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6070A - 폴리에스터 원착사를 사용한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에스터 원착사를 사용한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6070A
KR20180036070A KR1020160126180A KR20160126180A KR20180036070A KR 20180036070 A KR20180036070 A KR 20180036070A KR 1020160126180 A KR1020160126180 A KR 1020160126180A KR 20160126180 A KR20160126180 A KR 20160126180A KR 20180036070 A KR20180036070 A KR 20180036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polyester
warp
fabric
wea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6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4841B1 (ko
Inventor
김주영
Original Assignee
프라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라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프라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6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4841B1/ko
Publication of KR20180036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6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03D15/0033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0/00Physical treatment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during manufacture, i.e. during a continuous production process before the filaments have been collected
    • D01D10/02Heat treatmen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88Cooling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leaving the spinnerett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04Pigment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09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for making electroconductive or anti-static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01F1/103Agents inhibiting growth of microorganism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1Yarns or threads with antistatic, conductive or radiation-shield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9Yarns or threads with antibacterial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5/0005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3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antistatic; electrically conductive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colou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스터 원착사를 사용한 기능성 원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폴리에스터(polyester) 칩 90~95 중량%와, 컬러 마스터 배치(master batch) 3~5 중량%와, 항균 내지 소취 기능을 보유한 기능성 마스터 배치 2~5 중량%의 원료를 투입하고, 대상 원료를 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용융시켜 방사구를 통해 압출 및 냉각 실시함으로써 획득되는 폴리에스터 원착사 형성단계; 85데니아(Denier)의 폴리(Poly)로 이루어진 승폭 50inch의 브라이트사에 180℃의 열을 가함으로써 50데니아의 융착사를 형성한 후, 정경하여 승폭 45inch에 밀도 4800본의 경사 본수를 갖게 하는 경사제직단계; 경사제직단계에서 제직이 이루어지는 방향을 기준으로 우측에서 좌측으로 연사가 이루어지되, 폴리에스터 원착사 형성단계에서 획득된 원착사 3가닥을 연사함으로써 실시되는 위사제직단계; 경사제직단계와 위사제직단계를 거쳐 형성된 원단을 130℃의 온도가 발생하는 레피드 기계로 40분간 염색하는 원단염색단계; 염색 완료된 원단을 190~200℃의 열로 가하면서 약수지 및 대전방지제를 첨가하는 가공단계;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폴리에스터 원착사를 사용한 기능성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Dope dyed yarn}
본 발명은 폴리에스터 원착사를 사용한 기능성 원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사상을 개시한 것으로, 염료를 사용한 염색 내지 가공을 통한 생산 방식이 아닌 안료에 의한 방사공정으로 제공되므로 심착성 및 견뢰도가 우수하고 이염도가 낮을 뿐 아니라 기능성 소재에 기인한 항산화 효능이 극대화될 수 있으며, 아울러 원착사와 융착사를 혼용함에 따라 해당 색감의 보다 적극적인 표출은 물론 신축 과정에서 또 다른 색상의 구현이 가능하고, 실크 안감과 같은 재질을 적극 유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폴리에스터 원착사를 사용한 기능성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방법으로 중합 반응시 또는 중합 반응으로부터 섬유형성까지의 단계에서 카본 블랙을 첨가하여 얻어지는 폴리에스터 폴리머 및 그로부터 제조된 직물은 흑색염료로 후 염색한 것과 비교하여 적색색조를 띠어 염색성이 불충분하였다.
더구나 중합 반응시 카본 블랙의 응집 또는 카본 블랙의 불량한 분산성으로 인하여 응집성이 큰 카본 블랙 입자가 폴리머 내 미분산되어서 조대 입자가 형성되는바, 방사단계에서 여과기의 막힘이나 필라멘트 파열 등을 일으켜 방사성이 좋지 않고, 방사시 방사압력이 급격히 상승하거나 연신 작업시 사절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폴리머와의 친화력이 적어 섬유를 제조한 후에도 강도나 신도가 떨어진다.
