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4305A - 유체 주입용 장치 및 키트 - Google Patents

유체 주입용 장치 및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4305A
KR20180034305A KR1020177026502A KR20177026502A KR20180034305A KR 20180034305 A KR20180034305 A KR 20180034305A KR 1020177026502 A KR1020177026502 A KR 1020177026502A KR 20177026502 A KR20177026502 A KR 20177026502A KR 20180034305 A KR20180034305 A KR 20180034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ringe
housing
fluid
lever
plu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6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크 디 피엘
갈렌 씨 로버트슨
존 타일러 윌리스 헤글러
로버트 더블유 팃케마이어
주니어 프레드릭 씨 파일러
Original Assignee
410 메디칼,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410 메디칼, 인크. filed Critical 410 메디칼, 인크.
Publication of KR20180034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43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76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 A61M5/31578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based on axial translation, i.e. components directly operatively associated and axially moved with plunger rod
    • A61M5/31581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based on axial translation, i.e. components directly operatively associated and axially moved with plunger rod performed by rotationally moving or pivoting actuator operated by user, e.g. an injection lever or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39/105Multi-channel connectors or couplings, e.g. for connecting multi-lumen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4Check- or non-return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8Clamping means for squeezing flexible tubes, e.g. roller c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002Packag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yringes or needles, kits for 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007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for contrast med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3Modular systems comprising interconnect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244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5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61M5/145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61M5/1456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with a replaceable reservoir comprising a piston rod to be moved into the reservoir, e.g. the piston rod is part of the removable reservo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1782Devices aiding filling of syringes in situ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19Syringes having more than one chamber, e.g. including a manifold coupling two parallelly aligned syringes through separate channels to a common discharge assemb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5/2033Spring-loaded one-shot injectors with or without automatic needle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46Priming, e.g. purging, reducing backlash or clear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76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 A61M5/31578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based on axial translation, i.e. components directly operatively associated and axially moved with plunger rod
    • A61M5/3158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based on axial translation, i.e. components directly operatively associated and axially moved with plunger rod performed by axially moving actuator operated by user, e.g. an injection butt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76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 A61M5/31583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based on rotational translation, i.e. movement of piston rod is caused by relative rotation between the user activated actuator and the piston rod
    • A61M5/31586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based on rotational translation, i.e. movement of piston rod is caused by relative rotation between the user activated actuator and the piston rod performed by rotationally moving or pivoted actuator, e.g. an injection lever or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48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varying, regulating, indicating or limiting injection pressure
    • A61M5/486Indicating injection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48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varying, regulating, indicating or limiting injection pressure
    • A61M5/488Limiting injection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3/00Anaesthetics
    • A61P23/02Local anaesth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2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peripheral neuropath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4Centrally acting analgesics, e.g. opi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2005/2006Having specific accessories
    • A61M2005/202Having specific accessories cocking means, e.g. to bias the main drive spring of an inje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2005/2026Semi-automatic, e.g. user activated piston is assisted by additional source of energ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2005/2073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preventing premature release, e.g. by making use of a safety l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2005/3114Filling or refil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2005/3125Details specific display means, e.g. to indicate dose se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2005/3128Incorporating one-way valves, e.g. pressure-relief or non-return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76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 A61M2005/31588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electrically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4Check- or non-return valves
    • A61M2039/2493Check valve with complex design, e.g. several inlets and outlets and several check valves in on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2Force measu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79Masses, volumes, levels of fluids in reservoirs, flow r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 A61M2205/3584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using modem, internet or bluetoo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abetes (AREA)
  • Neur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Neurosurge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Rheumat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주입 장치는 적어도 주사기의 플랜지 및 플런저를 유지하도록 그 크기가 결정되고 구성되는 내부 챔버를 가지는 하우징, 하우징에 의해서 유지되는 방아쇠, 및 방아쇠와 연통되고 상부 단부를 가지는 캠 경로를 가지는 상향 연장 캠을 포함하는 레버를 포함한다. 캠은 주사기의 플랜지와 연통된다. 주사기로부터 유체를 분배하기 위한 방아쇠의 작동에 응답하여, 캠의 상부 단부는 주사기 위로 위쪽으로 그리고 주사기의 분배 단부를 향해서 길이방향으로 이동되고 그에 따라 주사기의 플런저를 제1 방향으로 선형적으로 병진운동시켜 유체를 주사기로부터 분배한다. 유체를 주사기 내로 재충진하기 위해서, 캠의 상부 단부가 하향으로 그리고 주사기의 분배 단부로부터 멀리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어 플런저를 제2의 방향으로 선형적으로 병진운동시켜 유체를 흡입한다.

Description

유체 주입용 장치 및 키트
관련 출원
본원은 2016년 1월 4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274,566호, 2015년 7월 1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187,367호, 및 2015년 2월 24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120,021호에 대한 이익 향유 및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러한 가출원의 기재 내용은 그 전체가 본원에서 인용된 것과 같이 참조로 포함된다.
본 개시 내용은 주사기로부터의 약제 유체의 분배에 관한 것이다. 보다 특히, 본 개시 내용은 도움을 받아 주사기를 적재하고 유체를 분배하기 위한 메커니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신속 유체 투여는, 박테리아 패혈증, 출혈, 외상, 심한 탈수증, 및 아나필락시스를 포함하는 다양한 질병으로부터 초래되는 쇼크성의 생명-위협 질환으로 고통받는 환자에게 필수적이다. 미국보건협회의 소아과 전문 진료 지원(Pediatric Advanced Life Support)(PALS) 지침, 미국 중요 건강관리 의학 대학, 성인을 위한 생존 패혈증 캠페인 지침은 초기 치료의 핵심 요소로서 신속한 유체 소생술을 권장한다. 예를 들어, PALS는 20 ml/킬로그램 체중이 5분 내에 주입될 것을 요구하고, 그리고 최초 15분 이내에 60ml/kg까지 주입될 것을 요구한다.
실제로, 권장 유체 부피의 적시 주입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는 종종 중증 질환의 셋팅에서 정맥주사(IV) 접근을 확보하는데 있어서의 어려움, 및 큰 부피의 유체의 주입에 대한 기술적 장벽 때문이다. IV 접근이 달성하기 어려울 때, 바람직한 기술은 현재 골내(intraosseous)(IO) 접근이며, 그러한 접근에서 바늘이 팔이나 다리의 긴 뼈의 하나 내로 직접적으로 드릴링되고, 유체가 골수를 통해서 중앙 순환내로 투여된다. IO 주입이 응급 의학에서 유체 및 약제 투여를 위한 신속한 접근에 대한 해결책을 혁신하였지만, 그러한 주입은, 유체의 신속한 주입을 어렵게 하는 골수의 저항으로 인한 부가적인 해결과제를 제시한다. 이러한 해결과제는 특히 어린이에서 일반적이다.
골수의 증가된 저항은 작은-보어 또는 긴 IV 카테터를 통한 유동과 유사하고, 권장 부피의 소생술 유체를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는 건강관리 제공자의 능력을 제한한다.
건강관리 제공자는 이러한 상황에서 유체를 신속하게 전달하기 위해서, 중력, 주입 펌프, 유체 저장용기에 적용된 압력 백, 및 손-동작형 주사기, 그리고 기계적 신속-주입 시스템을 포함하는, 몇몇 방법을 이용한다.
큰-저항 상황에서 가장 빠르고 가장 실용적인 방법은 손-동작형 주사기 기술이다. 이용되는 구성요소의 표준 세트는 유체 저장용기, 주사기, 3-방향 활전(three-way stopcock), 및 이러한 구성요소를 IO 또는 IV 포트와 연결하는 IV 배관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유체 저장용기로부터 주사기를 충진하기 위해서 플런저를 후퇴시키고, 활전을 회전시키며, 이어서 IO 또는 IV 포트를 통해서 그리고 환자 내로 유체를 구동하기 위해서 플런저를 누른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희망 부피가 전달될 때까지 복수의 횟수로 반복된다. 대안적으로, 한 명의 제공자는 IV 유체 백으로부터 주사기를 충진하는 한편, 다른 사람은 주사기를 연결하고, 유체를 투여하며, 빈 주사기를 분리하고, 그리고 프로세스를 반복한다.
이러한 2가지 방법 모두는 응급 건강관리 제공자에게 이하의 것을 요구한다: 1) 큰-부피의 주사기에서, 종종 양 손으로, 큰 힘을 사용할 것을 요구하여, 사용자의 빠른 피로를 초래하거나, 2) 적절한 부피를 달성하기 위해서 작은-보어의 주사기를 복수 횟수로 재충진할 것을 요구하여, 투여 시간의 지연 및 한 명 이상의 작업자의 상당한 주의산만을 초래한다. 양자 모두의 경우에, 2명의 제공자가 종종 필요하고, 한 명의 사용자는 유체를 주입하고, 다른 사람은 주사기를 재충진하거나 활전을 동작시키며, 적절한 유체 부피가 권장 기간 내에 거의 달성되지 않는다.
경골 IO 바늘이 유일한 접근인, 외상성 부상 및 과다 출혈을 가지는 40 kg의 어린이의 예를 고려한다. 이러한 어린이는, 총 1600 내지 3200 ml를 위한, 40 내지 80 ml/kg의 혈액 제품의 신속한 주입을 필요로 할 수 있다. 표준 기술 및 20 ml 주사기를 이용한 반복된 투입은 80 내지 160번의 주입 및 2명의 건강관리 작업자의 최대의 집중을 요구할 수 있고, 이는 느린 소생술 및 불충분한 자원의 이용을 초래할 수 있다. 총 주입 시간은 15 내지 20분이 될 수 있고, 이는, 특히 활동적으로 출혈되는 어린이에서, 권장 비율의 범위를 상당히 벗어난다.
이러한 요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추가적으로 설명되는 단순화된 형태의 개념으로 도입하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다. 이러한 요지는 청구된 청구 대상의 중요 특징 또는 본질적 특징을 식별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청구된 청구 대상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도 해석되지 않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주입 장치는 적어도 주사기의 플랜지 및 플런저를 유지하도록 그 크기가 결정되고 구성되는 내부 챔버를 가지는 하우징, 하우징에 의해서 유지되는 방아쇠, 및 방아쇠와 연통되고 상부 단부를 가지는 캠 경로를 가지는 상향 연장 캠을 포함하는 레버를 포함한다. 캠은 주사기의 플랜지와 연통된다. 주사기로부터 유체를 분배하기 위한 방아쇠의 작동에 응답하여, 캠의 상부 단부는 주사기 위로 위쪽으로 그리고 주사기의 분배 단부를 향해서 길이방향으로 이동되고 그에 따라 주사기의 플런저를 제1 방향으로 선형적으로 병진운동시켜 유체를 주사기로부터 분배한다. 유체를 주사기 내로 재충진하기 위해서, 캠의 상부 단부가 하향으로 그리고 주사기의 분배 단부로부터 멀리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어 플런저를 제2의 대향 방향으로 선형적으로 병진운동시켜 유체를 주사기 내로 흡입한다.
하우징은 하부 하우징 부재 및 하부 하우징 부재에 부착된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는 하우징의 길이방향 대향 단부들 사이의 높이를 증가시켜, 캠의 상향 단부를 케이스화하는 내부 공동을 형성할 수 있다.
캠은 캠 경로를 형성하는 폐쇄된 경계부 내측에서 슬롯을 포함할 수 있고, 캠의 슬롯을 통해서 연장되는 측방향 연장 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캠 및 핀이 협력하여 주사기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켜 유체를 분배할 수 있고 주사기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유체를 흡입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슬롯은 상부 궁형 단부 및 하부 궁형 단부를 가질 수 있다.
주입 장치는, 유체 분배를 위해서 주사기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그리고 유체 흡입을 위해서 주사기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캠의 상부 단부와 결합되는 측방향 연장 브래킷에 부착된 셔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브래킷은 제1 가로 막대 및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제2 가로 막대를 포함할 수 있고, 그러한 막대들은 개구부를 함께 형성하며, 그러한 개구부 위로 캠의 상부 단부가 연장될 수 있다.
내부 챔버는, 부피 용량이 5 ml 내지 30 ml의 범위인 각각의 주사기의 적어도 플랜지 및 플런저를 유지하기 위한 크기 및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캠의 상부 단부는 주입 장치의 동작적 사용 중에 둘러싸인 공동 내에서 약 1.25 인치 내지 약 2.25 인치의 거리로 상하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캠은 주사기와 대면되는 오목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은 내부 챔버 내에서 주사기의 세장형 주사기 본체를 유지하기 위한 크기 및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은, 내부 챔버 위에 체류하는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시각적으로 투명한 상부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장치는 주사기의 분배 단부에 부착된 이중 체크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중 체크 밸브의 유입구 관은 하우징의 하나의 측면의 외부로 연장되어, 유체 부피의 시각적 표시가 상향 대면되도록 주사기를 배향시킨다. 유입구 관은 주사기의 플랜지의 측방향 연장 평면과 평행하도록 축방향 연장 밸브 본체에 수직으로 외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플랜지는 유입구 관의 축방향 연장 중심선으로부터 3 내지 5 인치의 거리에 체류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유입구 관은 큰 보어 배관의 길이에 고정되거나 해제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주입 장치는 주사기의 분배 단부에 부착된 이중 체크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중 체크 밸브의 유입구 관은 하우징의 하나의 측면의 외부로 연장된다. 덮개는 주사기의 분배 단부에 인접한 그 전방 단부 상에서 또는 그에 근접하여 복수의 이격된 하향 대면 개구를 포함할 수 있고, 그러한 개구는 이중 체크 밸브 본체의 관형 출구 포트 주위로 연장되는 크기 및 구성을 가지는 제1 최전방 개구 및 제1 최전방 개구에 인접하도록, 그러나 그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덮개의 우측 및/또는 좌측 측벽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개구를 포함한다. 이격거리는 0.5 인치 내지 1 인치, 선택적으로 약 0.8 인치의 거리일 수 있다.
우측 및/또는 좌측 측벽 상의 적어도 하나의 제2 개구는, 덮개의 우측 및 좌측 측벽 상에서 서로 교차되어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제2 개구의 쌍을 포함할 수 있다.
덮개는 대향되는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를 가질 수 있다. 전방 단부는 반원형 개구를 가지는 선단부를 구비할 수 있다. 하부 하우징 부재의 전방 단부는 또한, 덮개가 하부 하우징 부재에 대해서 폐쇄될 때, 원형 개구를 형성하도록 덮개의 선단부 내의 반원형 개구와 대면되는 반원형 개구를 가지는 선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는 개구를 가지는 선단부를 구비하는 전방 단부를 가질 수 있고, 선단부에 근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은 또한 개구를 가질 수 있다. 하부 하우징 부재는 덮개의 선단부 내의 개구와 대면되는 개구 및 덮개의 상응하는 측벽 내의 각각의 개구에 대면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향 연장 측벽 상의 개구를 가지는 선단부를 포함하는 전방 단부를 가질 수 있다. 덮개가 하부 하우징 부재에 대해서 폐쇄될 때, 덮개 및 하부 하우징 부재로부터 각각의 개구의 쌍이 정렬되어 각각의 포트를 형성할 수 있다.
덮개의 전방 단부는 하향 연장 반원형 개구를 가지는 선단부 및, 하향 연장 반원형 개구를 또한 가질 수 있는, 선단부에 근접한 적어도 하나의 측벽을 가질 수 있다. 하부 하우징 부재는 덮개의 전방 단부 아래에 체류하는 전방 단부를 가질 수 있다. 하부 하우징 부재의 전방 단부는 덮개의 선단부 내의 반원형 개구에 대면되는 상향 연장 반원형 개구 및 덮개의 측벽 내의 각각의 반원형 개구와 대면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향 연장 측벽 상의 상향 대면 반원형 개구를 가지는 선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가 하부 하우징 부재에 대해서 폐쇄될 때, 덮개 및 하부 하우징 부재 내의 반원형 개구의 각각의 쌍은 반원형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덮개의 측벽 및 하부 하우징 부재의 정렬된 개구의 적어도 하나의 쌍에 의해서 형성된 개구의 중심은 내부 챔버 내의 주사기 목부 유지 단편으로부터 0.7 인치 내지 1 인치 범위의 거리로 이격되어 체류될 수 있고, 그에 의해서, 내부 챔버 내측에 장착될 때, 주사기의 시각적 표시와 관련하여 체크 밸브의 형상결합적(positive) 배향을 제공한다.
내부 챔버는, 각각의 주사기의 목부를 유지하기 위한 크기 및 구성을 가지는 길이에 대한 더 작은 영역 내로 병합되는 주사기 본체를 유지하기 위한 크기 및 구성을 가지는 제1 격실을 구비할 수 있다. 내부 챔버 제1 격실은 제2 격실 내로 병합될 수 있고, 제2 격실은 선단부까지 연장되고, 출구 포트가 덮개의 선단부 및 아래의 하부 하우징 부재 외부로 연장되도록 그리고 및 유입구 관이, 선단부에 인접한, 덮개의 측면 및 아래의 하부 하우징 부재의 외부로 연장되도록, 이중 체크 밸브 본체를 내부에서 유지하기 위한 크기 및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큰 보어 배관의 길이는 유입구 관에 해제 가능하게 또는 고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고 장치의 외부에 체류할 수 있다.
덮개의 전방 단부 및 하부 하우징의 정렬된 개구에 의해서 형성된 각각의 포트는 우측 및/또는 좌측 측벽 상의 정렬된 개구에 의해서 형성된 포트 보다 클 수 있다.
캠은 플런저를 선형적으로 병진운동시키기 위해서 셔틀에 결합될 수 있다. 캠은 셔틀 아래의 하우징 내의 고정된 피봇점을 중심으로 피봇 가능하게 레버에 부착될 수 있다. 방아쇠는 수동적으로 동작 가능한 방아쇠를 가지는 하향 연장 손 파지부 또는 전자적 방아쇠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곡선형 캠은, 방아쇠와 접촉되거나 방아쇠와 일체이고 고정된 피봇점 아래로 연장되는 하향 연장 단편 또는 연장부를 가질 수 있다. 장치는 방아쇠를 복귀 위치로 편향시키기 위해서 고정된 피봇점에 인접하여 유지되는 방아쇠 앵커에 부착된 비틀림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캠의 하향 연장 단편 또는 연장부는 고정된 피봇점 위의 궁형 개방 공간 및 궁형 개방 공간 내에 활주식으로 수용될 수 있고 그에 의해서 방아쇠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할 수 있는 측방향 연장 및 활주 가능 핀 잠금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방아쇠는, 하우징 내의 주사기의 플런저 행정 거리와 같거나 그 보다 20% 이하로 더 긴 행정 거리를 가지는 수동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주입 장치는 적어도 하우징의 내부 챔버 내의 플랜지로 하우징에 의해서 유지되도록 구성된 주사기, 주사기에 부착되고 하우징에 의해서 유지되는 밸브, 3 mm 초과 및 6 mm 이하의 내경 및 4 피트 내지 10 피트 범위의 길이를 가지는 큰 보어 배관, 작은 보어 배관 조립체로서, 밸브 본체의 출구 포트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3 mm 내지 1 mm의 내경을 가지는 작은 보어 배관의 길이, 작은 보어 배관에 부착된 클램프, 및 작은 보어 배관의 제1 및 제2 길이의 인접 단부들에 부착되는 Y 연결부를 가지는, 작은 보어 배관 조립체,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사기는 부피 용량이 5 ml 내지 30 ml 범위인 액체 챔버를 가지는 주사기 본체를 가질 수 있고, 주사기는 부피의 시각적 표시를 가지는 외부 표면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주사기 본체 내로 활주식으로 연장될 수 있고 그로부터 후퇴될 수 있는 플런저를 갖는다. 밸브는 대향되는 제1 및 제2 단부를 가지는 축방향 연장 밸브 본체를 포함할 수 있고, 밸브 본체는 (a) 밸브 본체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체류하는 유입구 관 및 (b) 밸브 본체의 제1 단부 상의 출구 포트를 포함한다. 밸브 본체의 제2 단부는 주사기에 인접하여 또는 그 내측에 체류될 수 있고 액체 챔버와 유체 연통된다. 큰 보어 배관은 대향되고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제1 및 제2 단부를 가질 수 있고, 큰 보어 배관의 제1 단부는 유입구 관에 부착되고, 제2 단부는 스파이크를 포함한다. 작은 보어 배관의 제1 및 제2 길이는, Y 연결부로부터 먼, 배관의 자유 단부를 각각 가질 수 있고, 그 중 하나는 숫놈형 루어 연결부(male luer connector)이고 또 하나는 암놈형 루어 연결부이다. 밸브가 부착된 주사기, 밸브 본체의 유입구 관에 부착된 큰 보어 배관, 및 밸브 본체의 출구 포트에 부착된 작은 보어 배관은 모두 주입 장치 내에서의 사용에 앞서서 멸균 포장 내에서 유지될 수 있고, 그에 의해서 멸균 및 사용-준비된 조립체로 제공될 수 있다.
주입 장치는 하우징에 의해서 유지되는 주사기, 주사기의 분배 단부에 부착되고 주사기의 액체 챔버와 유체 연통되는 이중 체크 밸브, 및 이하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 이중 체크 밸브의 출구 포트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3 mm 내지 1 mm의 내경을 가지는 길이, 작은 보어 배관에 부착된 클램프, 작은 보어 배관의 제1 및 제2 길이의 인접 단부에 부착되는 Y 연결부를 가지는 작은 보어 배관 조립체로서, 작은 보어 배관의 제1 및 제2 길이는, Y 연결부로부터 먼 각각의 자유 단부를 가지고, 그 중 하나는 숫놈형 루어 연결부이고 또 하나는 암놈형 루어 연결부인, 선택적으로 무바늘 밸브 구성인 것, 또는 (b) 이중 체크 밸브의 출구 포트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3 mm 내지 1 mm의 내경을 가지고 출구 포트에 부착된 단부로부터 먼 작은 보어 배관의 단부 상의 숫놈형 루어 연결부를 가지는 작은 보어 배관의 길이를 가지는 작은 보어 배관 조립체. 주사기는 부피 용량이 5 ml 내지 30 ml 범위인 액체 챔버를 가지는 주사기 본체를 가질 수 있다.
주입 장치는 하우징에 의해서 유지되는 주사기, 주사기의 분배 단부에 부착되고 주사기의 액체 챔버와 유체 연통되는 이중 체크 밸브, 및 이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i) 유입구 배관의 제1 및 제2 단편을 가지는 조영제 배관 하위-조립체로서, 적어도 하나의 단편은 큰 보어 배관의 길이를 포함하고, 유입구 배관의 제1 및 제2 단편의 각각은 스파이크를 가지는 하나의 단부를 구비하고, 제1 및 제2 단편은 심장 주입 시술을 위한 유입구 관의 유입구 포트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2-방향 선택기 밸브에 의해서 연결되는, 조영제 배관 하위-조립체; (ii) 주사기와 유체 연통되는 압력 릴리프 밸브와, 이중 체크 밸브의 출구 포트 사이의 작은 보어 배출구 배관의 길이; 및 (iii) 상응하는 액체의 제1 및 제2 파우치 내로 삽입된/삽입될 수 있는 큰 보어 스파이크 및 클램프를 각각 포함하는, 큰 보어 배관의 제1 및 제2 길이로서, 큰 보어 배관의 제1 및 제2 길이는, 이중 체크 밸브의 유입구 관에 부착된 하나의 큰 보어 유입구 배관 단편 내로 병합되는 Y 연결부에 인접한 인-라인 필터에서 만나고, 그에 의해서 사용자가 혈액 또는 혈액 제품을 포함하는 하나의 파우치를 큰 보어 배관의 제1 길이에 부착할 수 있게 하고 주입 액체(선택적으로, 생리식염수)를 포함하는 다른 파우치를 큰 보어 배관의 제2 길이에 부착할 수 있게 하는, 큰 보어 배관의 제1 및 제2 길이. 주사기는 부피 용량이 5 ml 내지 30 ml 범위인 액체 챔버를 가지는 주사기 본체를 가질 수 있다. 이중 체크 밸브는 축방향 연장 주 본체 및 출구 분배 포트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체류되는 유입구 포트를 가지는 유입구 관을 포함할 수 있다.
주입 장치는 하우징에 의해서 유지되는 주사기, 방아쇠를 통해서 사용자에 의해서 주사기에 인가되는 측정된 압력 또는 힘과 연관된 신호를 생성하는, 주사기에 결합된 하우징 내의 적어도 하나의 압력 하중계, 및 압력 하중계에 의해서 측정된 힘 또는 압력을 기초로 분배되는 유체의 유체 압력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압력 하중계와 통신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체 압력은 압력 하중계에 의해서 측정된 힘 또는 압력 및 주사기의 플런저의 직경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주사기는 부피 용량이 5 ml 내지 30 ml 범위인 액체 챔버를 가지는 주사기 본체를 가질 수 있다. 주사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주사기 본체 내로 활주 가능하게 연장될 수 있고 그로부터 후퇴될 수 있는 플런저를 가질 수 있다.
주입 장치는 하우징에 의해서 유지되는 주사기, 주사기에 부착되고 하우징에 의해서 유지되는 밸브, 주사기 및/또는 유체 흡입 또는 방출 유동 경로와 유체 연통되는 압력 센서 또는 하중계, 그리고 프로세서와 통신되는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사기는 부피 용량이 5 ml 내지 30 ml 범위인 액체 챔버를 가지는 주사기 본체를 가지고, 주사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주사기 본체 내로 활주식으로 연장될 수 있고 그로부터 후퇴될 수 있는 플런저를 갖는다. 밸브는 대향되는 제1 및 제2 단부를 가지는 축방향 연장 밸브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 본체는 (a) 밸브 본체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서 체류되는 유입구 관, 및 (b) 밸브 본체의 제1 단부 상의 출구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 본체의 제2 단부는 주사기에 인접하여 또는 그 내측에 체류될 수 있고 액체 챔버와 유체 연통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밸브의 유입구 관에 부착된 배관의 유입구 포트에 부착된 유체 공급원(선택적으로 IV 백)의 유형과 관련된 희망 압력 한계를 선택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주입 장치는, 분배되는 유체의 결정된 유체 압력이 규정된 한계를 초과할 때, 주사기의 플런저를 불능화(disable)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내부 챔버는, 상이한 부피들의 주사기들을 해제 가능하게 그리고 연속적으로 상호 교환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크기 및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이한 부피들의 연속적으로 상호 교환 가능한 주사기들의 각각의 하나가 공통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이한 부피들의 연속적으로 상호 교환 가능한 주사기들의 각각의 하나가 공통 행정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행정 길이는 주사기 본체를 통해서 주사기의 각각의 플런저가 이동되는 거리일 수 있다. 상이한 부피들의 연속적으로 상호 교환 가능한 주사기들의 각각의 개별적인 주사기의 플랜지는 공통 플랜지 폭, 공통 플랜지 높이, 및 공통 플랜지 두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주입 장치는 하우징에 의해서 유지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배출구 포트를 통해서 분배되는 유체의 압력을 결정하기 위해서, 하우징 내에서 유지되는 각각의 주사기의 부피와 방아쇠에 인가되는 압력을 상호 관련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분배되는 전체 유체가, 선택적으로 사용자 세트 한계일 수 있는, 규정된 한계에 도달할 때, 프로세서는 청각적 및/또는 시각적 경고를 발생하도록 장치에 지시할 수 있다.
