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5233A - 최적화된 흡기관을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 Google Patents

최적화된 흡기관을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5233A
KR20180035233A KR1020187005252A KR20187005252A KR20180035233A KR 20180035233 A KR20180035233 A KR 20180035233A KR 1020187005252 A KR1020187005252 A KR 1020187005252A KR 20187005252 A KR20187005252 A KR 20187005252A KR 20180035233 A KR20180035233 A KR 20180035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dryer
air
circulation chamber
vanes
exhaus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5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5050B1 (ko
Inventor
니콜라 로셰
Original Assignee
세브 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브 에스.아. filed Critical 세브 에스.아.
Publication of KR20180035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5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Abstract

본 발명은 유입 영역(4) 및 배출 영역(5)을 구비한 공기 순환 챔버(3), 및 유입 영역을 통하여 외부 공기를 흡입하도록, 그리고 그 공기를 상류에서 하류로 배출 영역까지 유동시키도록 순환 챔버 내에 모두 배열된 모터(8) 및 팬(7)을 포함하는 공기 순환 시스템(6)을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헤어드라이어는 공기 순환 챔버(3) 내로 팬(7)에 의해 송풍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유입 영역(4) 내에 배열된 배기 시스템(15)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유입 영역 내로 흡입된 공기의 유동을 교란하는 상기 영역 내의 난류를 제거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최적화된 흡기관을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본 발명은 건조에 의한 모발관리를 위한 헤어드라이어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최우선적으로 건조 성능 및 사용감을 최적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전통적으로, 헤어드라이어는 공기 유입 영역, 공기 순환 챔버, 공기 배출 영역, 공기 순환 시스템 및 가열 요소를 포함한다. 공기 순환 시스템 및 가열 요소는 순환 챔버 내에 통합된다. 공기 순환 시스템은 유입 영역을 통하여 외부 공기를 흡입할 수 있게 하는 팬(fan)을 구동하는 모터를 포함한다. 순환 시스템은 또한 팬으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를 유도하도록 구성된 블레이드를 구비한 정류기를 포함한다. 불어나와서 유도된 공기는 이어서 가열 요소를 통과하여 순환 챔버의 하류를 향하여 유동된다. 다소 가열된 공기는 그 후 모발을 건조하도록 배출 영역을 통하여 외부로 불어나온다.
유입 영역 내에 배치된 베인(vane)들을 포함하는 일본특허(공고번호 JPH02252404)가 공지되어 있는데, 그 베인들은 유량 손실을 제한하면서 팬을 향하여 흡입된 공기를 유도할 수 있게 하며, 이에 의해 불어나온 공기의 속도를 개선하는 데 기여하고, 따라서 건조기능 및 사용감을 개선한다. 그러나 그 설계 유형은 음향 면에서는 성능이 여전히 미약하다. 실제로, 그 헤어드라이어의 설계, 및 더 일반적으로 모든 현존하는 헤어드라이어의 설계에 의해서는, 특히 모터의 회전으로 인한 유해 소음은 경감할 수 없다. 나아가, 그 헤어드라이어의 설계, 및 더 일반적으로 모든 종래 헤어드라이어에 의해서는, 팬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의 유동은 순환 챔버의 유입 영역 내에서 심각한 교란에 직면한다. 실제로, 팬의 상류와 팬의 하류 사이에는 강한 압력 차이가 존재한다. 그런데 부품들 사이의 조립을 위한 간극을 이유로, 순환 챔버의 내벽과 팬의 주연부 둘레 사이에 공간을 남겨둘 필요가 있다. 이에 의해 그 내부에서 압력 평형이 이루어지고 공기의 일부가 흡입되는 대신 팬에 의해 역류되는 주연부 공간이 존재하게 된다. 그 역류된 공기는 순환 챔버의 유입 영역 내에서 흡입된 공기의 유동을 저해하고 유량 손실을 초래하는 난류를 생성한다.
