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8662B1 - 자동차의 증발가스 리크 진단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증발가스 리크 진단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8662B1
KR100748662B1 KR1020050121389A KR20050121389A KR100748662B1 KR 100748662 B1 KR100748662 B1 KR 100748662B1 KR 1020050121389 A KR1020050121389 A KR 1020050121389A KR 20050121389 A KR20050121389 A KR 20050121389A KR 100748662 B1 KR100748662 B1 KR 100748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tank
pressure
leak diagnosis
canister
ccv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1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1698A (ko
Inventor
임홍열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1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8662B1/ko
Publication of KR20070061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1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8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8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M25/0809Judging failure of purge control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M25/0836Arrangement of valves controlling the admission of fuel vapour to an engine, e.g. valve being disposed between fuel tank or absorption canister and intake manifol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M2025/0845Electromagnetic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pplying Secondary Fuel Or The Like To Fuel, Air Or Fuel-Air Mixture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자동차의 정상적인 주행조건에 연료탱크내부의 압력이 설정된 기준 압력 이하로 저하되는 경우 연료 탱크의 압력을 설정압 이상으로 유지시켜 연료탱크내의 저항으로 인하여 정상적인 연료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을 개선하며, 증발가스의 리크 진단조건에서 퍼지 제어의 완료후 연료탱크내의 압력 회복속도를 안정되게 제어하여 리크 진단에 신뢰성을 제공하도록 하는 것으로,
연료탱크와, 연료탱크 내부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센서와, 연료탱크와 제1관로를 통해 증발가스를 포집하는 캐니스터와, 캐니스터와 흡기 매니폴드를 연결하는 제2관로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어 캐니스터에 포집된 증발가스를 엔진측으로 퍼지시키는 PCSV와, 캐니스터와 대기를 연결하는 제3관로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어 리크 진단시 작동되어 연료탱크내의 압력이 회복되도록 하는 CCV 및 증발가스 리크 진단에 대한 제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증발가스 리크 진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와 캐니스터를 연결하는 제1관로의 소정위치와 연료탱크를 연결하는 통기관로와, 상기 통기관로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더 포함한다.
증발가스, 리크 진단, 통기관로, 통기저항

Description

자동차의 증발가스 리크 진단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LEAKAGE DIAGNOSIS OF EVAPORATED GSA ON VEHICLE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증발가스 리크 진단장치에 대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자동차에서 증발가스 리크 진단을 수행하는 실시예의 흐름도.
도 3은 종래의 자동차에 적용되는 증발가스 리크 진단장치에 대한 구성도.
도 4는 종래의 자동차에서 증발가스 리크 진단을 수행하는 실시예의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연료탱크 11 : ROV
12 : 압력센서 13 : 통기라인
14 : 솔레노이드 밸브 15 : 캐니스터
16 : PCSV 17 : CCV
18 : 제어부
본 발명은 자동차에서 증발가스의 리크(Leakage)를 진단하는 장치에 관한 것 으로, 더 상세하게는 연료탱크내의 압력 유지에 안정성을 제공하고, 리크 진단에 신뢰성을 제공하도록 하는 자동차의 증발가스 리크 진단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료와 공기를 연소시킴으로써 동력을 발생시키는 내연기관 엔진을 이용하는 자동차는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탱크를 구비하고 있다.
연료탱크에 저장된 연료는 그 휘발성의 정도와 외기의 온도에 따라 달라지기는 하겠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발가스를 배출하게 되며 이러한 증발가스가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경우 연료의 낭비뿐만 아니라 연소되지 않는 가스가 배출로 인하여 공해가 발생된다.
