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8143A - 흡음성이 우수한 부직포 - Google Patents
흡음성이 우수한 부직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38143A KR20180038143A KR1020160128830A KR20160128830A KR20180038143A KR 20180038143 A KR20180038143 A KR 20180038143A KR 1020160128830 A KR1020160128830 A KR 1020160128830A KR 20160128830 A KR20160128830 A KR 20160128830A KR 20180038143 A KR20180038143 A KR 2018003814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low
- short
- fibers
- sound
- fi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26—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1/435—Polyester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91—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fibres
- D04H1/4391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fibres fibres with noncircular cross-section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91—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fibres
- D04H1/4391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fibres hollow fibre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1—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1—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 D04H1/5412—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sheath-core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엽 형상의 이형 중공 단섬유, 1데니어 미만의 세섬도 단섬유 및 시스코어형 중공 저융점 단섬유로 이루어진 웹 또는 시트로 구성되되, 상기 웹 또는 시트는 니들펀칭 또는 히팅본딩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성이 우수한 부직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흡음성이 우수한 부직포에 관한 것으로, 다양한 단면 및 형태의 섬유를 이용한 흡음성이 우수한 부직포에 관한 것이다.
부직포는 방적, 제직, 편성에 의한 공정 없이 섬유집합체를 화학적 작용이나 기계적 작용 또는 적당한 수분이나 열처리에 의해 섬유 상호 간을 결합시킨 포(布)의 형상을 갖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흡음과 관련한 소재로 다양한 종류의 흡음재(sound absorber)가 음향을 흡수하기 위해 다수의 상이한 분야들에서 사용된다. 공지된 흡음재는 개방 셀(open-cell) 재료, 예컨대 유리솜(glass wool), 암면(rock wool), 스펀지(sponge), 펠트(felt) 또는 우레탄 발포체(urethane form); 다공성 재료, 예컨대 다공성 소결 보드(sintered board), 금속 섬유 보드(metallic fiber board) 또는 발포 금속 보드(foam metal board); 개방 셀 쵸크 보드(chalk board); 시트 재료와 부직물(nonwoven) 흡음재의 조합물; 또는 특정 필름들을 포함한다.
유리솜 또는 펠트는 자동차의 엔진 격실로부터의 음향을 흡수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러한 경우, 흡음률(sound absorbing coefficient)은 흡음재의 두께에 비례하여 증가할 수 있다. 흡음재의 중량 및 비용은 두께가 증가됨에 따라 커진다.
다양한 흡음재가 전기 및 전자 장비에 사용된다. 그러한 장비의 크기 감소 및 비용 절감이 지속적으로 강조된다.
다공성 흡음재는 음파가 다공질재를 진동시키며 음에너지가 열에너지로 전환이 되면서 감소된다. 상기 음에너지는 에너지 전달시 매질을 필요로 하며, 공기 속에서보다 분자간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까운 액체나 고체에서 더 잘 전달된다. 공기 속에서는 공기분자 간 거리가 멀어 소리가 전달되면서 음에너지의 손실이 많다. 그러나 액체나 고체에서는 분자와 분자간 거리가 가깝기 때문에 음파가 잘 손실되지 않고 더 쉽게 전달되는 것이다. 어릴 때 만들어서 놀던 실전화기로 들으면 공기중에서는 들리지 않는 먼 거리에서 속삭이는 소리도 잘 들을 수 있는 것이다.