본 발명은 또한, 예를 들어 특허 JPH02252404에 개시된 바와 같은 헤어드라이어들 상에 나타나는, 유입 영역 내에서의 공기 유동 교란에 관한 그 단점을 완화하면서, 유량 손실을 제한하면서 팬을 향하여 흡입된 공기를 유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한 목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헤어드라이어는 유입 영역 및 배출 영역을 구비한 공기 순환 챔버를 포함한다. 그 헤어드라이어는 또한 유입 영역을 통하여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그 공기를 상류에서 하류로 배출 영역까지 유동시키도록 순환 챔버 내에 구성된 모터 및 팬을 포함하는 공기 순환 시스템도 포함한다. 그 공기 순환 시스템은 또한 팬에서 배출되는 흡입된 공기를 유도하도록 구성된 블레이드들을 구비한 정류기도 포함한다. 나아가, 가열 요소가 정류기의 하류에서 순환 챔버 내에 배치되고, 상기 가열 요소는, 순환되는 공기가 배출 영역을 통하여 외부로 불어 나가기 전에, 그 공기가 상기 가열 요소 주변을 통과할 때 다소 가열될 수 있게 한다.
주목할 만한 점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헤어드라이어는 순환 챔버 내에서 팬에 의해 역류된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도록 유입 영역 내에 구성된 배기 시스템을 포함한다. 그 공기는 특히 팬의 주연부에서 역류된다. 따라서 그 배기 시스템은 팬에 의해 역류된 그 공기를 배출할 수 있게 하고, 그 공기를 순환 챔버 내에 체류시키기보다는 외부로 방출할 수 있게 한다. 이는 유리하게, 흡입된 공기 유동의 모든 난류 및 모든 교란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드라이어의 일 실시예에서, 배기 시스템은 순환 챔버의 내벽에 인접하여 유입 영역 내에 배치된, 회전대칭형 도관을 포함한다. 그 회전대칭 형태는 유입 영역 내에서 순환 챔버의 내부 둘레 전체상에서 역류된 공기의 배출을 보장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유입 영역에서 전체 둘레 상으로 균일하게 분포되는 다수의 도관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드라이어의 일 실시예에서, 배기 시스템은 외부로 향하는 역류된 공기의 감속 수단들을 포함한다. 그 감속에 의해, 헤어드라이어의 유입 영역 외부에서 적절한 공기 유입을 교란할 수 있는 난류 발생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드라이어의 일 실시예에서, 배기 시스템은 유해 소음 경감 수단을 포함한다. 그것은 헤어드라이어의 음향 성능을 최적화하는 데 기여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드라이어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배기 시스템은 회전대칭형 도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도관은 종단면 내에서 배플 형태를 갖는다. 그 배플 형태는 유리하게, 상술한 바와 같은 공기 감속 수단 및 유해 소음 경감 수단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드라이어의 일 실시예에서, 그 헤어드라이어는 유입 영역 내에서, 순환 챔버에 조립된 캡(또는 덮개)을 포함한다. 그 캡은 상기 배기 시스템을 포함한다. 그 설계에 의해, 순환 챔버를 배기 시스템이 있는 캡(또는 덮개)과 별도로 구현하는 것이 용이하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착탈식 고정 수단들이 순환 챔버와 캡 사이에 구현되어 그 캡의 탈착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팬의 교체를 위하여 공기 순환 시스템에 접근하기 위한 순환 챔버 내부로의 접근이 용이하다. 이는 또한 그 캡을 다른 캡으로 교체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드라이어의 일 실시예에서, 그 헤어드라이어는 유입 영역 위치에 배치된 적어도 2개의 베인을 포함한다. 그 베인들은 그 베인들 사이에서 유입 영역에 대향하는 흡기관들이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그 흡기관들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팬의 작용하에 순환 챔버 내로 침투된다. 그 흡기관들은 팬을 향하여 배향되는 것에 의해, 유량 손실을 제한하면서 팬을 향하여 공기를 유도할 수 있게 한다. 그 외에, 그 적어도 2개의 베인은 하나의 벽이 순환 챔버 내에서 유입 영역을 봉쇄하듯이 순환 챔버 내부로 향하는 시선들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흡입된 공기는 팬을 향하여 유도되고 모터 회전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음파는 봉쇄용 벽을 구성하는 베인들과 맞닿아 리바운드 되면서 흡기관들 내로 전파되고, 이에 의해 음파가 흡기관들로부터 출력 시에 약화될 수 있고, 따라서 유해 소음이 경감된다.
