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1287A - 농식품 저장시설 내 저곡해충에 대한 led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방제 장치 - Google Patents

농식품 저장시설 내 저곡해충에 대한 led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방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1287A
KR20180041287A KR1020160132719A KR20160132719A KR20180041287A KR 20180041287 A KR20180041287 A KR 20180041287A KR 1020160132719 A KR1020160132719 A KR 1020160132719A KR 20160132719 A KR20160132719 A KR 20160132719A KR 20180041287 A KR20180041287 A KR 20180041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unit
light
attracted
p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2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훈
윤인숙
김인덕
정로덕
Original Assignee
그린테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테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그린테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2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1287A/ko
Publication of KR20180041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12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4Attracting insects by using illumination or colou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7/00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vermin in soil or in foodstuffs
    • A01M17/008Destruction of vermin in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9Regulating or controlling syste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LED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방제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방제 장치는 농식품 저장시설 내에 설치되어 저곡해충을 방제하기 위한 장치로서, 사다리꼴 형상의 밑면을 가지는 사각기둥 형상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정면 및 제1 측면과 제2 측면에 설치되는 적색 LED 모듈, 녹색 LED 모듈 및 청색 LED 모듈을 포함하며 적색광, 녹색광 및 청색광을 임의의 순서로 조사하는 유인광원부; 상기 정면에서 상기 유인광원부의 상측에 설치되어 살충물질을 분무하는 분무부; 상기 유인광원부에서 조사되는 광의 색상에 따라 상기 분무부에서 분무되는 상기 살충물질의 종류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농식품 저장시설 내 저곡해충에 대한 LED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방제 장치{Device for prevention of breeding and extermination using LED related to stored product insect inside rice processing complex}
본 발명은 농식품 저장시설 내 저곡해충에 대한 LED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방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는 농식품 저곡해충의 발생 및 출현빈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문헌 조사에 의하면 기온이 상승함에 따라 농식품 저곡해충의 발생빈도 증가, 발육 일수 감소, 발생 세대수 증가 및 농식품 저곡해충의 분포범위 확대를 초래하고 있다.
저장물은 미곡 및 가공물을 포함한 식량, 식품, 한약재, 목재 및 의류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저곡해충은 이들 곡물수입 및 유통 중 혹은 보관 시에 가장 빈번하게 출현하는 해충들이지만, 이들의 방제는 인간의 식용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어서 효과적인 방제법을 개발하는데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저곡해충의 활동으로 인해 저장곡물내의 온도와 습도가 상승하며, 기상인자가 아닌 미기상 인자들의 변화는 저장곰팡이의 활동을 촉진시켜 식품의 변질을 가져오게 되며, 경우에 따라 아플라톡신의 생성을 촉진하여 저장곡물내 곰팡이독소에 대한 안전성은 대단히 큰 문제점으로 세계 각국에서 사회적인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현재까지 이들을 방제하는 방법으로는 식품에 따라서 고온처리, 저온처리, 밀봉저장, CA(Controlled Atmosphere) 저장 등의 물리적인 방법과 훈증제 및 접촉살충제와 같은 약제처리에 의한 화학적인 방법이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물리적인 방법들은 구조건설 및 유지비용이 크고, 높은 수분을 함유한 곡물에서는 혐기적 발효가 일어날 위험성이 있으며, 산소 결핍 시까지의 시간동안 피해우려가 있어 임시적인 방편으로 이용될 뿐 이들의 완전한 사멸은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화학적인 방법에는 주로 메틸브로마이드(CH3Br)가 사용되고 있으나 브롬잔류미로 인한 위험성이 높아 소량 흡입 시에도 체내축적이 이루어져 만성중독 유발성이 높고, 오존층파괴 물질로 분류되어 2015년에는 사용이 금지되어 새로운 형태의 친환경적이고 안정적인 저곡해충 방제기술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한편, 물리학적 방제법 중에서 광을 이용한 친환경 해충 방제법은 해충이 인식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의 광을 방출하여 각 해충의 선호도에 따라 해충을 유인하여 포획하거나 기피하는 반응을 통해 친환경적으로 해충을 방제하는 기술이다.