따라서, 자동차에는 연료탱크에서 발생되는 증발가스를 엔진에 공급하는 증발가스 제어 시스템은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증발가스 제어 시스템은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탱크와, 연료탱크와 관로를 통해 연결되어 연료탱크에서 발생되는 증발가스를 포집하는 캐니스터(Canister) 및, 캐니스터에 포집된 증발가스를 엔진에 공급하는 공급관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증발가스 제어 시스템에 리크(Leak)가 발생하게 되면 증발가스가 대기중으로 배출되어 공해를 유발시키는 것을 막을 수 없어 자동차를 생산하는 회사들은 증발가스의 리크를 검출 및 진단하는 방법을 강구하고 있다.
종래의 자동차에 적용되는 증발가스 리크 진단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탱크(1)와, 제1관로를 통해 연료탱크(1)와 연결되어 연료탱크(1)에서 발생되는 증발가스를 포집하는 캐니스터(3), 캐니스터(3)와 흡기 매니폴드를 연결하는 제2관로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어 제어부(6)의 제어에 따라 캐니스터(3)에 포집된 증발가스를 엔진측으로 유입시켜 캐니스터(3)를 퍼지(Purge)시키는 PCSV(Purge Control Solenoid Valve ; 4)와, 캐니스터(3)와 대기를 연결하는 제3관로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어 리크 진단시 제어부(6)의 제어에 따라 작동되어 연료탱크(1)내의 압력이 회복되도록 하는 CCV(Canister Control Valve ; 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종래의 자동차에서 증발가스 리크 진단을 수행하는 동작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6)는 연료탱크(1)에 구비되는 압력센서(7)의 신호를 판독하여 연료탱크(1)의 압력이 증발가스의 영향으로 대기압 이상으로 검출되는 증발가스 리크 진단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한다(S11).
상기 S11에서 리크 진단조건을 만족하게 되면 현재의 주행차속이 설정된 기준속도 이하, 즉 정지상태이고 엔진이 아이들 상태를 유지하는지 판단한다(S12).
차속이 정지상태이고 엔진이 아이들을 유지하는 조건이면 증발가스 리크 진단모드로 진입하여(S13) PCSV(4)를 개방하고 CCV(5)를 폐쇄하여 캐니스터(3)에 포집된 증발가스를 엔진측으로 유입시키는 퍼지 제어를 수행한다(S14).
상기한 퍼지 제어를 설정된 일정시간 지속하여 퍼지 제어가 완료되면 제어부(6)는 PCSV(4)를 폐쇄하고 CCV(5)를 개방한다(S15).
이후, 연료탱크(1)내에 장착되는 압력센서(7)로부터 연료탱크(1)의 압력 변화를 검출하여 설정된 일정시간 이내에 연료탱크(1)내의 압력이 설정된 기준치 이상으로 도달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6).
상기의 S16의 판단 결과 설정된 일정시간 이내에 연료탱크(1)내의 압력이 설정된 기준치에 도달되지 않으면 CCV(5)의 고장으로 판정하고(S17), 일정시간 이내에 설정된 기준치 이상으로 도달되는 경우 CCV(5)의 정상으로 판정한다(S18).
상기한 종래의 자동차에 적용되는 증발가스 리크 진단장치는 리크 진단중 캐니스터에 포집된 증발가스를 퍼지시키는 과정에서 PCSV를 일정 듀티값으로 제어하므로, 엔진의 부압이 연료탱크와 캐니스터를 연결하는 제1관로의 일측단부에 장착되어 연료탱크내에 구비되는 ROV(Roll Over Valve)를 통해 연료탱크로 인가된다.
