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4308B1 - Led 광원을 이용한 저곡미소해충 유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인 판별 방법 - Google Patents

Led 광원을 이용한 저곡미소해충 유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인 판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4308B1
KR101364308B1 KR1020120097658A KR20120097658A KR101364308B1 KR 101364308 B1 KR101364308 B1 KR 101364308B1 KR 1020120097658 A KR1020120097658 A KR 1020120097658A KR 20120097658 A KR20120097658 A KR 20120097658A KR 101364308 B1 KR101364308 B1 KR 101364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insect
light source
passage por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7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회선
양지연
전주현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97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43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4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4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7/00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vermin in soil or in foodstuffs
    • A01M17/008Destruction of vermin in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4Attracting insects by using illumination or colou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01M29/1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using light sources, e.g. lasers or flashing ligh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rd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곡미소해충의 광 유인 또는 기피 성질을 이용한 해충 유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인 판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곤충 유인 장치는 광통로부와 암통로부의 연결이 90° 이하로 형성되어 광원의 세기와 관계없이 암통로부에 광이 도달하지 않으므로 컴팩트한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는 종래 장치와 달리 곤충 투입후에 가림막을 제거할 필요가 없으므로 효율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광에 대한 반응성이 느리거나 이동속도가 느린 저곡미소해충의 광 특성을 판별하는 데 적합하다.
본 발명은 쌀 장기유통 및 보관 시 가장 큰 피해를 야기하는 쌀바구미를 제어함에 필요한 LED 광원별 주광성 행동반응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저곡미소해충의 최적의 유인/기피 파장, 조도, 조사 시간 조건들을 판별할 수 있는 있는 유인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LED 광원을 이용한 저곡미소해충 유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인 판별 방법 {Decoy apparatus for stored injurious insects using light-emitting diodes and criter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LED 광원을 이용한 해충 유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인 판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저곡미소해충의 광 유인 또는 기피 성질을 이용한 저곡미소해충 유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인 판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저곡미소해충은 쌀을 비롯하여 곡물 유통 및 장기보관 시에 빈번하게 출현하는 해충들로 이들을 방제하는 것은 인간의 식용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어서 아직까지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방제방법을 개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저곡미소해충의 피해정도는 곡물의 생산물과 가공물의 직접적 손실량과 일치되고, 간접적으로는 해충 1마리 유입으로도 상품가치를 떨어뜨려 관련기업을 포함하여 수출국의 이미지를 실추시키는 원인이 될 것이다. 저곡미소해충 중에서 경제적으로 가장 큰 피해를 야기하는 관건 해충 (key pests)으로는 쌀바구미 (rice weevil)가 대표적이며, 특히 쌀바구미는 범세계적으로 분포하면서 곡물의 양적 손실이 발생하게 되며, 저장환경의 온도와 습도를 변화시켜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곡물의 부패와 곰팡이 독소 (mycotoxin)의 생성을 유도한다.
예로부터 이들을 방제하기 위하여 고온처리 (heating), 저온처리 (low temperature storage), 밀봉저장 (hermetic storage) 및 CA저장 (controlled atmosphere storage) 등 다양한 물리적인 방법들이 사용되어졌으나, 초기 건설비 및 유지비용이 높고, 수분을 함유한 곡물에서는 혐기성 발효가 일어날 위험성이 있으며, 산소 결핍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이러한 물리적인 방법들은 임시적인 방편으로 이용될 뿐 저곡미소해충의 완전한 사멸은 어려운 실정이다.