일본국 특공소 49-87호 및 49-792호에는 적색색조를 제거하고, 응집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리프탈로시아닌그린의 배합사용이 개시되어 있고, 일본국 특공소 35-835호 및 35-78호에는 구리프탈로시아닌블루의 배합사용이 개시되어 있지만, 이들 개시된 방법으로 제조된 폴리에스터 섬유도 눈에 보일 정도의 적색 색조를 막지는 못하였다.
또한, 이의 해결방법으로 일본국 특개소 60-45689호 및 미국특허 제3,992,218호에 탁색농축물을 사용한 도우프 염색법이 개시되어 있지만, 액체 착색제가 카본 블랙의 함량을 감소시키고, 이로 인해 폴리에스터 섬유 내의 카본 블랙 함량이 저하되는 등 또 다른 결점이 있었다.
결과적으로 염색성이 좋으면서 항균 작용 등의 각종 기능성이 보유된 보다 개선된 형태의 원착사 및 이로 인한 기능성 원단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원단을 가공할 때 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는 편직방식과 제직방식이 있으며, 이중 편직방식은 한 올 또는 그 이상의 올이 지정된 게이지의 편직기에서 연속적으로 공급되어 루프(loop)를 형성하는 방식이고, 제직방식은 정경된 원사에 위사와 경사를 순차 투입하여 직물을 짜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편직방식은 주로 스웨터나 니트류 등 조직의 밀도가 높지 않은 원단을 편직할 때 사용되기 때문에 양복의 겉감이나 안감 원단처럼 조직의 밀도가 높은 원단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경사와 위사를 연사하는 방식인 제직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안감으로 사용될 원단을 제직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정경된 경사에 위사를 순차적으로 연사하는 연사방식과, 경사와 위사에 일정한 열을 가해 융착하는 융착방식이 있다.
이중 연사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안감의 제직방법을 간략히 살펴보면, 정경된 경사에 위사를 한 가닥 또는 두 가닥을 연사한다. 하지만, 위사를 한 가닥 내지 두 가닥으로 연사한 안감은 질감에 힘이 없고, 안감의 형태가 쉽게 변형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더불어 융착방식으로 이루어진 안감은 다림질과 같이 원단에 열이 가해질 경우 안감의 형태가 쉽게 변형됨은 물론, 승폭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본 발명과 같이 실크 느낌의 안감을 제직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40388호 "실크사와 폴리에스테르 융착사를 이용한 교직원단 및 그 제직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위 종래기술을 포함한 종래의 모든 안감의 제직방법은 기본 원사에 특유의 가공물질을 첨부한 것으로, 단순히 안감의 촉감 또는 질감을 변형할 뿐이거나 제직과정을 간소화하기 위한 대책일 뿐 안감 원단의 궁극적인 내구성과 사용 시 형태 변화 등에 대한 해결책을 찾아볼 수 없다.
특허출원번호 제10-1996-0065208호 특허출원번호 제10-1995-0066451호
본 발명은 위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원착사에 기능성 요소를 가미하여 종래 대비 개선된 형태의 원단이 구현되게 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정의 공정으로 이루어진 원착사와 융착사를 서로 혼용하여 보다 적극적인 색상 구현과 함께 해당 원단의 신축 과정에서 또 다른 색상의 구현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다른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경사와 위사를 상호 융착하지 않고 정경된 경사에 위사를 연사하는 방식으로 제직하면서 경사와 위사를 각각 개별 가공하여 실버 노방 안감의 질감이 제공되게 하는 것을 또 다른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정경된 경사에 위사를 연사할 경우 안감의 밀도를 최적화할 수 있도록 위사의 가닥 수를 설정하여 안감의 내구성을 강화하며, 세탁이나 드라이와 같은 외부의 간섭에도 원단의 최초 성질이 유지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이 또 다른 해결과제이다.