다공질 재료는 고주파에 흡음성이 좋지만 저주파는 효과가 적다. 저주파 흡음을 위해서는 격벽, 중공층과 같은 흡음재 뒷면의 공기층을 두는 것이 흡음 효과를 좋게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04418호는 다공시트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관통 미세 보어 및 개구를 갖는 필름 층, 및 필름 층 상에 배치되는 섬유질 재료 층을 포함하는 다층 흡음 시트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은 흡음성을 갖는 공기층, 즉 데드에어층을 넓게 확보하기 위하여 단섬유의 형상 및 섬도를 조절하여 적합한 섬유집합체인 부직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넓은 영역의 주파수에서 흡음성을 갖는 부직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데드에어층을 넓게 확보함으로써 탄력성이 우수한 흡음성 부직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엽 형상의 이형 중공 단섬유, 1데니어 미만의 세섬도 단섬유 및 시스코어형 중공 저융점 단섬유로 이루어진 웹 또는 시트로 구성되되, 상기 웹 또는 시트는 니들펀칭 또는 히팅본딩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성이 우수한 부직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웹 또는 시트를 구성하는 단섬유의 중량비가 이형 중공 단섬유는 20~40중량%, 세섬도 단섬유는 40~60중량% 및 시스코어형 중공 저융점 단섬유 20~4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성이 우수한 부직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부직포의 KS F 2805에 의한 잔향실법 흡음률은, 주파수 0.8 내지 8 kHz에서 0.7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성이 우수한 부직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다엽 형상은 4개 이상의 엽구조를 이루며 이형 중공 단섬유는 중공부, 형태유지부, 부피제어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부피제어부는 섬유 중심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으며, 말단부는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성이 우수한 부직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시스코어형 중공 저융점 단섬유는 코어부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형성, 시스부는 테레프탈산을 포함하는 디카르본산 성분과 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디올성분이 축중합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형성되며, 중공율이 7%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성이 우수한 부직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부직포를 구성하는 형상, 섬도가 서로 상이한 구성섬유 간의 상호작용으로 데드에어층을 넓게 확보하여 음에너지 전달을 방해하여 흡음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부직포와 대비하여 동일한 정도의 흡음 효과를 발현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중량이 상대적으로 줄어들어 재료 절감에 따른 비용 절감, 포의 두께 및 중량의 감소로 인한 경량성, 탄력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중공부를 다량 확보함으로써 넓은 주파수 영역 대에서 흡음성을 갖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이형 중공 단섬유의 단면도.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이형 중공 단섬유 단면의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0.5De 세섬도 단섬유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중공 저융점 단섬유의 단면도.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이형 중공 단섬유 단면의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0.5De 세섬도 단섬유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중공 저융점 단섬유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은 이형 중공 단섬유, 세섬도 단섬유 및 중공 저융점 단섬유로 이루어진 웹 또는 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웹 또는 시트를 구성하는 단섬유의 중량비는 이형 중공 단섬유는 20~40중량%, 세섬도 단섬유는 40~60중량% 및 중공 저융점 단섬유 20~40중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형 중공 단섬유(10)는 다수개의 엽구조를 포함하는 다엽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형 중공 단섬유는 중공부(100), 형태유지부(200), 부피제어부(3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중공부(100)의 중공율은 섬유 전체 면적에서 약 15 내지 30%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섬유형성성에 문제가 될 수 있고,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중공유지성과 본 발명의 다양한 기능성을 발현하는데 한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형태유지부(200)는 중공부(100)에서부터 부피제어부(300) 사이의 섬유상을 의미한다.