최근 들어, 물리적인 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훈증제 (fumigants) 및 접촉살충제 (contact insecticides)와 같은 약제를 처리하는 화학적인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주로 메틸브로마이드 (methyl bromide, CH3Br)가 사용되고 있으나 잔류독성 및 발암성 등의 위험도가 높아 소량 흡입 시에도 체내축적이 이루어져 만성중독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고, 오존층 파괴 물질로 분류되어서 주요 선진국은 2005년까지 사용제한과 개발도상국의 경우에는 2015년부터는 사용이 제한되므로 메틸브로마이드를 대체할 수 있는 대안을 찾는 연구가 필요하며, 따라서 친환경적이고 안정적인 저곡해충 방제기술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일부 선진국에서는 화학적인 방법을 대신하는 새로운 저곡미소해충 제어도구로서 LED를 이용한 해충의 주광성 행동반응에 대한 기초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즉, 곤충은 350~700 nm 범위의 빛 파장을 인지하고 반응하는데, 이러한 곤충의 광 유인/기피성을 이용하여 곤충이나 해충을 포획/유인하는 장치나 특성 판별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 2010-168675호에는 비닐하우스로부터 해충을 유인하기 위해 500~600nm 광을 조사하는 해충유인 조명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146400호에는 투입구, 가림막, 벽 및 광원부를 포함하여 곤충의 광 특성을 판별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해충 유인장치나 광 특성 판별장치는 곤충 사이즈나 이동속도가 큰 해충에 적용될 수 있고, 저곡미소해충에 적용되기에는 공간 및 실용화면에서 어려움 측면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저곡미소해충 방제에 대한 기존의 문제점들을 해결함과 동시에 지속적이고 효과적으로 저곡미소해충을 제어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저곡미소해충의 광 유인/기피 특성을 판별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저곡미소해충인 쌀바구미에 최대 효과를 나타내는 광의 조도와 조사시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의 양상에서 본 발명은 빛이 조사되는 영역으로서 소정 길이로 형성된 광 통로부 ; 상기 광 통로부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 ; 상기 광원부의 빛이 도달되지 않는 영역인 암 통로부 ; 빛이 조사되는 영역과 조사되지 않는 영역의 경계영역에 형성되는 곤충 투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광통로부와 암통로부의 단부가 90° 이하의 각도로 연결되어 상기 광원부의 빛이 상기 암통로부로 도달되지 않는 곤충 유인장치에 관계한다.
또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곤충 유인 장치를 이용한 곤충 유인 판별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암통로부와 광통로부가 만나는 경계영역으로 곤충을 투입하는 단계 ; 상기 광통로부에 광원부를 이용하여 광을 조사하는 단계 ; 및 상기 투입된 곤충의 이동경로를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곤충 유인 판별 방법에 관계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곤충 유인 장치는 광통로부와 암통로부의 연결이 90° 이하로 형성되어 광원의 세기와 관계없이 암통로부에 광이 도달하지 않으므로 컴팩트한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는 종래 장치와 달리 곤충 투입후에 가림막을 제거할 필요가 없으므로 효율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광에 대한 반응성이 느리거나 이동속도가 느린 저곡미소해충의 광 특성을 판별하는 데 적합하다.
본 발명은 쌀 장기유통 및 보관 시 가장 큰 피해를 야기하는 쌀바구미를 제어함에 필요한 LED 광원별 주광성 행동반응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저곡미소해충의 최적의 유인/기피 파장, 조도, 조사 시간 조건들을 판별할 수 있는 있는 유인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른 곤충 유인장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평면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곤충 유인 판별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통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기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지식을 소유한 자가 특허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른 곤충 유인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평면 개략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곤충 유인 장치는 광통로부(10), 광원부(20), 암통로부(30) 및 곤충투입구(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곤충은 크기가 작고 이동속도가 느린 저곡미소해충이다. 상기 미소해충은 진딧물 및 바구미류 해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해충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쌀바구미이다.
본 발명의 곤충 유인장치는 광통로부(10)와 암통로부(30)를 각각 구비하고 이들이 단부에서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상기 광통로부(10)와 암통로부(30)는 소정 길이를 구비한 챔버형태의 공간으로서, 곤충이 빛에 반응하여 암통로부나 광통로부를 따라 이동한다.
상기 광통로부(10)는 상기 광원부(20)에 의해 빛이 조사되는 영역이다. 상기 광통로부(10)는 광원부(20)의 빛을 수용할 수 있는 투명 부분(11)을 포함하고, 광원부(20)에서 조사되는 빛 외에는 외부 빛을 수용할 수 없도록 챔버 전체가 검은색 포맥스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광 차단제로 내부가 코팅된다.
