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7040A - 고정자 철심, 압축기 및 냉동 사이클 장치 - Google Patents

고정자 철심, 압축기 및 냉동 사이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7040A
KR20180037040A KR1020187006453A KR20187006453A KR20180037040A KR 20180037040 A KR20180037040 A KR 20180037040A KR 1020187006453 A KR1020187006453 A KR 1020187006453A KR 20187006453 A KR20187006453 A KR 20187006453A KR 20180037040 A KR20180037040 A KR 20180037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late
electromagnetic steel
iron core
electromagnetic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6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8472B1 (ko
Inventor
카즈야 쿠마가이
오사무 카자마
사다미 오쿠가와
타케노리 이와나베
토시오 아라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37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7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8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magnetic stationary parts on to, or to, the stato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1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2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4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H02K1/146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consisting of a generally annular yoke with salient poles
    • H02K1/148Sectional co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3/00Specific 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nd not covered by codes H02K2201/00 - H02K2211/00
    • H02K2213/03Machines characterised by numerical values, ranges, mathematical expressions or similar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연결철심(60A)은 제1 전자강판(71)과 제3 전자강판(73)이 축방향으로 적층된 구조의 분할 철심이다. 연결철심(60B)은 제2 전자강판(72)과 제4 전자강판(74)이 축방향으로 적층된 구조의 분할 철심이다. 제3 전자강판(73)은 제1 전자강판(71)과 겹쳐 있는 부분과, 탄성을 가지며 제1 전자강판(71)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비스듬히 늘어나 있는 돌기(81)가 마련되고, 제1 전자강판(71)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하여 있는 부분을 갖는다. 제4 전자강판(74)은 제2 전자강판(72)과 겹쳐 있는 부분과, 구멍(82)이 마련되고, 제2 전자강판(72)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하여 있는 부분(4B)을 갖는다. 연결철심(60A)과 연결철심(60B)이 연결되어 있을 때, 구멍(82)에는 돌기(81)가 끼여 있다.

Description

고정자 철심, 압축기 및 냉동 사이클 장치
본 발명은 고정자 철심, 압축기 및 냉동 사이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분할 철심을 연결함으로써 모터의 고정자 철심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이 기술에서는 각 분할 철심의 일방의 분할 경계부에 볼록부가 형성되고, 타방의 분할 경계부에 오목부가 형성된다. 연결되는 2개의 분할 철심 중, 일방의 분할 철심의 볼록부에는 적층두께 방향으로 돌출한 계지편과, 타방의 분할 철심의 오목부에 형성된 계지편을 수납하기 위한 계지홈이 형성된다. 일방의 분할 철심의 오목부에는 적층두께 방향으로 돌출한 계지편과, 타방의 분할 철심의 볼록부에 형성된 계지편을 수납하기 위한 계지홈이 형성된다. 일방의 분할 철심의 볼록부를 타방의 분할 철심의 오목부에 끼우고, 타방의 분할 철심의 볼록부를 일방의 분할 철심의 오목부에 끼움으로써, 각 볼록부에 형성된 계지편이 각 오목부에 형성된 계지홈에 수납되고, 양방의 분할 철심이 연결된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09-118676호 공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분할 철심의 연결 부분마다, 다른 방향으로 돌출한 2개의 계지편이 계지홈에 수납된다. 즉, 하나하나의 방향에서는 1개의 계지편만으로 따라서 분할 철심끼리가 결합된다. 따라서 분할 철심끼리의 결합력이 약하다.
본 발명은 고정자 철심이 분할된 부분끼리의 결합력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관한 고정자 철심은 제1 전자강판과, 제2 전자강판과, 상기 제1 전자강판과 겹쳐 있는 부분과, 탄성을 가지며 제1 전자강판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비스듬히 늘어나는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제1 전자강판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하여 있는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1 전자강판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한 앞의 단(端)이 상기 제2 전자강판과 인접하여 있는 제3 전자강판과, 상기 제2 전자강판과 겹쳐 있는 부분과, 상기 제3 전자강판의 돌기가 끼여 있는 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제2 전자강판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하여 있는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2 전자강판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한 앞의 단이 상기 제1 전자강판과 인접하여 있는 제4 전자강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전자강판과 상기 제2 전자강판과 상기 제3 전자강판과 상기 제4 전자강판의 조합이 같은 방향으로 적층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 전자강판과, 제2 전자강판과, 돌기가 있는 제3 전자강판과, 제3 전자강판의 돌기가 끼여 있는 구멍이 있는 제4 전자강판의 조합이 같은 방향으로 적층되어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서는 2개 이상의 돌기에 의해 고정자 철심이 분할된 부분끼리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자 철심이 분할된 부분끼리의 결합력이 강하다.
도 1은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냉동 사이클 장치의 회로도.
도 2는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냉동 사이클 장치의 회로도.
도 3은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압축기의 종단면도.
도 4는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고정자 철심의 평면도.
도 5는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분할 철심을 형성하는 전자강판의 평면도 및 부분 확대도.
도 6은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분할 철심을 형성하는 전자강판의 평면도 및 부분 확대도.
도 7은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분할 철심의 부분 횡단면도.
도 8은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분할 철심을 연결하는 순서를 도시하는 부분 횡단면도 및 부분 종단면도.
도 9는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분할 철심을 연결하는 순서를 도시하는 부분 횡단면도 및 부분 종단면도.
도 10은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분할 철심을 연결하는 순서를 도시하는 부분 횡단면도 및 부분 종단면도.
도 11은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분할 철심을 연결하는 순서를 도시하는 부분 횡단면도 및 부분 종단면도.
도 12는 실시의 형태 1의 변형례에 관한 분할 철심의 부분 횡단면도 및 부분 종단면도.
도 13은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분할 철심의 부분 횡단면도.
도 14는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분할 철심을 형성하는 전자강판의 구멍 및 돌기의 평면도.
도 15는 실시의 형태 3에 관한 고정자 철심의 분할편의 부분 횡단면도.
도 16은 실시의 형태 4에 관한 고정자 철심의 평면도.
도 17은 실시의 형태 4에 관한 고정자 철심의 분할편을 형성하는 전자강판의 평면도 및 부분 확대도.
도 18은 실시의 형태 4에 관한 고정자 철심의 분할편을 형성하는 전자강판의 평면도 및 부분 확대도.
도 19는 실시의 형태 4에 관한 고정자 철심의 분할편의 부분 횡단면도.
도 20은 실시의 형태 4에 관한 고정자 철심의 분할편의 부분 횡단면도 및 부분 종단면도.
도 21은 실시의 형태 5에 관한 고정자 철심의 분할편의 부분 횡단면도.
도 22는 실시의 형태 5에 관한 고정자 철심의 분할편의 부분 횡단면도 및 부분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실시의 형태의 설명에서,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 관해서는 그 설명을 적절히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장치, 기구, 부품 등의 구성에 관해, 그 재질, 형상, 크기 등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냉동 사이클 장치(1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냉방 운전시의 냉매 회로(11)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난방 운전시의 냉매 회로(11)를 도시하고 있다.
냉동 사이클 장치(10)는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공기조화기이지만, 냉장고, 히트 펌프 사이클 장치라고 말한 공기조화기 이외의 장치라도 좋다.
냉동 사이클 장치(10)는 냉매가 순환하는 냉매 회로(11)를 구비한다. 냉동 사이클 장치(10)는 또한, 압축기(12)와, 4방밸브(13)와, 실외 열교환기인 제1 열교환기(14)와, 팽창밸브인 팽창기구(15)와, 실내 열교환기인 제2 열교환기(16)를 구비한다. 압축기(12)와, 4방밸브(13)와, 제1 열교환기(14)와, 팽창기구(15)와, 제2 열교환기(16)는 냉매 회로(11)에 접속되어 있다.
압축기(12)는 냉매를 압축한다. 4방밸브(13)는 냉방 운전시와 난방 운전시에서 냉매가 흐르는 방향을 전환한다. 제1 열교환기(14)는 냉방 운전시에는 응축기로서 동작하고, 압축기(12)에 의해 압축된 냉매를 방열시킨다. 즉, 제1 열교환기(14)는 압축기(12)에 의해 압축된 냉매를 이용하여 열교환을 행한다. 제1 열교환기(14)는 난방 운전시에는 증발기로서 동작하고, 실외 공기와 팽창기구(15)에서 팽창한 냉매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하여 냉매를 가열한다. 팽창기구(15)는 응축기에서 방열한 냉매를 팽창시킨다. 제2 열교환기(16)는 난방 운전시에는 응축기로서 동작하고, 압축기(12)에 의해 압축된 냉매를 방열시킨다. 즉, 제2 열교환기(16)는 압축기(12)에 의해 압축된 냉매를 이용하여 열교환을 행한다. 제2 열교환기(16)는 냉방 운전시에는 증발기로서 동작하고, 실내 공기와 팽창기구(15)에서 팽창한 냉매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하여 냉매를 가열한다.
냉동 사이클 장치(10)는 또한, 제어 장치(17)를 구비한다.