종래기술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56854호(해충 방제용 엘이디 조명 장치)에 따르면, 소정의 파장 대역의 빛을 조사하여 해충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여 해충을 방제하는 기술이 개시되지만, 해당 파장 대역의 빛은 조사 시간, 조사 세기 등에 따라 곤충을 유인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또한, 광을 이용한 친환경적 해충 방제법에 사용되는 종래의 3파장 램프는 다양한 해충을 유인하는 반면에 유인 후 포집되지 않는 소수 해충들이 주변 농작물을 가해함으로써 2차 피해를 양산하고 비교적 광량이 높아서 식물 성장에 이상을 초래할 수 있는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농식품 저장시설이라는 한정된 공간에서 특정한 해충을 박멸하며 외부에 존재하는 원거리 해충을 유인하지 않기 위해 다양한 파장 및 광량에 대한 탐색이 필요한 시점이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56854호
본 발명은 광에 대한 습성을 이용하여 저곡해충을 유인한 후 살충물질을 분사함으로써 농식품 저장시설과 같이 좁은 공간에서도 높은 효율성을 가지면서도 친환경적으로 저곡해충을 방제하는 농식품 저장시설 내 저곡해충에 대한 LED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방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조명을 변경하면서 유인되는 저곡해충의 종류에 따라 살충물질의 종류를 가변하고, 영상 분석을 통해 유인된 저곡해충의 수에 따라 살충물질의 분무량을 조절하여 농식품 저장시설 내의 농식품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한 농식품 저장시설 내 저곡해충에 대한 LED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방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농식품 저장시설 내에 설치되어 저곡해충을 방제하기 위한 장치로서, 사다리꼴 형상의 밑면을 가지는 사각기둥 형상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정면 및 제1 측면과 제2 측면에 설치되는 적색 LED 모듈, 녹색 LED 모듈 및 청색 LED 모듈을 포함하며 적색광, 녹색광 및 청색광을 임의의 순서로 조사하는 유인광원부; 상기 정면에서 상기 유인광원부의 상측에 설치되어 살충물질을 분무하는 분무부; 상기 유인광원부에서 조사되는 광의 색상에 따라 상기 분무부에서 분무되는 상기 살충물질의 종류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LED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방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어부는 방제대상이 되는 저곡해충의 종류에 따라 상기 유인광원부에서 조사되는 광의 색상을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방제대상이 되는 저곡해충이 어리쌀바구미, 긴털가루응애, 거짓쌀도둑거저리 중 적어도 하나인 경우에는 상기 유인광원부에서 적색광이 조사되게 하고, 방제대상이 되는 저곡해충이 화랑곡나방인 경우에는 상기 유인광원부에서 녹색광이 조사되게 하며, 방제대상이 되는 저곡해충이 보리나방인 경우에는 상기 유인광원부에서 청색광이 조사되게 할 수 있다.
상기 분무부는, 끝단이 상기 몸체부의 외부를 향하도록 배치된 분무노즐과; 종류별 살충물질을 저장하는 N개의 살충물질 저장부와; 상기 분무노즐의 입구과 상기 N개의 살충물질 저장부 사이를 각각 연결하는 N개의 관과; 상기 N개의 관마다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에 의해 개폐가 제어되는 N개의 밸브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인광원부에서 조사되는 광의 색상에 의해 유인되는 저곡해충을 방제하기 위한 살충물질이 저장된 살충물질 저장부에 연결된 관의 밸브를 개방하고 나머지 관의 밸브는 폐쇄시킬 수 있다.
