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4195B1 - 농식품 저장시설 내 저곡해충에 대한 led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방제 장치 및 저곡해충 습성 확인 장치 - Google Patents

농식품 저장시설 내 저곡해충에 대한 led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방제 장치 및 저곡해충 습성 확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4195B1
KR101914195B1 KR1020140149121A KR20140149121A KR101914195B1 KR 101914195 B1 KR101914195 B1 KR 101914195B1 KR 1020140149121 A KR1020140149121 A KR 1020140149121A KR 20140149121 A KR20140149121 A KR 20140149121A KR 101914195 B1 KR101914195 B1 KR 101914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pace
pest
insect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9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3015A (ko
Inventor
이상훈
김인덕
정로덕
이상철
윤인숙
김주섭
Original Assignee
그린테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테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그린테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9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4195B1/ko
Publication of KR20160053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3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4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4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4Attracting insects by using illumination or colou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농식품 저장시설 내 저곡해충에 대한 LED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방제 장치 및 저곡해충 습성 확인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 공간에 길벌레가 투입되며 서로 교차하는 명통로부와 암통로부를 포함하는 길벌레용 습성 확인 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내부 공간 중 잔여 공간이 투입된 날벌레의 습성 확인을 위한 명 공간과 암 공간으로 구획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양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몸체의 내부로 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광원부; 및 상기 복수의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광의 색상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저곡해충 습성 확인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농식품 저장시설 내 저곡해충에 대한 LED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방제 장치 및 저곡해충 습성 확인 장치{Device for prevention of breeding and extermination using LED related to stored product insect inside rice processing complex and identification device of nature of stored product insect}
본 발명은 농식품 저장시설 내 저곡해충에 대한 LED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방제 장치 및 저곡해충 습성 확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는 농식품 저곡해충의 발생 및 출현빈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문헌 조사에 의하면 기온이 상승함에 따라 농식품 저곡해충의 발생빈도 증가, 발육 일수 감소, 발생 세대수 증가 및 농식품 저곡해충의 분포범위 확대를 초래하고 있다.
저장물은 미곡 및 가공물을 포함한 식량, 식품, 한약재, 목재 및 의류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저곡해충은 이들 곡물수입 및 유통 중 혹은 보관 시에 가장 빈번하게 출현하는 해충들이지만, 이들의 방제는 인간의 식용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어서 효과적인 방제법을 개발하는데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저곡해충의 활동으로 인해 저장곡물내의 온도와 습도가 상승하며, 기상인자가 아닌 미기상 인자들의 변화는 저장곰팡이의 활동을 촉진시켜 식품의 변질을 가져오게 되며, 경우에 따라 아플라톡신의 생성을 촉진하여 저장곡물내 곰팡이독소에 대한 안전성은 대단히 큰 문제점으로 세계 각국에서 사회적인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현재까지 이들을 방제하는 방법으로는 식품에 따라서 고온처리, 저온처리, 밀봉저장, CA(Controlled Atmosphere) 저장 등의 물리적인 방법과 훈증제 및 접촉살충제와 같은 약제처리에 의한 화학적인 방법이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물리적인 방법들은 구조건설 및 유지비용이 크고, 높은 수분을 함유한 곡물에서는 혐기적 발효가 일어날 위험성이 있으며, 산소 결핍 시까지의 시간동안 피해우려가 있어 임시적인 방편으로 이용될 뿐 이들의 완전한 사멸은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화학적인 방법에는 주로 메틸브로마이드(CH3Br)가 사용되고 있으나 브롬잔류미로 인한 위험성이 높아 소량 흡입 시에도 체내축적이 이루어져 만성중독 유발성이 높고, 오존층파괴 물질로 분류되어 2015년에는 사용이 금지되어 새로운 형태의 친환경적이고 안정적인 저곡해충 방제기술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한편, 물리학적 방제법 중에서 광을 이용한 친환경 해충 방제법은 해충이 인식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의 광을 방출하여 각 해충의 선호도에 따라 해충을 유인하여 포획하거나 기피하는 반응을 통해 친환경적으로 해충을 방제하는 기술이다.