순환 챔버 내부로 향하는 시선들이라 함은 순환 챔버의 종축과 평행한 선들로서, 사용자가 헤어드라이어의 후방에서 순환 챔버의 내부를 보기 위하여 그 선들의 정렬 상으로 눈을 위치시킬 수 있는 선들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드라이어의 일 실시예에서, 베인들은 각각 상류를 향하여 개방된 튤립의 형태를 갖는다. 베인들은 그 베인들 사이에 팬을 향하여 배향되는 상기 흡기관들을 형성하도록 서로 이격되어 중첩되어 있다. 나아가, 그 베인들은 유입 영역을 커버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차례로 연속적으로 커버하여 순환 챔버 내부로 향하는 모든 시선들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그 튤립 형태는 설치된 흡기관들의 단면적에 어떤 부정적 영향도 주지 않으면서도 상기 봉쇄용 벽을 구성하기 위하여 유입 영역 전체를 커버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한편, 그 튤립 형태는 헤어드라이어 측부 상에서 외부 공기 포집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드라이어의 일 실시예에서, 그 헤어드라이어는 2개 내지 10개의 튤립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그 헤어드라이어는 2개 또는 4개의 튤립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드라이어의 일 실시예에서, 그 헤어드라이어는 그 특성들 중 하나를 갖는 상기한 바와 같은 캡(또는 덮개)을 포함한다. 나아가, 그 캡은 상기 적어도 2개의 베인을 포함한다. 그 설계는, 순환 챔버를 배기 시스템 및 베인들을 포함하는 캡(또는 덮개)과 별도로 구현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드라이어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캡은 베인들 사이에 베인 유지용 레그들을 포함한다. 이는 서로 일정한 상호간격을 갖는 베인들의 구현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드라이어의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적어도 2개의 베인과 배기 시스템은, 상기 배기 시스템에 의해 역류된 공기가 흡기관을 통하여 팬에 의해 재흡입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그 실시를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베인들의 튤립 형태 및 도관의 배플 형태가 구성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이하 상세한 설명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밝힐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의 전체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헤어드라이어 후방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특히 베인들을 통합하는 캡(또는 덮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캡의 변형예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캡을 통합하는 헤어드라이어의 변형예의 후방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상세한 설명에서, 여러 다른 변형 실시예에 따른 유사한 특성들을 상술하기 위하여 동일한 참조번호가 사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어드라이어(1)는 종축(X)을 갖는 순환 챔버(3)를 구성할 수 있게 하는 원통형에 다소 근접한 형태를 갖는 본체(2)를 포함한다. 그 순환 챔버(3)는 유입 영역(4) 및 배출 영역(5)을 포함한다. 순환 시스템(6)이 그 순환 챔버(3) 내에 배치되고, 그 순환 시스템(6)은 유입 영역을 통하여 주변 공기를 흡입한 후, 그 공기가 순환 챔버(3)의 전체 길이에 걸쳐 유동할 수 있게 하고, 그 후 배출 영역(5)을 통하여 헤어드라이어(1)의 외부로 공기를 불어내도록 한다. 그 순환 시스템(6)은 유입 영역(4) 부근에 배치된 팬(7), 팬(7)의 회전구동을 가능하게 하는 모터(8), 및 팬(7)의 하류에 배치되고 그 팬(7)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유도할 수 있게 하는 정류기(9)를 포함한다. 헤어드라이어(1)는 또한 정류기(9)의 하류에 배치된 가열 요소(10)를 포함하며, 그 가열 요소는 공기가 배출 영역(5)을 통하여 배출되기 전에, 순환 챔버(3)의 하류 부분에서 공기를 가열할 수 있게 한다. 헤어드라이어(1)는 또한 모터(8)의 회전 속도 및 가열 요소(10)의 가열 온도를, 꺼짐 위치로부터 최고 출력 위치까지 개별적으로 변동할 수 있게 하는 모터(8)의 제어 수단 및 가열 요소(10)의 조절 수단(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그 모든 특성들은 헤어드라이어의 일반적 특성이고, 따라서 이하 명세서에서는 상세히 개시되지 않는다.
