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3808A - 개스킷 실란트용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되는 개스킷 실란트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개스킷 실란트용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되는 개스킷 실란트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3808A
KR20180033808A KR1020160123215A KR20160123215A KR20180033808A KR 20180033808 A KR20180033808 A KR 20180033808A KR 1020160123215 A KR1020160123215 A KR 1020160123215A KR 20160123215 A KR20160123215 A KR 20160123215A KR 20180033808 A KR20180033808 A KR 20180033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ket sealant
gasket
composition
sealant
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3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오
김종우
박광연
최광욱
임상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60123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3808A/ko
Publication of KR20180033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38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2Materials for stopping leaks, e.g. in radiators, in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40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2Cellulose; Modified cellulo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71Sealing or supporting means around electrodes, matrices or membranes
    • H01M8/028Sealing mean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H01M8/0284Organic resins; Organic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81/00Seals; Sealing equipment; Gas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2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 H01M2008/1293Fuel cells with solid oxide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개스킷 실란트용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되는 개스킷 실란트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개스킷 실란트용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되는 개스킷 실란트 및 이의 제조방법 {COMPOSITION FOR GASKET SEALANT, GASKET SEALANT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명세서는 개스킷 실란트용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되는 개스킷 실란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석유나 석탄과 같은 기존 에너지 자원의 고갈이 예측되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대체에너지의 하나로서 연료전지는 고효율이고, NOx 및 SOx 등의 공해 물질을 배출하지 않으며, 사용되는 연료가 풍부하다는 등의 장점으로 인해 특히 주목 받고 있다.
연료전지는 연료와 산화제의 화학 반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발전 시스템으로서, 연료로는 수소와 메탄올, 부탄 등과 같은 탄화수소가, 산화제로는 산소가 대표적으로 사용된다.
연료전지에는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PEMFC), 직접메탄올형 연료전지(DMFC), 인산형 연료전지(PAFC), 알칼리형 연료전지(AFC), 용융탄산염형 연료전지(MCFC), 고체산화물형 연료전지(SOFC) 등이 있다.
이들 중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는 낮은 활성화 분극을 바탕으로 하여 과전압이 낮고, 비가역적 손실이 적으므로 발전효율이 높다. 또한, 수소뿐만 아니라 탄소 또는 하이드로카본계 물질을 연료로 사용할 수 있어 연료 선택의 폭이 넓으며, 전극에서의 반응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전극 촉매로서 값비싼 귀금속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게다가, 발전에 부수하여 배출되는 열은 온도가 매우 높아 이용 가치가 높다. 즉,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에서 발생한 열은 연료의 개질에 이용될 뿐만 아니라, 열병합 발전에서 산업용이나 냉방용 에너지원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Solid Oxide Fuel Cell)의 기본적인 작용 원리를 살펴보면,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는 기본적으로 수소의 산화반응으로 발전하는 장치이고, 연료극인 애노드와 공기극인 캐소드에서 아래의 반응식 1과 같은 전극 반응이 진행된다.
[반응식 1]
공기극: (1/2)O2 + 2e-→ O2-
연료극: H2 + O2-→ H2O + 2e-
전체반응: H2 + (1/2)O2 → H2O
즉, 전자는 외부 회로를 거쳐 공기극에 도달하고, 동시에 공기극에서 발생한 산소 이온이 전해질을 통해서 연료극으로 전달되어 연료극에서는 수소가 산소 이온과 결합하여 전자 및 물을 형성한다.