종래기술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56854호(해충 방제용 엘이디 조명 장치)에 따르면, 소정의 파장 대역의 빛을 조사하여 해충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여 해충을 방제하는 기술이 개시되지만, 해당 파장 대역의 빛은 조사 시간, 조사 세기 등에 따라 곤충을 유인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또한, 광을 이용한 친환경적 해충 방제법에 사용되는 종래의 3파장 램프는 다양한 해충을 유인하는 반면에 유인 후 포집되지 않는 소수 해충들이 주변 농작물을 가해함으로써 2차 피해를 양산하고 비교적 광량이 높아서 식물 성장에 이상을 초래할 수 있는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농식품 저장시설이라는 한정된 공간에서 특정한 해충을 박멸하며 외부에 존재하는 원거리 해충을 유인하지 않기 위해 다양한 파장 및 광량에 대한 탐색이 필요한 시점이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56854호
본 발명은 날벌레 혹은 길벌레와 같은 농식품 저곡해충의 종류에 무관하게 광에 따른 습성을 확인할 수 있는 저곡해충 습성 확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광에 대한 습성을 이용하여 저곡해충을 유인한 후 살충물질을 분사함으로써 농식품 저장시설과 같이 좁은 공간에서도 높은 효율성을 가지면서도 친환경적으로 저곡해충을 방제하는 농식품 저장시설 내 저곡해충에 대한 LED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방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 공간에 길벌레가 투입되며 서로 교차하는 명통로부와 암통로부를 포함하는 길벌레용 습성 확인 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내부 공간 중 잔여 공간이 투입된 날벌레의 습성 확인을 위한 명 공간과 암 공간으로 구획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양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몸체의 내부로 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광원부; 및 상기 복수의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광의 색상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저곡해충 습성 확인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길벌레용 습성 확인 모듈은, 일단을 통해 상기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광이 유입되는 상기 명통로부와; 상기 명통로부의 타단측에 직교하여 결합되며 상기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광이 유입되지 않는 상기 암통로부와; 상기 명통로부의 일단에 설치되는 투명판과; 상기 명통로부와 상기 암통로부가 결합되는 지점에 형성되는 길벌레 투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상기 날벌레가 투입되는 날벌레 투입구와; 상기 날벌레 투입구의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내부 공간을 상기 명 공간과 상기 암 공간으로 구획하는 가림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는, 상용전원을 공급받는 전원부와; 상기 상용전원을 소정 크기의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와; 적색, 녹색, 백색, 청색, 황색을 포함하는 LED 모듈과; 상기 SMPS와 상기 LED 모듈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SMPS의 직류 전압 크기를 조절하는 디머(dimmer)를 포함하되, 상기 디머와 상기 LED 모듈은 스위치를 통해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광원부를 개별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광원부 각각에서 조사되는 광의 색상, 광량, 조사시간, 조사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농식품 저장시설 내에 설치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 내의 일측에 설치되며, 저곡해충을 유인하기 위한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 상기 몸체부 내에서 상기 광원부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저곡해충을 죽이는 살충물질을 분무하는 분무부; 및 상기 광원부와 상기 분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농식품 저장시설 내 저곡해충에 대한 LED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방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광원부는, 상용전원을 공급받는 전원부와; 상기 상용전원을 소정 크기의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SMPS와; 적색, 녹색, 백색, 청색, 황색을 포함하는 LED 모듈과; 상기 SMPS와 상기 LED 모듈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SMPS의 직류 전압 크기를 조절하는 디머를 포함하되, 상기 디머와 상기 LED 모듈은 스위치를 통해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방제대상인 저곡해충에 대한 정보가 미비할 경우 시간에 따라 상기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광의 색상, 조사광량, 조사시간, 조사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반복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날벌레 혹은 길벌레와 같은 농식품 저곡해충의 종류에 무관하게 광에 따른 습성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광에 대한 습성을 이용하여 저곡해충을 유인한 후 살충물질을 분사함으로써 농식품 저장시설과 같이 좁은 공간에서도 높은 효율성을 가지면서도 친환경적으로 저곡해충을 방제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곡해충 습성 확인 장치의 개념도,