위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폴리에스터 원착사를 사용한 기능성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위 폴리에스터 원착사를 사용한 기능성 원단은 폴리에스터(polyester) 칩 90~95 중량%와, 컬러 마스터 배치(master batch) 3~5 중량%와, 항균 내지 소취 기능을 보유한 기능성 마스터 배치 2~5 중량%로 이루어진 원료의 투입 후, 대상 원료를 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용융시켜 방사구를 통해 압출 및 냉각 실시함으로써 획득되는 폴리에스터 원착사; 및 85데니아(denier)의 폴리(poly)로 이루어진 승폭 50inch의 브라이트사에 180℃의 열을 가함으로써 50데니아의 융착사가 획득되는 융착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폴리에스터(polyester) 칩 90~95 중량%와, 컬러 마스터 배치(master batch) 3~5 중량%와, 항균 내지 소취 기능을 보유한 기능성 마스터 배치 2~5 중량%의 원료를 투입하고, 대상 원료를 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용융시켜 방사구를 통해 압출 및 냉각 실시함으로써 획득되는 폴리에스터 원착사 형성단계; 85데니아(Denier)의 폴리(Poly)로 이루어진 승폭 50inch의 브라이트사에 180℃의 열을 가함으로써 50데니아의 융착사를 형성한 후, 정경하여 승폭 45inch에 밀도 4800본의 경사 본수를 갖게 하는 경사제직단계; 경사제직단계에서 제직이 이루어지는 방향을 기준으로 우측에서 좌측으로 연사가 이루어지되, 폴리에스터 원착사 형성단계에서 획득된 원착사 3가닥을 연사함으로써 실시되는 위사제직단계; 경사제직단계와 위사제직단계를 거쳐 형성된 원단을 130℃의 온도가 발생하는 레피드 기계로 40분간 염색하는 원단염색단계; 염색 완료된 원단을 190~200℃의 열로 가하면서 약수지 및 대전방지제를 첨가하는 가공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위 폴리에스터 원착사 형성단계에서 기능성 마스터 배치는 조릿대 줄기와 잎으로부터 획득된 조릿대 추출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위 위사제직단계에서는 경사에 위사 연사시 450TM으로 연사되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한편, 위 경사제직단계에서의 1inch당 경사 밀도는 95T이고, 위 위사제직단계에서의 1inch당 위사 밀도는 70T인 것을 포함한다.
위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원착사에 기능성 요소를 가미하여 항산화 효능이 극대화되게 할 뿐 아니라 소정의 공정으로 이루어진 원착사와 융착사를 서로 혼용하여 제공되므로, 보다 적극적인 색상 구현과 함께 해당 원단의 신축 과정에서 또 다른 색상의 구현이 가능한 효과를 발휘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경사와 위사를 상호 융착하지 않고 정경된 경사에 위사를 연사하는 방식으로 제직하면서 경사와 위사를 각각 개별 가공하므로 실버 노방 안감의 질감이 제공되게 하며, 아울러 정경된 경사에 위사를 연사할 경우 안감의 밀도를 최적화할 수 있도록 위사 가닥 수를 설정하여 안감의 내구성을 강화하므로 세탁이나 드라이와 같은 외부 간섭에도 원단의 최초 성질이 유지될 수 있는 이점 또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기능성 원단의 샘플 이미지.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경사와 위사의 제직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폴리에스터 원착사를 사용한 기능성 원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하여 개시된다.
특히 본 발명은 염료를 사용한 염색 내지 가공을 통한 생산 방식이 아닌 안료에 의한 방사공정으로 제공되므로 심착성 및 견뢰도가 우수하고 이염도가 낮을 뿐 아니라 기능성 소재에 기인한 항산화 효능이 극대화될 수 있으며, 아울러 원착사와 융착사를 혼용함에 따라 해당 색감의 보다 적극적인 표출은 물론 신축 과정에서 또 다른 색상의 구현이 가능하고, 실크 안감과 같은 재질을 적극 유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폴리에스터 원착사를 사용한 기능성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련된 것임을 주지한다.
위 폴리에스터 원착사를 사용한 기능성 원단은 폴리에스터(polyester) 칩 90~95 중량%와, 컬러 마스터 배치(master batch) 3~5 중량%와, 항균 내지 소취 기능을 보유한 기능성 마스터 배치 2~5 중량%로 이루어진 원료의 투입 후, 대상 원료를 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용융시켜 방사구를 통해 압출 및 냉각 실시함으로써 획득되는 폴리에스터 원착사; 및 85데니아(denier)의 폴리(poly)로 이루어진 승폭 50inch의 브라이트사에 180℃의 열을 가함으로써 50데니아의 융착사가 획득되는 융착사;로 구성되는 것을 주된 요부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 특징으로 제안하는 폴리에스터 원착사를 사용한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기재하면 하기와 같다.