한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는 공기극, 전해질, 연료극으로 이루어진 단위전지로 구성되고, 이 단위전지 여러 개를 적층하여 스택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적층을 위해서는 한 단위전지의 공기극과 다른 단위전지의 연료극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고, 각 단위전지에 연료와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구조물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금속 재질의 분리막이 사용된다. 이때, 이 연료전지 스택에서 연료가스인 수소와 연소 가스인 공기의 혼합 방지, 스택 외부로 가스 누출방지 및 단위전지 간의 절연을 하기 위하여 금속 분리판과 단위전지 구성요소 사이를 실링(sealing)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이러한 연료가스 및 공기가 정해진 경로를 통해서만 이동되어야 하는데, 상기 연료가스 및 공기가 섞이거나 밖으로 누출되는 경우에는 전지의 성능이 급격히 저하되므로 높은 수준의 실링 기술이 요구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 2003-0045324 호
본 명세서에는 개스킷 실란트용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되는 개스킷 실란트 및 이의 제조방법이 기재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유리 분말; 및 바인더 용액을 포함하는 개스킷 실란트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용액은 바인더를 포함하고, 상기 바인더는 셀룰로오스 및 아크릴 중 1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바인더 용액의 함량은 상기 유리 분말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20 중량%인 개스킷 실란트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상기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개스킷 실란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상기 개스킷 실란트를 포함하는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전술한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개스킷 실란트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스킷 실란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 원하는 두께의 개스킷 실란트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유연성이 향상되어 부러지지 않는 플렉서블(flexible) 개스킷 실란트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개스킷 실란트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비교예 1에 따른 개스킷 실란트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개스킷 실란트의 옆면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상용에 있어서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는 가스의 실링(sealing)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실링 기술은 유리계 개스킷 실란트를 이용하는 방법이 가장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유리계 개스킷 실란트를 이용하는 방법은 유리 파우더(powder)를 테이프(Tape) 또는 페이스트(Paste)의 형태로 적용하여 각각 연료전지 셀에 적용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 즉, 최초 연료전지 셀에 부착시키기 위해서는 테이프나 페이스트의 형태가 통상적으로 사용되었다.
상기 테이프나 페이스트의 형태로 개스킷 실란트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이형성이 있는 PET 상에 원하는 두께 및 폭을 가지는 실란트를 제작하고, 건조한 후 이형 PET를 분리하여 개스킷 실란트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개스킷 실란트를 원하는 두께 및 폭으로 제작할 수 있고, 이형 PET로부터 분리할 경우 쉽게 부서지지 않는 유연성(Flexibility)을 가지는 개스킷 실란트용 조성물이 필요하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유리 분말; 및 바인더 용액을 포함하는 개스킷 실란트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용액은 바인더를 포함하고, 상기 바인더는 셀룰로오스 및 아크릴 중 1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바인더 용액의 함량은 상기 유리 분말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20 중량%인 개스킷 실란트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유리 분말은 유리 상태에 있는 물질의 분말을 의미한다. 이때, 유리 상태는 용융된 액체가 냉각하여 결정화되지 않고 그대로 응고하는 상태를 의미하며, 유리 상태에 있는 무기 물질을 유리라고 한다.
상기 유리 분말의 입경 크기는 0.1 내지 100㎛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유리 분말은 당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리의 분말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유리 분말은 산화물 유리의 분말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유리 분말은 이산화규소(SiO2)를 포함하는 유리의 분말일 수 있다.
