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5088A - 터치 입력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입력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5088A
KR20180035088A KR1020160125144A KR20160125144A KR20180035088A KR 20180035088 A KR20180035088 A KR 20180035088A KR 1020160125144 A KR1020160125144 A KR 1020160125144A KR 20160125144 A KR20160125144 A KR 20160125144A KR 20180035088 A KR20180035088 A KR 20180035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input
character
time
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5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6729B1 (ko
Inventor
석동희
권기덕
이종복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5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6729B1/ko
Publication of KR20180035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5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6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6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06K9/0040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32Digital 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터치 입력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제어방법에 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터치 명령에 기초하여 문자 입력 속도를 측정하고, 그에 기초하여 문자 입력 속도에 차이가 있는 사용자 별로 정확한 문자 입력을 구현하는 터치 입력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제어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는, 문자를 입력하는 터치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 입력 받은 터치 명령에 기초하여 문자 입력 속도를 결정하고, 결정된 문자 입력 속도에 기초하여 문자 인식 대기시간을 결정하고, 결정된 문자 인식 대기시간에 기초하여 문자 입력의 종료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터치 입력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제어방법{CONTROLLING APPARATUS USING TOUCH INPUT, VEHICLE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 입력장치 및 제어방법, 이러한 터치 입력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통신 기술의 발전을 통해 다양한 전자기기들이 만들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전자기기들은 점차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과 더불어 디자인의 수려함을 강조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강조되는 것은 키보드 혹은 키패드로 대표되던 입력장치의 다변화이다.
터치 입력장치는 각종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하는 정보통신기기와 사용자 간의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입력장치 중 하나로,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펜 등의 입력도구를 이용하여 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을 직접 접촉하거나 이에 근접함으로써 정보통신기기와 사용자 간의 인터페이스가 가능하게 해준다.
터치 입력장치는 손가락 또는 터치펜 등의 입력도구를 접촉하는 것만으로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ATM(Automated Teller Machi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핸드폰 등 다양한 기기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그 분야 역시도 은행, 관공서, 관광 및 교통안내 등 많은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건강 또는 의료 관련 제품과 차량에도 터치 입력장치를 적용하려는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다. 이러한 터치 입력장치는 터치스크린에서 구현되거나 디스플레이장치와 별도로도 사용될 수 있으므로 그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터치 입력장치의 터치 패널이나 디지타이져 등과 같은 객체 지향적인 문자 입력장치를 통해 펜이나 손 등과 같은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된 문자를 정확히 인식하는 것은 문자가 어떠한 문자인지를 정확히 알아낼 수 있어야 함과 동시에 문자 입력이 완료되었음을 정확히 알아 낼 수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 특히, 한글과 같이 초성, 중성, 종성의 자모들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는 문자의 경우 입력되는 문자를 보다 정확히 인식할 수 있어야 하는 바, 근래에는 이와 관련된 연구가 진행중이다.
사용자가 입력하는 터치 명령에 기초하여 문자 입력 속도를 측정하고, 그에 기초하여 문자 입력 속도에 차이가 있는 사용자 별로 정확한 문자 입력을 구현하는 터치 입력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는,
문자를 입력하는 터치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 받은 터치 명령에 기초하여 문자 입력 속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문자 입력 속도에 기초하여 문자 인식 대기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문자 인식 대기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문자 입력의 종료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터치 명령의 터치 거리 및 터치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문자 입력 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거리의 미리 정해진 단위 거리만큼 문자를 입력하는 동안 걸린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문자 입력 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문자 입력 속도가 미리 정해진 속도보다 빠르면, 상기 문자 인식 대기시간을 미리 정해진 시간보다 짧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문자 입력 속도가 미리 정해진 속도보다 느리면, 상기 문자 인식 대기시간을 미리 정해진 시간보다 길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명령의 터치 시작 시점 및 터치 종료 시점을 결정하고, 상기 터치 종료 시점과 상기 터치 종료 시점 이후에 입력되는 터치 시작 시점 사이의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시간이 상기 결정된 문자 인식 대기시간보다 짧으면 상기 문자 입력이 종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시간이 상기 결정된 문자 인식 대기시간보다 길면 상기 문자 입력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명령을 입력하는 수단이 상기 입력부에 접촉하는 시점을 상기 터치 명령의 터치 시작 시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명령을 입력하는 수단과 상기 입력부의 접촉이 분리되는 시점을 상기 터치 명령의 터치 종료 시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 제어방법은,
