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8319A - 모바일 연동 임플란트 진단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 연동 임플란트 진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8319A
KR20180038319A KR1020160129286A KR20160129286A KR20180038319A KR 20180038319 A KR20180038319 A KR 20180038319A KR 1020160129286 A KR1020160129286 A KR 1020160129286A KR 20160129286 A KR20160129286 A KR 20160129286A KR 20180038319 A KR20180038319 A KR 20180038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stereoscopic image
implant
region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9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5701B1 (ko
Inventor
박광범
김종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김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김종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Priority to KR1020160129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5701B1/ko
Priority to EP17858560.0A priority patent/EP3524139B1/en
Priority to CN201790001311.7U priority patent/CN211484515U/zh
Priority to JP2019541058A priority patent/JP6801117B2/ja
Priority to US16/340,097 priority patent/US10888402B2/en
Priority to PCT/KR2017/000331 priority patent/WO2018066765A1/ko
Priority to TW106101393A priority patent/TWI663962B/zh
Publication of KR20180038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8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5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5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25User interfaces for surgica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04Bones
    • A61B5/4509Bone density deter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75User input or interface means, e.g. keyboard, pointing device, joysti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30Determination of transform parameters for the alignment of images, i.e. image registration
    • G06T7/33Determination of transform parameters for the alignment of images, i.e. image registration using feature-based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50Depth or shape recovery
    • G06T7/55Depth or shape recovery from multiple images
    • G06T7/593Depth or shape recovery from multiple images from stereo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11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 A61B6/5229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combining image data of a patient, e.g. combining a functional image with an anatomical image
    • A61B6/5247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combining image data of a patient, e.g. combining a functional image with an anatomical image combining images from an ionising-radiation diagnostic technique and a non-ionising radiation diagnostic technique, e.g. X-ray and ultrasoun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00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24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involving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212Image combination
    • G06T2207/20221Image fusion; Image merg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04Biomedical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36Dental; Teet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04Biomedical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52Implant; Prosthe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204Mark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9/00Indexing scheme for 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2219/008Cut plane or projection plane defi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9/00Indexing scheme for 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2219/028Multiple view windows (top-side-front-sagittal-orthogon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9/00Indexing scheme for 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2219/20Indexing scheme for editing of 3D models
    • G06T2219/2004Aligning objects, relative positioning of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obo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Architectur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모바일 연동 임플란트 진단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연동 임플란트 진단 시스템은, 피시술자의 구강 영역에 대한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며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에 가상의 임플란트 데이터가 중첩된 임플란트 시술계획 데이터를 생성하는 임플란트 진단장치와, 임플란트 진단장치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임플란트 진단장치에서 생성된 임플란트 시술계획 데이터 중 일부인 관심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서버장치와, 서버장치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서버장치에서 관심정보를 전달받아 표시하는 모바일장치를 포함하며, 관심정보는, 임플란트 시술 데이터 중 가상의 임플란트 주위의 미리 결정된 영역의 데이터인 부분 입체 영상 데이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바일 연동 임플란트 진단 시스템{Mobile iinked implant diagnosis system}
본 발명은, 모바일 연동 임플란트 진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술자가 임플란트 시술계획에 대한 정보를 데스크탑 피씨(desktop PC)와 같은 고정된 위치에서 검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바일 장비에서도 간편하게 검토할 수 있는 되는 모바일 연동 임플란트 진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치과용 임플란트는 원래 인체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을 의미하지만, 치과에서는 인공으로 만든 치아를 이식하는 일련의 시술을 가리킨다.
상실된 치근(뿌리)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titanium) 등으로 만든 치근인 픽스츄어(fixture)를 치아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심은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시술이다.
일반 보철물이나 틀니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주위 치아와 뼈가 상하지만 임플란트는 주변 치아조직을 상하지 않게 하며, 자연치아와 기능이나 모양이 같으면서도 충치가 생기지 않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인공치아 시술(임플란트 또는 임플란트 시술이라고도 함)은, 픽스츄어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지만 소정의 드릴을 사용하여 식립위치를 천공한 후 픽스츄어를 치조골에 식립하여 뼈에 골융합시킨 다음, 픽스츄어에 지대주(abutment)를 결합시킨 후에, 지대주에 최종 보철물을 씌움으로써 완료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치과용 임플란트는 단일 결손치 수복은 물론이거니와 부분 무치아 및 완전 무치아 환자에게 의치의 기능을 증진시키고, 치아 보철 수복의 심미적인 면을 개선시키며, 나아가 주위의 지지골 조직에 가해지는 과도한 응력을 분산시킴과 아울러 치열의 안정화에 도움을 준다.
이러한 치과용 임플란트는 일반적으로, 인공 치근으로서 식립되는 픽스츄어(Fixture)와, 픽스츄어 상에 결합되는 지대주(Abutment)와, 지대주를 픽스츄어에 고정하는 지대주 스크류(Abutment Screw)와, 지대주에 결합되는 인공치아를 포함한다. 여기서, 지대주를 픽스츄어에 결합시키기 전에, 즉 치조골에 픽스츄어가 골융합되기까지의 기간 동안에 지대주가 픽스츄어에 결합되어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도 한다.
치과용 임플란트의 한 구성요소인 픽스츄어는, 임플란트가 시술되는 위치에 드릴 등을 이용하여 치조골에 형성된 드릴 홀에 식립되는 부분으로서 인공 치근의 역할을 담당한다. 따라서 픽스츄어는 치조골에 견고하게 식립되어야 한다.
이러한 임플란트의 식립은 환자마다 많은 차이가 있는데 이는 환자의 치아의 상태, 임플란트 시술이 필요한 치아의 위치, 환자의 치조골의 상태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 등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특히 치조골의 골밀도는 임플란트 식립 시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환자의 골밀도의 상태에 따라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 및 깊이와 방향을 결정하게 되는데 이는 환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결정하여야 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임플란트의 식립은 환자마다 많은 차이가 있으므로, 종래에 이러한 차이를 의사가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도와 모의시술 및 시술계획을 수립할 수 있게 하는 임플란트 진단 시스템이 개발되어 왔다.
종래기술에 따른 임플란트 진단 시스템은, 환자의 구강영역에 대한 뼈 및 치아의 위치, 골밀도 등이 포함된 입체 영상 데이터에 가상의 임플란트를 중첩시켜 최적의 임플란트 식립 위치 및 각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임플란트 진단 시스템은, 3차원 입체 영상 데이터를 처리해야 하므로 고성능의 컴퓨터가 요구되는데, 고성능의 컴퓨터에는 주로 데스크탑 피씨(desktop PC)가 사용된다.
따라서 고성능의 데스크탑 피씨(desktop PC)에서 임플란트 식립의 최적 위치 및 최적 각도 등이 표시된 임플란트 시술계획 데이터가 생성되며, 생성된 임플란트 시술계획 데이터 역시 고성능의 데스크탑 피씨(desktop PC)에서 검토된다.
그런데, 진료시간에 쫓기는 치과의사들이 임플란트 시술계획 데이터를 검토하기 위해 데스크탑 피씨(desktop PC)가 배치된 진단센터를 찾아가는 것은 시간적으로 문제가 많다.
특히, 간단한 사항만을 검토하기 위해 치과의사가 진단센터를 찾는 것은 시간 낭비가 많으므로, 교통수단 내에서 또는 자투리 휴식시간에 스마트 폰을 통해 간단히 임플란트 시술계획 데이터를 검토할 수 모바일 연동 임플란트 진단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부흥하기 위해 종래에 스마트 폰을 통해 간단히 임플란트 시술계획 데이터를 검토할 수 모바일 연동 임플란트 진단 시스템이 제시되었는데, 종래기술에 따른 모바일 연동 임플란트 진단 시스템에서, 모바일 기기에 제공되는 정보는 CT 데이터 같은 3차원 입체 영상 데이터를 아니라 단순히 시술계획의 이미지(2D 그림파일)파일이다.
즉, 성능에 한계가 있는 모바일 기기가 대용량 데이터인 3차원 입체 영상 데이터를 핸들링 하기 어렵고, 그로인해 3D 파일에서 2D 파일, 예를 들어 JPG파일을 생성하여 모바일 기기에 제공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임플란트 시술계획 데이터의 단순한 2D 이미지파일만이 모바일 기기에 제공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모바일 연동 임플란트 진단 시스템에서 모바일 기기에 제공되는 임플란트 시술계획 데이터의 2D 이미지는 단순한 이미지일 뿐이므로, 치과의사가 모바일 기기에서 임플란트 시술계획을 약간이라도 보정(예를 들어, 픽스츄어를 다른 픽스츄어로 바꾸는 보정, 임플란트의 식립 각도를 미세하게 바꾸는 등의 보정)할 수 없고, 그에 따라 종래의 모바일 연동 임플란트 진단 시스템 하에서는 치과의사가 모바일 기기를 통해 의미 있는 시술계획 검토를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33921호, (2010.12.22.)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시술자가 모바일 기기에서 임플란트 시술계획을 보정할 수 있는 모바일 연동 임플란트 진단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피시술자의 구강 영역에 대한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며, 상기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에 가상의 임플란트 데이터가 중첩된 임플란트 시술계획 데이터를 생성하는 임플란트 진단장치; 상기 임플란트 진단장치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임플란트 진단장치에서 생성된 상기 임플란트 시술계획 데이터 중 일부인 관심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서버장치; 및 상기 서버장치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서버장치에서 상기 관심정보를 전달받아 표시하는 모바일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관심정보는, 상기 임플란트 시술 데이터 중 상기 가상의 임플란트 주위의 미리 결정된 영역의 데이터인 부분 입체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모바일 연동 임플란트 진단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부분 입체 영상 데이터는, 상기 가상의 임플란트의 중심에서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이격된 경계영역 내부의 상기 임플란트 시술계획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계영역은, 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된 경계영역은, 제1축 방향의 길이가 15 내지 45 밀리미터(mm)이고, 제2축 방향의 길이가 15 내지 45 밀리미터(mm)이고, 제3축 방향의 길이가 20 내지 60 밀리미터(mm)일 수 있다.
