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6556A - 차량용 조작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조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6556A
KR20180036556A KR1020170123252A KR20170123252A KR20180036556A KR 20180036556 A KR20180036556 A KR 20180036556A KR 1020170123252 A KR1020170123252 A KR 1020170123252A KR 20170123252 A KR20170123252 A KR 20170123252A KR 20180036556 A KR20180036556 A KR 20180036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mode
display mode
display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3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6681B1 (ko
Inventor
히토시 구몬
Original Assignee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36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6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6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6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Arrangement of adaptations of instruments
    • B60K35/10
    • B60K35/20
    • B60K35/22
    • B60K35/23
    • B60K35/29
    • B60K35/60
    • B60K35/654
    • B60K35/80
    • B60K35/81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0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265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constructional aspects of navigation devices, e.g. housings, mountings, displ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4Details of the user input interface, e.g. buttons, knobs or sliders, including those provided on a touch screen; remote controllers; input using ges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88Systems comprising multiple parts or multiple output devices (not client-server), e.g. detachable faceplates, key fobs or multiple output scre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802D [Two Dimensional] animation, e.g. using sprit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B60K2350/1028
    • B60K2350/2056
    • B60K2350/352
    • B60K2360/11
    • B60K2360/122
    • B60K2360/141
    • B60K2360/1438
    • B60K2360/1442
    • B60K2360/145
    • B60K2360/146
    • B60K2360/1468
    • B60K2360/148
    • B60K2360/182
    • B60K2360/184
    • B60K2360/55
    • B60K2360/577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04Display device controller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10Automotive applications

Abstract

차량용 조작 장치는, 제1 표시 장치(4), 제2 표시 장치(3), 제2 표시 제어부(2), 제1 표시 제어부(110) 및 입력 접수 처리부(114)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표시 제어부(2)는 상기 제2 표시 장치(3)에 제2 화상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표시 제어부(110)는 상기 제1 표시 장치(4)에 제1 화상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표시 제어부(110)는, 제1 모드와 제2 모드의 사이에서 전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모드는, 상기 제2 화상으로부터 독립된 제1 모드 화상이 상기 제1 화상으로서 출력된다.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제2 화상과 동일한 외관을 갖는 제2 모드 화상이 상기 제1 화상으로 하여 출력된다. 상기 입력 접수 처리부(114)는 상기 제1 모드에 있어서 및 상기 제2 모드에 있어서 소정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조작 장치{OPERATING APPARATUS FOR VEHICLE}
본 개시는 차량용 조작 장치에 관한 것이다.
2개의 터치 패널을 갖는 표시 장치를 구비하고, 2개의 표시 장치의 각각에 다른 유저 인터페이스용의 화상을 출력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16-004482 참조).
2개의 표시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상측에 배치된 표시 장치(이하, 「상부 표시 장치」라고 칭함)와, 상대적으로 하측에 배치된 표시 장치(이하, 「하부 표시 장치」라고 칭함)의 각각에서, 서로 다른 화상을 출력한 상태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성이 높아진다. 예를 들어, 상부 표시 장치에 내비게이션 화상이 출력되고, 또한 하부 표시 장치에 공조 설정에 관한 화상이 출력되는 상태에서는, 유저는 내비게이션 화상을 상시 시인 가능한 상태로 하면서, 하부 표시 장치에서 공조 조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 편리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술에서는, 2개의 표시 장치를 사용하여 조작성과 편리성의 양쪽이 우수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어렵다.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하부 표시 장치와 상부 표시 장치의 각각에 출력되는 화상을 동일하게 한 채, 해당 화상에 관한 기능을 하부 표시 장치에서의 조작으로 실현할 수 없다. 이 점에서, 예를 들어 시인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상부 표시 장치 상에서 내비게이션 화상을 시인 가능한 상태로 하면서, 하부 표시 장치에서의 내비게이션 조작이 가능해지면, 조작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2개의 표시 장치를 사용하여 조작성과 편리성의 양쪽이 우수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형태는 차량용 조작 장치를 제공한다. 본 형태에 관한 차량용 조작 장치는, 터치 패널을 갖는 제1 표시 장치, 상기 제1 표시 장치보다도 높고, 또한 상기 제1 표시 장치와 비교하여 상기 차량의 운전석으로부터 떨어져 배치되는 제2 표시 장치, 제2 표시 제어부, 제1 표시 제어부 및 입력 접수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2 표시 장치에 제2 화상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1 표시 장치에 제1 화상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표시 제어부는 제1 모드와, 제2 모드를 갖고 있다. 상기 제1 표시 제어부는, 유저로부터의 모드 전환 입력에 기초하여, 제1 모드와 제2 모드의 사이에서 전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모드에서는 상기 제2 표시 장치에 출력되어 있는 상기 제2 화상으로부터 독립된 제1 모드 화상이, 상기 제1 화상으로서 출력된다.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제2 화상과 동일한 외관을 갖는 제2 모드 화상이, 상기 제1 화상으로서 출력된다. 상기 입력 접수 처리부는 상기 제1 표시 제어부가 상기 제1 모드일 때는, 상기 터치 패널에 있어서의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모드 화상에 관한 제1 소정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입력 접수 처리부는 상기 제1 표시 제어부가 상기 제2 모드일 때는, 상기 터치 패널에 있어서의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화상 또는 상기 제2 모드 화상에 관한 제2 소정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제1 모드에서는 제2 표시 장치에 출력되어 있는 제2 화상으로부터 독립된 제1 모드 화상이, 제2 모드에서는 제2 표시 장치에 출력되어 있는 제2 화상과 동일한 외관을 갖는 제2 모드 화상이, 제1 표시 장치에 출력되게 된다. 따라서, 제1 모드에서는 제1 표시 장치 상의 제1 모드 화상은 제2 표시 장치에 출력되어 있는 제2 화상에 의존하지 않는 형태로 출력되고, 제2 모드에서는 제1 표시 장치 상의 제2 모드 화상은 제2 표시 장치에 출력되어 있는 제2 화상에 따라 변화되는 형태로 출력되게 된다. 여기서, 「제2 화상과 동일한 외관을 갖는 제2 모드 화상」이란, 제2 모드 화상과 제2 화상 사이의 외관상의 약간의 상위를 허용하는 것이고, 화상 주요부의 외관이 동일한 형태를 가리킨다. 외관상의 약간의 상위란, 예를 들어 제2 모드 화상의 주위에 설치되는 조작 항목 표시가 제2 화상에 없는 만큼의 상위나, 제2 모드 화상에 없는 커서 내지 포인터의 표시가, 제2 화상에 존재하는 만큼의 상위, 밝기나 콘트라스트만이 다른 상위 등일 수 있다. 또한, 제2 화상은 내비게이션 화상을 포함해도 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유저(예를 들어, 운전자)는 제1 표시 장치보다도 시인성이 양호한 제2 표시 장치 상에서 내비게이션 화상을 볼 수 있다.
또한, 이 형태에 의하면, 제1 표시 제어부는 유저로부터의 모드 전환 입력에 기초하여, 제1 모드와 제2 모드 사이에서 전환된다. 따라서, 유저는 모드 전환 입력을 행함으로써, 제1 모드와 제2 모드 사이를 전환할 수 있고, 차량용 조작 장치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제1 모드와 제2 모드 사이의 전환은 제1 표시 장치에서의 제1 모드 화상 및 제2 모드 화상 사이의 전환을 수반한다. 따라서, 유저는 제1 표시 장치에서의 제1 모드 화상 및 제2 모드 화상 사이의 전환을 눈으로 확인함으로써, 모드 사이의 전환을 시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고, 직감적으로 익숙해지기 쉬워진다.
또한, 이 형태에 의하면, 제1 모드에서는, 유저는 제1 모드 화상에 관한 제1 소정 기능(예를 들어, 설정값의 변경 등)을, 제1 표시 장치에서의 조작 입력으로 실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모드에서는, 유저는 시인성이 비교적 높은 제2 표시 장치 상에서 제2 화상을 시인 가능한 상태로 하면서, 제2 화상으로부터 독립된 제1 모드 화상에 관한 조작을 제1 표시 장치에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제1 모드에서는, 유저는 주행 중, 제1 표시 장치에서 어떤 조작을 행할 때라도, 제1 표시 장치보다도 시인성이 양호한 제2 표시 장치에 있어서, 내비게이션 화상을 시인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차량용 조작 장치의 편리성이 양호하다.
또한, 이 형태에 의하면, 제2 모드에서는, 유저는 제2 소정 기능을 제1 표시 장치에서의 조작 입력으로 실현할 수 있다. 제2 소정 기능은 제2 화상 및 제2 모드 화상의 어느 것에 관한 기능이어도 된다. 이것은, 제2 화상 및 제2 모드 화상의 외관이 동일하면, 제2 모드에 있어서, 유저는 제2 모드 화상에 관한 기능을 실현하고 있는지 상부 화상에 관한 기능을 실현하고 있는지를 혼동할 우려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제2 화상이 내비게이션 화상일 때(및 그것에 수반하여 제2 모드 화상이 해당 내비게이션 화상과 외관이 동일할 때 등), 제2 소정 기능은 내비게이션 화상에 관한 기능이다. 이에 의해, 제2 모드에서는, 유저는 시인성이 비교적 높은 제2 표시 장치 상에서 내비게이션 화상을 보면서, 또는 제1 표시 장치 상에서, 대응하는 내비게이션 화상(제2 모드 화상)을 보면서, 제1 표시 장치에서의 내비게이션 조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표시 장치는 제2 표시 장치보다도 낮고 또한 운전석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므로, 제2 표시 장치에 터치 패널을 설치하여 제2 화상에 관한 조작을 제2 표시 장치에서 행하는 경우보다도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이 형태에 의하면, 제1 모드 및 제2 모드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유저는 조작성이 상대적으로 양호한 제1 표시 장치에서의 조작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기존의 단일의 터치 패널을 갖는 표시 장치』에서의 조작에 익숙해진 유저에게 있어서도, 익숙해지기 쉬운 조작계가 된다.
본 발명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전환 입력은 상기 터치 패널에 있어서의 소정 입력을 포함해도 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운전자는 제1 표시 장치를 직시하지 않고 모드 전환 입력을 행하는 것도 가능해지고, 모드 전환 입력을 행할 때의 운전자 시선의 전방으로부터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제어부는 애니메이션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애니메이션 처리는 상기 제1 모드 화상 및 상기 제2 모드 화상 중 한쪽이 다른 쪽에 부분적으로 숨겨지는 복합 화상을, 복수의 프레임 주기에 걸쳐서 연속해서 출력하는 것을 포함해도 된다. 상기 애니메이션 처리는 상기 제1 모드와 상기 제2 모드 사이에서 전환되는 것에 선행하여 실행되는 제1 애니메이션 처리를 포함해도 된다. 상기 제1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1 애니메이션 처리가 개시된 시점으로부터 시간의 경과에 수반하여, (1) 상기 제1 표시 제어부가 상기 제1 모드와 상기 제2 모드 사이에서 전환되기 전에 상기 제1 모드 화상이 표시되어 있던 경우는, 상기 제1 모드 화상의 표시 범위를 점차 저감시키면서 상기 제2 모드 화상을 점차 표시시키면서, 상기 복합 화상을 상기 복수의 프레임 주기에 걸쳐서 변화시키고 나서, 상기 제2 모드 화상을 출력하거나, 또는 (2) 상기 제1 표시 제어부가 상기 제1 모드와 상기 제2 모드 사이에서 전환되기 전에 상기 제2 모드 화상이 표시되어 있던 경우는, 상기 제2 모드 화상의 표시 범위를 점차 저감시키면서 상기 제1 모드 화상을 점차 표시시키면서, 상기 복합 화상을 상기 복수의 프레임 주기에 걸쳐서 변화시키고 나서, 상기 제1 모드 화상을 출력하는 것의 어느 한쪽을 실현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제1 모드와 제2 모드 사이에서 전환되는 것에 선행하는 제1 애니메이션 처리에 의해, 시간의 경과에 수반하여 복합 화상이 변화되므로, 제1 모드로부터 제2 모드로의 전환 및 그 역의 전환이 발생하는 것을 시각적으로 알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소정 입력은 제1 방향으로의 손가락의 움직임을 수반하는 제1 입력과, 상기 제1 방향과는 역방향으로의 손가락의 움직임을 수반하는 제2 입력을 포함해도 된다. 상기 제1 입력은 상기 제1 모드로부터 상기 제2 모드로의 전환을 발생시켜도 된다. 상기 제2 입력은 상기 제2 모드로부터 상기 제1 모드로의 전환을 발생시켜도 된다. 상기 제1 표시 제어부는 복합 화상을 복수의 프레임 주기에 걸쳐서 연속해서 출력하는 애니메이션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복합 화상은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는 경계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모드 화상의 일부를 갖고 또한 상기 경계로부터 상기 역방향으로 상기 제2 모드 화상의 일부를 가져도 된다. 상기 경계는 상기 복합 화상 상에 존재해도 된다. 상기 애니메이션 처리는 상기 터치 패널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역방향으로의 손가락의 움직임에 연동시키고, 상기 복합 화상에 있어서의 상기 경계가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형태에서, 상기 복합 화상을 상기 복수의 프레임 주기에 걸쳐서 변화시키는 제2 애니메이션 처리를 포함해도 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유저는 제1 모드로부터 제2 모드로의 전환 및 그 역의 전환을, 서로 다른 방향의 제1 입력 및 제2 입력을 각각 행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복합 화상에 있어서의 경계가 손가락의 움직임에 연동하므로, 해당 손가락의 움직임을 계속함으로써 제1 모드로부터 제2 모드로의 전환 또는 그 역의 전환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을 시각적으로 알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애니메이션 처리는 상기 제1 모드 화상이 상기 제2 모드 화상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도어 또는 셔터와 같은 제1 형태가 되어 상기 제1 표시 장치의 화면 내 또는 상기 화면 외로 병진 이동하는 도어 모델 또는 셔터 모델, 또는 상기 제2 모드 화상이 상기 제1 모드 화상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롤 커튼과 같은 제2 형태가 되어 상기 화면 내에 전개 또는 상기 화면 외에 감아 올려지는 롤 커튼 모델에 기초해도 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유저가 생활에서 익숙함이 있는 도어 또는 셔터 등을 사용한 모델에 기초함으로써, 제1 모드 화상이 제2 모드 화상과의 사이의 레이어 관계를 알기 쉬워져, 제1 모드 화상과 제2 모드 화상의 관계(및 제1 모드와 제2 모드의 관계)에 대한 유저의 직감적인 이해를 촉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1 표시 제어부가 제2 모드이고, 또한 상기 제2 모드 화상에 대하여 소정 시간 이상 상기 조작 입력이 행해지지 않은 상태일 때, 상기 제2 모드로부터 상기 제1 모드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무조작에 의해 제2 모드로부터 제1 모드로의 자동 복귀가 실현되므로, 유저는 제2 모드로부터 제1 모드로의 전환에 대하여 특별한 전환 조작을 행할 필요가 없어져, 편리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2 표시 제어부가 생성하는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모드 화상을 생성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제2 표시 제어부가 생성하는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제2 모드 화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표시 제어부에 의해 제2 모드 화상을 묘화하기 위한 소프트웨어가 불필요 또는 간이해진다. 또한, 제2 표시 제어부에 의한 영상 신호의 생성용 소프트웨어는 기존의 내비게이션 장치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장치에서 사용되는 소프트웨어를 그대로 유용 또는 약간의 수정을 가하여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소프트웨어 개발 공정수를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 장치는, 터치 패널을 갖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차량의 차량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상방향 또는 하방향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2 화상은 내비게이션 화상을 포함해도 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제2 표시 장치를 표시 전용으로 하고, 조작성을 고려하지 않고 시인성이 높은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표시 장치와 제2 표시 장치의 역할의 상위가 명확해져, 유저에게 있어서 익숙해지기 쉬운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2개의 표시 장치를 사용하여 조작성과 편리성의 양쪽이 우수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특징, 이점 및 기술적 및 산업적 의의는 유사 요소들을 유사 도면 부호로 나타낸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후술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조작 장치(1)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상부 표시 장치(3) 및 하부 표시 장치(4)의 설치 상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제어 유닛(10)의 기능 블록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a는 독립 표시 모드 화상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b는 미러 표시 모드 화상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독립 표시 모드와 미러 표시 모드 사이의 천이 조건의 일례를 도시하는 상태 천이도이다.