문자를 입력하는 터치 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입력 받은 터치 명령에 기초하여 문자 입력 속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문자 입력 속도에 기초하여 문자 인식 대기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문자 인식 대기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문자 입력의 종료 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상기 문자 입력 속도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입력된 터치 명령의 터치 거리 및 터치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문자 입력 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자 입력 속도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터치 거리의 미리 정해진 단위 거리만큼 문자를 입력하는 동안 걸린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문자 입력 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자 인식 대기시간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결정된 문자 입력 속도가 미리 정해진 속도보다 빠르면, 상기 문자 인식 대기시간을 미리 정해진 시간보다 짧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자 인식 대기시간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결정된 문자 입력 속도가 미리 정해진 속도보다 느리면, 상기 문자 인식 대기시간을 미리 정해진 시간보다 길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명령의 터치 시작 시점 및 터치 종료 시점을 결정하고, 상기 터치 종료 시점과 상기 터치 종료 시점 이후에 입력되는 터치 시작 시점 사이의 시간을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자 입력의 종료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결정된 시간이 상기 결정된 문자 인식 대기시간보다 짧으면 상기 문자 입력이 종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자 입력의 종료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결정된 시간이 상기 결정된 문자 인식 대기시간보다 길면 상기 문자 입력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시작 시점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터치 명령을 입력하는 수단이 상기 입력부에 접촉하는 시점을 상기 터치 명령의 터치 시작 시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종료 시점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터치 명령을 입력하는 수단과 상기 입력부의 접촉이 분리되는 시점을 상기 터치 명령의 터치 종료 시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상기 터치 입력장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일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하는 터치 명령에 기초하여 문자 입력 속도를 측정하고, 그에 기초하여 문자 입력의 종료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사용자의 문자 입력 속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정확한 문자 인식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의 예시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터치 입력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터치 입력장치를 터치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조작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입력된 터치 명령에 기초하여 문자 입력 속도를 결정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의 종료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의 조합으로 결정되는 단어의 후보군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가 새로운 단어의 시작인지 여부를 인식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가 마련된 차량의 실내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가 설치된 기어박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개시된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 및 장치는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개시된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개시된 실시예들은 개시된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개시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개시된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개시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개시된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개시된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개시된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개시된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터치 입력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제어방법의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개시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내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의 예시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입력장치는 각종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하는 정보통신기기와 사용자 간의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입력장치 중 하나로,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펜 등의 입력 수단을 통해 터치패널 또는 터치 스크린을 직접 접촉하거나 근접함으로써 정보통신 기기와 사용자 간의 인터페이스가 가능하게 해준다.
도 1을 참고하면, 터치 입력장치는 태블릿(a), 모바일 디바이스(b), 차량의 AVN 장치(c), TV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d) 등에서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러한 터치 입력장치를 터치하여 터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터치 입력장치의 입력부는 일반적인 터치 입력장치에서처럼 터치패널 또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터치 입력장치에 마련된 입력부에 손가락이나 터치펜를 통해 직접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터치 입력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는 다양한 정보통신기기에서 구현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차량에 마련된 터치 입력장치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200)는 사용자가 터치하여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는 제스처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제스처 입력수단은 사용자가 터치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중앙부에 마련된 입력부(210)와, 입력부(210)의 외곽에 위치하는 스와이핑 입력수단(2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와이핑 입력수단(220)은 스와이핑 제스처가 입력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부분을 의미하고, 스와이프(Swype)는 터치패드에서 포인터를 떼지 않은 상태로 제스처를 입력하는 것을 의미한다.
터치 입력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 문자 또는 제스처를 입력 받을 수 있는 입력부(210), 스와이핑 입력수단(220)과, 스와이핑 입력수단(220) 의 주위를 둘러싸는 테두리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10) 및 스와이핑 입력수단(220)은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터치펜 등의 포인터로 접촉하거나 근접하는 경우 신호가 입력되는 터치패드일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210) 및 스와이핑 입력수단(220)에 미리 정해진 터치 제스처를 입력하여 원하는 지시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터치패드는 그 명칭에 불구하고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터치필름 또는 터치시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치패드는 스크린에 터치가 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인 터치패널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포인터가 터치패드에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한 상태에서 포인터의 위치를 인식하는 것을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하고, 포인터가 터치패드에 접촉하는 경우 위치를 인식하는 것을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한다. 이 때,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는 포인터가 터치패드에 근접할 때 포인터가 터치패드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일 수 있다.
터치패드는 저항막 방식, 광학 방식, 정전용량 방식, 초음파 방식, 또는 압력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즉, 공지된 다양한 방식의 터치패드를 사용할 수 있다.