따라서, 연료탱크내의 압력이 더욱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리크 진단을 위해 PCSV를 폐쇄하고 CCV를 개방시켜 연료탱크내의 압력을 회복하는 경우 ROV의 직경이 너무 작아 통기 저항이 크게 발생되며, 이에 따라 연료탱크내의 압력회복이 지연되고 불규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리크 진단에서 CCV에 대하여 스턱 에러(Stuck Error)로 판정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정상적인 주행조건에 연료탱크내부의 압력이 설정된 기준 압력 이하로 저하되는 경우 연료 탱크의 압력을 설정압 이상으로 유지시켜 연료탱크내의 저항으로 인하여 정상적인 연료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을 개선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증발가스의 리크 진단조건에서 퍼지 제어의 완료후 연료탱크내의 압력 회복속도를 안정되게 제어하여 리크 진단에 신뢰성을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연료주입시에 연료탱크내의 압력을 일정압 이상으로 유지시켜 증발가스가 캐니스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연료탱크와, 연료탱크 내부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센서와, 연료탱크와 제1관로를 통해 증발가스를 포집하는 캐니스터와, 캐니스터와 흡기 매니폴드를 연결하는 제2관로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어 캐니스터에 포집된 증발가스를 엔진측으로 퍼지시키는 PCSV와, 캐니스터와 대기를 연결하는 제3관로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어 리크 진단시 작동되어 연료탱크내의 압력이 회복되도록 하는 CCV 및 증발가스 리크 진단에 대한 제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증발가스 리크 진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와 캐니스터를 연결하는 제1관로의 소정위치와 연료탱크를 연결하는 통기관로와; 상기 통기관로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증발가스 리크 진단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정보가 증발가스 리크 진단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리크 진단조건을 만족하면 차량이 주행중인지 판단하는 과정과; 차량이 주행중인 상태이면 연료탱크의 압력이 설정된 기준압력 이상인지 판단하는 과정과; 연료탱크의 압력이 기준압력 이상이면 통기관로를 개방시켜 연료탱크내의 압력을 설정 압력 이상으로 회복시키는 과정과; 상기 리크 진단조건이 만족되는 상태에서 차량이 정지 상태이고, 아이들 조건이면 캐니스터에 포집된 증발가스를 엔진측으로 유입시키는 퍼지 제어를 수행하는 과정과; 증발가스의 퍼지 완료이 리크 진단을 수행하며, 설정시간(T1) 이내에 연료탱크의 압력이 회복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설정시간 이내에 연료탱크의 압력이 회복되면 CCV의 정상으로 판정하고, 설정시간 이내에 연료탱크의 압력이 제3기준값에 도달되지 않으면 통기관로를 개방시켜 연료탱크의 압력을 회복시키는 과정 및; 상기 통기관로의 개방을 통해 연료탱크 압력 회복 과정에서 설정시간(T2) 이내에 제4기준값에 도달되지 않는 경우 CCV의 스턱 고장으로 판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증발가스 리크 진단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상태가 리크 진단조건을 만족하고 주행중인 상태에서 연료탱크의 압력이 제1기준값 이하이면 통기관로를 개방시켜 연료탱크의 압력을 제2기준값 이상으로 회복시키는 과정과; 리크 진단조건을 만족하고 엔진이 아이들을 유지하는 정지상태이면 PCSV를 개방하고 CCV를 폐쇄하여 캐니스터에 포집된 증발가스를 퍼지 제어하는 과정과; 증발가스의 퍼지 제어가 완료되면 PCSV를 폐쇄하고 CCV를 개방시켜 리크 진단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리크 진단의 수행시 설정시간(T1) 이내에 연료탱크의 압력이 제3기준값에 도달되면 CCV의 정상으로 판정하고, 도달되지 않으면 통기관로를 개방시키는 과정과; 상기 리크 진단시 통기관로 개방에 따라 설정시간(T2) 이내에 연료탱크의 압력이 제4기준값에 도달되면 CCV의 정상으로 판정하고, 도달되지 않으면 CCV의 스턱 고장으로 판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증발가스 리크 진단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증발가스 리크 진단장치에 대한 구성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탱크(10)와 ROV(11), 압력센서(12), 통기관로(13), 솔레노 이드 밸브(14), 캐니스터(15), PCSV(16), CCV(17) 및 제어부(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연료탱크(10)는 내연기관에서 동력원으로 사용되는 연료를 저장한다.