상기 유리 분말은 Si 산화물, B 산화물 및 Ba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유리 분말은 이산화규소(SiO2), 삼산화이붕소(B2O3) 및 산화바륨(BaO)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i 산화물, B 산화물 및 Ba 산화물의 중량의 합은 상기 유리 분말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70 중량% 이상 80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유리 분말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Si 산화물의 함량은 40중량% 이상 50 중량% 이하일 수 있고, 상기 B 산화물의 함량은 5중량% 이상 15중량% 이하일 수 있으며, 상기 Ba 산화물의 함량은 10중량% 이상 20중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유리 분말은 Zn 산화물, Na 산화물, K 산화물, Al 산화물, Ca 산화물, Fe 산화물 및 Zr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리 분말은 Zn 산화물, Na 산화물, K 산화물, Al 산화물, Ca 산화물, Fe 산화물 및 Zr 산화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유리 분말은 ZnO, Na2O, K2O, Al2O3, CaO, Fe2O3 및 ZrO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용액은 셀룰로오스계 수지 및 (메트)아크릴계 수지 중 1 이상을 바인더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계 수지는 셀룰로오스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이면 제한하지 않는다. 일 예로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cellulose acet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cellulose acetate butyr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에틸셀룰로오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계 수지의 분자량의 범위는, 예를 들어, 30,000 내지 3,000,000일 수 있지만, 치환기의 종류 및 치환도 등 다양한 요인들에 따라 상기 범위를 벗어날 수 있고,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메트)아크릴계 수지는 (메트)아크릴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이면 제한하지 않으며,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 또는 아크릴레이트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는 폴리메틸(메트)크릴레이트 (polymethyl(meth)acrylate), 폴리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polybutyl(meth)acrylat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분자량의 범위는, 예를 들어, 30,000 내지 3,000,000일 수 있지만, 치환기의 종류 및 치환도 등 다양한 요인들에 따라 상기 범위를 벗어날 수 있고,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바인더 외에, 폴리비닐알코올(PVA),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틸렌글리콜, 자일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페놀,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등이 있으며, 이들을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용액은 추가로 용매 및 가소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용액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바인더 1 내지 30중량%, 가소제 1 내지 10 중량% 및 여분의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점도가 적절하여 개스킷 실란트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소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유연성이 향상되어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 제조시 스택(stack)을 쌓더라도 부서지지 않는 특성을 가진다.
상기 바인더 용액의 함량은 상기 유리 분말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중량% 내지 20 중량% 일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용액의 함량이 상기 유리 분말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중량% 미만인 경우, 도 3을 살펴보면, 유연성이 부족하여 이형 PET로부터 분리되지 않거나, 외부 자극에 의하여 쉽게 부서질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용액의 함량이 상기 유리 분말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0중량% 초과인 경우, 점도가 낮아져, 개스킷 실란트의 두께 및 폭을 조절하기가 어렵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전술한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개스킷 실란트를 제공한다. 전술한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개스킷 실란트는 상기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개스킷 실란트의 열팽창계수는 8x10-6/℃ 내지 13x10-6/℃ 범위일 수 있다. 상기 개스킷 실란트의 열팽창계수가 8x10-6/℃ 내지 13x10-6/℃ 범위인 경우에는 접착하고자 하는 피접착물과의 열팽창계수 차이가 적어 잔류응력이 생기지 않아 안정적인 접착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개스킷 실란트는 고리 형태일 수 있고, 개스킷 실란트를 두께방향으로 자른 단면 또한 고리 형태일 수 있다. 다만, 상기 개스킷 실란트의 고리 형태는 그 형태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부착되는 연료전지 셀의 형태에 따라 바뀔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개스킷 실란트를 두께방향으로 자른 단면은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과 같은 다각형의 고리 형태일 수도 있고, 원형의 고리 형태일 수도 있으나, 그 형태를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즉,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개스킷 실란트의 두께방향으로 내부의 적어도 어느 한 지점의 수평단면은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과 같은 다각형의 고리 형태이거나, 원형의 고리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개스킷 실란트의 두께방향으로 양 끝 지점인 상단부 및 하단부의 수평 단면 역시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과 같은 다각형의 고리 형태이거나, 원형의 고리 형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개스킷 실란트의 두께는 0.1mm 이상 3mm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mm 이상 2mm 이하이다. 도면 4를 참조하면, 상기 개스킷 실란트의 두께(d)는 개스킷 실란트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최단 길이를 의미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하단부는 상기 조성물이 도포된 필름의 윗면을 의미하고, 상기 상단부는 상기 필름 상에 도포된 조성물의 윗면을 의미한다. 상기 개스킷 실란트의 두께가 0.1mm 이상인 경우에는 접착대상이 되는 물질과의 열팽창계수 차이에 의한 응력차이를 물리적으로 견디지 못하여 개스킷 실란트가 파손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상기 개스킷 실란트의 두께가 3mm 이하인 경우에는 셀의 적층 이후 연료전지 스택의 부피가 매우 커지는 문제 및 개스킷 실란트 내부의 열 응력에 의한 크랙 발생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상기 개스킷 실란트를 포함하는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연료극, 전해질 및 공기극을 포함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셀; 상기 연료전지 셀의 상면 및 하면에 구비된 전술한 개스킷 실란트; 및 상기 개스킷 실란트의 상면 및 하면에 구비된 분리판(seperator)을 포함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전해질, 공기극 및 연료극으로 이루어진 연료전지를 연료전지 셀(단위 전지)라고 하며, 1개의 단위 전지가 생산하는 전기에너지의 양은 매우 제한적이기 때문에 연료전지를 발전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단위전지를 직렬로 연결해 놓은 형태인 적층 구조물(스택)을 제작하게 된다. 스택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단위 전지의 공기극과 연료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면서 연료와 공기의 혼합을 막기 위해 분리막을 사용한다. 이러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구조를 도 1에 모식적으로 나타내었다.