상기 부피제어부(300)는 섬유 중심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으며 말단부는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말단부의 최상부를 피크(310)로, 부피제어부 사이를 밸리(330)로 정의할 수 있다. 이 때 피크의 곡률반경을 R, 밸리의 곡률반경을 r로 정의할 수 있으며, 각 부피제어부마다 서로 다르거나 같은 R과 r 값이 결정될 수 있다.(도 3)
또 중공부(100)의 중심점(M)으로부터 피크(310)까지의 거리가 가장 큰 값을 T1, 중심점(M)으로부터 피크(310)까지의 거리가 가장 작은 값을 T2라 하고, 중심점(M)으로부터 밸리(330)까지의 거리가 가장 큰 값을 t1 중심점(M)으로부터 밸리(330)까지의 거리가 가장 작은 값을 t2으로 정의할 수 있다. 한편 T1을 기준으로 중심점(M)으로부터 피크(310)까지의 거리가 다음 차순위 큰 값을 갖는 부피제어부(300)의 접선을 연결하여 형성된 원을 CTmax라 하고, T2를 중심점(M)으로부터 피크(310)까지의 거리가 다음 차순위 작은 값을 갖는 부피제어부(300)의 접선을 연결하여 형성된 원을 CTmin라 하고, t1을 기준으로 중심점(M)으로부터 피크(310)까지의 거리가 다음 차순위 큰 값을 갖는 부피제어부(300)의 접선을 연결하여 형성된 원을 Ctmax라 하고, t2를 중심점(M)으로부터 피크(310)까지의 거리가 다음 차순위 작은 값을 갖는 부피제어부(300)의 접선을 연결하여 형성된 원을 Ctmin라 할 때; CTmax의 중심점(CTmaxM)과 중심점(M)간의 차이값을 CTmax-R라 하고, CTmin의 중심점(CTminM)과 중심점(M)간의 차이값을 CTmin-R라 하고, Ctmax의 중심점(CtmaxM)과 중심점(M)간의 차이값을 Ctmax-r라 하고, Ctmin의 중심점(CtminM)과 중심점(M)간의 차이값을 Ctmin-r라 규정할 때, 본 발명에 의한 섬유는 하기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도 4 내지 7)
피크의 곡률반경(R)과 밸리의 곡률반경(r)의 편차를 Z로 규정할 때 상기 Z는 하기 조건(1), (2)로 이루어질 수 있다.
(1) -3 ≤ Z ≤ 4
여기서,
R : 피크의 곡률반경
r : 밸리의 곡률반경
섬유단면 형태분석을 통한 본 발명자들의 다수의 시험결과 상기 범위 외에서 일 섬유의 부피제어부가 인접한 다른 섬유의 부피제어부 사이의 밸리에 삽입되어 마치 기어가 맞물려 있는 것과 같은 구조적 특성을 나타내었고, 삽입된 후 유동 등에 의해 이탈되지 못해 섬유 집합체의 균제도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섬유들간 부피제어부가 서로 간섭을 하여 벌키성이 유지되고 부피제어부가 인접한 섬유의 밸리에 삽입되더라도 유동 등에 의해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어 섬유 집합체에서 균제도를 향상시키는 요소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섬유는 CTmax-R, CTmin-R, Ctmax-r, Ctmin-r이 다음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여기서,
T1 : 중심점(M)으로부터 피크(310)까지의 거리가 가장 큰 값
T2 : 중심점(M)으로부터 피크(310)까지의 거리가 가장 작은 값
t1 : 중심점(M)으로부터 밸리(330)까지의 거리가 가장 큰 값
t2 : 중심점(M)으로부터 밸리(330)까지의 거리가 가장 작은 값
CTmax : T1을 기준으로 중심점(M)으로부터 피크(310)까지의 거리가 다음 차순위 큰 값을 갖는 부피제어부(300)의 접선을 연결하여 형성된 원
CTmin : T2를 중심점(M)으로부터 피크(310)까지의 거리가 다음 차순위 작은 값을 갖는 부피제어부(300)의 접선을 연결하여 형성된 원
Ctmax : t1을 기준으로 중심점(M)으로부터 피크(310)까지의 거리가 다음 차순위 큰 값을 갖는 부피제어부(300)의 접선을 연결하여 형성된 원
Ctmin : t2를 중심점(M)으로부터 피크(310)까지의 거리가 다음 차순위 작은 값을 갖는 부피제어부(300)의 접선을 연결하여 형성된 원
CTmax-R : CTmax의 중심점(CTmaxM)과 중심점(M)간의 차이값
CTmin-R : CTmin의 중심점(CTminM)과 중심점(M)간의 차이값
Ctmax-r : Ctmax의 중심점(CtmaxM)과 중심점(M)간의 차이값
Ctmin-r : Ctmin의 중심점(CtminM)과 중심점(M)간의 차이값
상기 조건 (3),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섬유의 형성성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이상적으로 상기 값은 1이 되어야 하나, 고분자의 레올로지적 특성에 의해 1이 될 수 없다. 조건 (3)은 부피제어부 형성에 관한 것일 수 있는데 상기 범위 외에서는 부피제어부의 편차가 커지고 r 값의 편차도 커질 수 있어 공정상 카딩성이나 부직포에서 벌키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조건 (4)는 섬유형태성으로 해석될 수 있는데 중공부(100)와 형태유지부(200)의 형성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상기 범위 외에서는 중공형성성과 섬유의 형태유지가 불안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형중공 단섬유의 다엽 형상은 4개 이상의 엽구조를 이루는 것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이형중공 단섬유의 표면에 부피제어부가 4 내지 12개가 형성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엽의 구조가 4개 이상을 형성함으로써 데드에어층의 확보율이 증가하여 흡음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뚜렷이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중 세섬도 단섬유는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세섬도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데니어 미만의 세섬도 단섬유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1데니어 미만의 세섬도 단섬유로 형성됨으로써 동일 두께 적층시 더 많은 층을 확보하여 조직의 밀도가 증가되어 흡음성을 향상시키고 부직포의 내구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중 중공 저융점 단섬유는 결합재로 사용될 수도 있고, 또는 흡음을 위한 구성 섬유로 사용될 수도 있다.