ROV(11)는 연료탱크(10)내에 장착되어 연료탱크(10)의 내부가 증발가스의 영향으로 일정 이상의 압력으로 형성되는 경우 작동되어 증발가스를 제1관로를 통해 캐니스터(15)측으로 포집시킨다.
압력센서(12)는 연료탱크(10)내에 장착되어 증발가스의 영향으로 상승되는 연료탱크(10)내부의 압력을 검출하여 그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18)에 제공하며, 리크 진단모드에서 연료탱크(10)내의 압력 상승에 대한 기울기의 정보를 제어부(18)에 제공한다.
통기관로(13)는 연료탱크(10)와 제1관로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어 연료탱크(10)내의 압력 복구를 신속하여 유지하여 준다.
솔레노이드 밸브(14)는 통기관로(13)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어 제어부(18)의 제어에 따라 연료탱크(10)내의 압력을 조절한다.
즉, 주행중인 상태에서 연료탱크(10)내부의 압력이 설정된 일정 압력, 바람직하게는 -10hpa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연료탱크(10)내부의 압력에 의해 저항이 많이 걸리게 되므로, 개방되어 연료탱크(10)내부의 압력이 일정 압력, 바람직하게는 -3hpa 이상이 유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리크 진단에서 연료탱크(10)내부의 압력이 일정시간 이내에 회복되지 않는 경우 개방되어 ROV(11)의 통기 저항을 해소하며, 이에 따라 CCV(17)에 대 한 리크 진단에 신뢰성을 제공하여 준다.
또한 연료의 주입시에는 폐쇄되어 증발가스가 캐니스터(15)로 넘어가는 것을 차단하여 준다.
캐니스터(15)는 제1관로를 통해 연료탱크(10)와 연결되어 연료탱크(10)에서 발생되는 증발가스를 포집한다.
PCSV(16)는 캐니스터(15)와 흡기 매니폴드를 연결하는 제2관로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어 제어부(18)의 제어에 따라 캐니스터(15)에 포집된 증발가스를 엔진측으로 유입시켜 캐니스터(15)를 퍼지시킨다.
CCV(17)는 캐니스터(15)와 대기를 연결하는 제3관로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어 리크 진단시 제어부(18)의 제어에 따라 작동되어 연료탱크(10)내의 압력이 회복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본 발명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제어부(18)는 차량의 제반적인 운전정보와 연료탱크(10)에 구비되는 압력센서(12)의 신호를 판독하여 연료탱크(10)의 압력이 증발가스의 영향으로 대기압 이상으로 검출되는 증발가스 리크 진단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한다(S101).
상기 S101에서 리크 진단조건을 만족하게 되면 현재의 주행차속이 설정된 기준속도 이하, 즉 정지상태이고 엔진이 아이들 상태를 유지하는지 판단한다(S102).
상기 S102의 판단에서 차량이 주행되고 있는 상태로 판단되면 연료탱크(10)의 압력이 설정된 제1기준값, 바람직하게는 -10hpa 이하의 상태를 유지하는지 판단한다(S103).
상기 S103의 판단에서 연료탱크(10)의 압력이 제1기준값 이하의 조건을 유지하는 경우 압력 저하에 따른 저항으로 연소실에 정상적인 연료 분사가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통기관로(13)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어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14)를 개방시켜 연료탱크(10)내의 압력이 상승되도록 한다(S104).
상기와 같이 솔레노이드 밸브(14)의 개방에 따라 상승되는 연료탱크(10)내의 압력이 설정된 제2기준값, 바람직하게는 -3hpa 이상으로 회복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05).
상기 S105의 판단에서 연료탱크(10)내의 압력이 제2기준값 이상으로 회복되었으면 통기관로(13)의 소정위치에 장착되는 솔레노이드 밸브(14)를 폐쇄하여 준다(S106).
