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0237A - 비데 - Google Patents

비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0237A
KR20180040237A KR1020160131858A KR20160131858A KR20180040237A KR 20180040237 A KR20180040237 A KR 20180040237A KR 1020160131858 A KR1020160131858 A KR 1020160131858A KR 20160131858 A KR20160131858 A KR 20160131858A KR 20180040237 A KR20180040237 A KR 20180040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nozzle
closing member
power transmitting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1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0440B1 (ko
Inventor
송민수
박만욱
강희주
김근환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1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0440B1/ko
Publication of KR20180040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0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0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0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비데 본체와, 상기 비데 본체에 설치되며 입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노즐을 구비하는 노즐유닛과, 상기 비데본체에 설치되는 회전축에 장착되어 회전되는 개폐부재와, 상기 회전축에 형성되는 제1 기어부에 결합되는 회전기어 및 상기 회전기어에 결합되고 상기 노즐과 연동하여 상기 개폐부재를 회전시키는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재는 회전 정지 시 상기 동력전달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비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비데{Bidet}
본 발명은 비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데는 좌변기에 설치되고, 비데 몸체의 일측 조작부 조작으로 노즐을 통해 세척수를 분사시켜 항문의 세정 및 여성의 국부 세정 또는 맛사지 세정을 자동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한 기기이다.
항문의 세정, 즉 세정 기능은 용변을 본후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로 휴지없이 항문을 세정하는 기능이고, 비데 기능은 세척수로 여성들의 국부를 자동으로 세정하는 기능이다.
또한, 비데는 세척수를 통해 세정, 비데, 맛사지 세정 기능을 수행한 후 둔부에 남아 있는 세척수를 제거하기 위하여 온풍이 토출되는 건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비데 몸체의 일측 조작부 조작으로 비데에 구비되는 건조 장치로부터 토출되는 온풍으로 남아 있는 세척수를 건조시킨다.
한편, 상기한 세정 기능 및 건조 기능은 비데 본체에 구비되는 개구부를 개폐하여 이루어진다. 즉,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부재가 개구부를 개방한 상태에서 노즐이 입출되며 온풍이 토출된다.
그런데, 비데 본체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부재가 좌변기 내부의 공기의 순환 등 여러 조건들에 의해 원치 않게 회전되어 물이 비데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62332호
방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비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는 비데 본체와, 상기 비데 본체에 설치되며 입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노즐을 구비하는 노즐유닛과, 상기 비데본체에 설치되는 회전축에 장착되어 회전되는 개폐부재와, 상기 회전축에 형성되는 제1 기어부에 결합되는 회전기어 및 상기 회전기어에 결합되고 상기 노즐과 연동하여 상기 개폐부재를 회전시키는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재는 회전 정지 시 상기 동력전달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일단과 타단에 상기 회전기어에 결합되는 제2 기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중간부부분에 기어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의 회전이 정지되는 경우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일단과 타단에 형성되는 제2 기어부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띠 형상을 가지며, 타단이 상기 노즐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노즐의 이동과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노즐유닛은 상기 노즐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노즐본체를 구비하며, 상기 노즐본체에는 상기 동력전달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이동에 의해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일단에 형성되는 상기 제2 기어부가 상기 회전기어를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기어부가 회전되어 상기 개폐부재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제1 기어부에 의한 회전 후 상기 노즐에 의해 추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노즐에 의한 회전 후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타단에 형성되는 상기 제2 기어부에 의해 추가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방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에 구비되는 개폐부재, 노즐유닛, 건조덕트, 회전기어 및 동력전달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에 구비되는 개폐부재, 노즐유닛, 회전기어 및 동력전달부재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에 구비되는 개폐부재, 노즐유닛, 건조덕트, 회전기어 및 동력전달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에 구비되는 개폐부재, 노즐유닛, 회전기어 및 동력전달부재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100)는 일예로서, 비데 본체(110), 노즐유닛(120), 건조덕트(130), 개폐부재(140), 회전기어(150) 및 동력전달부재(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비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변기(1)의 상부에 설치되며 좌변기(1)에 고정 설치되는 비데 본체(110)와, 비데 본체(110)의 전방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좌판(102) 및 좌판(102)의 상부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덮개(104)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비데 본체(110)의 내부에 노즐유닛(120), 건조덕트(130), 회전기어(150) 및 동력전달부재(160)가 설치되며, 개폐부재(140)는 비데 본체(110)에 형성되는 개구부(미도시)를 개폐하도록 비데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노즐유닛(120)은 비데 본체(110)에 설치되며, 입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노즐(122)을 구비한다. 일예로서, 노즐유닛(120)은 노즐몸체(121), 노즐(122), 노즐 구동부(123) 및 노즐 구동부재(124)를 구비할 수 있다.