제1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유입 영역(4) 위치에서 팬(7)에 의해 흡입된 공기의 유도 수단의 구현을 목표로 한다. 그 공기 유도 수단은 유량 손실을 감소하고 특히 모터(8)의 작동, 팬(7)의 회전 및 순환 챔버(3) 내에서 순환하는 공기의 유속으로 인한 유해 소음을 경감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도 1 내지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수단은 순환 챔버(3)의 유입 영역(4)과 조립된 캡(12)(또는 덮개) 상에 배치된 베인들(11)로 구현된다.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에서는 4개의 베인(11a - 11d)이 캡(12) 상에 배치된다. 그러나 다른 개수의 베인, 바람직하게는 2개 내지 10개의 베인을 고려할 수 있다. 예시로서, 도 5 및 도 6에서는 2개의 베인(11a, 11b) 만이 캡(12) 상에 배치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베인들(11a - 11d)은 각각 헤어드라이어(1)의 상류를 향하여 개방되는 튤립의 형태를 갖는다. 그 외에, 베인들(11a - 11d)은 상기 베인들(11a -11d) 사이에서 3개의 흡기관(13a - 13c)을 구성하도록 그 베인들 간에 서로 규칙적으로 이격되도록 구성된다. 캡(12)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플의 형태를 갖는 벽(14a)이 있는 중앙 도관(14)을 포함한다. 그 외에 제4 베인(11d)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관(13d)을 구성하도록 그 벽(14a)에 대향하여 구성된다. 한편, 4개의 베인(11a - 11d)은 3개의 흡기관(13a - 13c)의 존재를 유지하면서 서로 차례로 부분적으로 커버하도록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제4 베인(11d) 및 벽(14a)은 상기 베인(11d)이 제4 흡기관(13d)의 존재를 유지하면서 상기 벽(14a)을 부분적으로 커버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그 부분적 커버는, 도 4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하나의 벽이 그 유입 영역(4)을 봉쇄하도록 그 유입 영역(4) 전방에 배치되는 것과 같이, 순환 챔버(3)의 유입 영역(4) 내에 배치된 중앙 도관(14)을 전체적으로 커버할 수 있게 한다. 이는 순환 챔버(3) 내부로 향하는 시선들을 차단할 수 있게 한다. 그 설계는 유리하게, 특히 모터(8), 팬(7)의 회전 및 순환하는 공기의 유속으로 인하여 발생된 음파가 그 흡기관들(13a - 13d)을 통하여 베인들(11a - 11d) 및 벽(14a) 상으로 리바운드하며 배출될 수 있게 하고, 이에 의해 음파가 약화된다. 나아가, 베인들(11a - 11d)의 그 튤립 형태는 유리하게, 흡기관들(13a - 13d)이 팬(7)까지의 선형 유동으로 흡입된 공기를 유도할 수 있게 하고, 이에 의해 유량 손실이 제한된다.
