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3591B1 - 버섯파리 유인용 유효광원 및 그 선발장치 - Google Patents

버섯파리 유인용 유효광원 및 그 선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3591B1
KR101613591B1 KR1020140080592A KR20140080592A KR101613591B1 KR 101613591 B1 KR101613591 B1 KR 101613591B1 KR 1020140080592 A KR1020140080592 A KR 1020140080592A KR 20140080592 A KR20140080592 A KR 20140080592A KR 101613591 B1 KR101613591 B1 KR 101613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hroom
light source
flies
mushroom flies
attra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0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1987A (ko
Inventor
강민구
김우현
박석희
최성용
박소득
Original Assignee
경상북도(농업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북도(농업기술원) filed Critical 경상북도(농업기술원)
Priority to KR1020140080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3591B1/ko
Publication of KR20160001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3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3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4Attracting insects by using illumination or colou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4Catching by adhesive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4Catching by adhesive surfaces
    • A01M1/145Attracting and catching insects using combined illumination or colours and adhesive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2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 A01M1/226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by using waves, fields or rays, e.g. sound waves, microwaves, electric waves, magnetic fields, light ray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버섯파리 유인용 유효광원 및 그 선발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섯파리 유인용 유효광원은 버섯재배지에 발생하는 버섯파리를 유인하도록 블랙 라이트를 출력하도록 마련되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섯파리 유인용 유인관원 선발장치는 버섯파리를 투입하기 위한 해충투입구와, 상기 해충투입구로부터 같은 거리에 위치되어 있으며 파장과 색상이 서로 다른 복수의 광원이 동일한 조건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광원실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버섯파리 유인용 유효광원 및 그 선발장치{Effective light source for catching of mushroom flies, and selecting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버섯파리 유인용 유효광원 및 그 선발장치에 관한 것이다.
2012년 우리나라 버섯생산규모는 7000억원에 달하고 있으며, 이러한 버섯산업은 현재까지도 계속 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주요 버섯에는 느타리버섯, 새송이버섯, 팽이버섯, 표고버섯, 양송이버섯 등이 있는데, 이중 병 재배를 제외한 느타리버섯, 표고버섯, 양송이버섯은 해충발생으로 인한 피해가 심각하다.
