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4897A - 3d 치아 형상 보철물 데이터 정합 및 보철물 마진 자동생성과 형성 데이터 보간 방법 - Google Patents

3d 치아 형상 보철물 데이터 정합 및 보철물 마진 자동생성과 형성 데이터 보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4897A
KR20180034897A KR1020160124673A KR20160124673A KR20180034897A KR 20180034897 A KR20180034897 A KR 20180034897A KR 1020160124673 A KR1020160124673 A KR 1020160124673A KR 20160124673 A KR20160124673 A KR 20160124673A KR 20180034897 A KR20180034897 A KR 20180034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data
unit
workpiece
data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4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정본
김태훈
류완석
유근찬
남진현
최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디에스
Priority to KR1020160124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4897A/ko
Publication of KR20180034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48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5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02Orthodontic computer assisted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06T3/4007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based on interpolation, e.g. bilinear interpol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ometry (AREA)
  • Architectur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램프유닛의 본체부의 공동부에 설치되는 센싱부를 통해 가공소재에 제1 공구와 제2 공구가 접촉되는 순간의 고유주파수를 측정하고, 이러한 신호를 필터링하여 정확도를 향상한 상태에서 제어유닛의 비교부에서 가공소재 기본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고유주파수와 비교하고, 보정부에서 가공소재의 크기와 장착 상태에 따라 인공치아 가공프로그램의 기준좌표를 신속하게 보정함에 따라 인공치아의 가공정밀도를 향상시키고, 가공시간을 단축하며, 제1 스핀들과 제2 스핀들로 동시에 가공소재의 양면을 가공할 때에 공구충돌에 의한 제1공구 및 제2 공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가공소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3D 치아 형상 보철물 데이터 정합 및 보철물 마진 자동생성과 형성 데이터 보간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3D 치아 형상 보철물 데이터 정합 및 보철물 마진 자동생성과 형성 데이터 보간 방법{Interpolation method for generating automatically data prosthesis data adjustment and prosthesis margine in 3 dimention tooth shape}
본 발명은 3D 치아 형상 보철물 데이터 정합 및 보철물 마진 자동생성과 형성 데이터 보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클램프유닛의 내부에 설치되는 센싱부에 의해 가공소재에 제1 공구와 제2 공구가 접촉되는 순간의 고유주파수를 측정하여 가공소재의 장착 상태에 따라 가공프로그램의 기준좌표를 신속하게 수정함에 따라 가공시간을 감소하고, 제1 스핀들과 제2 스핀들로 동시에 인공치아 가공소재의 양면을 가공할 때에 공구 충돌에 의한 공구손상과 가공소재가 손상되는 것을을 방지하고, 가공소재의 가공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3D 치아 형상 보철물 데이터 정합 및 보철물 마진 자동생성과 형성 데이터 보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아의 외상 또는 우식으로 인하여 발치를 해야 할 경우 자연스러운 치간 유두 및 치은의 형성과, 저작, 발음, 심미적 기능 회복을 위해 치아 보철물을 수복하고 있다. 치아 보철물은 의치 또는 인공치아라고도 하며, 자연치아와 그에 연관된 조직이 결손 되었을 때, 인공적으로 대치하는 보철물을 의미한다. 이러한 인공치아는 치과 치료 기간에 발생하는 발치한 인접 치아의 비정상적인 위치로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서라도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인공치아는 전적으로 치과 기공사의 수작업에 의해 제작되었으나, 오늘날에는 인공치아 제작 작업을 더욱 효율적이고 정밀하게 수행하기 위해 인공치아 가공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인공치아 가공장치를 통해 인공치아를 가공하는 방법은 크게 총형가공과 NC(Numerical Control)가공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총형가공은 가공소재의 굴곡면을 따라 이동되는 측정부와 이러한 측정부의 움직임에 의해 가공부의 절삭핀이 세팅된 확대 비율에 의해 이동하면서 인공치아를 형성하는 가공소재를 확대가공하는 방법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NC 가공은 인공치아를 3차원으로 스캔하여 측정하고, 이를 CAD/CAM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측정된 스캔 데이터를 3차원으로 모델링하고, 이에 확대율을 적용하여 NC 데이터로 전환하며, NC 데이터에 근거하여 가공장치가 자동으로 가공소재인 인공치아를 가공하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터닝센터, 머시닝센터, 문형머시닝센터, 스위스 턴, 방전 가공기, 수평형 NC 보링머신, CNC 선반 등을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공작기계는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해당 작업의 용도에 맞게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인공치아 가공의 경우에는 환자가 인공치아에서 느끼는 이질감을 감소시키기 위해 인공치아를 최대한 환자의 치아와 동일한 형태로 가공할 수 있는 정밀도가 요구된다.
