금액보다 크거나 같은지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제1타금융기관서버에서의 이체가 가능하고, 제1타금융기관서버의 펌뱅킹계좌에 잔액이 충분한 경우, 상기 증권사서버의 회계처리부에서, 상기 제1타금융기관서버로부터 상기 이체에 대한 확인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회계처리부에서, 상기 투자자의 증권사계좌에 거래 허가에 대한 미리 결정된 대체값을 부여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타금융기관서버의 이체가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거나 상기 제1펌뱅킹계좌의 잔액이 상기 부족한 금액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증권사서버에 등록된 상기 투자자의 제2타금융기관서버에게 상기 투자자의 제2펌뱅킹계좌로부터 상기 제2타금융기관의 제2증권사계좌로 부족한 금액에 대한 이체를 신청하는 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융거래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계(S110)에서, 증권사서버(200)는 투자자A의 단말기(100)로부터 투자상품의 구매요청을 받을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투자상품 구매요청의 내용은 240만원어치의 투자상품을 구매하는 요청일 수 있다.
단계(S120)에서, 증권사서버(200)는 투자자A의 증권사계좌(A1)의 잔액(ex:100만원)을 확인하여 상기 잔액이 상기 투자상품의 구매에 충분한지 계산할 수 있다. 즉, 투자자A의 증권사계좌(A1)의 잔액(ex:100만원)이 구매요청금액(ex:240만원)보다 같거나 큰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투자자A의 증권사계좌(A1)의 잔액이 구매요청금액 이상이라면 투자상품의 구매를 진행하며, 상품 구매 프로세스를 완료할 수 있다(단계(S121)).
이와 달리, 투자자A의 증권사계좌(A1)의 잔액이 구매요청금액보다 작다면 단계(S122)로 진행할 수 있다.
단계(S121)는 구매진행 및 구매완료 프로세스로서 단계(S120) 또는 후술하는 단계(S122) 또는 단계(S190)로부터 구매승인 신호를 받으면 수행될 수 있다.
단계(S122)에서, 상기 투자자A의 지급요청금액에 대응하는 금액과 상기 투자자A의 증권사계좌의 잔액의 합계가 상기 투자상품의 가액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이상인 경우 상기 구매진행 및 구매완료 프로세스(S121)를 진행할 수 있다. 더 작은 경우 프로세스를 종료하거나 또는 단계(S130)으로 진행할 수 있다.
예컨대, 구매요청금액이 240만원이고, 상기 투자자A의 증권사계좌의 잔고가 100만원밖에 없는 경우, 펌뱅킹을 이용하여 부족한 금액인 140만원을 이체할 수 있다. 상기 140만원은 회계처리에 의해서 투자금액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투자자A의 지급요청금액에 대응하는 금액으로 140만원을 확보하게 되어, 상기 투자자A의 증권사계좌의 잔액(100만원)과 지급요청금액에 대응하는 금액(140만원)의 합계가 구매요청금액(ex:240만원)과 같기 때문에 상기 구매진행 및 구매완료 프로세스(S121)를 진행할 수 있다.
또는, 단계(S130)에서, 투자자A의 증권사계좌(A1)의 부족한 금액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증권사계좌의 잔액을 확인하여 상기 잔액이 상기 투자상품의 구매에 충분하지 않은 경우, 상기 투자상품 구매를 위하여 추가적으로 필요한 비용을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현재 투자자A의 증권사계좌(A1)의 잔액이 100만원이고, 투자자A의 지급요청금액이 100만원 상당이라면, 부족하다고 판단된 차액은 40만원일 수 있다.