주입 장치는 하우징에 의해서 유지되는 프로세서 및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가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통신되어, 주사기의 반경방향 범위를 기초로 하우징 내에서 현재 유지되는 주사기의 유형 및/또는 부피가 어떠한 것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하우징은, 큰 보어 배관의 길이를 해제 가능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된 하우징의 전방 단부 부분에 인접한 하우징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하우징의 폭 치수에 걸쳐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관 유지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관 유지 특징부는, 방아쇠와 하우징의 전방 단부 사이에서 하우징의 우측 측면으로부터 하우징의 좌측 측면까지 연장되는 하우징의 하부 부분 내의 교차-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관 유지 특징부는, 배관의 길이를 해제 가능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된, 하우징의 하부 부분에 부착되고 하향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지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캠은, 사용 중에, 주사기 아래에 체류되고 방아쇠에 부착되며 고정된 피봇점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하향 연장 레버 단편을 포함할 수 있다. 하향 연장 레버는, 규정된 힘을 초과하는 사용자에 의한 힘의 인가에 응답하여 파괴되도록 구성된, 고정된 피봇점 아래에 체류하는 제1 및 제2 단편을 포함할 수 있다. 하향 연장 레버는, 규정된 힘을 초과하는 사용자에 의한 힘의 인가에 응답하여 재셋팅될 수 있는 경첩과 분리되도록 구성된, 고정된 피봇점 아래에 체류하는 제1 및 제2 단편을 포함할 수 있다.
주입 장치는 분배 부피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서 주사기와 통신되는 인코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입 장치는 구성요소의 제1 및 제2 멸균 포장을 가지는 키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멸균 포장은 하우징에 의해서 유지되는 주사기로서, 부피 용량이 5 ml 내지 30 ml 범위인 액체 챔버를 가지는 주사기 본체를 구비하는 주사기, 주사기의 분배 단부에 부착되고 주사기의 액체 챔버와 유체 연통되는 이중 체크 밸브, 및 이중 체크 밸브의 출구 포트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3 mm 내지 1 mm의 내경, 작은 보어 배관에 부착된 클램프, 및 작은 보어 배관에 부착된 Y 연결부를 가지는 작은 보어 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멸균 포장은 작은 보어 배관을 통해서 진통제를 사용자에게 분배하기 위해서 Y 연결부에 부착하기 위한 진통제(선택적으로, 리도카인)의 주사기를 포함할 수 있다.
주입 장치는 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구성요소의 제1 및 제2 멸균 포장을 가지는 키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멸균 포장은 하우징 내로 삽입하기 위한 주사기로서, 부피 용량이 5 ml 내지 30 ml 범위인 액체 챔버를 가지는 주사기 본체를 구비하는 주사기, 주사기의 분배 단부에 미리-부착되고 주사기의 액체 챔버와 유체 연통되는 이중 체크 밸브, 및 이중 체크 밸브의 출구 포트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3 mm 내지 1 mm의 내경을 가지는 작은 보어 배관으로서, 작은 보어 배관에 부착된 클램프, 및 작은 보어 배관에 부착된 Y 연결부를 가지는, 작은 보어 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멸균 포장은 진통제(선택적으로, 리도카인)의 제1 주사기 및 버퍼(선택적으로 탄산수소나트륨)의 제2 주사기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주사기는 작은 보어 배관을 통해서 버퍼링된 진통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서 Y 연결부와 유체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주입기 시스템은 플런저를 가지는 주사기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하우징, 주사기의 플런저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하우징 내의 셔틀, 및 하우징에 의해서 유지되는 레버를 포함하는 방아쇠를 포함한다. 레버는 주사기 아래에서 고정된 피봇점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레버는 제1 단편 및 제2 단편을 포함하고, 제1 단편 및 제2 단편은 정상 동작 중에 협력하여, 방아쇠의 작동 및 고정된 피봇점을 중심으로 하는 레버의 회전에 응답하여 셔틀을 제1 방향으로 선형적으로 병진운동시킨다. 규정된 힘을 초과하는, 사용자에 의해서 방아쇠에 인가된 힘에 응답하여 분리 및/또는 파괴되도록, 제1 및/또는 제2 단편의 하나 또는 모두가 구성된다. 주입 시스템은 방아쇠의 작동에 응답하여 주사기로부터 유체를 분배하도록 구성된다. 규정된 힘은, 유체가 주사기로부터 분배되는 최대 희망 압력 보다 크도록 상호 관련된다.
규정된 힘은 약 70 lbf, 선택적으로 70 lbf 내지 100 lbf일 수 있다.
레버의 제1 및/또는 제2 단편은 고정된 피봇점 아래에 그리고 레버의 외부 연부에 근접하여 배치된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는, 제2의 변형된 구성으로 변화되는 개구 주위의 벽을 가지는 제1의 원래의 구성을 가질 수 있고, 제2의 변형된 구성에서 벽은 사용 중에 규정된 힘을 초과하는 사용자에 의한 힘의 인가에 응답하여 개구의 일부 주위에서 분리되고 그에 의해서 레버를 분리 및/또는 파괴한다.
개구는 레버의 외부 연부로부터 0.01 내지 0.1 인치 이내에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레버의 제2 단편은 제1 재료 및 제1 재료와 상이한 제2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규정된 힘은, 주사기로부터 분배되는 유체의 압력이 5.8 PSI 내지 325 PSI의 압력을 초과할 때, 레버의 제1 및/또는 제2 단편을 분리 및/또는 파괴하도록 규정될 수 있다.
레버는 제1 단편 위에 체류하는 슬롯을 가지는 캠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편은 고정된 피봇점 아래의 피봇 핀으로 제2 단편에 피봇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레버의 제1 및 제2 단편은 서로 재부착 가능하게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는, 규정된 힘 이상의 힘을 사용자가 인가할 때, 단편들을 분리시키는 제1 단편과 제2 단편 사이의 재셋팅 가능 경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편은 고정된 피봇점 아래의 피봇 핀으로 제2 단편에 피봇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재셋팅 가능 경첩은, 정렬된 함몰부와 각각 결합 및 분리되도록 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후퇴될 수 있는 피봇 핀 위에 체류하는 스프링-부하형 플런저를 포함할 수 있다. 주입기 시스템의 동작 중에, 스프링-부하형 플런저는, 사용자가 규정된 힘 이상의 힘을 인가할 때, 함몰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주입기 시스템은, 재셋팅 가능 경첩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규제 메커니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부분의 피봇팅이 제한되도록 그리고 사용자가 규정된 힘 이상의 힘을 인가할 때에도 제1 및 제2 단편이 동작적으로 결합되어 유지되도록, 규제 메커니즘이 재셋팅 가능 경첩을 불능화시킬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주사기로부터 분배되는 유체의 압력이 규정된 압력을 초과할 때, 레버의 제2 단편의 하부 부분을 레버의 제1 단편으로부터 멀리 피봇시키도록 규정된 힘이 규정될 수 있다. 규정된 압력은 5.8 PSI 내지 325 PSI일 수 있다.
제1 단편은 고정된 피봇점 아래의 피봇 핀으로 제2 단편에 피봇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재셋팅 가능 경첩은 피봇 핀 아래의 적어도 하나의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재셋팅 가능 경첩의 적어도 하나의 자석은 적어도 제1 단편 상의 제1 자석 및 적어도 제2 단편 상의 협력하는 제2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자석은 주입기 시스템의 정상 동작 중에 자기적으로 결합되도록 그리고 규정된 힘 이상의 힘을 사용자가 인가할 때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자석은, 주입기 시스템의 정상 동작 중에 자기적으로 결합되도록 그리고 규정된 힘 이상의 힘을 사용자가 인가할 때 분리되도록 구성된, 제1 또는 제2 단편의 하나 상의 적어도 하나의 자석 및 제1 또는 제2 단편의 다른 하나 상의 협력적인 강자성체 자석 및/또는 희토류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주입 장치 및 주입기 시스템을 위한 약제 주입용 구성요소의 키트에 관한 것이다. 키트는: 부피 용량이 5 ml 내지 30 ml 범위인 액체 챔버를 가지는 주사기 본체를 구비하는 주사기로서, 부피의 시각적 표시를 가지는 외부 표면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주사기 본체 내로 활주식으로 연장될 수 있고 그로부터 후퇴될 수 있는 플런저를 가지는, 주사기; 내경이 3 mm 보다 크고 6 mm 이하이며 길이가 4 피트 내지 10 피트 범위인 큰 보어 배관으로서, 대향되는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제1 및 제2 단부를 가지는, 큰 보어 배관; 대향되는 제1 및 제2 단부를 가지는 축방향 연장 밸브 본체로서, (a) 밸브 본체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체류하는 유입구 관 및 (b) 밸브 본체의 제1 단부 상의 출구 포트를 포함하는, 밸브; 및 유입구 관과 별개인 또는 유입구 관에 미리-부착된, 밸브 본체에 미리-부착된 주사기 및 큰 보어 배관을 멸균 조건으로 유지하고, 그에 의해서 주사기 및 밸브를 주입 장치로 삽입하기 위한, 사용-준비된 구성의 구성요소를 제공하는 포장을 포함한다.
유입구 관은 큰 보어 배관의 제1 단부에 부착될 수 있다. 밸브 본체의 제2 단부는 주사기에 인접하여 또는 그 내측에 체류될 수 있고 액체 챔버와 유체 연통된다. 유입구 관은 주사기의 플랜지의 측방향 연장 평면과 평행하도록 축방향 연장 밸브 본체에 수직으로 외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플랜지는 유입구 관의 축방향 연장 중심선으로부터 3 인치 내지 5 인치의 거리에 체류할 수 있다. 유입구 관의 축방향 연장 중심선은 주사기 본체의 출구 선단부로부터 0.7 인치의 거리로 길이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유입구 관에 부착되는, 큰 보어 배관은 플랜지에 평행할 수 있고 부피 표시를 상향 대면되게 배치하도록 배향된다.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양태는, 그와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다. 즉, 모든 실시예 및/또는 임의 실시예의 특징이 임의 방식 및/또는 조합으로 조합될 수 있다. 출원인은, 원래 청구되지 않았던 다른 임의의 청구 사항의 임의 특징에 따르기 위해서 또는 그러한 임의 특징을 포함하기 위해서 원래 출원된 청구항을 보장할 수 있는 권리를 포함하여, 원래 출원된 청구항을 변경할 수 있는 권리 또는 그에 따른 임의의 새로운 항을 출원할 권리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이러한 그리고 다른 목적 및/또는 양태는 이하에서 기술되는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이하에서 간략히 설명된 바와 같은 특별한 예시적인 실시예 및 특징을 묘사하는 도면을 고려하여 전술한 '발명의 내용' 및 이하의 상세한 설명이 판독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발명의 내용' 및 상세한 설명은 명시적으로 묘사된 이러한 실시예 및 특징만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달 메커니즘의 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전달 메커니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 및 도 2의 전달 메커니즘의 등각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비-구속 치수 측정을 보여주는, 폐쇄 위치에서의 도 1의 전달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비-구속 치수 측정을 보여주는, 개방 위치에서의 도 1의 전달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플런저의 조작자-단부와 결합된 도 1의 셔틀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셔틀 기구만의 사시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방아쇠의 행정을 계수하기 위한 추적 휠을 가지는 전달 메커니즘의 도면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휠의 평면을 따라서 취한, 도 8a의 추적 휠의 근접도이다.
도 8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8a 및 도 8b의 추적 휠의 기어 및 멈춤쇠 장치의 근접도이다.
도 8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달 메커니즘의 셔틀의 전방 전진 중에 기어를 전진시킬 때와 같이 결합된 멈춤쇠를 도시한 것으로서, 보다 전진된 계수 위치에서 도시된 도 8c의 기어 및 멈춤쇠 장치의 도면이다.
도 8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셔틀이 후퇴될 수 있게 할 때와 같이 분리된 멈춤쇠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8c 및 도 8d의 기어 및 멈춤쇠 장치의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가된 압력 변환기 및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도 1 내지 도 3의 전달 메커니즘의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아쇠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서 그리고 선택적으로 주입된 액체의 부피를 계산 또는 확인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방아쇠에 연계된 인코더가 부가된, 도 1 내지 도 3의 전달 메커니즘의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로부터 유체를 분배하기 위해서 동력으로 셔틀이 전진된,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형 전달 메커니즘의 횡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셔틀과 결합되어 도시된, 전진 축을 따라서 취한, 도 11의 모터 및 기어의 도면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 내지 도 3의 전달 메커니즘의 덮개를 잠금하기 위한 메커니즘의 횡단면도이다.
도 1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3a의 잠금 메커니즘의 등각도이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 내지 도 3의 전달 메커니즘의 덮개를 잠금하기 위한 다른 잠금 메커니즘의 등각도이다.
도 1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되어 도시된 전달 메커니즘의 덮개 및 잠금되지 않은 도 14a의 잠금 메커니즘의 등각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로부터 유체를 분배하기 위해서 준비된 셔틀 메커니즘의 후퇴 위치에서 도시된 4개-막대 전진 시스템을 가지는 전달 메커니즘의 횡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로부터 유체를 분배한 후에, 셔터-전진 위치에서 도시된 4개-막대 전진 시스템과 함께 도시된, 도 15a의 전달 메커니즘의 횡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사용을 위해서 부착된 배관 및 유체 백을 가지는 전달 시스템의 횡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상적 환경에서의 이용시의 도 17의 전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입 장치를 위한 기본 배관 세트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상면도이다.
도 1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밸브에 대한 유입구 관의 확대된 단부도이다.
도 19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된 어댑터 배관을 도시한 도 19a의 배관 세트의 상면도이다.
도 19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포장에서 제공될 수 있는 각각의 환자의 치유에 유용한 구성요소의 세트의 상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리식염수 및 혈액 제품 투여 배관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리식염수 및 조영제 배관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입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2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덮개가 없는 하우징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상면도이다.
도 2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덮개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저면도이다.
도 2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세트가 부착되지 않은 하우징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및 덮개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비스듬한 정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래칭 메커니즘(latching mechanism)을 도시하는 하우징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2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틀림 스프링 및 하우징의 이동 정지 표시부를 가지는 주입 하우징의 개략도이다.
도 2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6a에 도시된 주입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펄스 세척 연장부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27b는 도 27a에 도시된 펄스 세척 연장부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된 펌프 개요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 유체 백을 가지는 모터화된 외장(motorized enclosure)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유체 백을 가지는 모터화된 외장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한 하우징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등각도이다.
도 3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 위치에서의 콤팩트한 하우징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3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32a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3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한 하우징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3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플랜지의 도 33a의 콤팩트한 하우징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확대도이다.
도 3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33a의 콤팩트한 하우징을 위한 선택적인 잠금 탭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확대도이다.
도 33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33a의 콤팩트한 하우징의 선택적인 디텐트(detent)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확대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가적인 콤팩트한 하우징 구성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등각도이다.
도 3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 위치에서의 주입 장치의 레버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3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규정된 크기를 초과하는 힘의 인가로 인한 파괴 이후의, 도 35a에 도시된 레버의 측면도이다.
도 3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버 파괴 전의 도 35a에 도시된 레버를 가지는 하우징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3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버 파괴 이후의 도 36a에 도시된 하우징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3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셋팅 가능 경첩을 가지는 레버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3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 이후의, 재셋팅 가능 경첩을 가지는 도 37a에 도시된 레버의 측면도이다.
도 37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37a에 도시된 재셋팅 가능 경첩을 가지는 레버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37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적 래치를 가지는 재셋팅 가능 경첩을 가지는 레버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37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 이후의, 재셋팅 가능 경첩과 함께 도 37d에 도시된 레버의 측면도이다.
도 37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37d에 도시된 재셋팅 가능 경첩을 가지는 레버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부분적 횡단면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에 연결될 수 있는 압력 릴리프 밸브를 가지는 배출구 배관 세트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상면도이다.
도 39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모니터링 시스템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부분적인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3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 위치에서 도시된 도 39a의 압력 모니터링 시스템의 부분적인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내측에 주사기를 가지는 주입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4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된 또는 부착된 유입구 배관 관리 특징부를 가지는 하우징을 가지는 주입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상면도이다.
도 4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41a에 도시된 주입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41a에 도시된 주입 장치와 유사한 주입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입 장치를 위한 가변 부피를 가지는 그러나 일정한 행정을 가지는 예시적인 주사기 본체의 측면도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전히 눌린 그리고 완전히 후퇴된(파선) 위치에서 도시된 플런저와 함께 도시된, 도 42에 도시된 주사기와 같은 주사기의 측면도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통 주입 장치에서 이용하기 위한 상이한 크기들을 가지는 예시적인 주사기 본체의 정면도이다.
도 4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이한 부피들을 가지는 주사기를 연속적으로 그리고 상호 교환 가능하게 유지할 수 있는 주입 장치의 부분적인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4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크기의 주사기 및 주사기 검출 센서 구성을 포함하는 도 45a의 주입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4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45b에 도시된 제1 크기의 주사기와 상이한 제2 크기의 주사기를 포함하는 도 45a의 주입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45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주사기의 크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도 45a 내지 도 45c의 주입 장치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4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기계적 작동 부재를 포함하는 주입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아쇠가 연장된 도 46a의 주입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포함하는 핸드헬드 주입 장치의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4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퇴된 위치의 도 47a의 주입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8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형 작동기를 포함하는 핸드헬드 주입 장치의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4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퇴된 위치의 도 48a의 주입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입 장치, 진통제 및 골간 접근 시스템을 포함하는 용기의 등각도이다.
도 5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를 대상에 주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동작을 도시한다.
이러한 설명은 넓은 본 발명의 청구 대상의 하나 이상의 특별한 실시예의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충분히 구체적으로 제시된다. 이러한 설명은, 본 발명의 청구 대상을 명시적으로 설명된 실시예 및 특징으로 제한하지 않으면서, 이러한 특별한 실시예의 특별한 특징을 예시하거나 제시한다. 이러한 설명을 반영한 고려는, 본 발명의 청구 대상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도, 부가적인 그리고 유사한 실시예 및 특징을 야기할 것이다. 비록 "단계"라는 용어가 프로세스나 방법의 특징과 관련하여 명시적으로 사용되거나 암시될 수 있지만, 순서 또는 서열이 명시적으로 기술되지 않는 한, 그러한 표현된 또는 암시된 단계들 사이의 임의의 특별한 순서 또는 서열이 암시되지는 않는다.
도면 및 그 설명에서 명시되거나 암시된 임의의 치수는 예시적인 목적을 위해서 제공된다. 그에 따라, 도면 및 그 설명의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가 그러한 예시적인 치수에 따라 이루어지지는 않는다. 도면은 반드시 실제 축척으로 작성된 것이 아니다. 그에 따라, 도면 및 그 설명의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가 도면 내의 상대적인 치수들과 관련하여 도면의 명백한 축척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각각의 도면에 대해서,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는 도면의 명백한 상대적인 축척에 따라 이루어진다.
달리 규정되는 바가 없는 한, 본원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가 본 발명에 속하는 업계의 당업자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같은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규정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명세서의 문맥 및 관련 기술에서의 그 의미와 일치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본원에서 명시적으로 규정되지 않는 한, 이상적인 또는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간결함 및 명료함을 위해서, 주지의 기능 또는 구성이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별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고 본 발명의 제한을 위해서 의도된 것이 아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문맥상 달리 명백하게 표시된 바가 없는 한, 단수 형태("a," "an" 및 "the")는 복수의 형태를 또한 포함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본원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기술된 특징,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구성요소의 존재를 구체화하나,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단계, 동작, 요소, 구성요소, 및/또는 그 그룹의 존재나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님을 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연관된 나열된 항목의 하나 이상의 임의 또는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전반적으로 유사한 번호가 유사한 요소를 전형적으로 지칭한다. 도면에서, 특정 선, 층, 구성요소, 요소 또는 특징의 두께가 명료함을 위해서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X와 Y 사이" 및 "약 X와 Y 사이"와 같은 문구는 X 및 Y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약 X와 Y 사이"와 같은 문구는 "약 X와 약 Y 사이"를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약 X로부터 Y 까지"와 같은 문구는 "약 X로부터 약 Y까지"를 의미한다.
"약"이라는 용어는, 인용된 매개변수가 기재된 값으로부터, 전형적으로 +/-20%만큼,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멸균"이라는 용어는, 기술된 장치 또는 재료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의해서 요구되는 것과 같은 규정된 청정도의 약제 지침(예를 들어, 규정)을 충족시키거나 초과하고, 약제 이용에 적합하도록 (완전히 또는) 실질적으로 오염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멸균 장치 또는 재료는, 비제한적으로, 가요성 파우치와 같은 멸균 포장으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설명용 매체"라는 용어는 변연절제술 도구의 동작 및/또는 척추 면 변연절제술 수술적 시술을 묘사 및/또는 설명하는 전자적 및/또는 종이 안내책자, 비디오, 사용자 지침, 또는 기타를 지칭한다.
"큰 보어"라는 용어는 ID(내경)가 3 mm 보다 크고 6 mm 이하인, 전형적으로 3.5 mm 이상이고 6 mm 이하인 배관 또는 개구부를 지칭한다. 큰 보어는 약 3.5 mm, 약 4 mm, 약 4.5 mm, 약 5 mm, 약 5.5 mm, 또는 약 6 mm일 수 있다. "작은 보어"라는 용어는 ID가 1 mm 이상이고 3 mm 이하인, 전형적으로 2 mm 이상이고 3 mm 이하인 배관 또는 개구부를 지칭한다.
"진통제"라는 용어는 리도카인, 프리로카인, 벤조카인, 메피비카인, 에티드카인, 아르티카인, 부피비카인, 프로카인, 테트라카인 및/또는 마르카인을 포함하는 약제를 포함하는 진통제 및/또는 마취제를 지칭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진통제의 투여 중에 발생되는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약제 버퍼링 용액이 진통제에 첨가될 수 있다. 약제 버퍼링 용액은 예를 들어 중탄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중탄산칼슘, 산화마그네슘, 수산화칼륨, 탄산나트륨, 트리스(히드록시메틸) 아미노메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인간 및 동물 모두에서 이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환자"라는 용어는 인간 및 동물 환자 모두를 지칭한다.
도 1 내지 도 5는 유체를 주입하기 위한 시스템(10)을 도시한다. 시스템(10)은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응답하여 주사기(48)로부터 유체를 주입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주사기(48)는 시스템(10) 내에서 연속적으로 상호 교환 가능할 수 있다. 시스템(10)은 여러 가지 크기의 주사기(48)를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10)은 5 ml, 10 ml, 15 ml, 20 ml, 25 ml, 및 30 ml 주사기(48)를 수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그러한 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예에서, 시스템(10)은, 시스템(10)의 사용 중에, 사용자가 제1 크기의 제1 주사기(48)를 제1 크기와 상이한 제2 크기의 제2 주사기(48)와 상호 교환할 수 있게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주사기(48)는, 시스템(10)에 부착된 일체형일 수 있거나 시스템(10)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시스템(10)은 또한 사용자가 동작 중에 시스템(10)을 파지할 수 있게 하는 정지적인 파지부(39)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10)은 사용자가 파지부(39)를 유지하는 동안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 방아쇠(37)를 포함할 수 있다. 방아쇠(37)는, 사용자가 주사기(48)로부터 유체를 흡입하고 분배할 수 있게 하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동적/기계적 방아쇠(37)일 수 있거나 전자적 방아쇠(37')(즉, 도 11, 도 47a)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방아쇠(37)는 고정된 피봇점(53)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주입 장치(10)는 레버(52)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의 상부 부분(52U)(도 4)은, 방아쇠(37)의 회전 이동을 셔틀 메커니즘(56)의 축방향 이동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폐쇄된 캠 경로(52P)를 가질 수 있는 캠(52C)을 포함하는 레버(52)와 연통되고 및/또는 포함하며, 셔틀 메커니즘(56)은 다시 플런저(41)를 유지한다. 핀(57) 또는 다른 부착 부재가 셔틀 메커니즘(56)에 고정될 수 있고 레버(52)의 캠(52C)(도 4)과의 상호 작용에 응답하여 트랙(52T)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복귀 스프링(55)은, 방아쇠(37)의 후퇴 위치(도 1 내지 도 4)로의 작동에 의해서 발사(firing)가 완료되었을 때, 방아쇠(37)를 연장된 개방 위치(도 5)로 복귀시킬 수 있다. 복귀 스프링(55)은 작동 방아쇠(37)의 레버(52) 부분 상의 피봇점(53)에, 그리고 또한 하우징(62)에 근접하여 연결될 수 있고, 하우징(62)의 정지적인 파지부(39)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방아쇠(37)는 도 1 및 도 4에서 폐쇄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셔틀 메커니즘(56)은 주사기 플런저(41)의 외부 단부를 수용하는 슬롯(64)을 가질 수 있다. 슬롯(64)이 상단부에서 개방되어, 주사기(48)가 위로부터 내부로 하강되게 할 수 있다. 주사기(48)의 본체는 (도 22에 도시된) 하우징 본체 내의 수용 슬롯(50)에 의해서 유지되는 플랜지(40)를 가질 수 있다. 이는, 플런저(41)가 작동되는 동안, 주사기(48)를 제 위치에서 유지할 수 있다. 덮개(42)는 고정된 피봇(63)을 중심으로 개방 및 폐쇄되게 피봇될 수 있고, 이는 적재 중에 주사기(48)에 접근할 수 있게 하나, 사용 중에 모든 이동 부분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한다. 덮개(42)는 자석 또는 다른 부착부 또는 잠금부로 하부 하우징 부재(162)에 대해서 유지될 수 있다. 비제한적으로, 자석, 디텐트, 래치, 또는 다른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많은 수의 상이한 특징부를 또한 이용하여 덮개(42)를 하우징(62)에 고정할 수 있다. 덮개(42)는 덮개 공동(42C)을 포함할 수 있다. 레버(52)의 상부 부분(52U)(도 4)은, 하우징(62)의 사용 중에, 덮개 공동(42C) 내에서 약 1.25 인치 내지 약 2.25 인치의 거리로 상하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레버(52)는, 플런저(41)의 행정 거리와 같거나 그 보다 20% 이하 만큼 더 긴 행정 거리를 가질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52)는 정지적인 파지부(39) 상의 주어진 지점으로부터 거리(D1) 내지 거리(D2) 일 수 있는 행정 거리를 이동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행정 거리가 1.25 인치 내지 3.5 인치일 수 있다. 잠금 버튼(24)은 사용자에 의해서 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잠금 위치로 이동될 때, 방아쇠(37)는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 위치에서 유지될 것이다. 잠금 버튼(24)이 잠금해제 위치로 이동될 때, 방아쇠(37)가 방해 받지 않고 자유롭게 이동된다. 이는, 잠금 이동에서, 방아쇠 내의 큰 직경의 원형 절개부로 진입하여 이동을 잠금하는, 잠금 버튼 상에 존재하는 큰 직경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잠금 버튼(24)이 "잠금해제" 위치로 밀릴 때, 잠금 버튼 내의 작은 직경이 방아쇠 내의 작은 직경의 절개부와 정렬되어 방해 받지 않는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주사기(48)는 이중 체크 밸브(31)에 연결될 수 있다. 이중 체크 밸브(31)의 유입구(34)는, 플런저(41)가 후퇴될 때, 유체가 유체 저장용기로부터 주사기(48)로 진입될 수 있게 한다. 이중 체크 밸브(31)의 배출구(32)는, 플런저(41)가 강제적으로 눌릴 때, 고압 유체가 주사기(48)를 빠져 나올 수 있게 하고 환자로 이동될 수 있게 한다.
