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3102A - 성형 기계용 주입 유닛 - Google Patents

성형 기계용 주입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3102A
KR20180033102A KR1020170122579A KR20170122579A KR20180033102A KR 20180033102 A KR20180033102 A KR 20180033102A KR 1020170122579 A KR1020170122579 A KR 1020170122579A KR 20170122579 A KR20170122579 A KR 20170122579A KR 20180033102 A KR20180033102 A KR 20180033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icizing cylinder
collar
injection unit
bracing
troug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2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8455B1 (ko
Inventor
플로리안 포로트
폴 리너
리챠드 크체플
귄터 쇼트
Original Assignee
엥글 오스트리아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엥글 오스트리아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엥글 오스트리아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80033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3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8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8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0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combined with 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6Exchanging the injection unit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61Means for guiding movable mould supports or injection units on the machine base or frame; Machine base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 B29C45/58Details
    • B29C45/62Barrels or 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64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 B29C45/66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mechan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칼라(collar;22)를 구비하는 가소화 실린더(21) 및 트로프(trough;13)를 구비하는 운반부(11)을 포함하는 성형 기계용 주입 유닛에 관한 것으로, 가소화 실린더(21)는 트로프(13) 내에 배치되고 가소화 실린더(21)의 운반부(11)에 대한 축방향 이동은 운반부(11)에 지지되는 칼라(22)에 의해 포지티브 잠금 체결(positively locking engagement)되어 제한되고 가소화 실린더(21)상에 고정되거나 형성된 클램핑 부재(23)는 고정 부재(24)에 의해 가소화 실린더(21)가 트로프(13)와 클램핑 부재(23) 사이에서 떠받쳐지는 방식으로 운반부(11)에 고정되며, 가소화 실린더(21)는 가소화 실린더(21)의 축방향으로 운반부(11)로부터 칼라(22)를 들어올리는 것에 대하여 브레이싱 부재(bracing elements;12)에 의해 떠받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기계용 주입 유닛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성형 기계용 주입 유닛{An injection unit for a shaping machine}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1항의 전제부(classifying portion)의 특징을 포함하는 성형 기계용 주입 유닛 및 가소화 실린더(plasticizing cylinder)를 성형 기계용 주입 유닛의 캐리어부(carrier portion)에 조립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성형 기계는 바람직하게는 사출 성형 기계(injection molding machines)일 수 있다. 그러나 트랜스퍼 성형 장치(transfer molding apparatuses), 프레스 등이 또한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출 성형 과정에서, 필요한 주입 압력(injection pressure)은 가소화 스크류가 높은 힘 하에서 가소화 실린더 내로 가압(pressed)되며 따라서 용융물 쿠션(melt cushion) 상에 필요 압력을 가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가소화 실린더는 그 힘에 의해 인장 응력(tensile stressing)을 받으며 신장(stretching)이 축방향으로 발생한다. 이는 가소화 실린더를 캐리어부(carrier portion)에 대해 고정하는 것을 필요하게 한다.
그런 고정 동작(locking action)은 축방향 포지티브 고정 체결(axial positively locking engagement)에 의해 사출 작업 동안 캐리어부에 지지되고 힘(force)을 수용하는 칼라(collar)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가소화 실린더 상에 형성되거나 고정된 클램핑 부재(clamping element)는 또한 가소화 실린더가 트로프(trough)와 클램핑 부재 사이에서 -바람직하게 놓인 관계(lying relationship)로- 유지되고 그로 인해 고정되는 방식으로 클램핑 부재가 고정 부재(fixing elements)에 의해 캐리어부(carrier portion)에 고정된다고 알려져 있다. 선행 기술에서 클램핑 부재는 예를 들어 스크류의 인출 동시에 그리고 가소화 실린더가 스프루 부싱(sprue bushing)에 대해 가압될 때 발생하는 힘을 수용한다.
가소화 실린더는 또한 가소화 배럴(plasticizing barrel)로 지칭된다.