도 5 및 도 6의 변형 실시예에서는, 도 1 내지 도 4의 변형 실시예에 비교될만한 특성들로서, 서로 흡기관(13b)을 형성하는 단 2개의 베인(11a, 11b)이 있고, 제2 베인(11b)은 중앙 도관(14)의 벽(14a)과 함께 흡기관(13c)을 형성함을 알 수 있다. 그 외에 제1 튤립(11a)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 방향 흡기관(13a)을 갖도록 구성된다. 그 변형 실시예는 또한 캡(12)의 중앙 도관(14)에 대한, 따라서, 순환 챔버(3)의 유입 영역(4)에 대한 시각적 접근을,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흡기관들(13a - 13c)이 있음에도 차단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그것은 순환 챔버(3) 내부로의 시선을 차단하고, 흡기관들(13a - 13c)을 통하여 출력되어 베인들(11a, 11b) 및 벽(14a) 상에서 리바운드하는 음파를 약화할 수 있게 한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베인(11a)의 중앙에 배치된 축 방향 흡기관(13a)은 순환 챔버(3) 내로의 접근로를 유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축방향 흡기관(13a)의 단면은, 도 1 내지 도 4의 제1 베인과 비견되는 제1 베인(11a)을 우선시하기 위하여 축소될 것이고, 나아가 순환 챔버(3) 내로의 모든 시선을 차단하도록 제거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순환 챔버(3) 내에서 팬(7)의 주연부에서 역류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유입 영역(4) 내의 배기 시스템(15)을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팬(7)의 주연부 윤곽을 구성하는 팬(7)의 날개판(17)의 단부(16)들은 상기 부품들의 조립 상의 이유로, 순환 챔버(3)의 내벽(3a)에 대하여 이격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 평형이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팬(7)과 내벽(3a) 사이의 주연부 공간(18)이 존재하게 된다. 그에 따라, 팬(7)의 상류와 팬(7)의 하류 사이에서 큰 압력차이가 존재하는 것에 의해, 흡입된 공기의 일부분은 순환 챔버(3)의 하류를 향하여 불어 나가는 대신 팬(7)에 의하여 역류된다. 그러므로 배기 시스템(15)은 팬(7)에 의해 역류된 그 공기를 팬의 상류에서 순환 챔버(3) 내에 머무르게 하는 대신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한다. 이는 유리하게, 역류된 공기가 유입 영역(4) 내에서 난류를 생성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그 난류는 베인들(11a - 11b, 또는 11a - 11d)을 통하여 흡입되고 유도된 공기의 유동을 교란하는 지장을 초래할 것이다.
그 배기 시스템(15)은 바람직하게는 중앙 도관(14) 둘레로 배치된 배출 도관(19)의 존재를 이용하여 캡(12) 상에 구현된다. 그 배출 도관(19)은 헤어드라이어(1)의 2개의 변형 실시예를 위한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연부 공간(18) 근방에, 유입 영역(4)의 주연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팬(7)에 의해 역류된 공기는 팬(7)의 상류에서, 순환 챔버(3) 내에서 난류를 생성하기보다는 그 배출 도관(19)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며, 이는 흡기관들(13a - 13b 또는 13a - 13d)에 의해 흡입된 공기의 적합한 유동이 교란되는 것을 방지한다.
배출 도관(19)의 내벽(19a)은 중앙 도관(14)의 벽(14a)으로 구성되고,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배플의 형태를 갖는다. 배출 도관(19)의 외벽(19b) 또한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 보다는 도 5 및 도 6의 실시예에 더욱 명백히 개시된 배플의 형태를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갖는다. 그 2건의 경우에, 그 내벽(19a) 및 외벽(19b)의 형태는 배출 도관(19)이 배플 형태를 가질 수 있게 하며, 그 형태는 유리하게, 역류되고 배출 도관(19)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속도를 격감시킬 수 있게 한다. 이는 흡기관들(13a - 13c 또는 13a - 13d)을 통한 외부 공기 흡입이 교란되는 것을 방지한다. 배출 도관(19)의 그 배플 형태는 나아가 2개의 변형 실시예를 위한 도 4 및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베인들(11a - 11b 또는 11a - 11d)의 구성에 의해 발생되는 효과와 유사한 방식으로, 순환 챔버(3) 내로의 시선을 차단할 수 있게 한다. 그러므로 배출 도관(19)은 또한 상기 도관의 내벽(19a) 및 외벽(19b) 상으로 음파가 리바운드 되도록 강제하여 유해 소음을 경감시킬 수 있게 한다.