적합한 이중 체크 밸브는, BBraun(미국 팬실베니아, 베들레헴에 소재하는 B. Braun Medical Inc.) 및 Merit(미국 유타, 솔트 레이크에 소재하는 Merit Medical Systems, Inc.)와 같은 회사를 포함하는, 약제 분야의 많은 공급자들에 의해서 현재 제조되고 있다. 비-배타적인 가능한 밸브의 예에는 부품 번호 BBraun으로부터의 S5401086SN, S5401096SN, 및 S5069200N, 그리고 Merit로부터의 부품 번호 500012002, 500012003, 및 500012006가 포함된다. 이러한 밸브는 슬립 피트(slip fit), 루어 피트, 및 배관 포켓 피트를 포함하는, 유입구 배관, 배출구 배관 뿐만 아니라, 주사기에 대한 다양한 상이한 연결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주입 시스템은 유체의 유출 및/또는 주사기 내로의 유입시의 유동에 대한 저항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또는 대안적으로, 특히 배관을 통해서 혈액 제품을 통과시킬 때 발생되는 난류 유동의 양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목적을 위해서, 예를 들어 유체 유동에 대한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적절한 밸브 설계가 이용될 수 있다. 볼 체크, 격막 체크, 덕빌(duckbill), 리프트 체크 및/또는 플래퍼(flapper) 밸브와 같은 체크 밸브 설계를 이용하여 동작을 위한 이중 체크 밸브 구성을 생성할 수 있다. 볼 및 케이지 밸브는, 혈액 순환에 매우 적합할 수 있는 다른 선택사항이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스플릿 플래퍼 밸브가 이용될 수 있다. 스플릿 플래퍼 밸브는 중심에서 피봇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유체가 직선적인 경로로 이동되게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유동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채널의 중심에 위치되는 분할부를 가지는 주 유체 이동 채널 외측에 위치되는 2개의 피봇 지점을 가지는 스플릿 밸브는 또한 유체가 직선적인 경로를 따라 이동되게 할 수 있다. 전술한 일부 밸브는, 루어 피팅 및 다른 연결부를 통해서 주사기 및/또는 배관으로 진행될 때, 작은 보어 개구부를 갖는다. 큰 보어 개구부를 가지는 주사기는 밸브 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의 내로 직접적으로 통합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고, 이는 또한 유체 유동에 대한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고 및/또는 난류 유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큰 보어 개구부는 또한 이중 체크 밸브의 모든 유체 유입구 및/또는 배출구에서 이용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주사기 플런저(41)의 조작자 단부를 유지할 수 있는 슬롯(64)을 가지는 셔틀 메커니즘(56)을 도시한다. 플런저(41)가 위로부터 수직으로 셔틀 메커니즘(56) 내로 낙하될 수 있도록, 그리고 이어서 셔틀 메커니즘(56) 내의 제 위치에서 유지되는 동안 플런저(41)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슬롯(64)이 구성될 수 있다. 플런저(41)가 없는 셔틀 메커니즘(56)의 도면이 또한 도시되어 있다.
셔틀(56)은 대략적으로 길이가 1.5 인치일 수 있고, 폭이 1 인치일 수 있으며, 높이가 1 인치일 수 있다. 셔틀(56)은 그 전방 단부에 배치된 슬롯(64) 내에서 주사기 플런저(41)를 포획할 수 있고, 0.25 인치 직경의 핀에 의해서 그 후방 단부에서 레버(52)에 연결될 수 있으며, 그러한 핀은 장치의 장축에 평행하게 셔틀(56)을 안내하는 2개의 0.25 인치 슬롯 내에서 추가적으로 활주된다. 셔틀(56)은 상단부로부터 낙하되는 5 ml, 10 ml, 20 ml 또는 30 ml 주사기(48)의 플런저(41)를 위해서 충분한 정도로만 큰 작은 홈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다른 주사기(48) 크기가 지원될 수 있다. 홈은 주사기 플런저(41)의 50% 초과를 포획하기 위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주사기(48)가 상단부로부터 자유롭게 낙하되게 할 수 있으나, 작동 중에 장치를 확실하게 포획할 수 있다. 유사한 홈이 또한 하우징(62) 상에 존재할 수 있고, 그러한 홈은 주사기(48)의 본체를 파지할 수 있고, 셔틀(56)이, 전후로 이동될 때, 주사기(48)를 작동시킬 수 있게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주사기(48)로부터 분배되는 유체의 부피가 전자적으로 또는 기계적으로 추적될 수 있다. 주입되는 유체의 부피를 추적하기 위한 복수의 방식이 있다. 예를 들어, 방아쇠(37)의 각각의 완전한 폐쇄를 계수할 수 있는 기계적 계수 메커니즘이 하우징(62) 내로 통합될 수 있다. 그러한 메커니즘의 일 실시예가 도 8a 내지 도 8e에 도시되어 있다. 행정의 완료에서, 스프링 부하형 멈춤쇠(81)가 기어(84)를 전방으로 밀 수 있다. 멈춤쇠(81)는 공중에 있는 동안, 또는 기어(84)를 전진시킬 때 정지부(82)를 밀 수 있다. 셔틀(56)이 후퇴될 때, 멈춤쇠(81)는 기어 치형부 제거를 위해서 회전될 수 있다. 기어(84)가 다이얼 휠(85)에 연결될 수 있고, 표시부 화살표(86)는 사용자가 볼 수 있는 위치에서 하우징(62)의 외측에 위치된다. 사용자는, 하우징의 측면 상의 마킹(87)을 보는 것에 의해서, 장치가 작동된 횟수를 결정할 수 있다. 기어 치형부 및 랫칫의 부가적인 세트가 샤프트(83) 내로 통합되어, 휠이 의도하지 않게 역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a에서, 다이얼 휠(85)은 표시부(86)가 0을 가리키는 위치에 있을 수 있고, 이는 장치가 아직 순환되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상응하는 기어 크기를 가지는 매우 다양한 마킹이 가능하다. 도 8c 내지 도 8e는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사용자는 또한 부가적인 기어 치형부 및 랫칫을 우회하기 위해서 다이얼을 아래쪽으로 누르는 것 및 휠을 영 또는 다른 희망 위치로 수동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다이얼을 리셋할 수 있을 것이다.
도 9는 하우징 내로 통합된 디스플레이(90)를 도시한다. 디스플레이(90)는 주입된 부피, 완료된 행정의 수, 주입 압력 또는 다른 정보를 LCD 화면, 전자 잉크, 또는 다른 화면(91) 상에서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버튼(92)은 사용자가 세트 지점을 선택, 유닛을 변화, 및 화면 상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값을 리셋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배관의 환자 측과 연통되고 디스플레이(90)에 연결된 압력 변환기(93)가 도시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이 하우징 이동을 추적하는 인코더 또는 복수의 매개변수를 계산하는 프로세서로부터 이러한 디스플레이(90)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우징은 주사기와 통신되는 인코더, 인코더와 통신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분배된 부피를 계산하도록 그리고 분배된 부피를 디스플레이(90)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규정된 양의 유체가 분배되었다는 경고를 생성하도록 장치에 지시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버튼(92)은 희망하는 목표 분배 부피량을 사용자가 셋팅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액체의 마중물 붓기량(priming amount)이 분배된 부피로부터 전자적으로 감소될 수 있거나, 사용자 리셋 입력은 마중물 붓기 동작 이후에 분배된 부피를 계산하도록 프로세서에 지시할 수 있다.
도 10은 회전 인코더를 포함하는 하우징 메커니즘의 횡단면도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광학적 인코더 휠(75)이 방아쇠(37)에 장착될 수 있다. 센서는 하우징 상에 장착될 수 있고, 방아쇠(37), 셔틀(56) 및 플런저(41)가 함께 이동될 때 그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셔틀에 부착된 선형 인코더는 이러한 구성의 다른 실시예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센서는 하우징(62) 상에서 유지될 수 있거나, 다른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로서, 자기적 또는 다른 유형의 인코더가 광학적 인코더를 대체할 수 있다. 인코더는 총 이동량을 계산할 수 있는 프로세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그러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동량을 이용하여 주입된 액체의 부피를 계산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를 리셋하는 영점화 버튼(zeroing button) 또는 다른 방법은 사용자가 임의 지점에서 계수를 시작 또는 정지시킬 수 있게 한다. 대안적으로, 사용자는 주입하고자 하는 희망 유체량을 선택할 수 있고, 시스템은, 그러한 레벨에 도달하였을 때, 또는 거의 도달하였을 때, 청각적 또는 시각적 경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동력형(즉, 모터 구동형) 주입 메커니즘을 가지는 시스템(100)을 도시한다. 모터(151)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랙(155) 및 피니언(154)으로서 도시된, 일련의 기어를 작동시킬 수 있으나, 웜 기어, 일련의 평 기어, 위성 기어 및/또는 베벨 기어를 포함하는, 많은 수의 다른 기어 조합 및 구성이 이용될 수 있다. 모터(151)는, 파지부(39) 내에 위치된, 셔틀 이동의 운동에 수직으로 도시되어 있다. 모터(151)를 위한 다른 위치로서, 트랙의 위 또는 아래에서, 셔틀의 이동에 평행한 것이 포함될 수 있다. 모터(151)는 또한 하우징의 후방에서 또는 전방에서 셔틀에 근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랙(155)은 셔틀 메커니즘(156)에 부착된다. 셔틀 메커니즘(156)은, 주사기(48)의 플런저(41)를 유지하고 플런저(41)의 축방향 이동을 허용하는 트랙(14)을 갖는다. 복수의 핀(157)은, 랙 및 피니언 기어가 회전될 때, 셔틀 메커니즘(156)을 제 위치에서 유지할 수 있다. 모터(151)는 표준 배출구 내로 꽂힌 케이블 또는 152로서 도시된 바와 같은 배터리 팩에 의해서 전력 공급될 수 있다. 방아쇠(37')는 전자 제어 버튼 또는 스위치일 수 있다. 제어 버튼(37')은 사용자가 유체의 유동을 제어하게 할 수 있다. 압력 또는 부피 목표 또는 한계와 같은 부가적인 제어 입력을 사용자가 희망하는 경우에, 부가적인 버튼이 부가될 수 있다. CPU(158)와 같은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압력 변환기와 같은 부가적인 입력부를 기초로 모터(151)의 작용을 제어할 수 있고, 성능을 기록할 수 있고, 및/또는 성능을 변경할 수 있다. 셔틀 메커니즘(156)의 위치를 항시 계산하기 위해서, 인코더 또는 인코더들이 모터(151) 내로 통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하우징(62) 상에 장착된 센서와 함께, 선형 인코더가 셔틀(156)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2는 후면도로 도시된 랙 및 피니언 메커니즘의 근접도를 도시한다.
도 13a에서, 덮개 및 덮개(42)를 하우징에 고정하기 위한 디텐트 레버(127)의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덮개(42) 상의 디텐트(125)는 하우징(62) 상의 홈과 억지끼워 맞춤될 수 있다. 디텐트 레버(127)의 길이 및 하우징과의 간섭량은, 원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덮개(42)를 개방하는데 적합한 충분히 낮은 레벨로, 그러나 정상적인 사용 중에 덮개를 제 위치에서 유지하는데 충분히 큰 힘으로 조율될 수 있게 한다. 턱부(128)는, 디텐트(125)를 하우징(62)으로부터 해제시킬 때, 사용자가 부가적인 지렛대 작용을 획득할 수 있게 한다. 도 13b는 동일한 메커니즘의 등각도이다. 디텐트(125)는 하우징(62)의 하나의 측면 상에, 또는 양 측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다른 잠금부가 이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2개 조각의 잠금 메커니즘이 사용자로 하여금 덮개를 제 위치에서 유지하기 위해서 손잡이를 "잠금" 위치로 비틀게 할 수 있고, 덮개(42)가 해제될 수 있는 "잠금해제" 위치로 비틀게 할 수 있다. 도 14a는 잠금 위치로 비틀린 잠금 손잡이(135)와 함께 이러한 메커니즘을 도시한다. 도 14b는 잠금 손잡이(135)가 잠금해제 위치로 비틀리고, 주사기(48)가 적재될 수 있도록 덮개(42)가 개방 위치에 있는, 이러한 메커니즘을 도시한다. 잠금 손잡이(135)는 덮개(42)를 제 위치에서 유지하기 위해서 립(136)과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62)에 부가된 부가적인 특징부가 잠금 손잡이(135)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용자는 잠금해제 위치 및 잠금 위치를 발견할 수 있고, 과도한 또는 과소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자석 또는 다른 방법을 또한 이용하여 덮개(42)를 고정할 수 있다.
도 15는 4개의 막대 연계 시스템을 가지는 기계적 시스템을 도시한다. 작동 레버(172)는 캠 경로(52P)를 가지는 레버(52) 및 교차 링크(171)에 연결될 수 있다. 교차 링크(171)는 고정된 피봇점 및 제2 교차 링크에 연결될 수 있다. 캠 경로(52P)는 제2의 고정점(173)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16은 동일한 시스템을 폐쇄 구성으로 도시한다.
도 17 및 도 18은 임상적 환경에서의 사용시의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8에서 테이블 상에 누워있는 환자가 도시되어 있다. 도 18에서, 배관(100)이 유체 백으로부터 환자에게 연결되고, 하우징(62)은 사용자의 손 내에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 유체는 골내 포트를 통해서 환자의 경골 고원을 통해 전달된다. 도 18의 횡단면도는 경골 고원의 소주골을 통한 유체 관류의 도면을 도시한다. 환자에 대한 연결을 위한 다른 구성은, 비제한적으로, 말초 카테터로 직접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시스템은 상처 관개 또는 환자에 대한 직접적인 연결을 필요로 하지 않는 다른 방법 다른 방법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전술한 실시예 중 임의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9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입 장치(10)를 위한 기본 배관 세트(10S)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상면도이다. 도 19b는 주사기(48) 밸브에 대한 유입구 관(34)의 확대된 정면도이다. 단일-스파이크 유입구 배관 세트(100)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배관 세트(10S)가 이하에서 설명된다. 10 ml(또는 5 ml, 20 ml, 또는 30 ml와 같은, 미도시된 다른 크기) 주사기(48)가, 2개의 밸브, 유입구 밸브(34) 및 출력 밸브(32)를 포함하는 이중 체크 밸브(31)에 직접적으로 연결된다(예를 들어, 미리-부착된다). 주사기(48)는 주사기 본체(48B), 플런저(41) 및 플랜지(40)를 갖는다. 길이가 약 2 내지 12 피트이고, 전형적으로 약 5 피트인 큰 보어 유입구 배관(100)이 유입구 밸브(34)에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더 짧거나 긴 길이가 이용될 수 있다. 보어 배관(100) 길이의 예는 2.5, 3, 3.5, 4, 4.5, 5, 5.5, 6, 6.5, 7, 7.5, 8, 8.5, 9, 9.5, 10, 10.5, 11, 11.5, 12 피트 또는 그 초과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큰 보어 유입구 배관(100)의 ID는 약 3.5 mm, 약 4 mm, 약 4.5 mm, 약 5 mm, 또는 약 6 mm일 수 있다. 일부 특별한 실시예에서, ID는 약 4.3 mm이다. 유입구 배관(100)의 다른 단부는, 다른 용기들 중에서, 표준 IV 유체 백과 양립 가능한 유입구 스파이크(102)에 부착될 수 있고, 손가락 파지부(101) 및 유입구 스파이크 연결부(103)를 포함한다. 이중 체크 밸브의 출력부(32)는, 복수의 현재 이용 가능한 배관에 대한 연결을 허용할 수 있는 숫놈형 루어 연결부일 수 있거나 그러한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중 체크 밸브(31)의 유입구 부분(34)은 주사기 본체(48) 상의 표시(38)와 평행하도록 정렬될 수 있다. 표시(38)는 주사기(48)의 부피의 시각적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주사기(48)의 부피의 시각적 표시(38)는 주사기(48)의 외부 표면 상의 눈금의 마킹 또는 다른 표시부일 수 있다. 표시의 정렬은, 표시(38)가 사용 중에 조작자에게 보여질 수 있도록, 그에 따라 환자에게 주입되는 유체의 양을 정밀하게 제어하게 할 수 있도록, 하우징(62)이 유입구 배관(100) 및/또는 유입구 밸브(34)를 배향시킬 수 있게 한다. 유입구 관(34T)은 우측 및 좌측 측면 모두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도록 배향될 수 있고 평행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유입구 배관(100)은 하우징으로부터 수직 외향으로 우측으로 연장되도록 배향된다. 만약 제공자가 환자의 우측에 서 있고 유체 백이 환자의 발 부근에 있다면, 이러한 구성은 유입구 배관(100)과 환자 상에서 실시되는 다른 활동의 충돌 또는 얽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부가적인 비대칭부가 주사기 본체(48), 체크 밸브(31), 또는 배관(100) 상에 존재하여, 사용자가 주사기(48)를 하우징(62) 내로 정렬시킬 때, 사용자를 보조할 수 있다. 이러한 정렬 특징부가 없이, 주사기(48) 상의 표시(38)가 사용 중에 보이지 않도록 사용자가 주사기(48) 상의 표시(38)를 배치할 수 있다. 이는 셋-업 중에 알 수 없이 진행될 수 있고, 사용자는 셋-업이 정확하지 않은 경우에 표시(38)가 보이도록 시스템을 분해하는 것을 꺼려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편의성 문제일 수 있고, 약제 장치의 이용에 대한 허가를 받을 때, 편의성은 전형적으로 FDA 및 국제표준화기구(ISO) 모두의 관심사이기 때문에, 설계의 일부로서 주사기(48)를 삽입하는 동안 적절한 정렬을 돕는 및/또는 강제하는 것이 이러한 문제를 방지/해결할 수 있다.
주사기 본체(48)와 유입구 배관(100)을 가지는 유입구 관(34T) 사이의 거리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것은, 하우징(62)이 유입구 배관(100) 및/또는 유입구 배관을 유지하는 밸브 관에 부착된 유입구 관(34T)의 적어도 하위-단편을 캡슐화할 수 있게 하고, 부정확한 배향으로 장치를 조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도시된 구성에서, 유입구 배관(100)을 가지는 유입구 관(34T)은 주사기의 단부로부터 약 0.5 인치 내지 약 0.9 인치의 거리(D)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유입구 관(34T)의 축방향 연장 중심선은, 체크 밸브(31)에 부착된 주사기(48)의 방출 단부로부터 약 0.5 인치 내지 약 0.9 인치의 거리(D)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거리(D)는 약 0.7 인치 이다. 도 19a에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 배관(100)을 가지는 유입구 관(34T)은 주사기(48)의 플랜지(40)로부터 약 2 인치 내지 약 5 인치, 전형적으로 약 3.25 인치 내지 4.25 인치의 거리(L)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유입구 관(34T)의 축방향 연장 중심선은, 주사기(48)의 플랜지(40)로부터 약 2 인치 내지 약 5 인치의 거리(L)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거리(L)는 약 3.75 인치이다. 이러한 구성은 사용 중에 배관(100)의 회전을 부가적으로 방지, 금지 또는 감소시킬 수 있고, 이는 사용자가, 환자의 소생술과 관련된 다른 과제를 실시하는 동안, 유입구 배관(100)과 충돌 또는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IV 또는 IO 바늘에 대한 용이한 연결을 돕기 위해서, 어댑터 배관(109)의 세트가 이용될 수 있다. 어댑터 배관(109)의 이러한 세트는, 여기에서 도시된 구성에서, 길이가 약 6 인치 내지 12 인치일 수 있으나, 더 긴 길이도 또한 이용될 수 있다. 전술한 IV 유체 백 내의 유체 이외의 다른 유체의 주입을 허용하기 위해서, 이중 체크 밸브(31)의 출력 포트(32)에 연결되도록 어댑터 배관(109)의 제2 세트가 또한 미리-부착되거나 별개로 제공될 수 있다. 어댑터 배관은 배관 포켓 연결부(106)를 통해서 작은 보어 배관(109)에 연결된, 무바늘 암놈형 루어 연결부일 수 있는, 암놈형 루어 연결부(104)를 포함할 수 있다. 암놈형 루어(104)는 체크 밸브(31)의 출력부(32)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작은 보어 배관(109)은, 고압을 견딜 수 있는 다른 배관 포켓 연결부를 통해서, 숫놈형 루어(112)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숫놈형 루어 연결부(112)는 환자 내로 배치되는 IV 또는 IO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러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Y 연결부(108)가 이용될 수 있다. Y 연결부(108)는 무바늘 암놈형 루어 연결부(107)를 포함할 수 있다. Y 연결부(108)는 환자 내로 주입될 수 있는 다른 유체를 포함하는 주사기에 대한 직접적인 연결을 허용할 수 있거나, 또한 중력 공급 IV 라인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9c는 체크 밸브(31)의 출력부(32)에 연결된 어댑터 배관(109)을 도시한 도 19a의 배관 세트의 상면도이다.
유체의 유동을 중단시키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썸 클램프(thumb clamp)(110)가 존재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에, 앰뷸런스로부터 병원으로, 또는 다른 위치로 이송할 때, 전술한 어댑터 배관(109)의 세트가 주입 배관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환자와 함께 유지될 수 있다.
배관 세트(10S)가 사용-준비된 키트(10K)로 제공될 수 있다. 키트(10K)는, 배관 세트(10S)를 멸균 상태로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포장을 포함할 수 있다. 키트(10K)는 사용설명용 매체(8)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설명용 매체(8)는, 배관 세트(10S)의 적절한 사용, 조립, 및/또는 훈련을 돕는 전자적 및/또는 종이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한 매체는 배관 세트(10S)를 위한 사용설명/훈련 자료로서의 콘텐츠를 식별하는 적합한 설명적 표제 및/또는 라벨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적 사용설명용 매체(8)는 디스플레이 상에서 보여질 수 있는 비디오 또는 전자적 사용설명용 안내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설명용 매체(8)는, 스마트폰, 컴퓨터, 전자적 노트북 또는 태블릿용 앱 등을 경유하여, 전형적으로 관련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바와 같은 규정된 기능성을 가지는 아이콘의 이용을 경유하여, 호스팅된 인터넷 포털/사이트와 같은 인터넷을 통해서 제공될 수 있다. 종이 사용설명용 매체(8)는, 배관 세트(10S)의 적절한 용법을 보여주는 사용설명용 안내책자와 같은, 종이 사용자 안내책자 또는 소책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9d는 하나 이상의 포장 내에서, 전형적으로 복수의 내부 멸균 키트 포장(10K1, 10K2)을 유지하는 하나의 외부 포장(10K) 내에서 제공될 수 있는, 각각의 환자의 치유에 유용한 구성요소의 세트의 상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요소의 세트는 적어도 하나의 미리-충진된 주사기(901)를 포함할 수 있고, 그러한 주사기는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입 주사기(48)를 가지거나 그에 부착될 수 있는 배관 세트(10S)와 함께 제1 및 제2의 별개의 상이한 물질로 미리-충진된 주사기(901, 911)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구성요소의 세트는, 배관 세트(10S)를 제공하는 제1 멸균 포장 및 배관 세트(10S)로 각각의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는 약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미리-충진된 주사기(901 및/또는 911)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즉, 제2의) 멸균 키트 포장을 포함할 수 있는 키트(10K)로서 제공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미리-충진된 주사기(901)는 국소 마취제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초과의 미리-충진된 주사기(901, 911)가 포함되는 경우에, 제2의 미리-충진된 주사기(911)는, 국소 마취제와 현장에서(in situ) 혼합될 수 있고 배관 세트(10S)의 배출구 배관을 통해서 환자에게 전달될 수 있는 버퍼링제를 포함할 수 있다.