제어 장치(17)는 구체적으로는 마이크로 컴퓨터이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제어 장치(17)와 압축기(12)와의 접속밖에 나타내고 있지 않지만, 제어 장치(17)는 압축기(12)뿐만 아니라, 냉매 회로(11)에 접속된 각 요소에 접속된다. 제어 장치(17)는 각 요소의 상태를 감시하거나, 제어하거나 한다.
냉매 회로(11)를 순환하는 냉매로서는 R32 냉매, R290(프로판) 냉매, R407C 냉매, R410A 냉매, R744(CO2) 냉매, R1234yf 냉매 등 임의의 냉매를 사용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압축기(12)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3은 압축기(12)의 종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압축기(12)는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밀폐형 압축기이다. 압축기(12)는 구체적으로는 1실린더의 로터리 압축기이지만, 2실린더 이상의 로터리 압축기, 스크롤 압축기, 또는 레시프로 압축기라도 좋다.
압축기(12)는 밀폐 용기(20)와, 압축 기구(30)와, 모터(40)와, 크랭크축(50)을 구비한다.
밀폐 용기(20)에는 냉매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관(21)과, 냉매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관(22)이 부착되어 있다.
압축 기구(30)는 밀폐 용기(20)에 수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압축 기구(30)는 밀폐 용기(20)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압축 기구(30)는 모터(40)에 의해 구동된다. 압축 기구(30)는 흡입관(21)에 흡입된 냉매를 압축한다.
모터(40)도, 밀폐 용기(20)에 수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모터(40)는 밀폐 용기(2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모터(40)는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집중권의 모터이지만, 분포권의 모터라도 좋다.
밀폐 용기(20)의 저부에는 압축 기구(30)의 각 활주부를 윤활하기 위한 냉동기유가 저류되어 있다. 냉동기유는 크랭크축(50)의 회전에 수반하여, 크랭크축(50)의 하부에 마련된 오일 펌프에 의해 퍼 올려지고, 압축 기구(30)의 각 활주부에 공급된다. 냉동기유로서는 합성유인 POE(폴리올에스테르), PVE(폴리비닐에테르), AB(알킬벤젠) 등이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모터(40)의 상세를 설명한다.
모터(40)는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브러시리스 DC(Direct·Current) 모터이지만, 유도 전동기 등 브러시리스 DC 모터 이외의 모터라도 좋다.
모터(40)는 고정자(41)와, 회전자(42)를 구비한다.
고정자(41)는 원통형상이고, 밀폐 용기(20)의 내주면에 접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회전자(42)는 원주형상이고, 고정자(41)의 내측에 0.3밀리미터로부터 1.0밀리미터의 공극을 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고정자(41)는 고정자 철심(43)과, 권선(44)을 구비한다. 고정자 철심(43)은 철을 주성분으로 하는 두께가 0.1밀리미터로부터 1.5밀리미터의 복수매의 전자강판을 일정한 형상으로 타발하고, 축방향으로 적층하고, 코킹 또는 용접 등에 의해 고정하여 제작된다. 고정자 철심(43)은 외경이 밀폐 용기(20)의 중간부의 내경보다도 크고, 밀폐 용기(20)의 내측에 수축끼워맞춤되어 고정되어 있다. 권선(44)은 고정자 철심(43)에 감겨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권선(44)은 고정자 철심(43)에 절연부재(45)를 통하여 집중권으로 감겨져 있다. 권선(44)은 심선과, 심선을 덮는 적어도 1층의 피막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 심선의 재질은 구리이다. 피막의 재질은 AI(아미드이미드)/EI(에스테르이미드)이다. 절연부재(45)의 재질은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다. 또한, 심선의 재질은 알루미늄이라도 좋다. 절연부재(45)의 재질은 PBT(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FEP(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PFA(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 PTFE(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LCP(액정 폴리머), PPS(폴리페닐렌술파이드), 또는 페놀 수지라도 좋다. 권선(44)에는 리드선(25)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회전자(42)는 회전자 철심(46)과, 영구자석(48)을 구비한다. 회전자 철심(46)은 고정자 철심(43)과 마찬가지로, 철을 주성분으로 하는 두께가 0.1밀리미터로부터 1.5밀리미터의 복수매의 전자강판을 일정한 형상으로 타발하고, 축방향으로 적층하고, 코킹 또는 용접 등에 의해 고정하여 제작된다. 영구자석(48)은 회전자 철심(46)에 형성된 복수의 삽입 구멍에 삽입되어 있다. 영구자석(48)은 자극을 형성한다. 영구자석(48)으로서는 페라이트 자석, 또는 희토류 자석이 사용된다.
회전자 철심(46)의 평면시 중심에는 크랭크축(50)의 주축부(52)가 수축끼워맞춤 또는 압입되는 축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자 철심(46)의 축 구멍의 주위에는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구멍(49)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관통구멍(49)은 후술하는 토출 머플러(35)로부터 밀폐 용기(20) 내의 공간에 방출되는 가스 냉매의 통로의 하나가 된다.
도시하지 않지만, 모터(40)가 유도 전동기로서 구성되는 경우에는 회전자 철심(46)에 형성된 복수의 슬롯에 알루미늄 또는 구리 등으로 형성된 도체가 충전 또는 삽입된다. 그리고, 도체의 양단을 엔드 링으로 단락한 케이지형 권선이 형성된다.
밀폐 용기(20)의 정상부에는 인버터 장치 등 외부 전원과 접속하는 단자(24)가 부착되어 있다. 단자(24)는 구체적으로는 유리 단자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 단자(24)는 용접에 의해 밀폐 용기(20)에 고정되어 있다. 단자(24)에는 리드선(25)의 타단이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단자(24)와 모터(40)의 권선(44)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밀폐 용기(20)의 정상부에는 또한, 축방향 양단이 개구한 토출관(22)이 부착되어 있다. 압축 기구(30)로부터 토출된 가스 냉매는 밀폐 용기(20) 내의 공간부터 토출관(22)을 통과하여 외부의 냉매 회로(11)에 토출된다.
이하에서는 압축 기구(30)의 상세를 설명한다.
압축 기구(30)는 실린더(31)와, 피스톤(32)과, 주축받이(33)와, 부축받이(34)와, 토출 머플러(35)를 구비한다.
실린더(31)의 내주는 평면시 원형이다. 실린더(31)의 내부에는 평면시 원형의 공간인 실린더실이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31)의 외주면에는 냉매 회로(11)로부터 가스 냉매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가 마련되어 있다.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냉매는 실린더실에서 압축된다. 실린더(31)는 축방향 양단이 개구하여 있다.
피스톤(32)은 링형상이다. 따라서, 피스톤(32)의 내주 및 외주는 평면시 원형이다. 피스톤(32)은 실린더실 내에서 편심 회전한다. 피스톤(32)은 피스톤(32)의 회전축이 되는 크랭크축(50)의 편심축부(51)에 활주 자유롭게 끼워져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실린더(31)에는 실린더실에 이어지는 반경 방향으로 늘어나는 베인 홈이 마련되어 있다. 베인 홈의 외측에는 베인 홈에 이어지는 평면시 원형의 공간인 배압실이 형성되어 있다. 베인 홈 내에는 실린더실을 저압의 흡입실과 고압의 압축실로 구획하기 위한 베인이 설치되어 있다. 베인은 선단이 동그스름한 판형상이다. 베인은 배압실에 마련된 베인 스프링에 의해 항상 피스톤(32)에 꽉 눌려 있다. 밀폐 용기(20) 내가 고압이기 때문에, 압축기(12)의 운전이 시작하면, 베인의 배압실측의 면인 베인 배면에 밀폐 용기(20) 내의 압력과 실린더실 내의 압력과의 차에 의한 힘이 작용한다. 이 때문에, 베인 스프링은 주로 밀폐 용기(20) 내와 실린더실 내의 압력에 차가 없는 압축기(12)의 기동시에, 베인을 피스톤(32)에 꽉누르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주축받이(33)는 측면시 역T자형상이다. 주축받이(33)는 크랭크축(50)의 편심축부(51)보다도 위의 부분인 주축부(52)에 활주 자유롭게 끼워져 있다. 주축받이(33)는 실린더(31)의 실린더실 및 베인 홈의 상측을 폐색하고 있다.
부축받이(34)는 측면시 T자형상이다. 부축받이(34)는 크랭크축(50)의 편심축부(51)보다도 아래의 부분인 부축부(53)에 활주 자유롭게 끼워져 있다. 부축받이(34)는 실린더(31)의 실린더실 및 베인 홈의 하측을 폐색하고 있다.
주축받이(33)와 부축받이(34)는 각각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실린더(31)에 고정되고, 피스톤(32)의 회전축인 크랭크축(50)을 지지하고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주축받이(33)에는 실린더실에서 압축된 냉매를 냉매 회로(11)에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가 마련되어 있다. 토출구는 실린더실이 베인에 의해 흡입실과 압축실로 구획되어 있을 때에 압축실에 연결되는 위치에 있다. 주축받이(33)에는 토출구를 개폐 자유롭게 폐색하는 토출 밸브가 부착되어 있다.
토출 머플러(35)는 주축받이(33)의 외측에 부착되어 있다. 토출 밸브를 통하여 토출된 고온이면서 고압의 가스 냉매는 일단 토출 머플러(35)에 들어가고, 그 후 토출 머플러(35)로부터 밀폐 용기(20) 내의 공간에 방출되다. 또한, 토출구 및 토출 밸브는 부축받이(34), 또는 주축받이(33)와 부축받이(34)와의 양방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토출 머플러(35)는 토출구 및 토출 밸브가 마련되어 있는 축받이의 외측에 부착된다.
