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0649A - 이중공 섬유를 이용한 고흡음 부직포 - Google Patents

이중공 섬유를 이용한 고흡음 부직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0649A
KR20240010649A KR1020220087379A KR20220087379A KR20240010649A KR 20240010649 A KR20240010649 A KR 20240010649A KR 1020220087379 A KR1020220087379 A KR 1020220087379A KR 20220087379 A KR20220087379 A KR 20220087379A KR 20240010649 A KR20240010649 A KR 20240010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fibers
fiber
nonwoven fabric
hollow fi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7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기혁
이윤정
홍정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비스
Priority to KR1020220087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0649A/ko
Publication of KR20240010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0649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1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4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ith a hollow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2Side-by-side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4Core-skin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1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 D04H1/5412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sheath-cor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1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 D04H1/5414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side-by-sid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2Adhesive fibres
    • D04H1/544Olefin ser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2Adhesive fibres
    • D04H1/55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2Adhesive fibres
    • D04H1/551Resins thereof not provided for in groups D04H1/544 - D04H1/55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 D04H13/001Making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to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e.g. woven, knitted non-woven fabric, paper, leather, during consolidation
    • D04H13/007Making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to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e.g. woven, knitted non-woven fabric, paper, leather, during consolidation strengthened or consolidated by welding together the various component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2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 개의 중공섬유 및 상기 중공섬유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된 2개의 중공을 갖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이중공섬유 및 시스-코어형 열접착 복합섬유로 구성된 이중공 섬유를 이용한 고흡음 부직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중공 섬유를 이용한 고흡음 부직포{High Sound-Absorbing Nonwoven Fabric Using Double Hole Fibers}
본 발명은 이중공 섬유를 이용한 고흡음 부직포에 관한 것으로, 이중공 사이드 바이 사이드 단섬유 및 저융점 바인더 섬유를 이용한 고흡음 부직포에 관한 것이다.
부직포는 방적, 제직, 편성에 의한 공정 없이 섬유집합체를 화학적 작용이나 기계적 작용 또는 적당한 수분이나 열처리에 의해 섬유 상호 간을 결합시킨 포(布)의 형상을 갖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흡음과 관련한 소재로 다양한 종류의 흡음재(sound absorber)가 음향을 흡수하기 위해 다수의 상이한 분야들에서 사용된다. 공지된 흡음재는 개방 셀(open-cell) 재료, 예컨대 유리솜(glass wool), 암면(rock wool), 스펀지(sponge), 펠트(felt) 또는 우레탄 발포체(urethane form); 다공성 재료, 예컨대 다공성 소결 보드(sintered board), 금속 섬유 보드(metallic fiber board) 또는 발포 금속 보드(foam metal board); 개방 셀 쵸크 보드(chalk board); 시트 재료와 부직물(nonwoven) 흡음재의 조합물; 또는 특정 필름들을 포함한다.
유리솜 또는 펠트는 자동차의 엔진 격실로부터의 음향을 흡수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러한 경우, 흡음률(sound absorbing coefficient)은 흡음재의 두께에 비례하여 증가할 수 있다. 흡음재의 중량 및 비용은 두께가 증가됨에 따라 커진다.
다양한 흡음재가 전기 및 전자 장비에 사용된다. 그러한 장비의 크기 감소 및 비용 절감이 지속적으로 강조된다.
다공성 흡음재는 음파가 다공질재를 진동시키며 음에너지가 열에너지로 전환이 되면서 감소된다. 상기 음에너지는 에너지 전달시 매질을 필요로 하며, 공기 속에서보다 분자간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까운 액체나 고체에서 더 잘 전달된다. 공기 속에서는 공기분자 간 거리가 멀어 소리가 전달되면서 음에너지의 손실이 많다. 그러나 액체나 고체에서는 분자와 분자간 거리가 가깝기 때문에 음파가 잘 손실되지 않고 더 쉽게 전달되는 것이다. 어릴 때 만들어서 놀던 실전화기로 들으면 공기중에서는 들리지 않는 먼 거리에서 속삭이는 소리도 잘 들을 수 있는 것이다.
