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7966A - 대형 화물 운송을 위한 운송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대형 화물 운송을 위한 운송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7966A
KR20180037966A KR1020187003704A KR20187003704A KR20180037966A KR 20180037966 A KR20180037966 A KR 20180037966A KR 1020187003704 A KR1020187003704 A KR 1020187003704A KR 20187003704 A KR20187003704 A KR 20187003704A KR 20180037966 A KR20180037966 A KR 20180037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mary support
longitudinal
cargo
support beam
transpor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3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비고 제스퍼슨
Original Assignee
비고 제스퍼슨 홀딩 에이피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고 제스퍼슨 홀딩 에이피에스 filed Critical 비고 제스퍼슨 홀딩 에이피에스
Publication of KR20180037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79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35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transporting reel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08Securing to the vehicle floor or sides
    • B60P7/12Securing to the vehicle floor or sides the load being tree-trunks, beams, drums, tub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deck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jumbo rolls; for rolls of floor cov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022Large containers rigid in multiple arrangement, e.g. stackable, nestable, connected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B65D88/027Large containers rigid in multiple arrangement, e.g. stackable, nestable, connected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single containers connected to each other by additional means so as to form a cluster of containers, e.g. a battery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65D88/129Transporter frame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4Contents ret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4Contents retaining means
    • B65D90/006Contents retaining means fixed on the floor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4Contents retaining means
    • B65D90/0073Storage r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40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2590/0041Contents retaining means
    • B65D2590/0058Contents retaining means for cylindrical transport goo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ackaging Of Machine Parts And Wound Products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랜지와 같은 대형 화물(2)의 운송을 위한 운송 시스템(100)에 관한 것으로, 상기 운송 시스템은: 종방향(X), 횡방향(Y) 및 수직방향(Z)으로 연장된 프레임(4); 상기 프레임은 복수의 1차 지지빔(8, 8', 10, 10') 쌍(pair)에 연결된 2개의 종방향 거더(6, 6')를 포함하며; 상기 1차 지지빔은 바람직하게 상기 종방향 거더(6, 6')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종방향 거더는 하부면(12) 및 상부면(14)을 포함하고; 상기 횡방향 1차 지지빔은 상부면(16)을 포함하고; 2 개의 횡방향 1차 지지빔들 사이의 공간은 상기 대형 화물을 위한 저장 공간(18)으로 정의(define)되고; 상기 대형 화물들을 위한 상기 저장 공간(18)에 아래 방향으로의 자유 액세스(free access)가 제공되며; 상기 프레임(4)의 하부는 화물 컨테이너에 상응하는 치수 및 잠금장치를 구비하고; 운송 시스템이 화물 컨테이너의 상부에 안전하게 배치 및 고정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대형 화물 운송을 위한 운송 시스템 및 그 방법
본 발명의 제1양태는 플랜지와 같은 대형 화물의 운송을 위한 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양태는 대형 화물 운송을 위한 제1양태에 따른 운송 시스템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풍력 터빈 산업에서 풍력 터빈에 사용되는 개별 부품은 종종 풍력 터빈이 설치되는 현장에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서 제조되고 있음이 잘 알려져 있다.
이는 개별 부품에 대한 생산 현장 및 풍력 터빈 세팅 현장 자체로부터 운송 중에 특정 문제가 발생함을 의미한다. 이는 똑바로 선 풍력 터빈을 위해 사용되는 큰 화물 또는 부품과 관련하여 적어도 사실이 아니다. 특히 이러한 문제는 큰 부품이나 화물을 운송하는데 어려움과 그에 따른 비용을 발생시킨다.
직립(erect) 풍력 터빈에 사용되는 큰 부품 또는 화물의 일 예는 풍력 터빈 타워(tower)와 풍력 터빈 기초(foundation)를 연결하는 플랜지이다.
풍력 터빈용 플랜지는 일반적으로 강철로 제조되며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의 플랜지에 복수의 관통 구멍이 제공되는 원형 링을 포함하여 볼트가 플랜지를 고정된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풍력 터빈용 플랜지의 외경(outer diameter)은 최대 9m이다.
풍력 터빈용 플랜지 수송을 위한 여러 가지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전통적으로 풍력 터빈용 플랜지를 눕히거나 수평으로 배치된 구성으로 프레임에 운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새로운 풍력 터빈 유형의 크기가 날로 커짐에 따라 사용되는 플랜지 또한 크기가 커지며, 따라서 수평 방향의 플랜지는 운송 또는 보관 중에 너무 많은 공간을 차지하므로 운반 중에 상기 플랜지의 수평 배향 구성은 불편을 야기한다.