투자자A에 대하여 설정되어 있는 제1순위의 제1타금융기관서버(301)(ex: S은행의 서버)에게 '펌뱅킹신청'을 요청한 결과 이체불능이라는 회신을 상기 제1타금융기관서버(301)로부터 얻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또는 특정 시간대에는 제1타금융기관서버(301)을 이용하여 펌뱅킹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증권사서버(200)가 미리 알 수 있다. 이 경우 단계(S131)과 같이 우선순위를 갖는 제1타금융기관서버를 이용한 펌뱅킹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순위를 갖는 제2타금융기관서버(302)(ex: K은행의 서버)에게 펌뱅킹을 요청하는 단계(S140)으로 진행할 수 있다.
단계(S140)에서, 증권사서버(200)는 제2타금융기관서버(302)에게, '펌뱅킹신청'을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펌뱀킹신청이란 상기 투자자연계계좌로부터 상기 증권사연계계좌로 요청한 금액을 이체해달라는 신청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단계(S140)에서, 상기 필요한 비용(ex: 40만원)을 상기 제2타금융기관의 투자자연계계좌(2346)로부터 상기 제2타금융기관의 증권사연계계좌(2347)로 이체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증권사서버(200)가 제2타금융기관서버(302)에 상기 요청에 대한 요청메시지(M1)를 송신할 때에, 상기 요청메시지(M1)에는 이체요청금액(예컨대, 40만원), 출금계좌정보, 및 입금계좌정보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0의 예에서 상기 출금계좌정보는 상기 투자자A의 투자자연계계좌번호인 2346이고, 상기 입금계좌정보는 상기 증권사의 증권사연계계좌번호인 2347일 수 있다.
단계(S150)에서, 증권사서버(200)가 제2타금융기관서버(302)로부터 이체결과메시지(M2)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이체가 성공한 경우, 상기 이체결과메시지는 이체성공금액(예컨대, 40만원), 출금계좌정보(2346), 및 입금계좌정보(2347)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단계(S160)에서, 이체결과메시지(M2)에 포함된 입금계좌정보(2347)가 상기 요청메시지(M1)에 포함된 입금계좌정보와 동일한지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단계(S160)에서, 이체결과메시지(M2)에 포함된 입금계좌정보(2347)가 상기 제2타금융기관에서의 상기 증권사의 증권사연계계좌번호와 동일한지 판단할 수 있다.
단계(S170)에서, 상기 이체결과메시지(M2)의 입금계좌정보가 상기 요청메시지(M1)에 포함된 입금계좌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는, 또는 이체결과메시지(M2)에 포함된 입금계좌정보(2347)가 상기 증권사의 증권사연계계좌번호와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이체결과메시지(M2)의 출금계좌정보(2346)를 펌뱅킹 연계계좌 테이블(222)로부터 조회할 수 있다. 그리고 조회된 출금계좌정보(2346)에 매칭되는 증권사계좌번호(A1)를 펌뱅킹 연계계좌 테이블(222)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체결과메시지(M2)에 포함된 입금계좌정보(2347)가 상기 제2타금융기관에서의 상기 증권사의 증권사연계계좌번호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펌뱅킹 연계계좌 테이블(222)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 개의 증권사연계계좌번호들 중 상기 이체결과메시지(M2)에 포함된 입금계좌정보(2347)와 동일한 것이 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단계(S180)에서, 상기 이체결과메시지(M2)에 포함된 이체성공금액(예컨대, 40만원)을 상기 확인된 증권사계좌(A1)에 연계된 지급요청금액 필드의 값에 가산할 수 있다. 예컨대 증권사계좌(A1)에 연계된 지급요청금액 필드의 값이 100만원에 상당하는 제1값으로부터 140만원에 상당하는 제2값으로 증가할 수 있다.