도 2는 길벌레용 습성 확인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길벌레용 습성 확인 모듈의 평면도,
도 4는 광원부의 회로도,
도 5는 디머의 회로도,
도 6은 날벌레의 이동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식품 저장시설 내 저곡해충에 대한 LED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방제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8은 LED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방제 장치의 몸체부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LED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방제 장치의 회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곡해충 습성 확인 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2는 길벌레용 습성 확인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길벌레용 습성 확인 모듈의 평면도이고, 도 4는 광원부의 회로도이며, 도 5는 디머의 회로도이고, 도 6은 날벌레의 이동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는 저곡해충 습성 확인 장치(1), 몸체(10), 투명벽체(12), 길벌레용 습성 확인 모듈(20), 광원부(30a, 30b, 이하 '30'으로 통칭함), 날벌레 투입구(40), 가림막(50a, 50b, 이하 '50'으로 통칭함), 제1~제3 공간(52, 54, 56), 도어(60), 잠금부(62), 힌지(64), 명통로부(21), 암통로부(22), 커버(23), 투명판(24), 길벌레 투입구(25), 경계영역(26)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곡해충 습성 확인 장치(1)는 저곡해충 중에서 경제적으로 가장 큰 피해를 야기하는 관건해충(Key pests)으로 쌀바구미(Sitophilus oryzae, rice weevil), 어리쌀바구미(Sitohpilus zeamais, maize weevil), 거짓쌀도둑거저리(Tribolium castaneum, red flour beetle), 권연벌레(Lasioderma serricorne, tobacco beetle), 화랑곡나방(Plodia interpunctella, indian meal moth) 등의 습성을 확인하기 위한 장치이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저곡해충 습성 확인 장치(1)는 광원의 색상 및 광량 중 하나 이상을 달리 적용하면서 쌀바구미와 같은 길벌레와 화랑곡나방과 같은 날벌레로 구분되는 저곡해충의 주광성을 함께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저곡해충 습성 확인 장치(1)는 몸체(10) 내부에 길벌레용 습성 확인 모듈(20)이 설치되고, 그 외 공간을 날벌레용 습성 확인 공간으로 활용 가능하도록 구성된 몸체(10)를 기본 골격으로 한다.
길벌레용 습성 확인 모듈(20)은 저곡해충 중에서 이동속도가 느린 길벌레에 대한 주광성을 확인하기 위한 모듈이다. 길벌레로는 예를 들어 쌀바구미가 있을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길벌레용 습성 확인 모듈(20)은 서로 연통되는 명(明)통로부(21)와 암(暗)통로부(22)를 포함한다. 명통로부(21)와 암통로부(22)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챔버 형태의 공간으로, 단부에서 서로 연결된다.
길벌레용 습성 확인 모듈(20) 내부의 저곡해충이 빛에 반응하여 양의 주광성을 가지는 경우에는 명통로부(21)를 따라 이동하며 음의 주광성을 가지는 경우에는 암통로부(22)를 따라 이동한다.
명통로부(21)는 투명판(24)를 통해 외부광이 유입되는 영역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광원부(30)에서 조사되는 외부광이 투명판(24)를 통해 명통로부(21) 내로 유입될 수 있다.
명통로부(21)는 광원부(30)에서 조사되는 빛 이외에는 내부로 빛이 유입되지 않도록 통로 전체가 광 차단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광 차단제로 내부가 코팅될 수 있다.
암통로부(22)는 광원부(30)의 빛이 도달하지 않는 영역으로, 통로 전체가 암 조건을 갖춘 챔버로서 기능한다. 암통로부(22) 역시 통로 전체가 광 차단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광 차단제로 내부가 코팅될 수 있다.
명통로부(21)와 암통로부(22)는 서로 90도 각도를 가지고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에 빛의 직진성에 의해 명통로부(21)의 일단에서 유입되는 빛이 암통로부(22)에는 유입되지 못하게 된다.
길벌레 투입구(25)는 명통로부(21)와 암통로부(22)가 서로 연통되는 지점, 즉 경계영역(26)에 마련되며, 투입된 저곡해충이 조사되는 빛에 반응하여 명통로부(21) 및 암통로부(22) 중 어느 하나의 끝단을 향해 이동할 수 있는 선택권을 제공한다.
길벌레 투입구(25)에는 투입된 저곡해충이 외부로 탈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입구를 차단하는 개폐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개폐 수단은 예를 들어 나일론 천과 같은 메쉬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명통로부(21)의 끝단과 암통로부(22)의 끝단에는 특정 빛에 의해 유인되거나 기피된 저곡해충을 확인하기 위해 명 영역(light zone) 및 암 영역(dark zone) 중 하나 이상에 포집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포집부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해당 영역으로 이동해온 길벌레를 잡아두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몸체(10)는 기본적으로 외부광의 유입이 없을 경우 그 내부가 암 조건을 이루게 되는 챔버로서, 벽체가 외부광의 유입이 차단되는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해당 재질이 내부 벽면에 코팅되어 있을 수 있다.