상기 몸체부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농식품 저장시설의 바닥면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몸체부의 유인광원부 상측에 설치되어, 백색광을 하방으로 조사하는 보조광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광원부가 턴온된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현재 영상을 사전에 촬영된 기준 영상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분무부에서 분무되는 상기 살충물질의 분무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영상과 상기 현재 영상을 비교하여 차분 영상을 구하고, 상기 차분 영상을 영상 처리하여 상기 몸체부의 근처로 유인된 저곡해충의 수에 상응하는 그림자 면적을 산출하며, 상기 그림자 면적에 상응하여 상기 분무량을 조절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광에 대한 습성을 이용하여 저곡해충을 유인한 후 살충물질을 분사함으로써 농식품 저장시설과 같이 좁은 공간에서도 높은 효율성을 가지면서도 친환경적으로 저곡해충을 방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명을 변경하면서 유인되는 저곡해충의 종류에 따라 살충물질의 종류를 가변하고, 영상 분석을 통해 유인된 저곡해충의 수에 따라 살충물질의 분무량을 조절하여 농식품 저장시설 내의 농식품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식품 저장시설 내 저곡해충에 대한 LED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방제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LED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방제 장치의 몸체부 모습을 위에서 내려다 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LED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방제 장치의 몸체부 모습을 아래에서 올려다 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저곡해충의 광 유인 조건을 나타낸 표,
도 5는 분무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식품 저장시설 내 저곡해충에 대한 LED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방제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고, 도 2는 LED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방제 장치의 몸체부 모습을 위에서 내려다 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LED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방제 장치의 몸체부 모습을 아래에서 올려다 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저곡해충의 광 유인 조건을 나타낸 표이며, 도 5는 분무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는 LED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방제 장치(100), 몸체부(110), 유인광원부(120), 분무부(130), 카메라부(140), 보조광원부(150), 제어부(160), 정면(111), 제1 측면(112), 제2 측면(113), 적색 LED 모듈(120R), 녹색 LED 모듈(120G), 청색 LED 모듈(120B), 분무홀(131), 분무노즐(132), 살충물질 저장부(133-1~N), 밸브(134-1~N)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방제 장치(100)는 광에 대한 습성을 이용하여 저곡해충을 유인한 후 살충물질을 분무함으로써 농식품 저장시설과 같이 좁은 공간에서도 높은 효율성을 가지면서도 친환경적으로 저곡해충을 방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LED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방제 장치(100)는 몸체부(110), 유인광원부(120), 분무부(130), 카메라부(140), 보조광원부(150),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몸체부(110)는 저곡해충이 서식하는 농식품 저장시설 내에 용이한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본 골격을 이룬다. 몸체부(110)는 사다리꼴 형상의 밑면을 가지고, 밑면 사이에는 4개의 직사각형 판재가 옆면을 구성하고 있는 사각기둥 형상을 가진다. 사다리꼴 형상의 밑면에서 윗변에 해당하는 옆면이 정면(111), 빗변에 해당하는 부분이 제1 측면(112)과 제2 측면(113), 아랫변에 해당하는 옆면이 후면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몸체부(110)는 후면이 벽면에 부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몸체부(110)의 옆면 중에서 정면(111)과, 정면(111)의 양 측에 이웃하는 제1 측면(112) 및 제2 측면(113)에는 저곡해충을 유인하기 위한 유인광원부(120)가 설치된다. 여기서, 제1 측면(112) 및 제2 측면(113)은 정면(111)에 대해 미리 설정된 경사각을 가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경사각은 ㅁ120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정면(110)과 제1 측면(111)/제2 측면(112) 사이의 경사각은 정면(111)에 설치된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의 조사범위와 각 측면에 설치된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의 조사범위가 최소로 중첩되게 하여, 사방 중에서 후방을 제외한 방향으로 빠짐없이 빛이 조사될 수 있다.
몸체부(110) 내에는 유인광원부(120)에 의해 유인된 저곡해충을 죽이는 살충물질을 분무하는 분무부(130)가 설치된다. 분무부(130)의 분무노즐(132)은 몸체부(110)의 정면(111) 중 유인광원부(120)의 상측에 형성된 분무홀(131)에 상응하여 놓여짐으로써, 분무부(130)의 살충물질이 몸체부(110) 외부로 분무될 수 있게 된다.
유인광원부(120)는 적색 LED 모듈(120R), 녹색 LED 모듈(120G), 청색 LED 모듈(120B)을 포함한다.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각 LED 모듈은 임의의 순서로 턴온될 수 있으며, LED 모듈의 광량, 조사시간, 조사주기 등이 개별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몸체부(110)의 정면(111), 제1 측면(112), 제2 측면(113)에 적색 LED 모듈(120R), 녹색 LED 모듈(120G), 청색 LED 모듈(120B)이 모두 설치될 수 있다. 각 면의 제1 수직 라인에는 적색 LED 모듈(120R)이, 제2 수직 라인에는 녹색 LED 모듈(120G)이, 제3 수직 라인에는 청색 LED 모듈(120B)이 라인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몸체부(110)의 정면(111), 제1 측면(112), 제2 측면(113)은 동시에 동일한 색상의 빛을 내도록 제어될 수 있다. 즉, 제1 시간(T1) 동안은 모두 적색광을 조사하고, 제2 시간(T2) 동안은 모두 녹색광을 조사하며, 제3 시간(T3) 동안은 모두 청색광을 조사하게 할 수 있다.