상기 모바일장치는, 스마트폰, 핸드 헬드 단말기(hand held terminal)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장치는, 상기 부분 입체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장치용 표시유닛;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는 모바일장치용 입력유닛; 및 상기 입력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따라 상기 부분 입체 영상 데이터를 보정하는 모바일장치용 연산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장치용 표시유닛은,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회면을 다수개의 분할영역들로 구획하며, 상기 분할영역들은, 상기 부분 입체 영상 데이터를 제1축과 상기 제1축에 교차하는 제2축으로 자른 평면 이미지가 표시된 제1 영역; 상기 부분 입체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2축과 상기 제2축에 교차하는 제3축으로 자른 평면 이미지가 표시된 제2 영역; 및 상기 부분 입체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1축과 상기 제3축으로 자른 평면 이미지가 표시된 제3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장치용 표시유닛은, 상기 제1 영역 내지 제3 영역에서 골밀도를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모바일장치용 표시유닛은, 상기 제1 영역 내지 제3 영역에서 미리 결정된 영역 내부의 골밀도를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골밀도는, 상기 골밀도의 수치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색상은 유채색일 수 있다.
상기 분할영역들은, 상기 피시술자의 치아 석고 본(Plaster Patterns of Teeth)을 스캔하여 획득된 제2 입체 영상 데이터에 상기 가상의 임플란트가 중첩된 입체 영상 데이터가 표시된 제4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플란트 진단장치는, 상기 피시술자의 구강 영역에 대한 제1 입체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1 영상정보 획득장치; 상기 피시술자의 치아 석고 본(Plaster Patterns of Teeth)을 스캔하여 제2 입체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2 영상정보 획득장치; 및 상기 제1 입체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2 입체 영상 데이터를 전달받아 정합(matching)하여 상기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시술계획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처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아 석고 본(Plaster Patterns of Teeth)에는 상기 제1 입체 영상 데이터와 상기 제2 입체 영상 데이터의 정합을 위한 정합용 기준 마커(marker)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정합용 기준 마커는 다수개로 마련되며,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입력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따라 상기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를 보정하는 연산부; 및 상기 연산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와 상기 가상의 픽스츄어 주위의 골밀도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는, 상기 제2 입체 영상 데이터의 정합용 기준 마커(marker)의 좌표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 입체 영상 데이터와 상기 제2 입체 영상 데이터를 선(先) 정합(pre-matching)하는 선(先) 정합단계 후, 상기 선(先) 정합(pre-matching)된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제2 입체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1 입체 영상 데이터에 정밀 정합하는 정밀 정합단계를 거쳐 상기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디.
상기 선(先) 정합단계에서 상기 연산부는 , 상기 표시부의 표시영역을 상기 제1 입체 영상 데이터 중 상기 피시술자의 치아 영역이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치아 영역 표시구역과, 상기 제2 입체 영상 데이터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제2 입체 영상 데이터 표시구역과, 상기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 표시구역으로 구획하며,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2 입체 영상 데이터 표시구역에서 상기 정합용 기준 마커(marker)의 좌표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치아 영역 표시구역에서 상기 정합용 기준 마커(marker)의 좌표에 해당되는 가상의 좌표를 입력받으며, 입력된 상기 정합용 기준 마커(marker)의 좌표와 상기 가상의 좌표를 정합하여 상기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 표시구역에 상기 선(先) 정합(pre-matching)된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정밀 정합단계에서 상기 연산부는 , 상기 표시부의 표시영역을 다수개의 분할영역으로 구획하며, 상기 선(先) 정합(pre-matching)된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의 서로 다른 평면 영상들을 상기 다수개의 분할영역들에 배치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각각의 분할영역에서 제1 입체 영상 데이터에 제2 입체 영상 데이터가 정합된 상태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다수개의 분할영역들은, 상기 선(先) 정합(pre-matching)된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를 제1축과 상기 제1축에 교차하는 제2축으로 자른 평면 이미지가 도시된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제1 이동점의 위치에서 상기 제2축과 상기 제2축에 교차하는 제3축으로 자른 평면 이미지가 도시된 제2 영역; 상기 제1 이동점의 위치에서 상기 제1축과 상기 제3축으로 자른 평면 이미지가 도시된 제3 영역;
상기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제2 이동점의 위치에서 상기 제2축과 제3축으로 자른 평면 이미지가 도시된 제4 영역; 상기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제2 이동점의 위치에서 상기 제1축과 제3축으로 자른 평면 이미지가 도시된 제5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제3 이동점의 위치에서 상기 제2축과 제3축으로 자른 평면 이미지가 도시된 제6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이동점은,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동가능하며,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의 이미지는 상기 제1 이동점의 이동에 연동되어 가변되며, 상기 제4 영역 및 상기 제5 영역의 이미지는 상기 제2 이동점의 이동에 연동되어 가변되며, 상기 제6 영역의 이미지는 상기 제3 이동점의 이동에 연동되어 가변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는, 상기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에 상기 피시술자에게 식립될 가상의 픽스츄어가 중첩되면, 상기 가상의 픽스츄어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상의 픽스츄어 주위의 골밀도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는, 상기 가상의 픽스츄어의 외곽 컨투어(contour)에 접하는 영역의 골밀도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가상의 픽스츄어 주위의 골밀도는, 상기 골밀도의 수치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바일장치에 임플란트 시술계획 데이터 중 일부인 관심정보만을 제공하며 이러한 관심정보는 임플란트 시술 데이터 중 가상의 임플란트 주위의 입체 영상 데이터인 부분 입체 영상 데이터를 포함함으로써, 시술자가 모바일장치의 사양 내에서 모바일장치를 통해 시술자의 주요 관심인 가상의 임플란트 주위의 부분 입체 영상 데이터를 보정(예를 들어, 픽스츄어를 다른 픽스츄어로 바꾸는 보정, 임플란트의 식립 각도를 미세하게 바꾸는 등의 보정 등)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연동 임플란트 진단 시스템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치아 석고 본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표시부에 가상의 픽스츄어 주위의 골밀도가 시각적으로 표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임플란트 진단장치에서 임플란트 진단용 영상 생성방법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의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 획득단계 중 선 정합단계에서 표시부의 화면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5의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 획득단계 중 정밀 정합단계에서 표시부의 화면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의 서버장치로 전달되는 부분 입체 영상 데이터의 경계영역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의 모바일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연동 임플란트 진단 시스템에서 모바일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제1축은 X축을, 제2축은 Y축을, 제3축은 Z축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연동 임플란트 진단 시스템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치아 석고 본이 도시된 도면이며,도 3 및 도 4는 도 1의 표시부에 가상의 픽스츄어 주위의 골밀도가 시각적으로 표시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임플란트 진단장치에서 따른 임플란트 진단용 영상 생성방법이 도시된 도면이며, 도 6 및 도 7은 도 5의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 획득단계 중 선 정합단계에서 표시부의 화면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8 및 도 9는 도 5의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 획득단계 중 정밀 정합단계에서 표시부의 화면이 도시된 도면이며. 도 10은 도 1의 서버장치로 전달되는 부분 입체 영상 데이터의 경계영역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11 및 도 12는 도 1의 모바일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 도시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연동 임플란트 진단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시술자의 구강 영역에 대한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며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에 가상의 임플란트(K) 데이터가 중첩된 임플란트 시술계획 데이터를 생성하는 임플란트 진단장치(100)와, 임플란트 진단장치(10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임플란트 진단장치(100)에서 생성된 임플란트 시술계획 데이터 중 일부인 관심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서버장치(200)와, 서버장치(20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서버장치(200)에서 관심정보를 전달받아 표시하는 모바일장치(300)를 포함한다.
임플란트 진단장치(100)는, 시술자의 구강 영역에 대한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며,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에 가상의 임플란트(K)가 중첩된 임플란트 시술계획 데이터를 생성한다.
본 실시예의 임플란트 진단장치(100)는, 피시술자의 구강 영역에 대한 제1 입체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1 영상정보 획득장치(110)와, 피시술자의 치아 석고 본(Plaster Patterns of Teeth, G)을 스캔하여 제2 입체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2 영상정보 획득장치(120)와, 제1 입체 영상 데이터 및 제2 입체 영상 데이터를 전달받아 정합(matching)하여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처리장치(130)를 포함한다.
제1 영상정보 획득장치(110)는 피시술자의 구강 영역에 대한 제1 입체 영상 데이터를 획득한다. 본 실시예의 제1 영상정보 획득장치(110)는 컴퓨터 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CT)을 포함하며 본 실시예의 제1 입체 영상 데이터는 복수의 단면 영상을 이용하여 구현된 입체 영상을 의미하는데, 이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으며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장치 등 다양한 입체 영상 획득장치가 본 실시예의 제1 영상정보 획득장치(110)로 사용될 수 있다.
제2 영상정보 획득장치(120)는 피시술자의 치아 석고 본(G)을 스캔하여 제2 입체 영상 데이터를 획득한다.