노즐몸체(121)에는 노즐(122)이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일예로서, 노즐(122)은 노즐몸체(121)의 설치홈(미도시)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노즐몸체(121)의 일측면에는 동력전달부재(16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121a)가 형성된다.
즉, 동력전달부재(160)는 가이드부(121a)의 내부에 설치되어 가이드부(121a)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노즐(122)은 노즐몸체(121)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세정노즐(122a)과 비데노즐(122b)을 구비할 수 있다. 세정노즐(122a)와 비데노즐(122b)은 노즐몸체(121)의 설치부에 설치되어 노즐 구동부(123)에 의해 설치부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정노즐(122a)과 비데노즐(122b)은 비데 본체(110)로부터 입출되어 사용자의 항문 또는 국부를 세척수로 분사할 수 있다.
한편, 노즐 구동부(123)는 노즐(122)의 이동을 위해 구동력을 발생시키도록 노즐몸체(121)에 설치된다. 일예로서, 노즐 구동부(123)은 구동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노즐 구동부(123)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은 노즐 구동부재(124)를 통해 노즐(122)에 전달될 수 있다.
건조덕트(130)는 노즐유닛(120)에 인접 배치되도록 비데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건조덕트(130)는 비데 본체(110)의 개구부(미도시)를 통해 외부로 바람을 토출할 수 있다.
개폐부재(140)는 비데 본체(110)에 설치되는 회전축(142)에 장착되어 회전된다. 즉, 개폐부재(140)는 회전축(142)에 설치되어 회전됨으로써 비데 본체(110)의 개구부(미도시)를 개폐한다. 이에 따라, 노즐(122)이 비데 본체(110)의 외부로 토출되며, 건조덕트(130)를 통해 외부로 바람이 토출될 수 있다.
한편, 회전축(142)에는 개폐부재(140)의 회전을 위해 제1 기어부(142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기어부(142a)는 원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1 기어부(142a)는 회전기어(150)에 결합된다. 즉, 회전축(142)은 회전기어(150)의 회전에 의해 초기에 회전되며, 이에 따라 개폐부재(140)가 초기에 회전될 수 있다.
이후, 개폐부재(140)는 노즐(122)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추가적으로 회전된다. 즉, 노즐(122)이 외부로 토출되면서 개폐부재(140)의 끝단부 측이 노즐(122)에 의해 밀어내지면서 개폐부재(140)가 추가적으로 회전되는 것이다.
한편, 개폐부재(140)의 회전 정지 시 개폐부재(140)는 동력전달부재(160)에 의해 정지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회전기어(150)는 비데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축(142)에 형성되는 제1 기어부(142a)에 결합된다. 즉, 회전기어(150)를 매개로 하여 동력전달부재(160)로부터 제1 기어부(142a)에 동력이 전달되어 회전축(142)이 회전되는 것이다. 한편, 회전기어(150)는 일측에 제1 기어부(142a)가 결합되며, 타측에 동력전달부재(160)에 결합된다. 다시 말해, 동력전달부재(160)에 의해 회전기어(150)가 회전되면 회전기어(150)의 일측에 결합된 제1 기어부(142a)가 연동하여 회전되는 것이다.
동력전달부재(160)는 회전기어(150)에 결합되고 노즐(122)과 연동하여 개폐부재(140)를 회전시킨다. 일예로서, 동력전달부재(160)는 띠 형상을 가지며, 타단부이 노즐(122)에 고정 결합되어 노즐(122)의 이동과 함께 이동된다. 한편, 동력전달부재(160)는 노즐본체(121)에 형성되는 가이드부(121a)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노즐(121)의 이동 시 동력전달부재(160)는 가이드부(121a)에 안내되어 노즐(121)과 연동하여 이동된다.
한편, 동력전달부재(160)의 일단과 타단에는 제2 기어부(162)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2 기어부(162)는 회전기어(150)를 회전시키는 동시에 구동 정지 시 회전기어(150)가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어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동력전달부재(160)는 노즐(122)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이동되며, 동력전달부재(160)의 제2 기어부(162)가 회전기어(150)를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회전기어(150)에 결합된 제1 기어부(142a)가 회전되며, 종국적으로 개폐부재(140)가 회전되는 것이다.