미리-충진된 주사기(901, 911)는 단일 키트(10K) 내의 하나의 포장으로 제공될 수 있거나, 배관 세트(10S)를 유지하는 키트(10K)의 포장의 외부에 있는, 그와 별개인, 또는 그에 부착된 별개의 포장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키트(10K)는, 주사기(901, 911) 및 배관 세트(10S) 모두를 포함하는 (구성요소의 세트 주위의 파선 경계부에 의해서 표시된) 하나의 멸균 포장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키트(10K)는 배관 세트(10S)를 가지는 제1 멸균 포장(10K1) 및 국소적 통증 완화를 위한 미리-충진된 주사기(901)를 가지는 별개의 제2 멸균 포장(10K2)을 포함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버퍼링제 주사기(911) 만을 유지하는 제2 포장(10K2) 내에서 또는 제3 포장 내에서 버퍼링제가 미리-충진된 주사기(911)를 가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미리-충진된 주사기(901)는 리도카인 또는 다른 국소 마취제를 포함할 수 있고, 배관 세트(10S)와 함께 단일 키트 포장(10K1) 내에 포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키트(10K)는 배관 세트(10S)를 위한 키트 포장(10K1) 및 미리-충진된 주사기(901, 911) 중 하나 또는 모두를 포함하는 별개의 적어도 하나의 키트 포장(10K2)을 제공할 수 있고, 그러한 미리-충진된 주사기(901, 911) 중 적어도 하나는 리도카인과 같은 국소 마취제를 포함하는 미리-충진된 주사기(901)이고, 그 중 적어도 하나는 탄산수소나트륨과 같은 버퍼링제를 포함하는 미리-충진된 주사기(911)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리식염수 및 혈액 제품 투여 배관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혈액을 환자 내로 이송할 때, 배관 세트(200)의 부가적인 구성이 이용될 수 있다. 도시된 구성에서, 배관 세트(200)는 혈액 및 혈액 제품을 환자에게 이송할 수 있다. 2개의 유입구 스파이크(202)가 2개의 유체 백(201 및 212)에 연결된다. 하나의 백(201)이 혈액 또는 혈액 제품을 포함할 수 있는 한편, 제2 백(212)은 생리식염수 또는 다른 유사 유체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혈액 제품은 혈소판, 혈장, 혈장 유도체, 저온침출된 항혈소판 인자, 및 적혈구를 포함하는 혈액으로부터 유래된 제품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각의 백을 선택적으로 격리시키기 위해서, 2개의 클램프(203 및 211)가, 각각의 유입구 라인(217 및 218) 상에 하나씩,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클램프(203, 211)는, 배관의 제한 및 완전 차단 모두를 할 수 있는 롤러 클램프, 및/또는 완전 개방 또는 완전 폐쇄 만을 할 수 있는 썸 클램프일 수 있다. 유입구 배관(217 및 218)은 전형적으로 약 4.3 mm 내경을 가지는 큰 보어 배관일 수 있다. 2개의 유입구 관(217, 218)은, 감소되도록 또는 유동에 대한 규제부를 가지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는 Y 연결부(204)에서 접합될 수 있다. 이어서, 유체가 필터(205)를 통과할 수 있고 공통 유입구 관(216)을 통해서 이중 체크 밸브(31)로 계속될 수 있다. 도시된 구성에서, 거의 좁아지지 않는 또는 좁아지지 않는 큰 보어 연결부(208)(예를 들어, 일정한 내경의 연결부)가 이중 체크 밸브(31)와 주사기(48) 사이에 존재할 수 있다. 유체는, 숫놈형 루어 연결부인 배출구(215)를 빠져 나올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는 전술한 어댑터 배관(109)(도 19a)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배관(216)은 하나의 유입구 스파이크(202)를 생리식염수 또는 유사 유체의 백(212)에 연결하는 것, 그리고 모든 클램프를 개방하여, 중력 및 주사기 플런저(41)의 순환 모두를 이용하여, 유체가 전체 시스템을 통해서 유동할 수 있게 하는 것에 의해서 생리식염수로 마중물 붓기될 수 있다. 시스템이 (완전히) 마중물 붓기된 후에, 제2 유입구 스파이크(202)가 혈액 제품(201)을 포함하는 백 내로 배치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주입을 위해서 혈액 또는, 예를 들어, 생리식염수를 선택할 수 있고, 적절한 클램프(203 또는 211)를 개방할 수 있다. 만약 롤러 클램프(203)가 이용된다면, 사용자는, 혈액 및, 예를 들어, 생리식염수 모두의 조율 가능한 혼합물이 유입구 배관(216) 내로 끌어 당겨지도록, 클램프를 셋팅할 수 있다. 일단 혈액 제품(201)의 백이 완전히 비워지면, 생리식염수 또는 다른 유체의 백(212)을 이용하여 배관(216) 내에 존재하는 잔류 혈액 제품을 씻어 낼 수 있다. 사용자가 희망하는 경우에, 새로운 혈액 및/또는 생리식염수 또는 다른 유사 유체의 백(201)이 멸균 기술을 통해서 시스템에 부착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리식염수 및 조영제 배관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생리식염수 및 조영제를 위한 연결부를 가지는 수동-작동형 주사기(48)는, 카테터의 이용을 통해서 심장 수술을 실시할 때, 조영제를 투여하기 위해서 중재적 심장 시술에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조영제 배관(250)은 2개의 큰 보어 유입구 관(217 및 218)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유입구 관(217)은 작은 보어 배관일 수 있다. 유입구 관(217)은 환기되는 스파이크(225)를 통해서 조영제의 용기(229)에 연결될 수 있다. 조영제는 전형적으로 약 150 ml의 경질 유리 병으로 제공된다. 제2 유입구 스파이크(202)는 생리식염수 또는 다른 제품(230)으로 충진된 유체 백에 연결될 수 있다. 2개의 유입구 관(217, 218)은 2 방향 선택기 밸브(226)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2-방향 선택기 밸브(226)는, 환자 내로 주입할 때, 사용자가 2개의 상이한 유체들 사이에서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2-방향 선택기 밸브(226)는 이중 체크 밸브(31)의 측면에 체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2-방향 선택기 밸브(226)는, 하우징(62) 상의 작동 메커니즘(예를 들어, 방아쇠(37), 도 22)의 더 근접한 범위 내에서, 하우징(62)의 측면 상에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2-방향 선택기 밸브(226)를 이중 체크 밸브(31)에 유체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유입구 배관의 추가적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중 체크 밸브(31)는, 30 ml 내지 5 ml 크기일 수 있는 주사기(48)에 연결될 수 있다. 이중 체크 밸브(31)의 출구에서,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 변환기(227)가 있을 수 있다. (유입구 배관 보다 작은) 작은 직경 출구 배관(228)이 유체를 무바늘 Y 밸브(231)로 이송할 수 있고, 이어서 숫놈형 루어 연결부(232)로 이송할 수 있다. 숫놈형 루어 연결부(232)를 이용하여 심장 카테터에 연결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입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측면 사시도이다. 이중 체크 밸브(31)의 유입구 부분(34)은 주사기 본체(48) 상의 부피 표시(38)와 평행하도록 정렬될 수 있다. 이러한 정렬은, 사용 중에 부피 표시(38)가 사용자에게 보여지도록, 그에 따라 환자 내로 주입되는 유체의 양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우징(62)이 배관 세트를 배향시킬 수 있게 한다. 유입구 부분(34)은 우측 또는 좌측 측면의 외부로 연장되도록 배향될 수 있다. 도시된 구성에서, 유입구 배관은 우측으로 배향된다. 주사기(48)는 하우징(62) 내의 슬롯 내로 피팅되고, 플런저(41)는 셔틀(56) 내에 포획된다. 부가적인 비대칭부가 주사기 본체(48), 이중 체크 밸브(31), 또는 배관 상에 존재하여, 사용자가 주사기(48)를 하우징(62) 내로 정렬시킬 때, 사용자를 보조할 수 있다. 이러한 정렬 특징부가 없는 경우에, 부피 표시(38)가 사용 중에 보이지 않도록 사용자가 주사기(48) 상에 부피 표시(38)를 배치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는 셋-업 중에 알 수 없이 진행될 수 있고, 사용자는 표시(38)가 보이도록 시스템을 분해하는 것을 꺼려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이 편의성 문제일 수 있고, 약제 장치의 이용에 대한 허가를 받을 때, 편의성은 전형적으로 FDA 및 ISO 모두의 관심사이기 때문에, 주사기(48)를 삽입하는 동안 적절한 정렬을 돕는 및/또는 강제하는 것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주사기 본체(48)와 유입구 배관(100)을 가지는 유입구 관(34T) 사이의 거리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것은, 하우징(62)이 유입구 배관(100)을 가지는 유입구 관(34T)의 적어도 하위-단편 또는 일부를 캡슐화하게 할 수 있고, 부정확한 배향을 초래하는 장치의 조립을 방지 또는 금지할 수 있게 한다. 도시된 구성에서, 배관(100)을 가지는 유입구 관(34T)은 주사기(48)의 단부로부터 0.5 인치 내지 0.9 인치의 거리에 위치된다. 이러한 구성은 또한 사용 중에 배관의 회전을 방지 또는 금지할 수 있고, 이는 사용자가, 환자의 소생술과 관련된 다른 과제를 실시하는 동안, 유입구 배관(100)과 충돌 또는 걸리는 것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도 22는 하우징(62) 내에 적재된 배관 세트(10S)의 체크 밸브(31) 및 개방된 덮개(42)를 도시한다. 유입구(34) 및 배출구(32)를 가지는 이중 체크 밸브 조립체(31)가 주사기(48)에 연결된다. 주사기(48)와 체크 밸브(31) 사이의 연결부는 숫놈형/암놈형 루어 연결부일 수 있거나, 큰 보어의 맞춤형 연결부일 수 있다. 유입구(34)는 주사기(48)의 플랜지(40)와 평행하게 정렬되고, 부피 표시(38)가 위로부터 보여질 수 있도록, 그리고 유입구 배관(100)이 우측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대안적인 구성은 좌측으로 외부로 연장되는, 또는 하우징(162)의 하단부에 위치되는 유입구 배관(100)을 포함한다. 주사기(48) 및 체크 밸브(31)를 수용하기 위한 특정 절개부(33, 46)가 하우징(62) 내에 있을 수 있다. 측벽 내의 하나의 하우징 절개부(33)(명확하게, "절개부"는 개구 또는 접근 개구부를 지칭한다)는 유입구 배관(34)을 둘러쌀 수 있고, 선단부 내의 제2 절개부(46)가 배출구(32) 주위에 체류할 수 있다. 절개부는 전체적으로 하부 하우징(162) 내에, 전체적으로 덮개(42) 내에 있을 수 있거나, 서로 대면되는 덮개(42) 및 하부 하우징(162) 내의 절개부의 쌍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유입구 관(34T)을 위한 측벽 개구가 원형(전형적으로 상부 및 하부 하우징 부재 내의 반원형)일 수 있고 우측 측면 및/또는 좌측 측면 상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개구는, 예를 들어, 직사각형, 삼각형, 계란형, 및 기타와 같은 다른 형상일 수 있다. 측벽 개구는 배출구(32)를 위한 선단부 개구 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다.
하부 하우징(162) 절개부와 함께 유입구 관(34T) 및 밸브 배출구(32)를 완전히 둘러쌀 수 있고, 조립될 때, 유입구 배관(100), 표시(38) 및 주사기(48)의 희망 배향을 보장할 수 있는, 상응하는 절개부(45, 46)가 덮개(42)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주사기(48)를 수용하고 고정하기 위한 부가적인 특징부가 하부 하우징(162) 및 덮개(42) 모두 내에 있을 수 있다. 하우징(62), 전형적으로 하부 하우징(162) 내의 슬롯(50)이 플랜지(40)를 수용할 수 있다. 원형 절개부(35)는 체크 밸브 본체(31)와 주사기(48) 사이의 연결부를 수용하기 위한 크기 및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2개의 특징부를 또한 수용하기 위한 상응하는 절개부가 덮개(42) 내에 있을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42)는, 덮개(42)를 래치점(36)을 통해서 하우징(62)에 고정하는 래치 특징부(47)를 가질 수 있다. 래칭되었을 때, 덮개(42)는 주사기(48)를 하나의 배향으로 제 위치에서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체크 밸브(31)를 보호 및 배향시킬 수 있다. 덮개는 플랜지(40)를 가두는 것에 의해서 주사기(48)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희망할 때, 2개의 래치 연장부(51)를 동시에 압착하여, 래치(47)가 상응하는 래치점(36)을 해제할 수 있게 하는 것에 의해서, 래치(47)가 사용자에 의해서 해제될 수 있다. 래치 연장부(51)는 하나 이상의 특징부에 의해서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명백할 수 있다. 래치 연장부(51)의 위치에 있는 덮개(42) 내의 화형 절개부(scalloped cut) 및 2개의 하향 연장 슬롯(44)이 도 22에 도시되어 있다. 슬롯(44)은 제2 목적을 위한 역할을 하여, 래치를 해제하는데 필요한 굽힘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덮개(42)는 시각적으로 투과적일 수 있고, 전형적으로 투명하며, 사용 중에 주사기(48) 및 그 내용물의 용이한 시각화를 허용할 수 있는 고광택 창(43)을 가질 수 있다. 주사기(48)는, 파지부(39)를 유지하면서 방아쇠(37)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활성화될 수 있다. 방아쇠(37)는 캠 경로(52P)를 통해서 셔틀(56)에 연결될 수 있고, 이는 플런저(41)를 작동시킬 수 있다.
도 2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덮개(42)가 없는 하우징(62)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상면도이다. 도 23b는 하우징(62)의 덮개(42)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저면도이다. 도 23c는 배관 세트가 부착되지 않은 하우징(62)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이러한 도면은, 사용 중에 주사기(48), 체크 밸브(31), 및 유입구 배관(100)과 상호 작용하고 규제하는 특징부를 보여준다. 도 2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기 플랜지(40)를 위한 수용 슬롯(50)을 하우징(62) 내에서 확인할 수 있다. 덮개(42) 상에 위치된 지지 리브(193)는 또한 주사기 플랜지(40)를 배치 및 규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수용 슬롯(50) 및 지지 리브(193) 모두에 존재하는 편평부는 주사기 플랜지(40)의 회전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주사기(48)의 본체를 위한 원형 함몰부(48C)가 이러한 슬롯(50)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래치점(36) 뿐만 아니라 주사기 선단부를 수용하는 절개부(35)를 또한 이러한 도면에서 볼 수 있다. 챔버(31C)가 이중 체크 밸브(31)를 둘러싸고 보호 및 배향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챔버(31C)는 3개의 출구, 주사기 목부 또는 선단부 절개부(35), 유입구 절개부(33) 및 출구 절개부(46)를 가질 수 있고, 이들은 주사기 선단부, 이중 체크 밸브 유입구(34) 및 이중 체크 밸브 배출구(32)가 통과하게 할 수 있다. 유입구 절개부(33)의 중간선은 수용 슬롯(50)으로부터 거리(L)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거리(L)는 약 2 내지 약 5 인치, 전형적으로 약 3.25 인치 내지 4.25 인치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L은 3.75 인치이다. 동일한 특징부의 일부 또는 모두가 덮개(42) 상에 또한 위치될 수 있다. 사용 중에 셔틀(56)이 전후로 이동되어 주사기 플런저(4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주사기 플런저(41)는 수용 슬롯(64) 내로 피팅될 수 있고, 셔틀(56)은, 사용자의 손으로부터의 운동을 전달할 수 있는 레버(52)에 의해서 이동될 수 있다. 레버(52) 상의 캠 경로(52P)는 안내 핀 부싱(190B)을 통해서 활주 핀(190) 내로, 그리고 이어서 셔틀(56) 내로 힘을 전달할 수 있다. 고정된 피봇(63)은 피봇점(63P)을 통한 덮개(42)의 회전을 허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주사기 선단부 절개부(35), 수용 슬롯(50), 및 지지 리브(193)는, 사용 중에 배관 세트(10S)를 기계적으로 규제할 수 있는 주 접촉점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및 덮개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비스듬한 정면도이다. 이러한 비스듬한 등각도에서, 유입구 밸브를 위한 개구부(33), 이중 체크 밸브 출구를 위한 개구부(46), 및 주사기 선단부를 위한 절개부(35)는, 배관이 존재하지 않을 때, 상이한 각도로부터 보여질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래칭 메커니즘을 도시하는 하우징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 덮개 래치(47)는, 수직 힘 또는 측면 힘이 덮개(42)를 의도하지 않게 개방하지 않도록, 결합 캐치(60)와 중첩될 수 있다. 래치 연장부(51)는 사용자가 해제를 위해서 래치의 측면을 누를 수 있게 한다. 측면 슬롯(44)을 이용하여 래치(47)를 해제하는데 필요한 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주사기 플랜지(40)를 제 위치에서 유지할 수 있는 탭(163)을 또한 이러한 도면에서 볼 수 있다. 주사기(48)의 플런저(41)를 또한 도면에서 볼 수 있다. 이는 지지 리브(62S)에 의해서 하우징(62) 내에서 지지될 수 있다. 핀 잠금부(61)의 측면도를 또한 볼 수 있다.
도 26a 및 도 26b는 연장 스프링 대신에 비틀림 스프링(657)을 포함하는 실시예를 측면도로 도시한다. 도 26b는 비틀림 스프링(657) 및 하우징(62)의 이동 정지 표시부의 다른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비틀림 스프링(657)은 레버(52) 상에서 하나의 앵커점(654), 및 핸들(656) 상의 다른 지점을 가질 수 있다. 비틀림 스프링(657)의 중앙 루프는 방아쇠 피봇(53)의 외측에 도시되어 있으나, 방아쇠 피봇(53) 주위에 또한 센터링될 수 있다. 방아쇠(37)가 완전 개방 및 완전 폐쇄 위치에 도달할 때, 사용자가 청각적 및/또는 촉각적 피드백을 가지는 것이 또한 유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을 달성하기 위한 복수의 방식이 있다. 이러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는 작동 방아쇠와 간섭할 수 있는 작은 탭(655, 652)을 이용한다. 직사각형 탭이 경직적일 수 있으나, 특정량의 편위(deflection)에서 굴복될 수 있고, 이러한 굴복은 청각적 및 촉각적 피드백 모두를 제공할 수 있다. 하나의 탭이 완전 개방 위치(655) 또는 완전 폐쇄 위치(652), 또는 작동 방아쇠(37)의 이동 범위 내의 임의의 다른 희망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다른 디텐트 설계 또는 대안을 또한 이용하여 이러한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도면에 2개의 구성인: 완전 개방(도 26b) 및 완전 폐쇄(도 26a)가 도시되어 있다. 완전 개방 위치에서, 완전 개방 탭(655)이 편위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고, 비틀림 스프링(657)은 완전히 압축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완전 폐쇄 위치에서, 완전 폐쇄 디텐트(652)가 편위되어 도시되어 있고, 비틀림 스프링(657)은 부분적으로 압축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된 잠금부(24)와 같은, 잠금부를 위한 절개부(651)는 작동 방아쇠(37)의 잠금을 보조할 수 있다.
도 2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펄스 세척 연장부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27b는 도 27a에 도시된 펄스 세척 연장부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펄스 세척 시스템(275)이 IV 백에 부착될 수 있고 분배기 하우징(62)에 의해서 작동될 수 있다. 암놈형 루어 연결부(277)가 이중 체크 밸브 배출구 포트(32)와 양립될 수 있다. 이는, 이중 체크 밸브(31)를 출구 노즐(279)에 유체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해서, 가요성 또는 강성 연장 배관(276)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출구 노즐(279)은, 조직의 세척을 돕기 위해서, 출구에서 고속으로 유체를 가속하도록 구성된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개구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출구 노즐(279)의 형상은, 사용자의 희망에 따라, 단순한 원형 개구부 또는 길다란 계란형 형상일 수 있다. 보호 노우즈 원뿔(278)은 표적 지역을 벗어나 역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장치의 핸들은 압착될 수 있고, 이는 물이나 다른 멸균 유체를 출구 노즐(279)을 통해서 강제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고압 유동을 초래할 수 있다. 고압 유동은 절제술을 필요로 하는 상처로 지향될 수 있다. 방아쇠(37, 37')가 반복적으로 순환되어, 스파이크(미도시)를 통해서 유입구 배관에 연결된, 부착된 IV 백을 통해서 자동적으로 재충진될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된 펌프 개요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다른 실시예는, 주사기(48) 및 배관(100)을 이용하나, 플런저(41)가 수동적 대신에 모터의 작용에 의해서 선형적으로 이동되는, 주입 시스템(1100)의 모터화된 버전을 고려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배관 세트는, 연장 배관에 연결되거나 연결되지 않을 수 있는, 유입구 스파이크(102), 길이가 약 5 피트인 큰 보어 배관(100), 이중 체크 밸브(31), 및 주사기(48)(예컨대, 5 ml 내지 30 ml의 체적을 가짐)를 가지는, 전술한 배관 세트(10S)(도 19a)와 동일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배관 세트는 상당히 더 짧은 유입구 배관(1113)(0.5 피트 내지 3 피트)을 가질 수 있고, 유입구 배관은 큰 보어일 수 있거나, 통상적인 작은 보어 배관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임의의 하나의 시간에 어떠한 백이 유체를 제공할 지를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Y 접합부 및 클램프를 이용하여, 유체의 2개의 백이 단일 주사기 펌프에 연결될 수 있다.
모터 팩(1101)을 이용하여 주사기(48) 상의 플런저(41)를 작동시킬 수 있다. 모터화된 시스템(1100)은 주사기(48)를 유지하기 위한 슬롯(1102), 및 사용을 위해서 배치될 때 배관이 적절하게 배향되도록 보장하기 위한 비대칭적인 배향을 가질 수 있다. 주사기(48)는, 시스템이 마중물 붓기되는 동안, 기포의 제거를 돕도록 수직 위치로 유지될 수 있다. 주사기(48)는 플런저(41)의 선형 이동을 생성하기 위해서 기어에 의해서 연계된 모터에 의해서 작동될 수 있다. 모터 출력은 작동기 트랙(1114)의 상하로 작동기(1103)를 구동할 수 있다. 모터 출력은 몇몇 상이한 제어 방법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터 토크 출력이 연속적으로 조정되어 알고 있는 유체 전달율을 달성하도록, 모터가 변위 제어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일정한 진공 압력 및 일정한 출력 압력을 생성하는 알고 있는 토크를 인가하도록, 모터가 전류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유체 주입율이 변경될 수 있으나, 사용자는 유체가 알고 있는 압력으로 주입된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라인이 막혔거나 환자 내에 적절하게 배치되지 않은 경우에 그러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주사기(48)를 후퇴시키는 모터에 의해서 생성된 진공 압력이 주사기(48)를 전진시키는 모터에 의해서 생성된 출력 압력과 상이한 셋팅점에 있을 수 있도록, 인가되는 토크를 변경할 수 있다. 최대 재충진율을 위한 단일 진공 압력을 유지하면서, 사용자가 희망 출력 압력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모터화된 장치를 이용할 때, 사용자는 유입구 스파이크(1115)를 유체(생리식염수, 혈액 제품, 또는 다른 필요 유체)의 백(1112) 내로 삽입할 수 있다. 주사기(48)는 모터화된 시스템(1100) 상의 슬롯(1102) 내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백(1112)은 배출구가 통상적인 방식으로 하향 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유체의 백(1112)은 모터화된 시스템(1100) 내에서 스파이크(1115)가 상향 대면되게 배치될 수 있고, 이는, 모든 구성요소가 시스템 내에 고정되어 있는 동안, 사용자가 시스템으로부터 공기를 퍼지하게 할 수 있다. 시스템은, 슬롯(1102) 내로 적재된 주사기(48)의 존재를 검출하는 센서를 가질 수 있다. 그 시스템은 또한, 삽입된 배관의 유형에 관한 정보를 모터화된 시스템(1100)에 제공할 수 있는 RFID(1116), 바코드, 또는 다른 정보를 주사기의 본체 상에서 가질 수 있다. 덮개, 덮개들, 또는 다른 유지 특징부가 폐쇄되어, 유체 백(1112) 및 주사기(48)를 보호할 수 있다. 덮개, 덮개들, 또는 다른 유지 특징부는 시스템의 적절한 폐쇄를 검출하는 센서를 가질 수 있다. 특정 배관 세트가 적절히 보호되었다는 것을 시스템이 일단 검출하면, 조명등(1119)이 유체 백(1112)을 조명하여 백 내에 존재하는 임의의 기포를 시각적으로 식별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퍼지" 버튼을 누를 수 있고, 이는, 모든 공기가 유체 백(1112)으로부터 제거되었다는 것을 사용자가 결정할 때까지 플런저(41)를 느리게 그리고 낮은 토크로 순환시킬 수 있고, 이어서 사용자는 퍼지 버튼을 해제할 수 있다. 조명등(120)은 이어서 수직 주사기(48)를 조명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다시, 모든 기포가 주사기(48) 및 임의의 부착된 배관으로부터 제거될 때까지, 퍼지 버튼(1131)을 누를 수 있다. 이어서, 배관은 환자에 연결될 수 있고, 주입이 시작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유체 백(1112)은 모터화된 시스템(1100) 및 환자 부근의 스탠드 상에 배치된 전체 유닛의 외측에 매달릴 수 있거나, 환자 근처의 IV 기둥으로부터 매달릴 수 있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 유체 백을 가지는 모터화된 외장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유체 백을 가지는 모터화된 외장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입력 화면(1130)에서 알고 있는 주입율, 및/또는 알고 있는 주입 부피를 선택할 수 있고, "주입" 버튼(1132)을 누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유체 유동을 유지하기 위해서 주입 버튼(1132)을 수동으로 하향 유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입력 화면(1130)에서 희망 입력 압력 및 총 주입 부피를 수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고, 주입 버튼(1132)을 누를 수 있다. 제4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IV, IO, 중앙 라인과 같이 환자 상에 존재하는 접근 유형을 선택할 수 있고, 이어서 적절한 접근 유형의 크기(즉 IV - 20 게이지, 또는 중앙 라인 - 4 프렌치(French))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컴퓨터(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각각의 접근 유형에 상응하는 프로그래밍된 셋팅점을 기초로 적절한 입력 압력을 선택할 수 있다. 시스템이 주입하는 동안, 디스플레이 화면(1130)은 이하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낼 수 있다: 다른 관련 정보 중에서, 주입된 총 유체, 현재 주입 압력, 현재 주입율, 평균 주입율, 선택된 환자 접근 유형 및 크기, 시스템 내에 존재하는 배관 유형.