몸체(10)를 이루는 벽체 중에서 일부 벽체는 외부광의 유입이 허용되는 투명벽체(12)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투명벽체(12)의 외측에는 광원부(30)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투명벽체(12)는 예를 들어 투명 아크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서는 좌우 양측 벽체가 투명벽체(12)로 이루어져 있어, 광원부(30)가 좌우 양측에 설치된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광원부(30)는 몸체(10)의 양 측면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판넬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적색, 청색, 황색, 녹색, 백색과 같은 5가지 색상의 LED가 배열되어 있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혹은 미리 설정된 바에 따라 다양한 색상의 광이 투명벽체(12)를 통해 몸체(10) 내부에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광원부(30)의 회로도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광원부(30)는 전원부(31), SMPS(32), 디머(33), LED 모듈(34R, 34G, 34W, 34B, 34Y)을 포함한다.
전원부(31)는 외부에서 110V 혹은 220V의 상용전원을 공급받는다.
SMPS(32)는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switching mode power supply)로서, 전원부(31)를 통해 인가된 상용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기를 후단의 LED 모듈(20)에 적합하도록 변환시켜준다. 전원부(31)와의 사이에 스위치(SW1)이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SMPS(32)는 고속 전력 반도체를 이용하여 높은 주파수로 단속 제어를 하고, 정류와 평활회로를 거쳐 안정된 직류 전압을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12V의 직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디머(dimmer)(33)는 전압을 낮추거나 높여 후단의 LED 모듈(20)을 통해 출력되는 광량을 조절한다.
디머(33)의 상세 회로도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우선 입력단자(① 및 ②)를 통해 SMPS(32)에서 DC 12V가 입력되어, IC(DC3) 및 각종 소자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가변저항(VR)의 저항값이 변동됨에 따라 IC(DC3)의 제1 단자(T1)에 입력되는 전압값이 가변되고, 제2 단자(T2)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값이 이에 상응하여 변동됨으로써 트랜지스터(Q1)을 거쳐 음의 출력단자(④)에 영향을 미친다. 여기서, 가변저항(VR)의 저항값 변동은 예를 들면 외부 제어기에 마련된 조절 스위치(미도시)를 사용자가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양의 출력단자(③)는 양의 입력단자(①)에 직접 연결되어 있어 12V가 되며, 음의 출력단자(④)는 전술한 것과 같아 가변저항(VR)의 저항값 변동에 따라 0~6V 사이에서 가변될 수 있다.
즉, 출력단자(③ 및 ④)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값은 양의 출력단자(③)와 음의 출력단자(④) 사이의 전압 차에 해당하는 6~12V일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디머(33)의 후단에는 5개의 LED 모듈(34R, 34G, 34W, 34B, 34Y)이 스위치(SW2)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5개의 LED 모듈(34R, 34G, 34W, 34B, 34Y)은 각각 적색, 녹색, 백색, 청색, 황색의 색상을 발현하게 되며, 디머(33)에서 출력되는 전압값에 따라 그 출력광량이 조절될 수 있다.
스위치(SW2)의 온/오프(ON/OFF)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거나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순차적으로 혹은 임의의 순서로 하나 혹은 둘 이상의 LED 모듈이 디머(33)의 출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광원부(30)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출력되는 광의 색상이 선택될 수 있으며, 디머(33)를 통해 선택된 색상의 출력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몸체(10)의 내부 공간에 원하는 색상의 광이 원하는 출력으로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몸체(10)의 양 측면에 부착되는 제1 광원부(30a)와 제2 광원부(30b)는 제어부에 의해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즉, 제2 공간(54)과 제3 공간(56)은 각기 다른 색상의 광이 조사되거나 동일 색상이라 할지라도 서로 다른 광량으로 조사되어 상이한 광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빠른 시간 내에 저곡해충의 습성 확인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날벌레 투입구(40)는 몸체(10) 내에 날벌레를 투입하기 위해 형성된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 날벌레 투입구(40)는 투명벽체(12)가 아닌 일 측면의 중심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날벌레 투입구(40)에는 자석식으로 작동하는 투입구막(미도시)이 마련되어 있어 투입된 날벌레의 탈출을 방지할 수도 있다.