WO 2012/146245 A1은 풍력 터빈용 플랜지 운송 시스템을 개시한다. 상기 시스템은 직사각형 형상의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은 횡방향으로 복수의 지지바가 배열되어 있는 두 개의 종방향 빔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바는 수직 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플랜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그들의 수평 직경은 횡방향 빔과 평행하다. 각각의 플랜지는 스레드 바(threaded bar)와 함께 볼트로 고정되고, 상기 플랜지는 체인, 로프 또는 그와 유사한 것을 사용하여 프레임에 고정된다. 이 문서에서 프레임 자체는 운송 도중에 한 쌍의 U-프로파일 상단에 배열될 수 있다고 언급하였다. 상기 운송 시스템에서 플랜지를 포함한 운송 시스템의 전체 높이는 플랜지의 높이와 U-프로파일의 높이를 더한 값이 된다.
특히 선박의 선적과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비용은 무게에 관계없이 부피 기준으로 계산되기 때문에, 선적된 화물의 총 부피는 중요 하다.
컨테이너 화물 분야에서는 "슬롯(slot)"이라는 용어가 사용된다. "슬롯"은 선적될 화물의 지불 단위를 나타내며, 표준 20' 컨테이너는 1 "슬롯"의 볼륨을 정의한다. 따라서 40' 컨테이너는 2 "슬롯"의 볼륨을 차지한다.
선적되는 화물이 20' 컨테이너에 해당하는 것보다 더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경우, 이 화물의 높이가 차지하는 20' 컨테이너 공간의 수에 해당하는 추가 슬롯이 선적량에 추가되는 방식으로 비용이 결정된다.
따라서 20' 컨테이너에 해당하는 길이와 20' 컨테이너의 높이의 1.5 배에 해당하는 높이의 화물은 2개의 슬롯(높이 2슬롯, 길이 1슬롯)을 차지하는 것으로 정산된다. 유사하게 40' 컨테이너에 해당하는 길이와 40' 컨테이너(20' 컨테이너와 같은 높이)의 2.5 배에 해당하는 높이의 화물은 6 슬롯(높이 3슬롯, 길이 2슬롯)을 차지하는 것으로 정산된다.
따라서, 대형 부품 또는 화물이 컨테이너 화물로 운송되는 경우, 화물의 부피를 최소로 유지시키는 것은 운송 경제 및 나아가 대형 부품 또는 화물과 관련된 전체 경제를 위하여 가장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최소의 공간을 차지하면서 그러한 대형 화물의 운송을 허용하는, 예를 들어, 풍력 터빈용 플랜지와 같은 대형 화물의 운송을 위한 개선된 운송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계속 존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그러한 운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각각 본 발명의 제1 및 제2양태에서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양태는 플랜지와 같은 대형 화물의 운송을 위한 운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운송 시스템은:
종(longitudinal) 방향, 횡(transversal)방향 및 수직(vertical)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복수의 1차 지지빔 쌍(pair)에 연결된 두 개의 종방향 거더(girder)를 포함하고;
상기 종방향 거더는 하부면 및 상부면을 포함하고;
상기 횡방향 1차 지지빔은 상부면을 포함하고;
상기 1차 지지빔은 바람직하게 상기 종방향 거더의 상부에 위치하고;
두 개의 횡방향 1차 지지빔 사이의 공간은 상기 대형 화물의 저장 공간으로 정의되고,
상기 대형 화물을 위한 저장 공간에 아래 방향(downward direction)으로 자유 액세스(free access)가 제공되고;
상기 프레임의 하부는 화물 컨테이너에 상응하는 치수 및 고정 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운송 시스템이 화물 컨테이너의 상부에 안전하게 배치 및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양태는 플랜지와 같은 대형 화물의 운송을 위한 본 발명의 제1양태에 따른 운송 시스템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양태에 따르면, 최소의 공간을 차지하면서 풍력 터빈용 플랜지와 같은 대형 화물 또는 부품의 운반 및 저장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양태에 따른 운송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대형 하버 크레인은 플랜지와 같은 대형 화물을 보통의 컨테이너와 마찬가지로 배로부터 들어올릴 수 있고, 대형 화물은 그러한 리프트를 허용하는 프레임 상에 배열된다. 이후 일반적인 컨테이너 이동장치는 추가 운송을 위해 도크에서 플랜지 주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
도 1은 상기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운송 시스템의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실시형태의 횡단면도이다.
도 3a는 측면도로 플랜지 저장 동안의 본 발명에 따른 운송 시스템의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3b는 상기에서 본 바와 같이 도 3a의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3c는 상기에서 본 바와 같이 도 3a의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4a는 측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운송 시스템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2차 지지 빔의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4b는 상기에서 본 바와 같이 도 4a의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4c는 상기에서 본 바와 같이 도 4a의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5a는 측면도로, 플랜지 저장 동안 본 발명에 따른 운송 시스템의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5b는 상기에서 본 바와 같이 도 5a의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5c는 상기에서 본 바와 같이 도 5a의 실시 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제1양태는 플랜지와 같은 대형 화물의 운송을 위한 운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운송 시스템은:
종(longitudinal) 방향, 횡(transversal)방향 및 수직(vertical)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복수의 1차 지지빔 쌍(pair)에 연결된 두 개의 종방향 거더(girder)를 포함하고;
상기 1차 지지빔은 바람직하게 상기 종방향 거더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종방향 거더는 하부면 및 상부면을 포함하고;
상기 횡방향 1차 지지빔은 상부면을 포함하고;
두 개의 횡방향 1차 지지빔 사이의 공간은 상기 대형 화물의 저장 공간으로 정의되고,
상기 대형 화물을 위한 저장 공간에 아래 방향(downward direction)으로 자유 액세스(free access)가 제공되고;
상기 프레임의 하부는 화물 컨테이너에 상응하는 치수 및 고정 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운송 시스템이 화물 컨테이너의 상부에 안전하게 배치 및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양태에 따른 운송 시스템에 있어서, 풍력 터빈용 플랜지와 같은 대형 화물 또는 부품을 저장하고 운반하기 위한 쉽고 공간 절약적인 방법을 가능하게 한다.