본 실시예의 치아 석고 본(G)은, 피시술자의 치아 및 잇몸에 대한 형태로 형성되는데, 인상재가 마련된 트레이가 파시술자의 구강 내로 삽입된 후 피시술자의 치아가 인상재를 눌러 인상된 치아와 주변 잇몸의 형상으로 제작된다.
본 실시예의 치아 석고 본(G)에는 제1 입체 영상 데이터와 제2 입체 영상 데이터의 정합을 위한 정합용 기준 마커(G2)가 마련된다.
이러한 정합용 기준 마커(G2)는 제1 입체 영상 데이터와 제2 입체 영상 데이터의 정합을 위한 기준좌표가 되는 것으로서, 데이터 처리장치(130)를 통해 제2 입체 영상 데이터의 정합용 기준 마커(G2)의 좌표와 제1 입체 영상 데이터에서 정합용 기준 마커(G2)에 해당되는 가상의 위치좌표의 정합을 통해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때에 사용된다.
본 실시예의 정합용 기준 마커(G2)는 다수개로 마련되며,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정합용 기준 마커(G2)는 적어도 3개 이상으로 마련되며, 3개 이상의 정합용 기준 마커(G2)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러한 정합용 기준 마커(G2)는 제2 입체 영상 데이터에서 치아 석고 본 본체(G1)와 구별될 수 있는 구조 또는 재질로 마련된다.
제2 영상정보 획득장치(120)는 치아 석고 본(G)을 스캔하여 제2 입체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3차원 스캐너(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제2 입체 영상 데이터는 스테레오리소그라피(stereolithography, STL) 데이터를 포함하며, 스테레오리소그라피(STL) 데이터는 아스키(ASCII) 또는 바이너리(binary) 형식을 가질 수 있으며, 3D(Dimension) 프로그램에서 입체물의 모델링 데이터를 다른 종류의 3D 프로그램에서 인식하는데 용이하도록 입체물의 표면을 다각형화된 폴리곤(Polygon)으로 표현하는 데이터이다.
한편 데이터 처리장치(130)는, 제1 입체 영상 데이터 및 제2 입체 영상 데이터를 전달받아 정합(matching)하여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러한 데이터 처리장치(13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131)와, 제1 입체 영상 데이터 및 제2 입체 영상 데이터를 전달받아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연산부(132)와, 연산부(13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133)를 포함한다.
입력부(131)는 연산부(13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로부터의 제어정보를 입력받아 연산부(132)에 전달한다.
연산부(132)는, 제1 입체 영상 데이터 및 제2 입체 영상 데이터를 전달받아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표시부(133)에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즉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의 생성은, 입력부(131), 표시부(133) 및 연산부(132)의 유기적인 연계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의 생성은, 아래에서 자세히 후술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의 생성이 완료된 후,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에서 피시술자에게 식립될 가상의 임플란트(K)의 위치를 결정한다. 이때, 사용자는 표시부(133)에 표시되는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의 여러 위치에 피시술자에게 식립될 가상의 임플란트(K)를 중첩시켜 보며 가상의 임플란트(K)의 위치를 결정한다.
이렇게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에 가상의 임플란트(K) 데이터가 중첩된 데이터를 임플란트 시술계획 데이터라 한다.
임플란트 시술계획 데이터가 생성된 후, 본 실시예의 연산부(132)는 임플란트 시술계획 데이터 중 일부인 관심정보를 생성하여 서버장치(200)에 전달한다. 모바일장치(300)는 서버장치(200)에서 관심정보를 전송받아 이를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관심정보는, 임플란트 시술 데이터 중 가상의 임플란트(K) 주위의 미리 결정된 영역의 데이터인 부분 입체 영상 데이터를 포함한다. 즉, 시술자(치과의사)가 관심 있는 부분은 가상의 임플란트(K) 주위의 정보이므로, 본 실시예의 모바일 연동 임플란트 진단 시스템은 모바일의 장치의 성능 한계 상 임플란트 시술계획 데이터 전부를 모바일장치(300)에 제공하지 않고 가상의 임플란트(K) 주위의 입체 영상 데이터인 부분 입체 영상 데이터만을 모바일장치(300)에 제공한다.
이러한 부분 입체 영상 데이터는, 가상의 임플란트(K)의 중심에서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이격된 경계영역 내부의 임플란트 시술계획 데이터이다. 본 실시예에서 부분 입체 영상 데이터의 경계영역은, 도 10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된 경계영역은, 제1축 방향의 길이(a)가 15 내지 45 밀리미터(mm)이고, 제2축 방향의 길이(b)가 15 내지 45 밀리미터(mm)이고, 제3축 방향(c)의 길이가 20 내지 60 밀리미터(mm)로 마련된다.
한편 모바일장치(300)는, 서버장치(20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서버장치(200)에서 관심정보를 전달받아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모바일장치(300)는, 스마트폰, 아이패드, 핸드 헬드 단말기(hand held terminal) 등을 포함하는데. 이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부와 통신부 및 입력부 등을 구비하는 다양한 핸드 헬드 전자기기가 본 발명의 모바일장치(300)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모바일장치(300)는, 부분 입체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장치용 표시유닛(310)과,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는 모바일장치용 입력유닛(미도시)과, 입력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따라 부분 입체 영상 데이터를 보정하는 모바일장치용 연산유닛(미도시)과, 서버장치(200)에서 관심정보를 전달받으며 사용자에 의해 보정된 관심정보를 서버장치(200)에 전송하는 모바일장치용 통신유닛(미도시)을 포함한다.
모바일장치용 표시유닛은 부분 입체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모바일장치용 표시유닛(310)은,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회면을 다수개의 분할영역들(E1, E2, E3, E4)로 구획한다.
본 실시예의 분할영역들은, 부분 입체 영상 데이터를 제1축과 제1축에 교차하는 제2축으로 자른 평면 이미지가 표시된 제1 영역(E1)과, 부분 입체 영상 데이터를 제2축과 제2축에 교차하는 제3축으로 자른 평면 이미지가 표시된 제2 영역(E2)과, 부분 입체 영상 데이터를 제1축과 제3축으로 자른 평면 이미지가 표시된 제3 영역(E3)과, 피시술자의 치아 석고 본(Plaster Patterns of Teeth)을 스캔하여 획득된 제2 입체 영상 데이터에 가상의 임플란트(K)가 중첩된 입체 영상 데이터가 표시된 제4 영역(E4)을 포함한다.
제4 영역(E4)에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데이터는, 피시술자의 치아 석고 본(Plaster Patterns of Teeth)을 스캔하여 획득된 제2 입체 영상 데이터에 가상의 임플란트(K)가 중첩된 입체 영상 데이터이다. 이는 가상의 임플란트(K)가 식립될 위치를 거시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대용량의 제1 입체 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지 않고 제2 입체 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데이터 전송량을 줄일 수 있다.
제4 영역(E4)에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데이터에는 사용자가 피시술자의 구강 내에서 가상의 임플란트(K)의 위치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 영역(E1) 내지 제3 영역(E3)에는, 부분 입체 영상 데이터의 중심점(주로 가상의 임플란트(K)의 중심점)에서의 X-Y 단면, Y-Z 단면, X-Z 단면이 각각 표시된다.
이렇게 제1 영역(E1) 내지 제3 영역(E3)에 부분 입체 영상 데이터의 단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어느 한 영역에서 터치스크린 등의 입력수단을 통해 임플란트의 식립 각도를 변경한다든가 임플란트의 위치를 미세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영역(E1) 내지 제3 영역(E3)에 표시되는 부분 입체 영상 데이터의 단면은 상호 연동되어 가변되므로, 사용자가 어느 한 영역에서 임플란트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경우 다른 영역들에서의 이미지도 가변된다.
이러한 임플란트의 위치 변경 및 각도 변경 시 시술자는 임플란트가 식립될 위치의 골밀도를 확인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모바일장치용 표시유닛(310)은, 도 12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E1) 내지 제3 영역(E3)에서 골밀도를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이러한 골밀도의 수치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골밀도의 수치에 따라 표시유닛에 표시되는 색상은 유채색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모바일장치용 표시유닛(310)은, 제1 영역(E1) 내지 제3 영역(E3)에 표시되는 골밀도를 골밀도의 수치에 따라 서로 다른 유채색의 색상으로 표시함으로써, 시술자가 가상의 픽스츄어 주위의 골밀도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높은 골밀도 수치는 노란색 또는 녹색으로 표시되고 낮은 골밀도 수치는 붉은색이나 푸른색으로 표시되는데,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골밀도의 수치를 다른 다양한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시술자(치과의사)는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 및 식립 각도를 미세하게 가변시키는 경우 외에도 부분 입체 영상 데이터에서 가상의 임플란트(K)의 종류(예를 들어 픽스츄어, 어버트먼트 등의 종류)를 가변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 및 식립 각도의 변경하는 보정과 임플란트의 종류의 변경하는 보정이 완료된 후에, 시술자가 보정결과를 저장하면 보정된 부분 입체 영상 데이터가 서버장치(200)에 전송되어 저장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연동 임플란트 진단 시스템은, 모바일장치(300)에 임플란트 시술 데이터 중 가상의 임플란트(K) 주위의 입체 영상 데이터인 부분 입체 영상 데이터만을 제공함으로써, 시술자가 모바일장치(300)의 사양 내에서 모바일장치(300)를 통해 시술자의 주요 관심인 가상의 임플란트(K) 주위의 부분 입체 영상 데이터를 보정(예를 들어, 픽스츄어를 다른 픽스츄어로 바꾸는 보정, 임플란트의 식립 각도를 미세하게 바꾸는 등의 보정 등)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임플란트 시술계획 데이터를 생성하는 임플란트 진단장치(100)에서 임플란트 시술계획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임플란트 시술계획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가 생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아래에서 간단히 설명한다.