다공질 재료는 고주파에 흡음성이 좋지만 저주파는 효과가 적다. 저주파 흡음을 위해서는 격벽, 중공층과 같은 흡음재 뒷면의 공기층을 두는 것이 흡음 효과를 좋게 한다.
대한민국특허공개공보 제2011-0004418호는 다공시트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관통 미세 보어 및 개구를 갖는 필름 층, 및 필름 층 상에 배치되는 섬유질 재료 층을 포함하는 다층 흡음 시트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426602호는 단열, 흡음, 차음 기능과 방수기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자동차 내장재용 부직포로서 PET 중공 단섬유, LM 단섬유와 PP 단섬유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성형성이 우수하여 제품을 형틀에서 제조할 때 용이하고, 생산성 및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고 개시되어 있으나,
상기 특허는 다공성 필름층 및 단섬유로 결합된 시트에 관한 것으로 이형 중공 단섬유 및 중공 바인더 섬유로 구성된 부직포에 의해 흡음성에 영향을 주는 공기층 확보에 대한 개선된 기술을 제공하려고 한다.
본 발명은 흡음성을 갖도록 부직포가 공기층, 즉 데드에어층을 최대로 보유하기 위하여 이중공 사이드 바이 사이드 단섬유 및 저융점 바인더 섬유를 이용한 고흡음 부직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넓은 영역의 주파수에서 흡음성을 갖는 부직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두 개의 중공섬유 및 상기 중공섬유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된 2개의 중공을 갖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이중공섬유 및 시스-코어형 열접착 복합섬유로 구성된 이중공 섬유를 이용한 고흡음 부직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중공섬유는 제1중공섬유 및 제2중공섬유로 구분되되, 상기 제1중공섬유 또는 제2중공섬유의 단면은 원형, 타원, 삼각, 사각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이며,상기 제1중공섬유 또는 제2중공섬유의 단면은 동일 또는 이형인 것에 특징이 있는 2개의 중공을 갖는 것에 특징이 있는 이중공 섬유를 이용한 고흡음 부직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중공섬유 및 제2중공섬유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폴리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페닐렌설파아드 중 어느 하나로 동일하며,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폴리머의 고유점도는 0.60~0.70 dl/g이며,상기 제1중공섬유 및 제2중공섬유의 점도는 동일한 것에 특징이 있는 이중공 섬유를 이용한 고흡음 부직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인 상기 시스-코어형 열접착 복합섬유에서 상기 코어부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시스부는 테레프탈산을 포함하는 디카르본산 성분과 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디올성분이 축중합된 공중합폴리에스테르 수지로 형성되고, 중공율이 7%이상이며,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는, 테레프탈산 및/또는 그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 80~50몰%와 디-메타-하이드록시에틸렌프탈레이트 또는 그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 20~50몰%인 디카르본산 성분과, 에틸렌글리콜 99~75몰%와 디에틸렌글리콜 1~25몰%인 디올성분으로 형성되어 융점이 없이 연화거동만을 보이는 것으로,상기 코어부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고유점도는 0.50~0.64L/g이고, 상기 시스부와 코어부는 중량비 30:70~70:30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공 섬유를 이용한 고흡음 부직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인 상기 시스-코어형 열접착 복합섬유는 단순 복합섬유 또는 중공형 복합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공 섬유를 이용한 고흡음 부직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부직포를 구성하는 2종류의 이중공 사이드 바이 사이드 단섬유 및 저융점 바인더 섬유로 구성된 부직포로서 부직포가 공기층, 즉 데드에어층을 많이 확보할 수 있어 흡음성이 뛰어나다.