따라서, 연료탱크(10)내부의 압력을 안정된 상태로 유지시켜 연소실로의 연료 공급에 안정성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S102의 판단에서 차속이 정지상태이고 엔진이 아이들을 유지하는 조건이면 증발가스 리크 진단모드로 진입하여(S107) PCSV(16)를 개방하고 CCV(17)를 폐쇄하여 캐니스터(15)에 포집된 증발가스를 엔진측으로 유입시키는 퍼지 제어를 수행한다(S108).
상기한 퍼지 제어를 설정된 일정시간 지속하여 퍼지 제어가 완료되면 제어부(18)는 PCSV(16)를 폐쇄하고 CCV(17)를 개방한다(S109).
이후, 연료탱크(10)내에 장착되는 압력센서(12)로부터 연료탱크(10)의 압력 변화를 검출하여 설정된 일정시간(T1) 이내에 연료탱크(10)내의 압력이 설정된 제3 기준값 이상으로 도달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10).
상기 S110의 판단 결과 설정된 일정시간(T1) 이내에 연료탱크(10)내의 압력이 설정된 제3기준값 이상으로 도달되었으면 CCV(17)의 정상으로 판정한다(S111).
그러나, 상기 S110의 판단 결과 설정된 일정시간(T1) 이내에 연료탱크(10)내의 압력이 설정된 제3기준값 이상으로 도달되지 않았으면 통기관로(13)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어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14)를 개방시켜 연료탱크(10)의 압력이 정상적으로 회복될 수 있도록 한다(S112).
상기와 같이 통기관로(13)에 장착되는 솔레노이드 밸브(14)를 개방시킨 이후 설정된 일정시간(T2) 동안에 연료탱크(10)내의 압력이 설정된 제4기준값 이상으로 회복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13).
상기 S113의 판단 결과 연료탱크(10)내부의 압력이 제4기준값 이상으로 회복된 상태이면 CCV(17)의 정상으로 판정하고(S111), 압력이 제4기준값 이상으로 회복되지 않은 상태이면 CCV(17)의 스턱 고장으로 판정한다(S114).
따라서, ROV(11)의 통기저항 영향으로 인해 발생되는 다양한 문제점을 개선하고, CCV(17)의 스턱 에러 판정에 신뢰성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연료탱크(10)내의 압력 조건에 대하여 제1 내지 제4기준값을 적용하고 있는데, 이는 다양한 환경의 조건에서 차종별로 반복적인 시험을 통해 산출한 값이며, 각 국가별 증발가스 리크 규제를 만족하기 위한 기준값으로, 어느 특정값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정상적인 주행조건에서 연료탱크 내부의 압력 저하가 검출되는 경우 연료 탱크의 압력을 설정압 이상으로 유지시켜 안정된 연료공급을 제공하여 운행에 안정성 및 신뢰성을 제공한다.
또한, 증발가스의 리크 진단조건에서 퍼지 제어의 완료후 연료탱크내의 압력 회복속도를 안정되게 제어하여 리크 진단에 신뢰성을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연료주입시에 연료탱크내의 압력을 일정압 이상으로 유지시켜 증발가스가 캐니스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Claims (8)

  1. 연료탱크와, 연료탱크 내부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센서와, 연료탱크와 제1관로를 통해 증발가스를 포집하는 캐니스터와, 캐니스터와 흡기 매니폴드를 연결하는 제2관로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어 캐니스터에 포집된 증발가스를 엔진측으로 퍼지시키는 PCSV와, 캐니스터와 대기를 연결하는 제3관로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어 리크 진단시 작동되어 연료탱크내의 압력이 회복되도록 하는 CCV 및 증발가스 리크 진단에 대한 제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증발가스 리크 진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와 캐니스터를 연결하는 제1관로의 소정위치와 연료탱크를 연결하는 통기관로와;
    상기 통기관로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증발가스 리크 진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주행조건에서 연료탱크의 압력이 설정된 제1기준값 이하인 경우 개방되어 연료탱크의 압력을 회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증발가스 리크 진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리크 진단조건에서 설정된 시간(T1)이내에 연료탱크의 압력이 설정된 제3기준값 이상으로 회복되지 않는 경우 개방되어 연료탱크의 압력을 회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증발가스 리크 진단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리크 진단조건에서 개방되어 연료탱크의 압력이 설정된 제4기준값 이상으로 회복되는 경우 폐쇄되어 CCV의 스턱 고장 판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증발가스 리크 진단장치.