상기 암통로부(30)는 상기 광원부의 빛이 도달되지 않는 영역이다. 상기 암통로부는 챔버 전체가 암 조건을 갖춘 챔버로서, 이를 위해 챔버 전체가 검은색 포맥스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광 차단제로 내부가 코팅된다.
도 1을 참고하면, 광통로부(10)와 암통로부(30)의 단부가 서로 연결된다.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광통로부와 암통로부의 단부가 90° 이하의 각도로 연결되고, 바람직하게는 이때 연결각도(θ)가 90°이다. 상기 광통로부와 암통로부는 "ㄱ" 구조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통로부와 암통로부의 단부가 90° 이하의 각도로 연결됨에 따라 광원부(20)에서 광통로부 내부로 조사되는 빛이 암통로부 내부로 직접 도달하지 않는다. 광통로부와 암통로부가 연결되는 경계영역(50)은 암조건과 광조건이 어느 정도 완화되는 영역이다.
상기 구조에 의해 다른 특별한 장치나 조작없이 암통로부의 암조건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컴팩트한 유인 판별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광에 대한 반응성이 느리거나 이동속도가 느린 미소해충의 광 특성을 판별하는 데 적합하다.
상기 광원부(20)는 상기 광통로부의 투명부분(11) 외측에 위치하여 빛을 조사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특성을 조절하는 컨트롤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광원부(20)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광량, 파장 또는 조사시간을 제어한다.
상기 광원부(20)는 각각의 파장마다 광량이 조절되는 LED로 구성된 LED모듈회로판을 포함할 수 있다. LED는 그 종류에 따라 각각 다른 파장을 갖고 있으므로, LED모듈 회로판에 설치되는 LED의 종류를 다르게 하면, 상기 광원부(20)는 단일파장 또는 혼합파장을 만들어 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컨트롤러를 통해 LED의 광량, 파장, 시간 등을 변경 조사하여, 특정 미소해충에 대한 주광성 행동반응을 관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쌀바구미에 대한 주광성 행동 반응을 관찰하여 최적의 광 조건을 선정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는 쌀바구미를 유인하기 위해서 가시광선 영역의 파장대 (380 ~ 780 nm) 중에서 선정된 제 1광 및 제 2광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제 1광은 450 ± 10 nm의 파장을 갖고, 상기 제 2광은 510 ± 10 nm의 파장일 수 있다.
상기 제 1광은 25~100lx의 조도로 8~48시간 동안 조사되고, 상기 제 2광 또한 25~100lx의 조도로 8~48시간 동안 조사될 수 있다.
상기 곤충투입구(40)는 빛이 조사되는 영역과 조사되지 않는 영역의 경계영역(50)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곤충 투입구(40)는 광통로부(10)와 암통로부(30)가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된다. 상기 곤충투입구(40)는 쌀바구미가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입구를 차단하는 100 mesh 이하의 개폐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개폐수단으로 100mesh 이하의 나일론 천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통로부(10) 및 암통로부(30)는 유인 또는 기피된 곤충을 확인하기 위한 포집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집부(60)는 투입부에서부터 15~35cm, 바람직하게는 25cm 정도 떨어진 광통로부 및 암통로부 중 하나 이상에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투입되는 곤충이 광에 대해 유인성 곤충인 경우에는 광원부(20)에서부터 15cm 떨어진 광통로부 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반대로 투입 곤충이 광 기피 곤충인 경우에는 곤충 투입구(40)에서부터 25cm 떨어진 암통로부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집부로는 끈끈이 등 접착제 종류를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20)는 LED에서 발생되는 열을 제거할 수 있는 냉각팬(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인 장치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내부에 온습도 조절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인장치는 쌀 장기유통 및 보관 시 가장 큰 피해를 야기하는 쌀바구미를 제어함에 필요한 LED 광원별 주광성 행동반응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쌀바구미 이외에도 특정 저곡미소해충의 유인/기피 파장, 조도, 조사 시간 조건들을 판별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곤충유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곤충 유인 장치를 이용한 곤충 유인 판별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암통로부와 광통로부가 만나는 경계영역으로 곤충을 투입하는 단계 ; 상기 광통로부에 광원부를 이용하여 광량, 시간을 변경하면서 광을 조사하는 단계 ; 및 상기 투입된 곤충의 이동경로를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곤충투입단계 전에 먼저 LED 광원별 조도 및 조사시간에 따른 광조사를 수행하는 단계(S11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 조사 수행단계(S110)는 곤충 투입 전에 파장, 광량, 시간 등 조사조건을 미리 결정하는 단계이다.