본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항에서, 대형 부품 또는 대형 화물이라는 용어는 최대 확장시 3m 이상, 예를 들어 4m 이상, 예를 들어 5m 이상, 예를 들어 6m 이상, 예를 들어 7m 이상, 예를 들어 8m 이상, 또는 심지어 9m 이상 확장될 수 있는 부품 또는 화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대형 부품 또는 대형 화물이라는 용어는 특히 풍력 터빈용 플랜지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풍력 터빈용 플랜지는 그 중심에 관통 구멍을 포함하는 (다른 치수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편평한 링 모양 부품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플랜지는 내주(inner periphery) 및 외주(outer periphery)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다. 내주 및 외주 사이에는 일반적으로 플랜지를 고정하기 위해 볼트를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관통 구멍이 배열된다. 관통 구멍의 개수는 10 - 200 또는 그 이상, 예를 들어 20 - 190, 예를 들어 30 - 180, 예를 들어 40 -170, 예를 들어 50 - 160, 예를 들어 60 - 150, 예를 들어 70 - 140, 예를 들어 80 - 130, 예를 들어 90 - 120 또는 100 - 110 이다.
본 발명의 제1양태에 따른 운송 시스템을 사용하여 플랜지의 저장 및 운반 중에 달성되는 공간의 절약은 플랜지가 종방향 거더(longitudinal girder)의 상부에 배열된 횡방향 1차 지지빔(primary support beam) 상에 놓여 있음으로 초래된다. 이로써, 2개의 1차 지지빔 사이의 저장 공간에서 상기 플랜지의 하부는 종방향 거더의 하부면의 높이까지 아래로 확장된다. 따라서 공간이 수직 방향으로 절약된다.
이것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두 개의 1차 지지빔 사이의 저장 공간이 플랜지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도록 아래 방향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발명의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서의 용어 "아래 방향으로 자유 접근"은 플랜지의 하부가 종방향 거더의 하부면에 의해 정의되는 평면을 향해 아래 방향으로 확장되는 방식으로 2개의 1차 지지빔 사이의 저장 공간은 2개의 1차 지지빔 사이에서 플랜지의 배치를 방해하는 구성요소 또는 다른 부품에 의해 방해되거나 차단되지 않는다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제1양태에 따른 운송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1차 지지빔의 상부면은 수직방향으로 종방향 거더의 확장의 적어도 50%, 예를 들어 55%, 적어도 60%, 예를 들어 65% 적어도 70%, 예를 들어 75%, 적어도 80%, 예를 들어 85%, 적어도 90%, 예를 들어 95%에 대응하는 높이로 종방향 거더 상에 배열된다.
본 발명의 제1양태에 따른 운송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1차 지지빔의 상부면은 종방향 거더의 하부면에서 300mm 또는 그 이상, 예를 들어 350mm 또는 그 이상, 예를 들어 400mm 또는 그 이상, 예를 들어 450mm 또는 그 이상, 예를 들어 500mm 또는 그 이상, 예를 들어 550mm 또는 그 이상, 예를 들어 600mm 또는 그 이상의 높이로 종방향 거더 상에 배열된다.
이러한 상기 1차 지지빔의 높이는 아래 방향으로 충분한 거리를 확보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수직방향으로 공간을 유리하게 절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양태에 따른 운송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1차 지지빔 쌍(pair)의 개수는 1, 2, 3 또는 4이다.
상기 개수의 1차 지지빔은 현재 풍력 터빈에 사용되는 크기의 플랜지를 쉽고 편리하게 운반 및 보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양태에 따른 운송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각각의 1차 지지빔의 상부면은 대형 화물에 대한 저장 공간을 향해 안쪽으로 경사진다.
바람직하게는 1차 지지빔 각각은 수평에 대해 5 - 40°, 예를 들어 10 - 35°, 예를 들어 15 - 30°, 예를 들어 20 - 25°의 각도로 대형 화물을 위한 저장 공간을 향해 안쪽으로 경사진다.