즉, 인공치아 가공장치는 인공치아 가공을 위한 가공소재의 기준좌표가 NC데이터 상에 입력된 기준좌표와 정확하게 일치가 되어야 인공치아를 환자의 치아와 일치하도록 가공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3D 치아 형상 보철물 데이터 정합 및 보철물 마진 자동생성과 형성 데이터 보간 방법은 가공소재가 클램핑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가공소재의 정확한 위치를 가공장치의 좌표계로 환산할 수 없어, 인공치아 가공장치를 통해 가공된 인공치아의 정밀도가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2개의 스핀들로 인공치아 가공소재의 양면을 가공하는 경우에 2개의 스핀들에 장착된 공구의 충돌에 의해 공구나 인공치아 가공소재가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2개의 스핀들의 좌표축의 일치 및 동기화가 요구된다.
하지만, 이러한 동기화를 위한 시간이 장시간 소요됨에 따라 생산성이 저하되고, 동기화가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 2개의 스핀들에 장착된 공구가 가공중에 충돌에 의해 강구나 인공치아 가공소재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엇다.
또한, 종래 3D 치아 형상 보철물 데이터 정합 및 보철물 마진 자동생성과 형성 데이터 보간 방법은 가공소재의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공구가 회전하는 상태에서 인공치아에 접촉됨에 따라 인공치아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120679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클램프유닛의 본체부의 공동부에 설치되는 센싱부를 통해 가공소재에 제1 공구와 제2 공구가 접촉되는 순간의 고유주파수를 측정하고, 이러한 신호를 필터링하여 정확도를 향상한 상태에서 제어유닛의 비교부에서 가공소재 기본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고유주파수와 비교하고, 보정부에서 가공소재의 크기와 장착 상태에 따라 인공치아 가공프로그램의 기준좌표를 신속하게 보정함에 따라 인공치아의 가공정밀도를 향상시키고, 가공시간을 단축하며, 제1 스핀들과 제2 스핀들로 동시에 가공소재의 양면을 가공할 때에 공구충돌에 의한 제1공구 및 제2 공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가공소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3D 치아 형상 보철물 데이터 정합 및 보철물 마진 자동생성과 형성 데이터 보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3D 치아 형상 보철물 데이터 정합 및 보철물 마진 자동생성과 형성 데이터 보간 방법은 가공소재 기본데이터 저장부에 가공소재 기본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기준좌표 데이터 저장부에 기준좌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가공프로그램 데이터 저장부에 가공소재의 가공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공구데이터 저장부에 공구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가공소재 결합부에 가공소재를 결합시키는 단계; 수신데이터 저장부를 초기화하는 단계; 제1 공구 및 제2 공구를 상기 가공소재 결합부에 결합된 가공소재에 접촉시키는 순간에 고유주파수를 센싱부에서 감지하여 가공소재 위치를 검출하는는 단계; 상기 센싱부에서 감지된 신호를 상기 수신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신호 변환부에서 상기 수신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신호 변환부에서 변환된 신호를 변환신호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비교부에서 상기 변환신호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신호와 상기 가공소재 기본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신호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부의 판단결과에 따라 보정부에서 상기 가공프로그램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가공프로그램의 기준좌표 데이터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3D 치아 형상 보철물 데이터 정합 