이는 몸체부(110)의 설치 위치에 상관없이 정면뿐만 아니라 측면에 대해서도 발현 색상이 잘 보이도록 하여 정면에 위치하는 저곡해충 이외에도 측면에 위치하는 저곡해충 역시 빛에 의한 유인이 잘 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저곡해충을 유인하기 위한 광원 조건이 테이블화되어 있다.
어리쌀바구미, 긴털가루응애, 거짓쌀도둑거저리는 파장이 625ㅁ10 nm인 적색광에 유인되며, 화랑곡나방은 520ㅁ5 nm인 녹색광에 유인되며, 보리나방은 470ㅁ10 nm인 청색광에 유인된다.
즉, 유인광원부(120)에서 적색광을 조사하면 광의 세기 혹은 광 노출 시간에 따라 어리쌀바구미, 긴털가루응애, 거짓쌀도둑거저리 중 적어도 하나의 저곡해충이 몸체부(110)로 유인될 수 있다.
또한, 유인광원부(120)에서 녹색광을 조사하면 광의 세기 혹은 광 노출 시간에 따라 화랑곡나방이 몸체부(110)로 유인될 수 있고, 유인광원부(120)에서 청색광을 조사하면 광의 세기 혹은 광 노출 시간에 따라 보리나방이 몸체부(110)로 유인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유인광원부(120)에서 조사되는 광원의 종류에 따라 분무부(130)에서 분무되는 살충물질의 종류가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적색광이 조사되는 상황에서는 어리쌀바구미, 긴털가루응애, 거짓쌀도둑거저리 중 적어도 하나의 저곡해충을 방제하는데 유용한 살충물질이 분무부(130)를 통해 분무되도록 하고, 녹색광의 조사되는 상황에서는 화랑곡나방을 방제하는데 유용한 살충물질이 분무부(130)를 통해 분무되도록 하며, 청색광이 조사되는 상황에서는 보리나방을 방제하는데 유용한 살충물질이 분무부(130)를 통해 분무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분무부(130)에는 종류별 살충물질을 저장하기 위한 N개의 살충물질 저장부(133-1~N)가 구비되어 있고, 분무노즐(132)이 N개의 살충물질 저장부(133-1~N) 사이에서 스위칭 방식으로 연결이 수립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분무노즐(132)은 끝단이 몸체부(110)의 외부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분무노즐(132)의 입구에는 N개의 관이 연결되어 있고, N개의 관은 각각 N개의 살충물질 저장부(133-1~N)에도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N개의 관에는 제어부(160)에 의해 개폐가 제어되는 N개의 밸브(134-1~N)가 각각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부(160)는 현재 조사되는 광원의 색상에 따라 유인될 것으로 예상되는 저곡해충을 죽일 수 있는 살충물질이 저장되어 있는 살충물질 저장부에 연결된 관의 밸브를 개방하고, 나머지 관의 밸브는 폐쇄시켜, 특정 살충물질만이 분무노즐(132)을 통해 몸체부(110) 외부로 분무되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특정 저곡해충에 효과적인 살충물질만을 조사함으로써 방제의 효과를 높일 수 있고, 농식품 저장시설 내에서 불필요한 살충물질의 분무를 막아 내부 오염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유인광원부(120)에 의해 저곡해충이 몸체부(110) 근처로 유인될 수 있다. 이 경우 몸체부(110) 근처로 유인된 저곡해충의 수를 파악하여 분무부(130)를 통해 분무될 살충물질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면, 농식품 저장시설 내에서 불필요하게 많은 양의 살충물질의 분무를 방지하고 적절한 양의 분무를 통해 방제는 효과적으로 하면서도 내부 오염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저곡해충의 수를 파악하기 위한 수단으로, 몸체부(110)의 하면에서 농식품 저장시설의 바닥면을 촬영하는 카메라부(140)가 설치되고, 몸체부(110)의 유인광원부(120) 상측에 보조광원부(150)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광원부(150)는 백색광원일 수 있다.