버섯재배에 크게 해를 입히는 해충으로는 버섯파리류, 응애류, 선충류 등이 있으며, 이들은 느타리버섯, 양송이버섯, 표고버섯 재배에 큰 피해를 주고 있다. 양송이버섯의 경우, 전체 생산량의 약 20% 가량이 버섯파리류에 의한 피해를 입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버섯 재배에 피해가 큰 버섯파리류 중에서는 긴수염버섯파리과(Sciaridae), 버섯혹파리과(Cecidomyiidae), 버섯벼룩파리과(Phoridae) 등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많은 버섯 재배농가에서는 다양한 방제방법을 선택하여 해충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고 있다.
이때 가장 확실한 방제방법에는 곤충생장조절제 계통의 약품을 사용하는 화학적 방제이지만, 약제가 살포된 버섯은 친환경 버섯에서 제외되면서 가격이 평가절하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또 근래 EU 같은 선진국에서는 곤충생장조절제 계통의 약제사용을 금하고 있기 때문에, 화학적 방법은 점차 버섯 방제에서 제외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곤충병원선충, 포식성응애, 갈색반날개 등을 이용한 생물학적 방제기술이 적용되는 경우도 있으나, 이와 같은 생물학적 방제방식의 경우 화학적 방제만큼 효율적인 방제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워 이용 농가의 선택을 받기가 어려운 형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버섯의 친환경 재배가 가능하도록 물리적인 방식을 이용한 친환경적인 방제법들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물리적인 방제방식 중 대표적인 것이 광을 이용한 방제법이다.
광을 이용한 해충 방제법은 해충이 인식할 수 있는 광을 방출하여 각 해충의 선호도에 따라 해충을 유인하여 포집함으로써 친환경적으로 해충을 방제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효율적인 버섯파리류 방제를 위한 전용의 유인광원이 개발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어서, 버섯재배시 버섯파리류가 유입되면서 버섯생산에 막대한 피해를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49476호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버섯재배에 큰 피해를 주고 있는 버섯파리류 방제에 유효한 효과를 거둘 수 있는 버섯파리 유인용 유효광원 및 그 선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버섯재배지에 발생하는 버섯파리를 유인하도록 블랙 라이트를 출력하는 버섯파리 유인용 유효광원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버섯파리는 긴수염버벗파리와, 버섯벼룩파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랙 라이트의 피크 파장은 365 ~ 370nm 일 수 있다.
상기 블랙 라이트의 피크 파장은 368 nm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버섯파리를 투입하기 위한 해충투입구와, 상기 해충투입구로부터 같은 거리에 위치되어 있으며 파장과 색상이 서로 다른 복수의 광원이 동일한 조건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광원실을 포함하는 버섯파리 유인용 유효광원 선발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버섯파리 유인용 유효광원 선발장치는 복수의 상기 광원실이 둘레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광원실들 사이의 중앙에 배치되며 상기 해충투입구가 형성된 해충투입실과, 상기 해충투입실과 복수의 상기 광원실들 사이를 연결하도록 상기 해충투입실 둘레에 동일한 직경과 길이를 갖도록 방사상으로 연장된 복수의 연결로와, 복수의 상기 광원실들 바닥에 각각 설치된 끈끈이 트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 및 끈끈이 트랩의 교체를 위해 각각의 상기 광원실 일 측벽에는 외부와의 소통을 위한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에는 그물형태의 커버가 착탈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섯파리 유인용 유효광원 및 그 선발장치에 따르면, 버섯재배지에 발생하는 해충 중에서 연중 발생개체수가 가장 우점하는 버섯파리를 선별하고, 이렇게 선별된 버섯파리가 가장 선호하는 유인광원을 간편하게 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정된 유인광원을 버섯파리류 방제 전용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섯파리 유인용 유효광원 선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섯파리 유인용 유효광원 선발장치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섯파리 유인용 유효광원 선발을 위한 설험결과로써, 긴수염버섯파리류의 유인광원별 선호비율 비교 그래프이다.