밀폐 용기(20)의 옆에는 흡입 머플러(23)가 마련되어 있다. 흡입 머플러(23)는 냉매 회로(11)로부터 저압의 가스 냉매를 흡입한다. 흡입 머플러(23)는 액냉매가 되돌아오는 경우에 액냉매가 직접 실린더(31)의 실린더실에 들어가는 것을 억제한다. 흡입 머플러(23)는 실린더(31)의 외주면에 마련된 흡입구에 흡입관(21)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흡입 머플러(23)의 본체는 용접 등에 의해 밀폐 용기(20)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 실린더(31), 주축받이(33) 및 부축받이(34)의 재질은 소결 강이지만, 회주철 또는 탄소강이라도 좋다. 피스톤(32)의 재질은 크롬 등을 함유한 합금강이다. 베인의 재질은 고속도 공구강이다.
도시하지 않지만, 압축기(12)가 스윙식의 로터리 압축기로서 구성되는 경우에는 베인이, 피스톤(32)과 일체로 마련된다. 크랭크축(50)이 구동되면, 베인은 피스톤(32)에 회전 자유롭게 부착된 지지체의 홈에 따라 출입한다. 베인은 피스톤(32)의 회전에 따라 요동하면서 반경 방향으로 진퇴함 것에 의해, 실린더실의 내부를 압축실과 흡입실로 구획한다. 지지체는 횡단면이 반원 형상의 2개의 주상부재로 구성된다. 지지체는 실린더(31)의 흡입구와 토출구의 중간부에 형성된 원형상의 유지 구멍에 회전 자유롭게 끼워진다.
이하에서는 압축기(12)의 동작을 설명한다.
단자(24)로부터 리드선(25)을 통하여 모터(40)의 고정자(41)에 전력이 공급된다. 이에 의해, 고정자(41)의 권선(44)에 전류가 흐르고, 권선(44)으로부터 자속이 발생한다. 모터(40)의 회전자(42)는 권선(44)으로부터 발생하는 자속과, 회전자(42)의 영구자석으로부터 발생하는 자속과의 작용에 의해 회전한다. 회전자(42)의 회전에 의해, 회전자(42)에 고정된 크랭크축(50)이 회전한다. 크랭크축(50)의 회전에 수반하여, 압축 기구(30)의 피스톤(32)이 압축 기구(30)의 실린더(31)의 실린더실 내에서 편심 회전한다. 실린더(31)와 피스톤(32) 사이의 공간인 실린더실은 베인에 의해 흡입실과 압축실로 분할되어 있다. 크랭크축(50)의 회전에 수반하여, 흡입실의 용적과 압축실의 용적이 변화한다. 흡입실에서는 서서히 용적이 확대함에 의해, 흡입 머플러(23)로부터 저압의 가스 냉매가 흡입된다. 압축실에서는 서서히 용적이 축소함에 의해, 속의 가스 냉매가 압축된다. 압축되어, 고압이면서 고온이 된 가스 냉매는 토출 머플러(35)로부터 밀폐 용기(20) 내의 공간에 토출된다. 토출된 가스 냉매는 또한, 모터(40)를 통과하여 밀폐 용기(20)의 정상부에 있는 토출관(22)으로부터 밀폐 용기(20)의 밖으로 토출된다. 밀폐 용기(20)의 밖으로 토출된 냉매는 냉매 회로(11)를 통과하여, 재차 흡입 머플러(23)에 되돌아온다.
이하에서는 모터(40)의 고정자(41)가 구비하는 고정자 철심(43)의 구성, 그 구성을 실현하기 위한 순서, 그 구성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를 순번대로 설명한다.
(구성의 설명)
도 4를 참조하여, 고정자 철심(43)의 구성을 설명한다.
고정자 철심(43)은 복수의 분할 철심(60)이 둘레방향(周方向)으로 연결된 구조를 갖고 있다. 「둘레방향」은 고정자 철심(43)을 포함하도록 모터(40)가 구성된 때에 고정자 철심(43)의 내측에 마련된 회전자(42)의 회전 방향과 같은 방향이다. 분할 철심(60)의 개수는 임의의 수라도 좋지만,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9개이다.
9개의 분할 철심(60)에는 1개의 연결철심(60A)과, 1개의 연결철심(60B)이 포함된다. 연결철심(60A)의 개수는 임의의 수라도 좋고, 2개 이상의 분할 철심(60)이 연결철심(60A)에 해당하여도 좋다. 연결철심(60B)의 개수는 연결철심(60A)의 개수와 같은 수이고, 2개 이상의 분할 철심(60)이 연결철심(60B)에 해당하여도 좋다. 2개 이상의 분할 철심(60)이 연결철심(60A)에 해당하는 경우, 또는 2개 이상의 분할 철심(60)이 연결철심(60B)에 해당하는 경우, 연결철심(60A)과 연결철심(60B)을 겸하는 분할 철심(60)이 있어도 좋다.
각각의 분할 철심(60)은 티스(61)와 백 요크(62)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갖고 있다. 이웃하는 분할 철심(60)끼리는 서로의 백 요크(62)가 결합됨으로써 연결되어 있다. 연결철심(60A)과 연결철심(60B)의 연결 방법으로서는 후술하는 방법이 이용되지만, 적어도 일방이 연결철심(60A)과 연결철심(60B)의 어느 것에도 해당하지 않는 분할 철심(60)끼리의 연결 방법으로서는 임의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각각의 분할 철심(60)에서, 티스(61)는 백 요크(62)의 반경 방향의 내측부터 늘어나 있다. 티스(61)는 근원으로부터 일정한 폭으로 반경 방향의 내측으로 늘어나고, 선단에서 폭이 넓어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티스(61)의 일정한 폭으로 늘어나 있는 부분에는 권선(44)이 감겨진다. 권선(44)에 전류가 흘려지면, 권선(44)이 휘감겨진 티스(61)가 자극이 된다. 자극의 방향은 권선(44)에 흘리는 전류의 방향에 의해 정하여진다.
도 5,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연결철심(60A)과 연결철심(60B)을 형성하는 전자강판의 구조를 설명한다.
연결철심(60A)은 제1 전자강판(71)과 제3 전자강판(73)이 축방향으로 적층된 구조의 분할 철심(60)이다. 구체적으로는 연결철심(60A)은 제1 전자강판(71)과 제3 전자강판(73)이 1매씩 교대로 축방향으로 배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축방향」은 고정자 철심(43)을 포함하도록 모터(40)가 구성된 때에 고정자 철심(43)의 내측에 마련된 회전자(42)의 회전축 방향과 같은 방향이다. 도 5는 제1 전자강판(71)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음과 함께, 제1 전자강판(71)의 연결부를 확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제3 전자강판(73)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음과 함께, 제3 전자강판(73)의 연결부를 확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임의의 연속하는 4개의 층(L1∼L4)에서의 제1 전자강판(71) 및 제3 전자강판(73)의 연결부를 나타내고 있다. 제1 전자강판(71) 및 제3 전자강판(73)의 적층수는 4개보다도 많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4개의 층(L1∼L4)만을 나타내고 있다.
연결철심(60B)은 제2 전자강판(72)과 제4 전자강판(74)이 축방향으로 적층된 구조의 분할 철심(60)이다. 구체적으로는 연결철심(60B)은 제2 전자강판(72)과 제4 전자강판(74)이 1매씩 교대로 축방향으로 배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도 5는 제4 전자강판(74)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음과 함께, 제4 전자강판(74)의 연결부를 확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제2 전자강판(72)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음과 함께, 제2 전자강판(72)의 연결부를 확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층(L1∼L4)에서의 제2 전자강판(72) 및 제4 전자강판(74)의 연결부를 나타내고 있다. 제2 전자강판(72) 및 제4 전자강판(74)의 적층수는 제1 전자강판(71) 및 제3 전자강판(73)의 적층수와 같다.
제3 전자강판(73)은 제1 전자강판(71)과 겹쳐 있는 부분(3A)과, 돌기(81)가 마련되고, 제1 전자강판(71)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하여 있는 부분(3B)을 갖는다. 연결철심(60A)과 연결철심(60B)이 연결되어 있을 때, 제3 전자강판(73)은 제1 전자강판(71)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한 앞의 단(3C)이 제2 전자강판(72)과 인접하여 있다.
제3 전자강판(73)의 돌기(81)는 탄성을 갖고 있다. 돌기(81)는 제1 전자강판(71)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비스듬히 늘어나 있다. 돌기(81)는 임의의 방법으로 형성되어도 좋지만,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3 전자강판(73)의 일부가 잘라세워짐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돌기(81)는 임의의 형상이라도 좋지만,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평면시 직사각형상이다.
제4 전자강판(74)은 제2 전자강판(72)과 겹쳐 있는 부분(4A)과, 구멍(82)이 마련되고, 제2 전자강판(72)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하여 있는 부분(4B)을 갖는다. 연결철심(60A)과 연결철심(60B)이 연결되어 있을 때, 제4 전자강판(74)은 제2 전자강판(72)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한 앞의 단(4C)이 제1 전자강판(71)과 인접하여 있다.