테두리부(230)는 스와이핑 입력수단(220)의 주위를 둘러싸는 부분을 의미하며, 입력부(210) 및 스와이핑 입력수단(220)과 별도의 부재로 마련될 수 있다. 테두리부(230)에는 스와이핑 입력수단(220)을 둘러싸는 키 버튼(232a, 232b) 또는 터치 버튼(231a, 231b, 231c)이 위치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입력부(210) 및 스와이핑 입력수단(220)을 통해 제스처를 입력하거나 문자를 입력할 수도 있고, 스와이핑 입력수단(220) 주위의 테두리부(230)에 마련되는 버튼(231, 232)을 이용하여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200)는 입력부(210) 및 스와이핑 입력수단(220)의 하부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손목을 지지하는 손목 지지수단(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손목 지지수단(240)은 입력부(210) 및 스와이핑 입력수단(220)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손목 지지수단(240)에 손목을 지지한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입력부(210) 및 스와이핑 입력수단(220)에 제스처를 입력할 때 손목이 꺾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근곤격계 질환을 방지하고 보다 편안한 조작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터치 입력장치를 터치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조작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터치 입력장치(200)의 입력부(210)를 터치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손가락 또는 터치 펜 등을 이용하여 입력부(210)를 스와이핑 하거나 입력부(210)에 직접 글씨를 씀으로써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문자를 빠르게 입력할 수도 있고, 천천히 입력할 수도 있는데, 사용자가 입력부(210)에 글씨를 씀으로써 문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단어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입력하는 속도의 차이에 따라 터치 입력장치(200)는 입력된 문자를 하나의 단어로 인식할 수도 있고, 문자 자체로만 인식할 수도 있다. 따라서, 터치 입력장치(200)는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하는 속도에 따라 연속적인 문자들의 입력으로 인한 단어의 입력을 정확하게 인식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사용자는 문자를 입력하는 것 이외에도 입력부(210)에 제스처를 그림으로써 동작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터치 입력장치(200)는 그 내부에 동작과 관련된 각종 부품을 내장할 수 있다. 터치 입력장치(200) 내부에는 각종 반도체 칩 및 인쇄회로기판 등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반도체 칩은 인쇄회로기판에 실장 되어 있을 수 있다. 반도체 칩은 정보 처리를 수행하거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반도체 칩은 터치 입력장치(200)에 가해지는 외력, 입력부(210) 및 스와이핑 입력수단(220)에서 인식되는 제스처, 또는 터치 입력장치(200)에 마련되는 버튼(231, 232)의 조작에 따라 생성된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해석하고, 해석된 내용에 따라 소정의 제어 신호를 생성한 후, 이를 타 장치의 제어부나 디스플레이장치 등에 전달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 문자를 입력하는 터치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210), 입력 받은 터치 명령에 기초하여 문자 입력 속도를 결정하고, 결정된 문자 입력 속도에 기초하여 문자 인식 대기시간을 결정하고, 결정된 문자 인식 대기시간에 기초하여 문자 입력의 종료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240), 터치 입력장치(200)의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입력부(210)를 터치 함으로써 문자를 입력할 수 있고, 입력된 터치 명령에 기초하여 제어부(240)는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를 인식할 수 있다.
입력부(210)는 사용작가 손가락 또는 터치펜 등의 포인터로 접촉하거나 근접하는 경우 신호가 입력되는 터치패드(2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패드(211)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터치 필름 또는 터치 시트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스크린에 터치가 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인 터치패널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240)는 사용자가 입력한 터치 명령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문자 입력 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된 터치 명령의 거리 및 터치 시간에 기초하여 문자 입력 속도를 결정할 수 있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입력부(210)를 통한 터치 거리의 미리 정해진 단위 거리만큼 문자를 입력하는 동안 걸린 시간에 기초하여 문자 입력 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결정된 문자 입력 속도에 기초하여 문자 인식 대기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문자 입력 속도를 결정하여 이와 미리 정해진 값을 비교할 수 있고, 결정된 문자 입력 속도가 미리 정해진 속도보다 빠르면 문자 인식 대기시간을 미리 정해진 시간보다 짧게 결정할 수 있다. 반면, 결정된 문자 입력 속도가 미리 정해진 속도보다 느리면 문자 인식 대기시간을 미리 정해진 시간보다 길게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 입력된 문자들의 조합에 의해 단어가 생성되어 단어에 대한 데이터가 입력될 수도 있고, 단어가 아닌 문자 그 자체에 대한 데이터가 입력될 수도 있는데, 사용자가 입력하는 터치 명령이 단어를 생성하는 문자 입력인지, 아니면 단순한 단어를 입력하는 명령인지 판단하기 위한 시간을 문자 인식 대기시간으로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갑' 이라는 단어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ㄱ', 'ㅏ', 'ㅂ'을 순차적으로 입력하는데, 'ㄱ'을 입력하고 'ㅏ'를 입력하는 사이의 시간 및 'ㅏ'를 입력하고 'ㅂ'을 입력하는 사이의 시간을 문자 인식 대기시간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문자 인식 대기시간의 차이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 입력 명령은 '갑'이라는 한 단어로 인식될 수도 있고, '가'와 'ㅂ'으로 분리되어 인식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갑'을 입력하려고 하였으나, '가'를 입력 후 'ㅂ'을 늦게 입력하는 경우 터치 입력장치(200)가 '갑'이 아닌 '가'와 'ㅂ'으로 분리하여 인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문자 입력의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40)는 사용자의 문자 입력 속도를 판단하고 그로부터 결정된 시간과 상술한 문자 인식 대기시간을 비교하여 사용자의 의도대로 문자를 인식해야 한다.