상기 분리판을 이용하여 적층 구조물을 형성함에 있어서, 연료인 수소가스와 공기의 혼합을 방지하고, 가스의 누출 방지 및 전지 사이의 절연을 위해 개스킷 실란트를 설치하게 된다.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는 단위전지의 구성방법에 따라 평판형, 원통형, 및 적층형 등으로 구분될 수 있고,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그 형태를 크게 제한하지 않으나, 평판형 연료전지에서 특히 구성요소와 분리판의 밀봉이 중요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연료극, 전해질 및 공기극에 관한 내용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에 관한 내용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전술한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개스킷 실란트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스킷 실란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개스킷 실란트를 제조하는 단계는 전술한 조성물을포함하는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단계는 전술한 조성물을 교반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고, 그 외에 당업계에서 널리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단계는 디스펜싱(dispensing) 방법이나, 스크린 인쇄(screen printing)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개스킷 실란트를 제조하는 단계는 그린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그린 시트를 2개 이상 라미네이션하는 단계; 및 상기 라미네이션한 그린시트를 재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그린 시트(green sheet)를 제조하는 단계는 전술한 조성물을 이용하여 테이프 캐스팅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그린 시트를 2개 이상 라미네이션 하는 단계는 100 내지 200㎛의 그린시트를 적절한 두께로 여러 겹 적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그린시트를 재단하는 단계는 당업계에서 널리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명세서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명세서를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개스킷 실란트의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서 페이스트(Paste)를 만든 후, 주사기에 넣고 5mm/sec의 속도로 토출하였다. 이후 이형성 있는 PET film에 2.5mm의 두께로 사각형의 프레임(frame)을 제조하였다.
개스킷 실란트 제조 조성
바인더 용액 조성 함량 (g) 비고
용매 BCA(덕산) 360 82.9 중량%
바인더 B98 PVB(Aldrich) 37 8.5 중량%
가소제 S160(덕산) 37 8.5 중량%
총합 434
80℃에서 Over Night (바인더 용해)
유리 분말 Powder V1515(DSM) 111.5 고형분 함량 85%
개스킷 실란트용 조성물 유리 분말 V1515(DSM) 111.5
바인더 용액 18.5 Powder 대비 16.6 중량%
< 비교예 1>
바인더 용액의 함량이 Powder 대비 4 중량%인 점을 제외하면,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1의 개스킷 실란트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조성에 따른 개스킷 실란트는 이형 PET에서 분리하는 것이 수월하고, 유연성이 있어 외부 자극에도 부서지지 않는 장점이 있다.