또한, 중공부를 다량 확보함으로써 넓은 주파수 영역 대에서 흡음성을 갖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은 두 개의 중공섬유 및 상기 중공섬유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된 2개의 중공을 갖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이중공섬유 및 시스-코어형 열접착 복합섬유로 구성된 이중공 섬유를 이용한 고흡음 부직포에 관한 것이다.
먼저, 사이드 바이 사이드 이중공섬유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중공섬유는 제1중공섬유 및 제2중공섬유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제1중공섬유 또는 제2중공섬유의 단면은 원형, 타원, 삼각, 사각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1중공섬유 또는 제2중공섬유의 단면은 동일 또는 상호 다른 이형도 상관없으며, 또한 면적도 동일한 면적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면적 차이가 큰 면적 대비 50% 작은 경우도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중공섬유 및 제2중공섬유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폴리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페닐렌설파아드 중 어느 하나로 동일하며,
또한 상기 제1중공섬유 및 제2중공섬유 중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폴리머의 고유점도가 0.60~0.70 dl/g 중 어느 하나로 동일한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동일한 점도 조성물로 구성될 경우 상호 중공율 차이에 의해 기계적인 크림프 형태로 발생될 수 있어 벌키성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1중공섬유 또는 제2중공섬유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폴리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페닐렌설파아드 중 서로 다른 어느 하나이며,
상기 제1중공섬유 또는 제2중공섬유 중 어느 하나는 고유점도가 0.60~0.70 dl/g이고, 다른 하나는 0.45~0.55dl/g로 고유 점도의 차이가 있는 경우 방사 후 열 수축차이가 발생되여 컬(Curl)이 발생되여 크림프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중공섬유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머 및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폴리머의 고유점도는 0.60~0.70 dl/g이고,
상기 제2중공섬유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머 및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폴리머의 고유점도는 0.45~0.55dl/g인 것에 특징이 있다.
이때 고유점도 차이가 유지되면 제1중공섬유 또는 제2중공섬유의 폴리머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폴리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페닐렌설파아드 중 동일여부에 상관없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중공섬유 또는 제2중공섬유를 동시 방사하는 것으로 연결부에 해당되는 방사구금도 존재하며, 따라서 연결부는 연결부분의 중간에 상기 제1중공섬유 또는 제2중공섬유의 폴리머가 접촉하여 연결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제1중공섬유 또는 제2중공섬유의 중공율은 5~20%이며 상기 범위에서 속하면 되고 동일여부에 대한 한정은 없다.
다음으로, 시스-코어형 열접착 복합섬유는 결합재와 동시에 흡음재의 구성 섬유로 사용될 수도 있다.
부직포 제조방법 중 히팅본딩에 의하여 부직포를 제작할 경우 상기 시스-코어형 열접착 복합섬유가 결합재로 작용하여 구성섬유들과 결합함으로써 부직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결합재에 의해 섬유간의 결속력이 향상됨으로써 임의의 모양으로 성형하기 용이할 수 있다.
니들펀칭에 의하여 제작할 경우 상기 시스-코어형 열접착 복합섬유는 결합재로 사용되지 않지만, 중공의 데드에어층을 보유하여 다른 구성섬유와 같이 데드에어층 확보 및 음에너지 상실을 위한 구성섬유로서 역할은 유지된다.
니들펀칭 및 히팅본딩을 둘 다 이용하여 제작할 경우 시스-코어형 열접착 복합섬유는 중공의 데드에어층 확보 구성 및 결합재로서 모두 작용할 수 있다. 상기 니들펀칭 및 히팅본딩을 함으로써 일정한 두께를 형성한 부직포는 시스-코어형 열접착 복합섬유에 의해 섬유간의 결속력이 강화되고, 중공의 데드에어층 확보로 흡음성이 향상될 수도 있다.