부직포 제조방법 중 히팅본딩에 의하여 부직포를 제작할 경우 상기 중공 저융점 단섬유가 결합재로 작용하여 구성섬유들과 결합함으로써 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결합재에 의해 섬유간의 결속력이 향상됨으로써 임의의 모양으로 성형하기 용이할 수 있다.
니들펀칭에 의하여 제작할 경우 히팅공정이 불필요하여 상기 중공 저융점 단섬유는 결합재로 사용되지 않는다. 또한 중공의 데드에어층을 보유하여 다른 구성섬유와 같이 데드에어층 확보 및 음에너지 상실을 위한 구성섬유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히팅공정이 없어 상기 중공 저융점 단섬유의 용융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중공의 데드에어층이 유지될 수 있다.
히팅본딩 및 니들펀칭을 둘 다 이용하여 제작할 경우 중공 저융점 단섬유는 중공의 데드에어층 확보 구성 및 결합재로서 모두 작용할 수 있다. 상기 히팅본딩 및 니들펀칭을 함으로써 일정한 두께를 형성한 부직포는 중공 저융점 단섬유에 의해 섬유간의 결속력이 강화되고, 중공의 데드에어층 확보로 흡음성이 향상될 수도 있다.
상기 중공 저융점 단섬유의 중공 형상은 원형, 이형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원형은 시스코어형 또는 해도사형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공 저융점 단섬유의 이형 중공 형상은 이형중공 단섬유의 형상이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 상기 중공 저융점 단섬유는 시스부와 코어부를 갖는 시스코어형 중공으로, 상기 코어부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형성되고, 상기 시스부는 테레프탈산을 포함하는 디카르본산 성분과 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디올성분이 축중합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어부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 Trimethyleneterephthalate, PTT)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고유점도가 높으면 중공형 시스-코어형 열접착 복합섬유 제조시 코어부 내의 중공형태가 내원방향으로 몰림현상이 증가하여 중공율도 감소할 수 있으므로 상기 코어부를 형성하는 폴리에스테르의 고유점도는 0.50~0.64dL/g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시스부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는 융점이 없이 연화거동만을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일실시예에 의한 시스코어형 중공 저융점 단섬유는 중공형태의 복합섬유로 중공율은 경량성, 벌키성, 흡음성, 보온성 등의 다기능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인자이며, 중공율이 너무 낮으면 경량성, 벌키성, 흡음성, 보온성 등의 다기능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중공율이 7%이상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시스부와 코어부는 중량비 30:70~70:30으로 형성되어 본 발명의 시스코어형 중공 저융점 단섬유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웹 또는 시트는 니들펀칭 또는 히팅본딩 외에 워터 젯에 의한 스펀레이스, 스티치 본딩 또는 케미칼본딩 등의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섬유는 섬유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모든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polyester)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나일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산(PT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글리콜(PETG), 폴리시클로헥산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CT)로 이루어진 군에서 1이상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부직포는 비제한적인 예로서 열가소성 수지인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질 수 있고, 냉각 및 고화 공정에서 결정화 속도차로 인한 자발크림프 발현을 통해 단섬유 상태나 부직포 형태에서 벌키성 및 탄력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흡음은 재료의 한쪽에 소리를 투사하고 그쪽에서만 관찰하면 반사되어 오지 않는 소리는 재료에 흡수된 것과 투과한 것인데, 겉보기에는 그 재료에 흡수된 것으로 보이므로 이것을 흡음이라 하고, 입사한 소리의 에너지에 대하여 반사되지 않은 소리의 에너지 비율을 흡음률이라 한다. 흡음률은 소리의 주파수, 입사각, 재료 두께, 설치방식 및 그 뒷면의 상황 등에 따라 다르다. 여러 가지 흡음률을 가진 흡음재를 써서 실내의 음향효과를 개선하거나, 소음레벨을 저하시키는 데 이용한다.