도 6은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정보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루버 도어 모델의 개념적인 설명도이다.
도 8a는 루버 도어 모델에 기초하는 애니메이션 처리의 설명도이다.
도 8b는 루버 도어 모델에 기초하는 애니메이션 처리의 설명도이다.
도 8c는 루버 도어 모델에 기초하는 애니메이션 처리의 설명도이다.
도 9는 롤 커튼 모델의 개념적인 설명도이다.
도 10a는 롤 커튼 모델에 기초하는 애니메이션 처리의 설명도이다.
도 10b는 롤 커튼 모델에 기초하는 애니메이션 처리의 설명도이다.
도 10c는 롤 커튼 모델에 기초하는 애니메이션 처리의 설명도이다.
도 11은 동작예의 설명에 사용하는 각종 정의의 설명도이다.
도 12는 제어 유닛(10)의 입력 접수 처리부(114)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흐름도이다.
도 13은 제어 유닛(10)의 입력 접수 처리부(114)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흐름도이다.
도 14는 제어 유닛(10)의 입력 접수 처리부(114)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흐름도이다.
도 15는 제어 유닛(10)의 입력 접수 처리부(114)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흐름도이다.
도 16은 제어 유닛(10)의 표시 제어부(110)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흐름도이다.
도 17은 제어 유닛(10)의 표시 제어부(110)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흐름도이다.
도 18은 하부 화상이 상부 화상과 외관이 동일한 미러 표시 모드의 일례의 설명도이다.
도 19는 하부 화상이 상부 화상과 외관이 동일한 미러 표시 모드의 다른 일례의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각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화상」이란, 영상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즉, 영상은 화상의 1종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조작 장치(1)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상부 표시 장치(3) 및 하부 표시 장치(4)의 설치 상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차량용 조작 장치(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장치(2)와, 상부 표시 장치(3)(제2 표시 장치의 일례)와, 하부 표시 장치(4)(제1 표시 장치의 일례)와, 터치 패널(5)과, 기계식 스위치류(하드 스위치류)(6)와, 제어 유닛(10)을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장치(2)는 내비게이션 장치나 오디오 장치, TV 튜너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계의 각종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멀티미디어 장치(2)는 하드웨어 자원으로서 컴퓨터(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고, 「제2 표시 제어부」의 일례는 멀티미디어 장치(2)에 있어서의 컴퓨터의 처리(프로그램의 실행 처리)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장치(2)는 상부 표시 장치(3)에 화상(이하, 「상부 화상」이라고도 칭함)을 출력한다. 상부 화상은 제2 화상의 일례이다. 멀티미디어 장치(2)는 상부 표시 장치(3)에, 복수종의 상부 화상 중 선택된 상부 화상을 출력한다. 또한, 복수종 중 출력되는 상부 화상은, 기본적으로는 유저(예를 들어, 운전자)에 의해 선택되지만, 특정한 경우에 디폴트로서 자동으로 선택되어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례로서, 멀티미디어 장치(2)는 멀티미디어 장치(2)의 조작을 행하기 위한 복수종의 상부 화상 중 선택된 상부 화상을, 상부 표시 장치(3)에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종의 상부 화상은 내비게이션 화상, 오디오 장치에 관한 화상(트랙 번호 등을 도시하는 화상이나, 각종 미디어에 의한 재생 영상 등), TV 방송의 영상, 전화나 메일에 관한 화상 등을 포함한다. 복수종의 상부 화상은 종류마다, 하층의 화상을 갖는 레이어 구조를 가져도 된다.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화상은 지도 화상을 최상위층으로 하고, 목적지 설정용의 화상, 주변 시설의 표시 설정용의 화상 등을 하층으로 하는 레이어 구조를 가져도 된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 상부 화상에 관한 화면 천이란, 상부 화상의 종류간의 천이나, 동일 종류의 화상 내에서의 레이어간의 천이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멀티미디어 장치(2)는 상부 표시 장치(3)에 출력하는 상부 화상에 관한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해당 영상 신호를 상부 표시 장치(3) 및 제어 유닛(10)에 부여한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장치(2)는 상부 표시 장치(3)에 내비게이션 화상인 지도 화상을 출력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차량의 현재 위치의 변화에 따라 지도 화상을 갱신하기 위한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례로서, 영상 신호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유닛(10)에 도입되고 나서, 상부 표시 장치(3)에 부여된다. 단, 멀티미디어 장치(2)는 영상 신호를 제어 유닛(10) 및 상부 표시 장치(3)의 각각에 개별로 부여해도 된다.
멀티미디어 장치(2)에는 제어 유닛(10)으로부터 조작 신호가 입력된다. 조작 신호는 기계식 스위치류(6)에 있어서의 입력이나, 터치 패널(5)에 있어서의 조작 입력(후술하는 소정의 정의 부위에 대응지어진 조작 입력)에 따라 생성된다. 멀티미디어 장치(2)는 입력되는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해당 조작 신호에 따른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장치(2)는 조작 신호에 따라,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화상으로부터 다른 종류의 화상(예를 들어, 오디오 장치에 관한 화상)으로의 화면 천이나, 내비게이션 화상에 있어서의 지도의 확대, 루트 검색 등의 각종 처리를 행하고, 처리 결과에 기초하는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해당 영상 신호를 제어 유닛(10) 및 상부 표시 장치(3)에 부여한다.
상부 표시 장치(3)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와 같은 표시 장치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례로서, 상부 표시 장치(3)는 차량 탑재형의 디스플레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표시 장치(3)는 하부 표시 장치(4)와는 달리, 터치 패널을 구비하고 있지 않다. 이에 의해, 상부 표시 장치(3)의 비용(터치 패널에 관련되는 비용)을 저감할 수 있음과 함께, 상부 표시 장치(3)의 배치 자유도가 높아진다(조작성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단, 변형예에서는, 상부 표시 장치(3)는 터치 패널을 구비해도 된다.
상부 표시 장치(3)는 차량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 하부 표시 장치(4)보다도 높고, 또한 운전석으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된다. 상부 표시 장치(3)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 중인 운전자 S가 시인하기 쉬운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운전석으로부터의 먼 정도는, 운전자 S의 숄더 포인트 P1(설계값)로부터의 거리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하부 표시 장치(4)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 중인 운전자 S가 손을 뻗쳐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하부 표시 장치(4)의 위치는 운전자 S의 숄더 포인트 P1(도 2)로부터의 거리(리치 거리)가 동일한 경우, 하방에 있을수록, 조작 시의 근육 부하가 낮아지므로 운전 중의 조작성의 관점에서 유리하다. 한편, 운전 중의 시인성의 관점에서는, 하부 표시 장치(4)의 위치는 하방에 있을수록 불리해진다. 하부 표시 장치(4)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미러 표시 모드 화상(후술)으로서 내비게이션 화상이 출력될 수 있으므로, 하부 표시 장치(4)는, 바람직하게는 지도 화상에 대한 필요한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해, 운전자 S의 시점으로부터의 부각(수평면에 대한 하방으로의 부각)이 30도보다도 크게 커지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예에서는, 상부 표시 장치(3)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에 내장되어 있지만,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상부에 적재되어도 된다.
상부 표시 장치(3)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장치(2)로부터의 영상 신호가 직접적으로[즉, 제어 유닛(10)에서의 처리를 통하지 않고] 입력된다. 상부 표시 장치(3)는 멀티미디어 장치(2)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기초하는 상부 화상을 표시한다.
하부 표시 장치(4)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와 같은 표시 장치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례로서, 하부 표시 장치(4)는 차량 탑재형의 디스플레이이다.
터치 패널(5)은 하부 표시 장치(4)에 설치된다. 즉, 하부 표시 장치(4)는 터치 패널을 갖는 표시 장치이다. 터치 패널(5)에 있어서의 입력의 검출 방식은 정전식이지만, 감압식, 정전식과 감압식의 조합과 같은 다른 방식이어도 된다. 터치 패널(5)은 터치 패널(5)의 각 위치에서의 정전 용량의 변화량을 나타내는 검출 신호를 제어 유닛(10)에 부여한다.
기계식 스위치류(6)는, 예를 들어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내장되는 의장 패널 스위치에 설치된다. 기계식 스위치류(6)는, 예를 들어 하부 표시 장치(4)의 주변에 설치된다(도 5 참조). 기계식 스위치류(6)는,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계 스위치와, 차량 제어계 스위치와, 톱 스위치(후술하는 독립 표시 모드로의 복귀용 등의 스위치)를 포함한다. 멀티미디어계 스위치는 멀티미디어 장치(2)의 조작을 행하기 위한 스위치이고,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화상을 호출하는 맵 스위치나, 목적지를 설정하기 위한 조작용 화상을 호출하는 목적지 스위치 등을 포함해도 된다. 차량 제어계 스위치는 공조 장치의 조작(공조 조작), 주행 제어 모드의 선택, 주행 지원 장치(클리어런스 소나 등)의 설정, 후방석 조작, 전동식 리어 선셰이드의 조작 등과 같은, 각종 조작용 스위치이다. 기계식 스위치류(6)를 유저가 조작함으로써 발생하는 조작 신호는 제어 유닛(10)에 입력된다.
제어 유닛(10)은 컴퓨터에 의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10)은 ECU(Electronic Control Unit)이다. 제어 유닛(10)은 멀티미디어 장치(2), 상부 표시 장치(3), 하부 표시 장치(4), 터치 패널(5) 및 기계식 스위치류(6)에 접속됨과 함께, CAN(controller area network)(30)을 통해 차량 내의 각종 전자 부품에 접속된다. 또한, 제어 유닛(10)이 CAN(30)을 통해 접속되는 전자 부품은 공조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제어하는 에어컨 ECU(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제어 유닛(10)은 메인 CPU(Central Processing Unit)(11)와, 서브 마이크로컴퓨터(12)와, 주기억 장치(13)와, 보조 기억 장치(14)와, 묘화 IC(Integrated Circuit)(16)를 포함한다. 또한, 메인 CPU(11)와 서브 마이크로컴퓨터(12)는 통합되어도 된다.
도 3은 제어 유닛(10)의 기능 블록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어 유닛(10)은 표시 제어부(110)(제1 표시 제어부의 일례)와, 입력 접수 처리부(114)를 포함한다. 표시 제어부(110)는 묘화 IC(16)의 처리나, 메인 CPU(11)의 처리(프로그램의 실행 처리)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입력 접수 처리부(114)는 메인 CPU(11) 및 서브 마이크로컴퓨터(12)의 처리(프로그램의 실행 처리)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표시 제어부(110)는 하부 표시 장치(4)에 화상(「하부 화상」이라고 칭함)을 출력한다. 하부 화상은 유저 인터페이스용의 화상(이하, 「하부 GUI 화상」이라고도 칭함)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례로서, 하부 화상은 하부 GUI 화상과, 후술하는 애니메이션 처리에 관련하여 생성되는 복합 화상(도 8b, 도 10b 참조)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하부 GUI 화상과 같은 유저 인터페이스용의 화상에는 하나 이상의 기능이 대응지어진다. 또한, 하나 이상의 기능은 각각, 유저 인터페이스용의 화상의 소정 위치에 대응지어진다.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용의 화상에 대응지어지는 기능은 해당 화상의 외관에 따라 결정된다. 환언하면, 통상, 화상에, 어느 기능을 대응짓고 싶을 때는, 해당 화상에, 해당 기능에 관련된 외관을 갖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례로서, 유저 인터페이스용의 화상은 터치 패널(5)에 있어서의 조작 입력 및 기능의 각각에 대응지어진 정의 부위를 갖는다. 정의 부위란, 화상 내의 일부 또는 전체이며, 해당 정의 부위에서 접수되는 조작 입력과, 해당 조작 입력에 응답하여 실현해야 할 기능이 정의된 부위이다. 정의 부위에는, 전형적으로는 조작 항목 표시가 묘화된다. 즉, 정의 부위는 대응지어진 기능을 나타내는 문자나 그림 등이 붙여진 조작 항목 표시의 묘화 범위에 대응한다. 조작 항목 표시는,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장치(2)나 공조 장치(도시하지 않음)와 같은 조작 대상 장치의 각종 설정(음량 조정이나 온도 조정 등)을 행하기 위한 설정 스위치나, 특정한 화면 천이를 행하기 위한 스위치, 화면 스크롤이나 리스트 스크롤을 행하기 위한 스크롤 스위치, 문자나 숫자 등의 입력 키, 리스트 등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스위치 등과 같은 스위치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조작 항목 표시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기 위한 아이콘이나 론처의 형태일 수 있다.
단, 정의 부위는 조작 항목 표시의 묘화 범위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정의 부위는 드래그에 의해 지도 화상 내의 이동이 실현되는 영역(예를 들어, 드래그되었을 때에, 지도 화상의 스크롤이 실현되는 부위)이나, 핀치 인/아웃되었을 때에, 지도 화상의 축소/확대가 실현되는 부위, TV의 영상의 일부의 부위(예를 들어, 탭되었을 때에, TV 설정용 화상으로의 화면 천이가 실현되는 부위)일 수 있다.
정의 부위에 대응지어지는 조작 입력 및 기능은 하부 표시 장치(4)에 출력되는 하부 GUI 화상마다 및 정의 부위마다 미리 규정된다(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하는 GUI 정보 참조, 도 6에 도시하는 GUI 정보는 나중에 설명함).
표시 제어부(110)는 독립 표시 모드 화상(제1 모드 화상의 일례)을 출력하는 독립 표시 모드(제1 모드의 일례)와, 미러 표시 모드 화상(제2 모드 화상의 일례)을 출력하는 미러 표시 모드(제2 모드의 일례)를 갖는다. 독립 표시 모드에서는 독립 표시 모드 화상이 하부 GUI 화상이 되고, 미러 표시 모드에서는 미러 표시 모드 화상이 하부 GUI 화상이 된다. 독립 표시 모드 화상 및 미러 표시 모드 화상은 각각, 제1 화상의 일례이다. 독립 표시 모드 및 미러 표시 모드 사이의 천이 조건의 일례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독립 표시 모드 화상은 상부 표시 장치(3)에 출력되어 있는 상부 화상으로부터 독립된 화상이다. 따라서, 독립 표시 모드 중, 독립 표시 모드 화상은 상부 표시 장치(3)에 출력되어 있는 상부 화상이 변화되어도, 해당 변화에 기인하여 변화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독립 표시 모드 화상은 상부 표시 장치(3)에 출력되는 일이 없는 화상이다. 독립 표시 모드 화상은 1종류뿐이어도 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일례로서, 독립 표시 모드 화상은 복수종 있고, 복수종의 독립 표시 모드 화상 중, 하부 표시 장치(4)에 출력되는 독립 표시 모드 화상은 유저에 의해 선택이 가능하다. 복수종의 독립 표시 모드 화상은, 예를 들어 차량 제어계의 조작용 화상이고, 공조 조작용 화상, 주행 제어 모드의 선택용 화상, 주행 지원 장치의 설정용 화상, 후방석 조작, 전동식 리어 선셰이드의 조작용 화상 등이다. 또한, 예를 들어 독립 표시 모드 화상은 메뉴 화상을 홈 화상으로 하여 갖고, 홈 화상의 하층에 공조 조작용 화상, 주행 제어 모드의 선택용 화상 등의 각종 화상이 병렬적으로 준비되는 레이어 구조를 가져도 된다. 또한, 공조 조작용 화상 등의 각종 화상에 대해서도, 더 한층의 하층의 화상을 갖는 레이어 구조를 가져도 된다.