컴퓨터 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CT)기구와 같은 제1 영상정보 획득장치(110)로부터 획득된 제1 입체 영상 데이터는, 피시술자의 뼈 형상 등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에 비하여,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마련되는 다양한 형태의 보철물 및 보형물에 의해 영상이 왜곡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피시술자의 치아 석고 본(G)을 스캔함으로써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 구조에 대한 매우 정확한 정보를 담고 있는 제2 입체 영상 데이터와 피시술자의 뼈 형상 등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담고 있는 제1 입체 영상 데이터가 중첩된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가 생성되어야 하고, 제1 입체 영상 데이터와 제2 입체 영상 데이터의 중첩을 위해 제1 입체 영상 데이터와 제2 입체 영상 데이터를 정합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제1 입체 영상 데이터와 제2 입체 영상 데이터를 정합하는 과정은, 제2 입체 영상 데이터의 정합용 기준 마커(G2)의 좌표를 기준으로 하여 제1 입체 영상 데이터와 제2 입체 영상 데이터를 선(先) 정합(pre-matching)하는 선 정합단계와, 선(先) 정합(pre-matching)된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에서 제2 입체 영상 데이터를 제1 입체 영상 데이터에 정밀 정합하는 정밀 정합단계를 포함한다.
선 정합단계는 제1 입체 영상 데이터와 제2 입체 영상 데이터를 대략적으로 빠르게 정합하는 방식으로, 이러한 선 정합단계에서는, 제2 입체 영상 데이터의 정합용 기준 마커(G2)의 좌표를 기준으로 하여 제1 입체 영상 데이터와 제2 입체 영상 데이터를 선(先) 정합(pre-matching)한다.
이러한 선 정합단계에서 표시부(133)의 화면에는, 도 6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이러한 화면에는 제1 입체 영상 데이터 중 피시술자의 치아 영역이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치아 영역 표시구역(Z1)과, 제2 입체 영상 데이터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제2 입체 영상 데이터 표시구역(Z2)과,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 표시구역(Z3)이 표시된다.
치아 영역 표시구역(Z1)에는 제1 입체 영상 데이터 중 피시술자의 치아 영역이 시각적으로 표시된다. 치아 영역 표시구역(Z1)에 표시되는 피시술자의 치아 영역은 사용자의 입력부(131)를 통한 제어신호에 의해 그 영역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제2 입체 영상 데이터 표시구역(Z2)에는 제2 입체 영상 데이터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며,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 표시구역(Z3)에는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가 시각적으로 표시된다.
도 6에 도시된 표시부(133)의 화면에서 사용자가 제2 입체 영상 데이터 표시구역(Z2)에서 정합용 기준 마커(G2)의 좌표를 연산부(132)에 입력한다. 즉 사용자가 입력부(131), 예를 들어 마우스를 통해 제2 입체 영상 데이터 표시구역(Z2)에 표시된 3개의 정합용 기준 마커(G2)를 클릭하면, 클릭된 좌표가 연산부(132)에 전달된다.
이후 사용자가 치아 영역 표시구역(Z1)에서 정합용 기준 마커(G2)의 좌표에 해당되는 가상의 좌표를 연산부(132)에 입력한다. 즉, 사용자가 치아 영역 표시구역(Z1)에 표시된 치아 영역의 이미지와 제2 입체 영상 데이터 표시구역(Z2)에 표시된 치아 석고 본(G)의 이미지를 비교한 후 치아 영역 표시구역(Z1)에 표시된 치아 영역의 이미지에 정합용 기준 마커(G2)의 위치에 해당하는 가상의 위치를 클릭하면, 클릭된 좌표가 연산부(132)에 전달된다.
이후 연산부(132)에서는 입력된 정합용 기준 마커(G2)의 좌표와 가상의 좌표를 비교하여 제1 입체 영상 데이터와 제2 입체 영상 데이터를 중첩시킨 후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 표시구역(Z3)에 제1 입체 영상 데이터에 제2 입체 영상 데이터가 중첩된 선(先) 정합(pre-matching)된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를 표시한다.
도 6의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 표시구역(Z3)에는 사용자에 의한 좌표입력이 수행되지 않아 제1 입체 영상 데이터만 표시되어 있지만, 도 7의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 표시구역(Z3)에는 정합용 기준 마커(G2)의 좌표와 정합용 기준 마커(G2)의 좌표에 해당되는 가상의 좌표가 입력됨에 따라 제2 입체 영상 데이터가 제1 입체 영상 데이터에 선(先) 정합(pre-matching)된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가 표시된다.
이러한 선 정합단계는 사용자가 치아 영역 표시구역(Z1)의 이미지와 제2 입체 영상 데이터 표시구역(Z2)의 이미지를 비교하여 치아 영역 표시구역(Z1)의 이미지에 정합용 기준 마커(G2)가 있을 가상의 위치를 클릭하는 방식을 취하므로, 선 정합단계를 거친 선(先) 정합(pre-matching)된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의 정합도는 완벽한 상태는 아니지만 선 정합단계를 거친 선(先) 정합(pre-matching)된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는 거의 정합된 상태이다.
따라서 정밀 정합단계에서는 거의 정합된 상태인 선(先) 정합(pre-matching)된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에서 제2 입체 영상 데이터를 제1 입체 영상 데이터에 정밀 정합시킨다.
이러한 정밀 정합단계에서 표시부(133)의 화면에는, 도 8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즉 정밀 정합단계에서 표시부(133)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화면에는, 다수개의 분할영역(D1, D2, D3, D4, D5, D6)이 표시된다. 이러한 다수개의 분할영역(D1, D2, D3, D4, D5, D6)에는 선(先) 정합(pre-matching)된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의 서로 다른 평면 영상들이 배치된다.
이때 다수개의 분할영역(D1, D2, D3, D4, D5, D6)에 표시되는 선(先) 정합(pre-matching)된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의 평면 영상들은 제1 입체 영상 데이터와 제2 입체 영상 데이터의 구분이 가능하도록 하여(예를 들어, 제1 입체 영상 데이터와 제2 입체 영상 데이터의 외관라인이 서로 다른 색으로 표현됨)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정합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도 8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정밀 정합단계에서 표시부(133)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화면의 표시영역은 제1 내지 제6 분할영역(D1, D2, D3, D4, D5, D6)으로 구획된다.
제1 분할영역은(D1)은 선(先) 정합(pre-matching)된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의 평면이며 사용자의 조작화면에 해당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분할영역은 선(先) 정합(pre-matching)된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를 X-Y축 평면으로 자른 이미지가 표시된다.
제1 분할영역에는 3개의 이동점(M1, M2, M3)이 표시되는데, 사용자가 마우스 등의 입력부(131)를 통해 입력점을 이동시키면 제2 내지 제6 분할영역(D2, D3, D4, D5, D6)의 이미지가 변경된다.
제2 분할영역(D2)에는, 제1 분할영역(D1)의 제1 이동점(M1)의 위치에서 Y-Z축 평면으로 자른 이미지가 표시된다. 제3 분할영역(D3)에는, 제1 분할영역(D1)의 제1 이동점(M1)의 위치에서 X-Z축 평면으로 자른 이미지가 표시된다.
제2 분할영역(D2) 및 제3 분할영역(D3)의 이미지는 제1 분할영역(D1)의 제1 이동점(M1)의 이동에 따라 이동된 제1 이동점(M1)의 위치에서의 평면 이미지로 가변된다.
제4 분할영역(D4)에는, 제1 분할영역은(D1)의 제2 이동점(M2)의 위치에서 Y-Z축 평면으로 자른 이미지가 표시된다. 제5 분할영역(D5)에는, 제1 분할영역(D1)의 제2 이동점(M2)의 위치에서 X-Z축 평면으로 자른 이미지가 표시된다.
제4 분할영역(D4) 및 제5 분할영역(D5)의 이미지는 제1 분할영역(D1)의 제2 이동점(M2)의 이동에 따라 이동된 제2 이동점(M2)의 위치에서의 평면 이미지로 가변된다.
제6 분할영역(D6)에는, 제1 분할영역(D1)의 제3 이동점(M3)의 위치에서 Y-Z축 평면으로 자른 이미지가 표시된다. 제6 분할영역(D6)의 이미지는 제1 분할영역(D1)의 제3 이동점(M3)의 이동에 따라 이동된 제3 이동점(M3)의 위치에서의 평면 이미지로 가변된다.
도 8과 도 9를 비교하여 보면 제1 내지 제3 이동점(M1, M2, M3)의 위치 변화에 따라 제2 내지 제6 분할영역(D2, D3, D4, D5, D6)의 이미지가 변경된 것을 볼 수 있다.
한편, 제2 내지 제6 분할영역(D2, D3, D4, D5, D6)의 이미지들은 사용자의 입력부(131)를 통한 조작에 영향을 받는다. 즉 제2 내지 제6 분할영역(D2, D3, D4, D5, D6)에 표시된 제2 입체 영상 데이터의 위치 및 자세 등의 이미지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내지 제3 이동점(M1, M2, M3)을 이동시키며 여러 부위에서 선(先) 정합(pre-matching)된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의 평면 영상에서 제1 입체 영상 데이터와 제2 입체 영상 데이터의 정합 여부를 확인하고 입력부(131)를 통해 제2 입체 영상 데이터를 제1 입체 영상 데이터에 대해 상대 이동시켜 제1 입체 영상 데이터와 제2 입체 영상 데이터를 정밀하게 정합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6 분할영역(D1, D2, D3, D4, D5, D6)에 표시된 평면 영상들은 외관라인이 서로 다른 색으로 표현되어 제1 입체 영상 데이터와 제2 입체 영상 데이터의 구분이 가능하므로, 사용자는 마우스와 같은 입력부(131)를 통해 제2 입체 영상 데이터를 클릭한 후 이를 드래그(drag)하는 방식으로 정밀 정합한다.