  5. 차량의 정보가 증발가스 리크 진단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리크 진단조건을 만족하면 차량이 주행중인지 판단하는 과정과;
    차량이 주행중인 상태이면 연료탱크의 압력이 설정된 기준압력 이상인지 판단하는 과정과;
    연료탱크의 압력이 기준압력 이상이면 통기관로를 개방시켜 연료탱크내의 압력을 설정 압력 이상으로 회복시키는 과정과;
    상기 리크 진단조건이 만족되는 상태에서 차량이 정지 상태이고, 아이들 조건이면 캐니스터에 포집된 증발가스를 엔진측으로 유입시키는 퍼지 제어를 수행하는 과정과;
    증발가스의 퍼지 완료 이후 리크 진단을 수행하며, 설정시간(T1) 이내에 연료탱크의 압력이 회복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설정시간 이내에 연료탱크의 압력이 회복되면 CCV의 정상으로 판정하고, 설정시간 이내에 연료탱크의 압력이 제3기준값에 도달되지 않으면 통기관로를 개방시켜 연료탱크의 압력을 회복시키는 과정 및;
    상기 통기관로의 개방을 통해 연료탱크의 압력을 회복 과정에서 설정시간(T2) 이내에 제4기준값에 도달되지 않는 경우 CCV의 스턱 고장으로 판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증발가스 리크 진단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주행중인 상태에서 연료탱크의 압력이 제1기준값 이하이면 통기관로상에 장착되는 솔레노이브 밸브의 개방을 통해 연료탱크의 압력을 회복시키고, 연료탱크의 압력이 제2기준값 이상으로 회복되면 통기관로에 장착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증발가스 리크 진단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캐니스터에 포집된 증발가스의 퍼지 제어는 PCSV를 개방하고, CCV를 폐쇄한 상태에서 엔진의 부압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리크 진단방법.
  8. 차량의 상태가 리크 진단조건을 만족하고 주행중인 상태에서 연료탱크의 압력이 제1기준값 이하이면 통기관로를 개방시켜 연료탱크의 압력을 제2기준값 이상으로 회복시키는 과정과;
    리크 진단조건을 만족하고 엔진이 아이들을 유지하는 정지상태이면 PCSV를 개방하고 CCV의 폐쇄하여 캐니스터에 포집된 증발가스를 퍼지 제어하는 과정과;
    증발가스의 퍼지 제어가 완료되면 PCSV를 폐쇄하고 CCV를 개방시켜 리크 진단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리크 진단의 수행시 설정시간(T1) 이내에 연료탱크의 압력이 제3기준값에 도달되면 CCV의 정상으로 판정하고, 도달되지 않으면 통기관로를 개방시키는 과정과;
    상기 리크 진단시 통기관로 개방에 따라 설정시간(T2) 이내에 연료탱크의 압력이 제4기준값에 도달되면 CCV의 정상으로 판정하고, 도달되지 않으면 CCV의 스턱 고장으로 판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증발가스 리크 진단방법.