폴리에스터(polyester) 칩 90~95 중량%와, 컬러 마스터 배치(master batch) 3~5 중량%와, 항균 내지 소취 기능을 보유한 기능성 마스터 배치 2~5 중량%의 원료를 투입하고, 대상 원료를 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용융시켜 방사구를 통해 압출 및 냉각 실시함으로써 획득되는 폴리에스터 원착사 형성단계와, 85데니아(Denier)의 폴리(Poly)로 이루어진 승폭 50inch의 브라이트사에 180℃의 열을 가함으로써 50데니아의 융착사를 형성한 후, 정경하여 승폭 45inch에 밀도 4800본의 경사 본수를 갖게 하는 경사제직단계와, 경사제직단계에서 제직이 이루어지는 방향을 기준으로 우측에서 좌측으로 연사가 이루어지되, 폴리에스터 원착사 형성단계에서 획득된 원착사 3가닥을 연사함으로써 실시되는 위사제직단계와, 경사제직단계와 위사제직단계를 거쳐 형성된 원단을 130℃의 온도가 발생하는 레피드 기계로 40분간 염색하는 원단염색단계와, 염색 완료된 원단을 190~200℃의 열로 가하면서 약수지 및 대전방지제를 첨가하는 가공단계;로 이루어진다.
위 폴리에스터 원착사 형성단계에서 얻어지는 대상 원착사는 방사공정에 기인한 생산방식으로 인해 착색 내지 색상의 표현 정도가 더욱 극대화될 수 있으며, 이는 염료를 사용한 염색이나 가공을 통한 생산방식이 아닌 안료를 사용한 방사공정으로부터 비롯된다.
위 위사제직단계에서는 주지한 바와 같이 원착사의 연사로 구현되고, 이후 원단염색단계를 거치면서 해당 원단이 염색 실시되는데, 이러한 구성은 원착사가 보유한 색상 구현은 물론 원착사와 융착사로 제직된 원단에 대해 염색이 실시됨에 따라 이중 색상 내지 보다 선명하고 차별화된 색상 구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원착사의 색상 표현 이외에도 이러한 원착사를 사용하여 완성된 하나의 원단에 또 한 번의 색상 처리가 실시됨으로써 해당 원단이 신축될 경우 원착사가 보유한 색상이 외부로 표현되게 하거나 또는 해당 원단이 신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단염색단계에서 채용된 색상이 외부로 표현되게 하는 등 색상의 선명함 정도 차이 내지 보다 다양한 색상의 구현을 목적으로 한다.
무엇보다 본 발명에서는 항산화 기능이 부여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기능성 마스터 배치를 더 포함하는바, 위 폴리에스터 원착사 형성단계에서 기능성 마스터 배치는 조릿대 줄기와 잎으로부터 획득된 조릿대 추출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 위사제직단계에서는 경사에 위사 연사시 450TM으로 연사되게 하는 것을 포함하고, 위 경사제직단계에서의 1inch당 경사 밀도는 95T이고, 위 위사제직단계에서의 1inch당 위사 밀도는 70T인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경사와 위사가 서로 연사되어 제직이 이루어지되, 경사는 85데니아(Denier)의 폴리(Poly)로 이루어진 승폭 50inch의 브라이트사에 180℃~200℃의 열을 두 차례 가함으로써 형성되는 50데니아의 융착사로 구성되고, 위사는 폴리에스터(polyester) 칩 90~95 중량%와, 컬러 마스터 배치(master batch) 3~5 중량%와, 항균 내지 소취 기능을 보유한 기능성 마스터 배치 2~5 중량%의 원료를 투입한 후 대상 원료를 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용융시켜 방사구를 통해 압출 및 냉각 실시함으로써 획득되는 폴리에스터 원착사로 구성된다.