각각의 1차 지지빔의 상부면의 이들 경사는 플랜지와 상기 1차 지지빔 사이의 더 큰 접촉면을 보장하며, 이는 플랜지 표면에 적은 기계적 응력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제1양태에 따른 운송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한 쌍의 1차 지지빔의 상부면 상에서 최근부점(the most proximal point)(20) 사이 종방향으로의 상호 거리는 2000 -3500mm, 예를 들어 2100 - 3400mm, 예를 들어 2200 - 3300mm, 예를 들어 2300 - 3200mm, 예를 들어 2200 - 3100mm, 예를 들어 2300 - 3000mm, 예를 들어 2400 - 2900mm, 예를 들어 2500 - 2800mm 또는 2600 - 2700mm일 수 있다.
이러한 상호 거리는 현재 풍력 터빈에 사용되는 크기의 플랜지를 쉽고 편리하게 운반하고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1양태에 따른 운송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종방향 거더의 수직 방향으로의 확장은 300 - 900mm, 예를 들어 400 - 800mm, 예를 들어 500 - 600mm이다.
이러한 종방향 거더의 수직 연장은 플랜지가 1차 지지빔 쌍(pair)에 배열되어 수직 방향으로 공간을 유리하게 확보하는 방식으로 아래 방향으로 충분한 거리를 보장한다.
본 발명의 제1양태에 따른 운송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1차 지지빔은 종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종방향 거더 상에 배열되고 이러한 방식으로 지지빔 상에 수직으로 배열되고 종방향으로 배열되는 플랜지는 플랜지의 지름이 9m 이하인 상황에서는 프레임의 종방향 연장부(extension)를 넘어 연장되지 않는다.
따라서 플랜지가 표준 화물 컨테이너보다 수평면에서 더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기 때문에 최대 9m 직경의 플랜지를 안전하고 쉽게 운반하고 보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양태에 따른 운송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프레임의 하부는 표준 20' 또는 표준 40' 화물 컨테이너(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및/또는 전통적으로 선박 운송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플랫 랙(flat rack) 컨테이너)와 같은 표준 화물 컨테이너에 상응하는 치수 및 잠금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1양태에 따른 운송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운송 시스템은 프레임 하부의 치수 및 잠금장치와 관련하여 ISO 668:2013 표준 및/또는 ISO 1496-1:2013 표준을 준수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운송 시스템은 저장 및 운송 중에 다른 표준 화물 컨테이너의 상부에 쌓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양태에 따른 운송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프레임은 2차 지지빔을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브래킷 쌍을 포함하고;
각각의 브래킷은 대형 화물을 위한 저장 공간에 대응하는 종방향의 위치에서 각각의 종방향 거더 상에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각 쌍의 브래킷은 2차 지지빔의 단부를 수용하기 위해 종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캐비티(Cavity)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양태에 따른 운송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브래킷 쌍의 개수는 대형 화물을 위한 각각의 저장 공간과 관련하여 1, 2 또는 3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양태에 따른 운송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운송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2차 지지빔 쌍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2개의 크기의 플랜지의 저장 및 운송이 가능하게 되고, 큰 플랜지는 1차 지지빔 쌍에 놓이고, 작은 플랜지는 큰 플랜지 내에 배열되며, 작은 플랜지는 한 쌍의 2차 지지빔 상에 놓이게 된다.
본 발명의 제1양태에 따른 운송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각각의 2차 지지빔은 그 각각의 단부에 원통형 바가 용접된 H-프로파일을 포함한다.
이로써, 2차 지지빔은 각각의 캐비티에서 회전할 수 있고, 이에 의해 2차 지지빔의 표면과 플랜지의 표면 사이의 접촉면이 최대가 된다. 이렇게 하면 플랜지 표면의 물리적 응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양태에 따른 운송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프레임은 하나 이상의 2차 지지빔 쌍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빔을 포함하며; 상기 저장빔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형 화물을 위한 저장 공간 외부의 위치에서 상기 종방향 거더 상에 배열된다.
이로써, 2차 지지빔이 사용되지 않을 때 2차 지지빔을 운송 시스템의 나머지(rest)와 함께 보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양태에 따른 운송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프레임의 단부에는 하나 또는 두개의 단부벽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양태에 따른 운송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단부벽은 수직으로 세워진 구조와 수평에서 안쪽으로 접힘 구조 사이에서 상기 단부벽을 회전시키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로써, 운송 시스템은 사용되지 않을 때 저장 공간을 절약하기 위해 소형의 구성으로 포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양태에 따른 운송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단부벽은 표준 20' 또는 표준 40' 화물 컨테이너에 상응하는 치수 및 잠금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로 인해 운송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화물 컨테이너를 들어올리는데 사용되는 크레인 유형에 의해 들어올려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양태에 따른 운송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하나 이상의 1차 지지빔 쌍의 각각 1차 지지빔은 서스펜션 베어링과 같은 회전(pivoting) 장치를 통하여 상기 종방향 거더 상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그들은 종 축(longitudinal axes)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1차 지지빔과 플랜지 표면 사이에서 접촉면의 자동 최대화가 보장된다.