예를 들어 DE 36 37 885 A1는 칼라를 구비한 가소화 실린더를 갖는 주입 유닛을 개시한다. 가소화 실린더가 장착되는 캐리어부는 트로프를 가지며, 가소화 실린더는 트로프에 배치되어 있고 캐리어부에 대한 가소화 실린더의 축방향 이동(axial movement)은 캐리어부에 지지되는 칼라에 의해 포지티브 고정 체결(positively locking engagement)로 방지된다. 이 경우 캐리어부에 대한 칼라의 배치는 칼라가, 사출 작업 중 발생하는 힘에 의해 유도되는, 캐리어부에 대한 가소화 실린더의 축방향 이동을 가소화 실린더 상에서 제한하는 것이다.
DE 36 37 885 A1의 구조에서의 단점은 브레이싱 부재(bracing elements)가 브레이싱 실린더의 형태인 상대적으로 복잡한 속성이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브레이싱 실린더의 이동 방향에 수직인 힘은 높은 휨 모멘트(flexural moments)를 일으키고 마모(wear) 및 밀폐 완전성(sealing integrity)에 악영향을 미친다.
가소화 실린더를 캐리어부 상에 고정하는 수단을 위한 추가적 구조물이 EP 0 314 942 A1에 공지되어 있다. 그런 경우 가소화 실린더는 트로프에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캐리어부의 보어(bore)에 의해 안내된다. 이 방법으로 예를 들어 크레인(crane) 상에 균형을 이룬, 가소화 실린더가 위로부터 캐리어부 내로 삽입될 수 없고, 이는 조립을 더 어렵게 만든다.
더욱이 그 구조는 꽤 복잡하고 더 주요한 단점은 주입시 포지티브 고정 동작을 만들어내는 부분들이 가동적으로 설계된다는 것이다. 그런 부분들의 장착은 마모되거나 고장나기 쉽다고 인식될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의 칼라는 가동 부분에 의해 설명된 포지티브 고정 동작을 제공하기 위한 지지체로서만 사용된다.
DE 42 35 659 A1는 가소화 실린더가 경사진 클램핑 웨지 부재(inclined clamping wedge member)에 의해 캐리어부에 대해 유지되는 주입 유닛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행 기술과 비교하여 단순화된 구조 및 또한 단순화된 조립 둘 다 가능케 하는 주입 유닛 및 조립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주입 유닛에 관해서,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에 의해 이뤄진다. 이 목적은, 칼라가 캐리어부에서 가소화 실린더의 축방향으로 들어올려지지 않도록, 가소화 실린더가 브레이싱 부재(bracing elements)에 의해 유지되는(braced) 것에 의해 달성된다. 복잡한 브레이싱 부재나 가동 부분들은 필요치 않다.
조립 방법에 관해서는, 이는 청구항 10의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이는 가소화 실린더가
- 캐리어부의 트로프에 배치되고
- 캐리어부로부터 칼라가 가소화 실린더의 축방향으로 들어올려지지 않도록 브레이싱 부재에 의해 유지되며, 그리고
- 클램핑 부재와 트로프 사이의 고정 부재에 의해 유지되는 것으로 달성된다.
이 방법으로 균형 상태에 있는 가소화 실린더는 위로부터 트로프로 배치될 수 있고, 매우 간단한 방식으로 조작되고 조립될 수 있다.
이 경우 칼라는 바람직하게 주입시 발생하는 힘에 대해 고정시킨다. 이것은 힘이 만들어지며, 그것이 사출 작업(즉, 가소화 실린더에 배치된 가소화 스크류 또는 주입 플런저(injection plunger)의 전진 운동(forward movement)에 의해), 용융물의 점도, 사출 작업 동안 최대치로 증가하는 용융물의 압력 때문에 가소화 실린더의 신장(stretching)을 야기함을 의미한다. 칼라 - 가소화 실린더에 바람직하게는 고정되어 연결되는 - 에 의한 포지티브 고정 동작은, 가동 부분 없이, 사출 작업에서 발생하는 높은 축방향 힘에 대한 확실한 고정을 제공한다.
브레이싱 부재 - 클램핑 부재 및 트로프 사이에서 마찰 체결(frictional engagement)에 의해 지지되는 - 는 가소화 실린더(또는 주입 노즐)가 부싱에 대해 가압될 때 그리고 스크류의 후퇴(retraction)시 (가소화 실린더 내에서) 발생하는 힘을 수용한다. 다시 말해, 칼라는 브레이싱 부재에 의해 캐리어부에 대해 프리스트레스된다(prestressed).