유인광원부(120)에 의해 몸체부(110) 근처로 저곡해충이 유인된 경우, 보조광원부(150)가 턴온되어 하방으로 백색광을 조사한다. 보조광원부(150)에서 조사되는 백색광에 의해 친환경 해충방제 장치(100)가 설치된 위치의 바닥면에는 몸체부(110) 근처로 유인된 저곡해충의 그림자가 생기게 된다.
몸체부(110)의 하면에 설치된 카메라부(140)에서는 바닥면을 촬영하여 저곡해충의 그림자에 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카메라부(140)에서는 사전에 저곡해충이 유인되지 않은 상황에서 보조광원부(150)에서 백색광을 조사했을 때 바닥면을 촬영하여 기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60)에서는 기준 영상 대비 현재 영상을 비교하여, 저곡해충의 그림자를 검출할 수 있다. 기준 영상과 현재 영상의 비교는 예컨대 차분 영상(difference image) 산출, 에지 검출, 노이즈 제거와 같은 영상 처리 알고리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영상 처리 알고리즘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저곡해충의 그림자가 검출되면 그 면적을 산출할 수 있고, 그림자 면적에 따라 현재 몸체부(110) 근처로 유인된 저곡해충의 수를 예상할 수 있다. 저곡해충의 수에 따른 그림자 면적에 대해서는 사전에 실험을 통해 확인된 상관관계가 테이블화되어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부(160)는 산출된 저곡해충의 그림자 면적에 상응하여 분무부(130)에서 분무될 살충물질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60)가 전술한 밸브(134-1~N)의 개폐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해당 살충물질의 분무량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LED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방제 장치
110: 몸체부 120: 유인광원부
130: 분무부 140: 카메라부
150: 보조광원부 160: 제어부
111: 정면 112: 제1 측면
113: 제2 측면 120R: 적색 LED 모듈
120G: 녹색 LED 모듈 120B: 청색 LED 모듈
131: 분무홀 132: 분무노즐
133-1~N: 살충물질 저장부 134-1~N: 밸브

Claims (7)

  1. 농식품 저장시설 내에 설치되어 저곡해충을 방제하기 위한 장치로서,
    사다리꼴 형상의 밑면을 가지는 사각기둥 형상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정면 및 제1 측면과 제2 측면에 설치되는 적색 LED 모듈, 녹색 LED 모듈 및 청색 LED 모듈을 포함하며 적색광, 녹색광 및 청색광을 임의의 순서로 조사하는 유인광원부;
    상기 정면에서 상기 유인광원부의 상측에 설치되어 살충물질을 분무하는 분무부;
    상기 유인광원부에서 조사되는 광의 색상에 따라 상기 분무부에서 분무되는 상기 살충물질의 종류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LED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방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방제대상이 되는 저곡해충의 종류에 따라 상기 유인광원부에서 조사되는 광의 색상을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방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방제대상이 되는 저곡해충이 어리쌀바구미, 긴털가루응애, 거짓쌀도둑거저리 중 적어도 하나인 경우에는 상기 유인광원부에서 적색광이 조사되게 하고, 방제대상이 되는 저곡해충이 화랑곡나방인 경우에는 상기 유인광원부에서 녹색광이 조사되게 하며, 방제대상이 되는 저곡해충이 보리나방인 경우에는 상기 유인광원부에서 청색광이 조사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방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부는,
    끝단이 상기 몸체부의 외부를 향하도록 배치된 분무노즐과;
    종류별 살충물질을 저장하는 N개의 살충물질 저장부와;
    상기 분무노즐의 입구과 상기 N개의 살충물질 저장부 사이를 각각 연결하는 N개의 관과;
    상기 N개의 관마다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에 의해 개폐가 제어되는 N개의 밸브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인광원부에서 조사되는 광의 색상에 의해 유인되는 저곡해충을 방제하기 위한 살충물질이 저장된 살충물질 저장부에 연결된 관의 밸브를 개방하고 나머지 관의 밸브는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방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농식품 저장시설의 바닥면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몸체부의 유인광원부 상측에 설치되어, 백색광을 하방으로 조사하는 보조광원부를 더 포함하는 LED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방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광원부가 턴온된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현재 영상을 사전에 촬영된 기준 영상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분무부에서 분무되는 상기 살충물질의 분무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방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영상과 상기 현재 영상을 비교하여 차분 영상을 구하고, 상기 차분 영상을 영상 처리하여 상기 몸체부의 근처로 유인된 저곡해충의 수에 상응하는 그림자 면적을 산출하며, 상기 그림자 면적에 상응하여 상기 분무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방제 장치.