또한, 전술한 위사 3가닥을 경사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연사하는 방식으로 제직하는바, 실크 안감과 같은 자연스러운 느낌을 살려주고, 다림질할 경우 열에 잘 견뎌 원단 변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세탁이나 드라이 작업 후에도 최초의 원단 성질을 장기간 유지할 뿐만 아니라 정전기 방지제를 첨가하여 정전기가 잘 일어나지 않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구성되는 기능성 원단의 이미지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폴리에스터 원착사 형성단계에서 얻어진 원착사를 서로 교직하므로, 실버 노방 원단 본연의 촉감 및 반 광택을 유지하면서 그 밀도가 매우 높고 실크 안감과 같은 재질로 구현되게 한다.
이를 위한 제직 형태는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으며, 이를 상세 기재하면 아래와 같다.
경사를 정경하되, 위 경사는 브라이트사에 180℃의 열을 가한 50데니아의 융착사를 가공처리하여 제공하고, 위 융착사의 위사로 사용될 원착사를 3가닥씩 별도로 더 준비한다. 이때 경사로 사용되는 융착사의 원사는 80~90데니아(Denier)의 폴리(Poly)로 이루어진 승폭 50inch의 브라이트사를 사용하되, 브라이트사에 180~190℃의 열을 가하여 50데니아의 융착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때의 융착사는 승폭 45inch에 밀도 4800본의 경사 본수를 갖도록 정경한다.
예컨대 이러한 융착사를 얻기 위해 브라이트사에 제공되는 180~190℃의 고열은 80~90데니아(Denier)로 이루어진 브라이트사를 50데니아의 융착사로 변형하기 위한 최적의 온도인바, 상기 설정된 허용 범위 이하의 온도가 제공된 융착사를 사용하면 원단의 재질이 뻣뻣하여 안감으로 사용하기 어렵고, 반대로 허용 범위 이상의 온도가 제공된 융착사를 사용할 경우 융착사의 두께가 너무 얇아지므로 안감의 재질이 약해져 작은 충격에도 원단이 찢어지는 등 훼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각 별도로 준비된 원사는 각각 워터제트직기에 의해 경사, 위사, 평직으로 제직이 진행됨은 물론, 위사는 원단의 제직이 이루어지는 방향을 기준으로 우측에서 좌측으로 연사가 이루어지는 것이 당연하다 할 것이다. 참고로 위 워터제트직기는 50데니아로 구성되는 용착사의 두께와 비례하여 70m/s의 속도로 제직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사 원사의 융착을 위해 180℃의 온도로 가공을 진행한다.
본 발명에서 실시하는 원단의 제직방법 중 가장 중요한 부분은 위사가 경사에 연사될 때 원착사가 3가닥으로 구성되어 경사에 대한 연사 경로를 따라 일제히 진행된다는 점이다.
예컨대 경제성과 기능성을 겸한 종래의 제직방법은 경사와 위사를 상호 융착한 방식과, 가공처리한 경사에 한 가닥의 위사를 연사하는 방식으로 나뉜다. 하지만, 한 가닥 내지 두 가닥의 위사를 연사한 안감은 질감에 힘이 없고, 옷의 형태가 쉽게 변형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뿐 아니라 융착방식으로 이루어진 안감의 경우 다림질과 같이 원단에 열이 가해지게 되면 옷의 형태가 쉽게 변형되고, 승폭 또한 줄어드는 문제점이 초래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종래의 방식과는 달리 3가닥의 위사를 연사하는바, 실크 안감과 같은 느낌 구현은 물론 열에 강하여 다림질할 때나 잦은 세탁 및 드라이 작업 후에도 원단의 초기 성질이 장기간 유지되게 한다. 특히 경사에 위사를 연사할 때의 연사력은 440~460TM으로 연사함으로써 실크 안감의 감촉은 극대화하고, 원단의 견고함을 높인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경사와 위사 간의 연사력을 440~460TM으로 설정하는 것은 50데니아로 구성되는 경사와 20데니아로 구성되는 위사 간의 가장 적합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기에 비롯되는 것이며, 이러한 허용 범위에 미치지 못하는 연사력을 사용할 경우 원단의 내구성이 떨어지거나 원치않는 신축성이 발생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허용 범위를 초과할 경우 경사와 위사 간의 제직 시 촘촘한 밀도 탓에 원단이 뻣뻣해지거나 연사력에 의해 원사가 터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본 발명의 경사를 정경하기 위한 경사 원사는 1번 내지 8번의 원사로 구성하되, 1번과 2번, 3번과 4번, 5번과 6번, 7번과 8번이 각각 서로 꽈배기 형상으로 꼬임으로써 이루어진다.