따라서 이는 간단한 방식으로 칼라의 캐리어부에 대한 접촉이 유동(play)이 없음을 보여주고 - 더 구체적으로 바람직하게는 모든 상황에서 그렇다.
또한 본 발명은 클램핑 부재를 고정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짧고 작업이 상업적으로 통상적인 도구를 가지고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가소화 실린더가 빠르게 변화할 수 있게 한다. 이는 연장 시간(stoppage times)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에 긍정적인 영향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의 추가적인 이점은 클램핑 부재에 의한 브레이싱 동작을 위해 필요한 작은 축방향 공간에 있으며, 그에 의해 전체 주입 유닛은 더 짧아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입 유닛을 갖는 성형 기계을 위한 보호가 추가적으로 주장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유리한 구성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나열된다.
특별히 단순한 구성에서 고정 부재는 클램핑 부재의 보어를 통과하고 캐리어부에서 고정 스레드(fixing threads)와 협조(cooperate with)하는 고정 스크류의 형태이다. 고정 스크류는 생산하기에 단순하고 비용이 많이 들지 않으며 가소화 실린더가 상업적으로 통상적인 도구를 사용하여 제자리에 맞추어질 수 있게 한다. 특별한 도구는 전혀 필요치 않다.
당연히 고정 부재는 또한 유압식(hydraulic)이거나 전기식(electric)일 수 있다. 그런 경우 브레이싱 동작은 자동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사출 작업에서 발생하는 가소화 실린더의 연장(elongation) 때문에 클램핑 부재는 캐리어부의 관점으로부터 노즐의 방향으로 변위한다(즉, 가소화 실린더의 전단(front end)쪽으로). 이는 또한 클램핑 부재 및 캐리어부 사이의 상대 이동(relative movement)을 포함하며 그에 의해 고정 부재가 휨 하중(flexural loading)에 노출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 가소화 실린더의 인장 하중(tensile loadings)을 위한 제 1 등가 스프링 강성(first equivalent spring stiffness)과 고정 부재 - 특히 고정 스크류 - 의 휨 하중(flexural loadings)을 위한 제 2 등가 스프링 강성(second equivalent spring stiffness)의 비율은 500보다 크고, 바람직하게 1000보다 크며, 특히 바람직하게 1500보다 크다.
구조 - 특히 고정 부재 - 의 강성도를 예를 들어 사출 성형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하학적 배치(geometrical arrangement) 및 반복 하중(cyclic loadings)으로 일치시키는 것은 실제적으로 마모 및 재료의 피로로부터 발생하는 영향을 제거할 수 있고 매우 긴 사용 기간(service lives)를 달성할 수 있다.
브레이싱 부재는 - 바람직하게 캐리어부에서 지지되어 - 클램핑 부재, 칼라 및/또는 가소화 실린더에 대해 작용할 수 있다.
브레이싱 부재는 특히 용이하게는 생산하기에 쉽고 비싸지 않은 가압 스크류(pressure screws)의 형태일 수 있다. 게다가 그것은 표준 도구를 사용하여 조립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브레이싱 부재는 유압식 - 따라서 예를 들어 유압 실린더 형태인 - 또는 전기식이며, 이는 자동 조립을 가능하게 한다.
가압 스크류는 캐리어부의 보어에 배치된 브레이싱 스레드(bracing threads)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클램핑 부재, 칼라 및/또는 가소화 실린더와 접촉할 수 있다.
클램핑 부재는 판(plate)형 바람직하게는 평판형일 수 있다. 다른 모양 또한 고려될 수 있다고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클램핑 부재는 (요크(yoke)처럼) 곡선일 수 있고, 특히 타원으로 휘어진(curved elliptically) 판의 형태, 특히 원형 구성(circular configuration)일 수 있다. 그러나 더 일반적인 모양이 또한 유리할 수 있으며, 이 점에 있어서 각기둥 모양(prismatically shaped)의 클램핑 부재가 한 예일 수 있다.
이러한 수단들은 또한 구조를 더욱 단순하게 하고 각 부분 및 전체 구조물의 제조 비용을 낮추게 한다.