한편, 동력전달부재(160)의 양단부를 제외한 중앙부에는 제2 기어부(162)가 형성되지 않는다. 즉, 동력전달부재(160)의 중앙부가 회전기어(150)의 상부를 통과하는 경우 동력전달부재(160)에 의해 회전기어(150)가 회전되지 못하며, 이 때 슬라이딩 이동되는 노즐(122)의 끝단부가 개폐부재(140)를 밀어내면서 개폐부재(140)가 추가 회전되어 개구부(미도시)를 개방한다.
또한, 개폐부재(140)의 회전이 완료되는 경우 동력전달부재(160)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2 기어부(162)가 회전기어(150)에 결합되어 회전기어(150)가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도록 하여 종국적으로 개폐부재(14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동력전달부재(160)에 의해 개폐부재(140)의 회전 정지 시 개폐부재(140)가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방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개폐부재(140)의 회전 정지 시 개폐부재(140)를 고정시켜 비데 본체(110)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통해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방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이물질이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비데 본체(110) 내부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재(140)가 비데 본체(110)의 개구부(미도시)를 폐쇄하는 경우, 동력전달부재(160)의 제2 기어부(162)는 회전기어(150)의 일측에 결합되고, 회전기어(150)의 타측에는 회전축(142)의 제1 기어부(142a)가 결합된다.
이에 따라, 회전축(142)과 연동하여 회전되는 개폐부재(140)는 회전축(142)과 함께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개폐부재(140)의 회전을 방지하여 물이 개구부를 통해 비데 본체(11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나아가, 이물질이 개구부를 통해 비데 본체(11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이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122)이 슬라이딩 이동하는 경우 동력전달부재(160)가 노즐(122)과 함께 이동된다. 이때, 동력전달부재(160)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2 기어부(162)가 회전기어(150)를 회전시키고, 회전기어(150)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142)의 제1 기어부(142a)가 회전된다. 이에 따라, 개폐부재(140)가 회전축(142)과 함께 회전된다.
결국, 개폐부재(140)의 회전에 의해 비데 본체(110)의 개구부의 개방이 시작된다.
이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122)이 계속적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 노즐(122)의 끝단이 개폐부재(140)를 밀어내면서 개폐부재(140)가 회전축(142)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개구부를 보다 더 개방한다. 이때, 동력전달부재(160)는 중앙부가 회전기어(150)의 상부를 통과한다. 그리고 동력전달부재(160)에는 제2 기어부(162)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동력전달부재(160)에 의해서는 개폐부재(140)가 회전되지 않고, 노즐(122)에 의해서만 개폐부재(140)가 회전되는 것이다.
이후,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122)의 인출이 완료될 때 쯤 동력전달부재(160)의 타단에 구비되는 제2 기어부(162)가 회전기어(150)에 결합되어 회전기어(150)를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회전기어(150)에 결합되는 제1 기어부(142a)가 회전되면서 개폐부재(140)가 회전된다.
이에 따라, 개폐부재(140)의 추가적인 회전에 의해 비데 본체(110)의 개구부의 개방을 보다 더 개방한다.
이후, 개폐부재(140)의 회전이 완료되는 경우, 개폐부재(140)는 동력전달부재(160)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2 기어부(162)에 의해 개폐부재(140)가 고정되어 더 이상 회전되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이후, 상기한 작동의 역순으로 작동되면서 개폐부재(140)에 의한 개구부의 폐쇄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개폐부재(140)의 폐쇄가 완전히 이루어지면 개폐부재(140)는 동력전달부재(160)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2 기어부(162)에 의해 고정되어 더 이상 회전되지 않으므로, 물이나 이물질이 개구부를 통해 비데 본체(11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건조덕트(130, 도 2 참조)를 통해 온풍이 토출되는 경우에도 개폐부재(140)가 회전된다. 그리고, 개폐부재(140)의 회전은 상기한 바와 같이 노즐(122)의 인출에 연동되어 이루어진다. 즉, 노즐(122)이 인출되어 개폐부재(140)를 회전시켜 개구부를 개방한 상태에서 건조덕트(130)를 통해 온풍이 토출된다. 다시 말해, 건조기능의 수행 시에도 노즐(122)이 외부로 인출되어 개폐부재(140)가 개구부를 완전히 개방한다.
