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7042A - 운전자 통합 정보 시스템의 퀵메뉴 제공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운전자 통합 정보 시스템의 퀵메뉴 제공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7042A
KR20180127042A KR1020170062343A KR20170062343A KR20180127042A KR 20180127042 A KR20180127042 A KR 20180127042A KR 1020170062343 A KR1020170062343 A KR 1020170062343A KR 20170062343 A KR20170062343 A KR 20170062343A KR 20180127042 A KR20180127042 A KR 20180127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
menu
touch screen
drag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2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선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투인터랙티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투인터랙티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투인터랙티브
Priority to KR1020170062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27042A/ko
Publication of KR20180127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70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자 통합 정보 시스템의 퀵메뉴 제공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터치 선택을 검출하는 터치스크린(10)과, 상기 터치스크린(10)을 통해 다중 탭이 입력되면, 터치스크린의 현재 표시를 비활성화함과 아울러 퀵메뉴를 활성화하여 표시하고, 상기 다중 탭의 위치에서 특정한 방향으로의 드래그가 검출되면 해당 방향에 설정된 메뉴의 설정값을 조정하는 제어명령을 출력하는 제어부(2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운전자 통합 정보 시스템의 퀵메뉴 제공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quick menu of driver information system}
본 발명은 운전자 통합 정보 시스템의 퀵메뉴 제공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용이하게 필요한 기능을 호출하여 조작할 수 있는 퀵메뉴 제공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출시되는 일부 자동차에는 하나의 화면에 내비게이션, 영상, 차량의 상태 등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는 운전자 통합 정보 시스템(Driver Information System)을 제공하고 있다.
운전자 통합 정보 시스템은 필요한 정보나 멀티미디어의 표시뿐만 아니라 공조기의 조작, 오디오의 조작 등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차량의 기기들을 제어하는 역할도 한다.
이처럼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는 운전자 통합 정보 시스템은 운전자가 운전중 조작을 할 때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최대한 간소화할 필요가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간소화는 자동차에 부가된 버튼들을 단순한 조그 다이얼(jog-dial)로 대체하는 등 하드웨어 자체의 변화가 있을 수 있으며, 화면상에 메뉴를 어떻게 배치하여 운전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는지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포함한다.
등록특허 10-1664038호(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 등록일자 2016년 10월 4일)에는 회전하는 메뉴부를 포함하여, 차량에 포함된 장치에 관한 메뉴 모들을 제공하고, 회전 휠들을 사용하여 선택된 메뉴를 조작할 수 있는 하드웨어의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위의 등록특허는 종래의 조그 다이얼에 대응하는 하드웨어의 구성이다.
또한, 공개특허 10-2016-0051360호(차량용 제스처 인식 장치, 공개일자 2016년 5월 11일)에는 포인터와 근거리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웨어러블장치, 특정 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 카메라의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포인터의 이동 방향을 판단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여, 제스처를 통해 운전자가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방법들은 특별한 하드웨어의 구성이 필요하기 때문에 현재 제공된 운전자 통합 정보 시스템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위의 공개특허는 웨어러블 기기 등을 착용한 상태에서만 작동하기 때문에 범용성이 저하되며, 카메라의 등의 부가적인 하드웨어가 필요하기 때문에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별도의 하드웨어를 추가하지 않고도 메뉴의 선택 및 조작이 가능한 운전자 통합 정보 시스템의 퀵메뉴 제공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 운전자 통합 정보 시스템의 퀵메뉴 제공장치는 설정된 화면을 표시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터치 선택을 검출하는 터치스크린(10)과, 상기 터치스크린(10)을 통해 다중 탭이 입력되면, 터치스크린의 현재 표시를 비활성화함과 아울러 퀵메뉴를 활성화하여 표시하고, 상기 다중 탭의 위치에서 특정한 방향으로의 드래그가 검출되면 해당 방향에 설정된 메뉴의 설정값을 조정하는 제어명령을 출력하는 제어부(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20)는 드래그의 길이에 따라 메뉴의 설정값을 조정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다중 탭의 위치에서 드래그가 검출되면, 해당 메뉴의 설정을 상기 터치스크린(10)에 표시되는 퀵메뉴의 설정표시부(16)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중 탭은 이중 탭, 삼중 탭 또는 사중 탭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이중 탭, 삼중 탭 또는 사중 탭 각각에 대하여 서로 다른 메뉴를 제공하는 퀵메뉴를 활성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운전자 통합 정보 시스템의 퀵메뉴 제공방법은, a) 제어부에서 터치스크린을 통해 다중 탭 입력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b) 다중 탭 입력이 있으면, 현재 터치스크린의 표시상태를 비활성화하고, 퀵메뉴를 활성화하여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와, c) 다중 탭 위치에서 드래그가 있는지 확인하여, 드래그의 방향에 따라 설정된 메뉴의 설정값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c) 단계에서 제어부는 드래그의 길이에 따라 메뉴의 설정값을 조정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다중 탭의 위치에서 드래그가 검출되면, 해당 메뉴의 설정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퀵메뉴의 설정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중 탭은 이중 탭, 삼중 탭 또는 사중 탭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중 탭, 삼중 탭, 사중 탭 각각에 대하여 서로 다른 메뉴를 포함하는 퀵메뉴를 활성화할 수 있다.