클램핑 부재는 가소화 실린더가 트로프에 배치되기 전에 가소화 실린더에 조립될 수 있다. 한편으로 이는 조립시 가소화 실린더의 올바른 방향성이 저절로(중력때문에) 발생한다는 이점을 갖는다. 둘째로는 클램핑 부재가 사전 조립되는 동안 생산이 계속될 수 있다. 이는 따라서 또한 실제 조립 시간을 감소하는데 기여한다.
클램핑 부재는 가소화 실린더의 제조 시 또는 - 언급된 바와 같이 -주입 유닛의 작업기(operator)에서 (사전) 조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장점 및 세부사항은 도면과 그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자명해질 것이다. 도면에서:
도 1은 조립되지 않은 상태의 가소화 실린더 및 캐리어부를 도시하며,
도2 는 본 발명에 따른 주입 유닛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따른 주입 유닛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4a 및 4b는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5a 및 5b는 제 3 실시예를 도시하며, 그리고
도 6a 및 6b는 제 4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은 첫째로 조립되지 않은 상태의 캐리어부(11) 및 가소화 실린더(21)를 도시한다. 조립을 위해 가소화 실린더(21)는 캐리어부(11)의 트로프(13) 내로 하강된다. 클램핑 부재(23)는 가소화 실린더(21)에 사전 조립되나 또한 그 위에 형성될 수도 있다. 클램핑 부재(23)를 캐리어부(11)에 고정하는 것에 의해 가소화 실린더(21)는 클램핑 부재(23) 및 트로프(13) 사이에서 유지된다. 그런 상태에서 칼라(22)는 캐리어부(11)에 지지된다. 만약 지금 가소화 실린더(21)에 배치된 가소화 스크류가 공동(cavity) 내로 가소화된 가소성 물질(plastic material)을 주입하기 위하여 용융물에 압력을 가한다면 포지티브 고정 동작이 칼라(22) 및 캐리어부(11) 사이에서 작동한다.
본 실시예에서 트로프(13)는 위를 향하지만, 또한 측면을 향할 수도 있다.
캐리어부(11)는 또한 캐리어 플레이트(carrier plate)로 지칭된다.
도 2는 조립된 상태의 주입 유닛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이와 관련하여 클램핑 부재(23)가 고정 스크류(24)(한개만이 참조번호로 표시됨)에 의해 캐리어부(11)에 고정됨을 확인할 것이다. 도 3a에서 더 잘 관찰되는 브레이싱 부재(12)를 보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 경우 클램핑 부재(23)는 네 개의 스크류(참조 번호 없음)에 의해 가소화 실린더(21)에 해체가능하게 고정된다. 클램핑 부재(23)는 그러나 또한 가소화 실린더(21)상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a은 도 2의 주입 유닛을 통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 경우 단면은 가소화 실린더(21)의 종축, 두 개의 고정 부재(24) 및 브레이싱 부재(12)를 포함하는 것이며 이로 인하여 그들의 배치는 더 확실해 진다.
이 실시예에서 고정 부재(24)는 고정 스크류의 형태이다.
가압 스크류 형태인 브레이싱 부재(12)는 캐리어부(11)의 보어를 통과하며 클램핑 부재(23)에 대해 가압한다. 이 목적을 위해 브레이싱 부재(12)는 캐리어부(11)의 보어 내 브레이싱 스레드에서 지지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실시예에서 (온도 조절 수단 등과 같은 부착물과 함께) 가소화 실린더(21)가 크레인 및 적절한 권상 수단(hoisting means)에 의해 캐리어부(11)의 트로프(13) 내로 들어올려지는 것에 의해 가소화 실린더(21)는 캐리어부(11)에 조립되었다. 이후 가소화 실린더(21)의 칼라(22)는 브레이싱 부재(12)에 의해 캐리어부(11)의 단부면(end face)에 대해 가압되었고 따라서 축방향으로 유지되었다. 끝으로, 트로프(13) 내의 가소화 실린더(21)의 방사 수직 브레이싱(radial and vertical bracing)을 위해 클램핑 부재(23)는 고정 부재(24)에 의해 캐리어부(11)에 체결(tightened)되었다.