상기 곤충 투입단계(S120)는 상기 경계영역(50)으로 곤충을 투입하는 단계이다. 상기 곤충 투입단계는 광 차단 상태에서 곤충을 투입할 수 있다.
상기 광노출단계는 설정된 광조건에 의해 광원을 광통로부에 조사하는 단계(S130)이다. 상기 광조사에 의해 광통로부에는 광조건이 형성되지만, 암통로부에서는 여전히 암조건이 유지된다. 상기 경계영역(50)에 투입된 곤충은 암조건과 광조건이 어느 정도 완화되는 경계영역에서 광 유인 기피 정도에 따라 이동방향을 결정하게 된다.
상기 이동경로 파악단계(S140)는 포획된 곤충의 위치를 파악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행동 특성을 판별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면, 쌀바구미인 경우 광에 대한 행동특성은 곤충투입구에서 광원방향 또는 암통로부 방향으로 25cm이상 이동하였는지 여부로 판정할 수 있다.
일예로서, 상기 곤충이 쌀바구미인 경우 최적의 광 유인 조건은 앞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즉, 광원은 450 ± 10 nm의 파장을 갖는 제 1광원 및 510 ± 10 nm의 파장을 갖는 제 2 광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고, 광 조사는 8시간 내지 48시간 범위에서 조사할 수 있다.
실험장비 준비
2종 LED 광원 중에 파란색 (450 ± 10 nm) 및 녹색 (510 ± 10 nm) LED는 씨엘라이트 (Ciel light)사에서 LED 모듈을 주문 · 제작하여 본 실험에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 사용된 곤충 행동반응 도 1의 장치를 사용하였으며, 실험은 상대습도 60 ± 5%, 온도 27 ± 0.5℃가 유지되는 암실에서 진행되었다.
선발된 저곡해충의 사육
본 발명의 실험해충으로 선발된 쌀바구미 (rice weevil, Sitophilus oryzae Linnaeus)는 2009년 국립식량과학원 벼 맥류부로부터 분양받아 어떠한 살충제의 노출 없이 전북대학교 응용식물생화학실험실에서 쌀을 먹이로 공급하여 계대 사육한 것을 사용하였다. 사육환경은 온도 27 ± 0.5℃, 상대습도 60 ± 5% 및 16L:8D의 광주기 조건에서 플라스틱 사육 상자 (26 x 30 x 20 cm)에 넣어 사육하였다.
실시예
(1) 검정방법
쌀바구미 유인 활성 파장의 탐색방법은 사용하고자하는 LED를 선택하여 조도 및 조사시간을 설정하여 광을 조사하였다(S110).
이후 광이 차단된 상태로 쌀바구미를 곤충투입구를 통해 투입하였다 (S120).
쌀바구미를 LED 광원에 노출시키고 (S130) 그에 따른 쌀바구미의 이동을 관찰하였다.(S140).
반응이 종결된 후 쌀바구미의 위치를 파악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쌀바구미의 행동 특성을 판별하였다. 상기 과정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실험결과의 유의성을 판별하였다.
(2) LED 광원의 조도변화에 따른 쌀바구미의 행동반응
쌀바구미의 행동반응 탐색에 있어서 LED 광원별 최적의 조도를 선발하기 위해서 상기 LED 광원 (450 ± 10 및 510 ± 10 nm)을 대상으로 조도변화에 대한 행동반응 실험을 실시하였다. 쌀바구미는 빛에 대한 반응 속도가 빠르지 않아 오랜 시간 실험을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조사 시간을 최대 48시간으로 한정시키고, 노출 조도는 최대 100 lx를 기준으로 점차 낮은 조도로 주광성 행동반응을 측정하였다 (100 lx, 50 lx, 25 lx).