가림막(50)은 날벌레 투입구(40)의 양측에서 외부광의 조사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판넬로서, 몸체(10) 내부 공간을 구획하여 투명벽체(12)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광의 유입 정도를 각 공간별로 차별화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림막(50)에 의해 제1~제3 공간(56)으로 구획되며, 제1 공간(52)은 양측의 가림막(50)에 의해 양측에서 조사되는 외부광이 모두 차단되어 3개의 공간 중에서 가장 외부광이 적은 암(暗) 공간으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제2 공간(54) 및 제3 공간(56)은 각각 양측의 광원부(30a, 30b)에서 조사되는 외부광에 의해 명(明) 공간으로서 기능한다.
여기서, 몸체(10) 내에 삽입된 가림막(50)은 그 끝단이 길벌레용 습성 확인 모듈(20)과 만나, 제1 공간(52)은 제2 공간(54) 및 제3 공간(56)과 길벌레용 습성 확인 모듈(20)의 상측에서 서로 연통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처럼 연통되는 부분을 통해 날벌레 투입구(40)를 통해 제1 공간(52)으로 투입된 날벌레 중 양의 주광성을 가지는 날벌레는 보다 빛이 강한 제2 공간(54) 혹은 제3 공간(56)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도 6의 화살표 참조).
저곡해충의 습성 확인이 완료된 이후 몸체(10)의 내부에 있는 저곡해충을 제거하기 위한 도어(60)가 몸체(10)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도어(60)는 잠금부(62)에 의해 개폐가 제어될 수 있으며, 힌지(64)를 통해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경우에 따라 미닫이 방식의 개폐 구조를 가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곡해충 습성 확인 장치(1)는 길벌레의 경우에는 길벌레 습성 확인 모듈(20)을 이용하고 날벌레의 경우에는 몸체(10) 내의 구획된 공간을 통해 주광성을 확인할 수 있어, 1회 실험으로 길벌레 및 날벌레 두 종류의 저곡해충에 대한 주광성 확인을 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확인된 각종 저곡해충의 주광성에 관한 정보는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될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좌측과 우측의 광원부(30)를 개별 제어하여 광원의 색상, 광량, 조사시간, 조사주기 중 하나 이상을 달리 적용함으로써 동일한 저곡해충에 대해서도 서로 다른 광조건을 제공하여 습성 확인에 소요되는 실험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식품 저장시설 내 저곡해충에 대한 LED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방제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고, 도 8은 LED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방제 장치의 몸체부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LED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방제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LED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방제 장치(100)는 몸체부(110), 광원부(120), 분무부(130),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몸체부(110)는 저곡해충이 서식하는 농식품 저장시설 내에 용이한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본 골격을 이룬다.
몸체부(110) 내에는 저곡해충을 유인하기 위한 광원부(120)가 설치되며, 광원부(120)에 인접하여 유인된 저곡해충을 죽이는 살충물질을 분무하는 분무부(130)가 설치된다.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몸체부(110)의 하측에 광원부(120)가 설치되고, 상측에 거치대(132)가 마련되어 있어 개폐 가능한 덮개(112)를 통해 분무부(130)가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몸체부(110)의 하측 전면은 광원부(120)에서 조사되는 광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투명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측 전면에는 분무부(130)에서 몸체부(110) 외부로 살충물질이 분사될 수 있도록 하는 분무홀(134)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광원부(120)는 하나 혹은 둘 이상의 색상 발현이 가능한 LED 모듈을 포함하며,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광량, 조사시간, 조사주기 등이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LED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방제 장치(100)가 설치될 농식품 저장시설 내에 저장되는 농식품에 대하여 방제하고자 하는 저곡해충의 습성에 따라 광원부(120)를 구성하는 LED 모듈의 구조가 결정될 수 있다.
