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0859A - 결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결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0859A
KR20180040859A KR1020160132690A KR20160132690A KR20180040859A KR 20180040859 A KR20180040859 A KR 20180040859A KR 1020160132690 A KR1020160132690 A KR 1020160132690A KR 20160132690 A KR20160132690 A KR 20160132690A KR 20180040859 A KR20180040859 A KR 20180040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extract
sebum
present
ac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2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2097B1 (ko
Inventor
권혁철
김태양
이강태
이건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160132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2097B1/ko
Priority to CN201710852110.4A priority patent/CN107929116A/zh
Publication of KR20180040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0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2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2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 Y10S514/859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완화 및 피지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결명자 추출물은 PPARγ 억제 효과, FAS 억제 효과, 피지세포 내 지방 축적 억제 효과 및 여드름 증상 완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결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REDUCING ACNE CONTAINING EXTRACT OF SENNA TORA}
본 발명은 결명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결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완화 및 피지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지샘은 인체의 거의 전 부분에 분포하고 있으며, 특히 머리, 이마, 얼굴의 중앙 부위 이외에 등과 가슴 부위에서 많이 존재한다. 피지샘은 피지세포의 분해에 의해서 피지를 분비한다. 이것은 전분비(holocrine)에 의해 배출되며, 세포 분열부터 전분비를 시작하는 피지세포의 수명은 대략 21~25일 정도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나의 피지샘에 연결되어 있는 많은 수의 소엽(lobule)의 외각부는 미분화된 피지세포로 이루어져 있으며, 교소체에 의하여 기저막에 연결되어 있다. 약 1주일 간의 분화 과정을 통하여 피지세포는 성숙하게 되면서 많은 수의 지방소적을 지니게 되고, 피지관으로 피지를 배출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과도한 피지의 배출이나 피지관을 구성하고 있는 각질형성세포의 과증식으로 인하여 여드름이 발생하게 된다. 여드름 발생의 주요한 요인은 남성호르몬(안드로겐)과 레티노이드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또 다른 요인으로는 피부 온도가 1℃ 증가할 때마다 피지 분비는 10%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여름철에 자외선 노출이 많고 온도가 높아 피부 온도가 증가하여 과도한 피지 분비, 늘어난 모공, 탄력을 잃은 피부 등 열 노화 증상이 나타난다(J.Soc. Cosmet. Chem. 23241-258 (1972), Factorsaffecting excretion in man).
한편, 퍼옥시좀 증식체 활성화 수용체(PPAR)는 retinoid X 수용체와 함께 heterodimer를 형성하므로 지질의 대사과정, 세포의 증식과 분화를 비롯한 다양한 세포 내 반응과 연관된 유전자의 전사를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저 상태의 피지세포에서 퍼옥시좀 증식체 활성화 수용체(PPARs) 3종의 아형 α, β/δ, γ이 발견되며, 이 중 퍼옥시좀 증식체 활성화 수용체 γ(PPAR γ)는 피지세포에서 분화 및 지질합성의 중요한 인자로 알려져 있다(Alestas et al. 2006;Trivedi et al. 2006).
이러한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여러 화학 물질 등에 의한 피부 자극을 줄이기 위해 천연물을 사용한 화장품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천연 재료는 피부에 부작용이 적을 뿐만 아니라, 최근 천연 재료를 이용한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호응이 높아짐에 따라 화장품 원료로서 개발 가치가 한층 늘어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67202호는 결명자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에모딘을 포함하는 미백용 피부 외용 조성물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고,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56866호는 결명자 추출물 및 지구병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열에 의해 피부 온도가 증가할수록 피지 분비가 촉진되어 여드름을 유발시키므로, 피지 억제 활성 성분을 개발하기 위한 광범위하게 연구를 거듭하였다. 그 결과, 결명자 추출물이 피지 분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퍼옥시좀 증식체 활성화 수용체(peroxisome-proliferation activated receptor γ; PPARγ)와 지방산 합성(fatty acid synthesis; FAS)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매우 우수하므로 화장품으로서의 효능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결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결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지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명자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30.0 중량% 함유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열에 의해 커진 모공을 수축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열에 의한 피지 분비 증식을 억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퍼옥시좀 활성화 수용체 γ(PPAR γ)의 활성을 감소시켜 피지 생성을 억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지방산 합성(FAS)의 활성을 감소시켜 피지 생성을 억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결명자 추출물은 PPARγ 억제 효과(실험예 1), 지방산 합성(FAS) 억제 효과(실험예 2), 피지세포 내 지방 축적 억제 효과(실험예 3), 여드름 증상 완화 효과(실험예 4) 및 모공수축 효과(실험예 5)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결명자 추출물의 농도별 PPAR γ 발현 억제 실험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결명자 추출물의 농도별 지방산 합성 억제 실험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결명자 추출물의 농도별 피지 세포 내 지방 축적 억제 실험의 결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하기의 정의를 가지며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에 부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기재되는 모든 간행물의 내용은 본 발명에 도입된다. 용어 약이라는 것은 참조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에 대해 30, 25, 20, 25, 10, 9, 8, 7, 6, 5, 4, 3, 2 또는 1% 정도로 변하는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를 통해, 문맥에서 달리 필요하지 않으면, 포함하다 및 포함하는 이란 말은 제시된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을 포함하나, 임의의 다른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이 배제되지는 않음을 내포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결명자(Senna tora)는 양명(羊明), 양각(羊角), 마제결명(馬蹄決明), 초결명(草決明), 야녹두, 가녹두라고도 한다. 석결명(Cassia occidentalis :石決明)은 결명자와 전혀 다른 식물로 초세가 약하고 수량성도 낮으며 줄기 끝 부위에서만 꽃이 피고 열매를 맺고 팥꼬투리 모양과 비슷하다.