및 보철물 마진 자동생성과 형성 데이터 보간 방법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인공치아 가공장치의 가공소재 위치 검출 및 보정 방법은 상기 신호 변환부에서 변환된 신호를 변환신호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이후에, 필터부에서 상기 변환신호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신호를 필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교부는 상기 필터부에서 필터링된 신호와 상기 가공소재 기본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신호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인공치아 가공장치의 가공소재 위치 검출 및 보정 방법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3D 치아 형상 보철물 데이터 정합 및 보철물 마진 자동생성과 형성 데이터 보간 방법은 상기 비교부에서 비교하는 단계 이후 및 상기 가공프로그램의 기준좌표 데이터를 보정하는 단계 이전에, 공구좌표 데이터 저장부에 상기 제1 공구와 상기 제2 공구가 상기 가공소재 결합부에 결합된 상기 가공소재에 접촉되는 순간에 상기 제1 공구와 상기 제2 공구의 좌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3D 치아 형상 보철물 데이터 정합 및 보철물 마진 자동생성과 형성 데이터 보간 방법은 클램핑유닛의 본체부의 공동부에 설치되는 센싱부를 통해 가공소재에 제1 공구와 제2 공구가 접촉되는 순간의 고유주파수를 측정하고, 이러한 신호를 제어유닛의 가공소재 기본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고유주파수와 비교하여 가공소재의 크기와 장착 상태에 따라 인공치아를 가공하기 위한 가공소재의 가공프로그램의 기준좌표를 가공소재의 장착상태에 따라 정확하고 신속하게 보정함에 따라 인공치아를 위한 가공소재 가공시에 가공 정밀도를 향상시시키고, 가공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3D 치아 형상 보철물 데이터 정합 및 보철물 마진 자동생성과 형성 데이터 보간 방법은 공구가 회전하지 않은 상태에서 가공소재에 접촉하는 순간에 고유주파수를 측정함에 따라 인공치아를 형성하는 모재인 가공소재와 공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치아 가공장치의 가공소재 위치 검출 및 보정 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치아 형상 보철물 데이터 정합 및 보철물 마진 자동생성과 형성 데이터 보간 방법의 절차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치아 형상 보철물 데이터 정합 및 보철물 마진 자동생성과 형성 데이터 보간 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치아 형상 보철물 데이터 정합 및 보철물 마진 자동생성과 형성 데이터 보간 방법의 절차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치아 형상 보철물 데이터 정합 및 보철물 마진 자동생성과 형성 데이터 보간 장치(1)를 설명한다. 3D 치아 형상 보철물 데이터 정합 및 보철물 마진 자동생성과 형성 데이터 보간 방법의 장치(1)는 베이스부(100), 클램프유닛(200), 제1 스핀들유닛(400), 제2 스핀들유닛(500)을 포함한다.
베이스부(100)는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베이스부(100)는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부(100)는 하우징에 설치되는 도어에 의해 가공소재의 가공시에 베이스부가 외부로부터 차단될 수 있다.
클램프유닛(200)은 베이스부(100)의 일부에 회전 및 수평이동(도 1에서 Z축 방향)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클램핑유닛(200)의 선단에 가공소재(2)가 결합된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클램프유닛(200)은 클램핑부(210)의 가공소재 결합부(213)에 가공소재(2)가 결합된 상태에서 클램핑부(210)가 제1 구동부(230)의 구동동력에 의해 회전축부(222)가 회전하거나 Z축을 따라 수평이동 할 수 있게 된다.
제1 스핀들유닛(400)은 클램프유닛(200)의 중심축(Z축)에 직교하도록 베이스부(100)의 일측에 상하이동(도 1에서 Y축 방향) 및 좌우이동(도 1에서 X축 방향)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제1 스핀들유닛(400)의 선단에 제1 공구(410)가 결합된다.