본 발명의 제1양태에 따른 운송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운송 시스템은 2개의 1차 지지빔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1차 지지빔은 고정 수단을 통해 종방향 거더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고정 수단은 예를 들어, 종방향 거더 상에 종방향으로 떨어진(displace) 다수의 나사 구멍 및 다수의 볼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1차 지지빔 중 적어도 하나는 종방향 거더에 볼트로 고정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운송 시스템과 함께 최대 9m 이상의 직경을 갖는 플랜지가 저장되고 운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양태에 따른 운송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운송 시스템은 다수의 볼트 또는 스레드 바(threaded bars), 너트 및 와이어, 체인, 스트랩 또는 로프와 같은 유연한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각각의 볼트/스레드 바는 하나 이상의 플랜지의 관통 구멍에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플랜지가 횡방향 지지빔 및/또는 2차 지지빔 상에 놓여 있을 때 하나 이상의 플랜지를 수직 방향으로 상기 운송 시스템에 고정시키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수단은 운송 시스템에서 플랜지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고정한다.
본 발명의 제2양태는 플랜지와 같은 대형 화물의 운송을 위한 본 발명의 제1양태에 따른 운송 시스템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도면을 참조하면, 도 1은 상기에서 검토한 본 발명에 따른 운송 시스템의 실시 예를 도시하고, 도 2는 섹션 A-A에서 보이는 것과 동일한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2에는 플랜지와 같은 대형 화물의 운송을 위한 운송 시스템(100)이 도시되어있다. 운송 시스템은 종방향(X)으로 횡방향(Y) 및 수직방향(Z)으로 연장된 프레임(4)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은 복수의 횡방향 지지빔(8, 8', 10, 10')에 연결된 2개의 종방향 거더(6, 6')를 포함하며, 각각은 하부면(12) 및 상부면(14)을 포함한다.
1차 지지빔은 종방향 거더(6, 6') 상에 배열되고 상부면(16)을 포함한다. 2개의 1차지지빔 사이의 영역은 대형 화물을 위한 저장 공간(18)을 한정한다.
상기 1차 지지빔이 종방향 거더(6, 6')의 상부에 배열되고, 대형 화물에 대한 저장 공간(18)이 아래 방향으로의 자유 접근을 제공함에 따라, 플랜지와 같은 대형 화물이 수직방향 및 플랜지의 수평 직경이 종방향 거더(6, 6')와 평행한 방향으로 1차 지지빔 상에 배열될 수 있고, 따라서 대형 화물은 플랜지의 바닥이 거더의 하부면(12)까지 모든 방향으로 또는 거의 모든 방향으로 확장되는 방식으로 1차 지지빔(8, 8', 10, 10') 상에 놓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공간은 플랜지의 보관 및 운반 중에 수직 방향으로 절약된다.
1차 지지빔(8, 8' 또는 10, 10')은 일반적으로 다수의, 예를 들어 4-26, 예를 들어 6-24, 예컨대 8-22, 예를 들어 10-20, 예컨대 12-18 또는 14-16개의 대형 화물 또는 플랜지를 운반할 수 있다. .
프레임(4)의 하부는 표준 화물 컨테이너에 상응하는 치수 및 잠금장치를 구비하므로, 운송 시스템은 표준 화물 컨테이너의 상부에 안전하게 배치 및 고정될 수 있다. 이로써 운송 시스템은 컨테이너처럼 운송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1차 지지빔(8, 8' 또는 10, 10')은 상부면(16)이 대형 화물을 위한 저장 공간(18)을 향하여 안쪽을 경사진 방향을 회전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대형 화물이 지지빔 상에 놓일 때 큰 접촉면과 이에 따른 더 낮은 압력이 대형 화물에 가해진다.
또한 도 1 및 2는 다수의 2차 지지빔(24)을 도시한다. 이들은 대형 화물용 저장 공간(18) 외부에 배열된 2개의 저장빔(34) 상에 위치한다.
게다가, 도 1 및 도 2는 2차 지지빔(24)을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브래킷(22) 쌍을 도시한다. 각각의 브래킷(22)은 대형 화물(2)에 대한 저장 공간(18)에 대응하는 종방향 거더(6, 6')상의 종방향(X)의 위치에서 다른 브래킷(22)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각각의 브래킷(22)은 2차 지지빔(24)의 단부(28)를 수용하기 위해 종방향(X)으로 배열된 복수의 캐비티(26)을 포함한다.
2차 지지빔(34)은 운송 또는 보관 중에 플랜지와 같은 대형 화물 또는 부품(2)을 지지하는 것으로 사용되며, 1차 지지빔(8, 8', 10, 10')에 의해 지지되는 플랜지와 같은 대형 화물(2)보다 약간 더 작은 직경을 갖는다.
이로써, 2개의 크기의 플랜지가 보관되거나 운반될 때, 1차 지지빔(8, 8', 10, 10')에서 지지되는 대형 화물(2)내에서 허용 가능한 공간이 이용될 수 있다.
2차 지지빔이 사용되지 않을 때, 이들은 저장빔(34) 상에 편리하게 저장될 수 있다.