단계(S190)에서, 상기 투자자A의 지급요청금액에 대응하는 금액과 상기 투자자A의 증권사계좌의 잔액의 합계가 상기 투자상품의 가액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이상인 경우 상기 구매진행 및 구매완료 프로세스(S121)를 진행할 수 있다. 더 작은 경우 프로세스를 종료하거나 또는 단계(S130)으로 진행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S122)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은행의 시스템 점검시간 동안에는 계좌이체 등이 불가능할 수 있다. 사로 다른 상기 타금융기관들의 시스템 점검시간이 서로 다르거나, 또는 서로 다른 상기 타금융기관들이 서로 다른 시간 대의 나라에서 영업하는 경우, 상기 단계(S131) 및 단계(S140)과 같이 은행 간, 또는 펌뱅킹 연계계좌 간의 우선순위를 두고 자동으로 프로세스를 진행하게 되면, 투자상품의 구매의 실패지속시간을 최소화하고 신속하게 거래를 완료할 수 있다.
지금까지 증권사를 이용하여 투자상품을 구매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그런데 이 방법은, 일반 중계사를 통해 상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하는 시스템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는 점을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며, 이를 청구항에도 표현하였다.
도 11 및 도 12는 각각 도 2 및 도 10의 용어를 아래와 같이 변경한 것이다.
증권사서버 → 중계사서버
투자상품 → 상품 또는 서비스
투자자 → 구매자
증권사계좌 → 중계사계좌
투자자연계계좌 → 구매자연계계좌
증권사서버 → 중계사서버
증권사연계계좌 → 중계사연계계좌
위와 같이 용어를 변경하여 제시한 도 11 및 도 12가 의미하는 바는 도 2 및 도 10으로부터 즉각적으로 이해될 수 있으므로 도 11 및 도 12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자들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내용은 본 명세서를 통해 이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인용관계가 없는 다른 청구항에 결합될 수 있다.

Claims (8)

  1. 증권사서버에서 투자상품의 구매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투자자의 단말기로부터 투자상품의 구매를 요청받는 단계;
    상기 투자자의 증권사계좌의 잔액이 상기 투자상품의 가액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투자상품의 구매를 위하여 추가적으로 필요한 차액 이상의 금액에 대한 계좌이체를 타금융기관서버에게 요청하는 단계;
    상기 타금융기관서버로부터 상기 차액의 이체에 성공하였다는 이체결과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증권사서버가 접근 가능한 회계처리DB 내에 제공되는 상기 투자자를 위한 지급요청금액 필드의 값에 상기 차액에 대응하는 값을 추가함으로써 상기 지급요청금액 필드의 값을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증권사계좌의 잔액과 상기 지급요청금액 필드의 값에 대응하는 금액의 합이 상기 투자상품의 가액 이상인 경우 상기 투자상품의 구매를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금융상품 구매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좌이체를 위한 출금계좌는, 상기 타금융기관에 개설되어 있는 상기 투자자 명의의 투자자연계계좌이며,
    상기 계좌이체를 위한 입금계좌는, 상기 타금융기관에 개설되어 있는 계좌로서, 상기 증권사서버를 관리하거나 소유하는 자 명의의 증권사연계계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상품 구매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금융기관서버에게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투자상품의 구매를 위하여 추가적으로 필요한 차액 이상의 금액에 대한 계좌이체를 상기 타금융기관서버와는 다른 제1타금융기관서버에게 요청하는 경우, 상기 제1타금융기관서버에 대한 요청이 실패할 것이라는 것을 확인하거나 또는 실패했다는 것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실패할 것이라는 것을 확인하거나 또는 실패했다는 것을 확인한 이후에, 상기 투자상품의 구매를 위하여 추가적으로 필요한 차액 이상의 금액에 대한 계좌이체를 상기 타금융기관서버에게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증권사서버는 상기 타금융기관서버에 대한 요청과 상기 제1타금융기관서버에 대한 요청 간의 우선순위를 저장해둔 회계처리DB에 접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금융상품 구매방법.