결명자는 키가 1∼1.5m로, 잎은 우상복엽(羽狀複葉)이고 2∼4쌍의 도란형(倒卵形)이며, 7∼8월에 잎의 겨드랑이에서 노란 꽃이 핀다. 잎이 진 뒤에 약 10㎝ 정도 되는 활모양의 꼬투리가 열린다. 꼬투리 속에 윤기가 나는 종자가 한 줄로 들어 있는데, 이것을 결명자라고 한다.
종자는 길이 3∼6㎜, 지름 2∼3.5㎜의 기둥 모양이고, 모가 나 있으며 양측면에는 엷은 황갈색의 세로줄 및 띠가 있다. 종자에는 구부러진 어두운 색깔의 떡잎이 있다. 원산지는 미국이며, 우리나라의 각지에서 재배하고 있다. 결명(決明)이라는 이름은 눈을 밝게 해준다는 뜻에서 유래되었는데,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서부터 시작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결명자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서, 즉, 통상적인 온도와 압력의 조건 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a)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디에틸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헥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를 이용한 용매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추출용매를 이용한 용매 추출법을 이용하였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70%(v/v) 에탄올 또는 물을 사용하여 얻어진 것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70%(v/v) 에탄올을 사용하여 얻어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결명자 추출물은 상기한 추출 용매뿐만 아니라, 다른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추출물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결명자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서 0.0001 ~ 30.0 중량% 함유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명자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서 0.01 ~ 10 중량% 함유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의 함량이 0.0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피부 개선 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30.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유량 증가에 대한 피부 개선 효과 증대 정도가 미미하며, 제형상의 안전 및 안정성에 문제가 있으며 경제적이지도 못하다.
따라서,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가진 결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지 분비 억제용이다. 구체적으로는, 피지 분비 억제는 지질합성에 관여하는 PPARγ 억제 효과, FAS 억제 효과, 세포내 지질 축적 억제 효과, 여드름 증상 완화 효과를 통해 이루어 질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1: 결명자 추출물의 제조
세절하여 음건한 결명자를 70% (V/V) 에탄올 수용액으로 5시간씩 3회 환류 추출하고 냉침한 후, 와트만(Whatman) #4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된 각각의 추출물을 50℃ 이하에서 감압 농축 및 동결 건조하여 85.6g의 결명자 추출물을 얻었다.