실험해충
(파장)
Time
(h)
유인율 (%)
조도 (lx)
25 lx 50 lx 100 lx
쌀바구미 파란색
(450 ± 10 nm)
48 81.1 67.8 63.3
녹색
(510 ± 10 nm)
62.2 75.6 54.4
상기 조도변화에 따른 쌀바구미의 행동반응의 결과는 상기 표 1에 기술한 바와 같다. 각 파장의 조도변화에 따른 쌀바구미의 행동반응을 보면, 녹색 LED (510 ± 10 nm)의 경우에는 25 lx에서 62.2%, 50 lx에서 75.6%, 100 lx에서 54.4%의 유인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파란색 LED (450 ± 10 nm) 의 경우에는 25 lx에서 81.1%, 50 lx에서 67.8%, 100 lx에서 63.3%의 유인율을 나타내었으며, 조도가 증가함에 따라 쌀바구미의 유인활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25 lx에서 가장 높은 유인활성을 나타내었지만, 녹색 LED (510 ± 10 nm)의 경우 50 lx에서 가장 높은 유인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3) 쌀바구미 제어에 효과적인 LED 광원의 조사시간 선발
상기 LED 광원별 조도변화에 따른 쌀바구미의 행동반응에서 관찰된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빛의 조사시간에 따른 쌀바구미의 행동반응을 관찰하였다. 쌀바구미는 빛에 대한 전반적인 반응성이 둔감하다고 판단되어 8, 12, 24, 36 및 48시간으로 나누어 행동반응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험에 사용된 LED 광원의 최고 활성을 나타낸 조도인 25 lx(표 2)와 50 lx(표 3)의 두 가지 경우로 설정하여 각각 실험하였다.
실험해충
(파장)
조도
(lx)
유인율 (%)
8 h 12 h 24 h 36 h 48 h
쌀바구미 파란색
(450 nm)
25 37.8 33.3 54.4 83.3 81.1
녹색
(510 nm)
27.8 36.7 47.8 56.7 62.2
조사시간별 쌀바구미의 행동반응의 결과는 상기 표 2 (LED 광원의 조도를 25 lx로 설정한 실험)에 나타내었다.
파란색 LED (450 ± 10 nm)의 경우 8시간에서 37.8%, 12시간에서 33.3%, 24시간에서 54.4%, 36시간에서 83.3% 및 48시간에서 81.1%의 유인율을 나타내었으며, 녹색 LED (510 ± 10 nm)의 경우에는 8시간에서 27.8%, 12시간에서 36.7%, 24시간에서 47.8%, 36시간에서 56.7% 및 48시간에서 62.2%의 유인활성을 나타내었다.
두 종류의 LED 파장에서 8시간부터 36시간까지는 유의할 만한 유인율의 증가를 나타내었지만 36시간 이후부터는 유의할 만한 유인율의 변화가 관찰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실험해충
(파장)
조도
(lx)
유인율 (%)
8 h 12 h 24 h 36 h 48 h
쌀바구미 파란색
(450 nm)
50 24.4 31.1 47.8 61.1 67.8
녹색
(510 nm)
41.1 45.6 56.7 70.0 75.6
실시예 3의 조사시간별 쌀바구미의 행동반응의 결과는 상기 표 3 (LED 광원의 조도를 50 lx로 설정한 실험)에 나타내었다.
파란색 LED (450 ± 10 nm)의 경우에는 8시간에서 24.4%, 12시간에서 31.1%, 24시간에서 47.8%, 36시간에서 61.1% 및 48시간에서 67.8%의 유인율을 나타내었으며, 녹색 LED (510 ± 10 nm)의 경우 8시간에서 41.1%, 12시간의 경우 45.6%, 24시간의 경우 56.7%, 36시간의 경우 70.0% 및 48시간의 경우 75.6%의 유인율을 나타내었다.