다른 실시예는, 주입된 유체의 양을 자동적으로 추적하고, 희망 셋팅점에 도달하였을 때, 청각적 및 시각적 경고를 제공하는 "셋팅점"(1133)으로 동작되는, 계수기의 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유체가, 환자에게 도달하지 않는 마중물 붓기 또는 다른 목적을 위해서 이용되는 경우에, "리셋" 버튼(1134)을 또한 이용하여 계수기를 다시-영으로 만들 수 있다. 셋팅점(1133)을 위한 상/하 버튼의 세트 및 리셋 버튼(1134) 다음에, 셋팅점 및 현재의 주입량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130)가 이러한 기능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모터화된 외장이 배터리 팩(1137) 및/또는 전력 연결부(1138)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외장은 스탠드(1135) 및/또는 커버(1136)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성이 더 적은 구성요소를 가질 수 있고, 더 낮은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한 하우징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등각도이다. 도 31은 시스템(299)을 도시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주사기(48) 및 이중 체크 밸브(31)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2-밸브 시스템이 이중 체크 밸브(31) 대신에 이용될 수 있다. 주사기(48)가 플랜지(40), 및 플런저(41)를 가질 수 있다. 플런저(41)는, 2개의 연결 리브(358)에 의해서 함께 유지되는 교차 막대(365) 및 제2 교차 막대(366)을 가지는 원위 단부에 위치되는 특징부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특징부 및/또는 구성요소는, 사용자가 잡는 루프 방아쇠(37)에 의해서 발생되는 작동 레버(353)의 회전 운동의 결과로서, 곡선형 작동 부재(352)가 플런저(41)를 선형적으로 내외로 이동시키게 할 수 있는 개구부를 가지는 브래킷(354)을 생성할 수 있다. 교차 막대(365, 366)는 원통형일 수 있고, 그에 따라 작동 부재(352)에 대해서 활주될 때 최소 마찰로 활주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구성은 셔틀로서 작용하는 별개의 조각의 필요성을 제거할 수 있다. 교차 막대(365, 366)는, 예를 들어, 윤활 플라스틱, 외부에 금속 슬리브를 가지는 플라스틱 코어, 플라스틱 외부로 둘러싸인 금속 로드, 및/또는 중실형 금속 조각으로 대안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작동 레버(353)는 피봇점을 통해서 강성 파지부(39)에 연결될 수 있다. 비틀림 스프링(355)은 작동 레버(353)를 개방 위치로 편향시킬 수 있다. 비틀림 스프링(355)은 비틀림 스프링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서 비틀림 스프링 커버(368)에 의해서 덮일 수 있거나, 비틀림 스프링이 노출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판 스프링을 이용하여 작동 레버(353)를 개방 편향시킬 수 있다. 판 스프링은 루프 방아쇠(37)의 하단부 그리고 또한 강성 파지부(39)의 하단부에 연결될 수 있고, 파지부(39) 및 작동 레버(353)에 의해서 생성된 피봇점 부근에서 접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강성 파지부(39)는, 수용 슬롯(364)을 가질 수 있는 유지 장착부(363)에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수용 슬롯(364)은 주사기 플랜지(40)를 수용하기 위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수용 슬롯(364) 및 주사기 플랜지(40)는, 사용자가 하우징 및 배관 조립체를 함께 하나의 배향으로 조립하도록 강제하기 위해서 제공된 비대칭부를 가질 수 있다. 잠금 특징부가 사용자에 의해서 전개될 때 주사기(48)를 유지 장착부(363) 내측에서 포획할 수 있는 회전 탭 또는 다른 잠금 특징부가 있을 수 있다. 강성 파지부(39)는 또한, 작동 레버(353)를 위한 일정한 정지점을 제공하기 위해서, 핀(359)을 정지시킬 수 있는 연장부(367)를 가질 수 있다. 정지 핀(359)의 위치는 희망 주사기 부피와 관련될 수 있다. 정지 핀(359)은 또한 하우징을 위한 피봇점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도 3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 위치에서의 콤팩트한 하우징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3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32a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이러한 도면은 비틀림 스프링(657)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강성 핸들(658)의 돌출부는 작동 레버(353)를 위한 피봇점을 형성할 수 있다. 비틀림 스프링(657)의 제1 다리부(656)는 피봇 돌출부(658) 내에 고정되고, 제2 다리부(654)는 작동 레버(353) 내에 고정된다. 비틀림 스프링(657)은 작동 레버(353)를 개방 위치로 편향시킨다. 이러한 도면 모두에서, 연장부(367) 및 정지 핀(359)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3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한 하우징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외부 커버(370)는 정지 핀(359)을 수용하는 홀(371)을 가질 수 있다. 커버(370)는 이러한 핀(359)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고, 이는, 커버(370)가 피봇되어 개방될 때, 사용자가 주사기(48)를 수용 슬롯(364) 내에 배치하게 할 수 있고, 폐쇄될 때, 주사기(48)를 제 위치에서 포획하고 유지할 수 있다. 잠금 탭(372) 또는 다른 특징부는 외부 커버(370)를 제 위치에서 유지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도 3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33a의 콤팩트한 하우징을 위한 선택적인 잠금 탭(372)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확대도이다. 잠금 탭(372)은 유지 장착부(363) 상에 또는 그 부근에 위치될 수 있다. 사용자를 위한 더 큰 접근을 제공하고자 할 때, 또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서 시술들 사이에서 세정을 하고자 할 때, 외부 커버(370)는 전체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사용자는 홀(371)에서 외부 커버(370)를 지렛대식으로 분리할 수 있고, 이는 커버(370)가 정지 핀(359)로부터 제거되게 할 수 있다. 도 33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33a의 콤팩트한 하우징의 선택적인 디텐트(373)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확대도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홀(371)은 디텐트(373)를 가지는 채널을 구비할 수 있고, 이는, 개방 위치로 피봇될 때, 사용자가 외부 커버(370)를 당겨서 제거하게 할 수 있다. 도 33a는 또한 비틀림 스프링 커버(368)를 도시한다.
도 3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플랜지(40)의 도 33a의 콤팩트한 하우징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확대도이다. 도 33b는 주사기 플랜지(40) 내에 존재할 수 있고 사용 중에 배향을 제어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는 하나의 가능한 비대칭부(372)를 도시한다. 상응하는 교합 특징부가 수용 슬롯(364) 내에 존재할 수 있다.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가적인 콤팩트한 하우징 구성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등각도이다. 이러한 구성은 루프 방아쇠(37) 및 파지부(39)를 가질 수 있다. 파지부(39)는 하우징(304)의 일부일 수 있다. 하우징(304)은 밀봉부(303)를 통해서 함께 밀봉될 수 있는 2개의 절반체를 포함할 수 있다. 셔틀(300)이 하우징(304)의 외부 상에 도시되어 있다. 다른 구성에서와 같이, 셔틀(300)은 주사기(313)의 플런저(312)를 수용하는 수용 슬롯(314)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셔틀(300)은 실린더(301)에 의해서 하우징(304) 내의 구동 메커니즘에 연결될 수 있다. 실린더(301)는, 물 및 기타 유체가 하우징(304) 내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는, o-링(302)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서 밀봉될 수 있다. 주사기 플랜지는, 다리부 연장부(311) 및 배치 탭(310)을 포함하는 특징부를 가질 수 있다. 배치 탭은 하우징(304)의 외측부 상에 존재하는 수용 탭(309)에 피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용 탭(309)은 사용 중에 주사기(313)를 제 위치에서 유지할 수 있고, 다리부 연장부(311)는, 셔틀(300)이 주사기 플런저(312)를 순환시키기 위해서 선형적으로 이동될 때, 자연적인 경계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 전에 주사기(313)를 수용 슬롯(314) 및 수용 탭(309) 모두의 내로 수직으로 낙하시킬 수 있다. 핀 잠금부(306)를 이용하여 루프 방아쇠(37) 및 작동 레버(353)를 희망 위치에서 유지할 수 있고, 이는 플런저(312)와 미리-정렬된 셔틀(300)을 초래할 수 있다. 다양한 전술한 작동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셔틀 운동을 작동시킬 수 있다.
도 3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 위치에서의 주입 장치의 레버(52)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레버(5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셔틀 메커니즘과 결합된다. 도 35a는 레버(52)의 외부 경계부로부터 개구(700)에 대한 접선으로 그려진 선까지 측정된 규정된 폭 치수(X)를 가지는 재료의 좁은 단편(753)을 가지는 레버(52)를 도시한다. 재료의 좁은 단편(753)의 치수(X)는 0.01 인치 내지 0.15 인치의 범위를 가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은 그러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재료의 좁은 단편(753)은 레버(52)의 상부 단편과 레버(52) 내의 또는 그에 부착된 하부 단편(752)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고, 그러한 하부 단편은, 규정된 문턱값 보다 큰 입력 힘이 사용자에 의해서 인가될 때, 분리, 파괴 및/또는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힘은 주입 장치에 의해서 제공되는 주입 압력에 상호 관련될 수 있고, 하부 단편(752)의 분리, 파괴, 및/또는 변형은 주입 장치에 의한 유체 전달의 과압을 방지할 수 있다. 희망 힘 보다 큰 힘이 10 lbf 초과일 수 있고, 전형적으로 50 lbf, 60 lbf, 70 lbf, 또는 80 lbf 초과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그러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주입 장치에 의해서 유체가 전달되는 압력을 5.8 PSI 내지 325 PSI, 전형적으로 5.8 PSI, 10 PSI, 50 PSI, 100 PSI, 200 PSI, 300 PSI, 또는 320 PSI의 규정된 압력 미만으로 제한하도록, 레버(52)가 분리, 파괴 및/또는 변형될 수 있는 힘이 규정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그러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하부 단편(752)은 레버(52)와 일체일 수 있거나 레버(52)에 부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재료의 좁은 단편(753)의 치수("X")는 피봇점(53) 아래에 배치되는 상부 개구(700)와 연관된다. 제2 개구(701)는 또한 레버(52)를 하우징 내의 제 위치에서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나, 레버(52)의 하부 단편(752)을 분리, 파괴, 및/또는 변형시키기 위한 힘을 결정하는데 참여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도 3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52)는 방아쇠 피봇(53), 복귀 스프링 고정점(654), 및/또는 핀 잠금 절개부(651)에 부착되거나 형성할 수 있다. 사용자가 방아쇠(37)를 통해서 희망하는 힘의 크기 보다 큰 힘을 주입 장치에 인가할 때, 상부 개구(700)에 인접한 재료(753)의 단편이 파단될 수 있고, 레버(52)의 하부 단편(752)은 과도한 입력 힘의 결과로서 정상 동작 중의 그 비손상 구성에 비해서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파괴될 수 있는 단편을 가지는 것으로 레버(52)가 설명되지만, 관련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레버(52)의 파괴가, 하우징의 셔틀을 동작시킬 수 있는 레버(52)의 능력을 감소시키는 다른 유형의 구조적 분리, 변형 및/또는 그 파생체(derivative)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규정된 크기를 초과하는 힘의 인가로 인한 파괴 이후의, 도 35a에 도시된 레버(52)의 측면도이다. 도 35b는 입력 힘이 규정된 문턱값을 초과한 후의 레버(52)를 도시한다. 레버(52)의 하부 단편(752)은 정상 동작 중의 그 비손상 구성에 비해서 더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부 개구(700) 부근의 재료의 좁은 단편(753)이 분리되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러한 분리는 도 35a의 개구(700)를 변형하거나 달리 변경하여 레버(52) 내에서 변형 구역(700f)을 형성할 수 있다. 레버(52)의 하부 단편(752)이 분리, 파괴, 및/또는 변형되는 힘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서, 희망에 따라, 치수(X)의 두께가 변경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레버(52)의 하부 단편(752)이 분리, 파괴, 및/또는 변형될 때, 이러한 작용은 사용자에게 촉각적 응답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예를 들어 시끄럽거나 산만한 환경에서, 직접적인 시각화가 없이도 과도하게 인가된 힘의 과압 상태를 검출하게 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분리, 파괴, 및/또는 변형될 때, 레버(52)는 선형 행정 운동의 전체 범위를 통해서 더 이상 이동되지 않을 것이고, 주입 장치가 힘 문턱값을 초과하였다는 다른 촉각적 및 시각적 신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좁은 단편(753)의 치수(X)는 약 0.12 인치 두께의 알루미늄 레버(52)에서 약 0.07 인치 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은 그러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은 약 70 lbf의 분리 힘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분리 힘은 장치의 희망 기능에 따라서 더 크거나 작게 조율될 수 있다. 희망하는 경우에, 분리 힘은 치수(X)만을 이용하여 제어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재료 두께, 재료 유형 또는 개구(700) 위치가 또한 희망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분리 힘은 유한 요소 모델링(FEA)을 통해서 확인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분리 힘은, 입력 힘 대신에 또는 그에 부가적으로, 주입 장치를 빠져 나가는 유체의 출력 압력에 대해서 조율될 수 있다. 입력 힘 및 출력 압력은 선형적으로 상호 관련될 수 있고, 희망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분리 힘이, 단지 레버(52) 또는 그에 부착된 단편을 변형시키거나 달리 변경하는 힘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완전한 파괴가 요구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버(52) 파괴 전의 도 35a에 도시된 레버(52)를 가지는 하우징(62)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3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버(52) 파괴 이후의 도 36a에 도시된 하우징(62)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이러한 도면은, 방아쇠(37) 및 하우징(62)과 조립될 때 보여지는 것과 같은, 도 35a 및 도 35b의 레버(52)의 파괴를 도시한다. 방아쇠(37)를 레버(52) 상에서 유지할 수 있는, 상부 개구(700) 및 하부 개구(701)를 통한 연결부를 이러한 도면에서 볼 수 있다.
도 3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셋팅 가능 경첩(701)을 가지는 레버(52')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3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 이후의, 재셋팅 가능 경첩(701)과 함께 도 37a에 도시된 레버(52')의 측면도이다. 도 37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37a에 도시된 재셋팅 가능 경첩(701)을 가지는 레버(52')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레버(52')는 영구적인 손상 없이 분리될 수 있는 하부 단편(70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7a 및 도 37b는 각각 정상 위치와 분리 위치에서 재셋팅 가능 레버(52')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재셋팅 가능 레버(52')는, 일차적인 피봇점일 수 있는 피봇 점(53) 아래에서 상부 단편(708) 및 하부 단편(706)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부 단편(706)은, 규정된 힘을 초과하는 경우에 하부 단편(706)이 분리되게 할 수 있는 이차적인 피봇점(700')을 통해서 상부 단편(708)에 부착될 수 있다. 하부 단편(706)은 정상 상태에서 상부 단편(708)에 대해서 제 위치에서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부 단편(706)은 디텐트를 형성하는 2개의 스프링 부하형 볼 플런저(705)에 의해서 상부 단편(708)에 대해서 제 위치에서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볼 플런저(705)는 2개의 함몰부(707) 내로 안착될 수 있고, 이는 레버(52')의 정상적인 사용 중에 상부 단편(708)에 대해서 이동되게 할 수 있다. 이차적인 피봇 핀(709)은, 이차적인 피봇점(700')을 통해서, 상부 단편(708) 및 하부 단편(706) 모두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하부 단편(706)을 분리시키는데 필요한 힘의 크기는 볼 플런저(705)의 스프링력 및 함몰부(707)와의 간섭의 양에 의존할 수 있다. 만약 규정된 힘이 초과된다면, 하부 단편(706)을 외향으로 당기는 것에 의해서, 사용자는 하부 단편(706)이 레버(52')의 상부 단편(708)에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복귀시킬 수 있다. 하부 단편(706)을 리셋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힘이 하부 단편(706)을 분리하는데 필요한 힘 보다 작아지게 하기 위해서, 상부 단편(708)의 연부가 모따기되거나 둥글게 처리될 수 있다. 하부 단편(706)이 분리될 힘이 10 lbf 초과일 수 있고, 전형적으로 50 lbf, 60 lbf, 70 lbf, 또는 80 lbf 초과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그러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주입 장치에 의해서 유체가 전달되는 압력을 5.8 PSI 내지 325 PSI, 전형적으로 5.8 PSI, 10 PSI, 50 PSI, 100 PSI, 200 PSI, 300 PSI, 또는 320 PSI의 규정된 압력 미만으로 제한하도록, 하부 단편(706)이 분리되는 힘을 규정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그러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차적인 피봇점(700') 주위에서 이동이 가능하지 않도록, 금속 루프가 사용자에 의해서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응급 상황에서 더 큰 압력으로 장치를 이용하게 할 수 있고, 이어서 희망에 따라 정상 사용으로 복귀시킬 수 있게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볼 플런저(705) 대신에 고정 장치를 또한 이용하여, 레버(52')의 하부 부분(706)을 상부 부분(708)에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고정된 디텐트, 또는 자석의 쌍을 가지는 재셋팅 가능 경첩(701)이 볼 플런저(705) 대신에 또는 그에 부가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관련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에 의해서 고려되는 바와 같은, 레버(52')의 재셋팅 가능 경첩(701)을 달성하기 위한 부가적인 구성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7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적 래치를 가지는 재셋팅 가능 경첩(701')을 가지는 레버(52")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37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 이후의, 재셋팅 가능 경첩(701')과 함께 도 37d에 도시된 레버(52")의 측면도이다. 도 37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37d에 도시된 재셋팅 가능 경첩(701')을 가지는 레버(52")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부분적 횡단면도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재셋팅 가능 경첩(701')은, 상부 단편(708')을 하부 단편(706')에 고정하는 레버(52")의 부분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레버(52")의 상부 단편(708')은 자기력을 통해서 레버(52")의 하부 단편(706')과 해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자기력은, 레버(52")의 상부 단편(708')에 연결될 수 있는 상부 자석(714) 및 레버(52")의 하부 단편(706')에 연결될 수 있는 하부 자석(715)에 의해서 인가될 수 있다. 상부 단편(708') 및/또는 하부 단편(706')은, 예를 들어, 나사 홀(716 및 717)과 같은, 하우징의 요소를 위한 체결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6a에 도시된 비틀림 스프링(657)과 같은 복귀 스프링이 스프링 부착 홀(718)과 같은 부착점을 통해서 레버(52")에 연결될 수 있다. 사용시에,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일차적인 피봇점일 수 있는 피봇점(53)을 중심으로 레버(52")를 피봇시키도록, 레버(52")의 상부 단편(708') 및 하부 단편(706')이 자기력을 통해서 연결되어 유지될 수 있다. 규정된 힘을 초과하는 힘이 레버(52")에 인가될 때, 하부 단편(706')은 레버(52")의 상부 단편(708')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하부 단편(706')은 이차적인 피봇점(700")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고, 상부 단편(708')은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더 이상 이동되지 않을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주사기의 플런저가 더 이동되는 것을 중단시킬 수 있고 그에 의해서 주사기로부터의 추가적인 액체 전달을 중단시킬 수 있다. 도 37e는 상부 단편(708')으로부터의 분리 이후의 하부 단편(706')을 도시한다. 이러한 분리를 달성하기 위한 희망 힘은, 레버(52")의 상부 및 하부 단편(708'/706')에 연결된 자석(714 및 715)과 같은 자석의 조성, 직경, 두께 및/또는 분리 거리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서 조율될 수 있다. 도 37d 및 도 37e에서 2개의 자석이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도 자석의 다른 구성이 가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자석(714 또는 715)이 하부 또는 상부 단편(706'/708') 중 하나에 부착될 수 있고, 다른 단편(708'/706')이 금속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분리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단일 자석이 2개의 강판(또는 다른 금속) 사이에서 이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자기 요소의 위치를 조정하여 자기 요소와 이차적인 피봇점(700") 사이의 레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자석을 이차적인 피봇점(700")으로부터 더 멀리 이동시키는 것은 재셋팅 가능 자기적 경첩(701')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자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희토류 자석 및/또는 강자성체 재료를 이용하여 필요한 힘을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네오디뮴 자석을 이용하여 필요한 힘을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주사기 내의 압력을 약 100 PSI로 제한하기 위해서, 재셋팅 가능 자기적 경첩(701')이 분리되는 규정된 힘이 100 lbf일 수 있다. 자석(714/715)이 이차적인 피봇 점(700'')으로부터 0.75 인치에 위치되고, 입력 힘의 중심 거리가 이차적인 피봇점(700'')으로부터 0.25 인치에 있다면, 33 lbs의 자기력이 요구된다. 도 37f는 이차적인 피봇 점(700''), 레버(52")의 상부 단편(708') 및 하부 단편(706')의 부분적인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관련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에 의해서 고려되는 바와 같은, 레버(52")의 재셋팅 가능 경첩(701')을 달성하기 위한 부가적인 구성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31)에 연결될 수 있는 압력 릴리프 밸브(710)를 가지는 배출구 배관 세트(100)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상면도이다. 압력 릴리프 밸브(710)가 부가된 배관 세트(100)는 도 19a에 도시된 배관 세트(100)와 유사할 수 있다. 압력 릴리프 밸브(710)는 환자에게 인가될 수 있는 유체 압력을 제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압력 릴리프 밸브(710)에서 결정된 압력이 규정된 한계를 초과할 때, 압력 릴리프 밸브(710)는 출력 배관을 통해서 분배되는 유체를 방출하도록 개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압력 릴리프 밸브(710)에서 결정된 압력이 규정된 한계를 초과할 때, 압력 릴리프 밸브(710)는 출력 배관을 통해서 분배되는 유체를 감소 또는 차단할 수 있다. 압력 릴리프 밸브(710)는 이중 체크 밸브(31)의 배출구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숫놈형 루어 연결부(711)가 압력 릴리프 밸브(710)의 배출구측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중 체크 밸브(31)의 배출구와 압력 릴리프 밸브(710) 사이에 작은 보어 배출구 배관의 길이가 또한 있을 수 있다. 압력 릴리프 밸브(710)는 희망에 따라 임상적으로 관련된 압력으로 셋팅될 수 있다. 일부 "고압" 주입기는 300 또는 320 PSI의 최대 압력을 가지며, 이는 셋팅점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다른 셋팅 압력점이 또한 희망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용될 수 있는 압력 릴리프 밸브의 하나의 예에는 미국 플로리다, 세인트 페터버그에 소재하는 Halkey-Roberts Corporation에 의해서 제공되는 "T" 압력 릴리프 밸브가 포함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압력 릴리프 밸브(710)는, 도 9의 압력 변환기(93) 및/또는 도 21의 압력 변환기(227)과 같은 압력 변환기와 기계적으로 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임상적 상황에 의해서 요구되는 경우에, 사용자는 압력 릴리프 밸브(710)를 무시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나사식 장착 캡, 유지 레버, 또는 다른 장치가 사용자에 의해서 작동되어, 압력 릴리프 밸브(710)를 기계적으로 폐쇄할 수 있다. 이는 필요한 경우에 사용자가 더 큰 압력을 계속적으로 인가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무시는 압력 한계를 무시하기 위한 사용자로부터의 확실한 작용을 요구할 수 있다.
도 39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모니터링 시스템(815)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부분적인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3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 위치에서 도시된 도 39a의 압력 모니터링 시스템의 부분적인 개략적 측면도이다. 이러한 압력 모니터링 시스템(815)은 주입 중의 여러 지점에서 사용자가 압력 모니터링 시스템(815)으로 인가되는 압력을 알게 할 수 있고, 압력 한계를 초과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경고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희망 유체 압력 보다 더 큰 유체 압력이 환자에게 인가될 수 없도록, 압력 모니터링 시스템(815)이 주입 시스템을 잠글 수 있다. 도 36a 및 도 36b의 방아쇠(37)와 같은 방아쇠가 작동되고 유체가 주사기(48) 내로 또는 외로 강제될 때, 압력 하중계(800)는 주사기 플랜지(40)와 하우징(62) 사이에서 인가되는 힘을 검출할 수 있다. 방아쇠는 일련의 링키지를 통해서 힘을 셔틀(804)에 인가할 수 있고, 그러한 셔틀은 플런저(41)를 이동시킨다. 힘이 플런저(41)에 인가되고 플랜지(40)가 이동에 저항할 때, 유체 압력이 발생될 수 있다. 주사기 플랜지(40)는 하우징(62) 내에서 축방향 힘을 부여할 수 있다. 하우징(62)은 주사기(48)의 길이를 통해서 약간의 수직 힘을 주사기(48) 상으로, 그리고 축방향으로 약간의 부수적인 마찰력을 부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는 이러한 힘을 측정하기 위해서 주사기(48)의 원위 선단부, 또는 주사기(48)의 다른 부분, 플런저(41), 또는 밸브 조립체를 이용할 수 있다.
주사기 플런저(41)의 직경을 알고 있는 경우에, 주사기 플랜지(40) 상의 축방향 힘은 압력 측정으로 해석될 수 있다[압력 = (측정된 힘)/(플런저 면적)]. 힘은 하우징(62)과 장착 브래킷(806) 사이에 장착된 버튼 압력 하중계 또는 다른 압력 하중계(800)에 의해서 측정될 수 있다. 하나의 중앙에 장착된 압력 하중계(800)가 주사기(48) 아래에 그리고 주사기 상의 중앙-선에 있을 수 있고, 2개의 압력 하중계가 장착 브래킷(806)의 측방향 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고, 2개 초과의 압력 하중계(800)가 복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둘 초과의 압력 하중계(800)가 이용되는 경우에, 전체적인 측정된 힘이 모든 압력 하중계(800) 사이에서 합산될 수 있다. 하우징(62) 내에 존재하는 절개부(807)는 장착 브래킷(806)과 압력 하중계(800)의 정렬되게 유지하기 위한 규정된 채널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부싱, 선형 베어링, 및/또는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장착 브래킷(806)과 하우징(62)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압력 하중계(800)는, 플런저(41)가 눌릴 때 압축력을 기록하는 버튼 압력 하중계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압력 하중계(800)는 하우징(62) 및 장착 브래킷(806) 모두 내로 나사체결될 수 있고, 이는 인장 및 압축 모두가 측정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우징(62) 외측의 디스플레이(802)는 주사기(48) 내의 유체로 인가되는 현재의 압력을 보여줄 수 있다. 디스플레이(802)는 도 9에 도시된 디스플레이(90)와 유사할 수 있고, (터치스크린일 수 있는) 화면(91) 및/또는 도 9의 입력 버튼(92)과 같은 화면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802)는, 비제한적으로, 최대 압력, 현재 압력, 평균 압력, 및/또는 초과하지 않아야 할 압력을 포함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초과하지 않아야 할 압력 문턱값은 사용자에 의해서 셋팅될 수 있고 및/또는 미리-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부착된 IV/IO의 크기를 기초로 하는, 미리-프로그래밍된 한계의 일부 예가 표 1에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10 ml 주사기와 관련된 것이다.