사용자가 입력부(131)를 이용하여 제1 입체 영상 데이터의 이미지에 제2 입체 영상 데이터의 이미지를 정밀 정합한 상태의 정보는 연산부(132)에 입력되고, 입력부(131)는 선(先) 정합(pre-matching)된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를 입력부(131)에 의해 입력된 정밀 정합된 상태의 정보에 따라 선(先) 정합(pre-matching)된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를 보정하여 정밀 정합된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러한 정밀 정합된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 생성 후, 연산부(132)는 제1 입체 영상 데이터에 제2 입체 영상 데이터에 중첩하고, 제1 입체 영상 데이터 중 제2 입체 영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부분을 제2 입체 영상 데이터로 대체하여 최종적인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의 생성이 완료된 후,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에서 피시술자에게 식립될 픽스츄어(P)의 위치를 결정한다. 이때, 사용자는 표시부(133)에 표시되는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의 여러 위치에 피시술자에게 식립될 가상의 픽스츄어(P)를 중첩시켜 보며 픽스츄어(P)의 위치를 결정한다.
본 실시예의 데이터 처리장치(130)는,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에 피시술자에게 식립될 가상의 픽스츄어(P)가 중첩되면 가상의 픽스츄어(P)를 기준으로 하여 가상의 픽스츄어(P) 주위의 골밀도를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연산부(132)는,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에 피시술자에게 식립될 가상의 픽스츄어(P)가 중첩되면, 가상의 픽스츄어(P)를 기준으로 하여 가상의 픽스츄어(P) 주위의 골밀도를 계산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상의 픽스츄어(P) 주위의 골밀도는, 가상의 픽스츄어(P)의 외곽 컨투어(contour)에 접하는 영역의 골밀도를 말하는 것으로, 픽스츄어(P)의 나사산 외곽라인이 위치되는 부위의 골밀도이다.
표시부(133)는, 연산부(13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시한다(즉, 2차원 평면 이미지 및 3차원 이미지 등으로 표시한다). 이러한 표시부(133)는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뿐만 아니라 제1 입체 영상 데이터와 제2 입체 영상 데이터도 시각적 이미지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표시부(133)는, 연산부(132)에서 연산된 가상의 픽스츄어(P)를 기준으로 하여 가상의 픽스츄어(P) 주위의 골밀도를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즉 표시부(133)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산부(132)에서 계산된 가상의 픽스츄어(P)의 외곽 컨투어(contour)에 접하는 영역의 골밀도를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부(133)에 표시되는 가상의 픽스츄어(P) 주위의 골밀도는, 골밀도의 수치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골밀도의 수치에 따라 표시부(133)에 표시되는 색상은 유채색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모바일 연동 임플란트 진단 시스템은, 가상의 픽스츄어(P) 주위의 골밀도를 골밀도의 수치에 따라 서로 다른 유채색의 색상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가상의 픽스츄어(P) 주위의 골밀도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높은 골밀도 수치는 노란색 또는 녹색으로 표시되고 낮은 골밀도 수치는 붉은색이나 푸른색으로 표시되는데,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골밀도의 수치를 다른 다양한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실시예의 모바일 연동 임플란트 진단 시스템의 동작을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서버장치(200)로부터 부분 입체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은 후 모바일장치(300)가 실행되면, 모바일장치(300)의 화면에 도 11과 같은 화면이 표시된다.
도 11과 같이 제1 영역(E1) 내지 제3 영역(E3)에 부분 입체 영상 데이터의 단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어느 한 영역에서 터치스크린 등의 입력수단을 통해 임플란트의 식립 각도를 변경한다든가 임플란트의 위치를 미세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영역(E1) 내지 제3 영역(E3)에 표시되는 부분 입체 영상 데이터의 단면은 상호 연동되어 가변되므로, 사용자가 어느 한 영역에서 임플란트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경우 다른 영역들에서의 이미지도 가변된다.
시술자(치과의사)는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 및 식립 각도를 미세하게 가변시키는 경우 외에도 부분 입체 영상 데이터에서 가상의 임플란트(K)의 종류(예를 들어 픽스츄어, 어버트먼트 등의 종류)를 가변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 및 식립 각도의 변경하는 보정과 임플란트의 종류의 변경하는 보정이 완료된 후에, 시술자가 보정결과를 저장하면 보정된 부분 입체 영상 데이터가 서버장치(200)에 전송되어 저장된다.
이후 시술자는 서버장치(200)에 저장된 보정된 부분 입체 영상 데이터를 다시 모바일장치(300)로 전송받아 다시 검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연동 임플란트 진단 시스템은, 모바일장치(300)에 임플란트 시술 데이터 중 가상의 임플란트(K) 주위의 입체 영상 데이터인 부분 입체 영상 데이터만을 제공함으로써, 시술자가 모바일장치(300)의 사양 내에서 모바일장치(300)를 통해 시술자의 주요 관심인 가상의 임플란트(K) 주위의 부분 입체 영상 데이터를 보정(예를 들어, 픽스츄어를 다른 픽스츄어로 바꾸는 보정, 임플란트의 식립 각도를 미세하게 바꾸는 등의 보정 등)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임플란트 시술계획 데이터를 생성하는 임플란트 진단장치(100)에서 임플란트 시술계획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임플란트 시술계획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가 생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를 생성방법을 아래에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연동 임플란트 진단 시스템의 임플란트 진단용 영상 생성방법은, 도 5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피시술자의 구강 영역에 대한 제1 입체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1 영상정보 획득단계(S110)와, 피시술자의 치아 석고 본(G)을 스캔하여 제2 입체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2 영상정보 획득단계(S120)와, 제1 입체 영상 데이터 및 제2 입체 영상 데이터를 정합(matching)하여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 획득단계(S130)와,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에 피시술자에게 식립될 가상의 픽스츄어(P)가 중첩되면 가상의 픽스츄어(P)를 기준으로 하여 가상의 픽스츄어(P) 주위의 골밀도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골밀도 표시단계(S140)를 포함한다.
제1 영상정보 획득단계(S110)에서는 피시술자의 구강 영역에 대한 제1 입체 영상 데이터를 획득된다. 이러한 제1 영상정보 획득단계(S110)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상정보 획득장치(110)가 피시술자의 구강 영역을 촬영하여 제1 입체 영상 데이터를 획득한다.
제2 영상정보 획득단계(S120)에서는, 제2 영상정보 획득장치(120)가 피시술자의 치아 석고 본(G)을 스캔하여 제2 입체 영상 데이터를 획득된다.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제2 영상정보 획득단계(S120)는, 피시술자의 치아 석고 본(G)을 생성하는 단계와, 피시술자의 치아 석고 본(G)에 정합용 기준 마커(G2)를 마련하는 단계와, 정합용 기준 마커(G2)가 마련된 치아 석고 본(G)을 스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정합용 기준 마커(G2)를 마련하는 단계에서는, 치아 석고 본(G)을 생성하는 단계에서 제작된 피시술자의 치아 석고 본 본체(G1)에 제2 입체 영상 데이터의 정합을 위한 정합용 기준 마커(G2)를 형성한다.
치아 석고 본 본체(G1)에 마련된 정합용 기준 마커(G2)는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 획득단계(S130)에서 제1 입체 영상 데이터와 제2 입체 영상 데이터의 정합을 위한 기준좌표로 활용된다.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 획득단계(S130)에서는, 제1 입체 영상 데이터 및 제2 입체 영상 데이터를 정합(matching)하여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컴퓨터 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CT)기구와 같은 제1 영상정보 획득장치(110)로부터 획득된 제1 입체 영상 데이터는, 피시술자의 뼈 형상 등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에 비하여,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마련되는 다양한 형태의 보철물 및 보형물에 의해 영상이 왜곡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피시술자의 치아 석고 본(G)을 스캔함으로써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 구조에 대한 매우 정확한 정보를 담고 있는 제2 입체 영상 데이터와 피시술자의 뼈 형상 등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담고 있는 제1 입체 영상 데이터가 중첩된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가 생성되어야하고, 제1 입체 영상 데이터와 제2 입체 영상 데이터의 중첩을 위해 필수적으로 수반되어야 하는 매칭과정이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 획득단계(S130)에서 수행된다.
이러한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 획득단계(S130)는, 제2 입체 영상 데이터의 정합용 기준 마커(G2)의 좌표를 기준으로 하여 제1 입체 영상 데이터와 제2 입체 영상 데이터를 선(先) 정합(pre-matching)하는 선 정합단계(S131)와, 선(先) 정합(pre-matching)된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에서 제2 입체 영상 데이터를 제1 입체 영상 데이터에 정밀 정합하는 정밀 정합단계(S132)를 포함한다.
선 정합단계(S131)는 제1 입체 영상 데이터와 제2 입체 영상 데이터를 대략적으로 빠르게 정합하는 방식으로, 이러한 선 정합단계(S131)에서는, 제2 입체 영상 데이터의 정합용 기준 마커(G2)의 좌표를 기준으로 하여 제1 입체 영상 데이터와 제2 입체 영상 데이터를 선(先) 정합(pre-matching)한다.