또한, 소리는 에너지로서 회절현상에 의해 소리가 전달되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흡음소재가 설치된 공간이라 해도 소리가 외부로 전파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의한 흡음성이 우수한 부직포는 흡음성은 물론 회절현상에 의한 소리전달현상까지 억제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본 발명의 구성 중 부피제어부가 섬유간의 물리적 간섭에 의해 벌키성을 확보하여 그 사이에 공간을 더 확보함으로써 섬유의 진동, 상대적인 두께확보 등을 통해 흡음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피제어부는 원형단면에 비해 비표면적 확대됨으로 회절현상을 통해 전파되는 소리에너지가 본 발명에 의한 부피제어부를 따라 이동하는 동한 에너지가 소모되어 소리에너지가 저감되는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에 의한 흡음성 섬유를 이용한 기능성 제지는 방음내지 차음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부직포는 이형중공 단섬유와 중공 저융점 단섬유에 의한 중공부의 다량 확보로 고주파, 저주파를 포함한 전 주파수 영역대에서 흡음 효과를 갖을 수 있다.
이하 실시예로서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De'는 섬유 단위인 denier를 의미한다.)
실시예 1
부직포 구성은 PET 이형 중공 단섬유 30중량%, PET 0.5De'인 세 섬도 단섬유 40중량%, 중공 저융점 단섬유 30중량%를 히팅본딩 작업에 의해서 준비한다.
단면적은 840*840(mm*mm)이고, 중량은 240g이며, 두께는 20mm로 설정한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한 섬유를 이용하되, PET 이형 중공 단섬유 대신 동일 섬도의 원형 단섬유를 혼합하여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섬유를 이용하되, PET 이형 중공 단섬유 대신 동일 섬도의 중공 단섬유를 혼합하여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섬유를 이용하되, PET 0.5De'인 세 섬도 단섬유 대신 섬도가 다른 1.4De'단섬유를 혼합하여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실시예 1과 동일한 섬유를 이용하되, 바인더 섬유로 중공 저융점 단섬유 대신 동일섬도의 원형 저융점 단섬유를 혼합하여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실시예 1과 동일한 섬유를 이용하되, PET 0.5De'인 세 섬도 단섬유를 제외하고 PET 이형 중공 단섬유 70중량%, 중공 저융점 단섬유 30중량%를 혼합하여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 측정 방법
가. 잔향실법에 의한 흡음률 측정
ISO 354(KS F 2805: 잔향실내의 흡음율 측정방법)에 준하는 장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시험편의 크기는 1.0m x 1.2m 로하며, 잔향시간은 초기 읍압 대비 20dB 감쇄되었을 때로 하며, 음원은 1/3 Octave band 음원을 사용했다. 주파수 범위는 0.8~8kHz 범위에서 흡음률을 측정하였다.
