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7466A - 엔진 시동꺼짐 방지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엔진 시동꺼짐 방지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7466A
KR20180037466A KR1020160127655A KR20160127655A KR20180037466A KR 20180037466 A KR20180037466 A KR 20180037466A KR 1020160127655 A KR1020160127655 A KR 1020160127655A KR 20160127655 A KR20160127655 A KR 20160127655A KR 20180037466 A KR20180037466 A KR 201800374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valve
air
fuel ratio
purge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7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6775B1 (ko
Inventor
구본창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7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6775B1/ko
Publication of KR20180037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7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6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6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M25/0809Judging failure of purge control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25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41/003Adding fuel vapours, e.g.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D41/0032Controlling the purging of the canister as a function of the engine operating cond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6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 F02D41/062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for star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 F02D41/1438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 F02D41/144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 F02D41/145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the characteristics being an oxygen content or concentration or the air-fuel ratio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M25/0836Arrangement of valves controlling the admission of fuel vapour to an engine, e.g. valve being disposed between fuel tank or absorption canister and intake manifol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10Parameters related to the engine output, e.g. engine torque or engine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pplying Secondary Fuel Or The Like To Fuel, Air Or Fuel-Air Mixture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엔진 시동꺼짐 방지장치는, 퍼지컨트롤밸브의 작동신호 및 캐니스터의 포집량을 독출(reading)하여 퍼지컨트롤밸브의 작동여부를 판정하는 퍼지컨트롤밸브 판정부; 산소센서의 신호를 독출하여 공연비가 농후 또는 희박인지를 판정하는 공연비 판정부; 및 상기 퍼지컨트롤밸브 판정부 및 상기 공연비 판정부의 판정에 의해 엔진의 토크 및 RPM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퍼지컨트롤밸브 판정부에 의해 퍼지컨트롤밸브가 작동하는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제어부는 리저브 토크를 상향시키는 리저브 토크의 상향 제어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Description

엔진 시동꺼짐 방지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ENGINE STALL}
본 발명은 엔진 시동꺼짐 방지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증발가스의 누설 진단을 위한 퍼지컨트롤밸브의 개폐 시에 희박 연료 또는 농후 연료가 엔진으로 유입됨에 따라 엔진의 시동꺼짐이 발생함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엔진 시동꺼짐 방지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연료탱크에 저장된 연료는 일정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발가스가 발생하고, 이러한 증발가스가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경우 연료의 낭비뿐만 아니라 연소되지 않는 가스가 배출로 인하여 공해가 발생된다.
따라서, 자동차에는 연료탱크에서 발생되는 증발가스를 엔진에 공급하는 증발가스 제어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증발가스 제어시스템(10)은 연료가 저장된 연료탱크(11)와, 연료탱크(11)에 포집관로(13)를 통해 연결된 캐니스터(12, canister)와, 캐니스터(12)와 엔진의 흡기관로(14)를 연결하는 공급관로(15)와, 공급관로(15)의 도중에 설치된 퍼지컨트롤밸브(17, Purge Control Valve) 등을 가질 수 있다.
캐니스터(12)는 연료탱크(11)에서 발생되는 증발가스는 포집관로(13)를 통과하여 캐니스터(12)로 이송되어 포집될 수 있다. 포집관로(13)에는 연료탱크(11) 내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16)가 설치될 수 있다.
캐니스터(12)에 포집된 증발가스의 포집량(농도)이 포화상태에 이르면 엔진의 제어부(6)에 의해 퍼지컨트롤밸브(17)가 개방되고, 이에 캐니스터(12)에 포집된 증발가스가 엔진의 흡기관로(14)로 유입되며, 이에 증발가스가 엔진 측으로 흡기관로(14) 내로 유입됨으로써 캐니스터(12)를 퍼지(Purge)시킬 수 있다.