제어부(240)가 문자 인식 대기시간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자의 문자 입력 속도와 비교하는 미리 정해진 속도에 관한 데이터 및 미리 정해진 문자 인식 시간에 대한 데이터는 저장부(250)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결정된 문자 인식 대기시간에 기초하여 문자 입력의 종료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이에 앞서, 사용자가 입력하는 터치 명령의 터치 시작 시점 및 터치 종료 시점을 결정할 수 있고, 터치 종료 시점과 터치 종료 시점 이후에 입력되는 터치 시작 시점 사이의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터치 시작 시점은 터치 명령을 입력하는 수단이 입력부(210)에 접촉하는 시점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이 때 터치 명령을 입력하는 수단은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터치펜 등일 수 있다. 또한, 터치 종료 시점은 터치 명령을 입력하는 수단과 입력부(210)의 접촉이 분리되는 시점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어부(240)는 터치 종료 시점과 터치 종료 시점 이후에 입력되는 터치 시작 시점 사이의 시간을 결정하여, 결정된 시간을 문자 인식 대기시간과 비교할 수 있고, 결정된 시간이 문자 인식 대기시간보다 짧으면 문자 입력이 종료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결정된 시간이 문자 인식 대기시간보다 길면 문자 입력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갑'이라는 단어를 입력하는 경우, '가' 입력 후 'ㅂ'을 입력할 때까지의 시간이 문자 인식 대기시간보다 짧으면 문자 입력이 종료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며 따라서, 사용자가 '갑'을 입력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반면, '가' 입력 후 'ㅂ'을 입력할 때까지의 시간이 문자 인식 대기시간보다 길면 제어부(240)는 '가'가 입력된 후 문자 입력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따라서, '가' 입력 후 별개로 'ㅂ'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5내지 도 6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러한 제어부(240)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250)는 터치 입력장치(200)의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저장부(250)는 사용자의 문자 입력 속도와 비교하는 미리 정해진 속도에 관한 데이터 및 미리 정해진 문자 인식 시간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제어부(240)에 의해 결정된 사용자의 문자 입력 속도, 그로부터 결정된 문자 인식 대기시간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저장부(250)는 예를 들어,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 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저장부(250)는 차량과 탈착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600)는 CF 카드(Compact Flash Card),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SM카드(Smart Media Card),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입력된 터치 명령에 기초하여 문자 입력 속도를 결정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터치 입력장치(200)의 입력부(210)를 터치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입력부(210)에 직접 글씨를 쓰는 터치 명령을 통해 'A'를 입력할 수 있다. 같은 문자라도 사용자 별로 입력하는 방식이나 순서가 상이할 수 있으므로,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은 도 5에 도시된 입력 순서에 구속되지 않는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A'라는 문자를 입력할 때, 3개의 획을 순차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데, 먼저 ① 번 획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오른쪽 위에서 왼쪽 아래로 획을 긋는 입력을 할 수 있다. 즉, 터치 명령을 입력하는 수단이 입력부(210)에 접촉하는 시점인 터치 시작 시점(31)에서 터치 명령을 입력하는 수단과 입력부(210)의 접촉이 분리되는 시점인 터치 종료 시점(32)으로 획을 그음으로써 문자 입력을 할 수 있다.
②번 획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왼쪽 위에서 오른쪽 아래로 획을 긋는 입력을 할 수 있는데, ① 에서와 마찬가지로 터치 시작 시점(33)에서 터치 종료 시점(34)으로 획을 그음으로써 문자 입력을 할 수 있다. ③번 획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획을 긋는 입력을 할 수 있는데, 터치 시작 시점(35)에서 터치 종료 시점(36)으로 획을 그음으로써 문자 입력을 할 수 있다.
따라서, ① 내지 ③의 획 입력을 통해 사용자는 'A'라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사용자의 문자 입력 명령에 기초하여 문자 입력 속도를 결정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①번 획을 입력할 때의 터치 거리 및 터치 시간에 기초하여 문자 입력 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①번 획을 입력하는 터치 거리에 대한 미리 정해진 단위 거리(d)만큼 터치 입력을 하는 동안 걸린 시간을 통해 문자 입력 속도를 결정한다. 이러한 단위 거리(d)에 대한 데이터는 미리 설정되어 저장부(25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어부(240)가 문자 입력 속도를 결정할 때 새롭게 갱신한 데이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제어부(240)는 사용자가 단위 거리(d)를 얼만큼의 시간으로 터치하고 지나갔는지를 인식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해당 사용자의 문자 입력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A'라는 단어를 입력하기 위해 ① 내지 ③의 획을 입력할 때,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면서 문자 입력을 하므로 ①번 획을 입력할 때 산출한 문자 입력 속도로 ②번, ③번 획을 입력할 것이라고 봄이 일반적이다.
제어부(240)는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하는 동안 단위 거리 별로 연속하여 문자 입력 속도를 산출할 수 있고, 이렇게 산출한 문자 입력 속도의 평균값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문자 입력 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240)가 결정한 사용자의 문자 입력 속도가 미리 정해진 속도보다 빠른 경우에는 해당 사용자를 문자 입력 속도가 빠른 사람으로 판단할 수 있고, 반면 제어부(240)가 결정한 사용자의 문자 입력 속도가 미리 정해진 속도보다 느린 경우에는 해당 사용자를 문자 입력 속도가 느린 사람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240)가 사용자를 문자 입력 속도가 빠른 사람으로 판단한 경우, 문자 인식 대기시간을 미리 정해진 시간보다 짧게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250)에 기본적으로 저장된 문자 인식 대기시간이 500ms이면,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할 때 500ms 동안 문자의 입력이 없으면, 문자 입력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240)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터치 명령의 터치 시작 시점과 터치 종료 시점을 결정할 수 있고, 이러한 터치 종료 시점과 터치 종료 시점 이후에 입력되는 터치 시작 시점 사이의 시간이 500ms 보다 짧으면 문자 입력이 종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500ms 보다 길면 해당 문자 입력은 종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240)가 사용자를 문자 입력 속도가 빠른 사람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문자 인식 대기시간을 500ms보다 짧은 300ms로 결정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해당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할 때 300ms 동안 문자의 입력이 없으면, 문자 입력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제어부(240)가 사용자를 문자 입력 속도가 느린 사람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문자 인식 대기시간을 500ms보다 긴 600ms로 결정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해당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할 때 600ms 동안 문자의 입력이 없으면, 문자 입력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의 종료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터치 입력장치(200)의 입력부(210)에 글씨를 쓰는 터치 명령을 입력함으로써 'A', 'R', 'M', 'Y'라는 문자를 각각 입력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240)는 사용자가 입력한 각 문자들의 조합을 통해 'ARMY'라는 단어를 인식할 수도 있고, 'ARM' 과 'Y'라는 분리된 단어 및 문자로 인식할 수도 있다. 이는 사용자의 문자 입력 속도 및 제어부(240)의 문자 종료 여부 판단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5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제어부(240)는 사용자가 'A', 'R', 'M', 'Y'라는 문자를 입력하는 터치 명령에 있어서, 터치 시작 시점(31, 33, 35, 41, 43, 51, 53, 61, 63) 및 터치 종료 시점(32, 34, 36, 42, 44, 52, 54, 62, 64)을 결정할 수 있다.