클램핑 부재(23)를 가소화 실린더(21)상에 유지하기 위하여 먼저 고정 부재(24)를 조립하고 이후 브레이싱 부재(12)를 체결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가소화 실린더를 분리(dismantling)할 시 가압 스크류는 캐리어부 내에 남아 있을 수 있으며 이후 가소화 실린더를 조립하는 차후 작업 시 다시 체결될 수 있다.
도 3b에서는 도 3a가 참조 번호 없이, 대신 등가 스프링 강성 c1 및 c2가 확실히 도시된 채로 재현된다.
등가 스프링 강성 c1은 인장 하중 하의 가소화 실린더(21)의 거동(behavior)을 설명한다.
등가 스프링 강성 c2는 휨 하중 하의 고정 부재(24)의 거동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브레이싱 부재(12)가, 가소화 실린더(21) 내에 정해진 프리스트레싱(prestressing)을 만들고 그 후에만 고정 스크류를 체결하기 위해 먼저 장착되는 한, 비율이 긍정적으로 영향받았다.
도 4a(도 2의 도시된 바와 상응) 및 도 4b(도 3a의 도시된 바와 상응)는 브레이싱 부재(12)가 칼라(22)에 대해 동작하는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그 목적을 위해 캐리어부(11)는 칼라가 거의 완전히 캐리어부(11)내로 통합(integrated)되는 방식으로 변형된다(칼라(22)가 캐리어부(11)내로 완전히 들여보내지는 것 또한 당연히 가능하다).
특히 도 4b에 도시되듯이 관통홀(through holes)이 캐리어부(11)의 부분들(참조번호 25)에 배치되어 있는데, 이 부분들은 칼라(22)를 수용(embrace)한다. 이 부분들은 브레이싱 스레드를 구비하고 있고, 브레이싱 부재(12)는 브레이싱 스레드에서 지지되고 접촉에 의해 칼라(22)에 대해 가압한다.
그러나 또한 상기 언급한 칼라(22)의 캐리어부(11)로의 통합은 브레이싱 부재(12)가 칼라(22)에 대해 작용하는데 절대적으로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도 5a 및 5b 는 제 2 실시예와 유사한 제 3 실시예를 도시한다. 그러나 도 4a 및 4b에 도시된 통합에 대한 차이로서 브레이싱 부재(12)를 위한 브레이싱 스레드는 두 개의 스윙 아암(swing arms; 26)에 통합된다. 상기 아암(26)은 명백히 또한 칼라(22)를 수용하지만 편평하지 않으며 따라서 칼라(22)의 캐리어부(11)로의 통합을 수반하지 않는다.
도 6a 및 6b는 제 1 실시예(도 2 및 3a)와 유사한 제 4 실시예를 도시한다. 그러나 제 1 실시예와 다르게 클램핑 부재(23)는 두 부분으로 된 구조(two-part structure)이며 대략적으로 가소화 실린더(21)의 중앙선의 높이에 위치한다.
클램핑 부재(12)의 삽입 및 체결을 돕기 위해 이 실시예에서 브레이싱 부재는 캐리어부(11)의 보어를 통해서뿐만 아니라 칼라(22)를 통해서도 통과한다. 이 목적을 위해 칼라(22)는 추가적인 관통홀을 구비하며, 이를 통해 브레이싱 부재(12)는 삽입되고 체결 수 있다.