본 발명 운전자 통합 정보 시스템의 퀵메뉴 제공장치 및 방법은, 디스플레이 화면의 어디를 터치하더라도 퀵메뉴가 실행되도록 하며, 디스플레이 접촉 상태에서 이동 방향에 따라 특정한 메뉴가 조작되도록 할 수 있어, 소프트웨어의 변경에 의해 현재 사용되는 운전자 통합 정보 시스템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별도의 하드웨어를 추가적으로 사용할 필요가 없이 다양한 메뉴의 조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통합 정보 시스템의 퀵메뉴 제공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터치스크린의 표시예이다.
도 3은 퀵메뉴가 표시된 터치스크린(10)에 표시된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4는 이중 탭 위치(11)에서 손가락을 위쪽으로 드래그할 때의 퀵메뉴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5는 이중 탭 위치(11)에서 손가락을 아래쪽으로 드래그할 때의 퀵메뉴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6은 이중 탭 위치(11)에서 손가락을 왼쪽으로 드래그할 때의 퀵메뉴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7은 이중 탭 위치(11)에서 손가락을 오른쪽으로 드래그할 때의 퀵메뉴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퀵메뉴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9와 도 10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퀵메뉴 실행 방법을 보인 화면예이다.
이하, 본 발명 운전자 통합 정보 시스템의 퀵메뉴 제공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아래에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 예는 본 발명을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며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영역 및/또는 부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특정 순서나 상하, 또는 우열을 의미하지 않으며, 하나의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다른 부재, 영역 또는 부위와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 부재, 영역 또는 부위는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지칭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통합 정보 시스템의 퀵메뉴 제공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에서 터치스크린(10)의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각각 참조하면 차량의 정보, 내비게이션 정보 및 오디오 정보 등 다양한 정보가 표시되며, 운전자가 손가락을 탭(tap)하여 특정 메뉴를 선택하거나 두 영역을 터치하는 이중 탭(dual tap)을 통해 퀵메뉴를 활성화 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스크린(10)과, 상기 터치스크린(10)을 통해 이중 탭이 감지되면 퀵메뉴를 상기 터치스크린(10)에 표시하고, 회전 방향에 따라 제어명령을 출력하는 제어부(20)와,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공조기를 제어하는 공조제어기(50)와,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오디오 볼륨을 조정하는 오디오제어기(60)를 포함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통합 정보 시스템의 퀵메뉴 제공장치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터치스크린(10), 제어부(20), 메모리(40), GPS모듈부(30), 내비게이션 모듈부(70), 차량센서부(80), 공조제어기(50), 오디오제어기(60)의 구성 자체는 알려진 운전자 통합 정보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과 유사하다.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10)을 통해 운전자를 비롯한 사용자들의 입력 방식에 따라 제어부(20)는 터치스크린(10) 상에 표시되는 메뉴를 실행하거나, 퀵메뉴를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도 2의 터치스크린(10) 화면의 예와 같이, 제어부(20)는 터치스크린(10)에 GPS모듈부(30)에서 제공하는 자동차의 현재위치, 내비게이션 모듈부(70)에서 제공하는 지도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도면에는 생략되었으나 차량센서부(80)에서 제공하는 도어의 개폐상태, 타이어의 공기압 등을 표시할 수 있으며, 공조제어기(50)에서 제공하는 설정온도, 송풍모드 등을 표시할 수 있으며, 오디오제어기(60)의 정보인 라디오 모드, 외부입력 모드 등의 표시와 나아가 현재 재생되는 오디오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표시 상태에서 운전자는 직접 터치스크린(10)을 탭하여 해당 메뉴를 실행하고, 설정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10) 화면상에 표시되는 라디오를 선택하고, 채널을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운전자의 일반적인 선택 동작과는 구분되게 두 손가락으로 터치스크린(10)을 동시에 터치하는 이중 탭 동작을 하면, 제어부(20)는 퀵메뉴를 표시한다.