제4 전자강판(74)의 구멍(82)은 임의의 형상이라도 좋지만,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평면시 직사각형상이다. 연결철심(60A)과 연결철심(60B)이 연결되어 있을 때, 구멍(82)에는 제3 전자강판(73)의 돌기(81)가 끼여 있다. 이에 의해, 적어도 돌기(81)가 돌출하여 있는 방향에서는 제3 전자강판(73)의 매수와 같은 개수의 돌기(81)에 의해, 연결철심(60A)과 연결철심(60B)이 결합된다. 따라서 돌기(81)의 개수가 많을수록, 연결철심(60A)과 연결철심(60B)의 결합력이 강해진다.
(순서의 설명)
도 8, 도 9,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고정자 철심(43)의 구성을 실현하기 위한 순서를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연결철심(60A)과 연결철심(60B)을 연결하는 순서를 설명한다. 이 순서는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고정자 철심(43)의 제조 방법의 일부의 공정에 상당한다.
우선,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기(81)가 있는 연결철심(60A)이, 구멍(82)이 있는 연결철심(60B)을 향하여, 제4 전자강판(74)과 제1 전자강판(71)이 동층이 되고, 제2 전자강판(72)과 제3 전자강판(73)이 동층이 되도록 둘레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층(L2)의 제3 전자강판(73)은 하나 위의 층(L1)의 제4 전자강판(74)의 아래에 생기는 간극에 삽입된다. 층(L2)의 제3 전자강판(73)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층(L2)의 제3 전자강판(73)의 돌기(81)는 층(L1)의 제4 전자강판(74)의 둘레방향 단부에 의해, 축방향의 돌기(81)가 돌출하여 있는 측과 역측으로 힘을 받아, 탄성 변형한다. 구체적으로는 돌기(81)는 층(L2)의 제3 전자강판(73)이 삽입됨에 따라, 돌기(81)의 경사면에 접촉하는 층(L1)의 제4 전자강판(74)의 둘레방향 단부에 의해 서서히 눌려 찌그러져 간다. 이 제4 전자강판(74)의 둘레방향 단부는 도 7에 도시한 층(L1)의 제4 전자강판(74)의 단(4C)에 상당한다.
층(L4)의 제3 전자강판(73)도, 층(L2)의 제3 전자강판(73)과 마찬가지로, 하나 위의 층(L3)의 제4 전자강판(74)의 아래에 생기는 간극에 삽입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3 전자강판(73)의 돌기(81)가 탄성 변형하기 때문에, 압입 등의 다른 방법과 비교하여 용이하게 제3 전자강판(73)을 삽입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층(L2)의 제3 전자강판(73)의 돌기(81)는 층(L1)의 제4 전자강판(74)의 구멍(82)까지 도달하면,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와, 구멍(82)에 끼여진다. 이에 의해, 층(L2)의 제3 전자강판(73)과 층(L1)의 제4 전자강판(74)이 결합된다. 층(L4)의 제3 전자강판(73)과 층(L3)의 제4 전자강판(74)도, 층(L2)의 제3 전자강판(73)과 층(L1)의 제4 전자강판(74)과 마찬가지로 결합된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령 연결철심(60A)이, 연결철심(60B)과는 역측을 향하여, 둘레방향으로 당겨졌다고 하여도, 연결철심(60A)의 돌기(81)가 연결철심(60B)의 구멍(82)에 끼여 있기 때문에, 돌기(81)와 구멍(82)의 내벽과의 접촉력이 작용하여, 연결철심(60A)이 연결철심(60B)으로부터 떼어지는 일은 없다.
연결철심(60A)은 상기한 바와 같이, 연결철심(60B)과는 역측을 향하여 당겨져도 이동하지 않지만, 연결철심(60B)을 향하여 눌려지면, 이동할 수 있다. 고정자 철심(43)이 압축기(12)의 밀폐 용기(20)에 수축끼워맞춤된 때에는 고정자 철심(43)을 둘레방향으로 수축시키는 힘이 작용하는데,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연결철심(60A)이 연결철심(60B)을 향하여 이동함으로써, 그 힘을 흡수할 수 있다. 그때문에, 고정자 철심(43)의 내경 진원도를 내기 쉽다. 또한, 고정자 철심(43)이 수축끼워맞춤된 때에 연결부에 응력이 집중하지 않기 때문에, 연결부에서의 철손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의 효과의 설명)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 전자강판(71)과, 제2 전자강판(72)과, 돌기(81)가 있는 제3 전자강판(73)과, 제3 전자강판(73)의 돌기(81)가 끼여 있는 구멍(82)이 있는 제4 전자강판(74)의 조합이 같은 방향으로 적층되어 있다. 어느 조합의 돌기(81)도, 같은 방향으로 돌출하여 있기 때문에, 적어도 그 방향에서는 2개 이상의 돌기(81)에 의해 연결철심(60A)과 연결철심(60B)이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철심(60A)과 연결철심(60B)의 결합력이 강하다. 여기서, 연결철심(60A)과 연결철심(60B)은 고정자 철심(43)이 분할된 부분에 해당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4 전자강판(74)의 구멍(82)이, 제3 전자강판(73)의 돌기(81)가 마련된 층과 다른 층에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용접의 필요가 없고, 염가이면서 용이하게 연결철심(60A)과 연결철심(60B)을 연결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분할 경계부에 형성되는 볼록부의 상하, 및, 분할 경계부에 형성된 오목부 그 자체에, 적층 방향으로 크게 늘어나는 간극이 생겨 버린다. 이와 같은 간극은 고정자의 자로를 감소시키고, 모터 효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에 대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 전자강판(71)과, 제1 전자강판(71)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하여 있는 제3 전자강판(73)이 1매씩 교대로 적층되어 있기 때문에, 적층 방향에 생기는 간극이 작다. 제2 전자강판(72) 및 제4 전자강판(74)에 대해서도, 같다. 따라서 고정자(41)의 자로를 줄이지 않고 끝나고, 그 결과, 모터 효율이 유지된다.
(다른 구성)
각각의 티스(61)는 일체로 형성되는 대신에, 일정한 폭으로 늘어나 있는 부분과 선단이 반경 방향으로 연결된 구조를 갖고 있어도 좋다. 그 연결 방법으로서는 연결철심(60A)과 연결철심(60B)을 연결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전자강판의 돌기(81)를 다른 전자강판의 구멍(82)에 끼우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 전자강판(71)과 제2 전자강판(72)과 제3 전자강판(73)과 제4 전자강판(74)의 조합이 같은 방향으로 연속해서 적층되어 있지만, 제1 전자강판(71)과 제2 전자강판(72)과 제3 전자강판(73)과 제4 전자강판(74)의 조합 사이에, 다른 전자강판의 조합이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하에서는 그러한 예의 하나에 관해, 주로 본 실시의 형태와의 차이를 설명한다.
도 12를 참조하여, 본 실시의 형태의 변형례에 관한 고정자 철심(43)의 구성을 설명한다.
이 변형례에서는 제1 전자강판(71)과 제2 전자강판(72)과 제3 전자강판(73)과 제4 전자강판(74)의 조합 사이에, 제5 전자강판(75)과 제6 전자강판(76)의 조합이 배치되어 있다.
연결철심(60A)은 제1 전자강판(71)과 제3 전자강판(73)과 제5 전자강판(75)이 축방향으로 적층된 구조의 분할 철심(60)이다. 구체적으로는 연결철심(60A)은 1매의 제1 전자강판(71), 1매의 제3 전자강판(73), 2매의 제5 전자강판(75)이 순번대로 반복해서 축방향으로 배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2는 임의의 연속하는6개의 층(L1∼L6)에서의 제1 전자강판(71), 제3 전자강판(73) 및 제5 전자강판(75)의 연결부를 나타내고 있다. 제1 전자강판(71), 제3 전자강판(73) 및 제5 전자강판(75)의 적층수는 6개보다도 많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6개의 층(L1∼L6)만을 나타내고 있다.
연결철심(60B)은 제2 전자강판(72)과 제4 전자강판(74)과 제6 전자강판(76)이 축방향으로 적층된 구조의 분할 철심(60)이다. 구체적으로는 연결철심(60B)은 1매의 제4 전자강판(74), 1매의 제2 전자강판(72), 2매의 제6 전자강판(76)이 순번대로 반복해서 축방향으로 배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2는 층(L1∼L6)에서의 제2 전자강판(72), 제4 전자강판(74) 및 제6 전자강판(76)의 연결부를 나타내고 있다. 제2 전자강판(72), 제4 전자강판(74) 및 제6 전자강판(76)의 적층수는 제1 전자강판(71), 제3 전자강판(73) 및 제5 전자강판(75)의 적층수와 같다.
연결철심(60A)과 연결철심(60B)이 연결되어 있을 때, 제6 전자강판(76)은 제5 전자강판(75)과 인접하여 있다.
이 변형례에서는 연결부에서 적층 방향에 생기는 간극의 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돌기(81)도 구멍(82)도 없는 층이 존재한다. 따라서 고정자(41)의 자로를 늘릴 수 있고, 그 결과, 모터 효율이 향상한다.