독립 표시 모드 화상에는 상부 화상에 관한 기능과는 다른 기능이 대응지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독립 표시 모드 화상에 있어서의 각 정의 부위에 대응지어지는 기능은 차량 제어계의 각종 기능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독립 표시 모드 화상의 정의 부위에 대응지어지는 각종 기능은 기계식 스위치류(6)의 차량 제어계 스위치로 실현할 수 있는 각종 기능과, 차량 제어계 스위치로 실현할 수 없는 더 한층의 각종 기능(차량 제어계의 각종 기능)을 포함해도 된다. 도 4a는 독립 표시 모드 화상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독립 표시 모드 화상은 공조 조작용 화상이고, 각종 설정용의 조작 항목 표시(401 내지 410)가 나타난다.
미러 표시 모드 화상은 상부 표시 장치(3)에 (현재)출력되어 있는 상부 화상과 외관이 동일하다. 따라서, 미러 표시 모드 중, 미러 표시 모드 화상은 상부 표시 장치(3)에 출력되어 있는 상부 화상이 변화되면, 해당 변화에 따라 변화된다. 또한, 미러 표시 모드 화상은 상부 표시 장치(3)와 하부 표시 장치(4) 사이의 화면 사이즈의 상위에 따라, 상부 화상에 대하여 일정한 비율로 축소(또는 확대)될 수 있다.
미러 표시 모드 화상에는 대응하는 상부 화상에 관한 기능이 대응지어진다. 즉, 어느 상부 화상과 동일한 외관을 갖는 미러 표시 모드 화상에는 해당 상부 화상에 관한 기능이 대응지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미러 표시 모드 화상에 있어서의 각 정의 부위에 대응지어지는 기능은 멀티미디어 장치(2)에 의해 실현되는 각종 기능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미러 표시 모드 화상의 정의 부위에 대응지어지는 각종 기능은 기계식 스위치류(6)의 멀티미디어계 스위치로 실현할 수 있는 각종 기능과, 멀티미디어계 스위치로 실현할 수 없는 더 한층의 각종 기능(멀티미디어계의 기능)을 포함해도 된다. 도 4b는 미러 표시 모드 화상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b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미러 표시 모드 화상은 내비게이션 화상이고, 각종 설정용의 조작 항목 표시(501 내지 507)가 도시된다.
미러 표시 모드 화상은 상부 표시 장치(3)에 출력되어 있는 상부 화상과 외관이 동일하므로, 멀티미디어 장치(2)가 상부 표시 장치(3)에 출력하는 영상 신호를 사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표시 제어부(110)에 있어서의 미러 표시 모드 화상의 묘화 처리가 불필요 또는 간이해져, 비용면에서 유리해진다.
표시 제어부(110)는 유저로부터의 모드 전환 입력에 기초하여, 독립 표시 모드와 미러 표시 모드 사이에서 전환된다. 모드 전환 입력은 독립 표시 모드 및 미러 표시 모드 사이의 천이 조건(도 5를 참조하여 후술)을 만족시키는 입력이고, 미리 규정된다. 모드 전환 입력은 기계식 스위치류(6)에 있어서의 소정의 입력, 터치 패널(5)에 있어서의 소정 입력, 음성을 사용한 소정의 입력(음성 인식 엔진에 의해 인식되는 소정의 입력) 및 손이나 손가락을 사용한 제스처에 의한 소정의 입력(제스처 인식 엔진에 의해 인식되는 소정의 입력) 중의 임의의 1개 또는 임의의 2개 이상을 포함해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례로서,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모드 전환 입력은 톱 스위치의 조작과 같은 기계식 스위치류(6)에 있어서의 소정의 입력 및 터치 패널(5)에 있어서의 소정 입력을 포함한다. 톱 스위치의 조작은 미러 표시 모드로부터 독립 표시 모드로의 천이 조건을 만족시키는 입력의 하나이다.
터치 패널(5)에 있어서의 소정 입력(이하, 「소정의 터치 입력」이라고 칭함)은 독립 표시 모드로부터 미러 표시 모드로의 천이 조건을 만족시키는 제1 입력과, 미러 표시 모드로부터 독립 표시 모드로의 천이 조건을 만족시키는 제2 입력을 포함한다. 제1 입력은 제1 방향으로의 손가락의 움직임을 수반하고, 제2 입력은 제1 방향과는 역방향으로의 손가락의 움직임을 수반한다. 이하에는, 터치 패널(5)에 있어서의 입력에 관한 상하 방향(상방향이나 하방향)은 터치 패널(5)의 조작면의 종방향에 대응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터치 패널(5)에 있어서의 입력에 관한 좌우 방향(좌방향이나 우방향)은 터치 패널(5)의 조작면의 횡방향에 대응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제1 방향은 터치 패널(5)의 조작면에 있어서의 상방향, 하방향, 좌방향 및 우방향 중 어느 하나이다. 터치 패널(5)의 조작면에 있어서의 상방향 및 하방향은, 각각 차량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상방향 및 하방향에 대응해도 된다. 또한, 터치 패널(5)의 조작면에 있어서의 좌방향, 우방향은 차량의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좌방향, 우방향에 대응해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례로서, 제1 방향은 하방향이다. 따라서, 제1 입력은 하방향으로의 손가락의 움직임을 수반하고, 제2 입력은 상방향으로의 손가락의 움직임을 수반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입력은 하방향으로의 드래그, 플릭 또는 에지 인이고[후술하는 조건 (1) 참조], 제2 입력은 상방향으로의 드래그, 플릭 또는 에지 인이다[후술하는 조건 (14) 참조]. 에지 인은 터치 패널(5)의 조작면의 상하 방향 양단이 하부 표시 장치(4)의 화면의 상하 방향 양단보다도 외측까지 연장되어 있는 경우에 검출 가능한 조작이 된다. 에지 인은 터치 패널(5)의 조작면의 상하 방향 단부 영역으로부터, 터치 패널(5)의 조작면에 있어서의 하부 표시 장치(4)의 화면과 겹치는 영역으로 손가락을 쓸어 미는 조작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하방향으로의 에지 인은 터치 패널(5)의 조작면의 상부측 단부 영역으로부터 터치 패널(5)의 조작면에 있어서의 하부 표시 장치(4)의 화면과 겹치는 영역으로 손가락을 하방으로 쓸어 미는 조작에 대응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110)는 미러 표시 모드에 있어서의 미러 표시 모드 화상에 대한 소정 시간 T1(예를 들어, 20초) 이상의 유저의 무조작 상태(이하, 「특정 무조작 상태」라고 칭함)에 기초하여, 미러 표시 모드로부터 독립 표시 모드로 전환된다[후술하는 조건 (11) 참조]. 특정 무조작 상태는 하부 표시 장치(4)에 출력되어 있는 미러 표시 모드 화상에 대하여 어떤 입력[터치 패널(5)에 있어서의 입력이나, 기계식 스위치류(6)에 있어서의 입력]도 없는 상태이다. 이에 의해, 유저에 의한 특별한 전환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고, 미러 표시 모드로부터 독립 표시 모드로의 천이를 실현할 수 있어, 편리성이 향상된다. 예를 들어, 유저가 하부 표시 장치(4)에 미러 표시 모드 표시를 출력시키고 싶은 때는, 유저가 하부 표시 장치(4)에서 미러 표시 모드 화상(상부 화상)에 관한 조작을 행하고 싶은 때이다. 미러 표시 모드 중에는, 상부 표시 장치(3)에는 미러 표시 모드 화상과 동일한 외관을 갖는 상부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점에서, 하부 표시 장치(4)에서 미러 표시 모드 화상에 관한 조작이 불필요해진 시점에서, 유저에게 있어서, 하부 표시 장치(4)에서의 미러 표시 모드 화상의 출력은 불필요해진다. 이러한 경우에, 유저는 소정 시간 T1만 하부 표시 장치(4)의 미러 표시 모드에 대하여 전혀 조작하지 않음으로써 미러 표시 모드로부터 독립 표시 모드로의 천이를 실현할 수 있어, 편리하다.
도 5는 독립 표시 모드와 미러 표시 모드 사이의 천이 조건의 일례를 도시하는 상태 천이도이다. 도 5에는 상부 표시 장치(3), 하부 표시 장치(4) 및 기계식 스위치류(6)가 더불어 도시된다.
독립 표시 모드로부터 미러 표시 모드로의 천이 조건은 이하의 조건 (1) 내지 (2)의 어느 것이 만족된 경우에 만족된다. (1) 터치 패널(5)의 하방향으로의 드래그, 플릭 또는 에지 인이 검출된 것. (2) 기계식 스위치류(6) 중, 멀티미디어계의 스위치(예를 들어, 맵 스위치나 목적지 스위치)의 조작이 검출된 것.
미러 표시 모드로부터 독립 표시 모드로의 천이 조건(복귀 조건)은 이하의 조건 (11) 내지 (14)의 어느 것이 만족된 경우에 만족된다. (11) 무조작 상태가 소정 시간 T1 계속된 것. (12) 기계식 스위치류(6) 중, 차량 제어계 스위치의 조작이 검출된 것. (13) 기계식 스위치류(6) 중, 톱 스위치의 조작이 검출된 것. (14) 터치 패널(5)의 상방향으로의 드래그, 플릭 또는 에지 인이 검출된 것.
본 실시예에서는, 일례로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제어부(110)는 독립 표시 모드에 있어서의 조건 (1) 내지 (2)의 어느 것을 만족시키는 이벤트(모드 전환 입력)에 기초하여, 독립 표시 모드로부터 미러 표시 모드로 전환된다. 또한, 표시 제어부(110)는 미러 표시 모드에 있어서의 조건 (11)을 만족시키는 이벤트(특정 무조작 상태)에 기초하여, 미러 표시 모드로부터 독립 표시 모드로 전환된다. 또한, 표시 제어부(110)는 미러 표시 모드에 있어서의 조건 (12) 내지 (14)의 어느 것을 만족시키는 이벤트(모드 전환 입력)에 기초하여, 미러 표시 모드로부터 독립 표시 모드로 전환된다. 또한, 이하에는, 독립 표시 모드로부터 미러 표시 모드로의 전환 및 미러 표시 모드로부터 독립 표시 모드로의 전환을, 「표시 모드의 전환」이라고도 총칭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110)는 하부 표시 장치(4)에, 독립 표시 모드 화상과 미러 표시 모드 화상 중 한쪽이 다른 쪽에 부분적으로 숨겨지는 복합 화상(도 8b, 도 10b 참조)을 복수의 프레임 주기에 걸쳐서 연속해서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애니메이션 처리를 행한다. 애니메이션 처리란, 복수의 정지 화상(복합 화상)에 의해 움직임을 만드는 처리이다. 애니메이션 처리는 표시 모드의 전환에 선행하는 자동 애니메이션 처리(제1 애니메이션 처리의 일례)와, 상기의 "소정의 터치 입력"이라고 확정되지 않은 단계의 입력에 기초하여 실행하는 손가락 연동형 애니메이션 처리(제2 애니메이션 처리의 일례)를 포함한다. 또한, 애니메이션 처리는, 후술하는 캔슬 시 애니메이션 처리를 더 포함해도 된다.
자동 애니메이션 처리는 시간의 경과에 수반하여, 독립 표시 모드 화상과 미러 표시 모드 화상 중, 전환 전의 하부 GUI 화상의 표시 범위를 점차 저감시키면서, 전환 후의 하부 GUI 화상을 점차 출현시키는 형태이고, 복합 화상(도 8b, 도 10b 참조)을 복수의 프레임 주기에 걸쳐서 변화시키고 나서, 전환 후의 하부 GUI 화상을 출력하는 처리이다. 전환 전의 하부 GUI 화상의 표시 범위를 점차 저감시키면서, 전환 후의 하부 GUI 화상을 점차 출현시키는 형태는 복합 화상에 있어서의 전환 전의 하부 GUI 화상과 전환 후의 하부 GUI 화상 사이의 경계[도 8b의 상부 에지(921), 도 10b의 하부 에지(931) 참조]가 점차 이동하는 형태에 의해 실현된다. 이러한 자동 애니메이션 처리를 행함으로써, 유저는 표시 모드의 전환이 발생하는 것을 시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손가락 연동형 애니메이션 처리는 터치 패널(5)에 있어서의 하방향 또는 상방향으로의 손가락의 움직임에 연동시키고, 복합 화상에 있어서의 독립 표시 모드 화상의 부위와 미러 표시 모드 화상의 부위 사이의 경계[도 8b의 상부 에지(921), 도 10b의 하부 에지(931) 참조]가 하방향 또는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형태로, 복합 화상(도 8b, 도 10b 참조)을 복수의 프레임 주기에 걸쳐서 변화시키는 처리이다. 이러한 손가락 연동형 애니메이션 처리를 행함으로써, 유저는 터치 패널(5)에 있어서의 하방향 또는 상방향으로의 손가락의 움직임을 그대로 계속함으로써 표시 모드의 전환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을 시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여기서, 손가락 연동형 애니메이션 처리 및 자동 애니메이션 처리란, 복합 화상에 있어서의 경계[도 8b의 상부 에지(921), 도 10b의 하부 에지(931) 참조]가 복수의 프레임 주기에 걸쳐서 이동하는 점에서 공통이다. 따라서, 이하에는,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손가락 연동형 애니메이션 처리와 자동 애니메이션 처리를 구별하지 않고 설명한다. 애니메이션 처리의 더 한층의 상세는 후술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110)는 독립 표시 모드에 있어서의 입력 접수 처리부(114)로부터의 표시 변경 명령에 기초하여, 해당 표시 변경 명령에 응답하는 처리를 행한다. 표시 변경 명령에 응답하는 처리는 독립 표시 모드 화상에 관한 화면 천이나 화면 스크롤, 설정 표시 등의 변경을 행하는 처리이다. 표시 제어부(110)로의 표시 변경 명령은 기계식 스위치류(6) 중, 차량 제어계 스위치의 조작 신호나, 독립 표시 모드 화상의 정의 부위에 대응지어지는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생성된다.
입력 접수 처리부(114)는 터치 패널(5)에 있어서의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하부 표시 장치(4)에 출력되어 있는 독립 표시 모드 화상 또는 미러 표시 모드 화상에 대응지어진 소정 기능을 실행하는 특정 기능 처리를 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소정 기능은 독립 표시 모드 화상 내의 소정의 정의 부위에 대응지어진 기능(제1 소정 기능의 일례) 및 미러 표시 모드 화상 내의 소정의 정의 부위에 대응지어진 기능(제2 소정 기능의 일례)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례로서, 소정의 정의 부위는 독립 표시 모드 화상 및 미러 표시 모드 화상의 모든 정의 부위이다. 따라서, 이하에는, 「소정의 정의 부위」나 「소정 기능」이라는 용어는, 필요에 따라 사용하는 데 그치고, 간단히 「정의 부위」나 「기능」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구체적으로는, 입력 접수 처리부(114)는 하부 표시 장치(4)에 독립 표시 모드 화상이 출력된 상태에 있어서, 해당 독립 표시 모드 화상에 있어서의 정의 부위에 대응지어진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해당 정의 부위에 대응지어진 기능을 실행한다. 예를 들어, 입력 접수 처리부(114)는 해당 기능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CAN(30)으로 송신함과 함께, 해당 기능에 대응하는 표시 변경 명령을 표시 제어부(110)에 부여한다. CAN(30)으로 송신되는 제어 명령은, 예를 들어 공조 장치의 설정값(예를 들어, 블로어 풍량이나 설정 온도 등)의 변경을 명령한다. 표시 제어부(110)에 부여되는 표시 변경 명령은 독립 표시 모드 화상에 관한 화면 천이나 화면 스크롤, 설정 표시 등의 변경 등을 명령한다. 따라서, 독립 표시 모드 중에는, 독립 표시 모드 화상은 차량 제어계의 GUI로서 기능할 수 있고, 터치 패널(5)은 차량 제어계의 조작 장치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접수 처리부(114)는 하부 표시 장치(4)에 미러 표시 모드 화상이 출력된 상태에 있어서, 해당 미러 표시 모드 화상에 있어서의 정의 부위에 대응지어진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해당 정의 부위에 대응지어진 기능을 실행한다. 즉, 입력 접수 처리부(114)는 해당 기능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를 멀티미디어 장치(2)에 부여한다. 따라서, 미러 표시 모드 중에는, 미러 표시 모드 화상은 상부 화상과 함께, 멀티미디어 장치(2)에 관한 GUI로서 기능할 수 있고, 터치 패널(5)은 멀티미디어 장치(2)를 조작 대상으로 하는 조작 장치로서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접수 처리부(114)는 각 독립 표시 모드 화상 및 각 미러 표시 모드 화상에 대하여 준비된 GUI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기능 처리를 행한다. GUI 정보는,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독립 표시 모드 화상 및 각 미러 표시 모드 화상을 특정하기 위한 화상 ID와, 화상 ID마다, 하나 이상의 각 정의 부위를 특정하기 위한 정의 부위 ID를 포함한다. GUI 정보는, 또한, 정의 부위 ID마다, 정의 부위의 위치(범위), 정의 부위에 대응지어지는 조작 입력(조작 입력의 종별), 정의 부위에 대응지어지는 조작 신호(즉, 정의 부위에 대응지어지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조작 신호) 및 조작 신호의 출력처를 포함한다. 또한, GUI 정보에 있어서는, 독립 표시 모드 화상에 관한 조작 신호의 출력처는 멀티미디어 장치(2)로 정의되는 일은 없고, 또한 미러 표시 모드 화상에 관한 조작 신호의 출력처는 표시 제어부(110)로 정의되는 일은 없다. 또한, 이러한 GUI 정보는, 예를 들어 주기억 장치(13)에 미리 기억된다.