이중 탭 동작시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이 터치스크린(10)에 표시되는 화면의 특정한 메뉴를 탭할 수 있으나, 제어부(20)는 이중 탭인 경우 특정한 메뉴를 실행하지 않고 퀵메뉴를 표시한다.
즉, 제어부(20)는 이중 탭 동작이 검출되면 터치스크린(10)에 표시되는 화면을 비활성화시키고, 퀵메뉴를 활성화하여 터치스크린(10)에 표시한다.
도 3은 퀵메뉴가 표시된 터치스크린(10)에 표시된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퀵메뉴는 사용자의 이중 탭 위치(11)를 중심으로 상하좌우로 화살표를 표시할 수 있다. 상향 화살표(12)와 하향 화살표(13)는 각각 온도를 높이고, 낮추는 메뉴로 정할 수 있다. 또한, 좌향 화살표(14)와 우향 화살표(15)는 각각 오디오의 볼륨을 감소, 증가시키는 메뉴로 정할 수 있다.
이러한 설정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변경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상기 퀵메뉴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이중 탭 위치에서 사용자의 두 손가락이 이동하는 방향과 정도에 따라 메뉴의 선택과 제어량을 검출하게 된다.
도 4는 이중 탭 위치(11)에서 손가락을 위쪽으로 드래그할 때의 퀵메뉴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이중 탭 위치(11)에서 운전자를 포함하는 사용자가 상향으로 드래그하면, 이를 감지한 제어부(20)는 상향 화살표(12)가 나타내는 온도의 증가로 판단한다.
상기 드래그 거리는 온도 조정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어부(20)에서 인식되며, 제어부(20)는 현재 드래그된 거리에 의해 조정되는 온도를 퀵메뉴의 설정표시부(16)에 표시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스크린(10)으로부터 떨어지면, 제어부(20)는 온도 조정의 입력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설정표시부(16)에 표시되었던 온도로 자동차의 실내 온도가 설정될 수 있도록 공조제어기(50)를 제어한다.
도 5는 이중 탭 위치(11)에서 손가락을 아래쪽으로 드래그할 때의 퀵메뉴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중 탭 위치(11)에서 하향 드래그가 감지되면 제어부(20)는 그 하향 드래그 길이에 부합하는 온도를 설정표시부(16)에 표시한다. 역시 드래그가 완료되면 제어부(20)는 공조제어기(50)를 제어한다.
도 6은 이중 탭 위치(11)에서 손가락을 좌측으로 드래그할 때의 퀵메뉴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중 탭 위치(11)에서 좌측방향으로의 드래그가 감지되면 제어부(20)는 오디오 볼륨을 줄이는 동작으로 인식한다. 이때 설정표시부(16)에 조정된 오디오 볼륨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설정표시부(16)에 표시되는 볼륨의 크기는 숫자를 사용할 수 있으며, 약속된 그래픽을 사용할 수 있다.
좌측방향으로의 드래그가 종료되면 설정표시부(16)에 표시된 크기로 오디오 볼륨을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20)는 오디오제어기(60)를 제어하여 오디오 볼륨을 운전자의 의도에 맞게 줄일 수 있다.