제2 스핀들유닛(500)은 클램프유닛(200)의 중심축(Z축)에 직교하면서 제1 스핀들유닛(400)과 마주하도록 베이스부(100)의 타측에 상하이동(도 1에서 Y축 방향) 및 좌우이동(도 1에서 X축 방향)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제2 스핀들유닛(500)의 선단에 제2 공구가 결합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1 스핀들유닛(400)의 제1 공구(410)는 가공소재(2)의 내면을 가공하고, 제2 스핀들유닛(500)의 제2 공구(510)는 가공소재(2)의 외면을 가공한다. 이처럼, 제1 스핀들유닛(400)과 제2 스핀들유닛(500)이 서로 마주하면서 클램핑유닛(200)에 대해 직교하도록 설치됨에 따라, 가공소재를 신속하게 가공할 수 있다.
센싱부(300)가 클램프유닛(200)의 내부에 설치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치아 가공장치의 가공소재 위치 검출 및 보정 장치의 센싱부(300)는 고유주파수 측정이 가능한 음향센서 또는 진동센서로 형성된다. 이처럼, 센싱부(300)가 음향센서 또는 진동센서로 형성됨에 따라 가공소재 결합부(213)에 결합된 가공소재(2)에 제1 공구(410)와 제2 공구(510)가 접촉하는 순간의 고유주파수를 측정하여 가공소재를 가공하기 위해 가공프로그램 데이터 저장부(614)에 저장된 가공 프로그램의 기준좌표를 가공소재나 공구의 손상 없이 정확하고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고, 최종적으로 가공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어유닛(600)은 클램프유닛(200)에 결합하는 가공소재(2)의 초기 위치에 따라 가공소재(2)의 가공을 위한 가공 프로그램 저장부(614)에 저장된 가공프로그램의 기준좌표를 보정하고, 제1 공구(410)와 제2 공구(510)의 이상유무를 검출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인공치아 가공장치의 가공소재 위치 검출 및 보정 장치(1)는 가공소재가 클램핑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가공소재의 정확한 위치를 가공장치의 좌표계로 환산하기 위해 최소의 시간과 비용이 소모됨에 따라, 인공치아의 비용을 감소시켜 환자의 부담을 절감할 수 있다.
도 2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치아 형상 보철물 데이터 정합 및 보철물 마진 자동생성과 형성 데이터 보간 방법을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3D 치아 형상 보철물 데이터 정합 및 보철물 마진 자동생성과 형성 데이터 보간 방법은 가공소재 기본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S1), 기준좌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S2), 가공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S3), 공구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S4), 가공소재를 결합시키는 단계(S5), 수신데이터 저장부를 초기화하는 단계(S6), 센싱부에서 가공소재에 제1 공구 및 제2 공구가 접촉하는 순간에 고유주파수를 감지하는 단계(S7), 감지된 신호를 수신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S8), 신호 변환부에서 신호를 변환하는 단계(S9), 변환신호를 신호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S10), 비교부에서 신호를 비교하는 단계(S12)로 이루어진다.
가공소재 기본데이터 저장부(611)에 가공소재 기본데이터가 저장된다. 즉, 가공소재의 고유주파수, 크기 등의 정보가 저장된다.
가공소재 기본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S1) 이후에, 기준좌표 데이터 저장부(613)에 기준좌표 데이터를 저장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여기에서 기준좌표 데이터는 가공소재 결합부의 상단 중심을 기준으로 하고, 이러한 중심점이 X, Y, Z축이 모두 0인 상태로 저장된다.
기준좌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S2) 이후에, 가공프로그램 데이터 저장부(614)에 가공소재를 가공하기 위한 가공프로그램 데이터가 저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공프로그램은 3차원 스캔으로 측정하여 이를 CAD/CAM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측정된 스캔 데이터를 3차원으로 모델링하고, 이에 확대율을 적용하여 NC데이터로 전환된 NC 데이터 형태로 저장된다.
가공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S3) 이후에, 공구데이터 저장부(612)에 공구데이터를 저장한다. 공구데이터 저장부(612)에는 공구의 길이, 공구의 종류, 공구의 직경 등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다.
공구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S4) 이후에, 가공소재 결합부(213)에 인공치아를 형성하기 위한 가공소재(2)를 결합시킨다.