예컨대 1번과 2번의 꼬임 형태를 살펴보면, 1번 원사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될 때 2번 원사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1번 원사와 교차가 이루어지며, 2번 원사는 1번 원사의 아래 방향으로 통과된다. 이후 우측으로 이동된 1번 원사는 좌측으로 이동되고, 좌측에 있던 2번 원사는 우측으로 1번 원사와 재교차가 이루어지며, 이때 2번 원사는 1번 원사의 윗 방향으로 통과된다. 상기와 같은 꼬임 형태로 인해 1번 원사와 2번 원사 사이에는 타원형의 고리가 형성된다.
또한, 3번과 4번 원사는 1번과 2번 원사의 꼬임 형태와 대칭되는 방향으로 실시되고, 다시 5번과 6번 원사는 1번과 2번 원사의 꼬임 형태와 동일한 방향으로, 7번과 8번 원사는 2번과 3번 원사와 동일한 방향으로 실시된다.
위와 같이 타원형의 고리가 형성되도록 정경된 경사의 각 고리 사이로 위사가 연사되는데, 위사의 진입을 유도하기 위한 타원형의 고리는 도 2의 시점을 기준으로 위에서부터 아래 방향으로 제1진입로(10), 제2진입로(20), 제3진입로(30)와 같이 구별될 수 있다.
위 위사는 각 진입로마다 세 가닥씩 통과되며, 위사가 타원형의 고리를 통과하는 형태는 최초로 제1진입로(10)의 1번 원사 윗 방향으로 진입하여 2번 원사의 아래 방향으로 통과하고, 다시 3번 원사의 아래 방향으로 진입해서 4번 원사의 윗 방향으로 통과한다. 4번 원사를 통과한 위사는 5번 원사의 윗 방향으로 진입해서 6번 원사의 아래 방향으로 통과하고, 다시 7번 원사의 아래 방향으로 진입해서 8번 원사의 윗 방향으로 통과한다.
또한, 위사가 제2진입로(20)를 통과하는 형태는 1번 원사 아래 방향으로 진입하여 2번 원사의 윗 방향으로 통과하고, 다시 3번 원사의 윗 방향으로 진입해서 4번 원사의 아래 방향으로 통과한다. 4번 원사를 통과한 위사는 5번 원사의 아래 방향으로 진입해서 6번 원사의 윗 방향으로 통과하고, 다시 7번 원사의 윗 방향으로 진입해서 8번 원사의 아래 방향으로 통과하는 등 제1진입로(10)와 상반되는 방향으로 진입하여 통과하는 것이 특징이다.
아울러 위사가 제3진입로(30)를 통과하는 형태는 1번 원사 윗 방향으로 진입하여 2번 원사의 아래 방향으로 통과하고, 다시 3번 원사의 아래 방향으로 진입해서 4번 원사의 윗 방향으로 통과한다. 4번 원사를 통과한 위사는 5번 원사의 윗 방향으로 진입해서 6번 원사의 아래 방향으로 통과하고, 다시 7번 원사의 아래 방향으로 진입해서 8번 원사의 윗 방향으로 통과하는 등 제1진입로(10)와 동일한 형태로 연사가 이루어지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4진입로는 제2진입로(20)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사되는 것이 당연하다 할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정으로 50데니아의 융착사로 구성되는 경사와 원착사 세 가닥으로 구성되는 위사는 워터제트직기를 통해 70m/s의 속도와 180℃의 온도로 교직되되, 원단의 밀도는 1inch당 96T의 경사밀도와 70T의 위사밀도를 갖는 밀집력이 매우 우수한 원단으로 제공된다.