캐니스터(12)의 타측에는 캐니스터 차단밸브(18, canister close valve)가 설치되고, 캐니스터 차단밸브(18)는 제어부(6)에 의해 증발가스의 리크 진단 시에 작동되어 연료탱크(11) 내의 압력이 회복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증발가스 제어시스템에서 증발가스의 리크(Leak)가 발생하면 증발가스가 대기중으로 배출될 수 있고, 이에 퍼지컨트롤밸브의 개폐 및 캐니스터 차단밸브의 개폐 등에 따른 연료탱크의 압력변화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증발가스의 리크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증발가스 제어시스템에서 증발가스의 리크 진단을 위하여 퍼지컨트롤밸브의 개방 내지 폐쇄할 때, 농후한 공연비 또는 희박한 공연비를 가진 연료가 엔진 측으로 유입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엔진의 시동꺼짐이 초래되는 단점이 있었다.
예컨대, 캐니스터의 포집량(loading)이 최대값으로 포화된 상태일 경우에는 퍼지컨트롤밸브가 개방되고, 이에 농후한 공연비를 가진 연료가 유입되어 엔진의 RPM DROP이 발생하여 엔진의 시동꺼짐이 초래될 수 있다. 캐니스터의 포집량이 최소값일 경우에는 퍼지컨트롤밸브가 폐쇄되고, 이에 희박한 공연비를 가진 연료가 유입되어 엔진의 RPM DROP이 발생하여 엔진의 시동꺼짐이 초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증발가스 누설 진단을 위하여 퍼지컨트롤밸브가 개폐될 때 엔진의 리저브 토크(reserve torque)를 상향시켜 엔진의 RPM DROP을 차단함으로써 엔진의 시동꺼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엔진 시동꺼짐 방지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엔진 시동꺼짐 방지장치는,
퍼지컨트롤밸브의 작동신호 및 캐니스터의 포집량을 독출(reading)하여 퍼지컨트롤밸브의 작동여부를 판정하는 퍼지컨트롤밸브 판정부;
산소센서의 신호를 독출하여 공연비가 농후 또는 희박인지를 판정하는 공연비 판정부; 및
상기 퍼지컨트롤밸브 판정부 및 상기 공연비 판정부의 판정에 의해 엔진의 토크 및 RPM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퍼지컨트롤밸브 판정부에 의해 퍼지컨트롤밸브가 작동하는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제어부는 리저브 토크를 상향시키는 리저브 토크의 상향 제어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엔진 시동꺼짐 방지방법은, 엔진의 구동시간이 설정시간을 초과하면 산소센서의 신호, 캐니스터의 포집량, 퍼지컨트롤밸브의 작동신호를 독출하고, 퍼지컨트롤밸브가 작동하는 것으로 판정되면 리저브 토크(reserve torque)를 상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증발가스 누설 진단을 위하여 퍼지컨트롤밸브가 개폐될 때 엔진의 리저브 토크(reserve torque)를 상향시켜 엔진의 RPM DROP을 차단함으로써 엔진의 시동꺼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증발가스 제어시스템의 일 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엔진 시동꺼짐방지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엔진 시동꺼짐방지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퍼지컨트롤밸브의 개방작동 시에 리저브 토크의 상향 제어에 진입하기 위한 조건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퍼지컨트롤밸브의 개방작동 시에 리저브 토크의 상향 제어가 실행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퍼지컨트롤밸브의 폐쇄작동 시에 리저브 토크의 상향 제어에 진입하기 위한 조건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퍼지컨트롤밸브의 폐쇄작동 시에 리저브 토크의 상향 제어가 실행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엔진 시동꺼짐방지장치는 퍼지컨트롤밸브(17)의 작동신호 및 캐니스터(12)의 포집량(농도)을 독출(reading)하여 퍼지컨트롤밸브(17)의 작동여부를 판정하는 퍼지컨트롤밸브 판정부(31)와, 산소센서의 신호(51)를 독출하여 공연비(람다값)가 농후 또는 희박인지를 판정하는 공연비 판정부(32)와, 퍼지컨트롤밸브 판정부(31) 및 공연비 판정부(32)의 판정에 의해 엔진의 토크 및 RPM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6)를 포함할 수 있다.