  4. 증권사서버에서 투자상품의 구매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통신부를 통해, 투자자의 단말기로부터 투자상품의 구매를 요청받는 단계;
    펌뱅킹 요청부에서, 상기 투자자의 증권사계좌의 잔액이 상기 투자상품의 가액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투자상품의 구매를 위하여 추가적으로 필요한 차액 이상의 금액에 대한 계좌이체를 타금융기관서버에게 요청하는 단계;
    지급요청금액 처리부에서, 상기 타금융기관서버로부터 상기 차액의 이체에 성공하였다는 이체결과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증권사서버가 접근 가능한 회계처리DB 내에 제공되는 상기 투자자를 위한 지급요청금액 필드의 값에 상기 차액에 대응하는 값을 추가함으로써 상기 지급요청금액 필드의 값을 갱신하는 단계; 및
    투자상품 구매처리부에서, 상기 증권사계좌의 잔액과 상기 지급요청금액 필드의 값에 대응하는 금액의 합이 상기 투자상품의 가액 이상인 경우 상기 투자상품의 구매를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금융상품 구매방법.
  5. 증권사서버로서,
    투자자의 단말기로부터 투자상품의 구매를 요청받은 경우, 상기 투자자의 증권사계좌의 잔액이 상기 투자상품의 가액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투자상품의 구매를 위하여 추가적으로 필요한 차액 이상의 금액에 대한 계좌이체를 타금융기관서버에게 요청하는 펌뱅킹 요청부(250);
    상기 타금융기관서버로부터 상기 차액의 이체에 성공하였다는 이체결과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증권사서버가 접근할 수 있는 회계처리DB에 포함된 지급요청금액 필드의 값에 상기 차액에 대응하는 값을 추가함으로써 상기 지급요청금액 필드의 값을 갱신하는 지급요청금액 처리부(230); 및
    상기 증권사계좌의 잔액과 상기 지급요청금액 필드의 값에 대응하는 금액의 합이 상기 투자상품의 가액 이상인 경우 상기 투자상품의 구매를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투자상품 구매처리부(240);
    를 포함하는,
    증권사서버.
  6. 중계사서버에서 상품 또는 서비스의 구매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구매자의 단말기로부터 상품 또는 서비스의 구매를 요청받는 단계;
    상기 구매자의 중계사계좌의 잔액이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의 가액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의 구매를 위하여 추가적으로 필요한 차액 이상의 금액에 대한 계좌이체를 타금융기관서버에게 요청하는 단계;
    상기 타금융기관서버로부터 상기 차액의 이체에 성공하였다는 이체결과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중계사서버가 접근 가능한 회계처리DB 내에 제공되는 상기 구매자를 위한 지급요청금액 필드의 값에 상기 차액에 대응하는 값을 추가함으로써 상기 지급요청금액 필드의 값을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중계사계좌의 잔액과 상기 지급요청금액 필드의 값에 대응하는 금액의 합이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의 가액 이상인 경우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의 구매를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 구매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계좌이체를 위한 출금계좌는, 상기 타금융기관에 개설되어 있는 상기 구매자 명의의 구매자연계계좌이며,
    상기 계좌이체를 위한 입금계좌는, 상기 타금융기관에 개설되어 있는 계좌로서, 상기 중계사서버를 관리하거나 소유하는 자 명의의 중계사연계계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 구매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타금융기관서버에게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의 구매를 위하여 추가적으로 필요한 차액 이상의 금액에 대한 계좌이체를 상기 타금융기관서버와는 다른 제1타금융기관서버에게 요청하는 경우, 상기 제1타금융기관서버에 대한 요청이 실패할 것이라는 것을 확인하거나 또는 실패했다는 것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실패할 것이라는 것을 확인하거나 또는 실패했다는 것을 확인한 이후에,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의 구매를 위하여 추가적으로 필요한 차액 이상의 금액에 대한 계좌이체를 상기 타금융기관서버에게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중계사서버는 상기 타금융기관서버에 대한 요청과 상기 제1타금융기관서버에 대한 요청 간의 우선순위를 저장해둔 회계처리DB에 접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상품 또는 서비스 구매방법.