이러한 선 정합단계(S131)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화면의 표시영역을 제1 입체 영상 데이터 중 피시술자의 치아 영역이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치아 영역 표시구역(Z1), 제2 입체 영상 데이터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제2 입체 영상 데이터 표시구역(Z2), 그리고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 표시구역(Z3)으로 구획하는 단계와, 제2 입체 영상 데이터 표시구역(Z2)에서 정합용 기준 마커(G2)의 좌표가 입력되는 기준 마커 좌표 입력단계와, 치아 영역 표시구역(Z1)에서 정합용 기준 마커(G2)의 좌표에 해당되는 가상의 좌표가 입력되는 가상 좌표 입력단계와, 입력된 정합용 기준 마커(G2)의 좌표와 가상의 좌표를 정합하여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 표시구역(Z3)에 선(先) 정합(pre-matching)된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6 내지 7을 참고하여 선 정합단계(S131)를 설명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33)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화면의 표시영역은, 제1 입체 영상 데이터 중 피시술자의 치아 영역이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치아 영역 표시구역(Z1)과, 제2 입체 영상 데이터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제2 입체 영상 데이터 표시구역(Z2)과,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 표시구역(Z3)으로 구획된다.
치아 영역 표시구역(Z1)에는 제1 입체 영상 데이터 중 피시술자의 치아 영역이 시각적으로 표시된다. 치아 영역 표시구역(Z1)에 표시되는 피시술자의 치아 영역은 사용자의 입력부(131)를 통한 제어신호에 의해 그 영역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제2 입체 영상 데이터 표시구역(Z2)에는 제2 입체 영상 데이터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며,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 표시구역(Z3)에는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가 시각적으로 표시된다.
치아 영역 표시구역(Z1)에 표시된 피시술자의 치아 영역과 제2 입체 영상 데이터 표시구역(Z2)에 표시된 제2 입체 영상 데이터는 모두 피시술자의 구강 영역의 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피시술자의 구강 영역의 구조에 대해서는 제2 입체 영상 데이터가 더욱 정확한 정보를 갖고 있으므로,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때에는 제1 입체 영상 데이터 중 피시술자의 구강영역에 대한 구조는 제2 입체 영상 데이터로 대체된다. 이러한 대체를 위해서는 제1 입체 영상 데이터와 제2 입체 영상 데이터가 기준 마커 좌표 입력단계와 가상 좌표 입력단계를 통해 정합되어야 한다.
기준 마커 좌표 입력단계에서는, 제2 입체 영상 데이터 표시구역(Z2)에서 정합용 기준 마커(G2)의 좌표가 입력된다. 즉 사용자가 입력부(131), 예를 들어 마우스를 통해 제2 입체 영상 데이터 표시구역(Z2)에 표시된 3개의 정합용 기준 마커(G2)를 클릭하면, 클릭된 좌표가 연산부(132)에 전달된다.
가상 좌표 입력단계에서는, 치아 영역 표시구역(Z1)에서 정합용 기준 마커(G2)의 좌표에 해당되는 가상의 좌표가 입력된다. 즉, 사용자가 치아 영역 표시구역(Z1)에 표시된 치아 영역의 이미지와 제2 입체 영상 데이터 표시구역(Z2)에 표시된 치아 석고 본(G)의 이미지를 비교한 후 치아 영역 표시구역(Z1)에 표시된 치아 영역의 이미지에 정합용 기준 마커(G2)의 위치에 해당하는 가상의 위치를 클릭하면, 클릭된 좌표가 연산부(132)에 전달된다.
이후 선(先) 정합(pre-matching)된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에서는, 연산부(132)에 입력된 정합용 기준 마커(G2)의 좌표와 가상의 좌표를 비교하여 제1 입체 영상 데이터와 제2 입체 영상 데이터를 중첩시킨 후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 표시구역(Z3)에 제1 입체 영상 데이터에 제2 입체 영상 데이터가 중첩된 선(先) 정합(pre-matching)된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를 표시한다.
도 6의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 표시구역(Z3)에는 아직 기준 마커 좌표 입력단계와 가상 좌표 입력단계가 수행되지 않아 제1 입체 영상 데이터만 표시되어 있지만, 도 7의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 표시구역(Z3)에는 기준 마커 좌표 입력단계와 가상 좌표 입력단계의 수행에 따라 제2 입체 영상 데이터가 제1 입체 영상 데이터에 중첩된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의 이미지가 표시된 것을 볼 수 있다.
상술한 선 정합단계(S131)의 가상 좌표 입력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치아 영역 표시구역(Z1)의 이미지와 제2 입체 영상 데이터 표시구역(Z2)의 이미지를 비교하여 치아 영역 표시구역(Z1)의 이미지에 정합용 기준 마커(G2)가 있을 가상의 위치를 클릭하는 방식을 취하므로, 선 정합단계(S131)를 거친 선(先) 정합(pre-matching)된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의 정합도는 완벽한 상태는 아니지만 선 정합단계(S131)를 거친 선(先) 정합(pre-matching)된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는 거의 정합된 상태이다.
따라서 정밀 정합단계(S132)에서는, 거의 정합된 상태인 선(先) 정합(pre-matching)된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에서 제2 입체 영상 데이터를 제1 입체 영상 데이터에 정밀 정합시킨다.
정밀 정합단계(S132)는, 표시부(133)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화면의 표시영역이 다수개의 분할영역으로 구획되며 선(先) 정합(pre-matching)된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의 서로 다른 평면 영상들이 다수개의 분할영역들에 배치되는 단계와, 각각의 분할영역에서 제1 입체 영상 데이터에 제2 입체 영상 데이터가 정합되도록 보정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8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밀 정합단계(S132)에서 표시부(133)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화면의 표시영역은 다수개의 분할영역(D1, D2, D3, D4, D5, D6)으로 구획된다. 이러한 다수개의 분할영역(D1, D2, D3, D4, D5, D6)에는 선(先) 정합(pre-matching)된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의 서로 다른 평면 영상들이 배치된다.
이때 다수개의 분할영역(D1, D2, D3, D4, D5, D6)에 표시되는 선(先) 정합(pre-matching)된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의 평면 영상들은 제1 입체 영상 데이터와 제2 입체 영상 데이터의 구분이 가능하도록 하여(예를 들어, 제1 입체 영상 데이터와 제2 입체 영상 데이터의 외관라인이 서로 다른 색으로 표현됨)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정합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도 8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정밀 정합단계(S132)에서 표시부(133)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화면의 표시영역은 제1 내지 제6 분할영역(D1, D2, D3, D4, D5, D6)으로 구획된다.
제1 분할영역은(D1)은 선(先) 정합(pre-matching)된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의 평면이며 사용자의 조작화면에 해당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분할영역은 선(先) 정합(pre-matching)된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를 X-Y축 평면으로 자른 이미지가 표시된다.
제1 분할영역에는 3개의 이동점(M1, M2, M3)이 표시되는데, 사용자가 마우스 등의 입력부(131)를 통해 입력점을 이동시키면 제2 내지 제6 분할영역(D2, D3, D4, D5, D6)의 이미지가 변경된다.
제2 분할영역(D2)에는, 제1 분할영역(D1)의 제1 이동점(M1)의 위치에서 Y-Z축 평면으로 자른 이미지가 표시된다. 제3 분할영역(D3)에는, 제1 분할영역(D1)의 제1 이동점(M1)의 위치에서 X-Z축 평면으로 자른 이미지가 표시된다.
제2 분할영역(D2) 및 제3 분할영역(D3)의 이미지는 제1 분할영역(D1)의 제1 이동점(M1)의 이동에 따라 이동된 제1 이동점(M1)의 위치에서의 평면 이미지로 가변된다.
제4 분할영역(D4)에는, 제1 분할영역은(D1)의 제2 이동점(M2)의 위치에서 Y-Z축 평면으로 자른 이미지가 표시된다. 제5 분할영역(D5)에는, 제1 분할영역(D1)의 제2 이동점(M2)의 위치에서 X-Z축 평면으로 자른 이미지가 표시된다.
제4 분할영역(D4) 및 제5 분할영역(D5)의 이미지는 제1 분할영역(D1)의 제2 이동점(M2)의 이동에 따라 이동된 제2 이동점(M2)의 위치에서의 평면 이미지로 가변된다.
제6 분할영역(D6)에는, 제1 분할영역(D1)의 제3 이동점(M3)의 위치에서 Y-Z축 평면으로 자른 이미지가 표시된다. 제6 분할영역(D6)의 이미지는 제1 분할영역(D1)의 제3 이동점(M3)의 이동에 따라 이동된 제3 이동점(M3)의 위치에서의 평면 이미지로 가변된다.
도 8과 도 9를 비교하여 보면 제1 내지 제3 이동점(M1, M2, M3)의 위치 변화에 따라 제2 내지 제6 분할영역(D2, D3, D4, D5, D6)의 이미지가 변경된 것을 볼 수 있다.
한편, 제2 내지 제6 분할영역(D2, D3, D4, D5, D6)의 이미지들은 사용자의 입력부(131)를 통한 조작에 영향을 받는다. 즉 제2 내지 제6 분할영역(D2, D3, D4, D5, D6)에 표시된 제2 입체 영상 데이터의 위치 및 자세 등의 이미지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내지 제3 이동점(M1, M2, M3)을 이동시키며 여러 부위에서 선(先) 정합(pre-matching)된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의 평면 영상에서 제1 입체 영상 데이터와 제2 입체 영상 데이터의 정합 여부를 확인하고 입력부(131)를 통해 제2 입체 영상 데이터를 제1 입체 영상 데이터에 대해 상대 이동시켜 제1 입체 영상 데이터와 제2 입체 영상 데이터를 정밀하게 정합한다.