실험예 1: PPAR γ 억제 실험
사람 피지세포(human sebocyte, zen-bio)를 10%의 우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 FBS)과 이 함유된 sebomed(biochromag)배지가 담긴 100mm (culture plate)에 1x106 cells/well로 부착시켰다. 24h 후 FBS 제거된 무혈청(serum free) 배지로 교체하여 24h 동안 배양하였다. 수욕(water bath) 44℃에 culture plate를 30분 동안 올려 놓는다. 그 다음 새로운 무혈청 배지로 교체 후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결명자 추출물을 1ppm, 5ppm, 10ppm 처리하여 24h 동안 배양한다. 피지 분비 관련 인자인 PPAR γ의 발현을 웨스턴 블랏(western blot)을 통하여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2: 지방산 합성 억제 실험
사람 피지세포(human sebocyte, zen-bio)를 10%의 우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 FBS)과 이 함유된 sebomed(biochromag)배지가 담긴 100mm (culture plate)에 1x106 cells/well로 부착시켰다. 24h 후 FBS 제거된 무혈청 배지로 교체하여 24h 동안 배양하였다. Water bath 44℃에 culture plate를 30분 동안 올려 놓는다. 그 다음 새로운 무혈청 배지로 교체 후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결명자 추출물을 1ppm, 5ppm, 10ppm 처리하여 24h 동안 배양한다. 피지 분비 관련 인자인 지방산 합성의 발현을 웨스턴 블랏을 통하여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3: 피지세포 내 지방 축적 억제 실험
사람 피지세포(human sebocyte, zen-bio) 세포를 10%의 우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 FBS)과 이 함유된 sebomed(biochromag)배지가 담긴 12well(culture plate)에 1x105 cells/well로 부착시켰다. 24h 후 FBS 제거된 무혈청 배지로 교체하여 24h 동안 배양하였다. Water bath 44℃에 culture plate를 30분 동안 올려 놓는다. 그 다음 새로운 무혈청 배지로 교체 후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결명자 추출물을 1ppm, 5ppm, 10ppm 처리하여 24h 동안 배양한다. 지방 염색 시약인 Oil red O 염색을 통해 세포내 지질변화를 정량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을 처리하였을 때 지방 축적이 증가하였고 이를 결명자 추출물이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여드름 증상 완화 효과
여드름이 발생한 남녀 10명으로 대상으로 하기 제형예 1의 처방에 따른 화장료 제형을 아침, 저녁으로 4주간 얼굴 전체에 고루 바르도록 하였다. 효과의 판정은 시험에 참가한 본인이 느끼는 정도에 따라 하기의 평가항목으로 1 내지 3점으로 평가하도록 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시험 전 상태의 평가
1 = 여드름 조금 있음, 2 = 여드름 약간 있음, 3 = 여드름 심함
여드름 치유 효과 판정
- : 효과 거의 없음 + : 약간의 효과 있음, ++ : 많이 완화 +++ : 완전히 치유됨
피험자 시험 전 상태 2주 경과 후
여드름 효과판정
4주 경과 후
여드름 효과판정
피험자 1 3 + ++
피험자 2 2 + ++
피험자 3 2 - +
피험자 4 1 - +
피험자 5 3 + ++
피험자 6 2 + ++
피험자 7 3 ++ +++
피험자 8 2 + +
피험자 9 3 + ++
피험자 10 3 + +
이하 상기한 실험예의 결과를 근거로 하여 본 발명의 결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를 조성하여 제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성물을 하기의 제형예들로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 제형예 1] 화장수
결명자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화장수의 제형예는 아래와 같다.
성분 함량 (단위:중량%)
제조예 1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피이지1500
알란토인
DL-판테놀
EDTA-2Na
벤조페논-9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에탄올
옥틱도데세스-16
폴리솔베이트 20
방부제, 향, 색소
증류수
2.0
5.0
3.0
1.0
0.1
0.3
0.02
0.04
5.0
10.0
0.2
0.2
미량
잔량
합계 100
[ 제형예 2] 크림
결명자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크림의 처방예는 아래와 같다
성분 함량 (단위:중량%)
제조예 1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세테아릴알콜
스테아린산
밀납
폴리솔베이트 60
솔비탄스테아레이트
경화식물유
스쿠알란
광물유
트리옥타노인
디메치콘
소듐마그네슘실리케이트
글리세린
베타인
트리에타올아민
소듐히아루로네이트
방부제, 향, 색소
증류수
2.0
2.0
2.2
1.5
1.0
1.5
0.6
1.0
3.0
5.0
5.0
1.0
0.1
5.0
3.0
1.0
4.0
미량
잔량
합계 100
[ 제형예 3] 에센스
결명자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에센스의 처방예는 아래와 같다.
성분 함량 (단위:중량%)
제조예 1
글리세린
베타인
피이지 1500
알란토인
DL-판테놀
이.디.티.에이-2Na
벤조페논 - 9
히드록시에칠 셀룰로오스
소듐히아루로네이트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트리에탄올아민
옥틸도데칸올
옥틸도데세스 -16
에탄올
방부제, 향, 색소
증류수
2.0
10.0
5.0
2.0
0.1
0.3
0.02
0.04
0.1
8.0
0.2
0.18
0.3
0.4
6.0
미량
잔량
합계 100
[ 비교제형예 1] 크림
결명자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비교제형예 1의 처방은 다음과 같다. 이는 제형예 2의 처방에서 결명자 추출물(제조예 1)을 함유하지 않은 것이다.