실시의 형태 2.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해, 주로 실시의 형태 1과의 차이를 설명한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고정자 철심(43)의 구성을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에서는 제3 전자강판(73)의 돌기(81)와, 제4 전자강판(74)의 구멍(82)이, 모두 평면시 직사각형상이다. 이에 대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3 전자강판(73)의 돌기(81)가, 평면시 정방형상이고, 제4 전자강판(74)의 구멍(82)이, 평면시 원형상이다. 돌기(81)는 1변의 길이가 구멍(82)의 반경(R)의 2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1변의 길이가 구멍(82)의 반경(R)의 √2배, 즉, √2R이다.
연결철심(60A)과 연결철심(60B)이 연결될 때에는 실시의 형태 1과 마찬가지로, 층(L2)의 제3 전자강판(73)이, 하나 위의 층(L1)의 제4 전자강판(74)의 아래에 생기는 간극에 삽입된다. 층(L2)의 제3 전자강판(73)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층(L2)의 제3 전자강판(73)의 돌기(81)는 층(L1)의 제4 전자강판(74)의 둘레방향 단부에 의해, 축방향의 돌기(81)가 돌출하여 있는 측과 역측으로 힘을 받아, 탄성 변형한다. 층(L4)의 제3 전자강판(73)도, 층(L2)의 제3 전자강판(73)과 마찬가지로, 하나 위의 층(L3)의 제4 전자강판(74)의 아래에 생기는 간극에 삽입된다.
층(L2)의 제3 전자강판(73)의 돌기(81)는 층(L1)의 제4 전자강판(74)의 구멍(82)까지 도달하면,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와, 구멍(82)에 끼여진다. 이에 의해, 층(L2)의 제3 전자강판(73)과 층(L1)의 제4 전자강판(74)이 결합된다. 층(L4)의 제3 전자강판(73)과 층(L3)의 제4 전자강판(74)도, 층(L2)의 제3 전자강판(73)과 층(L1)의 제4 전자강판(74)과 마찬가지로 결합된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돌기(81)가, 둘레방향에 대해 경사의 방향으로 이동해도, 구멍(82)에 꼭 맞기 쉽다. 따라서 제3 전자강판(73)의 삽입 방향의 어긋남에 대한 허용도가 높아진다. 즉, 제3 전자강판(73)의 삽입 방향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 전자강판(71)과 제2 전자강판(72)과 제3 전자강판(73)과 제4 전자강판(74)의 조합이 같은 방향으로 연속해서 적층되어 있지만, 제1 전자강판(71)과 제2 전자강판(72)과 제3 전자강판(73)과 제4 전자강판(74)의 조합 사이에, 다른 전자강판의 조합이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의 형태 1의 변형례와 같이, 제1 전자강판(71)과 제2 전자강판(72)과 제3 전자강판(73)과 제4 전자강판(74)의 조합 사이에, 도 12에 도시한 제5 전자강판(75)과 제6 전자강판(76)의 조합이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실시의 형태 3.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해, 주로 실시의 형태 1과의 차이를 설명한다.
도 15를 참조하여,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고정자 철심(43)의 구성을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에서는 제3 전자강판(73)의 돌기(81)가, 제3 전자강판(73)의 1개소만에 마련되고, 제4 전자강판(74)의 구멍(82)도, 제4 전자강판(74)의 1개소만에 마련되어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3 전자강판(73)의 돌기(81)가, 제3 전자강판(73)의 복수개소에 마련되고, 제4 전자강판(74)의 구멍(82)도, 제4 전자강판(74)의 복수개소에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돌기(81)가, 제3 전자강판(73)의 2개소에 마련되고, 구멍(82)도, 제4 전자강판(74)의 2개소에 마련되어 있다.
연결철심(60A)과 연결철심(60B)이 연결될 때에는 실시의 형태 1과 마찬가지로, 층(L2)의 제3 전자강판(73)이, 하나 위의 층(L1)의 제4 전자강판(74)의 아래에 생기는 간극에 삽입된다. 층(L2)의 제3 전자강판(73)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층(L2)의 제3 전자강판(73)의 2개의 돌기(81)는 층(L1)의 제4 전자강판(74)의 둘레방향 단부에 의해, 축방향의 각각의 돌기(81)가 돌출하여 있는 측과 역측으로 힘을 받아, 탄성 변형한다. 층(L4)의 제3 전자강판(73)도, 층(L2)의 제3 전자강판(73)과 마찬가지로, 하나 위의 층(L3)의 제4 전자강판(74)의 아래에 생기는 간극에 삽입된다.
층(L2)의 제3 전자강판(73)의 2개의 돌기(81)는 각각 층(L1)의 제4 전자강판(74)이 대응하는 구멍(82)까지 도달하면,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와, 대응하는 구멍(82)에 끼여진다. 이에 의해, 층(L2)의 제3 전자강판(73)과 층(L1)의 제4 전자강판(74)이 결합된다. 층(L4)의 제3 전자강판(73)과 층(L3)의 제4 전자강판(74)도, 층(L2)의 제3 전자강판(73)과 층(L1)의 제4 전자강판(74)과 마찬가지로 결합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각 층의 돌기(81)가, 복수개소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철심(60A)과 연결철심(60B)의 결합력이 높아진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 전자강판(71)과 제2 전자강판(72)과 제3 전자강판(73)과 제4 전자강판(74)의 조합이 같은 방향으로 연속해서 적층되어 있지만, 제1 전자강판(71)과 제2 전자강판(72)과 제3 전자강판(73)과 제4 전자강판(74)의 조합 사이에, 다른 전자강판의 조합이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의 형태 1의 변형례와 같이, 제1 전자강판(71)과 제2 전자강판(72)과 제3 전자강판(73)과 제4 전자강판(74)의 조합 사이에, 도 12에 도시한 제5 전자강판(75)과 제6 전자강판(76)의 조합이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실시의 형태 4.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해, 주로 실시의 형태 1과의 차이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고정자 철심(43)의 구성, 그 구성을 실현하기 위한 순서, 그 구성에 의해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순번대로 설명한다.
(구성의 설명)
도 16을 참조하여, 고정자 철심(43)의 구성을 설명한다.
고정자 철심(43)은 실시의 형태 1과 마찬가지로, 복수의 분할 철심(60)이 둘레방향으로 연결된 구조를 갖고 있다. 분할 철심(60)의 개수는 임의의 수라도 좋지만, 본 실시의 형태에서 9개이다.
각각의 분할 철심(60)은 실시의 형태 1과 달리, 티스(61)와 백 요크(62)가 반경 방향으로 연결된 구조를 갖고 있다. 이웃하는 분할 철심(60)끼리는 서로의 백 요크(62)가 결합됨으로써 연결되어 있다. 분할 철심(60)끼리의 연결 방법으로서는 실시의 형태 1과 같은 방법 또는 기타의 임의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각각의 분할 철심(60)에서, 티스(61)는 백 요크(62)의 반경 방향의 내측에 연결되어 있다. 티스(61)는 실시의 형태 1과 마찬가지로, 근원으로부터 일정한 폭으로 반경 방향의 내측으로 늘어나고, 선단에서 폭이 넓어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티스(61)의 일정한 폭으로 늘어나 있는 부분에는 권선(44)이 감겨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서, 고정자 철심(43)은 9개의 티스(61)와 9개의 백 요크(62)가 반경 방향으로 연결된 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고정자 철심(43)은 둘레방향에서는 일체의 구조를 갖고 있어도 좋다. 즉, 고정자 철심(43)은 제각기 형성된 9개의 티스(61)와, 일체로 형성된 1개의 백 요크(62)가 연결된 구조를 갖고 있어도 좋다. 티스(61)의 개수는 분할 철심(60)의 개수와 같이, 적절히 변경되면 좋다.
압축기용 모터인 모터(40)의 구동시의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속은 고정자 철심(43)으로 히스테리시스 손실과 와전류 손실을 일으킨다. 히스테리시스 손실과 와전류 손실은 철손으로서 모터 효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철손을 저감시키는 방법으로서는 방향성 전자강판 등 철손이 낮은 전자강판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철손이 낮은 전자강판은 고가이기 때문에, 비용을 증대시키는 요인이 된다. 그때문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각각의 분할 철심(60)이, 티스(61)와 백 요크(62)로 분할되고, 자속밀도가 높아지는 티스(61)에, 철손이 낮은 전자강판이 선택적으로 사용되어 있다. 다른 전자강판으로 이루어지는 티스(61)와 백 요크(62)는 연결 개소에서 생기는 음진동이 문제가 되지 않도록, 강한 결합력으로 연결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도 17, 도 18,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여, 티스(61)와 백 요크(62)를 형성하는 전자강판의 구조를 설명한다.