도 5의 설명을 참조하면, 제어부(240)는 'A' 문자를 입력할 때 ①번 단계에서 사용자의 문자 입력 속도를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문자 입력 속도를 미리 정해진 속도와 비교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사용자가 문자를 빠르게 입력하는 사람인지 느리게 입력하는 사람인지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240)의 판단 결과, 사용자가 문자를 빠르게 입력하는 사람으로 결정되면, 문자 인식 대기시간을 미리 정해진 시간보다 짧게 설정할 수 있다.
즉, 전술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문자를 빠르게 입력하는 사용자의 문자 인식 대기시간이 300ms로 결정된 경우, 제어부(240)는 300ms 이내에 문자 입력이 있으면 문자 입력이 종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300ms 이내에 문자 입력이 없으면 그 시점까지 입력된 문자로서 입력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240)가 문자 입력의 종료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시점은, 입력되는 문자와 문자 사이의 시간을 기초로 문자 인식 대기시간과 비교하여 결정되는 것이므로, 각각의 문자를 입력함에 있어 터치 시작 시점 및 터치 종료 시점을 기초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A', 'R', 'M', 'Y'라는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 'A', 'R', 'M', 'Y' 각각의 입력 사이에 해당하는 시간과 제어부(240)가 결정한 문자 인식 대기시간을 비교하여 문자 입력의 종료 여부를 판단하므로, 'A' 입력시의 터치 종료 시점(36), 'R' 입력시의 터치 시작 시점(41) 및 터치 종료 시점(44), 'M' 입력시의 터치 시작 시점(51) 및 터치 종료 시점(54), 'Y' 입력시의 터치 시작 시점(61) 및 터치 종료 시점(64)이 판단 기준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A'를 입력하고 순차적으로 'R'을 입력하는 경우, 제어부(240)는 'A'입력 단계의 터치 종료 시점(36)과 'R' 입력 단계의 터치 시작 시점(41) 사이의 시간이 문자 인식 대기시간(예를 들어, 300ms) 내에 있으면, 문자 입력이 종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가 'A', 'R'을 연속해서 입력하여 일 단어를 구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제어부(240)는 'A'입력 단계의 터치 종료 시점(36)과 'R' 입력 단계의 터치 시작 시점(41) 사이의 시간이 문자 인식 대기시간(예를 들어, 300ms) 내에 있지 않으면, 'A'까지 입력된 후 문자 입력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가 'A' 입력 후 별개의 문자인 'R'을 입력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같은 맥락에서, 제어부(240)는 'M' 입력 단계의 터치 종료 시점(54)과 'Y' 입력 단계의 터치 시작 시점(61) 사이의 시간이 문자 인식 대기시간 내에 있으면, 문자 입력이 종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가 'M', 'Y'를 연속해서 입력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제어부(240)는 'M' 입력 단계의 터치 종료 시점(54)과 'Y' 입력 단계의 터치 시작 시점(61) 사이의 시간이 문자 인식 대기시간 내에 있지 않으면, 'M'까지 입력된 후 문자 입력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가 'M' 입력 후 별개의 문자인 'Y'를 입력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A' 입력 단계의 터치 종료 시점(36)과 'R' 입력 단계의 터치 시작 시점(41) 사이의 시간, 'R' 입력 단계의 터치 종료 시점(44)과 'M' 입력 단계의 터치 시작 시점(51) 사이의 시간, 'M' 입력 단계의 터치 종료 시점(54)과 'Y' 입력 단계의 터치 시작 시점(61) 사이의 시간이 문자 인식 대기시간 내에 있으면, 제어부(240)는 사용자가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한 단어가 'ARMY'라고 인식할 수 있다.