성분 함량 (단위:중량%)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세테아릴알콜
스테아린산
밀납
폴리솔베이트 60
솔비탄스테아레이트
경화식물유
스쿠알란
광물유
트리옥타노인
디메치콘
소듐마그네슘실리케이트
글리세린
베타인
트리에타올아민
소듐히아루로네이트
방부제, 향, 색소
증류수
2.0
2.2
1.5
1.0
1.5
0.6
1.0
3.0
5.0
5.0
1.0
0.1
5.0
3.0
1.0
4.0
미량
잔량
합계 100
실험예 5 : 모공수축 효과
20~30대의 모공이 넓은 피험자 40명을 선정하여 2그룹으로 나누고 제형예 2와 비교제형예 1을 각각 아침, 저녁으로 4주간 얼굴 전체에 고루 바르도록 하였다. 모공 수의 감소를 DM-3 Facial Stage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기기의 측정은 제품 사용 전, 제품 사용 2주 경과 후, 그리고 제품 사용 4주 경과 후에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를 하기 표 6에 기재하였으며, 결과의 값은 각 군의 평균 값이다.
모공 수 사용 전 사용 2주 후 사용 4주 후
제형예 2 357 287 253
비교제형예 1 339 320 330
상기 표 6을 보면, 결명자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비교제형예 1을 사용한 그룹의 경우에는 모공 수의 감소 효과가 거의 없으나, 결명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형예 2를 사용한 그룹의 경우에는 우수한 모공 수축 효과를 얻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결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2. 결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지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명자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30.0 중량% 함유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열에 의한 피지 분비 증식을 억제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열에 의해 커진 모공을 수축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퍼옥시좀 활성화 수용체 γ(PPAR γ)의 활성을 감소시켜 피지 생성을 억제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지방산 합성(FAS)의 활성을 감소시켜 피지 생성을 억제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132690A 2016-10-13 2016-10-13 결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92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2690A KR101892097B1 (ko) 2016-10-13 2016-10-13 결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CN201710852110.4A CN107929116A (zh) 2016-10-13 2017-09-19 包含决明子提取物的用于减轻痤疮的化妆料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2690A KR101892097B1 (ko) 2016-10-13 2016-10-13 결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0859A true KR20180040859A (ko) 2018-04-23
KR101892097B1 KR101892097B1 (ko) 2018-08-28

Family

ID=61929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2690A KR101892097B1 (ko) 2016-10-13 2016-10-13 결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92097B1 (ko)
CN (1) CN10792911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080B1 (ko) * 2018-09-18 2020-02-13 (주)코스알엑스 Rx 콤플렉스 피를 함유하는 피부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46383A (zh) * 2019-01-21 2019-04-19 秋臣化妆品有限公司 一种秋臣芦荟凝胶及其制备方法
CN110484392A (zh) * 2019-09-12 2019-11-22 贵州沐木皙颜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绿茶洁面皂及其加工方法
CN113559037B (zh) * 2021-06-10 2022-07-15 天津科技大学 一种决明子复方胶原脂质体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6657A (zh) * 1996-12-30 1998-07-08 戴耘 天然面膜及其制作方法
CN105796449A (zh) * 2016-06-12 2016-07-27 马殿伟 一种含有防已的用于祛痘化妆品的中药组合物
CN106038873A (zh) * 2016-07-20 2016-10-26 北京康盛源泰科技有限公司 一种治疗痤疮青春痘的中药组合物、中药制剂、清膏、制备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080B1 (ko) * 2018-09-18 2020-02-13 (주)코스알엑스 Rx 콤플렉스 피를 함유하는 피부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929116A (zh) 2018-04-20
KR101892097B1 (ko) 2018-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7557B1 (ko) 백합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92097B1 (ko) 결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93007B1 (ko) 람부탄 및 리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126892A (ko) 진세노사이드 Rg3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189415B1 (ko) 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1987717B1 (ko) 크리소파놀, 망기페린 및 시코노퓨란 a를 포함하는 여드름 완화 및 피지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92856A (ko)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03654B1 (ko) 하고초 추출물과 아데노신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74502B1 (ko) 회리바람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용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34976B1 (ko) 고욤나무 잎 및 울금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장벽강화용 조성물
KR20130062043A (ko) 새우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656710B1 (ko) 활성물질이 증진된 인삼 꽃 복합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980127B1 (ko) 켈리도닌 및 켈레리트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완화 및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03918A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58186B1 (ko) 여우구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137151A (ko) 강황잎 및 황촉규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광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145709A (ko) 항노화 및 주름개선에 활성을 갖는 대추붉은덕다리버섯 발효액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의약품 및 향장 원료
KR102168533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65419B1 (ko) 박주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73584A (ko) 민들레 및 자소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72353B1 (ko) 수선화 비늘줄기 발효 초고압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46584B1 (ko) 지실 추출물 및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렴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00818B1 (ko) 만병초와 당귀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52252B1 (ko) 마돈나 백합 식물 세포 배양 방법 및 마돈나 백합 식물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504878B1 (ko) 능소화 꽃, 매화 꽃, 붉가시나무의 가지 또는 잎의 혼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 피부진정 및 가려움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