도 7은 이중 탭 위치(11)에서 손가락을 우측으로 드래그할 때의 퀵메뉴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중 탭 위치(11)에서 우측방향으로의 드래그가 감지되면 제어부(20)는 오디오 볼륨을 높이는 동작으로 인식한다.
이때의 볼륨은 설정표시부(16)에 표시되며, 드래그가 종료되면 제어부(20)는 오디오제어기(60)에 제어명령을 송신하여 오디오 볼륨을 높이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운전자를 포함하는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0)을 이중 탭하는 동작만으로 퀵메뉴를 실행시킬 수 있으며, 터치 상태에서 드래그의 방향에 따라 설정된 메뉴의 값을 조절할 수 있다.
위의 실시예들에서는 퀵메뉴를 이용하여 공조기와 오디오 볼륨을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필요에 따라서 다양한 메뉴를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위의 설명에서 드래그의 방향을 상향, 하향, 좌측방향, 우측방향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방향이 지면에 대하여 정확하게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의 드래그가 아닌 지면에 대하여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에서 소정의 각도범위 내에 있으면 제어부(20)에서는 해당 방향으로 드래그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위에서는 4가지 방향 각각에 대하여 메뉴가 설정되어 있음을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더 많은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퀵메뉴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중 탭 위치(11)의 중심점(17)에서 소정의 각도로 분할된 분할영역(a,b,c,d,e,f,g,h)을 고려할 수 있으며, 드래그의 방향이 상향, 하향, 좌측방향, 우측방향 뿐만 아니라 대각선 방향인 좌상방향, 좌하방향, 우상방향, 우하방향이 될 수 있다.
제어부(20)는 각 분할영역(a,b,c,d,e,f,g,h)으로의 드래그를 감지하여 설정된 메뉴를 조정할 수 있으며, 온도와 오디오 볼륨뿐만 아니라 공기순환모드나 차량의 실내 조명의 온오프등 여러가지 메뉴를 등록하여 편리하게 제어가 가능하다.
도 9와 도 10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퀵메뉴 실행 방법을 보인 화면예이다.
위에서는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0)을 이중 탭하는 경우, 제어부(20)에서 현재 터치스크린(10)에 표시되는 화면을 비활성화하고, 퀵메뉴를 활성화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도 9와 도 10은 각각 이중 탭이 아닌 세 손가락과 네 손가락으로 터치스크린(10)을 탭하여 퀵메뉴가 활성화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다중 탭을 사용하여 현재 표시되는 메뉴의 선택이 아닌 퀵메뉴가 실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20)는 터치스크린(10)에 다중 탭이 인식되면 앞서 상세히 설명한 퀵메뉴를 활성화하여 터치스크린(10)에 표시한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20)는 이중 탭, 삼중 탭(triple tap), 사중 탭(quadruple tap) 각각에 대하여 서로 다른 메뉴를 포함하는 퀵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이중 탭의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온도와 오디오 볼륨을 조정할 수 있는 퀵메뉴를 활성화하고, 삼중 탭의 경우 차량의 실내 조명과 전화 연결 또는 차단, 사중 탭의 경우 전조등의 온오프, 안개등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는 등의 다양한 퀵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터치스크린 11:이중 탭 위치
12:상향 화살표 13:하향 화살표
14:좌향 화살표 15:우향 화살표
16:설정표시부 17:중심점
20:제어부 30:GPS모듈부
40:메모리 50:공조제어기
60:오디오제어기 70:내비게이션 모듈부
80:차량센서부

Claims (10)

  1. 설정된 화면을 표시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터치 선택을 검출하는 터치스크린(10); 및
    상기 터치스크린(10)을 통해 다중 탭이 입력되면, 터치스크린의 현재 표시를 비활성화함과 아울러 퀵메뉴를 활성화하여 표시하고,
    상기 다중 탭의 위치에서 특정한 방향으로의 드래그가 검출되면 해당 방향에 설정된 메뉴의 설정값을 조정하는 제어명령을 출력하는 제어부(20)를 포함하는 운전자 통합 정보 시스템의 퀵메뉴 제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0)는,
    드래그의 길이에 따라 메뉴의 설정값을 조정 정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통합 정보 시스템의 퀵메뉴 제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다중 탭의 위치에서 드래그가 검출되면, 해당 메뉴의 설정을 상기 터치스크린(10)에 표시되는 퀵메뉴의 설정표시부(16)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통합 정보 시스템의 퀵메뉴 제공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탭은,
    이중 탭, 삼중 탭 또는 사중 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통합 정보 시스템의 퀵메뉴 제공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이중 탭, 삼중 탭, 사중 탭 각각의 입력에 대하여 서로 다른 메뉴를 포함하는 퀵메뉴를 활성화시켜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통합 정보 시스템의 퀵메뉴 제공장치.