도 3a는 도 1 및 도 2에서의 운송 시스템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대형 화물을 위한 2개의 저장 공간(18)은 2쌍의 1차 지지빔(8, 8', 10, 10') 상에 놓인 15 플랜지에 의해 수용된다.
도 3b는 위에서 본 상황을 도시하고, 도 3c는 종단면에서 본 것과 동일한 상황을 도시한다.
도 4a, 4b 및 4c에는 각각 측면도, 위에서 및 종단면에서 보여지는, 본 발명에 따른 운송 시스템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2차 지지빔(24)의 예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상기 2차 지지빔은 각각의 단부에서 원통형 바(32)상에 용접된 H-프로파일(30)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2차 지지빔은 느슨해지고, 운송을 위한 사용 중에 브래킷(22)에서 적절한 캐비티(26) 내에 배치를 통해 상호 거리를 선택함으로써, 2차 지지빔 쌍(24) 사이의 거리가 조정될 수 있다.
도 5a는 도 1 및 도 2의 상기 운송시스템의 측면도를 도시하며, 대형 화물을 위한 2개의 저장 공간(18)은 2쌍의 2차 지지빔(24) 상에 놓인 15 플랜지에 의해 수용된다.
도 5b는 위에서 본 상황을 도시하고, 도 5c는 종단면에서 본 것과 동일한 상황을 도시한다.
도 5a, 5b 및 5c에 도시된 플랜지는 도 3a, 3b 및 3c에 도시된 플랜지보다 작다.
도 3a, 3b, 3c 및 도 5a, 5b, 5c에 표시된 두 가지 상황은 결합할 수 있는데, 먼저 도 3a, 3b, 3c에 도시된 대형 플랜지(2)가 고정되고, 다음에 도 5a, 5b, 5c에 도시된 작은 플랜지(2)가 대형 플랜지 내에 장착된다.
플랜지와 같은 대형 화물은 다수의 볼트(40), 너트(42) 및 와이어, 체인, 스트랩 또는 로프(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유연한 고정 수단(44)을 사용함으로써 운송 시스템에 연결될 수 있으며, 각각의 볼트는 하나 이상의 화물 또는 플랜지(2)의 관통 구멍에 장착되도록 구성되고, 화물(들) 또는 플랜지(들)가 횡방향 1차 지지빔(8, 8', 10, 10') 및/또는 2차 지지빔(24)상에 놓일 때 상기 고정 수단은 하나 이상의 화물 또는 플랜지를 수직 방향으로 운송 시스템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운송 시스템은 플랜지와 같은 대형 화물의 추가적인 안전 및 고정을 위해 플랜지 사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spacer)를 포함할 수 있다.
2 대형 화물
4 프레임
5, 5' 프레임 단부
6, 6' 종방항 거더(girder)
8, 8', 10, 10' 횡방향 1차 지지빔
12 종방항 거더(girder)의 하부면
14 종방항 거더(girder)의 상부면
16 1차 지지빔의 상부면
18 대형 화물의 저장 공간
20 1차 지지빔의 상부 근부점(Proximal point)
22 2차 지지빔의 수용 브래킷
24 2차 지지빔
26 2차 지지빔의 수용 브래킷 캐비티(Cavity)
28 2차 지지빔 단부
30 2차 지지빔의 H-프로파일
32 2차 지지빔의 원통형 바
34 2차 지지빔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빔
36, 36' 프레임 단부벽
38, 38' 단부벽 회전수단
40 볼트
42 너트
44 유연한 고정수단
100 운송 시스템

Claims (23)

  1. 플랜지와 같은 대형 화물(2)의 운송을 위한 운송 시스템(100)에 있어서, 상기 운송 시스템은:
    종방향(X), 횡방향(Y) 및 수직방향(Z)으로 연장되는 프레임(4);
    상기 프레임은 복수의 1차 지지빔(8, 8', 10, 10') 쌍(pair)에 연결된 2개의 종방향 거더(6, 6')를 포함하며;
    상기 1차 지지빔은 바람직하게 상기 종방향 거더(6, 6')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종방향 거더는 하부면(12) 및 상부면(14)을 포함하고;
    상기 횡방향 1차 지지빔은 상부면(16)을 포함하고;
    2개의 횡방향 1차 지지빔들 사이의 공간은 상기 대형 화물을 위한 저장 공간(18)으로 정의(define)되고;
    상기 대형 화물들을 위한 상기 저장 공간(18)에 아래 방향으로의 자유 액세스(free access)가 제공되며;
    상기 프레임(4)의 하부는 화물 컨테이너에 상응하는 치수 및 잠금장치를 구비하고; 운송 시스템이 화물 컨테이너의 상부에 안전하게 배치 및 고정될 수 있게 하는 것인 운송 시스템(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지지빔의 상부면(16)은 수직방향으로 종방향 거더의 확장의 적어도 50%, 예를 들어 55%, 적어도 60%, 예를 들어 65% 적어도 70%, 예를 들어 75%, 적어도 80%, 예를 들어 85%, 적어도 90%, 예를 들어 95%에 대응하는 높이로 종방향 거더 상에 배열되는 것인 운송 시스템(10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지지빔의 상부면(16)은 종방향 거더의 하부면에서 300mm 또는 그 이상, 예를 들어 350mm 또는 그 이상, 예를 들어 400mm 또는 그 이상, 예를 들어 450mm 또는 그 이상, 예를 들어 500mm 또는 그 이상, 예를 들어 550mm 또는 그 이상, 예를 들어 600mm 또는 그 이상의 높이로 종방향 거더 상에 배열되는 것인 운송 시스템(100).