KR1020050121389A 2005-12-10 2005-12-10 자동차의 증발가스 리크 진단장치 및 방법 KR100748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1389A KR100748662B1 (ko) 2005-12-10 2005-12-10 자동차의 증발가스 리크 진단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1389A KR100748662B1 (ko) 2005-12-10 2005-12-10 자동차의 증발가스 리크 진단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1698A KR20070061698A (ko) 2007-06-14
KR100748662B1 true KR100748662B1 (ko) 2007-08-10

Family

ID=38357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1389A KR100748662B1 (ko) 2005-12-10 2005-12-10 자동차의 증발가스 리크 진단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86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68698B2 (en) 2016-07-29 2019-11-05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of eliminating leakage from fuel tank valve
KR102588075B1 (ko) * 2022-08-03 2023-10-12 (주)블루젠트 차량의 부압신호 생성 제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138B1 (ko) * 2012-10-23 2019-05-14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연료탱크에서의 연료 누설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
KR102644367B1 (ko) * 2018-08-28 2024-03-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 시스템의 연료 누출 진단 방법
CN113606051A (zh) * 2021-08-23 2021-11-05 江西昌河汽车有限责任公司 燃油蒸汽泄漏检测装置及检测方法
CN115111091B (zh) * 2022-04-27 2024-04-12 一汽奔腾轿车有限公司 一种燃油车蒸发系统燃油泄漏的诊断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1898A (ko) * 1995-06-22 1997-01-24 가나이 쯔도무 내연기관 제어장치
KR20010022193A (ko) * 1997-07-25 2001-03-15 루카렐리 피터 에이. 주니어 조절된 선형 퍼지솔레노이드밸브
KR20050015450A (ko) * 2003-08-06 2005-02-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캐니스터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1898A (ko) * 1995-06-22 1997-01-24 가나이 쯔도무 내연기관 제어장치
KR20010022193A (ko) * 1997-07-25 2001-03-15 루카렐리 피터 에이. 주니어 조절된 선형 퍼지솔레노이드밸브
KR20050015450A (ko) * 2003-08-06 2005-02-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캐니스터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68698B2 (en) 2016-07-29 2019-11-05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of eliminating leakage from fuel tank valve
KR102588075B1 (ko) * 2022-08-03 2023-10-12 (주)블루젠트 차량의 부압신호 생성 제어 장치
KR102607812B1 (ko) * 2022-08-03 2023-11-29 (주)블루젠트 차량의 부압신호 생성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1698A (ko) 2007-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88674B2 (ja) 燃料タンク内圧センサの故障検出装置及び故障補償装置
US7383826B2 (en) Fuel vapor treatment apparatus, system having the same,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7272488B2 (en) Leak detecting device for fuel vapor treatment unit
US7131322B2 (en) Vehicle evaporative system diagnostic
EP1059434B1 (en) A fault diagnostic apparatus for evaporated fuel purging system
JP3503584B2 (ja) 燃料蒸気パージシステムの故障診断装置
US6983739B2 (en) Evaporative fuel control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748662B1 (ko) 자동차의 증발가스 리크 진단장치 및 방법
JPH0932658A (ja) 内燃機関のエバポパージ装置における機能診断装置
JP3669305B2 (ja) 燃料蒸気ガス処理装置
JP2001012318A (ja) 蒸発燃料処理装置の故障診断装置
JP3367472B2 (ja) エバポパージシステムの故障診断装置
JP3664074B2 (ja) エバポガスパージシステムの異常診断装置
JPH09137756A (ja) 内燃機関の蒸発燃料蒸散防止装置の故障診断装置及び燃料給油中検出装置
JP2745991B2 (ja) エバポパージシステムの故障診断装置
JP4310836B2 (ja) 蒸発燃料処理系圧力検出手段の故障診断装置
JP2699769B2 (ja) エバポパージシステムの故障診断装置
JPH06235355A (ja) 内燃機関の蒸発燃料蒸散防止装置の故障診断装置
JPH11148430A (ja) 燃料蒸発ガスパージシステムのリーク判定装置
KR100786525B1 (ko) 자동차의 고장 진단 방법
JPH05332204A (ja) 内燃エンジンの蒸発燃料制御装置
JPH0681728A (ja) エバポパージシステムの故障診断装置
KR100717949B1 (ko) 자동차의 퍼지 밸브 제어 방법
JPH05180098A (ja) 車両の蒸発燃料制御システムの診断装置
KR100412715B1 (ko) 자동차의 증발가스 제어 시스템의 누설 진단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