상기 시스-코어형 열접착 복합섬유 단순 복합섬유 또는 중공형 복합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중공형 복합섬유의 중공 형상은 원형, 이형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원형은 시스코어형 또는 해도사형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 상기 시스-코어형 열접착 복합섬유는 시스부와 코어부를 갖는 시스코어형 중공으로, 상기 코어부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시스부는 테레프탈산을 포함하는 디카르본산 성분과 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디올성분이 축중합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어부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 Trimethyleneterephthalate, PTT)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고유점도가 높으면 중공형 시스-코어형 열접착 복합섬유 제조시 코어부 내의 중공형태가 내원방향으로 몰림현상이 증가하여 중공율도 감소할 수 있으므로 상기 코어부를 형성하는 폴리에스테르의 고유점도는 0.50~0.64dL/g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시스부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는 융점이 없이 연화거동만을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시스-코어형 열접착 복합섬유의 일예인 중공형태의 복합섬유로 중공율은 경량성, 벌키성, 흡음성, 보온성 등의 다기능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인자이며, 중공율이 너무 낮으면 경량성, 벌키성, 흡음성, 보온성 등의 다기능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중공율이 3%이상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시스부와 코어부는 중량비 30:70~70:30으로 형성되어 본 발명의 시스코어형 중공 저융점 단섬유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웹 또는 시트는 니들펀칭 또는 히팅본딩 외에 워터 젯에 의한 스펀레이스, 스티치 본딩 또는 케미칼본딩 등의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흡음은 재료의 한쪽에 소리를 투사하고 그쪽에서만 관찰하면 반사되어 오지 않는 소리는 재료에 흡수된 것과 투과한 것인데, 겉보기에는 그 재료에 흡수된 것으로 보이므로 이것을 흡음이라 하고, 입사한 소리의 에너지에 대하여 반사되지 않은 소리의 에너지 비율을 흡음률이라 한다. 흡음률은 소리의 주파수, 입사각, 재료 두께, 설치방식 및 그 뒷면의 상황 등에 따라 다르다. 여러 가지 흡음률을 가진 흡음재를 써서 실내의 음향효과를 개선하거나, 소음레벨을 저하시키는 데 이용한다.
또한, 소리는 에너지로서 회절현상에 의해 소리가 전달되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흡음소재가 설치된 공간이라 해도 소리가 외부로 전파될 수 있다.
본 발명인 흡음성이 우수한 부직포는 흡음뿐만 아니라 회절현상에 의한 소리전달현상까지 억제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부직포는 2개의 중공을 갖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이중공섬유와 시스-코어형 열접착 복합섬유에 의한 중공부의 다량 확보로 고주파, 저주파를 포함한 전 주파수 영역대에서 흡음 효과를 갖을 수 있다.
이하 실시예로서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De'는 섬유 단위인 denier를 의미한다.)
실시예 1
고유점도 고점도 0.64dl/g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사용하여 단독방사 및 고유점도 고점도 0.64dl/g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복합방사하여 방사온도 285℃에서 방사속도를 1,000m/min로 방사후 연신비 3.8로 연신 후 단섬유 섬도 7De이고, 섬유장 64mm인 사이드 바이 사이드 이중공섬유를 제조하였다.
코어부는 점도가 0.64dL/g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사용하였으며, 시스부는 테레프탈산 70몰%와 디-메타-하이드록시에틸렌프탈레이트 30몰%을 디카르본산 성분으로, 에틸렌글리콜 80몰%와 디에틸렌글리콜 20몰%을 디올성분으로 공중합하여 제조되는 융점이 없이 연화거동만을 보이는 열접착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였다.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와 열접착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시스-코어 중공 복합방사장치를 통해 800m/min의 방사속도로 방사하였으며, 방사된 복함섬유를 3.5배 연신배향하고, 크림프를 부여하여 51 mm로 절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스-코어형 열접착 중공복합섬유를 제조하였다.
상기 사이드 바이 사이드 이중공섬유 70중량부, 시스-코어형 열접착 중공복합섬유 30중량부를 니들펀칭 후 140℃에서 히팅본딩하여 준비한다.