퍼지컨트롤밸브 판정부(31)에 의해 퍼지컨트롤밸브(17)가 작동(개방작동 또는 폐쇄작동)하는 것으로 판정되면 제어부(6)는 리저브 토크를 상향시키는 리저브 토크의 상향 제어신호(55)를 발생할 수 있다.
공연비 판정부(32)에 의해 공연비가 농후한 것으로 판정되면 제어부(6)는 리저브 토크의 상향 제어신호(55)의 발생을 중지할 수 있다. 공연비 판정부(32)에 의해 공연비가 희박한 것으로 판정되면 제어부(6)는 리저브 토크의 상향 제어신호(55)를 유지시킬 수 있다.
제어부(6)는 엔진의 구동에 따른 RPM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퍼지컨트롤밸브 판정부(31)에 의해 스위칭작동하는 퍼지컨트롤밸브 스위치(41) 및 제2판정부(32)에 의해 스위칭작동하는 공연비 스위치(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퍼지컨트롤밸브 스위치(41)는 엔진의 구동에 따른 RPM 신호(54)를 수신하는 제1입력단자(41a)와, 리저브 토크의 상향 제어신호(55)를 수신하는 제2입력단자(41b)와, RPM 신호(54) 및 리저브 토크의 상향 제어신호(55)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자(41c)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RPM신호(54)는 엔진의 구동상태에 따라 제어부(6)에 의해 발생되는 RPM신호이고, 리저브 토크의 상향 제어신호(55)는 퍼지컨트롤밸브(17)의 작동(개방작동 또는 폐쇄작동) 시에 제어부(6)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리저브 토크의 상향 제어신호(55)는 RPM DROP을 차단할 수 있을 정도로 리저브 토크를 상향시키도록 발생될 수 있다.
퍼지컨트롤밸브 판정부(31)에 의해 퍼지컨트롤밸브(17)가 작동하는 것으로 판정되면, 퍼지컨트롤밸브 스위치(41)는 퍼지컨트롤밸브(17)의 작동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고, 이에 퍼지컨트롤밸브 스위치(41)는 제2입력단자(41b)와 출력단자(41c)를 연결시키도록 스위칭작동할 수 있으며, 출력단자(41c)는 리저브 토크의 상향 제어신호(55)를 제어부(6)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퍼지컨트롤밸브 판정부(31)에 의해 퍼지컨트롤밸브(17)가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면, 퍼지컨트롤밸브 스위치(41)는 퍼지컨트롤밸브(17)의 비작동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고, 이에 퍼지컨트롤밸브 스위치(41)는 제1입력단자(41a)와 출력단자(41c)를 연결시키도록 스위칭작동할 수 있으며, 출력단자(41c)는 RPM 신호(54)를 출력할 수 있다.
공연비 스위치(42)는 퍼지컨트롤밸브 스위치(41)의 출력단자(41c)에 접속된 제1입력단자(42a)와, 엔진의 RPM신호를 독립적으로 수신받는 제2입력단자(42b)와, 제1입력단자(42a)가 수신받는 신호 및 제2입력단자(42b)가 수신받는 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신호를 제어부(6)로 출력하는 출력단자(42c)를 가질 수 있다.
공연비 판정부(32)에 의해 공연비(람다값)가 농후한 것으로 판정되면 공연비 스위치(42)는 공연비의 농후값을 수신받을 수 있고, 이에 공연비 스위치(42)는 제2입력단자(42b)와 출력단자(42c)를 연결시키도록 스위칭작동할 수 있으며, 출력단자(42c)는 RPM신호(54)를 제어부(6)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엔진의 구동 상태에 따라 설정된 RPM신호(54)를 제어부(6)로 전송함으로써 리저브 토크의 상향 제어신호(55)의 발생을 중지할 수 있다.