저곡해충의 습성은 앞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저곡해충 습성 확인 장치(1)를 통해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방제대상이 되는 저곡해충을 알고 있는 경우, 해당 저곡해충이 반응하는 색상의 LED 모듈만이 광원부(120)에 마련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방제대상이 되는 저곡해충을 알지 못할 경우에는 광원부(120)에 적, 녹, 청, 백, 황색을 포함하는 5개 색상의 LED 모듈을 마련하고서, 시간에 따라 색상, 조사광량, 조사시간, 조사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반복적으로 변경하면서 미지의 저곡해충에 대한 유인 혹은 기피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광원부(120)는 앞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회로 구조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5개 색상이 순차적으로 발현되도록 함으로써, 그 주광성을 알지 못하는 미지의 저곡해충이라 할지라도 특정 순간에는 유인 반응을 일으키는 색상의 광이 조사되기 때문에 장치 주변으로 유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어부(140)는 상술한 광원부(120) 및 분무부(130)가 서로 연통하면서 자신의 고유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각 기능부를 제어한다. 제어부(140)의 구체적인 기능은 특성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LED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방제 장치(100)는 직류 12V 전압을 제공받는다.
제어칩에는 분무부(130)에서의 살충물질의 분무주기(예를 들어, 30, 15, 7.5초 등)를 조절하는 스위치의 선택신호가 입력되며, 선택된 분무주기에 상응하여 LED를 동작시키고 분무부(130)에서 분무가 이루어지게 하는 모터(M)를 동작시키는 출력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각 구성 요소는 물리적으로 인접한 하나의 부품으로 구현되거나 서로 다른 부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각 구성 요소는 인접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구역에 위치하여 제어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발명은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별도의 제어수단 또는 제어모듈을 구비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각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저곡해충 습성 확인 장치 10: 몸체
12: 투명벽체 20: 길벌레용 습성 확인 모듈
30a, 30b: 광원부 40: 날벌레 투입구
50a, 50b: 가림막 52: 제1 공간
54: 제2 공간 56: 제3 공간
60: 도어 21: 명통로부
22: 암통로부 23: 커버
24: 투명판 25: 길벌레 투입구
26: 경계영역
100: 친환경 해충방제 장치 110: 몸체부
120: 광원부 130: 분무부
140: 제어부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농식품 저장시설 내에 설치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 내의 일측에 설치되며, 저곡해충을 유인하기 위한 광을 조사하는 제1 광원부;
    상기 몸체부 내에서 상기 제1 광원부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저곡해충을 죽이는 살충물질을 분무하는 분무부; 및
    상기 제1 광원부와 상기 분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광원부는,
    상용전원을 공급받는 전원부와;
    상기 상용전원을 소정 크기의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와;
    적색, 녹색, 백색, 청색, 황색을 포함하는 LED 모듈과;
    상기 SMPS와 상기 LED 모듈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SMPS의 직류 전압 크기를 조절하는 디머(dimmer)를 포함하며,
    상기 디머와 상기 LED 모듈은 스위치를 통해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방제대상인 저곡해충에 대한 정보가 미비할 경우 시간에 따라 상기 제1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광의 색상이 순차적으로 발현되도록 하고, 조사광량, 조사시간, 조사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반복적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식품 저장시설 내 저곡해충에 대한 LED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방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방제대상인 저곡해충을 알고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저곡해충 습성 확인 장치를 통해 확인한 상기 저곡해충의 습성에 상응하여 상기 저곡해충이 반응하는 색상의 LED 모듈을 제어하되,
    상기 저곡해충 습성 확인 장치는, 내부 공간에 길벌레가 투입되며 서로 교차하는 명통로부와 암통로부를 포함하는 길벌레용 습성 확인 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내부 공간 중 잔여 공간은 투입된 날벌레의 습성 확인을 위한 명 공간과 암 공간으로 구획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몸체의 내부로 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제2 광원부와;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제2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광의 색상을 조절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길벌레용 습성 확인 모듈은, 일단을 통해 상기 제2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광이 유입되는 상기 명통로부와; 상기 명통로부의 타단측에 직교하여 결합되며 상기 제2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광이 유입되지 않는 상기 암통로부와; 상기 명통로부의 일단에 설치되는 투명판과; 상기 명통로부와 상기 암통로부가 결합되는 지점에 형성되는 길벌레 투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상기 날벌레가 투입되는 날벌레 투입구와; 상기 날벌레 투입구의 양측에서 상기 제2 광원부로부터의 광의 조사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며, 상기 내부 공간을 상기 암 공간에 해당하는 제1 공간과 상기 명 공간에 해당하는 제2 공간 및 제3 공간으로 구획하는 복수의 가림막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가림막은 그 끝단이 상기 길벌레용 습성 확인 모듈과 만나 상기 제1 공간이 상기 제2 공간 및 상기 제3 공간과 상기 길벌레용 습성 확인 모듈의 상측에서 서로 연통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식품 저장시설 내 저곡해충에 대한 LED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방제 장치.