도 4는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섯파리 유인용 유효광원 선발을 위한 설험결과로써, 버섯벼룩파리류의 유인광원별 선호비율 비교 그래프이다.
도 5는 블랙 라이트 광원의 파장스펙트럼 분석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섯파리 유인용 유효광원 선발장치는 버섯재배에 가장 피해가 큰 버섯파리류를 유인하기 위한 유인용 유효광원을 선정하도록 마련된 것으로, 이러한 버섯파리 유인용 유효광원 선발장치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버섯재배지에 발생하는 버섯파리의 연중 발생개체수를 조사하여 가장 우점하여 발생하는 해충을 버섯파리를 선별하게 된다. 선별된 버섯파리는 사육되고, 이렇게 사육된 버섯파리는 버섯파리 유인용 유효광원 선발장치에 방사되어 이들이 가정 선호하는 유인용 유효광원을 선정하게 된다.
실험1: 방제대상 선별 실험
경북지역 느타리버섯 재배지 3개소와, 양송이버섯 재배지 1개소에서 2주 간격으로 25 X 15 cm 크기의 황색 끈끈이트랩을 이용하여 버섯파리의 발생개체수를 조사하였다.
황색 끈끈이트랩에 포획된 버섯파리를 조사하고 채집된 버섯파리를 슬라이드표본을 제작하여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형태적 특징을 조사하고 동정하였다.
또한 온전한 버섯파리의 표본수집을 위해 해충포집기로 끈끈이트랩에 포획된 종을 채집하여 99% 알코올에 보관하였다.
이번 실험에서 조사된 버섯파리의 연중 발생개체수는 다음과 같다.
느타리버섯 재배지 버섯파리 발생동향(* = 3개지점 평균값)
조사월
발생종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긴수염버섯파리 100* 100 100 100 90.0 70.0 16.0 2.0 39.3 42.4 59.1 90.0
버섯벼룩파리류 10.0 30.0 84.0 98.0 60.6 28.4 40.9 10.0
버섯혹파리류 0.1
나방파리류 29.1
양송이버섯 재배시 버섯파리 발생동향(* = 1개지점 평균값)
조사월
발생종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긴수염버섯파리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92.8 98.7 99.1 100
버섯벼룩파리류 0.4
버섯혹파리류 4.8 1.3 0.5
나방파리류 2.4
이와 같은 실험1의 결과에 따라 대표적인 버섯 중 느타리버섯 재배지에서는 1~6월, 10~12월에는 긴수염버섯파리가 우점하고, 고온기인 7~9월에는 버섯벼룩파리가 우점하여 발생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 양송이버섯 재배지에서는 긴수염버섯파리가 연중 내내 우점하여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위의 표 1 내지 2에서 월별로 기록된 수치는 해당 해충의 발생비율을 가리키며, 1개 또는 3개지점의 평균값에서 지점은 조사지역을 가리킨다.
따라서 실험결과에 따라 버섯재배지에서 우점하여 발생되는 버섯파리는 긴수염버섯파리와 버섯벼룩파리가 될 수 있으며, 실험자는 다음에 수행하게 될 버섯파리 유인용 유효광원 선정 실험에 사용할 수 있도록 선정된 버섯파리를 연구실에서 사육하게 된다. 이렇게 사육된 버섯파리는 유인용 유효광원 선발과정에서 버섯파리 유인용 유효광원 선발장치로 투입되어 선호하는 유인용 유효광원을 선택하도록 처리된다.
버섯파리 유인용 유효광원 선발장치의 구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제대상의 유인용 유효광원 선정 과정에서 이용되는 버섯파리 유인용 유효광원 선발장치(10)는 중앙에 마련된 해충투입실(11)과, 해충투입실(11) 둘레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8개의 광원실(12)을 구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해충투입실(11)은 팔각통 형태의 제1케이싱(21)의 내부공간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며, 광원실(12)은 사각통 형태의 제2케이싱(22)을 통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버섯파리 유인용 유효광원 선발장치(10)는 실험자가 육안으로 내부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투명 아크릴을 소재하여 마련될 수 있다.