  4.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지지빔 쌍(pair)의 개수는 1, 2, 3 또는 4인 운송 시스템(100).
  5.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1차 지지빔의 상부면(16)은 대형 화물(18)에 대한 저장 공간을 향해 안쪽으로 경사진 것인 운송 시스템100).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지지빔 각각의 상부면(16)은 수평에 대해 5 - 40°, 예를 들어 10 - 35°, 예를 들어 15 - 30°, 예를 들어 20 - 25°의 각도로 대형 화물(18)을 위한 저장 공간을 향해 안쪽으로 경사진 것인 운송 시스템(100).
  7.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 쌍의 1차 지지빔의 상부면(16) 상에서 최근부점(the most proximal point)(20) 사이 종방향으로의 상호 거리는 2000 -3500mm, 예를 들어 2100 - 3400mm, 예를 들어 2200 - 3300mm, 예를 들어 2300 - 3200mm, 예를 들어 2200 - 3100mm, 예를 들어 2300 - 3000mm, 예를 들어 2400 - 2900mm, 예를 들어 2500 - 2800 mm 또는 2600 - 2700 mm 인 운송 시스템(100).
  8.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종방향 거더(6, 6')의 수직 방향(Z)으로의 확장은 300 - 900mm, 예를 들어 400 - 800mm, 예를 들어 500 - 600mm 인 운송 시스템(100).
  9.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지지빔(8, 8', 10, 10')은 종방향(X) 및 수직 방향(Z)으로 종방향 거더(6, 6') 상에 배열되고 이러한 방식으로 지지빔 상에 수직으로 배열되고 종방향으로 배열되는 플랜지(2)는 플랜지의 지름이 9m 이하인 상황에서 프레임의 종방향 연장부(extension)를 넘어 연장되지 않는 것인 운송 시스템(100).
  10.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하부(4)는 표준 20' 또는 표준 40' 화물 컨테이너(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및/또는 전통적으로 선박 운송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플랫 랙(flat rack) 컨테이너)와 같은 표준 화물 컨테이너에 상응하는 치수 및 잠금장치를 구비하는 운송 시스템(100).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하부의 치수 및 잠금장치와 관련하여 ISO 668:2013 표준 및/또는 ISO 1496-1:2013 표준을 준수하는 운송 시스템(100).
  12.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2차 지지빔(24)을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브래킷 쌍(22)을 포함하고;
    각각의 브래킷(22)은 대형 화물(2)을 위한 저장 공간(18)에 상응하는 종방향(X)의 위치에서 각각의 종방향 거더(6, 6') 상에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각 쌍의 브래킷은 2차 지지빔(24)의 단부(28)를 수용하기 위해 종방향(X)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캐비티(Cavity) (26)를 포함하는 운송 시스템(100).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 쌍의 개수는 대형 화물을 위한 각각의 저장 공간(18)과 관련하여 1, 2 또는 3개인 운송 시스템(100).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2차 지지빔(24) 쌍을 더 포함하는 운송 시스템(100).
  15. 제14항에 있어서,
    각각의 2차 지지빔(24)은 그 각각의 단부에 원통형 바(30)가 용접된 H-프로파일(28)을 포함하는 운송 시스템(100).
  16.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4)은 하나 이상의 2차 지지빔(24) 쌍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빔(34)을 포함하며; 상기 저장빔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형 화물(2)을 위한 저장 공간(18) 외부의 위치에서 상기 종방향 거더(6, 6') 상에 배열되는 운송 시스템(100).
  17.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4)의 단부(5, 5')는 하나 또는 두 개의 단부벽(36, 36')을 포함하는 운송 시스템(100).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벽(36, 36') 은 수직으로 세워진 구조와 수평에서 안쪽으로 접힘 구조 사이에서 상기 단부벽을 회전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운송 시스템(100).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벽(36, 36') 은 표준 20' 또는 40' 화물 컨테이너에 상응하는 치수 및 잠금 장치를 구비하는 운송 시스템(100).
  20.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1차 지지빔 쌍의 각각 1차 지지빔(8, 8', 10, 10')은 서스펜션 베어링과 같은 회전(pivoting) 장치를 통하여 상기 종방향 거더(6, 6') 상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그들은 종 축(longitudinal axes)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운송 시스템(100).
  21.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1차 지지빔(8, 8', 10, 10')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1차 지지빔(8, 8', 10, 10')은 고정 수단을 통해 종방향 거더(6, 6')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운송 시스템(100).