다만, 'A' 입력 단계의 터치 종료 시점(36)과 'R' 입력 단계의 터치 시작 시점(41) 사이의 시간, 'R' 입력 단계의 터치 종료 시점(44)과 'M' 입력 단계의 터치 시작 시점(51) 사이의 시간은 문자 인식 대기시간 내에 있으나, 'M' 입력 단계의 터치 종료 시점(54)과 'Y' 입력 단계의 터치 시작 시점(61) 사이의 시간이 문자 인식 대기시간 내에 있지 않으면, 제어부(240)는 사용자가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한 단어가 'ARM'과 별개의 문자인 'Y'를 각각 입력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즉, 제어부(240)는 사용자의 문자 입력 속도를 판단하고, 문자와 문자 사이의 입력 시간이 문자 인식 대기시간 내인지 판단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문자의 조합을 다르게 판단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의 조합으로 결정되는 단어의 후보군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터치 입력장치(200)에 문자를 입력하는 사용자에 따라, 문자 입력 속도가 빠른 사람도 있고, 문자 입력 속도가 느린 사람도 있다. 문자 입력 속도가 빠른 사람은 신속한 문자 입력이 가능하지만, 반면에 문자 입력에 있어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40)는 사용자의 문자 입력에 기초하여 입력된 문자로 만들어 질 수 있는 단어의 후보군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ㄱ', 'ㅏ'를 입력할 수 있고, 제어부(240)는 저장부(250)에 저장된 '가'와 결합되어 단어를 만드는 조합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후보군(400)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공되는 후보군(400)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302) 또는 차량의 AVN 장치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가'와 결합되어 만들어지는 단어의 조합으로 표시되는 것은 예를 들면, '강(401)', '감(402)', '각(403)', '간(404)', '갑(405)', '갈(406)', '강(407)' 등이 있을 수 있고 이 외의 단어들도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후보군(400)으로 표시된 단어들 중에서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가'를 입력하고, 순차적으로 'ㅂ'을 입력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240)는 '가'를 입력하는 경우에 있어서, ③단계 입력에서의 터치 종료 시점(76)과 'ㅂ'을 입력하는 경우에 있어서, ①단계 입력에서의 터치 시작 시점(81) 사이의 시간이 제어부(240)가 결정한 문자 인식 대기시간 내에 있으면, 문자 입력이 종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가 '갑'을 입력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가'를 입력하는 경우에 있어서, ③단계 입력에서의 터치 종료 시점(76)과 'ㅂ'을 입력하는 경우에 있어서, ①단계 입력에서의 터치 시작 시점(81) 사이의 시간이 제어부(240)가 결정한 문자 인식 대기시간 내에 있지 않으면 '가' 까지 입력 후, 문자 입력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가 '가'를 입력하고 별개의 문자인 'ㅂ'을 입력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가 새로운 단어의 시작인지 여부를 인식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터치 입력장치(200)의 입력부(210)는 4개의 영역(210a, 210b, 210c, 210d)으로 나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210)의 4개의 영역 중 어느 하나를 임의로 터치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고, 제어부(240)는 사용자가 터치한 영역이 어느 곳인지 인식할 수 있다.
일반적인 단어를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는 입력부(210)의 제 1영역(210a)을 터치함으로써 문자를 입력하므로 제어부(24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입력부(240)의 제 1영역(210a)에서 시작되면, 새로운 단어의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ㄱ'을 입력할 때, 터치 시작 시점(71)이 제 1영역(210a)에 위치할 수 있고, 제어부(240)는 이를 새로운 단어의 시작으로 인식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종료 시점과 터치 종료 시점 이후에 입력되는 터치 시작 시점 사이의 시간을 문자 인식 대기시간과 비교하여 문자 입력의 종료 여부를 판단함과 동시에, 입력부(210)의 4개의 영역(210a, 210b, 210c, 210d) 중 어느 영역에 터치 시작 시점이 위치하는지 참고하여 새로운 단어의 입력을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새로운 단어의 입력을 위한 터치 시작 시점(71)의 위치가 반드시 제 1영역(210a)에 위치하는 것은 아니므로, 입력부(210)의 4개의 영역에 대한 제어부(240)의 판단에 구속되지 않는다.
도 9 내지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터치 입력장치(200)의 입력부(210)를 통해서 문자를 입력하는 터치 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1000), 제어부(240)는 입력 받은 터치 명령에 기초하여 문자 입력 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1100). 문자 입력 속도를 결정하는 것은 사용자가 문자를 빨리 입력하는 사람인지 천천히 입력하는 사람인지 결정하기 위함이다.
제어부(240)가 문자 입력 속도를 결정하는 것은, 입력 받은 터치 명령의 터치 거리를 판단하고(1110), 터치 거리의 미리 정해진 단위 거리를 판단하고(1120), 단위 거리 만큼 문자를 입력하는 동안 걸린 시간을 측정(1130)하여 문자 입력 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1140). 이에 대해서는 도 5에서 상술하였는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240)는 결정된 문자 입력 속도에 기초하여 문자 인식 대기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1150). 이 때, 제어부(240)는 앞서 결정된 문자 입력 속도가 미리 정해진 속도보다 빠른지 판단할 수 있고(1145), 판단 결과, 사용자의 문자 입력 속도가 미리 정해진 속도보다 빠른 경우에는 해당 사용자를 문자 입력 속도가 빠른 사람으로 판단해서, 문자 인식 대기시간을 미리 정해진 시간보다 짧게 결정할 수 있다(1152).
반면, 제어부(240)의 판단 결과, 사용자의 문자 입력 속도가 미리 정해진 속도보다 느린 경우에는 해당 사용자를 문자 입력 속도가 느린 사람으로 판단해서, 문자 인식 대기시간을 미리 정해진 시간보다 길게 결정할 수 있다(1151).
제어부(240)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터치 명령의 터치 시작 시점 및 터치 종료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1200). 즉, 터치 시작 시점은 터치 명령을 입력하는 수단이 입력부(210)에 접촉하는 시점이고, 터치 종료 시점은 터치 명령을 입력하는 수단과 입력부(210)의 접촉이 분리되는 시점이다.