예를 들어, 도 6에 있어서, 화상 ID=00001은 미러 표시 모드 화상에 관한 것이다. 화상 ID=00001에 관한 정의 부위 ID00001의 정의 부위(xx10 내지 xx11, yy10 내지 yy11)는 화면의 X좌표가 xx10 내지 xx11이고 또한 화면의 Y좌표가 yy10 내지 yy11인 직사각형 영역을 나타낸다. 정의 부위 ID00001에서는, 해당 정의 부위에서 탭이 접수되고, 해당 탭에 응답하여 표시 변경 명령 A가 멀티미디어 장치(2)에 출력되게 된다. 마찬가지로, 정의 부위 ID00003의 정의 부위(xx30 내지 xx31, yy30 내지 yy31)에서는 해당 정의 부위에서 플릭이 접수되고, 해당 플릭에 응답하여 멀티미디어 장치(2)에 하방 스크롤 명령이 출력되게 된다. 화상 ID=00002는 독립 표시 모드 화상에 관한 것이다. 화상 ID=00002에 관한 정의 부위 ID00002의 정의 부위(xx20 내지 xx21, yy20 내지 yy21)에서는 해당 정의 부위에서 탭이 접수되고, 해당 탭에 응답하여 설정값 증가 명령 B가 CAN(30)에 출력되고 또한 표시 제어부(110)에 표시 변경 명령 B가 출력되게 된다.
또한, 입력 접수 처리부(114)는 기계식 스위치류(6)로부터 입력되는 조작 신호에 따른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입력 접수 처리부(114)는 멀티미디어계 스위치에 관한 조작 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조작 신호를 멀티미디어 장치(2)에 부여한다. 또한, 입력 접수 처리부(114)는 차량 제어계 스위치에 관한 조작 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조작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CAN(30)으로 송신함과 함께, 해당 조작 신호에 대응하는 표시 변경 명령을 표시 제어부(110)에 부여한다. 표시 제어부(110)에 부여하는 표시 변경 명령은 독립 표시 모드 화상에 관한 화면 천이나 화면 스크롤, 설정 표시 등의 변경 등을 명령한다. 또한, 입력 접수 처리부(114)는 톱 스위치에 관한 조작 신호가 입력되면, 독립 표시 모드 화상의 홈 화상으로의 화면 천이를 명령하는 표시 변경 명령을 생성한다. 입력 접수 처리부(114)는 톱 스위치에 관한 표시 변경 명령을 생성하면, 해당 표시 변경 명령을 표시 제어부(110)에 부여한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예의 차량용 조작 장치에 따르면, 특히, 이하와 같은 우수한 효과가 발휘된다.
우선, 하부 표시 장치(4)에 출력되는 하부 GUI 화상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표시 장치(3)에 출력되어 있는 상부 화상으로부터 독립된 독립 표시 모드 화상과, 상부 표시 장치(3)에 출력되어 있는 상부 화상과 외관이 동일한 미러 표시 모드 화상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표시 제어부(110)는 유저로부터의 모드 전환 입력에 기초하여, 독립 표시 모드와 미러 표시 모드 사이에서 전환된다. 따라서, 유저는 모드 전환 입력을 행함으로써, 하부 표시 장치(4)에 출력되는 하부 GUI 화상을, 독립 표시 모드 화상으로부터 미러 표시 모드 화상으로 전환할 수 있고,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모드 전환 입력이 소정의 터치 입력을 포함하므로, 유저는 하부 표시 장치(4)를 직시하지 않고 모드 전환 입력을 행하는 것도 가능해지고[또는 모드 전환 입력 전에 순간적인 직시로 하부 표시 장치(4)의 터치 패널(5)의 위치를 확정하고 나서 모드 전환 입력을 행하는 것도 가능해지고], 모드 전환 입력을 행할 때의 운전자 시선의 전방으로부터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독립 표시 모드와 미러 표시 모드 사이의 천이는, 하부 표시 장치(4) 상의 하부 GUI 화상의 변화(독립 표시 모드 화상 및 미러 표시 모드 화상 사이의 변화)를 수반한다. 따라서, 유저는 하부 표시 장치(4)에서의 독립 표시 모드 화상 및 미러 표시 모드 화상 사이의 변화를 시인함으로써, 독립 표시 모드와 미러 표시 모드 사이의 전환을 시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고, 직감적으로 익숙해지기 쉬워진다.
또한, 독립 표시 모드에서는, 유저는 독립 표시 모드 화상에 대응지어진 기능을 하부 표시 장치(4)에서의 조작으로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는 미러 표시 모드에서는 실현할 수 없는 기능(차량 제어계의 조작)을, 하부 표시 장치(4)에서의 조작으로 실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독립 표시 모드에서는, 유저는 시인성이 비교적 높은 상부 표시 장치(3) 상에서 상부 화상을 시인 가능한 상태로 하면서, 상부 화상으로부터 독립된 독립 표시 모드 화상에 관한 조작을 하부 표시 장치(4)에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독립 표시 모드에서는, 유저는 주행 중, 하부 표시 장치(4)에서 어떤 조작을 행할 때라도, 하부 표시 장치(4)보다도 시인성이 양호한 상부 표시 장치(3)에 있어서, 내비게이션 화상을 시인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미러 표시 모드에서는 상부 표시 장치(3)에 출력되어 있는 상부 화상과 외관이 동일한 미러 표시 모드 화상이 하부 표시 장치(4)에 출력된다. 따라서, 유저는 하부 표시 장치(4)에서 멀티미디어 장치(2)의 조작(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미러 표시 모드에서는, 유저는 상부 표시 장치(3)에 출력되어 있는 상부 화상과 동일한 외관의 미러 표시 모드 화상을 하부 표시 장치(4)에서 보면서, 해당 미러 표시 모드 화상에 관한 조작(=해당 상부 화상에 관한 조작)을 하부 표시 장치(4)에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에 의해, 미러 표시 모드에서는, 유저는 시인성이 비교적 높은 상부 표시 장치(3) 상에서 상부 화상을 보면서, 해당 상부 화상에 관한 조작을 하부 표시 장치(4)에서 행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드래그에 의한 지도 스크롤이나 핀치 인/아웃에 의한 지도의 축소/확대 등과 같은 모션계의 조작을 행할 때는, 유저는 상부 화상을 보면서 마치 원격 터치 패드와 같이 하부 표시 장치(4)의 터치 패널(5)에서의 조작이 가능하고, 특히 운전 중의 보기 쉬움과 내비게이션 화상에 관한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모션계 이외의 조작이라도, 운전자는 상부 화상을 보고 원하는 조작 항목 표시의 위치를 사전에 파악할 수 있으므로, 하부 표시 장치(4)에서 동조작 항목 표시에 관한 기능을 실현할 때, 전방으로부터 시선을 떼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하부 표시 장치(4)는 상부 표시 장치(3)보다도 낮고 또한 운전석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므로, 상부 표시 장치(3)에 터치 패널을 설치하여 상부 화상에 관한 조작을 상부 표시 장치(3)에서 행하는 경우보다도,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부 표시 장치(3)에 출력되는 상부 화상은 내비게이션 화상 등이므로, 예를 들어 『기존의 단일 터치 패널을 갖는 표시 장치』에서 사용되는 GUI용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미러 표시 모드 화상은 상부 화상과 외관이 동일하므로, 미러 표시 모드 화상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표시 장치(3)에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사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표시 제어부(110)에 있어서의 미러 표시 모드 화상의 생성에 관한 소프트웨어나, 멀티미디어 장치(2)에 관한 소프트웨어의 개발 공정 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독립 표시 모드 및 미러 표시 모드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유저는 하부 표시 장치(4)의 터치 패널(5)에서의 조작으로 각종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표시 장치(3)를 표시 전용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러한 경우에는, 상부 표시 장치(3)의 비용(터치 패널에 관련되는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부 표시 장치(3)를 표시 전용으로 함으로써, 상부 표시 장치(3)를, 운전자의 손이 닿지 않는 먼 위치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해지고, 운전자 상부 표시 장치(3)로의 시선 방향과 주행 중의 전방으로의 시선 방향의 차이[상부 표시 장치(3) 상의 상부 화상을 시인할 때의 운전자 시선의 전방으로부터의 이동량]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어서, 도 7 내지 도 10c를 참조하여, 애니메이션 처리의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10c에는 상부 표시 장치(3), 하부 표시 장치(4) 및 기계식 스위치류(6)가 더불어 도시되지만, 도 7 내지 도 10c에서는 주로, 하부 표시 장치(4)의 하부 화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7 내지 도 10c에서는 주로, 손가락 연동형 애니메이션 처리를 상정한 설명이 이루어지지만, 자동 애니메이션 처리에 대해서도 실질적으로 마찬가지이다.
<루버 도어 모델>
애니메이션 처리의 바람직한 예는 루버 도어 모델(도어 모델의 일례)에 기초한다. 도 7은 루버 도어 모델의 개념적인 설명도이다.
루버 도어 모델은, 도 7에 개념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독립 표시 모드 화상이 미러 표시 모드 화상을 선택적으로 커버하는 루버 도어(90)(도어의 일례)가 되어 화면 내 또는 화면 밖으로 병진 이동하는 모델이다. 환언하면, 도 7의 말풍선에 개념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독립 표시 모드 화상을 루버 도어(90)(독립 표시 모드 화상이 실내측에 묘화된 루버 도어(90)]를 보고 선정하고, 루버 도어(90)를 올리고 내림으로써, 독립 표시 모드 화상이 올려졌을 때는 미러 표시 모드 화상이 숨겨지고 독립 표시 모드 화상이 내려졌을 때는 미러 표시 모드 화상이 보이는 형태이고, 애니메이션 처리를 실현하는 모델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루버 도어 모델에 기초하는 애니메이션 처리의 설명도이고, 도 8a는 독립 표시 모드로부터 미러 표시 모드로의 전환 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도 8b는 독립 표시 모드로부터 미러 표시 모드로의 전환에 관련되는 애니메이션 처리 중의 상태(복합 화상의 일례)를 도시하고, 도 8c는 독립 표시 모드로부터 미러 표시 모드로의 전환 후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 8b에는 제1 입력(하방으로의 드래그)을 행하고 있는 손의 상태(화살표 R1 참조)가 모식적으로 도시된다. 부호 920은 독립 표시 모드 화상이 실내측에 묘화된 루버 도어[이하, 루버 도어 화상(920)이라고도 칭함]이고, 부호 921은 루버 도어 화상(920)의 상부 에지(상측의 경계)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합 화상은 경계[상부 에지(921) 참조]보다도 하측에 루버 도어 화상(920)(독립 표시 모드의 일부)을 가짐과 함께, 경계[상부 에지(921) 참조]보다도 상측에 미러 표시 모드 화상의 일부를 갖는다. 이것은 소정의 터치 입력에 있어서의 제1 입력 및 제2 입력의 각 방향에 관련된다.
도 8b에서는 제1 입력에 관한 손가락의 이동량이 Δy1일 때 상태가 도시된다. 루버 도어는 루버 도어의 상단을 손가락으로 드래그하거나 하여 하방으로 내리지 않아도, 루버 도어의 어느 위치로부터든 손가락으로 드래그하거나 하여 하방으로 내려진다. 따라서, 제1 입력의 개시점은 화면의 상단이 아니어도 되고, 예를 들어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면의 상단보다도 하방(도 8b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도 8b에 도시하는 손가락의 위치로부터 Δy1만큼 상방이 제1 입력의 개시점)이어도 된다.
루버 도어 모델에서는,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루버 도어 화상(920)의 아래에 숨겨져 있던 미러 표시 모드 화상(=상부 화상, 본 예에서는 내비게이션 화상)이 루버 도어 화상(920)의 하방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화살표 R2 참조), 루버 도어 화상(920)의 상부 에지(921)와 화면의 상부 에지 사이에(상측으로부터) 점차 나타난다. 루버 도어 화상(920)의 상부 에지(921)가 개념적으로 화면 최하부에 도달하면(즉, 루버 도어가 화면 밖으로 하방에 수납되면),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루버 도어 화상(920)의 아래에 숨겨져 있던 미러 표시 모드 화상이 완전히 보이는 상태(화면 전체에 출력된 상태)가 된다.
루버 도어 모델에 의하면, 유저가 생활에서 익숙함이 있는 루버 도어를 사용한 모델에 기초함으로써, 독립 표시 모드 화상과 미러 표시 모드 화상 사이의 레이어 관계를 알기 쉬워지고, 독립 표시 모드 화상과 미러 표시 모드 화상의 관계에 대한 유저의 직감적인 이해를 촉진할 수 있다. 즉, 독립 표시 모드 화상[루버 도어 화상(920)]이 미러 표시 모드 화상보다도 상층(실내측)에 있는 것을 알기 쉬워진다.
또한, 루버 도어 모델에 의하면, 내비게이션 화상과 같은, 시간의 경과 또는 차량 위치의 변화와 함께 동적으로 변화되는 미러 표시 모드 화상은 애니메이션 처리 중, 화면 내의 위치가 항상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묘화 처리가 비교적 용이하다.
또한, 도 8b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루버 도어 화상(920)의 상단에 의해 형성되는 그림자 효과를 나타내는 그림자 표시(922)가 묘화되므로, 독립 표시 모드 화상[루버 도어 화상(920)]이 미러 표시 모드 화상보다도 상층(실내측)에 있는 것을 더욱 알기 쉬워진다. 또한, 동일한 효과를 얻기 위해, 미러 표시 모드 화상은 루버 도어 화상(920)에 의해 부분적으로 숨겨져 있을 때는, 화면의 풀사이즈보다도 약간 작게 묘화되고, 루버 도어 화상(920)이 개념적으로 화면 밖으로 이동했을 때에, 화면의 풀사이즈로 확대되도록 묘화되어도 된다. 이 경우, 원근법적 효과에 의해 독립 표시 모드 화상과 미러 표시 모드 화상 사이의 레이어 관계를 더욱 알기 쉬워진다.