Figure pct00001
사용자는 입력부 및/또는 디스플레이(90)(도 9)와 유사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또는 예를 들어, 그래픽을 가지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다른 입력 수단에 의해서 IV/IO 크기를 입력할 수 있다. 이어서, 시스템(815)은 전술한 표를 기초로 경고 한계를 선택할 수 있다. 만약 IV/IO가 선택되지 않는다면, 시스템(815)은 경고 한계 없이 진행될 수 있거나, IV/IO 크기가 선택될 때까지 주사기 플런저(41)의 어떠한 이동도 방지하도록 잠금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초과하지 않아야 할 압력 문턱값은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상한 경고 한계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한 경고 한계는, 80% 또는 90%와 같은, 초과하지 않아야 할 압력의 백분율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802)는 독립적인 디스플레이(802)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802)는 다목적형일 수 있고 주입된 유체의 부피 및/또는 다른 측정치를 보여줄 수 있다. 디스플레이(802)는, 압력 하중계(800)로부터의 신호를 해석하기 위해서, 프로세서(809)를 통해서 압력 하중계(800)에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809)는 스피커(803)에 연결될 수 있고, 이는 압력이 초과하지 않아야 할 문턱값에 도달하거나 초과할 때 청각적 경고를 소리내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압력이 표 1에 기재된 하한 경고 한계와 같은 초과하지 않아야 할 문턱값 보다 낮은 레벨에 도달하거나 그 보다 낮아질 때, 청각적 경고가 발생될 수 있다. 프로세서(809)는, 초과하지 않아야 할 압력 미만으로 힘이 감소될 때까지 사용자가 임의의 부가적인 힘을 방아쇠 및 플런저에 부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힘을 이용하여 방아쇠 내로 연장되거나 후퇴되는 피봇점 잠금부(801), 솔레노이드 및/또는 다른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초과하지 않아야 할 압력에 일단 도달하면, 플런저 잠금부(805)는 솔레노이드 또는 다른 메커니즘에 의해서 전진될 수 있고 임의의 후속 플런저(41)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플런저 잠금 치형부(817)는, 플런저 잠금부(805)가 결합될 때, 플런저(41)를 약간 후퇴시키도록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잠금이 적용될 때, 인가 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잠금 메커니즘은, 전자적으로 프로세서(809)에 신호할 수 있는, 해제 버튼(810)을 사용자가 누름으로써 해제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서(809)는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에, 잠금 메커니즘을 해제할 수 있다.
도 4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712) 내측에 주사기(48)를 가지는 주입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이러한 도면에서, 주사기(48)의 플랜지(40) 및 주사기 플런저(41)가 하우징(712) 내에 있을 수 있다. 하우징(712)은, 주사기 본체(48)가 외부에 있을 수 있는 동안, 플런저(41) 및 플랜지를 둘러싸는 작은 축방향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레버(52)와 직접적으로 인터페이스하는 플런저(41)가 여기에서 도시되어 있으나, 플런저(41) 및 레버(52)의 다른 구성이 이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우징(712)에 주사기(48)가 미리-적재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한 하우징(712)의 개방을 방지, 금지, 또는 어렵게 하기 위해서 잠금되거나 밀봉될 수 있다. 이는 셋업 및/또는 사용 오류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데, 이는 그러한 시스템을 사용자가 거의 조립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주사기(48)는 이중 체크 밸브(31)에 부착될 수 있다. 스파이크(102)는, 이중 체크 밸브(31)의 유입구로 이어지는, 큰 보어 유입구 배관(100)에 연결될 수 있다. 배출구 배관(109)은 압력 릴리프 밸브(710)에 이어질 수 있다. 썸 클램프(110) 및 숫놈형 루어 배출구(111)가 또한 도시되어 있다. 무바늘 Y 밸브와 같은 부가적인 배관 특징부가 또한 구성의 일부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기 본체(48)가 하우징(712)의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보여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는 전체 주사기 본체(48)를 캡슐화하는 하우징(712)을 포함할 수 있고, 주사기 본체(48)를 보여주기 위한 투명 캐노피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러한 캐노피는 사용 중에 피봇 개방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주사기(48)의 본체를 하우징(712) 내로 직접적으로 포함시키거나 통합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주사기 본체(48) 및 하우징(712)의 본체가 하나의 통합된 조각일 수 있다. 이는 조립 시간 및/또는 제조 비용을 더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된 또는 부착된 유입구 배관 관리 특징부(750)를 가지는 하우징을 가지는 주입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상면도이다. 도 4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41a에 도시된 주입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41a에 도시된 주입 장치와 유사한 주입 장치의 측면도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배관 관리 특징부(750)는 유지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구 배관 관리 특징부(750)는 유입구 배관(100)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큰 직경을 가지는 반원형 교차-채널 또는 개구부(751)일 수 있으나, 그러한 개구부(751)는 정상 사용 중에 유입구 배관(100)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작다. 유입구 배관(100)은 배관 관리 특징부(750) 내로 가압될 때 변형될 수 있고 사용자가 자유롭게 당길 때까지 포획되어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개구부(751)는 (도 4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 배관(100)이 우측으로 빠져 나가는 경우에 이용될 수 있으나, 사용자는 유입구 배관(100)을 사용자의 좌측에 있는 유체의 백에 연결하기를 원할 수 있다. 배관(100)은 하우징(62) 아래에서 루프화될 수 있고, 배관 관리 특징부(750)에 의해서 제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다. 배관 관리 특징부(750)는, 배관(100) 내에서 굽힘부(100B)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유입구 배관(100)을 배향시킬 수 있다. 배관(100) 내의 굽힘부(100B)는 하우징(62)의 배출구 배관(109)의 중심선으로부터 거리(S1)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거리(S1)는 약 2 내지 약 10 인치일 수 있다. 배관(100) 내의 굽힘부(100B)는 하우징(62)의 연부로부터 거리(S2)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거리(S2)는 약 1 내지 약 9 인치일 수 있다. 배관 관리 특징부(750)는, 이중 체크 밸브(31)의 유입구 부분(34)으로부터 거리(S3)에서 하우징(62)과 교차하도록, 유입구 배관(100)을 배향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거리(S3)는 약 1 내지 약 8 인치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배관 관리 특징부(750)는 도 41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62) 아래에서 유지되는 클램프(755)일 수 있다.
도 4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입 장치를 위한 가변 부피를 가지는 그러나 일정한 행정을 가지는 예시적인 주사기 본체의 측면도이다. 도 42는, 동일한 전체 길이를 가지나, 상이한 유체 부피를 유지하는 2개의 상이한 주사기 본체를 도시한다. 주사기 본체(48')는 고정된 길이(LI)(831)를 덮는 표시를 가질 수 있다. 내부 반경은 예를 들어 R1(825) 또는 R2(826)와 같은 복수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플랜지(40')의 두께(TF)(832), 높이(미도시), 및 폭(WF)(827) 뿐만 아니라, 가장 근접한 표시 마크에 대한 플랜지의 위치(LF)(828)가 고정될 수 있다. 출구의 직경(DE)(830)은 또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고, 암놈형 루어 피팅을 수용하기 위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출구는 또한 가장 근접한 표시로부터 고정된 거리(LE)(829)에 있을 수 있다. 주사기(48')의 부피와 관계없이 행정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주사기 본체(48')의 반경(R)이 이하의 식을 따를 수 있다:
Figure pct00002
, 여기에서 V는 주사기 부피이고, L은 표시의 고정된 길이이다. 예를 들어, 이러한 식을 이용하여, 5 cm의 고정 길이를 가지는 10 cc 주사기(48')가 0.798 cm의 내부 반경을 가질 수 있는 반면, 동일한 고정 길이를 가지는 20 cc 주사기는 1.128 cm의 내부 반경을 가질 수 있다.
도 4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전히 눌린 그리고 완전히 후퇴된(파선) 위치에서 도시된 플런저와 함께 도시된, 도 42에 도시된 주사기와 같은 주사기의 측면도이다. 완전히 눌린 위치는, 플런저(41')가 전방으로 밀린 그리고 유체가 주사기 본체(48')로부터 비워지는 곳을 설명한다. 완전히 후퇴된 위치는 플런저(41')가 주사기 표시 상에 도시된 가장 큰 부피까지 뒤로 당겨진 곳을 설명한다. 이러한 식을 만족시키는 주사기(48') 내에 피팅된 플런저(41')는 주사기(48') 상의 표시의 길이와 같은 이동 거리(LI)(831)를 가질 수 있다. 플런저(41')의 폭(WP)(833) 및 두께(TP)(834)는 또한 고정될 수 있고, 플런저(41)의 반경(R)은 주사기(48')의 반경에 합치될 수 있다.
도 4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통 주입 장치에서 이용하기 위한 상이한 크기들을 가지는 예시적인 주사기 본체의 정면도이다. 작은 직경(R1)(825) 구성을 가지는 주사기의 예가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고, 큰 직경(R2)(826) 구성을 가지는 주사기의 예는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양 구성은 동일한 크기의 주사기 플랜지(40') 및/또는 출구(830)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플랜지(40')의 폭(WF)(827), 및 높이(HF)(835)가 고정될 수 있다.
도 4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이한 부피들을 가지는 주사기를 연속적으로 그리고 상호 교환 가능하게 유지할 수 있는 주입 장치의 부분적인 개략적 측면도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주입 장치는 하우징(62) 내에 배치된 주사기(48)의 부피를 검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검출이 자동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외선 근접도 센서, 다른 근접도 센서, 압력 센서, 광학적 센서, 및/또는 RFID 판독기와 같은, 하나 이상의 주사기 검출 센서(841)가 하우징(62) 내에 배치된 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근접도 센서(841)가 주사기(48)에 지향될 수 있다. 주사기 본체(48)의 중심선 상에 배치될 때, 근접도 센서(841)를 이용하여 하우징과 주사기 본체(48)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근접도 센서(841)와 주사기(48) 사이의 먼 거리는 작은 주사기(예를 들어, 10 ml)의 존재를 나타낼 수 있고, 근접도 센서(841)와 주사기(48) 사이의 짧은 거리는 큰 주사기(예를 들어, 20 ml)를 나타낼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주사기 크기 및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서 복수의 센서가 동시에 이용될 수 있다.
도 4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크기의 주사기(48) 및 주사기 검출 센서 구성(841/842)을 포함하는 도 45a의 주입 장치의 상면도이다. 이러한 도면에서, 2개의 센서인, 중앙선 센서(841) 및 측방향 센서(842)가 도시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반경(R1)을 가지는 주사기(48)가 하우징(62) 내에서 유지될 때, 중앙-선 센서(841)는 물체가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고, 측방향 센서(842)는 물체가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내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작은 주사기(48)(하나의 예로서, 10 ml)가 사용되었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이중 센서 구성은, 도 45a의 단일 중앙선 센서(841)에서와 같은 거리 검출 센서에 비해서, 존재 검출 센서를 이용하는 것과 관련된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도 4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45b에 도시된 제1 크기의 주사기(48)와 상이한 제2 크기의 주사기(48)를 포함하는 도 45b의 주입 장치의 상면도이다. 이러한 도면에서, 2개의 센서인, 중앙선 센서(841) 및 측방향 센서(842)가 도시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반경(R2)을 가지는 큰 주사기(48)가 하우징(62) 내에서 유지될 때, 중앙-선 센서(841)는 물체가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고, 측방향 센서는 물체가 존재한다는 것을 또한 나타낼 수 있다. 이는, 큰 주사기(하나의 예로서, 20 ml)가 사용되었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부가적인 센서의 세트를 상이한 축방향 및/또는 반경방향 위치에서 이용하여, 주사기 위치 및 크기를 보다 양호하게 특징화할 수 있다.
가변적인 주사기 크기가 주입되는 압력 및 부피 모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주입 부피 계산을 위해서, 센서(841 및 842)가 미리-프로그래밍된 주사기 크기를 부피 계산 시스템(818)의 프로세서(158")에 제공할 수 있다. 표 2는 부피 계산 예를 들어 주사기 크기를 도시한다.
Figure pct00003
표 2에서, 3개의 예시적인 주사기 크기가 기재되어 있고, 하우징(62)이 적어도 이러한 주사기(48)의 3개의 상이한 크기를 연속적으로 그리고 상호 교환 가능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나, 2개의, 4개의, 또는 다른 주사기 크기가 또한 가능할 수 있다. 인가된 압력이 또한 플런저 직경을 기초로 달라질 수 있다. 전술한 예는, 이러한 구성에서 이용되는 경우에 가능할 수 있는 2개의 주사기 플런저 직경(R1 및 R2)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5 cm의 고정 길이를 가지는 10 ml 주사기(48)가 0.798 cm의 내부 반경을 가질 수 있는 반면, 동일한 고정 길이를 가지는 20 ml 주사기는 1.128 cm의 내부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 입력 힘은 이하의 식에 따라 주사기 내에서 다양한 유체 압력을 초래할 수 있다:
Figure pct00004
여기에서, P는 주사기 내의 유체 압력이고, F는 핸들에 인가된 사용자 입력 힘이고, C는 사용자 입력 힘을 주사기 플런저에 연결하는 레버의 기계적인 장점을 기초로 하는 상수이고, R은 주사기 플런저의 반경이다. 이러한 식에 대한 예시적인 값이 이하의 표 3에 기재되어 있고, 여기에서 C는 0.9로서 주어진다. "선형 플런저 힘"이라는 열은 레버 상에서의 주어진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초래되는 플런저에 인가되는 수평적 힘이다.
Figure pct00005
2개의 지점인, 플랜지(40') 및 출구(830)에서 주사기(48)의 본체를 구속하는 것에 의해서, 다양한 주사기 크기가, 수용 슬롯의 하나의 세트만을 가지는 하나의 하우징(62) 내에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5 cc, 10 cc, 20 cc, 30 cc, 50 cc 및/또는 60 cc 주사기가 이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그러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하우징(62) 본체 내의 수용 슬롯(50')이 주사기 플랜지(40')를 규제할 수 있는 한편, 원형 절개부(35')는 주사기 출구(830)를 규제할 수 있다. 수용 슬롯(50')은 축방향 규제를 제공할 수 있다. 플런저(41')가 또한 일정한 크기로 유지된다면, 셔틀(56') 내의 수용 슬롯(64')을 이용하여 다양한 주사기 크기에서 플런저(41') 운동을 제어할 수 있다. 표시 길이가 다양한 주사기들 사이에서 동일할 수 있기 때문에, 동일한 작동 방아쇠가 이러한 시스템(818) 내에서 사용되는 임의의 주사기를 작동시키는 동작을 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하우징(62) 설계로 복수의 주사기 크기의 이용을 허용할 수 있다. 도 45c와 비교하여 도 4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은 직경 주사기(R1)가 주사기(48)의 벽과 하우징(62) 사이에서 큰 간극을 가질 수 있으나, 출구(830), 주사기 플랜지(40'), 및 플런저(41')에 의해서 여전히 완전히 구속될 수 있다.
도 45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주사기의 크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도 45a 내지 도 45c의 주입 장치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818)의 개략도이다. 도 45d의 시스템(818)은 도 9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디스플레이(90'), 프로세서(158"), 전원(152), 및/또는 하나 이상의 센서(841/842)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90')는 화면(91') 및 버튼(92A/92B)을 포함할 수 있다. 화면(91')은 주입 장치의 사용자가 임의의 주어진 순간에 인가되는 압력을 볼 수 있게 할 수 있다. 버튼(92A/92B)은, 예를 들어, 사용시에 주사기 크기를 수동으로 입력하는 것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모니터링 시스템과 상호작용하게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90')는, 압력 표시를 제공할 수 있는 프로세서(158")에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158")에 의한 압력의 표시는 센서(841 및 842)와 같은 센서로부터의 입력을 부분적으로 기초로 할 수 있다. 프로세서(158")는 전원(152)에 의해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전원(152)은 배터리 또는 전원 콘센트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플러그-인 코드와 같은 다른 전원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은 그러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프로세서(158")는 또한 도 39a 및 도 39b에 도시된 실시예의 주입 장치의 잠금과 같은 주입 장치의 잠금을 지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39a 및 도 39b의 프로세서(809)는 도 45d에 도시된 프로세서(158")와 같거나 유사할 수 있다.
도 4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기계적 작동 부재(850)를 포함하는 주입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아쇠(37)가 연장된 도 46a의 주입 장치의 측면도이다.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핀(57)은 레버(52)가 회전될 때 레버(52)의 경로(52P) 내에서 캠 표면(52C)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주입 장치의 레버(52)는 전기기계적 작동 부재(850)에 기계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전기기계적 작동 부재(850)는 선형 작동기 또는 리드 스크류 모터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한 입력에 응답하여 플런저(853)를 이동시키도록 연속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이러한 전기기계적 작동 부재(850)는 도 11에서 앞서서 개시한 시스템을 위한 대안적인 작동 부재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주입 장치는 사용자 입력 힘을 검출하는 힘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전기기계적 작동 부재(850)는 사용자를 보조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적은 힘으로 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작동 부재(850)는 주사기에 제공되는 실질적으로 모든 이동 및 힘을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레버(52)의 방아쇠 부분(37)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버튼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기기계적 작동 부재(850)는 하우징 부착점(851)에 의해서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고, 레버 부착점(852)에 의해서 레버(52)에 결합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또는 양 부착점(851/852)은 부착점(851/852)을 중심으로 하는 피봇팅을 허용할 수 있다.
전기기계적 작동 부재(850)는 또한, 프로세서(158")에 의해서 결정되는 바에 따라 작동될 수 있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솔레노이드를 힘으로 후퇴시켜, 힘이 초과하지 않아야 할 압력 미만으로 감소될 때까지 사용자가 방아쇠(37) 및 플런저(853)에 부가적인 힘을 부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잠금 장치는, 전자적으로 프로세서(158")에 신호할 수 있는, 해제 버튼을 사용자가 누름으로써 해제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58")는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에, 잠금 장치를 해제할 수 있다.
관련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도, 다른 장치 및 모터의 구성을 이용하여 레버(52)를 작동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151')를 포함하는 핸드헬드 주입 장치의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47a는, 샤프트의 단부 상에 베벨 기어(860)를 가지는 회전 모터(151')를 도시한다. 도 47a는 플런저(41)가 완전히 전진된 주사기(48)를 도시한다. 도 4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퇴된 위치의 도 47a의 주입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7b는 회전 모터(151')에 의해서 완전히 후퇴된 주사기(48)의 플런저(41)를 도시한다.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핀(57')은 레버(52''')가 회전될 때 레버(52''') 내에서 캠 표면(52C)을 따라 이동되어 셔틀(56)을 전진시킬 수 있다. 교합되는 베벨 기어(861)가 주입 장치의 레버(52''') 내로 통합될 수 있고 피봇점(53") 주위에서 센터링될 수 있다. 모터(151')는 스텝퍼 또는 다른 모터일 수 있고, 및/또는 셔틀(56) 및 플런저(41)를 희망 지점으로 자동적으로 전진 및 후퇴시키기 위해서 프로세서(158')를 이용할 수 있다. 배터리(152')는 모터(151')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서 제공될 수 있다. 방아쇠(37')는 전자 제어 버튼 또는 스위치일 수 있다. 제어 버튼(37')은 모터(151')의 동작을 통해서 사용자가 유체의 유동을 제어하게 할 수 있다. 부가적인 사용자 입력부가 존재하여, 압력 및/또는 부피 목표 및/또는 한계와 같은 부가적인 제어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8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형 작동기(850')를 포함하는 핸드헬드 주입 장치(859')의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48a는 셔틀(56')에 축방향으로 연결된 선형 작동기(850')를 도시한다. 도 48a는 플런저(41)가 완전히 전진된 주사기(48)를 도시한다. 도 4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퇴된 위치의 도 48a의 주입 장치(859')의 측면도이다. 도 48b는 플런저(41)가 완전히 후퇴된 주사기(48)를 도시한다. 셔틀(56') 및 플런저(41)를 희망 지점으로 전진 및 후퇴시키기 위해서, 선형 작동기(850')가 프로세서(158')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인-라인 핸들과 함께 도시되어 있고, 제어 버튼(37')의 작동 중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놓기 위한 요홈부(862)를 가질 수 있다. 배터리(152')는 시스템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방아쇠(37')는 전자 제어 버튼 또는 스위치일 수 있다. 제어 버튼(37')은 선형 작동기(850')의 동작을 통해서 사용자가 유체의 유동을 제어하게 할 수 있다. 부가적인 사용자 입력부가 존재하여, 압력 및/또는 부피 목표 및/또는 한계와 같은 부가적인 제어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캐노피(42')가 이러한 구성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를 가지지 않을 수 있다.
도 48a 및 도 48b는, 도 47a 및 도 47b의 주입 장치(859)가 인라인 구성을 가지는 주입 장치(859')로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지를 일반적으로 보여준다. 유사하게, 본원의 특정 실시예가 권총 파지부 구성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실시예는 방아쇠/레버를 가지는 인-라인 핸들 또는 "펜-유사(pen-like)" 본체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 장치의 실시예는 자동화되거나 수동적일 수 있고, 각각이 대안예에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방아쇠는, 예를 들어, 도 22에 도시된 방아쇠(37)와 같은 수동 방아쇠 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방아쇠는, 예를 들어, 도 47a의 방아쇠(37')와 같은 자동 방아쇠 일 수 있다.
본원에서 제시된 실시예가 IO 주입과 함께 이용하기에 매우 적합하지만, 그러한 실시예는 또한 정맥주사 접근 지점을 통해서 유체를 주입하기 위해서 유사한 방식으로 이용될 수 있다. 숫놈형/암놈형 루어 연결부와 같은 범용 연결부를 이용함으로써, 매우 다양한 장치가 배관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또한, 종종 기존 주입 펌프의 불량한 기능을 유발할 수 있는 좁은 게이지의 IV 바늘과도 양호하게 작동될 수 있다.
