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5426A - 소음저감용 타이어 - Google Patents

소음저감용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5426A
KR20180035426A KR1020160125480A KR20160125480A KR20180035426A KR 20180035426 A KR20180035426 A KR 20180035426A KR 1020160125480 A KR1020160125480 A KR 1020160125480A KR 20160125480 A KR20160125480 A KR 20160125480A KR 20180035426 A KR20180035426 A KR 20180035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reduction
tire
noise
reduction unit
r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5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5277B1 (ko
Inventor
조경호
Original Assignee
조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경호 filed Critical 조경호
Priority to KR1020160125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5277B1/ko
Publication of KR20180035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5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19/002Noise damping elements provided in the tyre structure or attached thereto, e.g. in the tyre in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1/00Rims
    • B60B21/12Appurtenances, e.g. lining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00Purpose of invention
    • B60B2900/10Reduction of
    • B60B2900/133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용 소음저감장치 및 이를 포함한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가 충진되는 타이어본체 내부공간부에 위치되도록 림의 외주면에 소음저감부가 구비되되, 외측단부가 상기 타이어본체 내부공간부의 저면과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소음저감부는 주행 시, 원심력에 의해 팽창되어 타이어본체 내부공간부를 채워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켜 소음이 감소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고속주행 시, 타이어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켜 소음발생을 최소화 및 방지하여 탑승자에게 편안함은 물론,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음저감용 타이어{Noise prevention tire}
본 발명은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행시,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 및 방지하여 소음 발생을 방지함은 물론, 수명도 연장시킬 수 있는 소음저감용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이어는 자동차의 전체하중을 지탱하는 지지기능, 차량의 구동력 및 제동력을 노면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기능, 불규칙적인 노면으로 인해 발생하는 외부충격을 완화하는 충격완화기능, 차량의 진행방향에 따라 위치를 전환하는 위치전환기능 등을 다양하게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공기입 타이어의 일반적인 구조는 한국 공개특허 1993-0017700에서 개진된 바와 같이, 노면과 직접 접촉하는 두꺼운 고무층인 트레드(Tread)와 타이어의 측면부를 형성하는 사이드월(SideWall), 트레드(Tread)와 사이드월(SideWall) 사이인 타이어 모서리를 형성하는 쇼울더(Shoulder), 타이어가 림에 장착되게 코드지의 끝부분을 감싸주는 비드(Bead), 타이어의 골격을 이루며 타이어 내부의 공기압 및 하중이나 충격을 견디는 부분으로 타이어 코드지로 된 카카스(Carcass) 즉, 바디 플라이(Body Ply)와 트레드와 카카스의 사이에 삽입된 층으로 주행시 외부의 충격을 완화하고, 트레드의 갈라짐이나 외상이 카카스에 직접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는 벨트층과 카카스의 내측에 구비된 고무층으로 공기의 누출을 방지하는 인너라이너(Inner Linner)를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 공기입 타이어는 트레드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이 공기가 충진되는 내부공간부에서 증가되어 전달됨에 따라, 진동과 소음이 발생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등록특허 10-0804209에서 개진된 바와 같이, 인너라이너 안쪽에 소음흡음층을 형성하여 소음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타이어는 주행 시, 원심력이 발생되는 것으로, 저속 주행시는 소음흡음층의 형상을 유지하여 소음을 일부 저감시킬수 있지만, 고속 주행시는 내부공간부의 공기가 팽창하여 소음흡음층이 인너라이너에 밀착되어 타이어로 전달되는 충격을 그대로 전달시켜 소음이 여전히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원심력에 의해 압착된 소음흡음층은 복원력이 감소되어 원형을 회복하지 못하여 저속 주행시에도 충격을 완화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저속 주행과 고속 주행에도 충격을 완화시켜 소음을 저감 및 방지함은 물론, 주정차시 원래의 형상을 유지시켜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공기가 충진되는 타이어본체 내부공간부에 위치되도록 림의 외주면에 소음저감부가 구비되되, 외측단부가 상기 타이어본체 내부공간부의 저면과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소음저감부는 주행 시, 원심력에 의해 팽창되어 타이어본체 내부공간부를 채워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켜 소음이 감소됨에 따라, 고속주행에도 타이어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켜 