구분 |
잔향실법 흡음률(a) | ||||||
실시예1 | 비교예1 | 비교예2 | 비교예3 | 비교예4 | 비교예5 | ||
주파수 (kHz) |
0.8 | 0.82 | 0.40 | 0.49 | 0.78 | 0.48 | 0.69 |
1.0 | 0.84 | 0.39 | 0.49 | 0.81 | 0.47 | 0.75 | |
1.25 | 0.85 | 0.39 | 0.49 | 0.78 | 0.49 | 0.73 | |
1.6 | 0.86 | 0.41 | 0.51 | 0.78 | 0.54 | 0.72 | |
2 | 0.88 | 0.43 | 0.52 | 0.81 | 0.56 | 0.75 | |
2.5 | 0.84 | 0.42 | 0.51 | 0.80 | 0.53 | 0.72 | |
3.15 | 0.79 | 0.39 | 0.47 | 0.75 | 0.50 | 0.70 | |
4 | 0.79 | 0.37 | 0.46 | 0.73 | 0.48 | 0.65 | |
5 | 0.80 | 0.40 | 0.50 | 0.71 | 0.47 | 0.60 | |
6.3 | 0.78 | 0.40 | 0.56 | 0.69 | 0.47 | 0.59 | |
8 | 0.71 | 0.37 | 0.61 | 0.69 | 0.47 | 0.58 |
a : 잔향실법 흠음률
c : 공기중의 음속 (m/s)
c = 331 + 0.6t (t : 공기의 온도)
S : 시료 면적 (㎡)
V : 잔향실 용적 (㎥)
T2 : 시료를 넣지 않은 상태에서의 잔향시간 (s)
T1 : 시료를 넣은 상태에서의 잔향시간 (s)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조성을 수립하였을 때 비교예와 비교하여, 잔향실법 흡음률이 가장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이형중공 단섬유, 세섬도 단섬유 및 시스코어형 중공 저융점 단섬유의 특이적 형상의 결합 및 상호작용으로 이형의 표면적이 음파를 다른 에너지로 변경 또는 난반사 시키고, 섬도가 작아짐에 따라 섬유의 구성본수가 증가되고, 데드에어층 및 중공의 데드에어층이 통과하는 음에너지를 흡수하여, 흡음성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5)
- 다엽 형상의 이형 중공 단섬유, 1데니어 미만의 세섬도 단섬유 및 시스코어형 중공 저융점 단섬유로 이루어진 웹 또는 시트로 구성되되,
상기 웹 또는 시트는 니들펀칭 또는 히팅본딩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성이 우수한 부직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 또는 시트를 구성하는 단섬유의 중량비가 이형 중공 단섬유는 20~40중량%, 세섬도 단섬유는 40~60중량% 및 시스코어형 중공 저융점 단섬유는 20~4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성이 우수한 부직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의 KS F 2805에 의한 잔향실법 흡음률은, 주파수 0.8 내지 8 kHz에서 0.7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성이 우수한 부직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엽 형상은 4개 이상의 엽구조를 이루며,
상기 이형 중공 단섬유는 중공부, 형태유지부, 부피제어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부피제어부는 섬유 중심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으며, 말단부는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성이 우수한 부직포.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코어형 중공 저융점 단섬유는 코어부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형성, 시스부는 테레프탈산을 포함하는 디카르본산 성분과 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디올성분이 축중합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형성되며, 중공율이 7%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성이 우수한 부직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28830A KR101875927B1 (ko) | 2016-10-06 | 2016-10-06 | 흡음성이 우수한 부직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28830A KR101875927B1 (ko) | 2016-10-06 | 2016-10-06 | 흡음성이 우수한 부직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38143A true KR20180038143A (ko) | 2018-04-16 |
KR101875927B1 KR101875927B1 (ko) | 2018-08-02 |
Family
ID=62082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28830A KR101875927B1 (ko) | 2016-10-06 | 2016-10-06 | 흡음성이 우수한 부직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7592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234914A (zh) * | 2018-11-14 | 2019-01-18 | 魏吉强 | 内衬无纺布及其内衬冷压2d、3d成型方法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260051A (ja) * | 1988-04-01 | 1989-10-17 | Mitsubishi Rayon Co Ltd | 繊維ウェブ |