도 4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입 장치(10/10K), 진통제(901) 및 골간 접근 시스템(902/903)을 포함하는 용기(900)의 등각도이다. 용기(900)는 골간 접근 시스템, 부피 전달 시스템, 및 통증 관리를 포함할 수 있다. 골간(IO) 접근 시스템은 멸균 IO 바늘(903) 및 전달 시스템(902)을 포함할 수 있다. 멸균 IO 바늘(901) 및 전달 시스템(902)의 일부 예에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모리스빌에 소재하는 Teleflex로부터의 EZ-IO 접근 시스템, 캐나다, 브리티시 콜럼비아에 소재하는 Pyng Medical로부터의 FAST1, 미국 일리노이즈, 오크간에 소재하는 Carefusion로부터의 Jamshidi Intraosseous Needles, 및 미국 텍사스, 휴스턴에 소재하는 Persys Medical로부터의 Bone Injection Gun(B.I.G.)이 포함된다. 부피 전달 시스템은 주입 장치(10), 및 멸균 배관 키트(10K)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 있는 기본적인 배관 세트(10S)를 포함할 수 있다. 통증 관리 시스템은 리도카인과 같은 국소 마취제로 미리-충진된 주사기(901)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통증 관리 시스템은 또한 국소 마취제로 미리-충진된 주사기(901) 및 탄산수소나트륨과 같은 버퍼링제로 미리-충진된 주사기(911)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900)는, 필요에 따라, 응급 시에 3개의 요소 중 임의의 것을 획득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게 하는 도어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용기(900)는 계수기 상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용기(900)는 벽 상에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용기(900)는 서랍 내에 배치되도록, 손수레, 병원 카트 또는 다른 약제 장치에 장착되도록, 또는 침대 아래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그러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5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를 대상에 주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동작을 도시한다. 유체를 대상에 주입하는 방법은 스파이크를 포함하는 하나의 단부 부분을 가지는 3 내지 12 피트의 길이를 가지는 큰 보어 배관의 제1 단편을 적어도 포함하는 미리-조립된 배관 세트를 제공하는 단계(블록(5001)), 주입 전달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블록(5002)), 주입 전달 장치에 인접한 유입구 배관이 주입 전달 장치에 의해서 유지되는 주사기의 축방향 연장 중심선으로부터 수직 외향으로 연장되도록, 그에 따라 주사기의 부피 표시를 상향 대면되게 배치하기 위해서 주입 전달 장치에 인접한 유입구 배관이 주사기의 플랜지에 평행하도록, 미리-조립된 배관 세트를 주입 전달 장치에 부착하는 단계(블록(5003))를 포함한다. 또한, 방법은 주사기 내로 유체를 흡입하기 위해서 주입 전달 장치에 의해서 유지되는 주사기의 플런저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방아쇠를 반복적으로, 연속적으로 작동시키는 단계(블록(5004)), 및 이어서 유체를 주사기로부터 분배하기 위해서 제2 대향 방향으로 주사기의 플런저를 이동시키도록 방아쇠를 작동시키는 단계(블록(5005))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작동시키는 단계는, 큰 보어 배관과 주사기 사이에서 연장되는 유체 유동 경로에 마중물을 붓기 위해서 적어도 한차례 흡입하고 분배하기 위해, 실시될 수 있고, 이어서 작동시키는 단계를 기초로 주입 유체를 대상에 전달하기 위해서 유체 공급원으로부터 주사기를 통해서 주입 전달 장치에 부착된 작은 보어 배관 내로 주사기로부터 대상으로 유체를 주입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미리-조립된 배관 세트(예를 들어, 도 19a의 배관 세트(10S))는 생리식염수의 파우치에 부착된 큰 보어 배관의 제1 단편 및 혈액 또는 혈액 제품 또는 조영제의 파우치에 부착된 큰 보어 배관의 제2 단편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및 제2 단편은 주입 전달 장치의 하우징의 측벽 외측으로 연장되는 유입구 관에 부착된 큰 보어 배관의 제3 단편 내로 병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방법은 주입 전달 장치에 의해서 유지되는 이중 체크 밸브의 출구 포트에 부착된 Y 연결부로 작은 보어 배관의 길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유체를 대상에 주입하기에 앞서서 작은 보어 배관의 포트 내로 유체 또는 다른 약제를 주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특별한 실시예 및 특징을 설명하였다. 이러한 설명은 임의의 하나의 실시예 또는 임의의 특별한 특징의 세트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 그리고, 이러한 설명 및 첨부된 청구항의 사상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도, 유사한 실시예 및 특징이 생성될 수 있거나 변경 및 부가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9)

  1. 주입 장치이며:
    적어도 주사기의 플랜지 및 플런저를 유지하도록 그 크기 및 구성이 결정되는 내부 챔버를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의해서 유지되는 방아쇠; 및
    상기 방아쇠와 연통되고 상부 단부를 가지는 캠 경로를 가지는 상향 연장 캠을 포함하는 레버로서, 상기 캠은 주사기의 플랜지와 연통되고, 상기 주사기로부터 유체를 분배하기 위한 상기 방아쇠의 작동에 응답하여, 상기 캠의 상부 단부는 상기 주사기 위로 위쪽으로 그리고 상기 주사기의 분배 단부를 향해서 길이방향으로 이동되고 그에 따라 상기 주사기의 플런저를 제1 방향으로 선형적으로 병진운동시켜 유체를 상기 주사기로부터 분배하며, 유체를 상기 주사기 내로 재충진하기 위해서, 상기 캠의 상부 단부가 하향으로 그리고 상기 주사기의 분배 단부로부터 멀리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플런저를 제2의 대향 방향으로 선형적으로 병진운동시켜 유체를 상기 주사기 내로 흡입하는, 레버
    를 포함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하부 하우징 부재 및 상기 하부 하우징 부재에 부착된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는 하우징의 길이방향 대향 단부들 사이의 높이를 증가시켜, 상기 캠의 상향 단부를 케이스화하는 내부 공동을 형성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상기 캠 경로를 형성하는 폐쇄된 경계부 내측에서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캠의 슬롯을 통해서 연장되는 측방향 연장 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캠 및 핀이 협력하여 상기 주사기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켜 유체를 분배하며 상기 주사기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유체를 흡입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슬롯은 상부 궁형 단부 및 하부 궁형 단부를 가지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유체 분배를 위해서 상기 주사기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그리고 유체 흡입을 위해서 상기 주사기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캠의 상부 단부와 결합되는 측방향 연장 브래킷에 부착된 셔틀을 더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상기 브래킷은 제1 가로 막대 및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제2 가로 막대를 포함하고, 상기 막대들은 상기 개구부를 함께 형성하며, 상기 개구부 위로 상기 캠의 상부 단부가 연장될 수 있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챔버는, 부피 용량이 5 ml 내지 30 ml의 범위인 각각의 주사기의 적어도 플랜지 및 플런저를 유지하기 위한 크기 및 구성을 가지며, 상기 캠의 상부 단부는 주입 장치의 동작적 사용 중에 둘러싸인 공동 내에서 약 1.25 인치 내지 약 2.25 인치의 거리로 상하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캠은 상기 주사기와 대면되는 오목한 형상을 포함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내부 챔버 내에서 주사기의 세장형 주사기 본체를 유지하기 위한 크기 및 구성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내부 챔버 위에 체류하는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시각적으로 투명한 상부 부분을 가지며, 상기 장치는 상기 주사기의 분배 단부에 부착된 이중 체크 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중 체크 밸브의 유입구 관은 상기 하우징의 하나의 측면의 외부로 연장되어, 유체 부피의 시각적 표시가 상향 대면되도록 주사기를 배향시키며, 상기 유입구 관은 상기 주사기의 플랜지의 측방향 연장 평면과 평행하도록 축방향 연장 밸브 본체에 수직으로 외향으로 연장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플랜지는 유입구 관의 축방향 연장 중심선으로부터 3 내지 5 인치의 거리에 체류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유입구 관은 큰 보어 배관의 길이에 고정되거나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는,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기의 분배 단부에 부착된 이중 체크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중 체크 밸브의 유입구 관은 상기 하우징의 하나의 측면의 외부로 연장되고, 상기 덮개는 상기 주사기의 분배 단부에 인접한 그 전방 단부 상에서 또는 그에 근접하여 복수의 이격된 하향 대면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는 상기 이중 체크 밸브 본체의 관형 출구 포트 주위로 연장되는 크기 및 구성을 가지는 제1 최전방 개구 및 상기 제1 최전방 개구에 인접하도록, 그러나 그로부터 0.5 인치 내지 1 인치, 선택적으로 약 0.8 인치의 거리로 길이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덮개의 우측 및/또는 좌측 측벽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개구를 포함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및/또는 좌측 측벽 상의 적어도 하나의 제2 개구는, 상기 덮개의 우측 및 좌측 측벽 상에서 서로 교차되어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제2 개구의 쌍을 포함하는,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대향되는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를 가지며, 상기 전방 단부는 반원형 개구를 가지는 선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 하우징 부재의 전방 단부는 상기 덮개가 하부 하우징 부재에 대해서 폐쇄될 때, 원형 개구를 형성하도록 덮개의 선단부 내의 반원형 개구와 대면되는 반원형 개구를 가지는 선단부를 포함하는,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개구를 가지는 선단부를 구비하는 전방 단부를 가지며, 상기 선단부에 근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은 또한 개구를 가지며, 상기 하부 하우징 부재는 상기 덮개의 선단부 내의 개구와 대면되는 개구 및 상기 덮개의 상응하는 측벽 내의 각각의 개구에 대면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향 연장 측벽 상의 개구를 가지는 선단부를 포함하는 전방 단부를 가지며, 상기 덮개가 상기 하부 하우징 부재에 대해서 폐쇄될 때, 상기 덮개 및 상기 하부 하우징 부재로부터 각각의 개구의 쌍이 정렬되어 각각의 포트를 형성하는, 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전방 단부는 하향 연장 반원형 개구를 가지는 선단부 및, 하향 연장 반원형 개구를 또한 가지는, 상기 선단부에 근접한 적어도 하나의 측벽을 가지며, 상기 하부 하우징 부재는 덮개의 전방 단부 아래에 체류하는 전방 단부를 가지며, 상기 하부 하우징 부재의 전방 단부는 상기 덮개의 선단부 내의 반원형 개구에 대면되는 상향 연장 반원형 개구 및 상기 덮개의 측벽 내의 각각의 반원형 개구와 대면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향 연장 측벽 상의 상향 대면 반원형 개구를 가지는 선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가 상기 하부 하우징 부재에 대해서 폐쇄될 때, 상기 덮개 및 상기 하부 하우징 부재 내의 반원형 개구의 각각의 쌍은 원형 개구를 형성하는,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측벽 및 상기 하부 하우징 부재의 정렬된 개구의 적어도 하나의 쌍에 의해서 형성된 개구의 중심은 상기 내부 챔버 내의 주사기 목부 유지 단편으로부터 0.7 인치 내지 1 인치 범위의 거리로 이격되어 체류되며, 그에 의해서, 상기 내부 챔버 내측에 장착될 때, 상기 주사기의 시각적 표시와 관련하여 체크 밸브의 형상결합적 배향을 제공하는, 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챔버는, 각각의 주사기의 목부를 유지하기 위한 크기 및 구성을 가지는 길이에 대한 더 작은 영역 내로 병합되고 이어서 제2 격실 내로 병합되는 주사기 본체를 유지하기 위한 크기 및 구성을 가지는 제1 격실을 구비하며, 상기 제2 격실은 선단부까지 연장되고, 출구 포트가 덮개의 선단부 및 아래의 하부 하우징 부재 외부로 연장되도록 그리고 및 유입구 관이, 선단부에 인접한, 상기 덮개의 측면 및 아래의 하부 하우징 부재의 외부로 연장되도록, 상기 이중 체크 밸브 본체를 내부에서 유지하기 위한 크기 및 구성을 가지며, 선택적으로, 큰 보어 배관의 길이는 상기 유입구 관에 해제 가능하게 또는 고정적으로 부착되고 상기 장치의 외부에 체류하는,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전방 단부 및 하부 하우징의 정렬된 개구들에 의해서 형성된 포트는 우측 및/또는 좌측 측벽 상의 정렬된 개구에 의해서 형성된 포트 보다 큰,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상기 플런저를 선형적으로 병진운동시키기 위해서 셔틀에 결합되고, 상기 캠은 상기 셔틀 아래의 하우징 내의 고정된 피봇점을 중심으로 피봇 가능하게 상기 레버에 부착되고, 상기 방아쇠는 수동적으로 동작 가능한 방아쇠를 가지는 하향 연장 손 파지부 또는 전자적 방아쇠를 포함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형 캠은, 상기 방아쇠와 접촉되거나 상기 방아쇠와 일체이고 고정된 피봇점 아래로 연장되는 하향 연장 단편 또는 연장부를 가지며, 상기 장치는 상기 방아쇠를 복귀 위치로 편향시키기 위해서 고정된 피봇점에 인접하여 유지되는 방아쇠 앵커에 부착된 비틀림 스프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캠의 하향 연장 단편 또는 연장부는 상기 고정된 피봇점 위의 궁형 개방 공간 및 상기 궁형 개방 공간 내에 활주식으로 수용될 수 있고 그에 의해서 상기 방아쇠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할 수 있는 측방향 연장 및 활주 가능 핀 잠금 부재를 포함하는,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아쇠는, 상기 하우징 내의 주사기의 플런저 행정 거리와 같거나 그 보다 20% 이하로 더 긴 행정 거리를 가지는 수동 레버를 포함하는,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하우징의 내부 챔버 내의 플랜지로 상기 하우징에 의해서 유지되도록 구성된 주사기로서, 상기 주사기는 부피 용량이 5 ml 내지 30 ml 범위인 액체 챔버를 가지는 주사기 본체를 가지며, 상기 주사기는 부피의 시각적 표시를 가지는, 외부 표면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주사기 본체 내로 활주식으로 연장될 수 있고 상기 주사기 본체로부터 후퇴될 수 있는 플런저를 가지는, 주사기;
    상기 주사기에 부착되고 상기 하우징에 의해서 유지되는 밸브로서, 상기 밸브는 대향되는 제1 및 제2 단부를 가지는 축방향 연장 밸브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본체는 (a) 상기 밸브 본체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체류하는 유입구 관 및 (b) 상기 밸브 본체의 제1 단부 상의 출구 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 본체의 제2 단부는 상기 주사기에 인접하여 또는 그 내측에 체류하며, 상기 액체 챔버와 유체 연통되는, 밸브;
    3 mm 초과 및 6 mm 이하의 내경 및 4 피트 내지 10 피트 범위의 길이를 가지는 큰 보어 배관으로서, 상기 큰 보어 배관은 대향되고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제1 및 제2 단부를 가지며, 상기 큰 보어 배관의 제1 단부는 상기 유입구 관에 부착되고, 상기 제2 단부는 스파이크를 포함하는, 큰 보어 배관; 및
    작은 보어 배관 조립체로서, 상기 작은 보어 배관 조립체는 상기 밸브 본체의 출구 포트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3 mm 내지 1 mm의 내경을 가지는 작은 보어 배관의 길이, 상기 작은 보어 배관에 부착된 클램프, 상기 작은 보어 배관의 제1 및 제2 길이의 인접 단부들에 부착되는 Y 연결부를 가지고, 상기 작은 보어 배관의 제1 및 제2 길이는, Y 연결부로부터 먼, 상기 배관의 자유 단부를 각각 가지고, 그 중 하나는 숫놈형 루어 연결부이고 또 하나는 암놈형 루어 연결부인, 작은 보어 배관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밸브가 부착된 주사기, 상기 밸브 본체의 유입구 관에 부착된 큰 보어 배관, 및 상기 밸브 본체의 출구 포트에 부착된 작은 보어 배관은 모두 상기 주입 장치 내에서의 사용에 앞서서 멸균 포장 내에서 유지되고, 그에 의해서 멸균 및 사용-준비된 조립체로 제공되는,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의해서 유지되는 주사기로서, 부피 용량이 5 ml 내지 30 ml 범위인 액체 챔버를 가지는 주사기 본체를 가지는, 주사기;
    상기 주사기의 분배 단부에 부착되고 상기 주사기의 액체 챔버와 유체 연통되는 이중 체크 밸브; 및 이하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
    (a) 작은 보어 배관 조립체로서, 상기 이중 체크 밸브의 출구 포트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3 mm 내지 1 mm의 내경을 가지는 길이, 작은 보어 배관에 부착된 클램프, 작은 보어 배관의 제1 및 제2 길이의 인접 단부에 부착되는 Y 연결부를 가지는 작은 보어 배관 조립체로서, 상기 작은 보어 배관의 제1 및 제2 길이 각각은, 선택적으로 무바늘 밸브 구성을 위한, Y 연결부로부터 먼 각각의 자유 단부를 가지고, 그 중 하나는 숫놈형 루어 연결부이고 하나는 암놈형 루어 연결부인, 작은 보어 배관 조립체; 또는
    (b) 작은 보어 배관 조립체로서, 상기 이중 체크 밸브의 출구 포트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3 mm 내지 1 mm의 내경을 가지고 상기 출구 포트에 부착된 단부로부터 먼 작은 보어 배관의 단부 상의 숫놈형 루어 연결부를 가지는 작은 보어 배관의 길이를 가지는, 작은 보어 배관 조립체
    를 더 포함하는, 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의해서 유지되는 주사기로서, 부피 용량이 5 ml 내지 30 ml 범위인 액체 챔버를 가지는 주사기 본체를 가지는, 주사기;
    상기 주사기의 분배 단부에 부착되고 상기 주사기의 액체 챔버와 유체 연통되는 이중 체크 밸브로서, 축방향 연장 일차적인 본체 및 출구 분배 포트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체류되는 유입구 포트를 가지는 유입구 관을 포함하는 이중 체크 밸브; 및 이하 중 하나 이상:
    (i) 상기 유입구 배관의 제1 및 제2 단편을 가지는 조영제 배관 하위-조립체로서, 적어도 하나의 단편은 큰 보어 배관의 길이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 배관의 제1 및 제2 단편의 각각은 스파이크를 가지는 하나의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단편은 심장 주입 시술을 위한 유입구 관의 유입구 포트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2-방향 선택기 밸브에 의해서 연결되는, 조영제 배관 하위-조립체;
    (ii) 상기 주사기와 유체 연통되는 압력 릴리프 밸브와, 상기 이중 체크 밸브의 출구 포트 사이의 작은 보어 배출구 배관의 길이; 및
    (iii) 상응하는 액체의 제1 및 제2 파우치 내로 삽입된/삽입될 수 있는 큰 보어 스파이크 및 클램프를 각각 포함하는, 큰 보어 배관의 제1 및 제2 길이로서, 상기 큰 보어 배관의 제1 및 제2 길이는, 상기 이중 체크 밸브의 유입구 관에 부착된 하나의 큰 보어 유입구 배관 단편 내로 병합되는 Y 연결부에 인접한 인-라인 필터에서 만나고, 그에 의해서 사용자가 혈액 또는 혈액 제품을 포함하는 하나의 파우치를 큰 보어 배관의 제1 길이에 부착할 수 있게 하고, 주입 액체(선택적으로, 생리식염수)를 포함하는 다른 파우치를 큰 보어 배관의 제2 길이에 부착할 수 있게 하는, 큰 보어 배관의 제1 및 제2 길이
    를 더 포함하는, 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의해서 유지되는 주사기로서, 상기 주사기는 부피 용량이 5 ml 내지 30 ml 범위인 액체 챔버를 가지는 주사기 본체를 가지며, 상기 주사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주사기 본체 내로 활주식으로 연장될 수 있고 그로부터 후퇴될 수 있는 플런저를 가지는, 주사기;
    상기 주사기에 결합된 상기 하우징 내의 적어도 하나의 압력 하중계로서, 상기 방아쇠를 통해서 사용자에 의해서 상기 주사기에 인가된, 측정된 압력 또는 힘과 연관된 신호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하중계; 및
    상기 압력 하중계에 의해서 측정된 힘 또는 압력을 기초로 분배되는 유체의 유체 압력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력 하중계와 연통되는 프로세서로서, 상기 유체 압력은 상기 압력 하중계에 의해서 측정된 힘 또는 압력과 상기 주사기의 플런저의 직경을 기초로 결정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장치.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의해서 유지되는 주사기로서, 상기 주사기는 부피 용량이 5 ml 내지 30 ml 범위인 액체 챔버를 가지는 주사기 본체를 가지며, 상기 주사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주사기 본체 내로 활주식으로 연장될 수 있고 그로부터 후퇴될 수 있는 플런저를 가지는, 주사기;
    상기 주사기에 부착되고 상기 하우징에 의해서 유지되는 밸브로서, 상기 밸브는 대향되는 제1 및 제2 단부를 가지는 축방향 연장 밸브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본체는 (a) 상기 밸브 본체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체류하는 유입구 관 및 (b) 상기 밸브 본체의 제1 단부 상의 출구 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 본체의 제2 단부는 상기 주사기에 인접하여 또는 그 내측에 체류하며, 상기 액체 챔버와 유체 연통되는, 밸브;
    상기 주사기 및/또는 유체 흡입 또는 방출 유동 경로와 유체 연통되는 압력 센서 또는 압력 하중계; 및
    프로세서와 통신되는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사용자가 밸브의 유입구 관에 부착된 배관의 유입구 포트에 부착된 유체 공급원(선택적으로 IV 백)의 유형과 관련된 희망 압력 한계를 선택할 수 있게 구성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분배되는 유체의 결정된 유체 압력이 규정된 한계를 초과할 때, 주사기의 플런저를 불능화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챔버는, 상이한 부피들의 주사기들을 해제 가능하게 그리고 연속적으로 상호 교환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크기 및 구성을 가지며, 상이한 부피들의 연속적으로 상호 교환 가능한 주사기들의 각각의 하나가 공통 길이를 가지는,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이한 부피들의 연속적으로 상호 교환 가능한 주사기들의 각각의 하나가 공통 행정 길이를 가지며, 상기 행정 길이는 상기 주사기 본체를 통해서 상기 주사기의 각각의 플런저가 이동되는 거리이며, 상기 상이한 부피들의 연속적으로 상호 교환 가능한 주사기들의 각각의 개별적인 주사기의 플랜지는 공통 플랜지 폭, 공통 플랜지 높이, 및 공통 플랜지 두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의해서 유지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배출구 포트를 통해서 분배되는 유체의 압력을 결정하기 위해서, 상기 하우징 내에서 유지되는 각각의 주사기의 부피와 상기 방아쇠에 인가되는 압력을 상호 관련시키도록 구성되고, 분배되는 전체 유체가, 선택적으로 사용자 세트 한계일 수 있는, 규정된 한계에 도달할 때, 상기 프로세서는 청각적 및/또는 시각적 경고를 발생하도록 상기 장치에 지시하는, 장치.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의해서 유지되는 프로세서 및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가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통신되어, 상기 주사기의 반경방향 범위를 기초로 상기 하우징 내에서 현재 유지되는 주사기 유형 및/또는 부피가 어떠한 것인지를 식별하는, 장치.
  2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큰 보어 배관의 길이를 해제 가능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된 상기 하우징의 전방 단부 부분에 인접한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상기 하우징의 폭 치수에 걸쳐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관 유지 특징부를 포함하는,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관 유지 특징부는, 상기 방아쇠와 상기 하우징의 전방 단부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의 우측 측면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좌측 측면까지 연장되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 부분 내의 교차-채널을 포함하는, 장치.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관 유지 특징부는, 배관의 길이를 해제 가능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된, 상기 하우징의 하부 부분에 부착되고 하향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지 클램프를 포함하는, 장치.
  3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사용 중에, 상기 주사기 아래에 체류되고 상기 방아쇠에 부착되며 고정된 피봇점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하향 연장 레버 단편을 포함하고, 상기 하향 연장 레버는, 규정된 힘을 초과하는 사용자에 의한 힘의 인가에 응답하여 파괴되도록 구성된, 고정된 피봇점 아래에 체류하는 제1 및 제2 단편을 포함하는, 장치.
  3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사용 중에, 상기 주사기 아래에 체류되고 상기 방아쇠에 부착되며 고정된 피봇점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하향 연장 레버 단편을 포함하고, 상기 하향 연장 레버는, 규정된 힘을 초과하는 사용자에 의한 힘의 인가에 응답하여 재셋팅 가능 경첩과 분리되도록 구성된, 고정된 피봇점 아래에 체류하는 제1 및 제2 단편을 포함하는, 장치.
  33. 제1항에 있어서,
    분배된 부피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주사기와 통신되는 인코더를 더 포함하는, 장치.
  34. 제1항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제1 및 제2 멸균 포장을 가지는 키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멸균 포장은:
    상기 하우징에 의해서 유지되는 주사기로서, 부피 용량이 5 ml 내지 30 ml 범위인 액체 챔버를 가지는 주사기 본체를 가지는, 주사기;
    상기 주사기의 분배 단부에 부착되고 상기 주사기의 액체 챔버와 유체 연통되는 이중 체크 밸브;
    상기 이중 체크 밸브의 출구 포트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3 mm 내지 1 mm의 내경, 작은 보어 배관에 부착된 클램프, 및 작은 보어 배관에 부착된 Y 연결부를 가지는, 작은 보어 배관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2 멸균 포장은:
    상기 작은 보어 배관을 통해서 진통제를 사용자에게 분배하기 위해서 Y 연결부에 부착하기 위한 진통제(선택적으로 리도카인)의 주사기를 포함하는, 장치.
  35. 제1항에 있어서,
    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구성요소의 제1 및 제2 멸균 포장을 가지는 키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멸균 포장은:
    상기 하우징 내로 삽입되는 주사기로서, 부피 용량이 5 ml 내지 30 ml 범위인 액체 챔버를 가지는 주사기 본체를 가지는, 주사기;
    상기 주사기의 분배 단부에 미리-부착되고 상기 주사기의 액체 챔버와 유체 연통되는 이중 체크 밸브;
    상기 이중 체크 밸브의 출구 포트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3 mm 내지 1 mm의 내경, 작은 보어 배관에 부착된 클램프, 및 작은 보어 배관에 부착된 Y 연결부를 가지는, 작은 보어 배관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2 멸균 포장은:
    작은 보어 배관을 통해서 버퍼링된 진통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서 Y 연결부와 유체 연통되도록 각각 구성되는, 진통제(선택적으로 리도카인)의 제1 주사기 및 버퍼(선택적으로 탄산수소나트륨)의 제2 주사기를 포함하는, 장치.
  36. 주입기 시스템이며:
    플런저를 가지는 주사기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하우징;
    상기 주사기의 플런저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하우징 내의 셔틀; 및
    상기 하우징에 의해서 유지되는 레버를 포함하는 방아쇠로서, 상기 레버는 상기 주사기 아래에서 고정된 피봇점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레버는 제1 단편 및 제2 단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편 및 제2 단편은 정상 동작 중에 협력하여, 방아쇠의 작동 및 고정된 피봇점을 중심으로 하는 레버의 회전에 응답하여 상기 셔틀을 제1 방향으로 선형적으로 병진운동시키고, 규정된 힘을 초과하는, 사용자에 의해서 방아쇠에 인가된 힘에 응답하여 분리 및/또는 파괴되도록, 상기 제1 및/또는 제2 단편의 하나 또는 모두가 구성되며, 상기 주입 시스템은 상기 방아쇠의 작동에 응답하여 상기 주사기로부터 유체를 분배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규정된 힘은, 유체가 상기 주사기로부터 분배되는 최대 희망 압력 보다 크도록 상호 관련되는, 주입기 시스템.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규정된 힘은 약 70 lbf, 선택적으로 70 lbf 내지 100 lbf인, 주입기 시스템.
  3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제1 및/또는 제2 단편은 상기 고정된 피봇점 아래에 그리고 상기 레버의 외부 연부에 근접하여 배치된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는, 제2의 변형된 구성으로 변화되는 상기 개구 주위의 벽을 가지는 제1의 원래의 구성을 가지고, 상기 제2의 변형된 구성에서 상기 벽은 사용 중에 규정된 힘을 초과하는 사용자에 의한 힘의 인가에 응답하여 상기 개구의 일부 주위에서 분리되고 그에 의해서 상기 레버를 분리 및/또는 파괴하는, 주입기 시스템.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상기 레버의 외부 연부로부터 0.01 내지 0.1 인치 이내에 있도록 배치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레버의 제2 단편은 제1 재료 및 상기 제1 재료와 상이한 제2 재료를 포함하는, 주입기 시스템.
  40.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규정된 힘은, 상기 주사기로부터 분배되는 유체의 압력이 5.8 PSI 내지 325 PSI의 압력을 초과할 때, 상기 레버의 제1 및/또는 제2 단편을 분리 및/또는 파괴하도록 규정되는, 주입기 시스템.
  41.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제1 단편 위에 체류하는 슬롯을 가지는 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편은 고정된 피봇점 아래의 피봇 핀으로 상기 제2 단편에 피봇식으로 연결되는, 주입기 시스템.
  42.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제1 및 제2 단편은 서로 재부착 가능하게 분리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장치는, 상기 규정된 힘 이상의 힘을 사용자가 인가할 때, 상기 단편들을 분리시키는 제1 단편과 제2 단편 사이의 재셋팅 가능 경첩을 더 포함하는, 주입기 시스템.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편은 상기 고정된 피봇점 아래의 피봇 핀으로 상기 제2 단편에 피봇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재셋팅 가능 경첩은, 정렬된 함몰부와 각각 결합 및 분리되도록 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후퇴될 수 있는 피봇 핀 위에 체류하는 스프링-부하형 플런저를 포함하고, 상기 주입기 시스템의 동작 중에, 상기 스프링-부하형 플런저는, 사용자가 상기 규정된 힘 이상의 힘을 인가할 때, 상기 함몰부로부터 분리되는, 주입기 시스템.