KR1020160132719A 2016-10-13 2016-10-13 농식품 저장시설 내 저곡해충에 대한 led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방제 장치 KR201800412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2719A KR20180041287A (ko) 2016-10-13 2016-10-13 농식품 저장시설 내 저곡해충에 대한 led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방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2719A KR20180041287A (ko) 2016-10-13 2016-10-13 농식품 저장시설 내 저곡해충에 대한 led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방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287A true KR20180041287A (ko) 2018-04-24

Family

ID=62084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2719A KR20180041287A (ko) 2016-10-13 2016-10-13 농식품 저장시설 내 저곡해충에 대한 led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방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128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50123A (zh) * 2019-06-26 2019-09-20 江苏大学 基于图像识别的低密度储粮害虫实时监测系统
KR102181333B1 (ko) * 2020-08-14 2020-11-23 (주)유일방재엔지니어링 공동주택 통신 케이블 시스템
KR20230099514A (ko) 2021-12-27 2023-07-0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방충성을 발현하는 저장 농산물용 기능성 방향물
KR20230099513A (ko) 2021-12-27 2023-07-0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방충성을 지속적으로 발현하는 저장 농산물용 기능성 방향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50123A (zh) * 2019-06-26 2019-09-20 江苏大学 基于图像识别的低密度储粮害虫实时监测系统
CN110250123B (zh) * 2019-06-26 2021-12-21 江苏大学 基于图像识别的低密度储粮害虫实时监测系统
KR102181333B1 (ko) * 2020-08-14 2020-11-23 (주)유일방재엔지니어링 공동주택 통신 케이블 시스템
KR20230099514A (ko) 2021-12-27 2023-07-0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방충성을 발현하는 저장 농산물용 기능성 방향물
KR20230099513A (ko) 2021-12-27 2023-07-0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방충성을 지속적으로 발현하는 저장 농산물용 기능성 방향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82324B2 (en) Insect traps and monitoring system
KR20180041287A (ko) 농식품 저장시설 내 저곡해충에 대한 led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방제 장치
US9999212B2 (en) Insect traps and monitoring system
US11160265B2 (en) Insect trap utilizing UV light and method of use thereof
US9999211B2 (en) Insect traps and monitoring system
JP2008104444A (ja) 害虫除去装置
US20130326933A1 (en) Fly exterminating apparatus
KR20100022203A (ko) 해충 유인수단이 구비된 가로등 장치
US9743654B2 (en) Insect trap
KR101681748B1 (ko) 해충 포획 장치
JP2007020509A (ja) 虫類捕獲装置
KR101621958B1 (ko) 농업용 해충 포획장치
KR20200066287A (ko) 모기 관리
KR20170037741A (ko) Uv led가 적용된 포충기
JP2013165653A (ja) ゾウムシ類の捕獲方法
US20170000100A1 (en) Insect trap
KR101364308B1 (ko) Led 광원을 이용한 저곡미소해충 유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인 판별 방법
KR101914195B1 (ko) 농식품 저장시설 내 저곡해충에 대한 led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방제 장치 및 저곡해충 습성 확인 장치
KR20090011130A (ko)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
CN206491197U (zh) 诱虫装置
JP5114445B2 (ja) 虫誘引システム
CN205727749U (zh) 一种高效的昆虫捕捉器
US20170196213A1 (en) Method for the disinfestation of an environment from ants and similar insects, and device that implements such method
KR20100104305A (ko) 해충포획장치
JP2000224949A (ja) ゴキブリの忌避方法及び防除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