Claims (11)

  1. 칼라(collar; 22)를 구비하는 가소화 실린더(21) 및 트로프(trough; 13)를 구비하는 캐리어부(11)을 포함하는 성형 기계용 주입 유닛에 있어서, 가소화 실린더(21)는 트로프(13)에 배치되고 가소화 실린더(21)의 캐리어부(11)에 대한 축방향 이동은 캐리어부(11)에 지지되는 칼라(22)에 의해 포지티브 고정 체결(positively locking engagement)되어 제한되고 가소화 실린더(21)상에 고정되거나 형성된 클램핑 부재(23)는 고정 부재(24)에 의해 가소화 실린더(21)가 트로프(13)와 클램핑 부재(23) 사이에서 유지되는 방식으로 캐리어부(11)에 고정되며, 가소화 실린더(21)는 칼라(22)가 캐리어부(11)로부터 가소화 실린더(21)의 축방향으로 들어올려지지 않도록 브레이싱 부재(bracing elements; 12)에 의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기계용 주입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고정 부재(24)는 클램핑 부재(23)의 보어를 통과하고 캐리어부의 고정 스레드(fixing threads)와 협조(cooperate with)하는 고정 스크류의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유닛.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가소화 실린더의 인장 하중(tensile loadings)을 위한 제1 등가 스프링 강성(first equivalent spring stiffness; c1)과 고정 부재 - 특히 고정 스크류 - 의 휨 하중(flexural loadings)을 위한 제2 등가 스프링 강성(second equivalent spring stiffness; c2)의 비율은 500보다 크고, 바람직하게 1000보다 크며, 특히 바람직하게 1500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유닛.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브레이싱 부재(12)는 - 바람직하게 캐리어부(11)에서 지지되어 - 클램핑 부재(23)에 대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유닛.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브레이싱 부재(12)는 - 바람직하게 캐리어부(11)에서 지지되어 - 칼라(22) 및/또는 가소화 실린더(21)에 대해 작용하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유닛.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브레이싱 부재(12)는 가압 스크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유닛.
  7. 제6항 및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가압 스크류는 캐리어부(11)의 보어에 배치된 브레이싱 스레드(bracing threads)에 의해 지지되고 클램핑 부재(23) 및/또는 칼라(22) 및/또는 가소화 실린더(21)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유닛.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클램핑 부재(23)는 판형 - 바람직하게는 평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유닛.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주입 유닛을 포함하는 성형 기계.
  10. 특히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성형 기계용 주입 유닛(1)의 캐리어부(11)에 가소화 실린더(21)를 조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소화 실린더(21)는
    - 캐리어부(11)의 트로프(13)에 배치되어 있고,
    - 칼라(22)가 캐리어부(11)로부터 가소화 실린더(21)의 축방향으로 들어올려지지 않도록 브레이싱 부재(12)에 의해 유지되며, 그리고
    - 클램핑 부재(23) 및 트로프(13) 사이의 고정 부재(24)에 의해 유지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클램핑 부재(23)는 가소화 실린더(21)가 트로프(13) 내에 배치되기 전에 가소화 실린더(21)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70122579A 2016-09-23 2017-09-22 성형 기계용 주입 유닛 KR1022184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50854/2016 2016-09-23
ATA50854/2016A AT518638B1 (de) 2016-09-23 2016-09-23 Einspritzeinheit für eine Formgebungsmas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3102A true KR20180033102A (ko) 2018-04-02
KR102218455B1 KR102218455B1 (ko) 2021-02-22

Family

ID=60628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579A KR102218455B1 (ko) 2016-09-23 2017-09-22 성형 기계용 주입 유닛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213985B2 (ko)
KR (1) KR102218455B1 (ko)
AT (1) AT518638B1 (ko)
DE (1) DE1020171219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36119B1 (ja) * 2018-11-21 2020-01-29 株式会社日本製鋼所 射出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14942A1 (de) * 1987-10-22 1989-05-10 Karl Hehl Verriegelungseinrichtung für den Plastifizierzylinder einer Kunststoff-Spritzgiessmaschine
KR20030080026A (ko) * 2001-02-23 2003-10-10 허스키 인젝션 몰딩 시스템즈 리미티드 사출 유닛
JP2008290373A (ja) * 2007-05-25 2008-12-04 Meiki Co Ltd 加熱筒後端部の封止機構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76334D1 (de) 1985-04-15 1991-02-07 Karl Hehl Kunststoff-spritzgiesseinheit.