가공소재를 결합시키는 단계(S5) 이후에, 수신데이터 저장부(615)를 초기화한다. 수신데이터 저장부(615)의 초기화는 조작반에 설치된 리셋(RESET) 버튼 등의 조작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수신데이터 저장부를 초기화하는 단계(S6) 이후에, 제1 공구(410) 및 제2 공구(510)를 가공소재 결합부(213)에 결합된 가공소재(2)에 접촉시키는 순간에 고유주파수를 센싱부(300)에서 감지한다.
센싱부에서 가공소재에 제1 공구 및 제2 공구가 접촉하는 순간에 고유주파수를 감지하는 단계(S7) 이후에, 센싱부(300)에서 감지된 신호를 수신데이터 저장부(615)에 저장한다.
감지된 신호를 수신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S8) 이후에, 신호 변환부(617)에서 수신데이터 저장부(615)에 저장된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한다.
신호 변환부에서 신호를 변환하는 단계(S9) 이후에, 신호 변환부(617)에서 변환된 신호를 변환신호 데이터 저장부(618)에 저장한다.
변환신호를 신호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S10) 이후에, 비교부(620)에서 변환신호 데이터 저장부(618)에 저장된 신호와 가공소재 기본데이터 저장부(611)에 저장된 신호를 비교한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3D 치아 형상 보철물 데이터 정합 및 보철물 마진 자동생성과 형성 데이터 보간 방법은 비교부에서 변환신호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신호와 가공소재 기본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신호를 비교하는 단계(S12) 이후에, 비교부(620)의 판단결과에 따라 보정부(621)에서 기준좌표 데이터 저장부(611)에 저장된 기준좌표 데이터와 가공프로그램 데이터 저장부(614)에 저장된 가공프로그램의 기준좌표 데이터를 보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인공치아 가공장치의 가공소재 위치 검출 및 보정 방법은 공구가 회전하지 않은 상태에서 가공소재에 접촉하는 순간에 고유주파수를 측정함에 따라 인공치아를 형성하는 모재인 가공소재와 공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가공소재가 클램핑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가공소재의 정확한 위치를 가공장치의 좌표계로 환산하기 위해 최소의 시간과 비용이 소모됨에 따라 인공치아의 비용을 감소시켜 환자의 부담을 절감할 수 있으며, 가공소재의 가공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3D 치아 형상 보철물 데이터 정합 및 보철물 마진 자동생성과 형성 데이터 보간 방법은 신호 변환부에서 변환된 신호를 변환신호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S9) 이후에, 필터부(619)에서 변환신호 데이터 저장부(618)에 저장된 신호를 필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비교부에서 신호를 비교하는 단계(S12)에서 비교부(620)는 필터부(619)에서 필터링된 신호와 가공소재 기본데이터 저장부(611)에 저장된 신호를 비교하여 가공소재의 위치를 검출하게 된다.
또한, 센싱부(300)는 음향센서 또는 진동센서로 형성되고, 제1 공구(410)와 제2 공구(520)가 가공소재 결합부(213)에 결합된 가공소재(2)에 접촉되는 순간의 고유주파수를 측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3D 치아 형상 보철물 데이터 정합 및 보철물 마진 자동생성과 형성 데이터 보간 방법은 클램핑유닛의 본체부의 공동부에 설치되는 센싱부를 통해 가공소재에 제1 공구와 제2 공구가 접촉되는 순간의 고유주파수를 측정하고, 이러한 신호를 제어유닛의 가공소재 기본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고유주파수와 비교하여 가공소재의 크기와 장착 상태에 따라 인공치아를 가공하기 위한 가공소재의 가공프로그램의 기준좌표를 가공소재의 장착상태에 따라 정확하게 보정함에 따라 인공치아를 위한 가공소재 가공시에 가공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3D 치아 형상 보철물 데이터 정합 및 보철물 마진 자동생성과 형성 데이터 보간 방법은 현재 공구좌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S13), 계산부에서 제1 공구와 제2 공구의 현재 길이를 계산하는 단계(S15), 및 알람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S16)를 더 포함한다.