각각의 티스(61)는 제1 전자강판(71)과 제3 전자강판(73)이 축방향으로 적층된 구조의 분할편이다. 각각의 티스(61)는 제1 전자강판(71)과 제3 전자강판(73)만이 적층된 구조로 되어 있어도 좋지만,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 전자강판(71)과 제3 전자강판(73)과 제6 전자강판(76)과 제8 전자강판(78)이 적층된 구조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각의 티스(61)는 1매의 제1 전자강판(71), 1매의 제3 전자강판(73), 1매의 제8 전자강판(78), 1매의 제6 전자강판(76)이 순번대로 반복해서 축방향으로 배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7은 제1 전자강판(71)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음과 함께, 제1 전자강판(71)의 연결부를 확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도 18은 제3 전자강판(73)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음과 함께, 제3 전자강판(73)의 연결부를 확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도 19는 임의의 연속하는 4개의 층(L1∼L4)에서의 제1 전자강판(71), 제3 전자강판(73), 제6 전자강판(76) 및 제8 전자강판(78)의 연결부를 나타내고 있다. 제1 전자강판(71), 제3 전자강판(73), 제6 전자강판(76) 및 제8 전자강판(78)의 적층수는 4개보다도 많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4개의 층(L1∼L4)만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0은 층(L1∼L4)을 포함하는 6개의 층(L1∼L6)을 나타내고 있다.
각각의 백 요크(62)는 제2 전자강판(72)과 제4 전자강판(74)이 축방향으로 적층된 구조의 분할편이다. 각각의 백 요크(62)는 제2 전자강판(72)과 제4 전자강판(74)만이 적층된 구조로 되어 있어도 좋지만,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2 전자강판(72)과 제4 전자강판(74)과 제5 전자강판(75)과 제7 전자강판(77)이 적층된 구조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각의 백 요크(62)는 1매의 제4 전자강판(74), 1매의 제2 전자강판(72), 1매의 제5 전자강판(75), 1매의 제7 전자강판(77)이 순번대로 반복해서 축방향으로 배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7은 제4 전자강판(74)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음과 함께, 제4 전자강판(74)의 연결부를 확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도 18은 제2 전자강판(72)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음과 함께, 제2 전자강판(72)의 연결부를 확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도 19는 층(L1∼L4)에서의 제2 전자강판(72), 제4 전자강판(74), 제5 전자강판(75) 및 제7 전자강판(77)의 연결부를 나타내고 있다. 제2 전자강판(72) 및 제4 전자강판(74)의 적층수는 제2 전자강판(72), 제4 전자강판(74), 제5 전자강판(75) 및 제7 전자강판(77)의 적층수와 같다.
제1 전자강판(71)은 제2 전자강판(72), 제4 전자강판(74), 제5 전자강판(75) 및 제7 전자강판(77)보다도 철손이 낮은 전자강판이다.
제3 전자강판(73)은 제1 전자강판(71)과 마찬가지로, 제2 전자강판(72), 제4 전자강판(74), 제5 전자강판(75) 및 제7 전자강판(77)보다도 철손이 낮은 전자강판이다. 제3 전자강판(73)은 제1 전자강판(71)과 겹쳐 있는 부분(3A)과, 돌기(81)가 마련되고, 제1 전자강판(71)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하여 있는 부분(3B)을 갖는다. 각각의 티스(61)와, 대응하는 백 요크(62)가 연결되어 있을 때, 제3 전자강판(73)은 제1 전자강판(71)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한 앞의 단(3C)이 제2 전자강판(72)과 인접하여 있다.
제3 전자강판(73)의 돌기(81)에 관해서는 실시의 형태 1의 것과 같다.
제4 전자강판(74)은 제2 전자강판(72)과 겹쳐 있는 부분(4A)와, 구멍(82)이 마련되고, 제2 전자강판(72)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하여 있는 부분(4B)을 갖는다. 각각의 티스(61)와, 대응하는 백 요크(62)가 연결되어 있을 때, 제4 전자강판(74)은 제2 전자강판(72)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한 앞의 단(4C)이 제1 전자강판(71)이과 인접하여 있다.
제4 전자강판(74)의 구멍(82)에 관해서는 실시의 형태 1의 것과 같다. 각각의 티스(61)와, 대응하는 백 요크(62)가 연결되어 있을 때, 구멍(82)에는 제3 전자강판(73)의 돌기(81)가 끼여 있다. 이에 의해, 적어도 돌기(81)가 돌출하여 있는 방향에서는 제3 전자강판(73)의 매수와 같은 개수의 돌기(81)에 의해, 각각의 티스(61)와, 대응하는 백 요크(62)가 결합된다. 따라서 돌기(81)의 개수가 많을수록, 티스(61)와 백 요크(62)와의 결합력이 강해진다.
제5 전자강판(75)은 각각의 백 요크(62)의 일부이다. 따라서, 각각의 티스(61)와, 대응하는 백 요크(62)가 연결되어 있을 때, 제5 전자강판(75)은 제1 전자강판(71)이 있는 측과 제2 전자강판(72)이 있는 측 중 제2 전자강판(72)이 있는 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6 전자강판(76)은 제1 전자강판(71)과 마찬가지로, 제2 전자강판(72), 제4 전자강판(74), 제5 전자강판(75) 및 제7 전자강판(77)보다도 철손이 낮은 전자강판이다. 제6 전자강판(76)은 각각의 티스(61)의 일부이다. 따라서, 각각의 티스(61)와, 대응하는 백 요크(62)가 연결되어 있을 때, 제6 전자강판(76)은 제1 전자강판(71)이 있는 측과 제2 전자강판(72)이 있는 측 중 제1 전자강판(71)이 있는 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7 전자강판(77)은 제5 전자강판(75)과 겹쳐 있는 부분(7A)과, 돌기(81)가 마련되고, 제5 전자강판(75)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하여 있는 부분(7B)을 갖는다. 각각의 티스(61)와, 대응하는 백 요크(62)가 연결되어 있을 때, 제7 전자강판(77)은 제5 전자강판(75)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한 앞의 단(7C)이 제6 전자강판(76)이과 인접하여 있다.
제7 전자강판(77)의 돌기(83)는 탄성을 갖고 있다. 돌기(83)는 제5 전자강판(75)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비스듬히 늘어나 있다. 돌기(83)는 임의의 방법으로 형성되어도 좋지만,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7 전자강판(77)의 일부가 잘라세워짐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돌기(83)는 임의의 형상이라도 좋지만,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평면시 직사각형상이다. 각각의 티스(61)와, 대응하는 백 요크(62)가 연결되어 있을 때, 돌기(83)는 적층 방향에서 제3 전자강판(73)의 돌기(81)가 돌출하여 있는 측과 같은 측으로 돌출하여 있다.
제8 전자강판(78)은 제6 전자강판(76)과 겹쳐 있는 부분(8A)과, 구멍(84)이 마련되고, 제6 전자강판(76)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하여 있는 부분(8B)을 갖는다. 각각의 티스(61)와, 대응하는 백 요크(62)가 연결되어 있을 때, 제8 전자강판(78)은 제6 전자강판(76)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한 앞의 단(8C)이 제5 전자강판(75)과 인접하여 있다.
제8 전자강판(78)의 구멍(84)은 임의의 형상이라도 좋지만,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평면시 직사각형상이다. 각각의 티스(61)와, 대응하는 백 요크(62)가 연결되어 있을 때, 구멍(84)에는 제7 전자강판(77)의 돌기(83)가 끼여 있다. 이에 의해, 돌기(83)가 돌출하여 있는 방향에서도, 제7 전자강판(77)의 매수와 같은 개수의 돌기(83)에 의해, 각각의 티스(61)와, 대응하는 백 요크(62)가 결합된다. 따라서 돌기(83)의 개수가 많을수록, 각각의 티스(61)와, 대응하는 백 요크(62)와의 결합력이 강해진다.
(순서의 설명)
도 20을 참조하여, 고정자 철심(43)의 구성을 실현하기 위한 순서를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1개의 티스(61)와 1개의 백 요크(62)를 연결하는 순서를 설명한다. 이 순서는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고정자 철심(43)의 제조 방법의 일부의 공정에 상당한다.
우선, 돌기(81) 및 구멍(84)이 있는 티스(61)가, 구멍(82) 및 돌기(83)가 있는 백 요크(62)를 향하여, 제4 전자강판(74)과 제1 전자강판(71)이 동층이 되고, 제2 전자강판(72)과 제3 전자강판(73)이 동층이 되고, 제5 전자강판(75)과 제8 전자강판(78)이 동층이 되고, 제7 전자강판(77)과 제6 전자강판(76)이 동층이 되도록, 반경 방향으로 이동된다.
층(L2)의 제3 전자강판(73)은 하나 위의 층(L1)의 제4 전자강판(74)의 아래에 생기는 간극에 삽입된다. 층(L2)의 제3 전자강판(73)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층(L2)의 제3 전자강판(73)의 돌기(81)는 층(L1)의 제4 전자강판(74)의 반경 방향 단부에 의해, 축방향의 돌기(81)가 돌출하여 있는 측과 역측으로 힘을 받아, 탄성 변형한다. 구체적으로는 돌기(81)는 층(L2)의 제3 전자강판(73)이 삽입됨에 따라, 돌기(81)의 경사면에 접촉하는 층(L1)의 제4 전자강판(74)의 반경 방향 단부에 의해 서서히 눌려 찌그러져 간다. 이 제4 전자강판(74)의 반경 방향 단부는 도 19에 도시한 층(L1)의 제4 전자강판(74)의 단(4C)에 상당한다.