소음발생을 최소화 및 방지하여 탑승자에게 편안함은 물론,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는 소음저감용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공기가 충진되는 타이어본체 내부공간부에 위치되도록 림의 외주면에 소음저감부가 구비되되, 외측단부가 상기 타이어본체 내부공간부의 저면과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소음저감부는 주행 시, 원심력에 의해 팽창되어 타이어본체 내부공간부를 채워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켜 소음이 감소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소음저감부는, 상기 림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제1소음저감부, 및 상기 제1소음저감부의 외측에 형성되는 제2소음저감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소음저감부는, 가압력을 갖는 밴드로, 상기 림의 외주면을 가압한다.
또한, 상기 제1소음저감부는, 고무와 폴리우레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무발포 성형한다.
그리고 상기 제2소음저감부는, 탄성과 내부에 복수의 기공을 갖도록 발포 성형되어 주행 시, 팽창되어 상기 각 기공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상기 타이어본체 내부공간부의 공기가 각 기공으로 유입되어 상기 내부공간부를 채운다.
또한 상기 제2소음저감부는, 폴리우레탄,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나이트, PVC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발포 성형한다.
그리고 상기 제2소음저감부의 팽창 시, 상기 림의 중심방향으로 탄성력이 적용되도록 원위치부,가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원위치부는, 타단부가 상기 제2소음저감부의 내부에 복수 개 위치되도록 일단부가 상기 제1소음저감부에 구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소음저감용 타이어에 의하면, 고속주행 시, 타이어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켜 소음발생을 최소화 및 방지하여 탑승자에게 편안함은 물론,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저감용 타이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저감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저감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위치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저감용 타이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저감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저감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위치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소음저감용 타이어(10)는 공기가 충진되는 타이어본체(1) 내부공간부(1a)에 위치되도록 림(2)의 외주면에 소음저감부(100)가 구비된다.
여기서, 소음저감부(100)의 외측단부는 타이어본체(1) 내부공간부의 저면과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소음저감부(100)는 차량의 주행 시,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팽창되어 타이어본체(1) 내부공간부(1a)를 채워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켜 소음이 감소 및 방지된다.
이를 위한, 소음저감부(100)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소음저감부(110)와 제2소음저감부(120)로 구성된다.
제1소음저감부(110)는 림(2)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제2소음저감부(120)는 제1소음저감부(110)의 외측에 형성된다.
여기서, 제1소음저감부(110)는 가압력을 갖는 밴드로, 림(2)의 외주면을 가압한다.
이러한 제1소음저감부(110)는 고무와 폴리우레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무발포 성형한다.
그리고 제2소음저감부(120)는 탄성과 내부에 복수의 기공(122)을 갖도록 발포 성형된다.
이 제2소음저감부(120)는 폴리우레탄,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나이트, PVC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해당 재료를 혼합하여 금형을 이용하여 발포함에 따라, 제작된다.
이러한 소음저감부(100)의 작동상태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 시, 팽창되어 각 기공(122)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타이어본체(1) 내부공간부(1a)의 공기가 각 기공(122)으로 유입되어 내부공간부(1a)를 채운다.
이에, 주행 시, 지면이나 노면에서 전달되는 충격이 내부공간부(1a)를 채운 제2소음저감부(120)의 각 기공(122)을 거치며 완화됨에 따라, 소음을 저감 및 방지한다.
여기서, 제1소음저감부(110)와 제2소음저감부(120)는 각각 성형된 후, 접착되거나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소음저감부(120)의 팽창 시, 림(2)의 중심방향으로 탄성력이 적용되도록 원위치부(130)가 더 포함된다.
이 원위치부(130)는 타단부가 제2소음저감부(120)의 내부에 위치되고 일단부가 제1소음저감부(110)에 구비된다.
다시 말해, 원위치부(130)의 타단부는 제2소음저감부(120)의 내부에 위치되되, 제2소음저감부(120)의 팽창 또는 수축 시, 함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물론, 원위치부(130)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는 탄성을 갖는 탄성부가 더 형성되며, 이 탄성부는 스프링이나 우레탄 등의 부재가 사용된다.
이에, 주행 시, 팽창된 제2소음저감부(120)를 주정차 시, 원상복귀시켜 원래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
물론, 제2소음저감부(120)의 탄발력으로도 충분히 원상복귀됨이 당연하며, 장기사용의 경우를 대비하여 원위치부(130)가 제2소음저감부(120)의 복원력을 보조한다.
1 : 타이어본체 2 : 림
10 : 타이어 100 : 소음저감부
110 : 제1소음저감부 120 : 제2소음저감부
130 : 원위치부