  44.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부분의 피봇팅이 제한되도록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규정된 힘 이상의 힘을 인가할 때에도 상기 제1 및 제2 단편이 동작적으로 결합되어 유지되도록 상기 재셋팅 가능 경첩을 불능화하도록 구성된, 상기 재셋팅 가능 경첩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규제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는, 주입기 시스템.
  45.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기로부터 분배되는 유체의 압력이 규정된 압력을 초과할 때, 상기 레버의 제2 단편의 하부 부분을 상기 레버의 제1 단편으로부터 멀리 피봇시키도록 상기 규정된 힘이 규정되며, 상기 규정된 압력은 5.8 PSI 내지 325 PSI인, 주입기 시스템.
  46.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편은 고정된 피봇점 아래의 피봇 핀으로 상기 제2 단편에 피봇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재셋팅 가능 경첩은 피봇 핀 아래의 적어도 하나의 자석을 포함하는, 주입기 시스템.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재셋팅 가능 경첩의 적어도 하나의 자석은 적어도 제1 단편 상의 제1 자석 및 적어도 제2 단편 상의 협력하는 제2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자석은 상기 주입기 시스템의 정상 동작 중에 자기적으로 결합되도록 그리고 상기 규정된 힘 이상의 힘을 사용자가 인가할 때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주입기 시스템.
  48.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석은, 상기 주입기 시스템의 정상 동작 중에 자기적으로 결합되도록 그리고 상기 규정된 힘 이상의 힘을 사용자가 인가할 때 분리되도록 구성된, 상기 제1 또는 제2 단편의 하나 상의 적어도 하나의 자석 및 상기 제1 또는 제2 단편의 다른 하나 상의 협력적인 강자성체 자석 및/또는 희토류 자석을 포함하는, 주입기 시스템.
  49. 제1항 내지 제33항의 주입 장치 또는 제36항 내지 제48항의 주입기 시스템과 같은 주입 장치를 위한 약제 주입용 구성요소의 키트이며:
    부피 용량이 5 ml 내지 30 ml 범위인 액체 챔버를 가지는 주사기 본체를 구비하는 주사기로서, 부피의 시각적 표시를 가지는 외부 표면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주사기 본체 내로 활주식으로 연장될 수 있고 그로부터 후퇴될 수 있는 플런저를 가지는, 주사기;
    내경이 3 mm 보다 크고 6 mm 이하이며 길이가 4 피트 내지 10 피트 범위인 큰 보어 배관으로서, 대향되는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제1 및 제2 단부를 가지는, 큰 보어 배관;
    대향되는 제1 및 제2 단부를 가지는 축방향 연장 밸브 본체를 가지는 밸브로서, 상기 밸브 본체는 (a) 상기 밸브 본체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체류하는 유입구 관, 및 (b) 상기 밸브 본체의 제1 단부 상의 출구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 관은 상기 큰 보어 배관의 제1 단부에 부착되고, 상기 밸브 본체의 제2 단부는 상기 주사기에 인접하여 또는 그 내측에 체류되고 상기 액체 챔버와 유체 연통되며, 상기 유입구 관은 상기 주사기의 플랜지의 측방향 연장 평면과 평행하도록 축방향 연장 밸브 본체에 수직으로 외향으로 연장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플랜지는 유입구 관의 축방향 연장 중심선으로부터 3 인치 내지 5 인치의 거리에 체류하는, 밸브; 및
    상기 유입구 관으로부터 분리된 또는 상기 유입구 관에 미리-부착된, 상기 밸브 본체에 미리-부착된 주사기 및 상기 큰 보어 배관을 멸균 조건으로 유지하고, 그에 의해서 상기 주사기 및 상기 밸브를 주입 장치로 삽입하기 위한, 사용-준비된 구성의 구성요소를 제공하는 포장을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 관의 축방향 연장 중심선은 상기 주사기 본체의 출구 선단부로부터 0.7 인치의 거리로 길이방향으로 이격되며, 상기 유입구 관에 부착되는, 상기 큰 보어 배관은 상기 플랜지에 평행하고 부피 표시를 상향 대면되게 배치하도록 배향되는, 키트
KR1020177026502A 2015-02-24 2016-02-23 유체 주입용 장치 및 키트 KR201800343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20021P 2015-02-24 2015-02-24
US62/120,021 2015-02-24
US201562187367P 2015-07-01 2015-07-01
US62/187,367 2015-07-01
US201662274566P 2016-01-04 2016-01-04
US62/274,566 2016-01-04
PCT/US2016/019167 WO2016138018A2 (en) 2015-02-24 2016-02-23 Apparatus and kits for fluid infus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4305A true KR20180034305A (ko) 2018-04-04

Family

ID=55456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6502A KR20180034305A (ko) 2015-02-24 2016-02-23 유체 주입용 장치 및 키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4) US10391257B2 (ko)
EP (1) EP3261694B1 (ko)
JP (1) JP2018507087A (ko)
KR (1) KR20180034305A (ko)
AU (1) AU2016222871B2 (ko)
CA (1) CA2977652C (ko)
WO (1) WO2016138018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1405B1 (ko) * 2020-04-09 2021-05-12 (주)풍림파마텍 자동 주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22227B2 (en) 2013-03-15 2019-06-18 410 Medical, Inc. Apparatus, kits and related methods for fluid infusion
CN106061528B (zh) 2013-10-24 2020-10-16 波士顿大学信托人 用于防止多种药剂的误引导的输注系统
CA2977652C (en) 2015-02-24 2023-10-24 410 Medical, Inc. Apparatus and kits for fluid infusion
EP3319662B1 (en) 2015-07-08 2023-09-13 Trustees of Boston University Infusion system and components thereof
EP3359243B1 (en) 2015-10-07 2021-10-06 Illinois Tool Works Inc. Check valve assembly
MX2019008110A (es) 2017-01-06 2019-10-24 Univ Boston Sistema de infusion y componentes del mismo.
CA3091779A1 (en) * 2018-02-22 2019-08-29 CIC Fund Securitisation S.A. Catheter tubing system
US20210077799A1 (en) * 2018-04-16 2021-03-18 Renovacare Sciences Corp. Spray deposition system and its use for treating a living being
US20200360004A1 (en) * 2018-04-19 2020-11-19 Ethicon, Inc. Dual syringe cartridge and housing
US20210236771A1 (en) * 2018-04-19 2021-08-05 Wake Forest University Health Sciences A medical device for deploying a catheter that can be operated with a single hand, and a method
US20210236255A1 (en) * 2018-06-06 2021-08-05 Simcro Limite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pplicators
BR112020024876A2 (pt) * 2018-06-07 2021-03-09 Simcro Limited Aplicador, método para dispensar um fluido para bem-estar animal, e, estojo de partes para um aplicador.
WO2020006566A1 (en) 2018-06-29 2020-01-02 410 Medical, Inc.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filtering air from a fluid line
US10687880B2 (en) * 2018-07-03 2020-06-23 Warsaw Orthopedic, Inc. Bone material dispensing system with locking member
EP3593838A1 (en) * 2018-07-13 2020-01-15 Zyno Medical, Llc High precision syringe with removable pump unit
US10871788B2 (en) 2018-08-13 2020-12-22 410 Medical, Inc.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reducing fluid pressure in a fluid line
CN109498876B (zh) * 2018-10-22 2021-05-04 王彩凤 一种阴道清洗辅助器
KR102657870B1 (ko) * 2018-11-07 2024-04-18 백스터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듀얼 체크 밸브 한 손 어플리케이터
JP2022520007A (ja) 2019-01-21 2022-03-28 ノードソン コーポレーション ディスペンサ制御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DE102019205162A1 (de) * 2019-04-10 2020-10-15 Klemens Heiden Auspressvorrichtung für Spritzen
JP2022542818A (ja) 2019-07-16 2022-10-07 ベータ バイオニク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歩行型デバイス及びその構成要素
CN110731831A (zh) * 2019-09-27 2020-01-31 卢维红 智能兽医自动注射器
US11278661B2 (en) 2020-03-10 2022-03-22 Beta Bionics, Inc. Infusion system and components thereof
KR20230054795A (ko) * 2020-04-21 2023-04-25 디팍 자인 치료제를 전달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시스템
CN112000246B (zh) * 2020-08-27 2021-10-12 深圳市信濠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触摸屏检测及调整的触感系统
KR102290090B1 (ko) * 2021-01-18 2021-08-18 이수미 주입 건을 이용한 니들리스 주사액 주입장치
US20220226560A1 (en) * 2021-01-21 2022-07-21 Elsa GONZALES Devices, methods, and systems for improved enema and rectal irrigation procedures
AU2022232358A1 (en) 2021-03-08 2023-09-14 410 Medical, Inc.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fluid infusion
KR102599496B1 (ko) * 2021-06-23 2023-11-06 박선경 무침 주사기용 격발장치
AU2022345805A1 (en) * 2021-09-20 2024-03-07 Baxter Healthcare Sa Automated fluid dispenser with driver and disposable probe
AU2022360373A1 (en) * 2021-10-06 2024-05-02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System for organ injection
WO2024020097A1 (en) * 2022-07-19 2024-01-25 Harrison Kim Syringe pump and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5230A (en) 1975-01-17 1977-12-27 Hart Associates, Inc. Reciprocating infusion pump and directional adapter set for use therewith
US4202333A (en) 1978-11-08 1980-05-1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Fluid dispensing device
NL8006197A (nl) * 1980-11-13 1982-06-01 Philippus Poppink Injectiespuit met automatische aspiratie controle.
US4569662A (en) * 1981-10-26 1986-02-11 Dragan William B Bulk cartridge for packaging and dispensing a dental material
US4594073A (en) 1984-10-31 1986-06-10 Stine Charles R Aspiration syringe holder
US4758233A (en) 1986-04-22 1988-07-19 N.J. Phillips TPY. Limited Cream applicator
US4687472A (en) 1986-11-12 1987-08-18 Gross Daniel A Injection assisting apparatus
JPH0755222B2 (ja) 1986-12-12 1995-06-14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処置具
JPS63173866A (ja) 1987-01-09 1988-07-18 Hitachi Ltd 無脈動ポンプの制御方式
US5141504A (en) 1987-03-02 1992-08-25 Atrium Medical Corporation Fluid recovery system with stopcock suction control
US4919649A (en) 1987-09-30 1990-04-24 Sherwood Medical Company Fluid delivery system
US4968303A (en) 1988-09-27 1990-11-06 Eli Lilly And Company Hypodermic syringe holder
FR2648701B1 (fr) * 1989-06-22 1995-10-20 Rhone Merieux Installation portative de vaccination aviaire
US5139488A (en) 1990-08-06 1992-08-18 Syrvet, Inc. Drenching gun
US5395375A (en) * 1992-11-18 1995-03-07 Symbiosis Corporation Arthroscopic surgical instruments
US5203839A (en) 1991-06-14 1993-04-20 Skaggs Kenneth R Apparatus for dispensing adhesive materials
IL102941A0 (en) 1991-08-27 1993-01-31 Thomas R Johnson Injection syringe
DK166691D0 (da) * 1991-09-30 1991-09-30 Unes As Flerkomponentsproejte
FR2690839B1 (fr) * 1992-05-06 1996-07-12 Rhone Merieux Ensemble de vaccination contre l'interotoxemie du lapin et vaccin conditionne pour etre utilise dans cet ensemble.
US5389070A (en) 1993-03-16 1995-02-14 Wake Forest University Syringe apparatus with a fluid reservoir for injection and aspiration of fluids
US5807340A (en) 1995-06-06 1998-09-15 Pokras; Norman M. Self refilling I.V. syringe
US5779675A (en) * 1995-08-25 1998-07-14 Medrad, Inc. Front load pressure jacket system with syringe holder
US5733258A (en) 1995-09-22 1998-03-31 Lane; Donovan R. Livestock biological and vaccine handling system to include pistol grip syringe and cartridge
JP3364232B2 (ja) * 1997-03-29 2003-01-08 フーン パク,ジ 連続注射装置
US5865805A (en) 1997-07-16 1999-02-02 Liebel-Flarsheim Company Power injector and side loadable syringe support therefor for plunger pushrod type syringes
US5913874A (en) 1997-09-25 1999-06-22 Cabot Technology Corporation Cartridge for a surgical instrument
US5924206A (en) 1997-09-30 1999-07-20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Reusable device handle
AU9496098A (en) * 1997-10-06 1999-04-27 Karl H. Ehrenfels Fibrin sealant applicator
DE29810958U1 (de) 1998-06-19 1998-09-10 Winter & Ibe Olympus Endoskopisches Schaftinstrument
US6213984B1 (en) 1998-07-17 2001-04-10 Donovan R. Lane Self-metering cartridge
US6142974A (en) 1998-09-18 2000-11-07 Estill Medical Technologies, Incorporated Portable I.V. fluid warming system
US6117158A (en) 1999-07-07 2000-09-12 Ethicon Endo-Surgery, Inc. Ratchet release mechanism for hand held instruments
EP1200144A1 (en) 1999-07-30 2002-05-02 Medrad, Inc. Injector systems and syringe adapters for use therewith
US6257265B1 (en) 1999-10-26 2001-07-10 Sims Level 1 Inc. Apparatus for connecting a heat exchanger with a fluid temperature regulation device
US6260737B1 (en) 1999-12-29 2001-07-17 Tah Industries, Inc. Manual viscous liquid dispensing device
US20020116021A1 (en) 2000-06-21 2002-08-22 Medjet Inc. Method and process for generating a high repetition rate pulsed microjet
US6585696B2 (en) 2000-12-22 2003-07-01 Baxter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a medically useful multiple component material
US6439439B1 (en) 2001-01-12 2002-08-27 Telios Orthopedic Systems, Inc. Bone cement delivery apparatus and hand-held fluent material dispensing apparatus
EP1351730B1 (en) 2001-01-18 2006-06-28 Medrad, Inc. Syringe interfaces and adapters for use with medical injectors
US7041084B2 (en) 2001-05-24 2006-05-09 Fojtik Shawn P Hand-held, hand operated power syringe and methods
US7553294B2 (en) 2002-05-30 2009-06-30 Medrad, Inc. Syringe plunger sensing mechanism for a medical injector
US8142365B2 (en) 2002-05-31 2012-03-27 Vidacare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ccessing the bone marrow of the sternum
US7811260B2 (en) 2002-05-31 2010-10-12 Vidacare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to inject fluids into bone marrow and other target sites
US6802824B2 (en) 2002-06-17 2004-10-12 Scimed Life Systems, Inc. Catheter device and method for delivering a dose internally during minimally-invasive surgery
EP1560622B1 (en) * 2002-07-09 2008-03-05 Carmel Pharma AB A device for injecting medical substances
US20040039344A1 (en) 2002-08-22 2004-02-26 Baldwin Brian Eugene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administering medical liquids
US7678119B2 (en) 2003-01-15 2010-03-16 Scimed Life Systems, Inc. Medical retrieval device with frangible basket
DE10326306B4 (de) * 2003-06-11 2010-09-23 Henke-Sass Wolf Gmbh Spritze, insbesondere für veterinärmedizinische Anwendungen
US8415407B2 (en) * 2004-03-21 2013-04-09 Depuy Spine, Inc. Methods, materials, and apparatus for treating bone and other tissue
US20060247578A1 (en) 2003-08-11 2006-11-02 Andrew Arguedas Powered automatic injection device
US7160087B2 (en) 2003-09-19 2007-01-09 Hospira, Inc. Pump tube set handling system
US20050137575A1 (en) * 2003-12-18 2005-06-23 Duke University Minimally invasive injection devices and methods
US20050148934A1 (en) 2003-12-24 2005-07-07 Mallinckrodt Inc. Fluid infusion apparatus with an insulated patient line tubing for preventing heat loss
US20050261633A1 (en) 2004-05-19 2005-11-24 Khalaj Ben M Rechargeable handheld injection device with reversible drive having adjustable syringe cradle
US8357147B2 (en) 2005-08-17 2013-01-22 Spinal Restoration, Inc. Method for repairing intervertebral discs
KR20060032398A (ko) 2004-10-12 2006-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
US8047407B2 (en) 2004-10-29 2011-11-01 Spinal Restoration,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elivery of biologic sealant
WO2006078817A2 (en) 2005-01-21 2006-07-27 Medrad, Inc. Injectors, injector systems and methods for injecting fluids
US8066629B2 (en) 2005-02-24 2011-11-29 Ethicon Endo-Surgery, Inc. Apparatus for adjustment and sensing of gastric band pressure
DE102005011787A1 (de) * 2005-03-11 2006-09-14 Olympus Winter & Ibe Gmbh Medizinisches Instrument mit Betätigungshandgriff
US7766883B2 (en) * 2007-10-30 2010-08-03 Medrad,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portional mixing and continuous delivery of fluids
US7905868B2 (en) 2006-08-23 2011-03-15 Medtronic Minimed, Inc. Infusion medium delivery device and method with drive device for driving plunger in reservoir
US7918863B2 (en) 2005-06-24 2011-04-05 Conceptus, Inc. Minimally invasive surgical stabilization devices and methods
US7637279B2 (en) 2006-01-20 2009-12-29 Smiths Medical Asd, Inc. Shuttle valve
US8708210B2 (en) 2006-10-05 2014-04-29 Covidien Lp Method and force-limiting handle mechanism for a surgical instrument
US20080098564A1 (en) 2006-10-24 2008-05-01 Fojtik Shawn P Locking Hinges for Syringe Handles, Syringes Including Locking Hinges, and Associated Methods
US10058656B2 (en) 2006-10-24 2018-08-28 Pmt Partners, Llc Syringe with rotatable element, systems including the syringe, and associated methods
US7846130B2 (en) 2007-03-13 2010-12-07 Quality In Flow Ltd. Portable intravenous fluid heating system
US20100204649A1 (en) 2007-04-24 2010-08-12 Vidacare Corporation High Pressure Intraosseous Bag and Method
TWI332851B (en) * 2007-04-27 2010-11-11 Dermato Plastica Beauty Dpb Co Ltd Volume adjustable, micro-injection device
US7833204B2 (en) 2007-05-14 2010-11-16 Applied Medical Research Intramedullary access or infusion devices
US7951112B2 (en) 2007-05-16 2011-05-31 Smiths Medical Asd, Inc. Pump module for use in a medical fluid dispensing system
US8408439B2 (en) 2007-06-22 2013-04-02 Ethicon Endo-Surgery, Inc. Surgical stapling instrument with an articulatable end effector
US20090088702A1 (en) 2007-10-01 2009-04-02 Fojtik Shawn P Methods for manually injecting/aspirating fluids through small diameter catheters and needles and manual injection/aspiration systems including small diameter catheters and needles
US11191931B2 (en) 2007-10-01 2021-12-07 Pmt Partners, Llc Methods for manually injecting/aspirating fluids through small diameter catheters and needles and manual injection/aspiration systems including small diameter catheters and needles
ES2391719T3 (es) 2007-11-19 2012-11-29 Mallinckrodt Llc Sistema de suministro de fluido con fuente de fluido de múltiples dosis
CN103470466B (zh) 2007-12-10 2016-08-17 拜耳医疗保健公司 连续的流体输送系统和方法
US8631935B2 (en) 2009-06-03 2014-01-21 Medline Industries, Inc. Catheter tray, packaging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US20100311026A1 (en) 2009-06-03 2010-12-09 Tomes Jennifer E Catheter Tray, Packaging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US8448786B2 (en) 2009-06-30 2013-05-28 Medline Industries, Inc. Catheter tray, packaging system, instruction insert, and associated methods
WO2010048753A1 (zh) * 2008-10-29 2010-05-06 Pan Qiubao 一种自动换针头的连续注射器
WO2010091132A1 (en) 2009-02-04 2010-08-12 Mallinckrodt Inc. Hand-actuated syringe with vacuum chamber for auto refill
CA2777105C (en) * 2009-10-09 2018-03-27 Ethicon Endo-Surgery, Inc. Surgical instrument surgical instrument comprising first and second drive systems actuatable by a common trigger mechanism
DE102009057792B4 (de) 2009-12-11 2016-08-18 Harm Kölln Kontinuierlich fördernde Infusionspumpe
CA3054707C (en) 2010-01-22 2022-06-07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Infusion pump apparatus, method and system
US9295778B2 (en) * 2011-12-21 2016-03-29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Syringe pump
EP2536457A1 (en) 2010-02-19 2012-12-26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US8568446B2 (en) * 2010-05-13 2013-10-29 Ethicon Endo-Surgery, Inc. Multi-chamber therapeutic cell applicator instrument
US8486155B2 (en) * 2010-05-13 2013-07-16 Ethicon Endo-Surgery, Inc. Fistula repair plug having multiple layers
US9192711B2 (en) 2010-09-24 2015-11-24 Carefusion 303, Inc. Modular infusion system
US9107691B2 (en) 2010-10-19 2015-08-18 Distal Access, Llc Apparatus for rotating medical devices, systems including the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WO2012059209A1 (en) * 2010-11-01 2012-05-10 Roche Diagnostics Gmbh Fluid dispensing device with a flow detector
IT1403780B1 (it) 2010-12-02 2013-10-31 Cane Spa Dispositivo per l'infusione di farmaci.
USD687549S1 (en) 2011-10-24 2013-08-06 Ethicon Endo-Surgery, Inc. Surgical instrument
USD679011S1 (en) 2011-10-31 2013-03-26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Handle of surgical instrument
JP2015507604A (ja) * 2011-11-14 2015-03-12 リジェネレイティブ サイエンシーズ, エルエルシー 懸濁粒子送達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13078160A1 (en) 2011-11-22 2013-05-30 Mallinckrodt Llc Hand-actuated fluid delivery device having triggered lock for selectively limiting automatic aspiration stroke
US20140291355A1 (en) * 2011-11-22 2014-10-02 Mallinckrodt Llc Hand-Actuated Fluid Delivery Device
US10099244B2 (en) 2012-08-03 2018-10-16 Pdap, Llc Dispensing and aspirating system including a syringe holding and actuation device
CN106943174B (zh) * 2012-11-09 2019-10-18 捷锐士阿希迈公司(以奥林巴斯美国外科技术名义) 具有旋转组件的手术钳
US9107986B2 (en) 2013-03-11 2015-08-18 Boston Scientific Limited Double action infusion pump
US20150025500A1 (en) 2013-03-15 2015-01-22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Apparatus and method for intraosseous fluid infusion
US10322227B2 (en) 2013-03-15 2019-06-18 410 Medical, Inc. Apparatus, kits and related methods for fluid infusion
EP3077021A1 (en) 2013-12-02 2016-10-12 Norgren Kloehn, Inc. Dual syringe fluid pump
USD744099S1 (en) 2013-12-05 2015-11-24 Olympus Corporation Surgical device
USD750244S1 (en) 2013-12-05 2016-02-23 Olympus Corporation Surgical device
ES2551810B1 (es) 2014-05-21 2016-05-17 Kiro Robotics Sl Actuador de jeringas robotizado
US20150359150P1 (en) 2014-06-04 2015-12-10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trawberry cultivars
CA2977652C (en) 2015-02-24 2023-10-24 410 Medical, Inc. Apparatus and kits for fluid infusion
EP3268071A1 (en) 2015-03-10 2018-01-17 Life Warmer Inc. Thermic infusion system
EP3813744A4 (en) 2018-06-05 2021-12-08 Carl Zeiss Meditec Cataract Technology Inc. OPHTHALMIC MICROSURGICAL TOOLS, SYSTEMS AND METHODS OF USE
WO2020006566A1 (en) 2018-06-29 2020-01-02 410 Medical, Inc.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filtering air from a fluid line
US20200282135A1 (en) 2019-03-07 2020-09-10 Kpr U.S., Llc Delivery of fluid from a syringe
EP3854432A1 (en) 2020-01-27 2021-07-28 Ivy Medical Holding B.V. Pump for delivering liquid to be administered intravenously
AU2022232358A1 (en) 2021-03-08 2023-09-14 410 Medical, Inc.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fluid infus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1405B1 (ko) * 2020-04-09 2021-05-12 (주)풍림파마텍 자동 주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38018A2 (en) 2016-09-01
US20170281875A1 (en) 2017-10-05
AU2016222871A1 (en) 2017-09-14
EP3261694B1 (en) 2021-03-24
EP3261694A2 (en) 2018-01-03
JP2018507087A (ja) 2018-03-15
US10016564B2 (en) 2018-07-10
CA2977652A1 (en) 2016-09-01
US20230144057A1 (en) 2023-05-11
US11957886B2 (en) 2024-04-16
US10391257B2 (en) 2019-08-27
CA2977652C (en) 2023-10-24
US20170319783A1 (en) 2017-11-09
US11458256B2 (en) 2022-10-04
AU2016222871B2 (en) 2020-11-05
US20190374724A1 (en) 2019-12-12
WO2016138018A3 (en) 2016-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57886B2 (en) Rapid fluid delivery system
US10322227B2 (en) Apparatus, kits and related methods for fluid infusion
EP3007744B1 (en) Portable fluid delivery system
US5807312A (en) Bolus pump apparatus
AU2017302557B2 (en) Systems, methods, and components for trapping air bubbles in medical fluid transfer modules and systems
EP2435109B1 (en) Compact non-electric medicament infuser
AU2013271802B2 (en) Radiopharmacuetical delivery device
US20150057638A1 (en) Haptic feedback and audible output syringe
EP2579918B1 (en) Medication infusion kit
CN112512631B (zh) 放射性栓塞递送装置
US2015002550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raosseous fluid infusion
JP5325993B2 (ja) 加圧ユニットと医療用流体注入装置内の対応するスリーブのための嵌め合い機構
JP2024050587A (ja) 患者ラインの再使用を検出するための圧力測定の利用
CN204618868U (zh) 具有可拆卸药筒的泵系统
CA2817354A1 (en) Device for transferring and dosing biomedical fluids between hospital containers
KR20040111452A (ko) 수혈 시스템
US20240091457A1 (en) Aspiration and injection devices
BRPI0802684A2 (pt) bomba de infusão descartá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