한편, 사용자는 표시부(133)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화면의 표시영역에 표시된 스케일 조작부(S)를 통해 제1 입체 영상 데이터의 스케일을 조작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입체 영상 데이터의 스케일 조작은, 제1 입체 영상 데이터와 제2 입체 영상 데이터 사이에 전체적인 크기 차이가 있을 때에 제1 입체 영상 데이터의 전체적인 크기를 제2 입체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가변시켜 제1 입체 영상 데이터와 제2 입체 영상 데이터의 정밀 정합 조작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진단용 영상 생성방법은, 제1 입체 영상 데이터와 제2 입체 영상 데이터를 대략적으로 빠르게 선 정합한 후 대략적으로 선(先) 정합(pre-matching)된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를 다시 정밀 정합함으로써, 전체적인 정합 시간을 단축하면서도 정합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다음, 정밀 정합단계(S132)를 거쳐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 획득단계(S130)가 완성된 후 사용자는 시술계획을 수립한다. 이러한 시술계획 시 피시술자의 치조골 등의 골밀도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피시술자의 골밀도의 상태에 따라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 및 깊이와 방향을 결정하게 된다.
따라서 픽스츄어(P) 식립 부위의 골밀도가 매우 중요한데, 본 실시예의 골밀도 표시단계(S140)에서는 픽스츄어(P) 식립 부위의 골밀도를 매우 직관적으로 표시하여 준다.
즉 본 실시예의 골밀도 표시단계(S140)에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에 피시술자에게 식립될 가상의 픽스츄어(P)를 중첩시키되 가상의 픽스츄어(P)를 기준으로 하여 가상의 픽스츄어(P) 주위의 골밀도를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이러한 골밀도 표시단계(S140)에서는, 연산부(132)에서 계산된 가상의 픽스츄어(P)의 외곽 컨투어(contour)에 접하는 영역의 골밀도를 골밀도의 수치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연동 임플란트 진단 시스템에서 진단용 영상 생성방법은, 가상의 픽스츄어(P) 주위의 골밀도를 골밀도의 수치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가상의 픽스츄어(P) 주위의 골밀도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바일 연동 임플란트 진단 시스템에서 모바일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 도시된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할 때에 모바일장치용 표시유닛(310a)이 상기 제1 영역 내지 제3 영역에서 미리 결정된 영역(U) 내부의 골밀도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점에서 제1 실시예과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도 1 내지 도 12의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모바일장치용 표시유닛은, 상기 제1 영역(E1) 내지 제3 영역(E3)에서 미리 결정된 영역(U) 내부의 골밀도를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본 실시예의 미리 결정된 영역(U)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마련되며 터치스크린과 같은 방식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1 영역(E1) 내지 제3 영역(E3) 각각의 내부에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모바일 연동 임플란트 진단 시스템은, 모바일장치용 표시유닛(130a)의 제1 영역(E1) 내지 제3 영역(E3)에서 미리 결정된 영역(U) 내부의 골밀도를 시각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시술자가 관심 있는 부위 골밀도를 집중하여 검토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가 전술한 도면 및 설명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임플란트 진단장치
110: 제1 영상정보 획득장치 120: 제2 영상정보 획득장치
130: 데이터 처리장치 131: 입력부
132: 연산부 133: 표시부
200: 서버장치 300: 모바일장치
310, 310a: 모바일장치용 표시유닛
P: 픽스츄어 G: 치아 석고 본
G2: 정합용 기준 마커 Z1: 치아 영역 표시구역
Z2: 제2 입체 영상 데이터 표시구역
Z3: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 표시구역
K: 임플란트

Claims (24)

  1. 피시술자의 구강 영역에 대한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며, 상기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에 가상의 임플란트 데이터가 중첩된 임플란트 시술계획 데이터를 생성하는 임플란트 진단장치;
    상기 임플란트 진단장치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임플란트 진단장치에서 생성된 상기 임플란트 시술계획 데이터 중 일부인 관심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서버장치; 및
    상기 서버장치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서버장치에서 상기 관심정보를 전달받아 표시하는 모바일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관심정보는,
    상기 임플란트 시술 데이터 중 상기 가상의 임플란트 주위의 미리 결정된 영역의 데이터인 부분 입체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모바일 연동 임플란트 진단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입체 영상 데이터는,
    상기 가상의 임플란트의 중심에서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이격된 경계영역 내부의 상기 임플란트 시술계획 데이터를 포함하는 모바일 연동 임플란트 진단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영역은, 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연동 임플란트 진단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된 경계영역은,
    제1축 방향의 길이가 15 내지 45 밀리미터(mm)이고,
    제2축 방향의 길이가 15 내지 45 밀리미터(mm)이고,
    제3축 방향의 길이가 20 내지 60 밀리미터(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연동 임플란트 진단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장치는, 스마트폰, 핸드 헬드 단말기(hand held terminal)를 포함하는 모바일 연동 임플란트 진단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장치는,
    상기 부분 입체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장치용 표시유닛;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는 모바일장치용 입력유닛; 및
    상기 입력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따라 상기 부분 입체 영상 데이터를 보정하는 모바일장치용 연산유닛을 포함하는 모바일 연동 임플란트 진단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장치용 표시유닛은,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회면을 다수개의 분할영역들로 구획하며,
    상기 분할영역들은,
    상기 부분 입체 영상 데이터를 제1축과 상기 제1축에 교차하는 제2축으로 자른 평면 이미지가 표시된 제1 영역;
    상기 부분 입체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2축과 상기 제2축에 교차하는 제3축으로 자른 평면 이미지가 표시된 제2 영역; 및
    상기 부분 입체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1축과 상기 제3축으로 자른 평면 이미지가 표시된 제3 영역을 포함하는 모바일 연동 임플란트 진단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장치용 표시유닛은,
    상기 제1 영역 내지 제3 영역에서 골밀도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연동 임플란트 진단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장치용 표시유닛은,
    상기 제1 영역 내지 제3 영역에서 미리 결정된 영역 내부의 골밀도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연동 임플란트 진단 시스템.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골밀도는,
    상기 골밀도의 수치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연동 임플란트 진단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은 유채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연동 임플란트 진단 시스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영역들은,
    상기 피시술자의 치아 석고 본(Plaster Patterns of Teeth)을 스캔하여 획득된 제2 입체 영상 데이터에 상기 가상의 임플란트가 중첩된 입체 영상 데이터가 표시된 제4 영역을 더 포함하는 모바일 연동 임플란트 진단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진단장치는,
    상기 피시술자의 구강 영역에 대한 제1 입체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1 영상정보 획득장치;
    상기 피시술자의 치아 석고 본(Plaster Patterns of Teeth)을 스캔하여 제2 입체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2 영상정보 획득장치; 및
    상기 제1 입체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2 입체 영상 데이터를 전달받아 정합(matching)하여 상기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시술계획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처리장치를 포함하는 모바일 연동 임플란트 진단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석고 본(Plaster Patterns of Teeth)에는 상기 제1 입체 영상 데이터와 상기 제2 입체 영상 데이터의 정합을 위한 정합용 기준 마커(marker)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연동 임플란트 진단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용 기준 마커는 다수개로 마련되며,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연동 임플란트 진단 시스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입력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따라 상기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를 보정하는 연산부; 및
    상기 연산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와 상기 가상의 픽스츄어 주위의 골밀도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연동 임플란트 진단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는,
    상기 제2 입체 영상 데이터의 정합용 기준 마커(marker)의 좌표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 입체 영상 데이터와 상기 제2 입체 영상 데이터를 선(先) 정합(pre-matching)하는 선(先) 정합단계 후, 상기 선(先) 정합(pre-matching)된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제2 입체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1 입체 영상 데이터에 정밀 정합하는 정밀 정합단계를 거쳐 상기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연동 임플란트 진단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선(先) 정합단계에서 상기 연산부는 ,
    상기 표시부의 표시영역을 상기 제1 입체 영상 데이터 중 상기 피시술자의 치아 영역이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치아 영역 표시구역과, 상기 제2 입체 영상 데이터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제2 입체 영상 데이터 표시구역과, 상기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 표시구역으로 구획하며,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2 입체 영상 데이터 표시구역에서 상기 정합용 기준 마커(marker)의 좌표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치아 영역 표시구역에서 상기 정합용 기준 마커(marker)의 좌표에 해당되는 가상의 좌표를 입력받으며,
    입력된 상기 정합용 기준 마커(marker)의 좌표와 상기 가상의 좌표를 정합하여 상기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 표시구역에 상기 선(先) 정합(pre-matching)된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모바일 연동 임플란트 진단 시스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정밀 정합단계에서 상기 연산부는 ,
    상기 표시부의 표시영역을 다수개의 분할영역으로 구획하며,
    상기 선(先) 정합(pre-matching)된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의 서로 다른 평면 영상들을 상기 다수개의 분할영역들에 배치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각각의 분할영역에서 제1 입체 영상 데이터에 제2 입체 영상 데이터가 정합된 상태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연동 임플란트 진단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분할영역들은,
    상기 선(先) 정합(pre-matching)된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를 제1축과 상기 제1축에 교차하는 제2축으로 자른 평면 이미지가 도시된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제1 이동점의 위치에서 상기 제2축과 상기 제2축에 교차하는 제3축으로 자른 평면 이미지가 도시된 제2 영역;
    상기 제1 이동점의 위치에서 상기 제1축과 상기 제3축으로 자른 평면 이미지가 도시된 제3 영역;
    상기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제2 이동점의 위치에서 상기 제2축과 제3축으로 자른 평면 이미지가 도시된 제4 영역;
    상기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제2 이동점의 위치에서 상기 제1축과 제3축으로 자른 평면 이미지가 도시된 제5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제3 이동점의 위치에서 상기 제2축과 제3축으로 자른 평면 이미지가 도시된 제6 영역을 포함하는 모바일 연동 임플란트 진단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이동점은,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동가능하며,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의 이미지는 상기 제1 이동점의 이동에 연동되어 가변되며,
    상기 제4 영역 및 상기 제5 영역의 이미지는 상기 제2 이동점의 이동에 연동되어 가변되며,
    상기 제6 영역의 이미지는 상기 제3 이동점의 이동에 연동되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연동 임플란트 진단 시스템.