공연비 판정부(32)에 의해 공연비(람다값)가 희박한 것으로 판정되면 공연비 스위치(42)는 공연비의 희박값을 수신받을 수 있고, 이에 공연비 스위치(42)는 제1입력단자(42a)와 출력단자(42c)를 연결시키도록 스위칭작동할 수 있으며, 출력단자(42c)는 퍼지컨트롤밸브 스위치(41)의 출력단자(41c)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제어부(6)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퍼지컨트롤밸브 스위치(41)의 출력단자(41c)에서 리저브 토크의 상향 제어신호(55)가 출력되면 리저브 토크의 상향 제어신호(55)는 공연비 스위치(42)의 출력단자(42c)를 통해 제어부(6)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제어부(6)는 리저브 토크의 상향 제어신호(55)에 대응하여 RPM을 재연산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퍼지컨트롤밸브(17)의 작동 시에 발생할 수 있는 RPM DROP이 미연에 차단될 수 있다.
또한, 퍼지컨트롤밸브 스위치(41)의 출력단자(41c)에서 엔진의 구동 상태에 따라 설정된 RPM신호(54)가 출력되면 RPM신호(54)는 공연비 스위치(42)의 출력단자(42c)를 통해 제어부(6)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퍼지컨트롤밸브(17)의 비작동 시에는 제어부(6)는 RPM을 재연산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엔진의 시동꺼짐 방지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엔진의 구동시간을 저장하고(S1), 엔진의 구동시간이 설정시간을 초과하는 지를 판단한다(S2). 여기서, 설정시간은 엔진의 구동 안정화를 판정하기 위한 것이고, 예컨대 설정시간은 5초일 수도 있다. 엔진의 구동시간이 설정시간을 초과하면 엔진의 구동이 안정화된 것으로 판정될 수 있다.
엔진의 구동시간이 설정시간을 초과하면 산소센서의 신호, 캐니스터의 포집량(농도), 퍼지컨트롤밸브의 작동신호 등을 독출한다(S3).
산소센서의 신호, 캐니스터의 포집량(농도), 퍼지컨트롤밸브의 작동신호 등을 독출(reading)한 후에 퍼지컨트롤러밸브 판정부(31)에 의해 퍼지컨트롤밸브의 작동(개방 내지 폐쇄) 여부를 판정한다(S4).
퍼지컨트롤밸브가 작동하는 것으로 판정되면 제어부(6)에 의해 리저브 토크(reserve torque)를 상향시킨다(S5).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퍼지컨트롤밸브의 작동(개방 내지 폐쇄) 시에 리저브 토크를 상향시킴으로써 초래되는 엔진의 RPM DROP을 차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엔진의 시동꺼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퍼지컨트롤밸브의 개방작동 시에 리저브 토크의 상향 제어에 진입하기 위한 조건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캐니스터의 포집량(농도)이 농후 설정치 이상이고(A선 참조), 퍼지컨트롤밸브가 개방되면(B선 참조), 엔진의 제어부(6)는 리저브 토크를 일정 간격으로 상향시킬 수 있다(C선 참조). 이 때, 퍼지컨트롤밸브의 개방에 의해 캐니스터에 포집된 증발가스가 엔진 측으로 공급될 수 있고, 증발가스의 누설진단이 실행될 수 있다.
도 5는 퍼지컨트롤밸브의 개방작동 시에 리저브 토크의 상향 제어가 실행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엔진의 구동시간을 저장하고(S11), 엔진의 구동시간이 설정시간을 초과하는 지를 판단한다(S12). 여기서, 설정시간은 엔진의 구동 안정화를 판정하기 위한 것이고, 예컨대 설정시간은 5초일 수도 있다. 엔진의 구동시간이 설정시간을 초과하면 엔진의 구동이 안정화된 것으로 판정될 수 있다.
엔진의 구동시간이 설정시간을 초과하면 산소센서의 신호, 캐니스터의 포집량(농도), 퍼지컨트롤밸브의 작동신호 등을 독출(reading)한다(S13).
퍼지컨트롤밸브 판정부(31)에 의해 캐니스터의 포집량(농도)이 농후 설정치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14). 여기서, 농후 설정치는 캐니스터에 포집된 증발가스가 포화상태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캐니스터의 농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예컨대 농후 설정치는 대략 20(무차원 인덱스값)일 수 있다. 캐니스터의 포집량(농도)이 농후 설정치 이상이 되면 캐니스터에 포집된 증발가스가 포화상태인 것으로 판정될 수 있고, 이렇게 캐니스터의 포집량이 농후할 경우에는 퍼지컨트롤밸브(17)는 개방작동할 수 있다.