US4731005A (en) 1985-07-26 1988-03-15 Karl Hehl Injection molding unit for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DE3637885A1 (de) * 1986-11-06 1988-05-19 Krauss Maffei Ag Spritzgiessanlage mit auswechselbarer plastifiziereinheit
DE4130287A1 (de) * 1991-02-23 1993-04-01 Karl Hehl Plastifizierzylinder an einer kunststoff-spritzgiessmaschine
DE4235659C2 (de) 1992-10-22 1995-04-27 Hemscheidt Maschtech Schwerin Spannvorrichtung für die Plastifiziereinheit einer Spritzgießmaschine zur Kunststoffverarbeitung
US5419138A (en) * 1993-07-13 1995-05-30 Laroche Industries, Inc. Pellet extruding machine
US5439633A (en) * 1994-07-27 1995-08-08 Spirex Corporation Plastic extruder having a mixing valve with automatic shut-off
AU2001229946A1 (en) * 2000-02-09 2001-08-20 Netstal-Maschinen Ag Method of controlling/regulating an embossing procedure and drive and control device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s
DE10057302B4 (de) * 2000-11-17 2004-11-18 Krauss-Maffei Kunststofftechnik Gmbh Formverriegelungsvorrichtung einer Spritzgießmaschine mit einer zugübertragenden Befestigungsvorrichtung
EP1291147B1 (de) * 2001-08-17 2004-03-31 Ferromatik Milacron Maschinenbau GmbH Schliesseinheit einer Drei-Platten-Spritzgiessmaschine
US7017344B2 (en) * 2003-09-19 2006-03-28 Pellizzari Roberto O Machine spring displacer for Stirling cycle machines
US7479005B2 (en) * 2007-04-24 2009-01-20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Molding system having clamp actuator having actuator mount
JP5200477B2 (ja) * 2007-10-05 2013-06-05 Nok株式会社 押出機
JP5178287B2 (ja) * 2008-04-08 2013-04-10 キヤノン株式会社 解析装置及び解析方法
CN103221192A (zh) * 2010-11-24 2013-07-24 赫斯基注塑系统有限公司 具有包括熔体驱动转子总成的熔体混合器总成的模具系统
CN103507238B (zh) * 2012-06-19 2015-11-25 震雄资产管理有限公司 二板式注塑机锁模机构和二板式注塑机
US20160279854A1 (en) * 2014-12-04 2016-09-29 Extrude To Fill, LLC Molding system and method of heating a material inside a molding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14942A1 (de) * 1987-10-22 1989-05-10 Karl Hehl Verriegelungseinrichtung für den Plastifizierzylinder einer Kunststoff-Spritzgiessmaschine
KR20030080026A (ko) * 2001-02-23 2003-10-10 허스키 인젝션 몰딩 시스템즈 리미티드 사출 유닛
JP2008290373A (ja) * 2007-05-25 2008-12-04 Meiki Co Ltd 加熱筒後端部の封止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7121945A1 (de) 2018-03-29
KR102218455B1 (ko) 2021-02-22
AT518638B1 (de) 2017-12-15
AT518638A4 (de) 2017-12-15
US11213985B2 (en) 2022-01-04
US20180085984A1 (en) 2018-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6115141A1 (ja) 型締装置、射出成形機及び射出成形方法
KR101553133B1 (ko) 인서트 성형용 금형 및 칼라의 인서트 성형방법
KR101329591B1 (ko) 형 체결 장치
US9738020B2 (en) Mold clamping mechanism
KR20180033102A (ko) 성형 기계용 주입 유닛
KR101901282B1 (ko) 타이바레스 사출성형기
JP6636119B1 (ja) 射出装置
CN1950553B (zh) 梭口形成机构和安装有该机构的织机
US20050232803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a composite component
JP4218474B2 (ja) 射出成形装置および射出成形方法
CN103507238B (zh) 二板式注塑机锁模机构和二板式注塑机
KR20090073851A (ko) 금형조립체
CN103057065A (zh) 注塑机的拉杆机构
KR100874972B1 (ko) 금형조립체
JP2020138529A (ja) ハイブリッド成形体のボス成形方法
JP2020163707A (ja) 型締装置
KR100401652B1 (ko) 쐐기를 이용한 가류기의 가압장치
CN212266400U (zh) 开合模机构
CN206186227U (zh) 用于成型机的注入单元和成型机
CN211518335U (zh) 注塑机锁模组件
US9808976B2 (en) Injection member attachment structure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
JP2002240095A (ja) 成形用金型
JP4121686B2 (ja) 分解可能に固定された軸受ブッシュを備えたミシン
KR100838772B1 (ko) 금형조립체
KR100823338B1 (ko) 금형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