여기서는, 독립 표시 모드로부터 미러 표시 모드로의 전환에 관련되는 애니메이션 처리를 설명했지만, 역으로도 실질적으로 마찬가지이다. 즉, 미러 표시 모드로부터 독립 표시 모드로의 전환에 관련되는 애니메이션 처리는 루버 도어 화상(920)의 움직임이 반전되는 것만으로 실질적으로 마찬가지이다. 즉, 루버 도어를 상방향으로 상승시키고, 루버 도어 화상(920)의 아래에 미러 표시 모드 화상을 숨기는 형태로, 루버 도어 모델에 기초하는 애니메이션 처리가 실현된다. 이때도 마찬가지로, 루버 도어 화상(920)의 상승에 수반하여, 미러 표시 모드 화상이 화면의 풀사이즈보다도 약간 작아지는 형태(즉, 후퇴의 이미지)로 묘화되어도 된다. 이에 의해, 원근법적 효과에 의해 독립 표시 모드 화상과 미러 표시 모드 화상 사이의 레이어 관계를 더욱 알기 쉬워진다.
또한, 루버 도어 모델의 변형예로서, 루버 도어 대신에, 맹장지나 빈지문과 같은, 간극이 없는 타입의 도어가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루버 도어 모델에서는 루버 도어가 화면 외 하측에 수납되지만, 루버 도어가 화면 외 상측에 수납되는 루버 도어 모델이 사용되어도 된다. 이 경우, 루버 도어 대신에, 셔터의 이미지가 사용되어도 된다(즉, 셔터 모델이 사용되어도 됨). 또한, 루버 도어가 화면 외 상측에 수납되는 루버 도어 모델 또는 동일한 셔터 모델인 경우, 소정의 터치 입력에 있어서의 제1 입력 및 제2 입력의 각각의 방향(상하 방향)은 각각 상하 반전된다.
<롤 커튼 모델>
애니메이션 처리의 다른 바람직한 예는, 롤 커튼 모델에 기초한다. 도 9는 롤 커튼 모델의 개념적인 설명도이다.
롤 커튼 모델은 도 9에 개념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미러 표시 모드 화상이 독립 표시 모드 화상을 선택적으로 커버하는 롤 커튼(92)이 되어 화면 내에 전개 또는 화면 밖으로 감아 올려지는 모델이다. 환언하면, 도 9의 말풍선에 개념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미러 표시 모드 화상을 롤 커튼(92)[미러 표시 모드 화상이 실내측에 묘화된 롤 커튼(92)]을 보고 선정하고, 롤 커튼(92)을 전개 또는 감아 올림으로써, 미러 표시 모드 화상이 전개되었을 때는 미러 표시 모드 화상이 보이고 미러 표시 모드 화상이 감아 올려졌을 때는 독립 표시 모드 화상이 보이는 형태로, 애니메이션 처리를 실현하는 모델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롤 커튼 모델에 기초하는 애니메이션 처리의 설명도이고, 도 10a는 독립 표시 모드로부터 미러 표시 모드로의 전환 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도 10b는 독립 표시 모드 화상으로부터 미러 표시 모드 화상에 관련되는 애니메이션 처리 중인 상태(복합 화상의 일례)를 도시하고, 도 10c는 독립 표시 모드로부터 미러 표시 모드로의 전환 후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 10b에는 제1 입력(하방으로의 드래그)을 행하고 있는 손의 상태(화살표 R1 참조)가 모식적으로 도시된다. 부호 930은 미러 표시 모드 화상이 실내측에 묘화된 롤 커튼[이하, 롤 커튼 화상(930)이라고도 칭함]이고, 부호 931은 롤 커튼 화상(930)의 하부 에지(하측의 경계)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합 화상은 경계[하부 에지(931) 참조]보다도 하측에 독립 표시 모드의 일부를 가짐과 함께, 경계[하부 에지(931) 참조]보다도 상측에 롤 커튼 화상(930)(미러 표시 모드 화상의 일부)을 갖는다. 이것은, 소정의 터치 입력에 있어서의 제1 입력 및 제2 입력의 각 방향에 관련된다.
도 10b에서는 제1 입력에 관한 손가락의 이동량이 Δy2일 때의 상태가 도시된다. 롤 커튼은 하부 에지(예를 들어, 하부 에지로부터 현수되는 끈의 이미지)를 손가락으로 드래그하거나 하여 하방으로 내림으로써 화면 내에 전개된다. 따라서, 제1 입력의 개시점은 화면의 상단이다. 도 10b에는 화면의 상단보다도 하방까지 롤 커튼이 전개된 상태가 도시된다(화살표 R3 참조).
롤 커튼 모델에서는, 도 10a 내지 도 10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 커튼 화상(930)(=상부 화상, 본 예에서는 내비게이션 화상)의 하방으로의 전개에 수반하여, 롤 커튼 화상(930)은 화면 상측으로부터 하방으로 동화상의 하부 에지측(내비게이션 화상의 하부 에지측)으로부터 점차 나타나고, 독립 표시 모드 화상이 (상측으로부터) 점차 숨겨져 간다. 롤 커튼 화상(930)의 하부 에지(931)가 개념적으로 화면 최하부에 도달하면(또는 화면 밖으로 하방으로 이동하면), 도 10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 커튼 화상(930)의 아래에 독립 표시 모드 화상이 완전히 숨겨지는 상태가 된다[즉, 롤 커튼 화상(930)이 화면 전체에 출력된 상태가 됨].
롤 커튼 모델에 의하면, 유저가 생활에서 익숙함이 있는 롤 커튼을 사용한 모델에 기초함으로써, 독립 표시 모드 화상과 미러 표시 모드 화상 사이의 레이어 관계를 알기 쉬워지고, 독립 표시 모드 화상과 미러 표시 모드 화상의 관계에 대한 유저의 직감적인 이해를 촉진할 수 있다. 즉, 미러 표시 모드 화상[롤 커튼 화상(930)]이 독립 표시 모드 화상보다도 상층(실내측)에 있는 것을 알기 쉬워진다.
또한, 도 10b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롤 커튼 화상(930)의 하부 에지에 의해 형성되는 그림자 효과를 나타내는 그림자 표시(932)가 묘화되므로, 미러 표시 모드 화상[롤 커튼 화상(930)]이 독립 표시 모드 화상보다도 상층(실내측)에 있는 것을 더욱 알기 쉬워진다. 또한, 동일한 효과를 얻기 위해, 미러 표시 모드 화상[롤 커튼 화상(930)]의 전개가 개시되면, 독립 표시 모드 화상이 화면의 풀사이즈보다도 약간 작아지는 형태(즉, 후퇴의 이미지)로 묘화되어도 된다. 이에 의해, 원근법적 효과에 의해 독립 표시 모드 화상과 미러 표시 모드 화상 사이의 레이어 관계를 더욱 알기 쉬워진다.
여기서는, 독립 표시 모드로부터 미러 표시 모드로의 전환에 관련되는 애니메이션 처리를 설명했지만, 역으로도 실질적으로 마찬가지이다. 즉, 미러 표시 모드로부터 독립 표시 모드로의 전환에 관련되는 애니메이션 처리는 롤 커튼 화상(930)의 움직임이 반전되는 것만으로 실질적으로 마찬가지이다. 즉, 롤 커튼을 상방향으로 감아 올리고, 롤 커튼 화상(930)의 아래로부터 독립 표시 모드 화상을 출현시키는 형태로, 롤 커튼 모델에 기초하는 애니메이션 처리가 실현된다. 이 기회도 마찬가지로, 롤 커튼 화상(930)의 상승 중에는 독립 표시 모드 화상이 화면의 풀 사이즈보다도 약간 작게 묘화되고, 롤 커튼 화상(930)의 상승이 완료된 시점에서, 독립 표시 모드 화상이 화면의 풀 사이즈로 확대되도록 묘화되어도 된다. 이에 의해, 원근법적 효과에 의해 독립 표시 모드 화상과 미러 표시 모드 화상 사이의 레이어 관계를 더욱 알기 쉬워진다.
또한, 도 9 내지 도 10c에 도시하는 롤 커튼 모델에서는, 미러 표시 모드 화상[롤 커튼 화상(930)]이 독립 표시 모드 화상보다도 상층(실내측)에 있는 레이어 관계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변형예에서는 독립 표시 모드 화상이 미러 표시 모드 화상보다도 상층(실내측)에 있는 레이어 관계에서 롤 커튼 모델을 실현해도 된다. 이 경우, 독립 표시 모드 화상이 실내측에 묘화된 롤 커튼(롤 커튼 화상)이 사용된다. 그리고, 롤 커튼 화상의 상방으로의 감아 올림에 수반하여, 아래에 숨겨져 있던 미러 표시 모드 화상이 롤 커튼 화상의 하부 에지(931)와 화면의 하부 에지 사이에(하측으로부터) 점차 나타난다. 롤 커튼 화상이 개념적으로 완전히 감아 올려지면, 도 10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 커튼 화상의 아래에 숨겨져 있던 미러 표시 모드 화상이 완전히 보이는 상태가 된다. 또한, 이러한 변형예의 경우, 소정의 터치 입력에 있어서의 제1 입력 및 제2 입력의 각각의 방향(상하 방향)은 각각 상하 반전된다.
또한, 도 9 내지 도 10c에 도시하는 롤 커튼 모델에서는, 롤 커튼은 상측에서 권취되는 타입[즉, 롤 커튼 화상(930)의 상단측이 권취되는 타입]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하측에서 권취되는 타입[즉, 롤 커튼 화상(930)의 하단측이 권취되어 상방으로 저장되는 타입]의 롤 커튼에 기초하는 롤 커튼 모델이 사용되어도 된다. 이 경우, 롤 커튼 대신에, 블라인드의 이미지가 사용되어도 된다.
이어서, 도 11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제어 유닛(10)의 동작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일례로서, 상술한 루버 도어 모델(도 7 내지 도 8c)에 기초하는 애니메이션 처리를 수반하는 동작예를 설명하지만, 롤 커튼 모델에 기초하는 애니메이션 처리에 대해서도 실질적으로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이하의 동작예에 있어서, 도 9 내지 도 10c에 도시한 롤 커튼 모델에 기초하는 애니메이션 처리와의 유의미한 상위점 등에 대해서는, 적절히 설명한다.
도 11은 동작예의 설명에 사용하는 각종 정의의 설명도이고, 도 12 내지 도 15는 제어 유닛(10)의 입력 접수 처리부(114)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흐름도이다.
여기서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표시 장치(4)의 화면에 대한 x, y좌표 및 그 정방향을 정의한다. 도 11에는 하방으로의 드래그(화살표 참조)를 행하는 유저의 손이 모식적으로 도시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의 터치 위치를 (x, y)로 하고, 터치 개시(온 트리거) 위치를 (x0, y0)으로 하고, 터치 종료(오프 트리거) 위치를 (x1, y1)로 한다.
도 12 및 도 13은 입력 접수 처리부(114)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흐름도이다. 도 12에 도시하는 처리는, 예를 들어 이그니션 스위치의 온 중, 소정 주기마다 실행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례로서, 소정 주기는 하부 표시 장치(4)에 있어서의 프레임 주기에 대응한다.
스텝 S1200에서는, 입력 접수 처리부(114)는 현재의 표시 모드가 미러 표시 모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 결과가 "예"인 경우는 스텝 S1201로 진행하고, 그 이외인 경우(즉, 현재의 표시 모드가 독립 표시 모드인 경우)는 도 14의 처리로 이행한다. 또한, 표시 모드의 초기 모드(이그니션 스위치가 온이 된 직후의 디폴트의 모드)는, 예를 들어 독립 표시 모드이다.
스텝 S1201에서는, 입력 접수 처리부(114)는 표시 제어부(110)에 의한 자동 애니메이션 처리 중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201은 표시 제어부(110)에 의한 자동 애니메이션 처리 중에 입력을 접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실행된다. 판정 결과가 "예"인 경우는, 금회의 처리 주기는 그대로 종료하고, 그 이외인 경우는 스텝 S1202로 진행한다.
스텝 S1202에서는, 입력 접수 처리부(114)는 금회의 처리 주기가, 독립 표시 모드로부터 미러 표시 모드로 천이한 후의 첫회 주기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 결과가 "예"인 경우는 스텝 S1203으로 진행하고, 그 이외인 경우는 스텝 S1204로 진행한다.
스텝 S1203에서는, 입력 접수 처리부(114)는 타이머 Tm을 기동한다. 타이머 Tm은 상술한 특정 무조작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 이용된다. 타이머 Tm은 기동 또는 클리어 후, 소정 시간 T1(예를 들어, 20초)에서 타임 아웃한다.
스텝 S1204에서는, 입력 접수 처리부(114)는 기계식 스위치류(6)로부터 조작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 결과가 "예"인 경우는 스텝 S1206으로 진행하고, 그 이외인 경우는 스텝 S1220으로 진행한다.
스텝 S1206에서는, 입력 접수 처리부(114)는 타이머 Tm을 클리어(리셋)한다.
스텝 S1208에서는, 입력 접수 처리부(114)는 입력된 조작 신호에 따른 처리를 실행한다. 이 처리는 기계식 스위치류(6)로부터 조작 신호에 응답하는 처리이고, 상술한 바와 같다.
스텝 S1220에서는, 입력 접수 처리부(114)는 터치 패널(5)에 있어서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터치 패널(5)에 있어서의 입력의 유무는 터치 패널(5)로부터의 검출 신호의 유무에 기초하여 판정할 수 있다. 판정 결과가 "예"인 경우는 스텝 S1222로 진행하고, 그 이외인 경우는 스텝 S1240으로 진행한다.
스텝 S1222에서는, 입력 접수 처리부(114)는 타이머 Tm을 클리어(리셋)한다.
스텝 S1224에서는, 입력 접수 처리부(114)는 터치 패널(5)에 있어서의 입력이 정의 부위에 대응지어진 조작 입력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정의 부위는 상술한 바와 같다. 터치 패널(5)에 있어서의 입력이 정의 부위에 대응지어진 조작 입력인지 여부는 하부 표시 장치(4)에 출력되어 있는 하부 GUI 화상에 관한 화상 ID와,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GUI 정보에 기초하여 판정할 수 있다. 판정 결과가 "예"인 경우는 스텝 S1226으로 진행하고, 그 이외인 경우는 스텝 S1230으로 진행한다.
스텝 S1226에서는, 입력 접수 처리부(114)는 정의 부위에 대응지어진 기능을 실행하는 처리(특정 기능 처리)를 실행한다. 특정 기능 처리는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미러 표시 모드 중의 본 처리는 하부 표시 장치(4)에 출력되어 있는 미러 표시 모드 화상에 있어서의 정의 부위에 대응지어진 조작 신호를 멀티미디어 장치(2)에 부여하는 처리이다.
스텝 S1230에서는, 입력 접수 처리부(114)는 터치 개시 위치가 하부 표시 장치(4)의 화면 외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 결과가 "예"인 경우는 스텝 S1232로 진행하고, 그 이외인 경우는 스텝 S1236으로 진행한다.
스텝 S1232에서는, 입력 접수 처리부(114)는 터치 패널(5)에 있어서의 일련의 입력이 "상방향으로의 에지 인"에 의한 입력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상방향으로의 에지 인은 상술한 바와 같고, 하부 표시 장치(4)의 화면 외의 하측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손가락으로 쓸어 미는 조작이다. 판정 결과가 "예"인 경우는 스텝 S1234로 진행하고, 그 이외인 경우는, 금회의 처리 주기는 그대로 종료한다.
스텝 S1234에서는, 입력 접수 처리부(114)는 모드 전환 명령을 생성하고, 표시 제어부(110)에 부여한다. 모드 전환 명령은 표시 모드의 전환을 표시 제어부(110)에 명령하는 입력이다. 모드 전환 명령이 부여되었을 때의 표시 제어부(110)의 처리는 도 1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스텝 S1236에서는, 입력 접수 처리부(114)는 터치 개시 위치가 하부 표시 장치(4)의 화면의 하단부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 결과가 "예"인 경우는, 도 13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천이 조건에 관한 플릭/드래그 검출 처리」로 진행하고, 그 이외인 경우는, 금회의 처리 주기는 그대로 종료한다.
스텝 S1240에서는, 입력 접수 처리부(114)는 타이머 Tm이 타임 아웃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 결과가 "예"인 경우는 스텝 S1242로 진행하고, 그 이외의 경우는, 금회의 처리 주기는 그대로 종료한다.