베인들(11a - 11b 또는 11a - 11d)의 튤립 형태는, 도 2 및 도 6에 특히 나타난 바와 같이, 헤어드라이어(1)의 종축(X) 방향이 아닌 측부들을 향하여 배향된 상류 단부들을 갖는 흡기관들(13a - 13c 또는 13a - 13d)을 구현할 수 있게 한다. 이는 외부 공기를 헤어드라이어(1)의 측부 상에서 흡입할 수 있게 한다. 나아가, 배출 도관(19)의 배플 형태는, 흡기관들(13a - 13c 또는 13a - 13d)의 상류 단부 근방에서, 측부 상으로 역류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게 한다. 이는 유리하게, 배출시 유속이 사전 격감되었던 그 역류 공기를 재흡입할 수 있게 한다.
도 5 및 도 6의 실시예에서, 캡(12)은 베인들(11a, 11b) 및 중앙 도관(14)의 벽(14a) 사이에 상기 베인들(11a, 11b)을 규칙적 간격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배치된 3개의 유지용 레그(20a, 20b, 20c)를 포함한다. 그 유지용 레그(20a, 20b, 20c)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12) 둘레에서 균일하게 분포된다. 그러한 유지용 레그들은 또한,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에서, 베인들(11a - 11d) 및 중앙 도관(14)의 벽(14a) 사이에서 고려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3개 또는 4개의 연결 지점(21a, 21b)들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소들의 상호 간의 상대적 위치를 유지하기 위하여, 캡(12) 상에서 내벽(19a)과 외벽(19b) 사이에 설치된다. 그러한 연결 지점들은 도 5 및 도 6의 실시예에서 고려될 수 있다. 그러한 연결 지점들은 또한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에서는 베인들(11a - 11d)과 벽(14a) 사이에 고려될 수 있고, 나아가 도 5 및 도 6의 실시예에서 베인들(11a, 11b)과 벽(14a) 사이에 고려될 수도 있다.
특히,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어드라이어(1) 본체(2)의 상류 단부(2a) 및 캡(12)의 하류 단부(12a)는, 예를 들어 팬(7)에 접근할 수 있도록, 상기 캡(12)의 착탈식 조립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캡(12)의 하류 단부(12a)를 본체(2)의 상류 단부(2a) 상에 상호 체결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으며, 나아가 하류 단부(12a)를 상류 단부(2a) 상에 스냅 고정할 수 있게 하는 유지용 핑거들(도시되지 않음)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다른 변형예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인들(11a - 11b 또는 11a - 11d) 및 중앙 도관(14)만을 포함하는 캡(12)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고, 그 경우 배출 도관(19)은 순환 챔버(3)의 유입 영역(4) 위치에서 본체(2) 상에 직접 배치될 것이다.

Claims (14)

  1. 유입 영역(4)과 배출 영역(5)을 구비한 공기 순환 챔버(3), 및 상기 유입 영역을 통하여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그 공기를 상류에서 하류로 상기 배출 영역까지 유동시키도록 상기 순환 챔버 내에 구성된 모터(8) 및 팬(7)을 포함하는 공기 순환 시스템(6)을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1)에 있어서,
    상기 헤어드라이어(1)는 상기 순환 챔버(3) 내에서 상기 팬(7)에 의하여 역류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유입 영역(4) 내에 구성된 배기 시스템(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1).