KR1020170037554A 2016-10-17 2017-03-24 펌뱅킹과 연동되는 STEPS 주문계좌를 이용한 One-Stop 금융거래방법 KR1020978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260 2016-10-17
KR20160134260 2016-10-17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4563A Division KR20190141107A (ko) 2016-10-17 2019-11-12 펌뱅킹과 연동되는 STEPS 주문계좌를 이용한 One-Stop 금융거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101A true KR20180042101A (ko) 2018-04-25
KR102097829B1 KR102097829B1 (ko) 2020-04-06

Family

ID=6208875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7554A KR102097829B1 (ko) 2016-10-17 2017-03-24 펌뱅킹과 연동되는 STEPS 주문계좌를 이용한 One-Stop 금융거래방법
KR1020190144563A KR20190141107A (ko) 2016-10-17 2019-11-12 펌뱅킹과 연동되는 STEPS 주문계좌를 이용한 One-Stop 금융거래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4563A KR20190141107A (ko) 2016-10-17 2019-11-12 펌뱅킹과 연동되는 STEPS 주문계좌를 이용한 One-Stop 금융거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0978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447A (ko) * 2021-06-24 2023-01-02 주식회사 이노핀 공모주 통합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0514A (ko) * 2004-06-19 2005-12-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Ic 칩이 장착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증권 매수 주문방법
KR20070092472A (ko) * 2006-03-10 2007-09-1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 자동화 기기를 이용한 주식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및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JP4887562B2 (ja) * 2000-11-17 2012-02-29 富士通株式会社 取引処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87562B2 (ja) * 2000-11-17 2012-02-29 富士通株式会社 取引処理システム
KR20050120514A (ko) * 2004-06-19 2005-12-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Ic 칩이 장착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증권 매수 주문방법
KR20070092472A (ko) * 2006-03-10 2007-09-1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 자동화 기기를 이용한 주식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및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447A (ko) * 2021-06-24 2023-01-02 주식회사 이노핀 공모주 통합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7829B1 (ko) 2020-04-06
KR20190141107A (ko) 2019-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30957B2 (ja) 金融商品取引管理方法、金融商品取引管理システム
US2022012206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transactions using a digital currency
US8165952B2 (en) Electronic trading system
US20110225093A1 (en) Depository-Based Security Trading System
JP2002531887A (ja) 電子的ファクタリング
JP2002245251A (ja) オンライン証券取引サーバ、口座管理サーバ、オンライン証券取引システム、買い注文決済方法、買い注文決済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20170130024A (ko) 여신기관의 p2p 대출 관리 시스템
US20120310814A1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commercial paper funding via a communication network
JP5103488B2 (ja) 有価証券売買取引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6127312A (ja) 証券仲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000037008A (ko) 전자상거래의 금융결제처리시스템과 그 방법
KR101839925B1 (ko) P2p 대출 연계 즉시결제시스템
KR102097829B1 (ko) 펌뱅킹과 연동되는 STEPS 주문계좌를 이용한 One-Stop 금융거래방법
JP2006031589A (ja) 有価証券売買取引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2175489A (ja) 電子決済方法
WO2001015000A1 (en) A method of performing securitized transactions
KR101079396B1 (ko) 의뢰자 단말기를 통한 제3자에 의한 대행 결제 방법
JP2004171550A (ja) 有価証券転売支援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5927364B1 (ja) 金融商品取引管理装置、金融商品取引管理システムにおける金融商品取引管理方法
RU2017138245A (ru) Способ проведения электронных онлайн торгов по реализации услуг и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ая онлайн систем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6682121B2 (ja) 銀行が仮想通貨サービス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KR20010044695A (ko) 전자 상거래에 있어서 개인 금융 계좌를 이용한 지불 처리방법 및 시스템
KR20130123800A (ko) 사이버 금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087587A (ko) 인터넷을 이용한 증권선물 리스크관리 거래 시스템
KR20100061623A (ko) 게임머니를 이용한 금융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111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312

Effective date: 20190717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