중앙의 해충투입실(11)에는 사육된 방제대상을 내부로 투입하기 위한 해충투입구(11a)가 마련된다. 8개의 광원실(12)은 중앙의 해충투입구(11a)로부터 같은 거리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각 광원실(12)에는 파장과 색상이 서로 다른 복수의 광원(31,32,33,34,35,36,37,38)이 동일한 조건으로 설치된다. 이때 채용되는 광원들은 자외선의 경우 사람에게 해로울 수 있으므로, 일반인의 접근이 용이한 가시광선 영역대에 가까운 UV-A램프들 중에서 선별한 것들이다.
제1 및 제2케이싱(21,22)은 하부가 개방된 통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해충투입실(11)과 광원실(12)의 개방된 하부는 저부에 결합되는 베이스판(23)을 통해 함께 폐쇄될 수 있다. 이때 각 광원들은 발광색에 따라 백색광원(31), 적색광원(32), 청색광원(33), 녹색광원(34), 노랑색광원(35), 주황색광원(36), 보라색광원(37), 블랙 라이트 광원(38)으로 구분하였다.
광원실(12)에 설치되는 광원(31,32,33,34,35,36,37,38)들로는 장시간 사용에 따른 에너지를 고려하여 엘이디(LED)가 채용될 수 있다. 각각의 광원(31,32,33,34,35,36,37,38)은 볼트나 접착방식과 같은 다양한 방식을 통해 해당 광원실(12) 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
해충투입구(11a)를 통해 해충투입실(11)로 투입된 버섯파리가 광원선호특성에 따라 원하는 광원실(12)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거나, 잘못하여 선호도가 낮은 광원실(12)로 들어간 방제대상이 중앙의 해충투입실(11)을 거쳐 다시 원하는 광원실(12)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해충투입실(11)과 복수의 광원실(12)들 사이는 해충투입실(11) 둘레에 동일한 직경과 길이를 갖도록 방사상으로 연장된 복수의 연결로(14)를 통해 상호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연결로(14)는 각각의 제2케이싱(22)과 제1케이싱(21) 둘레를 연결하는 연결관(24)을 통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광원실(12)들 바닥에는 내부로 유인된 버섯파리를 광원실(12) 내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끈끈이 트랩(15)이 설치되며, 끈끈이 트랩(15)은 우점발생 버섯파리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이용하였던 것과 같은 황색 끈끈이 트랩이 이용될 수 있다.
실험 도중 광원(31,32,33,34,35,36,37,38)이나 끈끈이 트랩(15)에 손상이 발생할 경우, 이를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개개의 광원실(12) 일 측벽에는 외부와 광원실(12) 내부의 소통을 위한 통공(12a)이 형성된다.
통공(12a)은 광원 및 끈끈이 트랩(15)의 교체를 위해 손의 출입이 자유롭도록 일반인의 손보다 약간 더 큰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실험도중 버섯파리가 통공(12a)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통공(12a)에는 그물형태의 커버(16)가 설치될 수 있으며, 커버(16)는 필요시 통공(12a)을 언제든지 간편하게 개방시킬 수 있도록 통공(12a)에 착탈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커버(16)는 한 쪽이 개구된 주머니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커버(16)의 개구는 둘레에 설치되는 신축밴드(16a)를 통해 신축되면서 통공(12a) 둘레에 탄력적으로 끼워질 수 있다. 커버(16)의 개구와 끼워지기 용이하도록 통공(12a)의 둘레에는 외부로 돌출된 링형태의 끼움부(12b)가 형성될 수 있다.
실험2: 방제대상의 유인용 유효광원 선정 실험
방제대상 선별 실험에서 선별되어 사육된 긴수염버섯파리들을 해충투입구(11a)를 통해 해충투입실(11)로 투입하는 방식으로 버섯파리 유인용 유효광원 선발장치(10)에 방사하고 24시간이 경과한 상태에서 각 광원실(12) 별로 긴수염버섯파리의 숫자를 파악하여 비교하게 하였다.
긴수염버섯파리의 방사 후 24시간 동안은 이들의 유동을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그리고 24시간이 경과된 상태에서는 끈끈이 트랩(15)에 부착되어 포획된 것들을 포함하여 개별 광원실(12) 내에 위치하고 있는 긴수염버섯파리들의 숫자를 개별 광원실별로 측정하여 비교하였으며, 이를 통해 긴수염버섯파리의 광원실별 유인비율에 따라 긴수염버섯파리가 선호하는 유인용 유효광원을 선정하였다. 도 3과 아래의 표3은 이에 따른 결과로써, 긴수염버섯파리류의 유인광원별 선호비율을 각각 그래프와 표로서 나타낸 것이다.
광원별 긴수염버섯파리 유인비율(Y = DMRT at 5% Level)