스텝 S1242에서는, 입력 접수 처리부(114)는 모드 복귀 명령을 생성하고, 표시 제어부(110)에 부여한다. 모드 복귀 명령은 미러 표시 모드로부터 독립 표시 모드로의 복귀를 표시 제어부(110)에 명령하는 입력이다. 모드 복귀 명령이 부여되었을 때의 표시 제어부(110)의 처리는 도 1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13은 천이 조건에 관한 플릭/드래그 검출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흐름도이다. 또한, 도 13에 도시하는 처리는 도 12의 스텝 S1236에서 판정 결과가 "예"인 경우에 실행된다. 도 13에 도시하는 처리는 소정 주기마다 실행되는 루프를 포함하고, 스텝 S1316 또는 스텝 S1318이 종료되면, 다음의 처리 주기로 도 12의 스텝 S1200으로부터의 처리로 복귀된다.
스텝 S1300에서는, 입력 접수 처리부(114)는 터치 패널(5)에 있어서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 결과가 "예"인 경우는 스텝 S1302로 진행하고, 그 이외인 경우는 스텝 S1310으로 진행한다.
스텝 S1302에서는, 입력 접수 처리부(114)는 타이머 Tm을 클리어(리셋)한다.
스텝 S1304에서는, 입력 접수 처리부(114)는 터치 개시 위치와 현재의 터치 위치에 기초하여, 현재의 터치 위치가 터치 개시 위치보다도 상방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즉, 입력 접수 처리부(114)는 y<y0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 결과가 "예"인 경우는 스텝 S1306으로 진행하고, 그 이외인 경우는 다음의 처리 주기에 스텝 S1300으로 복귀된다.
스텝 S1306에서는, 입력 접수 처리부(114)는 현재의 터치 위치와 터치 개시 위치의 y방향의 차분(=y0-y)을, 화면 하단으로부터의 루버 도어 상승량으로 하여 산출하고, 루버 도어 상승량을 표시 제어부(110)에 부여한다. 루버 도어 상승량이 부여되었을 때의 표시 제어부(110)의 처리는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스텝 S1310에서는, 입력 접수 처리부(114)는 전회의 처리 주기에서의 터치 위치를 터치 종료 위치로 하고, 오프 트리거를 검출한다.
스텝 S1312에서는, 입력 접수 처리부(114)는 금회의 터치 패널(5)에 있어서의 일련의 입력이 상방향으로의 드래그 및 플릭의 어느 것인지를 판정(식별)한다. 금회의 터치 패널(5)에 있어서의 일련의 입력이 상방향으로의 드래그인 경우는 스텝 S1314로 진행하고, 금회의 터치 패널(5)에 있어서의 일련의 입력이 상방향으로의 플릭인 경우는 스텝 S1316으로 진행한다.
스텝 S1314에서는, 입력 접수 처리부(114)는 상방향으로의 드래그양(=y0-y1)이 규정값 Td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규정값 Td는 천이 조건을 만족시키는 드래그의 드래그양에 관한 임계값이다. 규정값 Td는 하부 표시 장치(4)의 화면의 세로 치수와 다름없이 해도 되지만, 여기서는, 일례로서, 규정값 Td는 하부 표시 장치(4)의 화면의 세로 치수보다도 작은 값이고, 예를 들어 하부 표시 장치(4)의 화면의 세로 치수의 절반이다. 판정 결과가 "예"인 경우는 스텝 S1316으로 진행하고, 그 이외인 경우는 스텝 S1318로 진행한다.
스텝 S1316에서는, 입력 접수 처리부(114)는 모드 전환 명령을 생성하고, 표시 제어부(110)에 부여한다. 스텝 S1316이 종료되면, 도 13의 처리가 종료가 된다.
스텝 S1318에서는, 입력 접수 처리부(114)는 루버 도어 하강 명령을 생성하고, 표시 제어부(110)에 부여한다. 루버 도어 하강 명령이 부여되었을 때의 표시 제어부(110)의 처리는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스텝 S1318이 종료되면, 도 13의 처리가 종료가 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하는 처리에 의하면, 미러 표시 모드 중에 미러 표시 모드로부터 독립 표시 모드로의 천이 조건[상술한 조건 (11) 내지 (14)]이 만족된 경우에, 모드 전환 명령이나 모드 복귀 명령 등을 생성하고, 표시 제어부(110)에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조건 (14)에 있어서의 상방향으로의 드래그 또는 플릭에 대해서는, 하부 표시 장치(4)의 화면의 하단으로부터의 드래그 또는 플릭에 한정된다. 이것은, 미러 표시 모드에서는, 루버 도어는 화면 외의 하측에 수용되어 있는 이미지이기 때문이다(도 8c 참조). 이에 의해, 루버 도어 모델에 대한 유저의 인식을 촉진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전출의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하는 처리와 함께 입력 접수 처리부(114)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흐름도이다. 도 14에 도시하는 처리는 도 12와 마찬가지로 소정 주기마다 실행된다.
도 14에 도시하는 처리는 도 12에 도시하는 처리에 비해, 스텝 S1410, 스텝 S1412가 추가됨과 함께, 스텝 S1200 내지 스텝 S1203, 스텝 S1226 및 스텝 S1232가, 스텝 S1400 내지 스텝 S1403, 스텝 S1426 및 스텝 S1432에서 각각 치환되고, 또한 스텝 S1206, 스텝 S1222, 스텝 S1236, 스텝 S1240 및 스텝 S1242가 없는 점이 다르다. 이하에는 다른 부분을 설명한다.
스텝 S1400에서는, 입력 접수 처리부(114)는 현재의 표시 모드가 독립 표시 모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 결과가 "예"인 경우는 스텝 S1401로 진행하고, 그 이외인 경우(즉, 현재의 표시 모드가 미러 표시 모드인 경우)는 도 12의 처리로 이행한다.
스텝 S1401에서는, 입력 접수 처리부(114)는 표시 제어부(110)에 의한 자동 애니메이션 처리 중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401은 표시 제어부(110)에 의한 자동 애니메이션 처리 중에 입력을 접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실행된다. 판정 결과가 "예"인 경우는, 금회의 처리 주기는 그대로 종료되고, 그 이외인 경우는 스텝 S1402로 진행한다.
스텝 S1402에서는, 입력 접수 처리부(114)는 금회의 처리 주기가, 미러 표시 모드로부터 독립 표시 모드로 천이한 후의 첫회 주기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 결과가 "예"인 경우는 스텝 S1403으로 진행하고, 그 이외인 경우는 스텝 S1204로 진행한다.
스텝 S1403에서는, 입력 접수 처리부(114)는 타이머 Tm을 정지시킨다. 타이머 Tm은 독립 표시 모드에서는 사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스텝 S1410에서는, 입력 접수 처리부(114)는 입력된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상술한 조건 (2)「기계식 스위치류(6) 중, 멀티미디어계의 스위치의 조작이 검출된 것」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 결과가 "예"인 경우는 스텝 S1412로 진행하고, 그 이외인 경우는, 금회의 처리 주기는 그대로 종료한다.
스텝 S1412에서는, 입력 접수 처리부(114)는 모드 전환 명령을 생성하고, 표시 제어부(110)에 부여한다.
스텝 S1426에서는, 입력 접수 처리부(114)는 정의 부위에 대응지어진 기능을 실행하는 처리(특정 기능 처리)를 실행한다. 특정 기능 처리는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독립 표시 모드 중의 본 처리는, 하부 표시 장치(4)에 출력되어 있는 독립 표시 모드 화상에 있어서의 정의 부위에 대응지어진 표시 변경 명령을, 표시 제어부(110)에 부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스텝 S1432에서는, 입력 접수 처리부(114)는 터치 패널(5)에 있어서의 일련의 입력이 "하방향으로의 에지 인"에 의한 입력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하방향으로의 에지 인은 상술한 바와 같고, 하부 표시 장치(4)의 화면 외의 상측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손가락으로 쓸어 미는 조작이다. 판정 결과가 "예"인 경우는 스텝 S1234로 진행하고, 그 이외인 경우는, 금회의 처리 주기는 그대로 종료한다.
도 15에 도시하는 처리는 도 13에 도시하는 처리에 비해, 스텝 S1304, 스텝 S1306, 스텝 S1312, 스텝 S1314 및 스텝 S1318이, 스텝 S1504, 스텝 S1506, 스텝 S1512, 스텝 S1514 및 스텝 S1518에서 각각 치환되고, 또한 스텝 S1302가 없는 점이 다르다. 이하에는, 다른 부분을 설명한다.
스텝 S1504에서는, 입력 접수 처리부(114)는 터치 개시 위치와 현재의 터치 위치에 기초하여, 현재의 터치 위치가 터치 개시 위치보다도 하방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즉, 입력 접수 처리부(114)는 y>y0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 결과가 "예"인 경우는 스텝 S1506으로 진행하고, 그 이외인 경우는 다음의 처리 주기에 스텝 S1500으로 복귀된다.
스텝 S1506에서는, 입력 접수 처리부(114)는 현재의 터치 위치와 터치 개시 위치의 y방향의 차분(=y-y0)을, 화면 상단으로부터의 루버 도어 하강량으로 하여 산출하고, 루버 도어 하강량을 표시 제어부(110)에 부여한다. 루버 도어 하강량이 부여되었을 때의 표시 제어부(110)의 처리는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스텝 S1512에서는, 입력 접수 처리부(114)는 금회의 터치 패널(5)에 있어서의 일련의 입력이 하방향으로의 드래그 및 플릭의 어느 것인지를 판정(식별)한다. 금회의 터치 패널(5)에 있어서의 일련의 입력이 하방향으로의 드래그인 경우는 스텝 S1514로 진행하고, 금회의 터치 패널(5)에 있어서의 일련의 입력이 하방향으로의 플릭인 경우는 스텝 S1316으로 진행한다.
스텝 S1514에서는, 입력 접수 처리부(114)는 하방향으로의 드래그양(=y1-y0)이 규정값 Td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규정값 Td는 상술한 바와 같다. 판정 결과가 "예"인 경우는 스텝 S1316으로 진행하고, 그 이외인 경우는 스텝 S1518로 진행한다.
스텝 S1518에서는, 입력 접수 처리부(114)는 루버 도어 상승 명령을 생성하고, 표시 제어부(110)에 부여한다. 루버 도어 상승 명령이 부여되었을 때의 표시 제어부(110)의 처리는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스텝 S1518이 종료되면, 도 15의 처리가 종료가 된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하는 처리에 의하면, 독립 표시 모드 중에 독립 표시 모드로부터 미러 표시 모드로의 천이 조건[상술한 조건 (1) 내지 (2)]이 만족된 경우에, 모드 전환 명령을 생성하고, 표시 제어부(110)에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조건 (1)에 있어서의 하방향으로의 드래그 또는 플릭에 대해서는, 하부 표시 장치(4)의 화면의 상단으로부터의 드래그 또는 플릭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것은, 도 7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루버 도어 모델에서는 루버 도어가 미러 표시 모드 화상 전체를 커버하고 있고 루버 도어를 어느 위치로부터든 하강시킬 수 있는 멘탈 모델이기 때문이다(도 8c 참조). 이에 의해, 루버 도어 모델에 대한 유저의 인식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롤 커튼 모델의 경우는, 상술한 조건 (1)에 있어서의 터치 패널(5)의 하방향으로의 드래그, 플릭은 하부 표시 장치(4)의 화면의 상단으로부터의 하방향으로의 드래그 또는 플릭에 한정된다. 이것은, 도 9 내지 도 10c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롤 커튼 모델에서는 롤 커튼의 하부 에지(예를 들어, 하부 에지로부터 현수되는 끈의 이미지)를 하방으로 인장함으로써 롤 커튼이 화면 내에 전개되는 멘탈 모델이기 때문이다.
도 16 및 도 17은 제어 유닛(10)의 표시 제어부(110)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흐름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상술한 도 12 내지 도 15와 제휴한 처리이다. 도 16에 도시하는 처리는, 예를 들어 이그니션 스위치의 온 중, 소정 주기마다 실행된다. 소정 주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 표시 장치(4)에 있어서의 프레임 주기에 대응한다.
스텝 S1600에서는, 표시 제어부(110)는 이그니션 스위치의 온 후의 첫회의 처리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 결과가 "예"인 경우는 스텝 S1602로 진행하고, 그 이외인 경우는 스텝 S1606으로 진행한다.
스텝 S1602에서는, 표시 제어부(110)는 표시 모드를 독립 표시 모드로 설정한다.
스텝 S1604에서는, 표시 제어부(110)는 하부 표시 장치(4)에, 독립 표시 모드 화상에 관한 홈 화상을 출력한다.
스텝 S1606에서는, 표시 제어부(110)는 입력 접수 처리부(114)로부터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 결과가 "예"인 경우는 스텝 S1608로 진행하고, 그 이외인 경우는 스텝 S1640으로 진행한다.
스텝 S1608에서는, 표시 제어부(110)는 입력 접수 처리부(114)로부터의 입력이 모드 복귀 명령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 결과가 "예"인 경우는 스텝 S1614로 진행하고, 그 이외인 경우는 스텝 S1610으로 진행한다.
스텝 S1610에서는, 표시 제어부(110)는 입력 접수 처리부(114)로부터의 입력이 모드 전환 명령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 결과가 "예"인 경우는 스텝 S1612로 진행하고, 그 이외인 경우는 스텝 S1630으로 진행한다.
스텝 S1612에서는, 표시 제어부(110)는 현재의 표시 모드가 미러 표시 모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 결과가 "예"인 경우는 스텝 S1614로 진행하고, 그 이외인 경우(즉, 현재의 표시 모드가 독립 표시 모드인 경우)는 스텝 S1620으로 진행한다.
스텝 S1614에서는, 표시 제어부(110)는 표시 모드의 전환 후에 출력 예정의 독립 표시 모드 화상의 영상 신호와, 현재의 상부 화상의 영상 신호[멀티미디어 장치(2)로부터 취득되는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미러 표시 모드로부터 독립 표시 모드로의 전환에 선행하는 자동 애니메이션 처리를 실행한다. 미러 표시 모드로부터 독립 표시 모드로의 전환에 선행하는 자동 애니메이션 처리는 상술한 바와 같다.
예를 들어, 표시 제어부(110)는 표시 모드의 전환 후에 출력 예정의 독립 표시 모드 화상에 기초하여 루버 도어 화상(920)을 생성하고, 해당 루버 도어 화상(920)과, 멀티미디어 장치(2)로부터 취득되는 영상 신호에 기초하는 화상으로부터 복합 화상을 생성한다. 또한, 표시 모드의 전환 후에 출력 예정의 독립 표시 모드 화상은 입력 접수 처리부(114)로부터의 입력의 속성에 따라, 다음과 같이 하여 결정된다. 모드 전환 명령이나 모드 복귀 명령의 경우는, 표시 모드의 전환 후에 출력 예정의 독립 표시 모드 화상은 홈 화상이어도 되고, 직근의 독립 표시 모드 화상이어도 된다. 한편, 기계식 스위치류(6)(차량 제어계 스위치 또는 톱 스위치)로부터의 조작 신호에 기초하는 표시 변경 명령인 경우는, 표시 모드의 전환 후에 출력 예정의 독립 표시 모드 화상은 해당 표시 변경 명령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톱 스위치의 조작 신호에 기초하는 모드 전환 명령인 경우는, 표시 모드의 전환 후에 출력 예정의 독립 표시 모드 화상은 홈 화상이다. 표시 제어부(110)는 복합 화상에 있어서의 루버 도어 화상(920)을 프레임 주기마다 소정의 상승량씩 상승시키고, 하부 화상이 표시 모드의 전환 후에 출력 예정의 독립 표시 모드 화상이 되었을 때에, 자동 애니메이션 처리를 완료시킨다.