  22.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수의 볼트(40), 너트(42) 및 와이어, 체인, 스트랩 또는 로프와 같은 유연한 고정수단(44)을 포함하고, 각각의 볼트는 하나 이상의 플랜지의 관통 구멍에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플랜지가 횡방향 지지빔(8, 8', 10, 10') 및/또는 2차 지지빔(24) 상에 놓여 있을 때 하나 이상의 플랜지를 상기 운송 시스템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시키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운송 시스템(100).
  23.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랜지와 같은 대형 화물(2)의 운송을 위한 운송 시스템 (100)의 사용.
KR1020187003704A 2015-08-05 2016-07-08 대형 화물 운송을 위한 운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379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KPA201500442 2015-08-05
DKPA201500442 2015-08-05
PCT/DK2016/050241 WO2017020911A1 (en) 2015-08-05 2016-07-08 A transportation system for transportation of large items and use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966A true KR20180037966A (ko) 2018-04-13

Family

ID=56555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3704A KR20180037966A (ko) 2015-08-05 2016-07-08 대형 화물 운송을 위한 운송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80222668A1 (ko)
EP (1) EP3331778B1 (ko)
KR (1) KR20180037966A (ko)
CN (1) CN107848704B (ko)
DK (1) DK3331778T3 (ko)
ES (1) ES2834554T3 (ko)
MX (1) MX2018001277A (ko)
RU (1) RU2707322C2 (ko)
WO (1) WO20170209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25019B (zh) * 2019-09-25 2021-02-19 赤湾集装箱码头有限公司 基于物联网的集装箱码头集卡服务和管理系统的控制方法
DK181535B1 (en) * 2022-09-27 2024-04-10 Danhydra As Lifting yok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60684A (en) * 1967-05-10 1969-08-12 David M Almasy Coil rack
JPS5812777Y2 (ja) * 1980-02-13 1983-03-11 山下新日本汽船株式会社 大型タイヤ運搬用コンテナ−
JPS649189A (en) * 1987-05-08 1989-01-12 Tokyu Car Corp Cylindrical cargo transport container
JPH06100075A (ja) * 1991-12-17 1994-04-12 Shigenobu Furukawa ロール貨物輸送用コンテナ
JPH06239386A (ja) * 1993-02-12 1994-08-30 Mitsui & Co Ltd コンテナおよびコンテナ内への貨物積み付け方法
EP0949154B1 (en) * 1998-03-30 2004-05-12 Toyota Steel Center Co., Ltd. Stage for introducing/discharging heavy article to and from transporting receptacle, method for loading and unloading heavy article, using the stage
ATE340750T1 (de) * 2000-10-02 2006-10-15 Philip Tomkins Transportverbandrahmen
GB0704517D0 (en) * 2007-03-08 2007-04-18 Cronos Containers Ltd Freight container suitable for carrying coils
EP2447188A1 (en) * 2010-10-26 2012-05-02 Robert A. Edwards Apparatus for transporting a coil in a shipping container and method therewith
WO2012146245A1 (en) * 2011-04-28 2012-11-01 VIGGO JESPERSEN HOLDING ApS A transport system for large i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8107596A (ru) 2019-09-05
RU2018107596A3 (ko) 2019-09-20
ES2834554T3 (es) 2021-06-17
EP3331778B1 (en) 2020-08-12
MX2018001277A (es) 2018-05-22
CN107848704B (zh) 2020-03-03
RU2707322C2 (ru) 2019-11-26
DK3331778T3 (da) 2020-11-09
US20180222668A1 (en) 2018-08-09
WO2017020911A1 (en) 2017-02-09
EP3331778A1 (en) 2018-06-13
CN107848704A (zh) 2018-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96709B1 (en) Wind turbine blade holding arrangement
US8632286B2 (en) Transportation unit for a wind turbine rotor blade
AU2003219416B2 (en) Transport container for wind turbine blades
US10323623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porting or storing wind turbine tower sections
US9346583B2 (en) Rack construction
EP3260751B1 (en) Adjustable modular basket carousel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ing said system on a vessel
KR101732874B1 (ko) 운반 프레임
KR20180037966A (ko) 대형 화물 운송을 위한 운송 시스템 및 그 방법
EP2701995B1 (en) A transport system for large items and assembly therewith
CN102803098A (zh) 运输框架
KR102521438B1 (ko) 래싱 브릿지 운반장치
KR20230169957A (ko) 중 전기 케이블 또는 엄빌리컬을 위한 케이블 캐루셀
KR200477405Y1 (ko) 래싱 브리지
PL215321B1 (pl) Stelaż kontenerowy zbiorników cylindrycznych, zwłaszcza dużej intermodalnej cysterny
CN108639596B (zh) 一种可用双20英尺吊具的40英尺多纵底梁重载集装箱
CA3219554A1 (en) Supporting arrangement for a carried load, more particularly a load carried on a ship
KR20220170140A (ko) 발판 구조물용 해체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판 구조물의 해체방법
GB2369111A (en) Flatrack with additional lifting conne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