KR20110069474A (ko) * | 2009-12-17 | 2011-06-23 | 재단법인 국방기술품질원 | 고보온성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
KR20150034797A (ko) * | 2012-08-23 | 2015-04-03 |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 멜트블로운 부직포 및 그의 용도 |
KR101602420B1 (ko) * | 2014-10-29 | 2016-03-11 | 주식회사 휴비스 | 이형단면 중공섬유를 포함하는 보온용 부직포 |
KR20160028062A (ko) * | 2014-09-02 | 2016-03-11 | 주식회사 휴비스 | 이형단면 중공섬유를 포함하는 섬유 집합체 |
-
2016
- 2016-10-06 KR KR1020160128830A patent/KR10187592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260051A (ja) * | 1988-04-01 | 1989-10-17 | Mitsubishi Rayon Co Ltd | 繊維ウェブ |
KR20110069474A (ko) * | 2009-12-17 | 2011-06-23 | 재단법인 국방기술품질원 | 고보온성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
KR20150034797A (ko) * | 2012-08-23 | 2015-04-03 |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 멜트블로운 부직포 및 그의 용도 |
KR20160028062A (ko) * | 2014-09-02 | 2016-03-11 | 주식회사 휴비스 | 이형단면 중공섬유를 포함하는 섬유 집합체 |
KR101602420B1 (ko) * | 2014-10-29 | 2016-03-11 | 주식회사 휴비스 | 이형단면 중공섬유를 포함하는 보온용 부직포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234914A (zh) * | 2018-11-14 | 2019-01-18 | 魏吉强 | 内衬无纺布及其内衬冷压2d、3d成型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75927B1 (ko) | 2018-08-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416532B2 (en) | Interior sound absorption sheet and sound absorbing sound-proofing panel containing same | |
CA2886817C (en) | Sound-absorbing material with excellent sound-absorbing performa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 |
CN107675354B (zh) | 静电纺-熔喷-干法成网制备三组分吸音棉的方法及装置 | |
WO2020053211A1 (en) | Three-dimensional thermoplastic sandwich panel composite | |
KR101651943B1 (ko) | 이형단면 중공섬유를 포함하는 섬유 집합체 | |
KR101915811B1 (ko) | 흡음성이 우수한 부직포 | |
US9593479B2 (en) | Sound absorption sheet with improved sound absorption func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
JP3342817B2 (ja) | 遮音構造体 | |
KR101875927B1 (ko) | 흡음성이 우수한 부직포 | |
KR101741127B1 (ko) | 흡음성 섬유를 이용한 기능성 제지 | |
EP3531415A1 (en) | Soundproof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oundproof structure | |
JP2001316961A (ja) | 吸音構造体 | |
KR20190044794A (ko) | 흡음성이 우수한 이형단면 섬유 및 이를 포함한 부직포 | |
KR102225626B1 (ko) |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보드 및 이의 제조 방법 | |
JP2019043014A (ja) | 複合吸音材 | |
KR102388493B1 (ko) | 전기자동차용 엔진룸 흡음패널 및 그 제조방법 | |
KR20240010649A (ko) | 이중공 섬유를 이용한 고흡음 부직포 | |
KR101875928B1 (ko) | 압축회복력이 우수한 흡음성 섬유집합체 | |
US20220410525A1 (en) | Layered sound-absorbing material | |
KR101617797B1 (ko) | 저융점 고분자를 포함하는 이형 단면 섬유 및 이를 이용한 섬유집합체 | |
KR102317518B1 (ko) | 샌드위치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2183243B1 (ko) | 중공사용 방사구금을 이용한 흡음성이 우수한 중공사 | |
KR101090359B1 (ko) | 복합기능성 섬유 구조체 | |
KR101958482B1 (ko) | 흡음성능이 우수한 섬유집합체 및 그 제조방법 | |
KR101151441B1 (ko) | 흡음성능이 향상된 복합섬유, 복합가공사 및 원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