층(L6)의 제3 전자강판(73)도, 층(L2)의 제3 전자강판(73)과 마찬가지로, 하나 위의 층(L5)의 제4 전자강판(74)의 아래에 생기는 간극에 삽입된다.
층(L4)의 제7 전자강판(77)은 하나 위의 층(L3)의 제8 전자강판(78)의 아래에 생기는 간극에 삽입된다. 층(L4)의 제7 전자강판(77)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층(L4)의 제7 전자강판(77)의 돌기(83)는 층(L3)의 제8 전자강판(78)의 반경 방향 단부에 의해, 축방향의 돌기(83)가 돌출하여 있는 측과 역측으로 힘을 받아, 탄성 변형한다. 구체적으로는 돌기(83)는 층(L4)의 제7 전자강판(77)이 삽입됨에 따라, 돌기(83)의 경사면에 접촉하는 층(L3)의 제8 전자강판(78)의 반경 방향 단부에 의해 서서히 눌려 찌그러져 간다. 이 제8 전자강판(78)의 반경 방향 단부는 도 19에 도시한 층(L3)의 제8 전자강판(78)의 단(8C)에 상당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3 전자강판(73)의 돌기(81)와, 제7 전자강판(77)의 돌기(83)의 양방이 탄성 변형하기 때문에, 압입 등의 다른 방법과 비교하여 용이하게 제3 전자강판(73) 및 제7 전자강판(77)을 삽입할 수 있다.
층(L2)의 제3 전자강판(73)의 돌기(81)는 층(L1)의 제4 전자강판(74)의 구멍(82)까지 도달하면,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와, 구멍(82)에 끼여진다. 이에 의해, 층(L2)의 제3 전자강판(73)과 층(L1)의 제4 전자강판(74)이 결합된다. 층(L6)의 제3 전자강판(73)과 층(L5)의 제4 전자강판(74)도, 층(L2)의 제3 전자강판(73)과 층(L1)의 제4 전자강판(74)과 마찬가지로 결합된다.
층(L4)의 제7 전자강판(77)의 돌기(83)는 층(L3)의 제8 전자강판(78)의 구멍(84)까지 도달하면,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와, 구멍(84)에 끼여진다. 이에 의해, 층(L4)의 제7 전자강판(77)과 층(L3)의 제8 전자강판(78)도 결합다.
가령 티스(61)가, 백 요크(62)와는 역측을 향하여, 반경 방향으로 당겨졌다고 하여도, 티스(61)의 돌기(81)가 백 요크(62)의 구멍(82)에 끼여 있기 때문에, 돌기(81)와 구멍(82)의 내벽과의 접촉력이 작용하여, 티스(61)가 백 요크(62)로부터 떼어지는 일은 없다. 똑같이, 가령 백 요크(62)가, 티스(61)가과는 역측을 향하여, 반경 방향으로 당겨졌다고 하여도, 백 요크(62)의 돌기(83)가 티스(61)의 구멍(84)에 끼여 있기 때문에, 돌기(83)와 구멍(84)의 내벽과의 접촉력이 작용, 백 요크(62)가 티스(61)로부터 떼어지는 일은 없다.
(실시의 형태의 효과의 설명)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 전자강판(71)과, 제2 전자강판(72)과, 돌기(81)가 있는 제3 전자강판(73)과, 제3 전자강판(73)의 돌기(81)가 끼여 있는 구멍(82)이 있는 제4 전자강판(74)의 조합이 같은 방향으로 적층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또한, 제1 전자강판(71)과 제2 전자강판(72)과 제3 전자강판(73)과 제4 전자강판(74)의 조합 사이에, 제5 전자강판(75)과, 제6 전자강판(76)과, 돌기(83)가 있는 제7 전자강판(77)과, 제7 전자강판(77)의 돌기(83)가 끼여 있는 구멍(84)이 있는 제8 전자강판(78)의 조합이 배치되어 있다. 제7 전자강판(77)의 돌기(83)는 제3 전자강판(73)의 돌기(81)와는 다른 방향으로 돌출하여 있기 때문에, 2개 이상의 방향에서, 2종류의 돌기(81, 83)에 의해 티스(61)와 백 요크(62)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티스(61)와 백 요크(62)가 강고하게 고정된다. 여기서, 티스(61)와 백 요크(62)는 고정자 철심(43)이 분할된 부분에 해당한다.
(다른 구성)
치스(61)를 형성하는 전자강판뿐만 아니라, 백 요크(62)를 형성하는 전자강판도, 철손이 낮은 전자강판이면 좋다. 즉, 제2 전자강판(72) 및 제4 전자강판(74)은 제1 전자강판(71) 및 제3 전자강판(73)과 마찬가지로, 철손이 낮은 전자강판이라도 좋다.
제1 전자강판(71)과 제2 전자강판(72)과 제3 전자강판(73)과 제4 전자강판(74)의 조합과, 제5 전자강판(75)과 제6 전자강판(76)과 제7 전자강판(77)과 제8 전자강판(78)의 조합과의 사이에, 다른 전자강판의 조합이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의 형태 1의 변형례와 같이, 제1 전자강판(71)과 제2 전자강판(72)과 제3 전자강판(73)과 제4 전자강판(74)의 조합과, 제5 전자강판(75)과 제6 전자강판(76)과 제7 전자강판(77)과 제8 전자강판(78)의 조합과의 사이에, 도 12에 도시한 제5 전자강판(75)과 제6 전자강판(76)의 조합이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실시의 형태 5.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해, 주로 실시의 형태 4와의 차이를 설명한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여,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고정자 철심(43)의 구성을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4에서는 제7 전자강판(77)의 돌기(83)가, 적층 방향에서 제3 전자강판(73)의 돌기(81)가 돌출하여 있는 측과 같은 측으로 돌출하여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7 전자강판(77)의 돌기(83)가, 적층 방향에서 제3 전자강판(73)의 돌기(81)가 돌출하여 있는 측과 역측으로 돌출하여 있다. 또한, 적층 방향에서, 제5 전자강판(75)과 제7 전자강판(77)과의 위치 관계, 및, 제6 전자강판(76)과 제8 전자강판(78)과의 위치 관계가, 실시의 형태 4와는 역이 된다.
1개의 티스(61)와 1개의 백 요크(62)가 연결될 때에는 실시의 형태 4와 같이, 층(L2)의 제3 전자강판(73)이, 하나 위의 층(L1)의 제4 전자강판(74)의 아래에 생기는 간극에 삽입된다. 층(L2)의 제3 전자강판(73)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층(L2)의 제3 전자강판(73)의 돌기(81)는 층(L1)의 제4 전자강판(74)의 반경 방향 단부에 의해, 축방향의 돌기(81)가 돌출하여 있는 측과 역측으로 힘을 받아, 탄성 변형한다. 층(L6)의 제3 전자강판(73)도, 층(L2)의 제3 전자강판(73)과 마찬가지로, 하나 위의 층(L5)의 제4 전자강판(74)의 아래에 생기는 간극에 삽입된다.
실시의 형태 4와 달리, 층(L3)의 제7 전자강판(77)은 1개 아래의 층(L4)의 제8 전자강판(78)의 위에 생기는 간극에 삽입된다. 층(L3)의 제7 전자강판(77)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층(L3)의 제7 전자강판(77)의 돌기(83)는 층(L4)의 제8 전자강판(78)의 반경 방향 단부에 의해, 축방향의 돌기(83)가 돌출하여 있는 측과 역측으로 힘을 받아, 탄성 변형한다. 구체적으로는 돌기(83)는 층(L3)의 제7 전자강판(77)이 삽입됨에 따라, 돌기(83)의 경사면에 접촉하는 층(L4)의 제8 전자강판(78)의 반경 방향 단부에 의해 서서히 눌려 찌그러져 간다. 이 제8 전자강판(78)의 반경 방향 단부는 도 21에 도시한 층(L4)의 제8 전자강판(78)의 단(8C)에 상당한다.
층(L2)의 제3 전자강판(73)의 돌기(81)는 층(L1)의 제4 전자강판(74)의 구멍(82)까지 도달하면,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와, 구멍(82)에 끼여진다. 이에 의해, 층(L2)의 제3 전자강판(73)과 층(L1)의 제4 전자강판(74)이 결합된다. 층(L6)의 제3 전자강판(73)과 층(L5)의 제4 전자강판(74)도, 층(L2)의 제3 전자강판(73)과 층(L1)의 제4 전자강판(74)과 마찬가지로 결합된다.