제어부(240)는 터치 종료 시점과 터치 종료 시점 이후에 입력되는 터치 시작 시점 사이의 시간을 결정할 수 있고(1300), 결정한 시간을 문자 인식 대기시간과 비교할 수 있다(1400).
비교 결과, 터치 종료 시점과 터치 종료 시점 이후에 입력되는 터치 시작 시점 사이의 시간이 문자 인식 대기시간보다 짧으면 문자 입력이 종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문자는 현재 입력되고 있는 단어의 일부를 구성하게 된다.
반면, 터치 종료 시점과 터치 종료 시점 이후에 입력되는 터치 시작 시점 사이의 시간이 문자 인식 대기시간보다 길면 문자 입력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하여(1500). 이후에 사용자가 입력하는 문자는 별개의 단어를 구성하는 것이 된다.
즉, 제어부(240)는 사용자의 문자 입력 속도를 판단하고, 문자와 문자 사이의 입력 시간이 문자 인식 대기시간 내인지 판단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문자의 조합을 다르게 판단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의 터치 입력장치(200)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은 도 5 내지 도 6에서 상술하였는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가 마련된 차량의 실내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가 설치된 기어박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차량(1)은 운전자 등이 탑승하는 시트(21)와, 기어박스(300), 센터페시아(22) 및 스티어링휠(23) 등이 마련된 대시보드(24)(dashboard)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페시아(22)에는 공조장치(310), 시계(312), 오디오장치(313) 및 AVN 장치(314) 등이 설치될 수 있다.
공조장치(310)는 차량(1) 내부의 온도, 습도, 공기의 청정도,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여 차량(1)의 내부를 쾌적하게 유지한다. 공조장치(310)는 센터페시아(22)에 설치되고 공기를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311)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페시아(22)에는 공조장치(310) 등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나 다이얼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운전자 등의 사용자는 센터페시아(22)에 배치된 버튼을 이용하여 공조장치(310)를 제어할 수 있다.
시계(312)는 공조장치(310)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나 다이얼 주위에 마련될 수 있다.
오디오장치(313)는 오디오장치(313)의 기능 수행을 위한 다수의 버튼들이 마련된 조작패널을 포함한다. 오디오 장치는 라디오 기능을 제공하는 라디오 모드와 오디오 파일이 담긴 다양한 저장매체의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미디어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AVN 장치(314)는 차량(1)의 센터페시아(22) 내부에 매립되거나 대시보드(24) 상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AVN 장치(314)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및 내비게이션 기능을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AVN 장치(314)는 AVN 장치(314)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315)와, 오디오 기능과 관련된 화면, 비디오 기능과 관련된 화면 또는 내비게이션 기능과 관련된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16)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AVN 장치(314)와 중복되는 범위 내에서는 오디오장치(313)가 생략될 수 있다.
스티어링휠(23)은 차량(1)의 주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 운전자에 의해 파지되는 림(321) 및 차량(1)의 조향 장치와 연결되고 림(321)과 조향을 위한 회전축의 허브를 연결하는 스포크(322)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스포크(322)에는 차량(1) 내의 각종 장치, 일례로 오디오 장치 등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장치(32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대시보드(24)는 차량의 운행중 운전자에게 차량속도, 주행거리, 엔진회전수, 주유량, 냉각수온도, 각종 경고 등의 다양한 차량정보 등을 알려주는 계기판(324) 및 각종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글로브 박스(325)(globe box)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기어박스(300)는 일반적으로 차량(1) 내부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운전자가 차량(1)을 운전하는 도중에 조작할 필요가 있는 조작장치들이 장착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기어박스(300)에는 차량(1) 변속을 위한 변속레버(301)와, 차량(1)의 기능 수행을 제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302)와, 차량(1)의 각종 장치를 실행하기 위한 버튼(303)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200)가 설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200)는 기어박스(300)에 설치되어 운전자가 운전 중 전방을 주시한 상태에서 조작 가능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변속레버(301)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터치 입력장치(200)는 센터페시아(22)에 설치되거나, 조수석에 설치되거나, 후석에 설치될 수도 있다.
터치 입력장치(200)는 차량(1) 내부의 디스플레이장치들과 접속되어, 디스플레이장치들에 표시되는 각종 아이콘 등을 선택하거나 실행할 수 있다.
차량(1)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장치에는 오디오장치(313), AVN 장치(314), 또는 계기판(324)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02)가 기어박스(30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는 HUD(Head Up Display) 장치 또는 백미러 등과 접속될 수도 있다.
일 예로, 터치 입력장치(200)는 디스플레이장치 상에 표시되는 커서(Cursor)를 움직이거나 또는 아이콘(Icon)을 실행할 수 있다. 아이콘(Ion)은 메인메뉴, 선택 메뉴, 설정 메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입력장치(200)를 통해 내비게이션을 동작하거나, 차량의 운행 조건을 설정하거나, 차량의 주변 기기들을 실행할 수 있다.