반면, 비교예 1의 개스킷 실란트를 나타낸 도 3을 참조하면, 이형 PET에 개스킷 실란트 조성물의 일부가 남아 있어, 분리가 수월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외부의 자극에 의하여 손상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Claims (11)

  1. 유리 분말; 및 바인더 용액을 포함하는 개스킷 실란트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용액은 바인더를 포함하고, 상기 바인더는 셀룰로오스계 수지 및 (메트)아크릴계 수지 중 1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바인더 용액의 함량은 상기 유리 분말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20 중량%인 개스킷 실란트용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리 분말은 Si 산화물, B 산화물 및 Ba 산화물을 포함하는 것인 개스킷 실란트용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용액은 용매 및 가소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개스킷 실란트용 조성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용액은 상기 바인더 용액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바인더 1 내지 30중량%, 가소제 1 내지 10 중량% 및 여분의 용매를 포함하는 것인 개스킷 실란트용 조성물.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개스킷 실란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개스킷 실란트의 열팽창계수는 8x10-6/℃ 내지 13x10-6/℃인 것인 개스킷 실란트.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개스킷 실란트의 두께는 0.1 내지 3 mm인 개스킷 실란트.
  8. 청구항 5의 개스킷 실란트를 포함하는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
  9. 청구항 1의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개스킷 실란트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스킷 실란트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개스킷 실란트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개스킷 실란트의 제조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개스킷 실란트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그린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그린 시트를 2개 이상 라미네이션하는 단계; 및 상기 라미네이션한 그린시트를 재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개스킷 실란트의 제조방법.

KR1020160123215A 2016-09-26 2016-09-26 개스킷 실란트용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되는 개스킷 실란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338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3215A KR20180033808A (ko) 2016-09-26 2016-09-26 개스킷 실란트용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되는 개스킷 실란트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3215A KR20180033808A (ko) 2016-09-26 2016-09-26 개스킷 실란트용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되는 개스킷 실란트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3808A true KR20180033808A (ko) 2018-04-04

Family

ID=61975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3215A KR20180033808A (ko) 2016-09-26 2016-09-26 개스킷 실란트용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되는 개스킷 실란트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380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1387B2 (en) Alkali-free composite sealant materials for solid oxide fuel cells
KR101637477B1 (ko) 높은 전극 접착력을 갖는 세퍼레이터 및 이의 제조방법
EP2941405B1 (en) High temperature substrate attachment glass
JP6386224B2 (ja) 全固体電池
KR102427387B1 (ko)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용 실링재 조성물, 이로 제조된 실링재를 갖는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및 이의 실링방법
KR20100073833A (ko)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결정화 유리 복합체 밀봉재의 제조 방법
KR102177718B1 (ko) 고체전해질,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온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61992B1 (ko)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다층구조 밀봉재의 제조방법
KR102651661B1 (ko) 결정성 유리 조성물
KR101989499B1 (ko)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실링재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실링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27389B1 (ko)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용 실링재 조성물, 이로 제조된 실링재를 갖는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및 이의 실링방법
KR20180033808A (ko) 개스킷 실란트용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되는 개스킷 실란트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8170297A (ja) 全固体電池
JP2007149430A (ja)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用シール材とその製造方法
KR101956235B1 (ko)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실링재, 이를 포함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65217B1 (ko)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용 실링재 조성물, 이로 제조된 실링재를 갖는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및 이의 실링방법
KR101977856B1 (ko)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실링재, 이를 포함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상기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및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실링재의 제조방법
KR101180217B1 (ko)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밀봉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29381A (ko)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밀봉재 및 이를 이용한 가스켓 제조 방법
US20180261855A1 (en) Composition for solid oxide fuel cell sealant, sealant using same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JP5554740B2 (ja)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用電解質シート
JPH0799695B2 (ja) 溶融炭酸塩型燃料電池の製造方法
JPS62133677A (ja) 溶融炭酸塩燃料電池
JP2944097B2 (ja) 溶融炭酸塩型燃料電池
JPS61216255A (ja) 溶融炭酸塩燃料電池用電解質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