층(L3)의 제7 전자강판(77)의 돌기(83)는 층(L4)의 제8 전자강판(78)의 구멍(84)까지 도달하면,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와, 구멍(84)에 끼여진다. 이에 의해, 층(L3)의 제7 전자강판(77)과 층(L4)의 제8 전자강판(78)도 결합된다.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티스(61)의 돌기(81)와, 백 요크(62)의 돌기(83)가, 180도 다른 방향으로 돌출하여 있다. 그 때문에, 티스(61)와 백 요크(62)가 연결된 때에, 티스(61)의 돌기(81)와, 백 요크(62)의 돌기(83)가 서로 간섭하기 어렵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이들의 실시의 형태 중, 몇가지를 조합시켜서 실시하여도 상관없다. 또는 이들의 실시의 형태 중, 어느 하나 또는 몇가지를 부분적으로 실시하여도 상관없다. 구체적으로는 이들의 실시의 형태의 설명에서 「부」로서 설명한 것 중, 어느 하나만을 채용하여도 좋고, 몇가지의 임의의 조합을 채용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필요에 응하여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10 : 냉동 사이클 장치 11 : 냉매 회로
12 : 압축기 13 : 4방밸브
14 : 제1 열교환기 15 : 팽창기구
16 : 제2 열교환기 17 : 제어 장치
20 : 밀폐 용기 21 : 흡입관
22 : 토출관 23 : 흡입 머플러
24 : 단자 25 : 리드선
30 : 압축 기구 31 : 실린더
32 : 피스톤 33 : 주축받이
34 : 부축받이 35 : 토출 머플러
40 : 모터 41 : 고정자
42 : 회전자 43 : 고정자 철심
44 : 권선 45 : 절연부재
46 : 회전자 철심 48 : 영구자석
49 : 관통구멍 50 : 크랭크축
51 : 편심축부 52 : 주축부
53 : 부축부 60 : 분할 철심
60A : 연결철심 60B : 연결철심
61 : 티스 62 : 백 요크
71 : 제1 전자강판 72 : 제2 전자강판
73 : 제3 전자강판 74 : 제4 전자강판
75 : 제5 전자강판 76 : 제6 전자강판
77 : 제7 전자강판 78 : 제8 전자강판
81 : 돌기 82 : 구멍
3 : 돌기 84 : 구멍

Claims (12)

  1. 제1 전자강판과,
    제2 전자강판과,
    상기 제1 전자강판과 겹쳐 있는 부분과, 탄성을 가지며 제1 전자강판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비스듬히 늘어나는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제1 전자강판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하여 있는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1 전자강판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한 앞의 단이 상기 제2 전자강판과 인접하여 있는 제3 전자강판과,
    상기 제2 전자강판과 겹쳐 있는 부분과, 상기 제3 전자강판의 돌기가 끼여 있는 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제2 전자강판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하여 있는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2 전자강판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한 앞의 단이 상기 제1 전자강판과 인접하여 있는 제4 전자강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전자강판과 상기 제2 전자강판과 상기 제3 전자강판과 상기 제4 전자강판의 조합이 같은 방향으로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자 철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강판과 상기 제2 전자강판과 상기 제3 전자강판과 상기 제4 전자강판의 조합이 같은 방향으로 연속해서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자 철심.
  3. 제1항에 있어서,
    제5 전자강판과,
    상기 제5 전자강판과 인접하여 있는 제6 전자강판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제1 전자강판과 상기 제2 전자강판과 상기 제3 전자강판과 상기 제4 전자강판의 조합 사이에, 상기 제5 전자강판과 상기 제6 전자강판의 조합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자 철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강판이 있는 측과 상기 제2 전자강판이 있는 측 중 상기 제2 전자강판이 있는 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5 전자강판과,
    상기 제1 전자강판이 있는 측과 상기 제2 전자강판이 있는 측 중 상기 제1 전자강판이 있는 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6 전자강판과,
    상기 제5 전자강판과 겹쳐 있는 부분과, 탄성을 가지며 제5 전자강판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비스듬히 늘어나는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제5 전자강판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하여 있는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5 전자강판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한 앞의 단이 상기 제6 전자강판과 인접하여 있는 제7 전자강판과,
    상기 제6 전자강판과 겹쳐 있는 부분과, 상기 제7 전자강판의 돌기가 끼여 있는 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제6 전자강판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하여 있는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6 전자강판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한 앞의 단이 상기 제5 전자강판과 인접하여 있는 제8 전자강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전자강판과 상기 제2 전자강판과 상기 제3 전자강판과 상기 제4 전자강판의 조합 사이에, 상기 제5 전자강판과 상기 제6 전자강판과 상기 제7 전자강판과 상기 제8 전자강판의 조합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자 철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7 전자강판의 돌기는 적층 방향에서 상기 제3 전자강판의 돌기가 돌출하여 있는 측과 같은 측으로 돌출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자 철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7 전자강판의 돌기는 적층 방향에서 상기 제3 전자강판의 돌기가 돌출하여 있는 측과 역측으로 돌출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자 철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전자강판의 구멍은 평면시 원형상이고,
    상기 제3 전자강판의 돌기는 평면시 정방형상이고, 1변의 길이가 상기 제4 전자강판의 구멍의 반경의 √2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자 철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전자강판의 돌기는 상기 제3 전자강판의 복수개소에 마련되고,
    상기 제4 전자강판의 구멍은 상기 제4 전자강판의 복수개소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자 철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강판과 상기 제3 전자강판이 축방향으로 적층된 구조의 분할 철심과, 상기 제2 전자강판과 상기 제4 전자강판이 축방향으로 적층된 구조의 분할 철심을 포함하는 복수의 분할 철심이 둘레방향으로 연결된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자 철심.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강판과 상기 제3 전자강판이 축방향으로 적층된 구조의 분할편과, 상기 제2 전자강판과 상기 제4 전자강판이 축방향으로 적층된 구조의 분할편이 반경 방향으로 연결된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자 철심.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고정자 철심과,
    내측에 상기 고정자 철심이 수축끼워맞춤되어 고정되어 있는 밀폐 용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12. 제11항에 기재된 압축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사이클 장치.
KR1020187006453A 2015-10-15 2015-10-15 고정자 철심, 압축기 및 냉동 사이클 장치 KR1020184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79113 WO2017064782A1 (ja) 2015-10-15 2015-10-15 固定子鉄心、圧縮機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040A true KR20180037040A (ko) 2018-04-10
KR102018472B1 KR102018472B1 (ko) 2019-09-04

Family

ID=58518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6453A KR102018472B1 (ko) 2015-10-15 2015-10-15 고정자 철심, 압축기 및 냉동 사이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395948B2 (ko)
KR (1) KR102018472B1 (ko)
CN (3) CN106981935B (ko)
CZ (1) CZ2018174A3 (ko)
WO (1) WO20170647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Z2018174A3 (cs) * 2015-10-15 2018-08-0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Železné jádro statoru, kompresor a zařízení chladícího cyklu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18676A (ja) 2007-11-08 2009-05-28 Hitachi Koki Co Ltd 電動工具
JP2011188650A (ja) * 2010-03-09 2011-09-22 Mitsui High Tec Inc 積層鉄心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7510B2 (ja) * 1993-08-26 2001-02-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同期機の固定子,その製造方法並びにティース片及びヨーク片
JP2003304654A (ja) * 2002-04-08 2003-10-24 Mitsui High Tec Inc 積層鉄心
JP2007267493A (ja) * 2006-03-28 2007-10-11 Mitsui High Tec Inc 積層鉄心および積層鉄心の製造方法
JP5738167B2 (ja) * 2011-12-22 2015-06-17 三菱電機株式会社 積層鉄心
CN103855815A (zh) * 2012-11-30 2014-06-11 中山大洋电机股份有限公司 一种无刷外转子电机定子及其制造方法
CN203883562U (zh) * 2014-04-23 2014-10-15 广东威灵电机制造有限公司 定子铁芯及定子、电机
CZ2018174A3 (cs) * 2015-10-15 2018-08-0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Železné jádro statoru, kompresor a zařízení chladícího cyklu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18676A (ja) 2007-11-08 2009-05-28 Hitachi Koki Co Ltd 電動工具
JP2011188650A (ja) * 2010-03-09 2011-09-22 Mitsui High Tec Inc 積層鉄心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981935A (zh) 2017-07-25
CN106981935B (zh) 2020-04-10
JPWO2017064782A1 (ja) 2017-12-14
JP6395948B2 (ja) 2018-09-26
CN206302218U (zh) 2017-07-04
WO2017064782A1 (ja) 2017-04-20
KR102018472B1 (ko) 2019-09-04
CN109936225A (zh) 2019-06-25
CZ2018174A3 (cs) 2018-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04835B (zh) 定子及压缩机
JP6742402B2 (ja) 電動機、圧縮機、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KR101892405B1 (ko) 압축기 및 압축기 제조 방법
JP6351734B2 (ja) 電動機及び圧縮機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WO2020170390A1 (ja) モータ、圧縮機および空気調和装置
JP2010279126A (ja) 電動機固定子鉄心、電動機、密閉型圧縮機、冷凍サイクル装置
JP6290065B2 (ja) 圧縮機製造装置及び圧縮機製造方法
KR102328761B1 (ko) 압축기 및 냉동 사이클 장치
KR102320908B1 (ko) 압축기 및 냉동 사이클 장치
CN106981935B (zh) 定子铁心、压缩机以及冷冻循环装置
JP6407432B2 (ja) 圧縮機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6556342B2 (ja) 固定子、モータ、圧縮機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WO2023007644A1 (ja) 固定子、回転電機、圧縮機、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WO2023248404A1 (ja) 固定子の製造方法、電動機の固定子、電動機、密閉型圧縮機、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WO2023112078A1 (ja) ステータ、モータ、圧縮機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6590904B2 (ja) 圧縮機製造装置及び圧縮機製造方法
KR101992586B1 (ko) 압축기 및 냉동 사이클 장치
WO2019198229A1 (ja) 圧縮機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