스텝 S1616에서는, 표시 제어부(110)는 자동 애니메이션 처리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 결과가 "예"인 경우는 스텝 S1618로 진행하고, 그 이외인 경우는 다음의 처리 주기로 스텝 S1614로 복귀된다(즉, 자동 애니메이션 처리가 계속됨).
스텝 S1618에서는, 표시 제어부(110)는 표시 모드를 독립 표시 모드로 설정(변경)한다.
스텝 S1620에서는, 표시 제어부(110)는 직근의 독립 표시 모드 화상에 관한 영상 신호와, 현재의 상부 화상의 영상 신호[멀티미디어 장치(2)로부터 취득되는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독립 표시 모드로부터 미러 표시 모드로의 전환에 선행하는 자동 애니메이션 처리를 실행한다. 독립 표시 모드로부터 미러 표시 모드로의 전환에 선행하는 자동 애니메이션 처리는 상술한 바와 같다.
예를 들어, 표시 제어부(110)는 직근의 독립 표시 모드 화상에 관한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루버 도어 화상(920)을 생성하고, 해당 루버 도어 화상(920)과, 멀티미디어 장치(2)로부터 취득되는 영상 신호에 기초하는 화상으로부터 복합 화상을 생성한다. 표시 제어부(110)는 복합 화상에 있어서의 루버 도어 화상(920)을 프레임 주기마다 소정의 하강량씩 하강시키고, 하부 화상이 미러 표시 모드 화상이 되었을 때에 자동 애니메이션 처리를 완료시킨다.
스텝 S1622에서는, 표시 제어부(110)는 자동 애니메이션 처리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 결과가 "예"인 경우는 스텝 S1624로 진행하고, 그 이외인 경우는 다음의 처리 주기로 스텝 S1620으로 복귀된다(즉, 자동 애니메이션 처리가 계속됨).
스텝 S1624에서는, 표시 제어부(110)는 표시 모드를 미러 표시 모드로 설정(변경)한다.
스텝 S1630에서는, 표시 제어부(110)는 입력 접수 처리부(114)로부터의 입력이, 정의 부위에 대응지어진 표시 변경 명령 및 기계식 스위치류(6)의 조작 신호에 관한 표시 변경 명령 중 어느 것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 결과가 "예"인 경우는 스텝 S1631로 진행하고, 그 이외인 경우는 도 17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플릭/드래그에 관한 묘화ㆍ애니메이션 처리」로 진행한다.
스텝 S1631에서는, 표시 제어부(110)는 입력 접수 처리부(114)로부터의 입력이, 차량 제어계 스위치 및 톱 스위치의 어느 조작 신호에 관한 표시 변경 명령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 결과가 "예"인 경우는 스텝 S1632로 진행하고, 그 이외인 경우는 스텝 S1633으로 진행한다.
스텝 S1632에서는, 표시 제어부(110)는 현재의 표시 모드가 미러 표시 모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 결과가 "예"인 경우는 스텝 S1614로 진행하고, 그 이외인 경우(즉, 현재의 표시 모드가 독립 표시 모드인 경우)는 스텝 S1633으로 진행한다.
스텝 S1633에서는, 표시 제어부(110)는 하부 표시 장치(4)에, 표시 변경 명령에 따른 처리 결과에 기초하는 독립 표시 모드 화상을 출력한다.
스텝 S1640에서는, 표시 제어부(110)는 현재의 표시 모드가 미러 표시 모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 결과가 "예"인 경우는 스텝 S1642로 진행하고, 판정 결과가 "아니오"인 경우는 스텝 S1650으로 진행한다.
스텝 S1642에서는, 표시 제어부(110)는 멀티미디어 장치(2)로부터 취득되는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하부 표시 장치(4)에 미러 표시 모드 화상을 출력한다.
스텝 S1650에서는, 표시 제어부(110)는 전회의 처리 주기의 영상 신호(독립 표시 모드 화상에 관한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독립 표시 모드 화상을 출력한다. 이에 의해, 독립 표시 모드 화상은 변화되지 않고 유지된다.
도 17은 플릭/드래그에 관한 묘화ㆍ애니메이션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흐름도이다. 또한, 도 17에 도시하는 처리는 도 16의 스텝 S1630에서 판정 결과가 "아니오"인 경우에 실행된다. 도 17에 도시하는 처리는 처리 주기마다 실행되는 루프를 포함하고, 스텝 S1714, 스텝 S1728 또는 스텝 S1734가 종료되면, 다음의 처리 주기로 도 16의 스텝 S1600로부터의 처리로 복귀된다.
스텝 S1700에서는, 표시 제어부(110)는 입력 접수 처리부(114)로부터의 입력이 루버 도어 하강량 및 루버 도어 상승량의 어느 것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 결과가 "예"인 경우는 스텝 S1702로 진행하고, 그 이외인 경우[즉, 입력 접수 처리부(114)로부터의 입력이 루버 도어 하강량 및 루버 도어 상승량의 어느 것도 아닌 경우]는 스텝 S1710으로 진행한다.
스텝 S1702에서는, 표시 제어부(110)는 루버 도어 상승량 또는 루버 도어 하강량만큼 루버 도어 화상(920)(도 8b)을 상승 또는 하강시킨 복합 화상을 하부 표시 장치(4)에 출력한다. 또한, 루버 도어 화상(920)은 직근의 독립 표시 모드 화상에 관한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다. 이것은, 이하의 도 17의 설명에 있어서의 다른 루버 도어 화상(92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복수의 처리 주기에 걸쳐서 변화되는 루버 도어 상승량 또는 루버 도어 하강량에 따라 스텝 S1702가 실행됨으로써, 손가락 연동형 애니메이션 처리가 실현된다.
스텝 S1710에서는, 표시 제어부(110)는 입력 접수 처리부(114)로부터의 입력이 루버 도어 하강 명령 및 루버 도어 상승 명령의 어느 것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 결과가 "예"인 경우는 스텝 S1712로 진행하고, 그 이외인 경우[즉, 입력 접수 처리부(114)로부터의 입력이 루버 도어 하강 명령 및 루버 도어 상승 명령의 어느 것도 아닌 경우]는 스텝 S1720으로 진행한다.
스텝 S1712에서는, 표시 제어부(110)는 루버 도어 하강 명령 또는 루버 도어 상승 명령에 응답하고, 루버 도어 화상(920)(도 8b)을 완전히 하강시킨 미러 표시 모드 화상 또는 완전히 상승시킨 독립 표시 모드 화상을 목표 화상으로 하고, 해당 목표 화상을 향해, 루버 도어 화상(920)을 소정의 하강량 또는 상승량씩 프레임 주기마다 하강 또는 상승시키는 애니메이션 처리(이하, 자동 애니메이션 처리 및 손가락 연동형 애니메이션 처리의 구별을 위해, 「캔슬 시 애니메이션 처리」라고 칭함)를 실행한다.
스텝 S1714에서는, 표시 제어부(110)는 캔슬 시 애니메이션 처리가 완료되었는지 여부(즉, 하부 화상이 미러 표시 모드 화상 또는 독립 표시 모드 화상이 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 결과가 "예"인 경우는, 도 17의 처리는 종료가 되고, 그 이외인 경우는 다음의 처리 주기로 스텝 S1712로 복귀된다(즉, 캔슬 시 애니메이션 처리가 계속됨).
스텝 S1720에서는, 표시 제어부(110)는 입력 접수 처리부(114)로부터의 입력이 모드 전환 명령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 결과가 "예"인 경우는 스텝 S1722로 진행하고, 그 이외인 경우는 다음의 처리 주기로 스텝 S1700으로 복귀된다.
스텝 S1722에서는, 표시 제어부(110)는 현재의 표시 모드가 미러 표시 모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 결과가 "예"인 경우는 스텝 S1724로 진행하고, 그 이외인 경우(즉, 현재의 표시 모드가 독립 표시 모드인 경우)는 스텝 S1730으로 진행한다.
스텝 S1724에서는, 표시 제어부(110)는 복합 화상에 있어서의 루버 도어 화상(920)을 소정의 상승량씩 프레임 주기마다 상승시키는 자동 애니메이션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 S1726에서는, 표시 제어부(110)는 자동 애니메이션 처리가 완료되었는지 여부(즉, 하부 화상이 독립 표시 모드 화상이 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 결과가 "예"인 경우는 스텝 S1728로 진행하고, 그 이외인 경우는 다음의 처리 주기로 스텝 S1724로 복귀된다(즉, 자동 애니메이션 처리가 계속됨).
스텝 S1728에서는, 표시 제어부(110)는 표시 모드를 독립 표시 모드로 설정(변경)한다. 스텝 S1728이 종료되면, 도 17의 처리가 종료가 된다.
스텝 S1730에서는, 표시 제어부(110)는 복합 화상에 있어서의 루버 도어 화상(920)을 소정의 하강량씩 프레임 주기마다 하강시키는 자동 애니메이션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 S1732에서는, 표시 제어부(110)는 자동 애니메이션 처리가 완료되었는지 여부(즉, 하부 화상이 미러 표시 모드 화상이 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734에서는, 표시 제어부(110)는 표시 모드를 미러 표시 모드로 설정(변경)한다. 스텝 S1734가 종료되면, 도 17의 처리가 종료가 된다.
도 12 내지 도 17에 도시하는 처리에 의하면, 유저로부터의 모드 전환 입력이나 특정 무조작 상태에 기초하여, 루버 도어 모델에 기초하는 자동 애니메이션 처리를 거쳐서, 표시 모드의 전환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도 12 내지 도 17에 도시하는 처리에 의하면, 천이 조건을 만족시키는 플릭 또는 드래그가 될 수 있는 입력이 검출된 경우에, 해당 입력이 천이 조건을 만족시키는 플릭 또는 드래그라고 판정(확정)되기 전의 단계로부터, 그 시점의 손가락의 위치에 따라 루버 도어 화상(92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손가락 연동형 애니메이션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손가락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루버 도어 화상(920)이 움직이기 때문에, 애니메이션 처리에 의한 효과(예를 들어, 레이어 관계를 알기 쉬워지는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 이 경우, 결과적으로 해당 입력이 천이 조건을 만족시키는 플릭 또는 드래그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는, 루버 도어 하강 명령 또는 루버 도어 상승 명령에 의해 루버 도어 화상(920)이 원래의 상태(표시 모드의 전환이 실현되지 않는 상태)로 복귀된다. 이에 의해, 유저는 드래그하기 시작한 후[및 그것에 수반하여 루버 도어 화상(920)이 출현하기 시작한 후], 규정값 Td 미만의 드래그양인 동안은, 손가락을 뗌으로써, 의도하지 않은 표시 모드의 전환을 캔슬할 수 있다.
또한, 도 12 내지 도 17에 도시하는 처리에 의하면, 드래그양이 규정값 Td 이상인 경우에, 오프 트리거와 동시에 모드 전환 명령이 생성되어 루버 도어 화상(920)이 자동 애니메이션 처리에 의해 화면 밖으로 들어가므로, 유저는 하부 표시 장치(4)의 화면의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또는 하단으로부터 상단까지 드래그하지 않아도, 소정의 터치 입력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2 내지 도 17에 도시하는 처리에서는 루버 도어 화상(920)과 손가락의 위치의 연동성을 알기 쉬워지도록, 현재의 터치 위치와 터치 개시 위치의 y방향의 차분과 다름없는 루버 도어 하강량 또는 루버 도어 상승량을 산출하고 있지만, 해당 차분에 대하여 1보다 큰 소정 비율을 승산하여 루버 도어 하강량 또는 루버 도어 상승량을 산출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규정값 Td 이상의 루버 도어 하강량 또는 루버 도어 상승량이 산출되는 드래그(모드 전환 입력)에 기초하여, 모드 전환 명령이 생성된다. 이 경우도, 유저는 하부 표시 장치(4)의 화면의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또는 하단으로부터 상단까지 드래그하지 않아도, 소정의 터치 입력을 행할 수 있다.
이상, 각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특정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전부 또는 복수를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미러 표시 모드 화상은 상부 화상과 외관이 동일(미러)이므로, 미러 표시 모드 화상에 대응지어지는 기능(상부 화상에 관한 기능)은 미러 표시 모드 화상에 관한 기능과 동일한 개념이다. 단, 미러 표시 모드 화상은 상부 화상과 외관이 완전히 동일할 필요는 없고, 상부 화상과 외관이 대략 동일해도 된다. 외관이 대략 동일하면, 미러 표시 모드에 있어서, 유저는 미러 표시 모드 화상에 관한 기능을 실현하고 있는지 상부 화상에 관한 기능을 실현하고 있는지를 혼동할 우려가 없기 때문이다. 외관이 동일하다는 것은, 외관상의 약간의 상위를 허용하는 것이고, 외관이 동일하다는 것은, 화상 주요부의 외관이 동일한 형태를 가리킨다. 따라서, 예를 들어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인터 표시(50)의 유무와 같은 상위가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8에 도시하는 상부 화상[상부 표시 장치(3)에 출력되는 화상]에는 포인터 표시(50)가 묘화되어 있는 것에 비해, 도 18에 도시하는 미러 표시 모드 화상[하부 표시 장치(4)에 출력되는 화상]은 이러한 포인터 표시(50)가 묘화되어 있지 않다. 또한, 포인터 표시(50)가 아니라, 선택 상태에 있는 조작 항목 표시를 강조시키는 커서 표시(도시하지 않음)의 유무의 상위여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항목 표시의 유무와 같은 상위가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9에 도시하는 상부 화상에는 조작 항목 표시(501 내지 507)가 묘화되어 있지 않은 것에 비해, 도 19에 도시하는 미러 표시 모드 화상은 조작 항목 표시(501 내지 507)가 묘화되어 있다. 또한, 도 19에는, 상부 화상에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은 포인터 표시(50)도 묘화되어 있지만, 이것들 2개 합한 상위도, 상술한 바와 같은 「외관이 동일」한 범위 내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바람직한 예로서, 표시 제어부(110)는 애니메이션 처리를 행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표시 제어부(110)는 독립 표시 모드 화상과 미러 표시 모드 화상 사이의 전환을 1프레임 주기로 완료시켜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상부 화상은 멀티미디어 장치(2)의 조작을 행하기 위한 각종 화상을 포함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부 화상은 내비게이션 화상만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멀티미디어 장치(2)의 조작을 행하기 위한 각종 화상 중, 오디오 장치에 관한 화상 등은 독립 표시 모드 화상에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상부 화상은 멀티미디어 장치(2)의 조작을 행하기 위한 각종 화상을 포함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부 화상은, 또한, 멀티미디어 장치(2) 이외의 장치 등을 조작하기 위한 화상을 포함해도 된다. 예를 들어, 상부 화상은, 또한, 백 카메라(도시하지 않음)의 영상을 포함해도 된다. 또한, 백 카메라의 영상은, 예를 들어 주차 지원 시에 출력되고, 목표 주차 위치의 설정 등을 위한 GUI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상부 표시 장치(3) 및 하부 표시 장치(4)는 차량 탑재형의 디스플레이이지만, 상부 표시 장치(3) 및 하부 표시 장치(4)의 한쪽 또는 양쪽은 차량에 반입되어 설치되는 유저 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의 표시 장치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이 경우, 상부 표시 장치(3) 및 하부 표시 장치(4) 중, 차량에 반입되는 표시 장치와 제어 유닛(10) 사이의 통신은 제어 유닛(10)에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무선 송수신부(예를 들어, 블루 투스 통신부)를 통해 실현되어도 되고, 유선에 의한 접속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또한, 상부 표시 장치(3)가 반입되는 경우, 상부 표시 장치(3)는, 예를 들어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상부에 어태치먼트를 통해 설치된다. 또한, 하부 표시 장치(4)가 반입되는 경우, 하부 표시 장치(4)는, 예를 들어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전방면에 설치되는 크레이들에 의해 유지된다. 이 경우, 어태치먼트 및 크레이들은 상부 표시 장치(3)가 하부 표시 장치(4)보다도 차량 상하 방향에 있어서 높고, 또한 운전석으로부터 멀어지는 각 위치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상부 표시 장치(3)가 차량 탑재형이고 하부 표시 장치(4)가 유저 단말기로서 차량에 반입되는 변형예에서는, 하부 표시 장치(4)를 구비하지 않는 차량용 조작 장치[상술한 차량용 조작 장치(1)로부터 하부 표시 장치(4)를 제외한 구성을 갖는 차량용 조작 장치]는 해당 유저 단말기가 차량 내에 반입된 경우에, 해당 유저 단말기와 협동하여, 상술한 차량용 조작 장치(1)와 동일한 기능을 실현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기계식 스위치류(6)가 설치되지만, 기계식 스위치류(6)는 생략되어도 된다. 또한, 기계식 스위치류(6) 대신에, 또는 추가하여, 기계식 스위치류(6)와 동일한 단독의 기능을 갖는 다른 형식의 스위치(가동 요소를 갖는 접점식이 아닌 형식의 스위치)가 설치되어도 된다. 다른 형식의 스위치는, 예를 들어 감압식 필름이나 정전 검출 터치식의 스위치여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모드 전환 입력의 일례인 소정의 터치 입력은 정의 부위에 대응지어진 조작 입력을 포함하지 않는다. 그러나, 독립 표시 모드 및 미러 표시 모드 화상의 어느 것 또는 양쪽은 상술한 소정의 정의 부위에 더하여, 모드 전환용의 정의 부위(상술한 소정 기능이 아닌 기능으로서, 표시 모드의 전환 기능이 대응지어진 부위)를 가져도 된다. 이 경우, 모드 전환용의 정의 부위에는 모드 전환용의 조작 입력(예를 들어, 탭 등)이 대응지어진다. 이 경우, 모드 전환 입력은 모드 전환용의 정의 부위에 대응지어진 모드 전환용의 조작 입력을 포함하게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미러 표시 모드 화상이 모드 전환용의 정의 부위를 갖는 경우, 표시 제어부(110)는 멀티미디어 장치(2)로부터의 영상 신호에 기초하는 화상에, 모드 전환용의 정의 부위에 관한 조작 항목 표시를 중첩함으로써, 모드 전환용의 정의 부위에 관한 조작 항목 표시를 갖는 미러 표시 모드 화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 화상은 모드 전환용의 정의 부위에 관한 조작 항목 표시를 갖지 않지만, 이러한 상위(상부 화상과 미러 표시 모드 화상의 상위)는, 상술한 바와 같은 「외관이 동일」한 범위 내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일례로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천이 조건이 사용되지만, 천이 조건은 적절히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건 (11)은 생략되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멀티미디어 장치(2)와 제어 유닛(10)이 개별로 설치되고, 표시 제어부(110) 및 입력 접수 처리부(114)는 제어 유닛(10)에 의해 실현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하는 GUI 정보 중 미러 표시 모드 화상에 관한 정보는 상부 화상에 관한 정보로서 멀티미디어 장치(2)측에 기억되고, 입력 접수 처리부(114)의 일부의 기능인 미러 표시 모드 화상에 관한 특정 기능 처리는 멀티미디어 장치(2)에 있어서의 컴퓨터의 처리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이 경우, 미러 표시 모드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장치(2)에 있어서의 컴퓨터는 터치 패널(5)로부터의 검출 신호와, GUI 정보 중 상부 화상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미러 표시 모드 화상에 관한 특정 기능 처리를 실행한다.