터치 입력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제어방법의 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0 : 터치 입력장치
210 : 입력부
211 : 터치패드
240 : 제어부
250 : 저장부
302 : 디스플레이부

Claims (21)

  1. 문자를 입력하는 터치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 받은 터치 명령에 기초하여 문자 입력 속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문자 입력 속도에 기초하여 문자 인식 대기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문자 인식 대기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문자 입력의 종료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터치 명령의 터치 거리 및 터치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문자 입력 속도를 결정하는 터치 입력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거리의 미리 정해진 단위 거리만큼 문자를 입력하는 동안 걸린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문자 입력 속도를 결정하는 터치 입력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문자 입력 속도가 미리 정해진 속도보다 빠르면, 상기 문자 인식 대기시간을 미리 정해진 시간보다 짧게 결정하는 터치 입력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문자 입력 속도가 미리 정해진 속도보다 느리면, 상기 문자 인식 대기시간을 미리 정해진 시간보다 길게 결정하는 터치 입력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명령의 터치 시작 시점 및 터치 종료 시점을 결정하고,
    상기 터치 종료 시점과 상기 터치 종료 시점 이후에 입력되는 터치 시작 시점 사이의 시간을 결정하는 터치 입력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시간이 상기 결정된 문자 인식 대기시간보다 짧으면 상기 문자 입력이 종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터치 입력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시간이 상기 결정된 문자 인식 대기시간보다 길면 상기 문자 입력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하는 터치 입력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명령을 입력하는 수단이 상기 입력부에 접촉하는 시점을 상기 터치 명령의 터치 시작 시점으로 결정하는 터치 입력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명령을 입력하는 수단과 상기 입력부의 접촉이 분리되는 시점을 상기 터치 명령의 터치 종료 시점으로 결정하는 터치 입력장치.
  11. 문자를 입력하는 터치 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입력 받은 터치 명령에 기초하여 문자 입력 속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문자 입력 속도에 기초하여 문자 인식 대기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문자 인식 대기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문자 입력의 종료 여부를 결정하는 터치 입력장치 제어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 속도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입력된 터치 명령의 터치 거리 및 터치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문자 입력 속도를 결정하는 터치 입력장치 제어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 속도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터치 거리의 미리 정해진 단위 거리만큼 문자를 입력하는 동안 걸린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문자 입력 속도를 결정하는 터치 입력장치 제어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인식 대기시간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결정된 문자 입력 속도가 미리 정해진 속도보다 빠르면, 상기 문자 인식 대기시간을 미리 정해진 시간보다 짧게 결정하는 터치 입력장치 제어방법.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인식 대기시간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결정된 문자 입력 속도가 미리 정해진 속도보다 느리면, 상기 문자 인식 대기시간을 미리 정해진 시간보다 길게 결정하는 터치 입력장치 제어방법.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명령의 터치 시작 시점 및 터치 종료 시점을 결정하고,
    상기 터치 종료 시점과 상기 터치 종료 시점 이후에 입력되는 터치 시작 시점 사이의 시간을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터치 입력장치 제어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의 종료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결정된 시간이 상기 결정된 문자 인식 대기시간보다 짧으면 상기 문자 입력이 종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터치 입력장치 제어방법.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의 종료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결정된 시간이 상기 결정된 문자 인식 대기시간보다 길면 상기 문자 입력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하는 터치 입력장치 제어방법.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시작 시점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터치 명령을 입력하는 수단이 상기 입력부에 접촉하는 시점을 상기 터치 명령의 터치 시작 시점으로 결정하는 터치 입력장치 제어방법.
  20.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종료 시점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터치 명령을 입력하는 수단과 상기 입력부의 접촉이 분리되는 시점을 상기 터치 명령의 터치 종료 시점으로 결정하는 터치 입력장치 제어방법.
  2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의 터치 입력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KR1020160125144A 2016-09-28 2016-09-28 터치 입력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제어방법 KR101866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144A KR101866729B1 (ko) 2016-09-28 2016-09-28 터치 입력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144A KR101866729B1 (ko) 2016-09-28 2016-09-28 터치 입력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088A true KR20180035088A (ko) 2018-04-05
KR101866729B1 KR101866729B1 (ko) 2018-07-23

Family

ID=61977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5144A KR101866729B1 (ko) 2016-09-28 2016-09-28 터치 입력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67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0914B1 (ko) * 2020-12-18 2022-03-08 삼보모터스주식회사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1832A (ja) * 1995-09-14 1997-03-28 Toshiba Corp 情報入力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1832A (ja) * 1995-09-14 1997-03-28 Toshiba Corp 情報入力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0914B1 (ko) * 2020-12-18 2022-03-08 삼보모터스주식회사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6729B1 (ko) 2018-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717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ouch control based steering wheel
KR101721963B1 (ko)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685891B1 (ko) 터치 입력장치 및 터치 입력장치의 제어방법
KR101776803B1 (ko)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US20160378200A1 (en) Touch input device, vehicle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681990B1 (ko)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US11474687B2 (en) Touch input devic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KR101681987B1 (ko)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US20160137064A1 (en) Touch input devic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US20170060312A1 (en) Touch input device and vehicle including touch input device
KR101866729B1 (ko) 터치 입력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제어방법
KR101722542B1 (ko)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US10732824B2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265372B1 (ko)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422060B1 (ko) 터치패드를 이용한 차량용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그 정보 입력 모듈
KR101696592B1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2459532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1744736B1 (ko) 터치 입력장치 및 터치 입력장치의 제어방법
EP3125099B1 (en)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681994B1 (ko)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722538B1 (ko)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20190078711A (ko) 터치 입력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