비교부에서 신호를 비교하는 단계(S12) 이후 및 가공프로그램의 기준좌표 데이터를 보정하는 단계(S14) 이전에, 공구좌표 데이터 저장부(616)에 제1 공구(410)와 제2 공구(510)가 가공소재 결합부(213)에 결합된 가공소재(2)에 접촉되는 순간에 제1 공구(410)와 제2 공구(510)의 좌표 데이터를 저장한다.
가공프로그램의 기준좌표 데이터를 보정하는 단계(S14) 이후에, 계산부(620)에서 공구데이터 저장부(612)와 기준좌표 데이터 저장부(613), 및 공구좌표 데이터 저장부(616)에 저장된 좌표값에 의해 제1 공구와 제2 공구의 현재 길이를 계산한다.
계산부에서 제1 공구와 제2 공구의 현재 길이를 계산하는 단계(S15) 이후에,알람 신호 발생부(623)에서 제1 공구(410)와 제2 공구(510)의 현재 길이가 공구데이터 저장부(612)에 저장된 제1 공구(410) 및 제2 공구(510)의 길이보다 짧은 경우에 알람 신호를 발생한다.
이러한 알람 신호는 표시부(700)에 표시되어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알람 신호는 경광등 또는 알람벨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3D 치아 형상 보철물 데이터 정합 및 보철물 마진 자동생성과 형성 데이터 보간 방법은 제어유닛의 계산부에 의해 공구의 길이를 통해 공구의 파손이나 손상 유무를 검출할 수 있어, 손상된 공구로 가공소재를 가공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가공소재의 낭비를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가공 정밀도의 향상 및 생산성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변형예와 상기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내에 속하는 다른 실시예로 확장될 수 있다.
1 : 인공치아 가공장치의 가공소재 위치 검출 및 보정 장치,
2 : 가공소재,
100 : 베이스부, 200 : 클램프유닛,
210 : 클램핑부, 211 : 본체부,
212 : 공동부, 213 : 가공소재 결합부,
214 : 결합홀, 220 : 연결부,
221 : 바디부, 222 : 회전축부,
223 : 전선 수용부, 230 : 제1 구동부,
300 : 센싱부, 400 : 제1 스핀들유닛,
410 : 제1 공구, 420 : 제1 스핀들부,
430 : 제2 구동부, 500 : 제2 스핀들유닛,
510 : 제2 공구, 520 : 제2 스핀들부,
530 : 제3 구동부, 600 : 제어유닛,
611 : 가공소재 기본데이터 저장부, 612 : 공구데이터 저장부,
613 : 기준좌표 데이터 저장부,
614 : 가공프로그램 데이터 저장부, 615 : 수신데이터 저장부,
616 : 공구좌표 데이터 저장부, 617 : 신호 변환부,
618 : 변환신호 데이터 저장부, 619 : 필터부,
620 : 비교부, 621 : 보정부,
622 : 계산부, 623 : 알람 신호 발생부,
700 : 표시부.

Claims (3)

  1. 가공소재 기본데이터 저장부에 가공소재 기본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기준좌표 데이터 저장부에 기준좌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가공프로그램 데이터 저장부에 가공소재의 가공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공구데이터 저장부에 공구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가공소재 결합부에 가공소재를 결합시키는 단계;
    수신데이터 저장부를 초기화하는 단계;
    제1 공구 및 제2 공구를 상기 가공소재 결합부에 결합된 가공소재에 접촉시키는 순간에 고유주파수를 센싱부에서 감지하여 가공소재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센싱부에서 감지된 신호를 상기 수신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신호 변환부에서 상기 수신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신호 변환부에서 변환된 신호를 변환신호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비교부에서 상기 변환신호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신호와 상기 가공소재 기본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신호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부의 판단결과에 따라 보정부에서 상기 가공프로그램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가공프로그램의 기준좌표 데이터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치아 형상 보철물 데이터 정합 및 보철물 마진 자동생성과 형성 데이터 보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변환부에서 변환된 신호를 변환신호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이후에,
    필터부에서 상기 변환신호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신호를 필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교부는 상기 필터부에서 필터링된 신호와 상기 가공소재 기본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신호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치아 형상 보철물 데이터 정합 및 보철물 마진 자동생성과 형성 데이터 보간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에서 비교하는 단계 이후 및 상기 가공프로그램의 기준좌표 데이터를 보정하는 단계 이전에,
    공구좌표 데이터 저장부에 상기 제1 공구와 상기 제2 공구가 상기 가공소재 결합부에 결합된 상기 가공소재에 접촉되는 순간에 상기 제1 공구와 상기 제2 공구의 좌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치아 형상 보철물 데이터 정합 및 보철물 마진 자동생성과 형성 데이터 보간 방법.


