  6. a) 제어부에서 터치스크린을 통해 다중 탭 입력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b) 다중 탭 입력이 있으면, 현재 터치스크린의 표시상태를 비활성화하고, 퀵메뉴를 활성화하여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 및
    c) 다중 탭 위치에서 드래그가 있는지 확인하여, 드래그의 방향에 따라 설정된 메뉴의 설정값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운전자 통합 정보 시스템의 퀵메뉴 제공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제어부는 드래그의 길이에 따라 메뉴의 설정값을 조정 정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통합 정보 시스템의 퀵메뉴 제공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다중 탭의 위치에서 드래그가 검출되면, 해당 메뉴의 설정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퀵메뉴의 설정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통합 정보 시스템의 퀵메뉴 제공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탭은,
    이중 탭, 삼중 탭 또는 사중 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통합 정보 시스템의 퀵메뉴 제공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중 탭, 삼중 탭, 사중 탭 각각에 대하여 서로 다른 메뉴를 포함하는 퀵메뉴를 활성화시켜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통합 정보 시스템의 퀵메뉴 제공방법.
KR1020170062343A 2017-05-19 2017-05-19 운전자 통합 정보 시스템의 퀵메뉴 제공장치 및 방법 KR201801270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343A KR20180127042A (ko) 2017-05-19 2017-05-19 운전자 통합 정보 시스템의 퀵메뉴 제공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343A KR20180127042A (ko) 2017-05-19 2017-05-19 운전자 통합 정보 시스템의 퀵메뉴 제공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7042A true KR20180127042A (ko) 2018-11-28

Family

ID=64561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2343A KR20180127042A (ko) 2017-05-19 2017-05-19 운전자 통합 정보 시스템의 퀵메뉴 제공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2704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81186B2 (en) 2021-03-30 2024-05-14 Honda Motor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responsive climate control interfa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81186B2 (en) 2021-03-30 2024-05-14 Honda Motor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responsive climate control interfa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19155B2 (en) Touch control panel for vehicle control system
US10618406B2 (en) User interface apparatus,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vehicle
US9070209B2 (en) Moving control console
KR101664037B1 (ko) 차량용 제어 패널
US9933885B2 (en) Motor vehicle operating device controlling motor vehicle applications
US20140095029A1 (en) Sunroof Control Interface
KR101628090B1 (ko) 집중 조작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20160231977A1 (en) Display device for vehicle
US2022015508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oint of interest user interaction
US10216270B2 (en) Sigh line input apparatus
JP2019192124A (ja) スイッチ装置および制御装置
KR20180127042A (ko) 운전자 통합 정보 시스템의 퀵메뉴 제공장치 및 방법
US1163056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US11230189B2 (en) System and method for application interaction on an elongated display screen
KR20180127049A (ko) 운전자 통합 정보 시스템의 퀵메뉴 제공장치 및 방법
US1159298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EP4350494A1 (en) Equipment control device, equipment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10452225B2 (en) Vehicular input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vehicular input device
US11981186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sponsive climate control interface
EP4349622A1 (en) Air-conditioning control device and air-conditioning control method
KR20160063451A (ko) 차량용 화면 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6783087A (zh) 用于提高在操作设备期间的安全性的方法
US20200310565A1 (en) System and method for touchpad display interaction
JP6504344B2 (ja) 車両用空調の操作入力装置
KR20160025772A (ko) 입력 방식 변경에 따라 유저 인터페이스를 전환하는 차량용 영상 표시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