  8. 삭제
KR1020140149121A 2014-10-30 2014-10-30 농식품 저장시설 내 저곡해충에 대한 led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방제 장치 및 저곡해충 습성 확인 장치 KR101914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121A KR101914195B1 (ko) 2014-10-30 2014-10-30 농식품 저장시설 내 저곡해충에 대한 led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방제 장치 및 저곡해충 습성 확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121A KR101914195B1 (ko) 2014-10-30 2014-10-30 농식품 저장시설 내 저곡해충에 대한 led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방제 장치 및 저곡해충 습성 확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3015A KR20160053015A (ko) 2016-05-13
KR101914195B1 true KR101914195B1 (ko) 2018-11-02

Family

ID=56022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9121A KR101914195B1 (ko) 2014-10-30 2014-10-30 농식품 저장시설 내 저곡해충에 대한 led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방제 장치 및 저곡해충 습성 확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41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66737A (zh) * 2020-02-24 2020-04-28 福建农林大学 昆虫趋光或是光选择行为反应装置及其工作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400B1 (ko) * 2010-09-16 2012-05-17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곤충의 특성 판별장치 및 방법
KR101225222B1 (ko) * 2010-09-17 2013-01-22 허완규 자동연막 살충 살균 정화기
KR101364308B1 (ko) * 2012-09-04 2014-02-20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Led 광원을 이용한 저곡미소해충 유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인 판별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503B1 (ko) * 2007-07-20 2009-04-30 주식회사 세스코 야외 조명기의 살충장치
KR101156027B1 (ko) * 2010-06-04 2012-06-27 대한민국 곤충 선호색상 판별장치
KR101225745B1 (ko) * 2011-05-13 2013-01-23 (주)롬스페이스 감성조명 시스템
KR101349516B1 (ko) * 2012-03-13 2014-01-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Led 전원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400B1 (ko) * 2010-09-16 2012-05-17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곤충의 특성 판별장치 및 방법
KR101225222B1 (ko) * 2010-09-17 2013-01-22 허완규 자동연막 살충 살균 정화기
KR101364308B1 (ko) * 2012-09-04 2014-02-20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Led 광원을 이용한 저곡미소해충 유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인 판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3015A (ko) 2016-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02458B (zh) 用于昆虫控制的照明系统
US6305122B1 (en) Mosquito killing apparatus and mosquito trapping apparatus
US20200107533A1 (en) Insect Traps and Monitoring System
Duehl et al. Evaluating light attraction to increase trap efficiency for Tribolium castaneum (Coleoptera: Tenebrionidae)
US3885341A (en) Gypsy moth trap
CN105766851A (zh) 一种变频式led智能昆虫诱捕系统及方法
US20160235050A1 (en) Insect Traps and Monitoring System
MXPA01005334A (es) Aparato para proporcionar la lenta liberacion de un gas comprimido y una trampa para insectos que lo incorpora.
KR20100022203A (ko) 해충 유인수단이 구비된 가로등 장치
US20200100491A1 (en) Inactivation of Insects With Light
CN203851678U (zh) 一种智能光控雨控杀虫器
CN102177878A (zh) 一种生态杀虫的方法及杀虫装置
KR20180041287A (ko) 농식품 저장시설 내 저곡해충에 대한 led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방제 장치
KR101914195B1 (ko) 농식품 저장시설 내 저곡해충에 대한 led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방제 장치 및 저곡해충 습성 확인 장치
KR101146400B1 (ko) 곤충의 특성 판별장치 및 방법
JP6837634B2 (ja) 光源および誘引抑制方法
CN206629815U (zh) 一种昆虫捕捉装置
CN109006736A (zh) 一种蚊虫的监控与防治系统
JPH1175657A (ja) 捕虫器
JP2013118823A (ja) 除塵装置、エアシャワー装置、及びパスボックス装置
US20200196587A1 (en) Mosquito attracting device and system using the same
CN204377749U (zh) Led光源杀虫灯
US20030041506A1 (en) Insect control apparatus
Song et al. Phototactic behavior 9: phototactic behavioral response of Tribolium castaneum (Herbst) to light-emitting diodes of seven different wavelengths
KR20150025689A (ko) Uv led를 이용한 해충 트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