  2. 제1항에서, 상기 배기 시스템(15)은 상기 순환 챔버(3)의 내벽(3a)까지 도달하도록 상기 유입 영역(4) 내에 배치된, 회전대칭 형태를 갖는 도관(19)을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1).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배기 시스템(15)은 외부를 향하여 역류된 공기의 감속 수단을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배기 시스템(15)은 유해 소음 경감 수단을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배기 시스템(15)은 회전대칭 형태를 갖는 도관(19)으로 구성되고, 상기 도관은 종단면 내에서 배플 형태를 갖는, 헤어드라이어(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헤어드라이어(1)는 상기 유입 영역(4) 내에 상기 순환 챔버(3)와 조립된 캡(또는 덮개)(12)을 포함하고, 상기 캡은 적어도 상기 배기 시스템(15)을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1).
  7. 제6항에서, 착탈식 고정 수단이 상기 캡의 탈착을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순환 챔버(3)와 상기 캡(12) 사이에 구현되는, 헤어드라이어(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헤어드라이어(1)는 상기 유입 영역(4) 위치에 배치된 적어도 2개의 베인(11a, 11b, 11c, 11d)을 포함하고, 상기 베인들은 상기 베인들 사이에 상기 유입 영역에 대향하여 상기 팬을 향하도록 배향된 흡기관들(13a, 13b, 13c, 13d)을 형성하도록, 그리고 상기 순환 챔버의 내부로 향하는 시선들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헤어드라이어(1).
  9. 제8항에서, 상기 베인들(11a, 11b, 11c, 11d)은 각각 상류를 향하여 개방되는 튤립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흡기관들(13a, 13b, 13c, 13d)을 형성하도록 상호 간격을 두고 서로 중첩되어 있고, 상기 베인들은 상기 유입 영역(4)을 커버하도록 그리고 상기 순환 챔버(3)의 내부로 향하는 모든 시선을 차단하기 위해 서로 연이어 차례대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하도록 구성되는, 헤어드라이어(1).
  10. 제9항에서, 상기 헤어드라이어(1)는 2개 내지 10개의 튤립(11a, 11b, 11c, 11d)을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1).
  11. 제10항에서, 상기 헤어드라이어(1)는 2개 또는 4개의 튤립(11a, 11b, 11c, 11d)을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1).
  12. 제6항 또는 제7항의 종속항인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캡(또는 덮개)(12)은 상기 적어도 2개의 베인(11a, 11b, 11c, 11d)을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1).
  13. 제12항에서, 상기 캡(12)은 상기 베인들(11a, 11b, 11c, 11d) 사이의 상호 유지용 레그들(20a, 20b, 20c)을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1).
  14. 제8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적어도 2개의 베인(11a, 11b, 11c, 11d) 및 상기 배기 시스템(15)은, 상기 배기 시스템에 의해 역류된 공기가 상기 팬(7)에 의해 상기 흡기관들(13a, 13b, 13c, 13d)을 통하여 재흡입되게 하도록 구성되는, 헤어드라이어(1).
KR1020187005252A 2015-07-28 2016-07-08 최적화된 흡기관을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KR1025850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557228 2015-07-28
FR1557228A FR3039376B1 (fr) 2015-07-28 2015-07-28 Seche-cheveux avec une canalisation d'entree d'air optimisee
PCT/FR2016/051764 WO2017017332A1 (fr) 2015-07-28 2016-07-08 Seche-cheveux avec une canalisation d'entree d'air optimise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233A true KR20180035233A (ko) 2018-04-05
KR102585050B1 KR102585050B1 (ko) 2023-10-06

Family

ID=55759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5252A KR102585050B1 (ko) 2015-07-28 2016-07-08 최적화된 흡기관을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3328239B1 (ko)
KR (1) KR102585050B1 (ko)
CN (1) CN107847030B (ko)
BR (1) BR112018001554B1 (ko)
ES (1) ES2745032T3 (ko)
FR (1) FR3039376B1 (ko)
RU (1) RU2727533C1 (ko)
WO (1) WO2017017332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04998U (ko) * 1985-06-14 1986-12-24
GB2226493A (en) * 1988-11-30 1990-07-04 Moro Spina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hairdriers
JP3703112B2 (ja) * 1995-12-13 2005-10-05 九州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ヘアードライヤ
WO2013072625A1 (fr) * 2011-11-18 2013-05-23 Seb S.A. Seche-cheveux avec moyens particuliers de préhensio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52404A (ja) * 1989-03-28 1990-10-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送風機
US5956863A (en) * 1999-01-08 1999-09-28 Allen; Donavan J. Hair dryer apparatus and method
EP1222871B1 (de) * 2001-01-13 2004-09-15 WIK Far East Ltd Warmlufthaarpflegegerät
EP2255692A1 (en) * 2009-05-27 2010-12-01 Ondal Friseurtechnik GmbH Hair-dryer appliance
IT1401326B1 (it) * 2010-07-29 2013-07-18 Parlux S P A Dispositivo silenziatore per asciugacapelli.