빨강

청색

노랑

보라

주황

녹색

흰색

블랙
라이트

비선택

긴수염버섯파리

4.3dY

7.4cd

10.1bc

5.0cd

6.7cd

4.2d

14.1b

38.0a

9.7bcd
또 이와 동일한 방식을 통해 버섯벼룩파리가 선호하는 유인광원도 선정할 수 있다. 도 4와 아래의 표 4는 버섯벼룩파리류의 유인광원별 선호비율을 나타낸 그래프와 도표이다.
광원별 버섯벼룻파리 유인비율

빨강

청색

노랑

보라

주황

녹색

흰색

블랙
라이트

비선택

긴수염버섯파리

4.6b

12.6b

7.5b

7.3b

6.8b

13.8b

15.5b

31.7a

0c
표 3 내지 4에서 a,b,c,d는 통계분석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a가 가장 차이가 있다는 의미이다. 예로써 a,b,c,d는 다르다고 볼 수 있고, 1번은 a 2번 ab,. 3번은 b 라고 한다면, 1번은 2번과 차이가 없고, 3번은 1번과 차이가 있지만 2번과는 차이가 없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험결과에 따라 버섯파리 선별과정에서 선별된 긴수염버섯파리와 버섯벼룩파리가 선호하는 광원은 블랙 라이트로 조사되었으며, 도 5에 도시된 광원별 파장스펙트럼에 따르면, 선정된 블랙 라이트의 광원은 피크 파장이 368 nm 인 것으로 특정될 수 있다. 다수 회에 걸친 블랙 라이트의 파장스펙트럼 분석결과, 선정된 블랙 라이트의 피크 파장 범위는 365 ~ 370 nm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광원별 유인비율을 계산하기 위해 개별 광원실(12)에 위치한 버섯파리들의 숫자를 확인하여 비교하는 과정에서는 일부 광원실(12)에 위치한 버섯파리의 마리수 차이가 크지 못해 유인비율 차이가 오차범위 이내가 되면서 유인비율 계산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이때는 광원실(12)과 해충투입실 사이를 연통시키는 연결로(14)에 위치한 버섯파리들의 숫자를 해당하는 광원실별 버섯파리의 유인숫자에 포함시킴으로써 유인용 유효광원을 선정할 수 있다.
또 개별 광원실(12)에 위치한 버섯파리들의 마리수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버섯파리들이 다른 광원실(12)이나 해충투입실(11)로 유동하게 될 경우, 광원실별 버섯파리의 구분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유인용 유효광원을 선정하는 과정에서는 개별 광원실(12)로 접착스프레이를 분사하여 버섯파리를 광원실(12)에 고착되도록 함으로써, 광원실별로 버섯파리의 구분이 명확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접착스프레이는 접착성분이 용해된 용해액을 분무기를 이용하여 분사하는 방식으로 광원실(12)에 분사될 수 있으며, 이때는 상기 커버(16)를 통해 통공(12a)을 개방함으로서, 개방된 통공(12a)을 통해 접착스프레이를 광원실(12) 바닥이나 벽면 쪽으로 분사할 수 있다.
10: 버섯파리 유인용 유효광원 선발장치 11: 해충투입실
11a: 해충투입구 12: 광원실
12a: 통공 12b: 끼움부
14: 연결로 15: 끈끈이 트랩
16: 커버 21: 제1케이싱
22: 제2케이싱 23: 베이스판
31: 백색광원(31) 32: 적색광원
33: 청색광원 34: 녹색광원
35: 노랑색광원(35) 36: 주황색광원
37: 보라색광원 38: 블랙 라이트 광원

Claims (7)

  1. 버섯재배지에 발생하는 버섯파리를 유인하기 위한 버섯파리 유인용 유효광원에 있어서,
    상기 버섯파리는 버섯벼룩파리이고,
    상기 유효광원은 피크 파장이 368 nm 인 블랙 라이트 UV-A 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파리 유인용 유효광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40080592A 2014-06-30 2014-06-30 버섯파리 유인용 유효광원 및 그 선발장치 KR101613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0592A KR101613591B1 (ko) 2014-06-30 2014-06-30 버섯파리 유인용 유효광원 및 그 선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0592A KR101613591B1 (ko) 2014-06-30 2014-06-30 버섯파리 유인용 유효광원 및 그 선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987A KR20160001987A (ko) 2016-01-07
KR101613591B1 true KR101613591B1 (ko) 2016-04-19