(4) 확립된 생물검정법에 의한 쌀바구미의 행동반응 평가
상기의 LED 파장의 조도 및 조사시간에 따른 쌀바구미의 행동반응 결과를 바탕으로 각 LED 광원별 최적의 조건을 선발하였다. 그 결과, 파란색 LED (450 ± 10 nm)는 조도 25 lx, 조사시간 36 h에서 최대 유인활성을 보였으며, 녹색 LED (510 ± 10 nm)는 조도 50 lx, 조사시간 48 h에서 쌀바구미의 우수한 유인활성을 나타냈다. 이상의 최적 조건들을 적용하여 각 LED 광원별 쌀바구미의 유인 행동반응 실험을 3반복으로 진행하였으며, 광원에 노출된 쌀바구미의 이동은 광조건 (빛에 노출된 해충이 광원 쪽 15 cm내로 이동), 암조건 (빛에 노출된 해충이 암조건 쪽 15 cm내로 이동), 무반응 (상기 두 부분을 제외한 부분)의 3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관찰하였다.

(파장)
조도
(lx)
쌀바구미의 개체수 유인율 (%)
광조건 무반응 암조건
파란색
(450 nm)
25 25.3 ± 0.7 2.8 ± 0.5 1.8 ± 0.4 84.3%
녹색
(510 nm)
50 22.3 ± 1.7 4.3 ± 0.9 3.3 ± 0.9 74.3%
상기 결과에서 파란색 LED (450 ± 10 nm)가 녹색 LED (510 ± 10 nm)에 비해 높은 유인활성을 나타내었지만, 두 광원은 통계적으로 동등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쌀바구미의 주광성 행동반응은 가시광선 영역의 단파장 LED에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10 : 광통로부 20 : 광원부
30 : 암통로부 40 : 곤충투입구
50 : 경계영역 60 : 포집부

Claims (12)

  1. 빛이 조사되는 영역으로서 소정 길이로 형성된 광 통로부 ;
    상기 광 통로부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 ;
    상기 광원부의 빛이 도달되지 않는 영역인 암 통로부 ;
    상기 광 통로부와 상기 암 통로부의 단부가 90°이하의 각도로 연결되어 상기 광원부의 빛이 상기 암 통로부로 도달되지 않고, 및
    상기 광 통로부와 암 통로부가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곤충 투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유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 통로부와 암 통로부는 "ㄱ" 자 구조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유인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곤충이 쌀바구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유인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인장치는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특성을 조절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유인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가시광선 영역의 파장대 중에서 선정된 제 1광 및 제 2광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광을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유인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광은 450 ± 10 nm의 파장을 갖고, 상기 제 2광은 510 ± 10 nm의 파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유인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광은 25~100lx의 조도로 8~48시간 동안 조사되고, 상기 제 2광은 25~100lx의 조도로 8~48시간 동안 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유인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는 쌀바구미가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입구를 차단하는 100 mesh 이하의 개폐 수단을 포함하는 LED를 이용한 곤충 유인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 통로부 및 암통로부는 유인 또는 기피된 곤충을 확인하기 위한 포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유인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는 투입부에서부터 15~35cm 떨어진 광통로부 및 암통로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유인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곤충 유인 장치를 이용한 곤충 유인 판별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암통로부와 광통로부가 만나는 경계영역으로 곤충을 투입하는 단계 ;
    상기 광통로부에 광원부를 이용하여 광을 조사하는 단계 ; 및
    상기 투입된 곤충의 이동경로를 파악하는 단계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유인 판별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곤충이 쌀바구미이고, 상기 광원부는 450 ± 10 nm의 파장을 갖는 제 1광원 및 510 ± 10 nm의 파장을 갖는 제 2 광 중 하나 이상이고, 광 조사시간은 8시간 내지 48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유인 판별 장치.