Claims (7)

  1. 공기가 충진되는 타이어본체 내부공간부에 위치되도록 림의 외주면에 소음저감부가 구비되되, 외측단부가 상기 타이어본체 내부공간부의 저면과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소음저감부는 주행 시, 원심력에 의해 팽창되어 타이어본체 내부공간부를 채워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켜 소음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용 타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저감부는,
    상기 림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제1소음저감부; 및
    상기 제1소음저감부의 외측에 형성되는 제2소음저감부;를 포함하는 소음저감용 타이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소음저감부는,
    가압력을 갖는 밴드로, 상기 림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용 타이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소음저감부는,
    탄성과 내부에 복수의 기공을 갖도록 발포 성형되어 주행 시, 팽창되어 상기 각 기공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상기 타이어본체 내부공간부의 공기가 각 기공으로 유입되어 상기 내부공간부를 채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용 타이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소음저감부는,
    폴리우레탄,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나이트, PVC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발포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용 타이어.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소음저감부의 팽창 시, 상기 림의 중심방향으로 탄성력이 적용되도록 원위치부;가 더 포함되는 소음저감용 타이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치부는,
    타단부가 상기 제2소음저감부의 내부에 위치되고 일단부가 상기 제1소음저감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용 타이어.
KR1020160125480A 2016-09-29 2016-09-29 소음저감용 타이어 KR101885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480A KR101885277B1 (ko) 2016-09-29 2016-09-29 소음저감용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480A KR101885277B1 (ko) 2016-09-29 2016-09-29 소음저감용 타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426A true KR20180035426A (ko) 2018-04-06
KR101885277B1 KR101885277B1 (ko) 2018-08-03

Family

ID=61973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5480A KR101885277B1 (ko) 2016-09-29 2016-09-29 소음저감용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52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27368A (zh) * 2019-04-16 2019-07-19 安徽佳通乘用子午线轮胎有限公司 一种低噪音充气轮胎组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1672B1 (ko) * 2020-09-14 2022-02-11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주행 소음 저감을 위한 흡음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어셈블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2408A (ja) * 1998-08-20 2000-02-29 Sumitomo Rubber Ind Ltd ロードノイズ抑制装置
JP2001239804A (ja) * 1999-12-24 2001-09-04 Sumitomo Rubber Ind Ltd 空気入りタイヤとリムとの組立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2408A (ja) * 1998-08-20 2000-02-29 Sumitomo Rubber Ind Ltd ロードノイズ抑制装置
JP2001239804A (ja) * 1999-12-24 2001-09-04 Sumitomo Rubber Ind Ltd 空気入りタイヤとリムとの組立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27368A (zh) * 2019-04-16 2019-07-19 安徽佳通乘用子午线轮胎有限公司 一种低噪音充气轮胎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5277B1 (ko) 2018-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93465B (zh) 具有降低的滚动噪音的轮胎
US11400770B2 (en) Pneumatic tyre
JP6640340B2 (ja) 空気入り自動車タイヤ
JP2003285607A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1885277B1 (ko) 소음저감용 타이어
US20180290505A1 (en) Pneumatic Vehicle Tire
KR101701384B1 (ko) 탈착식 에어 챔버를 포함하는 타이어
KR101666430B1 (ko) 런 플랫 타이어
JP2007022138A (ja) ホイールインモータ車両用のタイヤおよびそれを用いたホイールシステム
CN203580519U (zh) 防震缓冲防爆轮胎
KR100622591B1 (ko) 펑크 대비용 공기입 타이어
JP2006213194A (ja) 空気入りタイヤ
JP6601183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06312389A (ja) 競技用空気入りタイヤ
CN104149556A (zh) 一种防扎防爆复合轮胎
KR101586365B1 (ko) 런플렛 타이어
CN103381738A (zh) 防震缓冲防爆轮胎
TWM466034U (zh) 防爆輪胎
JP2013169826A (ja) 空気入りタイヤ
JP6417286B2 (ja) 水陸両用車用タイヤリム組立体
KR102254474B1 (ko) 보강부재를 구비한 공기입 타이어
JP4820122B2 (ja) 空気入りタイヤとリムとの組立体
KR101358796B1 (ko) 펑크 나지 않는 타이어
KR101775106B1 (ko) 공기입 타이어
JP6389784B2 (ja) 水陸両用車用タイヤリム組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