또한, 건조덕트(130)를 통한 온풍 토출이 완료되면, 노즐(122)이 비데 본체(110)의 내부로 인입되면서 개폐부재(140)가 개구부를 폐쇄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 비데
110 : 비데본체
120 : 노즐유닛
130 : 건조덕트
140 : 개폐부재
150 : 회전기어
160 : 동력전달부재

Claims (9)

  1. 비데 본체;
    상기 비데 본체에 설치되며, 입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노즐을 구비하는 노즐유닛;
    상기 비데본체에 설치되는 회전축에 장착되어 회전되는 개폐부재;
    상기 회전축에 형성되는 제1 기어부에 결합되는 회전기어; 및
    상기 회전기어에 결합되고 상기 노즐과 연동하여 상기 개폐부재를 회전시키는 동력전달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재는 회전 정지 시 상기 동력전달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비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일단과 타단에 상기 회전기어에 결합되는 제2 기어부가 형성되는 비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중간부분에 기어가 형성되지 않는 비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의 회전이 정지되는 경우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일단과 타단에 형성되는 제2 기어부에 의해 고정되는 비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띠 형상을 가지며, 타단이 상기 노즐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노즐의 이동과 함께 이동되는 비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유닛은 상기 노즐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노즐본체를 구비하며, 상기 노즐본체에는 상기 동력전달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비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이동에 의해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일단에 형성되는 상기 제2 기어부가 상기 회전기어를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기어부가 회전되어 상기 개폐부재가 회전되는 비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제1 기어부에 의한 회전 후 상기 노즐에 의해 추가 회전되는 비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노즐에 의한 회전 후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타단에 형성되는 상기 제2 기어부에 의해 추가적으로 회전되는 비데.
KR1020160131858A 2016-10-12 2016-10-12 비데 KR102570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858A KR102570440B1 (ko) 2016-10-12 2016-10-12 비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858A KR102570440B1 (ko) 2016-10-12 2016-10-12 비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0237A true KR20180040237A (ko) 2018-04-20
KR102570440B1 KR102570440B1 (ko) 2023-08-25

Family

ID=62088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1858A KR102570440B1 (ko) 2016-10-12 2016-10-12 비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044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3115A (ja) * 1984-10-15 1986-05-12 Daikin Ind Ltd 抗菌抗フア−ジ剤
JPH10195957A (ja) * 1997-01-07 1998-07-28 Inax Corp 便座装置
KR20100004169U (ko) * 2008-10-13 2010-04-22 진형진 비데의 노즐 수납장치
JP2015206183A (ja) * 2014-04-18 2015-11-19 株式会社Lixil 局部洗浄装置および送風切替装置
KR20160062332A (ko) 2014-11-24 2016-06-02 코웨이 주식회사 건조 장치용 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건조 장치 및 비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3115A (ja) * 1984-10-15 1986-05-12 Daikin Ind Ltd 抗菌抗フア−ジ剤
JPH10195957A (ja) * 1997-01-07 1998-07-28 Inax Corp 便座装置
KR20100004169U (ko) * 2008-10-13 2010-04-22 진형진 비데의 노즐 수납장치
JP2015206183A (ja) * 2014-04-18 2015-11-19 株式会社Lixil 局部洗浄装置および送風切替装置
KR20160062332A (ko) 2014-11-24 2016-06-02 코웨이 주식회사 건조 장치용 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건조 장치 및 비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0440B1 (ko) 2023-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38744A1 (ja) 便器装置
WO2020232843A1 (zh) 一种喷枪花洒
KR20180040237A (ko) 비데
CN108067363B (zh) 一种清洗喷头组件和自清洗浴缸
JP2011043005A (ja) 衛生洗浄装置
JP2007247281A (ja) 温水洗浄装置
KR200464138Y1 (ko) 노즐 세척커버 및 이를 갖는 비데
KR100978613B1 (ko) 비데 커버 및 시트의 자동 개폐장치
WO2019187614A1 (ja) 便器装置及び便座ユニット
JP5493589B2 (ja) 人体局部洗浄装置
KR20160049623A (ko) 비데용 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KR20160062332A (ko) 건조 장치용 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건조 장치 및 비데
JP2019177012A (ja) 便器装置及び便座ユニット
CN111926541B (zh) 衣物处理装置
KR100615451B1 (ko) 자동 커버/변좌개폐기능을 갖춘 비데장치
KR200483614Y1 (ko) 비데용 노즐 어셈블리
JP2017029421A (ja) 携帯型洗浄器
JP2010024754A (ja) 人体局部洗浄装置
KR0132758Y1 (ko) 비데의 노즐 세척장치
CN111394945A (zh) 一种滚桶组件及洗涤装置
KR100633319B1 (ko) 차량용 후드 개폐장치
KR102504981B1 (ko) 비데 덮개 구동용 댐퍼 장치
KR200333407Y1 (ko) 자동 커버/변좌개폐기능을 갖춘 비데장치
CN219653826U (zh) 线控开关及下水装置
KR200146942Y1 (ko) 비데의 변좌/뚜껑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