Claims (10)

  1. 차량용 조작 장치이며,
    터치 패널(5)을 갖는 제1 표시 장치(4), 상기 제1 표시 장치(4)보다도 높고, 또한 상기 제1 표시 장치(4)와 비교하여 상기 차량의 운전석으로부터 떨어져 배치되는 제2 표시 장치(3), 제2 표시 장치(3)에 제2 화상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제2 표시 제어부(2), 상기 제1 표시 장치(4)에 제1 화상을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유저로부터의 모드 전환 입력에 기초하여, 제1 모드와 제2 모드의 사이에서 전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모드일 때, 상기 제2 표시 장치(3)에 출력되어 있는 상기 제2 화상으로부터 독립된 제1 모드 화상을, 상기 제1 화상으로서 출력하고, 상기 제2 화상과 동일한 외관을 갖는 제2 모드 화상을, 상기 제1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제1 표시 제어부(110) 및 상기 제1 표시 제어부(110)가 상기 제1 모드일 때는, 상기 터치 패널(5)에 있어서의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모드 화상에 관한 제1 소정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제1 표시 제어부(110)가 상기 제2 모드일 때는, 상기 터치 패널(5)에 있어서의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화상 또는 상기 제2 모드 화상에 관한 제2 소정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입력 접수 처리부(114)를 포함하는 차량용 조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전환 입력은 상기 터치 패널(5)에 있어서의 소정 입력을 포함하는 차량용 조작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제어부(110)는, 상기 제1 모드 화상 및 상기 제2 모드 화상 중 한쪽이 다른 쪽에 부분적으로 숨겨지는 복합 화상을, 복수의 프레임 주기에 걸쳐서 연속해서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애니메이션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애니메이션 처리는, 상기 제1 모드와 상기 제2 모드 사이에서 전환되는 것에 선행하여 실행되는 제1 애니메이션 처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표시 제어부(110)는 상기 제1 애니메이션 처리가 개시된 시점으로부터 시간의 경과에 수반하여, (1) 상기 제1 표시 제어부(110)가 상기 제1 모드와 상기 제2 모드 사이에서 전환되기 전에 상기 제1 모드 화상이 표시되어 있던 경우는, 상기 제1 모드 화상의 표시 범위를 점차 저감시키면서 상기 제2 모드 화상을 점차 표시시키면서, 상기 복합 화상을 상기 복수의 프레임 주기에 걸쳐서 변화시키고 나서, 상기 제2 모드 화상을 출력하거나, 또는 (2) 상기 제1 표시 제어부(110)가 상기 제1 모드와 상기 제2 모드 사이에서 전환되기 전에 상기 제2 모드 화상이 표시되어 있던 경우는, 상기 제2 모드 화상의 표시 범위를 점차 저감시키면서 상기 제1 모드 화상을 점차 표시시키면서, 상기 복합 화상을 상기 복수의 프레임 주기에 걸쳐서 변화시키고 나서, 상기 제1 모드 화상을 출력하는 것의 어느 한쪽을 실현하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조작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입력은 제1 방향으로의 손가락의 움직임을 수반하는 제1 입력과, 상기 제1 방향과는 역방향으로의 손가락의 움직임을 수반하는 제2 입력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입력은 상기 제1 모드로부터 상기 제2 모드로의 전환을 발생시키고, 상기 제2 입력은 상기 제2 모드로부터 상기 제1 모드로의 전환을 발생시키고,
    상기 제1 표시 제어부(110)는 복합 화상을 복수의 프레임 주기에 걸쳐서 연속해서 출력하는 애니메이션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합 화상은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는 경계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모드 화상의 일부를 갖고 또한 상기 경계로부터 상기 역방향으로 상기 제2 모드 화상의 일부를 갖고, 상기 경계는 상기 복합 화상 상에 존재하고,
    상기 애니메이션 처리는 상기 터치 패널(5)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역방향으로의 손가락의 움직임에 연동시키고, 상기 복합 화상에 있어서의 상기 경계가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형태에서, 상기 복합 화상을 상기 복수의 프레임 주기에 걸쳐서 변화시키는 제2 애니메이션 처리를 포함하는 차량용 조작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애니메이션 처리는 상기 제1 모드 화상이 상기 제2 모드 화상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도어 또는 셔터와 같은 제1 형태가 되어 상기 제1 표시 장치(4)의 화면 내 또는 상기 화면 외로 병진 이동하는 도어 모델 또는 셔터 모델, 또는 상기 제2 모드 화상이 상기 제1 모드 화상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롤 커튼과 같은 제2 형태가 되어 상기 화면 내에 전개 또는 상기 화면 외에 감아 올려지는 롤 커튼 모델에 기초하는 차량용 조작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제어부(110)는 상기 제1 표시 제어부(110)가 제2 모드이고, 또한 상기 제2 모드 화상에 대하여 소정 시간 이상 상기 조작 입력이 행해지지 않은 상태일 때, 상기 제2 모드로부터 상기 제1 모드로 전환되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조작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제어부(110)는 상기 제2 표시 제어부(2)가 생성하는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모드 화상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조작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 장치(3)는 터치 패널을 갖지 않는 차량용 조작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차량의 차량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상방향 또는 하방향인 차량용 조작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상은 내비게이션 화상을 포함하는 차량용 조작 장치.
KR1020170123252A 2016-09-30 2017-09-25 차량용 조작 장치 KR1020766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95103 2016-09-30
JP2016195103A JP6394669B2 (ja) 2016-09-30 2016-09-30 車両用操作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6556A true KR20180036556A (ko) 2018-04-09
KR102076681B1 KR102076681B1 (ko) 2020-02-12

Family

ID=60001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3252A KR102076681B1 (ko) 2016-09-30 2017-09-25 차량용 조작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671205B2 (ko)
EP (1) EP3305577B1 (ko)
JP (1) JP6394669B2 (ko)
KR (1) KR102076681B1 (ko)
CN (1) CN107878200B (ko)
BR (1) BR102017020310A2 (ko)
RU (1) RU2677842C1 (ko)
SG (1) SG10201708031Y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289B1 (ko) * 2019-05-31 2020-11-1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율주행 차량의 대형 디스플레이 인터랙션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092B1 (ko) * 2017-12-11 2019-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JP6778735B2 (ja) * 2018-12-26 2020-11-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0124953A (ja) * 2019-02-01 2020-08-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室内構造
CN112540739B (zh) * 2019-09-21 2023-11-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投屏方法及系统
NL2026146B1 (en) * 2020-07-27 2022-03-29 Atlas Technologies Holding Bv Vehicle cabin unit and vehicl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0979A (ja) * 2000-03-31 2001-10-10 Kenwood Corp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20090060826A (ko) * 2007-12-10 2009-06-15 (주)엠앤소프트 멀티 디스플레이 네비게이션 구현방법
US20150268840A1 (en) * 2014-03-20 2015-09-24 Nokia Corporation Determination of a program interaction profile based at least in part on a display region
KR20150135780A (ko) * 2013-03-22 2015-12-03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운송수단용 정보 재생 시스템, 및 운송수단의 사용자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
WO2016102376A1 (de) * 2014-12-22 2016-06-30 Volkswagen Ag Fortbewegungsmittel, anwenderschnittstelle und verfahren zur übergreifenden anzeige eines anzeigeinhaltes auf zwei anzeigeeinrichtungen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23307A (en) * 1997-01-27 1999-07-13 Microsoft Corporation Logical monitor configuration in a multiple monitor environment
JP2007076383A (ja) * 2005-09-09 2007-03-29 Mazda Motor Corp 車両用情報表示装置
US20090256813A1 (en) * 2008-04-09 2009-10-15 Amici Alan J Vehicle moving-image interface
JP5534161B2 (ja) * 2009-12-07 2014-06-25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
US20120013548A1 (en) * 2010-07-19 2012-01-19 Honda Motor Co., Ltd. Human-Machine Interface System
US8587546B1 (en) * 2010-10-09 2013-11-19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Mutli-panel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5875605B2 (ja) * 2012-01-12 2016-03-02 三菱電機株式会社 地図表示装置
JP2013171312A (ja) * 2012-02-17 2013-09-02 Denso Corp 映像音声制御装置
US9632648B2 (en) * 2012-07-06 2017-04-2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image display device and user interface provis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936075B1 (ko) * 2012-09-21 2019-01-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데이터 표시 방법 및 상기 장치들
JP6179253B2 (ja) * 2013-08-02 2017-08-16 株式会社デンソー 入力装置
US9542029B2 (en) * 2013-09-30 2017-01-10 Fca Us Llc Vehicle multi-mode vertical-split-screen display
US9933986B2 (en) * 2013-11-29 2018-04-03 Lenovo (Beijing) Co., Ltd. Method for switching display mod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JP6297353B2 (ja) * 2014-02-17 2018-03-20 株式会社デンソーテン 通信システム、携帯通信端末、電子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277786B2 (ja) * 2014-03-11 2018-02-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操作装置
JP6202574B2 (ja) * 2014-03-26 2017-09-27 アルパイン株式会社 電子システム、リスト表示方法およびリスト表示プログラム
JP6218665B2 (ja) * 2014-04-14 2017-10-25 三菱電機株式会社 情報表示制御装置および情報表示システム
JP6221961B2 (ja) 2014-06-18 2017-11-01 株式会社デンソー 2個のディスプレイを制御するディスプレイ制御装置およびディスプレイ制御装置用のプログラム
US10353658B2 (en) * 2016-09-22 2019-07-16 Toyota Motor Sales, U.S.A., Inc. Human machine interface (HMI) control unit for multiple vehicle display devices
JP6614087B2 (ja) * 2016-10-06 2019-12-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操作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0979A (ja) * 2000-03-31 2001-10-10 Kenwood Corp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20090060826A (ko) * 2007-12-10 2009-06-15 (주)엠앤소프트 멀티 디스플레이 네비게이션 구현방법
KR20150135780A (ko) * 2013-03-22 2015-12-03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운송수단용 정보 재생 시스템, 및 운송수단의 사용자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
US20150268840A1 (en) * 2014-03-20 2015-09-24 Nokia Corporation Determination of a program interaction profile based at least in part on a display region
WO2016102376A1 (de) * 2014-12-22 2016-06-30 Volkswagen Ag Fortbewegungsmittel, anwenderschnittstelle und verfahren zur übergreifenden anzeige eines anzeigeinhaltes auf zwei anzeigeeinrichtung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289B1 (ko) * 2019-05-31 2020-11-1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율주행 차량의 대형 디스플레이 인터랙션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677842C1 (ru) 2019-01-21
EP3305577B1 (en) 2019-10-23
US10671205B2 (en) 2020-06-02
BR102017020310A2 (pt) 2018-05-02
EP3305577A1 (en) 2018-04-11
KR102076681B1 (ko) 2020-02-12
SG10201708031YA (en) 2018-04-27
JP6394669B2 (ja) 2018-09-26
CN107878200A (zh) 2018-04-06
JP2018058388A (ja) 2018-04-12
CN107878200B (zh) 2020-07-07
US20180095585A1 (en) 2018-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6681B1 (ko) 차량용 조작 장치
CN110045825B (zh) 用于车辆交互控制的手势识别系统
US9103691B2 (en) Multimode user interface of a driver assistance system for inputting and presentation of information
EP301856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10346118B2 (en) On-vehicle operation device
EP3276946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displaying an operational state of a user&#39;s input
JP2011118857A (ja) 車両のマルチメディアシステム操作用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
CN106415469B (zh) 用于使显示单元上的视图适配的方法和用户界面
US20110169750A1 (en) Multi-touchpad multi-touch user interface
US10618406B2 (en) User interface apparatus,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vehicle
KR20150062317A (ko) 자동차의 통합 멀티미디어 장치
WO2014171171A1 (ja) 車両用電子装置
KR101535032B1 (ko) 차량 인터페이스 확장 방법
JP5750687B2 (ja) カーナビ用ジェスチャ入力装置
US20160231977A1 (en) Display device for vehicle
CN109890646A (zh) 在车辆中的图形用户界面的装置和用于提供在车辆中的图形用户界面的方法
CN111231860A (zh) 用于车辆的操作模块、操作方法、操作系统及存储介质
JP2018118563A (ja) 車両用入力装置、及び、車両用入力装置の制御方法
KR20160140033A (ko) 차량용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TW201926050A (zh) 車輛多螢幕控制系統及車輛多螢幕控制方法
JP2018128968A (ja) 車両用入力装置、及び、車両用入力装置の制御方法
JP2013196457A (ja) 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表示プログラム
CN111078068A (zh) 一种车载控制方法及系统、车载控制器
US10452225B2 (en) Vehicular input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vehicular input device
KR20180127042A (ko) 운전자 통합 정보 시스템의 퀵메뉴 제공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