CN201806125U (zh) * 2010-09-02 2011-04-27 美的集团有限公司 一种电吹风静音进风装置
FR2982747B1 (fr) * 2011-11-18 2014-01-10 Seb Sa Seche-cheveux avec ailettes concentriques
JP2013111226A (ja) * 2011-11-29 2013-06-10 Sharp Corp ドライヤ
US8959788B2 (en) * 2012-04-17 2015-02-24 Joan Hada Hair dryer and smooth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04998U (ko) * 1985-06-14 1986-12-24
GB2226493A (en) * 1988-11-30 1990-07-04 Moro Spina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hairdriers
JP3703112B2 (ja) * 1995-12-13 2005-10-05 九州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ヘアードライヤ
WO2013072625A1 (fr) * 2011-11-18 2013-05-23 Seb S.A. Seche-cheveux avec moyens particuliers de préhen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8001554B1 (pt) 2022-08-09
CN107847030B (zh) 2020-11-13
FR3039376A1 (fr) 2017-02-03
RU2727533C1 (ru) 2020-07-22
FR3039376B1 (fr) 2017-09-01
BR112018001554A2 (pt) 2018-09-18
WO2017017332A1 (fr) 2017-02-02
CN107847030A (zh) 2018-03-27
EP3328239A1 (fr) 2018-06-06
ES2745032T3 (es) 2020-02-27
EP3328239B1 (fr) 2019-08-07
KR102585050B1 (ko) 2023-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09066B2 (ja) 手持ち式電気器具
KR100985378B1 (ko) 날개없는 공기순환용 송풍기
TWI548813B (zh) A fanless fan with air cleaning function
US8893400B2 (en) Hair dryer having a passive silencer system
EP3047751A1 (en) Hair dryer
JP6221046B2 (ja) 送風装置
CN107002708B (zh) 离心式鼓风机
KR20180034531A (ko) 코안다 효과를 갖는 배기관을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JP6405529B2 (ja) 送風装置
KR102585671B1 (ko) 최적화된 음향 성능을 갖는 흡기관을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JP6375821B2 (ja) 遠心送風機及びこれを備えた空気清浄機
CN106594833B (zh) 一种吸油烟机的引射辅助装置
KR20180035233A (ko) 최적화된 흡기관을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KR101458567B1 (ko) 풍량확대형 저소음 헤어드라이어
JP2005282578A (ja) 渦流ファン
JP5014296B2 (ja) シロッコファン、およびそれを具備した空気調和機
KR101538292B1 (ko) 저소음 헤어드라이어
KR102027283B1 (ko) 소음 저감 장치
JP6731713B2 (ja) 送風装置
IT201900006861A1 (it) Ventilatore centrifugo con struttura fonoassorbente per sistemi HVAC automotive
JP2014238195A (ja) 送風装置
JP2013217292A (ja) 送風装置
ES2565217T3 (es) Procedimiento de medida del ruido de un secador de pelo
KR20130020274A (ko) 날개없는 선풍기
KR20200101054A (ko) 공기청정기능을 구비하는 서큘레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