이후 이러한 원단은 레피드 기계로 염색을 진행하는데, 레피드 기계는 120~140℃의 온도로 40분간 염색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온도와 시간을 사용하기 위한 이유는 경사를 융착사로 가공할 때 180℃의 온도로 코팅이 이루어졌으므로 코팅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염색 가능할 수 있는 온도이며, 밀도가 1inch당 96T의 경사밀도와 70T의 위사밀도를 갖는 원단에 가장 탁월하게 염색액이 스며들 수 있는 시간이기 때문이다.
위 염색과정이 순차적으로 진행됨으로써 제공되는 원단은 다시 워터제트직기를 통해 가공 실시되는데, 이때 워터제트직기는 55m/s의 속도와 190~200℃의 온도로 가공하면서 약수지나 대전방지제를 첨가하여 원단에 발생할 정전기를 예방한다.
위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원착사에 기능성 요소를 가미하여 항산화 효능이 극대화되게 할 뿐 아니라 소정의 공정으로 이루어진 원착사와 융착사를 서로 혼용하여 제공되므로, 보다 적극적인 색상 구현과 함께 해당 원단의 신축 과정에서 또 다른 색상의 구현이 가능한 효과를 발휘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경사와 위사를 상호 융착하지 않고 정경된 경사에 위사를 연사하는 방식으로 제직하면서 경사와 위사를 각각 개별 가공하므로 실버 노방 안감의 질감이 제공되게 하며, 아울러 정경된 경사에 위사를 연사할 경우 안감의 밀도를 최적화할 수 있도록 위사 가닥 수를 설정하여 안감의 내구성을 강화하므로 세탁이나 드라이와 같은 외부 간섭에도 원단의 최초 성질이 유지될 수 있는 이점 또한 기대된다.
10. 제1진입로
20. 제2진입로
30. 제3진입로

Claims (5)

  1. 폴리에스터(polyester) 칩 90~95 중량%와, 컬러 마스터 배치(master batch) 3~5 중량%와, 항산화 기능을 보유한 기능성 마스터 배치 2~5 중량%로 이루어진 원료의 투입 후, 대상 원료를 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용융시켜 방사구를 통해 압출 및 냉각 실시함으로써 획득되는 폴리에스터 원착사;
    85데니아(denier)의 폴리(poly)로 이루어진 승폭 50inch의 브라이트사에 180℃의 열을 가함으로써 50데니아의 융착사가 획득되는 융착사;
    로 구성되는 폴리에스터 원착사를 사용한 기능성 원단.
  2. 폴리에스터(polyester) 칩 90~95 중량%와, 컬러 마스터 배치(master batch) 3~5 중량%와, 항균 내지 소취 기능을 보유한 기능성 마스터 배치 2~5 중량%의 원료를 투입하고, 대상 원료를 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용융시켜 방사구를 통해 압출 및 냉각 실시함으로써 획득되는 폴리에스터 원착사 형성단계;
    85데니아(Denier)의 폴리(Poly)로 이루어진 승폭 50inch의 브라이트사에 180℃의 열을 가함으로써 50데니아의 융착사를 형성한 후, 정경하여 승폭 45inch에 밀도 4800본의 경사 본수를 갖게 하는 경사제직단계;
    경사제직단계에서 제직이 이루어지는 방향을 기준으로 우측에서 좌측으로 연사가 이루어지되, 폴리에스터 원착사 형성단계에서 획득된 원착사 3가닥을 연사함으로써 실시되는 위사제직단계;
    경사제직단계와 위사제직단계를 거쳐 형성된 원단을 130℃의 온도가 발생하는 레피드 기계로 40분간 염색하는 원단염색단계;
    염색 완료된 원단을 190~200℃의 열로 가하면서 약수지 및 대전방지제를 첨가하는 가공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터 원착사를 사용한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위 폴리에스터 원착사 형성단계에서 기능성 마스터 배치는 조릿대 줄기와 잎으로부터 획득된 조릿대 추출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터 원착사를 사용한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위 위사제직단계에서는 경사에 위사 연사시 450TM으로 연사되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터 원착사를 사용한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위 경사제직단계에서의 1inch당 경사 밀도는 95T이고,
    위 위사제직단계에서의 1inch당 위사 밀도는 70T인 것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터 원착사를 사용한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