캐니스터의 포집량(농도)이 농후 설정치 이상일 때 퍼지컨트롤밸브 판정부(31)에 의해 퍼지컨트롤밸브(17)가 개방되는 지를 판단한다(S15).
퍼지컨트롤밸브(17)가 개방되면 제어부(6)에 의해 리저브 토크(reserve torque)를 상향시킬 수 있다(S16).
리저브 토크가 상향된 상태에서 독출된 산소센서의 신호를 이용하여 공연비 판정부(32)에 의해 공연비가 농후(rich)한지를 판단한다(S17).
공연비가 농후하면 리저브 토크의 상향을 중지시키고(S18), 공연비가 희박하면 리저브 토크의 상향을 유지한(S19) 후에 S17단계로 리턴한다.
도 6은 퍼지컨트롤밸브의 폐쇄작동 시에 리저브 토크의 상향 제어에 진입하기 위한 조건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캐니스터의 포집량(농도)이 희박 설정치 이하이고(D선 참조), 퍼지컨트롤밸브가 폐쇄되면(E선 참조), 엔진의 제어부(6)는 리저브 토크를 일정 간격으로 상향시킬 수 있다(F선 참조). 그리고, G선은 목표 공연비를 나타낸다. 이 때, 캐니스터의 포집량이 희박 설정치 이하이면 퍼지컨트롤밸브가 폐쇄되어 연료탱크의 증발가스가 캐니스터 측에 포집될 수 있고, 증발가스의 누설진단이 실행될 수 있다.
도 7은 퍼지컨트롤밸브의 폐쇄작동 시에 리저브 토크의 상향 제어가 실행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엔진의 구동시간을 저장하고(S21), 엔진의 구동시간이 설정시간을 초과하는 지를 판단한다(S22). 여기서, 설정시간은 엔진의 구동 안정화를 판정하기 위한 것이고, 예컨대 설정시간은 5초일 수도 있다. 엔진의 구동시간이 설정시간을 초과하면 엔진의 구동이 안정화된 것으로 판정될 수 있다.
엔진의 구동시간이 설정시간을 초과하면 산소센서의 신호, 캐니스터의 포집량(농도), 퍼지컨트롤밸브의 작동신호 등을 독출한다(S23).
퍼지컨트롤밸브 판정부(31)에 의해 캐니스터의 포집량(농도)이 희박 설정치 이하인지를 판단한다(S24). 여기서, 희박 설정치는 캐니스터의 포집량(농도)이 희박한지를 판단하기 위한 캐니스터의 농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예컨대 희박 설정치는 대략 10(무차원 인덱스값)일 수 있다. 캐니스터의 포집량(농도)이 희박 설정치 이하가 되면 캐니스터에 포집된 증발가스가 희박한 상태인 것으로 판정될 수 있고, 이렇게 캐니스터의 포집량이 희박할 경우에는 퍼지컨트롤밸브(17)는 폐쇄작동할 수 있다.
캐니스터의 포집량(농도)이 희박 설정치 이하일 때 퍼지컨트롤밸브 판정부(31)에 의해 퍼지컨트롤밸브(17)가 폐쇄되는 지를 판단한다(S25).
퍼지컨트롤밸브(17)가 폐쇄되면 제어부(6)에 의해 리저브 토크(reserve torque)를 상향시킬 수 있다(S26).
리저브 토크가 상향된 상태에서 독출된 산소센서의 신호를 이용하여 공연비 판정부(32)에 의해 공연비가 농후(rich)한지를 판단한다(S27).