  22.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는,
    상기 통합 입체 영상 데이터에 상기 피시술자에게 식립될 가상의 픽스츄어가 중첩되면, 상기 가상의 픽스츄어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상의 픽스츄어 주위의 골밀도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연동 임플란트 진단 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는, 상기 가상의 픽스츄어의 외곽 컨투어(contour)에 접하는 영역의 골밀도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연동 임플란트 진단 시스템.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픽스츄어 주위의 골밀도는,
    상기 골밀도의 수치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연동 임플란트 진단 시스템.
KR1020160129286A 2016-10-06 2016-10-06 모바일 연동 임플란트 진단 시스템 KR101865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286A KR101865701B1 (ko) 2016-10-06 2016-10-06 모바일 연동 임플란트 진단 시스템
EP17858560.0A EP3524139B1 (en) 2016-10-06 2017-01-10 Mobile apparatus-linked implant evaluation system
CN201790001311.7U CN211484515U (zh) 2016-10-06 2017-01-10 移动链接植入体诊断系统
JP2019541058A JP6801117B2 (ja) 2016-10-06 2017-01-10 モバイル連動インプラント診断システム
US16/340,097 US10888402B2 (en) 2016-10-06 2017-01-10 Mobile linked implant diagnosis system
PCT/KR2017/000331 WO2018066765A1 (ko) 2016-10-06 2017-01-10 모바일 연동 임플란트 진단 시스템
TW106101393A TWI663962B (zh) 2016-10-06 2017-01-16 移動鏈接植體診斷系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286A KR101865701B1 (ko) 2016-10-06 2016-10-06 모바일 연동 임플란트 진단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8319A true KR20180038319A (ko) 2018-04-16
KR101865701B1 KR101865701B1 (ko) 2018-06-11

Family

ID=61832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9286A KR101865701B1 (ko) 2016-10-06 2016-10-06 모바일 연동 임플란트 진단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888402B2 (ko)
EP (1) EP3524139B1 (ko)
JP (1) JP6801117B2 (ko)
KR (1) KR101865701B1 (ko)
CN (1) CN211484515U (ko)
TW (1) TWI663962B (ko)
WO (1) WO2018066765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06472A1 (ko) * 2019-07-11 2021-01-14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 시술 계획 수립을 위한 다중 골밀도 표시방법 및 그 영상 처리장치
WO2022075624A1 (ko) * 2020-10-06 2022-04-14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인공치아 구조물을 디스플레이하는 디바이스,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WO2022240106A1 (ko) * 2021-05-10 2022-11-1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다중 골밀도 표시방법 및 장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10865B (zh) 2017-02-24 2023-07-25 梅西莫股份有限公司 用于显示医疗监测数据的系统
US11024064B2 (en) * 2017-02-24 2021-06-01 Masimo Corporation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displaying patient data
WO2018208616A1 (en) 2017-05-08 2018-11-15 Masimo Corporation System for pairing a medical system to a network controller by use of a dongle
CN108830915B (zh) * 2018-05-28 2023-03-31 牙博士医疗控股集团有限公司 口腔影像3d模拟动画实现方法及装置
EP3925568A4 (en) * 2019-01-22 2022-08-10 Safe Approach Medical Inc. SURGICAL SUPPORT SYSTEM, TREATMENT DEVICE AND PLAT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3921A (ko) 2009-06-12 2010-12-22 주식회사씨케어코리아 Ct방식에 의한 악골의 골밀도 측정장치
JP2015066433A (ja) * 2013-09-30 2015-04-13 株式会社東芝 医用画像表示システム、医用画像表示装置、医用画像サーバーシステム及び医用画像表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8974B1 (ko) 1999-03-15 2002-05-31 최은백, 이찬경 턱뼈의 뼈밀도를 확인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방법 및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JP2003245289A (ja) 2002-02-22 2003-09-02 Univ Nihon 歯科用インプラント施術支援装置
GB0514554D0 (en) 2005-07-15 2005-08-24 Materialise Nv Method for (semi-) automatic dental implant planning
US20100035212A1 (en) * 2008-08-11 2010-02-11 Jean Robichaud Preparation of dental implant surgery and prosthesis installation
US8457930B2 (en) * 2009-04-15 2013-06-04 James Schroeder Personalized fit and functional designed medical prostheses and surgical instruments and methods for making
EP2797512A4 (en) * 2011-12-30 2015-09-09 Philip D Gole MEDICAL DEVICES FOR ASSESSING IMAGE SUPPORT AND PROCEDURE
US8548778B1 (en) * 2012-05-14 2013-10-01 Heartflow,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from a patient-specific model of blood flow
US9135498B2 (en) 2012-12-14 2015-09-15 Ormco Corporation Integration of intra-oral imagery and volumetric imagery
CN103156693B (zh) * 2013-01-31 2015-07-08 浙江大学 一种基于体图像处理的植牙手术导板的制作方法
WO2014123395A1 (en) 2013-02-08 2014-08-14 Ewoosoft Co., Ltd. Image display to display 3d image and sectional images
KR20140111902A (ko) * 2013-03-12 2014-09-22 주식회사 이우소프트 치과용 치료계획 수립방법
EP2929854B1 (en) 2014-03-18 2017-08-23 Dio Corporation Dental implant insertion s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554157B1 (ko) * 2014-05-09 2015-09-21 주식회사 디오 구강 내부 부착용 레퍼런스 마커 및 그를 이용한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스탠트 제조방법
AU2015245927A1 (en) * 2014-04-07 2016-10-27 Instaguide Pty Ltd Dental implant guide formation system
WO2016148297A1 (ja) * 2015-03-18 2016-09-22 株式会社アドバンス 歯科診療システム及び口腔内カメラ
KR101544773B1 (ko) * 2015-04-01 2015-08-17 주식회사 디오 치과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를 이용한 시술 안내정보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3921A (ko) 2009-06-12 2010-12-22 주식회사씨케어코리아 Ct방식에 의한 악골의 골밀도 측정장치
JP2015066433A (ja) * 2013-09-30 2015-04-13 株式会社東芝 医用画像表示システム、医用画像表示装置、医用画像サーバーシステム及び医用画像表示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06472A1 (ko) * 2019-07-11 2021-01-14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 시술 계획 수립을 위한 다중 골밀도 표시방법 및 그 영상 처리장치
KR20210008220A (ko) * 2019-07-11 2021-01-21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 시술 계획 수립을 위한 다중 골밀도 표시방법 및 그 영상 처리장치
CN114040726A (zh) * 2019-07-11 2022-02-11 奥齿泰有限责任公司 用于规划牙齿种植手术的多个骨密度显示方法及其图像处理装置
EP3998038A4 (en) * 2019-07-11 2023-07-05 Osstem Implant Co., Ltd. MULTIPLE BONE DENSITY DISPLAY METHOD FOR ESTABLISHING AN IMPLANT PROCEDURE PLAN AND ASSOCIATED IMAGE PROCESSING DEVICE
WO2022075624A1 (ko) * 2020-10-06 2022-04-14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인공치아 구조물을 디스플레이하는 디바이스,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WO2022240106A1 (ko) * 2021-05-10 2022-11-1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다중 골밀도 표시방법 및 장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46473A1 (en) 2020-02-13
EP3524139A1 (en) 2019-08-14
WO2018066765A1 (ko) 2018-04-12
CN211484515U (zh) 2020-09-15
JP6801117B2 (ja) 2020-12-16
JP2019531173A (ja) 2019-10-31
TWI663962B (zh) 2019-07-01
EP3524139B1 (en) 2021-05-26
US10888402B2 (en) 2021-01-12
TW201813587A (zh) 2018-04-16
EP3524139A4 (en) 2020-06-24
KR101865701B1 (ko) 2018-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5701B1 (ko) 모바일 연동 임플란트 진단 시스템
KR101812484B1 (ko) 임플란트 진단용 영상 생성 시스템 및 그 생성방법
US1128480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reating and interacting with three dimensional virtual models
US10568722B2 (en) Method for manipulating a dental virtual model, method for creating physical entities based on a dental virtual model thus manipulated, and dental models thus created
US20220015864A1 (en) System For Preparing Teeth For The Placement Of Veneers
EP2134290B1 (en) Computer-assisted creation of a custom tooth set-up using facial analysis
KR101877895B1 (ko) 임플란트 진단용 영상 생성 시스템 및 그 생성방법
TWI578964B (zh) 產生假體影像之方法與系統
KR102082917B1 (ko)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 가이드장치,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 가이드장치 제작시스템 및 그 제작방법
KR102061644B1 (ko) 임플란트 진단용 영상 생성 시스템 및 그 생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