Family

ID=55168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0592A KR101613591B1 (ko) 2014-06-30 2014-06-30 버섯파리 유인용 유효광원 및 그 선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35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100491A1 (en) * 2018-09-28 2020-04-02 Vital Vio, Inc. Inactivation of Insects With Light
KR102141006B1 (ko) * 2018-12-10 2020-08-0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시험 물질에 대한 등에모기의 선호 또는 기피성향을 조사하기 위한 장치
CN111066737A (zh) * 2020-02-24 2020-04-28 福建农林大学 昆虫趋光或是光选择行为反应装置及其工作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03787A (ja) 2009-11-13 2011-06-02 U-Tex Kk ナガマドキノコバエの捕虫方法およびその捕虫器
KR101123138B1 (ko) 2009-04-30 2012-06-27 대한민국 모기 유인 채집기
KR101364308B1 (ko) * 2012-09-04 2014-02-20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Led 광원을 이용한 저곡미소해충 유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인 판별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874B1 (ko) 2011-11-04 2013-07-23 에이스산업 주식회사 복합재 고무 코드지의 변부 재단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138B1 (ko) 2009-04-30 2012-06-27 대한민국 모기 유인 채집기
JP2011103787A (ja) 2009-11-13 2011-06-02 U-Tex Kk ナガマドキノコバエの捕虫方法およびその捕虫器
KR101364308B1 (ko) * 2012-09-04 2014-02-20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Led 광원을 이용한 저곡미소해충 유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인 판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987A (ko) 2016-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5435B1 (ko) 해충제거장치
KR101613591B1 (ko) 버섯파리 유인용 유효광원 및 그 선발장치
Kigathi et al. UV‐absorbing films and nets affect the dispersal of western flower thrips, Frankliniella occidentalis (Thysanoptera: Thripidae)
KR101273580B1 (ko) Led 광원을 이용한 배추좀나방의 유인방법 및 장치
KR20070005503A (ko) 곤충의 우화 및 짝짓기 촉진 방법 및 장치
JP5512295B2 (ja) 飛翔昆虫用捕獲器
KR20130049475A (ko) 곤충 유인 장치
Yang et al. Phototactic behavior 8: phototactic behavioral responses of western flower thrips, Frankliniella occidentalis Pergande (Thysanoptera: Thripidae), to light-emitting diodes
US20090025642A1 (en) Fee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Breeding Natural Enemy Insects And Rearing Method For Breeding Natural Enemy Insects
US5992087A (en) Whitefly trap
Taha et al. Effect of trap color on captures of Tuta absoluta moths (Lepidoptera: Gelechiidae)
Bae et al. Attraction of stink bugs to rocket traps with different combinations of wing and landing board color
Braham Sex pheromone traps for monitoring the tomato leaf miner, Tuta absoluta: effect of colored traps and field weathering of lure on male captures
Kim et al. Photo-response of tobacco whitefly, Bemisia tabaci Gennadius (Hemiptera: Aleyrodidae), to light-emitting diodes
KR101364308B1 (ko) Led 광원을 이용한 저곡미소해충 유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인 판별 방법
Jeon et al. Phototactic behavior 4: attractive effects of Trialeurodes vaporariorum adults to light-emitting diodes under laboratory conditions
Jess et al. The spectral specific responses of Lycoriella ingenua and Megaselia halterata during mushroom cultivation
WO2019130698A1 (ja) 屋内性のマダラメイガ亜科に属する蛾の成虫の捕獲方法、光源装置及び捕獲器
Chu et al. LIGHT RESPONSE BY FRANKLINIELLA OCCIDENTALIS TO WHITE FLUORESCENT LIGHT FILTERED THROUGH COLOR FILMS AND ULTRAVIOLET-AND BLUE LIGHT-EMMITING DIODES.
Cha et al. Influence of trap design on upwind flight behavior and capture of female grape berry moth (Lepidoptera: Tortricidae) with a kairomone lure
Yang et al. Phototactic behavior 6: behavioral responses of Myzus persicae (Hemiptera: Aphididae) to light-emitting diodes
CN202635366U (zh) 昆虫趋光性试验装置
CN208925005U (zh) 一种新型测试小型蛾类昆虫嗅觉行为的装置
JP5950472B2 (ja) 益虫分別採集装置及び益虫分別採集方法
JP2006180805A (ja) 害虫の殺虫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