KR1020160124673A 2016-09-28 2016-09-28 3d 치아 형상 보철물 데이터 정합 및 보철물 마진 자동생성과 형성 데이터 보간 방법 KR201800348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673A KR20180034897A (ko) 2016-09-28 2016-09-28 3d 치아 형상 보철물 데이터 정합 및 보철물 마진 자동생성과 형성 데이터 보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673A KR20180034897A (ko) 2016-09-28 2016-09-28 3d 치아 형상 보철물 데이터 정합 및 보철물 마진 자동생성과 형성 데이터 보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4897A true KR20180034897A (ko) 2018-04-05

Family

ID=61977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4673A KR20180034897A (ko) 2016-09-28 2016-09-28 3d 치아 형상 보철물 데이터 정합 및 보철물 마진 자동생성과 형성 데이터 보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489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4777B1 (ko) 2020-06-10 2020-12-23 클리어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반의 치과 보철 자동 디자인 설계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4681090A (zh) * 2022-03-29 2022-07-01 北京大学口腔医学院 牙齿正畸特征测量方法及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4777B1 (ko) 2020-06-10 2020-12-23 클리어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반의 치과 보철 자동 디자인 설계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4681090A (zh) * 2022-03-29 2022-07-01 北京大学口腔医学院 牙齿正畸特征测量方法及装置
CN114681090B (zh) * 2022-03-29 2024-01-30 北京大学口腔医学院 牙齿正畸特征测量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346315B (zh) 能够取得工件原点的机床控制系统以及工件原点设定方法
US7454843B2 (en) Measured object mounting tool and production method of three-dimensional shape data of dental prosthesis using that tool
KR101764176B1 (ko) 인공치아 가공장치
US8332997B2 (en) Dental prosthesis manufacturing machine
JP2002320626A (ja) 歯科医療加工物を製造するための切削/研削機
KR101764177B1 (ko) 인공치아 가공장치의 가공소재 위치 검출 및 보정 방법
JP4451275B2 (ja) 歯科用補綴物の三次元形状データの作製方法
KR20180034897A (ko) 3d 치아 형상 보철물 데이터 정합 및 보철물 마진 자동생성과 형성 데이터 보간 방법
JP2011041985A (ja) 工具の回転方向位置決め方法
JP2006300817A (ja) 光学式測定器、光学式測定装置及び光学式測定システム
JP6088190B2 (ja) 加工システム、及びその加工方法
JP2007257606A (ja) ツールの加工位置決め誤差補正方法
KR101552879B1 (ko) 자동으로 공차보정이 가능한 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차보정 방법
JPWO2004069459A1 (ja) ネジ切り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JP4713554B2 (ja) ホブ盤及びその位相判別方法
JPH04256550A (ja) 切削工具刃先検出装置
JP2008076200A (ja) 光学式測定システム
JP3866834B2 (ja) 歯科補綴物の製造装置
KR20180034896A (ko) 인공치아 6축가공 하이브리드 가공장치
KR101854730B1 (ko) 인공치아 가공 장치
WO2000078503A1 (fr) Procede de traitement d'une reproduction, par exemple un appareil de prothese dentaire
JP3839197B2 (ja) 工作機械における先使用・後使用工具の刃先位置整合方法
JP4054199B2 (ja) 偏心ワークの加工方法
JPH05185304A (ja) 自動旋盤
JP7404591B2 (ja) 構造物の製造方法、構造物製造用の識別子、構造物の製造システム及び機械加工プログラ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