KR1020160126180A 2016-09-30 2016-09-30 폴리에스터 원착사를 사용한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 KR101874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180A KR101874841B1 (ko) 2016-09-30 2016-09-30 폴리에스터 원착사를 사용한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180A KR101874841B1 (ko) 2016-09-30 2016-09-30 폴리에스터 원착사를 사용한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6070A true KR20180036070A (ko) 2018-04-09
KR101874841B1 KR101874841B1 (ko) 2018-08-02

Family

ID=61978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6180A KR101874841B1 (ko) 2016-09-30 2016-09-30 폴리에스터 원착사를 사용한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48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68725A (zh) * 2018-10-27 2019-03-15 太和县昌达工贸有限公司 一种非织造布设备用抗静电网的制作工艺
KR102541791B1 (ko) * 2022-01-13 2023-06-13 프라나 주식회사 폴리에스터 원착 드로우텍스쳐사를 이용한 차양막용 또는 보트커버용 원단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7050A (ja) * 2002-02-05 2003-08-15 Toray Ind Inc 原着糸を含む織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68725A (zh) * 2018-10-27 2019-03-15 太和县昌达工贸有限公司 一种非织造布设备用抗静电网的制作工艺
KR102541791B1 (ko) * 2022-01-13 2023-06-13 프라나 주식회사 폴리에스터 원착 드로우텍스쳐사를 이용한 차양막용 또는 보트커버용 원단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4841B1 (ko) 2018-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87029C2 (ru) Сопряженный мультифиламент типа море-остров, содержащий окрашенный в массе компонент,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CN108779583B (zh) 可染性聚烯烃纤维及包含其的纤维结构体
CN109477254B (zh) 由可染性聚烯烃纤维形成的假捻加工丝
KR101054570B1 (ko) 신축성이 우수한 시어서커 직물의 제조방법
KR101874841B1 (ko) 폴리에스터 원착사를 사용한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
CN112095196B (zh) 聚酯纱线、使用该聚酯纱线的机织物或针织物、以及使用该机织物或针织物的制服
CN112626871A (zh) 一种提花面料的生产工艺
KR100888862B1 (ko) 레이온 필라멘트를 사용한 고광택 신축성 직물 및 이의제조방법
CN108070951B (zh) 服装布料制造工艺、系统及其产品
KR101151596B1 (ko) 이색조 경량직물용 나일론 6/염기성염료 가염형 나일론 6 필라멘트사의 균일혼섬방사방법
JP3912065B2 (ja) ポリエステル系混繊糸および仮撚加工糸
CN107190378A (zh) 制造可变色纤维的方法
KR102003247B1 (ko) 스판덱스를 포함하는 원단 및 그 제조 방법
CN105544049A (zh) 一种记忆丝面料
CN208649556U (zh) 一种不易变形的自然弹长裤
JP5012646B2 (ja) 分割型ポリアミド・ポリエステル複合繊維、それからなる織編物、繊維製品
KR102234800B1 (ko) 원단의 터치감을 부드럽게 개선한 자연스러운 염색 농담차를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혼섬사 및 그 제조방법
JP2005048309A (ja) ポリアミド繊維、ポリアミド織物およびそれよりなる繊維製品
KR102197100B1 (ko) 원단의 유연성을 개선한 자연스러운 염색 농담차를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혼섬사 및 그 제조방법
KR100983778B1 (ko) 섬유류제품에 따른 인견가공사의 제조방법
KR102405972B1 (ko) 고강도 폴리에스터사를 포함하는 복합사의 제조방법 및 상기 복합사로 제조된 경량성 백팩용 원단
KR102238626B1 (ko) 통기성 및 제전성이 우수한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4202210B2 (ja) 混繊糸及び織編物及び着古し外観を有する縫製品
KR100191570B1 (ko) 폴리에스테르 혼섬사의 제조방법
KR101109304B1 (ko) 카치온 가염형 폴리아미드 섬유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