이 부직포는 560*480(m*m)이고 중량은 약 500g/m2이고 약 20mm의 두께가 되도록 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되, 시스-코어형 열접착 중공복합섬유 대신에 시스-코어형 열접착 단순복합섬유로 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하되, 사이드 바이 사이드 이중공섬유 대신에 일반 폴리에스테르 단섬유로 하였으며, 시스-코어형 열접착 중공복합섬유 대신에 일반 저융점 폴리올레핀 섬유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되, 사이드 바이 사이드 이중공섬유 대신에 1중공섬유로 대신하였으며, 시스-코어형 열접착 중공복합섬유 대신에 일반 저융점 폴리올레핀 섬유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되, 사이드 바이 사이드 이중공섬유 대신에 이형단면 중공 단섬유로 대신하였으며, 시스-코어형 열접착 중공복합섬유 대신에 일반 저융점 폴리올레핀 섬유을 사용하였다.
* 측정 방법
가. 잔향실법에 의한 흡음률 측정
ISO 354(KS F 2805: 잔향실내의 흡음률 측정방법)에 준하는 장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시험편의 크기는 1.0m x 1.2m 로하며, 잔향시간은 초기 읍압 대비 20dB 감쇄되었을 때로 하며, 음원은 1/3 Octave band 음원을 사용했다. 주파수 범위는 0.8~8kHz 범위에서 흡음률을 측정하였다.
구분

잔향실법 흡음률(a)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구성
섬유
종류
사이드 바이 사이드 이중공섬유 사이드 바이 사이드 이중공섬유 일반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1중공섬유 이형단면 중공 단섬유
시스-코어형 열접착 중공복합섬유
시스-코어형 열접착 단순복합섬유 일반 저융점 폴리올레핀 섬유 일반 저융점 폴리올레핀 섬유 일반 저융점 폴리올레핀 섬유


400 0.08 0.04 0.07 0.09 0.08
500 0.10 0.09 0.12 0.23 0.13
630 0.14 0.17 0.16 0.21 0.18
800 0.20 0.22 0.24 0.28 0.25
1k 0.27 0.31 0.28 0.32 0.26
1.25k 0.31 0.31 0.29 0.30 0.30
1.6k 0.51 0.51 0.43 0.47 0.40
2k 0.59 0.59 0.50 0.53 0.53
2.5k 0.70 0.69 0.58 0.60 0.69
3.15k 0.78 0.75 0.63 0.66 0.73
4k 0.80 0.78 0.64 0.66 0.74
5k 0.86 0.86 0.71 0.76 0.81
6.3k 0.91 0.88 0.76 0.77 0.84
8k 0.94 0.91 0.79 0.81 0.87
10k 0.92 0.90 0.77 0.81 0.87
평균 0.54 0.53 0.47 0.50 0.51
흠음향상 16% 15% 0% 8% 0.51%
a : 잔향실법 흠음률
c : 공기중의 음속 (m/s) (c = 331 + 0.6t (t : 공기의 온도))
S : 시료 면적 (㎡)
V : 잔향실 용적 (㎥)
T2 : 시료를 넣지 않은 상태에서의 잔향시간 (s)
T1 : 시료를 넣은 상태에서의 잔향시간 (s)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조성을 수립하였을 때 비교예보다 잔향실법 흡음률이 가장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 1이 비교예 1보다 16% 흡음률 향상을 보였으며, 시스-코어형 열접착 단순복합섬유도 15% 흡음률 향상이 됨을 알 수 있다.