공연비가 농후하면 리저브 토크의 상향을 중지시키고(S28), 공연비가 희박하면 리저브 토크의 상향을 유지한(S29) 후에 S27단계로 리턴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6: 제어부 10: 증발가스 제어시스템
11: 연료탱크 12: 캐니스터
13: 포집관로 14: 흡기관로
15: 공급관로 16: 압력센서
17: 퍼지컨트롤밸브 18: 캐니스터 차단밸브
31: 퍼지컨트롤밸브 판정부 32: 공연비 판정부
41: 퍼지컨트롤밸브 스위치 42: 공연비 스위치

Claims (13)

  1. 퍼지컨트롤밸브의 작동신호 및 캐니스터의 포집량을 독출(reading)하여 퍼지컨트롤밸브의 작동여부를 판정하는 퍼지컨트롤밸브 판정부;
    산소센서의 신호를 독출하여 공연비가 농후 또는 희박인지를 판정하는 공연비 판정부; 및
    상기 퍼지컨트롤밸브 판정부 및 상기 공연비 판정부의 판정에 의해 엔진의 토크 및 RPM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퍼지컨트롤밸브 판정부에 의해 퍼지컨트롤밸브가 작동하는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제어부는 리저브 토크를 상향시키는 리저브 토크의 상향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엔진 시동꺼짐 방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연비 판정부에 의해 공연비가 농후한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제어부는 리저브 토크의 상향 제어신호의 발생을 중지하는 엔진 시동꺼짐 방지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연비 판정부에 의해 공연비가 희박한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제어부는 리저브 토크의 상향 제어신호를 유지하는 엔진 시동꺼짐 방지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퍼지컨트롤밸브 판정부에 의해 스위칭작동하는 퍼지컨트롤밸브 스위치 및 상기 공연비 판정부에 의해 스위칭작동하는 공연비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엔진 시동꺼짐 방지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퍼지컨트롤밸브 판정부에 의해 상기 퍼지컨트롤밸브 스위치가 스위칭작동함에 따라 엔진의 구동상태에 따라 발생된 RPM신호 및 리저브 토크의 상향 제어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신호를 제어부로 출력하는 엔진 시동꺼짐 방지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공연비 판정부에 의해 상기 공연비 스위치가 스위칭작동함에 따라 엔진의 구동상태에 따라 발생된 RPM신호 및 리저브 토크의 상향 제어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신호를 제어부로 출력하는 엔진 시동꺼짐 방지장치.
  7. 엔진의 구동시간이 설정시간을 초과하면 산소센서의 신호, 캐니스터의 포집량, 퍼지컨트롤밸브의 작동신호를 독출하고,
    퍼지컨트롤밸브가 작동하는 것으로 판정되면 리저브 토크(reserve torque)를 상향시키는 엔진 시동꺼짐 방지방법.
  8. 엔진의 구동시간이 설정시간을 초과하면 산소센서의 신호, 캐니스터의 포집량(농도), 퍼지컨트롤밸브의 작동신호를 독출(reading)하고,
    캐니스터의 포집량(농도)이 농후 설정치 이상이면 퍼지컨트롤밸브가 개방되는 지를 판단하며,
    퍼지컨트롤밸브가 개방되면 제어부에 의해 리저브 토크(reserve torque)를 상향시키는 엔진 시동꺼짐 방지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리저브 토크가 상향된 상태에서 독출된 산소센서의 신호를 이용하여 공연비가 농후(rich)한지를 판단하고, 공연비가 농후하면 리저브 토크의 상향을 중지시키는 엔진 시동꺼짐 방지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리저브 토크가 상향된 상태에서 독출된 산소센서의 신호를 이용하여 공연비가 농후(rich)한지를 판단하고, 공연비가 희박하면 리저브 토크의 상향을 유지하는 엔진 시동꺼짐 방지방법.
  11. 엔진의 구동시간이 설정시간을 초과하면 산소센서의 신호, 캐니스터의 포집량(농도), 퍼지컨트롤밸브의 작동신호를 독출(reading)하고,
    캐니스터의 포집량(농도)이 희박 설정치 이하이면 퍼지컨트롤밸브가 폐쇄되는 지를 판단하며,
    퍼지컨트롤밸브가 폐쇄되면 제어부에 의해 리저브 토크(reserve torque)를 상향시키는 엔진 시동꺼짐 방지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리저브 토크가 상향된 상태에서 독출된 산소센서의 신호를 이용하여 공연비가 농후(rich)한지를 판단하고, 공연비가 농후하면 리저브 토크의 상향을 중지시키는 엔진 시동꺼짐 방지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리저브 토크가 상향된 상태에서 독출된 산소센서의 신호를 이용하여 공연비가 농후(rich)한지를 판단하고, 공연비가 희박하면 리저브 토크의 상향을 유지하는 엔진 시동꺼짐 방지방법.