KR1020120097658A 2012-09-04 2012-09-04 Led 광원을 이용한 저곡미소해충 유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인 판별 방법 KR101364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658A KR101364308B1 (ko) 2012-09-04 2012-09-04 Led 광원을 이용한 저곡미소해충 유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인 판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658A KR101364308B1 (ko) 2012-09-04 2012-09-04 Led 광원을 이용한 저곡미소해충 유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인 판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4308B1 true KR101364308B1 (ko) 2014-02-20

Family

ID=50271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7658A KR101364308B1 (ko) 2012-09-04 2012-09-04 Led 광원을 이용한 저곡미소해충 유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인 판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430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3591B1 (ko) * 2014-06-30 2016-04-19 경상북도(농업기술원) 버섯파리 유인용 유효광원 및 그 선발장치
KR20160053015A (ko) * 2014-10-30 2016-05-13 그린테코 주식회사 농식품 저장시설 내 저곡해충에 대한 led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방제 장치 및 저곡해충 습성 확인 장치
US20170156304A1 (en) * 2013-11-29 2017-06-08 Masatoshi Hori Pest control method and control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5658A (ja) * 1997-07-09 1999-03-23 King Kagaku Kk 米びつ防虫具
JPH1175657A (ja) * 1997-09-16 1999-03-23 Ishimoto Nougiken:Kk 捕虫器
JP2000000048A (ja) 1998-06-15 2000-01-07 Reiko Maemoto 害虫捕獲体
JP2004099535A (ja) 2002-09-10 2004-04-02 Tomoko Hayase 天然精油衛生害虫忌避剤およびその用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5658A (ja) * 1997-07-09 1999-03-23 King Kagaku Kk 米びつ防虫具
JPH1175657A (ja) * 1997-09-16 1999-03-23 Ishimoto Nougiken:Kk 捕虫器
JP2000000048A (ja) 1998-06-15 2000-01-07 Reiko Maemoto 害虫捕獲体
JP2004099535A (ja) 2002-09-10 2004-04-02 Tomoko Hayase 天然精油衛生害虫忌避剤およびその用途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56304A1 (en) * 2013-11-29 2017-06-08 Masatoshi Hori Pest control method and control device
US11064689B2 (en) * 2013-11-29 2021-07-20 Shin-Etsu Handotai Co., Ltd. Pest control method and control device
KR101613591B1 (ko) * 2014-06-30 2016-04-19 경상북도(농업기술원) 버섯파리 유인용 유효광원 및 그 선발장치
KR20160053015A (ko) * 2014-10-30 2016-05-13 그린테코 주식회사 농식품 저장시설 내 저곡해충에 대한 led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방제 장치 및 저곡해충 습성 확인 장치
KR101914195B1 (ko) * 2014-10-30 2018-11-02 그린테코 주식회사 농식품 저장시설 내 저곡해충에 대한 led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방제 장치 및 저곡해충 습성 확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094960A1 (en) Insect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6802267B2 (ja) 飛翔昆虫を誘引し捕獲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CN102325443B (zh) 害虫防除装置
KR100795435B1 (ko) 해충제거장치
KR20130049475A (ko) 곤충 유인 장치
JP6118239B2 (ja) 害虫の防除方法及び防除装置
KR101273580B1 (ko) Led 광원을 이용한 배추좀나방의 유인방법 및 장치
KR20200070224A (ko) 포충기
KR101364308B1 (ko) Led 광원을 이용한 저곡미소해충 유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인 판별 방법
KR101146400B1 (ko) 곤충의 특성 판별장치 및 방법
KR20190032921A (ko) 살균 효과를 제공하는 uv led 장치
KR20160027835A (ko) 해충 포획 장치
KR20170037741A (ko) Uv led가 적용된 포충기
JP5294326B2 (ja) 光を利用したハダニ防除方法
JP2006149256A (ja) 天敵昆虫を飼育するための給餌方法および給餌装置
Liu et al. Study on the visual response of Frankliniella occidentalis to ultra violet-visible spectroscopy with different wavelength ranges
JP3933014B2 (ja) 植物育成貯蔵装置
CN104094915A (zh) 害虫驱除用照明装置
JP5213255B2 (ja) 害虫防除装置
KR20090095083A (ko) 바퀴벌레 추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퀴벌레 방제방법
KR101850843B1 (ko) 파밤나방을 유인하는 led 파장
JP5129768B2 (ja) 害虫防除装置
CN114208784B (zh) 一种基于两种波长光源交替引诱椰心叶甲成虫的方法
KR101717246B1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보리나방의 유인방법 및 유인장치
Tianhua et al. Research on the LED pest control light for tea plant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