Claims (5)

  1. 두 개의 중공섬유 및 상기 중공섬유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된 2개의 중공을 갖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이중공섬유 및
    시스-코어형 열접착 복합섬유로 구성된 이중공 섬유를 이용한 고흡음 부직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섬유는 제1중공섬유 및 제2중공섬유로 구분되되,
    상기 제1중공섬유 또는 제2중공섬유의 단면은 원형, 타원, 삼각, 사각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제1중공섬유 또는 제2중공섬유의 단면은 동일 또는 이형인 것에 특징이 있는 2개의 중공을 갖는 것에 특징이 있는 이중공 섬유를 이용한 고흡음 부직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중공섬유 및 제2중공섬유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폴리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페닐렌설파아드 중 어느 하나로 동일하며,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폴리머의 고유점도는 0.60~0.70 dl/g이며,
    상기 제1중공섬유 및 제2중공섬유의 점도는 동일한 것에 특징이 있는 이중공 섬유를 이용한 고흡음 부직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코어형 열접착 복합섬유에서
    상기 코어부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시스부는 테레프탈산을 포함하는 디카르본산 성분과 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디올성분이 축중합된 공중합폴리에스테르 수지로 형성되고, 중공율이 7%이상이며,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는, 테레프탈산 및/또는 그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 80~50몰%와 디-메타-하이드록시에틸렌프탈레이트 또는 그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 20~50몰%인 디카르본산 성분과, 에틸렌글리콜 99~75몰%와 디에틸렌글리콜 1~25몰%인 디올성분으로 형성되어 융점이 없이 연화거동만을 보이는 것으로,
    상기 코어부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고유점도는 0.50~0.64L/g이고, 상기 시스부와 코어부는 중량비 30:70~70:30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공 섬유를 이용한 고흡음 부직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코어형 열접착 복합섬유는 단순 복합섬유 또는 중공형 복합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공 섬유를 이용한 고흡음 부직포.
KR1020220087379A 2022-07-15 2022-07-15 이중공 섬유를 이용한 고흡음 부직포 KR202400106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379A KR20240010649A (ko) 2022-07-15 2022-07-15 이중공 섬유를 이용한 고흡음 부직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379A KR20240010649A (ko) 2022-07-15 2022-07-15 이중공 섬유를 이용한 고흡음 부직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0649A true KR20240010649A (ko) 2024-01-24

Family

ID=89717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7379A KR20240010649A (ko) 2022-07-15 2022-07-15 이중공 섬유를 이용한 고흡음 부직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064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78352B2 (en) Acoustic insulator and wiring harness with acoustic insulator
KR101780649B1 (ko) 흡음 및 전자파 차단 효과가 우수한 단열패드
KR101317818B1 (ko) 흡음성능이 개선된 자동차용 대쉬 인너 인슐레이터
US20210362461A1 (en) Three-dimensional thermoplastic sandwich panel composite
CN109996914B (zh) 吸声绝热材料
KR101651943B1 (ko) 이형단면 중공섬유를 포함하는 섬유 집합체
US11270680B2 (en) Soundproof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oundproof structure
JP3342817B2 (ja) 遮音構造体
WO2019004408A1 (ja) 遮音用繊維集積体、吸遮音材および車両用吸遮音材
KR101915811B1 (ko) 흡음성이 우수한 부직포
CN106335258B (zh) 多层缓冲隔离垫及包括其的车辆
KR20240010649A (ko) 이중공 섬유를 이용한 고흡음 부직포
JP2019045636A (ja) 複合吸音材
KR101875927B1 (ko) 흡음성이 우수한 부직포
KR20090106211A (ko) 초경량 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617797B1 (ko) 저융점 고분자를 포함하는 이형 단면 섬유 및 이를 이용한 섬유집합체
KR101875928B1 (ko) 압축회복력이 우수한 흡음성 섬유집합체
KR20180036627A (ko) 압축성형체용 숏컷 섬유, 이를 이용한 압축성형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88493B1 (ko) 전기자동차용 엔진룸 흡음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741127B1 (ko) 흡음성 섬유를 이용한 기능성 제지
JP2019043014A (ja) 複合吸音材
US20220410525A1 (en) Layered sound-absorbing material
KR102183243B1 (ko) 중공사용 방사구금을 이용한 흡음성이 우수한 중공사
KR102484011B1 (ko) 습식 부직포, 이를 포함하는 흡음성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30267906A1 (en) Sound absorbing material and method of producing sound absorbing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