KR1020160127655A 2016-10-04 2016-10-04 엔진 시동꺼짐 방지장치 및 그 방법 KR101896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655A KR101896775B1 (ko) 2016-10-04 2016-10-04 엔진 시동꺼짐 방지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655A KR101896775B1 (ko) 2016-10-04 2016-10-04 엔진 시동꺼짐 방지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466A true KR20180037466A (ko) 2018-04-12
KR101896775B1 KR101896775B1 (ko) 2018-09-07

Family

ID=61969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7655A KR101896775B1 (ko) 2016-10-04 2016-10-04 엔진 시동꺼짐 방지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677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2153A (ko) * 2005-12-12 2007-06-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에서 캐니스터 퍼지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80024721A (ko) * 2006-09-14 2008-03-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증발가스 누설 진단방법
KR20100061167A (ko) * 2008-11-28 2010-06-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캐니스터 퍼지 제어방법
KR101251090B1 (ko) * 2011-10-27 2013-04-04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퍼지 밸브 열림 고착 시 엔진 스톨 방지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567981B1 (ko) * 2014-05-16 2015-11-10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연료 증발가스의 누설 진단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2153A (ko) * 2005-12-12 2007-06-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에서 캐니스터 퍼지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80024721A (ko) * 2006-09-14 2008-03-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증발가스 누설 진단방법
KR20100061167A (ko) * 2008-11-28 2010-06-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캐니스터 퍼지 제어방법
KR101251090B1 (ko) * 2011-10-27 2013-04-04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퍼지 밸브 열림 고착 시 엔진 스톨 방지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567981B1 (ko) * 2014-05-16 2015-11-10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연료 증발가스의 누설 진단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6775B1 (ko) 2018-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07770B2 (ja) 蒸発燃料処理装置
US7418953B2 (en) Fuel vapor treatmen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4022982B2 (ja) 蒸発燃料処理装置の診断装置
KR20190071330A (ko) 캐니스터 퍼지 시스템 및 캐니스터 퍼지 시스템의 퍼지 밸브 진단 방법
JP2007231745A (ja) 内燃機関の蒸発燃料処理装置
JP4538989B2 (ja) 蒸発燃料処理装置の故障診断装置
US6886399B2 (en) Method for determining mass flows into the inlet manifold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3664074B2 (ja) エバポガスパージシステムの異常診断装置
JP4432615B2 (ja) 内燃機関の蒸発燃料制御装置
KR100748662B1 (ko) 자동차의 증발가스 리크 진단장치 및 방법
JP2017129073A (ja) パージ装置
KR101896775B1 (ko) 엔진 시동꺼짐 방지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07654A (ko) 캐니스터 퍼지 밸브 고착 진단 방법 및 이를 위한 자동차 시스템
JP2007218148A (ja) 内燃機関の蒸発燃料処理装置
JP2007008386A (ja) 車両の燃料残量算出装置
JP4567534B2 (ja) 車両の制御装置
KR20100004773A (ko) 캐니스터 퍼지 밸브의 고장 진단 방법
JP2007009849A (ja) 車両の給油検出装置
JP2000120495A (ja) エバポガスパージシステム
JPH06235355A (ja) 内燃機関の蒸発燃料蒸散防止装置の故障診断装置
JP2006104986A (ja) 過給機付きエンジンの蒸発燃料パージシステム
JP2019218892A (ja) 蒸発燃料処理装置
JP2007015421A (ja) 自動車用制御システム
JP2001152975A (ja) 蒸発燃料処理装置のリーク診断装置
JP2018123767A (ja) パー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